KR20160039095A -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095A
KR20160039095A KR1020140132063A KR20140132063A KR20160039095A KR 20160039095 A KR20160039095 A KR 20160039095A KR 1020140132063 A KR1020140132063 A KR 1020140132063A KR 20140132063 A KR20140132063 A KR 20140132063A KR 20160039095 A KR20160039095 A KR 2016003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kim19
present
composi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박해웅
김태운
강미란
최학종
장자영
임형인
이진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3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9095A/ko
Publication of KR2016003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Bacillus (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ir culture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4Preserving or maintaining viabl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여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19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통칭하여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이나 비피더스균과 같은 유익균 및 이스트의 범위를 포함한다.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발견되는 자연환경은 다양한데,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존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소와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요구르트, 우리나라의 김치나 독일의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그 발효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유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경구로 섭취하여 소장에 도달해서 장 표면에 부착하여 유지되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장 상피세포 부착능력이 우수하여야 한다.
한편, 류코노스톡 속은 김치에서 많이 발견되는 유산균 중 하나로 항균물질을 생성하여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균주로 많이 보고되어 있어,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장내 세균총을 정상화시키며 설사와 변비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먹어온 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되어 안전성이 확보됨으로써, 새로운 발효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요구되는 기본 특성인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설사 환자의 불균형한 장내균총을 정상화시켜 주는 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류코노스톡속 유산균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는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신규한 류코노스톡속 유산균 균주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분리,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19)은 김치 유래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신규 균주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김치에서 분리, 동정하기는 하였으나, 이의 입수 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상기 유산균 균주는 도 1의 트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19)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4년 9월 18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FCC11599P).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그람양성균이며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ive anaerobe)이고, 쌍구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일반적인 정장 효과 및 면역증강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단일 또는 복합균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 건조된 세포 형태나 발효산물 형태로 급여될 경우, 숙주의 장내 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갖추어야 하며, 사료에 포함시켜 사용할 경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이 pH 4 조건에서 약 6% 생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1종의 항생제 중 5종의 항생제에 매우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6종의 항생제에도 저항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설사 환자의 불균형한 장내 균총을 다시 정상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기 적합한 유산균의 형태 및 제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물은 소, 말, 돼지와 같은 가축을 포함한다. 상기 '장질환'으로는 장 위해 세균감염 및 염증성 장 질환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병원성 미생물(대장균,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등)에 의한 감염성 설사, 위장염, 염증성 장 질환, 신경성 장염 증후군, 소장 미생물 과성장증, 장 급이성 설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장 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연령, 성별, 인종, 치료 또는 예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1천만 마리에서 1000억마리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락토바실러스 속의 유산균이 정장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이러한 정장 및 면역 증강 작용으로 인해 의약, 건강기능식품, 식품,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당, 옥수수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비타민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식물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동물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사료는 동물의 식이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곡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곡분, 또는 옥수수/콩곡분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어류로서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여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여주는 트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내산성과 내담즙성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복용 전후의 설사환자의 장내균총에 존재하는 락토바실러스와 클로스트리듐의 수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동정
김치 추출물의 원액을 MRS 배지에 도말하여 얻은 균단일집락을 루프로 수거하여 MRS broth에 배양하였다. DNA추출은 QIAamp DNA Mini Kit (QIAgen, Germany)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1%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16S rRNA gene을 증폭하기 위하여 추출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518F(5'-CCAGCAGCCGCGGTAATACG-3', forward), 800R (5'-TACCAGGGTATCTAATCC-3', revers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PCR 조건은 denaturation 95℃ 1 분, annealing 45℃ 1 분, extension 72℃ 1 분 30초로 3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PCR 산물은 마크로젠(Seoul, Korea)에 의뢰하여 서열을 분석하였다. 세균의 동정은 16SrRNA 서열을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www.ncbi.nlm.nih.gov)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검색엔진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상기 유산균 균주는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도시한 도 1의 트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19)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4년 9월 18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FCC11599P).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분석 결과, 그람양성균이며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ive anaerobe)이다. 또한, 헤테로발효를 하며 운동성 및 내성포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실시예 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내산성 분석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배양은 유산균 배지로 잘 알려진 MRS broth (Difco)를 사용하였다. 산에 대한 유산균의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HCl로 pH를 조절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30℃에서 20시간 동안 MRS broth 배지에 배양한 균액을 각 조건배지에 접종(108 cfu/ml)하였다. 내산성 시험에 사용된 조건배지는 HCl로 pH를 2, 4로 맞춘 MRS broth 배지이다. 각 조건배지에 접종한 후 37℃에서 2시간동안 배양하고 이 균액을 다시 MRS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30℃에서 36시간 배양하여 증식 유무를 관찰하고 순수한 MRS broth 배지에 배양한 균집락의 개수와 비교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내산성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내산성 시험의 결과 순수한 MRS broth 배지에서 배양한 것과 비교하였을 때, HCl을 첨가하여 pH 4를 맞춘 MRS broth 배지에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이 6%의 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나 pH 2에서는 생존하지 않았다.
실시예 3: 항생제에 대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최소 저해 농도 측정
분리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대상으로 반코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에리트로프림, 케토코나졸, 목시플록사신, 젠타마이신, 트리메토프림, 미노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암페니콜, 플루코나졸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하였다. 항생제 농도는 최고 농도 10μg/ml부터 2배 계열희석하여 최소 농도가 0.01μg/ml이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전배양한 균액을 106 CFU/ml이 되도록 MRS broth 배지로 희석한 후 100μl씩 항생제에 접종하여 배양하고 균주의 성장을 확인할 수 없는 가장 낮은 항생제의 농도를 최소 억제농도(MIC)로 결정하였다. 표준균주로는 E. coli를 사용하였다.
표 1은 항생제 저항성 실험의 결과로 나타난 균주의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항생제 저항성 실험의 결과, P. pentosaceus가 반코마이신, 케토코나졸, 트리메토프림, 테트라사이클린, 플루코나졸 등 5종의 항생제에 10ug/ml 농도에서도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클로르암페니콜은 5 ug/ml, 시프리플록사신과 젠타마이신은 2.5 ug/ml, 에티트로프림은 1.25 ug/ml 농도에 저항성을 보였다. 목시플록사신과 미노사이클린은 1 ug/ml 농도 이하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실시예 3: 동결건조 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장내 생존율 측정
세계김치연구소의 기존 연구 결과에 따라 20% 콩가루 수용액을 동결건조보호제로 선정하였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약 1.2 × 1010cfu/ml의 농도로 30℃에서 배양하고 균액을 8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균을 0.85%의 NaCl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이 끝난 균은 20%의 콩가루 수용액과 동일 부피로 혼합하여 2일의 기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된 균은 파쇄하여 분말화 시킨 후 캡슐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약 300 mg의 양이 캡슐에 포함되도록 포장하였다.
임상시험은 자원자에 한하여 인체적용시험예정일(1일)로부터 2주 이내에 병력 및 약물 투여력 조사, 신체검진, 진단검사의학검사 등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여 연구대상자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북대학교병원에서 김치 유산균 복합제를 섭취하기 전에 분변을 제공하였다. 그 다음 김치유산균 복합제를 제공받아 7일 동안 항생제유발설사(CDI)에 대한 의학적 표준치료(반코마이신 1회 250mg, 1일 1,000mg 복용)와 유산균 복합제 섭취를 병행하고 7일후에 분변을 제공하였다.
동결건조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섭취하였을 때, 섭취 전과 비교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분변을 이용하여 metagenomic analysis로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의 복용 전후의 설사환자의 장내균총에 존재하는 락토바실러스와 클로스트리듐의 수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환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장내에 존재하는 류코노스톡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유해균속(屬)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듐의 비율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599P 20140918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 19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130> P14E10C1279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95 <212> RNA <213>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19 <400> 1 tagagtttga atctggctca ggatgaacgc tggcggcgtg cctaatacat gcaagtcgaa 60 cgcacagcga aaggtgcttg cacctttcaa gtgagtggcg aacgggtgag taacacgtgg 120 acaacctgcc tcaaggctgg ggataacatt tggaaacaga tgctaatacc gaataaaact 180 tagtgtcgca tgacacaaag ttaaaaggcg cttcggcgtc acctagagat ggatccgcgg 240 tgcattagtt agttggtggg gtaaaggcct accaagacaa tgatgcatag ccgagttgag 300 agactgatcg gccacattgg gactgagaca cggcccaaac tcctacggga ggctgcagta 360 gggaatcttc cacaatgggc gaaagcctga tggagcaacg ccgcgtgtgt gatgaaggct 420 ttcgggtcgt aaagcactgt tgtatgggaa gaacagctag aataggaaat gattttagtt 480 tgacggtacc ataccagaaa gggacggcta aatacgtgcc agcagccgcg gtaatacgta 540 tgtcccgagc gttatccgga tttattgggc gtaaagcgag cgcagacggt ttattaagtc 600 tgatgtgaaa gcccggagct caactccgga atggcattgg aaactggtta acttgagtgc 660 agtagaggta agtggaactc catgtgtagc ggtggaatgc gtagatatat ggaagaacac 720 cagtggcgaa ggcggcttac tggactgcaa ctgacgttga ggctcgaaag tgtgggtagc 780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a ccgtaaacga tgaacactag gtgttaggag 840 gtttccgcct cttagtgccg aagctaacgc attaagtgtt ccgcctgggg agtacgaccg 900 caaggttgaa actcaaagga attgacgggg acccgcacaa gcggtggagc atgtggttta 960 attcgaagca acgcgaagaa ccttaccagg tcttgacatc ctttgaagct tttagagata 1020 gaagtgttct cttcggagac aaagtgacag gtggtgcatg gtcgtcgtca gctcgtgtcg 1080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a ttgttagttg ccagcattca 1140 gatgggcact ctagcgagac tgccggtgac aaaccggagg aaggcgggga cgacgtcaga 1200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acgtgctaca atggcgtata caacgagttg 1260 ccaacccgcg agggtgagct aatctcttaa agtacgtctc agttcggatt gtagtctgca 1320 actcgactac atgaagtcgg aatcgctagt aatcgcggat cagcacgccg cggtgaatac 1380 gttcccgggt cttgtacaca ccgcccgtca caccatggga gtttgtaatg cccaaagccg 1440 gtggcctaac cttttaggaa ggagccgtct aaggcaggac agatgactgg ggtga 1495

Claims (5)

  1. 수탁번호 KFCC11599P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19}.
  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4.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를 포함하는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140132063A 2014-09-30 2014-09-30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39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063A KR20160039095A (ko) 2014-09-30 2014-09-30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063A KR20160039095A (ko) 2014-09-30 2014-09-30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95A true KR20160039095A (ko) 2016-04-08

Family

ID=559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063A KR20160039095A (ko) 2014-09-30 2014-09-30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90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903A1 (ko) * 2021-11-17 2023-05-25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를 포함하는 암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903A1 (ko) * 2021-11-17 2023-05-25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를 포함하는 암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916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CN113498433B (zh) 包含嗜柠檬酸明串珠菌WiKim0104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KR101749065B1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747989B1 (e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7 having antiviral and immunomodulatory efficac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2123505B1 (ko) 관절염 저감화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09
KR20190051771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JP6952879B2 (ja) 新規バチルス・アミロリケファシエンス菌株、及びそれを用いた、大豆発酵物を製造する方法
CN111315865A (zh) 具有抗病毒作用和免疫调节功效的植物乳杆菌cjlp475菌株以及包括其的组合物
JP4565057B2 (ja) イムノグロブリンa誘導能の高い新規乳酸菌
KR101757785B1 (ko) 2-하이드록시아이소카프로익 에시드(2-hydroxyisocapro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락티스 WIKIM4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4383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Weissella cibaria WIKIM2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160007964A (ko)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85129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8280B1 (ko) 관절염의 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5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2780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면역증강 활성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
KR101834379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컨퓨사 WIKIM51(Weissella confusa WIKIM5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51772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98138B1 (ko) 면역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bfe920 균주를 포함하는 수산양식 기능성 사료 첨가제
KR101607532B1 (ko)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5180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WiKim009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39095A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