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297B1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297B1
KR101851297B1 KR1020170019296A KR20170019296A KR101851297B1 KR 101851297 B1 KR101851297 B1 KR 101851297B1 KR 1020170019296 A KR1020170019296 A KR 1020170019296A KR 20170019296 A KR20170019296 A KR 20170019296A KR 101851297 B1 KR101851297 B1 KR 10185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salmonella enterica
escherichia coli
antimicrobial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배
이준영
진귀득
최윤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람 음성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주 및 그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탁된 L. reuteri 균주는 E. coli 및/또는, S. Typhimurium와 같은 그람 음성균에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이러한 우수한 균주를 이용하여 인간을 비롯한 동물용 생균제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A novel Lactobacillus reuteri and anti-bacterial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인 가축 성장촉진용 사료첨가 항생제의 사용 규제는 가축의 성장 및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쳐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여러 연구자들이 가축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는데, 많은 후보들 가운데 생균제는 성장촉진용 항생제를 대체하기에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생균제는 적절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동물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미생물로 정의할 수 있다. 생균제 미생물은 동물의 장 내에 군집을 형성하여 장내미생물 군집을 변화시키고 여러 작용을 통해 동물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 생균제의 여러 특성 중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가장 큰 특징은 병원균 억제 능력이다. 이 능력은 유기산, 박테리오신 생산을 통하여, 혹은 동물의 면역 기능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어 장내 감염을 예방한다.
Lactobacillus reuteri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용 생균제로 널리 알려져있는 미생물종이다. 이 종이 생산하는 ruterin (3-hydroxypropionaldehyde, 3-HPA) 은 병원성을 가진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 억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1,2].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05-0025002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람 음성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균주 (기탁번호 KACC 92163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해 세균은 대장균, 살모넬라 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살모넬라 균은 살모넬라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 내지 6에 기재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또는 의약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유제품, 발효유,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그람 음성균에 처리하여 그람 음성균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의 설사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식품,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또는 의약품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식품은 유제품(우유, 두유, 가공우유), 발효유(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은 기능성 식품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보조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의 경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B2,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folic acid), 비타민 C, 비타민 D3,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와, 구리, 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아연 등의 미네랄 또는 유산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중, 건강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기초사료에 일정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기초사료는 주성분이 옥수수, 대두박,유청, 어분, 당밀,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타민 프리믹스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리보프라빈 및 나이아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네랄 프리믹스는 망간, 철, 아연, 칼슘, 구리, 코발트 및 셀레니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품은 항균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유해 세균에 의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균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통상적인 약학적 담체 및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통상적인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생균제 형태로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으며,바람직하게는 L-시스테인이 첨가된 배양 배지를 이용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미생물 제제는 용액, 분말,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흩뿌림 물질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해세균에 처리하여 유해세균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해세균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돼지 사양 산업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병원균들 중 L. reuteri가 E. coli 혹은 S. enterica와 같은 그람 음성균 2종에 대한 억제 능력이 우수한 새로운 L. reuteri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genome 분석을 통해 병원균 억제 능력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들을 발굴하였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되고 기탁된 L. reuteri 균주는 E. coli 및/또는, S. Typhimurium와 같은 그람 음성균에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기탁된 균주에는 특이적인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우수한 균주를 이용하여 인간을 비롯한 동물용 생균제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두 병원균에 대한 L. reuteri 균주들의 항균활성 평가 결과. 붉은색은 항균활성 우수 균주 (특허 균주), 파란색은 특허균주와 비교하기 위해 선택된 항균활성 저조 균주;
도 2는 RAST subsystem 수준에서의 비교;
도 3은 항균활성 우수/저조 균주간의 pdu-cbi-cob-hem cluster 비교. 원 안쪽부터 GC content, ATCC53608 (연두색), KLR3004 (붉은색), KLR1001 (이하 푸른색), KLR1002, KLR2001, KLR2004, KLR2006, KLR3002, KLR3003, KLR3006 이며, 색이 존재하는 부분은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임을 의미함; 및
도 4는 본 균주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 그림.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미생물 분리동정
미생물 분리동정을 위해 여러 돼지 농가에서 돼지 분변을 채취하였다. 분변을 MRS agar에 streaking하여 634 개의 유산균 균주를 분리하였고, gDNA를 추출하였다. 이 후 추출한 gDNA를 대상으로 L. reuteri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기법을 통해 96 개의 L. reuteri 균주를 동정하였다.
실시예 2: 병원균 억제 능력 평가
L. reuteri 균주들의 병원균 억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돼지 농가에서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두 종류의 병원균을 선정하였다 (표 1). 두 병원균에 대해 L. reuteri가 생산하는 reuter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우선 MRS broth 배지에 0.5% glycerol을 첨가한 후 균주를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균만 회수하여 50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5) 를 이용하여 2번 washing해주고, 각 균주별로 3.8 × 107 개의 세포를 200 mM glycerol 800 μl에 넣어주고 2시간 동안 37℃에서 incubation하였다. 이 후 syringe filter (0.45 μm diameter) 를 이용하여 상층액만 분리한 뒤, 96 well plate에 깔아주고, 1.5 × 106 cfu 의 E. coli K88 혹은 S. Typhimurium 을 well에 넣어주었다. 이를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600 nm 흡광도를 측정하여 병원균의 성장 정도를 판단하였다.
병원균 Gram
염색 여부
병원균의 일반적 병변 기타 특이사항
Escherichia coli K88 Negative 식중독, 위장염, 요로감염, 신생아 수막염 등 한국에서 분리,
돼지에게 설사 유발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Negative Salmonellosis (살모넬라 감염증): 패혈증, 식중독 등 한국에서 분리,
돼지에게 설사 유발
표 1은 대상 병원균 2종
실시예 3: Genome 분석
선발된 L. reuteri 균주들의 DNA를 추출하여 Illumina HiSeq 2500 기기를 이용하여 genome 시퀀싱을 진행하였다. 이 후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SPAdes assembler를 이용하여 assembly를 진행하여 draft genome을 만들었다. Draft genome들은 JSpeciesWS 를 이용하여 ANIb (Average nucleotide identity based on BLAST) 를 확인하였다 [3]. 이 후 RAST 를 이용하여 annotation하고 분석하였다 [4].상기 실시예의 결과는 하기와 같다.
병원균 억제능력 평가
항균활성 측정 결과 L. reuteri의 항균활성 정도는 넓은 분포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1 균주 (L. reuteri KLR3004)를 발견하였고, 이 균주와의 비교를 위해 항균활성이 저조한 8개 균주를 선택하였다.
Genome sequencing 및 assembly 결과
앞서 언급하였듯이 항균활성 우수 균주 L. reuter KLR3004와 항균활성이 저조하였던 8개 균주를 genome sequencing하였다. 최종적으로 seqeuncing이 완료된 9개 균주는 표 2와 같으며, 항균활성 우수 및 저조 균주 간에 genome size, GC content 등 기본적 genome 특성뿐만 아니라 assembly 수준에서도 차이는 없었다. 또한 representative genome인 L. reuteri DSM20016을 대상으로 ANIb값을 확인했을 때에도 모두 95%를 넘어 L. reuteri 종이 맞음을 확인하였다.
Strain Sampling farm Genome size Contig No. N50 No. of CDSs GC % ANIb [%] Sequencing depth (fold) NCBI Accession
KLR3004 F 1996237 149 23580 1837 38.75 95.66 328.03 MIMT00000000
KLR1001 A 2064983 145 25287 1894 38.59 96.17 413.34 MIME00000000
KLR1002 A 2655130 392 19985 2383 38.5 95.63 237.93 MIMF00000000
KLR2001 B 2110569 149 38417 2011 38.53 95.94 294.55 MIMI00000000
KLR2004 C 1945237 141 33810 1804 38.65 95.73 204.45 MIML00000000
KLR2006 D 1907452 96 38836 1756 38.64 96.16 313.99 MIMN00000000
KLR3002 E 1986395 228 36298 1827 38.76 95.88 236.57 MIMR00000000
KLR3003 E 1970315 142 35675 1843 38.75 95.95 261.77 MIMS00000000
KLR3006 F 2372183 257 20771 2213 38.63 95.27 223.69 MIMV00000000
표 2는 Draft genome의 기본 특성 (assembly 결과)
Genome의 기능적 수준에서의 비교
유전자의 수
항균활성 우수 균주와 저조 8균주를 RAST annotation한 뒤 subsystem 수준에서 비교하였다. 이 때, Cobalamin synthesis 관련 유전자들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항균활성 우수 균주인 KLR3004에서는 Cobalamin synthesis 유전자들이 매우 많이 존재하는 반면, 항균활성 저조 균주들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2). Reuterin 합성에는 cobalamin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Diol dehydrase에 의해 glycerol이 3-HPA로 전변되는데, 이 효소는 cobalamin 의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5,6]. 따라서 항균활성 저조 균주들에서는cobalamin 유전자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reuterin이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L. reuteri genome에서 reuterin과 cobalamin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은 pdu-cbi-cob-hem 유전자 클러스터에 모여있다고 알려져 있다 [7]. 따라서 본 연구진은 항균활성 우수/저조 9개 균주에서 이 유전자 클러스터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도 3). 확인 결과 항균활성이 우수한 KLR3004에서는 유전자가 모두 존재하였다. 또한 모든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에 항균활성 저조 균주들의 경우 이 클러스터에서 상당수의 유전자를 잃어버린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활성 우수 균주 특이적 유전자
본 발명자들은 pdu-cbi-cob-hem 클러스터에서 항균활성 저조 균주 균주에는 존재하지 않으면서 항균활성 우수 균주에만 존재하는 유전자들을 6개 (cbiD , cbiO , cbiP , hemB, hemD , sirA) 확보하였다. 이 유전자들은 cobalamin 합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로, 추후 항균활성 우수 L. reuteri를 선발하는데 있어 유전자 마커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Luthi-Peng Q, Schaarer S, Puhan Z (2002) Production and stability of 3-hydroxypropionaldehyde in Lactobacillus reuteri.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0: 73-80.
2. Vollenweider S, Lacroix C (2004) 3-Hydroxypropionaldehyde: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of biotechnological production.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4: 16-27.
3. Richter M, Rossello-Mora R, Glockner FO, Peplies J (2015) JSpeciesWS: a web server for prokaryotic species circumscription based on pairwise genome comparison. Bioinformatics: btv681.
4. Overbeek R, Olson R, Pusch GD, Olsen GJ, Davis JJ, et al. (2014) The SEED and the Rapid Annotation of microbial genomes using Subsystems Technology (RAST). Nucleic acids research 42: D206-D214.
5. Talarico T, Casas I, Chung TC, Dobrogosz W (1988) Production and isolation of reuterin, a growth inhibitor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32: 1854-1858.
6. Chung T, Axelsson L, Lindgren S, Dobrogosz W (1989) In vitro studies on reuterin synthesis by Lactobacillus reuteri. Microbial ecology in health and disease 2: 137-144.
7. Morita H, Toh H, Fukuda S, Horikawa H, Oshima K, et al. (2008) Comparative genome analysis of Lactobacillus reuteri and Lactobacillus fermentum reveal a genomic island for reuterin and cobalamin production. DNA research 15: 151-161.
[수탁 기관]
기탁기관명 :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ACC92163
수탁일자 : 20170208
<110>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120> A novel Lactobacillus reuteri and anti-bacterial use of the same <130> P17-0005HS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152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400> 1 atggccgtca caccaaacaa taattcagaa gataattacg tttactataa cgggcgtaaa 60 ctgcggaaag gatttacaac cggaacaacg gcgactgcag caacagtagc ggcaattagg 120 acgttgctaa atcaggagcc gcaagagacg gtaacagtac atgcggctaa tggtaaaata 180 gcaatttttg atgttgaaca aacggatttt gatgaacaac aagcaagctg cgcgataaaa 240 aaagatggcg gtgatgatca ggatgcaact gatggcgcgc tgatctttgc aacggtgaag 300 ctacgtgacg ataatgagat tcatcttgat ggtggtaaag gcgttggtag ggtaactaaa 360 gaaggacttg ccaataagcc gggaatgcca gccataaacc caacgccacg gcgggttatc 420 aaggcggcgg cacgtgaaga attaggtgag aagcgaggaa taaatatcgt tatttcggtt 480 ccagaaggcg aaagaatagc aaagcttacc tataatccgc ggttaggaat cgttggtggc 540 atttcgattt taggaacaag tggtgttgtt actccgatgt ctgaatcgag ttggaaacac 600 tcaatttcaa ttgagatgaa tattcataga aaacgtggcg ataacacgat tgtattagtt 660 ccaggaaact atggtgagga cttcgccaag gatgagcttg gaataccgaa tgccaagatc 720 gtacagatga gtaactttgt tggttatgtt ttacatgaaa ctcagcggct tggttttact 780 aaagtgctaa ttgttgggga cttagggaaa atgattaaag ttgctggcgg aattttttct 840 actcatagta aagatgcgga tgctcgtgct gaaataatgg ttgctaacct tgctttaatg 900 ggtggcgtgc caacagcatt tttacgaaag attaaccagt gtttaacaac aatttcaatg 960 attaaaatga ttgatgaagc cggttatcaa gaggtatacc agatgattgc cgataagatt 1020 aagttgcgtg cagaaaaatt acttgctcat cgtgaaccac acgttgaaat tgatgtagta 1080 atattttctc gtgagagcgg cttcttagct gcaagcaaac cgtttcaaga gatcaagggt 1140 gagtggcaat ga 1152 <210> 2 <211> 810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400> 2 atgattgaat taaaacacct tagctacagt tatgacgata gggtaaaaat tctcgatgat 60 atttcattaa agattggtgc agataatcat aaagtaattg gctttatggg tcacaatggt 120 gcgggtaaat caaccctttt tcttaattta gttggtgaac taaagccgac tagcggagaa 180 atattaattg atggagaacc tgtagaatat tccaaaaaag gactacgtaa actgcggcgg 240 aaaataggaa ttgtttttca aaattcagat cagcaaattt tttattcaat tgttaaagac 300 gatgttgctt ttgcactgca taatcttaaa gttcctagcg aagaaataaa taaacgagta 360 gaaaaagtat taagtgaact tgatattcta ccattaaagg aacgaccaat tcagtattta 420 agcggcggtc agaaaaaaag agttgcgatt gctggaatga tggtaattgg ttcagaatgg 480 atcctgcttg atgagccaac gtccggcctt gatccggatg gtcgaattag aatgcaaaaa 540 ctgattcaaa aattagtaaa taacggacag cgaataatct tatcaagcca tgacatggac 600 ttcatgtatg agacctgtga ctacttctat ttattaggaa aagggaagat tttaaagcag 660 ggagataagc aaaccgtctt tgatgatgaa caattattgc gggaaaataa gcttgaccag 720 ccgtggctag taaaaattca ccagaaactg ggcttgccat tatacgatag tgagcaagaa 780 ttatttgcga ttgaaggaaa acataactga 810 <210> 3 <211> 1512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400> 3 atgtcagcac agtccataat gtttcaggga acagcatcag atgccggaaa aagttggtta 60 gttgcagctg tttgtcgaat attatctaat caaggaaaaa aagttgttcc atttaaatca 120 cagaacatgg cgttgaattc atttattact gatattggtg atgaaatggg acgggcacaa 180 gtctatcaag cggaagcagc acgggtaaaa ccagatgtgc ggatgaaccc aatactgctt 240 aagccatcaa ccgataaaga ttcgcaagta attgtaatgg gcaaagtact tgctgacatg 300 gatgctgcaa gctactacaa gtttaagccg caattaattc cccagataat ggaagcatat 360 gaaggacttg caagtgaaaa tgatgcggta attttagaag gagccggcag tcctgctgaa 420 attaatttaa acgataatga tatcgttaat atggggatgg cccgaatggt tgatgcccct 480 gtaattcttg ttgccgacat tgacaaaggc ggcgtatttg cttctattta cggaaccatt 540 aaattaatgc cgccagaaga tcagcgacgg attaaaggga ttattattaa taagttccgg 600 ggcgataaaa gtttacttga accggggaac aagatgattg aaaaattaac gggagtacct 660 gttattggtg tcttaccgat gagtgacatc gatattgatg aggaagatag tgtttcatta 720 actcggaagt cgcgtcaaaa agaagcgggg aaagcattgg acgttgctgt gattgatctt 780 gataaaattt ctaattttac cgatgttcat agtcttgaaa tccaaccgga cgtatctgtt 840 cgttacgttg taaaagcaga cgaattaggt acgccagacc ttctaattct ccctggaagc 900 aagaatacaa atgaggacct tgctgttctt aaaaagaatg ggctatatga agaaatttta 960 cgagcacacc aagatggtag taaggtggtt ggtatttgtg gcggttatca aatccttggt 1020 cgaaaacttt atgatcccga agtaattgaa tcaccaatta aggaacaagc aggtttgggg 1080 ctgcttgaca cggaaacaac ctttaacgag caaaagacaa caacacaggc cgttgccaaa 1140 agaaagaatt atacattaaa gggttacgaa attcatatgg ggactactaa attaggccta 1200 aatgcaacgc ctttctctgt tatttatacg actaacggtc aatcagagtc gcgggaagac 1260 ggggcggtta gtagcgatgg aaccgtaatg gggacttatc ttcatggaat tttcgataat 1320 ccttattgga cgcgccattt tttgaataag attaggacaa gtaagggttt agcgccactt 1380 gttaacacta atgtttcgat tagcgattat aaagatcagc aatatgagaa acttgctcaa 1440 ttatttgaac aaaatgttga tatggaaaag tttgaacaga ttttgcatga ttcaacaaaa 1500 agtaaagggt ga 1512 <210> 4 <211> 972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400> 4 atgttgcaat ttgatcgtca tcgtcgttta cgtactagcg ctgcaatgcg agatttggta 60 agagaaactc atttaaataa agatgattta attatgccgg ttttcgtgga cgcaacaatc 120 aacggcaaag aagaaattcc gtcaatgccg ggaatttacc ggtatagtct tgataccatt 180 ttggatgaaa tcaaggaaat cgtggacctt ggtattaaat caattattat ttttggtgtt 240 ccagagaaaa aagacgaggt tggaaccagc gcttgggaag agaatggtat tgtccaacaa 300 gcgattcggt taatcaagaa aaactatcct gaattaatcg taattgcaga tacctgctta 360 tgtgaataca ccagtaccgg tcactgcgga attcttaaag acggaatagt cttaaacgat 420 gaatccttag aatatcttac taaaacagca gttagccaag tggcagccgg tgcggatatt 480 attgcgccat caaatgcaat ggacggttat gtcgctgcta ttcgtcaagg attagatgaa 540 gcaggattca agaacacacc aattatgtcc tatgctgtaa aatttgcttc atcattttat 600 ggtccattcc gtgacgctgc tgatggttca cctaaagaag gacctaaaga tcgaaaaaca 660 taccaaatgg atccagctaa tcgcctagaa gcattgcgtg aagtagctag tgatgaaaag 720 gaaggtgctg attttgtgat ggttaaacca gcaatggcct tcttagatat tatgcgtgaa 780 gttcgtaacc atactttatt accactagtt gcatataatg tttccggtga atatgcaatg 840 gttaaggcag ctgcagctaa tggctggatt aatgaggacc aaatagttta tgaaagtttg 900 gttggaatga aacgagctgg ggcagactta attattactt actttgccaa ggacgttgct 960 aaaaaacttt aa 972 <210> 5 <211> 711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400> 5 atggcaattt tgataacata tcctaaacat aaaattccac tttattggcg gatgcgatta 60 gaacagcaag aagacgtgat ttactttcca tttcgcgtcc taaaaccggt taaactcagt 120 agagaagaga ttcagcaggt aaaaaaaagc gcgacattgg ttattactag cctgtacgga 180 gcaaaagtgt ttattgagga gttaagtaaa cttaataaag ccgcaacgat ttatgtcctt 240 agtgataaga tcaaaaaagt tttacaagaa aaaatcaaaa atccgattaa agtagcagag 300 agcgaaaacc ggaatgctct tcttaaagac ttagaacagc aagaggttac tagtgtatgc 360 tggttaattg gggataaggc cgaaaagtac tatgacgact ttattggaag taaggtagta 420 atttaccaaa atacgtggga taaactacat gctagcaagg gcttaaaaat ctttttaaag 480 catcaaatta cctcaatact agtaacaagc tcgtctaact ttgatcggat gtatgaagtg 540 atgactaaag ttgatagtag cgattataaa cacgttaatt attatgtatt aggaacaagc 600 acgggaaagt acttggcgac aaaggggcta aaagtaaaag taccaacaga aaaaagagat 660 gttttagcac atgtgttaga gagtatttgg caaagcgaaa ggaataagta a 711 <210> 6 <211> 459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400> 6 atggaagcac catatccgat tattttaaat ttggcaaaaa aaaaagtagc agtaattggt 60 ggcggaaaag ttgcccatcg taaaattaag aaattgctct tggctggtgt agtaccgaca 120 gttattagtc ctgagttagt tgcgaatatt gatcaagcta agattaactg gattcaggat 180 atttatcggc ggaaatatgt tgaagagatg gatattatta tcgcatgtac aaatgacgcg 240 caggttaatg accgtgtcaa agcggaggca acacattttc aattagtaaa taatactagt 300 gataaaacta attctgattt ttataattta gcaacactta gctcagatga tatgtttatc 360 agtatttcga caatgggaaa atcacccagt gttgctaaaa aaatgaaaaa tgagattaaa 420 gaatgggtta gtaagagatt tcataaggag tttgaataa 459

Claims (12)

  1. 대장균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균주 (기탁번호 KACC 92163P).
  2. 제1항에서 상기 대장균은 대장균 중 K88 항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모넬라 균은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삭제
  6. 제1항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또는 의약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유제품, 발효유,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9.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10. 제1항의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균주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대장균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균주에 처리하여 대장균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균주를 방제하는 방법.
  12. 삭제
KR1020170019296A 2017-02-13 2017-02-1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KR10185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296A KR101851297B1 (ko) 2017-02-13 2017-02-1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296A KR101851297B1 (ko) 2017-02-13 2017-02-1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97B1 true KR101851297B1 (ko) 2018-04-23

Family

ID=6208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296A KR101851297B1 (ko) 2017-02-13 2017-02-1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383A (ko) * 2020-11-27 2022-06-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4836358A (zh) * 2022-06-28 2022-08-02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罗伊氏乳杆菌sxdt-32及其应用
KR20230056983A (ko) 2021-10-21 2023-04-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psc102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002A (ko) * 2003-09-05 2005-03-1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루테리 Probio-054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WO2016062771A1 (en) * 2014-10-21 2016-04-28 Aquilon Cyl Sociedad Limitada Probiotic and prebiotic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002A (ko) * 2003-09-05 2005-03-1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루테리 Probio-054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WO2016062771A1 (en) * 2014-10-21 2016-04-28 Aquilon Cyl Sociedad Limitada Probiotic and prebiotic composition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NA Research, Vol.15, pp.151-161(2008.) *
DNA Research, Vol.15, pp.151-161(2008.)*
MICROBIAL ECOLOGY IN HEALTH AND DISEASE, Vol.2, pp.131-136(1989.) *
MICROBIAL ECOLOGY IN HEALTH AND DISEASE, Vol.2, pp.131-136(1989.)*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383A (ko) * 2020-11-27 2022-06-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88346B1 (ko) 2020-11-27 2023-10-11 코오롱인더스트리(주)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30056983A (ko) 2021-10-21 2023-04-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psc102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4836358A (zh) * 2022-06-28 2022-08-02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罗伊氏乳杆菌sxdt-32及其应用
CN114836358B (zh) * 2022-06-28 2023-02-24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罗伊氏乳杆菌sxdt-32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219B2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17 for suppressing the growth of antibiotics-resistant pathogenic microorganism or enteropathogenic microorganism
JP5709883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US9144588B2 (en) Bacillus subtilis isolate from corn
KR101841090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페시움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KR101768678B1 (ko) 한국 장수마을에서 개발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bi9988
US9814242B2 (en) Bacillus subtilis isolate from corn and extracts that inhibit the growth of undesirable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s
KR20120100608A (ko) 면역관련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101
KR101749065B1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0676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51771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5129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757785B1 (ko) 2-하이드록시아이소카프로익 에시드(2-hydroxyisocapro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락티스 WIKIM4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60007964A (ko)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44838B1 (ko)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72190B1 (ko)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33067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니말리스 swla-1 및 이의 용도
KR101838280B1 (ko) 관절염의 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5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5322B1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836928B2 (ja) 大腸におけるビフィズス菌の増加及び減少抑制剤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65180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WiKim009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