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740B1 -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740B1
KR102043740B1 KR1020180142820A KR20180142820A KR102043740B1 KR 102043740 B1 KR102043740 B1 KR 102043740B1 KR 1020180142820 A KR1020180142820 A KR 1020180142820A KR 20180142820 A KR20180142820 A KR 20180142820A KR 102043740 B1 KR102043740 B1 KR 10204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aracasei
fatty liver
alcohol
alcoholic fat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
박수동
정승희
이호진
최일동
장성식
이정열
심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to KR102018014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23Y2220/63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는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사멸 및 지방축적의 억제와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발효유, 기능성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식품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effective for alcoholic fatty liver and products containing thereof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사멸 및 지방축적의 억제와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지방간(fatty liver)이란, 지방의 과도한 섭취와 간 내의 축적 및 합성 증가, 배출 감소 등의 원인이 되어 정상적인 지방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지질 특히, 중성지방(triglyceride)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간세포에서 지방공포가 과도하게 관찰되는 질환을 말한다. 간에 지방이 과다하게 껴서 생기는 질병으로, 지방질 특히. 중성지방이 간 무게의 5% 이상일 때를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간세포의 5% 이상에서 지방이 관찰되거나 간 100mg 당 지방이 5mg 이상일 때 즉, 지방이 전체간 무게의 5% 이상을 차지하게 될 때 지방간으로 분류한다. 보통 음주로 인한 지방간과 그렇지 않은 쪽으로 나뉘는데, 대개 전자가 더 위험하다. 전자는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fatty liver)이라고 부르고, 후자처럼 알코올에 의하지 않은 지방간을 통틀어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이라고 부른다.
대한 간학회의 정의에 따르면 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증상은 거의 없으며 간혹 상복부 불편감이나 피로 증상을 동반하는 질병이다.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지방간 단계에서는 금주를 통해 증상이 호전되지만, 장기간 음주를 지속할 경우 급격한 간 기능 저하를 동반하는 알코올성 간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염은 지방만 축적되는 지방간과는 달리 간세포가 파괴되고 염증 반응을 동반하는 상태를 말한다. 발열, 황달, 복통, 심한 간기능 장애를 초래하며, 술을 끊으면 회복이 가능하지만 음주를 계속하면 간경변증으로 진행된다. 특히, 중증 알코올성 간염은 급성 간부전으로 진행되어, 사망 가능성이 높아진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끊고 충분한 휴식과 영양을 취하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으나, 음주를 계속하면 약 20~30%에서는 알코올성 간염을 유발하고 지속되면 10% 정도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된다. 매일 80g 이상(소주 1~1.5병 정도)의 알코올을 10~15년 이상 마시는 경우에는 간이 딱딱하게 굳고 그 기능을 소실하게 되는 간경변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특히, 여성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간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소량의 알코올에 의해서도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위험도가 높다. 일단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면 술을 끊더라도 딱딱해진 간조직이 완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므로 지방간 단계에서 증상이 호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막걸리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가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사멸 및 지방축적의 억제와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239호(2018.07.04.)
본 발명은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사멸 및 지방축적의 억제와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유, 기능성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세포의 사멸 및 지방축적의 억제와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발효유, 기능성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음료첨가제, 발효유,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음료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종 식품류, 발효유, 육류, 음료수, 초콜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주류 및 그 밖의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발효유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유산균 배양액 및 혼합과즙시럽을 일정비율로 조합하여 150bar에서 균질한 후 10℃ 이하로 냉각한 후 용기에 포장하여 발효유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기능성 음료는 혼합과즙시럽,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및 물을 일정한 비율로 조합하여 150bar에서 균질한 후 10℃ 이하로 냉각한 후 유리병, 페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영양보조 성분으로 비타민 B1, B2, B5, B6, E 및 초산에스테르, 니코틴산 아미드, 올리고당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사멸 및 지방축적의 억제와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발효유, 기능성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식품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독성을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내 총 콜레스테롤 감소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내 중성지방 감소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내 지방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사멸 관련 효소인 카스파제-3의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의 분리 및 동정
1-1. 균주의 분리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유산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막걸리를 PBS buffer에 십진 희석한 후 1/100,000배 만큼 희석된 샘플을 MRS 배지(Oxoid)에 접종하였다. 혐기 조건에서 자라는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해 BBL anaerobic GasPak(BD)을 넣은 혐기박스를 사용하여 37℃에서 36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배지에서 모양이 다른 각각의 콜로니(colony)를 새로운 MRS 배지에 접종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그 결과 총 260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1-2.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사멸을 저해하는 유산균 선발
상기 분리된 260종의 유산균의 고농도의 알코올 처리에 의한 간세포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인 HepG2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4cells/well로 배양한 뒤, 700mM의 알코올과 260종의 유산균 각각을 1x107CFU/mL 농도로 처리한 뒤 Cell counting kit-8(Dondjindo Mol. Tech.)을 통해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으로서 간세포인 HepG2세포에 700mM의 알코올만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또한, 간세포인 HepG2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간세포주인 HepG2세포에 700mM의 알코올을 처리 하였을 때 알코올에 대한 세포독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가장 우수한 L.paracasei_HY7014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1-3. 신균주 'L.paracasei_HY7014'의 동정
상기 실시예 1-2의 L.paracasei_HY7014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신균주 L.paracasei_HY7014로부터 분리한 유전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518F(5'-CCAGCAGCCGCGGTAATACG-3'), 800R(5'-TACCAGGGTATCTAATCC-3')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PCR 반응[(95℃, 3분), 30cycles(95℃, 30초; 50℃, 30초; 72℃, 90초), 72℃, 10분]을 수행하여 1.45kbp의 증폭산물을 얻은 후 정제하여 시퀀싱(sequencing) 반응을 통해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BLAST 검색결과(http://www.ncbi.nlm.nih.gov/blast)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5138316-pat00001
또한, Api 50CHL kit(BIOMERIEUX)을 이용하여 당이용성 검사를 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당 0-24 사용여부 당 25-49 사용여부
0 Control - 25 에스큘린 +
1 글리세롤 - 26 살리신 +
2 Erythritol - 27 셀로비오스 +
3 D 아라비노스 - 28 말토스 -
4 L 아라비노스 - 29 유당 +
5 리보스 + 30 멜리비오스 -
6 D 크실로스 - 31 자당 +
7 L 크실로스 - 32 트레할로스 +
8 아도니톨 - 33 이눌린 -
9 β 메틸-D-크실로시드 - 34 멜레지토스 -
10 갈락토스 + 35 라피노스 -
11 포도당 + 36 전분 -
12 과당 + 37 글리코겐 -
13 만노스 + 38 크실리톨 -
14 소르보스 - 39 겐티오비오스 +
15 람노스 - 40 D 투라노스 +
16 둘시톨 - 41 D 라이소스 -
17 이노시톨 - 42 D 타가토스 +
18 만니톨 + 43 D 푸코스 -
19 소르비톨 - 44 L 푸코스 -
20 α-메틸-D-만노시드 - 45 D 아라비톨 -
21 α-메틸-D-클루코시드 + 46 L 아라비톨 -
22 N-아세틸-글루코사민 + 47 글루코나테 +
23 아미그달린 - 48 2-케토-글루코나테 -
24 아르부틴 + 49 5-케토-글루코나테 -
상기의 표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2의 L.paracasei_HY7014 균주의 16S rRNA 유전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의 16S rDNA 유전자와 99%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종 당 분해능을 API 아이덴티피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API identification software program)으로 분석한 결과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98%의 유사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2의 L.paracasei_HY7014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로 명명하고, 2018년 10월 26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3689BP).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균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균의 형태
엠알에스(MRS) 한천평판배지에서 37℃, 2일간 배양했을 때 균의 특성
①세포의 형태: 간균
②운동성: 없음
③포자형성능: 없음
④그람(Gram) 염색: 양성
2)균락의 형태
엠알에스(MRS) 한천평판배지에서 37℃, 2일간 배양했을 때 균락의 형태
①형상: 원형
②융기: 볼록
③표면: 매끄러움(slime)
3)생리적 성질
①생육온도: 생장가능 생육온도 20~40℃
최적 생장온도 37℃
②생육 pH: 생장가능 생육 pH 4.5~10
최적 pH 5.0~6.0
③산소에 대한 영향: 통성혐기성
4)카탈라제: -
5)가스형성여부: -
6)15℃에서 생육: -
7)45℃에서 생육: +
8)인돌생산: -
9)젖산생산: +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 농축균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순수 배양한 콜로니를 각각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정치배양(batch culture)하였다. 이것을 4,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이용하여 4,000rpm에서 다시 원심분리하여 세척한 뒤 상등액을 제거하고 2.5~5% 멸균탈지유(Skim milk)를 보호제로 사용하여 펠렛을 풀어주었다. 이렇게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농축균의 생균수는 1010CFU/㎖ 이상으로 나왔다. 상기 농축균 제조에 사용하는 보호제는 멸균탈지유 이외에 덱스트린, 유당, 올리고당, 포도당 및 트레할로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농축균은 상기와 같은 액상농축균 형태 외에 동결 건조된 분말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유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산균 배양액은 원유 95.36중량%와 탈지분유(또는 혼합분유) 4.6중량%를 교반하여 15℃에서의 비중은 1.0473~1.0475, 적정산도는 0.200~0.220%, pH는 6.55~6.70, 20℃에서의 브릭스(Brix0)는 16.3~16.5% 정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혼합 후에 이를 UHT 열처리(135℃에서 2초간 살균)하고 적정온도 냉각한 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균과 유당분해효소(Valley laboratory, USA)를 각기 0.02중량%씩 첨가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하여 BCP배지에서의 총 유산균 수가 1.0X109cfu/㎖이상, 적정산도가 0.89~0.91%, pH는 4.55~4.65가 되도록 하여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과즙시럽은 액상과당 13중량%, 백설탕 5중량%, 혼합과즙농축액 56Brix0 10.9중량%, 펙틴 1.0중량%, 후레쉬후르츠 믹스 에센스 0.1중량% 및 정제수 70중량%를 30~35℃에서 교반하여 혼합한 후 UHT 열처리(135℃에서 2초간 살균)한 후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유산균 배양액 69.5중량%와 상기 실시예 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농축균 0.1중량% 및 상기 혼합과즙시럽 30.4중량%를 조합하여 150bar에서 균질한 후 10℃ 이하로 냉각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혼합과즙시럽은 액상과당 13중량%, 백설탕 2.5중량%, 갈색설탕 2.5중량%, 혼합과즙농축액 56Brix0 10.9중량%, 펙틴 1.0중량%, 후레쉬후르츠 믹스 에센스 0.1중량% 및 정제수 70중량%를 30~35℃에서 교반하여 혼합한 후 UHT열처리(135℃에서 2초간 살균)한 후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과즙시럽 30.4중량%와 상기 실시예 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농축균 0.1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 69.5중량%를 조합하여 150bar에서 균질한 후 10℃ 이하로 냉각한 후 이를 유리병, 페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농축균 0.1중량%에 영양보조성분(비타민 B1, B2, B5, B6, E 및 초산에스테르, 니코틴산 아미드) 및 올리고당을 상기의 실시예 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 농축균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고속회전 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멸균 정제수 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직경 1~2mm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된 과립은 40~50℃의 진공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12~14메쉬(mesh)를 통과시켜 균일하게 과립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과립은 적당량씩 압출 성형되어 정제 또는 분말로 되거나 경질캡슐에 충전되어 경질캡슐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내 지방축적 억제 효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4cells/well로 배양 한 뒤, 350mM의 알코올과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1x107CFU/mL 농도로 처리한 후에 PBS로 2회 세척한 후, 10% Formalin을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하였다. 그런 다음, Oil-red-O 염색을 통해 지방구를 염색한 후에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으로서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350mM의 알코올만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또한, 상기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의 간세포 내 지방축적 100%를 기준으로 알코올만을 처리한 음성대조군에서는 지방축적량이 약 40배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을 처리한 시험군(L.paracasei_HY7014)에서는 약 10배 증가한데 불과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가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 30배 정도 간세포내에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내 총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내 총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4cells/well로 배양 한 뒤, 350mM의 알코올과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1x107CFU/mL 농도로 처리한 후에 PBS로 2회 세척한 후 상기 배양 세포를 회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배양 세포를 RIPA buffer로 세포 파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수거한 뒤, V-cholesterol(아산제약)을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으로서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350mM의 알코올만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또한, 상기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의 간세포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 약 39㎎/dL을 기준으로 알코올만을 처리한 음성대조군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약 61㎎/dL으로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을 처리한 시험군(L.paracasei_HY7014)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약 52㎎/dL으로 감소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가 간세포내에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내 중성지방 감소 효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내 중성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4cells/well로 배양 한 뒤, 350mM의 알코올과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1x107CFU/mL 농도로 처리한 후에 PBS로 2회 세척한 후 상기 배양 세포를 회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배양 세포를 RIPA buffer로 세포 파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수거한 뒤, TG-S(아산제약)을 이용하여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으로서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350mM의 알코올만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또한, 상기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의 간세포 내 중성지방 함량 약 14㎎/dL을 기준으로 알코올만을 처리한 음성대조군에서는 중성지방 함량은 약 15㎎/dL으로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을 처리한 시험군(L.paracasei_HY7014)에서는 중성지방 함량은 약 11㎎/dL으로서 무처리군 보다 더 감소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가 간세포내에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의 지방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인 FAS(fatty acid synthase, Applied biosystems, Hs_00188012_m1), SREBP-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 Applied biosystems, Hs_01088691_m1), SREBP-2(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2, Applied biosystems, Hs_01081784_m1) 및 HM GCR(hydroxymethylglutaryl-CoA reductase, Applied biosystems, Hs_00168352_m1)의 발현 억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5cells/well로 배양한 뒤, 350mM의 알코올과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을 1x107CFU/mL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 세포의 총 RNA를 추출한 후 Reverse transcription kit(Qiagen)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Taqman gene expression master-mix(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은 350mM의 알코올만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또한,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의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인 FAS, SREBP-1, SREBP-2 및 HM GCR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 1을 기준으로 상기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인 FAS, SREBP-1, SREBP-2 및 HM GCR 유전자의 발현량이 알코올 만을 처리한 음성대조군 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을 처리한 시험군(L.paracasei_HY7014)에서 모두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HY7014의 세포사멸 관련 효소 카스파제-3 활성 감소 효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의 세포사멸 관련 효소인 카스파제-3(caspase-3) 활성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5cells/well로 배양한 뒤, 350mM의 알코올과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1x107CFU/mL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PBS로 2회 세척 후 배양 세포를 회수 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caspase-3 activity kit(abcam)를 이용하여 카스파제-3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은 350mM의 알코올만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또한, 간세포인 HepG2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의 세포사멸 관련 효소인 카스파제-3의 상대적 활성량 1을 기준으로 상기 세포사멸 관련 효소인 카스파제-3의 상대적 활성량이 알코올 만을 처리한 음성대조군 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를 처리한 시험군(L.paracasei_HY7014)에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는 알코올에 의한 간에서의 지방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간세포의 기능 회복을 유도하고 효율적인 지방간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689BP 20181024

Claims (4)

  1. 삭제
  2.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인 FAS(fatty acid synthase), SREBP-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 SREBP-2(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2) 및 HM GCR(hydroxymethylglutaryl-CoA reductase)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수탁번호: KCTC 13689BP).
  3. 청구항 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HY7014(수탁번호: KCTC 13689BP)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발효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조성물.
KR1020180142820A 2018-11-19 2018-11-19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04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20A KR102043740B1 (ko) 2018-11-19 2018-11-19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20A KR102043740B1 (ko) 2018-11-19 2018-11-19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740B1 true KR102043740B1 (ko) 2019-11-12

Family

ID=6857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820A KR102043740B1 (ko) 2018-11-19 2018-11-19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860A (zh) * 2022-07-22 2022-11-25 宁夏塞尚金河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酒精性肝损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084A (ko) * 2012-09-20 2015-10-21 프로테라 인코포레이티드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및 방법
KR20160098955A (ko) * 2015-02-10 2016-08-19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679045B1 (ko) * 2016-10-14 2016-11-23 (주)메디톡스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873239B1 (ko) 2017-10-13 2018-07-04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084A (ko) * 2012-09-20 2015-10-21 프로테라 인코포레이티드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및 방법
KR20160098955A (ko) * 2015-02-10 2016-08-19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679045B1 (ko) * 2016-10-14 2016-11-23 (주)메디톡스 개체의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873239B1 (ko) 2017-10-13 2018-07-04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860A (zh) * 2022-07-22 2022-11-25 宁夏塞尚金河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酒精性肝损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381860B (zh) * 2022-07-22 2023-11-14 宁夏塞尚金河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酒精性肝损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603B1 (ko) 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용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AU201121892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novel bacterium belonging to the genus Bifidobacterium
Liptáková et al.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ation of cereals and pseudocereals
KR100686558B1 (ko)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 식품
KR101955276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hy7207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US9649347B2 (en) Protective effects and application of a Lactobacillus rhamnosus on the alleviation of chronic alcoholic liver injury
US20140363501A1 (en) The protective effects and application of a Lactobacillus rhamnosus on the alleviation of chronic alcoholic liver injury
TWI241912B (en) Novel Acid-and bile salt-resistant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the ability to lower and assimilate cholesterol
US2024011563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grain-derived lactic acid bacteria for relieving hangover and bowel trouble
WO2010064373A1 (ja) Il-8阻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50009819A1 (en) Novel probiotics and use thereof
KR20170119099A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다이어트 건강기능성 식품
WO2018003899A1 (ja) 腎性貧血改善用組成物
KR101746227B1 (ko) 아디포넥틴의 분비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제제
WO2005092122A1 (ja) ユッカ抽出物、キラヤ抽出物及び乳酸菌からなる組成物及び同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品
KR102043740B1 (ko)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130695B1 (ko)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CN113678918A (zh) 肠道调节用茶发酵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5603036B2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増殖促進剤
KR102536627B1 (ko) 키위 발효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09099139A1 (ja) 肝機能改善剤およびその製造用ツール、ならびにこれらの利用
KR102055053B1 (ko) 알코올 분해능이 강화된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타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알코올 대사활성 함유 치즈
KR101581826B1 (ko) 항당뇨 및 항고지혈증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jb pml-13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78835A (ko) 타이거넛츠와 코코넛밀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내 유산균 생육 촉진시키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612900B (zh) 強化鐵分及生育酚的發酵乳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