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7881A1 -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7881A1
WO2017057881A1 PCT/KR2016/010747 KR2016010747W WO2017057881A1 WO 2017057881 A1 WO2017057881 A1 WO 2017057881A1 KR 2016010747 W KR2016010747 W KR 2016010747W WO 2017057881 A1 WO2017057881 A1 WO 20170578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osome
ginseng
vesicles
composition
ves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7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은정
이용희
신승현
황경환
조은경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US15/760,88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53616B2/en
Priority to JP2018516485A priority patent/JP7023221B2/ja
Priority to EP16852027.8A priority patent/EP3357501B1/en
Priority to CN201680070188.4A priority patent/CN108289921B/zh
Publication of WO20170578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7881A1/ko
Priority to HK18109816.3A priority patent/HK1250344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Definitions

  • compositions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including a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 Extracellular vesicles are membrane structure vesicles ranging in size from about 20 nm in diameter to about 5 ⁇ m in diameter, and are heterogeneous in size and composition, exosomes (about 30-100 nm), exosomes many different species such as ectosomes, microvesicles (about 100-1,000 nm), microparticles and the like.
  • extracellular vesicles are of their origin, diameter, density at sucrose, shape, sedimentation rate, lipid composition, protein markers or secretion mode (i.e. signal (inductive) or spontaneous (constitutive)). ) And the like.
  • Microvesicles for example, are membrane vesicles with irregular shapes of about 100 to 1,000 nm, budding outward from the plasma membrane (derived from the plasma membrane) and having lipids including phosphatidylserine, markers containing integrin, selectin, CD40 ligand It is known.
  • the exosomes are the smallest membrane vesicles having a cup shape of about 30 to 100 nm ( ⁇ 200 nm), which are germinated (originated from the endosomes) inside the late endosome, and are composed of CD63, CD9, tetraspanine, TSG101, It is known to have a marker comprising ESCRT, a lipid comprising cholesterol, sphingomyelin, ceramide, phosphatidylserine.
  • Extracellular vesicles reflect the state of the secreting cells of origin (donor cells), and exhibit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depending on which cells are secrete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to-cell interactions by transferring genetic material and proteins between cells. .
  • exosome-like nanoparticles derived from plant cells have been reported to be similar in exosomes derived from mammalian cells to nanosized vesicle structures and nanoparticle compositions (An , Q, Huckelhoven, R, Kogel, KH and van Bel, AJ (2006) .Multivesicular bodies participate in a cell wall-associated defense response in barley leaves attacked by the pathogenic powdery mildew fungus.Cell Microbiol 8: 1009-1019) ( Regente, M, Pinedo, M, Elizalde, M and de la Canal, L (2012) .Apoplastic exosomelike vesicles: a new way of protein secretion in plants? Plant Signal Behav 7: 544-546.
  • exosomes have been used mainly as a biomarker, and the technology of using exosomes for a specific use by using the efficacy of the exosomes itself is still insufficient development.
  • Prior art regarding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is describ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30490.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osome-like vesicle which is a complex bioactive substance derived from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osome 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osome-like vesicles may be isolated from the ginseng root.
  • the exosome-like vesicles may have a size of 20 to 500 nm in diameter.
  • the exosome-like vesicle may be to settle in the ultracentrifugation of 100,000 ⁇ g or more of ginseng extracellular fluid.
  • the exosome-like vesicles may have a floating density of 1.00 to 1.20 g / ml in iodixanol.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to induce hair growth by activating dermal papilla cells (DPCs).
  • DPCs dermal papilla cells
  •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is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s of (1) juice the ginseng to obtain a juice; (2) centrifuging the juice to remove residue and to obtain a supernatant; And (3) ultracentrifuging the supernatant to obtain exosome-like vesicles.
  • the centrifugation in step (2) can be carried out for 10 to 30 minutes at 500 to 3,000 ⁇ g.
  • the ultracentrifugation in step (3) may be ultracentrifugation using a sucrose cushion density gradient and an iodixanol density gradient.
  • ultracentrifugation in step (3) may be carried out at 100,000 to 200,000 ⁇ g for 2 to 6 hours.
  • the exosome-like vesicle in step (3) comprises the step of separating the fraction having a suspended density of 1.00 to 1.20 g / ml in iodixanol after ultracentrifugation of the supernatant It can be obtained by.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osome-like vesicle which is a complex bioactive substance derived from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hair falling off from the scalp or the hair is thin or thin.
  • the composition has the effect of embodying a hair growth function to generate new hair, or a function of promoting the hair growth as well as a function of promoting the delay from the growth phase of the hair cycle to the degenerative phase and allowing the existing hair to grow healthy.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have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of making the composition.
  • Figure 1 illustrates a step-by-step process of separating the exosome-like vesicles from ginseng root ju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of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according to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when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in a low concentration range (0.1 ⁇ 20 ⁇ g / ml) in hair follicle papilla cells in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4 shows the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results when the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in a high concentration range (10 ⁇ 100 ⁇ g / ml) in the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in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hair shaft elongation when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are treated to hair follicle organ culture in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hair shaft elongation when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are treated to hair follicle organ culture in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including an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including an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which is not a ginseng-derived extract, specifically, an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extracellular flui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air cycle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stages, known as the growing phase, the catenary phase, and the resting phase.
  • the growth phase hair growth occurs as hair follicles grow deep into the skin with rapid proliferation of cells.
  • the next phenomenon is the degenerative phase, which is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cell disruption is noticeable, during which hair follicles gradually degenerate and hair growth stops.
  • the resting phase the degenerative hair follicles contain germs with densely cold dermal papilla cells. Initiation of new growth phase phenomena at rest is induced by rapid cell proliferation in the embryo, expansion of the dermal papilla and synthesis of basement membrane elements.
  • "hair growth" occurs in the growth phase, and is promoted by induction from the resting phase to the growth phase and the delay from the growth phase to the regression phase.
  • hair los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hair falls from the scalp or a phenomenon in which the hair is coarse or thin
  • hair loss prevention means preventing and inhibiting hair loss as described above, and "promoting hair growth.”
  • the ginseng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eds, roots, stems, leaves and fruits of the Panax species plant, and specific ginseng plants include Panax ginseng ), Panax quinquefolium , Panax notoginseng , Panax japonicum , Panax trifolium , Panax pseudoginseng or Vietnamese ginseng ( Panax vietnamensis ), etc.
  • specific ginseng plants include Panax ginseng ), Panax quinquefolium , Panax notoginseng , Panax japonicum , Panax trifolium , Panax pseudoginseng or Vietnamese ginseng ( Panax vietnamensis ), etc.
  • red ginseng, ginseng, white ginseng, cultivated ginseng, camphor ginseng or mountain goat ginseng, wild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culture roo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breed or type.
  • exosome-like vesicle refers to a nano-sized extracellular vesicle, ie, extracellular vesicle, secreted by cells and released into the extracellular space. Cleats are the broadest concept that include exosomes and include both exosomes and nanoscale vesicle structures and compositions with similar vesicles.
  • the exosome-like vesicles are distinguish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by membrane structure vesicles, and have cell membrane lipids, membrane proteins, genetic material, and cytoplasmic components of the cell, thereby indirectly determining the nature and state of the cell.
  • the exosome-like vesicles bind to other cells and tissues to deliver membrane components, mRNAs, miRNAs, proteins (growth hormones, cytokines, etc.), and cell-cells by delivering these delivery substances to recipient cells. It acts as an extracellular carrier that mediates liver communication.
  •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means a nano-sized exosome-like vesicle secreted from ginseng cells.
  • the exosome-like vesicles can be isolated from the extracellular fluid of ginseng, and the isolated exosome-like vesicles can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tissues or cells that are present in whole or in part.
  • the exosome-like vesicle may be isolated from the ginseng root.
  • the exosome-like vesicle may be an extracellular vesicle having a diameter of 20 to 500 nm.
  • the exosome-like vesicle is at least 20 nm, at least 30 nm, at least 40 nm, at least 50 nm, at least 60 nm, at least 70 nm, at least 80 nm, at least 90 nm or at least 100 nm, Or an extracellular vesicle having a diameter of 450 nm or less, 400 nm or less, 350 nm or less, 300 nm or less, 250 nm or less, 200 nm or less, 150 nm or less, or 100 nm or less.
  • the exosome-like vesicle may be one that settles in the ultracentrifugation of 100,000 ⁇ g or more, specifically 100,000 to 200,000 ⁇ g, or 100,000 ⁇ g of ginseng extracellular fluid.
  • the exosome-like vesicle may have a floating density of 1.00 to 1.20 g / ml, or 1.03 to 1.20 g / ml, or 1.06 to 1.20 g / ml in iodixanol.
  • the suspended density refers to the density measured by the density gradient centrifugal method.
  • the exosome-like vesicles may be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with, for example, a membrane component to efficiently perform a desired function in a target cell.
  • a membrane component of an exosome-like vesicle is modified by a chemical method using a thiol group (-SH) or an amine group (-NH 2 ), or a target-inducing substance or a cell membrane fusion substance to an exosome-like vesicle.
  • a membrane component of an exosome-like vesicle is modified by a chemical method using a thiol group (-SH) or an amine group (-NH 2 ), or a target-inducing substance or a cell membrane fusion substance to an exosome-like vesicle.
  • -SH thiol group
  • -NH 2 amine group
  • the exosome-like vesicles are ultracentrifugation, differential centrifugation, equilibrium density centrifugation, density gradient, filtration , Dialysis and free-flow electrophoresis can be separated using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o the separation method of exosome-like vesicles.
  • Density gradient is the most used method for distinguish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densities, and exosome-like ves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separated through density gradients in which the density is divided. Specific examples of this method may be performed using a density gradient separation material such as ficoll, glycerol, sucrose, cesium chloride, and iodixanol. It is not limited. In one aspect, density gradients may be used with ultracentrifugation and the like. In another aspect, gel filtration or ultrafiltration may be used to screen for exosome-like vesicles. In another aspect, dialysis may be used instead of filtration to remove small molecules. In another aspect, free flow electrophoresis can be used.
  • a density gradient separation material such as ficoll, glycerol, sucrose, cesium chloride, and iodixanol. It is not limited.
  • density gradients may be used with ultracentrifugation and the like.
  • gel filtration or ultrafiltration may be used
  • the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is (1) obtaining a juice containing extracellular fluid of ginseng from ginseng; (2) centrifuging the juice to remove residue and to obtain a supernatant; And (3) ultracentrifuging the supernatant to obtain an exosome-like vesicle.
  • the juice in step (1) is a liquid squeezed from ginseng, it can be obtained by using a suitable method such as mechanical decomposition, chemical treatment.
  • the juice may be obtained by juice ginseng, the juice process may be carried ou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as appropriate.
  • the centrifugation in step (2) may be performed for 10 to 30 minutes at 500 to 3,000 ⁇ g. At this time, the centrifugation may be carried out stepwise by changing the speed or time.
  • ultracentrifugation in step (3) may be ultracentrifugation using a sucrose cushion density gradient and an iodixanol density gradient.
  • ultracentrifugation in step (3) may be performed at 100,000 to 200,000 ⁇ g for 2 to 6 hours.
  • the ultracentrifugation may be performed stepwise by changing the speed or time.
  • the ultracentrifugation in step (3) is ultracentrifugation using a sucrose cushion density gradient and an iodixanol density gradient for 2 to 6 hours at 100,000 to 200,000 ⁇ g. This can be done through a series of ultracentrifugation processes involving centrifugation.
  • the exosome-like vesicles are separated from fractions having a floating density of 1.00 to 1.20 g / ml obtained by ultracentrifugation of the supernatant and fractionation. It can be obtained including.
  • the separated frac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dilution in the buffer solution and ultracentrifugation, specifically, ultracentrifugation for 100,000 hours at 100,000 ⁇ g pelletized exosome having a diameter of 20 to 500 nm Similar vesicles can be separated.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n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in an amount effective to prevent hair loss or promote hair growth.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in a subject.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use for preparing an exosome-like vesicle containing composition derived from ginseng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in a subject.
  • the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may be applied or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 the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may be to be applied or administered to the skin or scalp of the subject.
  • the composition may be a lyophilized formula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sealed packaging or ready-to-use lyophilized formulation in a packaging.
  • the present disclosure also inclu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osome-like vesicle derived from ginseng as an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a lyophilized formulation; It provides a kit for preventing hair loss or kit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d sterile water or purified water.
  • the kit may be a kit contained in a sealed packaging or ready-to-use package.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in addition to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pharmaceutical supplement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hydrating or emulsifying accelerators, salts and / or buffers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It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oral dosage forms include, for example, tablets, pills, hard and soft capsule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fiers, syrups, powders, powders, fine granules, granules, pellets, and the like, and these formulations include surfactants in addition to active ingredients. ,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glidants (eg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its magnesium or calcium salts and polyethylene glycols). .
  •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 glidants eg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its magnesium or calcium salts and polyethylene glycols.
  • Tablets may also contain binders such a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polyvinylpyrrolidine, optionally starch, agar,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Pharmaceutical additives such as disintegrants, absorbents, colorants, flavors, and sweeteners.
  • binders such a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polyvinylpyrrolidine, optionally starch, agar,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 Pharmaceutical additives such as disintegrants, absorbents, colorants, flavors, and sweeteners.
  • the tablets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ixing, granulating or coating methods.
  • parenteral dosage form may be a transdermal dosage form, for example, an injection, drop, ointment, lotion, gel, cream, spray, suspension, emulsion, suppository, patch, or the lik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aily dosage of the drug depends on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the progress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the onset, age, health status, complications, etc.
  • the composition in one aspect 50 ⁇ g / kg to 50 mg / kg in another aspect may be administered by dividing 1 to 3 times a day,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included herein as a generic term that may include anything applied outside the skin.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unctional additives and components included in general cosmetic compositions.
  • the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a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 oils and fat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V absorbers, preservatives, fung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lavors, blood circulation And accelerators, cooling agents, limiting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ul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desired.
  •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izing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pack, soap, cleansing It may be prepared in any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 animal carriers vegetable fiber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ante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etc.
  • carrier components can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lactose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vating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in a liquid or solid dosage form,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dietary supplements,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or beverages. Can be.
  • the food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synergistic effects may occur when applied simultaneously with other raw materials.
  • liquid component that can be contained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disclosed herein, and may include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isaccharides such as monosaccharides, glucose and fructose, poly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dextrins and cyclodextrins,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tc.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for example,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natural carbohydrates may generally be about 1-20 g, in one aspect about 5-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s disclosed herein.
  • the food composition may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and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the like.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In another aspect it may include a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and vegetable drinks.
  • th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ratio of the additive may vary, bu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0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 Step 1 First, four-year-old ginseng root was prepared and juiced to prepare a juice containing the extracellular fluid of the ginseng root.
  • Step 2 The juice was centrifuged at 500C for 10 minutes at 4 ⁇ ⁇ , and the supernatant was obtained. The supernatant was further centrifuged at 3,000Xg for 20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 Step 3 0.5 ml of 2.0 M sucrose, 1 ml of 0.8 M sucrose, and 32 ml of debris were removed in a 35 ml ultracentrifuge tube, and then the supernatant of 4 ml, 100,000 ⁇ The ultra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t g for 2 hours. After the ultracentrifugation, the ginseng root exosome-like vesicle was placed between the 2.0 M sucrose layer and the 0.8 M sucrose layer by its density. Thus, the solution was removed from the top of the tube to separate the layer containing ginseng root exosome-like vesicles.
  • Step 4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 was performed on the layer containing the isolated ginseng root exosome-like vesicles. Specifically, 0.42 ml of the layer containing the isolated ginseng root exosome-like vesicles and 2.08 ml of 60% iodixanol were mixed to make 2.5 ml of 50% iodixanol and put into a 12 ml ultra-high centrifuge tube. 2.5 ml of% iodixanol, 2.5 ml of 20% iodixanol, and 2.5 ml of 150 mM NaCl / 20 mM HEPES were stacked in succession and ultracentrifuged at 4 ° C.
  • fraction 3 (1.08 g / ml) corresponding to the exosome-like vesicle density (see FIG. 1).
  • Step 5 The fraction 3 thus obtained was diluted in 60 ml of HBS (HEPES-buffered saline), immersed in a 70 ml ultracentrifuge tube, and pelletized by ultracentrifugation at 4 ° C. and 100,000 ⁇ g for 2 hours.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were obtained.
  • HBS HBS-buffered saline
  • the size and shape of the exosome-like vesicles derived from ginseng obtained in Example 1 were analy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 the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are 50 to 100 nm in diameter and are generally spherical.
  • Exosome-like vesicles discharged from the ginseng root isolated in Example 1 were tre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primary 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 to effect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of exosome-like vesicles derived from ginseng. Confirmed.
  • hDPC primary human dermal papilla cells
  •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DPCs (passage 6, 7)) in 96-well plate for 2 hours at 2 ⁇ 10 4 cells / well for 24 hours (5% CO 2 , 37 °C), ginseng-derived exo-like Vesicle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0.1-100 ⁇ g / ml). Subsequently, after 48 hours of incubation and replacing the culture medium, the proliferative effect was evaluated by MTT assay (100 ⁇ g / well, 570 nm absorbance measurement).
  • Figure 3 shows the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results when the exosome-like vesicles treated in a low concentration range (0.1 ⁇ 20 ⁇ g / ml)
  • Figure 4 shows the exosome-like vesicles in a high concentration range (10 ⁇ 100 ⁇ g / ml)
  • CTL negative control
  • hair follicle organs were separated from the head and scalp tissues of 43- and 63-year-old men, and William's E medium (L-glutamine (2 mM), insulin (10 ⁇ g / ml), hydrocortisone (10 ng / ml), antibiotics) (1%), containing an antifungal agent (1%).
  • the control group was used as a control group, and the MNX (minoxidil) 50 ⁇ M treatment group and the ginseng main component 20 ppm treatment group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exosome-like vesicles discharged from the ginseng root isolated in Example 1 at 10 ⁇ g / ml. After 3 days and 7 days of treatment, length measurement and photographing were performed, respectively.
  •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50mg, galactooligosaccharide 200mg, lactose 60mg and malt sugar 140mg were mixed and granulated using a fluidized bed dryer, and then 6mg of sugar ester was added and tableted with a tableting machine. Prepared.
  • a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 50 mg, 250 g of anhydrous glucose and 550 mg of starch of Example 1 were mixed, molded into granules using a fluidized bed granulator, and then filled into fabrics to prepare granules.
  •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of Example 1 50mg, glucose 10g, citric acid 0.6g, and 25g of liquid oligosaccharides were mixed and 300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o each bottle and 200ml was filled. After filling the bottle sterilized for 4-5 seconds at 130 °C to prepare a beverage drinks.
  • the ointment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 below.
  •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of Example 1 2.00 Hydroxyethylene cellulose (2% aqueous solution) 12.00 Xanthan gum (2% aqueous solution) 2.00 1,3-butylene glycol 6.00 Dark glycerin 4.00 Sodium hyaluronate (1% aqueous solution) 5.00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um 100.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20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가진 것일 수 있고, 인삼 뿌리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s, DPCs)를 활성화하여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본 명세서에는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대부분의 동물 세포는 다양한 크기와 성분을 갖는 세포 내 기원의 세포외 소낭(extracellular vesicle)을 분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포외 소낭은 혈액, 소변, 타액 및 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모든 생물학적 유체(biological fluids)에서 발견된다(Loyer X, Vion AC, Tedgui A, Boulanger CM. Microvesicles as cell-cell messengers in cardiovascular diseases. Circ Res 2014;114:345-53)(Ohno S, Ishikawa A, Kuroda M. Roles of exosomes and microvesicles in disease pathogenesis. Adv Drug Deliv Rev 2013;65:398-401).
세포외 소낭은 작게는 직경 약 20 nm부터 크게는 직경 약 5 ㎛의 크기를 갖는 막 구조 소낭체로서, 그 크기와 구성에서 이질성이 있고, 엑소좀(exosome, 약 30~100 nm), 엑토좀(ectosome), 마이크로소낭(microvesicle, 약 100~1,000 nm), 마이크로입자(microparticle) 등의 다수의 상이한 종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외 소낭의 상이한 유형은 이의 기원, 직경, 수크로즈에서의 밀도, 형상, 침강 속도, 지질 조성물, 단백질 마커 또는 분비 방식(즉, 신호(유도성)에 의한 것인지 자발적(구성적)인 것인지) 등에 기초하여 구별된다. 예컨대, 마이크로소낭은 약 100 내지 1,000 nm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막 소낭으로서 원형질막 바깥쪽을 향하여 출아(원형질막에서 기원)되며, 인테그린, 셀렉틴, CD40 리간드를 포함하는 마커, 포스파티딜세린을 포함하는 지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엑소좀은 약 30 내지 100 nm(<200 nm)의 컵 형상을 갖는 가장 작은 막 소낭으로서 후기 엔도좀의 안쪽에서 출아(엔도좀에서 기원)되며, CD63, CD9의 테트라스파닌, TSG101, ESCRT을 포함하는 마커, 콜레스테롤,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 포스파티딜세린을 포함하는 지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외 소낭은 분비하는 기원 세포(공여 세포)의 상태를 반영하며, 어떤 세포에서 분비되었는가에 따라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세포들 사이에 유전 물질과 단백질을 옮기면서 세포 간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물에서도 원형질막과 다포체의 융합은 세포외 공간으로 작은 소낭들의 방출을 야기하며, 다양한 식물 종의 다양한 식물 세포에서 다포체 내부 소낭이 세포외 공간에서 관찰된다(Marchant R, Peat A, Banbury GH. The ultrastructural basis of hyphal growth. New Phytol. 1967;66:623-629)(Halperin W, Jensen WA. Ultrastructural changes during growth and embryogenesis in carrot cell cultures. J Ultrastruct Res. 1967;18:428-443)(Marchant R, Robards AW. Membrane systems associated with the plasmalemma of plant cells. Ann Bot. 1968;32:457-471). 또한, 최근 연구에서 식물 세포에서 유래된 엑소좀-유사 나노 입자(exosome-like nanoparticle)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유래된 엑소좀과 나노 크기의 소낭 구조 및 나노 입자 조성물이 유사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An, Q, Huckelhoven, R, Kogel, KH and van Bel, AJ (2006). Multivesicular bodies participate in a cell wall-associated defence response in barley leaves attacked by the pathogenic powdery mildew fungus. Cell Microbiol 8: 1009-1019)(Regente, M, Pinedo, M, Elizalde, M and de la Canal, L (2012). Apoplastic exosomelike vesicles: a new way of protein secretion in plants? Plant Signal Behav 7: 544-546).
종래 엑소좀은 주로 바이오마커로 사용되어 왔고, 엑소좀 자체의 효능을 이용하여 엑소좀을 특정 용도로 사용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식물 세포에서 유래된 엑소좀 유사의 막 구조 소낭체의 특정 용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인삼의 경우 인삼 유래 추출물이나 단일 성분의 육모 효능은 보고된 바 있으나 인삼이 내보내는 복합 생리 활성 물질인 엑소좀 유사의 막 구조 소낭체의 육모 효능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49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인삼에서 유래한 복합 생리 활성 물질인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exosome like vesic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뿌리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직경 20 내지 500 nm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세포외액의 100,000 ×g 이상의 초원심분리에서 침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이오딕사놀(iodixanol)에서의 부유 밀도가 1.00 내지 1.20 g/ml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s, DPCs)를 활성화하여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인삼을 착즙하여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잔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상층액을 초원심분리하여 엑소좀 유사 베지클(exosome-like vesicle)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2)단계에서 원심분리는 500 내지 3,000 ×g에서 10 내지 30 분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수크로즈 쿠션 밀도 구배 및 이오딕사놀(iodixanol) 밀도 구배를 이용하여 초원심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100,000 내지 200,000 ×g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3)단계에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상층액을 초원심분리한 후 이오딕사놀(iodixanol)에서 1.00 내지 1.20 g/ml의 부유 밀도를 갖는 프랙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에서 유래한 복합 생리 활성 물질인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두피에서 모발이 탈락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발모 기능, 또는 상기 발모를 촉진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모발 주기의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을 촉진하고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인삼 뿌리 착즙액으로부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분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 따른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투과전자현미경 촬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서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모낭 모유두세포에 저농도 범위(0.1~2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의 모낭 세포 증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서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모낭 모유두세포에 고농도 범위(10~1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의 모낭 세포 증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서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모낭 기관배양(hair follicle organ culture)에 처리하였을 때의 모발 성장 길이 증가(hair shaft elongation)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서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모낭 기관배양(hair follicle organ culture)에 처리하였을 때의 모발 성장 길이 증가(hair shaft elongation)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exosome-like vesic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인삼 유래 추출물이 아닌 인삼에서 유래한 엑소좀 유사 베지클, 구체적으로 인삼 세포외액에서 유래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모발 주기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 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에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성장하면서 모발 형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은 퇴행기인데 이것은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점차 퇴행하고 육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의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일반적으로 "육모"는 성장기에서 이루어지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유도 및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에 의하여 촉진된다.
본 명세서에서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현상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발모 기능,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을 촉진하고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속(Panax species) 식물의 종자, 뿌리, 줄기, 잎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인삼속 식물로는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삼엽삼(Panax trifolium), 히말라야삼(Panax pseudoginseng) 또는 베트남삼(Panax vietnamensis) 등이 있고, 가공여부와 생육환경에 따른 홍삼, 수삼, 백삼, 재배삼, 장뇌삼 또는 산양산삼,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산삼 등 품종이나 종류에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엑소좀 유사 베지클(exosome-like vesicle)"은 세포에서 분비되어 세포외 공간으로 방출된 나노 크기의 세포외 소낭, 즉 세포밖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지클은 엑소좀을 포함하며 엑소좀과 나노 크기의 베지클 구조 및 그 조성물이 유사한 베지클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 개념이다.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막 구조 소낭체로 내부와 외부가 구분되며, 세포의 세포막 지질과 막 단백질, 유전 물질 및 세포질 성분을 가지고 있어 세포의 성질과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다른 세포 및 조직에 결합하여 막 구성요소, mRNAs, miRNAs, 단백질(성장 호르몬, 사이토카인 등) 등을 전달해 주고, 이들 전달 물질을 수용 세포에 전달해 줌으로써 세포-세포 간 소통을 매개하는 세포외 전달체로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세포에서 분비된 나노 크기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의미한다. 상기 엑소좀-유사 베지클은 인삼의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본래 존재하는 조직 또는 세포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뿌리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20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갖는 세포밖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20 nm 이상, 30 nm 이상, 40 nm 이상, 50 nm 이상, 60 nm 이상, 70 nm 이상, 80 nm 이상, 90 nm 이상 또는 100 nm 이상이면서, 500 nm 이하, 450 nm 이하, 400 nm 이하, 350 nm 이하, 300 nm 이하, 250 nm 이하, 200 nm 이하, 150 nm 이하 또는 100 n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세포밖 베지클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세포외액의 100,000 ×g 이상, 구체적으로 100,000 내지 200,000 ×g, 또는 100,000 ×g의 초원심분리에서 침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이오딕사놀(iodixanol)에서의 부유 밀도가 1.00 내지 1.20 g/ml, 또는 1.03 내지 1.20 g/ml, 또는 1.06 내지 1.20 g/ml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유 밀도는 밀도구배원심법에 의해 측정된 밀도를 말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예컨대, 표적 세포에서 원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막 성분이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막 성분이 티올기(-SH) 또는 아민기(-NH2)를 이용하여 화학적인 방법으로 변형되거나, 엑소좀 유사 베지클에 표적유도 물질, 세포막융합 물질,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막 성분이 화학적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초원심분리(ultracentrifugation), 분별 원심분리(Differential Centrifugation), 등밀도 원심분리(Equilibrium Density Centrifugation), 밀도 구배(density gradient), 여과(filtration), 투석(dialysis) 및 자유 유동 전기이동(free-flow electrophores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분리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밀도 구배는 밀도가 다른 물질을 구분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 따른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밀도가 구분되어 밀도 구배를 통해 분리할 수 있다. 이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콜(ficoll), 글리세롤(glycerol), 수크로즈(sucrose), 염화세슘(cesium chloride), 이오딕사놀(iodixanol) 등의 밀도 기울기 분리 재료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밀도 구배는 초원심분리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선별하기 위해 겔 여과(gel filtration) 또는 한외여과(ultrafiltr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크기가 작은 분자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 대신 투석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자유 유동 전기이동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1) 인삼으로부터 인삼의 세포외액을 포함하는 액즙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액즙을 원심분리하여 잔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상층액을 초원심분리하여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액즙은 인삼에서 짜낸 액체로서, 기계적 분해, 화학 물질 처리 등의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액즙은 인삼을 착즙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착즙 공정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에서 원심분리는 500 내지 3,000 ×g에서 10 내지 30 분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심분리는 속도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수크로즈 쿠션 밀도 구배 및 이오딕사놀(iodixanol) 밀도 구배를 이용하여 초원심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100,000 내지 200,000 ×g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원심분리는 속도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100,000 내지 200,000 ×g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수크로즈 쿠션 밀도 구배를 이용한 초원심분리 및 이오딕사놀(iodixanol) 밀도 구배를 이용한 초원심분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초원심분리 공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상층액을 초원심분리한 후 분별(fractionation)하여 얻은 1.00 내지 1.20 g/ml의 부유 밀도를 갖는 프랙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된 프랙션은 완충용액에 희석하고 초원심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000 ×g에서 2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직경 20 내지 500 nm를 갖는 펠릿화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에 유효한 양의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방법 또는 육모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대상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대상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대상에게 적용 또는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대상의 피부 또는 두피에 적용 또는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건조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ready-to-use) 밀봉된 포장재 또는 포장용기에 담긴 동결건조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또한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동결건조된 제형을 갖는 조성물; 및 멸균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키트 또는 육모 촉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ready-to-use) 밀봉된 포장재 또는 포장용기에 담긴 키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 ㎍/kg 내지 200 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 ㎍/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일 측면에서 약 5 내지 12 g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분리
(단계 1) 먼저, 4년근 인삼 뿌리를 준비하고 이를 착즙하여 인삼 뿌리의 세포외액을 포함하는 착즙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 상기 착즙액을 4 ℃, 500 ×g에서 10 분간 원심분리를 하고 상층액을 얻어 4 ℃, 3,000 ×g에서 20 분간 다시 원심분리를 하고 상층액을 얻었다.
(단계 3) 35 ml 용량의 초원심분리 튜브에 0.5 ml의 2.0 M 수크로즈와 1 ml의 0.8 M 수크로즈, 그리고 32 ml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상층액을 순서대로 넣고, 4 ℃, 100,000 ×g에서 2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였다. 상기 초원심분리 후, 인삼 뿌리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그것의 밀도에 의해 2.0 M 수크로즈 층과 0.8 M 수크로즈 층 사이에 위치하였다. 이에, 튜브의 윗쪽부터 용액을 제거하여 인삼 뿌리 엑소좀 유사 베지클이 포함된 층을 분리하였다.
(단계 4) 상기 분리된 인삼 뿌리 엑소좀 유사 베지클이 포함된 층을 대상으로 밀도 구배 초원심분리(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된 인삼 뿌리 엑소좀 유사 베지클이 포함된 층 0.42 ml과 60% iodixanol 2.08 ml을 섞어 최종적으로 50% iodixanol 2.5 ml을 만들고 12 ml 용량의 초고속원심분리용 튜브에 넣은 후, 35% iodixanol 2.5 ml, 20% iodixanol 2.5 ml, 150 mM NaCl/20 mM HEPES 2.5 ml을 차례로 쌓고 4 ℃, 200,000 ×g에서 4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였다. 이후, 튜브 상단에서부터 1 ml 씩 fraction을 얻고 밀도를 측정하여 엑소좀 유사 베지클 밀도에 해당하는 fraction 3(1.08 g/ml)을 수득하였다(도 1 참조).
(단계 5) 상기 수득한 fraction 3을 HBS(HEPES-buffered saline) 60 ml에 희석하고 70 ml 용량의 초원심분리용 튜브에 담은 후 4 ℃, 100,000 ×g에서 2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펠릿화된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그 크기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도 2는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투과전자현미경 촬영 결과로서,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직경이 50 내지 100 nm이고 대체로 구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모낭 세포 증식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인삼 뿌리로부터 배출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모낭 모유두세포(primary human dermal papilla cell, hDPC)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모낭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낭 모유두세포(hDPCs(passage 6, 7))를 96-well plate에서 2×104 cells/well 씩 24시간 동안 배양(5% CO2, 37℃)한 후,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농도별(0.1~100 μg/ml)로 처리하였다. 이후,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 배지를 교체한 후 MTT assay(100 μg/well, 570 nm 흡광도 측정)를 통해 증식 효과를 평가하였다.
도 3은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저농도 범위(0.1~2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모낭 세포 증식 결과를 나타내며, 도 4는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고농도 범위(10~1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모낭 세포 증식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및 4에서 세로축은 모낭 세포 증식 결과(음성 대조군(control, CTL)에 대한 %)를 나타내며, 5% FBS 양성 대조군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낭 모유두세포에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처리 시 모낭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모발 성장 길이 증가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인삼 뿌리로부터 배출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모낭 기관배양(hair follicle organ culture)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의 모발 성장 길이 증가(hair shaft elongation)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43세, 63세 남성의 후두부 두피 조직으로부터 모낭 기관을 하나씩 분리하여 William's E 배지(L-글루타민(2 mM), 인슐린(10 ㎍/ml), 히드로코르티손(10 ng/ml), 항생제(1%), 항진균제(1%) 함유)에 배양하였다. 성장이 일어난 모낭 조직에 대해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control)으로 하고, MNX(minoxidil) 50 μM 처리군과 인삼주성분 20 ppm 처리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인삼 뿌리로부터 배출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10 μg/ml로 처리하였다. 처리 3일 및 7일 후 각각 길이 측정 및 사진촬영을 진행하였다.
도 5 및 6은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1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모발 길이 성장 결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엑소좀 유사 베지클 10 μg/ml 처리 시 대조군 대비 모발 길이 성장을 나타내어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모발 성장 길이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캅셀제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50mg, L-카르니틴 80~14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 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50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과립제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드링크제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연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2.00
글리세린 8.00
부틸렌글리콜 4.00
유동파라핀 15.00
베타글루칸 7.00
카보머 0.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스쿠알란 1.0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0
세테아릴 알코올 1.00
밀납 4.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6] 미용액형 제제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용액형 제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수용액) 12.00
크산탄검(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7] 샴푸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2.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0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30
폴리쿼터늄-10 0.20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8] 린스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린스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유래 엑소좀 유사 베지클 2.00
세틸알콜 2.00
스테아릴알콜 2.50
베헤닐알콜 0.50
실리콘에멀젼 0.40
사이클로메티콘 1.00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0.1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exosome like vesic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뿌리에서 분리된 것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20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인삼 세포외액의 100,000 ×g 이상의 초원심분리에서 침강하는 것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이오딕사놀(iodixanol)에서의 부유 밀도가 1.00 내지 1.20 g/ml인 것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s, DPCs)를 활성화하여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인삼을 착즙하여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잔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상층액을 초원심분리하여 엑소좀 유사 베지클(exosome-like vesicle)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원심분리는 500 내지 3,000 ×g에서 10 내지 30 분간 실시하는 것인,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수크로즈 쿠션 밀도 구배 및 이오딕사놀(iodixanol) 밀도 구배를 이용하여 초원심분리하는 것인,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100,000 내지 200,000 ×g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인,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엑소좀 유사 베지클은 상층액을 초원심분리한 후 이오딕사놀(iodixanol)에서 1.00 내지 1.20 g/ml의 부유 밀도를 갖는 프랙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하는 것인, 방법.
PCT/KR2016/010747 2015-09-30 2016-09-26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0578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60,882 US10653616B2 (en) 2015-09-30 2016-09-26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JP2018516485A JP7023221B2 (ja) 2015-09-30 2016-09-26 高麗人参由来のエクソソーム様ベジクルを含む脱毛防止又は育毛促進用組成物
EP16852027.8A EP3357501B1 (en) 2015-09-30 2016-09-26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ginseng-derived exosome-like vesicles
CN201680070188.4A CN108289921B (zh) 2015-09-30 2016-09-26 用于预防脱发或促进毛发生长的、含有人参衍生的外泌体样囊泡的组合物
HK18109816.3A HK1250344A1 (zh) 2015-09-30 2018-07-30 用於預防脫髮或促進毛髮生長的、含有人參衍生的外泌體樣囊泡的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82A KR102475127B1 (ko) 2015-09-30 2015-09-30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5-0137682 201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81A1 true WO2017057881A1 (ko) 2017-04-06

Family

ID=5842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747 WO2017057881A1 (ko) 2015-09-30 2016-09-26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53616B2 (ko)
EP (1) EP3357501B1 (ko)
JP (1) JP7023221B2 (ko)
KR (1) KR102475127B1 (ko)
CN (1) CN108289921B (ko)
HK (1) HK1250344A1 (ko)
WO (1) WO20170578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0449A (zh) * 2020-12-30 2021-04-09 广西壮族自治区水牛研究所 对水牛出生时间进行判断的血液外泌体标志物及其应用
CN114040965A (zh) * 2019-07-02 2022-02-11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埃丽卡校区 用于大量产生植物外排体的方法
EP4025232A4 (en) * 2019-09-02 2024-02-07 Univ Yeditepe USE OF PLANT EXOSOMES TO INCREASE THE VIABILITY AND HAIR GROWTH ABILITY OF SKIN CE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21A1 (ko) * 2017-09-28 2019-04-04 ㈜프로스테믹스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IT201900003639A1 (it) * 2019-03-13 2020-09-13 Evobiotech S R L Composizioni di vescicole extracellulari (EV) derivate da piante e loro usi
CN110279726A (zh) * 2019-05-27 2019-09-27 嘉兴市爵拓科技有限公司 含有虎耳草科肾萼金腰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CN110227066A (zh) * 2019-07-03 2019-09-13 巫贵成 疾病治疗、预防与保健的外泌体、药物载体及提取方法
KR102401083B1 (ko) 2020-05-15 2022-05-23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403851B1 (ko) * 2020-06-05 2022-06-02 주식회사 셀파크글로벌 모유두전구세포로부터 분리된 엑소좀 및 이의 용도
CN113846046A (zh) * 2021-10-22 2021-12-28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石斛来源外泌体样囊泡及其制备和在改善脱发症中的应用
KR102510870B1 (ko) * 2022-12-14 2023-03-17 유스킨컴퍼니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4646A1 (en) * 2006-12-28 2010-04-29 Ji Hwal Kim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EP2255782A1 (en) * 2009-05-25 2010-12-01 Keune Haircosmetics Manufacturing B.V.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and method of preparation
CN103054763A (zh) * 2011-10-21 2013-04-24 南通市通州区五接豆豆编织袋厂 一种防止脱发的洗发水
CN103479682A (zh) * 2012-06-14 2014-01-01 苏州恒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来源活性成分-纳米级膜性囊泡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92B1 (ko) * 2004-07-27 2008-02-11 이병수 한약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KR20070005224A (ko) * 2005-07-05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공정챔버
KR100787640B1 (ko) * 2007-02-08 2007-12-21 이태희 천연 발모 촉진제 조성물
EP3563858A1 (en) * 2010-10-18 2019-11-0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Use of exosomes to promote or enhance wound healing
KR101434717B1 (ko) 2011-10-11 2014-09-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03479597B (zh) * 2012-06-14 2015-02-18 苏州恒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葡萄来源活性成分—纳米级膜性囊泡的制备方法及其用途
WO2014159662A1 (en) * 2013-03-13 2014-10-02 University Of Miami Method fo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microvesicles from cell culture supernatants and biological fluids
WO2015005700A1 (ko) * 2013-07-11 2015-01-15 (주)아모레퍼시픽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30490B1 (ko) 2014-08-04 2015-06-19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98793B1 (ko) * 2015-09-23 2023-11-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18785B1 (ko) * 2015-09-25 2022-07-08 (주)프로스테믹스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4646A1 (en) * 2006-12-28 2010-04-29 Ji Hwal Kim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EP2255782A1 (en) * 2009-05-25 2010-12-01 Keune Haircosmetics Manufacturing B.V.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and method of preparation
CN103054763A (zh) * 2011-10-21 2013-04-24 南通市通州区五接豆豆编织袋厂 一种防止脱发的洗发水
CN103479682A (zh) * 2012-06-14 2014-01-01 苏州恒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来源活性成分-纳米级膜性囊泡的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 S. ET AL.: "Grape Exosome-like Nanoparticles Induce Intestinal Stem Cells and Prefect Mice from DSS-induced Colitis", MOLECULAR THERAPY, vol. 21, no. 7, 2013, pages 1345 - 1357, XP055300276 *
See also references of EP3357501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0965A (zh) * 2019-07-02 2022-02-11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埃丽卡校区 用于大量产生植物外排体的方法
EP4025232A4 (en) * 2019-09-02 2024-02-07 Univ Yeditepe USE OF PLANT EXOSOMES TO INCREASE THE VIABILITY AND HAIR GROWTH ABILITY OF SKIN CELLS
CN112630449A (zh) * 2020-12-30 2021-04-09 广西壮族自治区水牛研究所 对水牛出生时间进行判断的血液外泌体标志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0546A (ja) 2018-10-18
CN108289921A (zh) 2018-07-17
JP7023221B2 (ja) 2022-02-21
HK1250344A1 (zh) 2018-12-14
CN108289921B (zh) 2021-09-21
US20180256488A1 (en) 2018-09-13
EP3357501A4 (en) 2019-04-10
US10653616B2 (en) 2020-05-19
KR102475127B1 (ko) 2022-12-07
KR20170038383A (ko) 2017-04-07
EP3357501B1 (en) 2020-12-30
EP3357501A1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7881A1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US1076562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ellular follicle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WO2017164517A1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TWI699213B (zh) 用於皮膚美白且含有一分離自人參的類外泌體囊泡的組合物
KR101263068B1 (ko)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EP3581192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ginseng berry polysaccharides
US11583560B2 (en) Immunomodulatory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052242A1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356213B1 (ko)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0264A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유사 나노베지클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6889529A (zh) 一种包括灵芝提取物的用于改善头发或头皮状态的组合物
KR20120098555A (ko)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40021181A (ko)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20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60882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16485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52027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