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7855A1 -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7855A1
WO2017057855A1 PCT/KR2016/010038 KR2016010038W WO2017057855A1 WO 2017057855 A1 WO2017057855 A1 WO 2017057855A1 KR 2016010038 W KR2016010038 W KR 2016010038W WO 2017057855 A1 WO2017057855 A1 WO 20170578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oy protein
weight
emulsifier
thick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0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병근
강병영
조영석
박승한
이옥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WO20170578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78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oy protein emuls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oy protein emulsifier and a thickener to improve the emulsion stability of the water-soluble component and fat-soluble component.
  • an emulsifier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single molecule emulsifier and a polymer emulsifier.
  • Monomolecular emulsifiers are so-called surfactants, which include natural products such as lecithin, or compounds such as fatty acid soaps, glycerin esters, sugar esters and the like.
  • Polymeric emulsifiers include polysaccharides, natural products such as proteins (eg gum arabic, casein), or compounds such as polyacrylates or polyvinyl alcohol. These emulsifiers ar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 Single-molecular emulsifiers are generally emulsifying powers, so that emulsions can be obtained with a small amount of use, but there is a problem in emulsification stab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mulsification is lost due to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due to the addition or dilution of the salt.
  • isolated soy protein a representative natural polymer emulsifier used in the food industry, is used as a material for various emulsion foods due to its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emulsification, foaming ability, and thermal coagulation.
  • the isolated soy protein (ISP) i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eat treatment, interaction with other food ingredients, pH, ionic strength, etc., but the protein molecules are arranged on the oil surface during emulsification to form a stable adsorption membrane. Imparting emulsion stability. This differs from the majority of monomolecular emulsifiers that aid in emulsification by reducing the interfacial tension at the oil-water interface.
  • a cosmetic composition is introduced into a pickling emulsion by introducing a soybean protein (ISP), a natural polymer emulsifier in the food industry, as an emulsifier for cosmetics.
  • ISP soybean protein
  • Lecithin a representative natural surfactant, is a monomolecular emulsifier with amphiphilic structure, and has a high unit cost problem and soybean-specific odor problem due to the extraction process from soybean. The frequency of use alone as a surfactant is smal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soy protein, which is a natural emulsifier used in the food industry, as an emulsifier in a cosmetic composition, and to adjust the particle size to complement the stability and feeling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cosmetic composition
  • a soy protein emulsifier and a thickener soybean protein emulsifier 10 to 35% by weight; Thickener 0.5-5% by weight; Fat soluble components 5 to 10% by weight; including the thicken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accharides, gums, hydrocarbons, fatty acids and acrylics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umbersome procedure of pH correction using high methoxy pectin (HMP) as a conventional thickener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improving productivity. It can increase.
  • the odor problem inherent in soybean is alleviated, so that it can be contained in a higher content than the conventional amount used, so that it can be used alone as a surfactant for cosmetics.
  • ISP isolated soy protein
  • ISP isolated soy protein
  • Figure 3 is an emulsion particle image of an isolated soy protein (ISP)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ISP isolated soy protein
  • Example 4 is an emulsified particle imag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5 is an emulsified particle imag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6 is a comparative image of the emulsified particl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a) Example 3, (b) Example 6, (c) Example 7 and (d) Example 8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oy protein emuls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oy protein emulsifier and a thickener to improve the emulsion stability of the water-soluble component and fat-soluble compon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oy protein emulsifier and a thickener, 10 to 35% by weight soy protein emulsifier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ickener 0.5-5% by weight; Fat soluble components 5 to 10% by weight; including the thicken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accharides, gums, hydrocarbons, fatty acids and acrylics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 soy protein is a material extracted from legumes
  • the kind of legum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ybean ( Glycine max (L.) Merr . ), White kidney beans ( Phaseolus multiflorus Willd . for. albus Bailey ), Haen bean ( Canavalia lineata (Thunberg) DC ), Pigeon beans ( Pigeon pea, Cajanus cajan (L.) Millsp ), Tonka beans ( Dipteryx odorata ( Aubl .) Willd ), Big Fox ( 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Carob beans ( Ceratonia siliqua (L.) Taub .
  • Swallows Lablab purpureus (L.) Sweet ), Silkworm bean ( Vicia faba L. ), Egyptian Beans ( Cicer arietinum L. ), Fox ( Rhynchosai volubilis Loureira ), Mouse bean ( Rhynchosia nulubilis ), Yayudo ( Glycine soja Sieb . et Zucc ), Sweet pea ( Lathyrus odoratus Linne ), New beans (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 edgeworthii ( Benth .) H. Ohashi ), Rake ( Vicia angustifolia Linne var. segetilis ( Thuill K. Koch.
  • soy protein emulsifier is preferably an isolated soy protein (ISP) aqueous solution.
  • the method of extracting soy protein from the legumes can be extracted by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th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it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 soy protein as an emulsifier, it is preferable to disperse 1-10 wt% of soy protein in water, and then collect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dispersion by stirring the dispersion at 50 to 100 ° C.
  • butylene glycol butylene Glycol
  • phenoxyethanol and caprylic glycol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dispersion
  • Caprylic Glycol may further comprise 0.05 to 0.1% by weight.
  • the soy protein emulsifier prepared in this way may be 0.5 to 2.5%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remaining after drying,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when less than 1.5% by weight will not function as an emulsifier, 2.5 weight This is because when the percentage is exceeded, the feeling of use decreases due to the inherent odor of soy protein.
  • the soy protein emulsifier is preferably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0 ⁇ 400 nm of the remaining solid content after dry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emulsified particles is less than 100 nm is difficult to obtain in the technical process, more than 400 nm When it is, the emulsification power is significantly lower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size is limited due to the foreign matters of the solid content.
  • the soy protein emulsifier may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to replace or supplement the surfactant for formulation stability in various water dispersion / oil dispersion conditions.
  • High methoxy pectin which is a natural polysaccharide and is used for increasing purpose in the food industry, generates a large amount of salt during pH correction during emulsification.
  • HMP High methoxy pectin
  • the thickener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ki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accharides, gums, hydrocarbons, fatty acids and acrylics.
  • the thickener is cellulose (Cellulose), xanthan gum (Xanthan), ammonium acryloyldimethyl taurate / VP copolymer, 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 dimethyl taurate Salt form,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polymer (Hydroxyethyl Acrylate / 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polyacrylate, polyisobutene (Polyisobutene) and polysorbate (Polysorbate) It may be included in the form of a gum, copolymer or mixed form.
  • the fat-soluble component does not mix with the water-soluble component and includes a substance existing in layers, and may include an extract or a compound having fat solubility.
  • the fat-soluble component may mean a substance having an active ingredient or an active ingredient and producing a desired effect.
  • the fat-soluble compon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ctive ingredient that can be dissolved in ester-based oil, triglyceride-based oil, silicone-based oil, or hydrocarbon-based oil, and also includes the potent component of the terpenoid-based and flavonoid-based components. do.
  • xanthan gum was added and dispersion emulsification was performed for 7500 rpm for 5 minutes.
  • a cosmetic composi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 Example 1>, except that the remaining soy protein emulsifier having a dry residue (solid content) of 1.6 wt% was used in ⁇ Comparative Example 1>.
  • Example 1 Except for using the thickener of Table 1 in place of xanthan gum in ⁇ Example 1> to prepare a cosmetic com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emulsifying power of the isolated soy protein (ISP)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evaluat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The results obtained at this time are shown in FIGS.
  • Particle stability was confirmed by microscopic image as shown in FIG. 6 by adding a thickener of a combination as shown in [Table 1] to the emulsion base.
  • Example 3> to ⁇ Example 5> three types of natural thickeners
  • there was no big problem on the particle image but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viscosity due to the nature of the thickener, and when the skin is applied, a stiffness occurs It was.
  • ⁇ Example 6> and ⁇ Example 7> was relatively good
  • ⁇ Example 9> and ⁇ Example 10> was confirmed to affect the emulsified particles as a thickener affecting the pH.
  • Example 8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thickener to maintain relatively particle formation.
  • Example 11 7 skin care panel members were randomly sele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feelings of the existing company's products and other companies' products, and the descrip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evaluation item, and the evalua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On the basis of the 20-point scale for each evaluation item, the cosmetic formulation was first applied to the skin and then evaluated for 10 seconds, and 2 minutes after the application, each item was evaluated. Each evaluation result is shown in [Table 2] and [Table 3].
  • Example 11> which is a cosmetic comprising the soy protein emuls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with the company's and other companies' products that have been certified by ECO CER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has a usable advantage, such as increased absorption (slip reduction), moisture, oily feeling and excellent spread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단백질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여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의 유화 안정도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콩 단백질 고유 취(臭) 문제를 완화하여 종래 사용량보다 고함량 포함시킬 수 있어, 화장료의 계면활성제로서 단독 사용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출원은 2015년 9월 30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5-013782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 단백질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여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의 유화 안정도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제는, 단분자 유화제와 고분자 유화제로 대별할 수 있다. 단분자 유화제는 소위 계면 활성제로서, 레시틴(Lecithin)과 같은 천연물, 또는 지방산 비누나 글리세린 에스테르, 슈거 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물이 있다. 고분자 유화제로는 다당류, 단백질과 같은 천연물(예컨대 아라비아 검, 카제인), 또는 폴리아크릴산염이나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합성물이 있다. 이들 유화제는 용도에 따라 단독으로 혹은 적당히 배합해서 사용되고 있는데, 단분자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유화력은 강하여 소량의 사용으로 유화물을 얻을 수 있지만, 유화 안정력에서는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pH 변화에 영향을 받거나, 혹은 염의 첨가나 희석에 의한 농도의 변화에 의해 유화성이 상실된다고 하는 문제를 남기고 있다.
한편 식품업계에서 사용되는 대표적 천연 고분자 유화제인 분리대두단백질(Isolated soy protein; ISP)은 유화기능, 거품 생성력, 열 응고성 등의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에멀젼 식품의 소재로 사용된다. 상기 분리대두단백질(ISP)은 열처리, 다른 식품 성분들과의 상호작용, pH, 이온 강도 등의 환경적 인자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만, 유화 중에 기름 표면에서 단백질 분자들이 배열되면서 안정된 흡착막을 형성하여, 유화 안정성을 부여한다. 이것은 대다수의 단분자 유화제가 기름-물 계면에서 계면 장력을 감소시켜 유화를 돕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화학적 계면활성제 사용을 배제하기 위한 오랜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식품업계의 천연 고분자 유화제인 분리대두단백질(ISP)을 화장료의 유화제로서 도입하여 피커링 에멀젼(Pickering emulsion)화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2672호, “식물 유래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대표적인 천연 계면활성제인 레시틴(Lecithin)은 양친매성(兩親媒性, Amphiphilic) 구조의 단분자 유화제이며, 주로 대두에서 추출하는 공정상의 이유로 단가가 높은 문제와 콩 고유의 취(臭) 문제가 있어서 계면활성제로서 단독 사용하는 빈도는 적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산업에서 사용하는 천연 유화제인 콩 단백질을 화장료 조성물 중 유화제로 활용하되, 입자사이즈를 조절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및 사용감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콩 단백질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콩 단백질 유화제 10 ~ 35 중량%; 점증제 0.5 ~ 5 중량%; 지용성 성분 5 ~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는 다당류, 검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및 아크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종래 점증제로서 고 메톡시 펙틴(High methoxy pectin; HMP)를 사용하여 pH 보정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콩 고유의 취(臭) 문제를 완화하여 종래 사용량보다 고함량으로 포함시킬 수 있어, 화장료의 계면활성제로서 단독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분리대두단백질(Isolated soy protein: ISP) 수용액의 유화 입자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따른 분리대두단백질(Isolated soy protein: ISP) 수용액의 유화 입자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3에 따른 분리대두단백질(Isolated soy protein: ISP) 수용액의 유화 입자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입자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입자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a) 실시예 3, (b) 실시예 6, (c) 실시예 7 및 (d) 실시예 8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입자 비교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 단백질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여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의 유화 안정도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콩 단백질 유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콩 단백질 유화제 10 ~ 35 중량%; 점증제 0.5 ~ 5 중량%; 지용성 성분 5 ~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는 다당류, 검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및 아크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콩 단백질 유화제
본 명세서에서 콩 단백질은 콩류로부터 추출되는 물질로서, 상기 콩류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대두(Glycine max (L.) Merr .), 흰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Willd . for. albus Bailey), 해녀콩(Canavalia lineata (Thunberg) DC), 비둘기콩(Pigeon pea, Cajanus cajan (L.) Millsp), 통카콩(Dipteryx odorata ( Aubl .) Willd),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캐롭콩(Ceratonia siliqua (L.) Taub .), 제비콩(Lablab purpureus (L.) Sweet), 누에콩(Vicia faba L.), 이집트콩(Cicer arietinum L.), 여우콩(Rhynchosai volubilis Loureira),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야료두(Glycine soja Sieb . et Zucc), 스위트피(Lathyrus odoratus Linne), 새콩(Amphicarpaea bracteata subsp . edgeworthii ( Benth .) H. Ohashi), 살갈퀴(Vicia angustifolia Linne var. segetilis ( Thuill .) K. Koch.), 산새콩(Lathurus vaniotii Leveille .), 비진도콩(Dumasia truncata Sieb . et Zucc .),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us Wild.),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inne var. japonicus Regel), 백편두(Dolichos lablab L.), 미국돼지땅콩(Amphicarpaea bracteata), 만년콩(Euchresta japonica Hook fil . ex Regel .), 리마콩(Phaseolus lunatus L.), 렌즈콩(Lens culinaris Medik), 땅콩(Arachis hypogaea L.), 두시(Glycine max Merrill), 돌콩(Glycine soja Sieb . et Zucc .), 도두(Canavalia gladiata ( Jacq .) DC.), 덩굴강낭콩(Phaseolus vulgaris), 미선콩(Lupinus luteus), 그린콩(Phaseolus radiatus L. var. aurea), 검정콩(Glycine max (L.) Merr.) 및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두에서 추출한 것으로, 콩 단백질 유화제는 분리대두단백질(Isolated soy protein; ISP)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콩류로부터 콩 단백질을 추출하는 방법은 당 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으로 수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콩 단백질을 유화제로 제조하는 방법은 콩 단백질 1 ~ 10 중량%를 물에 분산시킨 후, 50 ~ 100 ℃에서 분산액을 교반하여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콩 단백질에 보존력 및 방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분산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5 ~ 20 중량%,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5 ~ 0.7 중량% 및 카프릴릭글리콜(Caprylic Glycol) 0.05 ~ 0.1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건조 후 잔여하는 고형분의 함량이 0.5 내지 2.5 중량%일 수 있으며, 1.5 ~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1.5 중량% 미만일 때는 유화제로서 기능이 미비하게 되며, 2.5 중량%를 초과할 때는 콩 단백질 고유의 취(臭) 문제로 인하여 사용감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건조 후 잔여하는 고형분의 평균 입자 사이즈가 100 ~ 400 nm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화 입자의 평균 입자 사이즈가 100 nm 미만은 기술 공정상 수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400 nm를 초과할 때는 상온에서 유화력이 현저히 낮아지며 고형분의 이물감으로 인해 사이즈를 제한한다.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다양한 수분산/유분산 조건에서의 제형안정성을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대체하여 혹은 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점증제
종래에 천연 다당체로 식품 산업에서 점증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 메톡시 펙틴(High methoxy pectin; HMP)는 유화 공정 중 pH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염(Salt)이 다량 생성되므로 사용 농도에 비해 점도력이 비교적 낮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화장료로서 피부 적용시 때밀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대체할 만한 점증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점증제는 다당류, 검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및 아크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잔탄검(Xanthan),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및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염 형태, 검 형태, 공중합체 형태 또는 혼합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지용성 성분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용성 성분은 수용성 성분과 섞이지 못하고 분리되어 층을 이루어 존재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고, 지용성을 가지는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성분은 유효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가지고 목적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용성 성분은 에스터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에 용해될 수 있는 유용성 활성성분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터페노이드 계열,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효능 성분 역시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제조예 1 내지 3: 분리대두단백질(ISP) 수용액의 제조
<제조예 1>
먼저, 콩 단백질(Supro 620 IP, 제조사 듀퐁) 3 중량%, 부틸렌글리콜 10 중량%, 페녹시에탄올 0.5 중량%, 카프릴릭글리콜 0.07 중량% 및 물을 잔량 포함하는 분산액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온에서 아지 믹서(Agi mixer)로 400 rpm, 2 시간 교반 후, 실온에서 콩 단백질 수화 후 원심분리 및 여과 진행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 에서 콩 단백질 수화 온도를 5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대두단백질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상기 <제조예 1> 에서 콩 단백질 수화 온도를 8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대두단백질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먼저, 8 중량% 오일(CSA: Caprylic and Capric Triglyceride)과 건조 잔량(고형분 함량)이 0.8 중량%인 분리대두단백질 유화제 20 중량%를 넣고 32 중량%의 물을 넣어 준 뒤 8500 rpm으로 3 분간 유화하였다.
이어서, 유화 입자를 확인 후 잔탄검을 투입하고 7500rpm 5분간 분산 유화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상기 <비교예 1> 에서 건조 잔량(고형분 함량)이 1.6 중량%인 분리대두단백질 유화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 에서 잔탄검 대신 하기 표 1의 점증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제조예 2의 분리대두단백질(ISP) 수용액 30 중량%, CSA 10 중량%, CMC-NA 0.5 중량%, Keltrol-F 0.5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수화 온도에 따른 유화력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분리대두단백질(ISP) 수용액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유화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 내지 3으로 제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에 비하여 온도가 올라갈 경우 즉, 50 ℃, 80 ℃ 정도의 고온에서 유화 입자가 더욱 미세하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온 수화된 콩 단백질 유화제의 친유성 성질이 증가하여 유화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형분 함량에 따른 유화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유화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4 및 5 로 제시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의 건조 잔량(고형분 함량)이 0.8 중량%인 분리대두단백질 유화제로 분산 유화를 실시한 결과이며, 도 5는 <실시예 2>의 건조 잔량(고형분 함량)이 1.6 중량%인 분리대두단백질 유화제로 분산 유화를 실시한 결과이다(Scalebar 10㎛).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균일한 미세입자들이 잘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잔량(고형분 함량)이 2.5% 이상으로 사용될 경우 콩 단백질의 고유 취(臭)에 대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용 농도에 제한을 두었다.
실험예 3: 점증제 종류에 따른 유화 입자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3 내지 10의 화장료 조성물을 광학현미경 및 pH 분석기를 사용하여 조성물의 유화 입자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6으로 제시하였다.
점증제 농도(%) pH 유화 결과
실시예 3 CMC-NA1) 0.3 5.5 양호
실시예 4 Natrosol 250HR2 ) 0.2 5.5 양호
실시예 5 Keltrol-F (0.1%)3) 0.2 5.6 양호
실시예 6 Aristoflex avc4 ) 0.3 5.1 비교적 양호(cluster)
실시예 7 Sepinov EMT105 ) 0.5 4.9 비교적 양호(cluster)
실시예 8 Sepiplus4006 ) 0.5 5.9 양호
실시예 9 Carbopol ETD20207 ) 0.2 - 영향 있음
실시예 10 Carbopol 9818) 0.2 3.1 영향 있음
1)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2)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3) 잔탄검(Xanthan gum) 4)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5)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6)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 20(Polyacrylate-13/Polyisobutene/Polysorbate 20) 7)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Acrylic acid/Alkylmethacrylate Copolymer)) 8) 카보머(Carbomer)
유화베이스에 상기 [표 1]과 같은 조합의 점증제를 첨가하여 입자 안정도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 이미지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천연 점증제 3종)의 경우 입자 이미지 상으로 큰 문제가 없었으나 점증제 특성상 점도를 상승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피부 적용시 때밀림 현상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경우 비교적 양호했으며,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의 경우 pH에 영향을 주는 점증제로 유화입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8>이 비교적 입자형성을 유지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점증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1, 기존 자사제품 및 타사제품의 사용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스킨케어 전문 패널 7인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각 평가 항목에 대하여 묘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3회 반복 평가하였다. 각 평가 항목별 20점 척도 기준으로, 먼저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10초 동안 평가하였으며, 도포 2분 뒤 다시 각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평가 결과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단계 바를 때 (도포 후 10초 동안 평가)
사용제품 시원함 펴발림성 유분감(greasy) 미끌거림 수분감 밀착감 끈적임 흡수속도
실시예 11 11.67 12.46 2.88 12.38 13.04 7.67 4.92 12.92
기존 자사제품 11.04 13.29 6.08 8.54 11.04 12.58 5.29 12.50
타사제품 7.25 7.75 11.88 6.25 7.50 8.08 8.67 11.67
평가단계 흡수 직후 (도포 2분 뒤 평가)
사용제품 윤기 유분감 촉촉함 끈적임 부드러움 잔여감
실시예 11 5.50 4.25 6.75 2.92 6.67 2.92
기존 자사제품 8.38 8.46 10.75 5.25 9.21 5.00
타사제품 9.21 9.83 8.50 6.42 8.75 7.83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기존 에코서트(ECO CERT) 인증을 받은 자사 및 타사 제품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인 <실시예 11>은 흡수감 증대(미끌거림 감소), 수분감, 유분감 감소 및 펴발림성 우수 등 사용감적 우위를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이 유화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콩 단백질 유화제 10 ~ 35 중량%; 및
    점증제 0.5 ~ 5 중량%;
    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는 다당류, 검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및 아크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분리대두단백질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콩 단백질 1 ~ 10 중량%를 물에 고온 분산시킨 분산액을 교반하여 원심분리한 상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부틸렌글리콜 5 ~ 20 중량%, 페녹시에탄올 0.5 ~ 0.7 중량% 및 카프릴릭글리콜 0.05 ~ 0.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분산은 50 ~ 100 ℃에서 분산액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건조 후 잔여하는 고형분의 함량이 1.5 ~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단백질 유화제는 건조 후 잔여하는 고형분의 평균 입자 사이즈가 100 ~ 4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 잔탄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텐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 형태, 검 형태, 공중합체 형태 또는 혼합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6/010038 2015-09-30 2016-09-07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578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22A KR102452395B1 (ko) 2015-09-30 2015-09-30 콩 단백질 유화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37822 201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55A1 true WO2017057855A1 (ko) 2017-04-06

Family

ID=5842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038 WO2017057855A1 (ko) 2015-09-30 2016-09-07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52395B1 (ko)
TW (1) TWI701052B (ko)
WO (1) WO20170578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8935A (zh) * 2019-08-15 2019-11-26 南京林业大学 一种大豆分离蛋白-果胶复合物稳定槲皮素的高内相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561B1 (ko) * 2020-09-08 2021-01-26 한국콜마주식회사 돌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210528B1 (ko) * 2021-01-08 2021-01-29 안연옥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한 비누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4310A1 (en) * 2004-12-17 2006-06-22 Solae, Llc Soy protein isolat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WO2012120290A2 (en) * 2011-03-04 2012-09-13 Sana Pharma As Cosmetic formulations
KR101491451B1 (ko) * 2012-09-28 2015-02-10 대상 주식회사 식육 가공용 유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식육가공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51B1 (ko) 2012-09-28 2020-09-07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유래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4310A1 (en) * 2004-12-17 2006-06-22 Solae, Llc Soy protein isolat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WO2012120290A2 (en) * 2011-03-04 2012-09-13 Sana Pharma As Cosmetic formulations
KR101491451B1 (ko) * 2012-09-28 2015-02-10 대상 주식회사 식육 가공용 유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식육가공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LSITO, DONALD V. ET AL.: "Safety Assessment of Soy Proteins and Peptides as Used in Cosmetics", COSMETIC INGREDIENT REVIEW, 25 June 2015 (2015-06-25) *
XU, QINGYI ET AL.: "Soybean-based Surfactants and Their Applications", SOYBEAN - APPLICATIONS AND TECHNOLOGY, 2011, pages 341 - 364, XP05507987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8935A (zh) * 2019-08-15 2019-11-26 南京林业大学 一种大豆分离蛋白-果胶复合物稳定槲皮素的高内相乳液及其制备方法
CN110498935B (zh) * 2019-08-15 2021-12-31 南京林业大学 一种大豆分离蛋白-果胶复合物稳定槲皮素的高内相乳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1052B (zh) 2020-08-11
KR20170038443A (ko) 2017-04-07
KR102452395B1 (ko) 2022-10-07
TW201714603A (zh) 201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7041T2 (de) Zusammensetzung, die einen in einem oxidierenden Medium instabilen Wirkstoff enthält, und Verwendungen insbesondere in der Kosmetik
WO2017057855A1 (ko) 콩 단백질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57873A1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세라마이드 나노 에멀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9986B1 (ko)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
CN101325941B (zh) 水凝胶粒子
WO2019235840A2 (ko)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화제 제조방법
WO2017119612A1 (ko)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1068333A2 (ko) 화장품용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분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0117199A2 (ko) 코엔자임 q10 나노입자,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213896A1 (ko)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118958A2 (ko)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91924A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KR101840045B1 (ko) 옥사졸리딘-2-온 화합물을 캡슐화한 리포좀
WO2016148434A1 (ko)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WO2015137647A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CN108888570B (zh) 一种耐盐性能好的温和乳化剂
WO2023085578A1 (ko) 피부상재균을 이용한 식물성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85857A9 (ko) 역미셀을 포함하는 경피 전달 시스템
WO2019035514A1 (ko) 마유의 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정제된 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241953A1 (ko) 발효나노유화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139214A1 (ko)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6128142A (ja) 皮膚外用剤
WO2023121343A1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d상 유화 조성물
JP4357130B2 (ja) 皮膚外用剤
JP2006083112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20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20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