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200048A1 -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200048A1
WO2016200048A1 PCT/KR2016/004375 KR2016004375W WO2016200048A1 WO 2016200048 A1 WO2016200048 A1 WO 2016200048A1 KR 2016004375 W KR2016004375 W KR 2016004375W WO 2016200048 A1 WO2016200048 A1 WO 20162000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resistance
proline
survival rat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3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인석
김병국
문성현
허보혜
서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ublication of WO20162000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2000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by the task number PJ01128701 under the support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the research and management agency of the project i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research project name is "Next-generation Bio Green 21 project”, the research title is "Cholesterol-lowering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ion process ”, the host organization is Chong Kun Dang Bio Co., Ltd. and the research period is 2015.01.15 ⁇ 2017.12.3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storage stability, acid resistance or bile resistance of lactic acid bacteria.
  • Lactic acid bacteria is a bacterium that generates lactic acid using saccharides as an energy source, and is found in the digestive tract, oral cavity, and vagina of humans and mammals,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nature such as various fermented foods. Lactic acid bacteria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icroorganisms for a long time, and do not produce harmful substances to the intestines of humans or animals and have a pure function of preventing decay in the intestines.
  • lactic acid is 12 in (Lactobacillus, Carnobacterium, Atopobium, Lactococcus , Pediococcus, Tetragenococcus, Leuconostoc, Weisella, Oenococcus, Enterococcus, Streptococcus, Vagococcus) the classification and lactic acid bacteria, which commonly we used the bacillus of Lactobacillus genus (Lactobacillus sp .), the genus Lactococcus sp .), Streptococcus sp ., Leuconostoc sp ., and Pedicoccus sp ., and others (BioWave, 2009, Vol. 11, No. 7, pp.). 1-20).
  • probiotics are living microorganisms or foods containing live microorganisms that have a health effect on the host (FAO / WHO 2001), and have an important function of maintaining and regulating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at a normal level.
  • Representative probiotics are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 and other yeasts (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accharomyces boulardii ) and filamentous fungus ( Aspergillus) oryzae ) (BioWave, 2009, Vol. 11 No. 7, pp. 1-20).
  • probiotics include antibacterial activity, improvement of antibiotic-related diarrhea, reduction of lactose intolerance, anticancer effect, lowering blood cholesterol,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bacteria in the stomach, alleviation of irritable colitis,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and immune function regulation And the like are known (International Dairy Journal, 2007, Vol. 17, pp. 12621277).
  • Probiotics can be divided into probiotics, which are human medicines, probiotics as feed additives, and lactobacillus foods, which are a kind of health food.
  • Lactic acid bacteria food is made of powder, granules, tablets, capsules, etc. to cultivate live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lactobacillus, bifidus and other foods in a stable and easy way. Say that.
  •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largely divided into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cell recovery, lyophilization, grinding, commercialization, etc.
  • lactic acid bacteria are exposed to various physicochemical stresses.
  • the cell recovery is affected by osmotic pressure due to concentration, and during freeze-drying process, ice crystals in the cytoplasm are formed due to rapid temperature change, or ice crystals and dehydration generated outside the cell affect the temperature and osmotic pressure.
  • the s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 reduced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or hydration by moisture in the air during grinding and commercialization (International Dairy Journal, 2004, Vol. 14, pp.
  • probiotics products use the live bacteria themselves, they are exposed to various stresses in the human body before reaching the intestines after ingestion. Survival can be greatly reduced by exposure to acidic conditions that fall below pH 3 in the stomach and digestive enzymes and bile acids secreted in the small intestine. In addition, even when it reaches the intestine, it competes with the microorganisms that have settled in the intestine,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hibited by various harmful components and active oxygen (Immunology and Cell Biology, 2000, Vol. 78, pp. 8088; Am J Clin Nutr, 2001, Vol. 73, pp. 393S398S (suppl); Probiotic Bacteria and Enteric Infections, 2011, Chap. 2, pp. 41-63).
  • the lactic acid bacterium coating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erilize as a probiotic because it performs a multi-step process of recovering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n mixing and stirring the coating composition, especially in industrial mass production. There is a falling problem.
  • probiotics microorganisms can be exposed to various stresses such as osmotic pressure, pH, and oxygen from the time of culture, and thus exhibit various physiological reactions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urvival rate in the process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2001, Vol. 130, pp. 437-460;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2005, Vol. 99, pp. 13301339; J. Dairy Sci., 2005, Vol. 88, pp. 21-29;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10, Vol. 52, pp. 65-70).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stability in the cultivation and storage of lactic acid bacteria, when the amino acid containing proline is added during or after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rvival rate and storage stability after lyophilization, which is an indicator of resistance to stres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elucidating that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greatly increa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ctic acid bacterium with increased survival rate, storage stabilit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after lyophilization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ctic acid bacteria by the addition of one or more amino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line,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 lysine and valine during or after the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 one or more amino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line,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 lysine and valine during or after the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stability in the cultivation and storage of lactic acid bacteria, when the amino acid including proline is added during or after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rvival rate and storage stability after lyophilization, which is an indicator of resistance to stress It was found that the acid resistance and the bile resistance greatly increased.
  • survival rate refers to a percentage of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after lyophilization divided by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before lyophilization.
  • the lactic acid bacteria are first cultured.
  • the lactic acid bacteriu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Lactococcus sp., Enterococcus sp. ), Pediococcus sp., Leuconostoc sp., Weissella sp. Or Bifidobacterium sp.
  •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plantarum ( L. plantarum ), Lactobacillus ashdophyllus ( L. acidophilus ), Bifidobacterium bifidum ( B. bifidum ), Bifidobacterium longgum ( B. longum ) or L. mesenteroides .
  • th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Lactobacillus ashdophyllus KCTC3142, Bifidobacterium bifidem KCTC3202, Bifidobacterium longgum KCTC3128 or Leukonostock mesentaroid KCTC3100.
  •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conventional known lactic acid culture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 amino acids are added during the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or after the lactic acid bacteria are cultured.
  • the amino acid is add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preparation,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for 0 hours to the end of the culture or after lyophilization after lactic acid recovery.
  • amino acids eg, proline
  • proline amino acids
  • the amino acid add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storage stabilit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after lyophiliz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line,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 lysine and valine At least one amino acid selected.
  • the amino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line.
  • the concentration of the proline added is 1 g / L to 50 g / L, 2 g / L to 20 g / L or 2 g / L to 10 g / L.
  • the step of adding a cryoprotectant or coating agent to the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stability by the addition of amino acids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paring a film-forming lactic acid bacteria.
  • the cryoprotect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line, trihalose or glycerin
  • the coating agent is chitosan, maltodextrin, indigestible dextrin, Xanthan gum (XG), guar gum (G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hydroxyethylcellulose (HEC), polyvinylpyrroridone (PVP), carbo Carbopol, Sodium Alginate, Propylene Glycol Alginate, Alginate, Polyethylene Glycol, PEG, Triacetin, Propylene Glycol, Acetyl Acetyl triethyl citrate or triethyl citrate.
  • th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yophilized after completion of the cultur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amino acids.
  • lyophilized lactic acid bacteria after culture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urvival, storage stabilit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cells to the extreme environment by adding amino acids during or after the cultivation is simple and economical compared to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physical barrier to the cells with the conventional multi-stage coating, and thus the industrial availability is high. Very high.
  • the multi-stage coated lactic acid bacteria product produced by the prior art is ingested, the lactic acid bacteria coating agent is not dissociated in the intestine and is likely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intestine, an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survival rate in the rapidly changing intestinal environment even if dissociated. There is this.
  • lactic acid bacteria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high survival rate in the process of rehydration (rehydration) because the lactic acid bacteria themselves have a high resistance to the extreme environment.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mino acid to accumulate in the cells in high concentration by the addition of amino acids in the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the cells are recovered and then mixed with a protective or coating agent and lyophilized to improve the bacteria themselves have high resistance to acid, bile and oxygen Lactic acid bacteria can be prepar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increased survival rate, storage stabilit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after lyophilization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 the lactic acid bacteria produced by the method have hydrogen peroxide resistance and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storage stabilit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after lyophil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y adding proline in the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or after culturing lactic acid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igh concentration of proline, such as proline, in the lactic acid bacteria,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against external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freeze-drying st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lactic acid bacteria as well as an indicator of intestinal environmental stability when ingesting lactic acid bacteria. It significantly improves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 proline such as proline
  •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economically inefficient due to the complex method of constructing a physical barrier outside the lactic acid cell by applying a multi-stage coating such as double coating, triple coating or quadruple coating with protein, polysaccharide, porous polymer, edible oil, etc.
  • a multi-stage coating such as double coating, triple coating or quadruple coating with protein, polysaccharide, porous polymer, edible oil, etc.
  •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esistance to external physicochemical stres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tself, thereby increasing the viability when passing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exerting the inherent functionality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intestine, and existing multi-step coating process. This is an economic way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st increase.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 Figure 2 shows the cells of proline standard (a) and proline 5 g / L of proline incubation (b), proline-free (c) with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vaporized light scattering detector (HPLC-ELSD). Chromatogram of the analysis of proline.
  • Figure 4 is a result of quantifying the concentration of proline intracellular proline addition time.
  •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ior art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multi-step coating.
  •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optimized for each species were used for the high concentration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to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probiotics.
  • the cell recovery and lyophilization process parts were rapidly frozen in a freezer at -60 °C after centrifugation. Lyophilization under operating conditions between 45 ° C. and 45 ° C.).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tability during lyophilization and storage depending on the amino acid type added after cell recovery.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culture and Lactobacillus ashdophilus KCTC 3142 (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42) culture were concentrated and 20 amino acids were added to 5 g / L, respectively. Twenty amino acids were added to the concentrate by type and lyophilized, and the survival rate, accelerated stability (40 ° C. and 70% humidity), freeze-drying and freeze-drying were confirmed.
  • the accelerated test was conducted for 4 weeks under conditions of temperature of 40 ° C and humidity of 70%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 under severe conditions.
  • viable counts were analyzed.
  • the artificial gastric juice conditions were used artificial gastric juice conditions (2.0 g sodium chloride, dilute hydrochloric acid 24.0 ml / L, pH 1.2) in the food disintegration test, and after adding the probiotic powder at 10% concentration in consideration of gastric contraction 100 reciprocations were performed per minute, and the exposure time was performed for 2 hours considering the time to pass through the stomach.
  •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artificial gastric fluid condition was later readjusted to 7.0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iable cell counting method.
  • probiotics without addition of amino acids were used.
  • bile acid (bile acid) is made in the liver (liver) is secreted into the small intestine through the biliary tract and is absorbed 95% from the ileum at the end of the small intestine is recirculated into the liver. Since bile acids affect the lactic acid bacteria that have settled in the small intestine, the survival rate difference was compared in vitro when lactic acid bacteria were exposed to bile acids. Specifically, the medium without bile acid and 0.5% of the bile acid were filtered and used aseptically. A medium containing 1 g of each lactic acid bacteria sample was inoculated into the prepared medium and reacted for 2 hours. According to the viable cell count was measured.
  •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after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was the proline and aspartic acid treatment group, and the accelerated experiment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in the proline and serine treatment group. Showed. Proline amino acid showed excellent results in acid resistance and bile acid resistance. Also, when threonine and glutamic acid were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were excellent.
  • the excellent survival rat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42 after Lactobacillus ashophilus KCTC 3142 was lysine and proline treatment group.
  • the treatment group showed excellent results.
  • Acid and bile resistance showed excellent results in the proline and glutamine treated groups, respectively.
  • Example 2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f adding proline to the concentrate after the incub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is applied to other lactic acid bacteria, five kinds of lactic acid strains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were incubated and recovered, and then proline was used. It was added to a concentration of 10 g / L and lyophil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As a result, the survival rate, acceleration stability and acid resistance after lyophilization were improved in all strains used in the experiment. Especially,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strain had the highest freeze-drying survival rate and survival rate after accelerated test, and increased acid resistance.
  • Lactobacillus plan tarum KCTC 3108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Lactobacillus ash FIG filler's KCTC 3142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42), Bifidobacterium bipyridinium bonus KCTC3202 (Bifidobacterium bifidum KCTC3202), Bifidobacterium ronggeom KCTC3128 (Bifidobacterium longum KCTC3128), Leukonostoc meceteroroides KCTC3100 (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100)
  • the change of osmotic pressure and the concentration of proline concentration in the cells were confirmed. Osmotic pressure and intracellular proline concentration change during the culture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are shown in FIG. 1.
  • the osmotic pressure was increased by various organic acids produced by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proline also increased as the culture time elapsed.
  • FIG. 2 is a chromatogram of intracellular proline analysis when 5 g / L of proline is added when a proline standard and proline are not added in culture with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vaporized light scattering detector (HPLC-ELSD).
  • Figure 3 is the result of quantifying the concentration of proline intracellula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roline addition.
  • Example 4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proline was increased in the late stage of culture, and when proline was added after concentrating the culture solution from Example 1-3, the s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was improved in the subsequent process. Addition induced intracellular proline to accumulate at high concentrations, followed by lyophilization and accelerated stability.
  • proline was added 0 g / L, 2.5 g / L, 5 g / L at 8 hours of incub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log phase of cell growth during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 7.5 g / L, 10 g / L was added to the culture. After 18 hours of incubation, each culture solution was concentrated by centrifugation and lyophilized, followed by an accelerated test (40 ° C., 70% humidity) and an acid and bile resistance test for 4 weeks (Table 5).
  • Example 6 when proline 5 g / L was added to the logarithmic phase during the culture, the freeze-drying and the acceleration stability were improved. Based on this, the effect of the proline addition period during the culture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iming of proline addition during the culture. 5 g / L of proline was added at the beginning of culture or 5 g / L of proline was added at the log phase or stationary phase of the cell growth phase, and was present in lactic acid cells after 18 hours of culture. The concentration of proline was confirmed (FIG. 4).
  • each culture solution was centrifuged and concentrated, followed by freeze-dry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accelerated test (40 ° C., humidity 70%) and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Table 6). .
  • accelerated test 40 ° C., humidity 70%
  •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Table 6
  • proline was added, and after 2 hours, the culture solution was recovered and lyophilized.
  • freeze-drying survival rate and survival rate after the accelerated te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were also improved. there was.
  • Example 7 when proline was added during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eze-drying survival rate, survival rate after accelerated test, and acid resistance were increased, so tha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ame effect in other lactic acid bacteria. It was. Five strains were incubated,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and 5 g / L of proline was added at the time of arrival of the log phase. Drying was performed. As a result, freeze-drying and accelerated stability and acid resistance were increased in all strains, and bile resistance was improved in some strains (Table 7).
  • Example 8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nfirm oxygen resistance to the lyophilized product using the cells recovered from the non-proline culture medium and the 5 g / L addition culture medium, respectively. Hydrogen peroxide resistance was compared as an indirect method for determining resistance to oxygen. After lyophilization, each sample was suspended in 0.05 M phosphoric acid buffer (pH 6.8) containing 0 ppm, 5,000 ppm, 10,000 ppm, 15,000 ppm, 20,000 ppm hydrogen peroxide and then reacted at 37 ° C. for 1 minute. Then, 1 ml of the reaction solution was taken, suspended in a buffer containing 2 mg / ml catalase, diluted in 10-fold units, plated in MRS medium, and cultured.
  • 0.05 M phosphoric acid buffer pH 6.8
  • the hydrogen peroxide resolution was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lyophilized product using the cells recovered from the non-proline culture medium and the 5 g / L addition culture medium, respectively.
  • the lactic acid bacteria lyophilized sample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reacted at 37 ° C. for 1 hour, and analyzed at 505 nm using an absorbance spectrometer to measure residual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after the reaction.
  • the decomposition activity except the residual concentration showed that the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yophilized product after adding proline than in the case of lyophilization without adding proline during the culture.
  • Cryoprotectants used in further experiments were proline, trihalose, glycerin and coatings were chitosan, maltodextrin, indigestible dextrin, Starch, xanthan gum (XG), guar gum (G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hydroxyethylcellulose (HEC),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polyvinylpyrroridone (PVP), carbopol, sodium alginate, propylene glycol alginate, alginate, polyethyleneglycol (PEG), triacetin (triacetin) ), Propylene glycol, acetyl triethyl citrate, and triethyl citrate.
  • XG xanthan gum
  • GG guar gum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 HEC hydroxyethylcellulose
  • PVP polyvinyl Pyrrolidone
  • carbopol sodium alginate
  • Table 10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of the control group. For each of the five strains used, the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dded cryoprotectant or coating component, but overall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acid resista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ile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cryoprotectant or coating treatment.
  • bifidum KCTC3202 No addition 65 3.30E + 11 62 48 17 Proline 70 4.70E + 11 68 54 40 Trihalose 68 4.85E + 11 66 53 39 Maltodextrin 78 4.92E + 11 71 63 56 Indigestible-dextrin 72 4.62E + 11 63 59 52 Cellulose 65 4.80E + 11 62 52 43 B.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의 배양 중 또는 유산균을 배양한 후 프롤린을 첨가하여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산균체 내에 프롤린 등 보호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유산균 자체의 동결건조 안정성, 저장안정성 등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유산균 섭취 시 장관환경 안정성의 지표인 내산성, 내담즙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종래 기술이 단백질, 다당류, 다공성 폴리머, 식용유지 등으로 이중 코팅, 삼중 코팅, 사중 코팅과 같은 다단계 코팅을 하여 유산균체 외부에 물리적인 방어벽을 구축하는 복잡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이 떨어지고 산업적인 적용에 한계가 있음에 반하여, 본 발명은 유산균체 자체의 외부 물리화학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증가시켜 위장관 통과 시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장내에서 유산균 고유의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하며 기존 다단계 코팅공정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방법이다.

Description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의 지원 하에서 과제번호 PJ01128701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과제의 연구관리전문기관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명은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연구과제명은 “콜레스테롤 저하 건강기능식품 소재의 산업적 생산공정 개발”, 주관기관은 (주)종근당바이오, 연구기간은 2015.01.15 ~ 2017.12.31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5년 6월 11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8281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당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유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사람이나 포유동물의 소화관, 구강 및 질 등에서 발견되며, 각종 발효식품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유산균은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는 미생물 중 하나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장에 해로운 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며 장내에서 부패를 방지하는 순기능을 가진 미생물이다.
현재 유산균은 12개 속(Lactobacillus, Carnobacterium , Atopobium , Lactococcus , Pediococcus , Tetragenococcus, Leuconostoc , Weisella , Oenococcus , Enterococcus , Streptococcus, Vagococcus)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유산균은 간균인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구균인 락토코커스 속(Lactococc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그리고 페디오코커스 속(Pedicoccus sp.) 균 등이다(BioWave, 2009, Vol. 11, No. 7, pp. 1-20).
한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숙주에게 건강효과를 나타내는 살아있는 미생물 또는 살아있는 미생물이 함유된 식품을 말하며(FAO/WHO 2001), 인체의 장내 미생물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유지하고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스로는 유산균과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이 있으며 그 외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Saccharomyces boulardii)와 사상균(Aspergillus oryzae) 등이 있다(BioWave, 2009, Vol. 11 No. 7, pp. 1-20).
프로바이오틱스의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항균활성, 항생제 관련 설사 개선, 유당불내증 경감, 항암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위 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 억제, 과민성 대장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경감, 면역 기능 조절 등이 알려져 있다(International Dairy Journal, 2007, Vol. 17, pp. 12621277).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 의약품인 정장제나 유산균 제제, 사료첨가제로서의 생균제 및 건강식품의 일종인 유산균 식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산균 식품은 유산간균, 유산구균, 비피더스균 등의 생균을 배양하여 식품에 혼합한 것을 안정적이고 섭취가 용이하도록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으로 만든 것으로 유산균 발효식품, 유산균 발효유, 유산균 음료 이외의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유산균 식품을 제조하는 공정은 크게 유산균 배양, 균체 회수, 동결건조, 분쇄, 제품화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산균은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즉, 균체회수 시에는 농축에 따른 삼투압 영향을 받으며, 동결건조 과정에서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세포질 내 얼음결정이 형성되거나 세포 외부에 생성되는 얼음 결정 및 탈수(dehydration) 현상으로 인하여 온도와 삼투압 영향을 동시에 받게 된다. 또한, 분쇄 및 제품화 과정에서 고온, 고압에 노출되거나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하여 수화(hydration)될 경우 유산균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International Dairy Journal, 2004, Vol. 14, pp. 835847;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2005, Vol. 98, pp. 14101417; Microbial Ecology in Health & Disease, 2012, pp. 2-5), 단기간 보관되는 유산균 발효식품, 유산균 발효유, 유산균 음료와 같은 액상 제품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을 목적으로 분말 형태로 제조되는 제품에 있어서도 산소에 노출될 경우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이 산화되어 생존율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2004, Vol. 3, pp. 117-124; Curr Issues Intest Microbiol, 2004, Vol. 5, pp. 1-8;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1996, Vol. 22, No. 1, pp. 3438).
한편, 다른 산업용 미생물과 달리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생균 자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섭취 후 장에 도달하기 전에 인체 내에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위장에서는 pH 3 이하로 떨어지는 산성 환경에 노출되고 소장에서는 분비되는 소화효소와 담즙산 등의 영향을 받아 생존율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장에 도달해서도 기존 장내 정착한 미생물과 경쟁함과 동시에 각종 유해 성분과 활성산소 등에 의한 성장 저해를 받게 된다(Immunology and Cell Biology, 2000, Vol. 78, pp. 8088; Am J Clin Nutr, 2001, Vol. 73, pp. 393S398S(suppl); Probiotic Bacteria and Enteric Infections, 2011, Chap. 2, pp. 41-6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산균을 코팅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초기에는 캡슐제를 이용한 장용 코팅제와 젤라틴, 다당류, 검류 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화 등이 있었지만 고가의 코팅제를 사용하거나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농도의 유산균이 살아있는 이중 구조의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단백질과 다당류로 이중 코팅하는 방법을 도입하거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0375,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10397) 단백질과 다당류 코팅에 나노 입자를 추가한 삼중 코팅방법이 도입되기도 하였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08267). 그러나 이와 같이 개선된 유산균 코팅 기술 또한 유산균의 표면을 완전히 코팅하지 못하여 여전히 유산균의 내열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충분히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삼중 코팅에 식용유지를 추가하여 다중코팅 하거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93074), 수용성 폴리머, 히알루론산, 다공성 입자를 가지는 코팅제 및 단백질을 추가하여 4중 코팅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34486) 등이 경쟁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의 유산균 코팅 기술은 통상의 방법으로 배양된 유산균체를 회수한 다음 코팅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다단계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생균제로서 무균 조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산업적인 대량생산에 있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은 배양 시점부터 삼투압, pH, 산소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배양 조건에 따라 이 후 공정인 동결건조 과정에서의 생존율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2001, Vol. 130, pp. 437-460;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2005, Vol. 99, pp. 13301339; J. Dairy Sci., 2005, Vol. 88, pp. 21-29;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10, Vol. 52, pp. 65-70).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의 배양 및 보관 과정에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프롤린을 포함한 아미노산을 유산균 배양 중 또는 배양 후 첨가하면 동결건조 후 생존율 및 저장안정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지표인 내산성, 내담즙성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증가된 유산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산균의 배양 중 또는 유산균을 배양한 후 프롤린, 아스파르트산, 세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라이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의 배양 및 보관 과정에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프롤린을 포함한 아미노산을 유산균 배양 중 또는 배양 후 첨가하면 동결건조 후 생존율 및 저장안정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지표인 내산성, 내담즙성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용어 “생존율”은 동결건조 후 생존균 수를 동결건조 전 생존균 수로 나눈 값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 유산균을 배양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락토코커스 속 (Lact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비셀라 속(Weissella sp.)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유산균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 longum)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 mesenteroides)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KCTC3108,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TC314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KCTC3202,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KCTC3128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KCTC3100이다.
본 발명에서의 유산균 배양은 종래에 공지된 통상적인 유산균 배양배지 및 배양 조건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산균의 배양 중 또는 유산균을 배양한 후 아미노산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미노산은 유산균 배양 배지조제 시, 유산균 배양 0시간 내지 배양종료 시점 또는 유산균체 회수 후 동결건조 전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유산균의 배양 중 유산균의 성장이 정지기에 도달한 시점에 아미노산(예컨대, 프롤린)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아미노산은 프롤린, 아스파르트산, 세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라이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미노산은 프롤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프롤린의 첨가 농도는 1 g/L 내지 50 g/L, 2 g/L 내지 20 g/L 또는 2 g/L 내지 10 g/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미노산 첨가에 의해 안정성이 증가한 유산균에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를 첨가하여 피막 형성 유산균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동결보호제는 프롤린(proline), 트리할로오스(trehalose) 또는 글리세린(glycerin)이고, 코팅제는 키토산(chitosa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난소화성 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잔탄검(xanthan gum, XG), 구아검(guar gum, G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HEC),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ridone, PVP), 카보폴(carbopol),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트리아세틴(triacet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acetyl triethyl citrate) 또는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산균은 아미노산 첨가에 따른 배양 완료 후 동결건조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배양 후 동결건조된 유산균은 현저히 증가한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라 배양 중 또는 배양 후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균체 자체의 극한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방법은 기존 다단계 코팅으로 균체에 물리적 장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비하여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어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해 생산된 다단계 코팅 유산균 제품을 섭취할 경우 장 내에서 유산균 코팅제가 해리되지 않아 장을 통과하여 배출될 가능성이 높고, 해리되더라도 급격히 변화하는 장 내 환경에서 생존율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은 유산균 자체가 극한환경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에 도달하여 재수화(rehydration)되는 과정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본 발명은 유산균 배양 중 아미노산을 첨가함으로써 균체 내에 아미노산이 고농도로 축적되도록 하며, 균체를 회수한 다음 보호제 또는 코팅제와 혼합하고 동결건조하여 균 자체가 산성, 담즙 및 산소에 대하여 높은 내성을 갖는 개량된 유산균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증가된 유산균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은 과산화수소 내성 및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유산균의 배양 중 또는 유산균을 배양한 후 프롤린을 첨가하여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방법은 유산균체 내에 프롤린 등 보호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유산균 자체의 동결건조 안정성, 저장안정성 등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유산균 섭취 시 장관환경 안정성의 지표인 내산성, 내담즙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c) 종래 기술이 단백질, 다당류, 다공성 폴리머, 식용유지 등으로 이중 코팅, 삼중 코팅, 사중 코팅과 같은 다단계 코팅을 하여 유산균체 외부에 물리적인 방어벽을 구축하는 복잡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이 떨어지고 산업적인 적용에 한계가 있음에 반하여, 본 발명은 유산균체 자체의 외부 물리화학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증가시켜 위장관 통과 시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장내에서 유산균 고유의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하며 기존 다단계 코팅공정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방법이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의 배양 중 삼투압과 세포내 프롤린의 농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증기화 광산란검출기(HPLC-ELSD)로 프롤린 표준품(a)과 배양 중 프롤린을 5 g/L 첨가한 경우(b), 프롤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c)의 세포내 프롤린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프롤린 첨가 농도에 따른 세포내 프롤린의 농도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4는 프롤린 첨가 시점에 따른 세포내 프롤린의 농도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5는 다단계 코팅을 이용하는 선행 기술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균체 회수 후 아미노산 첨가
생균제 제조에 사용할 유산균의 고농도 배양을 위하여 각각의 균종에 최적화된 배지와 배양조건을 사용하였으며, 이후 균체 회수 및 동결건조 공정부분은 통상적인 방법(원심분리 후 -60℃ 냉동고에서 급속 동결한 다음 0℃에서 45℃ 사이의 조작 조건에서 동결건조 수행)을 적용하였다. 균체 회수 후 첨가한 아미노산 종류에 따라 동결건조 및 보관 과정에서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배양액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TC 3142(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42) 배양액을 농축하고 여기에 20가지 아미노산을 각각 5 g/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20가지 아미노산을 종류별로 농축액에 첨가하고 동결건조한 다음 동결건조 시 생존율, 가속 안정성(40℃, 습도 70%),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확인하였다.
장기간 유통시 생균제의 보관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온도 40℃, 습도 70%의 조건에서 4주 동안 가속 시험을 진행하여 가혹한 조건에서 유산균 생균제의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내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균제를 pH 2.5의 인공위액 조건에 노출시킨 후, 생균수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공위액 조건은 식품 붕해도 시험 상의 인공위액 조건(염화나트륨 2.0 g, 묽은 염산 24.0 ㎖/L, pH 1.2)을 사용하였으며, 10% 농도로 생균제 분말을 첨가한 후 위 수축 운동을 고려하여 분당 100회의 왕복운동을 실시하였고, 노출 시간은 위를 통과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2시간으로 실시하였다. 인공위액 조건에 노출한 실험군은 추후 pH를 7.0으로 재조정한 후 통상적인 생균수 측정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비교 실험군으로는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은 생균제를 사용하였다.
한편, 담즙산(bile acid)은 간(liver)에서 만들어져 담도를 통하여 소장(small intestine)으로 분비되고 소장 말단의 회장(ileum)에서 다시 95% 흡수되어 다시 간으로 들어가는 장관순환을 한다. 이 과정에서 담즙산은 소장에 정착한 유산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산균이 담즙산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존율 차이를 시험관 환경에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담즙산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와 담즙산 0.5%를 여과하여 무균적으로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배지에 각각의 유산균 시료를 1 g씩 접종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유산균 배양 후 농축액에 각각의 아미노산을 처리한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균의 동결건조 후 유산균의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은 프롤린과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처리군이었고, 가속 실험 결과 프롤린, 세린(serine) 처리군에서 가장 우수한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내산성과 내담즙산성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보인 아미노산은 프롤린이었으며 그 외 트레오닌(threonine)과 글루탐산(glutamic acid)을 사용할 경우에도 각각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TC 3142(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42)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이 우수한 것은 라이신(lysine)과 프롤린 처리군이었며, 가속시험(40℃, 습도 70%) 결과 프롤린과 발린(valine) 처리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내산성과 내담즙성은 각각 프롤린과 글루타민(glutamine) 처리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균체회수 후 첨가한 아미노산 종류별 영향(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
아미노산 동결건조 가속 시험(40℃, 습도 70%)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1 미첨가 21 8.00E+10 22 19 14
2 알라닌 23 2.40E+10 10 11 9
3 시스테인 13 9.70E+09 8 13 8
4 아스파르트산 28 4.20E+10 18 19 11
5 글루탐산 10 1.60E+10 16 30 21
6 페닐알라닌 19 4.20E+10 23 27 14
7 글리신 14 1.80E+10 13 28 17
8 히스티딘 16 5.00E+10 21 24 12
9 이소루신 19 3.50E+10 19 21 11
10 라이신 22 3.40E+10 16 27 9
11 루신 20 3.60E+10 18 22 13
12 메티오닌 10 4.30E+10 13 18 17
13 아스파라긴 15 1.70E+10 17 19 11
14 프롤린 32 1.00E+11 30 34 20
15 글루타민 11 1.10E+10 10 7 18
16 아르기닌 23 2.60E+10 11 17 13
17 세린 12 6.50E+10 25 7 10
18 트레오닌 9 2.10E+10 23 32 19
19 발린 13 8.30E+09 6 10 11
20 트립토판 19 4.40E+10 23 28 20
21 티로신 18 3.40E+10 19 7 10
균체회수 후 첨가한 아미노산 종류별 영향(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TC 3142)
아미노산 소스 동결건조 가속 시험(40℃, 습도 70%)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1 미첨가 22 6.10E+10 11 24 23
2 알라닌 10 5.00E+10 9 18 13
3 시스테인 12 6.00E+10 10 5 10
4 아스파르트산 21 9.20E+10 16 22 17
5 글루탐산 15 7.10E+10 12 14 20
6 페닐알라닌 14 8.50E+10 15 16 21
7 글리신 21 7.80E+10 13 22 18
8 히스티딘 15 5.00E+10 9 20 22
9 이소루신 18 6.20E+10 12 5 4
10 라이신 26 7.00E+10 14 14 10
11 루신 20 4.20E+10 7 22 15
12 메티오닌 10 5.11E+10 12 11 10
13 아스파라긴 21 8.90E+10 13 12 15
14 프롤린 29 1.14E+11 24 30 28
15 글루타민 23 7.20E+10 12 28 27
16 아르기닌 9 5.45E+10 10 12 11
17 세린 18 6.60E+10 11 6 5
18 트레오닌 19 9.40E+10 16 22 20
19 발린 14 1.06E+11 18 15 17
20 트립토판 10 9.00E+10 15 20 13
21 티로신 16 8.60E+10 12 15 18
실시예 2: 균체 회수 후 농도별 첨가
유산균 배양 후 농축액에 20가지 아미노산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 동결건조 생존율, 가속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에 있어 전체적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던 아미노산이 프롤린이었기 때문에 이의 최적 농도를 확인하고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 배양액을 농축한 후 농축액 대비 프롤린을 0-50 g/L 농도 범위로 첨가하여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이후 4주 동안 가속 시험(40℃, 습도 70%) 및 내산성과 내담즙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프롤린 첨가 농도를 5 g/L에서 10 g/L까지 늘려 첨가한 경우 동결건조 생존율, 가속시험 후 생존율이 모두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산성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표 3).
배양액 농축 후 프롤린 첨가 농도에 따른 영향
프롤린 (g/L) 동결건조 가속 시험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0 21 8.00E+10 22 19 14
5 32 1.00E+11 30 34 20
10 45 2.40E+11 48 41 20
25 37 1.86E+11 40 38 22
50 33 1.70E+11 38 37 20
실시예 3: 배양액 농축 후 균주별 프롤린 첨가 영향
실시예 2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 배양 후 농축액에 프롤린을 첨가한 영향이 다른 유산균에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고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을 포함한 5종류의 유산균주를 각각 배양하고 이를 회수한 다음 프롤린을 10 g/L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에 이용한 모든 균주에서 동결건조 후 생존율, 가속안정성 및 내산성이 개선되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 균주의 경우 프롤린을 10 g/L 첨가한 후 동결건조를 수행할 경우 동결건조 생존율과 가속시험 후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내산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균주별 배양액 농축 후 프롤린 첨가 영향
프롤린첨가 여부 균주 동결건조 가속 시험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미첨가 L. plantarum KCTC3108 21 8.00E+10 22 19 14
L. acidophilus KCTC3142 22 6.10E+10 11 24 23
B. bifidum KCTC3202 20 8.00E+10 10 10 15
B. longum KCTC3128 25 8.70E+10 15 20 22
L. mesenteroides KCTC3100 30 1.00E+11 31 32 20
10 g/L첨가 L. plantarum KCTC3108 45 2.40E+11 48 41 20
L. acidophilus KCTC3142 32 2.50E+11 34 38 31
B. bifidum KCTC3202 34 1.00E+11 15 17 15
B. longum KCTC3128 38 2.10E+11 31 24 25
L. mesenteroides KCTC3100 42 2.00E+11 58 35 23
실시예 4: 유산균 세포 삼투압에 따른 프롤린 농도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TC 3142(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42),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KCTC3202(Bifidobacterium bifidum KCTC3202),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KCTC3128(Bifidobacterium longum KCTC3128),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KCTC3100(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100) 배양 중 삼투압의 변화와 세포 내 프롤린의 농도변화를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의 배양 중 삼투압과 세포내 프롤린의 농도 변화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을 진행하면서 유산균이 생성하는 각종 유기산 등에 의하여 삼투압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양 시간이 경과할수록 세포내 프롤린의 농도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배양 중 프롤린 첨가 후 세포내 아미노산 농도 분석
유산균 배양 중 프롤린을 5 g/L 첨가한 다음, 세포내 아미노산 중 특히 프롤린의 농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후 MES 버퍼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세척한 세포는 초음파발생장치(Vibra-Cell-Sonics &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파쇄하였다. 파쇄한 세포 내 아미노산 농도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증기화 광산란검출기(HPLC-ELSD)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엑스브리지 아마이드 컬럼(Xbridge amide 3.5μm, 250×4.6㎜(Waters))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으로 A 용액(0.1% 수용성 포름산(aqueous formic acid))과 B 용액(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이용하여 기울기(gradient)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동률(flow rate)은 1.5 mL/min로 하였다. 기울기 조건(gradient condition)은 초기 : A 용액 20%, B 용액 80%, 0-5분 : A 용액 25%, B 용액 75%, 5-13분 : A 용액 30%, B 용액 70%, 13-18분 : A 용액 20%, B 용액 80%로 하였으며 컬럼 온도는 35℃로 하였다. 검출기(detector)는 380-ELSD(Agilent Technology)를 사용하였다. 분무기(nebulizer)의 질소 가스 주입 속도는 2 L/min이었고 드리프트 관(drift tube) 온도는 90℃로 하였다.
도 2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증기화 광산란검출기(HPLC-ELSD)로 프롤린 표준품과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프롤린을 5 g/L 첨가한 경우의 세포내 프롤린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3은 프롤린 첨가농도에 따른 세포내 프롤린의 농도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실시예 6: 배양 중 프롤린 첨가 농도의 영향
실시예 4에서 배양 후기에 세포내 프롤린 농도가 높아진다는 점, 그리고 실시예 1-3으로부터 배양액을 농축한 후 프롤린을 첨가할 경우 이후 공정에서 유산균의 안정성이 개선된 점에 착안하여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하여 세포내 프롤린이 고농도로 축적되도록 유도한 후 동결건조 및 가속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배양 중 세포의 성장단계상 대수증식기(log phase)에 해당하는 배양 8시간째에 프롤린을 0 g/L, 2.5 g/L, 5 g/L, 7.5 g/L, 10 g/L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18시간 배양 후 각각의 배양액을 원심분리에 의해 농축하고 동결건조를 수행한 후 4주 동안 가속 시험(40℃, 습도 70%) 및 내산성과 내담즙성 시험을 실시하였다(표 5).
그 결과, 프롤린 농도가 증가할수록 동결건조 생존율이 증가하여 5 g/L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후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4주 가속 안정성은 5 g/L 첨가 시 가장 우수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가속 안정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배양 중 프롤린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내산성에 대한 효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내담즙성은 소폭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롤린 첨가 농도에 따른 영향
배양 중프롤린 첨가(g/L) 동결건조 가속 시험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0 21 8.00E+10 22 19 14
2.5 48 2.00E+11 24 34 20
5 55 3.81E+11 57 43 22
7.5 53 3.67E+11 50 45 21
10 53 3.50E+11 49 45 21
실시예 7: 배양 중 프롤린 첨가 시점의 영향
실시예 6에서 배양 중 대수기에 프롤린 5 g/L 첨가하였을 때 이후 동결건조 및 가속안정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므로 이를 기초로 하여 배양 중 프롤린 첨가시기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 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을 이용하여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하는 시점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초기에 프롤린을 5 g/L 첨가하거나 세포의 성장단계 중 대수증식기(log phase) 또는 정지기(stationary phase) 도달 시점에 프롤린을 각각 5 g/L씩 첨가하였고 배양 18시간 후 유산균 세포내 존재하는 프롤린의 농도를 확인하였다(도 4).
이와 함께 각각의 배양액을 원심분리 농축한 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동결건조를 수행한 후 4주 동안 가속 시험(40℃, 습도 70%) 및 내산성과 내담즙성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표 6). 그리고 균의 성장이 정지기에 도달한 시점에 프롤린을 첨가하고 2시간 후에 배양액을 회수하여 동결건조를 수행한 결과, 동결건조 생존율, 가속시험 후 생존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 중 프롤린 첨가 시점에 따른 영향
배양 중프롤린 첨가(5 g/L) 동결건조 가속 시험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첨가하지 않음 21 8.00E+10 22 19 14
0 hr 첨가 30 1.20E+11 35 31 18
8 hr 첨가 55 3.81E+11 57 43 22
16 hr 첨가 78 5.18E+11 80 52 22
실시예 8: 균주별 배양 중 프롤린 첨가 영향
실시예 7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3108(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할 경우 동결건조 생존율, 가속시험 후 생존율 및 내산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다른 유산균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CTC3108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108)을 포함하여 5종류의 균주를 각각 배양하면서 대수기 도달 시점에 프롤린 5 g/L를 첨가하였고 2시간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균주에서 동결건조 및 가속안정성과 내산성이 높아졌으며 일부 균주에서 내담즙성이 개선되었다(표 7).
균주별 배양 중 프롤린 첨가 영향
프롤린첨가 여부 균주 동결건조 가속 시험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CFU/g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미첨가 L. plantarum KCTC3108 21 8.00E+10 22 19 14
L. acidophilus KCTC3142 22 6.10E+10 11 24 23
B. bifidum KCTC3202 20 8.00E+10 10 10 15
B. longum KCTC3128 25 8.70E+10 15 20 22
L. mesenteroides KCTC3100 30 1.00E+11 31 32 20
5 g/L첨가 L. plantarum KCTC3108 78 5.18E+11 80 52 22
L. acidophilus KCTC3142 62 4.24E+11 75 62 32
B. bifidum KCTC3202 65 3.30E+11 62 48 17
B. longum KCTC3128 68 3.70E+11 68 53 30
L. mesenteroides KCTC3100 72 6.10E+11 70 55 48
실시예 9: 배양 중 프롤린 첨가에 따른 동결건조 후 과산화수소 내성
실시예 8과 같이 각각 프롤린 미첨가 배양액 및 5 g/L 첨가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한 균체를 사용하여 동결건조를 거친 제품에 대하여 산소 내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산소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과산화수소 내성을 비교하였다. 동결건조 후 각각의 샘플을 과산화수소 0 ppm, 5,000 ppm, 10,000 ppm, 15,000 ppm, 20,000 ppm을 포함하고 있는 0.05 M 인산 버퍼(pH 6.8)에 현탁한 다음 37℃에서 1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반응액 1 ml을 취하여 2 mg/ml 카탈라아제를 포함하고 있는 버퍼에 현탁하고 10배 단위로 희석한 다음 MRS 배지에 도말한 후 배양하여 생균수를 분석하였다. 생존율(%)은 반응 전 인산 버퍼에 첨가된 균수를 100%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균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프롤린을 첨가한 다음 동결건조를 거친 제품은 배양 중 프롤린을 미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과산화수소에 대한 내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과산화수소에 노출 시 생존율(%) 비교
배양 중프롤린 첨가 균주 과산화수소 처리 농도 (ppm)
0 5,000 10,000 15,000 20,000
0 g/L L. plantarum KCTC3108 98 72 50 34 16
L. acidophilus KCTC3142 99 74 56 30 18
B. bifidum KCTC3202 92 58 37 12 0
B. longum KCTC3128 96 54 41 9 0
L. mesenteroides KCTC3100 97 66 52 38 24
5 g/L L. plantarum KCTC3108 98 87 85 79 62
L. acidophilus KCTC3142 98 89 83 80 76
B. bifidum KCTC3202 96 85 78 72 66
B. longum KCTC3128 99 86 80 71 64
L. mesenteroides KCTC3100 98 84 79 70 65
실시예 10: 배양 중 프롤린 첨가에 따른 동결건조 후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
실시예 9와 같이 각각 프롤린 미첨가 배양액 및 5 g/L 첨가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한 균체를 사용하여 동결건조를 거친 제품에 대하여 과산화수소 분해능을 비교하였다. 0.4 mM 인산 버퍼(pH 6.9)에 수분이 포화된 페놀용액 2%,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e) 0.04 mg/ml,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0.04 Unit/ml, 과산화수소 300 nmol을 포함하는 반응액에 상기의 유산균 동결건조 시료를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흡광광도계로 505 nm에서 분석하여 반응 후 잔류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초기 300 nmol에서 잔류농도를 제외한 분해활성을 보면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하지 않고 동결건조한 경우보다 프롤린을 첨가한 다음 동결건조를 거친 제품에서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유산균주별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 비교
균주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nmol of H2O2/mg of cell per hr)
배양 중 프롤린 미첨가 배양 중 프롤린 첨가 (5 g/L)
L. plantarum KCTC3108 57 126
L. acidophilus KCTC3142 105 172
B. bifidum KCTC3202 26 94
B. longum KCTC3128 48 133
L. mesenteroides KCTC3100 65 122
실시예 11: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 첨가
배양 시 프롤린을 첨가하는 배양공정을 이용하여 세포 내 프롤린을 고농도로 축적시킴으로써 균주 자체가 동결건조를 포함한 스트레스 환경에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하여 세포내 프롤린의 함유량을 높임으로써 균체 자체의 극한환경에 대한 가속 저장 안정성 및 내산성은 증가하였지만 내담즙성에 미치는 효과는 적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양 중 프롤린을 첨가한 후 농축한 배양액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를 추가하고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표 10).
추가 실험에 사용된 동결보호제는 프롤린(proline), 트리할로오스(trehalose), 글리세린(glycerin)이고 코팅제는 키토산(chitosa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전분(starch), 잔탄검(xanthan gum, XG), 구아검(guar gum, G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HEC),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ridone, PVP), 카보폴(carbopol),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트리아세틴(triacet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acetyl triethyl citrate), 트리에틸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이다.
이들 중 프롤린(proline), 트리할로오스(treha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또는 셀룰로오스(cellulose)를 추가로 첨가한 경우와 동결보호제 및 코팅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확인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사용된 각각의 5가지 균주마다 추가된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 성분에 따른 결과가 조금씩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내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 처리에 의해 내담즙성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 효과
균주 동결보호제 및 코팅제 동결건조 4주 가속 안정성 내산성(인공위액 pH 2.5) 내담즙성(0.5% oxgall)
생존율 (%) CFU/g 생존율 (%) 생존율 (%) 생존율 (%)
L. plantarum KCTC3108 미첨가 78 5.18E+11 80 52 22
프롤린(proline) 80 5.82E+11 81 69 35
트리할로오스(trehalose) 82 5.66E+11 82 64 41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83 6.17E+11 84 72 67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81 6.03E+11 83 67 43
셀룰로오스(cellulose) 80 5.70E+11 81 62 40
L. acidophilus KCTC3142 미첨가 62 4.24E+11 75 62 32
프롤린(proline) 65 5.70E+11 78 70 45
트리할로오스(trehalose) 71 5.85E+11 80 69 44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75 5.92E+11 85 79 61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72 5.62E+11 83 75 57
셀룰로오스(cellulose) 69 5.80E+11 81 68 48
B. bifidum KCTC3202 미첨가 65 3.30E+11 62 48 17
프롤린(proline) 70 4.70E+11 68 54 40
트리할로오스(trehalose) 68 4.85E+11 66 53 39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78 4.92E+11 71 63 56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72 4.62E+11 63 59 52
셀룰로오스(cellulose) 65 4.80E+11 62 52 43
B. longum KCTC3128 미첨가 68 3.70E+11 68 53 30
프롤린(proline) 69 3.95E+11 67 60 46
트리할로오스(trehalose) 68 3.87E+11 66 62 44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69 4.10E+11 76 72 58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70 4.17E+11 71 70 54
셀룰로오스(cellulose) 68 3.90E+11 70 55 50
L. mesenteroides KCTC3100 미첨가 72 6.10E+11 70 55 48
프롤린(proline) 84 7.08E+11 85 68 60
트리할로오스(trehalose) 81 7.40E+11 85 68 68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85 8.00E+11 91 74 70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78 7.48E+11 82 65 64
셀룰로오스(cellulose) 77 7.10E+11 87 70 6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유산균의 배양 중 또는 유산균을 배양한 후 프롤린, 아스파르트산, 세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라이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유산균의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락토코커스 속 (Lact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비셀라 속(Weissella sp.)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균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 longum)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 mesentero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프롤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롤린의 첨가 농도는 1 g/L 내지 50 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유산균 배양 배지조제 시, 유산균 배양 0시간 내지 배양종료 시점 또는 유산균체 회수 후 동결건조 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첨가 후 동결보호제 또는 코팅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프롤린(proline), 트리할로오스(trehalose) 또는 글리세린(glycerin)이고, 코팅제는 키토산(chitosa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전분(starch), 잔탄검(xanthan gum, XG), 구아검(guar gum, G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HEC),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ridone, PVP), 카보폴(carbopol),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트리아세틴(triacet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acetyl triethyl citrate), 트리에틸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결건조 후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증가된 유산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과산화수소 내성 및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PCT/KR2016/004375 2015-06-11 2016-04-27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WO20162000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13 2015-06-11
KR1020150082813A KR101605516B1 (ko) 2015-06-11 2015-06-11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048A1 true WO2016200048A1 (ko) 2016-12-15

Family

ID=5564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375 WO2016200048A1 (ko) 2015-06-11 2016-04-27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5516B1 (ko)
WO (1) WO2016200048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7136A (zh) * 2017-07-06 2017-10-24 齐鲁工业大学 一种具有益生功能的益生固态乳酸菌菌剂的制备方法
CN107287121A (zh) * 2017-08-11 2017-10-24 洛阳泽达慧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菌冻干保护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9652491A (zh) * 2019-01-29 2019-04-19 润盈生物工程(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嗜酸乳杆菌氨基酸需求的筛查方法
CN110809411A (zh) * 2017-04-07 2020-02-18 钟根堂Bio(株) 包含通过涂敷丝素蛋白来使肠道内定殖性得以提高的乳酸菌的组合物
CN112795558A (zh) * 2021-02-01 2021-05-14 河北一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乳酸菌稳定性的三层包埋方法
CN113234597A (zh) * 2021-05-28 2021-08-10 江南大学 一种提高双歧杆菌的冻干抗逆性的培养方法及其应用
KR102302336B1 (ko) * 2021-01-20 2021-09-15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의 장내 생존율과 부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결 건조 프로바이오틱스의 재활성화 조성물
CN113767164A (zh) * 2021-01-20 2021-12-07 科丝美诗纽芝丽株式会社 用于提高益生菌肠道存活率和粘附性的益生菌冻干物再激活组合物
CN115088844A (zh) * 2022-07-14 2022-09-23 河北益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菌油滴液及其制备方法
CN116478857A (zh) * 2023-02-10 2023-07-25 宁波希诺亚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可产多糖的长双歧杆菌变种及其多糖在晶球益生菌制剂中的应用
CN116496969A (zh) * 2023-06-05 2023-07-28 四川大学 一种外源添加精氨酸以提高乳酸菌酸耐受性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30B1 (ko) 2016-11-21 2018-05-28 롯데제과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안정성 증진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정화 증진방법
KR101927859B1 (ko) 2018-07-17 2018-12-1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초음파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코팅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동결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2305076B1 (ko) 2020-02-24 2021-09-2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용암해수 유래 천연 미네랄 코팅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암해수 유래 천연 미네랄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분무건조 제제
KR102084350B1 (ko) 2019-04-05 2020-03-0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용암해수 미네랄 코팅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암해수 미네랄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KR102265807B1 (ko) * 2020-03-03 2021-06-16 나종주 생균제를 이용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2524732B1 (ko) * 2020-08-10 2023-04-24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강산 조건 하에 안정한 유산균 조성물
KR102273663B1 (ko) * 2020-10-29 2021-07-05 주식회사 에치와이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KR102585338B1 (ko) 2020-11-30 2023-10-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동결건조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동결건조분말의 제조방법
JP2023554512A (ja) 2020-12-18 2023-12-27 イルド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マトリックスカプセル保護膜自然生成技術による乳酸菌の凍結乾燥の生存率、熱抵抗性、貯蔵安定性及び体内安定性が向上されたカプセル化プロバイオティクスのノンストップ製造工程
KR102416044B1 (ko) 2022-03-31 2022-07-04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산소의 노출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는 코팅 공법
KR102515677B1 (ko) 2022-11-14 2023-03-31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리토탐니온으로 코팅되어 장 건강 및 유해균 억제 능력이 향상된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857A (ja) * 1995-02-01 1996-08-13 Morinaga Milk Ind Co Ltd 微生物保護剤及び該保護剤を用いた凍結又は凍結乾燥微生物の製造法
KR20010078325A (ko) * 2000-02-03 2001-08-20 이상노 유산균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12023578A1 (ja) * 2010-08-19 2012-02-23 株式会社明治 乳酸菌および/またはビフィズス菌の生残性向上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857A (ja) * 1995-02-01 1996-08-13 Morinaga Milk Ind Co Ltd 微生物保護剤及び該保護剤を用いた凍結又は凍結乾燥微生物の製造法
KR20010078325A (ko) * 2000-02-03 2001-08-20 이상노 유산균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12023578A1 (ja) * 2010-08-19 2012-02-23 株式会社明治 乳酸菌および/またはビフィズス菌の生残性向上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LBALEK, ZDENEK: "Protectants Used in the Cryopreservation of Micro-organisms", CRYOBIOLOGY, vol. 46, no. 3, July 2003 (2003-07-01), pages 205 - 229, XP002376897 *
JUNG, CHAN SEOP: "Cryoprotectant Selection for Viability Improvement of Bifidobacterium longum during Freeze drying", BIOTECHNOLOGY, MASTER'S THESIS, February 2003 (2003-02-01), pages 1 - 40 *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411A (zh) * 2017-04-07 2020-02-18 钟根堂Bio(株) 包含通过涂敷丝素蛋白来使肠道内定殖性得以提高的乳酸菌的组合物
CN107287136A (zh) * 2017-07-06 2017-10-24 齐鲁工业大学 一种具有益生功能的益生固态乳酸菌菌剂的制备方法
CN107287121A (zh) * 2017-08-11 2017-10-24 洛阳泽达慧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菌冻干保护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9652491A (zh) * 2019-01-29 2019-04-19 润盈生物工程(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嗜酸乳杆菌氨基酸需求的筛查方法
CN113767164B (zh) * 2021-01-20 2023-08-15 科丝美诗纽芝丽株式会社 用于提高益生菌肠道存活率和粘附性的益生菌冻干物再激活组合物
KR102668148B1 (ko) 2021-01-20 2024-05-23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의 장내 생존율과 부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결 건조 프로바이오틱스의 재활성화 조성물
KR102302336B1 (ko) * 2021-01-20 2021-09-15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의 장내 생존율과 부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결 건조 프로바이오틱스의 재활성화 조성물
CN113767164A (zh) * 2021-01-20 2021-12-07 科丝美诗纽芝丽株式会社 用于提高益生菌肠道存活率和粘附性的益生菌冻干物再激活组合物
KR20220105574A (ko) * 2021-01-20 2022-07-27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의 장내 생존율과 부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결 건조 프로바이오틱스의 재활성화 조성물
WO2022158642A1 (ko) * 2021-01-20 2022-07-28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의 장내 생존율과 부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결 건조 프로바이오틱스의 재활성화 조성물
US20230346853A1 (en) * 2021-01-20 2023-11-02 Cosmax Nbt, Inc. Probiotic Lyophilizate Reactiv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Survivability and Adhesion of Probiotics
CN112795558A (zh) * 2021-02-01 2021-05-14 河北一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乳酸菌稳定性的三层包埋方法
CN113234597B (zh) * 2021-05-28 2022-09-27 江南大学 一种提高双歧杆菌的冻干抗逆性的培养方法及其应用
CN113234597A (zh) * 2021-05-28 2021-08-10 江南大学 一种提高双歧杆菌的冻干抗逆性的培养方法及其应用
CN115088844A (zh) * 2022-07-14 2022-09-23 河北益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菌油滴液及其制备方法
CN115088844B (zh) * 2022-07-14 2024-05-24 河北益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菌油滴液及其制备方法
CN116478857A (zh) * 2023-02-10 2023-07-25 宁波希诺亚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可产多糖的长双歧杆菌变种及其多糖在晶球益生菌制剂中的应用
CN116478857B (zh) * 2023-02-10 2023-12-15 宁波希诺亚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可产多糖的长双歧杆菌变种及其多糖在晶球益生菌制剂中的应用
CN116496969A (zh) * 2023-06-05 2023-07-28 四川大学 一种外源添加精氨酸以提高乳酸菌酸耐受性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516B1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0048A1 (ko)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604633B1 (ko) 유산균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방법
WO2012060579A2 (ko)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164231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improved in intestinal adherence by coating with silk fibroin
KR101772870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US12036252B2 (en) Pairing probiotics and prebiotics, methods for growth and use,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WO2020050460A1 (ko)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877233B (zh) 一种瑞士乳杆菌菌株及其应用
CN111534435B (zh) 一种可提高双歧杆菌耐酸性的冻干保护剂及其应用
US11718821B2 (en) Pairing probiotics and prebiotics, methods for growth and use,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CA3135622A1 (en) Method of producing bacterially derived indole-3-propionic acid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WO2020091334A1 (ko) 유산균의 동결 보호를 위한 시스테인 또는 이의 염의 용도
KR20180011490A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이의 용도
CN111264870A (zh) 一种高环境抗性的益生菌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673450B1 (ko)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가진 Pediococcus pentosaceus KID7 균주 포함 생균제 조성물
KR101772875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CN118019840B (zh) 一种延长寿命、抗衰老、减脂的罗伊氏乳杆菌及其产品与应用
KR20200049609A (ko) 유산균의 동결 보호를 위한 시스테인 또는 이의 염의 용도
KR102004204B1 (ko)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2872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Das et al. Isolation and Potential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an Ethnic Fermented Beverage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uman Pathogen Entamoeba histolytica.
JP2020150793A (ja) 腸内有用菌の増殖及び有機酸産生増強剤
JP2020137456A (ja) 乳酸菌培養用培地
WO2018111024A1 (ko)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21013B (zh) 一种具有定植作用的包埋性益生菌制品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07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07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