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20326A1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20326A1
WO2015020326A1 PCT/KR2014/006670 KR2014006670W WO2015020326A1 WO 2015020326 A1 WO2015020326 A1 WO 2015020326A1 KR 2014006670 W KR2014006670 W KR 2014006670W WO 2015020326 A1 WO2015020326 A1 WO 20150203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composite polarizing
polarizer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66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한영
문제욱
이도규
Original Assignee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44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37056B/zh
Publication of WO20150203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203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3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e or more carboxylic moiety in the chain, e.g. acetoacetoxyethyl(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1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for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often include a patterned retardation film.
  • the patterned retardation film configures the optical axis of each pattern region in different direction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by different image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viewer wearing polarized glasses.
  • the patterned retardation film can typically be formed by forming an alignment film on a glass substrate and coating and aligning the liquid crystal on the alignment film.
  • the photoreactive liquid crystal material is oriented on the alignment film and then crosslinked by light irradiation such as ultraviolet light to form a polymer liquid crystal film.
  • the retarder pattern functions according t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alignment of the alignment film.
  • the patterned retardation film is usually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rough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n recent years also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for thinner film weight.
  • the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y shrink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phase difference may be different for each position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thereby reducing the 3D stereoscopic feeling.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0028881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film patterned retarder, a film patterned retarder, and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28881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capable of remarkabl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hen used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by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n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butyl acrylate, (4- (hydroxymethyl) cyclohexyl) methyl acrylate and hydroxyethyl acrylamide At least one selected.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is composed of (meth) 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and 4- (2- (acryloyloxy) ethoxy) -4-oxobutanoic aci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s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4-((2- (acryloyloxy) ethoxy) carbonyl A benzoic aci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hydroxy-3- (phenylamino) propyl acrylate, 2-((2-acrylamidoethoxy) carbonyl) benzoic acid,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composition wherein the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s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9 to 5: 5 compared to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nd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ionic monomer is an acrylic ammonium salt, vinylimidazole ammonium salt or a mixture thereof, adhesive composition.
  • the cross-linking agent monoaldehydes, dialdehydes, amino-formaldehyde resin, glyoxalate, acetal compound, divalent metal, trivalent metal, tetravalent metal, metal chelate compounds, oxazoline Adhesive composition, which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sins, melamines, aziridines and polyvalent inorganic acids.
  •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based on solids.
  •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any one of 1 to 10 above.
  • the polarizer is a film having a function of a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film is bon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bonded to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11 above, wherein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comprises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contain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including a benzene ring.
  • the edge portion of the polarizer is patterned from the side of the retardation layer patterned,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11 above.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hen used to bond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and peeling and rolling phenomenon are suppressed eve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for a long tim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has a polarizing function and an improved 3D stereoscopic effect.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bonded to a display panel or the like wh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and an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a crosslinking agent, when used to bond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significantly improv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nd improves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as well as images.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crylic copolymer as an aqueous adhesive.
  • the acrylic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an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having a carboxy group /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or an acrylic having a hydroxyl group It is a copolymer of the acryl-type monomer which has a monomer / carboxy group / acryl-type monomer which has an aromatic ring of C6-C18.
  • Acrylic monomers having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significantly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bond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This is judged to be due to hydrogen bonding with the polarizer surface polar group and the polar group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of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significantly improv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pi bond interaction with the benzene ring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of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the heat resistance and the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are also improved.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onomer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but those having high solubility in a solvent are preferable, for exampl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butyl acrylate, (4- (Hydroxymethyl) cyclohexyl) m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mide, and the like.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onomer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but those having high solubility in a solvent are preferable,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4- (2- (acryloyloxy) ethoxy) -4-oxobutanoic acid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onomer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but high solubility is preferable to improve water dispersibility.
  •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 2-hydroxy-3-phenoxypropylacrylate, 4-((2- (acryloyloxy) ethoxy) carbonyl) benzoic acid, 2-hydroxy-3- (phenylamino) propyl Acrylate, 2-((2-acrylamidoethoxy) carbonyl) benzoic acid,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the acrylic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 mixing ratio within the range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for example, having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 the acrylic monomer may be polymerized by being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9 to 5: 5 relative to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nd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When the mixing ratio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may be maximized.
  • the acrylic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lymerized further including an ionic monomer.
  • solubility in a solvent is remarkably improved, and generation
  • the ionic mon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the above effects by improving solubili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ammonium salts and vinylimidazole ammonium salts. Specifically, the monomer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3) is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content of the ionic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the range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 for example, may be included in 10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When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satisfy both excellent solubility and adhesion.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5,000 to 100,000.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adjusted by changing conditions such as the content of the initiator,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reaction time, the type and content of the catalyst, and the use of other components.
  • the kind of the solvent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 such as polyvinyl alcohol, polyamine, and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crylic copolymer.
  • a copolymer such as polyvinyl alcohol, polyamine, and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crylic copolymer.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rosslinking agent.
  •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crosslinking agent commonly used in the art.
  • monoaldehydes such as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etc .
  • Glyoxal malondialdehyde, succinic aldehyde, glutaraldehyde, malealdehyde dialdehyde, phthalaldehyde, etc .
  • Amino-formaldehyde resins such as methylolurea, methylolmelamine, alkylated methylolurea, alkylated methylolated melamine, acetoguanamine, benzoguanamine and formaldehyde condensate
  • glyoxylic acid metal salts examples include alkali metals such as lithium, sodium and potassium, alkaline earth metals such as magnesium and calcium, transition metals such as titanium, zirconium, chromium, manga
  • Glyoxylates such as glyoxylic acid amine salts (such as ammonia, monomethylamine, dimethylamine, trimethylamine, etc.); Divalent metals such as magnesium, calcium, aluminum, iron, nickel; methoxy bullet, bullet-diethoxy, acetal compounds of the bullet, such as a dialkoxy on; Trivalent metals; Tetravalent metals; Metal chelate compounds; Oxazolines; Melamines; Aziridines; Polyvalent inorganic acids, such as boric acid, phosphoric acid, and sulfuric acid,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polarizer is generally used in the display field, and the polarizer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olarize incident light.
  • a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may be used by dyeing iodine or dichroic dye and drawing i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PVA polyvinyl alcohol
  •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may be a film having a function of a protective film or retardation film is bonded.
  • the configuration of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 configuration generally used in the art.
  • it may have a structure laminated in the order of the substrate, the alignment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or may be a structure that does not include the alignment film.
  •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is bond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faces the polarizer.
  • the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property, retardation uniformity, and isotropy.
  • the polyolefin resin, polyester resin, cellulos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styrene resin, vinyl chloride resin, amide resin, imide resin, polyether sulfone resin, sulfone resin, polyether sulfone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sulfonated polyphenylene resin,
  • a substrat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lcohol resin, vinylidene chloride resin, vinyl butyral resin, allylate resin, polyoxymethylene resin and epoxy resin can be used.
  • the alignment layer is formed by coat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lignment layer commonly used in the art on the substrate and imparting orientation, and then patterning the substrate to have different orientation directions. Can be.
  • the orientation providing method may include a rubbing method, a photo alignment method, and the like, and the patterning method may be based on a plurality of exposure processes using a photomask,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includ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RM) or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on an alignment layer and crosslinking the same.
  •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includ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RM) or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on an alignment layer and crosslinking the same.
  • RM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 the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monomer commonly used in the art, but preferably may be a monomer having a benzene ring.
  •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onto the substrate without the alignment layer, and may be exposed to simultaneously perform patterning and orientation to form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ompound which can be aligned by polarized ultraviolet light such as a linear photopolymerizable polymer for alignment.
  •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does not include an alignment layer, a thinner display can be realized.
  • 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or the like and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but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bonding by the water-based adhesive is carried out including a coating, bonding and drying step, because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has a high hygroscopicity, and absorbs and expands after the drying step.
  • the edge portion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bent from the polarizer side to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side, thereby facilitating easy bonding.
  • ⁇ degre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bonding can be easily made and does not affect the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for exampl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olarizer center of gravity and the point of 5cm from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3mm or more. If the degree of deflec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ase of joining can be maximized. Preferably from 3 to 5mm in that it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bonding properties.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may be 2 N / 25 mm or more, preferably 3 to 5 N / 25 mm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image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or semi-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devic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t a position where a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re stacked.
  • the weight ratio of hydroxyethyl acrylate, 4- (2- (acryloyloxy) ethoxy) -4-oxobutanoic acid and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based on solids content is 4: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3 parts by weight of zinc chloride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diluting with distilled water so that the concentration was 2%.
  • the weight ratio of hydroxyethylacrylamide, 4- (2- (acryloyloxy) ethoxy) -4-oxobutanoic acid and 2-hydroxy-3-phenoxypropylacrylate based on solids content is 2:
  •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and 3 parts by weight of zinc chloride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diluting with distilled water so that the concentration was 2%.
  • Hydroxybutylacrylate 4- (2- (acryloyloxy) ethoxy) -4-oxobutanoic acid and 2-((2-acrylamidoethoxy) carbonyl) benzoic acid based on solids conte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ratio of 4: 4: 2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3 parts by weight of zinc chloride as a crosslinking agent, and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a concentration of 2%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 the weight ratio of hydroxyethyl acrylate, carboxyethyl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and the monomer of the formula (3) based on the solid content is 2: 2: 3: 3,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copolymer of 10,000 and 3 parts by weight of zinc chloride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diluting with distilled water so that the concentration was 2%.
  • the weight ratio of hydroxyethyl acrylate, 4- (2- (acryloyloxy) ethoxy) -4-oxobutanoic acid and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based on the solids content is 20: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for 25:55.
  • Example 5 Same as Example 5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of hydroxyethyl acrylate, acrylic acid,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and the monomer of Formula 1 is 30: 30: 35: 5 based on the solids content
  •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the method.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rosslinking agent content was 22 parts by weight.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ratio of hydroxyethyl acrylate and carboxyethyl acrylate based on solids content of 4: 6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was used. It was.
  • a photopolymerizabl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1 part by weight of Igacure-184 (BASF) as an initiato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2-hydroxy-3-phenoxypropylacrylate.
  • BASF Igacure-184
  • MPR32, DNP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DNP triacetyl cellulose protective film
  • the mixture was dried at 100 ° C. for 3 minutes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to cure.
  • Peel force was measured by cutting the prepar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sample in a width of 25mm, peeling at a rate of 300mm / min in the 180 degree peeling direction.
  •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protective film and cured, and then bonded to soda glass and autoclaved.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was cut into 10 cm X 10 cm,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as placed upward on a flat work surfac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to th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4 was very excellent in the peel force of 3.3N / 25mm or more, and no bubbles or peeling occurred at all was excellent in both heat resistance and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 And it bent 3.5 mm or more and confirmed that the easy joining was possible.
  • the peeling forc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more excellent, including the acrylic copolymer polymerized with the ionic monomer.
  • Example 11 In the case of Example 11 containing the crosslinking agent in excess, the performance was slightly lowered but still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대해 접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구현용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에는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각 패턴 영역의 광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하여 편광 안경을 쓴 시청자의 좌, 우안에 전달되는 영상이 다르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통상적으로 유리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시키고 이 배향막 위에 액정을 코팅 및 배향시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응성 액정 물질은 배향막 상에서 배향된 후 자외선 등의 광 조사에 의해 가교되어 고분자 액정 필름의 형태가 된다. 이 때 배향막의 표면 배향에 준하는 액정의 배향 방향에 따라 리타더 패턴의 기능을 하게 된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통상적으로 편광판의 한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접합되고, 근래에는 보다 박막 경량화를 위해 폴리비닐알콜 편광자의 한 면에 접합되기도 한다.
이러한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과 편광판 또는 편광자 사이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공정시 취급 과정 또는 사용 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온 다습한 조건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 박리되거나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의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는 연신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위상차층의 위치별로 위상차가 상이해져 3D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력이 우수하면서, 내온수성, 내습열성 등의 기능을 고루 갖춘 우수한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881호에는 필름·패턴드·리타더의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패턴드·리타더, 및 그것을 갖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881호
본 발명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의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 2-히드록시-3-(페닐아미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 2-((2-아크릴아미도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대비 1:9 내지 5:5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중합되는, 접착제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온성 모노머를 더 포함하여 중합되는, 접착제 조성물.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아크릴계 암모늄염, 비닐이미다졸계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접착제 조성물.
8. 위 6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전체 모노머 중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되어 중합되는, 접착제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모노알데히드류, 디알데히드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글리옥살산염, 아세탈 화합물, 2가 금속, 3가 금속, 4가 금속, 금속킬레이트 화합물류, 옥사졸린류, 멜라민류, 아지리딘류 및 다가무기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고형분 기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1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위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인, 복합 편광판.
13. 위 11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를 함유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4. 위 11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 편광판.
15. 위 11에 있어서, 모서리부가 편광자측으로부터 패턴화된 위상차층 측으로 휜, 복합 편광판.
16. 위 15에 있어서, 편광자 무게중심과 무게중심으로부터 5cm인 지점 중 최고점과의 고도차가 3mm 이상인, 복합 편광판.
17. 위 11에 있어서,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박리력이 2N/25mm 이상인, 복합 편광판.
18. 위 11의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의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다습 조건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에도 박리 및 밀림 현상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편광 기능 및 개선된 3D 입체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대해 접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의 접합 직후 상태 및 수분 흡수에 의해 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대해 접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수계 접착제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다.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한다. 이는, 편광자 표면 극성기 및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액정 코팅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극성기와의 수소결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찬가지로,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도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는데, 이는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액정 코팅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벤젠 고리와의 파이 결합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접합력 개선에 의해 내열성 및 내습열성도 개선된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수분산성 개선을 위해 용해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 개선의 측면에서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 2-히드록시-3-(페닐아미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 2-((2-아크릴아미도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상기 기능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혼합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대비 1:9 내지 5:5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중합될 수 있다. 혼합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온성 모노머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잔존 이물에 의한 휘점성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모노머는 용해도 개선에 의한 상기 효과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암모늄염, 비닐이미다졸계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6670-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4006670-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4006670-appb-I000003
이온성 모노머는 상기 기능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체 모노머 중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용해성과 접착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통상의 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개시제의 함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촉매의 종류 및 함량, 기타 성분의 사용 등과 같은 조건을 변화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용매와 중합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외에도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 폴리아민 등의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한다.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메틸올우레아,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메틸올우레아, 알킬화메틸올화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글리옥실산 금속염(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티탄, 지르코늄,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등의 전이 금속, 아연,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옥실산 아민염(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등의 글리옥실산염; 디메톡시에탄알, 디에톡시에탄알, 디알콕시에탄알 등의 아세탈 화합물;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가 금속; 3가 금속; 4가 금속; 금속킬레이트 화합물류; 옥사졸린류; 멜라민류; 아지리딘류; 붕산, 인산, 황산 등의 다가무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형분 기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복합 편광판>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접합되어, 그 접합력이 우수하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 조성물층은 편광자와는 수소 결합을 형성하며, 패턴화된 위상차층과는 파이 결합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편광자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빛을 편광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 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키고 이를 일정 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배향막 및 액정코팅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일 수도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액정코팅층이 편광자쪽을 향하도록 접합된다.
기재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 균일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향막은 기재 상에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배향성을 부여한 후에, 서로 다른 배향 방향을 갖도록 패턴화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향성 부여 방법은 러빙 방식, 광 배향 방식 등을 들 수 있고, 패턴화 방법은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복수의 노광 공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광에 사용되는 광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편광된 자외선 조사, 소정의 각도로 이온빔 또는 플라즈마빔 조사 및 방사선 조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편광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코팅층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RM) 등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배향막 상에 도포하고, 가교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반응성 액정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벤젠 고리를 갖는 모노머일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향막 없이 기재 상에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노광시켜 패턴화 및 배향을 동시에 수행하여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배향을 위해, 직선 광중합성 폴리머 등의 편광 자외선 광에 의해 배향이 가능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박막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부착되어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이러한 접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계 접착제에 의한 접합은 도공, 접합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데, 편광자 및 보호필름은 흡습성이 크므로, 상기 건조 단계 이후에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합 편광판의 모서리부가 편광자측으로부터 패턴화된 위상차층 측으로 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이한 접합이 가능하다.
휜 정도는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구성 등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편광자 무게중심과 무게중심으로부터 5cm인 지점 중 최고점과의 고도차가 3mm 이상일 수 있다. 휜 정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접합의 용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우수한 물성 및 접합성을 고루 갖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mm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이 매우 우수하다. 예를 들면,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박리력이 2N/25m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N/25mm 이상 일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화상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화상구현용 또는 반투과형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종래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적층되는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4:4: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3%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 및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4:4: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2%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 및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2:6: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2%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 및 2-((2-아크릴아미도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의 중량비가 4:4: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2%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의 모노머의 중량비가 2: 2: 3: 3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2%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6670-appb-I000004
실시예 6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3의 모노머의 중량비가 2: 2: 3: 3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2%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4006670-appb-I000005
실시예 7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0: 45: 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 및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20: 25: 5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1의 모노머의 중량비가 30: 30: 35: 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3의 모노머의 중량비가 10: 20: 15: 5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가교제 함량이 22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단일 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로 염화아연 3중량부를 혼합하고, 농도가 2%가 되도록 증류수 및 아세톤 혼합 용매(부피비 50:50)로 희석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4:6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개시제로 Igacure-184(바스프사)를 1중량부 첨가하여 광중합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박리력 측정
패턴화된 위상차층(MPR32, DNP사)과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필름이 일면에 접합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액정코팅층과 편광자가 접하도록 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로 Roll laminator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평가를 위해 말단 부분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에 100℃로 3분간 건조하고, 상온에서 48시간 방치하여 경화시켰다.
박리력은 상기 제조된 복합 편광판 샘플을 25mm 폭으로 절단한 뒤, 180도 박리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2) 내열성, 내습열성 평가
상기 실험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고, 보호필름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 및 경화시킨 다음에, 소다글라스에 접합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이후에 각각 80℃에서 500시간, 60℃, 90% RH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에, 액정코팅층과 편광자의 접합면에서의 기포나 박리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 기포나 박리가 없음
: 기포나 박리가 있으나, 매우 작은 부분에 한정하여 확인됨
X: 기포나 박리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됨
○의 경우, 내열성 및 내습열성 모두 상기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로 평가하였다. △ 및 X의 경우 내열성 및 내습열성 중 하나만 상기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 또는 X로 평가하였다.
(3) 휨 정도 측정
상기 실험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편광판의 무게중심부를 10cm X 10cm로 절단하여 평평한 작업대 위에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위로 향하도록 놓았다.
이후에, 작업대로부터 편광자측의 가장 높이 휜 변의 중심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4006670-appb-T000001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박리력이 3.3N/25mm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고, 기포나 박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그리고, 3.5mm 이상 휘어, 용이한 접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및 6의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 이온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복합 편광판의 박리력이 보다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 7 및 8의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비가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서 성능이 다소 저하되었으나, 여전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및 10의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 이온성 모노머 함량이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서 실시예 5 및 6에 비해 성능이 다소 저하되었으나, 여전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가교제를 과량으로 포함한 실시예 11의 경우도, 성능이 다소 저하되었으나 여전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박리력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는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떨어졌고, 비교예 3의 경우는 전혀 휘지 않아 접합이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부호의 설명]
100: 편광자 200: 접착제층
300: 패턴화된 위상차층 400: 보호필름

Claims (18)

  1.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옥소부타노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 2-히드록시-3-(페닐아미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 2-((2-아크릴아미도에톡시)카르보닐)벤조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대비 1:9 내지 5:5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중합되는, 접착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온성 모노머를 더 포함하여 중합되는, 접착제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아크릴계 암모늄염, 비닐이미다졸계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접착제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모노머는 전체 모노머 중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되어 중합되는, 접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모노알데히드류, 디알데히드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글리옥살산염, 아세탈 화합물, 2가 금속, 3가 금속, 4가 금속, 금속킬레이트 화합물류, 옥사졸린류, 멜라민류, 아지리딘류 및 다가무기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고형분 기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1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인, 복합 편광판.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를 함유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 편광판.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모서리부가 편광자측으로부터 패턴화된 위상차층 측으로 휜, 복합 편광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편광자 무게중심과 무게중심으로부터 5cm인 지점 중 최고점과의 고도차가 3mm 이상인, 복합 편광판.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박리력이 2N/25mm 이상인, 복합 편광판.
  18. 청구항 11의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CT/KR2014/006670 2013-08-08 2014-07-23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50203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4896.1A CN105637056B (zh) 2013-08-08 2014-07-23 粘合剂组合物及使用其的复合偏光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07A KR101902907B1 (ko) 2013-08-08 2013-08-08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10-2013-0094107 2013-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0326A1 true WO2015020326A1 (ko) 2015-02-12

Family

ID=5246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6670 WO2015020326A1 (ko) 2013-08-08 2014-07-23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902907B1 (ko)
CN (1) CN105637056B (ko)
TW (1) TW201506108A (ko)
WO (1) WO2015020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766B1 (ko) * 2017-12-11 2024-04-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964457A (zh) * 2019-12-18 2020-04-07 苏州世华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甲基丙烯酸酯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该组合物的胶带
CN113583607A (zh) * 2021-08-27 2021-11-0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保护胶的组合物、显示面板的制备方法和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414A (ko) * 2008-08-06 2010-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KR20110042580A (ko) * 2009-10-19 2011-04-2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20134950A (ko) * 2011-06-03 2012-12-12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부재
KR20130056168A (ko) * 2011-11-21 2013-05-29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816B1 (ko) * 1998-11-30 2006-06-23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시트
CN1216923C (zh) * 2000-06-23 2005-08-31 索罗蒂亚公司 形成实心压敏粘合剂聚合物微球的方法
JP3997270B2 (ja) * 2005-11-21 2007-10-24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5871297B2 (ja) * 2007-11-02 2016-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107437A (en) * 2009-06-09 2011-03-01 Nippon Synthetic Chem Ind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adhesive for optical members and optical member with adhesive layer using it
KR20150017650A (ko) * 2013-08-07 2015-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KR20150017649A (ko) * 2013-08-07 2015-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414A (ko) * 2008-08-06 2010-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KR20110042580A (ko) * 2009-10-19 2011-04-2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20134950A (ko) * 2011-06-03 2012-12-12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부재
KR20130056168A (ko) * 2011-11-21 2013-05-29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05A (ko) 2015-02-23
CN105637056B (zh) 2018-04-20
KR101902907B1 (ko) 2018-11-13
TW201506108A (zh) 2015-02-16
CN105637056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5017A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JP2010191389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35117A1 (ko) 편광판
WO201614838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5020326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8159923A1 (ko)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5020325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9013599A1 (ko) 편광판
WO2016159645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30104539A (ko)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WO2019059630A2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WO2015060567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6085072A1 (ko) 편광자 보호층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자 보호층,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5060571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21177621A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15060553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4088273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5020323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5020322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319141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9231213A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5020330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JP7369160B2 (ja) 光学積層体
WO2019156383A1 (ko) 아크릴 필름
WO2014200204A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34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34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