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75543A1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75543A1
WO2014175543A1 PCT/KR2014/001252 KR2014001252W WO2014175543A1 WO 2014175543 A1 WO2014175543 A1 WO 2014175543A1 KR 2014001252 W KR2014001252 W KR 2014001252W WO 2014175543 A1 WO2014175543 A1 WO 20141755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litis
soluble fraction
hai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2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현
한명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1651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39020B2/ja
Priority to AU2014258204A priority patent/AU2014258204B2/en
Priority to EP14788600.6A priority patent/EP2990047B1/en
Priority to CA2910250A priority patent/CA2910250C/en
Priority to CN201480035968.6A priority patent/CN105338993A/zh
Priority to US14/786,754 priority patent/US10195244B2/en
Publication of WO20141755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75543A1/ko
Priority to US16/216,093 priority patent/US1075138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uses of hair extracts and extracts such as rye,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including hair extracts and extracts.
  • Colitis is an inflammation of the large intestine that is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Tenesmus, bloating, lower abdominal pain and diarrhea are the main symptoms, and mucus, pus or blood mixes in feces. In some cases. Coliti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nfectious colitis and non-infectious colitis depending on the cause, and can be divided into acute colitis and chronic colitis according to the onset period. Acute colitis includes amebaidism, bacterial dysentery, and pseudomembranous enteritis caused by Salmonella or antibiotics. Chronic colitis includes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tuberculosis, syphilis, and X-rays.
  • Colitis also includes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s well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Ulcerative colitis (UC) and Crohn's disease (CD), the representative disease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have yet to be identified, and abdominal pain, severe chronic diarrhea and bloodiness It can cause diarrhea, it is hard to cure, and it is characterized by repeated improvement and deterioration. Ulcerative colitis is a disease in which mucous membranes or ulcers form continuously on the mucous membrane of the colon. Bloody stools, mucosal stools, diarrhea and abdominal pain occur, and in severe cases, systemic symptoms such as fever, weight loss, and anemia appear. . Ulcerative colitis can also occur anywher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Crohn's disease is a condition in which lesions such as ulcers are discontinuously occurring in any part of the digestive tract from the mouth to the anus. In addition to abdominal pain, diarrhea and bloody stools, in severe cases, fever, bleeding, weight loss, general malaise, and anemia Back symptoms appear. Ulcerative colitis and Crohn's disease differ in lesions and symptoms of inflammation, but because of similarities in many aspec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iseases is often unclear.
  • salazosulpapyridine which is frequently used as an aminosalicylic acid agent, has been reported to have side effects such as nausea, vomiting, anorexia, rash, headache, liver injury, white blood cell reduction, abnormal red blood cells, proteinuria, and diarrhea.
  • corticosteroids are generally used for oral administration of prednisolone, enemas, suppositories, and intravenous injections, but side effects such as femoral head necrosis due to gastric ulcer and long-term use are strong.
  • these drugs cannot be used continuously.
  • IBS Irritable bowel syndrome
  •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is a perennial herb of monocotyledonous genus Liliumaceae, and it is used as a medicinal herb or dried roots.
  • Herbal rhizome in oriental medicine is used as an antipyretic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chronic bronchitis or diabete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56335 discloses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hair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23953 describes the choline nervous system of hair extract. Damage improvement effect is disclos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75742 discloses a lipid metabolic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effect of the compound isolated from the hair.
  • Hulk is an evergreen perennial herb of the dicotyledonous plant of the genus Asteraceae, a specific example is Coptis teeta, Coptis japonica, Coptis chinensis, Coptis deltoidea, Coptis omeiensis .
  • the root stem is taken and dried in the sun as a medicinal herb.Berberine, Copticin, Tooine, Palmintine, etc. are known as active ingredients. I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pyretic, bile secretion and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s.
  • 10-2001-0085669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ug addi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sulfur as an active ingredient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 2009-0029022 disclos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diseases caused by UV ligh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f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comprising the extract of Cheonhwangye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22733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the extract of rhubarb as an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for periodontal disease, including the rhubarb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ic complications comprising, nerve cell protection and regeneration including the extract There is a hydrous product, etc. is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under the conventional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use, such as hair extract and rhubarb extract, specifically, to prevent, improve or improve colitis of a complex extract including a hair extract and a rye extract It is to provide a use for the treatmen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a study to develop an extract having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ctivity against colitis, targeting a large number of natural products that are safer than synthetic chemicals.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hair extract and rhubarb extract has excellent colitis-preventing or therapeutic activity against colitis-inducing model animal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ir extract, alcohol soluble fraction having 3 to 8 carbon atoms of the hair extract, a pharmaceutically (or food) acceptable salt of Mangiferin, Mangiferin , At least one selected from pharmaceutically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Neomangiferin or Neomangiferin and from alcohol soluble fractions having 3 to 8 carbon atoms in the sulfur extract or the sulfur extract.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comprising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At this time,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preferably has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 the hair extract, alcohol soluble fraction having 3 to 8 carbon atoms of the hair extract,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Mangiferin, Mangiferin, Neomangiferin (Neomangiferin) or Neomangiferin (Neomangiferin) may range from 10: 1 to 1:10, 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 1 to 5: 1,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 1 to 4: 1,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2: 1 to 4: 1.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air extract and rhubarb extract, wherein the weight ratio of hair extract to rhubarb extract is preferably 1: 1 to 5: 1, and 1 More preferably, 1: 1 to 4: 1, and most preferably 2: 1 to 4: 1.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may be a combination of an alcohol soluble fraction having 3 to 8 carbon atoms of the hair extract and an alcohol soluble fraction having 3 to 8 carbon atoms of the rye extract, wherein the hair extract
  • the weight ratio of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o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rhubarb extract is preferably 1: 1 to 5: 1, more preferably 1: 1 to 4: 1, and most preferably 2: 1 to 4: 1.
  • 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hair extract is preferably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2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is preferably suspended by adding water to the hair extract, and then obtained by adding and fractionating an alcohol having 3 to 8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o be.
  • the hair extract or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may preferably include Mangiferin or Neomangiferin as the active substance.
  • the raw material of the extract of the yellow lotus is Coptis chinensis .
  • 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rhubarb extract is preferably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2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sulfur extract is preferably suspended by adding water to the hair extract, and then obtained by adding and fractionating an alcohol having 3 to 8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the butanol-soluble fraction of the sulfur extract. to be.
  • the sulfur extract or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extract may preferably comprise berberine as the active substance.
  • colitis that can be treated, improved or prevent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such as acute colitis or chronic colitis, and may be, for example, inflammatory colitis or irritable colitis syndrome.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hair extract and the rhubarb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colitis-preventing or therapeutic activity for colitis-induced model animals, it can be used as a medicinal composi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food composition.
  • Suc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r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can be used to effectively prevent, delay, ameliorate or treat acute colitis or chronic colitis, particularly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or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Can be.
  •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IBS irritable bowel syndrome
  • Figure 1 shows the chemical structural formula of Mangiferin and Neomangiferin (Neomangiferi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as a drug sample
  • Figure 3 Whe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as a drug sample, colonic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are shown.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weight change, colon appearance score,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the mangiferi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s a drug sample .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the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and Figure 6 is acute by TNB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s induced colitis.
  • FIG. 7 shows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as a drug sample.
  • 8 is a graph showing TNF-alph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as a drug sample.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amount.
  • cytokine 9 is a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anti-inflammatory cytokine)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anti-inflammatory cytokine) in the colon tissu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the mangiferi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s a drug sample -inflammatory cytokine)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expression.
  •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11 is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TNBS.
  • FIG. 12 is a result showing that whe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administered to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marker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as suppressed. to be.
  • FIG. 13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mangiferi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administered to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 Figure 1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DS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 Figure 16 is acute by DS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s induced colitis.
  • 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when DSS is used as a drug sample
  • FIG. 18 is a compound sample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DSS.
  • 19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wa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DSS.
  • FIG. 20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caused by oxazolone when using the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 FIG. 21 shows the oxazolone when using the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 FIG. 22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with chronic colitis caused by oxazolone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3 is a complex as a drug sample.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model animals in which chronic colitis was induced by oxazolone when the extract was used.
  • 24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i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chronic colitis induced by oxazolone.
  • FIG. 2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model animals in which chronic colitis was induced by DSS when the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6 is chronic by DSS when the complex extract was used as the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s induced colitis.
  • FIG. 2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rectal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caused by DSS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8 is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by DSS.
  • 29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i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chronic colitis by DSS.
  • the term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d “food acceptable” mean that they do not significantly irritate the organism and do not inhibi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administered active substance.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inhibits the symptoms or delays the progression of a particular disease (eg colitis)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being treated, for example, the extent of symptoms.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alters the symptoms of a particular disease (eg, colitis)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subject with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uitable manner.
  • the subject refers to all animals, such as humans, monkeys, dogs, goats, pigs or mice having a disease that can improve the symptoms of a particular disease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or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which means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drug Sensitivity to,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administra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colitis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extracts of at least two herbal drug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lex extract is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the soluble fraction of alcohol having a carbon number of 3 to 8 in the hair extr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pharmacy of Mangiferin (Mangiferin), Mangiferin (Mangifer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or food-) acceptable salts, pharmaceutically (or food-) acceptable salts of Neomangiferin or Neomangiferin.
  •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active ingredient and the second active ingredient constituting the complex extract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active ingredient to the second active ingredient in the complex extract may be 10: 1 to 1:10, and is 1: 1 to 5: 1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 1 to 4: 1,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2: 1 to 4: 1.
  • the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combinations.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ir extract and a sulfu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ry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a sulfu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and an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sulfu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manjiferin and sulfur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cohol soluble fraction of manjiferin and sulfu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eomanziferin and sulfur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cohol soluble fraction of neomanziferin and sulfu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air extract and rhubarb extract or alcohol-soluble fraction of hair extract And soluble fractions of the rhubarb extract.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air extract and rhubarb extract
  • the weight ratio of hair extract to rhubarb extract is 1: 1 to 5 when considering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herapeutic effect of colitis.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a soluble fraction of the rhubarb extract
  • an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when considering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effect of colitis
  • the weight ratio of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rhubarb extract is preferably 1: 1 to 5: 1, more preferably 1: 1 to 4: 1, most preferably 2: 1 to 4: 1.
  • goldthread is if appropriate in barberry root in (Coptis) is not the type is severely limited, for example, may be selected from Coptis teeta, Coptis japonica, Coptis chinensis, Coptis deltoidea, Coptis omeiensis, is of colitis
  • Coptis chinensis is preferr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root stem with respect to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effect of the.
  • colitis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colon is inflamed due to bacterial infection or pathological fermentation of intestinal contents, and includes a concept including infective colitis and non-infectious colitis.
  • Specific types of colitis that can be prevented, improved, or treated through the complex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 both acute colitis and chronic colitis, and more specifically, inflammatory colitis or irritable colitis syndrome.
  •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cludes, for example, ulcerative colitis, or Crohn's disease.
  • Acute colitis is inflammation of the colon or colon that comes acutely, and the inflammation causes mucous membranes to show mucous diarrhea or bloodiness.
  • acute colitis includes not only acute infectious colitis but also acute gastric colitis and acute ulcerative colitis.
  • the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NBS), dextran sulfate sodium (DSS).
  • TNBS 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 DSS dextran sulfate sodium
  • the appearance of the colon is good for the model animal in which acute colitis is induced, the model animal in which chronic colitis is induced by oxazolone, and the model animal in which chronic colitis 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DSS).
  • MPO myeloperoxidase
  • the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various methods.
  • the complex extract may be prepared by adding the extraction solvent and extracting the mixed extract after mixing the hair and the yellow lotus, or may be prepared by adding and fractionating an alcohol having 3 to 8 carbon atoms to the mixed extract.
  • the complex extract may be prepared by obtaining a hair extract and a rhubarb extract, respectively, from the hair and the rhubarb, and then mixing them, or again obtaining an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an alcohol-soluble fraction of the rye extract from the hair extract and the rhubarb extract. You may mix and manufacture these.
  • the hair extract or rhubarb extract constituting the complex extract may b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solvent extraction method.
  • the extraction solvents used in the solvent extraction method are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or hydrous lower alcohols, 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 Glycerine, aceto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selected from hydrous alcohols, which are water, alcohols or mixtures thereof.
  • it is a hydrous alcohol.
  • the water is preferably hot water.
  • the alcohol is preferably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the lower alcohol is more preferably selected from methanol or ethanol.
  • alcohol content is 50 to 90%,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60 to 85%.
  • the hair extract or rhubarb extract constituting the complex extract may include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extracts obtained through other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or extracts obtained through purification and fermentation.
  • extracts obtained through other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or extracts obtained through purification and fermentation.
  • extractio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using carbon dioxide, extraction by ultrasound,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s, or various chromatography (size, charge, Active fractions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and extraction methods additionally carried out, such as separation by hydrophobicity or affinity), extraction by fermentation products of various microorganisms are also included 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supercritical fluids have the properties of liquids and gases when the gas reaches a critical poi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have a chemically similar polarity to nonpolar solvents. J. Chromatogr. A. 1998; 479: 200-205.
  • Carbon dioxide becomes a supercritical fluid with both liquid and gaseous properties a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reach a critical point through the operation of a supercritical fluid device, resulting in increased solubility in fat-soluble solutes.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asses through an extraction vessel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sample, the fat-soluble substance contained in the sample is extracted from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osolvent is passed through the sample remaining in the extraction container to extract components that were not extracted with pur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lone.
  • the supercritical fluid used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b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r a mixed fluid in which a co-solvent is added to carbon dioxide.
  • cosolvent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and diethyl ether can be used.
  •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is an extraction method using the energy generat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the ultrasonic wave can destroy the insoluble solvent contained in the sample in the water-soluble solvent, due to the high local temperature is generated Since the kinetic energy of the reactant particles is increased, sufficient energy required for the reaction is obtained, and the extra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inducing high pressure by the impact effect of ultrasonic energy to increase the mixing effect of the substance and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sample.
  • the extraction solvent that can be used i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may be used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and diethyl ether.
  • the extracted sample is vacuum filtered to recover the filtrate, and then removed by a vacuum evaporator, the extract can be obtained through a conventional extract preparation method of freeze drying.
  • the hair extract or rhubarb extract constituting the complex extract also includes a fermented extract, for example, the fermented extract of hair can be prepared as follows.
  •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constituting the complex extract and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rhubarb extract may be obtained from the hair extract and the rhubarb extract, respectively.
  • the alcohol used to obtain the soluble fraction has a carbon number of 3 to 8, the carbon number is 3 when considering the solubility of the active material contained in the hair extract or the a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rhubarb extract and the vacuum concentration process after solubilization, etc. It is preferably from 6 to 6, more preferably from 3 to 5 carbon atoms, most preferably from 4 carbon atoms.
  • the alcohol having 4 carbon atoms used for solubilizing the hair extract or solubilizing the yellow lotus extract includes n-butanol, sec-butanol, isobutanol, tert-butanol, and the like.
  •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r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rhubarb extract is composed of components that can be soluble in alcohols having 3 to 8 carbon atoms amo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hair extract or the rhubarb extract, in which case the hair extract or rhubarb
  • the extract is preferably extracted with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2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r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rhubarb extract is obtained by using, for example,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2 carbon atoms, or a hydrous alcohol which is a mixture thereof as an extractant to obtain a hair extract or a sulfur extract. After suspension by addition, alcohols having 3 to 8 carbon atoms (eg, butanol) can be added and fractionated.
  • alcohols having 3 to 8 carbon atoms eg, butanol
  • the hair extract or alcohol soluble fraction thereof preferably includes Mangiferin or Neomangiferin as the active substance.
  • Mangiferin or Neomangiferin may be one component of the complex extract instead of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r the hair extract.
  • the rhubarb extract or alcohol soluble fraction thereof preferably includes berberine as the active substance.
  • the rhubarb extract or an alcohol soluble fraction thereof may further include palmin, coctisin, columbine or jathrorizine as the active substance.
  • the a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extract or alcohol soluble fraction thereof and the rhubarb extract or the alcohol soluble fraction thereof may cause slight differences in the type or content of specific components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or fractionation method.
  • Mangiferin or Neomangiferin constituting the complex extract may be separated from plants such as gimos.
  • Figure 1 shows the chemical structural formula of Mangiferin and Neomangiferin (Neomangiferin).
  • neomanziferrin has the same aglycone as manjiferin, and aglycone in glycoside compounds is known to dominate physiological activity. Therefore, it would be obvious to self anticipate the anti-colitis activity of neomanziferin from the anti-colitis activity of manziferin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 acid addition salts formed by free acid are useful.
  • Acid addition salts ar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by dissolving a compound in an excess of aqueous acid solution and precipitating the salt using a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Equivalent molar amounts of the compound and acid or alcohol (eg, glycol monomethyl ether) in water can be heated and the mixture can then be evaporated to dryness or the precipitated salts can be suction filtered.
  • a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 Equivalent molar amounts of the compound and acid or alcohol (eg, glycol monomethyl ether) in water can be heated and the mixture can then be evaporated to dryness or the precipitated salts can be suction filtered.
  • organic acids and inorganic acids may be used as the free acid
  • hydrochlo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tartaric acid,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inorganic acid
  • metha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acetic acid, and trifluoro may be used as the organic acid.
  • Acet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benzo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nderic acid, propionic acid, lactic acid, glycolic acid, gluconic acid, Galacturonic acid, glutamic acid, glutaric acid, glucuronic acid, glucuronic acid, aspartic acid, ascorbic acid, carbonic acid, vanillic acid, hydroiodic acid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s may also be used to prepare pharmaceutically or food acceptable metal salts.
  • An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is obtained by, for example, dissolving a compound in an excess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insoluble compound salt, and then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 the metal salt it is particularly suitable to prepare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and the corresponding silver salt is obtained by reacting an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with a suitable silver salt (for example, silver nitrate).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comprising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embodi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additive, a food composition (particularly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 feed additiv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purpose or aspect of use.
  • content of the complex extract in the composition may be adjusted in various ranges according to the specific form of the composition, the purpose of use, and the aspect.
  • the content of the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0.1 to 99% by weight, preferably 0.5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Preferably 1 to 30% by weigh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in addition to the complex extract.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known active ingredient having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effect in addition to the complex extra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r a parenteral administra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when formulated,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surfactants, etc. Diluents or excipients may be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mpris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water Can be prepared by mixing cross (Lucose), lactose (Lactose) or gelatin.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water and liquid paraffin.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it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according to each disease or component by an appropriate method in the art or using a method disclosed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to mammals including humans according to a desired method,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include external skin, intraperitoneal injection, rect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muscle Intra-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the range thereof depends on the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 time of administration, method of administration,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Varies.
  • Conventional daily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y 0.1 to 1000 mg / kg, preferably 1 to 500 mg / kg based on the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it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 the content of the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l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0.01 to 50% by weight, preferably 0.1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ay be 0.5 to 10% by weight.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rm of pills, powders, granules, acupuncture, tablets, capsules, or liquids, and examples of specific foods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a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functional water,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of the health food in the usual sens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in addition to the composit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And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flesh for preparing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glucose, monosaccharides such as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martin, stevia extract, synthetic flavor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spartame, etc. may be used.
  • n-butanol soluble fraction After 189 g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suspended in 1.5 L of water, 1.5 L of n-butanol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left to shake to separate an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and a water soluble fraction layer.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was tak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give 41 g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The yield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8.2% or more based on the hair, and the content of Mangiferin contained i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10% or more.
  • FIG. 1 shows the chemical structural formula of Mangiferin (Neomangiferin) and Neomangiferin.
  • the yields of Mangiferin and Neomangiferin were at least 0.5% and at least 0.1%, respectively, based on the hair mass.
  • n-butanol soluble fraction 190 g of the five gal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4 was suspended in 1.5 L of water, and then, 1.5 L of n-butanol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left to shake to separate an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and a water soluble fraction layer.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was tak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give 102 g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 n-butanol soluble fraction Yield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at least 21% based on the gallant, and 1,2,3,4,6-penta-O-galloyl- ⁇ -D-glucose contained i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 glucose1,2,3,4,6-penta-O-galloyl- ⁇ -D-glucose) was more than 30%.
  •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was tak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give 112 g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 the yield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at least 5.5%, and the content of Lancemaside A contained i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at least 4%.
  • n-butanol soluble fraction After 123 g of the extract of Cheonhwang Lotus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8 was suspended in 1.5 L of water, 1.5 L of n-butanol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left to shake to separate an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and a water soluble fraction layer.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was tak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give 63 g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The yield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at least 12.5% based on cheonyan lotus. Components for n-butanol soluble fractions were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ters Alliance 2695 model).
  • the column was YMC Hydrosphere C18 (YMC Hydrosphere C18, S-5 ⁇ m, 120nm, 4.6 ⁇ 250mm I.D) and the sampl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5 °C ⁇ 1, column temperature 30 °C ⁇ 1.
  • the sample concentration was prepared at 1 mg / ml and injected into 10 ⁇ l, and the flow rate was analyzed at 1.0 ml / min.
  • the standard materials were commercially available berberine, palmin, Copticin, etc. from Sigma, and was used to separate and purify the columbine and jathrorizine from the rye.
  • Calcul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indicated the area ratio for each standard in weight percent.
  •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xtract of Cheonhwang Lyeon contains 27-30% berberine, 7-8% palmatin, 5-6% copticin, 0.8-1.2% columamine, 0.8-1.2% jatrorizine It was.
  • a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50 parts by weight of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50 parts by weight of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gall extract.
  • a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50 parts by weight of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hair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50 parts by weight of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7.
  • a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50 parts by weight of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50 parts by weight of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9.
  • mice Six-week old male mice (C57BL / 6, 18-22 g)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All mice were bred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50 ⁇ 10% humidity and 20 ⁇ 22 ° C, and lighting was repeated for 12 hours and then turned off for 12 hours. Feed was used as standard experimental feed (Samyang, Korea) and drinking water was freely consumed. In all experiments, one group had 6 animals.
  • TNBS 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 the experimental animal was lightly anesthetized with ether, and 2.5 g of NBS (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solution was mixed with 50% ethanol. Inflammation was induced by injecting 0.1 ml inward and holding it vertically for 30 seconds.
  • the norm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0.1 ml of saline solution. Thereafter, the drug sample i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once daily for 3 days starting the next day and orally administered at a predetermined dose.
  • the weight of the experimental animal was measured on the next day, and the weight change amount was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the initial weight.
  • the extracted colon was observed by observing its length and appearance and sco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able 1 (Hollenbach et al., 2005 criteria for colitis degree). At this time, a mesalazine (Sigma) administration group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colon contents were taken for intestinal microbial analysis and stored frozen at minus 80 °C. Colon tissues were removed from the colon contents, wash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some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fixative for use as pathological samples. The rest were frozen and stored at -80 ° C for molecular biology analysis.
  • the plate was inverted and emptied, and each well was washed with 200 ⁇ l of washing buffer.
  • the washing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using 200 ⁇ l of wash buffer, and then 100 ⁇ l of diluted streptavidin-peroxidase conjugate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 plate was inverted and emptied, and each well was washed with 200 ⁇ l of washing buffer.
  • the washing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using 200 ⁇ l of wash buffer, and then 100 ⁇ l of TMB substrate solution was added and the plate was wrapped in aluminum foil to block light and allowed to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 the reaction was stopped by adding 100 ⁇ l of a stop solu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n ELISA reader.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as a drug sample
  • Figure 3 Whe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as a drug sample, colonic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are shown.
  • N or "NOR” refers to a normal group
  • TNBS refers to a group in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supplied to the model animal causing acute colitis caused by TNBS instead of a separate drug sample
  • a "or” AJ means means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 A10 and “A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 of alleviating or ameliorating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body weight change, colon appearance score,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the mangiferi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s a drug sample .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MF means mangiferin.
  • MF10 and “MF20” mean that the single doses of the drug sample “MF” are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S in FIG. 4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Mangiferin showed an effect of alleviating or ameliorating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the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and Figure 6 is acute by TNB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s induced coliti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L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and the complex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mesalazine) showed a similar level of acute colitis inhibitory effect, in particular,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has the effect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Better than the complex extract.
  • FIG. 7 shows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as a drug sample.
  • 8 is a graph showing TNF-alph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as a drug sample.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amount.
  • "NOR" refers to the normal group and "A” refers to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 “A10” and “A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IL-1 beta corresponding to proinflammatory cytokine in the colon tissu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was administered.
  • the expression levels of IL-6 and TNF-alpha decreased depending on the drug dose,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IL-10 corresponding to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ncreased depending on the drug dose.
  • cytokine 9 is a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anti-inflammatory cytokine)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anti-inflammatory cytokine) in the colon tissu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using the mangiferi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s a drug sample -inflammatory cytokine)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expression.
  • MF refers to Mangiferin
  • MS refers to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IL-1 beta, IL-6 and TNF corresponding to proinflammatory cytokine in the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mangiferin was administered.
  • the expression level of alpha decreased depending on the drug dose, and the expression level of IL-10 corresponding to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ncreased depending on the drug dose.
  •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11 is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TNBS.
  • N or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and the complex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Similar levels of mesalazine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0.3 g of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as homogenized by adding 1 ml of RIPA buffer (Gibco) containing a protease inhibitor cocktail. Subsequently,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ation for 15 minutes at 4 ° C. and 13000 rpm was stored at minus 80 ° C., while COX-2, iNOS, p65 (NF-kappa B) and p-p65 (phosphor-NF-kappa B) And ⁇ -actin expression level was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method. First, 50 ⁇ g of the supernatant was electrophoresed for 1 hour and 30 minutes in SDS 10% (w / v) polyacrylamide gel.
  • the electrophoretic sample was transferred to nitrocellulose paper for 1 hour and 10 minutes at 100 V and 400 kPa.
  • the sample was blocked with 5% skim milk for 30 minutes after transferring the transferred nitrocellulose paper, and washed with PBS-Tween three times for 5 minutes and the primary antibody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at a ratio of 1: 100.
  • the reaction was overnight. Thereafter, the mixture was washed three times for 10 minutes, and reacted with a secondary antibody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at a ratio of 1: 1000 for 1 hour and 20 minutes. Thereafter, the mixture was washed three times for 15 minutes, and developed after fluorescence.
  • FIG. 12 is a result showing that when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administered to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marker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as suppressed. to be.
  • "A” means n-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dosage unit of the drug sample is mg / kg of mouse.
  • FIG. 13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mangiferi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administered to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 MF refers to Mangiferin
  • MS refers to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FIG. 14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i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 N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As shown in FI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cheonnyeon lotus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Jimmy,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mesalazine (mesalazine). Inhibitory levels of COX-2, iNOS, and p-p65 (phosphor-NF-kappa B) were inhibited.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had a better effect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Table 2 summarizes the effect of alleviating or improving colitis of drug samples administered to model animals induced by acute colitis induced by TNBS.
  • the value of the analysis item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normal group fed physiological saline instead of a separate drug sample to the experimental animals not treated with TNBS.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Cheonhwang Lotus extract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gall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Deodeok extract
  • TNBS TNBS
  • the fractions of the hair extract, the extracts of the gall bladder extract, the fractions of the deodeok extracts, or the fractions of the rhubarb extracts each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colitis relief or improvement.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It is determined that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act on different targets related to colitis relief or treatment, respectively, and thus show a high synergy effect when used in combination. In addition, the colitis-relieving or improving effect of the fractions of the extract and Cheonryeon lotus extract can be replaced even i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is replaced with Manjiferin, which is a compound separated from the extract of the hair, or the extract of Cheonryeon lotus extract. It is expected to be the same.
  • mice Six-week old male mice (C57BL / 6, 18-22 g)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All mice were bred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50 ⁇ 10% humidity and 20 ⁇ 22 ° C, and lighting was repeated for 12 hours and then turned off for 12 hours. Feed was used as standard experimental feed (Samyang, Korea) and drinking water was freely consumed. In all experiments, one group had 6 animals.
  • test animals One group of test animals was normal, and the other group of test animals induced acute colitis with dextran sulfate sodium (molecular weight: 36-50 kDaltons). Specifically, a 2.5% (w / v) aqueous dextran sulfate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for 7 days to prepare a model for acute colitis. On the other hand, the normal group was supplied with drinking water. Thereafter, the drug sample i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once daily for 3 days starting the next day and orally administered at a predetermined dose. The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sample, the animal is choked with carbon dioxide and killed, and the large intestine from the cecum to the anus immediately before It extracted.
  • Body weight change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the appearance of the colon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MPO Myeloperoxidase
  • Figure 1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DS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 Figure 16 is acute by DSS when using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s induced coliti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L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cheonnyeon lotus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Jimmy, the extract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mesalazine) showed a similar level of acute colitis inhibitory effect, in particular,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has the effect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Better than the complex extract.
  • the expression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in colon tissue was determined by TNBS.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model animal experiment.
  • 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when DSS is used as a drug sample
  • FIG. 18 is a compound sample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DS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when DSS is used as a drug sample
  • FIG. 18 is a compound sample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nyeon lotus extract and the complex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is a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Similar levels of mesalazine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Drug samples were administered to COX-2, iNOS, p65 (NF-kappaB), p-p65 (phosphor-NF-kappaB) and ⁇ -actin in colon tissue when administered to model animals induced by acute colitis caused by DSS. Ex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FIG. 19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wa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DSS.
  • N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As shown in FI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cheonnyeon lotus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the extract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mesalazine (mesalazine). Inhibitory levels of COX-2, iNOS, and p-p65 (phosphor-NF-kappa B) were inhibited.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mice Six-week old male mice (C57BL / 6, 18-22 g)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All mice were bred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50 ⁇ 10% humidity and 20 ⁇ 22 ° C, and lighting was repeated for 12 hours and then turned off for 12 hours. Feed was used as standard experimental feed (Samyang, Korea) and drinking water was freely consumed. In all experiments, one group had 6 animals.
  • One group of test animals was normal, and the other group of test animals induced chronic colitis with oxazolone. Specifically, the hair on the back of the mouse was shaved and sensitized by applying 0.2 ml of a 3% (w / v) oxazolone solution in an area of about 1.5 cm x 1.5 cm. After 8 days the mice were anesthetized and 0.1 ml of 1% oxazolone solution was administered rectally through the colon. After that, the drug sample i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once daily for 15 days from the next day and orally administe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ose. The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sample, the animal is choked with carbon dioxide and killed, and the large intestine from the cecum to the anus immediately before It extracted.
  • Body weight change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the appearance of the colon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MPO Myeloperoxidase
  • FIG. 20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caused by oxazolone when using the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 FIG. 21 shows the oxazolone when using the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OXA” represents an experimental group orally administered only saline solution after inducing chronic colitis with oxazolone
  • AC represent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L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Cheonhwang Lyeon,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o,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FIG. 22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n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with chronic colitis caused by oxazolone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3 is a complex as a drug sample.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model animals in which chronic colitis was induced by oxazolone when the extract was used. 22 and 23,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OXA” represents an experimental group orally administered only saline solution after the chronic colitis with oxazolone, "AC” i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AL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Cheonhwang Lyeon,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o,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Similar levels of mesalazine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Drug samples were administered to COX-2, iNOS, p65 (NF-kappaB), p-p65 (phosphor-NF-kappaB) and ⁇ -actin in colon tissue when administered to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caused by oxazolone.
  • the expression level of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FIG. 24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i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chronic colitis induced by oxazolone.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Oxa represents an experimental group orally administered only saline after inducing chronic colitis with oxazolone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refers to the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cheonnyeo lotus extract and the complex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mesalazine (mesalazine). Inhibitory levels of COX-2, iNOS, and p-p65 (phosphor-NF-kappa B) were inhibited.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mice Six-week old male mice (C57BL / 6, 18-22 g)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All mice were bred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50 ⁇ 10% humidity and 20 ⁇ 22 ° C, and lighting was repeated for 12 hours and then turned off for 12 hours. Feed was used as standard experimental feed (Samyang, Korea) and drinking water was freely consumed. In all experiments, one group had 6 animals.
  • One group of test animals was normal, and the other group of test animals induced chronic colitis with dextran sulfate sodium (molecular weight: 36-50 kDaltons). Specifically, drink 3% (w / v) sodium dextran sulfate solution for 7 days first, instead of drinking water for 7 days, and then drink water for 5 days with drinking water, and add 3% (w / v) aqueous sodium dextran sulfate solution to 2 After drinking for 3 days by car, drinking water for 3 days again. On the other hand, the normal group was supplied with only drinking water.
  • the drug sample i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at a predetermined dose starting from the day when the second aqueous solution of sodium dextran sulfate is consumed.
  • the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sample the animal is choked with carbon dioxide and killed, and the cecum of the large intestine is Large intestine from to the site just before anus was extracted.
  • Body weight change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the appearance of the colon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MPO Myeloperoxidase
  • FIG. 2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change and colon appearance score of model animals in which chronic colitis was induced by DSS when the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6 is chronic by DSS when the complex extract was used as the drug sample. It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olon length and MPO activity of the model animals induced coliti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refers to the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LG” refers to the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cheonnyeon lotus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Jimmy, the extract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mesalazine) showed a similar level of chronic colitis inhibitory effect, especially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has the effect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ant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Better than the complex extract.
  • FIG. 2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rectal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caused by DSS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8 is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colon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by DS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means a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FIG. 2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beta and IL-10 in colorectal tissues of model animals induced by chronic colitis caused by DSS when a complex extract was used as a drug sample
  • FIG. 28 is a complex extract as a drug sample. Is a graph showing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and the complex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ella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 Similar levels of mesalazine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Drug samples were administered to COX-2, iNOS, p65 (NF-kappa B), p-p65 (phosphor-NF-kappa B) and ⁇ -actin in colon tissues when administered to model animals induced by DSS. Ex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FIG. 29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the colon tissue of the model animal when the composite extract is administered to the model animal induced by chronic colitis by DSS.
  • NOR represents a normal group
  • AC refers to the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3
  • AG refers to the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 AC10 and “AC20” mean that the single dose of the drug sample “AC” is 10 mg / kg and 20 mg / kg, respectively.
  • M means mesalazin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As shown in FIG.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Jimmy and the extract of the cheonnyeon lotus extract and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wer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rug mesalazine (mesalazine).
  • mesalazine mesalazine
  • Inhibitory levels of COX-2, iNOS, and p-p65 (phosphor-NF-kappa B) were inhibited.
  • the composite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cheonyan lotus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lex extract consisting of the fraction of the hair extract, the fraction of the gall bladder extract and the fraction of the deodeok extract.
  • n-butanol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left to shake to separate an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and a water soluble fraction layer.
  •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was tak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give 42 g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 the yield of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at least 8.4% based on the hair.
  • n-butanol soluble fraction 107 g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hwang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was suspended in 1.5 L of water, and 1.5 L of n-butano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haking to separate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and the water soluble fraction layer. The n-butanol soluble fraction layer was tak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give 64 g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The yield of n-butanol soluble fraction was at least 12.8% based on cheonyan lotus.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4 and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at a weight ratio of 1: 3.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4 and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at a weight ratio of 1: 1.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4 and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at a weight ratio of 3: 1.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4 and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at a weight ratio of 5: 1.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4 and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at a weight ratio of 7: 1.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4 and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7 at a weight ratio of 10: 1.
  • the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water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5 and the water extract of Cheonhwang Lotus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8 at a weight ratio of 1: 1.
  •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6 and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9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3 to prepare a complex extract.
  •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6 and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9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1 to prepare a complex extract.
  •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6 and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9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3: 1 to prepare a composite extract.
  •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6 and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9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5: 1 to prepare a complex extract.
  •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6 and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9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7: 1 to prepare a complex extract.
  •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ethanol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6 and a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sul Lye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9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0: 1 to prepare a complex extract.
  • mice Six-week old male mice (C57BL / 6, 18-22 g)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All mice were bred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50 ⁇ 10% humidity and 20 ⁇ 22 ° C, and lighting was repeated for 12 hours and then turned off for 12 hours. Feed was used as standard experimental feed (Samyang, Korea) and drinking water was freely consumed. In all experiments, one group had 6 animals.
  • TNBS 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 the experimental animal was lightly anesthetized with ether, and 2.5 g of NBS (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solution was mixed with 50% ethanol. Inflammation was induced by injecting 0.1 ml inward and holding it vertically for 30 seconds.
  • the norm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0.1 ml of saline solution. Thereafter, the drug sample i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once daily for 3 days starting the next day and orally administered at a predetermined dose.
  • the weight of the experimental animal was measured on the next day, and the weight change amount was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the initial weight.
  • the extracted colon was observed by observing its length and appearance and sco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Table 3 below (Hollenbach et al., 2005 criteria for colitis degree). At this time, a mesalazine (Sigma) administration group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colon contents were taken for intestinal microbial analysis and stored frozen at minus 80 °C. Colon tissues were removed from the colon contents, washed in physiological saline, and some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fixative for use as pathological samples. The rest were frozen and stored at -80 ° C for molecular biology analysis.
  • the plate was inverted and emptied, and each well was washed with 200 ⁇ l of washing buffer.
  • the washing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using 200 ⁇ l of wash buffer, and then 100 ⁇ l of diluted streptavidin-peroxidase conjugate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 plate was inverted and emptied, and each well was washed with 200 ⁇ l of washing buffer.
  • the washing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using 200 ⁇ l of wash buffer, and then 100 ⁇ l of TMB substrate solution was added and the plate was wrapped in aluminum foil to block light and allowed to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 the reaction was stopped by adding 100 ⁇ l of a stop solu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n ELISA reader.
  • Table 4 summarizes the results of extract-based experiments in model animal experiments in which acute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the values of the assay items wer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normal group fed with saline instead of a separate drug sample to the experimental animals not treated with TNBS.
  • Table 4 when the complex extract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ethanol lotus extract was administered to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the ethanol extract or the ethanol extract of the ethanol extract was administered alone. It showed an improved anti-colitis effect.
  • the anti-colitis effect of the composite extract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was most increased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is 3: 1, and then 5: 1 and 1: It was order of 1.
  • the composite extract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anti-colitis effect than mesalazine,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colitis treatment drug, based on the same dose.
  • Table 5 summarizes the results of fraction-based experiments in model animal experiments in which acute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the value of the analysis item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normal group fed physiological saline instead of a separate drug sample to the experimental animals not treated with TNBS.
  • Table 5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ethanol extract when the complex extract of the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ethanol was administered to a model animal induced by acute colitis by TNBS.
  • the soluble fractions of the ethanol extracts of the cheonyan lotus showed an improved anti-colitis effect than when administered alone.
  • the anti-colitis effect of the complex extract of the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3: The greatest increase was at 1, followed by 5: 1 and 1: 1.
  • the combined extract of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Jimo and the butanol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Cheonhwang ethanol extract showed greater anti-colitis effects than mesalazine,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colitis treatment drug, based on the same dose. .
  • Table 6 summarizes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ammatory response indicators of extract-based experiments in a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acute colitis is induced by TNBS.
  • Table 7 summarizes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ammatory response markers in fraction-based experiments in a model animal experiment in which acute colitis was induced by TNBS.
  • the composit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3 may be replaced by the complex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s 20 to 32.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 the capsule was prepared by filling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 the composit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3 can be replaced by the composit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s 20 to 32.
  • Brown rice, barley, glutinous rice, and yulmu were alphad by a known method, and then dried and roasted to prepare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 Black beans, black sesame seeds, and perilla were also steamed and dried by a known method, and then ground to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 Cereals (30 parts by weight brown rice, 15 parts by weight brittle, 20 parts by weight of barley),
  • Seeds (7 parts by weight perilla, 8 parts by weight black beans, 7 parts by weight black sesame se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대장염 유도 모델동물에 대해 우수한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가지므로,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식의약적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장염은 대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테네스무스(tenesmus, 시원치 않음), 복부팽만감, 하복 부통, 설사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고, 분변 중에 점액, 고름이나 혈액이 섞이는 경우도 있다. 대장염은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대장염과 비감염성 대장염으로 구분될 수도 있고, 발병 기간에 따라 급성 대장염과 만성 대장염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급성 대장염에는 아메바성이질, 세균성이질, 살모넬라나 항생물질에 의한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enteritis) 등이 있고 만성 대장염에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결핵, 매독, X선 등에 의한 것이 있다. 또한, 대장염은 염증성 대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뿐만 아니라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등을 포함한다. 염증성 대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중 대표적인 질환인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hn's disease; CD)은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있으며, 복통과 더불어 심한 만성 설사와 혈성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완치가 힘들고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특성이 있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에 진무름(미란)이나 궤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질환으로, 혈변, 점혈변, 설사, 복통이 일어나고, 중증인 경우에는 발열, 체중감소, 빈혈 등의 전신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궤양성 대장염은 위장관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관의 임의의 부위에 궤양 등의 병변이 비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복통, 설사, 혈변과 더불어, 중증의 경우에는 발열, 하혈, 체중감소, 전신권태감,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은 병변과 염증 증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여러 면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두 질환의 구분이 서로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흔하다.
종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발생율은 서양인에게 높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등 동양에서도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원인이 불분명한 이유도 있어 근본적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완전한 치료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을 완해시키고, 이러한 상태를 가능한 한 장기간 유지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증요법을 위한 약제로서, 주로 아미노살리실산제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살리실산제제로서 자주 사용되는 살라조설파피리딘은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발진, 두통, 간장해, 백혈구 감소, 이상 적혈구, 단백뇨, 설사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는 일반적으로는 프레드니솔론의 경구투여, 관장, 좌약, 정맥 주사 등으로 사용되지만, 위궤양이나 장기사용에 의한 대퇴골두 괴사 등 부작용이 강하다. 그러나 투약의 중단은 증상을 재발시키기 때문에, 이들 약제는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안전하고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장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도 마찬가지로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만성 복부 질환이다. 현재, IBS의 근본적인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각 타입의 증상 경감을 목적으로 한 대증요법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리형 IBS에 대해서는 평활근의 수축을 억제하는 진경작용을 갖는 항콜린제가 사용되며, 변비형 IBS에는 염류 하제, 대체형 IBS에는 약제로 조절하기 곤란하고, 기본적으로 소화관 운동기능 개선제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모(知母,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지모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이를 껍질째 말린 모지모(毛知母) 또는 이의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한방에서 지모의 뿌리줄기는 해열제로 사용하고, 만성기관지염 또는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모의 약학적 용도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856335호에는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3953호에는 지모 추출물의 콜린신경계 손상 개선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5742호에는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지질대사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황련(Coptis)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Coptis teeta, Coptis japonica, Coptis chinensis, Coptis deltoidea, Coptis omeiensis 등이 있다. 한방에서는 이의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고 있고, 약효 성분으로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항균, 소염, 해열, 담즙 분비 촉진, 혈압 하강 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황련의 약학적 용도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5669호에는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022호에는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2733호에는 천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0739호에는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이 밖에도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용 조성물,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 및 재생용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관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합성 화학물질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된 수많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대장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이 대장염 유도 모델동물에 대해 우수한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약학적으로(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으로(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대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량비는 10:1 내지 1:10의 범위일 수 있고,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4:1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1 내지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지모 추출물 대 황련 추출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4:1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1 내지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대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4:1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1 내지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모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이다. 상기 지모 추출물 또는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물질로 만지페린(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원료는 천황련(Coptis chinensi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모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황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이다. 상기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물질로 베르베린(Berberi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여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대장염의 구체적인 종류는 급성 대장염 또는 만성 대장염 등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증성 대장 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대장염 유도 모델동물에 대해 우수한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가지므로,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식의약적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급성 대장염이나 만성 대장염, 특히, 염증성 대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또는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등을 효과적으로 예방, 지연,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약용 작물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된 종래의 다양한 생약들은 대표적인 대장염 치료제인 메살라진보다 약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지모 추출물 등과 황련 추출물 등을 병용하는 경우 메살라진보다 뛰어난 항대장염 효능을 보인다는 점은 높은 시너지에 의한 결과이고 예측하기 힘든 사항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만지페린(Mangiferin) 및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화학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약물 시료로 제조예 3에서 수득한 만지페린(Mangiferin)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점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약물 시료로 제조예 3에서 수득한 만지페린(Mangiferin)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3은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제조예 3에서 수득한 만지페린(Mangiferin)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4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5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8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0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1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3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5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6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8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활성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예를 들어, 대장염)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예를 들어, 대장염)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특정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가지 생약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 중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에 대한 가용성 분획물(이하,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이라 한다),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약학적으로(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으로(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하, '제1 유효성분'이라 한다) 및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 중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에 대한 가용성 분획물(이하,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이라 한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하, '제2 유효성분'이라 한다)을 포함한다. 이때,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제1 유효성분과 제2 유효성분의 혼합비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합 추출물 내에서 상기 제1 유효성분 대 제2 유효성분의 중량비는 10:1 내지 1:10일 수 있고,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고려할 때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4:1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1 내지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은 다양한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만지페린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만지페린 및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네오만지페린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네오만지페린 및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품화에 따른 경제성 측면 및 대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대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고려할 때 지모 추출물 대 황련 추출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4:1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1 내지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대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고려할 때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대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4:1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1 내지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황련은 황련속(Coptis) 속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Coptis teeta, Coptis japonica, Coptis chinensis, Coptis deltoidea, Coptis omeiensis 등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 중 대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와 관련하여 그 뿌리줄기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양과 구성비를 고려할 때 천황련(Coptis chinensi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대장염은 세균 감염이나 장 내용물의 병적 발효 등으로 인해 대장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말하며, 감염성 대장염과 비감염성 대장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을 통해 예방, 개선 또는 치료가 가능한 구체적인 대장염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급성 대장염과 만성 대장염을 모두 포함하며, 더 구체적으로 염증성 대장 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 등이 있다. 또한, 염증성 대장 질환은 예를 들어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또는 크론병(Crohn's disease) 등이 있다. 급성 대장염은 급성으로 오는 대장 또는 결장에의 염증을 말하는데, 염증으로 인해 점막이 손상되어 점액성 설사나 선혈 증상을 주로 보인다. 본 발명에서 급성 대장염은 일반적인 급성 감염성 대장염뿐만 아니라 급성 위막성 대장염 및 급성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2,4,6-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덱스트란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옥사졸론(Oxazolone)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덱스트란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대해 대장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고 결장의 수축을 억제하며,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을 낮게 유지시켜 대장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모 및 황련을 혼합한 후 여기에 추출 용매를 가하고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다시 혼합 추출물에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을 가하고 분획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모 및 황련으로부터 각각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얻은 후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다시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로부터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을 얻은 후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매 추출법에 이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수 알코올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은 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은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함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 함량은 5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8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에는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다른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 내지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또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각종 미생물의 발효 산물에 의한 추출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 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로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고,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지모의 발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지모를 100~500 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용 배양액을 지모 농도가 1~50g/L가 되도록 첨가하고 여기에 효모 균주 또는 유산균 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이후, 30~37℃의 배양 온도, 5~7의 pH와 같은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로 호기적 또는 혐기(anaerobic)적인 상태에서 약 5일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지모의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황련의 발효 추출물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각각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용성 분획물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알코올은 탄소 수가 3 내지 8이고, 지모 추출물에 포함된 활성 물질 또는 황련 추출물에 포함된 활성 물질에 대한 가용성과 가용화 후의 감압 농축 공정 등을 고려할 때 탄소 수가 3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수가 3 내지 5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탄소 수가 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지모 추출물의 가용화 또는 황련 추출물의 가용화를 위해 사용되는 탄소 수 4의 알코올에는 n-부탄올, sec-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등이 있다. 상기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들 중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에 가용 될 수 있는 성분들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경우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은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예를 들어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알코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지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을 얻고, 여기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예를 들어, 부탄올)을 첨가하고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모 추출물 또는 이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물질로 만지페린(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만지페린(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은 지모 추출물 또는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을 대신하여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일 성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련 추출물 또는 이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물질로 베르베린(Berberine)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황련 추출물 또는 이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활성 물질로 팔마틴, 콥티신, 컬럼바민 또는 자트로리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모 추출물 또는 이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 또는 이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 포함된 활성 물질은 추출방법 또는 분획방법에 따라 구체적인 성분의 종류나 함량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만지페린(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은 지모 등과 같은 식물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만지페린(Mangiferin) 및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화학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네오만지페린은 만지페린과 동일한 아글리콘을 가지고 있으며, 배당체 화합물에서 아글리콘은 생리학적 활성을 지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해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만지페린의 항대장염 활성으로부터 네오만지페린의 항대장염 활성을 예측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만지페린(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제조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사용 목적 내지 양상에 따라 약학 조성물, 식품 첨가제, 식품 조성물(특히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고, 조성물 내에서의 복합 추출물의 함량도 조성물의 구체적인 형태, 사용 목적 내지 양상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 외에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 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피부 외용,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1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00 ㎎/㎏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하루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Ⅰ. 지모 추출물 등, 황련 추출물 등 또는 이들의 병용에 의한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1차 실험
1. 지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1 : 지모 추출물의 제조
지모 500 g에 80% 메탄올 수용액 2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동일한 용매 1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지모 추출물 189g을 얻었다.
제조예 2 : 지모 추출물로부터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지모 추출물 189g을 물 1.5ℓ에 현탁한 후, 여기에 n-부탄올 1.5ℓ를 가하고 진탕 방치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과 물 가용성 분획층으로 분리하였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취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41g을 얻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수율은 지모를 기준으로 할 때 8.2% 이상이었고,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에 함유된 만지페린(Mangiferin)의 함량은 10% 이상이었다.
제조예 3 :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제조예 2에서 얻은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10g에 대하여 용출 용매(클로로포름:메탄올:물=65:35:10)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rck, 10㎝×30㎝, 70~230 mesh)를 실시하여 9개의 소분획을 얻었다. 9개의 소분획 중 대장염 동물모델 시험에서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소분획인 Fr. Ⅶ에 대하여 25% 메탄올을 용출 용매로 MPLC(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C18 reverse Merck, 3㎝×20㎝)를 실시하여 2개의 분획을 얻었다. 2개의 분획을 농축한 후 이를 각각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흰색 분말 형태의 화합물 2개를 얻었으며 질량 분석 및 13C-NMR(Bruker, AVANCE digital 400)로 구조를 확인한 결과, 만지페린(Mangiferin)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는 만지페린(Mangiferin) 및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화학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만지페린(Mangiferin) 및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수율은 지모를 기준으로 할 때 각각 0.5% 이상 및 0.1% 이상이었다.
<만지페린>
ESI(-)-MS/MS 421, 301 [M-Na]-
13C NMR (100 MHz) peaks : 162.254 (C-1), 108.04 (C-2), 164.295 (C-3), 93.813 (C-4), 103.088 (C-5), 154.606 (C-6), 144.228 (C-7), 108.489 (C-8), 179.551 (C-9), 156.697 (C-4a), 151.286 (C-4b), 112.128 (C-8a), 101.772 (C-8b), 82.025 (2-glc C-1’), 73.564 (C-2’), 71.103 (C-3’), 70.724 (C-4’), 79.449 (C-5’), 61.961 (C-6’).
<네오만지페린>
ESI(-)-MS/MS 421, 301 [M-Na]-
13C NMR (100 MHz) peaks : 162.5 (C-1), 108.3 (C-2), 164. 5 (C-3), 94.0 (C-4), 103.3 (C-5), 156.9 (C-6), 144.4 (C-7), 112.4 (C-8), 179.8 (C-9), 154.7(C-4a), 151.5 (C-4b), 108.8 (C-8a), 102.0 (C-8b), 73.8 (2-glc C-1’), 71.3 (C-2’), 79.7 (C-3’), 71.0 (C-4’), 82.2 (C-5’), 61.4 (C-6’), 103.4 (7-glc C-1”) 73.5 (C-2”), 76.1 (C-3”), 69.6 (C-4”), 77.3 (C-5”), 60.7 (C-6”).
2. 오배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4 : 오배자 추출물의 제조
오배자 500 g에 80% 메탄올 수용액 2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동일한 용매 1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오배자 추출물 190g을 얻었다.
제조예 5 : 오배자 추출물로부터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4에서 얻은 오배자 추출물 190g을 물 1.5ℓ에 현탁한 후, 여기에 n-부탄올 1.5ℓ를 가하고 진탕 방치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과 물 가용성 분획층으로 분리하였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취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102g을 얻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수율은 오배자를 기준으로 할 때 21% 이상이었고,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에 함유된 1,2,3,4,6-펜타-O-갈로일-β-D-글루코스(glucose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의 함량은 30% 이상이었다.
3. 더덕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6 : 더덕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더덕(Codonopsis lanceolata Trautv) 뿌리(경동시장, 서울, 대한민국) 2㎏에 80% 메탄올 수용액 4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동일한 용매 2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더덕 추출물 185g을 얻었다.
제조예 7 : 더덕 추출물로부터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6에서 얻은 더덕 추출물 185g을 물 1.5ℓ에 현탁한 후, 여기에 n-부탄올 1.5ℓ를 가하고 진탕 방치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과 물 가용성 분획층으로 분리하였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취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112g을 얻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수율은 더덕을 기준으로 할 때 5.5% 이상이었고,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에 함유된 란세마사이드 A(Lancemaside A)의 함량은 4% 이상이었다.
4. 천황련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8 : 천황련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천황련(Coptis chinensis) 뿌리(경동시장, 서울, 대한민국) 500g에 80% 메탄올 수용액 2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동일한 용매 1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천황련 추출물 123g을 얻었다.
제조예 9 : 천황련 추출물로부터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8에서 얻은 천황련 추출물 123g을 물 1.5ℓ에 현탁한 후, 여기에 n-부탄올 1.5ℓ를 가하고 진탕 방치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과 물 가용성 분획층으로 분리하였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취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63g을 얻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수율은 천황련을 기준으로 할 때 12.5% 이상이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에 대한 성분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Waters Alliance 2695 모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은 와이엠씨 하이드로스피어 C18(YMC Hydrosphere C18, S-5㎛, 120㎚, 4.6×250㎜ I.D)를 사용하였고 시료 온도는 25℃±1, 컬럼 온도는 30℃±1을 유지하였다. 시료 농도는 1㎎/㎖로 제조하여 10㎕ 주입하였으며 유속은 1.0㎖/min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물질은 베르베린, 팔마틴, 콥티신 등은 상용화되어 있는 것을 시그마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컬럼바민과 자트로리진은 황련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0.2% 인산용액(용매 A)과 메탄올(용매 B)의 gradient 조건으로 0분~60분(A:B=9:1~6:4), 60분~70분(A:B=6:4~5:5), 70분~90분(A:B=5:5~0:10)으로 분석하였다. 활성성분 함량의 계산은 각각의 표준물질에 대한 면적비를 중량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천황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은 베르베린 27~30%, 팔마틴 7~8%, 콥티신 5~6%, 컬럼바민 0.8~1.2%, 자트로리진 0.8~1.2% 정도를 함유하였다.
5. 복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0.
제조예 2에서 얻은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 및 제조예 5에서 얻은 오배자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제조예 2에서 얻은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 및 제조예 7에서 얻은 더덕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제조예 2에서 얻은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 제조예 5에서 얻은 오배자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 및 제조예 7에서 얻은 더덕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제조예 2에서 얻은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 및 제조예 9에서 얻은 천황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을 통한 대장염 치료 효과 측정
(1) 실험동물의 준비
6주령 수컷 생쥐(C57BL/6, 18-22g)를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생쥐는 습도 50±10%, 온도 20~22℃의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킨 후 12 시간 끄는 것을 반복하였다. 사료는 표준 실험용 사료(Samyang,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음용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한군은 6마리로 하였다.
(2) TNBS에 의한 급성 대장염 유발 및 시료 투여
실험동물 중 한 군을 정상군으로 하고, 나머지 군의 실험동물에 대해서는 2,4,6-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NBS)으로 급성 대장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을 가볍게 에테르로 마취한 후 NBS(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용액 2.5g을 50% 에탄올에 혼합한 용액을 끝이 둥근 1㎖ 용량의 주사기를 이용하여 항문을 통해 대장 내로 0.1㎖ 씩 투여하고 수직으로 들어 30초간 유지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반면, 정상군에는 생리식염수 0.1㎖를 경구투여하였다. 이후, 익일부터 매일 1회씩 3일간 약물 시료를 생리식염수에 녹여 미리 정한 용량대로 경구투여하고 시료 투여가 종료된 다음날에 실험동물을 이산화탄소로 질식시켜 죽이고 대장부위 중 맹장으로부터 항문 직전 부위까지의 대장을 적출하였다. 이때, 약물 시료로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만지페린 및 복합 추출물을 사용한 실험은 각각 시간적 간격을 두고 별개의 실험으로 이루어졌으며, 약물 시료의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각각의 실험 안에서 TNBS로 처리하지 않은 실험동물에 별도의 약물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을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3)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1) 체중 변화량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시료 투여를 종료하고 다음날에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후 최초 체중과 비교하여 체중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2) 외관 분석
적출한 대장은 그 길이와 외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의 기준(Hollenbach 등, 2005 대장염 정도에 대한 기준)에 따라 점수로 매겼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메살라진(Mesalazine; Sigma) 투여군을 사용하였다. 또한, 장내 미생물 분석을 위해 대장 내용물의 일부를 채취하여 영하 8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대장 조직은 대장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고, 생리 식염수에 세척한 후 일부는 병리조직용 샘플로 사용하기 위해 4% 포름알데히드 고정액으로 고정하였으며, 나머지는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영하 8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표 1
외관 점수(Macroscopic Score) 기준
0 어떠한 궤양과 염증도 발견되지 않음
1 출혈이 없는 충혈이 발견됨
2 충혈이 있는 궤양이 발견됨
3 한 곳에서만 궤양과 염증이 발견됨
4 궤양과 염증이 2곳 이상에서 발견됨
5 궤양이 2㎝ 이상으로 확대되어 있음
3)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대장조직 100㎎에 lysis buffer 200㎕를 넣고 균질화(homogenization) 하였다. 그 후 4℃ 및 13000 rpm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은 다음 Mouse MPO assay ELISA kit(Hbt HK210, USA)을 사용하여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층액 100㎕를 96 well plate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plate를 뒤집어 비운 다음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100㎕의 희석된 tracer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plate를 뒤집어 비운 다음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각 well을 세척하였다.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100㎕의 희석된 streptavidin-peroxidase conjugate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plate를 뒤집어 비운 다음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각 well을 세척하였다.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100㎕의 TMB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고 plate를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 빛을 차단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100㎕의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체중 변화량, 대장의 외관, 대장의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
도 2는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N" 또는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TNBS"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을 유발한 모델동물에 별도의 약물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군을 의미하고, "A" 또는 "AJ"는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의미한다. 또한, "A10" 및 "A20"는 각각 약물 시료 "A"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TNBS에 의해 유도된 급성 대장염을 완화하거나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는 약물 시료로 제조예 3에서 수득한 만지페린(Mangiferin)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점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MF"는 만지페린(Mangiferin)을 의미한다. 또한, "MF10" 및 "MF20"는 각각 약물 시료 "MF"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4에서 "MS"는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만지페린(Mangiferin)은 농도 의존적으로 TNBS에 의해 유도된 급성 대장염을 완화하거나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5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5및 도 6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의 급성 대장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4)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모델동물의 대장조직 100㎎에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함유된 250 ㎕l의 RIPA buffer를 첨가하여 균질화 하였다. 그 후 4℃ 및 13000 rpm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영하 80℃에서 보관하면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 베타, IL-6 및 TNF-알파의 발현량과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0의 발현량을 96-well ELISA plate kits(Pierce Biotechology, In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7은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약물 시료로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는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의미한다. 또한, "A10" 및 "A20"는 각각 약물 시료 "A"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투여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 베타, IL-6 및 TNF-알파의 발현량이 약물 투여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0의 발현량이 약물 투여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도 9는 약물 시료로 제조예 3에서 수득한 만지페린(Mangiferin)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서 "MF"는 만지페린(Mangiferin)을 의미하고, "MS"는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만지페린(Mangiferin)을 투여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 베타, IL-6 및 TNF-알파의 발현량이 약물 투여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0의 발현량이 약물 투여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도 10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N" 또는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2)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 억제 여부
모델동물의 대장조직 0.3 g에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함유된 1㎖의 RIPA buffer(Gibco사)를 첨가하여 균질화 하였다. 그 후 4℃ 및 13000 rpm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영하 80℃에서 보관하면서 COX-2, iNOS, p65(NF-카파B), p-p65(phosphor-NF-카파B) 및 β-actin의 발현량을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상층액 50㎍을 취해 SDS 10%(w/v) polyacrylamide gel에서 1시간 30분간 전기영동을 하였다. 전기영동한 샘플을 니트로셀룰로스지에 100V, 400㎃의 조건에서 1시간 10분간 트랜스퍼(transfer) 하였다. 샘플이 트랜스퍼된 니트로셀로로스지를 5% skim milk로 30분간 blocking 한 후, 5분씩 3회에 걸쳐 PBS-Tween으로 세척하고, 1차 antibody(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를 1:100의 비율로 하여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10분씩 3회에 걸쳐 세척하고, 2차 antibody(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를 1:1000의 비율로 하여 1시간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5분씩 3회에 걸쳐 세척하고, 형광발색 시킨 후 현상하였다.
도 12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2에서 "A"는 지모 추출물의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의미하고,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약물 시료의 투여 단위는 ㎎/마우스 ㎏ 이다.
도 13은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제조예 3에서 수득한 만지페린(Mangiferin)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3에서 "MF"는 만지페린(Mangiferin)을 의미하고, "MS"는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14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4에서 "N"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4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반응 물질인 COX-2, iNOS, p-p65(phosphor-NF-카파B) 등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5)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 결과 요약
하기 표 2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투여된 약물 시료의 대장염 완화 내지 개선 효과를 요약한 것이다. 하기 표 2에서, 분석 항목의 값은 TNBS로 처리하지 않은 실험동물에 별도의 약물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의 측정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 또는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분획물을 각각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보다 크게 향상된 대장염 완화 내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이는,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이 각각 대장염 완화 내지 치료와 관련된 서로 다른 타겟에서 작용하여, 병용 시 높은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대장염 완화 내지 개선 효과는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을 지모 추출물이나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만지페린으로 대체하거나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을 천황련 추출물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휘될 것으로 기대된다.
표 2
실험군 구분 분석항목 값(TNBS 처리없이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에 대한 백분율, %)
TNBS 처리 여부 투여 약물 시료 약물 시료 1회 투여량(㎎/㎏) Body weight Macroscopic score Colon length MPO활성 TNF-α IL-1β IL-6 IL-10
- vehicle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vehicle - 82.1 900.9 58.0 2325.6 826.4 2040.8 714.3 12.5
+ 제조예 2 20 92.0 600.9 66.7 1214.0 246.3 608.2 425.7 56.3
+ 제조예 5 20 93.4 650.5 66.7 1011.6 267.8 695.9 449.3 49.6
+ 제조예 7 20 91.1 700.9 62.3 1516.3 305.8 734.7 533.6 31.7
+ 제조예 9 20 90.2 650.5 66.7 1618.6 240.5 679.6 415.0 45.5
+ 제조예 11 20 92.9 600.9 66.7 1111.6 244.6 589.8 392.1 57.1
+ 제조예 13 20 95.8 350.5 92.8 707.0 206.6 385.7 167.9 71.9
+ 제조예 10 20 91.6 550.5 69.6 1111.6 236.4 657.1 323.6 65.6
+ 제조예 12 20 93.4 450.5 72.5 909.3 268.6 610.2 201.4 54.5
+ 메살라진 10 93.2 550.5 89.9 1111.6 304.1 618.4 190.0 53.1
다만,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과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 또는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투여하는 경우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분획물을 각각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대장염 완화 내지 개선 효과 측면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을 통한 대장염 치료 효과 측정
(1) 실험동물의 준비
6주령 수컷 생쥐(C57BL/6, 18-22g)를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생쥐는 습도 50±10%, 온도 20~22℃의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킨 후 12 시간 끄는 것을 반복하였다. 사료는 표준 실험용 사료(Samyang,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음용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한군은 6마리로 하였다.
(2) DSS에 의한 급성 대장염 유발 및 시료 투여
실험동물 중 한 군을 정상군으로 하고, 나머지 군의 실험동물에 대해서는 덱스트란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분자량 : 36~50 kDaltons)으로 급성 대장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용수로 물 대신 2.5%(w/v) 덱스트란황산나트륨 수용액을 7일간 음용하게 하여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을 제작하였다. 반면, 정상군에는 음용수로 물을 공급하였다. 이후, 익일부터 매일 1회씩 3일간 약물 시료를 생리식염수에 녹여 미리 정한 용량대로 경구투여하고 시료 투여가 종료된 다음날에 실험동물을 이산화탄소로 질식시켜 죽이고 대장부위 중 맹장으로부터 항문 직전 부위까지의 대장을 적출하였다.
(3)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1) 체중 변화량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중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2) 외관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장의 외관을 분석하였다.
3) MPO 활성 측정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4) 체중 변화량, 대장의 외관, 대장의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
도 15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의 급성 대장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4)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약물 시료를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대장 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량을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17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8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 및 도 18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17 및 도 1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2)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 억제 여부
약물 시료를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대장 조직에서 COX-2, iNOS, p65(NF-카파B), p-p65(phosphor-NF-카파B) 및 β-actin의 발현량을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19는 DS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9에서 "N"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9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1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반응 물질인 COX-2, iNOS, p-p65(phosphor-NF-카파B) 등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8. 옥사졸론(Oxazolone)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을 통한 대장염 치료 효과 측정
(1) 실험동물의 준비
6주령 수컷 생쥐(C57BL/6, 18-22g)를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생쥐는 습도 50±10%, 온도 20~22℃의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킨 후 12 시간 끄는 것을 반복하였다. 사료는 표준 실험용 사료(Samyang,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음용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한군은 6마리로 하였다.
(2) 옥사졸론에 의한 만성 대장염 유발 및 시료 투여
실험동물 중 한 군을 정상군으로 하고, 나머지 군의 실험동물에 대해서는 옥사졸론으로 만성 대장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등에 있는 털을 깍고 약 1.5㎝×1.5㎝의 면적에 3%(w/v) 옥사졸론 용액 0.2㎖를 발라 감작시켰다. 8일 후에 생쥐를 마취하고 1% 옥사졸론 용액 0.1㎖를 직장을 통해 대장 내로 투여하였다. 이후, 익일부터 매일 1회씩 15일간 약물 시료를 생리식염수에 녹여 미리 정한 용량대로 경구투여하고 시료 투여가 종료된 다음날에 실험동물을 이산화탄소로 질식시켜 죽이고 대장부위 중 맹장으로부터 항문 직전 부위까지의 대장을 적출하였다.
(3)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1) 체중 변화량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중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2) 외관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장의 외관을 분석하였다.
3) MPO 활성 측정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4) 체중 변화량, 대장의 외관, 대장의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
도 20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1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OXA"는 옥사졸론으로 만성 대장염을 유발시킨 후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0 및 도 2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의 만성 대장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4)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약물 시료를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대장 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량을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22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3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 및 도 23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OXA"는 옥사졸론으로 만성 대장염을 유발시킨 후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2 및 도 2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2)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 억제 여부
약물 시료를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대장 조직에서 COX-2, iNOS, p65(NF-카파B), p-p65(phosphor-NF-카파B) 및 β-actin의 발현량을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24는 옥사졸론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4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Oxa"는 옥사졸론으로 만성 대장염을 유발시킨 후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4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반응 물질인 COX-2, iNOS, p-p65(phosphor-NF-카파B) 등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9.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을 통한 대장염 치료 효과 측정
(1) 실험동물의 준비
6주령 수컷 생쥐(C57BL/6, 18-22g)를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생쥐는 습도 50±10%, 온도 20~22℃의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킨 후 12 시간 끄는 것을 반복하였다. 사료는 표준 실험용 사료(Samyang,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음용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한군은 6마리로 하였다.
(2) DSS에 의한 만성 대장염 유발 및 시료 투여
실험동물 중 한 군을 정상군으로 하고, 나머지 군의 실험동물에 대해서는 덱스트란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분자량 : 36~50 kDaltons)으로 만성 대장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용수로 물 대신 3%(w/v) 덱스트란황산나트륨 수용액을 1차로 7일간 음용하게 하고, 다시 음용수로 물을 5일간 음용하게 하고, 3%(w/v) 덱스트란황산나트륨 수용액을 2차로 3일간 음용하게 한 후, 다시 음용수로 물을 3일간 음용하게 하였다. 반면, 정상군에는 음용수로 물만을 공급하였다. 또한, 약물 시료는 생리식염수에 녹여 2차로 덱스트란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음용하게 한 날부터 매일 1회씩 미리 정한 용량대로 경구투여하고 시료 투여가 종료된 다음날에 실험동물을 이산화탄소로 질식시켜 죽이고 대장부위 중 맹장으로부터 항문 직전 부위까지의 대장을 적출하였다.
(3)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1) 체중 변화량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중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2) 외관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장의 외관을 분석하였다.
3) MPO 활성 측정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4) 체중 변화량, 대장의 외관, 대장의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
도 25는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및 대장의 외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6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 및 도 26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5 및 도 2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의 만성 대장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4)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약물 시료를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대장 조직에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량을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27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IL-1 베타 및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8은 약물 시료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TNF-알파 및 IL-6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 및 도 28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7 및 도 28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7 및 도 2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2)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 억제 여부
약물 시료를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대장 조직에서 COX-2, iNOS, p65(NF-카파B), p-p65(phosphor-NF-카파B) 및 β-actin의 발현량을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29는 DSS에 의해 만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모델동물의 대장조직에서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9에서 "NOR"은 정상군을 나타내고, "AC"는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고, "ALG"는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AC10" 및 "AC20"은 각각 약물 시료 "AC"의 1회 투여량이 10㎎/마우스 ㎏ 및 20㎎/마우스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9에서 "M"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을 의미한다. 도 2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과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 약물로 사용한 메살라진(mesalazine)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 반응 물질인 COX-2, iNOS, p-p65(phosphor-NF-카파B) 등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특히,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및 천황련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은 그 효과가 지모 추출물의 분획물, 오배자 추출물의 분획물 및 더덕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하였다.
Ⅱ. 지모 추출물 등, 황련 추출물 등 또는 이들의 병용에 의한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2차 실험
10. 지모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4 :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지모 500g에 80% 에탄올 수용액 2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동일한 용매 2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지모 에탄올 추출물 158g을 얻었다.
제조예 15 : 지모 물 추출물의 제조
지모 500g에 증류수 2.5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증류수 2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지모 물 추출물 164g을 얻었다.
제조예 16 : 지모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 158g을 물 1.5ℓ에 현탁한 후, 여기에 n-부탄올 1.5ℓ를 가하고 진탕 방치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과 물 가용성 분획층으로 분리하였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취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42g을 얻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수율은 지모를 기준으로 할 때 8.4% 이상이었다.
11. 천황련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7 :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천황련(Coptis chinensis) 뿌리(경동시장, 서울, 대한민국) 500g에 80% 에탄올 수용액 2.5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동일한 용매 2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 107g을 얻었다.
제조예 18 : 천황련 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천황련(Coptis chinensis) 뿌리(경동시장, 서울, 대한민국) 500g에 증류수 2.5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또한, 남은 잔사에 증류수 2ℓ를 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천황련 물 추출물 122g을 얻었다.
제조예 19 :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 107g을 물 1.5ℓ에 현탁한 후, 여기에 n-부탄올 1.5ℓ를 가하고 진탕 방치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과 물 가용성 분획층으로 분리하였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취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64g을 얻었다.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수율은 천황련을 기준으로 할 때 12.8% 이상이었다.
12. 복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20.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4.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7: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5.
제조예 14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제조예 17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1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6.
제조예 15에서 얻은 지모 물 추출물과 제조예 18에서 얻은 천황련 물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7.
제조예 16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제조예 19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8.
제조예 16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제조예 19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9.
제조예 16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제조예 19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0.
제조예 16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제조예 19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1.
제조예 16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제조예 19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7: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2.
제조예 16에서 얻은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제조예 19에서 얻은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1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3.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을 통한 대장염 치료 효과 측정
(1) 실험동물의 준비
6주령 수컷 생쥐(C57BL/6, 18-22g)를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생쥐는 습도 50±10%, 온도 20~22℃의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킨 후 12 시간 끄는 것을 반복하였다. 사료는 표준 실험용 사료(Samyang,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음용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한군은 6마리로 하였다.
(2) TNBS에 의한 급성 대장염 유발 및 시료 투여
실험동물 중 한 군을 정상군으로 하고, 나머지 군의 실험동물에 대해서는 2,4,6-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NBS)으로 급성 대장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을 가볍게 에테르로 마취한 후 NBS(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용액 2.5g을 50% 에탄올에 혼합한 용액을 끝이 둥근 1㎖ 용량의 주사기를 이용하여 항문을 통해 대장 내로 0.1㎖ 씩 투여하고 수직으로 들어 30초간 유지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반면, 정상군에는 생리식염수 0.1㎖를 경구투여하였다. 이후, 익일부터 매일 1회씩 3일간 약물 시료를 생리식염수에 녹여 미리 정한 용량대로 경구투여하고 시료 투여가 종료된 다음날에 실험동물을 이산화탄소로 질식시켜 죽이고 대장부위 중 맹장으로부터 항문 직전 부위까지의 대장을 적출하였다. 이때, 약물 시료로 지모 에탄올 추출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 및 지모 물 추출물과 천황련 물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한 실험(이하, '추출물 기반 실험'이라 한다)과 약물 시료로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한 실험(이하, '분획물 기반 실험'이라 한다)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별개의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동물실험의 특성을 고려할 때 약물 시료의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각각의 실험 안에서 평가되어야 하고, 기준으로 TNBS로 처리하지 않은 실험동물에 별도의 약물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3) 모델동물의 체중 변화, 대장의 외관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1) 체중 변화량 분석
TNBS에 의해 대장염이 유발된 모델동물에 시료 투여를 종료하고 다음날에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후 최초 체중과 비교하여 체중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2) 외관 분석
적출한 대장은 그 길이와 외관을 관찰하여 하기 표 3의 기준(Hollenbach 등, 2005 대장염 정도에 대한 기준)에 따라 점수로 매겼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메살라진(Mesalazine; Sigma) 투여군을 사용하였다. 또한, 장내 미생물 분석을 위해 대장 내용물의 일부를 채취하여 영하 8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대장 조직은 대장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고, 생리 식염수에 세척한 후 일부는 병리조직용 샘플로 사용하기 위해 4% 포름알데히드 고정액으로 고정하였으며, 나머지는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영하 8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표 3
외관 점수(Macroscopic Score) 기준
0 어떠한 궤양과 염증도 발견되지 않음
1 출혈이 없는 충혈이 발견됨
2 충혈이 있는 궤양이 발견됨
3 한 곳에서만 궤양과 염증이 발견됨
4 궤양과 염증이 2곳 이상에서 발견됨
5 궤양이 2㎝ 이상으로 확대되어 있음
3)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MPO) 활성 측정
대장조직 100㎎에 lysis buffer 200㎕를 넣고 균질화(homogenization) 하였다. 그 후 4℃ 및 13000 rpm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은 다음 Mouse MPO assay ELISA kit(Hbt HK210, USA)을 사용하여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층액 100㎕를 96 well plate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plate를 뒤집어 비운 다음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100㎕의 희석된 tracer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plate를 뒤집어 비운 다음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각 well을 세척하였다.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100㎕의 희석된 streptavidin-peroxidase conjugate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plate를 뒤집어 비운 다음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각 well을 세척하였다. 200㎕의 세척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3회 반복한 다음 100㎕의 TMB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고 plate를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 빛을 차단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100㎕의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체중 변화량, 대장의 외관, 대장의 길이 및 MPO 활성 측정 결과
하기 표 4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 중 추출물 기반 실험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하기 표 4에서 분석 항목의 값은 TNBS로 처리하지 않은 실험동물에 별도의 약물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의 측정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지모 에탄올 추출물 또는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보다 향상된 항대장염 효과를 보였다. 또한,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의 항대장염 효과는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3:1일 때 가장 크게 상승하였고, 다음으로 5:1 및 1:1의 순서였다. 또한, 지모 에탄올 추출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은 동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할 때 현재 대장염 치료 약물로 사용되고 있는 메살라진보다 항대장염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실험군 구분 분석항목 값(TNBS 처리없이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에 대한 백분율, %)
TNBS 처리 여부 투여 약물 시료 약물 시료 1회 투여량(㎎/㎏) Body weight change Colon length Macroscopic score MPO 활성
- vehicle - 100 100 100 100
+ vehicle - -89.3 75 950 1180
+ 제조예 14 20 71.43 87.5 475 420
+ 제조예 20 20 67.86 93.65 434 420
+ 제조예 21 20 82.14 95.31 300 280
+ 제조예 22 20 85.71 98.44 225 180
+ 제조예 23 20 89.29 96.88 350 260
+ 제조예 24 20 85.71 93.75 450 320
+ 제조예 25 20 78.57 89.06 450 320
+ 제조예 17 20 53.57 84.38 525 500
+ 제조예 26 20 64.86 57.41 480 550
+ 메살라진 10 59.46 89.06 420 360
+ 메살라진 20 78.38 90.63 420 360
+ 메살라진 50 75.68 90.63 450 390
또한, 하기 표 5는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 중 분획물 기반 실험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하기 표 5에서 분석 항목의 값은 TNBS로 처리하지 않은 실험동물에 별도의 약물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의 측정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또는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을 각각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보다 향상된 항대장염 효과를 보였다. 또한,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의 항대장염 효과는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혼합 중량비가 3:1일 때 가장 크게 상승하였고, 다음으로 5:1 및 1:1의 순서였다. 또한, 지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천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은 동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할 때 현재 대장염 치료 약물로 사용되고 있는 메살라진보다 항대장염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실험군 구분 분석항목 값(TNBS 처리없이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정상군에 대한 백분율, %)
TNBS 처리 여부 투여 약물 시료 약물 시료 1회 투여량(㎎/㎏) Body weight change Colon length Macroscopic score MPO 활성
- vehicle - 100 100 100 100
+ vehicle - -100 74.6 1233 1020
+ 제조예 16 20 66.67 87.3 667 410
+ 제조예 27 20 67.86 89.48 597 340
+ 제조예 28 20 96.3 93.65 533 233
+ 제조예 29 20 93.65 96.83 400 200
+ 제조예 30 20 85.19 95.24 500 250
+ 제조예 31 20 70.37 88.89 567 283
+ 제조예 32 20 66.67 88.89 633 300
+ 제조예 19 20 70.37 85.71 700 383
+ 메살라진 10 59.46 90.48 500 300
+ 메살라진 20 78.38 92.06 500 300
+ 메살라닌 50 75.68 92.06 600 317
(4) 염증 반응 지표 물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모델동물의 대장조직 100㎎에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함유된 250 ㎕l의 RIPA buffer를 첨가하여 균질화 하였다. 그 후 4℃ 및 13000 rpm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영하 80℃에서 보관하면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6 및 TNF-알파의 발현량과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에 해당하는 IL-10의 발현량을 96-well ELISA plate kits(Pierce Biotechology, In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6은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 중 추출물 기반 실험의 염증 반응 지표 물질 분석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표 6
실험군 구분 대장조직 내 염증 반응 지표 물질 농도(pg/㎎)
TNBS 처리 여부 투여 약물 시료 약물 시료 1회 투여량(㎎/㎏) TNF-α IL-6 IL-10
- vehicle - 13.3 20.9 17.3
+ vehicle - 102.7 83.6 7.3
+ 제조예 14 20 49.4 32.8 11.3
+ 제조예 21 20 33.3 25.3 16.3
+ 제조예 22 20 27.3 17.9 18.3
+ 제조예 23 20 37.7 24.3 15.2
+ 제조예 24 20 47.91 28.3 13.2
+ 제조예 25 20 45.1 27.6 10.7
+ 제조예 17 20 53.3 43.3 10.3
+ 메살라진 50 42.5 38.2 10.9
또한, 하기 표 7은 TNBS에 의해 급성 대장염이 유도된 모델동물 실험 중 분획물 기반 실험의 염증 반응 지표 물질 분석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표 7
실험군 구분 대장조직 내 염증 반응 지표 물질 농도(pg/㎎)
TNBS 처리 여부 투여 약물 시료 약물 시료 1회 투여량(㎎/㎏) TNF-α IL-6 IL-10
- vehicle - 14.8 23.5 17.5
+ vehicle - 92.5 85.5 7.5
+ 제조예 16 20 38.5 28.3 10.1
+ 제조예 28 20 32.5 25.7 11.7
+ 제조예 29 20 28.4 23.8 14.6
+ 제조예 30 20 29.4 23.6 11.9
+ 제조예 31 20 32.7 24.5 10.2
+ 제조예 32 20 38.1 26.4 9.7
+ 제조예 19 20 40.8 29.8 10.7
+ 메살라진 50 42.5 38.2 10.9
Ⅲ.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등의 제조
14. 약학 조성물의 제조
하기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서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은 제조예 20 내지 제조예 32의 복합 추출물로 대체가 가능하다.
<14-1> 산제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4-2> 정제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4-3> 캡슐제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4> 환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4-5> 과립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14-6> 주사제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이중 2㎖를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15. 식품 조성물의 제조
하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서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은 제조예 20 내지 제조예 32의 복합 추출물로 대체가 가능하다.
<15-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15-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15-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15-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15-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15-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g), 올리고당(2g), 설탕(2g), 식염(0.5g), 물(75g)과 같은 부재료와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15-7> 야채 주스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15-8> 과일 주스의 제조
제조예 13의 복합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대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량비는 10:1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염은 염증성 대장 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지모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 또는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만지페린(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은 천황련(Coptis chinen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황련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황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베르베린(Berber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이고, 지모 추출물 대 황련 추출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이고,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대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지모 추출물,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만지페린(Mangiferin), 만지페린(Mangiferin)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또는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황련 추출물 또는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은 천황련(Coptis chinen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이고 상기 황련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2인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지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이고, 상기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은 황련 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이고, 지모 추출물 대 황련 추출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0. 제 15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지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및 황련 추출물의 탄소 수가 3 내지 8인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이고, 지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 대 황련 추출물의 알코올 가용성 분획물의 중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1. 개체에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
PCT/KR2014/001252 2013-04-23 2014-02-17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755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10603A JP6139020B2 (ja) 2013-04-23 2014-02-17 複合抽出物を含む大腸炎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AU2014258204A AU2014258204B2 (en) 2013-04-23 2014-02-17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EP14788600.6A EP2990047B1 (en) 2013-04-23 2014-02-17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CA2910250A CA2910250C (en) 2013-04-23 2014-02-17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rhizoma coptidi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colitis
CN201480035968.6A CN105338993A (zh) 2013-04-23 2014-02-17 含复合提取物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大肠炎的组合物
US14/786,754 US10195244B2 (en) 2013-04-23 2014-02-17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US16/216,093 US10751381B2 (en) 2013-04-23 2018-12-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90 2013-04-23
KR20130044990 2013-04-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786,754 A-371-Of-International US10195244B2 (en) 2013-04-23 2014-02-17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US16/216,093 Continuation US10751381B2 (en) 2013-04-23 2018-12-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5543A1 true WO2014175543A1 (ko) 2014-10-30

Family

ID=5179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252 WO2014175543A1 (ko) 2013-04-23 2014-02-17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195244B2 (ko)
EP (1) EP2990047B1 (ko)
JP (1) JP6139020B2 (ko)
KR (1) KR101579219B1 (ko)
CN (1) CN105338993A (ko)
AU (1) AU2014258204B2 (ko)
CA (1) CA2910250C (ko)
WO (1) WO2014175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58204B2 (en) * 2013-04-23 2017-06-08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CN108743732A (zh) * 2018-08-09 2018-11-06 简能茶业开发有限公司 用于防治炎症性肠病的含植物成分混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0222470A1 (ko) * 2019-04-29 2020-11-05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0101698A (zh) * 2019-06-04 2019-08-09 澳门大学 非洲防己碱的应用及药物制剂
KR20210043067A (ko) * 2019-10-10 2021-04-21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3486A (ko) * 2020-10-21 2022-04-29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669A (ko) 2000-02-29 2001-09-07 이데이 노부유끼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6335B1 (ko) 2007-06-08 2008-09-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9022A (ko)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923953B1 (ko) 2007-11-12 2009-10-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콜린신경계 손상 개선제
KR100970739B1 (ko) 2008-06-13 2010-07-16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5742B1 (ko) 2009-04-16 2011-10-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2733A (ko)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천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91A (zh) * 1994-05-27 1995-12-27 王雅芳 清热解毒剂
JPH08127538A (ja) * 1994-10-31 1996-05-21 Masakiyo Takahashi 糖尿病治療薬
AU2446801A (en) * 1999-12-23 2001-07-03 Ancile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and related conditions
KR100778078B1 (ko) * 2006-02-03 2007-1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07223971A (ja) * 2006-02-24 2007-09-06 Tsumura & Co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産生促進剤
CN101066275A (zh) * 2007-06-12 2007-11-07 广西中医学院 芒果苷-小檗碱组合物
CN101921270A (zh) * 2009-06-16 2010-12-22 海南德泽药物研究有限公司 一种芒果苷小檗碱盐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1744978B (zh) * 2010-01-14 2013-07-17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预防和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
WO2014027832A1 (ko) * 2012-08-17 2014-0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2673B1 (ko) * 2012-10-05 2014-07-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4258204B2 (en) * 2013-04-23 2017-06-08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669A (ko) 2000-02-29 2001-09-07 이데이 노부유끼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6335B1 (ko) 2007-06-08 2008-09-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9022A (ko)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923953B1 (ko) 2007-11-12 2009-10-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콜린신경계 손상 개선제
KR100970739B1 (ko) 2008-06-13 2010-07-16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5742B1 (ko) 2009-04-16 2011-10-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2733A (ko)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천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CHROMATOGR. A., vol. 479, 1998, pages 200 - 205
JANG, S.-E. ET AL.: "Anticolitic effect of the rhizome mixture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Coptidis chinensis (AC-mix) in mice", BIOMOLECULES & THERAPEUTICS, vol. 21, no. 5, 30 September 2013 (2013-09-30), pages 398 - 404, XP053030948 *
LEIRO, J. ET AL.: "Expression profiles of genes involved in the mouse nuclear factor-kappa B signal transduction pathway are modulated by mangiferin",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 4, 2004, pages 763 - 778, XP055288383 *
LI, N. ET AL.: "Berberine attenuates pro-inflammatory cytokine-induced tight junction disruption in an in vitro model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 40, 2010, pages 1 - 8, XP055288384 *
MIURA, T.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a xanthone compound, mangiferin", PHYTOMEDICINE, vol. 8, no. 2, 2001, pages 85 - 87, XP004957205 *
MORAIS, T. C. ET AL.: "Mangiferin, a natural xanthone, accelerates gastrointestinal transit in mice involving cholinergic mechanism",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18, no. 25, 2012, pages 3207 - 3214, XP055288385 *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Latest issue", MACK PUBLISHING COMPANY
See also references of EP2990047A4
TJONG, Y. ET AL.: "Analgesic effect of Coptis chinensis rhizomes (Coptidis Rhizoma) extract on rat model of irritable bowel syndrom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135, 2011, pages 754 - 761, XP02821588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5365A1 (en) 2019-04-11
KR20140126661A (ko) 2014-10-31
CA2910250A1 (en) 2014-10-30
JP6139020B2 (ja) 2017-05-31
EP2990047A1 (en) 2016-03-02
CN105338993A (zh) 2016-02-17
AU2014258204B2 (en) 2017-06-08
JP2016519117A (ja) 2016-06-30
EP2990047B1 (en) 2022-10-26
AU2014258204A1 (en) 2015-11-12
KR101579219B1 (ko) 2015-12-23
US10195244B2 (en) 2019-02-05
US10751381B2 (en) 2020-08-25
US20160101144A1 (en) 2016-04-14
EP2990047A4 (en) 2016-12-14
CA2910250C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5543A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27832A1 (ko)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854828A1 (en) Panax spp. plant extract with increased content ratio of ginsenoside rg3, rg5, and rk1 produced by microwave irradiation, a method of preparing the panax spp. plant extract, and a composition including the panax spp. plant extract
WO2014104672A1 (en)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WO2018124508A1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3180462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hpv virus and the uses thereby
WO2015160219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035115A1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2046945A2 (ko)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및 식품 조성물
WO2020071667A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21071269A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803A1 (ko) 세스퀴테르펜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WO2009104913A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ixed herbs with lonicera japonica thunb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WO2015002430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0041837A2 (en) A use of the liquiritigenin abundant extract or liquiritigenin derived therefrom for increasing bile flow, choleretic effect, an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olestatic liver diseases
WO2017078486A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217009A1 (ko)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145619A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14168413A1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 use thereof
WO2020222470A1 (ko)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6048085A1 (ko) 유효성분의 함량이 향상된 콩 유래 추출물
WO2015046743A1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15583A2 (ko) 암조건에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35968.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886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910250

Country of ref document: CA

Ref document number: 201651060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6754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886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258204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40217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