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68274A1 -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68274A1
WO2014168274A1 PCT/KR2013/003453 KR2013003453W WO2014168274A1 WO 2014168274 A1 WO2014168274 A1 WO 2014168274A1 KR 2013003453 W KR2013003453 W KR 2013003453W WO 2014168274 A1 WO2014168274 A1 WO 20141682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material layer
separator
current collector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4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형탁
최원길
이병선
김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ublication of WO20141682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682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ercapacitor capable of modularizing the separa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to form a single module, and by stacking unit modules,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process and reducing the alignment deviation of the separa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Supercapacitors use electrostatic properties, so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cycles is almost infinit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compared to batteries using electrochemical reactions. to be.
  • next-generation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or fuel cell vehicles (FCVs)
  • EVs electric vehicles
  • HEVs hybrid electric vehicles
  • FCVs fuel cell vehicles
  • the ultracapacitor is used together with the battery as an auxiliary energy storage device, so that the instantaneous supply and absorption of energy is in charge of the supercapacitor, and the average vehicle energy is in charge of the battery,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energy of the overall vehicle system. Effects such as extending the life of the storage system can be expected.
  • Such supercapacitor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and a hybrid super capacitor using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 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hybrid super capacitor using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accumulate charge by generating an electric double layer on the surface, while hybrid supercapacitors can accumulate charge by redox reaction together with an electric doubl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 Ultracapacitors use electrostatic characteristics, so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cycles is almost infinit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compared to batteries using electrochemical reactions. That's it.
  • the conventional supercapacitor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cells,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 housing,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38548 (April 13, 2012), wherein the electrode cells are formed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 a first electrode having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disposed on both surfaces, a second electrode having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during assembly,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is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lectrode,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i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conventional supercapacitor may have a gap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because each member is stacked in a single she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erformance is degraded due to such a gap.
  • the conventional super capacitor ha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time is long because each member is stacked in a shee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ercapacitor that can reduce the alignment deviation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by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is integrated into a single module, each unit module is laminated, thereby manufacturing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ress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through a pressing process to produce a single module, thereby preventing the gap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in close conta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ercapaci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module, and manufactured by stacking each unit module, thereby reducing the assembly time and thereby improving the supercapacitor and its manufacture To provide a way.
  • the super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torag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are stacked, the unit module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ntire surface, a first separator laminated o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and a second separator laminated on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wherein the unit module is integrally formed by a pressing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 the storag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a first separator stacked o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a second separator stacked on the first separator,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stacked on the second separator,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 the current collectors stacked on the layers may be sequentially stacked.
  • the super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pper plat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al storage assembly, a lower plate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al storage assembly, and a gaske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electrical storage assembly, wherein an edge of the current collector is gasket. It can be fixed to.
  •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i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first separator is laminated o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Stacking a second separator on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stacking a first cover on the first separator, stacking a second cover on the second separator, and manufacturing a unit module; Pressing by a pressing process, the first separator,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the current collector,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separa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 of integrally forming.
  • the super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is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module, and manufact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modules, the alignment deviation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 the super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through a pressing process to manufacture a single module, and thus,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to generate a gap. It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performance.
  • the super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module, and manufactured by stacking each unit modul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storag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are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materials forming a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 FIG. 4 is a process state diagram showing a uni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er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er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er capacitor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storage assembly is stacked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uper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an active material layer, and a separator integrally formed as one unit module 100, and the unit module 100 integrally formed therein is A plurality of layers are stacked to form a power storage assembly.
  • the unit module 100 may be one of a cathode and an anod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and the anode are alternately stacked.
  • the unit module 100 is stacked on the current collector 10,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10.
  •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the first separator 40 stacked o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separator 50 stacked on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are included.
  • the current collector 10 may be formed of aluminum foil or copper foil, and a mesh sha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applied to efficiently carry out ion movement and to uniformly dope a process.
  • One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is on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 other i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ctivated carbon and binder capable of reversibly doping and undoping ions It may include, and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composed of carbon black, a solvent and the like.
  •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40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50 may be applied to a non-woven fabric or paper, such as natural pulp, in addition to electrospinning the polymer material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to make nanofibers, and the nanofibers are accumulated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ano web having pores.
  • the current collector 10, the first and second active material layers 20 and 30,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40 and 50 are formed in different sizes.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an optimal thickness and size are determined in the design proces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the first separator 40 and the second separator 50 are made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are respectively covered and covered on the side to encapsulate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 the current collector 10 is fixed to the casing unit modules 100 stacked in a plurality of later in the process and the first separator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 40) and larger than the second separator 50.
  • the length H1 and the width T1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are the smallest, and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40 and the second are shown.
  • the length H2 and the width T2 of the separator 50 may cover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so as to cover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It is larger than the length H1 and the width T1, and the length H3 and the width T3 of the current collector 10 are larger than the first separator 40 and the second separator 50.
  • the current collector 10, the active material layers 20 and 30, and the separation membranes 40 and 50 are different in size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current collector 10, the active material layers 20 and 30, and the separation membranes 40 and 50 must be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stacked.
  • the current collector 10,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the first separator 40 and the second separator 50 are integrally formed as one module. Match exactly the alignment position between each material.
  •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10
  • the active material layer 30 is laminated.
  •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then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10, and an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agent, a binder, and an organic solvent. After the slurry is prepared by mixing and the like, a method of coating and forming the slurry on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10 is also applicable.
  • the first separator 40 is stacked o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separator 50 is stacked on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 the first cover 60 is stacked on the first separator 40, and the second cover 62 is laminated on the second separator 50 to complete one unit module.
  • the unit module 100 is subjected to a pressing process such that the material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active material layer between the active material layers 20 and 30 and the separators 40 and 50,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layers 20 and 30 and the current collector 10. Prevents gaps and minimizes misalignment by precisely aligning each material.
  • the unit module 100 passes between two pressing rollers 70 and 72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aterials are press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respective material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 the unit modules to be manufactured are stacked to form a power storage assembly.
  • the power storage assembly is sequentially stacked with the first separator 40 of one unit module 100.
  • the power storage assembly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10,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10, a first separator 40 stacked o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0, and The second separator 50 stacked on the first separator 40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30 stacked on the second separator 50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with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40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50, the area capable of absorbing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 the power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grally formed by pressing the unit module 100 by a roll press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materials forming the unit module, thereby resulting in a gap between the material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 the unit module 100 is integrally formed by pressing by the roll pressing process, the alignment positions between the respective materials can be precisely aligned, and when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100 are stacked, The occurrence of alignment deviation can be minimized.
  • the unit modules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unit modules are stacked to manufacture the power storage assembly, the work tim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stacking each material in a single sheet,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er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er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ercapacitor includes a power storage assembly 200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modules 100, an upper plate 11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wer storage assembly 200, and a power storage assembly ( A pair of lower plates 12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200 and fixed to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assembly 200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electrical short circuit. Gasket 130.
  • the gasket 130 has a gasket hole 15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beam 140 passes so that the stacked unit modules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do.
  • the connecting beam 1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end 141 and the support end 141 fixed to any one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to rest the other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It is formed of a beam rod 142 connected to one.
  • connection beam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ceramic, an insulating metal and a polymer having chemical resistance.
  • the support end 14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being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eam 1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l that can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eam It can be formed in one of the forms.
  • the upper plat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 of the unit module 100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and the lower plate 120 has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unit module 10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t adheres to the lower surface.
  • the edge of the current collector 10 is fixed to the gasket 130 and serves to support the unit module 100 stacked in a plurality.
  • the lower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131 for inhibiting and fix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eam 14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the unit module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110.
  • the fixing part 131 is a support rod fastening surface 1311 and the beam rod of the connection beam 14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end for fixing the support end 141 of the connection beam 140 ( 142 is formed as a connection hole 1132 is passed through.
  • the lower plat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anode (+)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and the upper plate 110 is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at which the cathode (-)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urface in which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re in close contac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unit power storage module stacked inside.
  • the connecting beam 140 is fixed by the fixing part 131 of the lower plate 12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gasket 130 and the end hole 132 to reach the upper plate 110 to reach the bolt ( 160 is fastened and fixed.
  • connection beam 140 while the support end 141 of the connection beam 140 is fixed to the support end coupling surface 1311 of the lower plate 120, the beam rod 142 penetrates and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32.
  • the beam rod 142 reaches the end hole 132 of the upper plate 110 by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0 of the unit storage modules in which the beam stack 142 is internally stacked, the tip of the beam rod 142 and the bolt 160 are fastened and fixed. do.
  • the gasket and the upper plate 110 of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torage modules are connected to the beam rod 142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end 141 of the connection beam 140 is fixed to the lower plate 120.
  • the fastening is fastened by using one bolt 160 to prevent the application of excess or underpressure.
  • the super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lignment deviation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parator, and can improve performanc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aps between the layers constituting each capacitor,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of electric vehicles, mobile phones,
  •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and the life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can be exten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는 복수의 단위 모듈이 적층되는 축전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모듈은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1활물질층과, 상기 집전체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과,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1분리막과,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모듈은 프레싱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각 자재들 사이의 정렬 편차를 줄일 수 있고, 각 자재들 사이를 밀착시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분리막,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모듈화하여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고,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고 분리막, 활물질층 및 집전체의 정렬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슈퍼 커패시터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에 비하여 충방전 회수가 거의 무한대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에너지의 충방전 속도가 매우 빨라 그 출력 밀도가 배터리의 수십배 이상이다.
기존의 배터리로 구현 불가능한 이와 같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특성으로 인하여 산업계 전반에 걸쳐 그 응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또는 연료전지자동차(Fuel Cell Vehicle, FCV) 등과 같은 차세대 환경 친화 차량 개발 분야에 있어 에너지 버퍼로서 그 효용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즉, 초고용량 커패시터는 보조 에너지저장장치로서 배터리와 병용됨으로써, 순시적인 에너지의 공급과 흡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가 담당하고, 평균적인 차량의 에너지 공급은 배터리가 담당함으로써 전반적인 차량 시스템의 효율 개선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 연장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전화나 동영상 레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 부품에서 보조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요성 및 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슈퍼 커패시터는 크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on double layer capacitor)와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Hybrid super capacitor)로 분류될 수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표면에 전기 이중층이 생성되어 전하를 축적하는 반면,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는 전극물질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과 함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하를 축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초고용량 커패시터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에 비하여 충방전 회수가 거의 무한대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에너지의 충방전 속도가 매우 빨라 그 출력 밀도가 배터리의 수십배 이상이다.
종래의 슈퍼 커패시터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138548(2012년 4월 13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극셀과 전해액 및 하우징으로 포함하고, 전극셀은 제1집전체와 제1집전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활물질층을 갖는 제1전극과, 제2집전체와 제2집전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2활물질층을 갖는 제2전극과,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를 배치되어 두 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슈퍼 커패시터는 조립시 제1전극, 세퍼레이터, 제2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제1전극의 경우 제1집전체의 양면에 제1활물질층이 적층되고, 제2전극의 경우 제2집전체의 양면에 제2활물질층이 적층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종래의 슈퍼 커패시터를 조립할 때 각각의 부재들이 낱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적층하는 과정에서 정렬이 틀려지고 이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슈퍼 커패시터는 각각의 부재들이 낱장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집전체와 활물질층 사이 및 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틈새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슈퍼 커패시터는 각각의 부재들이 낱장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이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고, 각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제조됨으로써,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 사이의 정렬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을 프레싱 공정을 통해 압착하여 하나의 모듈로 제조함으로써, 집전체와 활물질층 사이, 활물질층과 분리막 사이가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이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고, 각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제조됨으로써,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는 복수의 단위 모듈이 적층되는 축전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모듈은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1활물질층과, 상기 집전체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과,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1분리막과,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모듈은 프레싱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분리막 및 제2분리막은 제1활물질층 및 제2활물질층 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집전체는 상기 제1분리막 및 제2분리막 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전 집합체는 제1활물질층,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1분리막, 상기 제1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 상기 제2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 및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집전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는 축전 집합체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 플레이트, 축전 집합체의 하면에 적층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축전 집합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개스킷(gask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전체의 가장자리는 개스켓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 제조방법은 집전체의 일면에 제1활물질층을 적층하고, 상기 집전체의 타면에 제2활물질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제1분리막을 적층하고,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제2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분리막에 제1커버를 적층하고, 상기 제2분리막에 제2커버를 적층하여 단위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 모듈을 프레싱 공정으로 가압하여 제1분리막, 제1활물질층, 집전체, 제2활물질층 및 제2분리막 사이를 밀착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는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이 하나의 모듈로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제조됨으로써,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 사이의 정렬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는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을 프레싱 공정을 통해 압착하여 하나의 모듈로 제조함으로써, 집전체와 활물질층 사이, 활물질층과 분리막 사이가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는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이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고, 각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제조됨으로써,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위 모듈이 적층된 축전 집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을 이루는 자재가 적층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 단위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이 적층된 축전 집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는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이 하나의 단위 모듈(100)로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단위 모듈(100)이 복수로 적층되어 축전 집합체를 이룬다.
단위 모듈(100)은 음극과 양극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음극과 양극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단위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체(10)와, 집전체(10)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1활물질층(20)과, 집전체(10)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30)과, 제1활물질층(20)에 적층되는 제1분리막(40)과, 제2활물질층(30)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50)을 포함한다.
집전체(10)는 알루미늄 박 또는 구리 박(foil)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온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균일한 도핑 공정을 위해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된 메쉬 형태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은 둘 중 하나가 음극 활물질층이 되고, 나머지 하나가 양극 활물질층이 되는 것으로,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활성탄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고, 카본 블랙 및 용매 등으로 구성되는 도전재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분리막(40) 및 제2분리막(50)은 천연 펄프계로 부직포나 종이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 전기 방사 방법에 의해 고분자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 섬유를 만들고,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다수의 기공을 갖는 나노 웹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집전체(10), 제1 및 제2활물질층(20,30) 및 제1 및 제2분리막(40,50)은 사이즈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의 경우 사용 목적에 따라 설계과정에서 최적의 두께 및 사이즈가 결정되고, 제1분리막(40) 및 제2분리막(50)은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을 각각 덮고 측면에 감싸져서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을 봉지할 수 있도록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에 비해 큰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고, 집전체(10)는 이후 공정에서 복수로 적층된 단위 모듈(100)을 케이싱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분리막(40) 및 제2분리막(50)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의 길이(H1) 및 폭(T1)이 가장 작고, 제1분리막(40) 및 제2분리막(50)의 길이(H2) 및 폭(T2)은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을 덮을 수 있도록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의 길이(H1) 및 폭(T1)에 비해 크고, 집전체(10)의 길이(H3) 및 폭(T3)은 제1분리막(40) 및 제2분리막(50)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집전체(10), 활물질층(20,30) 및 분리막(40,50)은 서로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적층할 때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켜야 되고, 정렬 편차가 발생되면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집전체(10), 제1활물질층(20), 제2활물질층(30), 제1분리막(40) 및 제2분리막(50)을 하나의 모듈로 일체로 형성하여 각 자재들 사이의 정렬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킨다.
단위 모듈(100)을 제조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집전체(10)의 일면에 제1활물질층(20)을 적층하고, 집전체(10)의 타면에 제2활물질층(30)을 적층한다.
여기에서, 제1활물질층(20) 및 제2활물질층(30)은 시트 형태로 형성한 후 집전체(10)의 양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활물질, 도전제, 결합제 및 유기 용매 등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슬러리를 집전체(10)의 양면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활물질층(20)에 제1분리막(40)을 적층하고, 제2활물질층(30)에 제2분리막(50)을 적층한다. 그리고, 제1분리막(40)에 제1커버(60)를 적층하고, 제2분리막(50)에 제2커버(62)를 적층하여 하나의 단위 모듈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단위 모듈(100)에 프레싱 공정을 실시하여 각 자재들 사이를 상호 밀착시켜 활물질층(20,30)과 분리막(40,50) 사이 및 활물질층(20,30)과 집전체(1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자재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시켜 정렬 편차 발생을 최소화한다.
구체적으로, 단위 모듈(100)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가압 롤러(70,72) 사이를 통과시키면 각각의 자재들이 가압되면서 상호 밀착된다. 이러한 프레싱 공정에서 제1커버(60) 및 제2커버(62)가 최외측에 위치되어 가압 롤러(70,72)와 접촉되므로 각 자재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축전 집합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축전 집합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모듈(100)의 제1분리막(40)과 연이어 적층되는 단위 모듈(100)의 제2분리막(50)이 상호 적층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축전 집합체는 집전체(10)와, 집전체(10)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1활물질층(20)과, 제1활물질층(20)에 적층되는 제1분리막(40)과, 제1분리막(40)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50)과, 제2분리막(50)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에서, 분리막은 제1분리막(40)과 제2분리막(50)으로 이중구조로 형성되므로 전해액을 흡습할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전 집합체는 단위 모듈(100)을 롤 프레싱 공정에 의해 가압하여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단위 모듈을 이루는 각 자재들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자재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자재들 간의 틈새 발생으로 인한 저항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충방전시 압하력 변동에 의한 각 자재 간에 틈새가 발생되어 자재 간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모듈(100)을 롤 프레싱 공정에 의해 가압하여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각 자재들 사이의 정렬 위치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고, 복수의 단위 모듈(100)을 적층할 때 각 자재들 사이의 정렬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모듈을 일체로 형성하고, 단위 모듈을 적층하여 축전 집합체를 제조하기 때문에 각각의 자재를 낱장으로 적층할 때에 비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 커패시터는 복수의 단위 모듈(100)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축전 집합체(200)와, 축전 집합체(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축전 집합체(200)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0)와,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고 축전 집합체(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전해액의 누액과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개스킷(gasket)(130)을 포함한다.
이때, 개스킷(130)은 적층된 단위 모듈(100)이 상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빔(140)이 관통하는 개스킷 홀(150)이 형성된다.
연결빔(140)은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지지단(141) 및 지지단(141)에 연결되어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빔로드(142)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빔(140)은 세라믹, 절연처리가 된 금속 및 내화학성이 확보된 고분자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단(141)은 연결빔(14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빔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모든 형태들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는 단위 모듈(100)의 양극(+)이 최 외곽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면에 밀착되며, 하부 플레이트(120)는 단위 모듈(100)의 음극(-)이 최 외곽으로 배치되어 있는 하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개스킷(130)에 집전체(10)의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다수로 적층되는 단위 모듈(10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120)에는 연결빔(140)의 회전을 억제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1)가 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110)에는 하부 플레이트(120)와 단위 모듈(100)을 통과해 도달한 연결빔(14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650)가 삽입되는 앤드홀(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131)는 연결빔(140)의 지지단(141)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단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단 체결면(1311)과 연결빔(140)의 빔로드(142)가 통과되는 연결홀(1132)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극(+)이 최 외곽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면에 하부 플레이트(120)가 밀착되며, 음극(-)이 최 외곽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면에 상부 플레이트(110)가 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 적층되는 단위 축전 모듈의 극성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가 밀착되는 면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의해 연결빔(140)은 하부 플레이트(120)의 고정부(131)에 의해 고정된 후 개스킷(130) 및 앤드홀(132)을 관통하여 상부 플레이트(110)에 도달하여 볼트(16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지지단 체결면(1311)에 연결빔(140)의 지지단(141)이 고정되면서 연결홀(1132)을 통해 빔로드(142)가 관통하고, 관통한 빔로드(142)가 내부적층 되어있는 단위 축전 모듈들의 개스킷(130)을 통과해 상부 플레이트(110)의 앤드홀(132)까지 도달하면 빔로드(142)의 선단과 볼트(160)가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빔(140)의 지지단(141)을 하부 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빔로드(142)를 다수의 단위 축전 모듈들의 개스킷과 상부 플레이트(110)에 관통시켜 하나의 볼트(160)를 이용하여 밀착 체결하므로 초과 또는 부족압력의 인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슈퍼 커패시터는 집전체, 활물질층 및 분리막 사이의 정렬 편차를 줄일 수 있고, 각 커패시터를 이루는 각 층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기자동차, 이동전화나 동영상 레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 부품에서 보조 전원으로 사용될 때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수명 연장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단위 모듈이 적층되는 축전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모듈은 집전체;
    상기 집전체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1활물질층;
    상기 집전체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1분리막; 및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모듈은 프레싱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막 및 제2분리막은 제1활물질층 및 제2활물질층 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집전체는 상기 제1분리막 및 제2분리막 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커패시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집합체는 제1활물질층,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제1분리막, 상기 제1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분리막, 상기 제2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활물질층 및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적층되는 집전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커패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집합체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 플레이트, 축전 집합체의 하면에 적층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축전 집합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개스킷(gasket)을 포함하고,
    상기 집전체의 가장자리는 개스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커패시터.
  5. 집전체의 일면에 제1활물질층을 적층하고, 상기 집전체의 타면에 제2활물질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활물질층에 제1분리막을 적층하고, 상기 제2활물질층에 제2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분리막에 제1커버를 적층하고, 상기 제2분리막에 제2커버를 적층하여 단위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위 모듈을 프레싱 공정으로 가압하여 제1분리막, 제1활물질층, 집전체, 제2활물질층 및 제2분리막 사이를 밀착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슈퍼 커패시터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공정이 완료되면 제1커버와 제2커버를 분리한 후 단위 모듈을 복수로 적층하여 축전 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슈퍼 커패시터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의 프레싱 공정은 단위 모듈을 두 가압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커패시터 제조방법.
PCT/KR2013/003453 2013-04-11 2013-04-23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41682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59 2013-04-11
KR20130040059A KR20140122950A (ko) 2013-04-11 2013-04-11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8274A1 true WO2014168274A1 (ko) 2014-10-16

Family

ID=5168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453 WO2014168274A1 (ko) 2013-04-11 2013-04-23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2950A (ko)
WO (1) WO2014168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164B1 (ko) * 2015-03-25 2016-08-08 주식회사 아모텍 초고용량 커패시터 제조방법
WO2016153092A1 (ko) 2015-03-25 2016-09-29 주식회사 아모텍 초고용량 커패시터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3223B1 (ko) 2016-03-10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6809A (ja) * 1990-11-30 1992-07-28 Shinei Kk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EP0867902A2 (en) * 1997-03-28 1998-09-30 Nec Corporatio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2001250742A (ja) * 2000-03-07 2001-09-14 Nec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2002289485A (ja) * 2001-03-23 2002-10-04 Nissan Diesel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02755A (ko) * 2004-12-14 2005-01-10 (주) 스마트씽커즈 전기이중층 축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6809A (ja) * 1990-11-30 1992-07-28 Shinei Kk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EP0867902A2 (en) * 1997-03-28 1998-09-30 Nec Corporatio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2001250742A (ja) * 2000-03-07 2001-09-14 Nec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2002289485A (ja) * 2001-03-23 2002-10-04 Nissan Diesel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02755A (ko) * 2004-12-14 2005-01-10 (주) 스마트씽커즈 전기이중층 축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50A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3567B2 (ja) ナノ多孔性セパレータ層を利用するリチウム電池
WO2014126427A1 (ko)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065127A1 (ko)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WO2015080305A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081242A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US20120196167A1 (en) Electrode assembly for a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3168980A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WO2014003488A1 (ko)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5005652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디바이스
WO2014003485A1 (ko)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8097455A1 (ko) 전극 보호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WO2016056764A1 (ko)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031702A1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50012242A (ko) 수용성-기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WO2015037813A2 (ko) 파우치형 케이스,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제조방법
WO2018186597A1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19004655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002496A2 (ko) 절연부재가 장착된 이차전지
WO2014168274A1 (ko) 슈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WO2021187726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TWI398031B (zh) 鋰離子電池組
WO2020171376A1 (ko) 단위셀 및 그 제조방법
WO2018030835A1 (ko) 이차 전지
WO2021177681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1085767A1 (ko) 전극밀도를 개선할 수 있는 슈퍼커패시터 전극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슈퍼커패시터 전극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슈퍼커패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17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17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