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04570A1 - 올데란디아 브라치보다, 스퍼글라리아 마리나, 디스포름 스미라치늄, 페르시카리아 포숨부, 또는 지엄 알레피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데란디아 브라치보다, 스퍼글라리아 마리나, 디스포름 스미라치늄, 페르시카리아 포숨부, 또는 지엄 알레피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04570A1
WO2014104570A1 PCT/KR2013/010249 KR2013010249W WO2014104570A1 WO 2014104570 A1 WO2014104570 A1 WO 2014104570A1 KR 2013010249 W KR2013010249 W KR 2013010249W WO 2014104570 A1 WO2014104570 A1 WO 20141045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effect
brachypoda
oldenlandia
se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2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혜영
류미라
김경
박민
이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US14/655,70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93009B2/en
Publication of WO20141045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045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8Oldenlandia or Hedyo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ful for a specific disease or condition containing an extract which promotes the secretion of intestinal hormones or neuropeptides from intestinal endocrine cells as an active ingredient or It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 Enteroendocrine cells endocrine cells pres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stimulated by components introduced into the intestinal lumen to secrete gut hormones or neuropeptides. Even if the same ingredient is moved to the target organ through the blood is called a hormone and acts as a signaling material of vagus nerve activation is called a neuropeptide.
  • Intestinal hormones or neuropeptides secreted by intestinal endocrine cells include Glucagon-like peptide-1 (GLP-1), cholecystokinin (CCK), serotonin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 And the like.
  • GLP-1 is secreted from L-cells, a type of intestinal endocrine cells present in the ileum and colon.
  • the GLP-1 is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treating obesity, treating heart disease, and controlling digestive digestive enzyme secretion [Mourad FH & Saade NE, Neural regulation of intestinal nutrient absorption. Progress in Neurobiology (2011) 95, 149-162], immune enhancing effect [Campbell JE and Drucker DJ, Pharmacology, physioloty, and mechanisms of incretin hormone action. Cell Metabolism (2013) 17, 819], therapeutic effect of atherosclerosis [Burgmaier M et al., Glucagon-like peptide-1 (GLP-1) and its split products GLP-1 (9-37) and GLP-1 (28 -37) stabilize atherosclerotic lesions in apoe mice.
  • GLP-1 glucagon-like peptide-1
  • Glucose-dependent insulin secretion stimulation insulin gene expression, pancreatic beta cell proliferation, pancreatic beta cell survival, glucagon secretion, hypoglycemia, etc. It is involved in slowing down appetite, improving satiety, suppressing food intake, and producing obesity treatment effects.
  • GLP-1 activates G protein-coupled bile acid receptor 131 (GPR131) and G-protein coupled receptor 119 (GPR119), which are a type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 GPCRs G protein-coupled receptors
  • GPCR G protein-coupled receptor
  • CCK is synthesized and secreted from I-cells, a type of intestinal endocrine cells present in the duodenum and jejunum.
  • CCK secreted from the duodenal mucosa is responsible for the activation of CCK-A receptors in the vagus nerve fibers. It is known to induce antidiabetic effect by inhibiting glucose production, to induce anti-obesity effect by suppressing food intake, and to be involved in digestion and absorption regulation.
  • GPCRs G protein-coupled receptors
  • signaling molecules G proteins, PLC ⁇ 2 (phospholipase C ⁇ 2)
  • TRP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 5-HT is a hormone secreted from enterochromaffin cells (EC cells) that are present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s involved in digestion and absorption regulation and is known to exhibit anti-obesity effects through appetite suppression (Gershon, MD, Tack, J.). (2007) The serotonin signaling system: from basic understanding to drug development for functional GI disorders.Gastroenterology 132, 397-414.
  • Intestinal hormones or neuropeptide secretion is known to monitor the food ingested at the digestive stage to maintain body homeostasis (intestinal motility, intestinal digestive secretion, appetite, etc.) related to food intake and digestion.
  • homeostasis in the body represents a balance between the energy absorbed and the energy consumed, which can lead to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 drugs that have anti-obesity effects ar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but these drugs are known to cause side effects such as oily stools, abdominal bloating, dizziness, dry mouth, constipation and increased blood pressu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trong natural functional materials.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 that can exhibit a variety of useful efficacy, safe and excellent in the endocrine cell activity with fewer side effects.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r more of the effects of diabetes treatmen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arteriosclerosis improvement, neuroprotective action and liver disease treatment or improvement I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showing.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ffect of treating diabetes, the appetite in a subject or patien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or patient in need thereof an effective amount of a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 containing a saf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method for achieving the effect of any one or more of inhibitory effe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improvement, arteriosclerosis improvement, neuroprotective action and liver disease treatment or improvement.
  • compositions that affects secretion stimulation or hTGR5 activation of GLP-1, CCK or 5-HT, and consequently acts as a TRP, TRPA1, lipoprotein (G protein), or PLC ⁇ 2 activator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has intestinal endocrine cell activity, as a result Diabetes treatment effect; Appetite suppressing effect; Anti-obesity effect; Improving heart disease; Improving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Atherosclerosis improving effect; Neuroprotective action; Or it provides a composition that shows the effect of treating or improving liver diseas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intestinal hormones and / or secreted by the activation of intestinal endocrine cells of any one or mor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mong natural product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have been proven safe. Or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secretion of neuropeptides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may exhibit the effects of increased insulin gene expression,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c effect, etc.
  • the extract provides a use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effect of diabetes.
  •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enhances digestive enzyme secretion in the pancreas and small intestine, intestinal contraction and motility
  •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enhances digestive enzyme secretion in the pancreas and small intestine, intestinal contraction and motility
  •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to regulate the blood flow to the heart muscle to protect cardiomyocytes It is found that the effect is excellent to provide a use for the heart disease improvement effect of the extract. More specifically,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heart cells from ischemia, and cardiac function in patients with heart attack risk. It can improve the effect.
  • any one or mor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can prevent atherosclerosis, and improve atherosclerosis of the extract Provides a use for the effect.
  • the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of the brain is activated by one or mor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It has been found to activate vagus nerves, thus providing the use for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
  •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reatment of cellular inflammation (Neuroinflammation), and can be expected to enhance neuronal development (Neurogenesis).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treating or improving liver disease of any one or mor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More specifically,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hepatic inflammation, and promotes enterohepatic blood flow. Effects, improving liver function, treating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ing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improving intestinal functions, promoting neurotransmitter effect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that stimulates or influences secretion of GLP-1, CCK or 5-HT, or acts as a TRP, TRPA1, lipoprotein (G protein), PLC ⁇ 2 activator.
  •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stimulates GLP-1 secretion. Provides use for GLP-1 secretory stimulatory effects.
  • extracts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stimulate CCK secretion and activate GPCRs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and cAMP. It is revealed through experiments to provide a use for the CCK secretion stimulating effect of the extract.
  •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stimulates 5-HT secretion and causes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hange. It was found through experiments to provide a use for the 5-HT secretion stimulating effect of the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that acts as a TRP, TRPA1, lipoprotein (G protein) or PLC ⁇ 2 activator.
  • any one or mor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by activating TGR5 through experiments for the use of TGR5 activity effect To provide.
  •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increases calcium concentration
  • the extract is TRP channel (Transient receptor Experimental findings of activating the potential channel and the TRPA1 channel (member A1) provide experimental use for TRP and TRPA1 channel activity.
  • G protein is activated by an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to increase intracellular calcium ion concentration. Provides use for lipoprotein active effects.
  • PLC ⁇ 2 is activated by one or more extracts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to increase intracellular calcium ion concentration and cAMP concentration. Provides use for active effects.
  •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extract extracted by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action, separation after extraction It may be further purified by a method such as filtration.
  • th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the Spergularia marina extract, the Disporum smilacinum extract, the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the Geum aleppicu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olvent extracts of the plants or dried products thereof.
  • the extraction solven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o long as it is a solvent used for natural product extraction, for example, purified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yl alcohol, and butyl alcoh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Or they may use a mixed solvent,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propyl alcohol, butyl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purified water, 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d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a mixed solvent of purified water and ethanol.
  • the amount of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used 10 to 100 times the weight of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 Spergularia marina , Disporum smilacinum , Persicaria posumbu and Geum aleppicum , preferably 20 to 80 times may be used, more preferably 30 to 50 times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ng method may be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such as stirring extraction, cold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It may be, and is preferably heated to reflux extraction or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extraction is preferably 10 to 30 °C,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to 20 days, more preferably 1 to 5 d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ant is extracted by adding 1 to 20 times the volume of the plant pulverization, and then selective. It can be prepared by concentration, drying or purif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active ingredient material is extracted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as described above (a) by heating for 1 to 20 hours at a temperature of 50 to 100 °C in a state that the cooling condenser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olvent from evaporating Extraction or (b) may be performed by dipping for 1 to 15 days at 5 to 37 °C temperature conditions to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for activating the intestinal endocrine cells may be any one or more fractions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
  • th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preferably lower alcohol extract having 1 to 4 carbon atoms) hexane, chloroform, butanol and It may be obtained by fractionation with a solvent having a lower polarity than water such as ethyl acetate, and preferably hexane or chloroform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hexane or chloroform fraction of a lower alcohol extract having 1 to 4 carbon atoms.
  • the fractions are of lower polarity than water, such as hexane, chloroform, butanol or ethyl acetate, either by using a liquid extract before drying or by suspending or dissolving the dried extract in a suitable solvent such as water, 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Solvents may be added sequentially to separate each layer and then each lay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 or dried.
  • the vacuum concentration is preferably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drying may be vacuum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room temperature drying or freeze drying, more preferably freeze drying.
  •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drying method.
  • At least on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lucagon-like peptide-1 (Glucagon-like peptide-1, GLP-1, GLP-1- (7-36) activates intestinal endocrine cells secreting intestinal hormones and / or neuropeptides such as amide), cholecystokinin (CCK), serotonin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It has been found to promote the secretion of hormones and / or neuropeptides.
  • Glucagon-like peptide-1 activates intestinal endocrine cells secreting intestinal hormones and / or neuropeptides such as amide), cholecystokinin (CCK), serotonin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It has been found to promote the secret
  •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secretion of enteric hormones and neuropeptides by at least on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It can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 diabetes treatment effec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improvement, arteriosclerosis improvement, neuroprotective effect, or liver disease treatment or improvement .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diabetes treatment effec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can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digestion and absorption disorders, improving atherosclerosis, neuroprotective effect, or treating or improving liver diseas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medicines, dietary supplements, food additives, feed additive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Can be used.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s,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sucrose), lactose (lactose),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owder may be prepared by simply mix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such as lactose,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such as lactose,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 Tablets may also be prepared by mixing the granules with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glidant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hen tableting using a tableting machine.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by injection (eg, intramuscular, intraperitoneal, intravenous, infusion, subcutaneous, implants), inhalants, nasal administrations, vaginal age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 to be treated and the condition of the individual. It may be administered as a rectal agent, a sublingual agent, a transdermal agent, a topical ag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ulated into a suitable dosage unit dosage form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vehicle, conventionally used and nontoxic,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Depot formulations capable of continually releasing the drug for a period of time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on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0.001 mg / kg to about 10 g / kg daily
  • a daily dosage of about 0.01 mg / kg to about 1 g / kg may be administered.
  •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the extract,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age, sex, weight, etc.), the severity of the condition being treated, and the like. If desired, the total daily dose may be divided for convenience and divided several times throughout the day.
  • extracts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s a food composition
  • food composi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food.
  • foods to which the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drinks, meat, sausages, breads, biscuits, rice cakes, chocolates,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and include all healthy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a foo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suitable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Can be use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In general, the amount of the extract in the food may be added at 0.01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health and hygiene or health control purposes,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of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ratio indicated, except that it contains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s essential ingredients.
  • the ingredien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etc. as additional ingredients, as in conventional beverages.
  •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the flavourant may be a natural flavourant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vor of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etc. Carbonates used in agents, colorants and neutraliz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r an amount effective for improving health or requiring improvement of condition.
  •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r an amount effective for improving health or requiring improvement of condition.
  •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an anti-obesity effect
  • an improvement in heart disease an improvement in mobilization,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diabetes, prevention of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neuroprotective action and / or treatment or improvement of liver disease, including administration to a patient or individual do.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etite suppression effe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diabetes prevention or improvement, digestion and absorption disord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inal or nutraceutical use having an improvement, an atherosclerosis improvement, a neuroprotective action and / or a treatment or improvement effect on live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of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selected from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of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artery Improving sclerosis, neuroprotective action and / or treating or ameliorating liver disea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 and low side effects using a natural extract, diabetes treatment effec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improvement effect, arteriosclerosis improvement, nerve Excellent protective and / or liver disease treatment or amelioration.
  •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c-Fos activation in Caudal DVC (Dorsal vagal comlpex) by administration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by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administration.
  •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Caudal DVC (Dorsal vagal comlpex) by administration of Spergularia marina extract.
  •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by administration of Spergularia marina extract.
  •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the Caudal DVC (Dorsal vagal comlpex) by the administration of Disporum smilacinum extract.
  •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by the administration of Disporum smilacinum extract.
  • 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Caudal DVC (Dorsal vagal comlpex) by the administration of Persicaria posumbu extract.
  • Figure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by administration of Persicaria posumbu extract.
  • Figure 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Fos activation in Caudal DVC (Dorsal vagal comlpex) by Geum aleppicum extract administration.
  • FIG. 10 is a photograph showing c-Fos activation in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by Geum aleppicum extract administration.
  •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used that was sold at Jeju Techno Park (preparation number JBRI-10170). Specifically, lyophilized Oldenlandia brachypoda outpost except for the root was ground and crushed , added 50 mL of 80% by weight ethanol per 1g of sample and extracted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was filtered twice using filter paper (Whatman No. 1, England), concentrated in a rotary pressure concentrator (B-480, Buchi, Switzerland), lyophilized, and then powdered. .
  • Outposts except for the root of Spergularia marina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urchased from Haenam-gun, Jeollanam-do.
  • the sample was lyophilized, ground and ground.
  • 40 mL of 50 wt% ethanol was added and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 the extract was filtered twice using filter paper (Whatman No. 1, England), concentrated in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B-480, Buchi, Switzerland), lyophilized and powdered to use as a sample for this experiment. .
  • the 50% ethanol extract was dissolved in water,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using a solvent having a lower polarity than water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butanol), and then concentrated and lyophilized to obtain a fraction using each solvent.
  • a solvent having a lower polarity than water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butanol
  • Outposts except for the roots of Disporum smilacinum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urchased from Hwasun-gun, Jeollanam-do.
  • the sample was lyophilized, and then triturated. 40 g of 50% ethanol was added to 1 g of the sample, and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The extract was filtered twice using filter paper (Whatman No. 1, England), concentrated in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B-480, Buchi, Switzerland), lyophilized, and powdered to be used as a sample for this experiment.
  • Persicaria posumbu 80% ethanol extrac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used that was sold at Jeju Techno Park (preparation number JBRI-10714). Specifically, lyophilized Persicaria posumbu outpost except for the root was ground and crushed, 50 mL of 80 wt% ethanol per 1g of sample was added and extracted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was filtered twice using filter paper (Whatman No. 1, England), concentrated in a rotary pressure concentrator (B-480, Buchi, Switzerland), lyophilized, and then powdered. .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used that was sold at Jeju Techno Park (preparation number JBRI-10611). Specifically, Geum aleppicum outpost except for the roots was lyophilized and ground and crushed , and 50 mL of 80 wt% ethanol was added per 1 g of the sample, and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The extract was filtered twice using filter paper (Whatman No. 1, England), concentrated in a rotary pressure concentrator (B-480, Buchi, Switzerland), lyophilized, and then powdered. .
  • NCI-H716 cells a human-derived cell line
  • ATCC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 FBS fetal bovine serum
  • 2 mM L-glutamine 100 IU / ml penicillin, 100 / ml streptomycin.
  • NCI-H716 cells 5 96-well at a concentration of cells / mL The plate was incubated for 3 days. On the day of the experiment, the cells were washed with phosphated buffered saline (PBS), followed by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KRB, 128.8 mmol / l NaCl, 4.8 mmol / l KCl, 1.2 mmol / l KH).
  • PBS phosphated buffered saline
  • KRB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 FLIPR TM Fluorometric imaging plate reader
  • G protein complexes G ⁇ -gustducin, G ⁇ -transtducin, G ⁇ 14, G ⁇ 3, G ⁇ 1, G ⁇ 13 linked to GPCRs, which activates phospholipase to activate type III IP3-receptors. (cytoplasm) within therefore it leads to an increase in Ca 2 +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to be able to measure the activation of GPCRs by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racellular Ca 2 + ion concentration changes.
  • the activation of TRP channels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Ca 2+ ions, since calcium ions outside the cell membrane enter the cell when TRP channels are activated.
  • EIA enzyme immunoassay
  • SiRNA sequence targeting human ⁇ -gustducin (GNAT3, accession no.NM 001102386, Dharmacon on-target SMARTpool siRNA reagent), GPR119 (taste receptor, type 2, member 38 / GeneBank accession no.NM_176817 ), non-target SMARTpool siRNA was purchased from Dharmacon (Lafayette, Co.).
  • the siRNA treatment of NCI-H716 was transfected at each concentration for 48 hours using Neon TM transfection system (Invitrogen, Carlsbad, CA), and then GLP-1 secretion, Ca 2+ concentration, and cAMP were measured.
  •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have a concentration-dependent GLP-1 secretion effect in NCI-H716 cells. From this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mediates GLP-1 secretion from intestinal endocrine cells, which stimulates glucose-dependent insulin secretion in the pancreas, enhances insulin gene expression, enhances pancreatic beta cell proliferation, enhances pancreatic beta cell survival, and inhibits glucagon secretion. The effects of diabetes can be expected through lowering blood sugar levels.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Oldenlandia brachypoda 100, 250 and 500 ⁇ g / mL of 80% ethanol extract were found to increas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 Oldenlandia brachypoda The 80% ethanol extract was thought to increase GLP-1 secretion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 Oldenlandia brachypoda The extracts secrete GLP-1 by increasing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which is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by exerting effects of insulin secretion, pancreatic beta expression, glucagon secretion and hypoglycemia in pancreatic beta cells. It is thought to be,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and is expecte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by enhancing satiety.
  • Oldenlandia brachypoda improve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of extracts, Oldenlandia brachypoda
  • the extract is thought to have an effect of protecting the heart muscle cells by regulating blood flow to the heart muscle.
  •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intracellular cAMP compared to the control.
  • concentration of cAMP one of the signaling molecules of GPCRs, is believed to affect the GLP-1 secretion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intracellular cAMP concentration to secrete GLP-1, which GLP-1 secretes insulin in pancreatic beta cells, increases insulin gene expression, inhibits glucagon secretion, hypoglycemia and the like.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to have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to improve satiety, an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 the extract can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nal development.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the extract can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nal development.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GPR119 is related to cAMP production as a signaling molecule, its effects on cAMP production were also examined.
  •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have a concentration-dependent GLP-1 secretion effect in NCI-H716 cells.
  • Table 12 sample density Ca 2+ reaction ( ⁇ RFU) Control 9.181 ⁇ 0.632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100 ⁇ g / mL 23.132 ⁇ 0.724 *** 250 ⁇ g / mL 26.959 ⁇ 0.161 *** 500 ⁇ g / mL 31.062 ⁇ 4.084 ** glucose 100 mM 10.240 ⁇ 0.352 **
  •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100, 250, 500 ⁇ g / mL in the cell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incr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s thought to activate calcium ion transport due to the activation of GPCRs.
  • Disporum smilacinum extract activates GPCRs to increase GLP-1 secretion, prevent and improve diabetes, improve heart disease, Appetite suppression and anti-obesity effects are expected.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intracellular cAMP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disperum smilacinum extract influenced the increase of GLP-1 secretion by measuring the cAMP concentration which is related to calcium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reating obesity, such as suppressing appetite and improving satiety, and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heart disease through the effect of cardiac cell activating, and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by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have a GLP-1 secretion effect in NCI-H716 cells. From this,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mediates GLP-1 secretion from intestinal endocrine cells, which stimulates glucose-dependent insulin secretion in pancreas, enhances insulin gene expression, enhances pancreatic beta cell proliferation, and improves pancreatic beta cell survival. Glucagon secretion inhibitory effect and hypoglycemic effec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insulin genes,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c effect,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improv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I think there will be.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intracellular cAMP compared to the control. That is, Geum aleppicum extrac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GLP-1 secretion by measuring cAMP concentration which is related to calcium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reating obesity, such as suppressing appetite and improving satiety, and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heart disease through the protection of cardiac cells, and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by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 CHO-K1 cells were distributed from ATCC (Mnassas, VA) and cultured in Ham's F-12K medium containing 10% (v / v) fetal bovine serum (FBS), 100 U / mL penicillin, and 100 ⁇ g / mL streptomycin. .
  • hTGR5 plasmid DNA was G-protein-coupled bile acid receptor 1 [Homo sapiens] (GPBAR1, TGR5), transfection-ready DNA.
  • Transcript variant 3 was purchased from Origene, and the vector was 4.5Kb pCMV6-XL5 and the insert GPBAR1 ( TGR5) was 1.4 Kb.
  • the plasmid was obtained using Invitrogen Purelink (High pure filter maxiprep kit) after growing in transformed E. coli containing 100 ⁇ g / mL ampicillin.
  • TGR5 expression plasmid 400 ng / well of TGR5 expression plasmid (pCMV6-XL5 / TGR5) was transfected with Neon TM (Invitrogen, Cergy Pontoise, France) with 100 ng / well CRE-driven luciferase reporter plasmid in CHO-K1 for 5 hours. After reacting the sample for a time, the luciferas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dual-glo TM luciferase assay system kit (promega). Luminescence was used as Victor3 TM (PerkinElmer).
  • CHO-K1 cells transfected with TGR5 plasmid were used and treated with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for 5 hours.
  • TGR5 activity was assessed by luciferase measurement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method and 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EM.
  • n 9. * p ⁇ 0.05, *** p ⁇ 0.001 vs control
  • TGR5 activity was increased by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in the cells transfected with hTGR5 . Therefor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s secrete GLP-1 by activating hTGR5 expressed in intestinal endocrine cells, increase intracellular cAMP concentration and secrete GLP-1, which secretes insulin from pancreatic beta cells. Increasing insulin gene expression,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c effec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as an appetite suppression effect, it is thought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by improving satiety.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Table 18 sample density TGR5 activity measurement (fold of control) Control 1.000 ⁇ 0.120 Spergularia marina (50% Ethanol Extract) 10 ⁇ g / mL 2.034 ⁇ 0.063 *** 50 ⁇ g / mL 2.910 ⁇ 0.503 * 100 ⁇ g / mL 2.411 ⁇ 0.112 ***
  • CHO-K1 cells transfected with TGR5 plasmid were used and treated with Spergularia marina 50% ethanol extract for 5 hours.
  • TGR5 activity was assessed by luciferase measurement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method and 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EM.
  • n 9. * p ⁇ 0.05, *** p ⁇ 0.001 vs control
  • TGR5 activity was increased by Spergularia marina 50% ethanol extract in the cells transfected with hTGR5. Therefore, the activation of TGR5 increases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us has a therapeutic effect on obesity. Therefore, TGR5 activated by Spergularia marina extract increases the energy consumption, resulting in anti-obesity effec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effect, digestive disorder and absorption disorder. It was expected to show an improvement effect.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CHO-K1 cells transfected with TGR5 plasmid were used as controls and treated with Spergularia marina 50% ethanol extract for 5 hours.
  • TGR5 activity was assessed by luciferase measurement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method and 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EM.
  • n 9. * p ⁇ 0.05, *** p ⁇ 0.001 vs control (control)
  • the ethyl acetate fraction layer showed a better TGR5 activation effect than Spergularia marina extract (50% ethanol extract). Therefore,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Spergularia marina extract was expected to show anti-obesity effect, appetite suppression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effect, digestive disorder and absorption disorder improvement effect.
  • CHO-K1 cells transfected with TGR5 plasmid were used and treated with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for 5 hours.
  • TGR5 activity was assessed by luciferase measurement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method and 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EM.
  • n 9. * p ⁇ 0.05, *** p ⁇ 0.001 vs control
  • TGR5 activity was increased by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in cells transfected with hTGR5 . Therefore, the activation of TGR5 promotes the secretion of GLP-1, which is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treating heart disease, suppressing appetite, and anti-obesity. Therefore, TGR5 activated by Disporum smilacinum extract increases the secretion of GLP-1.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such as inhibition and enhancement of satiety. It is also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heart disease through the effect of cardiac cell activating effects, and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by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CHO-K1 cells transfected with TGR5 plasmid were used and treated with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for 5 hours.
  • TGR5 activity was assessed by luciferase measurement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method and 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EM.
  • n 9. * p ⁇ 0.05, *** p ⁇ 0.001 vs control
  • Table 21 sample density TGR5 activity measurement (fold of control) Control 1.000 ⁇ 0.120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100 ⁇ g / mL 2.012 ⁇ 0.332 * Lithocholic acid (LCA) 5 ⁇ M 3.483 ⁇ 0.119 ***
  • TGR5 activity was increased by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in cells transfected with hTGR5. Therefore, Geum aleppicum extrac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obesity, such as suppressing appetite and improving satiety, improving cardiac disease through cardiac cell activating effect, and treating insulin by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do.
  • Geum aleppicum extract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by controlling intestinal contractility and motility.
  • the extract may be expected to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o treat neuroinflammation, and to enhance neurogenesis.
  • hepatic inflammation reduction effect enterohepatic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cholestatic liver diseases treatment effect, pruritus and painless jaundice treatmen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iver disease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ects, intestinal functions, and neurotransmitter response.
  • the extrac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therosclerosis.
  • STC-1 cells were prepared using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The cells were cultured in an incubator at 37 ° C. and 5% CO 2 .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FBS fetal bovine serum
  • penicillin-streptomycin 1% penicillin-streptomycin
  •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streptomycin, and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used in the culture were purchased from Gibco.
  • Poly-D-Lysine cotead black 96-well clear-bottom plates (Thermo) were inoculated at a concentration of 8.0 x 10 4 cells / well and incubated at 37 ° C and 5% CO 2 . After 72 hours, the Calcium-5 assay kit (Moelcular device) was incubated at 37 ° C for 60 minutes, and Ca 2+ reaction was measured using Flexstation III. The fluorescence wavelength was 488 nm (ex) and 525 (em), and the reaction was observed for about 120 seconds, and the compound injection was carried out in 20 seconds for 2 seconds.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was found to affect the promotion of CCK secretion from STC-1 cells.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nti-diabetic effect by inhibiting glucose production by activating CCK-A receptor of vagus nerve fiber, and inhibiting food intake and bringing anti-obesity effect.
  •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in the cells was found to increase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Increased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may be associated with enhanced CCK secretion.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nti-diabetic effect by inhibiting glucose production by activating CCK-A receptor of vagus nerve fiber, and inhibiting food intake and bringing anti-obesity effect.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ecretes GLP-1 by activating hTGR5 expressed by inducing CCK from intestinal endocrine cells, increasing intracellular cAMP concentration and secreting GLP-1.
  • Insulin secretion, increased insulin gene expression,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c effect are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ave appetite suppression effect, increas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
  • Oldenlandia brachypoda 80% ethanol extract was shown to affect the cell membrane potential change,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activate the intracellular ion transport by activation of GPCRs, therefore, Oldenlandia brachypoda The extract is thought to activate GPCRs and increase GLP-1 secretion.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insulin genes, glucagon secretion inhibitory effect, hypoglycemic effect,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to improv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I think there will be.
  • Table 27 is a data showing the CCK secretion effect by the concentration of hexane fraction and chloroform fraction which showed the best CCK secretion effect among the fractions of Spergularia marina extra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hexane fraction and chloroform fraction increased CCK secretion effect, and among them, the CCK secretion effect of hexane fraction was more excellent.
  • STC-1 cells were pretreated with 100 ⁇ ruthenium red (RR) or 50 ⁇ HC-030031 for 30 minutes. After addition of 50 ⁇ g / ml extract, it was incubated at 37 ° C. for 60 minutes.
  • RR ruthenium red
  • Disporum smilacinum 80% ethanol extract in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 Increasing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s thought to activate calcium ion transport due to the activation of GPCRs. Therefore, Disporum smilacinum extract is expected to show the effect of treating obesity such as suppressing appetite and improving satiety by activating GPCRs.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heart disease through the action, and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by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 Disporum smilacinum 50% ethanol extract was shown to affect the cell membrane potential change,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activate the intracellular ion transport by the activation of GPCRs, and therefore, Disporum smilacinum
  • the extract may increase GLP-1 secretion by activating GPCRs, and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diabetes, improving heart disease, suppressing appetite, and anti-obesity.
  • Persicaria posumbu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by showing the effect of increased insulin gene expression,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a, etc.,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improv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I think there will be.
  • STC-1 cells were pretreated for 30 minutes with 400 ⁇ TPPO or 20 ⁇ U-73122.
  • lipoprotein inhibitor of TPPO, PLC ⁇ 2 inhibitor when the U-73122 of culture with a 80% ethanol extract Persicaria posumbu 29.36%
  • Persicaria posumbu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by showing the effect of increased insulin gene expression,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a, etc.,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improv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I think there will be.
  • Persicaria posumbu 8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affect calcium ion secre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rom these results, Persicaria posumbu extract was thought to have anti-diabetic effect, appetite suppression, anti-obesity effec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turbance effect on GPCRs activation.
  • STC-1 cells were pretreated for 60 minutes with 400 ⁇ TPPO or 20 ⁇ U-73122.
  • the Persicaria posumbu extract was expected to show antidiabetic effect, appetite suppression, anti-obesity effec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 control effect.
  • Persicaria posumbu 80% ethanol extract was shown to affect the change in cell membrane potential, and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activate the intracellular ion transport by the activation of GPCRs. Therefore, Persicaria posumbu extrac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lease of GLP-1 by activating GPCRs, diabetes treatment, appetite suppression, anti-obesity effect, digestion and absorption control effect.
  •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insulin genes,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c effect,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improv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I think there will be.
  • STC-1 cells were pretreated for 30 minutes with 400 ⁇ TPPO or 20 ⁇ U-73122.
  • lipoprotein inhibitor of TPPO, PLC ⁇ 2 inhibitor when the U-73122 of culture with a 80% ethanol extract of Geum aleppicum 30.50% The CCK secretion by 80% ethanol extract of Geum aleppicum respectively, 52.93% Inhibited.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acts as lipoprotein activator and / or PLC ⁇ 2 activator to secrete CCK.
  • Geum aleppic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insulin genes, glucagon secretion effect, hypoglycemic effect, has an appetite suppressing effect, improve satiety and anti-obesity effect I think there will be.
  • Geum aleppicum extract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s by controlling intestinal contraction and motility.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affect calcium ion secre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rom these results, Geum aleppicum extract was expected to have anti-diabetic effect, appetite suppression, anti-obesity effec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 control effect on GPCRs activation.
  • TRP antagonist RR TRPA1 antagonist HC-030031 the Geum aleppicum 80% ethanol when cultured with the extract of Geum aleppicum 80% 52.68% a Ca 2+ secretion respectively by the ethanol extract, 10.19 % Inhibited.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acts as a TRP agonist and a TRPA1 agonist, resulting in the inflow of calcium ions outside the cell membrane into the cell by TRP channel activation.
  • STC-1 cells were pretreated for 60 minutes with 400 ⁇ TPPO or 20 ⁇ U-73122.
  • the Geum aleppicum extract influenced the activation of GPCRs. .
  • the Geum aleppicum extract was expected to show antidiabetic, appetite suppression, anti-obesity effect, heart disease improvement effect, digestive and absorption disorder control effect.
  • Geum aleppicum 80% ethanol extract was shown to affect the cell membrane potential change, this result is thought to activate the intracellular ion transport by the activation of GPCRs. Therefore, Geum aleppicum extract may activate GPCRs to increase GLP-1 secretion, diabetes treatment, heart disease improvement, appetite suppression, anti-obesity effect, digestion and absorption control effect.
  • RIN14B cells were RPMI medium 1640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nd were cultured in an incubator while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37 ° C. and 5% CO 2 .
  • FBS fetal bovine serum
  • penicillin-streptomycin penicillin-streptomycin
  •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streptomycin, and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used in the culture were purchased from Gibco.
  • Black 96-well clear-bottom plates (Corning) were inoculated at a concentration of 5.0 x 10 4 cells / well and incubated at 37 ° C and 5% CO 2 . After 48 hours, the Calcium-5 assay kit (Moelcular device) was incubated at 37 ° C for 60 minutes, and Ca 2+ reaction was measured using Flexstation III. The fluorescence wavelength was observed at 488 nm (ex) and 525 (em) for about 120 seconds, and the compound was injected at 20 seconds for 2 seconds.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was shown to affect the 5-HT secretion known to have an effective digestive absorption control effect.
  • the ⁇ RFU value of RIN14B cells treated with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was greater than the ⁇ RFU value of AITC, which is known to promote 5-HT secretion. From these results,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is thought to have anti-obesity effect through appetite suppression by affecting channel activation on TRP involved in CCK secretion and efficient digestion and absorption control.
  • the hexane fraction and chloroform fraction of the extract Spergularia marina can be seen that represents the more excellent effect compared with the 5-HT secretion Spergularia marina extract. Therefore,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of Spergularia marina extracts are thought to have a 5-HT secretion, resulting in digestive absorption control, appetite suppression and anti-obesity effects.
  • the fractions of Spergularia marina extrac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calcium concentration change when the extract state before the fraction. From these results, the fraction of Spergularia marina can be seen to have a better effect on induced changes in Ca 2+ ion concentration, Ca 2+ ion concentration changes are so means the activation of GPCRs by a fraction of Spergularia marina activate GPCRs GLP- I think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secretion of 1 to prevent obesity.
  • Disporum smilacinum extract was shown to affect 5-HT secretion known to exhibit an anti-obesity effect through appetite suppression.
  • the ⁇ RFU value of RIN14B cells treated with Disporum smilacinum extract was higher than the ⁇ RFU value of AITC, which is known to promote 5-HT secretion. From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affects channel activation in TRP involved in CCK secretion.
  • the ⁇ RFU value of RIN14B cells treated with Persicaria posumbu extract was greater than the ⁇ RFU value of AITC, which is known to promote 5-HT secretion. From these results, Persicaria posumbu extract is thought to have anti-obesity effect through appetite suppression by affecting channel activation in TRP involved in CCK secretion and efficient digestion and absorption control.
  • Geum aleppicum extract was shown to affect the 5-HT secretion known to have an effective digestive absorption control action, anti-obesity effect through appetite suppression.
  • RIN14B cells were pretreated with 100 ⁇ M ruthenium red or 50 ⁇ HC-030031 for 30 minutes. After addition of 500 ⁇ g / ml of extract, the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for 60 minutes.
  • RIN14B was pretreated for 60 minutes with 100 ⁇ ruthenium red or 50 ⁇ HC-030031. Then 500 ⁇ g / ml of extract was added.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obtained in Example 1 wer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orally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rats.
  • 1) Central activation test by immunostaining of brain tissue, 2) Glucose tolerance tests, 3) gastric emptying rate, 4) food intake measurement, and 5) Chloride secretion effect experiment were performed.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were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and c-Fos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tivation of the brain region. After fasting the test animals for 12 hours, each of the extracts (500 mg / kg BW)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was left for 2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Urethan then induces deep anesthesia. 200 mL of cold PBS was perfused through the heart, followed by 300 mL of 4% paraformaldehyde, followed by extraction of the brain and stored in 4% paraformaldehyde at 4 o C for 4 hours.
  • brain tissue is frozen using OCT solution. Frozen tissue is cut around the target area to a thickness of 30um at -20 ° C. Target regions are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and Dorsal vagal complex (DVC). The cut tissues are transferred to PBS and washed with PBS. This tissue is soaked in 0.3% H 2 O 2 for 15 minutes and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PBS. The tissue is reacted for 30 minutes with PBS containing 3% normal goat serum.
  • OCT solution Frozen tissue is cut around the target area to a thickness of 30um at -20 ° C. Target regions are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and Dorsal vagal complex (DVC). The cut tissues are transferred to PBS and washed with PBS. This tissue is soaked in 0.3% H 2 O 2 for 15 minutes and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PBS. The tissue is reacted for 30 minutes with PBS containing 3% normal goat serum.
  • ARC Arcuate nucleus in hypo
  • the tissues are diluted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by diluting polyclonal rabbit c-Fos antibody (sc-25, Santa Cruz Biotech, USA) with PBST containing 0.3% normal goat serum at a ratio of 1: 1000. After the reaction, the tissues a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T for 10 minutes. The second anti-rabbit antibody (BA-1000, Vector, USA) is then allowed to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n washed three times for five minutes. This tissue was reacted with avidin-giotinyated 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 (ABC) (PK-6100, Vector, USA)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T for 5 minutes each, and then using DAB kit (Zytomed Systems, Germany). After color development, the reaction is terminated with PBS. After staining, the tissues are transferred to a slide and sufficiently dried, followed by a dehydration reaction. The slide after the dehydration reaction is covered with a cover slide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 ABS
  • the target area was determined using a microscope (AXio. 4. 8. 1, Zeiss, Germany)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Paxinos and Watson, and then the number of nuclei stained with c-Fos antibody on slides 3-6. Count and find the average value.
  • Gastric emptying rate was measured using the method of Izbeki and Doihara et al. (1, 2).
  • the rat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fasted one day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nd then dissolved orally administered with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or Geum aleppicum extract (100, 250, 500 mg / kg BW), respectively. Leave for 30 minutes. Twenty minu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0.05% phenol red solution (1.5 mL) in rats, the stomach was removed after cervical vertebra, washed in saline and homogenized finely in 0.1N NaOH (100 mL).
  • the supernatant (5 mL) was mixed with 20% trichloroacetic acid (0.5 mL) and centrifuged at 3000 rpm at 4 o C for 20 minutes.
  • the supernatant was mixed with 0.5 N NaOH (4 mL)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60 nm with a UV-spectrophotometer.
  •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orally with distilled water as described above.
  • TRPA1 agonists delay gastric emptying in rats through serotonergic pathways. Naunyn-Schmied Arch Pharmacol. 380: 353-357
  • the gastric emptying rate was calculated as follows.
  • A The amount of phenol red remaining in the gastrointestinal liver 20 minu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phenol red solu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 the rats were fasted one day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to measure the food intake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 Each group was dissolved in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500 mg / kg), respectively, and the food intake was measured 120 minu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3).
  •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orally with distilled water as described above.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Spergularia marina extract, Disporum smilacinum extract, Persicaria posumbu extract, and Geum aleppicum extract were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and brain activation was analyzed by c-Fos immunostaining.
  • GLP-1, CCK, 5-HT, etc. are secreted in the intestine by stimulation of the extracts, they are secreted into the blood to act as hormones and also to act as neuropeptides.
  • GLP-1, CCK, and 5-HT act as hormones to directly activate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in the brain.
  • GLP-1, CCK, and 5-HT activate the vagus nerves, which in turn activate the Dorsal vagal complex (DVC), which in turn activates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ARC) to feed food intake into the backbone.
  • DVC Dorsal vagal complex
  • ARC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
  • the central body sends physical commands to peripheral tissues to control physical activity (Yi CX and Tschop MH, Brain-gut-adipose-tissue communication pathways at a glance. Disease Models & Mechanisms) , 5, 583, 2012).
  • the extracts had a c-lan activation effect in DVC and ARC as indicated by black dots (see FIGS. 1 to 10). It was confirmed that GLP-1, CCK, 5-HT secreted by the action of various known body homeostasis occurs.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lowered by 46.5% to 54.9mg / dl compared to 102.7mg / dl compared to 102.7mg / dl in the control group, and glucose uptake after 60 minutes, 84.9 compared to 110.7mg / dl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110.7mg / dl. It was lowered by 23.3% to mg / dl,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20% lowered to 13961 mg / dlmin compared to 17465 mg / dlmin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hown in Table 60.
  • AUC Area under the curve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rise curve for 120 minutes after glucose loading, in minmg / dl)
  • Spergularia marina extract lowered blood glucose level by 38.5% to 63.2mg / dl compared to 102.7mg / dl in the control group after 30 minutes due to glucose loading, and increased blood glucose level after 63 minutes by 70.7 compared to 110.7mg / dl in the control group. It was lowered by 31.2% to mg / dl,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19.5% lowered to 14060 mg / dlmin compared to 17465 mg / dlmin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hown in Table 61 below.
  • AUC Area under the curve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level rise curve for 120 minutes after glucose loading and unit is minmg / dl)
  • Disporum smilacinu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lowered by 29.4% to 72.5mg / dl compared to 102.7mg / dl in the control group after 30 minutes due to glucose load, blood sugar increase after 60 minutes, 80.7 compared to 110.7mg / dl in the control group after 60 minutes It was lowered by 23.7% to mg / dl,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20% lowered to 13960 mg / dlmin compared to 17465 mg / dlmin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hown in Table 62 below.
  • AUC Area under the curve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level rise curve for 120 minutes after glucose loading and unit is minmg / dl)
  • Persicaria posumbu After 30 minutes of glucose load, the blood glucose level increased by 24.1% to 78mg / dl compared to 102.7mg / dl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blood glucose level increased after 60 minutes by 31.3% to 76mg / dl compared to 110.7mg / dl in the control group.
  •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24.1% lowered to 13249 mg / dlmin compared to 17465 mg / dlmin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hown in Table 63 below.
  • AUC Area under the curve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level rise curve for 120 minutes after glucose loading and unit is minmg / dl)
  • Geum aleppicum The extract showed lower blood sugar level after 30 minutes due to glucose loading, which was 40.8% lower than 62.7mg / dl compared to 102.7mg / dl in the control, and 67.8mg / dl compared to 110.7mg / dl in the 60 minutes after the control.
  •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lowered by 20.8% to 13841 mg / dlmin compared to 17465 mg / dlmin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hown in Table 64.
  • AUC Area under the curve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level rise curve for 120 minutes after glucose loading and unit is minmg / dl)
  • the rate of emptying of the stomach was lowered by administration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100, 250, 500 mg / kg (see Table 65 below). This suggests that the food intake can be reduced by prolonging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and have an anti-obesity effect.
  • the administration group administered the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was found to slow down the gastric emptying rate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is can prolong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the administration group to which the Spergularia marina extract was administered was found that the rate of gastric emptying was lower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is can prolong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Disporum smilacinum extract 100, 250, 500 mg / kg administration slowed the emptying of the stomach (see Table 67). This prolongs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reducing food intake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the administration group to which Disporum smilacinum extract was administered was found to decrease the rate of gastric emptying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is can prolong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Persicaria posumbu extract 100, 250, 500 mg / kg administration of the stomach emptying rate was lowered (see Table 68 below). This prolongs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reducing food intake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the rate of stomach emptying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phenol red remaining in the stomach.
  • Geum aleppicum extract 100, 250, 500 mg / kg administration slowed the emptying of the stomach (see Table 69). This prolongs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reducing food intake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the rate of stomach emptying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phenol red remaining in the stomach.
  • the administration group to which the Geum aleppicum extract was administered was found that the rate of gastric emptying was lower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is can prolong the time the food stays on the stomach and may have an anti-obesity effect.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reduced the dietary intake by 74.2% (see Table 70).
  • Spergularia marina extract was administered to the stomach after 120 minutes and the effect on the diet was measured. As a result, Spergularia marina extract reduced dietary intake by 72% (see Table 71 below).
  • Persicaria posumbu extract was administered to the stomach after 120 minutes and the effect on the diet was measured. As a result, Persicaria posumbu extract reduced dietary intake by 67.9% (see Table 73).
  • Geum aleppicum The effect on the diet was ingested 12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to the stomach was measured. As a result Geum aleppicum The extract reduced dietary intake by 79.5% (see Table 74 below).
  •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In order to indirectly evaluate the effect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on gastric acid secretion, the serum concentration of serum in rats was measured. After 30 minutes of oral administration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500 mg / kg BW),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n blood was increased by the administration of Oldenlandia brachypoda extract by 12.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able below) 75). It is believed that gastric acid is secreted into the blood due to stimula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and thus can be expected to promote digestion.
  • Persicaria posumbu extract In order to indirectly evaluate the effect of Persicaria posumbu extract on gastric acid secretion, the serum concentration of serum in rats was measured. After 30 minutes of oral administration of Persicaria posumbu extract (500 mg / kg BW),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n blood was measured. Persicaria posumbu extract was found to increase the serum concentration in serum by 12.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78). It is thought that hydrochloric acid due to gastric acid secretion stimulation is secreted into the blood, and thus can be expected to promote digestion.
  • Geum aleppicum extract In order to indirectly evaluate the effect of Geum aleppicum extract on gastric acid secretion, serum concentrations of rats were measured. After 30 minutes of oral administration of Geum aleppicum extract (500 mg / kg BW),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n the blood was measured. Geum aleppicum extract increased the serum concentration by 33.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able 79 Reference). It is thought that hydrochloric acid due to gastric acid secretion stimulation is secreted into the blood, and thus can be expected to promote diges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도 장 내분비세포 자극 활성이 뛰어난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심장질환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또는 치료, 항비만 또는 식욕 억제, 신경보호 작용, 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등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GLP-1, CCK 또는 5-HT의 분비 자극 또는 hTGR5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TRP, TRPA1, 지 단백(G protein) 및 PLCβ2 활성제로 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91.1조에 의한 보정 12.12.2013]  올데란디아 브라치보다, 스퍼글라리아 마리나, 디스포름 스미라치늄, 페르시카리아 포숨부, 또는 지엄 알레피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12월 26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153650호, 제10-2012-0153651호, 제10-2012-0153652호, 제10-2012-0153653호, 및 제10-2012-015365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장(gastrointestinal tract)에 존재하는 내분비세포인 장 내분비세포 (enteroendocrine cells)는 장의 내강(intestinal lumen)에 유입된 성분에 의해 자극되어, 장 호르몬(gut hormones) 또는 신경펩타이드(neuropeptides)를 분비한다. 동일한 성분일지라도 혈액을 통하여 표적 장기로 이동하여 작용하면 호르몬이라 지칭하며 미주신경 활성화의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하면 신경펩타이드라 지칭한다.
장 내분비세포에서 분비되는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로는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 GLP-1),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세로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GLP-1은 회장(ileum) 및 결장(colon)에 존재하는 장 내분비세포의 일종인 L-cells에서 분비된다.
상기 GLP-1은 당뇨병 치료 효과, 비만 치료 효과, 심장병 치료 효과, 소화과정소화효소 분비흡수 조절 효과 [Mourad FH & Saade NE, Neural regulation of intestinal nutrient absorption. Progress in Neurobiology (2011) 95, 149-162], 면역 증진 효과 [Campbell JE and Drucker DJ, Pharmacology, physioloty, and mechanisms of incretin hormone action. Cell Metabolism (2013) 17, 819], 동맥경화증 치료 효과 [Burgmaier M et al., Glucagon-like peptide-1 (GLP-1) and its split products GLP-1(9-37) and GLP-1(28-37) stabilize atherosclerotic lesions in apoe mice. Atherosclerosis (2013) 231, 427-435], 뇌혈관 질환 및 신경세포 염증 치료 효과(Salcedo I et al., Neuroprotective and neurotrophic actions of glucagon-like peptide-1 (GLP-1): an emerging opportunity to treat neurodegenerative and cerebrovascular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12) 166, 1586-1599)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며,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한다.
그리고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태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에 관여하여 소화, 흡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kos, G.G. et al., Glucagon-like peptide-1 infusion improves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 Card. Fail. (2006) 12: 694-699., Ban, K., et al., Cardioprotective and vasodilatory actions of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re mediated through both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dependent and -independent pathways. Circulation (2008) 117: 2340-2350. 참고).
상기 GLP-1은 G protein-coupled receptors(GPCRs)의 일종인 TGR5(G protein-coupled bile acid receptor 131, GPR131) 및 GPR119(G-protein coupled receptor 119)의 활성화(Reimann, F., et al., Glucose sensing in L cells: a primary cell study. Cell Metab. (2008) 8: 532-539; Lauffer, L.M., et al., GPR119 is essential for oleoylethanolamide-induced glucagon-like peptide-1 secretion from the intestinal enteroendocrine L-cell. Diabetes (2009) 58:1058-1066. 참고) 또는 α-gustducin의 활성화(Jang, H.J., et al., 2007. Gut expressed gustducin and taste receptors regulate secretion of glucagon-like peptide-1.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04, 1506915074. 참고)에 의해 분비가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갈색 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 및 근육(muscle)에 발현된 G protein-coupled receptor(GPCR) TGR5(G protein-coupled bile acid receptor 131, GPR131)의 활성화는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서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이며, 간질환 개선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참고문헌 : Lieu T et al., GPBA: A G protein-coupled receptor for bile acids and an emerging therapeutic target for disorders of digestion and sensation.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13) in press), 동맥경화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ols TWH et al., TGR5 activation inhibits atherosclerosis by reducing macrophage inflammation. Cell Metabolism (2011) 14, 747).
다음으로, CCK는 십이지장(duodenum) 및 공장(jejunum)에 존재하는 장 내분비세포의 일종인 I-cells에서 합성되어 분비되며, 십이지장 점막에서 분비된 CCK는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오고, 소화 및 흡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
상기 CCK 분비에는 G단백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와 신호전달 분자들(G proteins, PLCβ2(phospholipase Cβ2)), transient receptor potential(TRP) channels 등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EBS Letters (2008) 582: 229-232).
그리고 5-HT는 위장관 전체에 존재하는 Enterochromaffin cells(EC cells)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소화 및 흡수 조절에 관여하고, 식욕 억제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ershon, M.D., Tack, J. (2007) The serotonin signaling system: from basic understanding to drug development for functional GI disorders. Gastroenterology 132, 397-414).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 분비는 섭취한 음식을 소화의 단계에서 모니터링하여 음식 섭취와 소화 작용과 관련된 체내 항상성 (장 운동성, 장에서의 소화효소 분비 작용, 식욕 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체내 항상성은 흡수한 에너지와 소비된 에너지 사이의 균형을 나타내며, 이러한 균형이 깨지면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효과가 매우 높으면서도 비만, 간독성, 부종과 같은 부작용이 적은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한편,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항비만 효과를 갖는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은 기름변이나 복부 팽만감, 어지러움, 구갈, 변비, 혈압상승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다 안전하고 효력이 강한 천연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도 장 내분비세포 활성이 뛰어나 여러 가지 유용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약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및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한 양을 치료 또는 개선이 필요한 개체 또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체 또는 환자에 있어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및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GLP-1, CCK 또는 5-HT의 분비 자극 또는 hTGR5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TRP, TRPA1, 지 단백(G protein), 또는 PLCβ2 활성제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장 내분비세포 활성을 가져, 결과적으로는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 동맥경화증 개선 효과; 신경보호 작용; 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 중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분비되는 장 호르몬 및/또는 신경펩타이드의 분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및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키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심장질환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국소빈혈로부터 심장세포를 보호하고,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 기능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동맥경화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물의 동맥경화증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의해 뇌의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를 활성화시키고, 미주신경 (vagus nerves)을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신경보호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LP-1, CCK 또는 5-HT의 분비 자극 또는 영향을 미치거나 TRP, TRPA1, 지 단백(G protein), PLCβ2 활성제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GLP-1 분비를 자극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GLP-1 분비 자극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CCK 분비를 자극하고, 세포내 칼슘 농도 및 cAMP 증가로 GPCRs이 활성화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CCK 분비 자극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5-HT분비를 자극하고,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를 유발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추출물의 5-HT 분비 자극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RP, TRPA1, 지 단백(G protein) 또는 PLCβ2 활성제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TGR5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TGR5 활성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상기 추출물이 TRP 채널(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TRPA1 채널(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member A1)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TRP, TRPA1 채널 활성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의해 지 단백(G protein)이 활성화되어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밝혀내어 지 단백 활성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의해 PLCβ2가 활성화되어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와 cAMP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밝혀내어 PLCβ2 활성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해낸 추출물을 의미하며, 추출 후 분획, 분리, 여과 등의 방법으로 추가적으로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은 상기 식물들의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식물들의 추출물을 추출 시, 추출 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제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상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Oldenlandia brachypoda, Spergularia marina, Disporum smilacinum, Persicaria posumbuGeum aleppic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중량대비 10 내지 100배가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배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교반 추출,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여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20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Oldenlandia brachypoda, Spergularia marina, Disporum smilacinum, Persicaria posumbuGeum aleppic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음건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를 상기 식물 분쇄물의 1 내지 20배 부피량 만큼 가하여 추출하고 나서, 선택적으로 (감압)농축, 건조 또는 정제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추출용매를 가하여 유효성분물질을 추출하되 (a)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b) 5 내지 37℃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 내분비세포 활성화를 위한 추출물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분획물은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를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달성한다는 목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의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획물은 건조시키기 전의 액상 상태의 추출물을 이용하거나 건조된 추출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 적당한 용매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각각의 층을 분리한 다음 각 층을 감압 농축 및/또는 건조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는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일 수 있으나, 동결 건조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건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 GLP-1, GLP-1-(7-36) amide),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세레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등과 같은 장 호르몬 및/또는 신경펩타이드를 분비하는 장 내분비세포를 활성화시켜 상기 장 호르몬 및/또는 신경펩타이드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장 호르몬 및 신경펩타이드의 분비를 촉진시켜, 활성화된 장 호르몬 및/또는 신경 펩타이드에 의해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효과, 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효과, 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 건강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해야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예를 들어, 근육주사, 복강주사, 정맥주사, 주입(infusion), 피하주사, 임플란트), 흡입제, 비강투여제, 질제, 직장투여제, 설하제, 트랜스더말제, 토피칼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데포(depot) 제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은 매일 약 0.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상기 추출물의 정제 정도,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중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건강 개선을 위해 유효한 양을 치료 또는 상태 개선이 필요한 환자 또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동매경화 개선,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신경보호 작용 및/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및/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의약 또는 건강기능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및/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 동맥경화증 개선, 신경보호 작용 및/또는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에 의한 Caudal DVC(Dorsal vagal comlpex)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에 의한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에 의한 Caudal DVC(Dorsal vagal comlpex)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에 의한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에 의한 Caudal DVC(Dorsal vagal comlpex)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에 의한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에 의한 Caudal DVC(Dorsal vagal comlpex)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에 의한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에 의한 Caudal DVC(Dorsal vagal comlpex)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에 의한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에서의 c-Fos 활성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은 제주테크노파크에서 분양받은 것을 사용하였다(분양번호 JBRI-10170). 구체적으로, 뿌리를 제외한 Oldenlandia brachypoda 전초를 동결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시료 1g당 80 중량% 에탄올 5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1, England)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
추출물 제조 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Spergularia marina 의 뿌리를 제외한 전초는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구입하였다. 먼저 시료를 동결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시료 1g에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1, England)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하여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획물 제조 방법
50%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용해한 후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 후 각각 농축하고 동결건조 함으로써 각 용매를 이용한 분획물을 얻었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Disporum smilacinum의 뿌리를 제외한 전초는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시료를 동결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시료 1 g에 50%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 (Whatman No. 1, England)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 (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하여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제주테크노파크에서 분양받은 것을 사용하였다(분양번호 JBRI-10714). 구체적으로, 뿌리를 제외한 Persicaria posumbu 전초를 동결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시료 1g당 80 중량% 에탄올 5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1, England)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5> Geum aleppicum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제주테크노파크에서 분양받은 것을 사용하였다(분양번호 JBRI-10611). 구체적으로, 뿌리를 제외한 Geum aleppicum 전초를 동결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시료 1g당 80 중량% 에탄올 5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1, England)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 분비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실험 및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NCI-H716 세포를 이용한 GLP-1 분비자극, GPR119 활성화 실험]
1. 세포배양
인체 유래 세포주인 NCI-H716 cells는 ATCC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는 10% 소 태아 혈청(FBS), 2mM L-글루타민, 100IU/ml 페니실린,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 시료의 GLP-1 분비 작용 측정 방법
NCI-H716 세포를 2 x 105 cells/m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3일간 배양하였다. 실험 당일, 세포는 phosphated buffered saline(PBS)로 수세과정을 거친 뒤,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KRB, 128.8mmol/l NaCl, 4.8mmol/l KCl, 1.2mmol/l KH2PO4, 1.2mmol/l MgSO4, 2.5 mmol/l CaCl2, 5mmol/l NaHCO3, 및 10mmol/l HEPES, 0.2% BSA, pH 7.4)에서 시료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1시간 배양 후 GLP-1 분석을 위하여 상층액을 취하고(100μL), GLP-1 활성 ELISA 키트(EGLP-35K, Millipore)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GLP-1의 농도는 공급된 GLP-1 표준물질에 준하여 (pmole/mL) 계산되었으며, 결과는 시료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GLP-1의 농도를 대조군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농도와 비교하여 fold of control로 나타내었다.
3.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 측정 방법
세포내 칼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형광-기반 에세이(Fluorescence-based assay) 방법을 이용하였다. 96-well plate에 4.0 x104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분취한 후 48 시간 후 Molecular device에서 구입한 칼슘-5 에세이 키트(Calcium-5 assay kit)를 사용하여 Fluorometric imaging plate reader (FLIPRTM)인 Flexstation III (Molecular Devices Co.,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세포내 Ca2+ 농도를 측정하였다. 즉 시료를 주입한 후 120초간 칼슘이 염색되어 나오는 형광을 파장 488nm (excitation)과 525 (emmision)에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최대 형광치(maximum fluorescent value) - 최소 형광치(minimum fluorescent value) = 상대 형광 단위(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 (ΔRFU))로 자동으로 계산되었다.
특정 성분이 GPCRs를 활성화시키면 GPCRs과 연결된 G protein complex (Gα-gustducin, Gα-transtducin, Gα14, Gβ3, Gβ1, Gγ13)가 활성화되고, 이는 phospholipase 를 활성화시켜서 type Ⅲ IP3-receptor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세포질 (cytoplasm) 내에 Ca2 + 농도의 증가를 일으키므로 상기 세포내 Ca2 + ion 농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GPCRs의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TRP channels이 활성화되면 세포막 바깥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세포내 Ca2+ ion 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TRP channels의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cAMP 측정 방법
NCI-H716 세포주는 1 x 106 cells/mL의 농도로 24-well culture plate에 분취한 후 3일간 배양하였다. 실험 당일 시료와 함께 KRB 버퍼 안에서 37℃ in 5% CO2 배양기에서 배양되었으며, 반응된 배지는 제거하고 세포는 KRB 버퍼로 3회 수세과정을 거친 뒤 0.1N HCl 0.5mL을 넣고 150 rpm,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된 세포는 1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상층액을 얻고 바로 효소 면역분석법(EIA, 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한 cyclic AMP kit를 이용하였다.
5. siRNA 트랜스펙션(transfection)에 의한 유전자 기능 억제(gene knock-down)
인간 α-gustducin 타겟 siRNA 시퀀스(siRNA sequence targeting human α-gustducin)(GNAT3, accession no. NM 001102386, Dharmacon on-target SMARTpool siRNA reagent), GPR119 (taste receptor, type 2, member 38/GeneBank accession no. NM_176817), non-target SMARTpool siRNA는 Dharmacon (Lafayette, CO)사로부터 구입하였다. NCI-H716의 siRNA 처리는 NeonTM transfection system (Invitrogen, Carlsbad, CA)을 이용하여 각 농도별로 48시간 트렌스펙션 한 후 GLP-1분비, Ca2+ 농도, cAMP를 측정하였다.
6. 결과
GLP-1과 cAMP의 농도는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는 상대 형광 단위(△RFU)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triplicate로 실험한 3회 반복 실험으로 mean ± S.E.M (n=9)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2-1-1. NCI-H716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의 GLP-1 분비 효과
표 1
시료 농도 GLP-1(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 100 μg/mL 1.370 ± 0.177*
250 μg/mL 2.714 ± 0.109*
500 μg/mL 3.530 ± 0.15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GLP-1 분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물)은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1-2. NCI - H716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 2 + 농도 변화
표 2
시료 농도 Ca2 + 반응(ΔRFU)
대조군 9.181 ± 0.632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 100 μg/mL 24.661 ± 3.631*
250 μg/mL 39.087 ± 5.531**
500 μg/mL 55.187 ± 3.800***
표 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 100, 250, 500μg/mL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1-3. NCI - H716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MP 증가 효과
표 3
시료 농도 cAMP(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100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 500 μg/mL 65.174 ± 12.943***
OEA (oleoylethanolamide) 20 μM 6.813± 1.63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PCRs의 신호전달 분자의 하나인 cAMP 농도를 측정하여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2-2-1.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 분비 효과
표 4
시료 농도 GLP-1 분비 효과(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162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 1.616 ± 0.221*
250 μg/mL 5.480 ± 0.312***
500 μg/mL 7.337 ± 0.431***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GLP-1 분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2-2.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 2+ 농도 변화
표 5
시료 농도 Ca2 + 농도 변화(ΔRFU)
대조군 6.491 ± 0.133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 14.453 ± 2.606*
250 μg/mL 19.791 ± 2.148**
500 μg/mL 25.701 ± 2.233**
표 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 100, 250, 500μg/mL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GPCRs의 활성화로 칼슘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키고 비만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2-3.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MP 증가 효과
표 6
시료 농도 cAMP(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192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9.986 ± 2.224***
OEA (oleoylethanolamide) 20μM 6.813 ± 1.634*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칼슘농도와 관련이 높은 cAMP 농도를 측정하여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쳐 항비만 효과, 식욕억제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 등을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2-2-4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가지 분획별 GLP-1 분비 효과
표 7
농도 분획물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68
500μg/mL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 7.337 ± 0.431***
헥산층 8.712 ± 0.246 ***
클로로포름층 11.575± 0.222 ***
에틸 아세테이트층 4.650 ± 0 .558 *
부탄올층 6.334 ± 0.875 **
H2O 층 4.395 ± 0.671 *
상기 표 7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헥산 분획층 및 클로로포름 분획층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50%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더 우수한 GLP-1 분비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2-5. α-gustducin siRNA로 처리 된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에 의한 GLP-1 의 영향
표 8
시료 농도 GLP-1 분비(fold of control) 저해율(%)
control-siRNA α-gustducin siRNA
대조군 1.000 ± 0.108 1.000 ± 0.197 0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 100μg/mL 1.248 ± 0.304 0.301 ± 0.084 * 75.85
250μg/mL 3.739 ± 1.159 0.460 ± 0.110** 87.69
500μg/mL 5.994 ± 0.323 3.338 ± 0.220 ** 44.31
포도당 500mM 6.386 ± 0.327 1.363 ± 0.320 *** 78.65
± S.E.M (n=9) ; *p<0.05; **p<0.01; ***P<0.001 vs 대조군 siRNA
상기 결과에 따르면, 세포를 α-gustducin-targeted siRNA로 트렌스펙션 시키면 α-gustducin 유전자가 기능상실(knock-down)된다. 이 조건에서는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 분비 효과가 유의적으로 저해되는 결과로부터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은 α-gustducin 활성화 제제로 작용한다고 판단하였다.
2-2-6. GPR119 siRNA로 처리 된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에 의한 GLP-1 분비의 영향
표 9
시료 농도 GLP-1분비(fold of control) 저해율(%)
control-siRNA GPR119 siRNA
대조군 1.000 ± 0.062 1.033 ± 0.054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 10μg/mL 2.840 ± 0.082 1.354 ± 0.235
50μg/mL 3.098 ± 0.022 1.681 ± 0.567
100μg/mL 3.829 ± 0.278 2.094 ± 0.172
250μg/mL 4.401 ± 0.107 2.559 ± 0.303** 41.853
500μg/mL 4.767 ± 0.307 2.948 ± 0.216** 38.152
OEA (oleoylethanolamide) 20μM 4.822 ± 0.358 2.975 ± 0.241** 38.303
± S.E.M (n=9) ; *p<0.05; **p<0.01; ***P<0.001 vs 대조군 siRNA
세포를 GPR119-타겟 siRNA로 트렌스펙션 시키면 GPR119 유전자가 기능상실(knock-down)된다. 이 조건에서는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 분비 효과가 유의적으로 저해되는 결과로부터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은 GPR119 작용제 (agonists)로 작용한다고 판단하였다.
GPR119는 신호전달 분자로서 cAMP 생성과 관련 있으므로 cAMP 생성에 미치는 효과도 실험하였다.
2-2-7. GPR119 siRNA로 처리 된 NCI-H716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에 의한 세포내 cAMP의 영향
표 10
Sample Conc.(μg/mL) cAMP(fold of contrrol) 저해율(%)
control-siRNA GPR119 siRNA
대조군 1.000± 0.192 1.466± 0.178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 250μg/mL 3.046 ± 0.865 2.331 ± 0.466* 23.473
500μg/mL 9.986 ± 2.224 5.182 ± 0.641* 48.101
± S.E.M (n=9) ; *p<0.05; **p<0.01; ***P<0.001 vs control siRNA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를 GPR119-타겟 siRNA로 트렌스펙션 시키면 GPR119 유전자가 기능상실(knock-down)되는 조건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cAMP 생성이 유의적으로 저해되는 결과로부터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은 GPR119로 작용한다고 판단하였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2-3-1. NCI-H716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 분비 효과
표 11
시료 농도 GLP-1 분비(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088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 1.502 ± 0.0802 *
250 μg/mL 1.956 ± 0.0495*
500 μg/mL 3.145 ± 0.338**
포도당 100 mM 2.694 ± 0.024*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GLP-1 분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3-2. NCI-H716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 2+ 농도 변화
표 12
시료 농도 Ca2+ 반응(ΔRFU)
대조군 9.181 ±0.632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 100 μg/mL 23.132 ± 0.724***
250 μg/mL 26.959 ± 0.161***
500 μg/mL 31.062 ± 4.084**
포도당 100 mM 10.240±0.352**
표 1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 100, 250, 500μg/mL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GPCRs의 활성화로 칼슘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키고 당뇨병 예방 및 개선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3-3. NCI-H716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MP 증가 효과
표 13
농도 cAMP(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100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10.203 ±1.612*
OEA (oleoylethanolamide) 20 μM 6.813±1.634*
상기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칼슘농도와 관련이 높은 cAMP 농도를 측정하여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식욕 억제, 포만감 증진 등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고, 심장세포 보효 작용을 통해 심장질환 개선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 Geum aleppicum 추출물
2-4-1. NCI-H716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의 GLP-1 분비 효과
표 14
농도 GLP-1 분비(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 500μg/mL 2.396± 0.226*
상기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 분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물)은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4-2. NCI-H716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 2+ 농도 변화
표 15
농도 Ca2+ 반응(ΔRFU)
대조군 9.181 ± 0.632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 500 μg/mL 35.003 ± 1.984**
포도당 100 mM 10.240± 0.352**
표 1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GPCRs의 활성화로 칼슘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Geum aleppicum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4-3. NCI-H716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MP 증가 효과
표 16
시료 농도 cAMP(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100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 500 μg/mL 13.365 ± 3.321*
OEA (oleoylethanolamide) 20 μM 6.813± 1.634*
상기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칼슘농도와 관련이 높은 cAMP 농도를 측정하여 Geum aleppicum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식욕 억제, 포만감 증진 등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고, 심장세포 보호 작용을 통해 심장질환 개선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TGR5 활성 측정]
1. 세포배양
CHO-K1세포는 ATCC (Mnassas, VA)로부터 분양받았으며 10% (v/v) 소 태아 혈청(FBS), 100U/mL 페니실린, 및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Ham's F-12K 배지에 배양하였다.
2. TGR5 활성 측정
hTGR5 plasmid DNA는 G-protein-coupled bile acid receptor 1[Homo sapiens](GPBAR1, TGR5), transfection-ready DNA로서 transcript variant 3는 Origene 사로부터 구입하였으며 vector는 4.5Kb의 pCMV6-XL5이며 insert인 GPBAR1(TGR5)은 1.4 Kb이었다. TGR5 플라스미드를 얻기 위해 일단 100μg/mL 앰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형질전환 E. coli에 증식시킨 후 Invitrogen Purelink(High pure filter maxiprep kit)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얻었다. TGR5 발현 플라스미드 (pCMV6-XL5/TGR5) 400ng/well을 CHO-K1에 100ng/well CRE-driven luciferase reporter plasmid와 함께 NeonTM (Invitrogen, Cergy Pontoise, France)을 이용하여 트렌스펙션한 후 48시간 후에 5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dual-gloTM luciferase assay system kit(promega)를 이용하여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측정하였다. 루미네선스(luminescence)는 Victor3TM(PerkinElmer)를 이용하였다.
3. 결과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3-1-1. CHO-K1 세포에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의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의 TGR5 활성 증진 효과
TGR5 플라스미드로 트렌스펙션된 CHO-K1 세포가 이용되었으며 여기에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이 5시간 동안 처리되었다. TGR5 활성은 앞서 방법에서 언급했듯이 루시퍼레이즈 측정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모든 값은 means± SEM으로 나타내었다. n=9. *p<0.05, ***p<0.001 vs control(대조군)
표 17
시료 농도 TGR5 활성 측정(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120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 100 μg/mL 4.721 ± 0.553***
Lithocholic acid (LCA) 5 μM 3.483 ± 0.119***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TGR5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에 발현되어 있는 hTGR5를 활성화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3-2-1. CHO-K1 세포에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의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TGR5 활성 증진 효과
표 18
시료 농도 TGR5 활성 측정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120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 10μg/mL 2.034 ± 0.063***
50μg/mL 2.910 ± 0.503*
100μg/mL 2.411 ± 0.112***
TGR5 플라스미드로 트렌스펙션된 CHO-K1 세포가 이용되었으며 여기에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이 5시간 동안 처리되었다. TGR5 활성은 앞서 방법에서 언급했듯이 루시퍼레이즈 측정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모든 값은 means± SEM으로 나타내었다. n=9. *p<0.05, ***p<0.001 vs control(대조군)
상기 표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TGR5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TGR5의 활성화는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이므로,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에 의해 활성화된 TGR5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항비만 효과, 식욕억제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 등을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3-2-2. CHO-K1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가지 분획별 TGR5 활성 측정
TGR5 플라스미드로 트렌스펙션된 CHO-K1 세포가 대조군으로 이용되었으며 여기에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이 5시간 동안 처리되었다. TGR5 활성은 앞서 방법에서 언급했듯이 루시퍼레이즈 측정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모든 값은 means± SEM으로 나타내었다. n=9. *p<0.05, ***p<0.001 vs control (대조군)
표 19
시료 농도 분 획 TGR5 활성 측정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24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 500μg/mL 분획전 2.759± 0.303**
헥산층 1.529± 0.012
클로로포름층 1.689± 0.062
에틸 아세테이트층 3.279± 0.151***
부탄올층 2.584± 0.448*
H2O층 3.184± 0.512 *
상기 표 19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층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50%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TGR5 활성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항비만 효과, 식욕억제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 등을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3-3-1. CHO-K1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의 TGR5 활성 증진 효과
TGR5 플라스미드로 트렌스펙션된 CHO-K1 세포가 이용되었으며 여기에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이 5시간 동안 처리되었다. TGR5 활성은 앞서 방법에서 언급했듯이 루시퍼레이즈 측정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모든 값은 means± SEM으로 나타내었다. n=9. *p<0.05, ***p<0.001 vs control(대조군)
표 20
농도 TGR5 활성 측정(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120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 10 μg/mL 1.900 ± 0.275*
50 μg/mL 2.389 ± 0.540*
100 μg/mL 3.741 ± 0.214**
Lithocholic acid (LCA) 5 μM 3.483 ± 0.119***
상기 표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TGR5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TGR5의 활성화는 GLP-1의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병 치료 효과, 심장병 치료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를 보이므로,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에 의해 활성화된 TGR5가 GLP-1의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 억제, 포만감 증진 등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고, 심장세포 보효 작용을 통해 심장질환 개선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 Geum aleppicum 추출물
3-4-1. CHO-K1 세포에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의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의 TGR5 활성 증진 효과
TGR5 플라스미드로 트렌스펙션된 CHO-K1 세포가 이용되었으며 여기에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이 5시간 동안 처리되었다. TGR5 활성은 앞서 방법에서 언급했듯이 루시퍼레이즈 측정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모든 값은 means± SEM으로 나타내었다. n=9. *p<0.05, ***p<0.001 vs control(대조군)
표 21
시료 농도 TGR5 활성 측정(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120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 2.012 ± 0.332*
Lithocholic acid (LCA) 5 μM 3.483 ± 0.119***
상기 표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TGR5를 트렌스펙션시킨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TGR5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Geum aleppicum 추출물에 의해 식욕 억제, 포만감 증진 등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고, 심장세포 보효 작용을 통해 심장질환 개선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 염증(Hepatic inflammation) 감소 효과, 장간 혈액순환(enterohepatic blood flow) 증진효과, 간 기능 개선 효과, cholestatic liver diseases 치료 효과, 소양병 (搔痒病; pruritus) 및 무통증 황달 (painless jaundice) 치료 효과, 장 기능 (intestinal functions) 개선 효과, 신경전달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간질환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4. STC-1 세포 이용한 CCK 분비 실험]
1) 세포 배양
STC-1 cell은 10% 소 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을 사용하였으며, 온도 37℃와 5%의 CO2를 유지하면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소 태아 혈청(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은 Gibco에서 구입하였다.
2) CCK 분비 측정 방법
세포를 배양하여 24well plate에 각 well당 2×105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HEPES 버퍼(4.5mM KCl, 1.2mM CaCl2, 1.2mM MgCl2, 10mM glucose, 140mM NaCl, 및 20mM Hepes-Tris, pH7.4)로 2회 세척하고 HEPES 버퍼에 물질을 첨가한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배지를 모아 10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으며 얻어진 상층액은 -70℃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kit는 효소 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EIA)) kit (Phoenix Pharmaceuticals Inc., Belmont CA)이다.
3) 세포내 칼슘 반응 측정 방법
Poly-D-Lysine cotead black 96-well clear-bottom plates (Thermo)에 8.0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Calcium-5 assay kit (Moelcular device)로 37°C에서 60분 배양하고 Flexstation III을 이용하여 Ca2+ 반응을 측정하였다. 형광 파장은 488nm(ex)과 525(em)으로 약 120초간 반응을 보았으며 화합물의 주입은 20초에 실시하여 2초간의 반응을 보았다.
4) 결과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4-1-1. STC-1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 효과
표 22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00 ± 0.01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9.70 ± 1.43 ** 0.004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2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4-1-2. STC-1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23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75.93 ± 4.26
Oldenlandia brachypoda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109.94 ± 7.09 * 0.015
AITC 0.1mM 105.41 ± 2.12 ** 0.003
± S.E.M.(n=9) *P<0.05, **P<0.01, ***P<0.001 vs. 대조군
표 2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에 발현되어 있는 hTGR5를 활성화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1-3.STC-1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막 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표 24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59.12 ± 2.09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146.03 ± 12.12 *** <0.001
KCl 0.1mM 17.01 ± 0.93 *** <0.001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2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막 전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GPCRs의 활성화로 세포내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4-2-1. STC-1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 효과
표 25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01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12.72 ± 6.56 *** <0.001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01 vs. 대조군(1% DMSO)
상기 표 2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항비만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CK 분비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2. STC-1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종 분획물에 의한 CCK분비 효과
표 26
분획 농도(μg/ml)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 Value
대조군 1.00 ± 0.07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추출물 분획전 100 1.08 ± 0.12
헥산층 100 100.75 ± 5.54 *** <0.001
클로로포름층 100 96.15 ± 4.57 *** <0.001
에틸 아세테이트층 100 2.25 ± 0.88 0.258
부탄올층 100 1.27 ± 0.07 0.239
증류수층 100 1.18 ± 0.27 0.752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01 vs. 분획전
상기 표 26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분획물은 추출물 상태일 때보다 CCK 분비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2-3. STC-1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종 분획물의 농도별 CCK분비 효과
표 27
시료 분획 농도(μg/ml)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00 ± 0.18
Spergularia marina50%에탄올추출물 분획전 100 1.08 ± 0.31
헥산층 10 2.55 ± 0.43 * 0.029
50 47.26 ± 0.75 *** <0.001
100 73.47 ± 3.63 *** <0.001
클로로포름층 10 1.00 ± 0.05 0.559
50 31.85 ± 0.89 *** <0.001
100 61.92 ± 0.72 *** <0.001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5, ***P<0.001 vs. 분획전
상기 표 27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분획물 중에서 가장 우수한 CCK 분비 효과를 보였던 헥산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농도별 CCK 분비 효과를 나타낸 자료이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헥산 분획물과 클로포름 분획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CCK 분비 증가효과를 가져왔으며, 특히 그 중에서 헥산 분획물의 CCK 분비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2-4. STC-1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종 분획물에 의한 CCK분비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
STC-1 cells은 30분간 100μM 루테늄 레드(ruthenium red, RR) 또는 50μΜ HC-030031로 사전처리하였다. 50μg/ml 추출물을 추가한 후에, 37°C에서 60분간 배양하였다.
표 28
시료 분획 저해제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1.00 ± 0.00
Spergularia marina50%에탄올추출물 분획전 무처리 1.08 ± 0.08
RR 0.38 ± 0.09 0.118 44.26
HC-030031 0.54 ± 0.06 0.274 21.47
헥산층 무처리 36.87 ± 2.08
RR 12.69 ± 0.66 ** 0.008 65.57
HC-030031 12.88 ± 0.62 ** 0.008 65.06
클로로포름층 무처리 13.41 ± 1.51
RR 3.24 ± 0.78 * 0.027 75.81
HC-030031 1.04 ± 0.28 * 0.015 92.28
상기 표 2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칼슘 유입을 저해하는 루테늄 레드 또는 HC-030031 등을 처리한 경우 Spergularia marina 50%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분획물은 CCK 분비 활성화 제제로 작용한다고 판단하였다.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 S.E.M.(n=9) *P<0.05, **P<0.01 vs. 무처리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4-3-1. STC-1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 효과
표 29
Figure PCTKR2013010249-appb-T000001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29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CCK 분비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2.STC-1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30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75.93 ± 4.26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87.68 ± 2.84 * 0.05
250μg/ml 93.58 ± 3.02 * 0.05
500μg/ml 114.97 ± 9.20 * 0.018
AITC 0.1mM 105.41 ± 2.12 ** 0.003
± S.E.M.(n=9) *P<0.05, **P<0.01, ***P<0.001 vs. 대조군
표 3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8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GPCRs의 활성화로 칼슘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식욕 억제, 포만감 증진 등 비만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고, 심장세포 보효 작용을 통해 심장질환 개선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3-3.STC-1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막 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표 31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59.12 ± 2.09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66.23 ± 0.77 *** <0.001
KCl 0.1mM 17.01 ± 0.93 *** <0.001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3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막 전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GPCRs의 활성화로 세포내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키고 당뇨병 치료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CCK 분비 효과
4-4-1.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 효과
표 32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01
Persicaria posumbu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12.30 ± 1.95 ** 0.004
250μg/ml 41.35 ± 4.28 *** <0.001
500μg/ml 65.06 ± 2.25 *** <0.001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3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CCK 분비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2.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
STC-1 세포는 100μM 루테늄 레드(ruthenium red) 또는 50μΜ HC-030031로 3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500μg/ml의 추출물을 추가한 후에 37°C에서 60분간 배양하였다.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
표 33
시료 농도 저해제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1.00 ± 0.04
Persicaria posumbu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무처리 42.23 ± 4.03
RR 22.00 ± 0.45 ** 0.008 47.89
HC-030031 39.69 ± 1.24 * 0.05 6.00
상기 표 3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TRP 길항제인 RR, TRPA1 길항제인 HC-030031을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가 각각 47.89%, 6% 저해되었다. 이는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TRP 작용제, TRPA1 작용제로 작용하여 CCK를 분비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4-3.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2)
STC-1 세포는 400μM TPPO 또는 20μΜ U-73122로 30분간 사전처리하였다.
500μg/ml의 추출물을 첨가한 후에 37°C에서 60분간 배양하였다.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 S.E.M.(n=9) **P<0.01, ***P<0.001 vs. 무처리
표 34
시료 농도 저해제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1% dmso 1.00 ± 0.07
Persicaria posumbu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무처리 20.02 ± 0.94
TPPO 14.14 ± 0.67 ** 0.007 29.36
U-73122 14.07 ± 0.24 ** 0.004 29.72
상기 표 3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지 단백 저해제인인 TPPO, PLCβ2 저해제인 U-73122을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가 각각 29.36%, 29.72% 저해되었다. 이는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지 단백 활성화제 및/또는 PLCβ2 활성화제로 작용하여 CCK를 분비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내 칼슘 반응
4-4-4.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35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75.93 ± 4.26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87.95 ± 1.33 *
250μg/ml 99.09 ± 1.72 **
500μg/ml 100.11 ± 4.16 **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0.5% dmso)
상기 표 3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칼슘이온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GPCRs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항당뇨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소화 및 흡수 장애 조절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4-4-5.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 2+ 반응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1)
STC-1 세포는 100μM 루테늄 레드(ruthenium red) 또는 50μΜ HC-030031로 6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이후 1mg/ml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 S.E.M.(n=9) ***P<0.001 vs. 무처리
표 36
시료 농도 저해제 ΔRFU(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0.5% dmso 34.34 ± 1.63
Persicaria posumbu80% 에탄올추출물 1mg/ml 무처리 227.63 ± 5.08
RR 107.71 ± 2.71 *** <0.001 52.68
HC-030031 204.44 ± 4.89 * 0.05 10.19
상기 표 3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TRP 길항제인 RR, TRPA1 길항제인 HC-030031을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가 각각 52.68%, 10.19% 저해되었다. 이는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TRP 작용제, TRPA1 작용제로 작용하여 TRP 채널 활성화로 세포막 바깥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유입된 결과를 의미한다.
4-4-6.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 2+ 반응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2)
STC-1 세포는 400μM TPPO 또는 20μΜ U-73122로 6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이후 1mg/ml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 S.E.M.(n=9) ***P<0.001 vs. 무처리
표 37
시료 농도 저해제 ΔRFU(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0.5% dmso 71.14 ± 7.10
Persicaria posumbu80% 에탄올추출물 1mg/ml 무처리 230.39 ± 36.90
TPPO 183.55 ± 5.53 * 0.05 20.33
U-73122 48.85 ± 6.87 ** 0.008 78.80
상기 표 37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지 단백 저해제인인 TPPO, PLCβ2 저해제인 U-73122을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가 각각 20.33%, 78.80% 저해되었다. 이는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지 단백 활성화제 및/또는 PLCβ2 활성화제로 작용하여 세포질내에 Ca2+ 농도의 증가를 일으킨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해 상기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GPCRs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36 및 37에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상기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항당뇨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소화 및 흡수 장애 조절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4-4-7. STC-1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막 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표 38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59.12 ± 2.09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123.21 ± 2.62 *** <0.001
± S.E.M.(n=0) **P<0.01, ***P<0.001 vs. 대조군(0.5% dmso)
상기 표 3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막 전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GPCRs의 활성화로 세포내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키고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소화 및 흡수 조절 효과 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5> Geum aleppicum 추출물
CCK 분비 효과
4-5-1.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 효과
표 39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00 ± 0.01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20.37 ± 3.94 ** 0.008
250μg/ml 33.12 ± 3.40 *** <0.001
500μg/ml 60.49 ± 2.21 *** <0.001
AITC 0.1mM 21.57 ± 0.59 *** <0.001
1mM 21.99 ± 0.64 *** <0.001
10mM 25.59 ± 0.59 *** <0.001
Fold of control = 샘플 value/미처리 대조군 value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1% DMSO)
상기 표 39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CCK 분비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5-2.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1)
STC-1 세포는 100μM 루테늄 레드(ruthenium red) 또는 50μΜ HC-030031로 3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500μg/ml의 추출물을 추가한 후에 37°C에서 60분간 배양하였다. ± S.E.M.(n=9) **P<0.05, ***P<0.001 vs. 대조군
표 40
시료 농도 저해제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1% DMSO 1.00 ± 0.04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무처리 34.22 ± 0.98
RR 12.22 ± 0.41 *** <0.001 64.29
HC-030031 29.44 ± 0.82 * 0.02 13.97
AITC 0.1mM 무처리 22.56 ± 0.65
RR 6.04 ± 0.73 *** <0.001 73.21
HC-030031 10.70 ± 0.92 *** <0.001 52.58
상기 표 4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TRP 길항제인 RR, TRPA1 길항제인 HC-030031을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가 각각 47.89%, 6% 저해되었다. 이는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TRP 작용제, TRPA1 작용제로 작용하여 CCK를 분비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Geum aleppicum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5-3.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분비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2)
STC-1 세포는 400μM TPPO 또는 20μΜ U-73122로 30분간 사전처리하였다.
500μg/ml의 추출물을 첨가한 후에 37°C에서 60분간 배양하였다.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 S.E.M.(n=9) ***P<0.001 vs. 무처리
표 41
시료 농도 저해제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1% DMSO 1.00 ± 0.07
Geum aleppicum80% 에탄올추출물 500μg/ml 무처리 30.49 ± 0.45
TPPO 21.19 ± 0.24 *** <0.001 30.50
U-73122 14.35 ± 0.27 *** <0.001 52.93
DB 10mM 무처리 25.01 ± 0.77
TPPO 17.05 ± 0.03 *** <0.001 31.83
U-73122 15.53 ± 0.01 *** <0.001 37.92
상기 표 41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지 단백 저해제인인 TPPO, PLCβ2 저해제인 U-73122을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CK 분비가 각각 30.50%, 52.93% 저해되었다. 이는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지 단백 활성화제 및/또는 PLCβ2 활성화제로 작용하여 CCK를 분비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내 칼슘 반응
4-5-4.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42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75.93 ± 4.26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148.82 ± 4.69 ** 0.006
250μg/ml 170.79 ± 2.46 *** 0.001
500μg/ml 206.37 ± 5.37 *** <0.001
AITC 0.1mM 105.41 ± 2.12 ** 0.003
1mM 151.04 ± 5.65 *** <0.001
10mM 168.68 ± 5.79 *** <0.001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0.5% DMSO)
상기 표 4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칼슘이온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Geum aleppicum 추출물은 GPCRs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항당뇨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소화 및 흡수 장애 조절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4-5-5.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 2+ 반응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1)
STC-1 세포는 100μM 루테늄 레드(ruthenium red) 또는 50μΜ HC-030031로 6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이후 1mg/ml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 S.E.M.(n=9) ***P<0.001 vs. 무처리
표 43
Figure PCTKR2013010249-appb-T000002
상기 표 4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TRP 길항제인 RR, TRPA1 길항제인 HC-030031을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가 각각 52.68%, 10.19% 저해되었다. 이는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TRP 작용제, TRPA1 작용제로 작용하여 TRP 채널 활성화로 세포막 바깥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유입된 결과를 의미한다.
4-5-6.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 2+ 반응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2)
STC-1 세포는 400μM TPPO 또는 20μΜ U-73122로 6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이후 1mg/ml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 S.E.M.(n=9) ***P<0.001 vs. 무처리
표 44
시료 농도 저해제 ΔRFU(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0.5% DMSO 71.14 ± 7.10
Geum aleppicum80% 에탄올추출물 1mg/ml 무처리 219.36 ± 31.64
TPPO 126.38 ± 16.25 ** 0.853
U-73122 22.23 ± 2.35 ** 0.003 89.37
DB 10mM 무처리 217.79 ± 15.99
TPPO 100.56 ± 2.16 ** 0.002 53.83
U-73122 130.60 ± 6.04 ** 0.007 40.03
상기 표 4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지 단백 저해제인인 TPPO, PLCβ2 저해제인 U-73122을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가 각각 20.33%, 78.80% 저해되었다. 이는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지 단백 활성화제 및/또는 PLCβ2 활성화제로 작용하여 세포질내에 Ca2+ 농도의 증가를 일으킨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해 상기 Geum aleppicum 추출물은 GPCRs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43 및 44에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상기 Geum aleppicum 추출물은 항당뇨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소화 및 흡수 장애 조절 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4-5-7. STC-1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막 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표 45
Figure PCTKR2013010249-appb-T000003
± S.E.M.(n=3-4) **P<0.01, ***P<0.001 vs. 대조군(0.5% DMSO)
상기 표 4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막 전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GPCRs의 활성화로 세포내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Geum aleppicum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키고 당뇨병 치료 효과, 심장질환 개선 효과, 식욕억제, 항비만 효과, 소화 및 흡수 조절 효과 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5. RIN14B 세포 이용한 5-HT 측정 방법]
1) 세포배양
RIN14B cell은 10% 소 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RPMI medium 1640을 사용하였으며, 온도 37℃와 5%의 CO2를 유지하면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소 태아 혈청(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은 Gibco에서 구입하였다.
2) 5-HT 분비 측정 방법
세포를 배양하여 24well plate에 각 well당 2×105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5-HT 에세이 버퍼(HBSS, 0.1% BSA, 1.25mM CaCl2, 2μM 플록세틴, pH 7.4)로 2회 수세하고 5-HT 에세이 버퍼에 물질을 첨가한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배지를 모아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으며 얻어진 상층액은 -70℃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kit는 Serotonin(EIA) kit (Enzo Life Sciences)이다
3) 세포내 칼슘 반응 측정 방법
Black 96-well clear-bottom plates (Corning)에 5.0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Calcium-5 assay kit (Moelcular device)로 37°C에서 60분 배양하고 Flexstation III을 이용하여 Ca2+ 반응을 측정하였다. 형광파장은 488nm(ex)과 525(em)으로 약 120초간 반응을 보았으며 화합물의 주입은 20초에 실시하여 2초간의 반응을 보았다.
4) 결과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5-1-1. RIN14B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 효과
표 46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26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5.89 ± 0.46 *** <0.001
250μg/ml 19.85 ± 2.32 ** 0.001
500μg/ml 36.19 ± 2.06 *** <0.001
AITC 300μM 8.11 ± 2.70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46의 결과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1-2. RIN14B 세포에서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47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3.34 ± 0.44
Oldenlandia brachypoda 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10.04 ± 0.65 *** <0.001
250μg/ml 16.32 ± 1.00 *** <0.001
500μg/ml 28.10 ± 0.78 *** <0.001
AITC 50uM 13.44 ± 1.78 ** 0.005
300uM 19.78 ± 4.08 * 0.017
500uM 22.17 ± 3.65 *** 0.007
각각의 well의 반응은 ΔRFU로 결정하였다.
± S.E.M.(n=9)*P<0.05,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47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5-HT 분비 효과 측정
5-2-1. RIN14B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 효과
표 48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26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2.51 ± 0.35 * 0.05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9)
상기 표 48의 결과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식욕 억제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2.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가지 분획물에 의한 5-HT 분비 효과
표 49
시료 분획 농도(μg/ml)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 Value
대조군 1% DMSO 1.00 ± 0.19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추출물 분획전 100 2.51 ± 0.04
헥산층 100 59.50 ± 1.07 *** <0.001
클로로포름층 100 41.68 ± 3.96 *** <0.001
에틸 아세테이트층 100 2.91 ± 0.02 *** <0.001
부탄올층 100 2.65 ± 0.22 0.549
증류수층 100 2.13 ± 0.23 0.172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 S.E.M.(n=9)***P<0.001 vs. 분획전
상기 표 49의 결과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에 비해서 더 우수한 5-HT 분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5-HT 분비를 증가시켜 소화 흡수 조절 작용, 식욕 억제 작용, 항비만 효과 등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5-2-3. RIN14B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50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 Value
대조군 0.5% DMSO 3.34 ± 0.44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32.45 ± 1.90 *** <0.001
AITC 50uM 13.44 ± 1.78 ** 0.005
300uM 19.78 ± 4.08 * 0.017
500uM 22.17 ± 3.65 *** 0.007
각각의 well의 반응은 ΔRFU로 결정하였다.
± S.E.M.(n=3-4)*P<0.05,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0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5-2-4. RIN14B 세포에서 Spergularia marina 50% 에탄올 추출물의 5가지 분획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대조군: 0.5% DMSO, 시료농도: 500μg/ml)
표 51
시료 분획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4.19 ± 0.82
Spergularia marina50% 에탄올 추출물 분획전 24.53 ± 1.32
헥산층 54.02 ± 2.06 *** <0.001
클로로포름층 70.24 ± 1.38 *** <0.001
에틸 아세테이트층 39.96 ± 0.64 *** <0.001
부탄올층 42.13 ± 2.34 *** <0.001
증류수층 34.39 ± 2.00 ** 0.006
각각의 well의 반응은 ΔRFU로 결정하였다.
± S.E.M.(n=3-4) **P<0.01, ***P<0.001 vs. 분획전
상기 표 51의 결과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의 분획물들은 분획전 추출물 상태일 때 칼슘농도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Spergularia marina의 분획물이 Ca2+ 이온 농도 변화 유발에 더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Ca2+ 이온 농도 변화는 GPCRs의 활성화를 의미하므로 Spergularia marina의 분획물이 GPCRs을 활성화시켜 GLP-1의 분비를 촉진해 비만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5-3-1. RIN14B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 효과
표 52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26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8.25 ± 0.17 ** 0.01
AITC 300μM 8.11 ± 2.70 ** 0.01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9)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2의 결과에 따르면,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식욕 억제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3-2. RIN14B 세포에서 Disporum smilacinum 5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53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3.34 ± 0.44
Disporum smilacinum5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18.02 ± 0.72 *** <0.001
AITC 50uM 13.44 ± 1.78 ** 0.005
각각의 well의 반응은 ΔRFU로 결정하였다.
± S.E.M.(n=9)*P<0.05,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3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5-4-1. RIN14B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 효과
표 54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26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2.90 ± 0.09 *** <0.001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9)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4의 결과에 따르면,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4-2. RIN14B 세포에서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55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34 ± 0.44
Persicaria posumbu 80% 에탄올 추출물 500μg/ml 67.81 ± 1.29 *** <0.001
각각의 well의 반응은 ΔRFU로 결정하였다.
± S.E.M.(n=9)*P<0.05,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5> Geum aleppicum 추출물
5-5-1. RIN14B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 효과
표 56
시료 농도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1% DMSO 1.00 ± 0.26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10.54 ± 0.36 *** <0.001
250μg/ml 24.46 ± 2.14 *** <0.001
500μg/ml 33.29 ± 0.38 *** <0.001
AITC 300μM 8.11 ± 2.70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9)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6의 결과에 따르면, Geum aleppicum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2. RIN14B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
RIN14B 세포는 100μM 루테늄 레드 또는 50μΜ HC-030031로 30분간 사전 처리하였다. 500μg/ml의 추출물을 첨가한 후에, 37°C에서 60분간 배양하였다
Fold of control =sample value/untreated control value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표 57
시료 농도 저해제 Fold of control(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1% DMSO 1.00 ± 0.19
Geum aleppicum80% 에탄올추출물 500μg/ml 무처리 35.34 ± 4.03
RR 12.20 ± 6.45 65.49
HC-030031 17.38 ± 9.21 50.82
AITC 300uM 무처리 8.11 ± 2.70
RR 3.60 ± 1.80 55.56
HC-030031 9.02 ± 6.37 -11.27
상기 표 57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TRP 길항제인 RR, TRPA1 길항제인 HC-030031을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5-HT 분비가 각각 65.49%, 50.82% 저해되었다. 이는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TRP 작용제, TRPA1 작용제로 작용하여 TRP 채널 활성화로 세포막 바깥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유입된 결과를 의미한다.
5-5-3. RIN14B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이 Ca 2+ 반응에 미치는 영향
표 58
시료 농도 ΔRFU(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0.5% DMSO 3.34 ± 0.44
Geum aleppicum80% 에탄올 추출물 100μg/ml 11.08 ± 0.74 *** <0.001
250μg/ml 25.24 ± 0.23 *** <0.001
500μg/ml 37.04 ± 1.28 *** <0.001
각각의 well의 반응은 ΔRFU로 결정하였다.
± S.E.M.(n=9)*P<0.05, **P<0.01, ***P<0.001 vs. 대조군
상기 표 58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Geum aleppicum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더 큰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eum aleppicum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5-5-4. RIN14B 세포에서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 2+ 반응에서 저해제가 미치는 영향
RIN14B는 100μM 루테늄 레드 또는 50μΜ HC-030031로 60분간 사전처리하였다. 이후에 500μg/ml의 추출물을 추가하였다.
± S.E.M.(n=9) **P<0.01, ***P<0.001 vs. 무처리
표 59
시료 농도 저해제 ΔRFU(mean ± S.E.M.) t-test P-Value Inhibition(%)
대조군 0.5% DMSO 3.61 ± 0.15
Geum aleppicum80% 에탄올추출물 500μg/ml 무처리 24.99 ± 0.88
RR 12.68 ± 2.41 ** 0.003 49.24
HC-030031 11.11 ± 0.92 ** 0.003
AITC 300uM 무처리 13.42 ± 1.08
RR 4.51 ± 1.40 ** 0.005 66.36
HC-030031 3.98 ± 0.80 *** <0.001 70.31
상기 표 59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TRP 길항제인 RR, TRPA1 길항제인 HC-030031을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가 각각 52.68%, 10.19% 저해되었다. 이는 Geum aleppicum 80% 에탄올 추출물은 TRP 작용제, TRPA1 작용제로 작용하여 TRP 채널 활성화로 세포막 바깥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유입된 결과를 의미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실험]
실시예 1에서 얻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실험용 쥐에 경구투여하여 1) 뇌조직의 면역염색에 의한 중추 활성화 실험, 2) Glucose tolerance tests, 3) Gastric emptying rate, 4) Food intake 측정, 5) Chloride 분비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실험방법
1) 뇌조직의 면역염색에 의한 중추 활성화 실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을 각각 위내로 투여하고 뇌부위의 활성화를 분석하기 위해 c-Fos 면역 염색을 하였다. 실험동물을 12시간 금식 시킨 후, 증류수에 녹인 각각의 상기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한 후 2시간을 방치한다. 이후 urethan으로 깊은 마취 상태를 유도한다. 차가운 PBS 200 mL를 심장을 통해 관류 시키고, 이어서 4% paraformaldehyde을 300 mL 관류 시킨 후 뇌를 적출하여 4% paraformaldehyde에 4시간동안 4oC에서 보관한다. 그 후 30% sucrose 용액에 옮겨 4 oC에서 충분히 가라앉게 하였다. 고정 작업이 끝난 뇌 조직은 OCT 용액을 이용하여 얼린다. 얼린 조직은 -20oC에서 30um의 두께로 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잘라준다. 목표 영역은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와 Dorsal vagal complex (DVC)이다. 잘라진 조직은 PBS로 이동 시킨 후 PBS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이 조직은 0.3% H2O2에 15분간 담가 둔 후, 3회에 걸쳐 PBS로 세척한다. 이 조직은 3% normal goat serum을 포함한 PBS에 30분간 반응시킨다. 이 조직은 세척과정 없이 polyclonal rabbit c-Fos antibody (sc-25, Santa Cruz Biotech, USA)를 1:1000의 비율로 0.3%의 normal goat serum이 들어있는 PBST로 희석시켜 실온에서 24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난 조직은 PBST로 10분간 3회에 걸쳐 세척한다. 그 후 두 번째 anti-rabbit antibody (BA-1000, Vector, USA)를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3회에 걸쳐 5분씩 세척한다. 이 조직은 avidin-giotinyated 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ABC) (PK-6100, Vector, USA)를 실온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5분씩 3회에 걸쳐 PBST로 세척한 후 DAB kit (Zytomed Systems, Germany)을 이용하여 발색 시킨 후 PBS로 반응을 종결한다. 염색이 끝난 조직은 슬라이드로 옮겨 충분히 건조시킨 후, 탈수 반응을 수행한다. 탈수반응이 끝난 슬라이드는 커버슬라이드를 덮어 현미경으로 관찰 한다.
염색이 끝난 조직은 현미경(AXio. 4. 8. 1, Zeiss, Germany)을 이용하여 목표 영역을 Paxinos and Watson의 좌표에 따라 결정한 후, 슬라이드 3-6장의 c-Fos antibody로 염색된 핵의 수를 세어 그 평균값을 구한다.
2) 흰쥐에서의 경구당부하 검사에 미치는 영향 평가 (Glucose tolerance tests)
스프래그 돌리 흰쥐 (Sprague-Dawley rats; 체중 약 400g; 수컷)를 16시간 절식시킨 후 포도당 (2g/kg 체중)과 동시에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500 mg/kg BW)을 각각 경구 투여한다. 투여 후 0, 30, 60, 90, 120분에 꼬리 끝 부분을 절개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아쿠첵 혈당측정기(로슈사 제품)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한다. 포도당 (2g/kg 체중)만 투여한 군을 대조군으로 실험하였다.
3) Gastric emptying rate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Gastric emptying rate 측정은 Izbeki와 Doihara 등(1, 2)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흰쥐는 실험 시작 하루 전 절식 후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또는 Geum aleppicum 추출물 (100, 250, 500 mg/kg BW)을 각각 증류수에 녹여 경구 투여 후 30분 동안 방치한다. 흰쥐에 0.05% phenol red solution (1.5 mL)를 경구투여 후 20분이 지나고 경추탈골 후 위를 제거 한 후, 식염수에 세척하고 바로 0.1N NaOH (100 mL)에 잘게 균질화시킨다. 1시간 실온에서 안정화시킨 후 상층액(5 mL)을 20% trichloroacetic acid (0.5 mL)과 혼합 후 20분 간 4oC에서 3000 rpm으로 원심분리 시킨다. 상층액을 0.5 N NaOH (4 mL)과 혼합 후 UV-spectrophotometer로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를 경구 투여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참고문헌
(1) F. Izbeki, T. Wittmann, S. Csati, J. Lonovics. 2004. The mechani는 of th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on gastric emptying involve type A CCK receptors. Regulatory Peptides. 117: 101-105
(2) H. Doihara, K. Nosawa, E. Kawabata-Shoda, R. Kojima, T. Yokoyama, H. Ito. 2009. TRPA1 agonists delay gastric emptying in rats through serotonergic pathways. Naunyn-Schmied Arch Pharmacol. 380: 353-357
Gastric emptying rate(위장이 비워지는 속도)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Gastric emptying rate (%) = 100 (A/B) × 100,
A : 실험군의 phenol red solution을 경구투여 20분 후 위장 간 내에 phenol red가 남아 있는 양
B : 대조군의 phenol red solution을 경구투여 후 즉시 위장 간 내에 phenol red의 양
4) Food intake 측정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을 각각 위내로 투여하고 Food intake를 측정하기 위해, 흰쥐를 실험 시작 하루 전 절식하였다. 각 군당 5마리씩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500 mg/kg)을 각각 증류수에 녹여 경구 투여 후 120분 경과 후의 food intake를 측정하였다(3). 대조군은 증류수를 경구 투여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참고문헌:
(3) A. Serrano, FJ. Pav, S. Tovar, F. Casanueva, R. Se, C. Di, F.R. Fonseca. 2011. Oleoylethanolamide: Effects on hypothalamic transmitters and gut peptides regulating food intake. Neurohparmacology 60: 593-601
5) Chloride 분비 효과 실험
흰쥐의 혈청 중 chloride 함량 측정을 위해서 실험 시작 하루 전 절식 후 각 군당 5마리씩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하여 30분 경과 후 안와 채혈하였다. 혈액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분리하여 Chloride Assay Kit (BioAssay System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1) 뇌조직의 면역염색에 의한 중추 활성화 실험 결과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을 각각 위내로 투여하고 뇌부위의 활성화를 c-Fos 면역 염색으로 분석하였다. 상기 추출물들의 자극에 의하여 장에서 GLP-1, CCK, 5-HT 등이 분비되면 이들은 혈액으로 분비되어 호르몬으로서 작용하며 또한 신경펩타이드로서도 작용한다. GLP-1, CCK, 5-HT 등은 호르몬으로 작용하여 뇌의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를 직접 활성화시킨다. 또한 GLP-1, CCK, 5-HT 등은 미주신경 (vagus nerves)을 활성화시킨 후 이는 Dorsal vagal complex (DVC)를 활성화시키며 이는 다시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식품섭취 정보를 중추에 전달하며 중추는 이 정보를 습득 후 말초 조직에 각종 체내 항상성과 관련된 명령을 내 보내어 신체 활동을 조절한다(Yi C-X and Tschop MH, Brain-gut-adipose-tissue communication pathways at a glance. Disease Models & Mechanisms, 5, 583, 2012).
그 결과 상기 추출물들은 검은 점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DVC 및 ARC에서 c-랜 활성화 효과가 있었다 (도 1 내지 도 10 참조). 이는 GLP-1, CCK, 5-HT가 분비됨으로써 알려진 각종 체내 항상성과 관련된 작용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흰쥐에서의 경구당부하 검사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항당뇨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들이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본 발명의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은 포도당 부하에 의한 3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02.7mg/dl인데 비하여 54.9mg/dl로 46.5% 낮추어졌으며, 6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10.7mg/dl인데 비하여 84.9mg/dl로 23.3% 낮추어졌고, 혈당증가곡선 아래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대조군은 17465 mg/dlmin인데 비하여 13961 mg/dlmin로 20% 낮추었으며, 이를 표 60에 나타내었다.
표 60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흰쥐의 경구 당부하에 의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1) 당부하후 시간별 혈당치 (mg/dL) AUC2)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군3) 65.3±5.9 168±22.9 176±14.7 130±15.1 121±11.2 17465±1500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70.1±2.7 125±12.5 155±17.3 119±9.1 120±11.0 13961±1112
1)Values are mean± SD(n=10).
2)AUC : Area under the curve (포도당 부하 후 120분 동안의 혈당치 상승 곡선 아래의 면적이며 단위는 minmg/dl)
3)포도당만 투여한 군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본 발명의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포도당 부하에 의한 3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02.7mg/dl인데 비하여 63.2mg/dl로 38.5% 낮추었으며, 6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10.7mg/dl인데 비하여 76.2mg/dl로 31.2% 낮추었으며, 혈당증가곡선 아래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대조군은 17465 mg/dlmin인데 비하여 14060 mg/dlmin로 19.5% 낮추었으며, 이를 하기 표 61에 나타내었다.
표 61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이 흰쥐의 경구 당부하에 의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1) 당부하후 시간별 혈당치 (mg/dL) AUC2)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군3) 65.3±5.9 168±22.9 176±14.7 130±15.1 121±11.2 17465±1500
Spergularia marina추출물 68.8±3.4 132±17.4 145±22.8 128±11.9 111±12.3 14060±1387
1)Values are mean± SD(n=10).
2)AUC : Area under the curve (포도당 부하 후 120분 동안의 혈당치 상승 곡선 아래의 면적이며 단위는 minmg/dl)
3)포도당만 투여한 군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본 발명의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포도당 부하에 의한 3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02.7mg/dl인데 비하여 72.5mg/dl로 29.4% 낮추었으며, 6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10.7mg/dl인데 비하여 84.5mg/dl로 23.7% 낮추었으며, 혈당증가곡선 아래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대조군은 17465 mg/dlmin인데 비하여 13960 mg/dlmin로 20% 낮추었으며, 이를 하기 표 62에 나타내었다.
표 62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이 흰쥐의 경구 당부하에 의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1) 당부하후 시간별 혈당치 (mg/dL) AUC2)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군3) 65.3±5.9 168±22.9 176±14.7 130±15.1 121±11.2 17465±1500
Disporum smilacinum추출물 75.5± 2.9 148±15.6 160±21.0 135±8.5 120±9.9 13960±1111
1)Values are mean± SD(n=10).
2)AUC : Area under the curve (포도당 부하 후 120분 동안의 혈당치 상승 곡선 아래의 면적이며 단위는 minmg/dl)
3)포도당만 투여한 군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본 발명의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포도당 부하에 의한 3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02.7mg/dl인데 비하여 78mg/dl로 24.1% 낮추었으며, 6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10.7mg/dl인데 비하여 76mg/dl로 31.3% 낮추었으며, 혈당증가곡선 아래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대조군은 17465 mg/dlmin인데 비하여 13249 mg/dlmin로 24.1% 낮추었으며, 이를 하기 표 63에 나타내었다.
표 63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이 흰쥐의 경구 당부하에 의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1) 당부하후 시간별 혈당치 (mg/dL) AUC2)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군3) 65.3±5.9 168±22.9 176±14.7 130±15.1 121±11.2 17465±1500
Persicaria posumbu추출물 59.0±3.9 137±9.8 135±12.3 118±9.8 110±10.1 13249±1309
1)Values are mean± SD(n=10).
2)AUC : Area under the curve (포도당 부하 후 120분 동안의 혈당치 상승 곡선 아래의 면적이며 단위는 minmg/dl)
3)포도당만 투여한 군
<5> Geum aleppicum 추출물
본 발명의 Geum aleppicum 추출물은 포도당 부하에 의한 3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02.7mg/dl인데 비하여 60.8mg/dl로 40.8% 낮추었으며, 60분후의 혈당치 상승분이 대조군은 110.7mg/dl인데 비하여 67.8mg/dl로 38.8% 낮추었으며, 혈당증가곡선 아래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대조군은 17465 mg/dlmin인데 비하여 13841 mg/dlmin로 20.8% 낮추었으며, 이를 표 64에 나타내었다.
표 64 Geum aleppicum 추출물이 흰쥐의 경구 당부하에 의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1) 당부하후 시간별 혈당치 (mg/dL) AUC2)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군3) 65.3±5.9 168±22.9 176±14.7 130±15.1 121±11.2 17465±1500
Geum aleppicum추출물 64.2±5.1 125±9.6 132±11.2 121±7.1 98±5.2 13841±984
1)Values are mean± SD(n=10).
2)AUC : Area under the curve (포도당 부하 후 120분 동안의 혈당치 상승 곡선 아래의 면적이며 단위는 minmg/dl)
3)포도당만 투여한 군
3) Gastric emptying rat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항비만 효과 확인)
상기 추출물들에 의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 식품 섭취량이 감소되어 항비만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100, 250, 500 mg/kg 투여에 의하여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졌다(하기 표 65 참조). 이를 통해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 식품 섭취량이 감소되어 항비만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65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가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Gastric emptying rate (%)
대조군 - 90 ± 7.4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군 100 78 ± 3.9
250 55 ± 2.4
500 34 ± 3.5
페놀 레드(phenol red) 투여 후 20분후 위장에 남아 있는 페놀 레드의 양을 측정하여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염색 30분 전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 투여군임. Values are means SEM (N=6).
상기 표 6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항비만 효과를 보일 수 있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100, 250, 500 mg/kg 투여에 의하여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졌다 (하기 표 66 참조). 이를 통해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 식품 섭취량이 감소되어 항비만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66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가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Gastric emptying rate (%)
대조군 - 90 ± 7.4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군 100 80 ± 5.1
250 46 ± 3.3
500 38 ± 1.9
페놀 레드(phenol red) 투여 후 20분후 위장에 남아 있는 페놀 레드의 양을 측정하여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염색 30분 전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 투여군임. Values are means SEM (N=6).
상기 표 66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항비만 효과를 보일 수 있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100, 250, 500 mg/kg 투여에 의하여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졌다 (하기 표 67 참조).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식품섭취량을 감소시켜 항비만효과를 보일 수 있다.
표 67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가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Gastric emptying rate (%)
대조군 - 90 ± 7.4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군 100 75 ± 3.9
250 47 ± 2.8
500 29 ± 1.9
페놀 레드(phenol red) 투여 후 20분후 위장에 남아 있는 페놀 레드의 양을 측정하여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염색 30분 전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 투여군임. Values are means SEM (N=6).
상기 표 67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항비만 효과를 보일 수 있다.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100, 250, 500 mg/kg 투여에 의하여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졌다 (하기 표 68참조).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식품섭취량을 감소시켜 항비만효과를 보일 수 있다.
표 68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가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Gastric emptying rate (%)
대조군 - 90 ± 7.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군 100 81 ± 0.9
250 55 ± 2.1
500 43 ± 1.7
페놀 레드(phenol red) 투여 후 20분후 위장에 남아 있는 페놀 레드의 양을 측정하여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 투여군임. Values are means SEM (N=6).상기 표 68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항비만 효과를 보일 수 있다.
<5> Geum aleppicum 추출물
Geum aleppicum 추출물 100, 250, 500 mg/kg 투여에 의하여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졌다 (표 69 참조).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식품섭취량을 감소시켜 항비만효과를 보일 수 있다.
표 69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가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Gastric emptying rate (%)
대조군 - 90 ± 7.4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군 100 73 ± 4.9
250 36 ± 2.3
500 29 ± 0.8
페놀 레드(phenol red) 투여 후 20분후 위장에 남아 있는 페놀 레드의 양을 측정하여 위가 비워지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 투여군임. Values are means SEM (N=6).
상기 표 69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Geum aleppicum 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서 항비만 효과를 보일 수 있다.
4) Food intake 측정 (항비만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추출물들에 의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을 위내로 투여하고 120분 경과 후 섭취한 식이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74.2% 감소시켰다 (표 70 참조).
표 70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가 흰쥐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g)
대조군 - 1.9 ± 0.18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군 500 0.49 ± 0.01
상기 표 7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은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위내로 투여하고 120분 경과 후 섭취한 식이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72% 감소시켰다 (하기 표 71 참조).
표 71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가 흰쥐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g)
대조군 - 1.9 ± 0.18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군 500 0.54 ± 0.21
상기 표 7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을 위내로 투여하고 120분 경과 후 섭취한 식이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68% 감소시켰다 (표 72 참조).
표 72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가 흰쥐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g)
대조군 - 1.9 ± 0.18
Disporum smilacinum추출물 투여군 500 0.61 ± 0.09
상기 표 7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은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을 위내로 투여하고 120분 경과 후 섭취한 식이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67.9% 감소시켰다 (표 73 참조).
표 73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가 흰쥐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g)
대조군 - 1.9 ± 0.18
Persicaria posumbu추출물 투여군 500 0.61 ± 0.08
상기 표 7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은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5> Geum aleppicum 추출물
Geum aleppicum 추출물을 위내로 투여하고 120분 경과 후 섭취한 식이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eum aleppicum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79.5% 감소시켰다 (하기 표 74 참조).
표 74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가 흰쥐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g)
대조군 - 1.9 ± 0.18
Geum aleppicum추출물 투여군 500 0.39 ± 0.05
상기 표 7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2시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은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Geum aleppicum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5) Chloride 분비에 미치는 효과 (소화작용 촉진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위산 분비를 자극해 소화작용 촉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가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의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하여 30분 경과 후 혈액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한 결과,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는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12.8%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하기 표 75 참조). 이는 위산 분비 자극으로 인한 위산이 혈액으로 분비된 것으로 사료되어 소화작용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 75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가 흰쥐 혈청 chlorid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혈청 chloride 농도(mg/dL)
대조군 - 265 ± 19.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투여군 500 299 ± 11.7
상기 표 7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클로라이드 농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 부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작용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2>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가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의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Spergularia marina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하여 30분 경과 후 혈액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한 결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는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21%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하기 표 76 참조). 이는 위산 분비 자극으로 인한 염산이 혈액으로 분비된 것으로 사료되어 소화작용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 76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가 흰쥐 혈청 chlorid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혈청 chloride 농도(mg/dL)
대조군 - 265 ± 19.1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투여군 500 321 ± 21.4
상기 표 7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클로라이드 농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 부터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작용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가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의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하여 30분 경과 후 혈액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한 결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는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52.8%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하기 표 77 참조). 이는 위산 분비 자극으로 인한 염산이 혈액으로 분비된 것으로 사료되어 소화작용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 77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가 흰쥐 혈청 chlorid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혈청 chloride 농도(mg/dL)
대조군 - 265 ± 19.1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투여군 500 405 ± 30.7
상기 표 77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클로라이드 농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 부터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작용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가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의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Persicaria posumbu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하여 30분 경과 후 혈액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한 결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는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12.5%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하기 표 78 참조). 이는 위산 분비 자극으로 인한 염산이 혈액으로 분비된 것으로 사료되어 소화작용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 78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가 흰쥐 혈청 chlorid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혈청 chloride 농도(mg/dL)
대조군 - 265 ± 19.1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투여군 500 298 ± 10.4
상기 표 7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클로라이드 농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 부터 Persicaria posumbu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작용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5> Geum aleppicum 추출물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가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의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Geum aleppicum 추출물(500 mg/kg BW)을 경구 투여하여 30분 경과 후 혈액 중 chloride 농도를 측정한 결과,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는 혈청 중 chloride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33.6%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표 79 참조). 이는 위산 분비 자극으로 인한 염산이 혈액으로 분비된 것으로 사료되어 소화작용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 79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가 흰쥐 혈청 chlorid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경구 투여 용량(mg/kg BW) 혈청 chloride 농도(mg/dL)
대조군 - 265 ± 19.1
Geum aleppicum 추출물 투여군 500 354 ± 18.5
상기 표 79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Geum aleppicum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클로라이드 농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 부터 Geum aleppicum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작용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Claims (8)

  1.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비만, 소화 장애, 흡수 장애, 간질환, 심장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식욕 억제용; 또는 신경보호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Glucagon-like peptide-1(GLP-1), Cholecystokinin(CCK) 또는 5-hydroxytryptamine(5-HT)의 분비를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포함하고,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Spergularia marina의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소화 장애, 흡수 장애, 간질환 또는 비만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식욕 억제용; 또는 신경보호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Glucagon-like peptide-1(GLP-1), Cholecystokinin(CCK) 또는 5-hydroxytryptamine(5-HT)의 분비를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포함하고, 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은 Spergularia marina의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ucagon-like peptide-1(GLP-1) 분비 자극용; Cholecystokinin(CCK) 분비 자극용; 5-hydroxytryptamine(5-HT)의 분비 자극용; 또는 hTGR5(human TGR5(G protein-coupled bile acid receptor 131, GPR131)) 활성화용 조성물.
  8. Oldenlandia brachypoda 추출물, Spergularia marina 추출물, Disporum smilacinum 추출물, Persicaria posumbu 추출물 및 Geum aleppicum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RP(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활성화용; TRPA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member A1) 활성화용; 지 단백(G protein) 활성화용; 또는 PLCβ2(phospholipase Cβ2) 활성화용 조성물.
PCT/KR2013/010249 2012-12-26 2013-11-12 올데란디아 브라치보다, 스퍼글라리아 마리나, 디스포름 스미라치늄, 페르시카리아 포숨부, 또는 지엄 알레피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WO201410457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55,703 US10293009B2 (en) 2012-12-26 2013-11-12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 comprising Oldenlandia brachypoda, Spergularia marina, Disporum smilacinum, Persicaria posumbu, or Geum aleppic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651 2012-12-26
KR10-2012-0153653 2012-12-26
KR20120153650 2012-12-26
KR20120153654 2012-12-26
KR20120153651 2012-12-26
KR10-2012-0153654 2012-12-26
KR10-2012-0153652 2012-12-26
KR20120153652 2012-12-26
KR10-2012-0153650 2012-12-26
KR20120153653 2012-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570A1 true WO2014104570A1 (ko) 2014-07-03

Family

ID=5102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249 WO2014104570A1 (ko) 2012-12-26 2013-11-12 올데란디아 브라치보다, 스퍼글라리아 마리나, 디스포름 스미라치늄, 페르시카리아 포숨부, 또는 지엄 알레피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93009B2 (ko)
WO (1) WO201410457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804A (ja) * 2001-03-02 2002-09-11 Suntory Ltd インシュリン様作用を有するヘキサオキシジフェン酸誘導体を含んでなる組成物
US20050064049A1 (en) * 2003-07-29 2005-03-24 Kao Corporation Lipolysis stimulator
KR100718602B1 (ko) * 2005-12-29 2007-06-21 대한민국 항비만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뱀무 추출물, 이를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0811864B1 (ko) * 2005-08-30 2008-03-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제 및 약학적 조성물
WO2010010949A1 (ja) * 2008-07-24 2010-01-28 味の素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7265A (zh) * 2010-10-09 2011-01-19 任飞 蓝布正或含有蓝布正的复方制剂在制备治疗心脑血管系统疾病的药物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804A (ja) * 2001-03-02 2002-09-11 Suntory Ltd インシュリン様作用を有するヘキサオキシジフェン酸誘導体を含んでなる組成物
US20050064049A1 (en) * 2003-07-29 2005-03-24 Kao Corporation Lipolysis stimulator
KR100811864B1 (ko) * 2005-08-30 2008-03-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제 및 약학적 조성물
KR100718602B1 (ko) * 2005-12-29 2007-06-21 대한민국 항비만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뱀무 추출물, 이를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WO2010010949A1 (ja) * 2008-07-24 2010-01-28 味の素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O-JUN XU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Hedyotis diffusa", NATURAL PRODUCT SCIENCES, vol. 11, no. 1, 2005 *
H. JOUAD ET AL.: "Hypoglycaemic effect of Spergularia purpurea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OURNAL OF ETHONOPHARMACOLOGY, vol. 71, 2000, pages 169 - 177 *
HASSAN JOUAD ET AL.: "Cholesterol-lowering activity of the aqueous extract of Spergularia purpurea in normal and recent-onset diabetic rats", JOURNAL OF ETHONOPHARMACOLOGY, vol. 87, 2003, pages 43 - 4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93009B2 (en) 2019-05-21
US20150352167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508A1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7030410A1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2035115A1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4027832A1 (ko)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5160226A1 (ko) 레드클로버 및 석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여성 갱년기 개선 용도
WO2012046945A2 (ko)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및 식품 조성물
WO2015126129A2 (ko)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게놈 복제의 선택적 저해 활성을 갖는 레스베라트롤 다량체 및 이의 용도
WO2014030972A1 (ko) 항암용 조성물
WO2014007447A1 (ko) 하이드록시 챨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803A1 (ko) 세스퀴테르펜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WO2015072734A1 (ko) 사철쑥 유래 스코파론 함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04570A1 (ko) 올데란디아 브라치보다, 스퍼글라리아 마리나, 디스포름 스미라치늄, 페르시카리아 포숨부, 또는 지엄 알레피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WO2012093787A2 (ko) 플로로글루시놀, 플로로탄닌 또는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WO2009104913A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ixed herbs with lonicera japonica thunb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WO2021206455A1 (ko) 멜리사엽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한 약학적 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12081831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oranthus yadoriki sieb having monoamine oxidase-inhibiting activity
WO2015102390A1 (ko)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72566A1 (ko) 이오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제,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 조성물
WO2017192013A1 (ko) 팥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WO2018217009A1 (ko)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5199516A1 (ko) 키레놀 또는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조성물
WO2019139365A1 (ko) 신규한 페닐설포닐 옥사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8016901A1 (ko)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95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65570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695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