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8200A1 -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8200A1
WO2014088200A1 PCT/KR2013/009356 KR2013009356W WO2014088200A1 WO 2014088200 A1 WO2014088200 A1 WO 2014088200A1 KR 2013009356 W KR2013009356 W KR 2013009356W WO 2014088200 A1 WO2014088200 A1 WO 20140882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cells
bokyeong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3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동화
신희순
배민정
채옥희
강창율
최대운
정선영
최계영
노정해
도정룡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20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6812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203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7739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20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71031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EP13861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29888B1/en
Publication of WO20140882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8200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4Arisaema, e.g. Jack in the pulp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Th1-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활성, Th2-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활성,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층 통과 억제 활성, Treg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및 식품 유래 항알레르기 물질의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공하고,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안정성, 생성비용의 감소 및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한민국 지식경제부의 지원 하에서 과제번호 E0121500 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과제의 연구관리전문기관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사업명은 "한국식품연구원 주요사업" , 연구과제명은 "알레르기 대웅 기능성식품 연구개발 사업" , 주관기관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기간은 2012. 01. 01 ~ 2012. 12. 31 이다.
또한, 대한민국 지식경제부의 지원 하에서 과제번호 E0131501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과제의 연구관리전문기관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사업명은 "한국식품연구원 주요사업" , 연구과제명은 "천연물소재의 T세포제어활성을 이용한 항알레르기 식품개발연구" , 주관기관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기간은 2013. 01. 01 ~ 2013. 12. 31 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2년 12월 06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2-0141325호, 제 10-2012-0141326호 및 제 10- 2012-0141328호; 그리고 2013년 02월 이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3-0012015호, 제 10-2013-0012031호, 제 10- 2013-0012036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습관의 변화, 위생의 청결화, 공해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알레르기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전 국민의 20— 25%가 아토피피부염 (AD: atopic dermatitis), 천식, 비염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킴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는 영유아의 6-8%에서 확인되고 있고, 소아의 AD는 35%가 식품알레르기에 의한 것으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아직까지 여러 알레르기에 대하여 확실한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가 거의 없으며, 소아 아토피피부염이 증가하고 있으나 소아의 특성상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 계통의 약물은 부작용이 심하여 세계적으로 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에 대웅하는 방안으로써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면서 확실한 효능이 기대되는 소재를 천연물과 식품으로부터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성소재 및 성분의 항알레르기 작용기전도 함께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에 주류를 이루는 치료제는 알레르기 및 당뇨에 대한 것이다 (일본 닛케이산코신문). 미국에서는 5,000만 명이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다 (의약품시장, 연 52억불). 일본에서는 연간 1,560억 엔의 알레르기 관련 의약품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능성식품시장은 약 600억 엔이다ᅳ 국내의 경우 이 분야 의약품시장은 약 500억 원이다. 최근 일본 기능성식품의 특허 동향에서 "항비만" 다음으로 출원건수가 많은 분야가 "항알레르기" 이다. 향후 높은 부가가치가 기대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요망된다.
최근에 면역기능조절이나 알레르기억제 활성을 강조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인정을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많은 건수가 신청되고 있다. 또한, 근년 일본의 특허분석을 통하여 조사한 미래 기능성식품의 잠재력은 "항비만" 다음으로 "항알레르기" 활성으로 보고되었다.
알레르기는 "과민반웅" 이라는 뜻으로 그리스어인 "alios" 가 어원이며, 이는 "변형된 것" 을 뜻한다. 이처럼 알레르기란 면역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보통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가려움, 콧물, 기침 등의 이상 과민 반웅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최근 20 년 동안 이와 같은 알레르기성 질병의 발병율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2). 주된 증가요인으로는 실내생활의 증가, 신소재의 개발, 외국으로부터 이물질 유입등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급증과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상태의 불안정, 그리고 식생활의 변화 등이 있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알레르기 질병 발병율은 점차 증가하나 그 치료방법은 대부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대중적 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찾지 못하고 있다 (3).
Gell 및 Coombes(1963)는 알레르기반웅을 발현시간과 타입에 기초하여 전통적으로 4 개의 부류로 나누었다 (4). I - III 형은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성 면역 반웅 (즉시형)이고, IV 형은 세포가 직접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 반웅 (지연형)이다. 그리고 '면역반웅에 관여하는 세포와 매체의 종류에 따라 수분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또는 조기 반웅과 몇 시간 후에 나타나는 후기단계 반응으로 나위는데 제 I 형은 즉시형 과민반웅, 제 IV 형은 지연형 과민반웅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알레르기 반웅은 제 I 형으로 천식, 비염, 결막염, 식품 및 약물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대표적인 질환으로 나타나고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가 일어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웅은 2 단계로 나뉘는데 제 1 단계는 알레르겐의 체내 침입에 의하여 IgE 및 IgGl의 분비를 억제하고, IgG2a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IL-12 및 IFN-γ를 생성하는 Thl 세포반웅과 IL-4, IL-5 및 IL-13등을 생성하는 Th2 세포반웅의 균형이 Th2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Th2의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IL-4, IL-13 등이 분비되고 그 영향으로 B 세포가 생성한 IgE 특이항체들이 비만세포 (mast cell)나 호염기구 (basophil)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알레르기 발증이 준비된 단계이다. 이를 알레르겐에 감작되었다고 한다 (5-7) (그림참조: "allergic diseases" , "Thl/Th2 balance") .
알레르기 발증의 제 2 단계는 초기반응과 후기반웅으로 나뉘며, 초기반웅은 알레르겐이 체내에 재침입하여 비만세포를 자극하고 탈과립 반웅을 유발하여 이 때 방출된 히스타민, 지질대사물, 사이토카인 등에 의한 혈관확장 등이 일어나는 것이고, 후기반웅은 해당조직에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Th2 세포, 호염기구 등이 침윤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되어 아토피피부염, 비염, 천식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7). 이 같은 탈과립 분비 물질 중 히스타민은 가장 잘 알려진 인자이며, 즉각형 과민반웅과도 관련되어 알레르기 증상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8).
한편 식품알레르기는 최근 10년 동안 선진국에서는 약 3-6%의 어린이들에게서 발병되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9). 식품알레르기는 소화관을 통해 체내에 들어 온 식품에 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제 I 형 과민반웅에 해당한다. 알레르기 환자의 경우 장관을 통하여 식품알레르겐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침투하게 되며 (4, 10), 이러한 알레르겐의 장내 흡수가 식품알레르가 발증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11). 장관은 영양소의 소화흡수를 담당하는 기관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생체 조절에 관여하고 있다. 장상피 세포는 소화흡수, 장벽 (barrier), 식신호의 전달 / 변환 등의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독특한 면역시스템 (mucosal i麵 unity)이나 신경조직이 발달되어 있는 등 소화관 /장관의 역할을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이렇듯 장상피세포는 장벽으로써 밀착연접 (tight junction)에 의해 거대 분자의 투과를 제한하나 밀착연접이 손상된 경우에는 장벽의 기능 장애로 인해 투과성이 증가되어 식품알레르기뿐만 아니라 소아지방변증, 급성 췌장염과 같은 질환이 발생된다 (12-17). 즉, 밀착연접의 안정화를 통해 장관의 장벽 기능을 강화시킨다면 식품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앞선 논문들에서는 식품 및 천연물의 알레르기 억제 활성이 상당수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알레르기의 치료 및 예방에 식품과 천연물이 한방과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18, 19).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빈랑자, 지모, 호로파 등의 한약재 및 약초들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며 (20-33), 퀘르세틴 (quercetin), 다래, 마늘, 들깨 기름, 곤약, 소엽, 맥문동의 다당류성분, 영지버섯, 일본간장의 다당체 성분, 로얄 젤리, 동충하초 등에서의 Thl/Th2 면역반웅 조절에 관한 연구도 다수 보고되었다 (34-44). 이 외에 유산균, 발효된 보리, 청국장 등에서의 알레르기성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에 관한 결과도 보고되었다 (45-49).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같은 Thl 또는 Th2 면역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령피 ( ¾ / cocos Wolf) 추출물, u] ( Cynanchym at rat urn Bunge) 추출물 또는 남성 ( r/sa na amurense) 추출물이 Th-1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 Th-2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감소,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 감소,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 또는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령피 ( ¾r/ cocos Wolf) 주줄물 , 백미 ( >?3 7 atratum Bunge) 주출물 및 남성 (Ar/saaz/a amurense)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객체 (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 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같은 Thl 또는 Th2 면역 반웅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h-1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 Th-2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감소,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 감소,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 또는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복령피, 백미 또는 남성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이다. 극성 용매는 (i) 물, (ii)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을, 에탄올, 프로판을, 부탄올, 노말 -프로판올, 이소 -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을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0(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핵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핵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0-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를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을 (메탄을, 에탄을, 프로판을,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흔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핵산 또는 (j) 디에틸에테르이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에탄을, 또는 물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에탄올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 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 (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 (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올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 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복령피 에탄올 추출물의 핵산 분획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란 하기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복령피, 백미 또는 남성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복령피, 백미 또는 남성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효하다. T세포에서 Treg 세포로의 유도는 Foxp3의 발현 증가 또는 TGF-β의 생성 증가로 알 수 있으며, Treg 세포를 유도함으로써 Thl/Th2 균형을 유도하여 Thl-매개 면역 질환 및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은 Treg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3p의 발현을 1.5-5.0배, 1.5-3.0배, 2.0-3.0배 또는 2.5-3.0배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3p의 발현을 1.2-5.0배, 1.2-3.0배, 1.5-3.0배, 2.0-3.0배 또는 2.5-3.0배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남성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3p의 발현을 1,5-5.0배, 1.5-3.0배, 2.0-3.0배 또는 2.5-3.0배 증가시킨다.
상기 Fox3p의 발현 증가는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TGF-β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TGF-β의 생성을 30-90%, 50-90%, 60-90%, 60- 80%또는 65-75%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가짐으로서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효하다.
본 명세서의 용어 "Treg 세포 안정화' '는 Treg 세포의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은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Treg 세포 배양 3일 뒤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65-90%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67—85%, 67-80%, 67-77%, 70-77% 또는
72- 77%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Treg 세포 배양 3일 뒤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65-90%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67-85%, 67-80%, 67-78%, 70-78% 또는
73- 78%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남성 추출물은 Treg 세포 배양 3일 뒤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65-90%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65-85%, 65-80%, 65-75%, 67-75%, 67- 73%, 67-71% 또는 69-71%이다. 상기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은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reg 세포의 활성을 유지시켜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Treg 세포 배양 3일 뒤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3- 25% 증가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3-20%, 3-17%, 5-17%, 5-13%, 7-13%또는 9-13%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Treg 세포 배양 3일 뒤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3- 25% 증가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3-20%, 3-17%, 5-17%, 5-14%, 8-14% 또는 10-14¾)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남성 추출물은 Treg 세포 배양 3일 뒤 foxp3올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3- 20% 증가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3-17%, 3-14%, 3-11%, 3-9%, 3-7%또는 5-7%이다.
상기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 증가는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Treg 세포 유도 또는 안정화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2-30, 5-30, 7-30, 9-30, 9-20, 9-15 또는 9-12 y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2-30, 2-20, 5-20, 7-20, 또는 7-15 ug/m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Treg 세포 유도 또는 안정화에 이용되는 백미 추출물은 농도가 0.5-30, 0.8-30, 0.8-20, 0.8-15, 0.8-13 p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미 추출물은 5-30, 7-30, 7-20, 7-15 또는 9-12 yg/m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Treg 세포 유도 또는 안정화에 이용되는 남성 추출물은 농도가 3으200, 50-200, 70-200, 80-200, 90-200, 90-150 또는 90-120 y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남성 추출물은 농도가 8으 150, 80-120 또는 90-110 yg/ml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l-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l-매개 면역 질환' '은 Thl 세포의 생성 및 /또는 활성에 의해 생성되는 사이토카인 예컨대, IL-Ιβ , IL-2, IL-12, IL-17, IFN-γ 또는 TNF-ci 등이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IL-17은 Thl7 세포 (CD4+T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사이토카인으로 이의 생산에는 TNF— a , IL- 1β , IL-6, IFN-γ 등의 사이토카인이 관여되고 이들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IL-17의 생산이 유도되는바, Thl-매개 면역 질환에 IL-17도 관여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l 세포1 '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hl 세포는 IL-2 및 를 합성하지만 IL 4, IL-5, IL-10 및 IL-13는 합성하지 않는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올 나타낸다. Thl 세포는 다양한 세포내 병원균에 대한 세포 -매개 면역반웅, 기관-특이적 자가면역 질환 및 지연성 과민반웅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이고,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타입 1 당뇨병, 타입 2 당뇨병 및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타입 1 당뇨병, 타입 2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웅성 관절염 (Reactive Arthritis), 골관절염, 건선, 공피증, 공다공증, 아테름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 나병, 매독, 라임 질환 (Lyme), 보텔리아증 (Borrel iosis), 신경성-보텔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 (Sarcoidosis), 낭창, 원판성 낭창, 동창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흥반성 루프스, 천식, 황반변성, 포도막염 , 과민대장 증후군 , 크로씨병 쇼그랜 증후군 ,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킨스병, 다발경화증, 자폐스펙트럼 장애, 주의력결핍 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2-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매개 면역 질환" 은 알레르겐 -특이 Th2 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의한 IgE 및 비만세포가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 세포" 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h2 세포는 IL-4, IL-5, IL-10 및 IL-13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반웅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2ᅳ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레르기' 는 인체의 어떤 물질에 대한 과민증, 즉 외부로부터 들어온 물질에 대한 신체 면역계의 과도한 반응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웅 및 제 IV 형 지연형 과민반웅이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응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두드러기 및 아나필라시 쇼크^^^ ^;^ shock)이고, 제 IV 형 지연형 과민반웅은 접촉성 과민증,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세균 알레르기, 진균 알레르기, 바이러스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갑상선염 및 알레르기성 뇌염이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웅은 2 단계로 나뉘는데 제 1 단계는 알레르겐의 체내 침입에 의하여 IgE 및 IgGl의 분비를 억제하고, IgG2a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IL-12 및 IFN-γ를 생성하는 Thl 세포반웅과 IL-4, IL-5 및 IL-13 등을 생성하는 Th2 세포반웅의 균형이 Th2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Th2의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IL-4 및 IL-13 등이 분비되고 그 영향으로 B 세포가 생성한 IgE 특이항체들이 비만세포 (mast cell) 및 호염기구 (basophi 1 )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알레르기 발층이 준비된 단계이다. 이를 알레르겐에 감작되었다고 한다. 알레르기 발증의 제 2 단계는 초기반응과 후기반웅으로 나뛰며, 초기반웅은 알레르겐이 체내에 재침입하여 비만세포를 자극하고 탈과립 반웅을 유발하여 이 때 방출된, 히스타민, 지질대사물, 사이토카인 등에 의한 혈관확장 등이 일어나는 것이고, 후기반응은 해당 조직에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Th2 세포, 호염기구 등이 침윤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되어 아토피피부염, 비염, 천식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같은 탈과립 분비 물질 증 히스타민은 가장 잘 알려진 인자이며, 즉시형 과민반응과도 관련되어 알레르기 증상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알레르기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와 관련된 다른 피부학적 질환, 알레르기 비염 (급성 또는 만성), 고초열, 천식 및 식품 알레르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알레르기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 또는 식품 알레르기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 본 발명의 알레르기 질환은 식품 알레르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탈과립' 은 특정 세포 내 존재하는 과립제 (granules)인 분비소낭 (secretory vesicle)으로부터 항균성 세포독성 분자가 유리되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특정세포는 면역계 내의 과립구 (호증구, 호산구 및 호염기구) 및 비만세포와 자연살해 세포 및 세포독성 T 세포와 같은 특정 임파 세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5-95%, 5-80% 또는 7-8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10-90% 또는 10-80% 억제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50-95%, 50-90%, 60-90% 또는 60-8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세포 탈과립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0.005-10, 0.007-10, 0.3-10, 0.5—10, 0.8-10, 0.8-5, 0.8-3, 0.8-2, 0.8-1.5 또는 0.8-1.2 yg/ml이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세포 탈과립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0.3-5, 0.5-5, 0.5-3, 0.5-2 또는 0.5-1.5 u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3으90%, 40-90%, 40-80% 또는 40-7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50-90%, 50-80% 또는 5으70% 억제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60-90%, 60-80% 또는 60-7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세포 탈과립에 이용되는 백미 추출물은 농도가 으 005- 10, 0.007-10, 0.01-10, 0.03-10, 0.05-10, 0.08-10, 0.1-10, 0.3-10, 0.5-10, 0.8-10, 0.8-5, 0.8-3, 0.8-2, 0.8-1.5 또는 0.8-1.2 iig/ml이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세포 탈과립에 이용되는 백미 추출물은 0.005-5, 0.007-5, 0.01-5, 0.03—5, 0.05-5, 0.08—5, 0.1-5, 0.3—5, 0.5—5, 0.5-3, 0.5-2 또는 0.5-1.5 yg/ml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세포 탈과립에 이용되는 백미 추출물은 0.005-5, 0.005-3, 0.005-2, 0.007-2 또는 0.007-1.5 y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남성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을 30-90%, 40-90%, 50-90%, 50-80% 또는 60-8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세포 탈과립에 이용되는 남성 추출물은 농도가 0.005-10, 0.007-10, 0.007-5, 0.007-3, 0.007-2, 0.007-1.5 또는 0.007-1.2 yg/ml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Th2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IL-4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성을 20-70%, 30-70%, 40-70%, 40-60%, 40-55%또는 45-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IL-4, IL-5, IL-10 또는 IL-13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Th2-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성을 10-99%, 20-99%, 30-99%, 40-99%, 40-90%, 40-80%, 40-70%, 40-60% 또는 40-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성을 50-99%, 50-90%, 50-80%, 60-80% 또는 60-7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성을 50-99%, 60-99%, 70-99%, 80-99% 또는 80-9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IL-4 생성 억제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2-50, 5-50, 7-50, 7-40 또는 7-35 yg/mi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IL-4 생성 억제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2-30, 2-20, 5-20, 7-20, 7-15 또는 9-12 u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IL— 4 생성 억제에 이융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9-50, 15-50, 20-50, 20-40, 25-40, 25-35 또는 28-32 ug/ml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IL-4 생성 억제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5-50, 10-50, 10-40, 20-40, 20- 35, 20-30 또는 23-27 mg/kg (체중)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5 생성을 20-90%, 30-90%, 30-80%, 30-70%, 30-60%, 30-50% 또는 40-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론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10 생성을 20-99%, 30-99%, 30-99%, 40-99%, 40-90%, 40-80%, 40-70%, 40-60% 또는 5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10 생성을 50-99%, 60-99%, 70-99%, 80-99% 또는 90-99%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13 생성을 5-50 ), 5-40%, 5-30%, 10-30%, 10-25% 또는 15-2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IL-17 및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Thl-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17 생성을 20-90%, 30-90%, 30-80%, 40-80%, 40-70%, 40-60% 또는 45-5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FN-Y 생성을 20-99%, 30-99%, 40-99%, 50-99%, 60-99%, 70-99%, 80-99% 또는 90- 99%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IL-17 생성 억제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2-30, 2-20, 5-20, 그 20, 7-15 또는 9-12 yg/m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혈청 내 IgE, IgG2a 및 IgGl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체의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 내 IgE 생성을 10-70%, 10-60%, 20-60%, 20-50%, 30-50%, 30-45%, 35-45% 또는 35-4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 내 IgG2a 생성을 10-70%ᅳ 10-60%, 20-60%, 20-50%, 30-50%, 30-45%, 35-45% 또는 35-4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 내 IgG2a 생성을 10-80%, 20-80%, 30—80% 30-70%, 40-70%, 40-60%또는 45-5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IgE, IgG2a, IgGl,
IL-5, IL-10, IL-13, INF-γ 또는 TGF-β 생성 억제에 이용되는 복령피 추출물은 농도가 5-50, 10-50, 10-40, 20-40, 20-35, 20-30 또는 23-27 mg/kg (체중)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상피세포 통과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상피세포층은 장상피세포층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30-80%, 40-80%, 40-70%, 50-70% 또는 5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남성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5-30, 10-30%, 10-20% 또는 15-2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hl- 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 은 상술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를, 만니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슴,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슴, 미세결정성 샐롤로스, 풀리비닐피를리돈, 셀를로스, 물, 시럽, 메틸 셀롤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돌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ᅳ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경구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웅 감응성과 같은 요인돌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mg/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갑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몌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 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 단백질, 탄수화물 ,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를, 소르비를, 에리트리를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층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포함하^ ¾1-매개 면역 질환또는 2- 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또는치료용조성물은기능성 식품조성물로제조될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첨가되는성분을포함하며, 예를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희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 (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을리고당;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텍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등) ; 및당알코을 (예컨대, 자일리를, 소르비를, 에리쓰리를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예컨대, 타 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 (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수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 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 성분으로서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음,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를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을,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 벤질 알코을,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를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을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회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틀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를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을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을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을,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를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 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그대로 또는 사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이다. 그 형상에는 분체, 과립, 펠릿 또는 현탁액 둥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육상 또는 수상 동물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흔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에는 분말사료, 고형사료ᅳ 모이스트 펠릿사료, 드라이 펠릿사료, EP(Ext 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복령피, 백미 또는 남성을 소재로 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Thl-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활성, Th2-관련 사이토카인 억제 활성 ,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층 통과 억제 활성, Treg 세포로의 분화 유도활성 또는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갖는다.
(d) 본 발명은 천연물 및 식품 유래 항알레르기 물질의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공한다.
(e) 본 발명은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안정성, 생성비용의 감소 및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la는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조사한 실험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lb는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에 대한 백미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주고, 도 lc는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에 대한 남성 추출물의 TEER Transepitherial Electrical Resistance, Ω Xcin2) 수치 및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에 대한 남성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2a는 마우스 비장세포의 Th-2 관련 사이토카인 (IL-4 및 IL-10 생성)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2b는 마우스 비장세포꾀 Th-2 관련 사이토카인 (IFN-Y 및 IL-17)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2c는 마우스 비장세포의 IL-4 생성에 대한 백미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3a 내지 3c는 각각 마우스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4a 및 4b는 마우스 비장 및 림프절 세포에서 Treg 세포로의 분화 유도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의 영향으로 Fox3p 발현 및 TGF-β 생성 증가 활성을 보여주고, 도 4c는 복령피 추출물의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에 대한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Treg 세포를 초고속 유세포 분리기로 분석한 안정화 활성 결과 및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마우스 비장 및 림프절 세포에서 Treg세포로의 분화 유도에 대한 백미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주고, 도 5b는 백미 추출물의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에 대한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로세 Treg 세포를 초고속 유세포 분리기로 분석한 안정화 활성 결과 및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마우스 비장 및 림프절 세포에서 Treg 세포로의 분화 유도에 대한 남성 추출물의 영향을 보여주고, 도 6b는 남성 추출물의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에 대한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 Treg 세포를 초고속 유세포 분리기로 분석한 안정화 활성 결과 및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2/ 에서의 복령피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낸다. 도 7a는 복령피 추출물의 혈청 내 IgE, IgG2a 및 IgGl 생성 억제 활성 , 도 7b는 복령피 추출물의 Thl-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활성, 도 7c는 Th2-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활성 및 도 7d는 Treg 세포 분화 유도 활성을 보여준다.
도 8은 식품 알레르기 모델 제작을 위한 스케즐을 나타낸다.
도 9는 복령피 추출물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영향을 아나필락시스, 설사 반웅 및 직장온도 변화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ίθ은 복령피 추출물의 식품 알레르기 모델의 비장에서의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대한 영향을 보여준다. 도 10a는 복령피 추출물이 Th2-관련 사이토카인인 IL-4, IL-5, IL-10 및 IL-13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고, 도 10b는 foxp3의 발현유도와 관련된 인 비보 Treg 사이토카인인 TGF-β 생성 증가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도 lla는 복령피 95%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핵-산 분획 (Hexane Fr.), 클로로포름 분획 (Chloroform Fr.),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Ethyl acetate Fr.), 부탄을 분획 (Butanol Fr.) 및 물 분획 (Water Fr.)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lib는 복령피 추출물의 상기 5개의 분획 중 헥산 분획이 foxp3유도 활성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띠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시료의 확보 및 용매추출물의 준비
^^mPoria cocos Wolf), ϋ] ( Cynanchym at rat am Bunge) ¾ 남^ risae/na amurense)^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는 95% 에탄올 또는 물로 추출하였다.
각 시료의 에탄올 추출은 시료 분말 200 g을 95% 에탄올 1.8 L에 넣고 3시간 환류 추출로 1차 추출을 하여 추출물을 감압여과하고, 여과 후 남은 시료를 95% 에탄올 2 L에 넣고 3시간 동안 2차 추출 하여 시료의 95%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시료 의 95% 에탄을 추출온도는 84-86°C 이다. 추출 및 여과한 '1차 및 2차 추출물을 합하여 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ᅳ 실시예 2: Caco-2 단세포층을 이용한 OVA통과억제 활성시험
Caco-2세포배양 및 OVA통과억제 실험
ATCC 유래의 Caco-2세포주 (HTB-37)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CFetal Bovine Serum) , 1% 100 U/ml 페니실린,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 및 0.1 ιτιΜ 비필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37°C, 5% C02 조건하에서 계대배양 하였다. Caco-2 단세포층을 이용한 식품 알레르겐 통과시험을 하기 위하여 상기 배양배지를 사용하여 Caco-2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 트랜스웰 (transwell)의 상층부 (apical side)인 트랜스멤브레인 (transmembrane) 위에 2X105 세포 /ml의 밀도로 0.5 ml 분주하였다. 웰의 하층부 (basolateral side)에는 배양배지 1.5 ml을 첨가하고 37°C, 5% C02 항온반웅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교환은 매 2-3일에 한 번씩 실시하였다. 분주 후 약 2-3주가 지나 단세포층을 형성한 Caco-2 세포의 하층부와 상층부간의 전기저항치 (TEER, transepitherial electrical resistance, ΩΧαιι2)를 MiUipore사의 Mi 11 iceU-ERS(Electrical Resistance System)로 측정하여 수치가 300 Ω Xcuf 초과인 경우 실험에 사용하였다. Caco-2 단세포층은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로 3회 세척 한 후 백미 추출물 (최종농도: 400 ug/ml) 또는 남성 추출물 (최종농도: 400 ug/ml)을 담즙산염 (bile salts, 최종농도: 100-150 pg/ml)와 함께 상층부에 첨가한 후 37°C, 5% C02 항온반웅기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0VA(0valbumin, 최종농도: 400 yg/ml)를 상층부에 첨가 한 후 37°C, 5% C02 항온반웅기에서 3시간 동안 반웅시킨 다음 다시 한 번 더 TEER 수치를 측정하였다. 남성 추출물 및 OVA 처리 후 TEER을 측정한 결과, OVA만을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TEER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 추출물 처리 시 Caco-2 단세포층의 TEER 값을 높임으로써 남성 추출물이 장상피세포의 알레르겐의 투과성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lc).
여기에서 하층부의 액을 회수하여 통과된 OVA의 농도를 sEL ISA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즉정하였다. 하층부 내의 통과된 OVA량은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Flux = C ng/ H hr/ S cm2
여기에서 C는 ELISA에 의하여 구한 OVA의 통과량이고, H는 Caco_2 단세포층 상층부에 0VA 첨가 후 반웅시간 (3h)을 나타내며, S는 트랜스웰 플레이트의 상층부 표면적 (1.12 cm2)을 나타낸다.
0VA의 통과량을 조사한 결과, 0VA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미 추출물도 처리한 실험군에서 0VA 통과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 백미 추출물은 4으60%, 남성 추출물은 10-20%의 0VA 통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lb 및 lc).
EL ISA에 의한 OVA 분석
코팅 완충액 ((트리스 하이드톡시메틸)아미노메테인 0.05 M, pH 9.0)에 2 yg/ml의 농도로 희석한 항 -래빗 -0VA 항체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100 μΐ씩 분주하여 4°C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세척 완층액버페 Tween 20을 포함하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BST, 0.138 M NaCl , 0.0027 M KCl 및 0.05% Tween 20을 포함하는 0.01 M 인산염 완층액)로 3회 세척하였다. HBSS에 일정한 배수로 회석한 표준 0VA와 회수액을 각 웰 당 100 μΐ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웅시켰다. 다시 세척 완층액로 앞에서와 같이 세척한 다음 항 -OVA 항체가 결합된 바이오틴 (biotin)을 PBST로 일정농도 회석하고 웰 당 100 μΐ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웅시켰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아비딘 (avidin)-HRP를 PBST로 일정농도 회석하여 웰 당 100 μΐ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웅시켰다. 이후, 세척 완충액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기질용액으로써 페닐 프로피온산 (phenyl propionic acid)/인산염 버퍼 (36 mM, pH 7.0)에 H202 0.002%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고 반웅정지액으로 1 M NaOH- 글라이신 (glycine)Cl M 글라이신 /1 M NaOH)을 각 웰 당 100 μΐ씩 사용하고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로 320/405 nm(Ex./Em.파장)에서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추출물에 의한 Thl/Th2사이토카인 균형조절 활성시험 (e vivo) OVA로 면역한 마우스 비장세포 배양
5주령된 암컷 BALB/c 마우스에 1주 간격으로 2차례 알레르겐 (allergen)을 복강면역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알레르겐은 0VAC20 와 알럼 (alum, 2 mg)의 흔합액을 30분 동안 흔합한 다음 한 마리당 100 μΐ씩 복강 주사하였다 (η=5). 면역 1주 후 마우스를 경추탈골 시키고 무균상태에서 비장을 적출하여 1 ml의 기본배지 (2-머갑토에탄올 및 항생제를 첨가한 RPMI1640, Wei Gene, 대구, 대한민국)를 첨가한 작은 페트리 접시에 옮겨 아이스박스 상에 보관하였다. 페트리 접시에 담긴 비장은 메쉬를 이용하여 단세포화 시킨 뒤.5 ml의 기본배지로 2회 세척하고 15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1 ml의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층액 (SIGMA R7757, 미국)을 첨가하여 손으로 잘 흔들어 현탁하고 3분 동안 아이스 위에서 반응시킨 뒤 10 ml의 기본배지 첨가 후 현탁한 뒤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2회 실시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항원 (0VA, 100 yg/ml)을 처리하고 각각의 농도로 준비된 추출물을 첨가하였으며, 비장세포의 농도는 5X106 세포 /웰로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37°C, C02 항온반웅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비장세포 배양 상층액의 사이토카인 분석
항원 (0VA, 100 ug/ml) 및 각각의 농도로 추출물이 처리된 비장세포 배양 상충액을 72시간 후 회수하여 사이토카인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하여 BD OptEIATl MOUSE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키트에 명시된 실험방법에 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96웰플레이트에 포획 항체를 4°C에서 하룻밤정치하였다. 코팅된 96웰플레이트를세척 완층액 (PBST)으로세척한후분석용회석제 (10% FBS가첨가된 PBS)를 200 μΐ씩 각 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 (blocking)하였다. 다음으로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100 μΐ씩 각 웰에 분주하여 상은에서 2시간 반웅시킨 다음, 검출 항체와스트렙타비딘 (streptoavidin)-HRP를 100 μΐ씩 분주한 후상온에서 1시간동안반웅시켰다. 반응시간후 100 의 기질용액 (0.01% 1MB가 첨가된 인산염-구연산염 완층액, ρΗ 5.0, 0.001% Η2 )으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발색시킨 다음, 2 M ¾S04를 50 μΐ씩 각 웰에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중지시켰다. 발색 정도는 450 ηπι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ttffiRMOmax, Molecular Devices, 미국)로흡광도를측정하였다.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 또는 백미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10 Ug/ml 복령피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IL-4의 생성은 65.1%, 30 pg/ml 복령피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86.5% 감소되었고 IL-10의 생성은 95% 감소되었으며 (도 2a), IFN— γ의 생성은 95.8% 및 IL-17의 생성은 50.5¾> 감소되었다 (도 2b). 또한, 10 ug/ml 백미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IL-4 생성이 47.2% 감소되었다 (도 2c).
이러한 복령피 추출물 및 백미 추출물 각각의 IL-4 및 /또는 IL-10 생성 감소 효과는 복령피 추출물 또는 백미 추출물이 Th2 면역반웅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복령피 추출물의 IL-17 및 /또는 IFN-Y 생성 감소 효과는 복령피 추출물이 Thl 면역반응, Thl7 면역반응 또는 Thl/Thl7 면역반웅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 실시예 4: 탈과립 억제활성 시험
복강 비만세포의 수확
마우스를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머리의 뒤통수를 강타하여 치사시킨 후 약 10 mi의 배지 (pH 7.4)을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입하고 90초 동안 복벽을 가볍게 맛사지하였다. 복벽 중앙선을 절개하고 복강 세척액을 스포이드로 채취하여 100Xg에서 10분 동안 원심 시킨 후 상층액을 버리고, 동일 배지로 비만세포 (mast cells) 수가 1X106 세포 /ml 되도록 복강 부유액을 만들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비만세포의 형태변화 관찰
재부유시킨 비만세포 부유액 200 μΐ에 살린 (saline) 25 μΐ,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 (상기 세 추출물에 대하여 1 yg/ml, 0.1 ug/ml 또는 0.01 ug/ml 각각) 25 μΐ를 각각 넣어 37°C 배양기에서 10분 동안 반웅시켰다. 반응 후 컴파운드 48/80(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미국) 용액 25 μΐ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반웅시켰다.
광학현미경 상으로 비만세포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반웅이 끝난 비만세포 부유액 200 μΐ를 도립현미경 재물대 위에 놓여진 슬라이드글라스 (slide glass, 22x60 mm) 위에 떨어뜨려 비만세포들이 침전될 수 있도록 실온에서 10분 동안 정치시켰다. 400배의 배율 하에서 헤마사이토메타 (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비만세포를 도립현미경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비만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뚜렷하고, 세포질 내에는 많은 과립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비만세포의 직경은 대략 10-20 정도로 복강 부유액의 다른 세포들 (림프구 또는 호중성백혈구)에 비해 2배 이상 컸다. 비만세포의 형태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뚜렷하고, 세포질 내에 광굴절율이 높은 과립들로 충만된 상태를 정상형 비만세포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세포윤곽이 불분명하고 세포질 내 과립들이 세포표면으로 돌출 되거나 세포주위에 흩어져 있는 경우를 탈과립형으로 구분하였다. 탈과립율은 다음 공식에 의하여 산출되었다:
' 비만세포 탈과립율(%)= (탈과립된 비만세포 수 /비만세포 총수) X 100
컴파운드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율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컴파운드 48/80을 단독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추출물 처리 후 컴파운드 48/80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복령피 추출물 1 pg/ml을 처리한 경우 65-85%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고 (도 3a), 백미 추출물 0.01-1.00 yg/ml을 처리한 경우 40-80¾)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도 3b), 남성 추출물 0.01-1.00 yg/ml을 처리한 경우 50-70%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c). 실시예 5: Treg세포로의 분화 유도활성 실험 동물
6-8 주령의 자성 balb/c 마우스를 찰스 리버 래보레이토리 (Charles River Laboratories)로부터 구매하였다. 마우스는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약학대학의 동물실험시설에서 사육되었다. 모든 실험은 서을대학교 동물실험위원회의 규정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의 제조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및 남성 추출물은 각각 25-100 rag/ml의 농도로 DMS0(Di methyl Sulfoxide)에 용해된 상태로 한국식품연구원으로부터 받았다. 실험에 적합한 농도를 만들기 위해서 위 농도의 추출물을 세포 배양 배지인 완전 배지 (Gibco RPMI에 FBS 10%,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1%, 피루브산 나트륨 1%' 비필수 아미노산 1%ᅳ HEPES 2.5%, β-머갑토에탄올 0.1%를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회석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완전 배지에 용매인 DMS0만을 추출물과 같은 용량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세포 제조
마우스를 C02로 안락사 시킨 뒤 비장과 림프절을 분리하여 70 μηι 스트레이너 (strainer)를 통과시켜 단세포 현탁물을 수득하였다. 비감작 (naive) CD4 T 세포를 수득하기 위해서 CD25-PE 항체 (eBioscience)로 염색한 뒤 항 -PE, 항 -CD8ci , 항 -B220 및 항 -CDllb 비드 (Miltenyl Biotec)를 붙이고 MACS(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로 디플리션 (depletion)하여 CD4 T 세포를 인리치 (enrich)해 주었다. 그 후 CD62L-바이오틴 항체 (eBioscience) 및 항-바이오틴 비드 (Miltenyl Biotec)를 붙이고 MACS 선별하여 비감작 CD4 T 세포를 수득하였다. 항원제시세포는 비장과 림프절에서 얻은 단세포 현탁물을 RBC 용해 한 뒤 CD3-바이오틴 항체 (eBioscience) 및 항-바이오틴 비드 (Miltenyl Biotec)를 붙여 MACS 디플리션한 것을 사용하였다. 인 비트로 세포 배양
모든 세포 배양은 완전 배지에서 행하였다. 비감작 T 세포는 항체자극 조건의 경우, 96웰 평저 플레이트에 2 ug/ml 항 -CD3을 밤새 코팅하고 비감작 CD4 T 세포 5X104 세포 /웰과 함께 1 pg/ml 항 -CD28을 용해한 상태로 첨가하였다. 항원제시세포 자극 조건의 경우, 96웰 U- 보텀 (boUom) 풀레이트에 항 -CD3 항체를 용해한 상태로 첨가하였고 항원제시세포를 6X104세포 /웰로 비감작 CD4 T 세포 3X104세포 /웰과 함께 배양하였다. 두 조건 모두에서 재조합 마우스 IL-2를 10 ng/ml의 농도로 첨가하였고, 원하는 농도로 희석한 추출물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37 , 5% C02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한 뒤 세포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세포 내 Foxp3 염색 및 유동세포 분석
배양한 세포를 걷어 PBSNC0.14M NaCl, 0.003M C1 , 0.01M Na2HP04,
0.002M KHP04 , 0.002M NaN3)에 1% FBS를 첨가한 완층액을 이용해 CD4- PE/Cy7(Biolegend)으로 15분 동안 표면 염색을 하였다. 그 후 eBioscience의 Foxp3 염색 세트를 이용하여 지시된 방법대로 세포 내 Foxp3를 염색하였다. FACS 분석은 BD FACS Calibur와 Cell Questpro를 이용하였다.
세포 내 Foxp3 발현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10 ug/ml 복령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p3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10 ng/ml 백미 추출물 처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p3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남성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Foxp3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을 의미한다 (도 4a, 5a 및 6a). 사이토카인 분석
실시예 3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비장세포 배양 상층액의 사이토카인을 분석하여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복령피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 ug/ml 복령피 추출물올 첨가한 경우 Treg 사이토카인인 TGF- 의 생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70.3% 증가되었다 (도 4b 하단). 이러한 복령피 추출물의 TGF- 생성 증가 효과는 복령피 추출물이 Treg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을 확인해준다. 통계적 분석
실험 결과의 유의성 평가는 스튜던트 -테스트 (students' t test) 이용하였다. 실시예 6: Treg세포 안정화 활성
Treg세포에서 foxp3의 발현에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foxp3는 유전자의 프로모터 자체로는 발현 능력이 약하다는 특징을 가지며 다른 foxp3 조절 요소가 크로마틴 상에서 영향을 미쳐 그 발현에 관여한다. 예를 들어 f oxp3-CNSl (Forkhead box P3-Conserved Noncoding Sequencel)에는 NFAT(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와 TGF- β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에 의해 활성화된 Smad-3에 대한 결합 부위가 존재하여 말초 (periphery)에서 미성숙 (naive) CD4 T 세포가 Treg 세포로 유도 되는 것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렇게 발현된 foxp3은 영구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DNA 메틸레이션 (methylation)의 변화 등 여러 원인에 의해 그 발현이 소실되기도 한다.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인 비트로 에서 Treg 세포에 조작을 하여 TNFCTumor Necrosis Factor)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0X40(CD134)을 교차 -결합 해주면 foxp3의 발현과 Treg 세포의 면역 억제 능력이 소실된다. 따라서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이 있는지를 foxp3의 발현 유지 여부로 확인하였다.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foxp3의 발현을 유지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foxp3-GFP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이 마우스는 핵 내에서 foxp3과 함께 GFP(Green Fluorescence Protein) 형광을 발현하기 때문에 세포를 투과 가능하게 만들어야 하는 핵 내 염색 과정 없이 Treg 세포로의 유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험에 사용한 마우스는 C57BL/6 계통이므로 Balb/c 마우스를 통해 확인한 foxp3 유도 효과를 C57BL/6 마우스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Foxp3-GFP 마우스에 존재하는 흉선에서 생성된 자연 (natural) Treg 세포는 그 자체로 형광을 발현하기 때문에 FACS를 통해 분리할 수 있었고 100%에 가까운 순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Treg 세포를 배양하면 3일 뒤 foxp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63.43% 정도로 감소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trl: 대조군).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oxp3의 발현이 여러 요소에 의해 조절되는 현상이며 배양 과정에서 그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Treg 세포로의 유도에 유효한 10 ug/ml 복령피 추출물, 10
Ug/ml 백미 추출물 또는 100 ug/iiil 남성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foxp3 발현 비율이 높게 유지되었다. 즉, Treg 세포의 비율은 복령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74.91%, 백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75.78%, 남성 추출물올 처리한 경우 69.98%로 대조군보다 높게 유지되어,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이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이 있음을 알수 았었다 (도 4b, 5b 및 6b). 실시예 7: 복령피 추출물의 인 비보 항알레르기 활성실험
5주령 BALB/c mouse 암컷을 구입하여 일주일간의 적응 기간을 거친 후 OVA 20 pg, 알럼 2 mg을 2차례 복강 주사하여 면역을 실시하였다. 마리당 25 mg/kg의 복령피 95%에탄을추출물을 10일 동안 매일 경구투여를 하였고 마지막 경구투여 후 채혈과 비장, 장관막 림프절 분리를 실행하였다. 혈액은 혈청을 분리하여 IgE, IgG2a, IgGl분석에 활용하였고 비장과 장관막 림프절은 단세포화하여 OVA를 100 yg/ml을 처리 72시간 배양하여 상등액을 취해 사이토카인을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은 BD ^03^6 사의^31八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Th2-관련 사이토카인으로 IL-5, IL-10 및 IL-13과 Thl- 관련 사이토카인으로 INF-Y , Treg 사이토카인으로 TGF-β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령피 95%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투여 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IgE, IgG2a 및 IgGl는 각각 약 37.9%, 약 38.4%, 약 49.7% 감소하였고 (도 7a), Th2- 관련사이토카인인 IL-5, IL-10및 IL-13생성은각각 약 43.1%, 약 56.8%및 약 17.3% 감소되었고 (도 7b), Thl-관련 사이토카인인 INF-γ은 약 38.8% 감소되었으며 (도 7c), Treg사이토카인인 TGF-β는 약 37%증가하였다 (도 7d). 따라서 복령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인 ^^에서 혈청 IgE, IgG2a 및 IgGl이 감소하고, Th2-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감소하며, Thl-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감소하고, Treg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는바 복령피 추출물이 항알레르기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8: 식품 알레르기 모델에서의 복령피 추출물 활성실험 식품 알레르기모델제작
5 주령의 BALB/C 암컷을 구입하여 일주일간의 적웅 기간을 거친 후 OVA 20 \ig, 알럼 2 mg을 복강 투여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2주 후 복령피 추출물을 25 mg/kg (체중)으로 매일 경구투여를 실시하고, 3일 간격으로 OVA 50 mg을 함께 경구투여 하여 식품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으로는 덱사메타손 (Dexamethason)(2.5 mg/kg (체중))을 복령피 투여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구체적인 스케쥴은 도 8에 나타냈다. 설사, 아나필락시스 반웅 및 직장온도 변화를 측정
4, 5, 6차의 복령피 및 0VA 경구투여 시 식품알레르기 유발 지표로서 설사, 아나필락시스 반웅 및 직장온도 변화를 15분 간격으로 60분 동안 관찰하여 발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복령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설사 및 아나필락시스 반웅이 감소하고, 직장온도의 변화가 감소함을 보였다 (도 9). 따라서 복령피 추출물 투여 시 식품 알레르기 유발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화된 비장상층액의사이토카인 분석
식품 알레르기 모델의 비장을 단세포화 하여 0VA 100 ug/ml을 처리하고 72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사이토카인을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하여 BD OptEIATM MOUSE EL I SA( Enzyme- 1 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키트에 명시된 실험방법에 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복령피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Th2—관련 사이토카인인 IL- 4, IL-5, IL-10 및 IL-13 생성은 각각 약 47.3%, 약 34.5%, 약 36.7¾, 약 37.7% 감소되었고 (도 10a 및 10b), Treg 사이토카인인 foxp3의 발현유도 관련 인 비보 사이토카인 TGF-β는 약 51.6% 증가하였다 (도 10c).
이러한 식품 알레르기 모델에 복령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Th2-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 및 foxp3의 발현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증가 효과는 복령피 추출물이 식품 알레르기 모델에서도 Th2 면역반응을 감소시키고,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9: 복령피 추출물의 활성 분획 발굴
용매분획의 분리
복령피 95% 에탄올 추출불의 용매분획은 상기 농축하여 동결건조 한 복령피의 95¾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여 저극성 용매인 헥산 (hexane)으로 먼저 추출하여 여과한 시료를 다시 클로로포름 (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부탄을 (butanol )을 이용하여 각각 순차적으로 3-4회씩 분획하여 5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5개의 분획을 핵산 분획 (Hexane Fr.), 클로로포름 분획 (Chloroform Fr.),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Ethyl acetate Fr.), 부탄을 분획 (Butanol Fr.) 및 물 분획 (Water Fr.)으로 이하 명명하였다 (도 11a). 복령피 추출물의 활성 분획
상기 분리된 5개의 분획물의 foxp3유도 활성능을 측정하였다. 활성능 측정 방법은 상술한 foxp3유도 활성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상기 5개의 분획 중, 헥산분획에서 foxp3유도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lib 및 11c).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올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일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Lee BW, Shek Lynette PC, Soh SE. Food Al lergyᅳ Lessons From Asia. ΨΑ0 Journal 129-133(2008)
2. Holgate ST. The epidemic of al lergy and asthma. Nature 402 :B2-4( 1999)
3. Inagaki N, Nagai H. Drugs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Jap J Pharmacol 86:275-280(2001) 4. Gel 1 PGH, Coombs RRA, eds. Clinical Aspects of Immunology. 1st ed. Oxford, England: Blackwel 1 (1963)
5. Lee HK, Song WJ, Ha TU. A single or combined effects of IL-4 and other various cytokines on IgE product ion of human tonsillar mononuclear cells. Kor J Immunol 17:193-201(1995)
6. Okunuki H, Teshima R, Sakushima J, Akiyama H, Goda Y, Toyoda M, Sawada JI . Induct ion of active systemic anaphylaxis by oral sensitization with ovalbumin in mast-cel l~def icient mice. Immunol Lett 74:233-237(2000)
7. Broide DH.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of allergic disease. / Allergy Clin Immunol 108:S65-S71(2001)
8. Miescher SM, Vogel M. Molecular aspects of allergy. Molec Aspects Medicine 23:413-462(2002)
9. Sanders DS. Mucosal integrity and barrier function in the pathogenesis of early lesions in Crohn' s disease.
J. Clin . Pathol .58: 568572 ( 2005 )
10. Tesaki S, Watanabe J, Tanabe S, Sonoyama . An Active Compound against Allergen Absorpt ion in Hypoal ler genie Wheat Flour Produced by Enzymatic Modification. Biosci . Biotechnol . Biochem. 66:1930-1935(2002)
11. Isobe N, Suzuki M, Oda M, Tanabe S. Enzymeᅳ Modi f ied Cheese Exerts Inhibitory Effects on Allergen Permeation in Rats Suffering from Indomethacin一 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Biosci . Biotechnol . Biochem. 72:1740-1745(2007)
12. Untersmayr E, Jensen-Jarol im E. The effect of gastric digestion on food allergy. Curr. Op in. Allergy Clin. Immunol .&'-2\A- 219(2006)
13. Ventura MT, Pol imeno L, Amoruso AC . Intestinal permeability in patients with adverse react ions to food. Dig. Liver D/s.38-732- 6(2006)
14. F. Javier Moreno, Luis A. Rubio, AgustOlano, Alfonso Clemente. ' Uptake of 2S Albumin Allergens, Ber e 1 and Ses i 1, across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aco-2 Cell Monolayers. J . Agric. Food Chem. 54:8631-8639 (2006)
15. Li 1 i Gu, Ning Li, Qiurong Li. The effect of berber ine in vitro on tight junctions in human Caco-2 intestinal epithelial eel Is.
Fitoterapia : 241-248(2009)
16. Araki Y, Katoh Y, Ogawa A. Bile acid modul tes transepithel ial permeability via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Caco-2 eel 1 1 ine.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39:769-780(2005)
17. DeMeo MT, Mutlu EA, Keshavarzian A. Intestinal permea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J. Clin. Gastroenterol . 34:385-396(2002)
18. Lee JH, Chang SH, Park YS, Kim YM, Choi WS. In— vitro and in- vivo ant i~al lergic act ion of Arecae semen . /. Pharm. Pharmacol .56: 927- 933(2004)
19. Lee JH, Seo JY, Park TK, Lee HY, Han JW, Kim YM, Choi WS. Inhibitory activity of Chrysan them is ib ir ic iherba extracto RBL-2H3 mast eel Is and compound 48/80- i nducedanaphy laxis.J. Ethnopharmacol .95: 425-430 ( 2004 )
20. Park HR, Jo S , Jung U, Yee ST. Restoration of the immune functions in aged mice by supplement at ion with a new herbal composition, HemoHIM. Phytother Res 22:36—42(2008)
21. Sa EH, Jin UH, Kim DS, Kang BS . Herbal medicine Gamgungtang down-regulates autoimmunity through induct ion of TH2 cytokine production by lymphocytes in experimental thyroiditis model . J. Ethnopharmacol .109: 472-9 ( 2007 )
22. Seo N, Ito T, Wang N, Yao X, Tokura Y. Anti-allergic Psidium gua j ava extracts exert an antitumor effect by inhibition of T regulatory eel Is and resultant augment at ion of Thl eel Is. AnticancerRes .25: 3763-3770 ( 2005 )
23. Mot oo Y, Mouri H, Ohtsubo K, Yamaguchi Y, Watanabe H, Sawabu \\,oso asoesasuso.elvi E avlda Ί Iz Ίld H Mri MRnl n. Hihil A 32
p orinf
pPpg t§u Cee U e Led .Eb aeadcL Basedomnt Ara MJQ9het?vimln A^1n E A
^ypT¾ S uu0Έ.ost wse Atinf¾st2.11Lrinl ifln iln 3A i1) il
()uao bea?ίmohrmacl8900 acdactri τΛ Imn P 1911201i.:- ,
p^y: oa:owtoSCsfactcood ¾otnlunreul IThiim l2sntred fs1 imr iirri fn:.
gyI.,02 sso GS.wro3tres Cosstrtaill Ant il Iri of^.r MLvln u H 230l.>
().L.5300lphanBlll 1174122 Br 2:1
yy^ wTO, pos ωslcsK stss batrei millt.ostwdnei mnl Tli lin Ehrl2> 0 2
1
Figure imgf000037_0001
,g,,,,,seabe Taeda Taou S Y Tk. Na T Aa Y Emri M NrY5iri 2
( )o .a. Bui .8005l Phrm /89833 Bi 222 :- )odrec¾. (dstsc oabu0ues! ^hlr ml miaae invlinVA in blnml
gyT C)//¾£wt:oec o oreusa OmILThThuoodull efftsflhi fnS INF:l2nm: Ii—I ,
jTO,TO\,o S.aaaoto Ks. Swaa TO Okm Tilt FnP Ίnk F4 2-.-- ) (s toeeo .5d!. Garntl03000olr 11414172 wr :1
pdw.e coore tlcat:ts C wadodnllri csirei rnmizhn hi in:- jjdawduce wsisdTOᄋ rt wrec)t^sbvinrrnebac Niitomliw firin i. Hrl Iriinn inr N、l agent for the treatment of asthma. Expert Op/n. Ther. Targets. 13:513ᅳ 522(2009) 、
33. Hacini-Rachinel F, Gheit H, Le Luduec JB, Di f F, Nancey S, Kaiserl ian D. Oral probiotic control skin inflammation by acting on both effector and regulatory T cells. PLoS. One. 4:e4903(2009)
34. Park HJ, Lee CM, Jung ID. Quercetin regulates Thl/Th2 balance in a murine model of asthma. Int. Immunopharmacol . 9:261ᅳ 7(2009)
35. Kim D, Kim SH, Park EJ. Anti-allergic effects of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prepared from Act inidia arguta, in a murine oval bum in- induced asthma model . CI in .Exp. A I lergy.39: 280-9 ( 2009 )
36. Zare A, Farzaneh P, Pourpak Z. Purified aged garlic extract modulates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BALB/c mice. Iran J. Allergy Asthma Immunol. 7: 133-141 (2008)
37. Zamani A, Vahidinia A, Ghannad MS. The effect of garlic consumpt ion on Thl/Th2 cytokines in phytohemagglut inin (PHA) activated rat spleen lymphocytes. Pytother .Res.2?>: 579-81(2009)
38. Chang HH, Chen CS, Lin JY. Dietary per i 1 la oil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 ion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oval bum in-challenged mice. L ipids .43: 499-506 ( 2008 )
39. Onishi N, Kawamoto S, Ueda K. Dietary pulverized kon j ac glucomannan prevents the deve 1 opment of allergic rhinitis-like symptoms and IgE response in mice. Biosci .Biotechnol . Biochem.71: 2551- 2556(2007)
40. Wang Y, Yan T, Shen J, Guo H. Preventive effect of
Ophiopogon japonicus polysaccharides on an autoallergic mouse model for Sjogren's syndrome by regulating the Thl/Th2 cytokine imbalance. J. Ethnopharmacol .114: 246-253(2007)
41. Lin JY, Chen ML, Lin BF. Ganoderma tsugae in vivo modulates Thl/Th2 and macrophage responses in an allergic murine model . Food Chew Toxicol 44:2025-2032(2006) 42. Matsushita H, Kobayashi M, Tsukiyama R, Yamamoto . In vitro and in vivo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Int J Mol Med 17:905-909(2006)
43. Oka H, Emori Y, Kobayashi N. Suppression of allergic react ions by royal jelly in association with the restoration of macrophage funct ion and the improvement of Thl/Th2 cell responses . Int.Im unopharmacol.1: 521-532(2001)
44. Wang NQ, Jiang LD, Zhang XM, Li ZX. Effect of dongchong xiacao capsule on airway inflammation of asthmatic patients. ZhongguoZhongYaoZaZhi 32: 1556-1558(2007)
45. Iguchi T, awata A, atanabe T, Mazumder T , Tanabe S. Fermented barley extract suppresses the deve 1 opment of atopic dermatitisᅳ 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probably by inhibiting inflammatory cytokin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3:489-493(2009)
46. Choi YH, Lim H, Heo MY, Kwon DY, Kim HP. Ant i-inf la隱 a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Chungkuk j ang , Korean fermented bean: 5-1 ipoxygenase inhibition. / Med Food 11:539-543(2008)
47. Bao L, Yao X, Xu J, Guo X, Liu H, urihara H. Effects of Pithecel lobium clypear ia Benth extract and its main component s on infla腿 ation and allergy. Fitoterapia .80:349—353(2009)
48. Kaiser P, Youssouf MS, Tasduq SA, Singh S, Sharma SC. Anti¬ allergic effects of herbal product from Allium cepa (bulb)./. Med. Food.12: 374-382 ( 2009 )
49. Onogawa M, Sun G, Takuma D, Hamada A, Yokota J ,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Animal studies supporting the inhibition of mast cell act ivat ion by Er 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 Pharm Pharmacol 61:237-241(2009)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복령피 G "/a cocos Wolf) 추출물, V v) ( Cynanchym atratum Bunge) 추출물 및 남^ (Ar/sae amurense)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 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피 추출불은 TGF-β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Treg 세포 안정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불.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l-매개 면역 질환은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 추출물은 IL-4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피 추출물은 IL-4, IL-5, IL-10 및 IL- 13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Th2-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피 추출물은 IL-17 및 IFN-Y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Thl-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피 추출물은 혈청 내 IgE, IgG2a 및 IgG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올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2】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상피세포 통과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 남성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¾2-매개 면역 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증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불.
【청구항 15]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hl-매개
Figure imgf000042_0001
Th2-매개 면역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PCT/KR2013/009356 2012-12-06 2013-10-18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8820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61063.9A EP2929888B1 (en) 2012-12-06 2013-10-18 Composition comprising poria cocos wolf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use in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th2-mediated allergic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1325 2012-12-06
KR20120141328 2012-12-06
KR10-2012-0141326 2012-12-06
KR10-2012-0141328 2012-12-06
KR20120141326 2012-12-06
KR10-2012-0141325 2012-12-06
KR1020130012036A KR101468127B1 (ko) 2012-12-06 2013-02-01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0012031A KR101577392B1 (ko) 2012-12-06 2013-02-01 복령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0012015A KR101471031B1 (ko) 2012-12-06 2013-02-01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0012031 2013-02-01
KR10-2013-0012015 2013-02-01
KR10-2013-0012036 2013-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200A1 true WO2014088200A1 (ko) 2014-06-12

Family

ID=5405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356 WO2014088200A1 (ko) 2012-12-06 2013-10-18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929888B1 (ko)
WO (1) WO20140882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413A1 (ko) * 2015-12-09 2017-06-15 한국식품연구원 효소처리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106620A (zh) * 2014-12-19 2017-08-29 东亚St株式会社 预防、改善或治疗退行性神经系统疾病的含茯苓皮提取物的组合物
US10946053B2 (en) * 2014-12-19 2021-03-16 Neurobo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N113398023A (zh) * 2021-06-08 2021-09-17 广州市玉鑫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杆菌豆浆发酵产物滤液的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25B1 (ko) * 2003-05-16 2006-08-17 신파 파마세우티컬 코리미티드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복령 추출물
KR20110044946A (ko) * 2008-06-24 2011-05-03 신파 티엔리 파머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항저우) 면역장애로부터 유발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복령 추출물
KR20120010026A (ko) * 2010-07-23 2012-02-02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백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8130B1 (en) * 2003-07-18 2007-03-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4 herb extract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00546642C (zh) * 2007-07-19 2009-10-07 关岩华 用于治疗肾炎的中药组合物
CN102240386B (zh) * 2010-05-14 2013-03-20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 一种治疗急慢性支气管炎和支气管哮喘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TWI504394B (zh) * 2011-04-29 2015-10-21 Ind Tech Res Inst 安托芬之製備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25B1 (ko) * 2003-05-16 2006-08-17 신파 파마세우티컬 코리미티드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복령 추출물
KR20110044946A (ko) * 2008-06-24 2011-05-03 신파 티엔리 파머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항저우) 면역장애로부터 유발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복령 추출물
KR20120010026A (ko) * 2010-07-23 2012-02-02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백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
ARAKI Y; KATOH Y; OGAWA A: "Bile acid modulates transepithelial permeability via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Caco-2 cell line", FREE RADICAL BIOLOGY MEDICINE, vol. 39, 2005, pages 769 - 780, XP005034365, DOI: doi:10.1016/j.freeradbiomed.2005.04.026
BAO L; YAO X; XU J; GUO X; LIU H; KURIHARA H.: "Effects of Pithecellobium clypearia Benth extract and its main components on inflammation and allergy", FITOTERAPIA, vol. 80, 2009, pages 349 - 353, XP026319363, DOI: doi:10.1016/j.fitote.2009.04.009
BROIDE DH.: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of allergic disease", J ALLERGY CLIN IMMUNOL, vol. 108, 2001, pages S65 - S71, XP027559518
CHANG HH; CHEN CS; LIN JY.: "Dietary perilla oil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ovalbumin-challenged mice", LIPIDS, vol. 43, 2008, pages 499 - 506
CHOI YH; LIM H; HEO MY; KWON DY; KIM HP.: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Chungkukjang, Korean fermented bean: 5-lipoxygenase inhibition", J MED FOOD, vol. 11, 2008, pages 539 - 543
CROSS ML; STEVENSON LM; GILL HS: "Anti-allergy properties of fermented foods: an important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T IMMUNO PHARMACOL, vol. 1, 2001, pages 891 - 901
DEMEO MT; MUTLU EA; KESHAVARZIAN A.: "Intestinal permea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J. CLIN. GASTROENTEROL., vol. 34, 2002, pages 385 - 396, XP008022186, DOI: doi:10.1097/00004836-200204000-00003
DOGGRELL SA: "Lyprinol--is it a Useful Anti-inflammatory Agent?",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MED., 21 April 2009 (2009-04-21)
F. JAVIER MORENO; LUIS A. RUBIO; AGUSTOLANO; ALFONSO CLEMENTE: "Uptake of 2S Albumin Allergens, Ber e 1 and Ses i 1, across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aco-2 Cell Monolayers", J. AGRIC. FOOD CHEM., vol. 54, 2006, pages 8631 - 8639
FANG SP; TANAKA T; TAGO F; OKAMOTO T; KOJIMA S.: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yokuheifusan on INF- gamma/IL-4 (Th1/Th2) balance i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model mice", BIOL.PHARM.BULL., vol. 28, 2005, pages 829 - 833
FUJII T: "Herbal factors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ity-related habitual abortion", VITAM.HORM., vol. 65, 2002, pages 333 - 344
GELL PGH, COOMBS RRA: "Clinical Aspects of Immunology", 1963, BLACKWELL
HACINI-RACHINEL F; GHEIT H; LE LUDUEC JB; DIF F; NANCEY S; KAISERLIAN D: "Oral probiotic control skin inflammation by acting on both effector and regulatory T cells", PLOS.ONE, vol. 4, 2009, pages E4903
HISADA T; ISHIZUKA T; AOKI H; MORI M: "Resolvin E1 as a novel agent for the treatment of asthma", EXPERTOPIN.THER.TARGETS., vol. 13, 2009, pages 513 - 522
HOLGATE ST: "The epidemic of allergy and asthma", NATURE, vol. 402, 1999, pages B2 - 4
IGUCHI T; KAWATA A; WATANABE T; MAZUMDER TK; TANABE S: "Fermented barley extract suppresses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probably by inhibiting inflammatory cytokines.",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 73, 2009, pages 489 - 493, XP055158029, DOI: doi:10.1271/bbb.80436
INAGAKI N; NAGAI H: "Drugs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JAP J PHARMACOL, vol. 86, 2001, pages 275 - 280
ISOBE N; SUZUKI M; ODA M; TANABE S: "Enzyme-Modified Cheese Exerts Inhibitory Effects on Allergen Permeation in Rats Suffering from Indomethacin-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 72, 2007, pages 1740 - 1745
ITO T; SEO N; YAGI H; OHTANI T; TOKURA Y; TAKIGAWA M; FURUKAWA F: "Unique therapeutic effects of the Japanese-Chinese herbal medicine, Sairei-to, on Th1/Th2 cytokines balance of the autoimmunity of MRL/lpr mice", J.DERMATOL.SCI., vol. 28, 2002, pages 198 - 210
J. JEON ET AL.: "Water extract of Cynanchi atrati Radix regulates inflammation and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suppression of IKK-mediated NF-K B signaling",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137, 2011, pages 626 - 634, XP028383242 *
K. YASUKAWA ET AL.: "3beta-p-Hydroxybenzoyldehydrotumulosic acid from poria cocos,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 PHYTOCHEMISTRY, vol. 48, no. 8, 1998, pages 1357 - 1360, XP004289994 *
KAISER P; YOUSSOUF MS; TASDUQ SA; SINGH S; SHARMA SC: "Anti-allergic effects of herbal product from Allium cepa (bulb", J.MED.FOOD., vol. 12, 2009, pages 374 - 382
KIM D; KIM SH; PARK EJ: "Anti-allergic effects of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prepared from Actinidia arguta, in a murine ovalbumin-induced asthma model", CLIN.EXP.ALLERGY, vol. 39, 2009, pages 280 - 9
LEE BW; SHEK LYNETTE PC; SOH SE: "Food Allergy-Lessons From Asia", WAO JOURNAL, 2008, pages 129 - 133, XP021143285, DOI: doi:10.1097/WOX.0b013e31817b7431
LEE HK; SONG WJ; HA TU: "A single or combined effects of IL-4 and other various cytokines on IgE production of human tonsillar mononuclear cells", KOR J IMMUNOL, vol. 17, 1995, pages 193 - 201
LEE JH; CHANG SH; PARK YS; KIM YM; CHOI WS: "In-vitro and in-vivo anti-allergic action of Arecae semen", J.PHARM.PHARMACOL., vol. 56, 2004, pages 927 - 933
LEE JH; SEO JY; PARK TK; LEE HY; HAN JW; KIM YM; CHOI WS: "Inhibitory activity of Chrysanthemisibiriciherba extracton RBL-2H3 mast cells and compound 48/80-inducedanaphylaxis", J.ETHNOPHARMACOL., vol. 95, 2004, pages 425 - 430
LILI GU; NING LI; QIURONG LI.: "The effect of berberine in vitro on tight junctions in human Caco-2 intestinal epithelial cells", FITOTERAPIA, vol. 80, 2009, pages 241 - 248, XP026085876, DOI: doi:10.1016/j.fitote.2009.02.005
LIN JY; CHEN ML; LIN BF: "Ganoderma tsugae in vivo modulates Th1/Th2 and macrophage responses in an allergic murine model", FOOD CHEM TOXICOL, vol. 44, 2006, pages 2025 - 2032, XP025065465, DOI: doi:10.1016/j.fct.2006.07.002
MATSUSHITA H; KOBAYASHI M; TSUKIYAMA R; YAMAMOTO K: "In vitro and in vivo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INT J MOL MED, vol. 17, 2006, pages 905 - 909
MIESCHER SM; VOGEL M: "Molecular aspects of allergy", MOLEC ASPECTS MEDICINE, vol. 23, 2002, pages 413 - 462
MOTOO Y; MOURI H; OHTSUBO K; YAMAGUCHI Y; WATANABE H; SAWABU N.: "Herbal medicine Ninjinyoeito ameliorates ribavirin-induced anemia in chronic hepatitis C: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ORLDJ.GASTROENTEROL., vol. 11, 2005, pages 4013 - 4017
NAGAI T; ARAI Y; EMORI M; NUNOME SY; YABE T; TAKEDA T; YAMADA H.: "Anti-allergic activity of a Kampo (Japanese herbal) medicine ''Sho-seiryu-to (Xiao-Qing-Long-Tang)'' on airway inflammation in a mouse model", INT .IMMUNO PHARMACO., vol. 4, 2004, pages 1353 - 1365
NAKADA T; WATANABE K; JIN GB; TRIIZUK K; HANAWA T: "Effect of ninjin-youei-to on Th1/Th2 type cytokine production in different mouse strains", AM.J.CHIN.MED., vol. 30, 2002, pages 215 - 223
NAKATANI K; ATSUMI M; ARAKAWA T; OOSAWA K; SHIMURA S; NAKAHATA N; OHIZUMI Y: "Inhibitions of histamine release and prostaglandin E2 synthesis by mangosteen, a Thai medicinal plant", BIOL.PHARM.BULL., vol. 25, 2002, pages 1137 - 41
OKA H; EMORI Y; KOBAYASHI N.: "Suppression of allergic reactions by royal jelly in association with the restoration of macrophage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1/Th2 cell responses", INT.IMMUNOPHARMACOL, vol. 1, 2001, pages 521 - 532, XP002973879, DOI: doi:10.1016/S1567-5769(00)00007-2
OKUNUKI H; TESHIMA R; SAKUSHIMA J; AKIYAMA H; GODA Y; TOYODA M; SAWADA JI: "Induction of active systemic anaphylaxis by oral sensitization with ovalbumin in mast-cell-deficient mice", IMMUNOL LETT, vol. 74, 2000, pages 233 - 237
ONISHI N; KAWAMOTO S; UEDA K: "Dietary pulverized konjac glucomannan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llergic rhinitis-like symptoms and IgE response in mice", BIOSCI.BIOTECHNOL.BIOCHEM., vol. 71, 2007, pages 2551 - 2556
ONOGAWA M; SUN G; TAKUMA D; HAMADA A; YOKOTA J;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Animal studies supporting the inhibition of mast cell activation by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J PHARM PHARMACOL, vol. 61, 2009, pages 237 - 241
PARK HJ; LEE CM; JUNG ID: "Quercetin regulates Th1/Th2 balance in a murine model of asthma", INT. IMMUNOPHARMACOL, vol. 9, 2009, pages 261 - 7, XP025952072, DOI: doi:10.1016/j.intimp.2008.10.021
PARK HR; JO SK; JUNG U; YEE ST: "Restoration of the immune functions in aged mice by supplementation with a new herbal composition", HEMOHIM. PHYTOTHER RES, vol. 22, 2008, pages 36 - 42
SA EH; JIN UH; KIM DS; KANG BS: "Herbal medicine Gamgungtang down-regulates autoimmunity through induction of TH2 cytokine production by lymphocytes in experimental thyroiditis model", J.ETHNOPHARMACOL., vol. 109, 2007, pages 472 - 9, XP005826262, DOI: doi:10.1016/j.jep.2006.08.017
SANDERS DS: "Mucosal integrity and barrier function in the pathogenesis of early lesions in Crohn's disease", J.CLIN.PATHOL, vol. 58, 2005, pages 568572
See also references of EP2929888A4 *
SEO N; ITO T; WANG N; YAO X; TOKURA Y: "Anti-allergic Psidium guajava extracts exert an antitumor effect by inhibition of T regulatory cells and resultant augmentation of Th1 cells", ANTICANCERRES, vol. 25, 2005, pages 3763 - 3770, XP055191598
TESAKI S; WATANABE J; TANABE S; SONOYAMA K: "An Active Compound against Allergen Absorption in Hypoallergenic Wheat Flour Produced by Enzymatic Modifica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 66, 2002, pages 1930 - 1935
UNTERSMAYR E; JENSEN-JAROLIM E: "The effect of gastric digestion on food allergy",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vol. 6, 2006, pages 214 - 219
VENTURA MT; POLIMENO L; AMORUSO AC: "Intestinal permeability in patients with adverse reactions to food", DIG. LIVER DIS, vol. 38, 2006, pages 732 - 6, XP005659291, DOI: doi:10.1016/j.dld.2006.06.012
WANG NQ; JIANG LD; ZHANG XM; LI ZX: "Effect of dongchong xiacao capsule on airway inflammation of asthmatic patients", ZHONGGUOZHONGYAOZAZHI, vol. 32, 2007, pages 1556 - 1558
WANG Y; YAN T; SHEN J; GUO H: "Preventive effect of Ophiopogon japonicus polysaccharides on an autoallergic mouse model for Sjogren's syndrome by regulating the Th1/Th2 cytokine imbalance", J.ETHNOPHARMACOL., vol. 114, 2007, pages 246 - 253, XP022296298, DOI: doi:10.1016/j.jep.2007.08.014
ZAMANI A; VAHIDINIA A; GHANNAD MS.: "The effect of garlic consumption on Th1/Th2 cytokines in phytohemagglutinin (PHA) activated rat spleen lymphocytes", PHYTOTHER.RES., vol. 23, 2009, pages 579 - 81
ZARE A; FARZANEH P; POURPAK Z: "Purified aged garlic extract modulates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BALB/c mice", IRAN J. ALLERGY ASTHMA IMMUNOL., vol. 7, 2008, pages 133 - 141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6620A (zh) * 2014-12-19 2017-08-29 东亚St株式会社 预防、改善或治疗退行性神经系统疾病的含茯苓皮提取物的组合物
US10864238B2 (en) 2014-12-19 2020-12-15 Neurobo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10946053B2 (en) * 2014-12-19 2021-03-16 Neurobo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N113384619A (zh) * 2014-12-19 2021-09-14 纽罗博制药有限公司 预防、改善或治疗退行性神经系统疾病的含桑葚和茯苓皮的混合提取物的组合物
CN113712998A (zh) * 2014-12-19 2021-11-30 纽罗博制药有限公司 预防、改善或治疗退行性神经系统疾病的含茯苓皮提取物的组合物
WO2017099413A1 (ko) * 2015-12-09 2017-06-15 한국식품연구원 효소처리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398023A (zh) * 2021-06-08 2021-09-17 广州市玉鑫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杆菌豆浆发酵产物滤液的制备方法及应用
CN113398023B (zh) * 2021-06-08 2023-04-18 广州市玉鑫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杆菌豆浆发酵产物滤液的制备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9888A4 (en) 2015-11-25
EP2929888A1 (en) 2015-10-14
EP2929888B1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18875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001119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68126B1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9707B1 (ko) 괭이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88200A1 (ko)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3610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WO2013180469A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661671B (zh) 麸质相关病症
KR101577392B1 (ko) 복령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1806A (ko) 미나리아재비 추출물, 붓순나무 추출물, 홀아비꽃대 추출물 또는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982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083764A (ja) ハマアザミ抽出物を含有する免疫調節用組成物
KR101468127B1 (ko)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245B1 (ko)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3451B1 (ko) 시로미 추출물, 네가래 추출물, 솜양지꽃 추출물 또는 풀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4029501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Triticum Aestivum Lamarck Leaf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126690B1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1031B1 (ko)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7673B1 (ko)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Ballegaard Health Related Effects of Quinoa–Impact on Intestinal Permeability and Immune Responses
JP2017048161A (ja) レンコン節部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アレルギー剤
KR102074154B1 (ko) 홀아비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1805A (ko) 석류풀 추출물, 질경이택사 추출물, 담팥수 추출물 또는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1690A (ko) L­ahg를 포함하는 면역 억제용 조성물
KR20160001803A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시로미 추출물, 수선화 추출물, 네가래 추출물, 협죽도 추출물, 솜양지꽃 추출물 또는 풀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10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6106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