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80469A1 -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80469A1
WO2013180469A1 PCT/KR2013/004717 KR2013004717W WO2013180469A1 WO 2013180469 A1 WO2013180469 A1 WO 2013180469A1 KR 2013004717 W KR2013004717 W KR 2013004717W WO 2013180469 A1 WO2013180469 A1 WO 20131804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resent
disease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7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동화
신희순
배민정
채옥희
강창율
최대운
최계영
노정해
도정룡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5700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3361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5700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3360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4132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7372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4132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7372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4132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68126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US14/404,63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16475B2/en
Publication of WO20131804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80469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2Cassia, e.g. golden show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2Agastache, e.g. giant hyss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4Valerianaceae (Valerian family), e.g. valeri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natur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by the task number E0121500 under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research management specialized agency of the task is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the research project name i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major projects”, the research title is “allergic Daewoong functional food R & D Business ”, the lead organization i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and the research period is from 01.01.2012 to 31.12.201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T h2-mediated treatment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w, a deficiency, a diaphragm, a Chinese herb, an arachnid, a landing, a yulpi, a white herb, an English fruit, a sakura and a rhubarb extract.
  • allergy is a mal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which means that substances that do not affect the average person cause abnormal hypersensitivity reactions such as urticaria, itching, runny nose, and cough.
  • the incidence of such allergic diseases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in the last two decades (1, 2).
  • the main increase factors are allergens such as increase of indoor living,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foreign countries, etc.
  • the incidence of allergic diseases in modern people increases gradually, but most of the treatment methods depend on popular therapies such as antihistamines and steroids, and no fundamental treatments have been found (3).
  • Type I-III is a humoral immune response (immediate) in which the antibody is involved
  • type IV is a cellular immune response (delayed) in which the cell is directly involved.
  • the symptoms are divided into immediate or early reactions and later stage reactions after several hours.
  • Type I is the immediate type of hypersensitivity reaction
  • type IV is the type of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Appears in the form.
  • Most allergic reactions include type I asthma, rhinitis, conjunctivitis, food and drug allergies, and atopic dermatitis. In severe cases, anaphylaxis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 Type I immediate hypersensitivity is divided into two stages.
  • the first stage produces IL-12 and IFN- / ", which inhibit the secretion of IgE and IgGl by the invasion of allergens and increase the secretion of IgG2a.
  • Thl cell response and the balance of Th2 cell reaction producing IL-4, IL-5 and IL-13 are inclined toward Th2, excessive immune response of Th2 secretes IL-4, IL-13 and the like. Allergens are prepared by attaching IgE-specific antibodies produced by B cells to the surface of mast cells or basophils (5-7) (see Figure: "allergic diseases "," Thl / Th2 balance ").
  • the second stage of allergic development is divided into the initial reaction and the late reaction, and the initial reaction is an allergen reinvading the body, stimulating mast cells and causing degranulation reaction, resulting in blood vessels released by histamine, lipid metabolites, and cytokines. Diffusion, etc. occur, and post-base ung invades and activates neutrophils, eosinophils, macrophages, Th2 cells, basophils, etc., causing inflammation, causing atopic dermatitis, rhinitis, and asthma (7). Of these degranulated secretions, histamine is the most well-known factor and is also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allergic symptoms associated with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8).
  • Food allergies have been on the rise in the last 10 years in about 3-6% of children in developed countries (9). Food allergies occur for food that enters the body through the digestive tract and mainly correspond to type I hypersensitivity. In the case of allergic patients, food allergens infiltrate through the intestine undigested (.4, 10), and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these allergens is the first step in the development of food allergy (11). The secretary is not only the organ responsible for digestion and absorption of nutrients, but is also involved in various bioregulations. Intestinal epithelial cells not only have major functions such as digestive absorption, barrier, and signal transduction / transformation but also have a unique mucosal immunity or nervous system. It can never be underestimated.
  • intestinal epithelial cells limit the penetration of macromolecules by tight junctions as barriers, but when the junctions are damaged, permeability increases due to impaired barrier function, resulting in food allergy as well as celiac disease and acute pancreatitis. The disease develops (12-17). In other words, strengthening the intestinal barrier function through stabilization of tight junctions will prevent food allergies.
  • the inventors have sought to develop natural products that can prevent or treat diseases, diseases or conditions caused by Thl or Th2 immune response such as inflammatory diseases and allergies.
  • the dogs were 03 ⁇ 43 / / 5 nil Choisy, the deflector (5a? /?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it had inhibitory activity, C0X-2 inhibitory activity, 15-N0X inhibitory activity, allergens inhibiting enteric epithelial cell passage or induced differentiation into Treg cell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Thl-mediated auto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autoimmune disea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immune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l- contain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w, a deficiency, a larvae, a weed scent, a landing, yulpi, baekchuk, Youngsil, saenghyang and rhubarb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 a Thl- contain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w, a deficiency, a larvae, a weed scent, a landing, yulpi, baekchuk, Youngsil, saenghyang and rhubarb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w, a tortoise, a trowel, a medicinal herb, a landing, a yulpi, a white axle, an English persimmon, a persimmon and a rhubarb extract.
  • a method of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Thl-mediated auto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autoimmune disease comprising the steps.
  • the inventors have sought to develop natural products that can prevent or treat diseases, diseases or conditions caused by Thl or Th2 immune response such as inflammatory diseases and allergie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nut, the deficiency, the larvae, the herbaceous incense, the landing, the velvet, the baekchuk, the youngsil, the persimmon, or the rhubarb extract inhibited IL-4 production and degranulation of mast cells, and the C0X-2 inhibitory activity. , 15-N0X inhibitory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allergen has an inhibitory activity of enterocyte epithelial cells or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into Treg cells.
  • the extracts When extracts are obtained by treating the extracts in the following treatments, the extracts may be used in a variety of extracts, such as cows, caterpillars, larvae, pearweeds, landings, yulpi, baekchuk, youngsil, persimmons, or rhubarb us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 solvent or a nonpolar solvent.
  • the polar solvent is (i) water, (ii) alcohol (preferably methanol, ethane, propanol, butane, normal-propane iso-propanol, normal-butane, 1-pentane, 2-butoxyethane Or ethylene glycol), (iii) acetic acid, (iv) dimethylformamide (DMFO) and (v) DMSOCdimethyl sulfoxide (v).
  • Non-polar solvents include acetone, acetonitrile,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fluoroalkane, pentane, nucleic acid, 2,2,4-trimethylpentane, decane, cyclonucleic acid, cyclopentane, diisobutylene, 1-pentene, 1 -Chlorobutane, 1-chloropentane, 0-xylene, diisopropyl ether, 2-chloropropane, toluene, 1-chloropropane, chlorobenzel, benzene, diethyl ether, diethyl sulfide, chloroform, dichloromethane, 1,2-dichloroethane, anneal, diethylamine, ether, carbon tetrachloride and THF.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b)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e, propanol, butane, etc.), (c) a mixed solvent of the lower alcohol with water, (d) acetone, ( e) ethyl acetate, (f) chloroform, (g) butyl acetate, (h) 1,3-butylene glycol, (i) nucleic acid or (j) diethyl ether.
  •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e, propanol, butane, etc.
  • a mixed solvent of the lower alcohol with water (d) acetone, ( e) ethyl acetate, (f) chloroform, (g) butyl acetate, (h) 1,3-butylene glycol, (i) nucleic acid or (j) diethyl ether.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treating water, ethanol or a combination thereof, cows of the fault, the grandfather, pearweed, landing, yulpi, white axis, Youngsil, persimmon or rhubarb.
  • the term 'extract' has a meaning commonly used as a crude extract in the art as described above, but broadly includes a fraction additionally extracting the extract.
  • the milk cow, the deficiency, the Greater Korea, the Chinese herb, the landing, the yulpi, the white axis, the Youngsil, the saengsonghyang or rhubarb extracts are not only obtain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include those obtained by further applying the purification process.
  • fractions obtained by passing the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Fractions obtain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are also included in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ws of the present invention, larvae, larvae, weeds, landings, yulpi, white axis, Youngsil, persimmon, or rhubarb.
  • the nut, the deficiency, the larvae, the Chinese herbaceous, the landing, the yulpi, the white axis, the Youngsil, the persimmon, or the rhubarb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 the term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to include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following dogs, gnarly bears, larvae, weeds, landings, yulpi, baekchuk, youngsil, persimmon or rhubarb extracts. do.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extracted from the natural plant material, such as the cow, the deficiency, the larvae, pear scent, landing, yulpi, baekchuk, Youngsil, persimmon scent or rhubarb, even if the overdose has no side effects on the human body
  •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yulpi, white axis, Youngsil, saengyanghyang or rhubarb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elected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may be used to treat a variety of Th2-mediated immune diseases, diseases or conditions. It can be use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 Th2-mediated immune disease refers to a disease involving IgE and mast cells by the production and activity of allergen-specific Th2 cells.
  • Th2 cell refers to a subset of helper T cell lymphocytes that are characterized in terms of gene expression, protein secretion and functional activity. For example, Th2 cells exhibit IL-4, IL-5, IL-10, and IL-13 cytokine expression patterns. Th2 cells are involved in humoral immune response.
  • the Th2-mediated immune disease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2-mediated immune disease is an allergic disease.
  • the term 'allergy' refers to a variety of diseases, disorders or abnormal conditions caused by hypersensitivity of the body's immune system to hypersensitivity to certain substances in the human body, ie, substances from outside.
  • Allergic diseases applied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type I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and type IV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s.
  • Type I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clude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llergic conjunctivitis, allergic otitis media, urticaria and anaphylatic shock.
  • Type I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ar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phase is a Thl cell reaction that produces IL-12 and- ⁇ , which inhibit the release of IgE and IgGl by the invasion of allergens and increase the secretion of IgG2a.
  • Th2 cell reactions producing IL-4, IL-5 and IL-13 is inclined toward Th2, excessive immune response of Th2 secretes IL-4 and IL-13, and the effect is that B cells produce One IgE-specific antibody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mast cells and basophils to prepare for allergic development. It is said to be sensitized to allergens.
  • the second stage of allergic development is divided into initial response and posterior basal tract, and the initial reaction is caused by histamine, lipid metabolites, cytokines, etc., released by allergens reinvading the body to stimulate mast cells and trigger degranulation.
  • Vasodilation, etc. The posterior basin is associated with neutrophils, eosinophils, Macrophage, Th2 cells, basophils, etc. are infiltrated and activated to induce inflammation, causing atopic dermatitis, rhinitis, asthma and the like.
  • histamine is the most well known factor and is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allergic symptoms associated with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 Allergic diseases to which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topic dermatitis, other dermatological diseases associated with atopa, allergic rhinitis (acute or chronic), hay fever, asthma and food allergies.
  • the allergic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thma, allergic rhinitis, allergic dermatitis, allergic atopic dermatitis or food allergy.
  • the allergic disease of the invention is a food allergy.
  •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ctivity of inhibiting Th2 immune response.
  •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inhibits the production of IL-4.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10-99% of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n IC 50 value of 5-10, 6-9 or 7-8 yg / ml for IL-4 production.
  •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50-
  • the composition comprising rhubarb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10-99%, 30-99%, 50-99%, 70-99%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 70-90% or 75-85%.
  • the rhubarb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50-100, 70-90 or 75-85 m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rbace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10-99%, 30-99%, 50-99%, 50-90%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 60-80% or 65-75%.
  • the composition has an IC 50 value for IL-4 production of 10-50, 20-40 or 25 ⁇ 35 yg / ml.
  • the herbace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50-100, 70-90 or 75-85 m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10-80%, 30-80%, 30-70%, 40-70%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Or 50-65% reduction.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const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n IC 50 value of 0.5-4, 0.5-3 or 1-3 yg / ml for IL-4 production.
  • the landing extract of the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50-100, 70-90 or 75-85 m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10-60%, 10-50%, 10-40%, 20-40%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Or 25-35% reduction.
  •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50-100, 70-90 or 75- 85 m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10-50%, 20-50%, 20-40% or 25-35%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Decrease.
  •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50-100, 70-90 or 75-85 m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ekchu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10-70%, 30-70%, 50-70% or 55-65% IL-4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Decrease.
  • the baekchu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30, 5-30, 7-30, 7-20 or 7-15 y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reduces IL-4 production by 10-50%, 20-50% or 20-4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50, 5-50, 10-50, 20-50, 20-40 or 25-35 yg / ml.
  • the extract of Persimmon flav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IL-4 production by 10-50%, 20-50% or 30-4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of the sense of flavor is 1-50, 5-50, 10-50, 20-50, 20-40 or 25-35 ug / ml.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degranulation.
  • the term 'degranulation'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ntimicrobial cytotoxic molecules are released from secretory vesicles, which are granules present in certain cells.
  • specific cells include granulocytes (neutrophils eosinophils and basophils) in the immune system and specific lymphoid cells such as mas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and cytotoxic T cell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hibit the degranulation inhibitory activity of mast cells by confirming histamine secretion inhibition, ⁇ -hexosaminidase release inhibition or morphological inhibitory activity of mast cells. It was confirmed to have.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30-90% compared to th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by 50-90%, 70-90% or 75-85%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30-70%, 30-60% or 40-50% of the glass of ⁇ -nucleosaminase compared to the control Suppress
  •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30-150, 50-150, 70-150, 90-150, 90-120 or 95-105 ra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cla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6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cla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by 10-50%, 10-40% or 20-3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cla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10-50%, 20-50% or 30-45% of the release of ⁇ -nucleominidase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extrac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20, 3-20, 3-10 or 3-7 ⁇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rhubarb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5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rhubarb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by 20-40% or 25-35%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rhubarb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the release of ⁇ -nucleosaminidase by 10-30% or 15-2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rhubarb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20, 3-20, 3-10 or 3-7 ⁇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rbace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5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rbace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by 20-50% or 30-45%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rbace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10-40% or 25-40% of the release of ⁇ -nucleosaminase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herbace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20, 3-20, 3-10 or 3-7 ⁇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9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by 30-90%, 50-90% or 6 8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10-70%, 30-70% or 40-60% of the free of ⁇ -nucleominidase compared to the control Suppress
  •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20, 3-20, 3-10 or 3-7 ⁇ / ml.
  •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egranulation of mast cells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by 30-70% or 40-6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30-70%, 40-60% or 4% 50% of the free of ⁇ -nucleominid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uppress
  •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20, 3-20, 3-10 or 3-7 ⁇ / ml.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6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histamine secretion 10-50%, 20-50% or 30-4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10-50%, 10-40% or 20-30% of the glass of ⁇ -nucleominidase compared to the control Suppress
  • the yulp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1-20, 3-20, 3-10 or 3-7 ⁇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ekchu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80%, 30-70% or 40-60%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baekchu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0.001-10, 0.005-10, 0.01-10, 0.01-5, 0.01-3 or 0.01-1 y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degranulation of mast cells by 10-90%, 20-90% or 20-85%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10-30% or 20-25% at concentrations of 0.05-1.0, 0.05-0.5, 0.05-0.3 or 0.05-0.1.
  • the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0-90%, 50-90% at concentrations of 0.1-10, 0.5-10, 0.5-5, 0.5-3, 0.7-3 or 0.7-2 or 70-90% inhibition.
  • the persimm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ich: £ 0.001-10, 0.005-10, 0.01-10, 0.01-5, 0.01-3 or 0.01-1 yg / ml.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various Thl ⁇ mediated immune diseases, diseases or conditions.
  • Thl-mediated immune disease refers to cytokines produced by the production and / or activity of Thl cells, such as IL- ⁇ , IL-2, IL-12, IL-17, IFN- ⁇ or TNF- ⁇ or the like is a disease involved.
  • Thl cells refers to a subset of helper T cell lymphocytes that are specified in terms of gene expression, protein secretion and functional activity. For example, Thl cells exhibit cytokine expression patterns that synthesize IL-2 and IFN IF ⁇ but not IL-4, IL-5, IL-10 and IL-13. Thl cells are involved in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s and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various intracellular pathogens.
  • the Thl-mediated immune disease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l-mediated immune disease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transplant rejection, autoimmune disease or inflammatory disease. to be.
  • the Thl-mediated autoimmune disease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l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rheumatoid arthritis, reactive arthritis, osteoarthritis, psoriasis, Scleroderma, osteoporosis, atherosclerosis, myocarditis, endocarditis, pericarditis, cystic fibrosis, Hashimoto's thyroiditis, Graves' disease, leprosy, syphilis, Lyme disease, Borreliosis, anorexia-botelosis, tuberculosis, sarcoid Sarcoidosis, Lupus, Discus lupus, Alumni lupus, Lupus nephriti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sthma, Macular degeneration, Uveitis, Irritable bowel syndrome, Croy's disease, Shogran syndrome, Fibromyalg
  • the Thl-mediated immune disease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l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rheumatoid arthritis.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dog, the deficiency, the oleander, yulpi or rhubarb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 C0X-2 (cyclooxygenase-2) activity inhibitory ability.
  • the n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of 60-100, 70-90 or 75-85 rag / ml.
  • the extract of the Cassia tora invention C0X-2 IC 50 / C0X- 1 IC 50 value is from 2.5 to 4.0, wherein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s the COX-2 IC 50 / C0X- 1 IC 50 figures 2.5-4.5, the rhubarb extract has a COX-2 IC 50 / C0X-1 IC 50 value of 7.0-9.0, the yulpi extract has a COX-2 IC 50 / C0X-1 IC 50 value of 7.5-9.5.
  • the C0X-2 IC 50 value of the Cassia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250, 150-250, 150-200 or 180-200 ug / ml, respectively.
  • the COX-2 IC 50 value of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40, 25-40 or 35-45 g / ml, respectively.
  • the COX-2 IC 50 value of the yulp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40, 20-40 or 30-40 y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counter electrode or lan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the activity of 15-L0X (15-Lipooxygenase).
  • 15-L0X of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15-L0X of the counter electrod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C 50 values are 70-100, 80-93 or 85-90 ug / ml each.
  • the 15—LOX IC 50 value of the land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80-120, 90-110 or 95-105 yg / ml.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ffective ingredient induces differentiation into Treg cells.
  • Induction from T cells to Treg cells can be seen by increased expression of Foxp3, and by inducing Treg cells to induce a Thl / Th2 balance to prevent, ameliorate or treat Thl-mediated and / or Th2-mediated immune diseases.
  • the persimm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xpression of Fox3p by 1.5-4.0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when treated with 1-20, 3-20, 3-15 yg / ml.
  • Extracts increased Fox3p expression 3-4 fold compared to controls when treated with 5-20, 7-20, 7-15 or 7-13 yg / m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w, cultivars, soybean, seaweed, land, yeast and rhubarb extract.
  •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hibiting histamine secre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o a subject (subj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w, cultivars, larvae, pearweed, land, yeast and rhubarb extracts. I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histamine-mediated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ame.
  • the term "histamine-mediated disease” means a disease caused by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Histamine-mediated diseases to which the antihistam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 chronic urticaria, angioedema, asthma, and allergic-like rea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w, a bearer, a larvae, a Chinese herb, an incense, a landing, yulpi and rhubarb extracts. .
  •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of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w, a dog, a larvae herbaceous, a landing, yulpi and rhubarb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I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the steps of:
  • Inflammatory diseases applied to the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flammatory skin diseases (e.g. eczema and psoriasis), rheumatoid arthritis, contact dermatitis, acne, sinusitis, osteoarthritis, gastritis, gout, gouty arthritis, ulcers, chronic bronchitis, acute Acute or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ut not limited to, lung injury, pulmonary inflammati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eg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ankylosing spondylitis, pneumonia, pulmonary shock, vasculitis and bursitis It is not.
  • inflammatory skin diseases e.g. eczema and psoriasis
  • rheumatoid arthritis contact dermatitis, acne, sinusitis, osteoarthritis, gastritis, gout, gouty arthritis, ulcers, chronic bronchitis
  • acute Acute or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Youngsil extract or a combin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prevents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immune disease.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hibits the passage of the allergen epithelial layer.
  • the epithelial cell layer is intestinal epithelial cell layer.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hibitor of the epithelial layer of allergens compared to the control 10-99, 30-99%, 50-99%, 70-99% or 90-99% do.
  • Youngs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passage of epithelial layer of allergen by 10-50%, 20-50% or 30-40% compared to the control.
  • Thl-mediated immunity disease or Th2 'mediated immunity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dog, the deficiency, the diaphragm, the Chinese herb, the Chinese herb, the landing, the yulpi, the white herb, the youngsil, the sakura and the rhubarb.
  •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antihistamine compositions,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od compositions,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cosmetic compositions or feed composition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pyeonja, defector, counter electrode, weed, incense, landing, yulpi, white axis, Youngsil, persimmon incense and rhubarb.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above extracts; And (b)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chieving the efficacy or activity of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cows, gnarlers, larvae, weeds, landings, yulpi, baekchuk, youngsil, saenghyang and rhubarb. It means the amount that is divi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bi, manny, starch, acacia rubber,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a humectant,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mulsifier,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 a lubricant e.g., talc, kaolin, kaolin, kaolin, kaolin, kaolin, kaolin, kaolin, kaolin, kaolin, a kaolin,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itol, man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ally.
  • Appropriat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of patient, weight, sex, morbidity,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sponse to reaction. Can be. Typical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re in the range of 0.001-100 rag / kg on an adult basi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method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it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syrups or emulsions in oil or aqueous media, or may be in the form of axes, powder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further comprise dispersants or stabilizer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food composition.
  •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immunity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og, a decanter, a diaphragm, a Chinese herb, an incense, a landing, a yulpi, an axillary, an English, a sakura and rhubarb.
  •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anti When the histamine composition or the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is made of a food composition, it is an ingredient that is commonly added in the manufacture of food, as well as a cow, an ocher, a diaphragm, a pear scent, a landing, a yupi, a white axis, an English fruit, a sweet persimmon, or rhubarb. And include,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 agents.
  • Examples of the above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sugar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xylol, sorbitol, eritrit and the like.
  • As the flavoring agent natural flavoring agents [tau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irg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immunity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og, a deficiency, a diaphragm, a herbaceous herb, a landing, a yulpi, a white herb, an English fruit, a sakura and rhubarb.
  •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antihistamine compositions,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may be prepared as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t contains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and include,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and seasoning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Fructose; Polysaccharides (eg,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eg, xylly, sorbitol, erythri, etc.).
  • flavoring agents natural flavoring agents (eg, taumarin, stevia extract,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eg,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to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the antihistamine composition, the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Thl-mediated auto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immune disease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selected as an active ingredient
  • a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dogs, aspens, associatives, larvae, weeds, landings, juls, citrus fruits, persimmons, persimmons, or rhubarb as active ingredie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s.
  • Such conventional adjuvants, and carriers Such conventional adjuvants, and carriers.
  • Cosme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It may be formulated as sex,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 carrier oils include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ants, sa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 talc or zinc oxide. Can be used.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fatty acid ester.
  • the carrier component is water, liquefie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d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and suspending agents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 Fatty acid esters may be used for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to a feed composition.
  • Thl-mediated auto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dog, the deciduous, the diaphragm, the Chinese herb, the landing, the yulpi, the white herb, the youngsil, the sakura and the rhubarb.
  •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an immune disease,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is made of a feed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treat a dog, a deficiency, a larvae, a herbaceous herb, a landing, a velvet, a white currant, an English fruit, a nectar or rhubarb.
  • the shape includes powder, granules, pellets or suspension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eed composition, it may be suppli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feed to land or aquatic animals. Fe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feed and solid feed.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oist pellet feed, dry pellet feed, EPCExt ruder Pellet feed, and fe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a Th2-mediated immune disease, an antihistamine composition and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Thl-mediated immune disease or a Th2-mediated immune disease, a method for inhibiting histamine secretion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IL-4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and degranulation inhibitory activity of mast cells, and C0X-2 inhibition, 15-N0X inhibition, allergen inhibition of enteric epithelial layer or Treg cell induction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iled mechanism of action of natural and food derived anti-allergic substanc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to provide stability, reduced production cost and ease of use.
  • Figure 1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baekchuk extract on IL-4 production of mouse splenocytes.
  • Figure 2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Youngsil extract on IL-4 production of mouse spleen cells.
  • Figure 3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of Persimmon on IL-4 production of mouse spleen cell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baekchuk extract on the degranulation of mouse mast cells (mast cells).
  • Figure 5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Youngsil extract on degranulation of mouse mast cells (mast cells).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extract persimmon on the degranulation of mouse mast cells (mast cells).
  • Figure 7 shows a schematic diagram for the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allergen passage of allergens.
  • Figure 8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Youngsil extract on allergen passage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Figures 9a and 9b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Persimmon on the induction of Treg cells in mouse spleen and lymph node cells.
  • OVA Optalbumin
  • ELISA Enzyme-1 inked immunosorbent assay
  • general reagents such as Sigma (St. Louis, USA) was used.
  • Millicell-ERS Electro Resistance System
  • ⁇ / cnf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 Millipore Mill ipore
  • RPM1640 basic medium
  • the spleens contained in Petri dishes were unicellularized using a mesh, washed twice with 5 ml of basic medium, and centrifuged at 1000 rpm for 10 minutes. After removing the supernatant, add 1 ml of Red Blood Cell (RBC) lysis buffer (SIGMA, USA), shake well by hand, react on ice for 3 minutes, suspend after adding 10 ml of basic medium, and suspend at 1000 rpm. Two centrifugations were performed for minutes. After removal of the supernatant, the suspension was added by adding a basic medium to which 10% FBS was added, and a 10-fold dilution of the cell suspension was prepared by diluting 50 ⁇ l of 10 ⁇ and saline 90 ⁇ l.
  • RBC Red Blood Cell
  • SIGMA Red Blood Cell
  • basic medium 2-mercaptoethane and RPMI1640 with antibiotics, Wei Gene, Daegu, Korea
  • the spleens in the Petri dish were unicellularized using a mesh, washed twice with 5 ml of basic medium, and centrifuged at 1500 rpm for 5 minutes. After removal of the supernatant, 1 ml of RBCCRed Blood Cell lysis complete solution (SIGMA R7757, USA) was added, shake well by hand, reacted on ice for 3 minutes, suspended after adding 10 ml of basic medium, and then suspended at 1500 rpm.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twice for 5 minutes.
  • the 96-well plates were treated with antigen (OVA, 100 pg / ml) and the prepared 10 yg / ml white axis, Youngsil and Persimmon extracts were added respectively, and the concentration of splenocytes was treated with 5 ⁇ 10 6 cells / well. Next, 37 ° C, C0 2 term was incubated for 72 hours in the reactor to recover the supernatant. Cytokine Analysis of Splenocytes Culture Supernatants (IL-4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Sperm, Clarifier, Dermis, Yulpi, Pearweed, Land and Rhubarb Extracts
  • the secretion types of cytokines which were obtained by adding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added to the splenocytes.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using an ELISA kit (BD Biosicience). Briefly, capture antibody was added to a 96 well plate and left overnight at 4 ° C. The capture antibody-coated 96 well plate was washed three times with a wash buffer (PBS containing Twen 20; PBST), and then PBS containing 10% FBS was added to each well at 200 ⁇ l and block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
  • a wash buffer PBS containing Twen 20; PBST
  • Splenocyte culture supernatants treated with antigen (OVA, 100 ug / ml) and 10 g / ml white axis, Youngsil and Persimmon extracts, respectively, were recovered after 72 hours and used for IL-4 analysis.
  • OVA antigen
  • BD OptEIATM MOUSE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the coated 96 well plates were washed with washing buffer (PBST), and then assayed diluent (PBS with 10% FBS) was added to each well at 200 ⁇ l and block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Next, 100 ⁇ l of standard sample and sample sample are dispensed into each well and allowed to react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Then, 100 ⁇ l of detection antibody and streptoavidin-HRP are dispensed for 1 hour and then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I was.
  • PBST washing buffer
  • PBS with 10% FBS assayed diluent
  • the RBL-2H3 cell line was dispensed at 1 ⁇ 10 6 cells / ml in 0.5 wells of 24 well poolates at 37 ° C. by adding 0.5 pg / ml of mouse monoclonal IgE. Cells were sensitized by overnight incubation in a 5% C0 2 thermohygrostat.
  • the sensitized cells were treated with 0.5 ml siraganian buffer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 25 mM Poprazine-N, N'-bis (2—ethanesulfonic acid) and 40 mM NaOH, H 7.2) twice and 160 ⁇ l reaction buffer 5.6 mM glucose. Shiraganian buffé containing 1 mM CaCl and 0.1% BSACBovine Serum Albumin) was added and incubated at 37 ° C. for 10 minutes.
  • mice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hit with the head of the head and lethal, and then about 10 ml of medium (pH 7.4) was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the mouse and the abdominal wall was lightly massaged for 90 seconds.
  • the abdominal wall midline was cut and the peritoneal lavage fluid was collected with an eyedropper, centrifuged for 10 minutes at lOOXg,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and the same medium was used for the experiment by making a peritoneal suspension with 1x10 6 cells / ml of mast cells.
  • mast cells were observed by an inverted microscope (Olympus Japan) using a hemacytometer under a magnification of 400 times. Most forms of normal mast cells were circular or ovoid, with clear cell outlines and many granules in the cytoplasm. The diameter of mast cells was approximately 10-20 im larger than that of other cells in the peritoneal suspension (lymphocytes or neutrophils).
  •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3 ⁇ 4>) (number of degranulated mast cells / total number of mast cell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 cox enzyme
  • the measurement of 15-L0X inhibitory activity was performed in vitro (/ w ' ro) using a lipoxygenase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 (Cayman, USA). After 10 ⁇ l of sample, 90 ⁇ l of 15— L0X (220 units / ml) and 10 ⁇ l of 1 mM arachidonic acid were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and then 100 ⁇ l of chromogen was added to react at room temperature. The absorbance at 490 nm was measured with an ELISA reader. Positive controls included EGCGCe igal locatechin gal late and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 Inhibition of epithelial cell passage
  • ATCC-derived Caco-2 cell line (HTB-37) was used as Earle 'salt, 20% In MEM medium containing FBS, 1% 100 U / ml penicillin, 100 ⁇ g / ml 1 straptomycin, 2 mM L-glutamine, 1.5 g / L sodium bicarbonate, 0.1 mM non-essential amino acid and 1.0 mM sodium pyruvate Subcultured at 37 ° C and 5% C0 2 conditions.
  • the culture medium was used to concentrate Caco-2 cells on a transmembrane, the apical side of 12 transwell plates, at a density of 1 ⁇ 10 5 cells / ml.
  • 0.5 ml was dispensed (51). 1.5 ml of the culture medium was added to the basolateral side of the wells, and cultured in a 37 ° C., 5% CO 2 thermohygrostat. Medium change was performed every 2-3 days. Approximately 2-3 weeks after dispensing, the C2, which formed a single cell layer, was transferred from the lower and upper layers of Cac to Trans-Epiter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 ) to Mi 11 icel-ERS (Electrical Resistance System Millipore, USA). The measured value was used in the experiment when the value of the cut was greater than 300 ⁇ .
  • TEER Trans-Epiterial Electrical Resistance
  • the Caco-2 single cell layer was washed three times with HBSSCHank's Balanced Salt Solution, followed by 50% EtOH extraction, and then filtered, dried, dried, dried, dried, dried, and dried : 400 ug / ml) was added to the upper layer together with bile salts (final concentration: 150 yg / ml), and then treated at 37 ° C., 5% CO 2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1 hour. Next, 0VA was added to the upper layer (final concentration: 400 ug / ml), and the reaction was performed for 3 hours at 37 ° C. and 5% CO 2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 the concentration of 0VA passed through the liquid from the lower layer was measured by sELISA.
  • the amount of 0VA passed in the lower layer was calculated as follows:
  • C is the amount of OVA passed by ELISA
  • H represents the reaction time (3h) after OVA addition to the upper layer of Caco-2 single cell layer
  • S represents the surface area of the upper layer (1.12 cm 2 ) of the transwell plate.
  • Anti-rabbit-OVA antibody diluted at 2 ug / ml in a coated complete layer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0.05 M, pH 9.0) was dispensed in a 96-well plate at 100 ⁇ per well and allowed to stand overnight at 4 ° C. It was. Coated 96-well plates were washed with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a complete buffer solution Tween 20; PBST, 0.138 M NaCl, 0.0127 M KCl and 0.01 M phosphate complete solution containing 0.05% Tween 20).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Standard OVA and recovered liquor which were diluted in multiples of HBSS, were added at 100 ⁇ l per well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the anti-OVA antibody-bound biotin was reacted with PBST at a certain concentration and treated with 100 ⁇ / well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 the wash buffer as described above was diluted with a certain concentration of avidin (avidin) -HRP with PBST was treated by 100 ⁇ per well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hereafter, it was washed as mentioned previously with a wash complete solution.
  • mice 6-8 week old female balb / c mice were purchased from Charles River Laboratories. Mice were bred in animal testing facilities at the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Understanding of Institution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imal Testing Committee.
  • Persimmon extract was obtained from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as dissolved in DMS0 (Dimethyl Sulfoxide) at a concentration of 25-100 mg / ml.
  • DMS0 Dimethyl Sulfoxide
  • complete medium 10% FBS in Gibco RPMI, 1% penicillin / streptomycin, 1% sodium pyruvate, 1% non-essential amino acid, 2.5% HEPES, ⁇ - Mercaptoethane.
  • the same medium as the extract was added with only DMS0 as a solvent to the complete medium.
  • mice were euthanized with CO 2 and the spleen and lymph nodes were separated and passed through a 70 iM strainer to obtain a single cell suspension.
  • naive CD4 T cells stained with CD25-PE antibody (eBioscience), followed by anti-PE, anti-CD8a, anti-B220 and anti-CDllb beads (Miltenyl Biotec) and MACSCMagnet ic-Act ivated CD4 T cells were enriched by depletion with Cell Sorting.
  • CD62L-Biotin antibody (eBioscience) and anti-biotin beads (Miltenyl Biotec) were then attached and MACS screened to obtain non-sensitized CD4 T cells.
  • Antigen-presenting cells were obtained by RBC lysing single cell suspensions obtained from spleen and lymph nodes, followed by MACS depletion with CD3-biotin antibody (eBioscience) and anti-biotin beads (Miltenyl Biotec). In vitro cell culture
  • antigen presenting cell stimulation conditions anti-CD3 antibody was dissolved in 96 well U-bottom folate and the antigen presenting cells were cultured with 6 ⁇ 10 4 cells / well, non-sensitized CD4 T cells 3 ⁇ 10 4 cells / well. It was.
  • the cultured cells were harvested by CD4-PE / Cy7 (Biolegend) using a complete solution of 1% FBS added to PBSN 0.14M NaCl, 0.003M KC1, 0.01M Na 2 HP0 4) 0.002M KHP0 4> 0.002M NaN 3 ). Surface staining for 15 minutes. Intracellular Foxp3 was then stained using the FoxP3 staining set from eBioscience as directed. FAC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D FACS Calibur and Cell Questpro. Statistical processing
  • IL-4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splenocytes by cows, tubers, larvae, weeds, lands, yulpi, baekchuk, youngsil, saenghyang or rhubarb was tested.
  •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was 4 ⁇ / ml (about 80 rag / ml), and the inhibitory activity of IL-4 production is shown in Table 1 compared to the control.
  • the IC 50 value of the nut extract with high IL-4 inhibitory activity was 7.4 Ug / ml
  • the IC 50 value of the herbaceous extract was 30.91 wg / ml
  • the IC 50 value of the lettuce extract was 1.95 ⁇ 1 / ml.
  • the white axis extract was found to be IL-4 of splenocyt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concentration of 10 ⁇ 1 / ml. Production was reduced by about 60% (FIG. 1). Youngsil extract also reduced IL-4 production of splenocytes by about 30% at 30 ⁇ 1 / ⁇ (Fig. 2). Persimmon extract reduced the IL-4 production of splenocytes by about 35% at 30 ⁇ 1 (FIG. 3). Histamine free inhibitory activity
  • Histamine free inhibitory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conditions: weaning, missing, countermeasure, weeding, landing, yulpi, baekchuk, youngsil, saenghyang, or rhubarb.
  • the free amount of histamine in the non-treatment was 167.7 ng / ml.
  • the stimulants calcium carrier A23187 and PMA (Phosbol 12-Myri state 13-Acetate)] were treated, the free amount of histamine was 232.4 ng / ml. Histamine free inhibition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Each extract is treated to show the inhibitory rate calculated through free histamine.
  • Hyistamine free amount in Table 2 is a limit value of the amount of free histamine (167.7 ng / ral) in the non-treatment from the free amount (ng / ml) during each extract treatment.
  • the histamine free amount is
  • ⁇ -nucleominidase free inhibi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on the extracts of the cultivars, the anti-tark extract, the rhubarb extract, the herbaceous extract ' , the landing extract and the yulp extract.
  • the ⁇ 405 absorbance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release of ⁇ -nucleosaminidase in the absence of treatment, was 0.121.
  • ⁇ - A 405 absorbance indicating the degree of release of nucleosaminidase, is 0.390.
  • the following formula yielded the free inhibition rate of ⁇ -nucleosaminidase.
  • the A 405 absorbance showing the free amount of ⁇ -nucleosaminase was 0.137 ⁇ 0.01, and the inhibition rate of ⁇ -nucleosaminase was 49.2 ⁇ 2.0 3 ⁇ 4. All extracts showed ⁇ -nucleosaminase free inhibitory activity.
  • the histamine free inhibition rate and ⁇ -nucleominidase free inhibition rate of each extract are summarized in Table 4 below.
  • Table 5 shows the C0X-1 and C0X-2 inhibitory activities of each extract.
  • extracts with excellent COX-2 inhibitory activity were selected and compared to IC 50 values.
  • Food allergies are caused by the most undigested bottom allergens passing through the intestinal epithelial layer and being absorbed into the body, resulting in a hypersensitive immune response. Therefore, if you search for and select active materials that inhibit the passage of allergens, you will be able to control the onset of food allergies. Based on this logic,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enteric epithelial cell layer of the extract of L. oleracea, Dermis, Pearweed, Landing or Persimmon. As a result, the extract extract showed excellent epithelial cell passage inhibitory activity with an allergen passage rate of about 6%.
  • Kaiser 1 i an D. Oral probiot ic control skin inflammation by acting on both effector and regulatory T cells. PLoS.One. 4: e4903 (20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Der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및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히스타민 분비 억제방법 및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IL-4 생성 억제 활성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 그리고 COX-2 억제, 15-NOX 억제,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층 통과 억제 또는 Treg 세포 유도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및 식품 유래 항알레르기 물질의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공하고,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안정성, 생산비용의 감소 및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한민국 지식경제부의 지원 하에서 과제번호 E0121500 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과제의 연구관리전문기관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사업명은 "한국식품연구원 주요사업" , 연구과제명은 "알레르기 대웅 기능성식품 연구개발 사업" , 주관기관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기간은 2012. 01. 01 - 2012. 12. 31 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2년 05월 29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2-0057005호, 2012년 05월 29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2-0057006호, 2012년 12월 06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2-0141324호, 2012년 12월 06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 2012-0141327호, 2012년 12월 06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2-0141329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 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T 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습관의 변화, 위생의 청결화, 공해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알레르기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전 국민의 20-25%가 아토피피부염 (AD), 천식, 비염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킴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는 영유아의 6-8%에서 확인되고 있고, 소아의 AD는 35%가식품알레르기에 의한 것으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아직까지 여러 알레르기에 대하여 확실한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가 거의 없으며, 소아 아토피피부염이 증가하고 있으나 소아의 특성상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 계통의 약물은 부작용이 심하여 세계적으로 그 대안을 마련하기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에 대응하는 방안으로써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면서 확실한 효능이 기대되는 소재를 천연물과 식품으로부터 발굴하여 '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성소재 및 성분의 항알레르기 작용기전도 함께 구명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에 주류를 이루는 치료제는 알레르기 및 당뇨에 대한 것이다 (일본 닛케이산쿄신문). 미국에서는 5,000만 명이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다 (의약품시장, 연 52억불). 일본에서는 연간 1,560억 엔의 알레르기 관련 의약품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능성식품시장은 약 600억 엔이다. 국내의 경우 이 분야 의약품시장은 약 500억 원이다. 최근 일본 기능성식품의 특허 동향에서 "항비만" 다음으로 출원건수가 많은 분야가 "항알레르기" 이다. 향후 높은 부가가치가 기대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요망된다.
최근에 면역기능조절이나 알레르기억제 활성을 강조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인정을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많은 건수가 신청되고 있다. 또한, 근년 일본의 특허분석을 통하여 조사한 미래 기능성식품의 잠재력은 "항비만" 다음으로 "항알레르기 " 활성으로 보고되었다.
알레르기는 "과민반웅" 이라는 뜻으로 그리스어인 "alios" 가 어원이며, 이는 "변형된 것" 을 뜻한다. 이처럼 알레르기란 면역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보통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가려움, 콧물, 기침 등의 이상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최근 20 년 동안 이와 같은 알레르기성 질병의 발병율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2). 주된 증가요인으로는 실내생활의 증가, 신소재의 개발, 외국으로부터 이물질 유입등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급증과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상태의 불안정, 그리고 식생활의 변화 등이 있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알레르기 질병 발병율은 점차 증가하나 그 치료방법은 대부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대중적 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찾지 못하고 있다 (3).
Gell 및 Coombes(1963)는 알레르기반웅을 발현시간과 타입에 기초하여 전통적으로 4 개의 부류로 나누었다 (4). I - III 형은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성 면역 반응 (즉시형)이고, IV 형은 세포가 직접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 반응 (지연형)이다. 그리고 면역반웅에 관여하는 세포와 매체의 종류에 따라 수분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또는 조기 반웅과 몇 시간 후에 나타나는 후기단계 반웅으로 나뉘는데 제 I 형은 즉시형 과민반웅, 제 IV 형은 지연형 과민반웅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알레르기 반웅은 제 I 형으로 천식, 비염, 결막염, 식품 및 약물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대표적인 질환으로 나타나고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가 일어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빈?웅은 2 단계로 나뉘는데 제 1 단계는 알레르겐의 체내 침입에 의하여 IgE 및 IgGl의 분비를 억제하고, IgG2a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IL-12 및 IFN- /"을 생산하는 Thl 세포반응과 IL-4, IL-5 및 IL-13등을 생산하는 Th2 세포반웅의 균형이 Th2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Th2의 과도한 면역반웅으로 IL-4, IL-13 등이 분비되고 그 영향으로 B 세포가 생산한 IgE 특이항체들이 비만세포 (mast cell)나 호염기구 (basophil)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알레르기 발증이 준비된 단계이다. 이를 알레르겐에 감작되었다고 한다 (5-7) (그림참조: "allergic diseases" , "Thl/Th2 balance") .
알레르기 발증의 제 2 단계는 초기반응과 후기반응으로 나뉘며, 초기반웅은 알레르겐이 체내에 재침입하여 비만세포를 자극하고 탈과립 반웅을 유발하여 이 때 방출된 히스타민, 지질대사물, 사이토카인 등에 의한 혈관확장 등이 일어나는 것이고, 후기반웅은 해당조직에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Th2 세포, 호염기구 등이 침윤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되어 아토피피부염, 비염, 천식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7). 이 같은 탈과립 분비 물질 중 히스타민은 가장 잘 알려진 인자이며, 즉각형 과민반웅과도 관련되어 알레르기 증상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8). 한편 식품알레르기는 최근 10년 동안 선진국에서는 약 3-6%의 어린이들에게서 발병되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9). 식품알레르기는 소화관을 통해 체내에 들어 온 식품에 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제 I 형 과민반응에 해당한다. 알레르기 환자의 경우 장관을 통하여 식품알레르겐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침투하게 되며 (.4, 10), 이러한 알레르겐의 장내 흡수가 식품알레르기 발증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11). 장관은 영양소의 소화흡수를 담당하는 기관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생체 조절에 관여하고 있다. 장상피 세포는 소화흡수, 장벽 (barrier), 식신호의 전달 / 변환 등의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독특한 면역시스템 (mucosal immunity)이나 신경조직이 발달되어 있는 등 소화관 /장관의 역할을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이렇듯 장상피세포는 장벽으로써 밀착연접 (tight junction)에 의해 거대 분자의 투과를 제한하나 밀착연접이 손상된 경우에는 장벽의 기능 장애로 인해 투과성이 증가되어 식품알레르기뿐만 아니라 소아지방변증, 급성 췌장염과 같은 질환이 발생된다 (12-17). 즉, 밀착연접의 안정화를 통해 장관의 장벽 기능을 강화시킨다면 식품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앞선 논문들에서는 식품 및 천연물의 알레르기 억제 활성이 상당수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알레르기의 치료 및 예방에 식품과 천연물이 한방과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18, 19).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빈랑자, 지모, 호로파 둥의 한약재 및 약초들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며 (20-33), 퀘르세틴 (quercetin), 다래, 마늘, 들깨 기름, 곤약, 소엽, 맥문동의 다당류성분, 영지버섯, 일본간장의 다당체 성분, 로얄 젤리, 동충하초 등에서의 Thl/Th2 면역반웅 조절에 관한 연구도 다수 보고되었다 (34-44). 이 외에 유산균, 발효된 보리, 청국장 등에서의 알레르기성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에 관한 결과도 보고되었다 (45-49).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같은 Thl 또는 Th2 면역 반웅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견우자0¾3/ /5 nil Choisy) , 결명자 (5a?/?a obtusi folia L.), 덱극 Euphorbia pekinensis) , ^Si^iAgastache rugosa) , 상 (Phytolacca esculenta) , \ Castanea crenata S. ) , 백축 ( ¾ar)/i/s nil Chois) , 영실 {Rosa mult i flora) , ( Nardostachys jatamanse) 및 대황 0¾euw rhabarbarum L.) 추출물이 IL-4 생성 및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을 억제하고, C0X-2 억제 활성, 15-N0X 억제 활성,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억제 활성 또는 Treg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히스타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스타민 -매개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객체 (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같은 Thl 또는 Th2 면역 반웅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추출물이 IL-4 생성 및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을 억제하고, C0X-2 억제 활성, 15- N0X 억제 활성 ,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억제 활성 또는 Treg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이다. 극성 용매는 (i) 물, (ii) 알코을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을, 프로판올, 부탄을, 노말-프로판 이소 -프로판올, 노말-부탄을, 1-펜탄을, 2-부톡시에탄을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 formamide) 및 (v) DMSOC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핵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핵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0-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틀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젤,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ᅳ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을, 프로판올, 부탄을 등), (c) 상기 저급 알코을과 물과의 흔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핵산 또는 (j) 디에틸에테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올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 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 (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 ( 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 -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란 하기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2-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매개 면역 질환" 은 알레르겐 -특이 Th2 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의한 IgE 및 비만세포가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 세포" 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h2 세포는 IL-4, IL-5, IL-10, 및 IL-13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반웅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레르기' 는 인체의 어떤 물질에 대한 과민증, 즉 외부로부터 들어온 물질에 대한 신체 면역계의 과도한 반웅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웅 및 제 IV 형 지연형 과민반웅이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응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두드러기 및 아나필라시 쇼크 (anaphylatic shock)이고, 제 IV 형 지연형 과민반응은 은 접촉성 과민증,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세균 알레르기, 진균 알레르기ᅳ 바이러스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갑상선염 및 알레르기성 뇌염이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응은 2 단계로 나뉘는데 제 1 단계는 알레르겐의 체내 침입에 의하여 IgE 및 IgGl의 분비를 억제하고, IgG2a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IL-12 및 -¥를 생산하는 Thl 세포반응과 IL-4, IL-5 및 IL-13 등을 생산하는 Th2 세포반응의 균형이 Th2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Th2의 과도한 면역반웅으로 IL-4 및 IL-13 등이 분비되고 그 영향으로 B 세포가 생산한 IgE 특이항체들이 비만세포 (mast cell) 및 호염기구 (basophil)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알레르기 발증이 준비된 단계이다. 이를 알레르겐에 감작되었다고 한다. 알레르기 발증의 제 2 단계는 초기반응과 후기반웅으로 나뉘며, 초기반웅은 알레르겐이 체내에 재침입하여 비만세포를 자극하고 탈과립 반응을 유발하여 이 때 방출된, 히스타민, 지질대사물, 사이토카인 등에 의한 혈관확장 등이 일어나는 것이고, 후기반웅은 해당 조직에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Th2 세포, 호염기구 등이 침윤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되어 아토피피부염, 비염, 천식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같은 탈과립 분비 물질 중 히스타민은 가장 잘 알려진 인자이며, 즉시형 과민반응과도 관련되어 알레르기 증상의 중요한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알레르기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아토파와 관련된 다른 피부학적 질환, 알레르기 비염 (급성 또는 만성), 고초열, 천식 및 식품 알레르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알레르기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 또는 식품 알레르기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알레르기 질환은 식품 알레르기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Th2 면역반웅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IL-4의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 4 생산을 10-99%,
30-99%, 50-99%, 70-99%, 80-99% 또는 90-99%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IL-4 생산에 대한 IC50 값이 5-10, 6-9 또는 7-8 y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은 농도가 50-
100, 70-90 또는 75-85 m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99%, 30-99%, 50-99%, 70-99%, 70-90% 또는 75-8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농도가 50-100, 70-90 또는 75-85 m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99%, 30-99%, 50-99%, 50-90%, 60-80% 또는 65—7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IL-4 생산에 대한 IC50 값이 10-50, 20-40 또는 25ᅳ35 y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은 농도가 50-100, 70-90 또는 75-85 m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80%, 30-80%, 30-70%, 40-70% 또는 50-6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IL-4 생산에 대한 IC50 값이 0.5—5, 0.5-3 또는 1-3 yg/ml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은 농도가 50- 100, 70-90 또는 75-85 m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60%, 10-50%, 10-40%, 20-40% 또는 25-3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은 농도가 50-100, 70-90 또는 75- 85 m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50%, 20-50%, 20-40% 또는 25-3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은 농도가 50-100, 70-90 또는 75-85 m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70%, 30-70%, 50-70% 또는 55-65%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축 추출물은 농도가 1-30, 5-30, 7-30, 7-20 또는 7- 15 y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50%, 20-50% 또는 20-40%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실 추출물은 농도가 1-50, 5-50, 10-50, 20-50, 20-40 또는 25-35 y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을 10-50%, 20-50% 또는 30-40%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은 농도가 1-50, 5-50, 10-50, 20-50, 20-40 또는 25— 35 ug/m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라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과립을 억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탈과립' 은 특정 세포 내 존재하는 과립제 (granules)인 분비소낭 (secretory vesicle)으로부터 항균성 세포독성 분자가 유리되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특정세포는 면역계 내의 과립구 (호중구ᅤ 호산구 및 호염기구) 및 비만세포와 자연살해 세포 및 세포독성 T세포와 같은 특정 임파 세포를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히스타민 분비 억제, β- 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 (β -hexosaminidase release) 억제 또는 비만세포의 형태변화 억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30-9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50-90%, 70-90% 또는 75-8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30-70%, 30-60% 또는 40- 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은 농도가 30-150, 50-150, 70-150 , 90-150, 90-120 또는 95-105 ra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10-50%, 10-40% 또는 20-3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10-50%, 20-50% 또는 30- 4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은 농도가 1-20, 3-20, 3-10 또는 3—7 μΐ/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20-40% 또는 25-3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10-30% 또는 15-2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농도가 1-20, 3-20, 3-10 또는 3-7 μΐ/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20-50% 또는 30-4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10-40% 또는 25-4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은 농도가 1-20, 3-20, 3-10 또는 3-7 μΐ/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9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30-90%, 50-90% 또는 6으 8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10-70%, 30-70% 또는 40- 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은 농도가 1-20, 3-20, 3-10 또는 3—7 μΐ/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7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30-70% 또는 4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30-70%, 40-60% 또는 4으5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은 농도가 1-20, 3-20, 3-10 또는 3-7 μΐ/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10-50%, 20-50% 또는 30-4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를 10-50%, 10-40% 또는 20- 3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은 농도가 1-20, 3-20, 3-10 또는 3-7 μΐ/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80%, 30-70% 또는 4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축 추출물은 농도가 0.001-10, 0.005-10, 0.01-10, 0.01-5, 0.01-3 또는 0.01-1 y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90%, 20-90% 또는 20-8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실 추출물은 농도 0.05-1.0, 0.05-0.5, 0.05-0.3 또는 0.05- 0.1에서 10-30% 또는 20-25%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실 추출물은 농도 0.1-10, 0.5-10, 0.5-5, 0.5-3, 0.7-3 또는 0.7— 2에서 30-90%, 50-90%또는 70-9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10-80%, 30-70%또는 40-70%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은 농: £가 0.001-10, 0.005-10, 0.01-10, 0.01-5, 0.01-3또는 0.01-1 yg/ml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lᅳ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l-매개 면역 질환" 은 Thl 세포의 생성 및 /또는 활성에 의해 생성되는 사이토카인, 예컨대, IL-Ιβ, IL-2, IL-12, IL-17, IFN-γ 또는 TNF-α 등이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l 세포" 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 예를 들어 , Thl 세포는 IL-2 및 IFNᅳ γ를 합성하지만 IL—4, IL-5, IL-10 및 IL-13는 합성하지 않는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Thl 세포는 다양한 세포내 병원균에 대한 세포 -매개 면역반웅, 기관-특이적 자가면역 질환 및 지연성 과민반웅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타입 1 당뇨병, 타입 2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Reactive Arthritis), 골관절염, 건선, 공피증, 골다공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나병, 매독, 라임 질환 (Lyme), 보렐리아증 (Borreliosis), 신경성-보텔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 (Sarcoidosis), 낭창, 원판성 낭창, 동창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흥반성 루프스, 천식, 황반변성, 포도막염, 과민대장 증후군, 크로씨병, 쇼그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킨스병, 다발경화증, 자폐스펙트럼 장애, 주의력결핍 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l-매개 면역 질환은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율피 또는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C0X- 2(cyclooxygenase-2) 활성 억제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우자 추출물은 농도가 60-100, 70-90또는 75-85 rag/ml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은 C0X-2 IC50/ C0X-1 IC50 수치가 2.5-4.0이고, 상기 대극 추출물은 COX-2 IC50/ C0X- 1 IC50 수치가 2.5-4.5이며, 상기 대황 추출물은 COX-2 IC50/ C0X-1 IC50 수치가 7.0-9.0이고, 상기 율피 추출물은 COX-2 IC50/ C0X-1 IC50 수치가 7.5-9.5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의 C0X-2 IC50 값은 각 10으250, 150-250, 150-200 또는 180—200 ug/ml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의 COX-2 IC50 값은 각 10-40, 25-40 또는 35-45 g/ml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의 COX-2 IC50 값은 10-40, 20-40 또는 30-40 yg/m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또는 상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15-L0X(15-Lipooxygenase)의 활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극 추출물의 15-L0X
IC50 값은 각 70-100, 80-93 또는 85-90 ug/ml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륙 추출물의 15— LOX IC50 값은 80-120, 90- 110또는 95-105 yg/m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다. T세포에서 Treg 세포로의 유도는 Foxp3의 발현 증가로 알 수 있으며, Treg 세포를 유도함으로써 Thl/ Th2 균형을 유도하여 Thl-매개 면역 질환 및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은 1-20, 3-20, 3-15 yg/ml로 처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3p의 발현을 1.5- 4.0배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송향 추출물은 5-20, 7-20, 7-15 또는 7-13 yg/ml로 처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Fox3p의 발현을 3-4배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 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분비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 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 조성물을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매개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히스타민 -매개 질환" 은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이 분비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히스타민 조성물이 적용되는 히스타민ᅳ매개 질환은 만성 두드러기 (chronic urticaria), 혈관 신경 부종 (angioedema), 천식, 알레르기 유사 반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 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 조성물올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올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성 조성물에 적용되는 염증 질환은 염증성 피부 질환 (예컨대, 습진 및 건선), ᅳ류마티스 관절염 , 접촉성 피부염 , 여드름, 부비동염, 골관절염, 위염, 통풍, 통풍 관절염, 궤양, 만성 기관지염, 급성 폐손상, 폐염증, 염증성 장질환 (예컨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폐혈증, 폐혈성 쇼크, 맥관염 및 활액낭염 같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영실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또는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억제한다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상피세포층은 장상피세포층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10-99, 30-99%, 50-99%, 70-99%또는 90-99%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실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10-50%, 20-50%또는 30- 40%억제한다.
본 발명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ᅳ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 는 치료용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 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 은 상술한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층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를, 만니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슴,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샐롤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샐를로스, 물, 시럽, 메틸 샐를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경구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rag/kg 범위 내이다 .,,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액스제 ,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샐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견우자, 결 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항 히스타민 조성물, 항염증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 분으로서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 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 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 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롤, 소르비를, 에리트리틀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 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 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 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견 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 는 치료용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항염증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 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 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 드링크 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 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 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 사카라이드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 (예컨대, 말 토스, 수크로오스 등); 을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덱스트린, 시클 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 (예컨대, 자일리를, 소르비틀, 에리쓰리를 등) 올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예컨대 ,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 물 등) 및 합성 향미제 (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 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항염증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 효 성분으로서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 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음,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샐를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을,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를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회석제, 에록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를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를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을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 메틸타우레이트 ,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을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를 지방산 에스테르 둥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견우자, 결 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항 히스타민 조성물, 항염증용 조성물이 사료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견우 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을 그대로, 또는 사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이다. 그 형상에는 분체, 과립, 펠릿 또 는 현탁액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육상 또는 수상 동물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흔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에는 분말사료, 고형사료, . 모이스트 펠릿사료, 드라이 펠릿사료, EPCExt 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및 항염증용 조성물올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히스타민 분비 억제방법 및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IL-4 생성 억제 활성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 그리고 C0X-2 억제, 15-N0X 억제,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층 통과 억제 또는 Treg 세포 유도활성을 갖는다.
(d) 본 발명은 천연물 및 식품 유래 항알레르기 물질의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공한다.
(e) 본 발명은 천연물올 소재로 이용하여 안정성, 생산비용의 감소 및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마우스 비장세포의 IL-4 생성에 대한 백축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마우스 비장세포의 IL-4 생성에 대한 영실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마우스 비장세포의 IL-4 생성에 대한 감송향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마우스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에 대한 백축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마우스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에 대한 영실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마우스 비만세포 (mast cell)의 탈과립에 대한 감송향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7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조사한 실험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에 대한 영실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9a 및 9b는 마우스 비장 및 림프절 세포에서 Treg 세포로의 유도에 대한 감송향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및 실험재료
시약및기기
OVA(Ovalbumin) , EL ISA( Enzyme— 1 inked immunosorbent assay) 용 일반시약 등은 시그마사 (St. Louis, 미국) 제품을 사용하였다. TEER(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Ω/cnf)측정을 위해 사용한 Millicell-ERS(Electrical Resistance System)는 밀리포어 (Mill ipore)사 (Bedford, MA, 미국)제품을 사용하였다. ELISA를 위한 항 -OVA 항체 및 특이항체 -효소 결합물은 자체적으로 제작한 것 (류주현, 박춘욱, 이종미, 손동화 (2004) NaOH, 열 및 효소 처리에 의한 계란 난백 중 ovomucoid와 ovalbumin의 항원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6(1): 147- 151.)을, 마이크로플레이트 (microplate)는 넌크 (Nunc)사 제품을, 리더 (reader)는 Molecular Devices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IgE와 사이토카인 측정에 사용된 ELISA 키트는 BD bioscience사 (San Diego, CA, 미국)제품을 사용하였다. 시료의 확보 및 용매추출물의 준비
^^^ Pharbitis nil Choisy) 결명자 (5e/Ma obtusifolia L.), 캑 [극 {Euphorbia pekinensis) , ^^ .^ {Agastache rugosa) , - mPhytolacca esculent a) , -:^] {Castanea crenata S. ) ¾ ^훼 Rhe n rhabarbarum L. )¾·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시료를 분쇄한 다음 25배의 50% EtOH을 첨가한 후 Prolabo사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시스템 Soxwave 100 (Fontenay- Sous-Bois, 프랑스)을 이용하여 90 W에서 5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로 여과하고 약 40%까지 감압 농축한 후 0.45 ΛΐΓ시린지 필터로 막여과 하여 4°C에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즉,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 100 g 기준 으로 70% EtOH 1,000 ml을 첨가하고 역류하여 추출하였다 (2회 실시). 역류 조건은 약 60°C에서 3시간 후 추출물을 한번 회수 하고 다시 70% EtOH 1,000 ml를 첨가하여 총 2회 실시하였다. 그 후 회전식 진공증발기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최종 100 ml정도로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넁동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백축, 영실 및 감송향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였으며, 각 시료는 95%에탄올또는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에 의한 Thl/Th2사이토카인 균형조절 활성시험 (ex vivo)
0VA≤ 면역한 마우스 비장세포 배양-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추출물
6주령 자성 BALB/c 마우스에 1주일 간격으로 2차례 알레르겐 (al lergen)을 복강면역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알레르겐은 0VA(20 ^g) 및 백반 (2 mg)의 흔합액을 30분동안 흔합한 다음 마리당 100 μΐ씩 복강 주사하였다 (η=5). 면역 1주후 마우스를 경추탈골 하고 무균상태에서 비장올 적출하여 1 ml의 기본배지 (2-머캅토에탄을 및 항생제를 포함하는 RPMI1640)을 작은 페트리디쉬에 옮겨 아이스박스위에 보관하였다. 페트리디쉬에 담긴 비장은 메쉬 (mesh)를 이용하여 단세포화한 후 5 ml의 기본배지로 2회 세척하고 1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1 ml의 RBC(Red Blood Cell) 용해 버퍼 (SIGMA, 미국)를 첨가하여 손으로 잘 흔들어 현탁하고 3분 동안 아이스 위에서 반응시킨 뒤 10 ml의 기본배지 첨가 후 현탁하고 1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2회 실시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10% FBS를 첨가한 기본배지를 첨가하여 현탁하고 50 μΐ 증 10 μΐ와 살 린 (saline) 90 μ 1를 회석하여 10배 회석한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10 배 회석한 세포 현탁액 10 μΐ, 살린 190 μΐ 및 트리판 블루 (SIGMA, 미국) 190 μΐ을 첨가하고 흔합하여 5분 동안 방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48- 웰 플레이트에 항원 (100 Ug/ml)을 처리하고 각 4 yg/ml의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그 후 5X 106 세포 /500 μΐ/웰의 밀도로 비장세포를 웰에 분주하였다. 37°C C02 항온 항습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0VA 면역한 마우스 비장세포 배양-백축, 영실 및 감송향
5주령된 자성 BALB/c 마우스에 1주 간격으로 2차례 알레르겐 (allergen)을 복강면역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알레르겐은 0VAC20 )와 알럼 (alum, 2 rag)의 흔합액을 30분 동안 흔합한 다음 한 마리당 100 μΐ씩 복강 주사하였다 (η=5). 면역 1주후 마우스를 경추탈골 시키고 무균상태에서 비장을 적출하여 1 ml의 기본배지 (2-머캅토에탄을 및 항생제를 첨가한 RPMI1640, Wei Gene, 대구, 대한민국)를 첨가한 작은 페트리 접시에 옮겨 아이스박스 상에 보관하였다. 페트리 접시에 담긴 비장은 메쉬를 이용하여 단세포화 시킨 뒤 5 ml의 기본배지로 2회 세척하고 15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1 ml의 RBCCRed Blood Cell) 용해 완층액 (SIGMA R7757, 미국)을 첨가하여 손으로 잘 흔들어 현탁하고 3분 동안 아이스 위에서 반응시킨 뒤 10 ml의 기본배지 첨가 후 현탁한 뒤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2회 실시 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항원 (OVA, 100 pg/ml)을 처리하고 준비된 10 yg/ml 백축, 영실 및 감송향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였으며, 비장세포의 농도는 5X106 세포 /웰로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37°C, C02 항은반응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비장세포 배양상층액의 사이토카인 분석 (IL-4의 생성 억제활성) -견우자, 결명자, 대극, 율피, 배초향, 상륙 및 대황추출물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을 각각 상기 비장세포에 첨가하여 나타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유형을 조사하였다. 분석은 ELISA 키트 (BD Biosicience사)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행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96 웰 플레이트에 포획항체를 첨가하고 4°C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포획항체가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를 세척버퍼 (트원 20을 포함하는 PBS; PBST)로 3회 세척한 후 10% FBS를 포함하는 PBS를 200 μΐ씩 각 웰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3회 세척 후 각 표준시료와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을 100 μΐ씩 각 웰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다시 5회 세척하여 검출항체 및 스트렙타비딘 -HRP를 100 μΐ씩 분주한 후 상은에서 1시간동안 반응하였다. 7회 세척 후 웰 당 100 μΐ의 기질용액 (0.01% ΤΜΒ를 포함하는 구연산-인산염 버퍼, ρΗ 5.0, 0.001% Η202)으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발색한 후, 2Μ H2S04를 50 μ 1씩 각 웰에 첨가하여 발색반웅을 중지하였다. 발색정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THERMOmax, Molecular Devices, 미국)로 450 ra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장세포 배양상층액의 사이토카인 분석 (IL-4의 생성 억제활성) -백축, 영실 및 감송향
항원 (OVA, 100 ug/ml) 및 10 g/ml 백축, 영실 및 감송향 추출물 각각이 처리된 비장세포 배양 상층액을 72시간 후 회수하여 IL-4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하여 BD OptEIATM MOUSE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키트에 명시된 실험방법에 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96웰 플레이트에 포획 항체를 4°C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 (PBST)으로 세척한 후 분석용 회석제 (10% FBS가 첨가된 PBS)를 200 μΐ씩 각 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 (blocking)하였다. 다음으로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100 μ 1씩 각 웰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검출 항체와 스트랩타비딘 (streptoavidin)-HRP를 100 μ 1씩 분주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웅시간 후 100 μΐ의 기질용액 (0.01% ΤΜΒ가 첨가된 인산염-구연산염 완층액, ρΗ 5.0, 0.001% Η202)으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발색시킨 다음, 2 M H2S04를 50 μ 1씩 각 웰에 첨가하여 발색반응올 중지시켰다. 발색 정도는 45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THERMOmax, Molecular Devices, 미국)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탈과립 억제활성
히스타민 및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억제 활성-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추출물 흰 마우스의 호염기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주를 10¾ FBS, 100 U/ml 페니실린, 100 ug/ml 스트랩토마이신 및 1.0 mM 피루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37°C 및 5% C02 조건 하에 항온항습기에서 배양하여 히스타민 및 β-핵사미니다아제 활성 시험에 사용하였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RBL-2H3 세포주를 24 웰 플레이트에 1X106세포 /ml로 분주하고 하룻밤 정치하여 세포를 안정화 시킨 ·,: 다음 각 웰에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80 rag/ml)를 각각 5 μΐ씩 처리하고 1시간 동안 반웅하였다. 반웅이 종결된 다음 자극제 [1 uM 칼슘운반체 A23187+50 nM PMA(Phosbol 12-Myri state 13- Acetate)] 를 처리하여 8시간 동안 반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50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유리된 히스타민 양을 측정하였다. 이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히스타민 EIA(Enzyme I醒 unoassay) 키트 (EA31, Oxford, 미국)를 이용하였다.
즉, 단일클론 항-히스타민 항체가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에 50 μΐ 상층액 또는 표준시료를 첨가한 다음 바로 효소 결합체 50 μΐ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45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고 세척버퍼로 3회 세척하였다. 다음, 기질 (Tetra-methyl benzidine; TMB)을 150 μ 1 첨가한 후 15-20분 동안 반응하고 50 μΐ의 1 N HC1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450 ra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억제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RBL-2H3 세포주를 1X106 세포 /ml로 24 웰 풀레이트에 0.5 ml씩 분주하고 0.5 pg/ml의 마우스 단일클론 IgE를 첨가하여 37 °C, 5% C02 항온항습기에서 하룻밤 배양하여 세포를 감작하였다. 감작된 세포를 0.5 ml 시라가니안 (siraganian) 버퍼 (119 mM NaCl , 5 mM KCl, 0.4 mM MgCl , 25 mM 포페라진 -N,N'-bis(2—에탄설폰산) 및 40 mM NaOH, H 7.2)로 2회 세척하고 160 μ 1 반응버페 5.6 mM 글루코오스. 1 mM CaCl 및 0.1% BSACBovine Serum Albumin)을 포함하는 시라가니안 버페를 첨가하여 37°C에서 1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5 μΐ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을 각각 첨가하여 20분 동안 반응한 후, DNP-HSA(Dinitrophenyl-Human Serum Albumin, 1 ug/ml) 20 μ 1를 항원으로 처리하여 10분 동안 37Χ에서 배양하여 알레르기성 염증 반웅올 유도하였다. 반웅물을 800 x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20 μ 1 상층액 및 20 μ ΐ 기질 (1 mM p-니트로페닐— N-아세틸 -β-D-글루코사미나이드을 포함하는 0,2 M 구연산, pH 4.5)을 분주하여 37°C에서 1시간 동안 반웅하였다. 반웅을 종결시키기 위해 0.1 M Na2C03/NaHC03을 200 μ 1씩 첨가한 후 발색단 (chromophore), p-니트로페몰의 양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만세포의 형태변화 관찰-백축, 영실 및감송향
마우스를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머리의 뒤통수를 강타하여 치사시킨 후 약 10 ml의 배지 (pH 7.4)을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입하고 90초 동안 복벽을 가볍게 맛사지하였다. 복벽 중앙선을 절개하고 복강 세척액을 스포이드로 채취하여 lOOXg에서 10분 동안 원심 시킨 후 상층액을 버리고, 동일 배지로 비만세포 (mast cells) 수가 1X106 세포 /ml 되도록 복강 부유액을 만들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재부유시킨 비만세포 부유액 200 μ ΐ에 살린 (saline) 25 μ 1 또는 백축 추출물 (1 ug/ml, 0.1 ug/ml 또는 0.01 ug/ml) 25 μ 1를 각각 넣어 37 °C 배양기에서 10분 동안 반웅시켰다. 반웅 후 컴파운드 48/80(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미국) 용액 25 μ 1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광학현미경 상으로 비만세포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반응이 끝난 비만세포 부유액 200 μ ΐ를 도립현미경 재물대 위에 놓여진 슬라이드글라스 (slide glass, 22x60 mm) 위에 떨어뜨려 비만세포들이 침전될 수 있도록 실온에서 10분 동안 정치시켰다. 400배의 배율 하에서 해마사이토메타 (hemacytometer)¥ 이용하여 비만세포를 도립현미경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비만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뚜렷하고, 세포질 내에는 많은 과립들이 층만 되어 있었다. 비만세포의 직경은 대략 10-20 im 정도로 복강 부유액의 다른 세포들 (림프구 또는 호중성백혈구)에 비해 2배 이상 컸다. 비만세포의 형태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뚜렷하고, 세포질 내에 광굴절율이 높은 과립들로 충만된 상태를 정상형 비만세포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세포윤곽이 불분명하고 세포질 내 과립들이 세포표면으로 돌출 되거나 세포주위에 흩어져 있는 경우를 탈과립형으로 구분하였다. 탈과립율은 다음 공식에 의하여 산출뒤었다:
비만세포 탈과립율(¾>) = (탈과립된 비만세포 수 /비만세포 총수 )χιοο cox효소에 대한저해활성
Reddy(2000)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인 비트로 (In w r^에서 수행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하나의 웰당 효소 40 u U60 유니트 C0X- KCyclooxygenase) 또는 30 유니트 C0X-2)를 첨가하고, 90 μ ΐ의 100 mM Tris-HCI 버퍼 (pH 8.0), 20 μ 1의 30 μ M EDTA(Ethylenediaminetetraacet ic Acid), 20 μ ΐ의 150 μΜ 헤마틴 및 20 μ 1 시료를 흔합하여 25°C에서 5분동안 반웅하고, 5 μ ΐ의 5 mM TMPD 및 5 μ 1의 20mM 아라키돈산을 첨가하여 25°C에서 10분동안 반응 시킨 후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60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EGCG(Epigallocatechin Gal late , Sigma, 미국) 및 인도메타신 (Sigma, 미국)을 사용하였다.
L0X저해활성
15-L0X 억제 활성의 측정은 리폭시제나아제 억제제 스크리닝 분석키트 (lipoxygenase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 , Cayman , 미국)를 이용하여 인 비트로 (/ w' ro)에서 실시하였다. 샘플 10 μ ΐ에 15— L0X(220 유니트 /ml) 90 μ ΐ와 1 mM 아라키돈산 10 μ 1를 첨가하여 5분 동안 상온에서 반웅 시킨 후, 크로모겐 (chromogen) 100 μ 1를 가하여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ELISA 리더로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은 EGCGCe igal locatechin gal late) 및 노르디히드로구아야레틱산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을 사용 하였다. 상피세포층 통과 억제
Caco—2세포배양및 OVA 통과억제실험
ATCC 유래의 Caco—2 세포주 (HTB—37)를 얼스 염 (Earle' salt), 20 % FBS, 1% 100 U/ml 페니실린, 100 μ g/ml 1 스트랩토마이신, 2 mM L-글루타민, 1.5 g/L 이탄산나트륨, 0.1 mM 비-필수 아미노산 및 1.0 mM 피루브산 나트 륨올 포함하는 MEM 배지에서 37°C, 5% C02 조건 하에 계대배양 하였다. Caco-2 단세포층을 이용한 식품 알레르겐 통과시험을 하기 위해 상기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Caco-2 세포를 12 트랜스웰 플레이트의 상층부 (apical side)인 통과막 (transmembrane) 상에 1X105세포 /ml의 밀도로 0.5 ml을 분 주하였다 (51). 웰의 하층부 (basolateral side)에는 배양배지 1.5 ml을 첨가 하고 37°C, 5 % C02항온항습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교환은 매 2-3일에 간 격으로 실시하였다. 분주 후 약 2-3주가 지나 단세포층을 형성한 Cac으 2 세 포의 하층부와 상층부 간 전기저항치 (Transepither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ΩΧαί)를 Mi 11 icel l-ERS(Electrical Resistance System Millipore, 미국)로 측정하여 추치가 300 ΩΧαιί 초과인 경우 실험에 사용 하였다. Caco-2 단세포층을 HBSSCHank's Balanced Salt Solution)로 3회 세 척 한 후 50% EtOH 추출 후 막여과한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및 대황 추출물 (최종농도: 400 ug/ml) 각각을 담즙산염 (최종농도: 150 yg/ml)과 함께 상층부에 .첨가한 후 37°C, 5% C02 항온항습기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0VA를 상층부에 첨가 한 후 (최종농도: 400 ug/ml) 37°C, 5% C02항온항습기에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한번 더 TEER수치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하층부의 액을 회수하여 통과된 0VA의 농도를 sELISA로 측정하였다. 하층부 내의 통과된 0VA량은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Flux = C ng/ H hr/ S cm2
여기에서 C는 ELISA에 의하여 구한 OVA의 통과량이고, H는 Caco-2 단세포층 상층부에 OVA 첨가 후 반웅시간 (3h)을 나타내며, S는 트랜스웰 플레이트의 상층부 표면적 (1.12cm2)을 나타낸다.
ELISA에 의한 OVA 분석
코팅 완층액 ((tris hydroxymethyl ) aminomethane 0.05 M, pH 9.0)에 2 ug/ml의 농도로 회석한 항 -래빗 -OVA 항체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100 μΐ씩 분주하여 4°C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세척 완층액버페 Tween 20을 포함하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BST, 0.138 M NaCl, 0.0027 M KCl 및 0.05% Tween 20을 포함하는 0.01 M 인산염 완층액)로 3회 세척하였다. HBSS에 일정한 배수로 회석한 표준 OVA와 회수액을 각 웰 당 100 μΐ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웅시켰다. 다시 세척 완층액로 앞에서와 같이 세척한 다음 항 -OVA 항체가 결합된 바이오틴 (biotin)을 PBST로 일정농도 회석하고 웰 당 100 μΐ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아비딘 (avidin)-HRP를 PBST로 일정농도 희석하여 웰 당 100 μΐ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세척 완층액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기질용액으로써 페닐 프로피온산 (phenyl propionic acid)/인산염 버퍼 (36 mM, pH 7.0)에 ¾02 0.002%를 첨가한 것올 사용하고 반웅정지액으로 1 M NaOH-글라이신 (glycine) (1 M 글라이신 /1 M NaOH)을 각 웰 당 100 μ 1씩 사용하고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로 320/405 nm(Ex./Em.파장)에서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
Treg의 유도활성
마우스
6-8 주령의 자성 balb/c 마우스를 찰스 리버 래보레이토리 (Charles River Laboratories)로부터 구매하였다. 마우스는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약학대학의 동물실험시설에서 사육되었다. 모든 실험은 서울대학교 동물실험위원회의 규정괴" 가이드라인에 따라수행하였다. 감송향추출물의 제조
감송향 추출물은 25-100 mg/ml의 농도로 DMS0(Dimethyl Sulfoxide)에 용해된 상태로 한국식품연구원으로부터 받았다. 실험에 적합한 농도를 만들기 위해서 위 농도의 추출물올 세포 배양 배지인 완전 배지 (Gibco RPMI에 FBS 10%,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1%, 피루브산 나트륨 1%, 비필수 아미노산 1%, HEPES 2.5%, β-머캅토에탄을 0.1%를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회석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완전 배지에 용매인 DMS0만을 추출물과 같은 용량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세포 제조
마우스를 C02로 안락사 시킨 뒤 비장과 림프 절을 분리하여 70 iM 스트레이너 (strainer)를 통과시켜 단세포 현탁물을 수득하였다. 비감작 (naive) CD4 T 세포를 수득하기 위해서 CD25-PE 항체 (eBioscience)로 염색한 뒤 항 -PE, 항 -CD8a , 항 -B220 및 항 -CDllb 비드 (Miltenyl Biotec)를 붙이고 MACSCMagnet ic-Act ivated Cell Sorting)로 디플리션 (depletion)하여 CD4 T 세포를 인리치 (enrich)해 주었다. 그 후 CD62L-바이오틴 항체 (eBioscience) 및 항-바이오틴 비드 (Miltenyl Biotec)를 붙이고 MACS 선별하여 비감작 CD4 T 세포를 수득하였다. 항원제시세포는 비장과 림프 절에서 얻은 단세포 현탁물을 RBC 용해 한 뒤 CD3-바이오틴 항체 (eBioscience) 및 항-바이오틴 비드 (Miltenyl Biotec)를 붙여 MACS 디플리션한 것을 사용하였다. 인 비트로 세포 배양
모든 세포 배양은 완전 배지에서 행하였다. 비감작 T 세포는 항체자극 조건의 경우, 96 웰 평저 플레이트에 항 -CD3 2 ug/ml을 밤새 코팅하고 비감작 CD4 T 세포 5χ104 세포 /웰과 함께 항 -CD28 1 yg/ml을 용해한 상태로 첨가하였다. 항원제시세포 자극 조건의 경우, 96 웰 U- 보텀 (bottom) 폴레이트에 항 -CD3 항체를 용해하게 첨가하였고 항원제시세포를 6X104세포 /웰로 비감작 CD4 T 세포 3X104세포 /웰과 함께 배양하였다. 두 조건 모두에서 재조합 마우스 IL-2를 10 ng/ml의 농도로 첨가하였고, 원하는 농도로 희석한 추출물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37°C, 5% C02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한 뒤 세포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세포내 Foxp3 염색 및 유동세포 분석
배양한 세포를 걷어 PBSN 0.14M NaCl, 0.003M KC1 , 0.01M Na2HP04) 0.002M KHP04> 0.002M NaN3)에 1% FBS를 첨가한 완층액을 이용해 CD4- PE/Cy7(Biolegend)로 15분 동안 표면 염색을 하였다. 그 후 eBioscience의 Foxp3 염색 세트를 이용하여 지시된 방법대로 세포내 Foxp3를 염색하였다. FACS 분석은 BD FACS Calibur와 Cell Questpro를 이용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의 결과는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각 그룹과 시료간의 차이는 SAS를 이용한 AN0VA 및 Duncan's 다중시험법을 통해 유의차 p<0.05유의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IL-4생산 억제활성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에 명시한 바와 같이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에 의한 비장세포의 IL- 4 생산억제 활성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첨가농도는 4 μΐ/ml (약 80 rag/ml)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 생산저해활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imgf000035_0001
이러한 결과는 대극 추출물, 대황 추출물, 배초향 추출물, 상륙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이 IL-4의 생성에 대하여 약 30¾ 이상, 대황 추출물 및 배초향 추출물은 70% 이상, 견우자 추출물은 90% 이상의 억제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높은 IL-4 억제활성을 갖는 견우자 추출물의 IC50 값은 7.4 Ug/ml이고, 배초향 추출물의 IC50 값은 30.91 wg/ml이며, 상큭 추출물의 IC50 값은 1.95 μ 1/ml이었다.
비장세포의 IL-4 생산에 대한 백축 추출물에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백축 추출물은 첨가농도 10 μ 1/ml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IL-4 생산을 약 60% 감소시켰다 (도 1). 또한 영실 추출물은 30μ1/ηιΙ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IL-4 생산을 약 30% 감소시켰다 (도 2). 감송향 추출물은 30μΐΑη1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IL-4 생산을 약 35%감소시켰다 (도 3). 히스타민 유리억제활성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백축, 영실, 감송향 또는 대황에 대한 히스타민 유리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무처리 시 히스타민의 유리량은 167.7 ng/ml이며, 자극제 [칼슘운반체 A23187 및 PMA(Phosbol 12-Myri state 13-Acetate)]만 처리하는 경우, 히스타민의 유리량은 232.4 ng/ml이다. 다음의 공식을 통해 히스타민 유리억제율를 산출하였다.
Figure imgf000036_0001
각 추출물을 처리하여 유리된 히스타민올 통해 산출된 억제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히스타민 유리량 ' 은 각 추출물 처리시 유리량 (ng/ml)에서 무처리시의 히스타민 유리량 (167.7 ng/ral)을 제한 값이다.
【표 2]
Figure imgf000036_0002
견우자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히스타민 유리량은
180.9士1.2 /1111로 나타났으며,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은 80.4±7.0%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냈다. 모든 추출물에서 히스타민
Figure imgf000037_0001
나타냈다. 핵소사미니다아제유리억제활성
결명자 추출물, 대극 추출물, 대황 추출물, 배초향 '추출물, 상륙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에 대한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무처리시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정도를 나타내는 Α405 흡광도는 0.121이며, 자극제 [항 -DNP(Dinitrophenyl) IgE 항체 및 DNP- HSA(Dinitrophenyl-Human Serum Albumin)]만 처리하는 경우, β- 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정도를 나타내는 Α405 흡광도는 0.390이다. 다음의 공식을 통해 β-핵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 억제율를 산출하였다.
Figure imgf000037_0002
각 추출물을 처리하여 유리된 β-핵소사미니다아제을 통해 산출된 억제율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imgf000037_0003
상륙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량를 나타내는 Α405 흡광도는 0.137±0.01로 나타났으며,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율은 49.2±2.0 ¾로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모든 추출물에서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 각 추출물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 및 β-핵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율을 정리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imgf000038_0001
비만세포의 형태변화
컴파운드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율에 대한 백축, 영실 또는 감송향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컴파운드 48/80을 단독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컴파운드 48/80를 처리한 실험군에 백축 추출물 0.01 Ug/ml, 0.1 ug/ml 및 1.0 yg/ml를 처리한 경우 40-60%, 영실 추출물 0.1 ug/ml 을 처리한 경우 약 22¾의 탈과립 억제 효과, 영실 추출물 1.0 Ug/ml를 처리한 경우 약 80%의 탈과립 억제 효과 및 감송향 추출물 0.01 Ug/ml, 0.1 ug/ml 및 1.0 pg/ml를 처리한 경우 50-70)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5). ωΧ-l및 C0X-2효소에 대한 안비트로 (in vitro)저해활성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발증의 2단계 전기반웅에 관여하는 핵심적인 요소로써, 비만세포 내 효소의 작용으로 인지질대사가 활발해지면 그 대사산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더욱 심해지게 된다 (알레르기성 염증반웅). 그러므로 알레르기를 완화 및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COX(Cyclooxygenase, 특히, C0X-2)의 작용을 저해하는 활성이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에 존재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염증반웅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C0X-2 저해활성은 높으나 통상 생체 내에 필수적인 효소인 C0X-1의 저해활성은 낮은 추출물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들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의 C0X-1 활성을 나타내는 흡광도 값은 0,173이고, 견우자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의 값은 0.139(C0X-1 활성) 및 0.123(C0X-2 활성)이었다. 이러한 견우자 추출물은 알레르기 발증의 2단계 전기반웅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추측된다.
각 추출물을 C0X-1 및 C0X-2 저해활성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imgf000039_0001
이 중 COX-2 저해활성이 우수한 추출물 (결명자 추출물, 대극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선발하여 IC50 값을 비교하였다.
【표 6】
Figure imgf000039_0002
표 6에서 COX-1 IC50/C0X-2 IC50 비의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난 결명자 추출물이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을 판단되나, 여기에서 그 비율보다 C0X-2의 IC50값이 낮은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L0X저해활성
C0X에 이어서 LOX(Lipoxygenase)도 알레르기 발증의 2단계 전기반웅에 관여하여 인지질 대사산물을 생산함으로써 염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억제하는 것은 그 증상을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 이 효소 중의 하나인 15-L0X를 저해하는 활성이 추출물 중에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의 15-L0X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우수한 값을 나타내는 대극 추출물 및 상륙 추출물의 IC50 값을 확인하였다. 대극 추출물 및 상륙 추출물의 IC50 값은 각각 87 ug/ml 및 100 yg/ml이었다. 상피세포층 통과 억제
식품 알레르기 발증은 가장 면저 알레르겐이 소화되지 않은 채로 장상피세포층을 통과하여 체내에 흡수되고 이에 대한 생체의 과민한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알레르겐의 소장통과를 억제하는 활성소재를 탐색하고 선발하여 이를 활용한다면 식품알레르기의 발증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는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또는 감송향 추출물의 장상피세포층 통과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결명자 추출물이 약 6%의 알레르겐 통과율로 우수한 상피세포 통과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영실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OVA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OVA의 통과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 알레르겐의 통과율을 30-5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8). 세포내 Foxp3 염색및 유동세포 분석
세포내 Foxp3 발현에 대한 감송향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감송향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Foxp3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이러한 결과는, 감송향 추출물이 Treg 세포를 증가시킴올 의미한다. 참고문헌
1. Lee BW, Shek Lynette PC, Soh SE. Food Allergyᅳ Lessons From Asia. ΑΟ Journal 129-133(2008)
2. Hoi gate ST. The epidemic of allergy and asthma. Nature 402 :B2-4( 1999)
3. Inagaki N, Nagai H. Drugs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Jap J Pharmacol 86:275-280(2001)
4. Gel 1 PGH, Coombs RRA, eds. Clinical Aspects of Immunology. 1st ed. Oxford, England: Blackwel 1(1963)
5. Lee HK, Song WJ, Ha TU. A single or combined effects of IL-4 and other various cytokines on IgE production of human tonsi 1 lar mononuclear cells. Kor J Immunol 17:193-201(1995)
6. Okunuki H, Teshima R, Sakushima J , Akiyama H, Goda Y, Toyoda M, Sawada JI . Induction of active systemic anaphylaxis by oral sensitization with ovalbumin in mastᅳ eel 1ᅳ deficient mice. Immunol Lett 74:233-237(2000)
7. Broide DH.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of allergic disease. J Allergy Clin Immunol 108:S65-S71(2001)
8. Miescher SM, Vogel M. Molecular aspects of allergy. Molec Aspects Medicine 23:413—462(2002)
9. Sanders DS. Mucosal integrity and barrier function in the pathogenesis of early lesions in Crohn's disease. J. CI in . Pa thol .58: 568572 (2005)
10. Tesaki S, Watanabe J, Tanabe S, Sonoyama K. An Active Compound against Allergen Absorption in Hypoal ler genie Wheat Flour
Produced by Enzymatic Modification. Biosci . Biotechnol . Bioche . 66:1930-1935(2002)
11. Isobe N, Suzuki M, Oda M, Tanabe S. Enzyme-Modified Cheese Exerts Inhibitory Effects on Allergen Permeation in Rats Suffering from Indomethac inᅳ 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Biosci . Biotechnol. Biochem. 72: 1740-1745(2007) 12. Untersmayr E, Jensenᅳ Jarolim E. The effect of gastric digestion on food allergy. Curr. Op in. Allergy Clin. Immunol .&'-21 - 219(2006)
13. Ventura MT, Pol imenoᄂ, Amoruso AC . Intestinal permeability in patients with adverse reactions to food. Dig. Liver DJS.38'-732-
6(2006)
14. F. Javier Moreno , Luis A. Rubio, AgustOlano, Alfonso Clemente. ' Uptake of 2S Albumin Allergens, Ber e 1 and Ses i 1, across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aco一 2 Cell Monolayers. J. Agric. Food Chew. 54:8631-8639 (2006)
15. Li 1 i Gu, Ning Li, Qiurong Li. The effect of berberine in vitro on tight junctions in human Caco-2 intestinal epithelial eel Is. Fitoterapia : 241-248(2009)
16. Araki Y, Katoh Y, Ogawa A. Bile acid modulates transepithel ial permeability via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Caco-2 cell line.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39:769-780(2005)
17. DeMeo MT, Mut lu EA, Keshavarzian A. Intestinal permea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J. Clin. Gastroenterol . 34 :385ᅳ 396 (2002) 18. Lee JH, Chang SH, Park YS, Kim YM, Choi WS. In-vitro and in- vivo ant i-al lergic act ion of Arecae semen . /. Pharm.Pharmacol .56: 927- 933(2004)
19. Lee JH, Seo JY, Park TK, Lee HY, Han JW, Kim YM, Choi WS. Inhibitory activity of Chrysan them is ibiriciherba extracton RBL-2H3 mast eel Is and compound 48/80- i nducedanaphy laxis.J. Ethnopharmacol .95: 425-430 ( 2004 )
20. Park HR, Jo SK, Jung U, Yee ST. Restoration of the immune functions in aged mice by supplement at ion with a new herbal composition, HemoHIM. Phytother Res 22:36-42(2008)
21. Sa EH, Jin UH, Kim DS, Kang BS . Herbal medicine Gamgungtang down-regulates autoimmunity through induction of TH2 cytokine
()3700io .a.ul.51412 BlPhm Bl 212r:-
Figure imgf000043_0001
,,g,,go. Sea Yao X Toua.Ataecsu 22 N T Wn Nkr Ynilri Pidim l
p ( )toaaco . J.hhrml0979007 En 1422-
Pypy!¾oductio 1mcte sstaoon lhsnmreld1;sockH iiiinoii ml. i--- 30. Cross ML, Stevenson LM, Gill HS. Anti-al lergy properties of fermented foods: an important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t Immuno Pharmacol 1:891—901(2001)
31. Doggrel 1 SA.Lyprinolᅳ is it a Useful Ant i- inflammatory Agent? Evid. Based Complement A lterna t . Med. ΑρΛ 1 ( 2009 ) [Epub ahead of print]
32. Hisada T, Ishizuka T, Aoki H, Mori M.Resolvin El as a novel agent for the treatment of asthma . ExpertOpin. Ther. Targets. 13 :513ᅳ 522(2009)
33. Hacini -Rachinel F, Gheit H, Le Luduec JB, Dif F, Nancey S,
Kaiser 1 i an D. Oral probiot ic control skin inflammation by acting on both effector and regulatory T cells. PLoS.One. 4:e4903(2009)
34. Park HJ, Lee CM, Jung ID. Quercetin regulates Thl/Th2 balance in a murine model of asthma. Int . Immunopharmacol . 9:261— 7(2009)
35. Kim D, Kim SH, Park EJ. Anti-al lergic effects of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prepared from Actinidia arguta, in a murine oval bum in-induced asthma model . CI in .Exp. A 1 lergy.39: 280-9 ( 2009 )
36. Zare A, Farzaneh P, Pourpak Z. Purified aged garlic extract modulates al 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BALB/c mice. Iran J. Al lergy
Asthma Immunol. 7:133-141 (2008)
37. Zamani A, Vahidinia A, Ghannad MS. The effect of garlic consumption on Thl/Th2 cytokines in phyt ohemagg 1 ut i n i n (PHA) activated rat spleen lymphocytes. Phyt other . j?es .23: 579-81 ( 2009 )
38. Chang HH, Chen CS, Lin JY. Dietary per i 1 la oil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oval bum in-challenged mice. Lipids .43: 499-506 ( 2008 )
39. Onishi N, Kawamoto S, Ueda K. Dietary pulverized kon j ac glucomannan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l lergic rhinitis-1 ike symptoms and IgE response in mice. Biosci . Biotechnol . Biochem.71: 2551- 2556(2007) 40. Wang Y, Yan T, Shen J , Guo H. Preventive effect of Ophiopogon japonicus polysaccharides on an autoallergic mouse model for Sjogren's syndrome by regulating the Thl/Th2 cytokine imbalance. /. Ethnopharmacol .114: 246-253 ( 2007 )
41. Lin JY, Chen ML, Lin BF. Ganoderma tsugae in vivo modulates
Thl/Th2 and macrophage responses in an allergic murine model . Food Chem Toxicol 44:2025-2032(2006)
42. Matsushita H, Kobayashi M, Tsukiyama Rᅳ Yamamoto K. In vitro and in vivo i mmunomodu 1 a t i ng activities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Int J Mol Med 17:905-909(2006)
43. Oka H, Emor i Y, Kobayashi N. Suppression of allergic react ions by royal jelly in association with the restorat ion of macrophage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l/Th2 eel 1 responses. Int . InmunopharmacoJ .1:521-532(2001)
44. Wang NQ, Jiang LD, Zhang XM, Li ZX. Effect of dongchong xiacao capsule on airway inflammation of asthmatic patients. ZhongguoZhongYaoZaZhi 32: 1556-1558 ( 2007 )
45. Iguchi T, Kawata A, Watanabe T, Mazumder TK, Tanabe S. Fermented barley extract suppresses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1 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probably by inhibiting inflammatory cytokines .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489ᅳ 493 (2009)
46. Choi YH, Lim H, Heo MY, won DY, Kim HP. Ant i-infl ama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Chungkuk j ang , Korean fermented bean: 5-1 ipoxygenase inhibition. J Med Food 11:539-543(2008)
47. Bao L, Yao X, Xu J, Guo X, Liu H, Kurihara H. Effects of
Pithecel lobium clypearia Benth extract and its main component s on infl mmation and allergy. Fitoterapia .80 :349ᅳ 353 (2009)
48. Kaiser P, Youssouf MS, Tasduq SA, Singh S, Sharma SC. Antiᅳ allergic effects of herbal product from Allium cepa ( bu 1 b ) . /. < /. Food.12: 374-382 (2009)
49. Onogawa M, Sun G, Takuma D, Hamada A, Yokota J,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Animal studies supporting the inhibition of mast cell activation by Er 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J Pharw Pharmacol 61:237-241(2009)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일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견우자 (^ar^ /s nil Choisy) , 결명자 (5e/ a obtusi folia L.), ^극 {Euphorbia pekinensis) , ¾ ( Nardostachys jatamanse) , tifl 2. ¾ ( Agastache rugosa) , -¾ "^- ( Phytolacca esculent a) , -^mCastanea crenata S. ) , 백축 (/¾3_rZ?/ /s nil Chois) , 영실 {Rosa mult i flora) 및 대황 rhabarbarum L.)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 또는 식품 알레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 4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reg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l-매개 면역 질환은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조성물.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0X-2(cyclooxygenase— 2) 활성 억제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극, 상륙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15-L0X(15-Lipooxyge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명자, 영실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_매개 면역 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2】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 조성물.
【청구항 13]
견우자, 결명자, 대극, 배초향, 상륙 율피 및 대황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청구항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5】
상기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
【청구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 또는 식품 알레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4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reg세포로의 분화를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Thl-매개 면역 질환은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또는 염증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0X-2(cyclooxygenase-2) 활성 억제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극, 상륙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15-L0X(15-Lipooxyge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명자, 영실 또는 이들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hl-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레르겐의 상피세포층 통과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26】
상기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분비 억제방법.
【청구항 27】
상기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대상체 (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PCT/KR2013/004717 2012-05-29 2013-05-29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804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04,631 US10016475B2 (en) 2012-05-29 2013-05-29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06A KR20130133610A (ko) 2012-05-29 2012-05-29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2012-0057005 2012-05-29
KR1020120057005A KR20130133609A (ko) 2012-05-29 2012-05-29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2012-0057006 2012-05-29
KR1020120141329A KR20140073723A (ko) 2012-12-06 2012-12-06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0141324 2012-12-06
KR1020120141324A KR20140073721A (ko) 2012-12-06 2012-12-06 백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0141327A KR101468126B1 (ko) 2012-12-06 2012-12-06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0141327 2012-12-06
KR10-2012-0141329 2012-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469A1 true WO2013180469A1 (ko) 2013-12-05

Family

ID=4967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717 WO2013180469A1 (ko) 2012-05-29 2013-05-29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6475B2 (ko)
WO (1) WO2013180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9720A (ja) * 2015-08-21 2017-02-23 公益財団法人東洋食品研究所 抗i型アレルギー抑制剤および当該抗i型アレルギー抑制剤を使用する方法
JP6684632B2 (ja) * 2016-04-04 2020-04-22 公益財団法人東洋食品研究所 抗i型アレルギー抑制増強剤および抗i型アレルギー抑制増強食品
US10496366B2 (en) 2018-04-18 2019-12-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 to determine intended direction of a vocal command and target for vocal interaction
WO2023128636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136967A (zh) * 2022-07-04 2022-10-04 湖南康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商陆抗菌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809A (ko) * 2005-05-17 2006-11-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00105346A (ko) *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20110032323A (ko) *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국내 자생식물 유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8500A (ko) * 2010-02-26 2011-09-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809A (ko) * 2005-05-17 2006-11-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00105346A (ko) *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20110032323A (ko) *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국내 자생식물 유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8500A (ko) * 2010-02-26 2011-09-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YOUNG SOOK ET AL.: "Inhibitory Effect of KIOM-79, a New Herbal Prescription, on AGEs Formation and Expressions of Type 4 Collagen and TGF-1 in STZ-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 37, no. 2, 2006, pages 103 - 1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6475B2 (en) 2018-07-10
US20150118266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0469A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3610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AU2006218875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001119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68126B1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9707B1 (ko) 괭이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88200A1 (ko) 복령피 추출물, 백미 추출물 또는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2031B1 (ko) 붓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7392B1 (ko) 복령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1032B1 (ko) 옥촉서예, 유향 또는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982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8127B1 (ko)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3451B1 (ko) 시로미 추출물, 네가래 추출물, 솜양지꽃 추출물 또는 풀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245B1 (ko)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1031B1 (ko) 남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7673B1 (ko)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3609A (ko) 견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1529121B1 (ko)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용 조성물
KR20160001805A (ko) 석류풀 추출물, 질경이택사 추출물, 담팥수 추출물 또는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1230A (ko) 옥촉서예, 유향 또는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31480A (ko) 홀아비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1803A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시로미 추출물, 수선화 추출물, 네가래 추출물, 협죽도 추출물, 솜양지꽃 추출물 또는 풀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1625A (ko)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40073723A (ko)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73721A (ko) 백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971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0463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971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