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245B1 -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245B1
KR102018245B1 KR1020160025323A KR20160025323A KR102018245B1 KR 102018245 B1 KR102018245 B1 KR 102018245B1 KR 1020160025323 A KR1020160025323 A KR 1020160025323A KR 20160025323 A KR20160025323 A KR 20160025323A KR 102018245 B1 KR102018245 B1 KR 10201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extracts
present
rhododen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479A (ko
Inventor
손동화
신희순
채옥희
배민정
최대운
정선영
시혜정
이소영
도정룡
정성근
정민유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2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IL-4 생성 억제,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억제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가짐으로 Th2-매개 면역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Allergic Disease Comprising Extracts from Podocarpus macrophyllus, Extracts from Distylium racemosom or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본 발명은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또는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년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습관의 변화, 위생의 청결화, 공해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알레르기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전 국민의 20-25%가 아토피피부염(AD), 천식, 비염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킴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를 여기하고 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는 영유아의 6-8%에서 확인되고 있고, 소아의 AD는 35%가 식품알레르기에 의한 것으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아직까지 여러 알레르기에 대하여 확실한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가 거의 없으며, 소아 아토피피부염이 증가하고 있으나 소아의 특성상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 계통의 약물은 부작용이 심하여 세계적으로 그 대안을 마련하기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에 대응하는 방안으로써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면서 확실한 효능이 기대되는 소재를 천연물과 식품으로부터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성소재 및 성분의 항알레르기 작용기전도 함께 구명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에 주류를 이루는 치료제는 알레르기 및 당뇨에 대한 것이다(일본 닛케이산쿄신문). 미국에서는 5,000만 명이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다(의약품시장, 연 52억불). 일본에서는 연간 1,560억 엔의 알레르기 관련 의약품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능성식품시장은 약 600억 엔이다. 국내의 경우 이 분야 의약품시장은 약 500억 원이다. 최근 일본 기능성식품의 특허 동향에서 “항비만” 다음으로 출원건수가 많은 분야가 “항알레르기”이다. 향후 높은 부가가치가 기대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요망된다.
최근에 면역기능조절이나 알레르기억제 활성을 강조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인정을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많은 건수가 신청되고 있다. 또한, 근년 일본의 특허분석을 통하여 조사한 미래 기능성식품의 잠재력은 “항비만” 다음으로 “항알레르기” 활성으로 보고되었다.
알레르기는 “과민반응”이라는 뜻으로 그리스어인 “allos”가 어원이며, 이는 “변형된 것”을 뜻한다. 이처럼 알레르기란 면역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보통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가려움, 콧물, 기침 등의 이상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최근 20 년 동안 이와 같은 알레르기성 질병의 발병율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된 증가요인으로는 실내생활의 증가, 신소재의 개발, 외국으로부터 이물질 유입등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급증과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상태의 불안정, 그리고 식생활의 변화 등이 있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알레르기 질병 발병율은 점차 증가하나 그 치료방법은 대부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대중적 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찾지 못하고 있다.
Gell 및 Coombes(1963)는 알레르기반응을 발현시간과 타입에 기초하여 전통적으로 4 개의 부류로 나누었다. I - III 형은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성 면역 반응(즉시형)이고, IV 형은 세포가 직접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 반응(지연형)이다. 그리고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와 매체의 종류에 따라 수분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또는 조기 반응과 몇 시간 후에 나타나는 후기단계 반응으로 나뉘는데 제 I 형은 즉시형 과민반응, 제 IV 형은 지연형 과민반응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알레르기 반응은 제 I 형으로 천식, 비염, 결막염, 식품 및 약물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대표적인 질환으로 나타나고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가 일어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제 I 형 즉시형 과민반응은 2 단계로 나뉘는데 제 1 단계는 알레르겐의 체내 침입에 의하여 IgE 및 IgG1의 분비를 억제하고, IgG2a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IL-12 및 IFN-r을 생산하는 Th1 세포반응과 IL-4, IL-5 및 IL-13등을 생산하는 Th2 세포반응의 균형이 Th2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Th2의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IL-4, IL-13 등이 분비되고 그 영향으로 B 세포가 생산한 IgE 특이항체들이 비만세포(mast cell)나 호염기구(basophil)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알레르기 발증이 준비된 단계이다. 이를 알레르겐에 감작되었다고 한다.
알레르기 발증의 제 2 단계는 초기반응과 후기반응으로 나뉘며, 초기반응은 알레르겐이 체내에 재침입하여 비만세포를 자극하고 탈과립 반응을 유발하여 이 때 방출된 히스타민, 지질대사물, 사이토카인 등에 의한 혈관확장 등이 일어나는 것이고, 후기반응은 해당조직에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Th2 세포, 호염기구 등이 침윤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되어 아토피피부염, 비염, 천식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같은 탈과립 분비 물질 중 히스타민은 가장 잘 알려진 인자이며, 즉각형 과민반응과도 관련되어 알레르기 증상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식품알레르기는 최근 10년 동안 선진국에서는 약 3-6%의 어린이들에게서 발병되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식품알레르기는 소화관을 통해 체내에 들어 온 식품에 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제 I 형 과민반응에 해당한다. 알레르기 환자의 경우 장관을 통하여 식품알레르겐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침투하게 되며, 이러한 알레르겐의 장내 흡수가 식품알레르기 발증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장관은 영양소의 소화흡수를 담당하는 기관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생체 조절에 관여하고 있다. 장상피 세포는 소화흡수, 장벽(barrier), 식신호의 전달/ 변환 등의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독특한 면역시스템(mucosal immunity)이나 신경조직이 발달되어 있는 등 소화관/장관의 역할을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이렇듯 장상피세포는 장벽으로써 밀착연접(tight junction)에 의해 거대 분자의 투과를 제한하나, 밀착연접이 손상된 경우에는 장벽의 기능 장애로 인해 투과성이 증가되어 식품알레르기뿐만 아니라 소아지방변증, 급성 췌장염과 같은 질환이 발생된다. 즉, 밀착연접의 안정화를 통해 장관의 장벽 기능을 강화시킨다면 식품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앞선 논문들에서는 식품 및 천연물의 알레르기 억제 활성이 상당수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알레르기의 치료 및 예방에 식품과 천연물이 한방과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빈랑자, 지모, 호로파 등의 한약재 및 약초들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며 , 퀘르세틴(quercetin), 다래, 마늘, 들깨 기름, 곤약, 소엽, 맥문동의 다당류성분, 영지버섯, 일본간장의 다당체 성분, 로얄 젤리, 동충하초 등에서의 Th1/Th2 면역반응 조절에 관한 연구도 다수 보고되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알레르기와 같은 Th2 면역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IL-4 생성 억제,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억제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알레르기와 같은 Th2 면역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IL-4 생성 억제,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억제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은 갈매나무, 괭이눈, 나한송, 조록나무 또는 진달래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갈매나무, 괭이눈, 나한송, 조록나무 및 진달래에 각각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은 각각 에탄올 또는 물로 추출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갈매나무, 괭이눈, 나한송, 조록나무 및 진달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식물재료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IL-4의 생성을 억제하여 Th2 면역 반응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갈매나무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의 생성을 20-40% 감소시키고, 상기 괭이눈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의 생성을 10-100% 감소시키며, 상기 나한송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의 생성을 20-70% 감소시키고, 상기 조록나무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의 생성을 10-95% 감소시키며, 상기 진달래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4의 생성을 50-99%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갈매나무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60-80% 억제하고, 상기 괭이눈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55-75% 억제하며, 상기 나한송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75-95% 억제하고, 상기 조록나무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5-25% 억제하며, 상기 진달래 추출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35-55% 억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세포(mast cell)의 탈과립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갈매나무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50-80% 억제하고, 상기 괭이눈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70-90% 억제하며, 상기 나한송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50-80% 억제하고, 상기 조록나무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60-80% 억제하며, 상기 진달래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30-60% 억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2-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겐-특이 Th2 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의한 IgE 및 비만세포가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 세포”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h2 세포는 IL-4, IL-5, IL-10, 및 IL-13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 질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와 관련된 다른 피부학적 질환, 알레르기 비염(급성 또는 만성), 고초열 및 알레르기 기관지 천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Th2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 성분으로서의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천연물을 소재로 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IL-4 생성 억제,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 억제 및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은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비용과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조사한 실험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마우스 비만세포(mast cell)의 탈과립에 대한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Pall .)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마우스 비만세포의 탈과립에 대한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마우스 비만세포의 탈과립에 대한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마우스 비만세포의 탈과립에 대한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마우스 비만세포의 탈과립에 대한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시료의 확보 및 용매 추출물의 준비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Pall., 잎),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전초),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잎 및 꽃),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잎, 줄기 및 열매)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줄기 및 꽃) 추출물을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는 95% 에탄올 또는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실시예 2: 추출물에 의한 Th1/Th2 사이토카인 균형조절 활성시험( ex vivo )
OVA로 면역한 마우스 비장세포의 배양
5주령된 자성 BALB/c 마우스에 1주 간격으로 2차례 알레르겐(allergen)을 복강면역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알레르겐은 OVA(20 ㎍) 및 알럼(alum, 2 ㎎)의 혼합액으로, 이를 30분 동안 혼합한 다음 한 마리당 100 ㎕씩 복강 주사하였다(n=5). 면역 1주후 마우스를 경추탈골 시키고 무균상태에서 비장을 적출하여 1 ㎖의 기본배지(2-머캅토에탄올 및 항생제를 첨가한 RPMI1640, WelGene, 대구, 대한민국)를 첨가한 작은 페트리 접시에 옮겨 아이스박스 상에 보관하였다. 페트리 접시에 담긴 비장은 메쉬를 이용하여 단세포화 시킨 뒤 5 ㎖의 기본배지로 2회 세척하고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1 ㎖의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충액(SIGMA R7757, 미국)을 첨가하여 손으로 잘 흔들어 현탁하고, 3분 동안 아이스 위에서 반응시킨 뒤 10 ㎖의 기본배지 첨가 후 현탁한 뒤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2회 실시 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항원(OVA, 100 ㎍/㎖)을 처리하고 각각의 농도로 준비된 추출물을 첨가하였으며, 비장세포의 농도는 5×106 세포/웰로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37℃, CO2 항온반응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비장세포 배양상층액의 사이토카인 분석
항원(OVA, 100 ㎍/㎖), 및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이 처리된 비장세포 배양 상층액을 72시간 후 회수하여 IL-4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하여 BD OptEIATM MOUSE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키트에 명시된 실험방법에 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96웰 플레이트에 포획항체를 4℃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PBST)으로 세척한 후 분석용 희석제(10% FBS가 첨가된 PBS)를 200 ㎕씩 각 웰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다음으로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100 ㎕씩 각 웰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검출항체와 스트렙타비딘(streptoavidin)-HRP를 100 ㎕씩 분주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간 후 100 ㎕의 기질용액(0.01% TMB가 첨가된 인산염-구연산염 완충액, pH 5.0, 0.001% H2O2)으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발색시킨 다음, 2 M H2SO4를 50 ㎕씩 각 웰에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중지시켰다. 발색 정도는 450 ㎚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THERMOmax, Molecular Devices, 미국)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장세포의 IL-4 생산에 대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IL-4 생산을 각각 20-40%(30 ㎕/㎖ 갈매나무 추출물), 10-100%(10-100 ㎕/㎖ 괭이눈 추출물), 20-70%(50-100 ㎕/㎖ 나한송 추출물), 10-95%(50-100 ㎕/㎖ 조록나무 추출물) 및 50-99%(75-100 ㎕/㎖ 진달래 추출물) 감소시켰다(표 1 내지 5). 이러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의 IL-4 생산 감소 효과는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이 Th2 면역반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1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2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3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4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5
실시예 3: Caco-2 단세포층을 이용한 OVA 통과억제 활성시험
Caco - 2세포배양 OVA 통과억제 실험
ATCC 유래의 Caco-2세포주(HTB-37)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Fetal Bovine Serum), 1% 100 U/㎖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 및 0.1 mM 비필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하에서 계대배양 하였다. Caco-2 단세포층을 이용한 식품 알레르겐 통과시험을 하기 위하여 상기 배양배지를 사용하여 Caco-2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 트랜스웰 (transwell, 도 1)의 상층부(apical side)인 트랜스멤브레인(transmembrane) 위에 2×105 세포/㎖의 밀도로 0.5 ㎖ 분주하였다. 웰의 하층부(basolateral side)에는 배양배지 1.5 ㎖을 첨가하고 37℃, 5% CO2 항온반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교환은 매 2-3일에 한 번씩 실시하였다. 분주 후 약 2-3주가 지나 단세포층을 형성한 Caco-2 세포의 하층부와 상층부간의 전기저항치(TEER, transepitherial electrical resistance, Ω×㎠)를 Millipore사의 Millicell-ERS (Electrical Resistance System)로 측정하여 수치가 300 Ω×㎠ 초과인 경우 실험에 사용하였다. Caco-2 단세포층은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로 3회 세척 한 후 갈매나무 추출물(최종농도: 400 ㎍/㎖), 괭이눈 추출물(최종농도: 400 ㎍/㎖), 나한송 추출물(최종농도: 400 ㎍/㎖), 조록나무 추출물(최종농도: 400 ㎍/㎖) 또는 진달래 추출물(최종농도: 400 ㎍/㎖)을 담즙산염(bile salts, 최종농도: 100-150 ㎍/㎖)과 함께 상층부에 첨가한 후 37℃, 5% CO2 항온반응기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OVA(Ovalbumin, 최종농도: 400 ㎍/㎖)를 상층부에 첨가 한 후 37℃, 5% CO2 항온반응기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에서 하층부의 액을 회수하여 통과된 OVA의 농도를 sELISA(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측정하였다. 하층부 내의 통과된 OVA량은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Flux = C ng/ H hr/ S cm2
여기에서 C는 ELISA에 의하여 구한 OVA의 통과량이고, H는 Caco-2 단세포층 상층부에 OVA 첨가 후 반응시간(3h)을 나타내며, S는 트랜스웰 플레이트의 상층부 표면적(1.12 cm2)을 나타낸다.
ELISA 에 의한 OVA 분석
코팅 완충액((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0.05 M, pH 9.0)에 2 ㎍/㎖의 농도로 희석한 항-래빗-OVA 항체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100 ㎕씩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버퍼[Tween 20을 포함하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BST, 0.138 M NaCl, 0.0027 M KCl 및 0.05% Tween 20을 포함하는 0.01 M 인산염 완충액)로 3회 세척하였다. HBSS에 일정한 배수로 희석한 표준 OVA와 회수액을 각 웰 당 100 ㎕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시 세척 완충액으로 앞에서와 같이 세척한 다음 항-OVA 항체가 결합된 바이오틴(biotin)을 PBST로 일정농도 희석하고 웰 당 100 ㎕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아비딘(avidin)-HRP를 PBST로 일정농도 희석하여 웰 당 100 ㎕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세척 완충액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기질용액으로써 페닐 프로피온산(phenyl propionic acid)/인산염 버퍼(36 mM, pH 7.0)에 H2O₂ 0.002%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고 반응정지액으로 1 M NaOH-글라이신(glycine)(1 M 글라이신/1 M NaOH)을 각 웰 당 100 ㎕씩 사용하고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320/405 ㎚(Ex./Em.파장)에서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에 대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OVA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OVA의 통과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 알레르겐의 통과율을 각각 60-80%, 55-75%, 75-95%, 5-25% 및 35-55%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표 6 내지 10).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6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7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8
Figure 112016020508512-pat00009
Figure 112016020508512-pat00010
실시예 4: 탈과립 억제활성 시험
복강 비만세포의 수확
마우스를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머리의 뒤통수를 강타하여 치사시킨 후 약 10 ㎖의 배지(pH 7.4)를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입하고 90초 동안 복벽을 가볍게 마사지하였다. 복벽 중앙선을 절개하고 복강 세척액을 스포이드로 채취하여 100×g에서 10분 동안 원심 시킨 후 상층액을 버리고, 동일 배지로 비만세포(mast cells) 수가 1×106 세포/㎖ 되도록 복강 부유액을 만들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비만세포의 형태변화 관찰
재부유시킨 비만세포 부유액 200 ㎕에 살린(saline), 갈매나무 추출물(1 ㎎/㎖, 0.1 ㎎/㎖ 또는 0.01 ㎎/㎖), 괭이눈 추출물(0.1 ㎎/㎖ 또는 0.01 ㎎/㎖), 나한송 추출물(0.1 ㎎/㎖ 또는 0.01 ㎎/㎖), 조록나무 추출물((0.1 ㎎/㎖ 또는 0.01 ㎎/㎖) 또는 진달래 추출물(1 ㎎/㎖, 0.1 ㎎/㎖ 또는 0.01 ㎎/㎖) 25 ㎕를 각각 넣어 37℃ 배양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컴파운드 48/80(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미국) 용액 25 ㎕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광학현미경 상으로 비만세포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반응이 끝난 비만세포 부유액 200 ㎕를 도립현미경 재물대 위에 놓여진 슬라이드글라스(slide glass, 22×60 ㎜) 위에 떨어뜨려 비만세포들이 침전될 수 있도록 실온에서 10분 동안 정치시켰다. 400배의 배율 하에서 헤마사이토메타(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비만세포를 도립현미경(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비만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뚜렷하고, 세포질 내에는 많은 과립들이 충만 되어 있었다. 비만세포의 직경은 대략 10-20 ㎛ 정도로 복강 부유액의 다른 세포들(림프구 또는 호중성백혈구)에 비해 2배 이상 컸다. 비만세포의 형태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뚜렷하고, 세포질 내에 광굴절율이 높은 과립들로 충만된 상태를 정상형 비만세포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세포윤곽이 불분명하고 세포질 내 과립들이 세포표면으로 돌출 되거나 세포주위에 흩어져 있는 경우를 탈과립형으로 구분하였다. 탈과립율은 다음 공식에 의하여 산출되었다:
비만세포 탈과립율(%)=(탈과립된 비만세포 수/비만세포 총수)×100
컴파운드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율에 대한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컴파운드 48/80을 단독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및 진달래 추출물 처리 후 컴파운드 48/80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각각 50-80%, 70-90%, 50-80%, 60-80% 및 30-60%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 내지 6).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4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레르겐의 장상피세포 통과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세포(mast cell)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추출물,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추출물,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om) 추출물 및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5323A 2016-03-02 2016-03-02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323A KR102018245B1 (ko) 2016-03-02 2016-03-02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323A KR102018245B1 (ko) 2016-03-02 2016-03-02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148A Division KR101649707B1 (ko) 2014-06-26 2014-06-26 괭이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79A KR20160031479A (ko) 2016-03-22
KR102018245B1 true KR102018245B1 (ko) 2019-09-06

Family

ID=5564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323A KR102018245B1 (ko) 2016-03-02 2016-03-02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066B1 (ko) * 2018-05-23 2021-07-05 한국식품연구원 나한송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41B1 (ko) 2016-10-07 2017-03-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떡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41B1 (ko) 2016-10-07 2017-03-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떡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Nishinihon journal of dermatology, 2002. 64(6), pp.681-6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79A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126B1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9707B1 (ko) 괭이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671501C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или фракцию из растения рода justicia
KR101732031B1 (ko) 붓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3610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2018245B1 (ko)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29888B1 (en) Composition comprising poria cocos wolf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use in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th2-mediated allergic diseases
KR101577392B1 (ko) 복령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1099A (ko) 옥촉서예, 유향 또는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9421B1 (ko)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890017B1 (ko) 영실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4154B1 (ko) 홀아비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9778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87982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6974A (ko)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러지 조성물
KR101138962B1 (ko)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07673B1 (ko)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9121B1 (ko)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용 조성물
KR102173451B1 (ko) 시로미 추출물, 네가래 추출물, 솜양지꽃 추출물 또는 풀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1805A (ko) 석류풀 추출물, 질경이택사 추출물, 담팥수 추출물 또는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8127B1 (ko)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1314B1 (ko) 정공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1230A (ko) 옥촉서예, 유향 또는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8977B1 (ko) 유근피 추출물 및 자소엽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180028288A (ko) 신규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속 pb-31 균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