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69965A1 -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69965A1
WO2013069965A1 PCT/KR2012/009346 KR2012009346W WO2013069965A1 WO 2013069965 A1 WO2013069965 A1 WO 2013069965A1 KR 2012009346 W KR2012009346 W KR 2012009346W WO 2013069965 A1 WO2013069965 A1 WO 20130699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diisocyanate
optical material
mercaptoethylth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3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동규
노수균
김종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Publication of WO20130699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6996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9/00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19/22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19/24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by reactions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ur-to-sulfur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9/00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19/14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sulfides
    • C07C319/18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sulfides by addition of thiols to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9/00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19/14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sulfides
    • C07C319/20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sulf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21/12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21/14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2Poly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thiol compound and a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an optical material includ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method for preparing a polythiol compound via a polyol compound by reacting a triple bond compound with a mercapto compound having a thiol functional group. And a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an optical material containing the polythiol compound.
  • Plastic optical materials are lighter than the optical materials made of inorganic materials, are not easily broken, and can be dyed. Therefore, plastic materials of various resins are used as optical materials. In particular, they require high refractive index, high impact resistance, high tensile strength, and the like, and various optical resin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ccordingly.
  • polythiourethane-based optical materials prepared using polythiol compounds and isocyanate compounds are widely used as optical lens materials because of their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Abbe number, transmittance, and tensile strength.
  • the polyurethane-based resin has been spotlighted recently because of its excellent tensile-free workability with strong tensile strength, and product development is actively progressing.
  • the spectacle lens market increasingly demands an optical lens material hav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al efficiency.
  •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thiol compound includes a method of reducing a disulfide compound, a method of reacting an organic halide with a hydrosulfide or alkali sulfide metal salt, a reaction of a thiourea with an organic halide or an alcohol to prepare an isothiuronium salt, and a base Hydrolysis process, via bunte salt, via dithiocarbamic acid ester, via Grinard reagent and sulfur, by cleaving CS bond of sulfide, by ring opening episulfide, with carbonyl group
  • the method of introducing hydrogen sulfide using a compound, the method of adding hydrogen sulfide and thioacetic acid to an alken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ol compound from an organic halide or alcohol via an isothiuronium salt is high in yield, few by-products,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the obtained product is used well
  • a polyol is prepared using epichlorohydrin, 2-mercaptoethanol and caustic soda solution, and then polythiol is prepared using the polyol.
  • This method is not economical in the case of using caustic soda because the ratio of the amount of production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amount of raw materials entered.
  • polyol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exists in the reaction of epichlorohydrin and caustic soda as an aqueous solution, so that the polyol is present in the polythiol compound and the polythiol compound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in the final product.
  • the polythiol compound thus obtained is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dicyclohexyl methane-4,4-diisocyanate (H 12 MDI),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which are relatively inexpensive general purpose isocyanate compounds.
  • IPDI isophorone diisocyanate
  • H 12 MDI dicyclohexyl methane-4,4-diisocyanate
  • HDI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 HDI trimer 1,3,5-tris (6-isocyanatohexyl)-[1,3,5] -triazinine-2,4,6-trion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067120 discloses 3,8-bis (isocyanatomethyl) tricyclo [5,2,1,02,06] decane, which is an isocyanate compound having excellent mixing properties with polythiol. , 3,9-bis (isocyanatomethyl) tricyclo [5,2,1,02,06] decane, 4,8-bis (isocyanatomethyl) tricyclo [5,2,1,02,06 ] Decane, 2,5-bis (isocyanatomethyl) bicyclo [2,2,1] heptane, 2,6-bis (isocyanatomethyl) bicyclo [2,2,1] heptane, 2,5 (Or 6) -bis (isocyanatomethyl) -bicyclo [2,2,1] -heptane or the like and a polythiol compound are polymerized to obtain an optical material.
  • optical material thus obtained does not have a problem of polymerization imbalance, whitening or turbidity.
  • isocyanate compounds having excellent mixing properties with polythiol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are supplied at an expensive pric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of optical material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thiol compound for producing an optical material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high refractive index, high Abbe number, hea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economic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thiol which is good in reactivity even when the optical material is prepared by polymerizing with a general-purpose polyiso (thio) cyanate compound which is generally less reactive with a polythiol compound, and thus does not have a problem of polymerization imbalance, whitening, or turbidit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 "general purpose polyiso (thio) cyanate compound” refers to a polyiso (thio) cyanate compound, which is mass-produced and inexpensive because it is used for other purposes besides optical lenses, in particular, isophorone di 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4,4-diisocyanate (H 12 MDI),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1,3,5-tris (6-isocyanatohexyl)-[1,3, 5] -triziane-2,4,6-trione (HDI trimer), o, m, p-xylylenediisocyanate, ⁇ , ⁇ , ⁇ ', ⁇ '-tetramethylxylylenediisocyanate, tolylenedi Isocyanate (TDI) and the like.
  • Whitening and “whiten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lens becomes cloudy, mainly “whitening” refers to a local phenomenon and “whitening” refers to a phenomenon of overall cloud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whitening” is used to include whitening. do.
  •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 polymerization imbalance, whitening, and turbidity problem which occur when using general purpose polyiso (thio) cyanate, and the polyol which remain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iple bond compound and a mercapto compound having a thiol functional group are reacted to obtain a polyol compound having a relatively uniform molecular weight, the polyol compound is reacted with thiourea to obtain a polythiol compound via an isotyuronium salt. It was found tha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ared polythiol compound was uniform in an appropriate range and contained less polyol.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n alicyclic group, an allyl group, a heterocyclic group, an allylalkyl group; one or more hydroxyl groups or halogen atoms or both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s, alicyclic groups, allyl groups, heterocyclic groups, and allylalkyl groups.
  • R 3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one or more hydroxy or halogen atoms, an alicyclic group, an allyl group, a heterocyclic group, an allylalkyl group;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s, alicyclic groups, allyl groups, heterocyclic groups, allylalkyl groups hav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one oxygen atom, sulfur atom, hydroxy and halogen atom in the functional group.
  •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a thiol group, alicyclic group, allyl group, heterocyclic group, allylalkyl group; It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licyclic group, allyl group, heterocyclic group, allylalkyl group containing 1 or more type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 thiol group, an oxygen atom, and a sulfur atom.
  • R 6 and R 7 are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an alicyclic group, an allyl group, a heterocyclic group, an allylalkyl group contain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iol group, an oxygen atom, and a sulfur atom.
  • the polymeric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containing the polythiol compound obtained by the said method is provided.
  • polymerizing the said polymeric composition and the optical lens which consists of this optical material are provided.
  • the optical lens in particular comprises an spectacle lens or a polarizing lens.
  • the polythiol compound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colorless, transparent, high-quality lens without polymerization imbalance, whitening, or turbidity even if the lens is prepared by polymerizing with a general-purpose polyiso (thio) cyanate,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 the optical material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 and transparent to high refractive index and high Abbe number, and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moldability, dyeing, light transmittance, lenses such as spectacle lenses, camera lenses, prisms,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ght pipes, optical disks, magnetic disks, recording medium organs, colored filters, infrared filters, and other plastic processed products.
  • R 1 and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straight or branched alkyl group, an alicyclic group, an allyl group, a heterocyclic group, an allylalkyl group; one or more hydroxyl groups or halogen atoms or both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licyclic group, allyl group, heterocyclic group, allylalkyl group.
  • R 3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one or more hydroxy or halogen atoms, an alicyclic group, an allyl group, a heterocyclic group, an allylalkyl group;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s, alicyclic groups, allyl groups, heterocyclic groups, allylalkyl groups hav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one oxygen atom, sulfur atom, hydroxy and halogen atom in the functional group.
  •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a thiol group, alicyclic group, allyl group, heterocyclic group, allylalkyl group; It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licyclic group, allyl group, heterocyclic group, allylalkyl group containing 1 or more type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 thiol group, an oxygen atom, and a sulfur atom.
  • R 6 and R 7 are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an alicyclic group, an allyl group, a heterocyclic group, an allylalkyl group contain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iol group, an oxygen atom, and a sulfur atom.
  • a compound having a triple bond and a mercapto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thiol functional group are reacted under a catalyst (radical initiator) to obtain a polyol compound.
  • a catalyst radiation initiator
  • the obtained polyol compound is reacted with thiourea to obtain an isothiuronium salt, which is hydrolyzed to obtain a polythiol compound.
  • the compound having a triple bond is preferably an alcohol compound having a triple bond.
  • the alcohol compound having the triple bond is, for example, propargyl alcohol, 2-butyne-1,4-diol, 3-butyn-2ol, 2-hexine-2,5-diol and the like alone. Or two or more ki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 the triple bond alcohol compound which can be used is not limited to what was illustrated. In addition, these triple bond alcohol compounds may further contain other compounds having triple bonds and be mixed.
  • triple bond compounds are, for example, propargyl chloride, propargyl bromide, propargyl acetate, propargyl propionate, propargyl benzoate, phenyl acetylene, phenyl propargyl sulfide, 1,4-dichloro-2-butyne , 2-pentine, 1-hexine, 2-hexine, 3-hexine and the lik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d the triple bond compounds that can be used are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 the mercapto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thiol group is, for example, 2-mercaptoethanol, 1- (2-hydroxyethylthio) -3-mercaptopropan-2-ol, 1-chloro-3- Mercaptopropan-2-ol, 3-mercapto-1,2-propanediol, glyceride (mercaptoacetate), 1-hydroxy-4-mercaptocyclotohexane, 2,4-dimercaptophenol, 2-mercaptohydroquinone, 4-mercaptophenol, 3,4-dimercapto-2-propanol, 1,3-dimercapto-2-propanol, 2,3-dimercapto-1-propanol, 1, 2-dimercapto-1,3-butanethiol, 1-hydroxyethylthio-3-mercaptoethylthiobenzene, 4-hydroxy-4-mercaptodiphenylsulfone, 2- (2-mercaptoethylthio ) Ethanol
  • the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having a triple bond and the mercapto compound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radical initiator (catalyst).
  • the free radical reaction initiation temperature may vary depending on the reaction temperature of the initiator of the selected free radical. Usually, Preferably it is 20-90 degreeC, More preferably, you may be 30-80 degreeC.
  • the equivalence ratio of a triple bond alcohol compound and a mercapto compound is 0.5-5.0, and a preferable equivalent ratio is 0.9-3.0.
  • Specific reaction condi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itiator of the free radicals, and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olubility of the free radicals and the temperature selected. In one embodiment, a polyol compound was obtained at 40 ° C.
  • V52 and V65 as radical initiators in a mixed solution of propargyl alcohol or / and 2-butyne-1,4-diol and 2-mercaptoethanol.
  • the radical initiator for example, an azo or a peroxide free radical initiator such as azobisalkalennitril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V52, V64, V65, V67 and V68, V88, etc.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Du Pont under the trade name "VAZO" TM,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V52 and V65 can be used.
  • the isothiuronium salt obtained by making a polyol compound react with thiourea is obtained by refluxing polyol and thiourea under acid conditions in aqueous solution or alcohol. It is preferable to make it react in aqueous solution at this time.
  • the thiourea amount is 1 to 3 equivalents, more preferably 1.0 to 2.0 equivalents, per alcohol group in order to obtain the isothiuronium salt.
  • 60-130 degreeC is suitable for reaction temperature, More preferably, it is 80-115 degreeC.
  • Hydrolysis of the isotyuronium salt is carried out under basic conditions.
  •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ammonia, hydrazine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among them, ammonia is preferably used.
  • the amount of aqueous base solution is suitably 1.0-2.5 equivalents per one isothiuronium. More preferable equivalent ratio is 1.3-1.8.
  • the reaction temperature of the hydrolysis varies depending on the alkaline solution used, but is usually 10 to 130 ° C, preferably 30 to 80 ° C.
  • the hydrolysis time is suitably 0.1 hours to 3 hours, preferably 0.5 hours to 2 hours.
  • 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polythiol compound obtained through the hydrolysis process benzene, toluene, xylene, and the like are suitable.
  • the solvent is removed after rinsing with acid, washing with water, and filtered to obtain a final product.
  • the obtained product can be further purified by distillation or chromatography, but may be used as it is.
  • this invention may react by exposing in air,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whole in nitrogen atmosphere, since discoloration can be prevented.
  • the raw material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thiol compound is an impurity having an organic or inorganic content of 3.00% or less, and the solvent used has an organic or inorganic content of 2.00% or less by weight.
  • High purity solvents were used.
  • the calcium content of the thiourea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thiol compound is preferably 0.0005% by weight or more and 1.0%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coloring or turbidity, but may be used by 1.0% by weight or less. It was okay.
  • the polymeric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containing the polythiol compound (I) of this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is provided.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olyiso (thio) cyanate compound, and a thiourethane-based optical material is obtained by casting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other polythiol compound (II) in addition to the polythiol compound (I)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Preferred examples of the polythiol compound (I) include 2,3-bis (2-mercaptoethylthio) propane-1-thiol, 2- (2-mercaptoethylthio) propane-1,3-dithiol, 3 -[2- (2,3-dimercaptopropylthio) -3-mercaptopropylthio] propane-1,2-dithiol, 2- (2-mercaptoethylthio) -3- ⁇ 3-mercapto -2- [3-mercapto-2- (2-mercaptoethylthio) propylthio] propylthio ⁇ propane-1-thiol, 2,3-bis (2-mercaptoethylthio) -butane-1,4 -Dithiol, 2,3-bis (2,3-dimercaptopropylthio) -butane-1,4-dithiol, 2,3-bis [3-mercapto-2- (2-mercaptoethy
  • polythiol compound (II) For example, methanedithiol; Ethanedithiol; 1,2-ethanedithiol; 1,1-propanedithiol; 1,2-propanedithiol; 1,3-propanedithiol; 2,2-propanedithiol; 2,5-hexanedithiol; 1,6-hexanedithiol; 2,9-decanedithiol; 1,4-bis (1-mercaptoethyl) benzene; Cyclohexanedithiol; 1,2,3-propanethiol; 1,1-bis (mercaptomethylcyclohexane); 1,2-dimercaptopropylmethyl ether; 2,3-dimercaptopropylmethyl ether; 2,2-bis (mercaptomethyl) -1,3-propanedithiol; Bis (2-mercaptoethyl) ether; Tetrakis (mercaptomethyl) methane; 2- (2-
  • the polyiso (thio) cyanate is preferably a general purpose polyiso (thio) cyanate.
  • the general purpose polyiso (thio) cyanate is preferably isophorone diisocyanate, dicyclohexyl methane-4,4-diisocyanate (H 12 MDI),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1,3,5 -Tris (6-isocyanatohexyl)-[1,3,5] -triziane-2,4,6-trione (HDI trimer), o, m, p-xylylenediisocyanate, ⁇ , ⁇ It is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compound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lpha), (alpha) ', (alpha)'-tetramethyl xylylene diisocyanate and tolylene diisocyanate (TDI).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unds having an iso (thio) cyanate group in addition to the general-purpose polyiso (thio) cyanate.
  •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n iso (thio) cyanate group include dimethylphenylene isocyanate, diethylphenylene diisocyanate, diisopropylphenylene diisocyanate, trimethylbenzenetriisocyanate, benzenetriisocyanate, naphthalin diisocyanate, and ethylenedi.
  • polyisocyanate compound containing the said sulfur atom for example, thiodiethylene disocyanate, thiodipropyl diisocyanate, thiodihexyl diisocyanate, dimethyl sulfone diisocyanate, dithio dimethyl diisocyanate, dithio diethyl di Isocyanate, dithio dipropyl diisocyanate, etc.
  • the isothiocyanate compound is, for example, 1-isocyanato-3-isothiocyanate propane, 1-isocyanato-5-isothiocyanatopentane, 1-isocyanato-6-iso Aliphatic compounds such as thiocyanatohexane, isothiocyanatocarbonyl isocyanate, and 1-isocyanato-4-isothiocyanatocyclohexane; Aromatic compounds such as 1-isocyanato-4-isothiocyanatobenzene and 4-methyl-3-isocyanato-1-isothiocyanatobenzene; Heterocyclic compounds such as 2-isocyanato-4,6-diisothiocyanato-1,3,5-triadine; O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in addition to isothiocyanato groups such as 4-isocyanato-4-isothiocyanatodiphenylsulfide and 2-isocyanato-2-isothiocyana
  • SH / NCO is 0.5-2.5 in molar ratio, Preferably it is good in the range of 0.7-1.5. .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ddition, as necessary, similar to the thiourethane-based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such as an internal mold release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olor stabilizer, a stabilizer (heat stabilizer), a blueing agent, and a chain extension. You may further contain arbitrary components, such as a crosslinking agent, a light stabilizer, antioxidant, and a filler. Moreover, in order to adjust reaction rate, the well-known reaction catalyst used in manufacture of thiocarbamic acid S-alkyl ester or a polyurethane can also be added suitably.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epoxy compound, a thioepoxy compound, a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or an unsaturated group, a metal compound, or the like, which is copolymerizable with the urethane resin composition.
  • optical materials such as an internal mold release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 the stabilizer is used to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an optical lens, it is preferable to add 0.01 to 5.00% by weight in the total composition.
  • the stability effect is weak, and when using at least 10.0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lymerization failure rate during curing is high and the stability of the cured product is lowered.
  • group etc. can be used 1 type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More preferably, a phosphorus stabilizer can be used.
  • Phosphorus stabilizer greatly improved the stability of the optical lens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initial color of the molded lens as well as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polymerization yield.
  • the phosphorus stabilizer is, for example, triphenylphosphine, sodium diphenylphosphinobenzene-3-sulfonate, dimethylaminophenyldiphenylphosphine, diphenylphosphinobenzoic acid, tris (methoxyphenyl) phosphine, tris ( Methylphenyl) phosphine, tris (dimethoxyphenyl) phosphine, tris (dimethylphenyl) phosphine, tris (trimethoxyphenyl) phosphine, tris (trimethylphenyl) phosphine, tris (pentafluorophenyl) phosphine, Triphenylphosphine oxide, tris (1,3-d
  • the internal mold release agent examples include a fluorine-based nonionic surfactant having a perfluoroalkyl group, a hydroxyalkyl group or a phosphate ester group; Silicone nonionic surfactants having a dimethylpolysiloxane group, a hydroxyalkyl group or a phosphate ester group; Alkyl quaternary ammonium salts, ie, trimethylcetyl ammonium salt, trimethylstearyl, dimethylethylcetyl ammonium salt, triethyldodecyl ammonium salt, trioctylmethyl ammonium salt, diethylcyclohexadodecyl ammonium salt;
  • th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acidic phosphate este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 acidic phosphate ester is used, and as acidic phosphate ester, isopropyl acid phosphate; Diisopropyl acid phosphate; Butyl phosphate; Octylic acid phosphate; Dioctyl acid phosphate; Isodecyl phosphate; Diisodecyl phosphate; Tridecanoic acid phosphate; Bis (tridecanoic acid) phosphate or the lik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ZELEC UN TM (Stepan), which is an acidic phosphate ester, was found to exhibit the best demolding when demolding the mold from the lens after curing.
  •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ic phosphate ester compound and Zn, Cu, Fe, Ga, Bi, Al and Zr is 0.01 wt% or less, but an internal mold release agent mixed with 0.01 wt% to 20 wt% is used. It can also be used.
  • the internal mold release agent may be used in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at 0.0001 to 10% by weight, and preferably at 0.005 to 2% by weight of the mold for demolding the lens and having high polymerization yield. If the amount of the release agent is less than 0.005% by weight,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the lens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glass mold when the molded optical lens is separated from the glass mold. If the amount is more than 2% by weight, the lens is separated from the glass mold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the mold.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stains on the surface.
  • the ultraviolet absorber benzophenone-based, benzotriazole-based, salicylate-based, cyanoacrylate-based, oxanilide-based,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mine-based, phosphorus-based, organotin-based, organocopper-based, organogallium, organozirconium, organoiron-based, organozinc, organoaluminum,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color corrector may be a pigment and a dye, and the pigment may be an organic pigment, an inorganic pigment, and the like, and an anthraquinone-based disperse dye may be used as the dye.
  • the antioxidant a phenol-based, amine-based, phosphorus-based, thioester-based or the like may be used.
  • a 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can be manufactured by casting-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ontaining a polythiol compound and a polyiso (thio) cyanate compound as mentioned above. Specifically, first, a polythiol compound and a polyiso (thio) cyanate compound are mixed, and then the mixed solution (polymerizable composition) is subjected to vacuum degassing by a suitable method as necessary, and then injected into an optical material mold. At this time, mixing (blending), defoaming, injection into the mold is to be mad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1 ⁇ 40 °C. After injection into a mold, a thiourethane-based optical material is usually obtained by gradually heating from low temperature to high temperature to polymerize and demolding.
  • the optical material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refractive index, Abbe's number, hea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required for optical materials such as plastic lenses and transparent materials, and is colorless, transparent and easy to dye.
  • the optical material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the use of lenses, prisms, and the like,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use of lenses such as spectacle lenses and camera lenses.
  • the optical lens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jected to surface polishing and antistatic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ntireflection, high hardness, improving wear resistance, improving chemical resistance, providing weather resistance, or imparting fashion as necessary.
  • surface polishing and antistatic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ntireflection, high hardness, improving wear resistance, improving chemical resistance, providing weather resistance, or imparting fashion as necessary.
  •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such as hard coat treatment, anti-reflective coat treatment, dyeing treatment, and dimm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 GC analysis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Agilent Technologies 7890A GC System was used column HP-1 (J & W Scientific), the temperature range was 60 °C ⁇ 260 °C, heating conditions were measured at 20 °C / min.
  • Refractive index and Abbe number It was measured using an Abbe refractometer of Atago Co., 1T and DR-M4.
  • APHA value of the liquid material was used by Hunter Lab's Color Quest XE instrument. The concentration of the standard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the platinum and cobalt reagents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APHA value obtained by comparing the built-in program with the sample solution. The smaller the measured value, the better the color of the optical lens.
  • a 2-liter four-necked flask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2-mercaptoethanol (139.37 g, 1.78 mol) and V52 (0.2 g) were added, and propargyl alcohol (50.00 g, 0.89 mol) is slowly added dropwise. After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i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t 40 ° C. When the catalyst is exhausted on HPLC, the reaction is carried out by continuously adding the V52 catalyst. The V52 catalyst was added until no further reaction and finally proceeded for 3 hours at 60 ° C. to complete the reaction. The total amount of catalyst used was 0.4 g. The whole reaction process during the preparation was confirmed by HPLC.
  • a 2-liter four-necked flask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then 1-chloro-3-mercapto-propan-1-ol (225.36 g, 1.78 mol) and V52 (0.5 g) were added to the reaction temperature of 40.
  • the V52 catalyst is added until no further reaction, and finally 3 hours at 60 ° C. to complete the reaction.
  • the entire reaction process was confirmed by HPLC.
  • remove the volatiles under reduced pressure lower the reaction to room temperature, add thiourea (339.45 g, 4.46 mol) and 35%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534.13 g, 5.12 mol) and for 3 hours 30 minutes at 107 ° C. It was refluxed.
  •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room temperature and slowly added dropwise 25% ammonia water (379.05 g, 5.57 mol) below 35 ° C.
  • a 2-liter four-necked flask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then 1- (2-hydroxy-ethylthio) -3-mercapto-propan-2-ol (299.53 g, 1.78 mol) and V52 (0.5) g) is added and propargyl alcohol (50.00 g, 0.89 mol) is slowly added dropwise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40 ° C. After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was continued by adding the V52 catalyst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t 40 ° C. The V52 catalyst is added until no further reaction and finally proceeds for 3 hours at 60 ° C. to finally complete the reaction. The amount of catalyst used was 0.4 g.
  • the reaction product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 water layer was discarded, and the organic layer was washed once with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and three times with water.
  • the obtained organic layer was dried with forget-me-not and filtered and the organic solution obtained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polythiol compound (366.21 g, 87%).
  • a 2-liter 4-necked flask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2-butyne-1,4-diol (153.24g, 1.78 mol) and V52 (0.5g) were added, and 2-butyne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40 ° C. -1,4-diol (76.62 g, 0.89 mol) is slowly added dropwise. After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was continued by adding the V52 catalyst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t 40 ° C. The V52 catalyst is added until no further reaction is carried out, and finally 3 hours further at 60 ° C. to finally complete the reaction. The whole reaction process during the preparation was confirmed by HPLC.
  • a 2-liter four-necked flask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then 1-chloro-3-mercapto-propan-1-ol (225.36 g, 1.78 mol) and V52 (0.5 g) were added to the reaction temperature of 40.
  • 2-butyne-1,4-diol 76.62 g, 0.89 mol
  •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by continuously adding the V52 catalyst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t 40 ° C.
  • the V52 catalyst was added until no further reaction, and finally proceeded for 3 hours at 60 ° C. to finally complete the reaction.
  • the whole reaction process during the preparation was confirmed by HPLC.
  • a 2-liter four-necked flask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then 1- (2-hydroxy-ethylthio) -3-mercapto-propan-2-ol (299.53 g, 1.78 mol) and V52 (0.5) g) is added and 2-butyne-1,4-diol (76.62 g, 0.89 mol) is slowly added dropwise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40 ° C. After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is carried out by continuously adding the V52 catalyst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t 40 ° C. The V52 catalyst was added until no further reaction and finally proceeded for 3 hours at 60 ° C. to finally complete the reaction.
  • compositions and len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tes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compositions and len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tes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the optical lens manufactured using the polythiol compound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clear and transparent and the color was good.
  • the polythiol compound prepa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without degrading its compatibility with isocyanate, thereby reducing the solubility of the composition, so that no whitening or edge bubbles were observed.
  • IPDI isophorone diisocyanate
  • 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diisocyanate)
  • DMPD 3- [2- (2,3-dimercaptopropylthio) -3-mercaptopropylthio] propane-1,2-dithiol (3- [2- (2,3-dimercaptopropylthio) -3- mercaptopropylthio] propane-1,2-dithiol)
  • BMBD 2,3-bis (2-mercaptoethylthio) -butane-1,4-dithiol (2,3-bis (2-mercaptoethylthio) butane-1,4-dithiol)
  • BDBD 2,3-bis (2,3-dimercaptopropylthio) -butane-1,4-dithiol (2,3-thio) propylthio] butane-1,4-dithiol (2,3- bis [3-mercapto-2- (2-mercaptoethylthio) propylthio] -butane-1,4-dithiol)
  • PETMP pentaerythritol-tetrakis (3-mercaptopropionate)
  • ZELEC UN An acidic phosphate ester compound manufactured by Stepan, trade name ZELEC UN TM
  • HOPBT 2- (2'-hydroxy-5'-t-octylphenyl) -2H-benzotriazole
  • the polythiol compound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olythiol compound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general purpose polyiso (thio) cyanate is used, it is possible to easily prepare a thiourethane-based optical material having excellent quality without polymerization imbalance, whitening or clouding.
  • the thiourethane-based optical materia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place of existing optical materials. Specifically, it can be used as a plastic glasses lens, a 3D polarizing lens equipped with a polarizing film on the spectacle lens, a camera lens, etc.
  • optical such as recording media substrates, color filters and ultraviolet absorption filters used in prisms, optical fibers, optical disks, etc. Can be used in the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중결합 화합물과 티올 작용기를 가진 메르캅토화합물을 반응시켜 폴리올 화합물을 경유하여 폴리티올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폴리티올 화합물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적어도 한 개의 티올 작용기를 갖는 메르캅토화합물을 반응시켜 폴리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얻는 단계와; 상기 이소티우로늄염을 가수분해하여 폴리티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은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중합시켜 렌즈를 제조하더라도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이 없는 무색투명한 고품질의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중결합 화합물과 티올 작용기를 가진 메르캅토화합물을 반응시켜 폴리올 화합물을 경유하여 폴리티올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폴리티올 화합물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광학재료는,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학재료에 비해 가볍고 쉽게 깨어지지 않으며, 염색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수지의 플라스틱 재료들이 광학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고굴절율화, 고내충격성, 고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광학수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티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는, 투명성, 아베수, 투과율, 인장강도 등의 광학특성이 우수하여 광학렌즈 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강한 인장강도로 무테가공성이 우수하여 최근 각광을 받고 있으며, 제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안경렌즈 시장은 점점 광학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경제성이 우수한 광학렌즈 소재를 요구하고 있다.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디설파이드 화합물을 환원하는 방법, 유기 할로겐화물에 수황화 또는 황화알칼리금속염을 반응시키는 방법, 유기 할로겐화물 또는 알코올류에 티오요소를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제조하고 염기로 가수분해하는 방법, 분테염을 경유하는 방법, 디티오칼바민산에스테르를 경유하는 방법, Grinard 시약과 유황을 이용하는 방법, 설파이드의 C-S 결합을 개열시키는 방법, 에피설파이드를 개환시키는 방법,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한 황화수소를 도입하는 방법, 알켄에 황화수소 및 티오아세트산을 부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유기할로겐화물 또는 알코올류로부터 이소티우로늄염을 경유하여 티올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수율이 높고, 부생물이 적고, 조작성이 뛰어나고, 얻어진 제품의 품질이 좋아 잘 이용되고 있다.
대한한국 등록특허공보 10-0055977에서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메르캅토에탄올 및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폴리올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폴리티올을 제조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가성소다를 사용하는 경우, 들어간 원재료의 량에 비해 생성량의 비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폐수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수용액인 가성소다의 반응 시 분자량이 큰 폴리올이 존재하므로 최종 생성물에는 분자량이 큰 폴리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 내에 폴리올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얻어진 폴리티올 화합물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범용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1,3,5]-트리지아닌-2,4,6-트리온(HDI 트리머) 등과 중합 반응시키면, 얻어지는 광학재료에 중합불균형, 백탁 및 백화현상이 흔히 발생한다.
반면, 대한한국 등록특허공보 10-0067120에서는 폴리티올과의 혼합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3,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5,2,1,02,06]데칸, 3,9-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5,2,1,02,06]데칸, 4,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5,2,1, 02,06]데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5(또는 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등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중합 반응시켜 광학재료를 얻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광학재료는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의 문제가 없다. 하지만, 폴리티올과의 혼합성이 뛰어난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들은 제조가 어렵고, 고가로 공급되고 있어, 광학재료의 생산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고굴절, 고아베수, 내열성, 내충격성 등 광학적인 특성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우수한 광학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통상 폴리티올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떨어지는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중합 반응시켜 광학재료를 제조할 때에도 반응성이 양호하여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의 문제가 없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광학렌즈 외의 다른 용도로도 범용적으로 사용되어 대량 생산되고 가격이 저렴한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의미하며, 특히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스(6-이소시아네이토헥실)-[1,3,5]-트리지아난-2,4,6-트리온(HDI 트라이머), o,m,p-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등을 포함한다. "백화"와 "백탁"은 렌즈가 뿌옇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주로 "백화"는 국소적인 현상을 "백탁"은 전체적으로 탁해지는 현상을 말하나, 본 발명에서 “백탁”은 백화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사용 시 나타나는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던 중 분자량이 큰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중에 잔류하는 폴리올이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의 반응성을 떨어뜨려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결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의 분자량이 적정 범위로 균일해야 하며,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 내에 폴리올이 적게 함유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식에서 출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의 분자량이 적정 범위로 균일하고 폴리올의 잔류량이 적은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삼중결합 화합물과 티올 작용기를 가진 메르캅토화합물을 반응시키면 분자량이 비교적 균일한 폴리올 화합물이 얻어지고, 이 폴리올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경유하여 폴리티올 화합물을 얻게 되면,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의 분자량이 적정 범위로 균일하고 폴리올을 적게 함유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적어도 한 개의 티올 작용기를 갖는 메르캅토화합물을 반응시켜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얻는 단계와;
상기 이소티우로늄염을 가수분해하여 아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3
[화학식 4]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4
(상기의 식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한 개 이상의 수산기나 할로겐 원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3는 한 개 이상의 히드록시 또는 할로겐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작용기 내에 한 개 이상의 산소원자, 황원자, 히드록시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티올기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티올기, 산소원자,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6, R7는 티올기, 산소원자,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얻은 폴리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얻은 광학재료와 이 광학재료로 이루어진 광학렌즈가 제공된다. 상기 광학렌즈는 특히 안경렌즈 또는 편광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은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중합시켜 렌즈를 제조하더라도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이 없는 무색투명한 고품질의 렌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생산비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광학재료는 고굴절율, 고아베수에 맑고 투명하며, 내충격성, 내열성, 성형성, 염색성, 광투과율 등의 광학특성이 우수하여, 안경렌즈, 카메라 렌즈 등의 렌즈, 프리즘, 광파이프,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기록매체기관, 착색필트, 적외선 필트, 기타 플라스틱 가공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아래 반응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5
(상기 식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한 개 이상의 수산기나 할로겐 원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3는 한 개 이상의 히드록시 또는 할로겐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작용기 내에 한 개 이상의 산소원자, 황원자, 히드록시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티올기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티올기, 산소원자,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6, R7는 티올기, 산소원자,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먼저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적어도 한 개의 티올 작용기를 갖는 메르캅토화합물을 촉매(라디칼개시제)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올 화합물을 얻는다. 그런 다음 얻어진 폴리올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얻고, 이 이소티우로늄염을 가수분해하여 폴리티올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삼중결합을 갖는 알코올 화합물이다. 상기 삼중결합을 갖는 알코올 화합물은, 예를 들어, 프로파길 알코올, 2-부틴-1,4-다이올, 3-부틴-2올, 2-헥신-2,5-다이올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삼중결합 알코올 화합물은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삼중결합 알코올 화합물에 삼중결합을 갖는 다른 화합물을 더 포함시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삼중결합 화합물은, 예를 들면, 프로파길 클로라이드, 프로파길 브로마이드, 프로파길 아세테이트, 프로파길 프로피온에이트, 프로파길 벤조에이트, 페닐 아세틸렌, 페닐 프로파길 설파이드, 1,4-다이클로로-2-부틴, 2-펜틴, 1-헥신, 2-헥신, 3-헥신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삼중결합 화합물은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적어도 한 개의 티올기를 갖는 메르캅토화합물은, 예를 들면, 2-메르캅토에탄올, 1-(2-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2-올, 1-클로로-3-메르캅토프로판-2-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글리세리딘(메르캅토아세테이트), 1-히드록시-4-메르캅토시클로토헥산, 2,4-디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히드로퀴논, 4-메르캅토페놀, 3,4-디메르캅토-2-프로판올, 1,3-디메르캅토-2-프로판올,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1,2-디메르캅토-1,3-부탄티올, 1-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4-히드록시-4-메르캅토디페닐술폰, 2-(2-메르캅토에틸티오)에탄올, 히드록시에틸티오메틸-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메르캅토 화합물은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메르캅토화합물의 반응은 라디칼개시제(촉매)의 존재하에서 실시한다. 유리라디칼 반응개시온도는 선택된 유리 라디칼의 개시제의 반응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상 바람직하게는 2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로 한다. 삼중결합 알코올 화합물과 메르캅토화합물의 당량비는 0.5~5.0이며, 바람직한 당량비는 0.9~3.0이다. 구체적인 반응조건은 유리 라디칼의 개시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유리라디칼의 용해도와 선택되는 온도에 따라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프로파길 알코올 또는/그리고 2-부틴-1,4-디올과 2-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용액에 라디칼개시제로 V52 및 V65를 이용하여 40℃에서 폴리올 화합물을 얻었다. 반면, V64 및 V67의 경우는 용해도가 낮아 적어도 60℃ 이상에서 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 라디칼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아조비스알칼렌니트릴과 같은 아조나 퍼옥사이드형 유리라디칼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라디칼개시제로, "VAZO"™라는 상품명으로 듀퐁(Du Pont)에서 시판하는 V52, V64, V65, V67 및 V68, V88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V52와 V65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얻는 이소티우로늄염은, 수용액이나 알코올 속에서 폴리올과 티오우레아를 산조건에서 환류시켜 얻는다. 이때 수용액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오요소량은 이소티우로늄염을 얻기 위해 한 개의 알코올작용기에 1에서 3 당량이 필요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당량이다. 반응온도는 60~130℃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15℃이다.
이소티우로늄염의 가수분해는 염기 조건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히드라진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를 사용한다. 염기 수용액의 량은 한 개의 이소티우로늄에 대해 1.0~2.5 당량이 적당하다. 더욱 바람직한 당량비는 1.3~1.8이다. 가수분해의 반응온도는 사용하는 알칼리 용액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10~130℃, 바람직하게는 30~80℃로 한다. 가수분해 시간은 0.1시간~3시간이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5시간~2시간이다.
상기 가수분해 과정을 거쳐 얻어진 폴리티올 화합물의 추출용매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이 적당하며, 산세정 및 물세정 등을 거쳐,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하여 최종제품을 얻는다. 얻어진 제품은 증류나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한 단계 더 정제할 수 있으나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은 공기 중에서 노출시켜 반응을 행하여도 무방하나, 전체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변색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원재료는, 불순물인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함유량이 3.00% 이하인 순도의 것을 사용하였고, 사용하는 용매는 불순물인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2.00% 중량 이하인 고순도 용매를 사용하였다. 특히, 티올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한 티오우레아의 칼슘 함량은 착색이나 백탁의 관점에서 0.0005 중량% 이상에서 1.0 중량%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1.0 중량%에서 2.0 중량%이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였다. 티올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한 2-메르캅토 화합물 중의 비스(2-히드록시에틸)디설파이드의 함유량은 0.01 중량% 이상에서 0.5 중량%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폴리티올 제조시 원재료의 순도의 분석에서 분자량이 300g/mol 보다 적은 것은 GC(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하였고, 분자량이 300g/mol 이상이거나 휘발성이 낮은 원재료는 HPLC(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하였다. 칼슘의 분석은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폴리티올 화합물(I)을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중합시킴으로써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티올 화합물(I) 외에 다른 폴리티올 화합물(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I)의 바람직한 예로,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3-디티올, 3-[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1,2-디티올, 2-(2-메르캅토에틸티오)-3-{3-메르캅토-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부탄-1,4-디티올, 2,3-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부탄-1,4-디티올, 2,3-비스[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부탄-1,4-디티올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Ⅱ)로는, 예를 들어, 메탄디티올; 에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1-프로판디티올; 1,2-프로판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2,2-프로판디티올; 2,5-헥산디티올; 1,6-헥산디티올; 2,9-데칸디티올; 1,4-비스(1-메르캅토에틸)벤젠; 시클로헥산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1,1-비스(메르캅토메틸시클로헥산); 1,2-디메르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3-디메르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2-비스(메르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비스(2-메르캅토에틸)에테르;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2-(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에탄티올; 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판닐)설파이드; 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판닐)디설파이드; 1,2-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 1,2-비스(2-(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에탄; 비스(2-(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필)술피드; 2-(2-메르캅토에틸티오)-3-2-메르캅토-3-[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2,2 -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닐옥시메틸)-부틸 에스테르; 2-(2-메르캅토에틸티오)-3-(2-(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에틸티오)프로판-1-티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롤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클로로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2,2-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온닐옥시메틸)부틸에스터(TMPMP);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PETMP);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PETMA); 비스펜타에리트리톨-에테르-헥사키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BPEHMP); 비스펜타에리트리톨-에테르-헥사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BPEHMA); 비스펜타에리트리톨헥사(2-메르캅토아세테이트)(BPEMA); 비스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BTMPMP); 비스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BTMPMA)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다.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1,3,5]-트리지아난-2,4,6-트리온(HDI트라이머), o,m,p-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외에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기를 가지는 다른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디메틸페닐렌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린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부타디엔-1,4-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칸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6-헥사 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나토-4-이소시아나토메틸옥탄, 2,5,7-트리메틸-1,8-디이소시아나토-5-이소시아나토메틸옥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카아보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에테르, 1,4-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에테르-α,α'-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에스테르,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2,6-디이소시아나토헥사노에이트, 2-이소시아나토프로필-2,6-디이소시아나토헥사노에이트, 크실리텐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프로필)벤젠,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린덴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나프탈린,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디페닐에테르,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프탈레이트, 메시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2,6-디(이소시아나토메틸)푸란,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나토-n-부틸리덴)펜타에리트리톨,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5-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6-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5-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6-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5-(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6-(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5-(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6-(2-이소시아나토에틸)-비스클로-[2,2,1]-헵탄, 3,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5,2,1,02,06]데칸, 3,9-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5,2,1,02,06]데칸, 4,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5,2,1,02,06]데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5(또는 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디이 아네이트, 메틸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롤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벤질-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페닐)에틸렌 3,3'-디메톡시비페닐메탄-디메틸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MD1(디페닐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린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4,6,4'-트리이소시아네이트, 4-메틸-디페닐메탄-3,5,2',4',6'-펜타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나토메틸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나토에틸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벤조페논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디벤조푸란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클로로카르바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황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티오디에틸렌디소시아네이트, 티오디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디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술폰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에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함황지방족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네이트디벤질티오에테르, 비스(4-이소시아나토메틸페닐)술피드, 4,4'-메톡시페닐티오에틸렌글리콜-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술피드결합을 가진 방향족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6,6'-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릴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디술피드-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술피드결합을 가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폰-4,4'-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벤지딘술폰-4,4'-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4-메틸디페닐술폰-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나토벤질디술폰, 4,4'-디메틸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tert-부틸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톡시페닐에틸렌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술폰결합을 가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4-메틸-3-이소시아네이트술포닐-4-이소시아나토페놀에스테르, 4-메톡시-3-디이소시아네이트페닐술포닐-4-이소시아나토페놀에스테르 등의 술폰산에스테르 결합을 가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4-메틸-3-이소시아나토페닐술포닐아닐리드-3-메틸-4-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포닐-에틸렌디아민-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톡시페닐술포닐-에틸렌디아민-3,3'-디이소시아네이트, 4-메틸-3-이소시아나토페닐술포닐아닐리드-4-메틸-3-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술포산아미드결합을 가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함황복소고리화합물; 기타 1,4-디티안-2,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1-이소시아나토-3-이소티오시아네이트프로판, 1-이소시아나토-5-이소티오시아나토펜탄, 1-이소시아나토-6-이소티오시아나토헥산, 이소티오시아나토카르보닐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나토-4-이소티오시아나토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화합물; 1-이소시아나토-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 4-메틸-3-이소시아나토-1-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 등의 방향족화합물; 2-이소시아나토-4,6-디이소티오시아나토-1,3,5-트리아딘 등의 복소고리식화합물; 또는 4-이소시아나토-4-이소티오시아나토디페닐술피드, 2-이소시아나토-2-이소티오시아나토디에틸디술피드 등의 이소티오시아나토기 이외에도 유황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중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몰비로 SH/NCO는 0.5~2.5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7~1.5의 범위 내가 좋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이밖에도 필요에 따라, 통상의 광학재료용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내부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개시제, 색상보정제, 안정제(열안정제), 블루잉제, 사슬연장제, 가교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등의 임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반응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티오카르바민산S-알킬에스테르 혹은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공지의 반응 촉매를 적절하게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 우레탄수지 조성물과 공중합이 가능한, 에폭시화합물, 티오에폭시화합물, 비닐기 혹은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및 금속화합물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정제는 광학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전체 조성물 중에 0.01~5.00 중량% 첨가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제는 0.01 중량% 이하 사용할 때에는 안정성 효과가 약하며, 10.00 중량% 이상을 사용할 때에는 경화시 중합불량률이 높고 경화물의 안정성이 도리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안정제로는, 금속 지방산염계, 인계, 납계, 유기주석계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계의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인계 안정제는 성형된 렌즈의 초기 색상뿐 아니라 투명성, 충격강도, 내열성 및 중합수율 등의 광학특성의 저하 없이 광학렌즈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었다. 상기 인계 안정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디페닐포스피노벤젠-3-술폰산나트륨, 디메틸아미노페닐디페닐포스핀, 디페닐포스피노벤조산, 트리스(메톡시페닐)포스핀, 트리스(메틸페닐)포스핀, 트리스(디메톡시페닐)포스핀, 트리스(디메틸페닐)포스핀, 트리스(트리메톡시페닐)포스핀, 트리스(트리메틸페닐)포스핀,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옥시드, 트리스(1,3-디클로로프로판-2-일)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인산트리스(1H,1H,5H-옥타플루오로-n-펜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인산 크레딜디페닐, 인산트리크레딜, 인산트리스(4-니트로페닐)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이형제로는, 퍼플루오르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를 지닌 불소계 비이온계면활성제; 디메틸폴리실록산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를 가진 실리콘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제 4급 암모늄염 즉, 트리메틸세틸 암모늄염, 트리메틸스테아릴, 디메틸에틸세틸 암모늄염, 트리에틸도데실 암모늄염, 트리옥틸메틸 암모늄염, 디에틸시클로헥사도데실 암모늄염; 산성 인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성분이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성 인산에스테르를 사용하며, 산성 인산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산포스페이트; 디이소프로필산포스페이트; 부틸산포스페이트; 옥틸산포스페이트; 디옥틸산포스페이트; 이소데실산 포스페이트; 디이소데실산포스페이트; 트리데칸올산포스페이트; 비스(트리데칸올산)포스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산성 인산에스테르계인 ZELEC UN™(Stepan 사)이 경화 후 몰드를 렌즈에서 탈형시킬 때의 탈형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성 인산에스테르화합물과 Zn, Cu, Fe, Ga, Bi, Al 및 Z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이 0.0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0.01 중량%에서 20 중량% 혼합된 내부이형제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내부이형제는 중합성 조성물 중에 0.0001~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2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렌즈에서 몰드의 탈형성이 좋고 중합 수율 또한 높았다. 이형제의 첨가량이 0.005 중량% 이하이면 성형된 광학렌즈를 유리 몰드에서 분리시 유리몰드 표면에 렌즈가 부착되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중량% 이상이면 주형 중합 중 렌즈가 유리 몰드에서 분리되어 렌즈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라이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옥사닐라이드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아민계, 인계, 유기주석계, 유기구리계, 유기갈륨, 유기지르코늄, 유기철계, 유기아연, 유기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색상보정제는 안료 및 염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안료에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등이 있고, 염료로는 안트라퀴논계 분산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아민계, 인계, 티오에스테르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중합함으로써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폴리티올 화합물과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한 다음, 이 혼합액(중합성 조성물)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방법으로 감압탈포를 행한 후, 광학재료용 몰드에 주입한다. 이때 혼합(배합), 탈포, 몰드에의 주입이 21~4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몰드에 주입한 후에는 통상 저온으로부터 고온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중합시키고, 탈형하는 것에 의해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광학재료는, 플라스틱 렌즈 등의 광학재료나 투명재료에서 요구되는 굴절률, 아베수,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고, 무색투명하며 염색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광학재료는 렌즈나 프리즘 등의 용도에 적합하며, 특히 안경 렌즈, 카메라 렌즈 등의 렌즈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광학렌즈는, 필요에 따라 반사방지, 고경도 부여, 내마모성 향상, 내약품성 향상, 방운성 부여, 혹은 패션성 부여 등의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 연마, 대전방지 처리, 하드 코트 처리, 무반사 코트 처리, 염색처리, 조광 처리 등의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방법
1) GC(Gas Chromatography)분석: Agilent Technologies 7890A GC System으로 column HP-1(J & W Scientific)을 이용하였고, 온도 범위는 60℃~260℃이며, 가열조건은 20℃/min으로 측정하였다.
2) HPLC 측정: LC 20A (Shimazhu,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칼럼은 C18 역상칼럼 (Ace 5, 250 X 4.6 mm, ACE-121-2548, particle size 5μmm)으로 용매는 혼합용매(CH3CN : H2O = 7:3), 유속은 1 mL/min, UV(λ)은 195 nm, 오븐온도는 40℃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3) 굴절률 및 아베수 : Atago Co., 1T 및 DR-M4 모델인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APHA 값: 액상 물질의 APHA 값은 Hunter lab사의 Color Quest XE 기기를 이용하였다. 백금과 코발트의 시약을 용해하여 조제한 표준액의 농도를 데이터화하여 내장된 프로그램과 시료 액의 비교에서 얻어진 APHA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이 작을수록 광학렌즈의 색상이 양호하다.
5) 중합불균형: 100매의 렌즈를 USH10 USH-10D인 수은 아크 램프(Mercury Arc lamp) 아래 육안으로 관찰하고, 렌즈의 국소적인 주위에 굴절률이 달라 호상이 확인된 렌즈는 중합불균형이 있다고 판정하고 중합불균형이 5개 이하이면 "O"으로 표시하고, 중합불균형이 5개 이상이 발견되면 "X"로 표시한다.
6) 백탁: 100매의 렌즈를 USH10 USH-10D인 수은 아크 램프(Mercury Arc lamp) 아래 육안으로 관찰하고, 가변 또는 가운데 탁함이 확인된 렌즈는 백탁이 있다고 판정하고 백탁이 5개 이하이면 "O"으로 표시하고, 백탁이 5개 이상이 발견되면 "X"로 표시한다.
실시예 1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P3, 화학식 5)의 제조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와 온도계, 그리고 콘덴서를 장착한 후, 2-메르캅토에탄올 (139.37g, 1.78 mol)과 V52 (0.2g)를 첨가하고 반응온도 40℃에서 프로파길알코올(50.00g, 0.89 mol)을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후, 반응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반응시키고, HPLC 상에서 촉매가 소진되면, V52 촉매를 연속해서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V52 촉매는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서 60℃에서 3시간 더 진행한다. 사용한 촉매의 총량은 0.4g 이었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티오우레아(203.67g, 2.67 mol) 및 35% 진한염산(320.48g, 3.07 mol)을 첨가하고, 107℃에서 3시간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환류반응이 끝난 다음, 실온으로 내리고, 35℃미만에서 25% 암모니아 수(227.43g, 3.34 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다음 톨루엔(300g)을 첨가하고, 75℃에서 가수분해하고, 생성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분액깔대기로 옮겨 층분리하였다. 물층은 버리고 유기층은 진한 염산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로 세번 세척한다. 얻어진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필트하여 얻은 반응생성물을 감압농축하여 폴리티올 화합물(211.03g, 90%)을 얻었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6
실시예 2
3-[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1,2-디티올(DMPD, 화학식 6)의 제조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와 온도계, 그리고 콘덴서를 장착한 후, 1-클로로-3-메르캅토-프로판-1-올(225.36g, 1.78 mol)과 V52 (0.5g)를 첨가하고 반응온도 40℃에서 프로파길 알코올(50.00g, 0.89 mol)을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 후, 반응온도를 4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과정에서 HPLC상 촉매가 소진되면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사용한 촉매의 총량은 0.4g 이었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V52 촉매는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반응을 완결시키기위해서 마지막에는 60℃에서 3시간 더 진행한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티오우레아(339.45g, 4.46 mol) 및 35% 진한 염산(534.13g, 5.12 mol)을 첨가하고, 107℃에서 3시간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이 끝나면 실온으로 내리고, 35℃ 미만에서 25% 암모니아 수(379.05g, 5.57mol)를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가 끝나면 톨루엔(400g)을 첨가하고, 75℃에서 가수분해하고, 생성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분액깔대기에 옮겨 층분리한다. 아래층인 물층은 버리고 유기층은 진한 염산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로 세번 세척한다. 얻어진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필트하여 얻은 것을 감압농축하여 폴리티올 화합물(279.25g, 89%)을 얻었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7
실시예 3
2-(2-메르캅토에틸티오)-3-{3-메르캅토-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MMPT, 화학식 7)의 제조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와 온도계, 그리고 콘덴서를 장착한 후, 1-(2-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2-올(299.53g, 1.78 mol)과 V52 (0.5g)를 첨가하고, 반응온도 40℃에서 프로파길 알코올(50.00g, 0.89 mol)을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 후, 반응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V52 촉매를 연속해서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V52 촉매는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 마지막에 60℃에서 3시간 더 진행한다. 사용한 촉매의 량은 0.4g이었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티오우레아(339.45g, 4.46 mol) 및 35% 진한 염산(534.13g, 5.12 mol)을 첨가하고, 107℃에서 3시간30분 동안 환류시켰다. 환류가 끝나면 반응용액을 실온으로 내리고, 35℃미만에서 25% 암모니아 수(379.05g, 5.57 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가 끝난 다음 톨루엔(400g)을 첨가하고, 75℃에서 가수분해하였다. 생성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물층은 버리고 유기층은 진한 염산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로 세번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필트하여 얻은 유기용액을 감압농축하여 폴리티올 화합물(366.21g, 87%)을 얻었다.
[화학식 7]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8
실시예 4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부탄-1,4-디티올 (BMBD, 화학식 8)의 제조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와 온도계, 그리고 콘덴서를 장착한 후, 2-부틴-1,4-디올(153.24g, 1.78 mol)과 V52 (0.5g)를 첨가하고 반응온도 40℃에서 2-부틴-1,4-디올(76.62g, 0.89 mol)을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 후, 반응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V52 촉매를 연속해서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V52 촉매는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 마지막에 60℃에서 3시간 더 진행한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티오우레아(270.98g, 3.56 mol) 및 35% 진한 염산(426.39g, 4.09 mol)을 첨가하고, 107℃에서 3시간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실온으로 내리고, 35℃ 미만에서 25% 암모니아 수(302.60g, 4.45 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톨루엔(350g)을 첨가하고, 75℃에서 가수분해하고, 생성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물층은 버리고 유기층은 진한 염산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로 세번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필트하여 얻은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폴리티올 화합물(234.68g, 89%)을 얻었다.
[화학식 8]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09
실시예 5
3-[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1,2-디티올 (BDBD, 화학식 9)의 제조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와 온도계, 그리고 콘덴서를 장착한 후, 1-클로로-3-메르캅토-프로판-1-올(225.36g, 1.78 mol)과 V52 (0.5g)를 첨가하고 반응온도 40℃에서 2-부틴-1,4-디올(76.62g, 0.89 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 후, 반응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V52 촉매를 연속해서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V52 촉매는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서 마지막에 60℃에서 3시간 더 진행하였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티오우레아(406.48g, 5.34 mol) 및 35% 진한 염산(639.59g, 6.14 mol)을 첨가하고 107℃에서 3시간30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종결후, 중간반응생성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35℃ 미만에서 25% 암모니아 수(453.39g, 6.67 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나면 톨루엔(500g)을 첨가하고, 75℃에서 가수분해하고, 생성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분액깔대기에 옮겨 물층은 버리고 유기층은 진한 염산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로 세번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에 망초를 첨가하여 물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티올 화합물(312.34g, 88%)을 얻었다.
[화학식 9]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10
실시예 6
2-(2-메르캅토에틸티오)-3-{3-메르캅토-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BMMBD, 화학식 10)의 제조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교반기와 온도계, 그리고 콘덴서를 장착한 후, 1-(2-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2-올(299.53g, 1.78 mol)과 V52 (0.5g)를 첨가하고 반응온도 40℃에서 2-부틴-1,4-디올(76.62g, 0.89 mol)을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 후, 반응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V52 촉매를 연속해서 첨가하여 반응을 시킨다. V52 촉매는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서 마지막에 60℃에서 3시간 더 진행한다. 제조시 전체 반응과정은 HP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티오우레아(406.48g, 5.34 mol) 및 35% 진한염산(639.59g, 6.14 mol)을 첨가하고 107℃에서 3시간 30분 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내리고, 35℃미만에서 25% 암모니아 수(453.39g, 6.67 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톨루엔(500g)을 첨가하고, 75℃에서 가수분해하고, 생성반응물을 실온으로 내리고, 물층은 버리고 유기층은 진한염산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로 세번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에 망초를 첨가하여 물을 제거하고, 필트하고, 감압농축하여 티올 화합물(397.28g, 86%)을 얻었다.
[화학식 10]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11
실시예 7
광학렌즈의 제조
(1)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2.93g 및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2.95g에 P3 37.32g 및 PETMP 6.81g을 진공 탈포 교반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넣고 15℃을 유지하면서 여기에 Zelec UN™ 0.1g, HOPBT 1.5g, HTAQ 20 ppm, PRD 10ppm 및 BTC 0.1g을 넣어 질소 기류하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중합성 조성물을 얻은 후, 0.1 torr 이하로 1시간 30분간 감압탈포하고 질소로 채운 후, 질소압력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로 교정된 유리몰드에 주입하였다(디옵타 -5.00).
(2) 중합성 조성물이 주입된 유리몰드를 강제순환식 오븐에 넣고 35℃로 유지, 40℃로 3시간 승온, 120℃로 12시간 승온, 120℃로 2시간 유지, 70℃로 2시간에 걸쳐서 냉각시켜 가열 경화시킨 후, 고형물에서 몰드를 이형시켜 중심 두께 1.2 ㎜인 광학렌즈를 얻었다.
(3) (2)에서 얻은 광학렌즈를 지름 72㎜로 가공한 후, 알칼리 수성 세척액에 초음파 세척한 다음, 120℃에서 2시간 어닐링 처리하였다.
(4) (3)에서 얻은 렌즈를 KOH 5% 용액에 표면 에칭 후, (주)화인코팅 하드액에 함침한 후 열경화시키고, 양면에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규소, ITO, 산화지로코늄,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수막(불화수지)을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하드코팅 및 멀티 코팅된 안경렌즈를 얻었다. 물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11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각의 조성물 및 렌즈를 제조하고, 물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GST)의 제조
2리터 4구 반응 플라스크 내에, 2-메르캅토에탄올 169g(2.16 mol), 물 76g를 장입하고, 30℃에서 47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91.9g(1.08 mol)을 30분에 걸쳐 적하 장입한 후, 에피클로로히드린 99.9g(1.08 mol)를 같은 온도에서 3시간 걸쳐 적하 장입하고, 1시간을 숙성했다. 다음에, 35중량% 염산수 450.0g(4.32 mol), 티오요소 246.9g(3.24 mol)를 장입하고, 110℃ 환류하에서 3시간 숙성하여, 티우로늄염화를 행했다. 60℃로 냉각한 후, 톨루엔 450.0g, 25중량%의 암모니아 용액 331.1g (4.86mol)를 장입하고 가수분해를 행하여 폴리티올의 톨루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산세정 및 물 세정하고, 가열 감압하에서 톨루엔 및 미량의 수분을 제거했다. 그 후, 여과하여 티올 화합물 (267.6g, 95%)을 얻었다.
비교예 2~3
광학렌즈의 제조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각의 조성물 및 렌즈를 제조하고, 물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 분 실시예 비교예
7 8 9 10 11 2 3
모노머조성물(g) P3(실시예1) 37.32
DMPD(실시예2) 37.41
MMPT(실시예3) 44.49
BMBD(실시예4) 35.11
BDBD(실시예5) 34.24
BMMBD(실시예6) 5.24
GST 37.32 43.02
PETMP 6.81 5.30 4.70 5.15 6.81
H12MDI 12.95 13.28 13.80 12.95 12.98
IPDI 42.93 48.19 42.74 45.82 46.81 42.93 44.00
HDI 9.11 8.80
이형제(g) Zelec UN 0.1 0.1 0.1 0.1 0.1 0.1 0.1
자외선흡수제(g) HOPBT 1.5 1.5 1.5 1.5 1.5 1.5 1.5
중합개시제(g) BTC 0.1 0.1 0.1 0.1 0.1 0.1 0.1
유기염료(ppm) HTAQ 20 20 20 20 20 20 20
PRD 10 10 10 10 10 10 10
렌즈물성 굴절률(nE, 20℃) 1.5938 1.5943 1.5989 1.5947 1.5923 1.5936 1.5969
아베수 38 39 37 38 39 38 38
APHA 11 8 10 11 10 10 12
중합불균형 O O O O O X X
백탁 O O O O O X X
본 발명에서 얻은 폴리티올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광학렌즈는 맑고 투명하며 색상이 좋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조한 폴리티올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성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켜 조성물의 용해도를 떨어뜨리므로 백화현상이나 가장자리의 기포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약어
모노머
IP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H12MDI: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dicyclohexylmethane-4,4-diisocyanate))
H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P3: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2,3-bis(2-mercaptoethylthio)propane-1-thiol)
DMPD: 3-[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1,2-디티올(3-[2-(2,3-dimercaptopropylthio)-3-mercaptopropylthio]propane-1,2-dithiol)
MMPT: 2-(2-메르캅토에틸티오)-3-{3-메르캅토-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2-(2-mercaptoethylthio)-3-{3-mercapto-2-[3-mercapto-2-(2-mercaptoethylthio)propylthio]propylthio}propane-1-thiol)
BMBD: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부탄-1,4-디티올 (2,3-bis(2-mercaptoethylthio)butane-1,4-dithiol)
BDBD: 2,3-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부탄-1,4-디티올(2,3-티오)프로필티오]부탄-1,4-디티올(2,3-bis[3-mercapto-2-(2-mercaptoethylthio)propylthio]-butane-1,4-dithiol)
GST: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2,3-bis(2-mercaptoethylthio)propane-1-thiol)
PETMP: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온네이트)
(pentaerythritol-tetrakis(3-mercaptopropionate))
이형제
ZELEC UN: Stepan 사에서 제조하는 산성 인산에스테르화합물로 상품명 ZELEC UNTM
자외선 흡수제
HOPBT: 2-(2'-히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ydroxy-5'-t-octylphenyl)benzotriazole)
유기염료
HTAQ:1-히드록시-4-(p-톨루딘)엔트로퀴논
(1-hydroxy-4-(p-toluidin)anthraquinone)
PRD: 퍼리논 염료(perinone dye)
중합개시제
BTC: 디부틸틴디클로라이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티올 화합물을 이용하면 범용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사용하더라도 중합불균형이나, 백화, 백탁이 없는 품질이 우수한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는 기존 광학재료를 대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안경렌즈, 안경렌즈에 편광필름을 장착한 3D 편광렌즈, 카메라 렌즈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프리즘, 광섬유, 광디스크 등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기판이나 착색필터와 자외선 흡수 필터 등의 다양한 광학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적어도 한 개의 티올 작용기를 갖는 메르캅토화합물을 반응시켜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켜 이소티우로늄염을 얻는 단계와;
    상기 이소티우로늄염을 가수분해하여 아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12
    [화학식 2]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13
    [화학식 3]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14
    [화학식 4]
    Figure PCTKR2012009346-appb-I000015
    (상기의 식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한 개 이상의 수산기나 할로겐 원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3는 한 개 이상의 히드록시 또는 할로겐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작용기 내에 한 개 이상의 산소원자, 황원자, 히드록시 및 할로겐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티올기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 티올기, 산소원자,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R6, R7는 티올기, 산소원자, 황원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형 알킬기, 지환족기, 알릴기, 헤테로고리기, 알릴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삼중결합을 갖는 알코올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프로파길 클로라이드, 프로파길브로마이드, 프로파길 아세테이트, 프로파길 프로피온에이트, 프로파길 벤조에이트, 페닐 아세틸렌, 페닐 프로파길 설파이드, 1,4-다이클로로-2-부틴, 2-펜틴, 1-헥신, 2-헥신 및 3-헥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르캅토화합물은 2-메르캅토에탄올, 1-(2-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2-올, 1-클로로-3-메르캅토프로판-2-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글리세리딘(메르캅토아세테이트), 1-히드록시-4-메르캅토시클로토헥산, 2,4-디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히드로퀴논, 4-메르캅토페놀, 3,4-디메르캅토-2-프로판올, 1,3-디메르캅토-2-프로판올,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1,2-디메르캅토-1,3-부탄티올, 1-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4-히드록시-4-메르캅토디페닐술폰, 2-(2-메르캅토에틸티오)에탄올, 히드록시에틸티오메틸-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얻은 폴리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은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3-디티올, 3-[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1,2-디티올, 2-(2-메르캅토에틸티오)-3-{3-메르캅토-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부탄-1,4-디티올, 2,3-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부탄-1,4-디티올 및 2,3-비스[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부탄-1,4-디티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얻은 폴리티올 화합물 외에 다른 폴리티올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1,3,5]-트리지아난-2,4,6-트리온(HDI트라이머), o,m,p-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범용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외에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기를 가지는 다른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얻은 광학재료.
  12. 제11항의 광학재료로 이루어진 광학렌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렌즈는 안경렌즈 또는 편광렌즈인 광학렌즈.
PCT/KR2012/009346 2011-11-07 2012-11-07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WO20130699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34 2011-11-07
KR20110115434 2011-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9965A1 true WO2013069965A1 (ko) 2013-05-16

Family

ID=4829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346 WO2013069965A1 (ko) 2011-11-07 2012-11-07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5645B1 (ko)
WO (1) WO20130699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4797A (zh) * 2018-04-25 2020-11-27 Skc株式会社 具有改善的储存稳定性的多元硫醇的制备方法
CN113784998A (zh) * 2020-04-09 2021-12-10 大元F&C有限公司 制备多硫醇化合物的方法、使用其的用于光学材料的可聚合组合物、以及光学透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119A1 (ko) * 2015-12-04 2017-06-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폴리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5041B1 (ko) * 2016-01-06 2019-08-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 재료용 폴리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01488B1 (ko) * 2015-12-29 2019-07-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아베수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광학 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00743B (zh) * 2017-02-15 2023-01-17 Ks试验研究株式会社 多元醇或多硫醇化合物、其制备方法、由其制备的透明氨基甲酸酯类树脂以及光学体
CN112300361B (zh) * 2019-07-29 2021-12-14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聚氨酯光学树脂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1055A (en) * 1988-12-22 1993-03-02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ercapto compound, a high refractive index resin and le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JPH07242722A (ja) * 1994-03-04 1995-09-19 Mitsui Toatsu Chem Inc 高屈折率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およびレンズ
JPH0952931A (ja) * 1995-08-14 1997-02-25 Mitsui Toatsu Chem Inc 新規なポリチオールを用いた含硫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115A (en) * 1994-01-26 1997-03-0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thiol useful for preparing sulfur-containing urethane-based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326455B2 (ja) * 2004-11-04 2009-09-09 三井化学株式会社 高耐熱性樹脂用ポリチ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1055A (en) * 1988-12-22 1993-03-02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ercapto compound, a high refractive index resin and le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JPH07242722A (ja) * 1994-03-04 1995-09-19 Mitsui Toatsu Chem Inc 高屈折率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およびレンズ
JPH0952931A (ja) * 1995-08-14 1997-02-25 Mitsui Toatsu Chem Inc 新規なポリチオールを用いた含硫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NG, D.G. ET AL.: "Synthesis of Novel Polythiol for Plastic Optical Lens and its Ophthalmic Lens", BULL. KOREAN CHEM. SOC., vol. 30, no. 10, 2009, pages 2227 - 223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4797A (zh) * 2018-04-25 2020-11-27 Skc株式会社 具有改善的储存稳定性的多元硫醇的制备方法
CN112004797B (zh) * 2018-04-25 2023-03-10 Skc株式会社 具有改善的储存稳定性的多元硫醇的制备方法
CN113784998A (zh) * 2020-04-09 2021-12-10 大元F&C有限公司 制备多硫醇化合物的方法、使用其的用于光学材料的可聚合组合物、以及光学透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645B1 (ko) 2014-10-28
KR20130050263A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9965A1 (ko)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WO2012112014A2 (ko) 신규 폴리티올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계 광학재료용 수지 조성물
EP2980113B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
WO2013176506A1 (ko) 신규한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KR101464942B1 (ko) 광학재료용 폴리티올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조성물
WO2018043896A1 (ko) 광학 재료용 폴리티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135703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
WO2013109118A1 (ko)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과 그 중합성 조성물
WO2014035166A1 (ko)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WO2010076942A1 (ko) 신규 티올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렌즈용 경량성 고굴절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WO2018043901A1 (ko) 광학 재료용 폴리티올 화합물의 제조방법
WO2013112028A1 (ko) 3-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메르캅토기를 갖는 카르본산에스테르화합물 및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WO2012112015A2 (ko) 고리개환을 통해 사슬연장된 폴리티올화합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계 광학재료용 수지 조성물
WO2016204547A2 (ko) 3-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메르캅토기를 갖는 카르본산에스테르화합물 및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WO2010128770A2 (ko)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WO2015190809A1 (ko) 새로운 티올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WO2020197156A1 (ko) 에피설파이드계 고굴절 광학재료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US10669367B2 (en) Polythiol composition for plastic lens
WO2016190599A1 (ko) 티오에폭시계 초고굴절 광학수지 조성물과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WO2021201459A1 (ko)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용 수지 조성물과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용 수지의 제조방법
WO2013112001A1 (ko)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용 폴리티올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용 공중합체 조성물
WO2016178522A2 (ko)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과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WO2020116821A1 (ko) 신규한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에피설파이드계 광학재료용 조성물과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WO2013095016A1 (ko)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과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WO2013069964A1 (ko)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473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473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