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12268A2 -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12268A2
WO2013012268A2 PCT/KR2012/005770 KR2012005770W WO2013012268A2 WO 2013012268 A2 WO2013012268 A2 WO 2013012268A2 KR 2012005770 W KR2012005770 W KR 2012005770W WO 2013012268 A2 WO2013012268 A2 WO 201301226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lica nanoparticles
silica
size
nanoparticle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57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12268A9 (ko
WO2013012268A3 (ko
Inventor
현택환
박원철
권파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1452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20755A/ja
Priority to US14/233,987 priority patent/US20140356272A1/en
Priority to CN201280035270.5A priority patent/CN103930368A/zh
Priority to EP12815496.0A priority patent/EP2735543A4/en
Publication of WO201301226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2268A2/ko
Publication of WO2013012268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2268A9/ko
Publication of WO201301226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226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01P2004/52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highly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silica nanoparticles of uniform size using a basic buffer solu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adding a solution in which the silica precurso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to the basic buffer solution and heating it; And (ii) separating the silica nanoparticles produced in the step (i).
  • Silica is a substance that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Silica nanoparticles are very biocompatible, so they are used in a variety of biological studies.
  •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 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the silica-based nanoparticles are doped with labeling materials such as fluorescent dyes, magnetic materials, and radioisotopes, and are widely used in vivo and in vitro bio experiments as biosensors (Piao, Y., et al.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08, 18, 3745-3758).
  • labeling materials such as fluorescent dyes, magnetic materials, and radioisotopes
  • mesopores mesopore
  • DNA, an anticancer agent or the like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nanoparticles or on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s (Slowing, Igor I., Trewyn, Brian G., Giri, Supratim, Lin, Victor S.-Y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07, 17, 1225-1236).
  • the carbon precursor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and carbonized, and then the silica is removed to synthesize nanomaterials such as porous carbon structures, that is, hollow carbon nanocapsules (Arnal, PM, Schuth, F., Kleitz, F. Chem. Commun. 2006, 1203; Bon, S., Sohn, YK, Kim, JY, Shin, C.-H., Yu, J.-S., Hyeon, T. , Advanced Material . 2002, 14, 19).
  • silica nanoparticles When silica nanoparticles are used in the above studies, the size of the silica nanoparticles is very important. Silica materials used in biological experiments should not be too large or too small.
  • silica nanoparticles If the silica nanoparticles are too large they will not flow in the living body and will be removed by the biological immune system. However, if the silica nanoparticles are too small, the residence time becomes too short, making image analysis difficult.
  • the size of the por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ilica nanoparticles, and properties such as specific surface area are also determined by adjusting such properties.
  • silica nanoparticles In order to industrially apply the silica nanoparticles, mass production must be possibl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nufacture silica nanoparticles with uniform size in large quantities in various sizes.
  • silica nanoparticles widely used at present is the Stover method (Stober, W. and A. Fink, Boh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86, 26, 62). According to this method, silica nanoparticles are formed while the silica precursor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is hydrolyzed in an aqueous-alkaline solvent to which an alkaline catalyst is added. As the catalyst, ammonia water (NH 3 ), sodium hydroxide (NaOH), or the like is used.
  •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 silica particles may be synthesized in a size of 50 nm to 2 ⁇ m. However, below 100 nm,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not uniform, and the shape and spherical shape are not easy to synthesize.
  • Another method is the reverse phase microemulsion method (F. J. Arriagada and K. Osseo-Asar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99, 211, 210).
  • water forms a small microemulsion by surfactant in the oil phase, wherein silica nanoparticles are produced by using the microemulsion as a template, using TEOS as a precursor, and using an alkaline catalyst.
  •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 size of 30 to 70 nm are formed, and the size of the particles is uniform and close to the circular spher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 adding 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a silica precursor in an organic solvent to a basic buffer solution and heating it; And (ii)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ducing a silica nanoparticles of uniform size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silica nanoparticles produced in step (i).
  • the silica precursor used in the method for preparing uniformly sized silica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etraethylorthosilicate (TEOS), tetramethoxysilane (TMOS) or silicon tetrachloride (sililcon tetrachloride).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 solvent may be cyclohexane, hexane, heptane or oct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H of the basic buffer is preferably 9-14, for example, NH 4 Cl ⁇ NH 3 buffer, KCl ⁇ NaOH buffer solution, lysine (lysin) or arginine (arginine) aqueous solution, but may be limited thereto. Not.
  •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aid (i) step is 25 degreeC-8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50 degreeC-70 degreeC.
  • the heating temperature of step (i)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the silica nanoparticles. That is, increa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of step (i) increases the size of the generated silica nanoparticles, and decrea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decreases the size of the generated silica nanoparticles.
  • the size of the silica nanoparticles synthesized in the step (i) is 5 nm to 50 nm.
  • the method for preparing silica nanoparticles of uniform siz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s of (iii) dispersing the silica nanoparticles obtained in step (ii) in a mixture of water and ethanol; And (iv) adding the basic catalyst to the dispersion of step (iii) to regrow the silica nanoparticles.
  • the basic catalyst of step (iii) is preferably ammonia water, NaOH aqueous solution or KOH aqueous solution.
  • the reaction of step (iii)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 the size of the silica nanoparticles regrown in the step (iv) is 60 nm to 2,000 nm.
  • uniform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 size of 5 nm to 50 nm can be prepared in large quantities.
  •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can be increased to 2 ⁇ m.
  • silica nanoparticles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herical, there is no aggregation phenomenon between the particles, and is well dispersed in the water system.
  • 1 is a TEM image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5 nm to 35 nm synthesized using an alkaline buffer solu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TEM image of silica nanoparticles whose size is adjusted to 100 nm and 250 nm by regrowth using the nanoparticle of FIG. 1 as a nucleus.
  • FIG. 3 is a SEM photograph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20 nm synthesized using an alkaline buffer solution.
  • FIG. 4 is an SEM image of silica nanoparticles adjusted to 100 nm in size by regrowth using the nanoparticles of FIG. 3 as nuclei.
  • FIG. 5 is a TEM photograph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 size of about 40 nm synthesized by the Stover method.
  • First NH 4 ClNH 3 buffer was prepared. 0.24 g ammonium chloride (NH 4 Cl) was sufficiently dissolved in 330 mL of water, and then pH was measured using a pH meter. The pH was adjusted to 30% aqueous ammonia or hydrochloric acid to 9.0. Water was then added to bring the total volume to 350 mL. 350 mL of the buffer solution thus prepared was used as a reaction solvent. The reaction solvent was heated to 60 ° C. and then the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 mixed solution of 100 mL of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and 50 mL of cyclohexane was added thereto as a silica precursor, followed by reaction at 60 ° C. for 24 h with uniform stirring.
  •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 1 mL of the nanoparticles thus obtained was used as a nucleus, and sufficiently dispersed in a mixed solution of 9 mL of water and 90 mL of ethanol.
  • 100 mL of silica particles were formed by adding 0.5 mL of TEOS and 2.5 mL of ammonia water to react for 24 h at room temperature, and the size of the nanoparticles wa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mmonia water (FIGS. 2 and 4). .
  • Silica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the Stover method. 1 mL of TEOS was added to a mixed solution of 10 mL of water and 50 mL of ethanol, and 3 mL of ammonia water was slowly added thereto. The reaction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 As a result, 40 nm to 70 nm in size was not uniform and a large amount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 non-spherical shape were formed (FIG. 5).
  • Silica nanoparticles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 vivo, in vitro experiments, life, medical field, etc., and can be synthesized in large quantities, so as well as templates of various porous nanomaterials It can be utilized also in the field of a catalyst sup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기성 완충용액을 이용한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i) 유기 용매에 실리카 전구체를 녹인 용액을 염기성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에서 생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염기성 완충용액을 이용한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i) 유기 용매에 실리카 전구체를 녹인 용액을 염기성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에서 생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실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리카는 미국 FDA(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라고 승인받은 물질이다. 실리카 나노입자는 생체적합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생체연구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또한, 실리카 표면에 단백질, 효소, DNA 등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분자를 표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아민기, 카르복실기 등과 같은 기능기를 표지하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었다(Yan, Jilin , et al., Nano Today, 2007, 2, 3).
따라서 이러한 실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나노입자들에 형광 염료, 자성물질, 방사성 동위원소와 같은 표지물질을 도핑하여 바이오센서로서 생체내와 생체외 바이오실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Piao, Y., et al.,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08, 18, 3745-3758).
그리고 실리카 나노입자에 메조포어(mesopore)를 형성시킴으로써, 실리카 나노입자 내부 또는 상기 나노입자 표면에 DNA, 항암제 등을 담지하여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되기도 한다(Slowing, Igor I., Trewyn, Brian G., Giri, Supratim, Lin, Victor S.-Y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07, 17, 1225-1236).
산업적으로도, 건조제, 촉매 지지체, 첨가제와 같은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Kim, J., et al.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2006, 45, 4789-4793).
또한, 수계에서 분산이 잘 되고,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의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기에 각종 나노재료 합성의 주형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실리카 나노입자를 조립한 후, 탄소 전구체를 표면에 삽입하고 탄화한 다음, 실리카를 제거하면 기공성 탄소구조, 즉 속이 빈 탄소 나노캡슐과 같은 나노 재료를 합성할 수 있다(Arnal, P. M., Schuth, F., Kleitz, F. Chem. Commun. 2006, 1203; Bon, S., Sohn, Y. K., Kim, J. Y., Shin, C.-H., Yu, J.-S., Hyeon, T., Advanced Material. 2002, 14, 19).
실리카 나노입자를 위와 같은 연구에 사용할 때,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매우 중요하다. 생체 실험에 사용되는 실리카 재료는 너무 크거나 너무 작아도 안된다.
실리카 나노입자가 너무 크면 생체에서 유동하지 못하고, 생체 면역시스템에 의하여 제거된다. 그러나 실리카 나노입자가 너무 작으면 체류 시간이 너무 짧아져서 이미지 분석이 어렵게 된다.
기공성 나노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결정되고, 이러한 성질을 조절함으로써 비표면적과 같은 성질도 결정 된다.
그리고 실리카 나노입자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크기가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여러 가지 크기로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합성은 스퇴버법 (Stober, W. and A. Fink, Boh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86, 26, 62)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실리카 전구체인 테트라에틸 오르쏘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가 알카리성 촉매를 첨가한 수성-알카리성 용매에서 가수분해되면서 실리카 나노입자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촉매로서 암모니아수(NH3), 수산화나트륨(NaOH) 등을 사용한다.
상기 스퇴버 방법으로는 50 nm ~ 2 ㎛의 크기로 실리카 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100 nm 이하로는,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모양 또한 구형으로 합성하기가 쉽지 않다.
다른 한 가지 방법으로는, 역상 마이크로에멀젼 방법(F. J. Arriagada and K. Osseo-Asar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99, 211, 210)이 있다. 상기 역상 마이크로에멀젼 방법에 따르면, 물이 유상에서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작은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는데, 상기 마이크로에멀젼을 주형으로 사용하고 TEOS를 전구체로서 사용하며 알카리성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실리카 나노입자가 생성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면, 30~70 nm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가 형성되며,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원형의 구에 가깝다.
그러나 역상 마이크로에멀젼 방법에서는 대량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실제 응용에서는 대부분 이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상 마이크로에멀젼 방법의 특성상 실리카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합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크기가 작고 균일도가 좋은 실리카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합성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본 발명의 목적은 (i) 유기 용매에 실리카 전구체를 녹인 용액을 염기성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에서 생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i) 유기 용매에 실리카 전구체를 녹인 용액을 염기성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에서 생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에틸 오르쏘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TEOS)), 테트라메톡시실란(tetramethoxysilane(TMOS)) 또는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sililcon tetrachlorid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헥산, 헵탄 또는 옥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염기성 완충용액의 pH는 9-14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NH4Cl·NH3 완충용액, KCl·NaOH 완충용액, 라이신(lysin) 수용액 또는 아르기닌(arginine)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i) 단계의 가열 온도는 2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이다. 상기 (i) 단계의 가열 온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i) 단계의 반응 온도를 높이면, 생성되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커지고, 반응 온도를 낮추면, 생성되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상기 (i) 단계에서 합성되는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는 5 nm 내지 50 nm이다.
본 발명의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은, 추가로 (iii) 상기 (ii) 단계에서 얻은 실리카 나노입자를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의 분산액에 염기성 촉매를 첨가하여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를 재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ii) 단계의 염기성 촉매는 암모니아수, NaOH 수용액 또는 KOH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ii) 단계의 반응은 실온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v) 단계에서 재성장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는 60 nm 내지 2,000 nm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5 nm 내지 50 nm 크기의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재성장 과정을 통하여, 실리카 입자의 크기를 2 μm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실리카 나노입자는 구형이고, 입자끼리의 응집현상이 없으며, 수계에 잘 분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알카리성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합성한 지름 5 nm ~ 35 nm의 실리카 나노입자의 TEM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나노입자를 핵으로 사용하여 재성장(regrowth)시킴으로써 크기를 100 nm, 250 nm로 조절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TEM 사진이다.
도 3은 알카리성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합성한 지름 20 nm의 실리카 나노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나노입자를 핵으로 사용하여 재성장(regrowth)시킴으로써 크기를 100 nm로 조절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스퇴버 법으로 합성한 약 40 nm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의 TEM 사진이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을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먼저 NH4Cl·NH3 완충용액을 제조하였다. 0.24 g의 염화암모늄(NH4Cl)을 물 330 mL에 충분히 용해시킨 다음, pH 미터기를 사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pH가 9.0이 되도록 30% 암모니아수 또는 염산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물을 추가하여 전체 부피가 350 mL가 되게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완충용액 350 mL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 용매를 60℃까지 가열한 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였다. 여기에 실리카 전구체로서 100 mL의 테트라에틸 오르쏘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TEOS))와 50 mL의 사이클로헥산의 혼합용액을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60℃에서 24 h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층의 유기 용매 층을 제거하였다. 반응 결과, 약 12.73 g의 크기가 25 nm인 실리카 나노입자가 형성되는 것을 TEM, SEM으로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3). 상기 용액을 25~80℃ 범위에서 온도를 조절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이렇게 얻은 나노입자 1 mL를 핵으로 사용하여 물 9 mL와 에탄올 90 mL의 혼합용액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다음, TEOS 0.5 mL와 암모니아수 2.5 mL를 추가하여 상온에서 24 h 동안 반응시켜 100 nm 크기의 실리카 입자가 형성되었고, 암모니아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도 2 및 도 4).
비교예
스퇴버법으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물 10 mL와 에탄올 50 mL의 혼합용액에 TEOS를 1 mL 추가하고, 암모니아수 3 mL를 천천히 주입하였다. 상온에서 24 h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결과 40 nm ~ 70 nm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모양이 구형이 아닌 실리카 나노입자가 다량으로 형성되었다(도 5).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생체내, 생체외 실험과 같은 생명, 의학 분야 등에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응용될 수 있고, 대량 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기공성 나노재료의 탬플렛 뿐만 아니라 촉매 지지체 등의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11)

  1. (i) 유기 용매에 실리카 전구체를 녹인 용액을 염기성 완충용액에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에서 생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에틸 오르쏘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실란 및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헥산, 헵탄 및 옥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완충용액의 pH는 9-14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완충용액은 NH4Cl·NH3 완충용액, KCl·NaOH 완충용액, 라이신 수용액 및 아르기닌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가열 온도는 25℃ 내지 8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가열 온도를 변화시켜 생성되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는 5 nm 내지 50 n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iii) 상기 (ii) 단계에서 얻은 실리카 나노입자를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의 분산액에 염기성 촉매를 첨가하여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를 재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암모니아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성장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는 60 nm 내지 2,000 n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PCT/KR2012/005770 2011-07-21 2012-07-19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WO2013012268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21559A JP2014520755A (ja) 2011-07-21 2012-07-19 均一の大きさのシリカナノ粒子の大量製造方法
US14/233,987 US20140356272A1 (en) 2011-07-21 2012-07-19 Volume production method for uniformly sized silica nanoparticles
CN201280035270.5A CN103930368A (zh) 2011-07-21 2012-07-19 用于均匀尺寸的二氧化硅纳米粒子的批量生产方法
EP12815496.0A EP2735543A4 (en) 2011-07-21 2012-07-19 MASS PRODUCTION PROCESS FOR SILICA NANOTE PARTICLES OF UNIFORM SI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91A KR101880441B1 (ko) 2011-07-21 2011-07-21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KR10-2011-0072691 2011-07-21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2268A2 true WO2013012268A2 (ko) 2013-01-24
WO2013012268A9 WO2013012268A9 (ko) 2013-03-14
WO2013012268A3 WO2013012268A3 (ko) 2013-05-10

Family

ID=4755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5770 WO2013012268A2 (ko) 2011-07-21 2012-07-19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56272A1 (ko)
EP (1) EP2735543A4 (ko)
JP (1) JP2014520755A (ko)
KR (1) KR101880441B1 (ko)
CN (1) CN103930368A (ko)
WO (1) WO20130122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657B1 (ko) * 2013-02-21 2014-04-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금 나노닷 코어와 실리카 외각으로 이루어진 구형 나노입자 및 그 합성방법
KR101582109B1 (ko) 2013-12-27 2016-0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 입자
US9561473B2 (en) * 2014-02-28 2017-02-07 Pall Corporation Charged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hexagonal voids
US9737860B2 (en) * 2014-02-28 2017-08-22 Pall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hexagonal voids
KR101483936B1 (ko) * 2014-05-16 2015-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피셔-트롭쉬 합성 반응용 철-카바이드/실리카 나노 복합 촉매의 제조 방법 및 그 촉매와, 이를 이용한 액체 탄화수소의 합성 방법 및 그 액체 탄화수소
CN104609431A (zh) * 2015-01-19 2015-05-13 武汉金弘扬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50纳米以下SiO2纳米粒子的合成方法及其粒径控制合成方法
US10434496B2 (en) 2016-03-29 2019-10-08 Agilent Technologies, Inc. Superficially porous particles with dual pore structur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3282290B1 (en) 2016-08-09 2018-10-17 Essilor International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n ophtalmic lens comprising an encapsulated light-absorbing additive
US10131830B1 (en) * 2017-10-03 2018-11-20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for preventing formation of water-oil emulsions using additives
KR101985101B1 (ko) * 2017-10-25 2019-06-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록산계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CN110272052B (zh) * 2018-03-14 2022-10-04 天津工业大学 一种纳米二氧化硅微囊的新型制备方法
CN108862292A (zh) * 2018-09-10 2018-11-23 江西师范大学 一种调控二氧化硅微球粒径的方法
KR102197574B1 (ko) * 2018-10-04 2020-12-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분산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2204401B1 (ko) * 2019-04-08 2021-01-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A3087226A1 (en) * 2019-07-18 2021-01-18 Nano Targeting & Therapy Biopharma Inc. Drug delivery by pore-modifi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KR102280900B1 (ko) 2020-04-29 2021-07-23 주식회사 엘피엔 신규한 실리콘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CN112209389A (zh) * 2020-09-11 2021-01-12 江苏大学 一种超细纳米二氧化硅球的制备方法
CN112265999A (zh) * 2020-10-30 2021-01-26 三棵树(上海)新材料研究有限公司 一种粒径可控的功能化纳米二氧化硅水分散液、制备方法及应用
CN112442407A (zh) * 2020-11-17 2021-03-05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减摩剂的制备方法
CN113443633B (zh) * 2021-06-28 2022-04-29 上海千溯生物科技有限公司 小尺寸内核仿病毒二氧化硅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3035B2 (en) * 2006-10-26 2012-09-11 Davis Tracy M Forming nanoparticles in basic amino acid sols
KR20080085464A (ko) * 2007-03-20 2008-09-24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실리카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NAL, P. M.; SCHUTH, F.; KLEITZ, F, CHEM. COMMUN., 2006, pages 1203
BON, S.; SOHN, Y. K.; KIM, J. Y.; SHIN, C.-H.; YU, J.-S.; HYEON, T., ADVANCED MATERIAL., vol. 14, 2002, pages 19
F.J. ARRIAGADA; K. OSSEO-ASAR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211, 1999, pages 210
KIM, J. ET AL.,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vol. 45, 2006, pages 4789 - 4793
PIAO, Y. ET AL.,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vol. 18, 2008, pages 3745 - 3758
See also references of EP2735543A4
SLOWING; IGOR I.; TREWYN; BRIAN G.; GIRI; SUPRATIM; LIN; VICTOR S.-Y,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vol. 17, 2007, pages 1225 - 1236
STOBER, W.; A. FINK, BOH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26, 1986, pages 62
YAN; JILIN ET AL., NANO TODAY, vol. 2, 2007, pages 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441B1 (ko) 2018-07-20
US20140356272A1 (en) 2014-12-04
EP2735543A4 (en) 2015-04-29
EP2735543A2 (en) 2014-05-28
WO2013012268A9 (ko) 2013-03-14
WO2013012268A3 (ko) 2013-05-10
CN103930368A (zh) 2014-07-16
JP2014520755A (ja) 2014-08-25
KR20130011505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2268A2 (ko)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Ma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disperse core–shell Fe3O4@ SiO2 microspheres and its application for magnetic separation of nucleic acids from E. coli BL21
Hyde et al. Colloidal silica particle synthesis and future industrial manufacturing pathways: a review
CN1215902C (zh) 一种具有核壳结构的磁性荧光双功能微球及其制备方法
CN101559951B (zh) 一种制备纳米级二氧化硅空心微球的方法
CN112619666B (zh) 一种中心放射状-双孔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711480A (zh) 一种具有核壳结构磁性介孔二氧化硅纳米链及其制备方法
CN111423880A (zh) 一种磁性荧光介孔二氧化硅复合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873190B (zh) 一种磁致变色光子晶体材料及其制备方法
CN100463745C (zh) 一种制备内嵌碳纳米管铜基复合颗粒的方法
KR102170388B1 (ko) 마그네틱 비드의 제조방법 및 분리방법
JP2013542157A (ja) 不規則多孔質二酸化ケイ素材料の製造及びその製造における脂肪アルコールポリオキシエチレンエーテルの応用
Shah Nanosynthesis techniques of silica-coated nanostructures
CN109276560B (zh) 一种含乳铁蛋白的pH响应型微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802845B (zh) 一种使用丝素蛋白分子对疏水性纳米粒子相转换的方法
CN101256870A (zh) 双包覆水基磁流体及其制备方法
CN1445797A (zh) 具有强磁场响应能力的磁性核壳微粒及其制备方法
CN111100840A (zh) 特异性捕获和有效释放循环肿瘤细胞的磁性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979466A (zh) ZnO@SiO2纳米胶囊的制备方法
CN114805860A (zh) 一种中空磁性聚合物微球的制备方法
CN109012518A (zh) 一种磁性微球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252199B (zh) 一种无机二氧化硅/有机纳米粒子核壳结构的制备方法
CN108788181B (zh) 一种合成规整球状形貌的核壳结构碳包金纳米颗粒的方法
CN107758676B (zh) 一种基于摇铃形结构模板制备双层中空纳米硅酸锰的方法
CN112007605A (zh) 一种用于核酸提取的羟基纳米磁珠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154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155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154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3987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