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15468A2 -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15468A2
WO2012115468A2 PCT/KR2012/001394 KR2012001394W WO2012115468A2 WO 2012115468 A2 WO2012115468 A2 WO 2012115468A2 KR 2012001394 W KR2012001394 W KR 2012001394W WO 2012115468 A2 WO2012115468 A2 WO 201211546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tho
tofu
derivative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13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15468A3 (ko
Inventor
권이경
정종엽
박준성
박성일
김연준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WO201211546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15468A2/ko
Publication of WO201211546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1546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ofu pure.
  • Melanin is a black-brown pigment that has a function of blocking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ultraviolet rays to protect the skin from ultraviolet rays. Therefore, when the skin is exposed to ultraviolet rays, a large amount of melanin is produced in the body to protect the skin. Since the skin color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melanin and the amount of melanin increases, the skin becomes black. Therefore, the production of large amounts of melanin causes spots, spots, freckles, and blotch. Therefore, substances that inhibit melanin production may have a skin whiten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ofu pur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fu pure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scavenging free radicals in cells,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and inhibiting the movement of melanosomes, to brighten the skin color and pigment It prevents deposition and makes skin tone even, so it has an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of ortho-dihydroxyisoflavone (o-dihydroxyisoflavone) or its derivatives and licorice extract, thereby providing a better skin whitening effect due to synergistic effect with tofu purine Indicates.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ofu pure and optionally one or more of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and licorice extract, thereby regenerat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ells, such as skin cells Indicate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ofu pure as an active ingredient.
  • tofu pure water means water which is a by-product of making tofu with soybean.
  • Soy the source of tofu pure, contains about 40% protein and is a nutritious food. Soybeans are frequently used in foods such as fermented products such as soybean paste, cheonggukjang, red pepper paste and soy sauce, germinated products such as bean sprouts, or processed products such as soy milk, tofu and cooking oil. It is also used as a raw material. Soy protein is mainly composed of 2S, 7S, 11S, 15S fractions, of which glycinein (11g) and beta-conglycinin ( ⁇ -conglycinin) (7S) is the majority.
  • Tofu is a gelled food with high moisture content, the highest digestibility of soy foods and rich in protein, and has been a good source of protein since ancient times.
  • Tofu pure contains nitrogen compounds such as isoflavones, various amino acids and peptides, free sugars, pigments, and the like, and is known to contain high amounts o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particularly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soy protein. These ingredients can remove protein residues that accumulate in cells due to aging, which can improve skin dullnes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 melanin production.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may comprise from 0.01 to 20% by weight, in particular from 0.1 to 20% by weight of tofu pu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weight percent not only is it suitable to exhibit the skin whitening effect through the antioxidant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which is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satisfies both the stability and safety of the composition, and in the aspect of cost-effectiveness in the above range It may be appropriate to includ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ofu pure and at least one of ortho-dihydroxyisoflavone or its derivatives and licorice extract.
  •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include all substances which can be classified as ortho-dihydroxyisoflavones.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have a higher antioxidant effect than other isoflavones and are excellent in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and delivery.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by including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m together due to synergistic effect with tofu pure has a more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
  •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can be obtained by fermenting soybeans with Bacillus subtilis .
  • the Bacillus subtilis contains Bacillus subtilis 168 microorganisms obtained by purification in long-aged soybean paste.
  •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may be obtained by chemical synthesis.
  •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is 7,8,4'-trihydroxyisoflavone (7,8,4'-trihydroxyisoflavon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below and the formula And at least one of 7,3 ', 4'-trihydroxyisoflavones (7,3', 4'-trihydroxyisoflavon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two.
  • Licorice is a dried root or stem of legumes ( Glycyrrhiza glabra L.) that promotes blood circulation, removes internal moisture, and makes skin healthy and brigh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through synergistic effects with tofu pure, or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including licorice extract.
  • licorice extract comprises extracting licorice with water or alcohol.
  • the alcohol in the above includes C 1 to C 5 lower alcohol, specifically methanol or ethanol.
  • the extraction method in the above may be by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steam extraction.
  •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may comprise from 0.005 to 20% by weight of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and licorice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0.005 to 10% by weight of ortho-dihydroxyisoflavon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0.01 to 20% by weight of licorice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 When included in the weight percent not only is it suitable for showing the skin whitening effect through the antioxidant action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ynergistic effect through the inclusion of various components, but also satisfies both the stability and safety of the composition. In addition, it may be appropriate to include the above range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ofu pure to inhibit melanin production, has an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promotes the regeneration of cells, such as skin cells, and inhibits or prevents inflammation. Based on this actio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kin whitening, promoting skin regeneration, moisturizing skin, improve or prevent skin wrinkles, delay or prevent skin aging.
  • the above actions and effects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higher than when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ortho-dihydroxyisoflavones or derivatives thereof and licorice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may comprise a cosmetic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These are all formulations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for example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the oil phase in solutions, gels, powders, pastes, pasty anhydrous products, water phases,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the water phase in oil phases, multiemulsions, suspensions, microemulsion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erosol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apsules, microgranules, ionic (liposomal) and nonionic vesicle dispersants, foams or compressed propellants. These composition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Cosmetic compositions include lipids, organic solvents, solubilizers, thickeners, gelling agents, emollients, antioxidants,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foaming agents, fragrances, surfactant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It may further include metal ion sequestrant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er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lipid vesicles or auxiliarie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or dermatological arts. . Such adjuvants are introduced in amounts generally used in the cosmetic or dermatological arts.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ul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purpose.
  • lotion, lotion, essence, cream, ointment, gel, pack, patch, spray,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consil stick, hand or foot lotion, hand or foot cream, hand or foot oil, hand or foot It may be prepared in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sences, hand or foot cleansers, soaps, cleansing creams, cleansing lotions, cleansing foams and cleansing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pure,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and licorice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valuated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 a sample containing the above components in various weight percen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was dissolved in water, 3 ml of 1.5 ⁇ 10 ⁇ 4 M / ethanol solution was added thereto,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7 nm after being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 the results were expressed a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 compared to the absorbance values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sample. Specific equations and results are as follows.
  • Table 1 sample Radical scavenging ability (%) Tofu Puree 0.005% 5 Tofu Pure Water 0.01% 25 Tofu pure 1% 81 Tofu pure 20% 95 Tofu pure 40% 95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0.003% 9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0.005% 32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0.01% 65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1% 84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10% 95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20% 95 Tofu Puree 1% + Licorice Extract 0.005% 82 Tofu Puree 1% + Licorice Extract 0.01% 95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1% + Licorice Extract 0.005% 85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1% + Licorice Extract 0.01% 94
  • the tofu pure has a low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 low as 5% when included in less than 0.01%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but shows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bility when contained in 0.01 wt%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included in more than 20% by weight there was no increase in radical scavenging ability.
  • the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have a slightly lower radical scavenging effect at less than 0.00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but exhibit an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at least 30% when included at 0.005% by weight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included in more than 10% by weight there was no increase in radical scavenging ability.
  • the licorice extract When the licorice extract is included in 0.005% by weight or more, especially 0.01%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tofu pure and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in terms of radical scavenging.
  • composition comprising tofu pure and optionally one or more of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and licorice extract has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further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 the whitening efficacy of tofu pure,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and licorice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valuated as the activity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 Samples containing the components in various weight percentage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were dissolved in water and mixed with an L-tyrosine (Sigma) solution. After the tyrosinase (Sigma) enzyme solution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and reacted for 30 minutes at 37 °C. And L-tyrosine solution to which the sample was not added as a control was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fter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solutions at 490 nm,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ory ability of the sampl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 %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activity ⁇ 1-(absorbance of sample / absorbance of control) ⁇ X 100
  • the tofu pure has a low tyrosin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5% when contained in less than 0.01%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but an excellent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when contained in 0.01% by weight or more. Indicates. On the other hand, when included in more than 20% by weight no longer increase the effect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have a slightly lower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at less than 0.00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 On the other hand, when included in more than 10% by weight no longer increase the effect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 the licorice extract When the licorice extract is included 0.005% by weight or more, especially 0.01%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tofu pure and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in terms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 composition comprising tofu pure and optionally one or more of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and licorice extract has excellent tyrosin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 and further excellent whitening effect.
  •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mponent composition and the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 the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water phase parts of components 7 to 9 are added to component 6 and evenly dispersed using a homogenizer and warmed to 70 ° C. The components 1 to 5 are warmed to 70 ° C. and then placed in the treated water part as described above and emulsified for 5 minutes using a homogenizer. Components 10 to 14 are added to the emulsified composition and dispersed and cooled using a homogenizer for 3 minutes.
  • untanned skin color ranges from 50 to 70. If the test substance has the effect of brightening the skin color, it shows a high L value, and the larger the ⁇ L value, the greater the whitening effect.
  • Example 1 containing tofu pur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ach containing an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or licorice extract, and Comparative Example 4 not containing these components ⁇ L value was higher.
  • the results of Example 4 including all of the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or licorice extract is the most excellent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is further increased.
  • composition comprising tofu pure, optionally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or licorice extract has an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by brightening the skin color.
  • the melanin index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melanin in the ski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using a mexameter (C + K, Germany) measuring device using a light source in the infrared range.
  • the melanin index reduction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evaluated melanin index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and FIG. 2.
  • Example 1 containing tofu pur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ach containing an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 or licorice extract, and Comparative Example 4 not containing these components Melanin index reduction rate was higher. This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tofu pure has a very excellent effect in reducing the amount of melanin.
  • the results of Example 4 including all of the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or licorice extract is the most excellent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is further increased.
  • compositions comprising tofu pure, optionally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or licorice extract have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melanogenesis.
  • Table 8 ingredient Content (% by weight) Tofu Puree 1.0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1.0 Licorice extract 1.0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Liquid paraffin 7.0 Beta Glucan 7.0 Carbomer 0.1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3.0 Squalane 5.0 Cetearyl Glucoside 1.5 Sorbitan stearate 0.4 Polysorbate 60 1.2 Triethanolamine 0.1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흑갈색 색소로서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몸에서 멜라닌이 다량 생성된다. 멜라닌의 양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되고 멜라닌의 양이 많아질수록 피부는 검은색을 띠게 되므로, 멜라닌의 다량 생성은 기미, 점, 주근깨, 검버섯 등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두부 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두부 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멜라노솜(melanosome)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피부색을 밝게 하고 색소 침착을 방지하며 피부톤을 균일하게 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o-dihydroxyisoflavone)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함으로써, 두부 순물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더욱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두부 순물과 선택적으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세포를 예로 들 수 있는 세포의 재생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피부 명암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멜라닌 지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두부 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두부 순물은 콩으로 두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인 물을 의미한다.
두부 순물의 원료인 콩은 단백질을 약 40% 정도로 함유하고 있어 영양 면에서 우수한 식료이다. 콩은 된장, 청국장, 고추장 및 간장 등과 같은 발효 제품, 콩나물과 같은 발아 제품 또는 두유, 두부 및 식용유 등과 같은 가공 제품을 예로 들 수 있는 식품에 자주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비누 등과 같은 제품의 원료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콩 단백질은 주로 2S, 7S, 11S, 15S 분획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글리시닌(Glycinin)(11S)과 베타-콘글리시닌(β-conglycinin)(7S)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두부는 수분 함량이 높은 겔상 식품으로 소화율이 대두 식품 중 가장 높고 단백질이 풍부하여 예로부터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 되어 왔다. 두부 순물은 이소플라본, 각종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 등과 같은 질소 화합물, 유리당, 색소 등을 함유하며, 특히 콩 단백질의 조성과 유사하게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을 높은 비율로 함유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이 노화로 인해 세포 내에 쌓이는 단백질 찌꺼기들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피부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으며 항산화 작용을 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초로 0.0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20 중량%의 두부 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인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두부 순물과,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o-dihydroxyisoflavone)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는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으로 분류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는 다른 이소플라본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높으며 멜라닌 생성 및 전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두부 순물과의 시너지 작용으로 인해 이들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은 더욱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는 대두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오래 숙성한 된장에서 정제하여 얻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168 미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는 화학 합성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는 아래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는 7,8,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7,8,4'-trihydroxyisoflavone) 및 아래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는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7,3',4'-trihydroxyisoflavo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2001394-appb-C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2001394-appb-C000002
감초(Glycyrrhiza radix)는 콩과(Leguminosae)의 감초(Glycyrrhiza glabra L.)의 뿌리 또는 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내부의 습(濕)을 제거하며, 피부를 건강하고 밝게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여 두부 순물, 또는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와의 시너지 작용을 통해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감초 추출물은 감초를 물 또는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알코올은 C1 내지 C5의 저급 알코올, 구체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법, 증기 추출법을 예로 들 수 있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초로 0.005 내지 20 중량%의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초로 0.005 내지 10 중량%의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 및 0.01 내지 20 중량%의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 조성물의 항산화 작용 및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 및 여러 성분을 함께 포함함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두부 순물을 포함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피부 세포를 예로 들 수 있는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억제 또는 예방한다. 이러한 작용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미백, 피부 재생 촉진, 피부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방지, 피부 노화 지연 또는 방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위와 같은 작용 및 효과는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때 보다 상승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파우더, 페이스트,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포말(foam)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지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 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정유,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젤, 팩, 패치, 분무제, 파우더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콘실 스틱, 핸드 또는 풋 로션, 핸드 또는 풋 크림, 핸드 또는 풋 오일, 핸드 또는 풋 에센스, 핸드 또는 풋 세정제, 비누,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및 클렌징워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항산화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두부 순물,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DPPH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성분을 시료 총 중량 대비 다양한 중량%로 포함하는 시료를 물에 녹이고 1.5x10-4M/에탄올 용액 3ml를 첨가한 다음 20분 간 실온에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대비하여 라디칼 소거능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인 수학식 및 결과는 아래와 같다.
[수학식 1]
라디칼 소거능(%) = 100 - B/A ×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B: 시료의 흡광도
표 1
시료 라디칼 소거능(%)
두부 순물 0.005% 5
두부 순물 0.01% 25
두부 순물 1% 81
두부 순물 20% 95
두부 순물 40% 9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003% 9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005% 32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01% 6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 84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0% 9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20% 95
두부 순물 1% + 감초 추출물 0.005% 82
두부 순물 1% + 감초 추출물 0.01% 9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 + 감초 추출물 0.005% 8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 + 감초 추출물 0.01% 94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두부 순물은 시료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라디칼 소거능이 5% 수준으로 낮으나, 0.01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한편, 2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더 이상 라디칼 소거능의 증가가 없었다.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는 시료 총 중량 대비 0.005 중량% 미만에서는 다소 낮은 라디칼 소거 효과를 가지지만, 0.00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30% 이상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한편,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더 이상 라디칼 소거능의 증가가 없었다.
감초 추출물은 시료 총 중량 대비 0.005 중량% 이상, 특히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경우 라디칼 소거 면에서 두부 순물 및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두부 순물과 선택적으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나아가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미백 효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두부 순물,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능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성분을 시료 총 중량 대비 여러 중량%로 포함하는 시료를 물에 녹인 후 엘-티로신(L-tyrosine)(시그마) 용액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에 티로시나아제(시그마) 효소액을 첨가한 뒤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엘-티로신 용액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상기 용액들의 흡광도를 490 nm에서 측정한 뒤, 시료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을 아래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 {1 -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표 2
시료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두부 순물 0.005% 9.6
두부 순물 0.01% 32.6
두부 순물 1% 86.5
두부 순물 20% 97.3
두부 순물 40% 97.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003% 8.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005% 25.9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01% 82.4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 90.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0% 96.4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20% 96.5
두부 순물 1% + 감초 추출물0.005% 87
두부 순물 1% + 감초 추출물0.01% 98.2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 + 감초 추출물 0.005% 90.5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 + 감초 추출물 0.01% 98.8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두부 순물은 시료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5% 수준으로 낮으나, 0.01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2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더 이상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증가하지 않았다.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는 시료 총 중량 대비 0.005 중량% 미만에서는 다소 낮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가지지만, 0.00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30% 이상의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더 이상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증가하지 않았다.
감초 추출물은 시료 총 중량 대비 0.005 중량% 이상, 특히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면에서 두부 순물 및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두부 순물과 선택적으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나아가 뛰어난 미백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와 같은 성분 조성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중량%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분 6에 성분 7 내지 9의 수상 파트를 넣고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고루 분산하고 70℃로 가온한다. 성분 1 내지 5를 70℃로 가온한 후 상기와 같이 처리한 수상 파트에 넣고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5분간 유화한다. 유화한 조성물에 성분 10 내지 14를 넣고 3분간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분산하고 냉각한다.
표 3
NO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베헤닐알코올 0.8 0.8 0.8 0.8 0.8 0.8 0.8 0.8
2 스테아릭애씨드 0.5 0.5 0.5 0.5 0.5 0.5 0.5 0.5
3 세틸알코올/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75스테아레이트/세테스-20/스테아레스-20 3 3 3 3 3 3 3 3
4 식물성 스쿠알란 5 5 5 5 5 5 5 5
5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5 5 5 5 5 5 5 5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7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8 글리세린(농글리세린) 3 3 3 3 3 3 3 3
9 부틸렌글라이콜 6 6 6 6 6 6 6 6
10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 20 0.75 0.75 0.75 0.75 0.75 0.75 0.75 0.75
11 두부 순물 1 1 1 1 0 0 0 0
12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0 1 0 1 1 0 1 0
13 감초 추출물 0 0 1 1 0 1 1 0
14 향,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3] 인체 피부 명암 변화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로 인체 피부 명암 변화 효과를 평가 하였다.
인체 피부 명암 변화 시험은 20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피검자의 상박부 내측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의 1.5 내지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하루에 2회씩 매일 도포한 후, 두 달 후에 크로마메터(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구하고, 색의 밝기 변화값(△L = 최종 L값 - 시험 물질 도포 전 L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4
  △L 값
실시예 1 3.45
실시예 2 4.05
실시예 3 3.95
실시예 4 4.53
비교예 1 2.98
비교예 2 1.52
비교예 3 3.81
비교예 4 0
일반적으로 태닝하지 않은 한국인의 피부색은 50~70의 값을 나타낸다. 시험 물질에 피부색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경우 높은 L값을 나타내며, △L 값이 클수록 미백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유효 성분으로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각각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또는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1과 2 및 이들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 보다 △L 값이 높았다. 이를 통해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명암을 밝게 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또는 감초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4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통해 상기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면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두부 순물, 선택적으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또는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색을 밝게 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실험예 4] 인체 피부의 멜라닌 지수 감소율 평가
20명의 건강한 여성을 피검자로 하여 얼굴 피부에 하루 2회 아침 저녁으로 직접 도포하게 하였다. 멕사미터(mexameter)(C+K, 독일) 측정 장비로 적외선 영역대 파장의 광원을 이용하여 도포 전후 피부 속 멜라닌에 빛이 흡수되는 양을 측정하여 멜라닌 지수를 평가하였다. 평가한 멜라닌 지수로 멜라닌 지수 감소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5
  멜라닌 지수 감소율(%)
실시예 1 9.5
실시예 2 11.1
실시예 3 10.5
실시예 4 12.7
비교예 1 7.8
비교예 2 6.2
비교예 3 9.8
비교예 4 0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유효 성분으로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각각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또는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1과 2 및 이들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 보다 멜라닌 지수 감소율이 높았다. 이를 통해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멜라닌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또는 감초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4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통해 상기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면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두부 순물, 선택적으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또는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화장수
표 6
성분 함량(중량%)
두부 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로션
표 7
성분 함량(중량%)
두부 순물 5.0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크림
표 8
성분 함량(중량%)
두부 순물 1.0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유도체 1.0
감초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7)

  1. 두부 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o-dihydroxyisoflavone)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초로 0.01 내지 20 중량%의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초로 0.005 내지 20 중량%의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또는 그 유도체는 7,8,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7,8,4'-trihydroxyisoflavone) 및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7,3',4'-trihydroxyisoflavo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항산화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CT/KR2012/001394 2011-02-24 2012-02-23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211546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19 2011-02-24
KR1020110016619A KR101894433B1 (ko) 2011-02-24 2011-02-24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468A2 true WO2012115468A2 (ko) 2012-08-30
WO2012115468A3 WO2012115468A3 (ko) 2012-12-27

Family

ID=4672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1394 WO2012115468A2 (ko) 2011-02-24 2012-02-23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4433B1 (ko)
WO (1) WO20121154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8845A (en) * 2013-10-01 2015-04-08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022A (ja) * 1994-05-27 1995-12-12 Fuinesu:Kk 化粧品
KR20040082247A (ko) * 2003-03-18 2004-09-24 주식회사풀무원 두부 숨물로부터 항 엘라스테이즈(Anti-elastase) 활성함유 성분 분리 및 응용
KR20080088799A (ko) * 2007-03-30 2008-10-06 (주)아모레퍼시픽 생변환 시스템을 이용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022A (ja) * 1994-05-27 1995-12-12 Fuinesu:Kk 化粧品
KR20040082247A (ko) * 2003-03-18 2004-09-24 주식회사풀무원 두부 숨물로부터 항 엘라스테이즈(Anti-elastase) 활성함유 성분 분리 및 응용
KR20080088799A (ko) * 2007-03-30 2008-10-06 (주)아모레퍼시픽 생변환 시스템을 이용한 오르토-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JOON HEE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Curd Products Containing Small Black Soybe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6, no. 11, 2007, pages 1431 - 143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468A3 (ko) 2012-12-27
KR20120097199A (ko) 2012-09-03
KR101894433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BR0116098B1 (pt) Composição para retardar o envelhecimento da pele, composição cosmética, e, preparação dermatológica.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88720A1 (ko)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77568A1 (ko)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2002782A2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8194360A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0143879A2 (ko) 전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45921A1 (ko)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WO2022177215A1 (ko)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WO2012115468A2 (ko)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670237B1 (ko) 홍화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홍화씨 내 화장료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0439939B1 (ko)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0604085B1 (ko) 상지 추출물과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8306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24726B1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WO2023022288A1 (ko)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493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7/12/201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493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