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2288A1 -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2288A1
WO2023022288A1 PCT/KR2021/012995 KR2021012995W WO2023022288A1 WO 2023022288 A1 WO2023022288 A1 WO 2023022288A1 KR 2021012995 W KR2021012995 W KR 2021012995W WO 2023022288 A1 WO2023022288 A1 WO 20230222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il
calendula
cosmetic composition
ski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9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천약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약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약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222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22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calendula infuse oil and a mixed plant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and specifically, calendula infuse oil prepared by a cold brewing method using vegetable oil, and astragalus astragalus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including mixed extracts of , japonica and sea buckthorn fruits.
  •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epidermis located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is to protect the skin against various external stimuli (physical and chemical stimulants such as chemicals, air pollutants, dry environment, and ultraviolet rays) from the outside. It is a protective function that prevents excessive release of moisture in the body through the skin, and this protective function can be maintained only when the stratum corneum composed of keratinocytes is normally formed.
  • Stratum corneum which i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pidermis, is formed from keratinocytes and is composed of fully differentiated keratinocytes and a lipid layer surrounding them. Keratinocytes are characteristic cells in which basal cells continuously proliferating in the lowermost layer of the epidermis go through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nges step by step and rise to the skin surfa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ld keratinocytes are removed from the skin. The exfoliated and new keratinocytes take over the function, and this repetitive series of changes is called “differentiation of epidermal cells” or “keratinization”.
  • keratinocytes form the stratum corneum while producing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and intercellular lipids (ceramide, cholesterol, fatty acid), making the stratum corneum firm and flexible, thereby forming the skin barrier (skin barrier). function as a barrier).
  • 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 intercellular lipids ceramide, cholesterol, fatty acid
  • this stratum corneum can easily lose its function due to lifestyle factors such as excessive washing or bath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dry air and pollutants, and endogenous diseases such as atopic skin or senile skin.
  • lifestyle factors such as excessive washing or bath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dry air and pollutants, and endogenous diseases such as atopic skin or senile skin.
  • endogenous diseases such as atopic skin or senile skin.
  •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ain of dry skin symptoms and various disorders caused by them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proper skin moisture,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supply moisture from the outside or to prevent moisture loss from the body. It is wide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01530 discloses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nd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jojoba oil, calendula oil, sweet almond oil, chamomile oil, jasmine oil, and the lik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1-0037338 discloses a manufacturing method of infused oil that can effectively shorten the extraction period.
  • lecithin as an emulsifier is used, and the prepared infuse oil reduces transepidermal water los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including calendula infuse oil and a mixed extract of Astragalus, japonica, and hawthorn fruit, which has excellent skin moisturizing effect and skin barrier improving effect.
  • the above task is to prepare calendula infuse oil by mixing dried calendula and green tea oil at a weight ratio of 1:8 to 10 and then maintaining at room temperature for 20 to 40 days; preparing a mixed extract of dried astragalus, sorrel, and sea buckthorn fruits by mixing them in a weight ratio of 1:1:1 and then extracting them with an organic solvent; and mixing the calendula infuse oil and the mixed extract in a weight ratio of 10 to 100:1, which is achieved by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the skin.
  • the green tea oil may be prepared by steam distillation after drying and pulverizing green tea seeds.
  • the organic solvent is an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butyl acetat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nucleic acids,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 At least one essential 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eswax, vitamin E, and chamomile essential oil, lavender French essential oil, and tea tree essential oil is included in the mixture of the calendula infuse oil and the mixed extract, A step of preparing a cosmetic in a balm or solid stick formul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the ski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amomile essential oil, lavender french essential oil, tea tree essential oil, and vitamin E.
  •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irritating to the skin, and has excellent skin barrier improving effect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In addition, there is almost no specific odor of the oil component, almost no rancidity, etc., and the storage property is excellent.
  • the term "about” means a reference amount,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age, dimension, size, amount, weight or length of 30, 25, 20, 15, 10, 9, 8, 7, 6, 5, means an amount,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age,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that varies by 4, 3, 2 or 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mprising calendula infuse oil and a mixed extract of astragalus, sorghum and sea buckthorn fruit.
  • calendula infused oil is prepared by maintaining at room temperature for 20 to 40 days (S11).
  • the dried calendula and vegetable oil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8 to 10. More preferably, they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0.
  • the weight ratio of dry calendula and vegetable oil exceeds 1:10, the oil content increases, resulting in a lower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per unit weight.
  • the weight ratio of dry calendula and vegetable oil is less than 1:8, the amount of calendula oil finally obtained relative to the weight of dry calendula is small, resulting in low economic feasibility.
  • Calendula ( Calendula officinalis L.) , which i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leaved plant belonging to the Asteraceae family and blooms orange-red, yellow, and orange-colored flowers and is native to southern Europe. Calendula is used as a food, dye, insecticide, and is also used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of the skin. Calendula oil is also used as an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agent. Calendula flowers a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getable o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een tea oil, sweet almond oil, sunflower seed oil, camellia oil and grape seed oil. More preferably, green tea oil can be used. Conventionally, evening primrose oil, jojoba oil, shea butter, olive oil, etc. are used as infuse oil, but these oils have a strong specific odor and are expensive, so they are not economically viable. In contrast, green tea oil, sweet almond oil, sunflower seed oil, camellia oil, and grape seed oil have almost no specific odor, do not produce impurities when blended with calendula, and have low density. In addition, even when formulated into a final ointment or stick formulation, it has excellent application properties, high skin absorption rate, and low stickines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een tea oil, sweet almond oil, sunflower seed oil, camellia oil and grape seed oil is used.
  • Green tea oil is oil extracted from green tea seed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vitamins A, B, and C, so it can reduce melanin pigmentation such as spots and freckles.
  • calendula oil By preparing calendula oil using it, it is possible to improve bactericidal action, sebum control action, and improve storage stability.
  • calendula o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a cooling method in which dried calendula and vegetable oil are kept at room temperature, preferably in a cool place without direct sunlight for 20 to 40 days. Preferably, it can be maintained for 30 days by the cooling method. During the above period, stir up and down 2 to 3 times daily to mix the ingredients well. When the cooling is completed, calendula solids are removed using a sieve to prepare calendula oil.
  • calendula oil by producing calendula oil by the cold brewing method, rancidity hardly occurs, and destruction or deform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calendula and vegetable oil is small.
  • a mixed extract of astragalus, sorrel, and sea buckthorn is prepared by extracting the dried fruits of astragalus, sorrel, and sea buckthorn with an organic solvent (S12).
  • an organic solvent S12
  • the dried Astragalus, Somok, and sea buckthorn fruits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1.
  • Astragalus membranaceu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leguminous family, and mainly uses the root as a medicine.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Astragalus root is used.
  • Caesalpinia sappan which i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 belonging to the legume family and is distributed in tropical Asia such as India, Malaysia, and southern China. Somok is used in oriental medicine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eliminate blood stasis, and relieve swelling.
  • the stem or leaf may be used for the small tree.
  • the sea buckthorn fruit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uit of sea buckthorn.
  •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 Rosaceae family belongs to the Rosaceae family, grows in the cold regions of Europe and Asia, and is also called a vitamin tree.
  • Sea buckthorn berries are known for their high vitamin C and vitamin E content.
  • an extract can be prepared using an organic solvent.
  •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butyl acetat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nucleic acid, and mixtures thereof It may be selected, preferably ethanol, and more preferably 70% (v / v) ethanol.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amomile essential oil, lavender essential oil, tea tree essential oil, and vitamin E.
  • vitamin E When vitamin E is further include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nal product may be improved.
  • At least one essential 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eswax, vitamin E, and chamomile essential oil, lavender French essential oil, and tea tree essential oil is added to the mixture of the calendula infuse oil and the mixed extract.
  • a step (S14) of preparing a cosmetic in a balm or solid stick formul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Ingredi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as active ingredients, for example,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adjuvants, and carrier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It may be formulated into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pack, massage cream and spra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can be made into a balm formulation or a hard stick formulation.
  • beeswax and essential oil may be used.
  • a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ba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only green tea oil not mixed with calendula was used.
  • a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chestnu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ed extract of Astragalus, Somalia, and sea buckthorn fruit was not included. However, 18 g of calendula oil was used.
  • the moisturizing effect of the balm formulatio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stick formulation (Preparation Example 2) containing calendula oil and mixed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contain the mixed extract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Compared to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3), the moisturizing effect was bet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alm formulation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which did not use calendula oil, was superior.
  • a human skin patch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skin irritation was observed for Preparatio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3. Tested on 20 women in their 20s to 40s who had no history of hypersensitivity to skin irritation and no current dermatological disease or skin allergy symptoms. was used as a control example.
  • test site was wiped with 70% ethanol and then dried.
  • the prepared test substance was dropped into a fin chamber (100X10, EPITEST), and then sealed patched on the back of the test subject. After applying the patch for 24 hours and removing the pat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rythema and edema of the test site was observed using a magnifying glass (8MC-150, DAZOR) 1 hour and 24 hours later.
  • the skin reac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Table 3) of the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 and the average skin reactivity was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여 냉침법으로 제조된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여 냉침법으로 제조된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 (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이러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 (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여러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장해를 호소하는 인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거나 인퓨즈 방법으로 제조된 오일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을 개선하고자 하는 다양한 문헌들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01530호에서는 호호바오일, 카렌듈라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카모마일 오일, 자스민 오일 등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21-0037338호에서는 추출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특허에서는 유화제인 레시틴을 이용하고 있으며, 제조된 인퓨즈 오일이 경표피수분손실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는, 건조된 카렌듈라와 녹차유를 1 : 8~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20~40일간 실온에서 유지시켜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 건조된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열매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을 10~100: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차유는 녹차씨를 건조 및 분말화시킨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의 혼합물에 밀납, 비타민 E, 및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라벤다프렌치 에센셜 오일 및 티트리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시켜, 밤 또는 고형 스틱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라벤다프렌치 에센셜 오일, 티트리 에센셜 오일,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적고, 피부 장벽 개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오일 성분의 특이취가 거의 없고, 산패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저장성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렌듈라 인퓨즈오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연고 제형(A) 및 스틱 제형(B) 제품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건조된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을 혼합한 후 20~40일간 실온에서 유지시켜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S11); 건조된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를 각각 분쇄한 후 혼합하여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2); 및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건조된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을 혼합한 후, 20~40일간 실온에서 유지시켜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을 제조한다(S11).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은 1 : 8~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건조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 중량비가 1:10을 초과하는 경우 오일 함량이 많아져서, 단위 중량당 유효 성분의 함량이 낮아진다. 건조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 중량비가 1:8을 미만인 경우, 건조 카렌듈라 중량 대비 최종 수득되는 카렌듈라 오일의 양이 작아 경제성이 낮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카렌듈라(Calendula officinalis L.)는 국화과 식물에 속하는 쌍덕잎 식물로 등적색, 황색, 등색의 꽃을 피우며 남부 유럽이 원산지인 꽃이다. 카렌듈라는 식품, 염료, 살충제로 사용되며, 피부의 염증 질환 치료에도 사용된다. 카렌듈라 오일은 항염증제 및 상처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카렌듈라는 꽃을 사용한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녹차유, 스윗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동백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녹차유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인퓨즈 오일로 달맞이오일, 호호바오일, 시어버터, 올리브 오일 등이 사용되지만, 상기 오일들은 특이취가 강하고, 가격이 비싸서 경제성이 낮다. 이에 비해 녹차유, 스윗아몬드 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동백 오일 및 포도씨 오일은 특이취가 거의 없고, 카렌듈라와 블랜딩시 불순물이 생기지 않으며, 밀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최종 연고나 스틱 제형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도 발림성이 우수하고 피부 흡수율이 높고 끈적임이 덜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녹차유, 스윗아몬드 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동백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오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녹차유는 녹차씨로부터 추출된 오일로서 비타민 A, B,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미, 주근깨 등 멜라닌 색소 침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녹차유는 카테킨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녹차유를 이용하여 카렌듈라 오일을 제조함으로써, 살균작용, 피지조절작용을 향상시키고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녹차유는 녹차씨를 건조 및 분말화시킨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렌듈라 오일은 건조된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을 실온에서, 바람직하게는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20~40일간 유지시키는 냉침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침법으로 30일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기간 동안 매일 2~3회씩 재료가 잘 섞이도록 위아래로 교반한다. 냉침이 완료되면, 거름망을 이용하여 카렌듈라 고형물을 제거하여, 카렌듈라 오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냉침법으로 카렌듈라 오일을 제조함으로써, 산패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카렌듈라와 식물성 오일의 유효 성분의 파괴나 변형이 적다.
다음으로, 건조된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를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한다(S12).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된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는 1: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주로, 뿌리를 약재로 이용하는데, 약효성분으로는 폴리산(folic acid), 콜린(choline)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황기는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소목(Caesalpinia sappan)은, 콩과 식물에 속하는 식물로서,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남부 등 열대 아시아에 분포한다. 소목은 한의학에서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고 부기를 가라 앉히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소목은 줄기 또는 잎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산자나무 열매는 산자나무의 열매이다.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는 장미목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며, 유럽과 아시아의 추운 지대에서 자라며, 비타민나무라고도 불린다. 산자나무 열매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기의 뿌리, 소목의 줄기 및 잎, 및 산자나무 열매는 건조 및 분쇄한 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v/v) 에탄올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을 10~10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S13).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캐모마일 에센셜오일, 라벤다 에센셜오일, 티트리 에센셜오일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E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최종 제조된 제품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의 혼합물에 밀납, 비타민 E, 및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라벤다프렌치 에센셜 오일 및 티트리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밤 또는 고형 스틱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단계(S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밤 제형 또는 단단한 스틱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밤 제형 또는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밀랍 및 에센셜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 보습용 밤 제형
건조된 카렌듈라 10g과 녹차유 100g을 혼합한 다음 세척된 용기에 넣고 30일간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냉침시켰다. 상기 용기들을 매일 2~3회씩 용기를 위아래로 흔들어 섞어주었다. 30일이 경과한 후, 각 용기에서 고형분을 제거하여 카렌듈라 오일을 수득하였다.
건조된 황기 뿌리, 건조된 소목 잎, 건조된 산자나무열매를 각각 60g씩 혼합한 후,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2회 환류 추출 및 냉침한 후, 와트만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한 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혼합 추출물 분말 5.8g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카렌듈라 오일 17g, 혼합 추출물 1g, 밀랍 4g,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16방울, 티트리 에센셜오일 34방울 및 비타민E 3g을 혼합하고 33℃로 가열하면서 천천히 교반한 후, 용기에 넣고 식혀서 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보습용 스틱 제형
건조된 카렌듈라 10g과 녹차유 100g을 혼합한 다음 세척된 용기에 넣고 30일간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냉침시켰다. 상기 용기들을 매일 2~3회씩 용기를 위아래로 흔들어 섞어주었다. 30일이 경과한 후, 각 용기에서 고형분을 제거하여 카렌듈라 오일을 수득하였다.
건조된 황기 뿌리, 건조된 소목 잎, 건조된 산자나무열매를 각각 60g씩 혼합한 후,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2회 환류 추출 및 냉침한 후, 와트만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한 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분말 5.8g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카렌듈라 오일 17g, 혼합 추출물 1g, 밀랍 16g,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16방울, 티트리 에센셜오일 34방울 및 비타민E 3g을 혼합하고 33℃로 가열하면서 천천히 교반한 후, 용기에 넣고 식혀서 스틱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녹차유 대신에 올리브유를 사용하여 카렌듈라 오일을 제조하고,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 카렌듈라 오일은 18g을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2
카렌듈라를 혼합하지 않은 녹차유 단독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3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 카렌듈라 오일은 18g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전기전도도 측정
상기 제조예 1, 2,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밤 제형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 및 지속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20~40대 성인 남녀 50명을 무작위로 10 명씩 그룹을 형성하여 각 그룹에 제조예 1, 2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각각 1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2주,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Corage +Khazaka, Germany)을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피부 전기전도도 증가율(%)을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조예 1 23.85 48.66 65.75
제조예 2 22.95 46.56 62.12
비교제조예 1 23.12 36.19 45.52
비교제조예 2 22.86 40.32 52.17
비교제조예 3 23.26 39.11 48.39
상기 표 1을 보면, 본 발명의 카렌듈라오일 및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밤 제형(제조예 1) 및 스틱 제형(제조예 2)의 보습 효과가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밤 제형(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3)과 비교하여 보습효과가 더 우수하고, 카렌듈라 오일을 사용하지 않은 밤 제형(비교제조예 2)과 비교하여도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장벽 개선 효과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Sodium Lauryl Sulfate) 1%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제조예 1, 2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즉,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값을 시간 변화에 따른 TEWL 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장벽 회복율(%)
2D 4D 6D 8D
제조예 1 60.86 79.37 88.69 90.18
제조예 2 57.38 74.58 85.46 87.68
비교제조예 1 39.22 50.79 62.74 61.65
비교제조예 2 43.53 58.24 71.23 76.14
비교제조예 3 40.89 50.37 45.64 58.88
상기 표 2를 보면, 본 발명의 카렌듈라오일 및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밤 제형(제조예 1) 및 스틱 제형(제조예 2)의 피부장벽 회복율이,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밤 제형(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3)과 비교하여 더 우수하고, 카렌듈라 오일이 아닌 녹차유를 사용한 밤 제형(비교제조예 2)과 비교하여도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안전성 시험
상기 제조예 1 및 2, 비교제조예 3에 대한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피부 첩포 시험을 진행하였다.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으며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조예 3을 대조예로 사용하였다.
우선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핀 챔버(Finn chamber, 100X10,EPITEST)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 대상자의 등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1시간 및 24시간 후 확대경(8MC-150, DAZOR)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표 3)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Figure PCTKR2021012995-appb-M000001
구 분 24시간 48시간 평균피부반응도
(n=20)
± + ++ ± + ++
제조예 1 - - - - - - 0.00
제조예 2 1 - - - - - 0.14
비교제조예 3 - - - - - - 0.0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 2 및 비교제조예 3은 모두 평균 피부 반응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모두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건조된 카렌듈라와 녹차유를 1 : 8~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20~40일간 실온에서 유지시켜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
    건조된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열매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황기, 소목 및 산자나무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을 10~100: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유는 녹차씨를 건조 및 분말화시킨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제조된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과 상기 혼합 추출물의 혼합물에 밀납, 비타민 E, 및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라벤다프렌치 에센셜 오일 및 티트리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밤 또는 고형 스틱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라벤다프렌치 에센셜 오일, 티트리 에센셜 오일,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PCT/KR2021/012995 2021-08-18 2021-09-24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230222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32A KR102576693B1 (ko) 2021-08-18 2021-08-18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08632 2021-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288A1 true WO2023022288A1 (ko) 2023-02-23

Family

ID=8523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995 WO2023022288A1 (ko) 2021-08-18 2021-09-24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6693B1 (ko)
WO (1) WO202302228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718A (ko) * 2007-06-11 2008-12-16 한국콜마 주식회사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160116733A (ko) * 2015-03-31 2016-10-10 유한회사 천향 카렌듈라 인퓨즈드 오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3455A (ko) * 2017-01-12 2018-07-23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721A (ko) * 2016-05-03 2019-01-09 바이오아르지 비트키셀 코즈메틱 아라스티르마 젤리스티르메 무헨디슬릭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718A (ko) * 2007-06-11 2008-12-16 한국콜마 주식회사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160116733A (ko) * 2015-03-31 2016-10-10 유한회사 천향 카렌듈라 인퓨즈드 오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3721A (ko) * 2016-05-03 2019-01-09 바이오아르지 비트키셀 코즈메틱 아라스티르마 젤리스티르메 무헨디슬릭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3455A (ko) * 2017-01-12 2018-07-23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02A (ko) 2023-02-27
KR102576693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26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KR100639538B1 (ko) 히알루론산의생산능증강용조성물및이의제조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H1095735A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
WO2018194360A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00695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의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8594B1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78741A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WO2023022288A1 (ko)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557948A (zh) 包含铁皮石斛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6171482A1 (ko) 봉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1358A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599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43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