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721A -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721A
KR20190003721A KR1020187034924A KR20187034924A KR20190003721A KR 20190003721 A KR20190003721 A KR 20190003721A KR 1020187034924 A KR1020187034924 A KR 1020187034924A KR 20187034924 A KR20187034924 A KR 20187034924A KR 20190003721 A KR20190003721 A KR 20190003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ti
herb
vinegar
extraction
extraction med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누리 무랏 오자이만
Original Assignee
바이오아르지 비트키셀 코즈메틱 아라스티르마 젤리스티르메 무헨디슬릭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아르지 비트키셀 코즈메틱 아라스티르마 젤리스티르메 무헨디슬릭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바이오아르지 비트키셀 코즈메틱 아라스티르마 젤리스티르메 무헨디슬릭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Publication of KR2019000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72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02Boiling soap; 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2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on alkali or ammonium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11D9/10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일 구현예에서, 비누 조성물은 오일 및 식초 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알칼리 용액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며, 식초 성분은 천연 식초인 추출 매질과 천연 식물 첨가제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비누, 화장품 및/또는 가정용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비누 원료 물질의 허브 성분의 추출 매질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출 매질 자체가 하나 이상의 제품 원료 물질이므로, 용매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추가의 단계들이 생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타-전위를 높이는 성분(들)을 투입함으로써 비누 베이스의 용액에서 관련 불용성 입자들의 제타-전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화장품, 개인 관리 제품 및/또는 가정용 제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천연 비누 베이스 조성물 및/또는 기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비누는 수세기 동안 가장 안전한 청결제였다. "천연" 비누는 일반적으로 각각 재생가능한 천연 원료 (즉, 자연에 존재)인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의 유도체를 알칼리 용액과 혼합한 것이다.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 또는 지방 (또는 지방 혼합물)의 (지방산, 글리세롤 분자 및 지방족 체인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알칼리 용액과 혼합하면, 화학적 "비누화" 공정/반응을 거쳐 비누가 만들어진다. 산과 염기의 혼합과 유사하게, 비누화 반응은 글리세롤에 결합된 지방산의 카르복시 기를 하이드록사이드 (OH-)가 공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카르복시기가 분리되어 카르복시산이 형성된다. 알칼리 염기 (예, 잿물, 수산화칼륨 및/또는 수산화나트륨)가 이 카르복시산에 유인되어 측면에 지방족 체인이 매달려 있는 염을 형성함으로써, "비누"의 단분자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화학적 비누화 반응은 염기 또는 지방산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천연 비누는 합성 화학 성분 및/또는 공정 반응제 (즉, 사람이 합성한 성분 또는 반응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천연 비누 및 천연 비누-베이스의 개인 관리 제품은 몇가지 단점들로 인해 수요가 많지 않을 수 있다. 천연 비누 및 천연 비누-베이스의 제품들은, 모두 열거할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을 수 있다.
1) 전통적인 천연 비누는 지방산의 소듐염 또는 포타슘염이거나, 또는 지방산 조합물의 소듐염 또는 포타슘염이다. 그래서, 물에 존재하는 주로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인, 물의 경도 (water hardness)에 의한 공격에 천연 비누는 취약해질 수 있다.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은 지방산의 소듐염 또는 포타슘염과 반응하여 비-수용성의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을 형성하며, 따라서 비누는 경수에서는 효과적이지 않다.
2) 형성된 불용성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이 목욕/샤워 공간의 욕조 또는 기타 표면에 원치않은 잔류물 ("비누때"라고도 함)을 남긴다.
3) 전통적인 천연 비누는 개방된 분위기에서 본질적으로, 쉽게 건조된다.
4) 전통적인 천연 비누는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5) 전통적인 천연 비누는 전형적으로 알칼리므로, pH 값이 높다. 용이한 비누화를 위해, 산업계에서는 비누화 반응을 위해 전통적으로 잿물,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을 과다 사용할 수 있다.
이전에는, 이러한 천연 비누의 단점을 없애거나 또는 줄이기 위해 합성 화학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합성 화학제로 개질된 비누는 더 이상 (자연에 존재하거나 또는 자연으로부터 유래되는 성분을 함유 또는 이용) "천연"으로 분류할 수 없으며, 인간 건강 및/또는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매우 빈번하게, 합성 표면 활성 물질이 소위 "액체 비누", 화장품, 개인 관리 용품 및 가정용 제품에 사용된다. 천연 제품에 대한 현대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세정제 제조업자들은 많은 손 비누, 샴푸 및 기타 개인 관리용 제품이 약간의 유익한 천연 추출물 또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다고 광고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 성분들이 이미 비누 베이스, 표면 활성 물질 및/또는 다수의 기타 기능성 제품, 예를 들어, 미생물 보존제, 항산화제 및 보습제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따라서 완전히 "천연" 제품으로 간주할 수 없다.
천연 비누는, 피부로부터 기름과 먼지를 제거하고, 이를 용액 중에서 피부에 다시 부착되지 않는 마이셀 형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피부를 세정한다. 반면, 합성 액체 비누 등의 합성 화학 성분이 포함된 세정제는 피부 상의 기름과 피부 부착에 대해 경쟁하는 방식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합성 화학 막은 피부에서 씻어내기 어려워 물을 더 많이 소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합성 표면 활성 화학제들은 피부로 더 깊이 침투하여, 피부의 수분 유지에 필요한 지방을 제거함으로써 피부를 건조하게 만든다.
또한, 매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되는 수천 톤의 합성 세정제와 이러한 합성 세정제 배출을 규제하기 위해 적용되는 환경법을 고려한다면, 허용가능한 천연 비누 베이스가 생태적 및 사업적 관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즉, 천연 수단 및 방법을 통해, 사용하기에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며, 생태 건강에 바람직하며, 천연 비누 베이스의 단점을 없애거나 또는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줄이는, 비누 및 비누 베이스의 개인 관리 제품들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의식있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허브 함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비누, 클리닝 제품, 화장품 제품 및 개인 관리 제품 (이하, "제품들"로 지칭됨)은 다양성과 양적 측면에서 허브를 점점 더 많이 함유한다.
그러나, 허브 추출 공정시 후술한 바와 같이 몇가지 문제들이 발생한다.
1) 추출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 용매가 추출물에 잔류하여, 심지어 소량으로도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와 같은 용매는 자체 산성 특성으로 인해 염기성 성분들과 반응하여 추출물 내에 보다 안정적인 화합물 상태로 잔류할 수 있지만, 그러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허브 잔여물이 동물 사료와 같은 후차적인 용도로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복잡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 오랜 기간 동안 보관된 유기 추출물들은 변질 (deterioration)되고, 신선함이 저하 (stale)될 위험성이 높다. 추출물을 생산 장소에서 필요한 양 만큼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추출물을 신선하고 효과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최선이다.
3) 초임계 이산화탄소 사용과 같은 추출 수단을 위한 시설 또는 장치 기반에 대한 자본금과 용매로부터 원하는 추출물을 분리하기 위한 작업 비용의 투자 필요성에 따라, 추출 단가가 상승한다.
즉, 원하는 천연 추출물의 제조를 공급해주며, 전술한 종래의 허브 추출 수단 및 방법의 단점들을 해소하거나 또는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줄이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첨가제, 식초 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유익하고도 놀라울 정도로 기존의 천연 비누에 대한 상기한 문제들을 없애거나 또는 감소시킨다. 식초 성분은, 다른 요소 또는 공정 단계와 조합하여, 알칼리 용액과의 비누화 반응 전에, 오일 반응제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화된 식초 성분 또는 허브 추출 식초 침출물 성분 (herbal extract vinegar infusion component)은, 비누화 반응 이후에, 비누 베이스에 첨가될 수 있다. 즉, 비누 조성물은 식초 성분(들) 및/또는 허브 추출 침출물(들)을 사용해 제조된다.
또한, 전술한 기존의 허브 추출 수단 및 방법의 단점들을 유익하게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킨 유익한 허브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최종 제품의 원료 성분을 원하는 허브 추출물에 대한 추출 매질로서 이용하는 허브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로, 비누 원료 물질을 대상 허브의 용해성 성분에 대한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a)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인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된다.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대체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기능성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은 식초, 테레빈유, 오일, 지방, 밀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추출 매질을 포함하며; 제2 혼합물은 제2 비누화 반응제와 동일한 조성을 가진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며;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 잔류물 (residue)이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서로 다른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게 되며; 서로 다른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해바라기씨, 아몬드, 헤이즐넛, 옥수수, 올리브 및 올리브 커널, 팜 및 팜 커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제2 비누화 반응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 등의 알칼리 수산화물이며; 제2 혼합물은 11 - 14 wt%의 수산화칼륨, 4 - 5 wt%의 수산화나트륨 및 37 - 44 wt%의 물을 포함하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약 9 내지 약 10.5의 pH를 가지며; 비누화 반응은 70℃ 내지 99℃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조건의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a)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1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해화된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며, 제1 추출 매질은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1 추출 매질은 식초, 테레빈유, 오일, 지방, 밀크, 글리세린, 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제2 추출 매질은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2 추출 매질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1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1 허브 추출 침출물과 제1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2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혼합물을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추출 매질이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와 동일한 화합물인, 비누 베이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1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2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2 허브 추출 침출물과 약 70℃ 내지 약 99℃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pH 약 9 내지 약 10.5의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추출 매질이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2 추출 매질이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2 추출 매질에서 추출되는 제2 허브가 제1 추출 매질로 추출되는 제1 허브와 동일하고, 제1 추출 매질로 추출된 제1 허브가 서로 다른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1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2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2 허브 추출 침출물과 혼합하여 화장품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추출 매질이 화장품 제조의 제1 원료이고, 제2 추출 매질이 화장품 제조의 제2 원료인, 천연 제품의 허브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및 그외 특징, 측면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 상세한 설명을 읽을 경우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 문자는 동일한 파트를 표시한다. 언급되지 않은 한, 도면은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식초 성분을 이용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초 성분을 이용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초 성분을 이용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초 성분을 이용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초 성분을 이용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허브 추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천연 첨가제, 식초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유익하고도 놀라운 수준으로 기존의 천연 비누에 대한 전술한 문제들을 없애거나 또는 줄인다. 식초 성분은, 다른 요소 또는 공정 단계들과 조합하여, 알칼리 용액과의 비누화 반응 이전에 오일 반응제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초 성분은 허브 추출 식초 침출물 성분으로서 또는 중화된 식초 성분으로서 비누화 반응 이후에 비누 베이스에 첨가될 수 있다. 즉, 비누 조성물은 식초 성분(들)과 함께 허브 추출물(들)의 식초 용액 및/또는 식초 침출물로서 제조된다.
또한, 유익하게는, 기존의 허브 추출 수단 및 방법에 대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또는 줄이는 유익한 허브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비누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원하는 허브 추물의 추출 용매로서, 최종 제품의 원료 성분을 이용하는, 허브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초 성분을 함유한 비누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베이스 조성물, 이의 제품 및 제조 공정의 단계들은 전술한 기존의 전통적인 천연 비누의 단점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킨다. 일 구현예에서, (a) 오일과 식초 성분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로서, 식초 성분이 천연 식초인 추출 매질과 천연 식물 첨가제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알칼리 용액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천연 식초 (예, 아세트산을 약 4.5 wt%로 포함하는 식초) 5 - 30 wt%를 비누화되기 전 오일 (또는 비누화되기 전 오일들의 혼합물)과 혼합한다 (즉, 식초는 오일 조성물의 5% 내지 30 중량%임). 다른 예에서, 천연 식초 2 - 35 wt%를 비누화되기 전 오일과 혼합한다 (즉, 식초는 오일 조성물의 2% 내지 35 중량%임). 비누화되기 전 성분 (예, 비누화되기 전 오일)은 비누화 반응을 겪지 않은 (그러나 향후 반응을 수행할) 성분이다. 오일과 식초의 혼합물을 알칼리 용액과 혼합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고, 이로써 천연 비누 베이스를 제조한다. 오일과 식초 성분은 알칼리 용액과 비누화 공정으로 반응한다. 놀랍고도 유익하게도, 비누화 이전에, 오일에 식초 성분을 첨가하면, 비-제한적인 예로, 경수에 효과적이고, 비누때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제한적인 냄새에 유효한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는 등의, 전술한 천연 비누 베이스 및 액체 천연 비누의 단점들이 다수 해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식초 성분은 아세트산 희석 용액이며, 방향족 및 착색제, 단백질 물질 및 무기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천연 식초는, 천연적인 생물학적 산물 (natural biological product)이 수득되는, 일 예로 아세트산 3-20 wt%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수득되는, 알코올 용액의 아세트산 발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알코올 용액의 식초로의 변환은, 일 예로, 아세토박터 종의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생산되는 효소 알코올 옥시다제를 이용해 에틸 알코올을 산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천연 식초는 10 무기 염, 특히 아연, 포타슘, 리튬 및 소듐의 염; 당, 특히 글루코스, 프럭토스 및 자일리톨; 에탄올; 및 비타민 (예, 비타민 B 및 D)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식초는 주황-노란색에서 적색까지 다양한 색상의 투명한 용액일 수 있다.
알코올 용액, 예를 들어, 와인, 맥주 등도 발효에 이용될 수 있다. 천연 식초는 또한 사과, 자두, 건포도, 배 및 기타 과일의 설탕 용액으로부터 적절한 박테리아의 존재 하에 발효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데, 설탕이 먼저 알코올로 변환된 다음 아세트산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식초는 사과 식초, 쌀 식초, 와인 식초, 사이다 식초, 레몬 식초, 블랙베리 식초, 라즈베리 식초, 사탕수수 식초, 사탕무 식초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식초 성분은 허브 추출물의 식초 침출물 (vinegar infus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식초는 유익하게는 보강성이고, 기능적으로-보완적인 허브 또는 식물 일부분을 첨가하기 위한 추출 용매 매질 ("추출 매질") 및/또는 담체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허브 또는 식물 일부분의 식초 "침출물"은 하나 이상의 허브 또는 식물 일부분의 식초 용해성 성분을 포함하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비누화 반응 이전에 또는 반응 중에 식물의 특성 또는 기능성을 강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허브 또는 식물 일부분의 식초 침출물은 식물 일부분을 식초 용액에 일정 기간 (예, 수시간, 수일 또는 수주) 동안 침지 (steeping, soaking)한 다음 혼합물에 남아있는 모든 고형물을 여과하여 식물의 식초 용해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액체 파트를 분리함으로써, 제조된다. 분리된 액체 파트를 허브 또는 식물의 침출물이라 한다 (예, 허브 또는 식물의 식초 침출물).
다른 구현예에서, (a) 복수의 비-비누화 오일 (unsaponified oil); 및 천연 식초 및 천연 식물 첨가제로 된 식초 침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인 알칼리 용액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반응은 70℃에서 95℃의 온도로 가열되며, 제조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약 9.0 내지 약 10.5의 pH를 가지며, 식초 침출물은 오일 조성물의 5 중량% 내지 30 중량%를 차지한다.
상기한 구현예에서, 다음과 같은 다른 구현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며 기능적인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응제로서 사용되는 오일은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옥수수 오일, 코코넛 오일, 팜 오일, 팜 커널 오일, 캐스터 오일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천연 식초는 사과 식초, 쌀 식초, 와인 식초, 사이다 식초, 레몬 식초, 사탕수수 식초, 사탕무 식초, 블랙베리 식초, 라즈베리 식초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천연 식초는 제1 오일 혼합물의 5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천연 식초는, 일 예로 아세트산을 2 wt% 내지 8 wt%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식초은, 다른 예로, 아세트산을 2 wt% 내지 30 wt%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천연 식물 첨가제는 코리안더, 타임, 클로브, 로즈마리, 알로에베라, 콤프리 (comfrey), 콜트 풋 (colt's foot), 쐐기풀 (nettle), 로즈우드, 카모마일, 트라가칸트, 로커스트 콩 (locust bean), 대두, 푸미토리 (fumitory)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예로, 천연 식물 첨가제는 경수에 효과적인 비누 특성을 강화하는 코리안더이다. 다른 예로, 천연 식물 첨가제는,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비누의 저항 특성을 강화하는, 타임, 클로브, 로즈마리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이다. 다른 예로, 천연 식물 첨가제는, 비누의 피부 보습성을 강화하는, 알로에베라, 콤프리, 콜트 풋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이다. 다른 예로, 천연 식물 첨가제는, 비누의 항-알레르기 특성을 강화하는, 서양쐐기풀 (stinging nettle), 로즈우드, 카모마일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이다. 다른 예로, 천연 식물 첨가제는, 비누의 pH 값을 순하게 만드는, 레몬, 오렌지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이다. 다른 예로, 천연 식물 첨가물은, 비누 조성물의 대기 중 건조를 방지하는, 트라가칸트, 로커스트 콩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이다.
다른 예로, 제2 혼합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산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익하게는, 합성 화학제를 첨가하지 않고, 천연 제품 및 가공 단계를 이용하여, 전술한 및 후술한 천연 비누 및 이에 기초한 제품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또는 적어도 다수 감소시킨다.
경수에 대한 효과
천연 비누의 주요 단점은, 본 발명 이전까지는 경수에서는 효과적인지 않다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비누화되기 전 오일에 식초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알칼리 용액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과 혼합함으로써, 비누화 반응을 발생시키며, 이로써 경수에 효과적인 본 발명의 천연 비누 제품이 만들어진다. 식초의 아세트산이 잿물의 일부와 반응하여 아세트산나트륨이 생성된다. 생성된 아세트산나트륨은 경수의 용해성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과 반응하며, 수용성 아세테이트가 된다. 즉,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은 용해성 아세테이트에 결합하여, 더이상 지방산의 소듐염 또는 포타슘염을 공격하지 않는다. 즉, 비누화 반응으로 제조된 비누는 경수에 효과적이게 된다.
아래 표 1은 식초 첨가제로 제조된 비누의 경수에서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의 결과들을 나타낸다. 식초 첨가 및 비-첨가된 액체 비누 1 wt%, 2 wt% 및 5 wt% 용액 100 ml를 수돗물을 사용해 제조하였다. 식초를 포함하는 액체 비누 용액은, 비누화 반응 전에 첨가된, 액체 비누의 2 wt% 식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500 ml 메스 실린더 (graded cylinder)에서 45°로 기울여 잘 혼합하고, 형성된 거품의 높이를 0분, 0.5분 및 5분에 측정하였다. 혼합 후 생기는 거품의 높이는,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이 형성되면 발포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비누의 성능과 비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비누 용액에서 식초 첨가 및 비-첨가된 경우를 비교한 바, 비누 거품의 높이 증가는 식초가 포함된 용액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식초가 첨가된 비누 1% 용액의 경우, 식초 비-첨가된 1% 용액과 비교해, 혼합 0분 및 0.5분 경과시 거품 부피 약 235% 증가 내지 혼합 후 5분 경과시 거품 부피 약 260%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는 식초가 비누 용액이 경수에 효과적이게 한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표 1
식초 비-첨가된 수돗물 액체 비누 용액
1% 비누 용액 2% 비누 용액 5% 비누 용액
거품 높이 0분 0.5분 5분 0분 0.5분 5분 0분 0.5분 5분
(mm) 155 155 115 450 450 150 365 350 300
식초 첨가된 수돗물 액체 비누 용액
1% 비누 용액 2% 비누 용액 5% 비누 용액
거품 높이 0분 0.5분 5분 0분 0.5분 5분 0분 0.5분 5분
(mm) 365 365 300 430 425 420 450 440 300
본 발명자들은, 경수에서 천연 비누를 효과적으로 만드는 식초의 이러한 특성이 비누화 반응 이전에 (또는 다른 예로, 일부 제형에서 비누화 이후에) 코리안더 또는 대두의 식초 침출물에 의해 강화된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비누때 방지 효과 (제타 전위)
본 발명 이전에는, 천연 비누의 또 다른 단점은 비누때가 남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초 첨가제는 비누 지방산의 상당량의 불용성 염 형성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감소시켜, 비누때 발생 위험성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줄여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비누 베이스 수용액이 현저하게 높은 제타 전위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누화 반응 전 또는 이후에 오일 성분에 식초를 첨가하면, 제조된 비누 베이스 용액의 제타 전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높은 제타 전위로 인해, 불용성 비누때는 에멀젼 상태로 있게 되고, 표면에 때로 잔류되지 않게 된다.
비누때와 원치않은 불용성 물질의 침전은 이러한 분산물의 제타 전위의 함수이다. DLVO (Derjaguin, Landau, Verwey 및 Overbeek) 이론에 따르면, 불용성 입자의 전체 전자 전하가 에멀젼의 안정성을 결정한다. 절대값 ±50 mV 미만이 불안정한 범위이다.
본 발명의 식초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비누에서 비누때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비교할 샘플을 일회용 카트리지에 배치시키고, 샘플 당 최소 3번 전하를 Malvern Instruments, Malvern Nano ZSP에서 측정하였다. 0.5% 액체 비누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타 전위 값을 측정하였으며,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수돗물에 용해된 액체 비누에서 평균 제타 전위 값은 -56 mV로 측정되었다. -56 mV는 에멀젼 형태에서 불용성 입자들이 석출되는 포인트에 가까운 임계값이다. 그 결과, 비누에 pH 조정된 식초 첨가시, 천연 비누 에멀젼의 제타 전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비누때를 만드는 불용성 침전물 발생 확률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초 첨가제의 수용액을, 액체 비누에 첨가하기 전에 비누의 pH로 조정한 다음, 초기 지방산 총량의 10%로 첨가하였다.
구아르 검, 타라 검, CMC, 아세트산나트륨, Borax, PVP, 모노 글리세레이트 및 구연산나트륨도 물론 첨가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아래 표 2.1의 첨가제들을 초기 지방산 총량의 10%에 해당되는 양으로 첨가하였다. 아래 첨가제들의 수용액은 액체 비누에 첨가하기 전에 비누의 pH로 조정하였다.
표 2.1
첨가제 제타 전위 (mV)
무-첨가 -56
구아르 검 -60
타라 검 -61
CMC -61
소듐 아세테이트 -61
Borax -62
식초 -63
PVP -66
모노 글리세레이트 -66
구연산나트륨 -71
지방산 대신 오일로부터 비누를 제조할 경우, 일부 슈퍼팻 (superfat) (잿물이 화학량론적 함량 보다 적게 첨가됨)에 의해, 강력한 제파 전위 강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놀랍게도 확인된 기-존재하는 지방산의 비-비누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소량 만들어진다.
아래 표 2.2는 본 발명의 식초 첨가물을 사용해 제조한 비누의 비누때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추가적인 실험들의 결과를 보여준다. 식초 첨가 및 비-첨가 액체 비누의 1 wt%, 2 wt% 및 5 wt% 용액 100 ml를 수돗물을 사용해 제조하였다. 용액의 pH 전도성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용액의 각 비이커에 레이저 빔을 투사하여, 빔의 가시성 (visibility)을 측정하고, 현탁물내 불용성 물질의 양에 대한 함수로 평가하였다. 1+ 등급 (rating)은 불용성 물질이 미량이며, 이 평가에서 최소 값이다. 2+ 등급은 불용성 물질이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소량이거나, 또는 1+ 등급 보다는 불용성 물질의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등급은 가시적인 불용성 물질의 양이 좀더 많거나 또는 2+ 등급 보다 불용성 물질의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등급은 가시적인 불용성 물질의 양이 최고치이거나 또는 3+ 등급 보다 불용성 물질의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시광선의 세기는 비누때로서 침전될 가능성이 있는 불용성 물질의 양을 나타내며, 불용성 물질의 제타 전위는 침전 경향을 표시하는 지표이다.
식초가 첨가된 비누의 액체 샘플은, 강도가 4+인 식초가 첨가되지 않은 비누 용액 샘플과 비교해, 2+ 등급으로 수치가 낮았다. 식초 첨가는 형성되는 불용성 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비누 에멀젼의 제타 전위를 증가시켜, 불용성 물질이 비누때로서 형성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표 2.2
PH , 전도성, 현탁액내 관찰가능한 불용성 물질의 농도
1+ (미량) 2+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소량)
3+ (더 많은 양이 가시적으로 관찰됨) 4+ (관찰가능한 최대치)
용액 샘플 PH 전도성 강도
SOAP-NO 식초 + 수돗물 1% 9,364 884 4+
SOAP-NO 식초 + 수돗물 2% 9,549 1089 4+
SOAP-NO 식초 + 수돗물 5% 9,538 1620 4+
SOAP-5% 식초 + 수돗물 1% 8,922 870 2+
SOAP-5% 식초 + 수돗물 2% 9,255 1156 2+
SOAP-5% 식초 + 수돗물 5% 9,255 1635 2+
본 발명자들은, 천연 비누의 비누때 방지 효과를 부여하는 식초의 특성을 푸마르산이 풍부한 허브인 푸미토리의 식초 침출물에 의해 비누화 반응 이전 (또는 다른 예로, 일부 제형의 경우, 비누화 이후)에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건조 방지 효과
본 발명 이전에는, 천연 비누의 또 다른 단점은, 비누의 대기 건조로 원치않은 비누 제품의 박리 (flaking) 및 갈라짐 (separation)이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식초는 효과적인 항-건조제이므로, 비누가 대기에서 건조되지 않게 한다.
아래 표 3은 본 발명의 식초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비누의 대기 건조 방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식초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액체 비누와 식초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 액체 비누를 개방된 비이커에 넣어 4주간 건조되게 두었다. 식초가 포함된 액체 비누는, 수분 감소율이 약 64%인 식초 비-첨가 액체 비누와 비교해, 수분 감소율이 약 46%이었다. 양쪽 샘플에서 증발된 수분량을 비교한 바, 식초가 액체 비누의 건조 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
Figure pct00001
본 발명자들은, 천연 비누의 대기 건조를 감소시키는 식초의 특성이, 비누화 이전에 (또는 일부 제형의 경우, 다른 예로, 비누화 이후에) 트라가칸트 또는 로커스트 콩의 식초 침출물에 의해 강화됨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피부 건조 방지 효과
본 발명의 이전에는, 천연 비누의 또 다른 단점이, pH가 매우 높은 비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 건조 효과이었다. 본 발명은 매우 효과적인 천연 보습제로서 식초를 첨가함으로써 피부 건조 문제를 해결한다.
아래 표 4는, 본 발명의 식초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비누의 피부 건조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간 자원자의 손을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자원자들에게는 식초 첨가된 및 식초 비-첨가된 액체 비누 약 1.5 g으로 자신의 손을 세척하도록 요청하였으며, 그런 후 손 피부의 수분 농도를 Courage-khazaka MPA 5, Cornometer를 사용해 0분, 5분 및 60분에 측정하였다. 먼저, 자원자들은 식초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 액체 비누로 자신의 손을 세척하도록 하였다. 그런 후, 5 wt% 식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비누 베이스에 기초한 액체 비누로 자신의 손을 세척하도록 하였다.
식초 무-첨가된 대조군 액체 비누로 씻은 다음 개체별 수분 농도는 5분 후 및 1시간 후 일정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5 wt% 식초가 포함된 액체로 씻은 후, 개체별 수분 농도는 1시간 후에도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결과를 비교한 바, 본 발명의 비누 베이스로부터 제조된 액체 비누에 5 wt% 식초를 첨가하면 자원자들 모두 피부의 수분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표 4
Figure pct00002
본 발명자는, 비누화 이전에 (또는 다른 예로, 중화된 식초 침출물 사용 등의, 일부 제형에서 비누화 이후에), 알로에베라, 콤프리 또는 점액 함유 식물, 예를 들어 아욱 (mallow) 또는 콜트 풋의 식초 침출물에 의해, 식초의 피부 건조 감소 또는 해소 특성을 강화할 수 있음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높은 pH에 대한 효과
오버-베이스형 비누 (over-based soap)는, 피부에 부식성 환경일 수 있는, 약 10.50 - 11.00의 비교적 높은 pH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식초를 비누화 반응 전에 오일에 첨가하면, 제조된 비누 베이스의 pH를 허용가능한 수준 약 pH 9.0 - pH 10.5으로 낮춤으로써 피부에서의 높은 pH 조건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한다. 식초는, 주로 내용물이 아세트산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적인 산성도를 가지는데, 약산성 식초 첨가가 비누화 후 제조된 비누의 pH 수준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주므로, 따라서 비누 사용시 피부에 보다 온화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피부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유해한 화학제인 합성 성분들로 된 조성물에서 기인한 이 보다 낮은 pH 환경과 비교해, 훨씬 쉽게 합리적인 알칼리성에 적응한다. 레몬, 오렌지, 기타 시트러스 열매(들)의 식초 첨가제 또는 식초 침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비누화 이전 또는 이후에, 제조된 비누 베이스의 pH를 더욱 떨어뜨리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미생물 감염/알레르기에 대한 효과
비누는 pH 9.5 보다 높을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베이스형 비누의 경우 심지어 10 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알칼리 수준에서는, 박테리아 보존제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에 덜 유해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pH를 떨어뜨릴 경우, pH 수준 감소는 박테리아 공격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아세트산나트륨을 형성시키기 위해, 비누화 이전에 오일(들)에 식초를 첨가하며, 이로써 식초의 아세트산이 잿물의 일부와 반응하여 아세트산나트륨이 형성된다. 유익하게는, 아세트산나트륨은 효과적인 천연 항미생물제로서 작용하여, 박테리아 공격을 견디는 천연 비누 제품의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비누에 식초 첨가제의 사용이 미생물 감염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초가 첨가된 및 무-첨가된 액체 비누 샘플을 대상으로 정량적인 분석 방법으로 미생물 활성을 검사하였다. 희석하지 않은 액체 비누 샘플 14 ml, 즉 식초 무-첨가 대조군과 5 wt% 식초 첨가 샘플 둘다를 37±1℃에서 4일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후, 샘플을 ISO 방법 EN ISO 21149, EN ISO 22717, EN ISO 22718, EN ISO 18416, EN ISO 21150 및 EN ISO 16212에 따라 검사하였다. 식초 무-첨가된 pH 9.8인 대조군 샘플의 경우, 그람 음성 코커스 박테리아의 증식율은 10 cfu/ml로 관찰되었지만, 병원성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5 wt% 식초를 첨가하여 pH 8.8로 감소시킨 액체 비누 샘플의 경우, 이 보다 낮은 pH 수치로 인해 보다 좋은 박테리아 증식 배지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박테리아 활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식초의 항미생물 특성을 타임의 식초 침출물로 강화할 수 있음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서양쐐기풀, 로즈우드 및/또는 카모마일의 천연 식초 침출물이 식초가 비누 베이스의 피부에 대한 비-알레르기성 또는 낮은 알레르기성이게 만드는 기능을 강화한다는 것도, 추가로 확인하였다.
이점
즉, (1) 오일 및 식초의 제1 혼합물과, (2) 알칼리 용액의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는, 본 발명의 비누 베이스는, 기존에 생산된 천연 비누 및 합성 비누와 비교해 소비자들에게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누 베이스는 페트롤륨 기재의 표면 활성 물질을 식초와 같은 재생가능한 천연 소스로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식초로 침출된 모든 천연 성분들이 재생가능한 천연 산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품, 개인 관리용 제품 및 가정용 제품에서 항미생물제, 항산화제 및 보습제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석유화학제에 대한 수요를 제거한다.
세정제는 지하수에 축적되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할 수 있다. 또한, 비누 조성물은, 기존의 소비자 합성 비누의 합성 화학제가 축적되면, 어느 정도 지하수에 유해할 수 있다.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한 천연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식초를 단독으로 또는 침출물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건강한 생태계와 개체 건강 유지에 기여한다.
개선된 천연 비누 베이스는 추가적인 항세균성 및 진정 특성을 가진 표면-활성 물질로서 다양한 산업계에서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익하게는, 침출물 기법은 화학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도 식초에 의해 식물 성분을 인 시추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비누화 반응 전에 오일에 식초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는 제거되므로, 따라서 식초로부터 유래한 천연향이 실질적으로 없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천연 비누 베이스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예를 들어, 액체 천연 비누, 클리닝 조성물, 개인 관리 제품, 가정용 제품 또는 화장품의 수많은 문제점들이, 비누화 반응 이전에 오일에 천연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식초 또는 식초의 기능 및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식초 침출물. 즉, 본 발명의 비누 베이스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은 경수에 효과적이며, 비누때 형성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며, 박테리아 감염 및 산화적 분해에 저항성을 나타내며, 항-알레르기 특성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며, 피부에 보습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천연 비누에 비해 pH가 낮은 온화한 비누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며, 생물 유래의, 생분해성이며, 천연적인, 환경-친화적인 "그린" 비누 제품을 제공하는데 전반적으로 효과적이다.
비누 베이스, 비누 및 이러한 비누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기타 제품 등의 비누 조성물에 식초 성분의 함유는 전술한 이점들을 가진다. 그러나, 식초의 사용으로, 비누 조성물 제품의 사용자가 싫어하는 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 -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전통적인 천연 비누의 냄새 문제와 기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을 본원에 기술한다.
도 1은 비누 베이스가 액체 비누로 희석되는 물 또는 기타 제품에, 식초 중의 식물 침출물 또는 전출물 (decoction)을 첨가하여, 실질적으로 식초 냄새를 "숨기는" 방법(100)을 예시한다. 즉, 카렌듈라와 같이 식초의 냄새를 은폐 또는 숨기는 식물 첨가제의 추출물 등의 허브 추출 식초 침출물을 사용해, 식초 냄새 문제 및 전통적인 천연 비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추출 식초 침출물은 외부 용매와 후속적인 용매를 제거하지 않고도 식물의 원하는 성분을 제품에 투입할 수 있다.
방법 (10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102), 허브 추출 식초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104) 및 비누 베이스와 허브 추출 식초 침출물을 혼합하여 천연 비누를 제공하는 단계 (106)를 포함한다.
도 2는, "중화된" 식초를 사용해 식초 냄새와 전통적인 천연 비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200)을 예시한다. 소듐 또는 포타슘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첨가하여 식초의 아세트산을 아세테이트로 변환함으로써, 식초를 중화한다. 중화된 식초는 이후 비누 베이스를 액체 비누 또는 기타 제품으로 희석하는 탈이온수에 첨가할 수 있다.
방법 (200)은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202),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204) 및 중화제 (예, 소듐 또는 포타슘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삼염)를 제공하는 단계 (206)를 포함한다.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중화제와 혼합하여 (208), 예를 들어, 약 pH 7의 아세테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단계 (210)에서, 비누 베이스 및 아세테이트 용액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연 비누를 제공한다.
도 3 - 도 5는, 비누화 반응 이후가 아닌 비누화 반응 전에 식초를 첨가하는 방법들을 예시하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해 식초의 냄새 문제 및 전통적인 천연 비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방법 (300)은 오일 혼합물 또는 지방산 혼합물 (예, 오일 또는 기타 지방산 소스 유래)을 제공하는 단계 (302),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302), 및 오일 또는 지방산 및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혼합 및 가열하여 제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3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알칼리 용액을 단계 (308)에서 제공하고, 제1 혼합물 및 알칼리 용액을 혼합하여, 단계 (310)에서 비누화 반응을 통해 천연 비누를 제조한다.
방법 (400)은 오일 또는 지방산 (예, 오일 또는 기타 지방산 소스)을 제공하는 단계 (402),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404), 및 오일 또는 지방산 및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혼합 및 가열하여 제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406)를 포함한다. 방법 (400)은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408), (단계 404의 식초 성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다른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410), 및 알칼리 용액과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혼합 및 가열하여 제2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412)를 더 포함한다. 그런 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단계 (414)에서 비누화 반응을 통해 천연 비누를 제조한다. 이 방법에서는, 식초 성분이 비누화 이전에, 지방산 반응제 및 알칼리 용액 반응제에 첨가된다.
방법 (500)은 오일을 제공하는 단계 (502), 식초 또는 식초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504), 및 오일 및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을 혼합 및 가열하여 제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506)를 포함한다. 방법 (500)은 수산화나트륨을 제공하는 단계 (508), 수산화칼륨을 제공하는 단계 (510), 및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을 혼합하여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512)를 더 포함한다. 그런 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1 혼합물과 알칼리 용액을 혼합하여, 비누화 반응을 통해 천연 비누를 제조한다 (514). 이 방법에서는, 알칼리 용액이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의 다양 비율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비율은 1 mol 수산화나트륨 : 2 mol 수산화칼륨이다. 다른 방법에서, 지방산 반대이온으로서 소듐 : 포타슘의 몰 비는 1:1 내지 1:2 범위이다.
식초 비누 조성물 예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는,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일 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예를 참조하여 달성될 수 있다. 식초 (또는 허브 추출물의 식초 침출물)는 비누화 반응 이전에 오일 성분에 첨가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식초 또는 식초 침출물은 또한 비누 베이스를 희석하여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물에 첨가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예시적인 비누 베이스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올리브 오일 85 g, 코코넛 오일 10 g 및 캐스터 오일 5 g을 혼합하고, 약 90℃로 가열하여 오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산화나트륨 4.46 g과 수산화칼륨 12.49 g을 탈이온수 39.6 g에 용해하여, 알칼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알칼리 용액을 오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계속 혼합하고 약 4시간 동안 적당하게 가열함으로써, 비누 젤이 형성되었다. 비누 베이스를 만들어 밤새 휴지기를 거치도록 두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액체 손 비누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천연 사과 사이다 식초 10 g을 탈이온수 150 g에 용해하고, 소듐 또는 포타슘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첨가하여 pH 7로 중화하여, 아세테이트 용액을 제조하였다. 방향족 또는 기능성 에센셜 오일을 아세테이트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1의 비누 베이스를 이 아세테이트 용액으로 희석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연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식초 침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말린 칼렌듈라 오피시날리스 (Calendula Officinalis) 2 g을 사과 사이다 식초 10 g에 넣어 5분간 끓였다. 이로써 칼렌듈라로부터 루테올린, 캠퍼롤 및 아피게닌과 같은 활성 물질을 식초로 추출할 수 있었다. 칼렌듈라의 식초 침출물을 여과하여 칼렌듈라 잔류물은 제거하고, 식초 침출물을 탈이온수 150 g으로 희석하였다.
방향족 또는 기능성 에센셜 오일을, 필요에 따라 기계적 균질화 또는 초음파 처리에 의해, 글리세롤에 용해하고, 상기한 식초 침출물과 물로 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1의 비누 베이스를 식초 침출물과 물로 된 용액으로 희석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연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초 침출물과 물로 된 용액에 첨가하기 전에, 에센셜 오일을 글리세롤에 용해함으로써, 오일을 더 잘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액체 비누 표면에서의 오일 플로팅 (oil floating)을 방지하고 우수한 상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비누 베이스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올리브 오일 85 g, 코코넛 오일 10 g, 캐스터 오일 5 g 및 사과 사이다 식초 10 g을 혼합하고, 약 80℃로 가열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산화나트륨 4.6 g 및 수산화칼륨 12.77 g을 탈이온수 40.4 g에 용해하여, 알칼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알칼리 용액을 제1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계속 혼합하고, 약 4시간 동안 적당하게 가열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연 비누 젤이 제조되었다. 이 비누 베이스를 만들어 밤새 휴지시켰다.
실시예 5
예시적인 비누 베이스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올리브 오일 85 g, 코코넛 오일 10 g 및 캐스터 오일 5 g을 혼합하고, 약 80℃로 가열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산화나트륨 5.67 g과 수산화칼륨 13.36 g을 탈이온수 44.4 g에 용해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2 혼합물 (알칼리 용액)을 제1 혼합물 (오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를 연속 혼합하고 약 4시간 동안 적절하게 가열함으로써, 비누 젤이 제조되었다. 이 비누 젤을 만들어 밤새 휴지시켰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액체 손 비누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콤프리 (점액 함유 식물)의 천연 사과 식초 침출물 24.7 g을 탈이온수 305 g에 용해하고, 방향족 또는 기능성 에센셜 오일을 식초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5의 비누 베이스를 상기한 식초, 오일 및 물로 된 용액으로 희석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연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예시적인 천연 샴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월계수 잎 에센셜 오일 5 g과 서양쐐기풀 사과 식초 침출물 10 g을 탈이온수 318 g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5의 비누 베이스를, 상기한 월계수 잎 에센셜 오일, 서양쐐기풀의 사과 식초 침출물 및 물로 된 용액으로 희석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샴푸를 제조하였다. 이 샴푸는 서양쐐기풀과 월계수 잎이 모발에 작용하는 공지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식초는 모발을 빛나게 하고, 샴푸가 모발에서 훨씬 쉽게 제거되게 하였다.
허브 추출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추출 방법, 제조 공정 단계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산물은 전술한 전통적인 허브 추출 방법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거나 또는 줄여준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산업계에서 기존의 허브 추출물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 비누 조성물 제품의 한가지 이상의 원료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대상 허브의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즉, 대상 허브 성분들은, 최종 산물의 원료(들)만 용매(들)로서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 최종 산물에 포함되므로, 용질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일 구현예에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a)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며, 제1 추출 매질은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a)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1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해화된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며; 제1 추출 매질은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1 추출 매질은 식초, 테레빈유, 오일, 지방, 밀크, 글리세린, 물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제2 추출 매질은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2 추출 매질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한 구현예에서, 다음과 같은 구현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적용가능한 기능적으로 조합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은 식초, 테레빈유, 오일, 지방, 밀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물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추출 매질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로, 제2 혼합물은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며, 제2 추출 매질은 제2 비누화 반응제와 동일한 조성을 가진다.
일 구현예로,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여러가지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친다. 다른 예로, 여러가지 추출 매질에서의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해화된 허브는 해바라기씨, 아몬드, 헤이즐넛, 옥수수, 올리브 및 올리브 커널, 팜 및 팜 커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예로, 제2 비누화 반응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임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은 약 9 내지 약 10.5의 pH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비누화 반응은 70℃ - 99℃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추출 매질은 식초이며, 식초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카렌듈라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 (Calendula officinalis)),
쐐기풀 (우르티카 디오이카 (Urtica dioica)),
녹차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쇠뜨기 (에퀴세텀 아르벤스 (Equisetum arvense)),
라벤더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 (lavendula officinalis)),
로즈마리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Rosmarinus officinalis)),
세이지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Salvia officinalis)),
멜리사 (멜리사 오피시날리스 (Melissa officinalis)),
올리브 잎 (올레아 유로파에아 (Olea europaea)),
타임 (티무스 불가리스 (Thymus vulgaris)),
캐러브 (세라토니아 실리쿠아 (Ceratonia siliqua)),
단델리온 (타라사컴 오피시날 (Taraxacum officinale)),
신나몬 (신나모멈 제일라니쿰 (cinnamomum zeylanicum)),
클로브 (시시기움 아로마티쿰 (sysygium aromaticum)),
레드클로버 (트리폴륨 프라텐스 (Trifolium pratense)),
익모초 (레오누러스 카르디아카 (Leonurus cardiaca)),
우엉 (아르크튬 라파 (Arctium lappa)),
타라곤 (아르테미시아 드라쿤쿨러스 (Artemisia dracunculus)),
바질 (옥시멈 바실리컴 (Ocimum basilicum)),
민트 (멘타 피페리타 (Mentha piperita)),
딜 (아네툼 그라베올렌스 (Anethum graveolens)),
카모마일 꽃 (마트리카리아 카모밀라 (Matricaria chamomilla)),
인삼 (파낙스 진생 (Panax ginseng)),
알파파 (메디카고 사티바 (Medicago sativa)),
시트러스 껍질 (시트러스 (citrus)),
서양톱풀 (아킬레아 밀레폴륨 (Achillea millefolium)),
감초 (글리시리자 글라브라 (Glycyrrhiza glabra)),
디기탈리스 (디기탈리스 푸르푸레아 (Digitalis purpurea)),
겐티아나 뿌리 (겐티아나 루테아 (Gentiana Lutea)),
소리쟁이 (루멕스 크리스푸스 (Rumex crispus)),
황기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우스 (Astragalus membranaceus)),
블루 코호쉬 (콜루필럼 탈릭트로이데스 (Caulophyllum thalictroides)),
야생 참마 (디오스코레아 빌로사 (Dioscorea villosa)),
포크루트 (피톨라카 아메리카나 (Phytolacca americana)),
세네가 뿌리 (폴리갈라 세네가 (Polygala senega)),
콤프리 (심피툼 오피시날 (Symphytum officinale)),
뮤레인 (버바스쿰 탑수스 (Verbascum Thapsus)),
카옌 (캅시쿰 (Capsicum)),
아티초크 (시나라 스콜리무스 (Cynara scolymus)),
관중 (두리옵테리스 필릭스-마스 (Dryopteris filix - mas)),
메도스위트 (필리펜듈라 울마리아 (Filipendula ulmaria)),
윈터그린 (골테리아 프로컴벤스 (Gaultheria Procumbens)),
윌로우 바크 (살릭스 (Salix)),
미역취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 (Solidago virgaurea)),
앉은부채 (심플로카르푸스 포에티두스 (symplocarpus Foetidus)),
휘버유 (타나세툼 파르테늄 (Tanacetum parthenium)),
측백나무 (튜자 옥시덴탈리스 (Thuja occidentalis)),
린덴 (틸리아 (Tilia)),
관동 (투실라도 파르파라 (Tussilado farfara)),
바레리안 (바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 (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인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 (Verbena officinalis)),
페리윙클 (빈카 메이저 (Vinca major)),
바이올렛 (바이올라 오도라타 (Viola Odorata)),
팬지 (바이올라 트리콜러 (Viola tricolor)),
옥수수 (지아 메이스 L.(Zea mays L.)),
생강 (진저버 오피시날 (Zingiber officinale)), 및
이들의 임의 조합.
다른 예로, 제1 추출 매질은 테레빈유이고, 테레빈유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로즈마리 (Rosmarinus officinalis),
블랙 커민 (니겔라 사티바 (Nigella sativa)),
시트러스 껍질 (시트러스),
해바라기 (헬리안투스 아누스 (Helianthus annuus)),
베이베리 (미리카 세리페라 (Myrica Cerifera)),
클로브 (시시기움 아로마티쿰),
타라곤 (아르테미시아 드라쿤쿨러스),
바닐라 (바닐라 플라니폴리아 (Vanilla planifolia)),
신나몬 (신나모멈 제일라니쿰),
보리지 (보라고 오피시날리스 (Borago officinalis)),
우엉 (아르크튬 라파),
백향목 (세드루스 아틀란티카 (Cedrus atlantica)),
민트 (멘타 피페리타),
콤프리 (심피툼 오피시날),
에키네이셔 (에키네이셔 앵구스티폴리아 (Echinacea angustifolia)),
엘더베리 (삼부쿠스 니그라 (Sambucus nigra)),
쐐기풀 (우르티카 디오이카),
유칼립투스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 (Eucalyptus globulus)),
은행 (징코 빌로바 (Ginkgo biloba)),
허하운드 (마루븀 불가리 (Marrubium vulgare)),
세이지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마시멜로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 (althaea officinalis)),
대황 (리움 오피시날 (Rheum officinale)),
세인트 존스 워트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Hypericum perforatum)),
타임 (티무스 불가리스),
위치하젤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Hamamelis virginiana)),
서양톱풀 (아킬레아 밀레폴륨 (Achillea millefolium)),
아카시아 (아카시아 세네갈 (Acacia Senegal)),
트라가칸트 (아스트라갈루스 구미퍼 (Astragalus gummifer)),
아이리쉬 모스 (콘드러스 크리스푸스 (Chondrus crispus)),
클러스터 빈스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바 (Cyamopsis tetragonoloba)),
퀸스 잎 (시도니아 오블롱가 (Cydonia Oblonga)),
금불초 (플라타고 오바타 (plantago ovata)),
호로파 (트리고넬라 포에넘-그라세컴 (Trigonella Foenum - Graecum)),
관동 (투실라도 파르파라),
슬리퍼리 엘름 (울무스 루브라 (ulmus rubra)),
샬라키 (보스웰리아 세라타 (Boswellia serrata)),
캄퍼 로렐 (신나노멈 캄포라 (Cinnamomum Camphora)),
몰약 (코미포라 몰몰 (Commiphora molmol)),
용혈 (대모노롭스 드라코 (Daemonorops draco)),
그린델리아 (그린델리아 (Grindelia)),
유창목 (구아이아컴 오피시날 (Guaiacum officinale)),
단델리온 (타라사컴 오피시날),
탄지 (타나세툼 불가리 (Tanacetum vulgare)),
운향 (루타 그라베올렌스 (Ruta graveolens)),
조름나물 (멘얀테스 트리폴리아타 (Menyanthes Trifoliata)),
골든실 (하이드라스티스 카나덴시스 (Hydrastis Canadensis)),
겐티아나 뿌리 (겐티아나 루테아),
본세트 (유파토리움 페르폴리아툼 (Eupatorium perfoliatum)),
센토리 (에리트레이아 센토리움 (Erythraea centaurium)),
바베리 (베르베리스 불가리스 (Berberis vulgaris)), 및
이들의 임의 조합.
다른 예로, 제1 추출 매질은 식물 오일이고, 식물 오일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카렌듈라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
라벤더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
세이지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서양톱풀 (아킬레아 밀레폴륨),
우엉 (아르크튬 라파),
감초 (글리시리자 글라브라),
인삼 (파낙스 진생),
단델리온 (타라사컴 오피시날리스), 
디기탈리스 (디기탈리스 푸르푸레아),
겐티아나 뿌리 (겐티아나 루테아),
소리쟁이 (루멕스 크리스푸스),
황기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우스),
블루 코호쉬 (콜루필럼 탈릭트로이데스),
야생 참마 (디오스코레아 빌로사),
포크루트 (피톨라카 아메리카나),
세네가 뿌리 (폴리갈라 세네가),
콤프리 (심피툼 오피시날),
뮤레인 (버바스쿰 탑수스),
마시멜로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
아니카 (아니카 몬타나 (Arnica Montana)),
유칼립투스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
골든실 (하이드라스티스 카나덴시스),
엘더베리 (삼부쿠스 니그라),
별꽃 (스텔라리아 메디아 (Stellaria media)),
타임 (티무스 불가리스),
슬리퍼리 엘름 (울무스 루브라),
말바 (말바 실베스트리스 (Malva sylvestris)),
크라인즈빌 (제라늄 마쿨라툼 (Geranium maculatum)),
차나무 (멜라레우카 (Melaleuca)), 및
이들의 임의 조합.
다른 예로, 제1 추출 매질은 밀크이고, 밀크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타마린드 (타마린두스 인디카 (Tamarindus indica)),
올리브 잎 (올레아 유로파에아),
클로브 (시시기움 아로마티쿰),
신나몬 (신나모멈 제일라니쿰),
타임 (티무스 불가리스),
퀸스 잎 (시도니아 오블롱가),
서양톱풀 (아킬레아 밀레폴륨),
마로니에 (아에스쿨러스 히포카스타눔 (Aesculus hippocastanum)),
부추 (아가토스마 베툴리나 (Agathosma betulina)),
아그리모니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 (Agrimonia eupatoria)),
파슬리 피어트 (알케밀라 아르벤시스 (Alchemilla arvensis)),
마시멜로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
딜 (아네툼 그라베올렌스),
안젤리카 (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 (Angelica archangelica)),
셀러리 (아피움 그라베올렌스 (apium graveolens)),
쑥 (아르테미시아 앱신튬 (Artemisia absinthium)),
귀리 (아베나 사티바 (Avena Sativa)),
블랙 허하운드 (발로타 니그라 (Ballota nigra)),
카렌듈라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
냉이 (캡셀라 버사-파스토리스 (Capsella bursa- pastoris)),
카옌 페퍼 (캅시쿰 아늄 (Capsicum annuum)),
쿠민 (카룸 카르비 (Carum Carvi)),
아이슬란드이끼 (세트라리아 아이슬란디카 (Cetraria islandica)),
아이리쉬 모스 (콘드러스 크리스푸스),
산사나무 (크라타에구스 레비가타 (Crataegus laevigata)),
브롬 (Broom) (시티수스 스코파리우스 (Cytisus scoparius)),
당근 (다우쿠스 캐로타 (Daucus carota)),
끈끈이귀개 (드로세라 로툰디폴리아 (Drosera rotundifolia)),
개밀 (엘리무스 레펜스 (Elymus repens)),
마황 (에페드라 시니카 (Ephedra sinica)),
금영화 (이스콜서 캘리포르니카 (Eschscholtzia Californica)),
유칼립투스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
본세트 (유파토리움 페르폴리아툼),
아이브라이트 (유프라시아 (Euphrasia)),
메도스위트 (필리펜듈라 울마리아),
회향 (포에니쿨럼 불가리 (Foeniculum vulgare)),
푸미토리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 (Fumaria officinalis)),
고트스루 (갈레가 오피시날리스 (Galega officinalis)),
클리버스 (갈리움 아파린 (Galium aparine)),
크라인즈빌 (제라늄 마쿨라툼),
은행 (징코 빌로바),
그린델리아 (그린델리아),
알프스 민들레 (히에라시움 필로셀라 (Hieracium pilosella)),
홉 (후물러스 루풀러스 (Humulus lupulus)),
세인트 존스 워트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히솝 (히소푸스 오피시날리스 (Hyssopus Officinalis)),
주니퍼 (주니퍼러스 코뮤니스 (Juniperus Communis)),
야생 상추 (락투카 비로사 (Lactuca Virosa)),
라벤더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
익모초 (레오누러스 카르디아카),
아마 (리넘 우시타티시멈 (Linum usitatissimum)),
쉽싸리 (라이코푸스 유로파우스 (Lycopus europaeus)),
말바 (말바 실베스트리스),
허하운드 (마루븀 불가리),
카모마일 꽃 (마트리카리아 카모밀라),
멜리사 (멜리사 오피시날리스),
민트 (멘타 피페리타),
페니로얄 (멘타 풀레기움 (Mentha pulegium)),
윈터그린 (미첼라 레펜스 (Mitchella repens)),
개박하 (네페타 카타리아 (Nepeta cataria)),
시계초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Passiflora incarnata)),
파슬리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 (Petroselinum Crispum)),
볼도 (페우무스 볼두스 (Peumus boldus)),
포크루트 (피톨라카 아메리카나),
아니스 (핌피넬라 아니숨 (Pimpinella anisum)),
플랜테인 (플란타고 메이저 (Plantago major)),
세네가 뿌리 (폴리갈라 세네가),
풀사틸라 (플사틸라 불가리스 (Pulsatilla vulgaris)),
로즈마리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라즈베리 (루부스 이다이우스 (Rubus idaeus)),
운향 (루타 그라베올렌스),
세이지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엘더베리 (삼부쿠스 니그라),
현삼 (스크로풀라리아 노도사 (Scrophularia nodosa)),
황금 (스쿠텔라리아 라테리플로라 (Scutellaria Lateriflora)),
차풀 (세나 (Senna)),
쏘팔메토 (세레노아 레펜스 (Serenoa repens)),
미역취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
별꽃 (스텔라리아 메디아), 및
이들의 임의 조합.
다른 예로, 제1 추출 매질은 글리세롤이고, 글리세롤 중에 용매화된 허브는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로즈마린산 함유 식물:
아가스타케 루고사(Agastache rugosa) 배초향 (Korean mint)
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딜
아르테미시아 드라쿤쿨러스(Artemisia dracunculus ) 타라곤
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ago officinalis) 보리지
콜린소니아 카나덴시스(Collinsonia canadensis) 카나다 호르세바름 (Canada Horsebalm)
글레코마 헤데라시아(Glechoma hederacea) 그라운드 아이비 (ground-ivy)
히소푸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히솝
라반듈라 앵거스티폴리아(Lavandula angustifolia) 라벤더
라벤듈라 x 인터메디아(Lavandula x intermedia) 라반딘
라반듈라 라티폴리아(Lavandula latifolia) 포르투구에스 라벤더(Portuguese lavender)
라이코푸스 유로파우스(Lycopus europaeus) 구주?사리(gypsywort)
라이코푸스 버기니쿠스(Lycopus virginicus)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레몬 밤
멘타 풀레기움(Mentha pulegium) 페니로얄
멘타 스피카타(Mentha spicata) 스피아민트
멘타 롱기폴리아(Mentha longifolia) 호스 민트(Horse Mint)
멘타 아르벤시스 바르. 피페라센스(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콘 민트(corn mint)
멘타 아쿠아티카 (Mentha aquatica) 워터 민트(water mint)
멘타 x 피페리타 (Mentha x piperita) 페퍼민트
멘타 x 로툰디폴리아 (Mentha x rotundifolia)
모노르디카 카란티아(Momordica charantia) 비터 멜론(bitter melon)
모나르다 피스툴로사(Monarda fistulosa) 와일드 베르가못(Wild bergamot)
모나르다 디디마(Monarda didyma)
네페타 카타리아(Nepeta cataria) 개박하(catnip)
옥시멈 테누이플로럼(Ocimum tenuiflorum) 홀리 바질(holy basil)
옥시멈 바실리컴(Ocimum basilicum) 바질
오리가넘 불가리(Origanum vulgare) 오레가노(Oregano)
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마조람(Marjoram)
페릴라 프루테센스(Perilla frutescens)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Petroselinum crispum)
프루넬라 불가리스(Prunella vulgaris) 커먼 셀프-힐(common self-heal)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로즈마리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세이지 티
살비아 스클라리아 (Salvia sclarea) 클라리 세이지(clary sage)
사투레자 호르텐시스(Satureja hortensis ) 섬머 세이보리(Summer savory)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윈터 세이보리(Winter savory)
스크로풀라리아 스코로도니아(Scrophularia scorodonia) 현삼(figworts)
스타키스 오피시날리스(Stachys officinalis) 헤지 네틀(hedgenettle)
심피툼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커먼 콤프리(common comfrey)
테우크리움 스코로도니아 (Teucrium scorodonia) 우드 세이지(wood sage)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저먼 타임(German thyme)
티무스 세르필럼(Thymus serpyllum) 와일드 타임(wild thyme)
백시니움 코림보섬(Vaccinium corymbosum) 하이 블루베리(high blueberry)
카르노직산 (carnosic acid) 함유 식물:
힙티스 딜라타타(Hyptis dilatata)
레페키니아 메이에니이(Lepechinia meyenii)
레페키니아 하스타타(Lepechinia hastata)
옥시멈 테누이플로럼(Ocimum tenuiflorum) 홀리 바질
풀리카리아 살비아에폴리아(Pulicaria salviaefolia)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
살비아 문지이(Salvia munzii) 문츠 세이지(Munz's sage)
살비아 카나리엔시스(Salvia canariensis) 카나리 아이슬란드 세이지(Canary Island sage)
살비아 아피아나(Salvia apiana) 화이트 세이지(white sage)
살비아 멜리페라(Salvia mellifera) 블랙 세이지(black sage)
살비아 윌레아나(Salvia willeana) 트로도스 세이지(Troodos Sage)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세이지 티(Sage tea)
살비아 토멘토사(Salvia tomentosa)
살비아 콜룸바리아에(Salvia columbariae) 치아 세이지(chia sage)
제니스테인(GENISTEIN) 함유 식물:
아데노카르푸스 폴리올로수스(Adenocarpus foliolosus)
아데노카르푸스 데코르티칸스(Adenocarpus decorticans)
알비지아 프로세라(Albizia procera)
암피카르파에아 에지워르티이(Amphicarpaea edgworthii)
암피카르파에아 브락테아타 호그 피넛(Amphicarpaea bracteata hog peanut)
아피오스 아메리카나(Apios americana)
아르기로시티수스 바탄디에리(Argyrocytisus battandieri)
밥티시아 sp(Baptisia sp)
밥티시아 틴크토리아(Baptisia tinctoria) 와일드 인디고(Wild Indigo)
보우디치아 니티다(Bowdichia nitida)
카야누스 가얀 피게온피아(Cajanus cajan Pigeonpea)
카야누스 스타라바에오이데스(Cajanus scarabaeoides)
칼리코톰 빌로사(Calicotome villosa)
칼리코톰 스피노사(Calicotome spinosa)
칼로포고늄 카에룰레움(Calopogonium caeruleum)
캄프토세마 sp(Camptosema sp)
카나발리아 유리카르파(Canavalia eurycarpa)
카나발리아 로세아(Canavalia rosea)
카나발리아 엔시포르미스(Canavalia ensiformis) 잭 빈(Jack Bean)
카나발리아 비로사(Canavalia virosa)
카나발리아 글라디아타(Canavalia gladiata) 카창 폴롱(Kachang polong); 카라반즈(Carabanz); 카창 파랑(Kachang parang) (작두콩 (Chopper bean))
카나발리아 갈레아타(Canavalia galeata)
카나발리아 세리세아(Canavalia sericea)
센트로세마 시에디아눔(Centrosema schiedianum)
센트로세마 파스쿠오럼(Centrosema pascuorum)
센트로세마 사기타툼(Centrosema sagittatum)
센트로세마 플루미에리(Centrosema plumieri)
카마에시티수스 수피누스(Chamaecytisus supinus)
카마에시티수스 히르수투스(Chamaecytisus hirsutus)
카마에시티수스 스미나에우스(Chamaecytisus smyrnaeus)
카마에시티수스 에리오카르푸스(Chamaecytisus eriocarpus)
카마에시티수스 라티스보넨시스(Chamaecytisus ratisbonensis)
카마에시티수스 알부스(Chamaecytisus albus)
카마에스파르티움 트리덴타툼(Chamaespartium tridentatum)
카마에스파르티움 사기탈레(Chamaespartium sagittale)
크로난투스 바플로루스(Chronanthus biflorus)
키케르 아리에티넘 치키페아(Cicer arietinum Chickpea); 가르반조(Garbanzo)
클리토리아 테르나테아켐방 텔링(Clitoria ternateaKembang teling); 마제리온 힌디(Mazeryon Hindi); 멘텔링(Menteling); 크웨타브한다(Cwetabhanda)
클리토리아 팔카타(Clitoria falcata)
콜로가나 브로우소네티이(Cologana broussonetii)
크로탈라리아 준세아 순헴프(Crotalaria juncea Sunhemp)
시티수스 멀티플로루스(Cytisus multiflorus)
시티수스 트리브락테올라투스(Cytisus tribracteolatus)
시티수스 인그라미이(Cytisus ingramii)
시티수스 스코파리우스 스코치 브롬 (Cytisus scoparius Scotch Broom)
시티수스 스트리아투스(Cytisus striatus)
시티수스 아르도이니(Cytisus ardoini)
데스모듐 강게티컴(Desmodium gangeticum) 세렌간(Serengan); 비다리간드하(Vidarigandha); 레판탄(Lepantan); 아카르 카투흐(Akar katuh); 케마니 발리(Kemani bali); 메링안(Meringan)
디오클레아 글리시노이데스(Dioclea glycinoides)
디포곤 리그노수스(Dipogon lignosus)
돌리코스 비플로루스(Dolichos biflorus) 쿨라타(Kulattha)
둔바리아 빌로사(Dunbaria villosa) 야생 참마
에키노스파르늄 보리둠(Echinospartium horridum)
에리나세아 안틸리스(Erinacea anthyllis)
에리오세마 누탄스(Eriosema nutans)
에리오세마 글로메라툼(Eriosema glomeratum) 맘퐁(Mampong)
에리오세마 프소랄레오디세(Eriosema psoraleoides)
에리트리나 크리스타-갈리(Erythrina crista - galli) 콕크스푸르 코랄 트리(Cockspur Coral Tree)
에리트리나 sp(Erythrina sp)
플레밍기아 스트로빌리페라(Flemingia strobilifera)
갈락티아 주시아에나(Galactia jussiaeana)
제니스타 파툴라(Genista patula)
제니스타 저마니카(Genista germanica)
제니스타 sp 게네트(Genista sp genet)
제니스타 오바타(Genista ovata)
제니스타 클라바타(Genista clavata)
제니스타 틴크토리아(Genista tinctoria)
제니스타 루멜리카(Genista rumelica)
제니스타 리디아(Genista lydia)
글리신 막스(Glycine max) 대두
글리신 와이티(Glycine wightii)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리코리즈(licorize)
하르덴베르기아 비올라세아(Hardenbergia violacea)
케네디아 니그리칸스(Kennedia nigricans) 블랙 케네디아(Black Kennedia)
케네디아 루비쿤다(Kennedia rubicunda) 더스키 코랄 피아(dusky coral pea)
케네디아 코키네아(Kennedia coccinea) 코랄 바인(coral vine)
케네디아 프로커렌스(Kennedia procurrens)
라부르눔 알피눔(Laburnum alpinum) 스코치 라부르눔(Scotch laburnum)
라부르눔 아나기로이데스(Laburnum anagyroides) 골든 레인(golden rain)
렘보트로피스 에메리폴리아(Lembotropis emerifolia)
렌스 쿨리나리스(Lens culinaris) 렌즈콩(lentil)
레스페데자 시르토보트야(Lespedeza cyrtobotrya) 버쉬 클로버(bush clover)
루피누스 알부스(Lupinus albus) 화이트 루핀(white lupin)
루피누스 루테우스(Lupinus luteus) 유럽 옐로우 루핀(European yellow lupine)
루피누스 페렌니스(Lupinus perennis) 와일드 페렌니알 루핀(wild perennial lupine),
리고스 라에툼(Lygos raetum)
리고스 모노스페르마(Lygos monosperma)
막크키아 아무렌시스(Maackia amurensis)
마크롭틸륨 브락테아움(Macroptylium bracteatum)
마크롭틸리움 마르티(Macroptylium martii)
마크롭틸리움 아트로푸르푸레움(Macroptylium atropurpureum)
마크롭틸리움 라티로이데스(Macroptylium lathyroides)
마크로틸로마 액실라레(Macrotyloma axillare)
마크로틸로마 우니플로라(Macrotyloma uniflora)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모카니아 마크로필라(Moghania macrophylla)
무쿠나 디어링기아나(Mucuna deeringiana)
무쿠나 프루리엔스(Mucuna pruriens)
네오노토니아 와이티(Neonotonia wightii)
오노니스 스피노사(Ononis spinosa)
페리콥시스 락시플로라(Pericopsis laxiflora)
파세올루스 루나투스(Phaseolus lunatus)
파세올루스 불가리스(Phaseolus vulgaris)
파세올루스 spp(Phaseolus spp)
파세올루스 루나투스(Phaseolus lunatus)
파세올루스 코키네우스(Phaseolus coccineus)
피프탄투스 네팔렌시스(Piptanthus nepalensis)
피프탄투스 나누스(Piptanthus nanus)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
포도카르부스 스피카투스(Podocarpus spicatus)
프루누스 니포니카(Prunus nipponica)
프루누스 아비움(Prunus avium)
프루누스 에어퀴녹티알리스(Prunus aequinoctialis)
프루누스 베레쿤다(Prunus verecunda)
프루누스 맥시모위치(Prunus maximowiczii)
프루누스 세라수스(Prunus cerasus)
프루누스 spp(Prunus spp)
파루누스 마할렙(Prunus mahaleb)
슈데미니아 코모사(Pseudeminia comosa)
슈도에리오세마 보리아니(Pseudoeriosema borianii)
슈도비그나 아르겐테아(Pseudovigna argentea)
프소랄레이 코리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프테로카르푸스 안골렌시스(Pterocarpus angolensis)
푸에라리아 슈도히르수타(Pueraria pseudohirsuta)
푸에라리아 파세올로이데스(Pueraria phaseoloides)
푸에라리아 몬타나(Pueraria montana)
린코시아 덴시플로라(Rhynchosia densiflora)
린코시아 피라미달리스(Rhynchosia pyramidalis)
린코시아 카비바에아(Rhynchosia cabibaea)
린코시아 파세올로이데스(Rhynchosia phaseoloides)
린코시아 미니마(Rhynchosia minima)
린코시아 아쿠미나티폴리아(Rhynchosia acuminatifolia)
린코시아 볼루빌리스(Rhynchosia volubilis)
린코시아 히르수타(Rhynchosia hirsuta)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
소포라 섭프로스트라타(Sophora subprostrata)
스파르티움 운세움(Spartium junceum)
스타우라칸투스 제니스토이데스(Stauracanthus genistoides)
스타우라칸투스 보이비니(Stauracanthus boivinii)
스텔라리아 메디아(Stellaria media)
스티졸로븀 디어링기아눔(Stizolobium deeringianum)
스트롱일로돈 마크로보트리스(Strongylodon macrobotrys)
텔린 sp(Teline sp)
테일레리아 쿠르데르시(Teyleria koordersii)
서몹시스 sp(Thermopsis sp)
서몹시스 파바세아(Thermopsis fabacea)
트리폴리움 섭테라네움(Trifolium subterraneum)
트리폴리움 하이브리둠(Trifolium hybridum)
트리폴륨 프라텐스(Trifolium pratense)
트리폴리움 sp(Trifolium sp)
트리폴리움 브라키칼리시넘(Trifolium brachycalycinum)
트리폴리움 레펜스(Trifolium repens)
트리폴리움 알렉산드리넘(Trifolium alexandrinum)
트리고넬라 포에넘-그라세컴(Trigonella foenum - graecum)
울렉스 sp(Ulex sp)
울렉스 미크란투스(Ulex micranthus)
반다시나 레투사(Vandasina retusa)
비시아 파바(Vicia faba)
비그나 앤굴라리스(Vigna angularis)
비그나 운구이쿨라타(Vigna unguiculata)
비그나 섭테라네아(Vigna subterranea)
비그나 라디아타(Vigna radiata)
제니스틴 함유 식물:
제니스타 틴크토리아(Genista tinctoria) 다이어즈 브룸(dyer's broom)
글리신 막스 대두
프루누스 세라수스(Prunus cerasus) 사워 체리(sour cherry)
푸에라리아 몬타나(Pueraria montana) 쿠드주(kudzu)
트리폴륨 프라텐스(Trifolium pratense) 레드 클로버
울렉스 유로파에우스(Ulex europaeus) 커먼 고스(common gorse)
다이드제인(DAIDZEIN) 함유 식물:
키케르 아리에티넘 (Cicer arietinum) 치크피아(Chickpea)
제니스타 틴크토리아(Genista tinctoria) 다이어즈 브룸(dyer's broom)
글리신 막스(Glycine max) 대두
렌즈 쿨리나리스(Lens culinaris) 렌즈콩(lentil)
메디카고 사티바 (Medicago sativa) 알파파
파세올루스 루나투스(Phaseolus lunatus) 비터 빈(butter bean)
파세올루스 불가리스(Phaseolus vulgaris) 블랙 빈(black bean)
파세올루스 코키네우스(Phaseolus coccineus) 붉은 강낭콩(scarlet runner bean)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 완두콩
프소랄레이 코리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바브치(babchi)
푸에라리아 슈도히르수타(Pueraria pseudohirsuta) 중국 쿠드주(chinese kudzu)
푸에라리아 몬타나(Pueraria montana) 쿠드주(kudzu)
소포라 섭프로스트라타(Sophora subprostrata) 샨도우겐(Shan Dou Gen)
트리폴륨 프라텐스(Trifolium pratense) 피바인 클로버(Peavine Clover)
비시아 파바(Vicia faba) 잠두(Faba Bean)
비그나 라디아타(Vigna radiata) 녹두(Mungbean)
비그나 앤굴라리스(Vigna angularis) 팥(Adzuki Bean)
비그나 운구이쿨라타(Vigna unguiculata) 아스파라거스 빈(Asparagus Bean)
다이드진 (DAIDZIN) 함유 식물:
글리신 막스(Glycine max) 대두
푸에라리아 몬타나(Pueraria montana) 쿠드주(kudzu)
푸에라리아 슈도히르수타(Pueraria pseudohirsuta) 중국 쿠드주(chinese kudzu)
트리폴륨 프라텐스(Trifolium pratense) 피바인 클로버(Peavine Clover)
및 이들의 임의 조합.
다른 예로,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은 상기 열거된 허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의 용해성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은 상기 열거된 허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의 용해성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 추출 침출물은 허브 잔류물로부터 분리 과정없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 여과 후 허브 잔류물의 추출 매질로부터의 분리없이 사용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또한, 전술한 산물의 원료 물질 또는 성분 역시 추출 매질과 조합하여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허브 추출 방법 (600)을 플로우차트로 도시한다. 방법 (600)은 제1 추출 매질을 제공하는 단계 (602), 일정 기간 동안 제1 추출 매질 중에 허브를 용매화하는 단계 (604), 및 제1 추출 매질로부터 허브 고형물을 여과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액체)로부터 제1 허브 잔류물(잔류 고형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8)에서, 이러한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은, 비누 조성물 제품 또는 크림 또는 기타 화장품용 원료로서 제조하기 위한 비누화 반응 반응제 등의, 제품용 원료로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610)에 점선 화살 표시한 바와 같이, 단계 (606)에서 제1 허브 잔류물을 제1 추출 매질과 다른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한다. 단계 (612)에서, 허브 고형물을 제2 추출 매질로부터 여과하여,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액체)로부터 제2 허브 잔류물(잔류 고형물)을 분리한다. 단계 (614)에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품용 원료로서 사용한다. 즉, 명백하게도, 허브 잔류물을 이용한 연속적인 추가적인 추출 단계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유익하게는, 원료 및 허브는, 원료 물질을 완전히 이용하기 위해, 그리고 식물 첨가제/허브로부터 활성 성분을 완전히 추출하기 위해, 추출 매질로서 조합하여 및/또는 연속적으로 사용된다.
효과
본 발명은, 용매 자체가 제조되는 최종 제품의 원료이기 때문에, 추출 공정에 사용되는 용매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기타 단계들이 생략된다. 이는, 또한, 용매 분리를 위한 고온 사용이 생략되므로, 추출물의 활성 성분이 분해될 가능성이 사라진다. 제조 지역에서 필요에 따라 필요한 양으로 제조되는 추출물이,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장기간의 보관 시간이 필요한 제품 보다 더 신선하고, 효과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비누, 가정용 제품, 화장품 및 유사 제품을 제조하는데 허브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적은 투자, 원액 (stock) 및 조작 비용으로, 단순한 추출 시설에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허브 추출은 제조 지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연 제품에서 허브 추출 잔류물 (remnant)은 또한 동물 공급원료 섹터에서 동물 사료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허브 추출에 대한 실시예
본 발명이 일반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원료 허브 추출 매질을 이용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추가적인 이해를 수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단순 예시 목적으로 제공되며,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비누 베이스 조성물 또는 화장품 제품의 원료로서 식초를 다음과 같이 허브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였다:
말린 쇠뜨기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1 단위를 사과 사이다 식초 4 단위에 2-6주간 침지하였다. 쇠뜨기 및 식초 혼합물에서 고형물을 여과한 후, 쇠뜨기의 식초 침출물을 사용해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비누 베이스를 사용해 샴푸(액체 비누)를 제조하였다. 쇠뜨기에서 발견되는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시스테인, 셀레늄 및 아연이 식초 침출물에 의해 샴푸로 전달되었다.
말린, 분쇄한 대두 (글리신 막스(Glycine max)) 1 단위를 사과 사이다 식초 4 단위에 15분간 침지하였다. 대두 및 식초 혼합물로부터 고형물을 여과한 후, 대두의 식초 침출물을 사용해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비누 베이스를 사용해 샴푸(액체 비누)를 제조하였다.
대두에서 발견되는 활성 성분, 예를 들어, 다이드진 및 제니스틴이 식초 침출물에 의해 샴푸로 전달되어, 모발을 두껍게 만들고,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의 색상을 회복시키고, 비듬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샴푸가 제조되었다.
식초는, 대두로부터 다이아진 및 제니스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매질로서 헥산 또는 에틸 알코올과 같은 용매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아래 표 5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에 의해 분석한 추출 결과들을 일부 비교하여 나타낸다.
표 5. 대두 추출
No 추출물 다이드진 (mg/L) 제니스틴 (mg/L)
1 콩-에틸 알코올 16.51 ± 0.14 15.04 ± 0.13
2 콩-헥산 00.00 ± 0.00 00.00 ± 0.00
3 콩-식초 42.51 ± 0.14 34.78 ± 0.29
실시예 2
샴푸의 원료로서 테레빈유를 다음과 같이 허브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였다:
로즈마리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Rosmarinus officinalis))를 테레빈유에 1:4의 비율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뜨거운 수조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로즈마리 및 테레빈유 혼합물로부터 고형물을 여과한 후, 로즈마리의 테레빈유 침출물을 샴푸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하였다.
로즈마리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α-피넨 및 카르노솔 (carnosol)이 테레빈유 침출물에 의해 샴푸로 전달되어, 비듬을 방지하고, 건강한 모낭의 형성을 뒷받침하는데 효과적인 샴푸가 제조되었다. 테레빈유는 모공을 개방시키고 두피를 치유하는데 도움이 된다.
테레빈유는 물, 에틸 알코올 및 헥산과 같은 용매 보다 로즈마리로부터 카르노솔을 추출하는 추출 매질로서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아래 표 6은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에 의해 분석한 추출 결과들을 일부 비교하여 나타낸다.
표 6. 로즈마리 추출
No 추출물 카르노솔 (mg/L)
1 로즈마리-물 0.79 ± 0.05
2 로즈마리-에틸 알코올 18.95 ± 0.05
3 로즈마리-헥산 4.87 ± 0.02
4 로즈마리-테레빈유 29.02 ± 0.02
실시예 3
비누 베이스 또는 피부 관리 제품용 원료로서 오일을 다음과 같이 허브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였다:
카렌듈라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를 해바라기 오일에 1개월간 침지하였다. 카렌듈라 및 오일 혼합물로부터 고형물을 여과한 후, 카렌듈라의 오일 침출물을 비누 또는 피부 관리 제품을 제조하는 원료 물질로 사용하였다. 카렌듈라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지용성 비타민, 항산화제, 수지(resin) 및 사포닌이 오일 침출물에 의해 비누 또는 피부 관리 제품으로 전달되어, 피부 보습 및 치유, 선 스팟 치료, 주름 완화 및 수렴제로서의 기능을 보조하는 비누 또는 피부 관리 제품이 제조되었다.
또한, 카렌듈라를 올리브 오일에 15분간 혼합하여, 루테올린, 아피게넨 및 캠퍼롤과 같은 활성 성분들의 추출을 조사하였다. 올리브 오일이, 에틸 알코올 및 헥산과 같은 용매 보다 카렌듈라로부터 캠퍼롤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매질로서 더 효과적이었다. 아래 표 7은 HPLC에 의해 분석한 추출 결과들을 일부 비교하여 나타낸다.
표 7. 카렌듈라 추출
No 추출물 캠퍼롤(mg/L)
1 카렌듈라-에틸 알코올 2.10 ± 0.00
2 카렌듈라-헥산 2.20 ± 0.00
3 카렌듈라-올리브 오일 7.10 ± 0.00
실시예 4
피부 관리 제품용 원료로서 글리세린과 물을 다음과 같이 허브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였다:
위치하젤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Hamamelis virginiana))을, 식물성 글리세린과 물 75:25 혼합물에 1:4 비율로 침지하고, 뜨거운 수조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위치하젤, 글리세린 및 물 혼합물로부터 고형물을 여과한 후, 위치하젤의 글리세린 및 물 침출물을 피부 관리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위치하젤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갈로탄닌이 글리세린 및 물 침출물에 의해 피부 관리 제품으로 전달되어, 경화치료제 및 수렴제로서 작용하여, 거미 정맥류 (spider vein), 하지 정맥류 (varicose vein) 및 습진 치유에 도움이 되는 피부 관리 제품이 제조되었다.
대두를 글리세린 및 물 2:1 혼합물에 1:4 중량비로 침지하고, 뜨거운 수조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대두, 글리세린 및 물 혼합물로부터 고형물을 여과한 후, 대두의 글리세린 및 물 침출물을 크림 제조에 사용하였다.
글리세린-물 혼합물은 에틸 알코올 및 헥산과 같은 용매 보다 대두로부터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매질로서 더 효과적이었다. 아래 표 8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스펙트로스코피 (LC-MS)에 의해 분석한 추출 결과들을 일부 비교하여 나타낸다.
표 8. 대두 추출
No 추출물 다이드제인 (mg/L) 제니스테인 (mg/L)
1 대두 - 에틸 알코올 4.45 ± 0.04 3.38 ± 0.03
2 대두 - 헥산 00.00 ± 0.00 00.00 ± 0.00
3 대두 - 식초 3.72 ± 0.03 1.18 ± 0.01
4 대두 - 글리세린 68.23±0.24 39.79 ± 0.50
실시예 5
화장품 원료로서 염소 밀크를 다음과 같이 허브 추출 매질로서 사용하였다:
타마린드 (타마린두스 인디카(Tamarindus indica))를 염소 밀크에 침지하였다. 타마린드 및 염소 밀크 혼합물로부터 고형물을 여과한 후, 타마린드의 염소 밀크 침출물을, 페이스 발삼 (balsam) 또는 바디 밀크 (body milk) 등의 화장품 제품으로 사용하였다. 타마린드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자일로글리칸 (xyloglycan)이 염소 밀크에 의해 화장품 제품으로 전달되어,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발진 치유 및 피부색을 환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화장품 제품이 제조되었다. 폴리페놀 및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생물-보존제인 것으로 알려진, 타마린드는, 밀크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허브 추출 매질을 사용한 여러 번의 허브 추출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실시예 3의 허브 추출에 사용된 카렌듈라를 여과한 후, 추출 후 남아있는 고형물에 대해 희석한 수산화나트륨 용액 및/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에서의 또 다른 추출 단계를 수행하였으며, 이 다른 원료 물질을 비누화 반응의 알칼리 성분으로서 비누 베이스 제조에 사용한다. 이러한 추가의 추출 단계를 사용해, 여과 후 카렌듈라 잔류 고형물에 남아있는 해바라기 오일과, 이전에 추출되지 않지 않은 카렌듈라의 잔류물 및 기타 성분들을, 수산화나트륨 및/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의 추출 매질에 의한 추출을 위해 회수하였다. 이러한 추가적인 추출 단계로 심층적인 추출이 이루어졌다.
카렌듈라를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에 침지 및 여과한 후, 고형 잔류물을 비누 베이스의 다른 원료 물질로서 식초에 침지하였다. 이전 단계에서 추출되지 않은 카렌듈라 유래 활성 물질들이 추출되었으며, 카렌듈라의 고형 잔류물이 적절한 pH 수준에 도달하여, 동물 사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밀랍 및 오일 침출물을 오일상 (아래 표 9에 열거된 오일 혼합물)에서 약 80℃로 가열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레시틴, 프로폴리스 및 잔탄검을, 식초, 글리세롤 및 물 중의 추출물을 함유한 수상에 혼합하였다. 오일상과 수상을 왕성하게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9. 크림 혼합물
크림 제형 파트(Part)
마누카 에센셜 오일 1
라벤더 에센셜 오일 0.2
백단 오일 1
로즈우드 오일 1
코코넛 오일 3
올리브 오일에서의 카렌듈라 침출물 2
참깨 오일 2
아프리코 커널 오일 2.5
포도씨 오일 2.5
로즈힙 오일 1
프로폴리스 0.5
밀랍 3
레시틴 3
블랙 엘더베리 수 추출물 29.3
로즈힙 수 추출물 30
아욱 글리세린 추출물 5
헬리크리섬 식초 전출물 10
잔탄검 3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이 구현예를 들어 기술되었지만, 본원에 사용된 용어들은 제한하기 위한 용어라기 보다는 설명 및 예시하기 위한 용어로 의도된다. 본 발명이 특정 재료 및 구현예를 들어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본원에 기술된 구체적인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아세트산 농도를 가진 다양한 식초 및 다양한 허브 농도를 가진 다양한 타입의 식초 침출물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적용가능하며 기능적인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는, 또 다른 구현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범위에 포함되는 것과 같은, 모든 기능적으로 등가의 구조, 물질 및 용도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본원에 언급되고 보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문맥에 부합되는 가능한 가장 넓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3)

  1. 비누 베이스 조성물로서,
    (a) 제1 추출 용매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1 허브 추출 침출물 (herbal extract infusion)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의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reaction)에 의해 제조된, 비누 베이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이 식초, 테레빈유, 오일, 지방, 밀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추출 매질을 포함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이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추출 매질이 상기 제2 비누화 반응제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상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잔류물 (herbal residue)이고,
    상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상이한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헤이즐넛, 옥수수, 올리브, 올리브 커널 (olive kernel), 팜 및 팜 커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이한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누화 반응제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산화물 (alkaline hydroxide)인, 비누 베이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이 11 - 14 wt%의 수산화칼륨, 4 - 5 wt%의 수산화나트륨 및 37 - 44 wt%의 물을 포함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이 약 9 내지 약 10.5의 pH를 가지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화 반응이 70℃ - 95℃의 온도에서 발생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식초 (vinegar)이고,
    상기 식초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카렌듈라(calendula)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쐐기풀(nettle) (우르티카 디오이카(Urtica dioica)),
    녹차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쇠뜨기(horsetail) (에퀴세텀 아르벤스(Equisetum arvense)),
    라벤더(lavender)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세이지(sage)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멜리사(melissa)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올리브 잎(olive leaves)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타임(thyme)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캐러브(carob) (세라토니아 실리쿠아(Ceratonia siliqua)),
    단델리온(dandelion) (타라사컴 오피시날(Taraxacum officinale)),
    신나몬(cinnamon) (신나모멈 제일라니쿰(cinnamomum zeylanicum)),
    클로브(cloves) (시시기움 아로마티쿰(sysygium aromaticum)),
    레드클로버(redclover) (트리폴륨 프라텐스(Trifolium pratense)),
    익모초(motherwort) (레오누러스 카르디아카(Leonurus cardiaca)),
    우엉(burdock) (아르크튬 라파(Arctium lappa)),
    타라곤(tarragon) (아르테미시아 드라쿤쿨러스(Artemisia dracunculus)),
    바질(basil) (옥시멈 바실리컴(Ocimum basilicum)),
    민트(mint)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딜(dill)) (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카모마일 꽃(chamomile flower) (마트리카리아 카모밀라(Matricaria chamomilla)),
    인삼(ginseng) (파낙스 진생(Panax ginseng)),
    알파파(alfalfa)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시트러스 껍질(citrus peel) (시트러스(citrus)),
    서양톱풀(yarrow) (아킬레아 밀레폴륨(Achillea millefolium)),
    감초(licorice)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디기탈리스(digitalis) (디기탈리스 푸르푸레아(Digitalis purpurea)),
    겐티아나 뿌리(gentian root)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소리쟁이(yellow dock) (루멕스 크리스푸스(Rumex crispus)),
    황기(Huang Qi)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우스(Astragalus membranaceus)),
    블루 코호쉬(blue cocosh) (콜루필럼 탈릭트로이데스(Caulophyllum thalictroides)),
    야생 참마(wild yam) (디오스코레아 빌로사(Dioscorea villosa)),
    포크루트(pokeroot) (피톨라카 아메리카나(Phytolacca americana)),
    세네가 뿌리(senega root) (폴리갈라 세네가(Polygala senega)),
    콤프리(comfrey) (심피툼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뮤레인(mullein) (버바스쿰 탑수스(Verbascum Thapsus)),
    카옌(cayenne) (캅시쿰(Capsicum)),
    아티초크(artichoke)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관중(male fern) (두리옵테리스 필릭스-마스(Dryopteris filix - mas)),
    메도스위트(meadowsweet)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윈터그린(wintergreen) (골테리아 프로컴벤스(Gaultheria Procumbens)),
    윌로우 바크(willow bark) (살릭스(Salix)),
    미역취(goldenrod)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Solidago virgaurea)),
    앉은부채(skunk cabbage) (심플로카르푸스 포에티두스(symplocarpus Foetidus)),
    휘버유(feverfew) (타나세툼 파르테늄(Tanacetum parthenium)),
    측백나무(thuja) (튜자 옥시덴탈리스(Thuja occidentalis)),
    린덴(linden) (틸리아(Tilia)),
    관동(coltsfoot) (투실라도 파르파라(Tussilado farfara)),
    바레리안(valerian) (바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인(vervain)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페리윙클(periwinkle) (빈카 메이저(Vinca major)),
    바이올렛(violet) (바이올라 오도라타(Viola Odorata)),
    팬지(pansy) (바이올라 트리콜러(Viola tricolor)),
    옥수수 (지아 메이스 L.(Zea mays L.)),
    생강(ginger) (진저버 오피시날(Zingiber officinale)), 및
    이들의 조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테레빈유이고,
    상기 테레빈유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로즈마리(rosemary)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블랙 커민(black cumin)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시트러스 껍질(citrus peel) (시트러스(citrus)),
    해바라기(sunflower) (헬리안투스 아누스(Helianthus annuus)),
    베이베리(bayberry) (미리카 세리페라(Myrica Cerifera)),
    클로브(cloves) (시시기움 아로마티쿰(sysygium aromaticum)),
    타라곤(tarragon) (아르테미시아 드라쿤쿨러스(artemisia dracunculus)),
    바닐라(vanilla) (바닐라 플라니폴리아(Vanilla planifolia)),
    신나몬(cinnamon) (신나모멈 제일라니쿰(cinnamomum zeylanicum)),
    보리지(borage) (보라고 오피시날리스 (Borago officinalis)),
    우엉(burdock) (아르크튬 라파(arctium lappa)),
    백향목(cedar) (세드루스 아틀란티카(Cedrus atlantica)),
    민트(mint)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콤프리(comfrey) (심피툼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에키네이셔(echinacea) (에키네이셔 앵구스티폴리아(Echinacea angustifolia)),
    엘더베리(elderberry)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쐐기풀(nettle) (우르티카 디오이카(urtica dioica)),
    유칼립투스(eucalyptus)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Eucalyptus globulus)),
    은행(ginkgo)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허하운드(horehound) (마루븀 불가리(Marrubium vulgare)),
    세이지(sage)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마시멜로(marshmallow)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대황(rhubarb) (리움 오피시날(Rheum officinale)),
    세인트 존스 워트(st john's wort) (하이페리쿰 퍼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타임(thyme)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위치하젤(witch hazel)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서양톱풀(yarrow) (아킬레아 밀레폴륨(Achillea millefolium)),
    아카시아(acacia) (아카시아 세네갈(Acacia Senegal)),
    트라가칸트(tragacanth) (아스트라갈루스 구미퍼(Astragalus gummifer)),
    아이리쉬 모스(irish moss)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rus crispus)),
    클러스터 빈스(cluster beans)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바(Cyamopsis tetragonoloba)),
    퀸스 잎(quince leaves) (시도니아 오블롱가(Cydonia Oblonga)),
    금불초(psyllium) (플라타고 오바타(plantago ovata)),
    호로파(fenugreek) (트리고넬라 포에넘-그라세컴(Trigonella Foenum -Graecum)),
    관동(coltsfoot) (투실라도 파르파라(tussilado farfara)),
    슬리퍼리 엘름(slippery elm) (울무스 루브라(ulmus rubra)),
    샬라키(shallaki)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a)),
    캄퍼 로렐(camphor laurel) (신나노멈 캄포라(Cinnamomum Camphora)),
    몰약(myrrh) (코미포라 몰몰(Commiphora molmol)),
    용혈(dragon's blood) (대모노롭스 드라코(Daemonorops draco)),
    그린델리아(grindelia) (그린델리아(Grindelia)),
    유창목(lignum vitae) (구아이아컴 오피시날(Guaiacum officinale)),
    단델리온(dandelion) (타라사컴 오피시날(taraxacum officinale)),
    탄지(tansy) (타나세툼 불가리(Tanacetum vulgare)),
    운향(rue) (루타 그라베올렌스(Ruta graveolens)),
    조름나물(bogbean) (멘얀테스 트리폴리아타(Menyanthes Trifoliata)),
    골든실(goldenseal) (하이드라스티스 카나덴시스(Hydrastis Canadensis)),
    겐티아나 뿌리(gentian root)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본세트(boneset) (유파토리움 페르폴리아툼(Eupatorium perfoliatum)),
    센토리(centaury) (에리트레이아 센토리움(Erythraea centaurium)),
    바베리(barberry) (베르베리스 불가리스(Berberis vulgaris)), 및
    이들의 조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식물 오일이고,
    상기 식물 오일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카렌듈라(calendula)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라벤더(lavender)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세이지(sage)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서양톱풀(yarrow) (아킬레아 밀레폴륨(achillea millefolium)),
    우엉(burdock) (아르크튬 라파(arctium lappa)),
    감초(licorice)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인삼(ginseng) (파낙스 진생(panax ginseng)),
    단델리온(dandelion) (타라사컴 오피시날리스(taraxacum officinalis)), 
    디기탈리스(digitalis) (디기탈리스 푸르푸레아(digitalis purpurea)),
    겐티아나 뿌리(gentian root)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소리쟁이(yellow dock) (루멕스 크리스푸스(rumex crispus)),
    황기(huang qi)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우스(astragalus membranaceus)),
    블루 코호쉬(blue cocosh) (콜루필럼 탈릭트로이데스(caulophyllum thalictroides)),
    야생 참마(wild yam) (디오스코레아 빌로사(dioscorea villosa)),
    포크루트(pokeroot) (피톨라카 아메리카나(phytolacca americana)),
    세네가 뿌리(senega root) (폴리갈라 세네가(polygala senega)),
    콤프리(comfrey) (심피툼 오피시날(symphytum officinale)),
    뮤레인(mullein) (버바스쿰 탑수스(verbascum thapsus)),
    마시멜로(marshmallow)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아니카(arnica) (아니카 몬타나 (Arnica Montana)),
    유칼립투스(eucalyptus)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eucalyptus globulus)),
    골든실(goldenseal) (하이드라스티스 카나덴시스(hydrastis canadensis)),
    엘더베리(elderberry)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별꽃(chickweed) (스텔라리아 메디아 (Stellaria media)),
    타임(thyme)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슬리퍼리 엘름(slippery elm) (울무스 루브라(ulmus rubra)),
    말바(malva) (말바 실베스트리스 (Malva sylvestris)),
    크라인즈빌(cranesbill) (제라늄 마쿨라툼 (Geranium maculatum)),
    차나무(tea tree) (멜라레우카 (Melaleuca)), 및
    이들의 조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밀크 (milk)이고,
    상기 밀크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하기 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타마린드(tamarind) (타마린두스 인디카 (Tamarindus indica)),
    올리브 잎(olive leaves)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클로브(cloves) (시시기움 아로마티쿰(sysygium aromaticum)),
    신나몬(cinnamon) (신나모멈 제일라니쿰(cinnamomum zeylanicum)),
    타임(thyme)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퀸스 잎(quince leaves) (시도니아 오블롱가(cydonia oblonga)),
    서양톱풀(yarrow) (아킬레아 밀레폴륨(achillea millefolium)),
    마로니에(horse chestnut) (아에스쿨러스 히포카스타눔 (Aesculus hippocastanum)),
    부추(buchu) (아가토스마 베툴리나 (Agathosma betulina)),
    아그리모니(agrimony)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 (Agrimonia eupatoria)),
    파슬리 피어트(parsley piert) (알케밀라 아르벤시스 (Alchemilla arvensis)),
    마시멜로(marshmallow)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딜(dill) (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안젤리카(angelica) (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 (Angelica archangelica)),
    셀러리(celery) (아피움 그라베올렌스 (apium graveolens)),
    쑥(wormwood) (아르테미시아 앱신튬 (Artemisia absinthium)),
    귀리(oat) (아베나 사티바 (Avena Sativa)),
    블랙 허하운드(black horehound) (발로타 니그라 (Ballota nigra)),
    카렌듈라(calendula) (카렌듈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냉이(shepherd's-purse) (캡셀라 버사-파스토리스 (Capsella bursa-pastoris)),
    카옌 페퍼(cayenne pepper) (캅시쿰 아늄 (Capsicum annuum)),
    쿠민(cummin) (카룸 카르비 (Carum Carvi)),
    아이슬란드이끼(iceland moss) (세트라리아 아이슬란디카 (Cetraria islandica)),
    아이리쉬 모스(irish moss)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rus crispus )),
    산사나무(hawthorn) (크라타에구스 레비가타 (Crataegus laevigata)),
    브롬(broom) (시티수스 스코파리우스 (Cytisus scoparius)),
    당근(carrot) (다우쿠스 캐로타 (Daucus carota)),
    끈끈이귀개(sundew) (드로세라 로툰디폴리아 (Drosera rotundifolia)),
    개밀(couch grass) (엘리무스 레펜스 (Elymus repens)),
    마황(ma huang) (에페드라 시니카 (Ephedra sinica)),
    금영화(california poppy) (이스콜서 캘리포르니카 (Eschscholtzia Californica)),
    유칼립투스(eucalyptus) (유칼립투스 글로불러스(eucalyptus globulus)),
    본세트(boneset) (유파토리움 페르폴리아툼(eupatorium perfoliatum)),
    아이브라이트(eyebright) (유프라시아 (Euphrasia)),
    메도스위트(meadowsweet) (필리펜듈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회향(fennel) (포에니쿨럼 불가리 (Foeniculum vulgare)),
    푸미토리(fumitory)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 (Fumaria officinalis)),
    고트스루(goat's rue) (갈레가 오피시날리스 (Galega officinalis)),
    클리버스(cleavers) (갈리움 아파린 (Galium aparine)),
    크라인즈빌(cranesbill) (제라늄 마쿨라툼(geranium maculatum)),
    은행(ginkgo)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그린델리아(grindelia) (그린델리아(grindelia)),
    알프스 민들레(mouse-ear hawkweed) (히에라시움 필로셀라 (Hieracium pilosella)),
    홉(hop) (후물러스 루풀러스 (Humulus lupulus)),
    세인트 존스 워트(st john's wort) (하이페리쿰 퍼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히솝(hyssop) (히소푸스 오피시날리스 (Hyssopus Officinalis)),
    주니퍼(juniper) (주니퍼러스 코뮤니스 (Juniperus Communis)),
    야생 상추(wild lettuce) (락투카 비로사 (Lactuca Virosa)),
    라벤더(lavender) (라벤듈라 오피시날리스(lavendula officinalis)),
    익모초(motherwort) (레오누러스 카르디아카(leonurus cardiaca)),
    아마(flax) (리넘 우시타티시멈 (Linum usitatissimum)),
    쉽싸리(bugleweed) (라이코푸스 유로파우스 (Lycopus europaeus)),
    말바(malv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허하운드(horehound) (마루븀 불가리(marrubium vulgare)),
    카모마일 꽃(chamomile flower) (마트리카리아 카모밀라(matricaria chamomilla)),
    멜리사(melissa)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민트(mint)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페니로얄(pennyroyal) (멘타 풀레기움 (Mentha pulegium)),
    윈터그린(wintergreen) (미첼라 레펜스 (Mitchella repens)),
    개박하(catnip) (네페타 카타리아 (Nepeta cataria)),
    시계초(passion flower)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Passiflora incarnata)),
    파슬리(parsley)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 (Petroselinum Crispum)),
    볼도(boldo) (페우무스 볼두스 (Peumus boldus)),
    포크루트(pokeroot) (피톨라카 아메리카나(phytolacca americana)),
    아니스(anise) (핌피넬라 아니숨 (Pimpinella anisum)),
    플랜테인(plantain) (플란타고 메이저 (Plantago major)),
    세네가 뿌리(senega root) (폴리갈라 세네가(polygala senega)),
    풀사틸라(pulsatilla) (플사틸라 불가리스 (Pulsatilla vulgaris)),
    로즈마리(rosemary)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라즈베리(raspberry) (루부스 이다이우스 (Rubus idaeus)),
    운향(rue) (루타 그라베올렌스(ruta graveolens)),
    세이지(sage)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엘더베리(elderberry)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현삼(figwort) (스크로풀라리아 노도사 (Scrophularia nodosa)),
    황금(skullcap) (스쿠텔라리아 라테리플로라 (Scutellaria Lateriflora)),
    차풀(senna) (세나 (Senna)),
    쏘팔메토(saw palmetto) (세레노아 레펜스 (Serenoa repens)),
    미역취(goldenrod)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solidago virgaurea)),
    별꽃(chickweed) (스텔라리아 메디아(stellaria media)), 및
    이들의 조합.
  14. 비누 베이스 조성물로서,
    (a)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1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과,
    (b)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해화된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 간의 비누화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1 추출 매질이 식초, 테레빈유, 오일, 지방, 밀크, 글리세린, 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2 추출 매질이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이고, 제2 추출 매질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제2 허브가 상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제1 허브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제1 허브는 상이한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이 약 9 내지 약 10.5의 pH를 가지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화 반응이 70℃ 내지 99℃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비누 베이스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누 베이스 조성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샴푸, 액체 비누 또는 클리닝 (cleaning)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누 베이스 조성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화장품, 개인 관리 제품 또는 가정용 제품.
  20. 비누 베이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1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1 허브 추출 침출물과 제1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2 비누화 반응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혼합물을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와 동일한 화합물인,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이 제2 추출 용매 중에 용매화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함유한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추출 매질이 상기 제2 비누화 반응제와 동일한 화합물인,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 매질 중에 용매화된 허브가 상기 제1 추출 매질로 추출되는 허브와 동일한 허브이고,
    상기 제1 추출 매질로 추출된 허브는 상이한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제조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허브와 상기 추출 용매의 혼합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추출 용매의 혼합물을 가공하는 단계가 혼합, 가열, 캐비테이션 (cavitation), 초음파 혼합 (ultrasound mixing)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추출 용매의 혼합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허브 추출 침출물을 인 시추(in situ)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누화 반응제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산화물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제조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이 pH 약 9 내지 약 10.5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제조 방법.
  28. 비누 베이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1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2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2 허브 추출 침출물과 약 70℃ 내지 약 99℃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pH 약 9 내지 약 10.5의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비누화 반응제이고,
    상기 제2 추출 매질이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비누화 반응제이고,
    상기 제2 추출 매질에서 추출되는 제2 허브가 제1 추출 매질로 추출되는 제1 허브와 동일하며,
    상기 제1 추출 매질로 추출되는 제1 허브가 상이한 추출 매질들 중에서 복수의 추출 과정을 거치는,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허브와 상기 추출 용매의 혼합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추출 용매의 혼합물을 가공하는 단계가 혼합, 가열, 캐비테이션 (cavitation), 초음파 혼합 (ultrasound mixing)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추출 용매의 혼합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허브 추출 침출물을 인 시추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누화 반응제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산화물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제조 방법.
  33. 천연 제품용 허브 추출 방법으로서,
    제1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1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제2 허브의 용해성 성분을 제2 추출 매질로 추출하여 제2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허브 추출 침출물을 제2 허브 추출 침출물과 혼합하여 화장품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추출 매질이 화장품 제조의 제1 원료이고,
    상기 제2 추출 매질이 화장품 제조의 제2 원료인, 허브 추출 방법.
KR1020187034924A 2016-05-03 2016-09-02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Withdrawn KR201900037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R2016/05777A TR201605777A2 (tr) 2016-05-03 2016-05-03 Bi̇tki̇sel ekstraksi̇yon ve üreti̇m prosesi̇
TR2016/05777 2016-05-03
PCT/TR2016/050328 WO2017192110A1 (en) 2016-05-03 2016-09-02 Herbal extra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721A true KR20190003721A (ko) 2019-01-09

Family

ID=5715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924A Withdrawn KR20190003721A (ko) 2016-05-03 2016-09-02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470507A1 (ko)
KR (1) KR20190003721A (ko)
TR (1) TR201605777A2 (ko)
WO (1) WO20171921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09A (ko) * 2019-02-11 2020-08-20 이돈복 악취제거와 소독살균을 위한 조성물
WO2023022288A1 (ko) * 2021-08-18 2023-02-23 천약선 주식회사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23106879A1 (ko) * 2021-12-09 2023-06-15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50080023A (ko) 2023-11-27 2025-06-0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해풍쑥, 홀리바질, 목화, 냉이, 귀리, 쐐기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703534A2 (tr) * 2017-03-08 2018-09-21 Nuri Murat Oezayman Antimikrobiyel Bileşimler.
CN108315352A (zh) * 2018-01-31 2018-07-24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酶促生香制备薰衣草油的方法及其应用
DE202020005611U1 (de) 2019-02-18 2021-10-25 Mary Kay Inc. Topische Haut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Rosazea und Hautröte
CN111700843B (zh) * 2020-07-14 2021-03-09 孙开军 防脱育发洗发露及其制备方法
GR1010723B (el) * 2023-08-25 2024-07-05 Μαρια Σπυριδωνος Ανθη Αντιρυτιδικη συνθεσ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08310A (en) * 1912-04-06 1913-04-03 Margaret Colvin Scouring, Cleansing, Bleaching, Purifying and Toilet Compositions.
US1377843A (en) * 1919-07-07 1921-05-10 Andrew Jergens Co Soap
US6265370B1 (en) * 1999-11-19 2001-07-24 Hall Newbegin Method for soap making
US6380153B1 (en) * 2000-04-20 2002-04-30 Chris Carlson Methods for producing surfactants with cellulose compositions
KR20030009983A (ko) * 2001-07-25 2003-02-05 김홍재 게르마늄과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 미용비누 조성물
US6693066B2 (en) * 2001-11-15 2004-02-1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Toilet bars containing sensory modifiers comprising conditioning compound
KR100804818B1 (ko) * 2006-04-03 2008-02-20 김민우 폐식용유를 이용한 고형비누의 제조방법
JP2009263644A (ja) * 2008-03-31 2009-11-12 Sadayoshi Akizuki 石鹸
CN104357246A (zh) * 2014-10-16 2015-02-18 青岛桐晟桐橡塑科技有限公司 除异味香皂
CN105349293A (zh) * 2015-08-11 2016-02-24 洛阳名力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美白香皂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09A (ko) * 2019-02-11 2020-08-20 이돈복 악취제거와 소독살균을 위한 조성물
WO2023022288A1 (ko) * 2021-08-18 2023-02-23 천약선 주식회사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23106879A1 (ko) * 2021-12-09 2023-06-15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50080023A (ko) 2023-11-27 2025-06-0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해풍쑥, 홀리바질, 목화, 냉이, 귀리, 쐐기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0507A1 (en) 2019-04-17
EP3390613A1 (en) 2018-10-24
WO2017192110A1 (en) 2017-11-09
TR201605777A2 (tr) 2017-11-21
EP3390613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721A (ko) 허브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92109A1 (en) Natural soap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US11033591B2 (en) Antibacterial essential oil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964118B2 (ja) 抗菌性組成物
CN104248522A (zh) 植物精华爽肤水
JP200401050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JP200411548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CN109414400A (zh) 口腔用组合物的制造方法及口腔用组合物
EP3417046A1 (en) Natural soap composition with controlled zeta potential and manufacturing process
JP5283367B2 (ja) 線維芽細胞増殖因子−1産生促進剤
CN105326726B (zh) 一种竹汁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20230108153A (ko) 피부진정 허브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클렌징용 천연비누 조성물
CN110269820A (zh) 一种基于纳米植物干细胞的二合一全植物洗发液的制备方法
KR102524795B1 (ko) 입욕제 조성물
KR20150089782A (ko)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 손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03896A (ja) 化粧用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JP2004203896A5 (ko)
CN115212148B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应用
KR102388023B1 (ko)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100360915B1 (ko) 모공세척액의 제조방법
CN109922814A (zh) 滴鼻剂组合物的制造方法及滴鼻剂组合物
CN107955725A (zh) 一种海藻洗衣液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