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795B1 - 입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795B1
KR102524795B1 KR1020230025781A KR20230025781A KR102524795B1 KR 102524795 B1 KR102524795 B1 KR 102524795B1 KR 1020230025781 A KR1020230025781 A KR 1020230025781A KR 20230025781 A KR20230025781 A KR 20230025781A KR 102524795 B1 KR102524795 B1 KR 10252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bath
mugwort
bat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은정
Original Assignee
(주)벨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벨슨 filed Critical (주)벨슨
Priority to KR102023002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욕제 조성물{Bath composition}
본 발명은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입욕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오염이 가속화되면서 각종 합성 물질이 범람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과민 체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알러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이 직면한 스트레스, 연령 증가에 의한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은 피부 건조, 피부 각질 형성 등의 피부 손상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입욕제는 유효물질을 적당한 농도로 배합해 욕탕에 넣은 뒤 입욕했을 때 단순히 피로 회복이나 피부 보호뿐만 아니라 질병 치료 및 증상 완화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고대로부터 사람들은 천연의 온천을 상처의 치료, 건강 증진에 이용하였으며, 또한 동일한 목적에서 각종 식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재의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현재에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의 입욕제가 출시되어 있으나, 천연 재료로 이루어지면서도 특정 효과를 갖는 새로운 입욕제의 개발이 끊임 없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6477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의 배합비를 통하여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쑥추출물, 상기 어성초추출물, 상기 병풀추출물, 상기 티트리추출물, 상기 약쑥추출물, 상기 익모초추출물, 상기 구절초추출물, 상기 형개추출물, 상기 한련초추출물, 상기 당귀추출물, 상기 천궁추출물, 상기 삼백초추출물, 상기 박하추출물, 상기 진피추출물, 상기 애엽추출물, 상기 소나무잎추출물은 5 : 0.1 : 0.1 : 0.1 : 0.2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2의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킹 소다, 소금, 구연산,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이며,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보습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입욕제 조성물은 염증, 통증, 가려움을 완화하며, 부종을 가라앉힐 수 있으며, 오로를 배출하며, 산후통과 요통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피부가 맑고 좋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물에 녹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빨리 퍼져 짧은 시간 앉아있어도 효과를 증대시켜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베이킹소다, 소듐 클로라이드 소금, 쑥분말,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구연산,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 여과물, 소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베이킹 소다는 탄산수소 나트륨의 일종으로, 과탄산 소다, 중조로 지칭될 수 있다.
소듐 크롤라이드 소금은 백색의 결정성 고체 성분으로, 나트륨과 염소 성부늬 화합물이며 무기염 성분일 수 있다.
쑥분말 약쑥 추출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쑥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쑥을 건조시킨 후 분쇄한 것을 포함하며, 항염/소염 작용을 통해 염증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어성초추출물은 약모밀로도 지칭되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어성초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퀘르시트린 성분이 항균 및 소염작용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병풀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병풀에서 추출된 것을 말하며, 콜라겐 형성을 증가시켜 피부 재생, 탄력, 주름 개선 및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갖고 있다.
티트리추출물은 도금양목 도금양과의 상록교목인 티트리에서 추출된 것을 말하며, 염증을 치료하는 항균 효과, 항산화 및 여드름 진정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갖고 있다.
익모초추출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도해살이풀인 익모초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부종 완화, 혈액순환 촉진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구절초추출물은 국화과 산국속에 속하는 식물인 구절초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항균 항염 효과 및 냉증 개선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형개추출물은 명아주과의 일년초인 정가의 잎과 줄기를 말린 것을 지칭하며, 정가라고도 불리는 형개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해열, 지혈 작용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련초추출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물기 있는 땅에서 많이 자라는 한련초로터 추출된 것으로, 지혈에 있어 뛰어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당귀추출물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는 당귀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비타민 E가 풍부하며 어혈 제거, 혈액 순환에 뛰어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천궁추출물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천궁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삼백초추출물은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독특한 향을 가지는 삼백초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냉증 완화, 독소 배출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박하추출물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박하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진피추출물은 귤 껍질인 진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비타민 P라고 불리는 헤스페라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혈관 건강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애엽추출물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산쑥 등의 잎인 애엽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디쿠마롤 등 혈액 응고를 지연시키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구연산은 감귤류의 과일에서 주로 발견되는 약한 유기산으로, 화학식은 C6H8O7이며, 에너지 대사 개선, 일산화탄소 분해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은 김치, 우유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모든 젖산균을 총칭하는 락토바실러스로부터 생성되는 것으로, 피부미백, 피부면역력 증진, 염증 완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소나무잎추출물은 구과목 소나무과 식물의 잎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 항산화, 항암, 혈액순환 촉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킹 소다는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7.8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소듐 크롤라이드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쑥분말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어성초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병풀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티트리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약쑥 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2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익모초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구절초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형개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한련초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당귀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천궁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삼백초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박하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진피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애엽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구연산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소나무잎추출물은 입욕제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2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말이 어느 천연물의 추출물을 건조한 후 분쇄한 것인 경우,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각 천연물을 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1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시켜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수득된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수득된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수득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은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일 수 있고,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천연물의 추출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각 천연물의 추출물의 제조과정은 세척 및 건조 단계, 추출 단계, 혼합 단계, (선택적으로) 숙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및 건조 단계에서는 쑥, 어성초, 병풀, 티트리, 약쑥, 익모초, 구절초, 형개, 한련초, 당귀, 천궁, 삼백초, 박하, 진피, 애엽, 소나무잎 중 하나 이상을 준비하여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표면의 물기를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추출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 및 건조 단계에서 세척된 쑥, 어성초, 병풀, 티트리, 약쑥, 익모초, 구절초, 형개, 한련초, 당귀, 천궁, 삼백초, 박하, 진피, 애엽, 소나무잎 중 하나 이상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가하고, 70 내지 150℃의 온도에서 8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단계에서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제조된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숙성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5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입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나 부형제 또는 다른 효능을 가진 성분과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천연물의 분말 외 탄산염, 유기산, 계면활성제, 전분 및/또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염은 유기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며, 세정작용 등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소듐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소듐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포타슘바이카보네이트(potassium bicarbonate), 포타슘카보네이트(potassium carbonate), 마그네슘바이카보네이트(magnesium bicarbonate), 마그네슘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ammonium bicarbonate) 및 암모늄카보네이트(ammonium carbonate)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산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인체에 유해한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트릭산(구연산), 아스코르브산, 호박산, 말레이산, 사과산, 주석산, 옥살산 및 말론산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coco-betaine), 천연사과계면활성제(애플워시, 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 올리브계면활성제 및 코나코파(decyl glucoside)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분은 증량제, 점증제 등으로 기능하며, 상기 입욕제를 고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옥수수전분 등의 곡류 전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오일은 상기 성분들의 혼합성을 증가시키고, 피부 보습 효과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올리브엑스트라버진, 해바라기씨오일, 녹차씨오일, 달맞이오일, 아르간오일, 피톤치드향오일, 천연편백에센셜오일, 천연라벤더에센셜오일 및 시어버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색소, 향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색감을 발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백련초 분말, 치자황 분말, 치자청 분말, 페퍼민트 분말, 로즈 분말, 사과 분말 등의 천연재료의 분말 또는 식용 색소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향료는, 예를 들어, 라벤더향, 로즈마리향, 사과향, 파인애플향, 페퍼민트향, 레몬향, 라임향, 딸기향, 복숭아향, 로즈향 등의 향유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피부 개선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은, 예를 들어, 피부 보습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피로 회복, 각종의 질병 예방 등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 염증, 통증, 가려움을 완화하며, 부종을 가라앉힐 수 있으며, 오로를 배출하며, 산후통과 요통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피부가 맑고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물에 녹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빨리 퍼져 짧은 시간 앉아있어도 효과를 증대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혼합비를 벗어나는 경우, 독성이 유발되거나 피부 개선 효과, 예를 들어, 피부 보습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재생 효과 및/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입욕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욕제는 분말 형태, 고체 형태, 액상 형태, 거품 형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실험예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분말 혼합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쑥, 어성초, 병풀, 티트리, 약쑥, 익모초, 구절초, 형개, 한련초, 당귀, 천궁, 삼백초, 박하, 진피, 애엽, 소나무잎를 준비하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기로 수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건조는 천연물들의 본래 색상에서 크게 변하지 않되 쉽게 파쇄할 수 있을 정도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천연물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파쇄된 쑥5 중량%, 어성초 0.1 중량%, 병풀0.1 중량%, 티트리 0.1 중량%, 약쑥 0.2 중량%, 익모초 0.1 중량%, 구절초 0.1 중량%, 형개 0.1 중량%, 한련초 0.1 중량%, 당귀 0.1 중량%, 천궁 0.1 중량%, 삼백초 0.1 중량%, 박하 0.1 중량%, 진피 0.1 중량%, 애엽 0.1 중량%, 소나무잎 0.2 중량%와 베이킹 소다 57.8 중량%, 소듐 클로라이드 소금 5 중량%, 구연산 30 중량%,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 0.5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 혼합 조성물을 총 300g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 혼합 조성물을 그대로 분말 형태의 입욕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추출물 분말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쑥5 중량%, 어성초 0.1 중량%, 병풀0.1 중량%, 티트리 0.1 중량%, 약쑥 0.2 중량%, 익모초 0.1 중량%, 구절초 0.1 중량%, 형개 0.1 중량%, 한련초 0.1 중량%, 당귀 0.1 중량%, 천궁 0.1 중량%, 삼백초 0.1 중량%, 박하 0.1 중량%, 진피 0.1 중량%, 애엽 0.1 중량%, 소나무잎 0.2 중량%의 비율로 준비하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기로 수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준비된 각 천연물에 조성물의 총질량의 10배의 정제수를 가하고, 6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10℃에서 3일간 숙성시킨 후, 70℃의 열풍 하에서 건조시켜 추출물의 분말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분말 조성물에 베이킹소다57.8 중량%, 소듐 클로라이드 소금 5 중량%, 구연산 30 중량%,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 0.5 중량%를 추가한 결과를 그대로 분말 형태의 입욕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고체 형태의 입욕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천연물의 분말 혼합 조성물 20g에 소듐이카보네이트 100g, 옥수수전분 50g, 코코베타인 10g, 시트릭산 5g, 씨솔트 5g, 올리브엑스트라버진 4g, 해바라기씨오일 4g, 녹차씨오일 4g, 달맞이오일 4g, 아르간오일 4g, 아보카도오일 4g, 피톤치드향오일 4g, 천연편백에센셜오일 4g, 천연라벤더에센셜오일 4g, 시어버터 10g을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입욕제 조성물 반죽을 성형용 틀에 넣고, 24시간 건조시켜 고체 형태의 입욕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신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분말 혼합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기존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과 더불어 펩타이드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서열번호 1 내지 3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들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분류번호 아미노산 서열
1 PE-01 GRKKKRHRRKKQK
2 PE-13 GRKRRRSRRHKQRS
3 PE-16 GRKKRKQRRQKRKSTQ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3의 신규 펩타이드들은 상기 펩타이드들의 기능적 동등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적 동등물"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상기 신규 펩타이드 각각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펩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타이드는 상기 신규 펩타이드 각각에서 1개 이상의 아미노산, 2개 이상의 아미노산, 3개 이상의 아미노산, 4개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5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substitution)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은 상기 펩타이드의 구조적, 기능적 상동성으로 인한 콜라겐 형성을 촉진 및 증가 등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은 펩타이드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기질 특이성을 변경시키거나, 최적의 pH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3의 펩타이드들의 N 또는 C-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들은 상기 변형에 의해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안정성은 in vivo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보호기는 생체 내의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실시예 1을 통해 설명된 파쇄된 쑥5 중량%, 어성초 0.1 중량%, 병풀0.1 중량%, 티트리 0.1 중량%, 약쑥 0.2 중량%, 익모초 0.1 중량%, 구절초 0.1 중량%, 형개 0.1 중량%, 한련초 0.1 중량%, 당귀 0.1 중량%, 천궁 0.1 중량%, 삼백초 0.1 중량%, 박하 0.1 중량%, 진피 0.1 중량%, 애엽 0.1 중량%, 소나무잎 0.2 중량%와 베이킹 소다 57.5 중량%, 소듐 클로라이드 소금 5 중량%, 구연산 30 중량%,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 0.5 중량%, 서열번호 1 의 신규 펩타이드 분말 0.1 중량%, 서열번호 2 의 신규 펩타이드 분말 0.1 중량%, 서열번호 3 의 신규 펩타이드 분말 0.1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 혼합 조성물을 총 300g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 혼합 조성물을 그대로 분말 형태의 입욕제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신규 펩타이드들은 피부 재생, 항산화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비교예 1.
일반적으로 입욕제로도 사용되고 있는 씨솔트를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입욕제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수득된 입욕제들에 대하여 향, 보습력, 기분전환도,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각 항목의 측정 시험은 무작위로 추출한 남녀(20~50대) 각 2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들에게 본원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욕제들을 번갈아 사용하게 한 후 그 결과를 1점에서 5점까지 점수로 매기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1점: 매우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매우 좋음
보습력 기분전환도 기호도
실시예 1 4.6 4.7 4.7 4.8
실시예 1 4.2 4.4 4.5 4.5
실시예 1 4.7 4.8 4.8 4.8
비교예 1 3.0 3.7 3.7 3.5
실시예 1 내지 3의 입욕제의 경우, 전체적으로 쑥을 함유하여 향이 우수하고, 목욕 후 피부의 보습력이 개선되고, 개운한 느낌이 높게 평가되어,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반면, 비교예 1의 기존 입욕제의 경우, 향내나 보습력의 면에서 좋은 느낌을 많이 받을 수 없었고, 기호도가 보통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2. 항산화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말 형태의 입욕제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0.2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igma) 용액 1ml에 상기 실시예 1및 실시예 4에서 수득된 분말 형태의 입욕제 조성물을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 소거 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식물 추출물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분말 형태의 입욕제 조성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이 63%를 나타내었고, 실시예 1에 따른 분말 형태의 입욕제 조성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이 75%를 나타내어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쑥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티트리추출물, 약쑥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구절초추출물, 형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박하추출물, 진피추출물, 애엽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베이킹 소다, 소듐 클로라이드 소금, 구연산,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을 포함하고,
    상기 쑥추출물, 상기 어성초추출물, 상기 병풀추출물, 상기 티트리추출물, 상기 약쑥추출물, 상기 익모초추출물, 상기 구절초추출물, 상기 형개추출물, 상기 한련초추출물, 상기 당귀추출물, 상기 천궁추출물, 상기 삼백초추출물, 상기 박하추출물, 상기 진피추출물, 상기 애엽추출물, 상기 소나무잎추출물, 상기 베이킹 소다, 상기 소듐 클로라이드 소금, 상기 구연산, 상기 락토바실러스발효용해여과물은 5 : 0.1 : 0.1 : 0.1 : 0.2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2: 57.8 : 5 : 30 : 0.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인 입욕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입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KR1020230025781A 2023-02-27 2023-02-27 입욕제 조성물 KR10252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781A KR102524795B1 (ko) 2023-02-27 2023-02-27 입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781A KR102524795B1 (ko) 2023-02-27 2023-02-27 입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795B1 true KR102524795B1 (ko) 2023-04-24

Family

ID=8614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781A KR102524795B1 (ko) 2023-02-27 2023-02-27 입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7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834A (ko) * 2014-09-26 2016-04-05 한솔생명과학(주) 생약 성분을 발효시킨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41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58240A (ko) * 2020-10-30 2022-05-09 (주)리윤바이오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조성물
KR20220068595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팜스킨 식물 분말로 구성된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20220079066A (ko) * 2020-12-04 2022-06-13 이나현 사용 방식에 따라 발포형 및 거품형으로 사용 가능한 입욕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834A (ko) * 2014-09-26 2016-04-05 한솔생명과학(주) 생약 성분을 발효시킨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41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58240A (ko) * 2020-10-30 2022-05-09 (주)리윤바이오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조성물
KR20220068595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팜스킨 식물 분말로 구성된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20220079066A (ko) * 2020-12-04 2022-06-13 이나현 사용 방식에 따라 발포형 및 거품형으로 사용 가능한 입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040B1 (ko) 클렌징 비누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44502A (ko) 한방재료 및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두피 또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2174260B1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활성, 항산화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촉진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US11337915B2 (en) Shampoo composition for improving scalp and hair conditions
JP2008094739A (ja) 肌のキメ改善剤並びに該キメ改善剤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KR20190104825A (ko) 소리쟁이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22960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78938B1 (ko) 질염 및 질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0788B1 (ko)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03155246A (ja) 刺激緩和組成物
KR102524795B1 (ko) 입욕제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2214282B1 (ko)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190061277A (ko) 탈모 방지 및 모발을 굵게 할 수 있는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