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282B1 -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4282B1 KR102214282B1 KR1020200105882A KR20200105882A KR102214282B1 KR 102214282 B1 KR102214282 B1 KR 102214282B1 KR 1020200105882 A KR1020200105882 A KR 1020200105882A KR 20200105882 A KR20200105882 A KR 20200105882A KR 102214282 B1 KR102214282 B1 KR 102214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scalp
- surfactant
- shampoo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ulfur as an exocyclic substituent, e.g. pyridinethi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두피 지루 피부염 원인균을 제거하여 두피 지루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저자극성의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직사광선, 미세먼지, 물리적 마찰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신체의 온도유지에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몸에서 나오는 노폐물과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들이 모발에 붙게 되며, 이러한 노폐물들이 두피에서 나오는 피지와 함께 엉키고 산화되어 균이 생성되며 이러한 노폐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모발을 세정하기 위해 샴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면 부족, 잦은 파마와 염색, 잘못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하여 두피와 모발의 기능이 손상되며, 두피 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중, 두피 지루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은 피지의 분비가 많은 부위에 발생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두피의 각질층 탈락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서 큰 덩어리로 떨어지는 것을 비듬이라고 칭하는데 이러한 비듬은 두피 지루 피부염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며, 피부에 상재하는 진균이 관여되어 있다.
비듬증의 원인균을 제거하고 두피의 노폐물 세척과 영양물 공급에 의해 두피의 상태를 개선하는 샴푸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 효과가 있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재료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식물성 분말 제조 단계; 상기 식물성 분말 중량의 10배 내지 100배의 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1 추출 단계;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매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 여과 단계; 상기 여과액을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는 상등액 분리 단계; 상기 상등액을 피리티온 아연, 박하유,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과 혼합하는 혼합액 형성 단계; 상기 혼합액을 상기 1차 가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 범위로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2 추출 단계;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제2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한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샴푸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는, 상기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향상된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후 조성물의 효과 균일도가 높은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저자극성의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추출액” 또는 “추출물 (extract)”은,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추출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식물의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종 이상의 식물성 재료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식물성 분말 제조 단계(S10); 상기 식물성 분말 중량의 10배 내지 100배의 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1 추출 단계(S20);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매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 여과 단계(S30); 상기 여과액을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는 상등액 분리 단계(S40); 상기 상등액을 피리티온 아연, 박하유,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과 혼합하는 혼합액 형성 단계(S50); 상기 혼합액을 상기 1차 가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 범위로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2 추출 단계(S60);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제2 여과 단계(S70); 및 상기 여과한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샴푸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80)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는 상기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된다.
식물성 분말 제조 단계(S10)에서 1종 이상의 식물성 재료는 어성초 잎, 둥굴레 뿌리 및 진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 및 분쇄하여 식물성 분말,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분쇄는 식물성 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말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밀, 그라인더, 커터, 믹서, 해머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식물성 재료는 어성초 잎, 둥굴레 뿌리 및 진피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성초 잎은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어성초의 이파리를 의미한다. 상기 어성초는 잎과 줄기에서 고기 비린내와 같은 냄새가 난다는 의미로 불려진 것이며, 그 밖에도 약모밀, 중약초, 즙채, 십약 등의 여러 이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성초 잎은 메틸노닐케톤, 미르첸, 라우린알데히드, 카프린알데히드, 및 카프린산을 포함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에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염증성 질환은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축농증, 기관지염, 치루, 탈홍, 악창,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어성초는 지구상에 있는 모든 식물 가운데서 항균 작용이 가장 강력한 식물 중의 하나로서, 항생제 중 하나인 설파민보다 수십 배 이상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성초 잎을 이용하여 제조된 샴푸 조성물은 높은 항균 작용을 나타냄에 따라, 대장균, 적리균, 파라티푸스균, 임균, 포도알균, 사상균, 백선균, 무좀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박테리아들을 정균 또는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성초 잎은 고혈압 및 해독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둥굴레는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옥죽이라는 이름의 약재로서 널리 사용된다. 상기 둥굴레는 한국과 일본, 중국에 주로 분포하며 봄철에 채취하여 잎 또는 뿌리줄기를 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둥굴레의 뿌리는 사포닌, 콘발라린(convallarin), 콘발라마린(convallamarin), 및 비타민 A를 포함하며, 상기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물질대사를 촉진하고 독소를 배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둥굴레의 뿌리는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 등에 사용 시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분말 중, 진피는 산초과 식물인 귤 나무(Citrus aurantium L. subsp. nobilis Makino)의 익은 열매 껍질을 말린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진피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피는 폐경, 비경에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피는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습사를 없애며 가래를 삭일 수 있으며, 또한 위액 분비 촉진 작용, 소화 작용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1 추출 단계(S20)가 수행된다. 제1 추출 단계(S20)는 식물성 분말 중량의 10 배 내지 500 배의 용매를 가하고 1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상기 식물성 분말의 유효성분을 추출해낼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메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 가열은 약 60℃ 내지 약 1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1차 가열 온도가 약 60℃ 미만일 경우 상기 식물성 분말에 포함된 약리 성분이 용매에 녹아나오지 못할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할 경우 추출된 약리 성분 외 기타 유해 성분까지 추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1차 가열은 약 60℃ 내지 약 100℃, 구체적으로는 약 80℃ 내지 약 1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 추출 단계에서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매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 여과 단계(S30)가 수행된다. 제1 여과 단계(S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2 여과 단계(S7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여과 단계(S30)에서 수득된 여과액을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는 상등액 분리 단계(S40)가 이어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득된 여과액을 상온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10시간 동안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할 수 있다. 침전 과정에서, 제1 여과 단계에서 여과되지 않은 액상 불순물 등이 아랫층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분리된 상등액에 액상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액 형성 단계(S50)를 수행한다. 액상 조성물은 피리티온 아연, 박하유,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한다.
액상 조성물에서 점증제는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된다. 최종 제조된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의 침전물이 생길 경우, 윗쪽 조성물에는 효과가 없으며, 점증제가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 흔들어서 혼합시키기가 어려워 진다. 반대로, 점증제가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샴푸 조성물 전체의 점도가 낮아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액상 조성물에서 점증제가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된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가볍게 흔들기만 해도 전체 조성물에서 균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액상 조성물에서 점증제는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4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 후 조성물의 효과 균일도가 높다.
점증제는 예를 들어, 글루카메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폴리쿼터늄, 쟁탄검, 하이셀 및 구아 하이드록시 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점증제는 글루카메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폴리쿼터늄, 쟁탄검, 하이셀 및 구아 하이드록시 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또는 3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성 조성물은 3종의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는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점증제가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의 흐름도가 높아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4급 암모늄 또는 베헨아미도프로필디메칠아민 및 스테아라미도프로필디메칠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3급 아민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C10-C20 올레핀설폰산나트륨,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베타인, 코코-베타인, 미리스틸베타인, 코코디메틸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메틸카복시메틸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코-하이드록시설테인, 코코-설테인, 에루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및 라우릴설테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코카마이드디이에이, 코카마이드엠이에이 및 라우릴산디이에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1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2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점증제와의 상기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조성물은 3종의 계면활성제 및 3종의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3종의 계면활성제 중 하나는 코카마이드디이에이이고, 3종의 점증제 중 하나는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계면활성제와 점증제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4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가 4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기포 및 기포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7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하거나 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계면활성제는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상 조성물은 피리티온 아연을 포함한다. 피리티온 아연(zinc pyrithione)은, 진균 세포막의 탈분극과 관련되어 세포막수송을 방해함으로써 항진균 작용을 할 수 있으며, 두피 지루 피부염 부위에 과다하게 증식된 지루 피부염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롬 오발레(Plasmodium ovale, P.ovale)을 정상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피 각질 세포의 턴오버를 감소시켜 표피가 과다하게 인설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피리티온 아연은 피부 내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안전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두피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비듬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리티온 아연은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피리티온 아연의 함량이 약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피리티온 아연 첨가에 의한 약리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에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피리티온 아연의 함량은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조성물은 박하유를 포함한다. 상기 박하유는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인 박하의 줄기와 잎을 건조시켜 이에 함유된 정유를 증류로 분리한 담황색의 액체로서, 상기 정유를 4℃ 이하로 냉각할 때 발생하는 유리 멘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백색결정인 박하뇌를 제거하고 정제한 것으로 탈뇌유라고도 불리운다.
박하유는 멘톨 등의 알코올계와 멘톤 등의 케톤계, 1,8-시네올 등의 옥사이드계를 구성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구성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컨디셔닝 및 청량감을 부여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고, 피부에 유해한 물질의 활성을 잃게하고 제거함으로써 문제성 피부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하유는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박하유의 함량이 약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의 컨디셔닝 및 청량감 부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조성물은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는 욕실 등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메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존제는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보존제가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조성물은 전분계 젤(g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분은 찹쌀, 멥쌀, 밀, 왕겨, 옥수수, 감자, 고구마, 수수, 타피오카, 야자, 쉘락(shellac), 아밀로오스 전분, 및 이들의 변성 전분, 즉 산화 전분, 산처리 전분,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전분, 가교 전분, 하이드록시알킬 전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분계 젤은 상기 α-헬릭스 구조(α-helix structure)의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전 분과, 가지 구조(branched structure)의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은 전분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팽윤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 전분을 물과 함께 가열하면 상기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이 수소 결합에 의해 마이셀(micelle)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더 가열할 경우 상기 마이셀 구조가 느슨해져 느슨해진 구조 사이로 물이 침투하여 팽윤됨으로써 점도가 상승해, 젤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은 찹쌀 전분을 아밀로오스 전분과 함께 혼합한 뒤 이를 물과 함께 가열하여 형성된 젤 형태의 전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전분계 젤은 젤 형태를 나타냄으로써 수분을 유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그에 따라 샴푸 조성물에 이용할 경우 두피 피부의 수분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각질 발생을 완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분계 젤은 생적합성 재료로서 두피의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비타민 함량을 가져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분계 젤은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분계 젤이 약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수분유지 및 항노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약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분계 젤은 상기 액상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조성물은 실크 펩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크 펩타이드는 세린, 알라닌, 티로신, 글리신, 시스테인, 트레오닌,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 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크 펩타이드는 알라닌-알라닌-트레오닌이 수 차례 내지 수십차례 반복된 형태일 수 있다.
실크 펩타이드는 구입처로부터 직접 구입하거나, 실크 피브로인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거나, 또는 염산가수분해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크 펩타이드는 견 단백질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여 실크 피브로인을 제조하고 상기 실크 피브로인을 에탄올과 염용액으로 용해시켜 중성염 용해물을 제조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견 단백질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여 제조된 실크 펩타이드는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크 펩타이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등이 전체 단백질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특이한 아미노산 조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면역 조절 기능, 항노화 작용, 항균 작용, 항혈전 작용, 지질산화억제 작용, 미네랄 결합 활성 등의 생리활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크 펩타이드가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서술한 약리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조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크 펩타이드는 약 0.1 중량부 이상, 약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크 펩타이드는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 약 0.1 내지 약 2 중량부, 약 0.1 내지 약 1 중량부, 약 0.5 내지 약 3 중량부, 약 0.5 내지 약 2 중량부, 약 0.5 내지 약 1 중량부,약 1 내지 약 3 중량부, 또는 약 1.5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조성물은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kaffir lime leaf extract)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두피의 보습을 유지하고 진정 효과를 주면서도, 두피에 침착된 오염물질 및 각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카피르 라임 (kaffir lime)은 라임의 일종인 귤 속 식물로,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및 태평양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카피르 라임의 잎과 껍질의 풍미는 매우 강하며, 특히 카피르 라임의 잎에는 질소를 함유하는 염기성 유기화합물인 알칼로이드(alkaloid), 리모넨(limonene), 독특한 향을 갖는 시트로넬롤(citronellol), 네롤(nerol), 및 기타 유기 화합물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상기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에는 항염증 및 항산화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두피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는 데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을 국소적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 감염과 박테리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쾌한 향을 지니므로 신경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은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이 약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약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특유의 향이 두드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은 상기 액상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조성물은 보존제, 전분계 젤, 실크 펩타이드 및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로서 피리티온 아연, 박하유, 계면활성제, 점증제, 보존제, 전분계 젤, 실크 펩타이드 및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을 모두 포함함에 따라 높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두피 지루 피부염 원인균을 제거하여 두피 지루 피부염 효과를 개선함과 동시에 저자극성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료 또는 색소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혼합액을 1차 가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 범위로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2 추출 단계(S60)를 수행한다. 2차 온도를 상기 1차 가열 온도보다 더 높게 함으로써 상기 1차 가열에서 미처 추출되지 않은 약리 성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불필요한 성분을 증기로 배출시켜 높은 순도의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차 가열 온도는 약 80℃ 내지 약 200℃, 약 80℃ 내지 약 180℃, 약 80℃ 내지 약 150℃, 약 80℃ 내지 약 120℃, 약 120℃ 내지 약 200℃, 약 120℃ 내지 약 150℃, 또는 약 15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제2 여과 단계(S70)가 이어서 수행된다. 제1 여과 단계(S30) 및 제2 여과 단계(S70) 중 적어도 하나는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솝베리 추출물에 약 1시간 정도 침지시킨 후 꺼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여과단계에서 솝베리 추출물의 항균, 노폐물 제거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조된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의 세척력 상승 효과가 있으며, 보존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
제1 여과 단계(S30) 및 제2 여과 단계(S7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기공 사이즈를 갖는 제1 필터를 이용한 제1 서브 단계; 및 제1 기공 사이즈보다 작은 제2 기공 사이즈를 갖는 제2 필터를 이용한 제2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제1 필터가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필터인 것일 수 있다. 제1 필터는 예를 들어, 솝베리 추출물에 약 30분에서 약 1시간 정도 침지시킨 후 꺼낸 필터일 수 있다.
제1 여과 단계(S30) 및 제2 여과 단계(S70) 중 적어도 하나는 약 120 메쉬(mesh)의 필터를 이용하여 큰 크기의 불순물을 먼저 여과한 뒤, 약 100㎛ 이하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 및 유해균들을 여과할 수 있으며, 약 120 메쉬의 필터는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후 꺼낸 필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여과 단계에서 항균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추가의 노폐물 제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세척력 상승 효과 및 보존기간 증가의 효과도 있다.
제2 여과 단계(S70)에서 여과한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샴푸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S80)를 이어서 수행한다. 감압 농축 방법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을 제한없이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추가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식물성 재료로 어성초 잎, 둥굴레 뿌리, 및 진피를 건조한 뒤 볼밀을 이용하여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식물성 재료 100 중량부 대비 100 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85℃로 8 시간 동안 1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0 메쉬 필터와 80 μm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여과하고, 이를 상온에서 8 시간 동안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을 하기 표 1의 액상 조성물과 혼합하였다. 이때, 분리된 상등액은 상기 혼합되는 액상 조성물의 중량과 동일하게 하였다. 액상 조성물과 혼합 후, 이를 145℃에서 10 시간 동안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필터와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이를 감압 농축하여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혼합된 액상 조성물의 구성성분에 따라, 제조된 샴푸 조성물을 각각 실시예 1,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2차 가열 후,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120 메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80 ㎛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에서 계면활성제와 점증제의 비율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비교예 1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2에서 계면활성제와 점증제의 비율을 다르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피리티온 아연 | 2.00 | 2.00 | 2.00 | 2.00 | 2.00 |
보존제(파라옥시벤조산메틸) | 0.30 | 0.30 | 0.30 | 0.30 | 0.30 |
디나트륨코카미도엠아이피에이설포숙시네이트 | 1.75 | 1.75 | 1.75 | 1.75 | 1.75 |
박하유 | 6.00 | 6.00 | 6.00 | 6.00 | 6.00 |
시트르산수화물 | 0.50 | 0.50 | 0.50 | 0.50 | 0.50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조합 향료(Fancy Jasmine Th-5904190) | 0.50 | 0.50 | 0.50 | 0.50 | 0.50 |
계면활성제(코카마이드디이에이) | 23.00 | 25.00 | 25.00 | 25.00 | 25.00 |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 산나트륨) |
15.00 | 20.00 | 20.00 | 18.00 | 18.00 |
계면활성제(C14-C16 올레핀설폰산나트륨) | 12.00 | 15.00 | 15.00 | 15.00 | 15.00 |
점증제(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 0.15 | 0.15 | 0.15 | 0.20 | 0.20 |
점증제(소듐 클로라이드) | 0.1 | 0.1 | 0.1 | 0.15 | 0.15 |
점증제(폴리쿼터늄-10) | 0.1 | 0.1 | 0.1 | 0.15 | 0.15 |
타르 색소(청색 1호) | 0.10 | 0.10 | 0.10 | 0.10 | 0.10 |
전분계 젤(아밀로오스 전분, 찹쌀 전분) | 3.00 | 3.00 | 3.00 | 3.00 | 3.00 |
실크 펩타이드 | 2.00 | 2.00 | 2.00 | 2.00 | 2.00 |
카피르 라임 잎 추출액 | - | 1.50 | 1.50 | - | 1.50 |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 부어 약 10시간 방치한 후 플라스틱 용기를 가볍게 1-2회 정도 흔들어 준 후에 조성물 상층부만 수득하여 두피 지루 피부염의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롬 오발레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상기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롬 오발레를 BHI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혐기 배양함으로써 시험 균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험 균액 0.15 ml에 LB broth 배지 15 ml와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96-well 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샴푸 조성물을 각각 분주하고 상기 제조된 희석 용액을 총량으로 200μm씩 넣어 섞어주었다. 섞은 혼합액은 이중 희석을 통해 희석하여 상기 96-well 플레이트에 다시 분주하였다.
분주 후 35℃에서 1일 내지 2일 배양한 후, 용액의 현탁된 정도로 원인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으로 결정하였다. 만약 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MIC는 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항목 | pH | MIC(ppm) |
실시예 1 | 5.6 | > 58 ppm |
실시예 2 | 5.6 | > 50 ppm |
실시예 3 | 5.6 | > 47 ppm |
비교예 1 | 5.6 | > 120 ppm |
비교예 2 | 5.6 | > 112 ppm |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액상 조성물에서 점증제가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의 함량을 만족하여 포함되는 실시예 1 내지 3은 가볍게 흔들어 준 후 전체가 잘 섞여 조성물 상층부에서도 낮은 ppm 농도를 보여 원인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는 반면, 점증제가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비교예 1 및 2는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후의 조성물 상층부는 잘 섞이지 않고 항균 효과도 떨어짐을 알 수 있다.또한,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더욱 낮은 ppm 농도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필터를 이용한 여과 단계를 거쳐 항균력이 추가 부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각각에 10 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시료들을 제조하고, 각각의 시료들에 대해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라디칼 소거능은 Pellegri 등(1998)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ABTS 7.0 mM과 포타슘 퍼설페이트 2.0 mM을 같은 비율로 섞어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730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 ± 0.02가 되도록 1×PBS로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200 μL에 각각의 시료 10 μL를 가하여 60 분간 정치한 후 7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
실시예 1 | 72.36 |
실시예 2 | 76.90 |
비교예 1 | 53.80 |
비교예 2 | 54.28 |
상기 표 3의 결과에서도, 비교예 1 및 2는 일정시간 이상 방치한 후 조성물 상층부의 효과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2는 일정시간 이상 방치한 후에 가볍게 흔들어 주면 상층부에서도 효과가 나타나며 조성물 전체의 효과 균일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3에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수치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0: 식물성 분말 제조 단계
S20: 제1 추출 단계
S30: 제1 여과 단계
S40: 상등액 분리 단계
S50: 혼합액 형성 단계
S60: 제2 추출 단계
S70: 제2 여과 단계
S80: 샴푸 조성물 수득 단계
S20: 제1 추출 단계
S30: 제1 여과 단계
S40: 상등액 분리 단계
S50: 혼합액 형성 단계
S60: 제2 추출 단계
S70: 제2 여과 단계
S80: 샴푸 조성물 수득 단계
Claims (3)
1종 이상의 식물성 재료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식물성 분말 제조 단계;
상기 식물성 분말 중량의 10배 내지 100배의 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1 추출 단계;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매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 여과 단계;
상기 여과액을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는 상등액 분리 단계;
상기 상등액을 피리티온 아연, 박하유,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과 혼합하는 혼합액 형성 단계;
상기 혼합액을 상기 1차 가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 범위로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2 추출 단계;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제2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한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샴푸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는,
상기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상기 제1 여과 단계 및 상기 제2 여과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상기 식물성 분말 중량의 10배 내지 100배의 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1 추출 단계;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매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 여과 단계;
상기 여과액을 침전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는 상등액 분리 단계;
상기 상등액을 피리티온 아연, 박하유,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과 혼합하는 혼합액 형성 단계;
상기 혼합액을 상기 1차 가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 범위로 2차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제2 추출 단계;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제2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한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샴푸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는,
상기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상기 제1 여과 단계 및 상기 제2 여과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솝베리 추출물에 침지시킨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1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2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상기 계면활성제는 1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2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916 | 2020-07-28 | ||
KR20200093916 | 2020-07-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4282B1 true KR102214282B1 (ko) | 2021-02-10 |
Family
ID=7456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882A KR102214282B1 (ko) | 2020-07-28 | 2020-08-24 |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42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8677A (ko) * | 2021-02-19 | 2022-08-26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1622A (ja) * | 2004-03-18 | 2005-09-29 | Mitsui Chemicals Inc | 抗菌性吸収物品 |
KR20090010332A (ko) * | 2007-07-23 | 2009-01-3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한방 항균 코팅제 및 그 항균 코팅제로 코팅된 한방 항균필터 |
KR20140072680A (ko) | 2012-12-05 | 2014-06-13 |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 두피와 모발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한 천연 샴푸바 및 그 제조방법 |
KR20140139930A (ko) * | 2013-05-28 | 2014-12-08 | 황금산 주식회사 |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 |
KR20180056882A (ko) | 2016-11-21 | 2018-05-30 | (주)원일바이오 | 탈모방지를 위한 헤어토닉 조성물 |
KR102107071B1 (ko) * | 2020-03-09 | 2020-05-06 | 이재환 |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
-
2020
- 2020-08-24 KR KR1020200105882A patent/KR1022142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1622A (ja) * | 2004-03-18 | 2005-09-29 | Mitsui Chemicals Inc | 抗菌性吸収物品 |
KR20090010332A (ko) * | 2007-07-23 | 2009-01-3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한방 항균 코팅제 및 그 항균 코팅제로 코팅된 한방 항균필터 |
KR20140072680A (ko) | 2012-12-05 | 2014-06-13 |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 두피와 모발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한 천연 샴푸바 및 그 제조방법 |
KR20140139930A (ko) * | 2013-05-28 | 2014-12-08 | 황금산 주식회사 |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 |
KR20180056882A (ko) | 2016-11-21 | 2018-05-30 | (주)원일바이오 | 탈모방지를 위한 헤어토닉 조성물 |
KR102107071B1 (ko) * | 2020-03-09 | 2020-05-06 | 이재환 |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8677A (ko) * | 2021-02-19 | 2022-08-26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42409B1 (ko) | 2021-02-19 | 2023-06-12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8945B1 (ko) |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 |
KR102533052B1 (ko) | 한방 샴푸 조성물 | |
KR20140060882A (ko) |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041514A (ko) |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74778B1 (ko) |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2518446B1 (ko) | 천연 원료 기반의 남성 청결제 | |
CN105267092A (zh) | 一种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20130030032A (ko) |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07071B1 (ko) |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 |
KR20110110995A (ko) |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 |
KR20200018879A (ko) |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80412B1 (ko) |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억제용 샴푸 | |
KR102214282B1 (ko) |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 |
KR100962344B1 (ko) |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23651B1 (ko)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117652A (ko) | 혼합추출물을 활용한 아토피, 여드름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804993B1 (ko) | 작약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비누 제조법 | |
KR20190025863A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11001326A (ja) |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 | |
KR100727855B1 (ko) |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138245A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230081341A (ko) |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 |
KR20230081343A (ko) |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 |
KR101243530B1 (ko) |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 |
CN112057389A (zh) | 一种除螨茶麸沐浴露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