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343A -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343A
KR20230081343A KR1020210169311A KR20210169311A KR20230081343A KR 20230081343 A KR20230081343 A KR 20230081343A KR 1020210169311 A KR1020210169311 A KR 1020210169311A KR 20210169311 A KR20210169311 A KR 20210169311A KR 20230081343 A KR20230081343 A KR 2023008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scalp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원
Original Assignee
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원 filed Critical 한지원
Priority to KR102021016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343A/ko
Publication of KR2023008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피리치온; 판테놀;및 살리실산, 니코틴아마이드 및 백자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천연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천연물은 쇠비름 추출물, 소엽잎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창포 뿌리 추출물, 인디안구스베리열매 추출물, 하수오 뿌리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퉁퉁마디 추출물, 쌀겨수, 창포뿌리 줄기수 및 은행잎수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고 천연물을 당침액으로 제조한 후 이를 알코올 발효 및 초산 발효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은 인공 합성된 화학성분에 따른 두피나 모발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두피질환, 모발손상 및 탈모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친환경 가공기술인 발효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화학성분의 사용을 줄여 친환경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Hair and scal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fermented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의 천연물 발효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질환이나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모발은 약 10~15 만개 정도로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거쳐 성장·퇴화를 반복한다.
모발은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 과정이 느려지는 퇴행기(catagen) 및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이 차츰 위축되어 모근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모낭이 작아지는 휴지기(telogen)의 3단계의 주기를 반복하는데, 이와 같은 모발의 주기 및 수명은 영양 상태, 병력, 유전, 체질, 호르몬 분비 또는 노화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머리카락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정상보다 적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탈모증은 모발이 휴지기 상태에서 빠지는 일반적인 탈모 현상(휴지기 탈모, telogen effluvium)과 비정상적인 탈모 현상인 성장기 탈모 현상(anagen effluvium)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후자를 일컫는다.
즉,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탈모되는 모발의 개수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고 생성되는 머리카락의 개수보다 빠지는 머리카락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탈모증에 이르게 되며, 이러한 탈모증의 원인으로는 유전에 의한 선천적인영향과 스트레스, 과로, 환경오염, 약물 등의 부작용에 의한 후천적인 영향이 있는데, 현재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함께 선천적인 영향보다는 후천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고 후천적 요인 중 두피의 영양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어 있다.
탈모의 원인을 좀 더 살펴보면, 모근, 피지선 등의 기관에서 남성 호르몬의 작용설, 모포에의 혈류량의 저하,피지 분비 과잉, 과산화물의 생성, 세균의 번식 등에 의한 두피 이상설, 유전적 요인, 노화 등이 거론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최근 들어 지구환경의 오염이 증가함에따라 탈모증으로 고민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고 그 연령층도 낮아지고 있다.
또한, 탈모증 치료법에 관해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약물이나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종래의 경험을 바탕하여 두부에 브러시 등으로 물리적 자극을 가하거나 또는 상기의 원인을 제거, 경감하는 작용을 지닌 화합물을배합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탈모증 치료를 위하여 호르몬설과 관련하여 여성 호르몬을 주재료로 하는 제제가 있었으나 효과가 확인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부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서 현재는 사용이중단되어 있고, 최근의 발모제로는 미국 업존사(Upjhon Co.)의 미녹시딜(minoxidil), 이탈리아 크리노스사(Crinos, Co.)의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발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의 부재 및 인체 안정성 등의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화학약품에 의한 탈모치료의 부작용을 방지하고자 최근에는 천연재료, 예를 들어 천연물 또는 야생초로부터 탈모치료에 효과적인 성분을 추출하여 모발제품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지기에서 성장기 모발주기로의 유도를 촉진하고 성장기 모발주기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하여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연피리치온; 판테놀; 및 살리실산, 니코틴아마이드및 백자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연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물는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엽잎 100중량부; 어성초 10 내지 300중량부; 삼백초 20 내지 500중량부; 금은화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천연물는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창포 10 내지 100중량부; 인디안구스베리열매 10내지 100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100중량부; 퉁퉁마디 10 내지 100중량부; 쌀겨수 10 내지 100중량부; 창포뿌리 줄기수 10 내지 100중량부; 및 은행잎수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및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로 이루어진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식물 재료를 당침 후 발효시켜 제조되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또한, 당침 후 알코올 발효 및 초산 발효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천연물에 함유된 모발 유효성분이 더욱 유용한 성분으로 전환되므로 탈모현상 감소와 모발의 생장촉진이 배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연피리치온; 판테놀; 및 살리실산, 니코틴아마이드 및 백자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천연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천연물는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엉겅퀴 꽃 100중량부, 어성초 10 내지 300중량부; 삼백초 20 내지 500중량부; 금은화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고 천연물를 당침액으로 제조한 후 이를 알코올 발효 및 초산 발효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은 항균제의 일종으로 비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진균효과를 가지는 성분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비듬과 두피 가려움증을 해소해 주는 샴푸, 린스 및 컨디셔너 뿐만 아니라 크림이나 젤 등의 대부분의 제품에 이 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연피리치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연피리치온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판테놀은 디-판테놀과 디엘-판테놀 모두 가능하다.
판테놀은 판토테닉산의 다른 명칭으로서 체내에 흡수 후 비타민으로 전환되는 프로비타민 B5를 일컫는다. 화장품에서는 주로 습윤제, 연화제 및 보습제의 용도로 사용되며, 염증 및 가려움을 방지하고 모발을 부드럽게 하며 모발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판테놀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테놀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살리실산은 예전부터 피부와 관련된 여러 질환들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약물로서 여드름, 비듬, 백반증, 각질,사마귀 및 티눈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살리실산은 항염 작용을 가지고 있어 해열, 진통제인 아스피린(아세틸 살리실산)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살리실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리실산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니코틴아마이드는 니아신아마이드라고도 불리며 비타민 B3를 말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생체 내에서 단백질대사와 관련된 효소반응의 보조효소로 작용한다. 또한 혈관을 확장시키는 능력이 있어 말초 혈류확대를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니코틴아마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코틴아마이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물은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엽잎 10 내지 100중량부; 어성초 10 내지 300중량부; 삼백초 20 내지 500중량부; 금은화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은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생명력이 강해서 뿌리째 뽑혀도 오랫동안 살 수 있다. 그만큼 번식이 왕성해서 농사에 큰 피해를 주어 해로운 잡초로 간주되기도 한다. 잎을 나물이나 샐러드로 만들어 먹기도 하고, 생약으로는 전초를 쓰며 마치현(馬齒)이라 한다. 마치현으로 스킨로션 등 피부영양제를 만들기도 한다고 한다. 옥살산 칼슘과 같은 다량의 무기염과 도파민 등을 함유하여 한국과 중국에서는 해독, 이뇨약으로 쓰며, 서양에서는 건위, 천식, 방광염에 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엽잎(Perilla Frutescens leaf)”은 소엽(Perilla frutescens)의 잎으로,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중국 원산으로, 한국에서 주로 섭취하는 들깨의 잎인 깻잎과는 다른 식물이다. 차조기라고도 부른다. 자극완화, 진정에 효능에 효과적인 원료로, 아토피, 건선, 여드름 등과 같은 문제성 피부 적용에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성초 (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의 식물로, 약모밀이라고도 하고 옛날 말로는 '즙채'라고도 한다. 어성초(魚腥草)란 이름은 '물고기 비린내 풀'이란 뜻이다. 약모밀이란 이름은 잎 모양이 메밀과 닮았는데 약초로 많이 쓰인다고 붙었다. 본래 한의학에서의 용도는 주로 피부나 비뇨기, 호흡기 등의 염증질환에 응용하는, 일종의 소염제로 사용되었다. 실제로 유효성분에도 향균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약재로는 지상부만 쓸 뿐 뿌리는 캐지 않고, 꽃이 달리는 여름에 채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키는 50-100cm이며 근경은 흰색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가로로 기며, 잎은 심장 모양이나 달걀꼴 심장 모양인데, 꽃차례에 붙은 잎 표면의 하반부는 색깔이 희다. 여러 개의 이삭 모양인 흰꽃이 피며, 6-7개의 수술이 있다. 암술은 3-5개의 이생 심피로 이루어져 있다. 한의학에서는 해독(解毒)하여서 피부에 발생된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는 효능, 거담 효능, 열기를 식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이를 통해 열기를 빼내는 청열이수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인동과의 인동덩굴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를 말하는 것으로, 인동이란 이름은 덩굴이 살아서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생겼으며 금은화란 이름은 처음 피는 꽃이 흰색이지만 차차 노랗게 변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금은화는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생김새는 작은 막대나 깔때기 모양을 한 꽃봉오리와 흔히 입술모양의 꽃이 섞여 있는 것으로 바깥 면은 황백색 또는 녹백색이고 오래 저장한 것일수록 색은 진하다. 확대경으로 보면 엷은 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은 녹색으로 끝이 5개로 갈라져 있고 갈라진 조각은 털이 있으며 길이가 약 2㎜이다. 수술은 5개로 황색이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에는 털이 없다.
금은화는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있을 때 사용하며 염증에 좋아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독, 장기의 염증, 농의 배출 등에 사용한다. 또한 이질, 열독으로 인한 피부 조직 괴사, 유선염 등에 사용한다.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후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결막염 및 부스럼,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인한 고열, 화농성 감염증 등에도 응용한다. 약리작용은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해열작용, 백혈구 탐식작용 증가, 중추신경 흥분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궤양 예방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탈모 개선 효과와 관련하여 충분한 연구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창포 뿌리(Acorus Calamus Root) 추출물”은 창포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서, 창포(Acorus calamus)는 습지가 많은 곳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거담, 건위 진경 효과로 인해 한방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단옷날 창포를 끓여 머리를 감고 목욕하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는 약용식물로서 뿌리는 소화불향, 설사, 기관지염 등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포는 항산화, 항염효과, 미백, 두피 정화 및 세정 효능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세서 상기 “창포 뿌리줄기수(Acorus Calamus Rhizome Water)”는 창포의 뿌리줄기(Rhizome)으로부터 수득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는 인도, 중동 그리고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인도의 구스베리는 아유르베딕 의학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디안구스베리는 높은 콜레스테롤, 비정상적인 콜레스테롤 수치 또는 혈중 지방, 그리고 지속적인 속쓰림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설사, 메스꺼움, 암에도 사용되지만, 대부분 민간 요법적인 처방에 불과하고, 이를 탈모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한 예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는 중국이 원산지인 약초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하수오의 효능은 종기, 불면증 등 간과 신장을 보하고 머리를 검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식물이다. 한대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유럽 이외에도 북미, 동북아시아에서도 서식한다. 한국에서도 전라북도와 경기도, 평안도, 함경도 해안에서 난다. 맛이 짜다고 하여 짤 함(鹹)자를 써서 함초(鹹草)라는 이름도 많이 사용한다. 꽃은 8~9월에 피며, 잘 자라면 35cm까지 자란다고 한다. 원래 녹색이었다가 가을이 되면 붉게 물드는데, 초가을에 핑크색이 되었다가 늦가을이 되면 적갈색으로 변해간다. 한의학적으로는 두통에 사용한 예가 존재하나, 이를 탈모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한 연구 결과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은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창포 10 내지 100중량부; 인디안구스베리열매 10 내지 100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100중량부; 퉁퉁마디 10 내지 100중량부; 쌀겨수 10 내지 100중량부; 창포뿌리 줄기수 10 내지 100중량부; 및 은행잎수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로도수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등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균주들 중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하여 천연물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로 이루어진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시키는 것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등일 수 있으나, 본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체나 환경에 치명적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에속하는 다양한 종의 균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물 발효물의 자세한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엽잎 10 내지 100중량부; 어성초 10 내지 300중량부; 삼백초 20 내지 500중량부; 금은화 10 내지 300중량부;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물를 준비한다(단계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은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물은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창포 10 내지 100중량부; 인디안구스베리열매 10 내지 100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100중량부; 퉁퉁마디 10 내지 100중량부; 쌀겨수 10 내지 100중량부; 창포뿌리 줄기수 10 내지 100중량부; 및 은행잎수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를 분쇄하여 천연물 분말을 제조한다(단계 b).
천연물의 분쇄는 이후 추출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분쇄할 수 있으며, 추출하는 물의 온도나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천연물 분말에 물를 가하여 천연물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천연물 추출액을 제조한다(단계 c).
상기 물은 상기 천연물 분말에 대하여 3 내지 7배 중량으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의 중량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30 내지 80℃의 온도인 물에 침지시켜 2 내지 30시간 동안 저온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천연물 추출액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가압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살균 처리 이후, 상기 천연물 추출액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여 천연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천연물 추출액에 배지를 주입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상기 천연물 추출액을 발효시켜 천연물 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제조한다(단계 d).
상기 발효 균주는 앞서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에서 성명한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균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로 이루어진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배지는 포도당, 설탕, 당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균주를 친환경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34 내지 40℃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8℃의 온도에서 6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발효 추출액 조성물에 30 내지 80℃의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추출된 발효 성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발효 성분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여 추출 후 남은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의 유효성분들은 발효를 통하여 두피에 용이하게 흡수되는 물질로 전환되나, 발효물 특유의 시큼한 냄새로 인하여 모발에 적용시 사용상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조성물에 피톤치드, 솔잎 향과 같은 방향성분이 함유된 소나무 추출액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나무에 함유된 향기성분은 그 자체로 모발을 건강하게 하는데에도 효능이있다.
소나무 추출액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솔잎과 소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절단하거나 파쇄하고 여기에 물을 가하여 밀봉상태에서 끓여서 소나무 열수추출물을 제조한다.
가열하는 동안 솔잎과 소나무 가지에 함유된 여러 성분이 물에 용출되며, 밀봉상태에서 가열하므로 용출 성분중 휘발성 성분이 기화되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소나무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소나무 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농축한 소나무 농축액을 상기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으나 상기 소나무 추출액을 80~90 ℃의 온도에서 증류하여 소나무 증류액을 얻어서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소나무 증류액의 증류 온도가 100 ℃ 미만의 낮은 온도이므로 소나무 증류액에는 물 함량이 적고 소나무의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이 높으며, 단순히 소나무 열수추출물을 농축한 소나무 농축물에 비하여 소나무의 향기가 강하고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은 맑고 투명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열수추출하는 동안에는 솔잎과 소나무 가지에 함유된 송진 또한 물속으로 유출되고 송진에는 정유(精油)성분인 테레빈유(turpentine)와 수지성분인 로진(ros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송진의 테레빈유는 증류과정에서 증발하여 소나무 증류액에 함유되나 로진성분은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물속에서 유리된 상태로 존재한다.
로진의 주성분은 아비에트산(abietic acid)으로서, 아비에트산은 남성탈모 기전의 중요한 효소인 5α-환원 효소(5α-reductase)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탈모억제에 효과적이며, 따라서 로진 중의 아비에트산을 회수하여 소나무 추출액(소나무 농축액, 소나무 증류액 포함)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나무 열수추출물을 여과한 고형물 중에서 솔잎과 소나무 가지를 제거한 후 이를 140~160 ℃로 가열하면녹는점이 135 ℃ 이하인 로진은 액화되고 녹는점이 170 ℃ 이상인 아비에트산은 고형물로 존재하므로 고액분리를 통하여 로진 중의 아비에트산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한 아비에트산을 미세 분쇄하여 아비에트산 분말을 얻은 다음 상기 소나무 추출액에 첨가하며, 아비에트산은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서 소나무 추출액의 향기 성분을 포착하므로 소나무의 향기성분을 두피 및 모발용조성물에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아비에트산을 미세하게 분쇄할수록 표면적이 커지므로 향기 성분의 포착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소나무 성분의 첨가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소나무 추출액, 소나무 농축액 또는 소나무 증류 액0.1~5.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조성물의 향기 증진과 모발건강 향상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은 상술한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천연물중 쇠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0 내지 400중량부; 알코올 500 내지 2000중량부; 컨디셔닝제 100 내지 200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1 내지 12중량부; 및 용제 800 내지 200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디셔닝제는 화장료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적용되는 모발이나 두피에 부드러움을 주는 성분이고, 용제는 화장료의 성분들을 고르게 용해시켜 섞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 1, 2-헥산디올, 부틸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료의 성분들을 고르게 용해시켜 섞일 수 있도록 하고, 인체에 유해에 하지 않는 것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물 속의 금속 이온이 다른 시약에 의해 침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액상 인체 세정제의 기포가 잘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EDTA)염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모발 및 두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쇠비름 100g, 소엽잎 100g, 어성초 75g, 삼백초 75g, 금은화 75g, 및 하수오 100g을 분쇄하여 천연물 분말을 제조한 후, 천연물 분말 중량의 5배의 50℃의 물을 준비하고 여기에 천연물 분말을 넣어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천연물 추출액은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120℃에서 15분간 가압 살균처리한 후, 찌꺼기를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였다. 찌꺼기가 제거된 천연물 추출액에 3%의 포도당 용액을 넣고,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1:1로 혼합한 복합 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발효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여 남은 부산물을 제거하여 모발 및 두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상기 천연물 분말에 숙지황 100g을 추가로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및 두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외용제 제조
상기 실시예 2에 창포 50g, 인디안구스베리열매 50g, 다시마 50g; 퉁퉁마디 50g, 쌀겨수 50g, 창포뿌리 줄기수 50g, 및 은행잎수 50g을 추가로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및 두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탈모 방지 효과 시험
초기 탈모 현상이 있는 피검자 30명을 대상으로 탈모 방지 효과에 관한 실험을 16주 동안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1일 1회씩 16주 동안 사용한 후, 16주가 경과한 다음 머리를 감을 때 다시 탈락모를 수집하여 개수를 세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탈락모개수평균(개)
실시예 1 63.57
실시예 2 52.33
실시예 3 47.63
상기 표 1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와 3의 조성물로 처리할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탈락모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모발 생장 효과 시험
모발 생장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생후 7주된 마우스(C57BL/6)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등 부위 피부가 깨끗한 것을 골라 물질군마다 10마리씩을 선정하여 매일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의 마우스 그룹 개체 당 150㎕씩 21일간 도포한 후 세정하였다. 23일 후에 새롭게 자라 올라온 털의 무게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모발무게 평균(mg)
실시예 1 42.80
실시예 2 53.24
실시예 3 55.95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3의 조성물이 휴지기 모발주기의 마우스에 작용하여 성장기 모발주기로의 이행을 촉진시킴으로써 실시예 1의 조성물 보다 더 뛰어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정제수, 알코올, 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천연 발효 추출물 및 소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발효 추출물은,
    쇠비름 추출물, 소엽잎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창포 뿌리 추출물, 인디안구스베리열매 추출물, 하수오 뿌리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퉁퉁마디 추출물, 쌀겨수, 창포뿌리 줄기수 및 은행잎수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발효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발효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혼합한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인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추출액은,
    솔잎, 소나무가지에서 열수추출된 소나무 추출액과;
    로진에서 추출된 고형성분의 아비에트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인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0210169311A 2021-11-30 2021-11-30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1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11A KR20230081343A (ko) 2021-11-30 2021-11-30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11A KR20230081343A (ko) 2021-11-30 2021-11-30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43A true KR20230081343A (ko) 2023-06-07

Family

ID=8676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311A KR20230081343A (ko) 2021-11-30 2021-11-30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3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US8668944B2 (en) Topical oil for treating physical ailments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the same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1817861B1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51814A (zh) 一种婴儿湿疹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JP2011168555A5 (ko)
JP2011168555A (ja) 鑑別方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81343A (ko)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CN112294708A (zh) 一种弱酸性洗发护发活性洗剂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1022B1 (ko)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