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788B1 -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788B1
KR101800788B1 KR1020170041639A KR20170041639A KR101800788B1 KR 101800788 B1 KR101800788 B1 KR 101800788B1 KR 1020170041639 A KR1020170041639 A KR 1020170041639A KR 20170041639 A KR20170041639 A KR 20170041639A KR 101800788 B1 KR101800788 B1 KR 10180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ineapple
hot water
kel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오
Original Assignee
박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오 filed Critical 박영오
Priority to KR102017004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788B1/ko
Priority to US16/491,596 priority patent/US20200009043A1/en
Priority to PCT/KR2018/003343 priority patent/WO20181822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수세미의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항균 및 항염 작용과, 피부 가려움증, 붉어짐 현상 등을 개선시켜 통증을 완화시켜 주고 보습 효과로 피부 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KELOID SCAR}
본 발명은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를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상처가 발생하게 되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흉터의 발생을 피할 수는 없고, 흉터의 발생 정도는 개개인의 피부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은 초기 상처의 정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흉터의 형성은 사람 피부에 있어 상처에 대한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이며, 이러한 흉터 조직은 일반적인 염증 과정에서 조밀한 섬유상 조직의 과다성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종종 정상적인 흉터를 남기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과도하게 흉터가 커질 수 있고, 이러한 흉터는 성장하면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불편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켈로이드(keloid)란 피부 손상 후 발생하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섬유조직이 밀집되게 성장하는 질환으로, 본래 상처나 염증 발생 부위의 크기를 넘어서 주변으로 자라는 성질을 갖고 있는데, 켈로이드는 상처 치유 과정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억제하는 기능에 장애가 일어나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켈로이드는 주로 흑인이나 피부색이 짙은 인종에게 주로 발생하며 유전적으로 소인이 있는 사람(전체 인구의 약 15% 정도)이 피부에 손상을 받은 후 발생하게 되는데, 켈로이드 피부는 미용적인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침범 범위가 넓어 안면이나 관절과 같이 중요한 부위에 발생할 경우에는 관절의 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켈로이드(또는 켈로이드 흉터)는 임상적으로 피부색, 저색소성, 또는 홍반성의 단단한 결절로 나타나고, 비대 흉터(hypertrophic scar)와는 달리 원래의 상처 부위를 넘어서 주변의 정상피부로 침윤해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켈로이드(또는 켈로이드 흉터)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으로는, 표피는 정상이며 진피는 증식되어 두껍고 혈관이 풍부하며, 일반적인 흉터 조직과 비교해서 염증세포의 침윤이 증가할 수 있고, 정상 진피의 콜라겐 다발은 이완되어 있고 배열이 흐트러져 있는데 반해, 켈로이드의 진피는 콜라겐 다발이 두껍고 풍부하다.
켈로이드의 가장 특징적인 조직학적 소견은 수많은 원섬유(fibril)로 이루어진 크고 넓고 밀접하게 배열된 콜라겐 섬유인데, 소용돌이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배열된 두꺼운 유리질화(hyalinized) 콜라겐을 켈로이드 콜라겐이라고 부른다.
콜라겐 이외에 중요한 세포외기질 중의 하나인 프로테오글리칸도 과량으로 침착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켈로이드를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중요한 소견으로는 유리질화된 콜라겐의 존재, 정상으로 보이는 표피와 유두진피 밑으로 파고드는 혀 모양의 콜라겐 다발의 침투, 상부 망상진피에 보이는 수평의 세포성 섬유성 띠, 현저한 근막 모양의 띠 등이 있다.
비대 흉터(hypertrophic scar)란, 환부에 콜라겐이 지나치게 쌓여서 보통 크기보다 커지면서 상처가 치휴되는 것을 말하며, 색깔이 짙고 튀어나왔으며 부드러운 흉터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비대 흉터는 외상 후 빠른 시간 내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면 호전될 수 있고, 또한 비대 흉터는 상처 부위에 국한되어 발생하고, 발생 빈도가 흔하며 피부색과도 무관하다.
이러한 켈로이드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병변내 스테로이드 약물 주사요법,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냉동요법, 수술과 실리콘시트나 연고를 이용하여 서서히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지만, 완전한 치료는 현재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켈로이드 흉터는 일반 흉터와는 다르게 접근해야 하는데, 많은 환자들이 흉터 관련 연고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연고의 주성분인 양파추출물은 알러지 반응이 많아 쉽게 접근하기 어려우며 매일 사용하는 화장품을 이용한 켈로이드 완화 목적의 화장품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개발되지 않았으며, 해외에서 수입되는 켈로이드 화장품은 양파를 베이스로 한 화학적 화장품으로 알러지 반응이 있어 매일 사용이 어렵고 가격이 높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순수 천연성분을 바탕으로 하여 매일 사용가능한 화장품이 필요하다.
한편, 수세미 오이(Luffa cylindrica)(또는, 수세미)는 박과의 덩굴성 식물로 다양한 사포닌(Saponins)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안토시아닌(Anthocyanins), 케로티노이드(Carotenoids) 성분을 비롯하여 비타민 C, 비타민 K 와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사포닌 성분은 항균작용이 뛰어나 여드름, 습진, 아토피 등 각종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여드름이 악화되어 켈로이드로 진행된 피부의 감염을 저해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닌, 케로티노이드 성분은 항염,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다양한 식물들이 자신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성분으로 인체의 피부에 적용 시 항균, 항염, 항산화 효능으로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면역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 특히, 알러지 반응 완화와 감기, 비강 염증, 통증 완화 및 각종 여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파인애플은 수 세기 동안 중남미 지역에서 소화와 염증에 효능이 있어 널리 사용되어 온 전통 의약 중 하나인데, 파인애플의 열매와 줄기에는 브로멜라인(Bromelain)이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상기 브로멜라인은 특히 파인애플 줄기와 열매의 즙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로서 소화 촉진은 물론 피부의 연화작용과 붓기 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이용하여 매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를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12051호(2012년 01월 27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505294호(2015년 03월 17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38721호(2015년 12월 10일 공개)
본 발명은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를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수세미의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항균 및 항염 작용과, 피부 가려움증, 붉어짐 현상 등을 개선시켜 통증을 완화시켜 주고 보습 효과로 피부 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인애플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경화된 피부의 연화 작용을 촉진하여 켈로이드 흉터 개선에 도움을 주고,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꾸준한 사용으로 즉각적인 치료 목적인 아닌 일상에서 용이한 사용으로 흉터의 개선이 가능한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수세미 껍질, 섬유질, 줄기, 잎 및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파인애플 추출물은 파인애플 껍질, 줄기, 열매 및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젤, 화장수, 팩 또는 에센스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수세미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수세미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수세미를 열수 추출하여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하되, 상기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은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15 내지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0.1 내지 0.5kgf/cm2의 압력하에서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내지 1.0㎛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25 내지 -30℃로 냉각하여 분말 상태로 동결 건조함으로써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동결 건조된 수세미 추출물을 정제수에 용해한 후,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2㎛인 멸균용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된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0.01 내지 9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파인애플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0.01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은 상기 분쇄된 수세미와, 상기 분쇄된 수세미 무게의 15 내지 25배 부피(W/V)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기를 밀폐하고, 상기 추출기 내부를 100 내지 120℃의 온도 및 1.2 내지 1.5kgf/cm2의 압력으로 유지하고, 30 내지 50KHz의 진동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한 후, 3 내지 5시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순환 열수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를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켈로이드 흉터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수세미의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항균 및 항염 작용과, 피부 가려움증, 붉어짐 현상 등을 개선시켜 통증을 완화시켜 주고 보습 효과로 피부 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파인애플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경화된 피부의 연화 작용을 촉진하여 켈로이드 흉터 개선에 도움을 주고,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꾸준한 사용으로 즉각적인 치료 목적인 아닌 일상에서 용이한 사용으로 흉터의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에 따른 효능 평가의 평균 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26세 남성, 가슴 부위 켈로이드 피험자의 시험 전, 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27세 남성, 턱 부위 켈로이드 피험자의 시험 전, 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30세 남성, 가슴 부위 켈로이드 피험자의 시험 전, 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54세 여성, 복부 부위 켈로이드 피험자의 시험 전, 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34세 여성, 무릎 부위 켈로이드 피험자의 시험 전, 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포함된 미스트 에센스와 앰플 제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세미 추출물 및 파인애플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먼저, 수세미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수세미 껍질, 섬유질, 줄기, 잎 및 뿌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외에도 열매, 수액과 같은 수세미의 다양한 부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세미의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세미를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상기 수세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곰팡이 등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살균시킬 수 있다.
상기 수세미의 건조는 온도 20 내지 30℃ 및 습도 30 내지 3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3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수세미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수세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가 감소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수세미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수세미의 분쇄는 공지의 건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5 내지 10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절편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수세미의 분쇄가 5mm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수세미의 추출 공정 진행시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mm를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추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수세미를 열수 추출하여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은 상기 분쇄된 수세미와, 상기 분쇄된 수세미 무게의 15 내지 25배 부피(W/V)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기를 밀폐하고, 상기 추출기 내부를 100 내지 120℃의 온도 및 1.2 내지 1.5kgf/cm2의 압력으로 유지하고, 30 내지 50KHz의 진동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한 후, 3 내지 5시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순환 열수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세미의 열수 추출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세미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상기 수세미의 추출 공정 진행시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세미 추출 분말과 같은 미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의 여과는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수세미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은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15 내지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0.1 내지 0.5kgf/cm2의 압력하에서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내지 1.0㎛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필터가 초정밀하고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균력이 없어 진균이나 세균의 원물이 포함되어 보관이나 유통 중 오염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결 건조는 상기 여과된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25 내지 -30℃로 냉각하여 분말 상태로 건조함으로써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동결 건조된 수세미 추출물을 정제수에 용해한 후,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2㎛인 멸균용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인애플 추출물은 수세미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먼저, 파인애플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인애플 추출물은 파인애플 껍질, 줄기, 열매 및 뿌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외에도 파인애플의 다양한 부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인애플의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인애플을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상기 파인애플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곰팡이 등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살균시킬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는 온도 20 내지 30℃ 및 습도 30 내지 3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3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파인애플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파인애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가 감소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의 분쇄는 공지의 건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5 내지 10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절편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파인애플의 분쇄가 5mm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파인애플의 추출 공정 진행시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mm를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추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열수 추출하여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은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과,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 무게의 15 내지 25배 부피(W/V)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기를 밀폐하고, 상기 추출기 내부를 100 내지 120℃의 온도 및 1.2 내지 1.5kgf/cm2의 압력으로 유지하고, 30 내지 50KHz의 진동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한 후, 3 내지 5시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순환 열수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인애플의 열수 추출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세미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상기 파인애플의 추출 공정 진행시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상기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파인애플 추출 분말과 같은 미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의 여과는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은 상기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을 15 내지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0.1 내지 0.5kgf/cm2의 압력하에서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내지 1.0㎛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파인애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필터가 초정밀하고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균력이 없어 진균이나 세균의 원물이 포함되어 보관이나 유통 중 오염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결 건조는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 열수추출물을 -25 내지 -30℃로 냉각하여 분말 상태로 건조함으로써 파인애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동결 건조된 파인애플 추출물을 정제수에 용해한 후,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2㎛인 멸균용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액상의 파인애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수세미 추출물 및 파인애플 추출물 제조
(1)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먼저, 수세미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할 수 있다.
먼저, 수세미 껍질, 섬유질, 줄기, 잎 및 뿌리를 준비한 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2(w/w)% 농도를 가지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3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침지시켜 수세미를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온도 25℃ 및 습도 33%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건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5 내지 10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수세미 절편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수세미 절편과, 상기 분쇄된 수세미 절편 무게의 20배 부피(W/V)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기를 밀폐하였고, 상기 추출기 내부를 110℃의 온도 및 1.3kgf/cm2의 압력으로 유지하고, 40KHz의 진동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한 후, 4시간 동안 15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순환 열수 추출하여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20℃의 온도로 냉각하고 0.3kgf/cm2의 압력하에서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2㎛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28℃로 냉각하여 분말 상태로 건조함으로써 동결 건조된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동결 건조된 수세미 추출물을 정제수에 용해한 후,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2㎛인 멸균용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최종 10중량%인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액상의 파인애플 추출물 제조
상기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의 파인애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수 시료 제조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화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비교예 1 내지 3으로 하였다.
기본 화장수 성분은 5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5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5중량% 글리세린, 3중량% 1,2-헥산디올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하였으며, 활성 성분인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은 10중량% 용액을 각각의 함량에 따라 처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이고, 비교예 2는 20중량%의 수세미 추출물을 포함하였고, 비교예 3은 20중량%의 파인애플 추출물을 포함하였으며, 비교예 4는 20중량%의 수세미추출물과 20중량%의 파인애플 추출물이 모두 포함되게 제조하였다.
화장수 시료 조성물 함량비
번호 성분명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수세미 추출물 0 20 0 20
2 정제수 86.5 66.5 66.5 46.5
3 파인애플 추출물 0 0 20 20
4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5 0.5 0.5 0.5
6 글리세린 5 5 5 5
7 1,2-헥산디올 3 3 3 3
합계 100 100 100 100
< 실험예 >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시료를 이용한 켈로이드 환자 대상 임상 시험
상기 [표 1]과 같이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험자 5명씩 20명에게 한 달간 사용하며 효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예에서는 환부에 뿌리는 미스트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사용법은 넓은 환부에 일 5회 골고루 분사하여 발라주도록 하였다. 평가는 피험자 주관에 따라 효과 없음을 '0' 점으로 하고, 눈에 띄는 효과를 '10' 점 만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은 A. 붉음증 완화 및 미백 효과, B. 흉터 및 고름성 여드름 완화, C. 흉터 연화 등 세 가지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내었고, 실시예에 따른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에 따른 임상 효능 평가
번호 시료 피험자 효능 평가
성별(연령) 켈로이드 부위 항목* 점수**
1 비교예 1 남(28) A 2
B 1
C 2
2 남(37) 가슴 A 0
B 1
C 3
3 남(30) A 2
B 2
C 2
4 여(27) 가슴 A 2
B 0
C 1
5 여(43) 가슴 A 3
B 2
C 2
* 항목: A. 붉음증 완화 및 미백, B. 흉터 및 고름성 여드름 완화, C. 흉터 연화
** 점수: 0. 효과 없음, 10. 눈에 띄는 효과
비교예 2에 따른 임상 효능 평가
번호 시료 피험자 효능 평가
성별(연령) 켈로이드 부위 항목* 점수**
1 비교예 2 남(25) A 7
B 5
C 4
2 남(32) A 6
B 5
C 4
3 남(32) 가슴 A 6
B 6
C 4
4 여(24) 가슴 A 5
B 5
C 3
5 여(33) 가슴 A 7
B 6
C 4
비교예 3에 따른 임상 효능 평가
번호 시료 피험자 효능 평가
성별(연령) 켈로이드 부위 항목* 점수**
1 비교예 3 남(27) A 2
B 2
C 6
2 남(30) A 3
B 3
C 5
3 남(32) 가슴 A 3
B 3
C 6
4 여(28) 가슴 A 4
B 3
C 7
5 여(38) A 2
B 3
C 6
실시예에 따른 임상 효능 평가
번호 시료 피험자 효능 평가
성별(연령) 켈로이드 부위 항목* 점수**
1 실시예 남(26) 가슴 A 8
B 7
C 7
2 남(27) A 8
B 8
C 7
3 남(30) 가슴 A 8
B 6
C 7
4 여(54) 복부 A 9
B 7
C 9
5 여(34) 무릎 A 10
B 8
C 5
도 1은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에 따른 효능 평가의 평균 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2] 내지 [표 5]와 도 1을 참조하면, 평가 결과 기본 화장수 제형으로만 처방하여 제조된 비교예 1[표 2]에서는 세 가지 항목 모두 0점 내지 3점 이하로 전체적으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고, 비교예 2[표 3]에서는 기본 화장수 제형에 수세미 추출물만 함유된 처방으로 평가 항목 A는 평균 점수 6.2 점, B는 5.4 점, C는 3.8 점으로 붉음증 완화와 흉터 완화에 있어 어느 정도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흉터 연화 항목은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표 4]은 기본 화장수 제형에 파인애플 추출물만 함유된 처방으로 평가 항목 A는 평균 점수 2.8점, B는 2.8 점, C는 6.0 점으로 흉터 연화 항목에서만 효능을 확인하였고, 실시예[표 5]는 기본 화장수 제형에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모두 함유된 처방으로 항목 A의 평균 점수는 8.6 점, B는 7.2 점, C는 7.0 점으로 세 가지 평가항목 모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수를 사용한 피험자들의 사용 전, 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혼합한 화장수를 사용한 피험자들의 켈로이드 흉터가 효과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제조예 >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품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일 예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이 포함된 미스트 에센스와 앰플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스트 에센스는 수세미 추출물이 0.1 내지 0.3 중량% 포함된 수세미 추출물 용액을 전체 부피의 70% 되게 처방하여 제조하였고 파인애플 추출물이 0.1 내지 0.3 중량% 포함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액을 전체 부피의 20% 되게 처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앰플은 상기와 같은 수세미 추출물 용액을 전체 부피의 50% 되게 처방하였고 상기와 같은 파인애플 추출물 용액을 40% 되게 처방하여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수세미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수세미 껍질, 섬유질, 줄기, 잎 및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파인애플 추출물은 파인애플 껍질, 줄기, 열매 및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젤, 화장수, 팩 또는 에센스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 추출물은,
    수세미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수세미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수세미를 열수 추출하여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하되, 상기 저온 감압 여과 방식은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을 15 내지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0.1 내지 0.5kgf/cm2의 압력하에서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내지 1.0㎛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25 내지 -30℃로 냉각하여 분말 상태로 동결 건조함으로써 수세미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동결 건조된 수세미 추출물을 정제수에 용해한 후,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2㎛인 멸균용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된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수세미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0.01 내지 9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파인애플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0.01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 열수추출물은 상기 분쇄된 수세미와, 상기 분쇄된 수세미 무게의 15 내지 25배 부피(W/V)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기를 밀폐하고, 상기 추출기 내부를 100 내지 120℃의 온도 및 1.2 내지 1.5kgf/cm2의 압력으로 유지하고, 30 내지 50KHz의 진동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한 후, 3 내지 5시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순환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41639A 2017-03-31 2017-03-31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39A KR101800788B1 (ko) 2017-03-31 2017-03-31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6/491,596 US20200009043A1 (en) 2017-03-31 2018-03-22 Cosmetic Composition for Keloid Scar Improvement
PCT/KR2018/003343 WO2018182232A1 (ko) 2017-03-31 2018-03-22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39A KR101800788B1 (ko) 2017-03-31 2017-03-31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788B1 true KR101800788B1 (ko) 2017-11-27

Family

ID=6081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639A KR101800788B1 (ko) 2017-03-31 2017-03-31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09043A1 (ko)
KR (1) KR101800788B1 (ko)
WO (1) WO20181822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32A1 (ko) * 2017-03-31 2018-10-04 박영오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 2018-05-29 2019-02-26 박영오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20220001026A (ko) 2020-06-26 2022-01-05 안인숙 산세베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 및 흉터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51B1 (ko) * 2009-04-09 2012-02-14 주식회사 베네비오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1274224A1 (en) * 2010-06-28 2013-01-17 AdeTherapeutics, Inc Keloid treatment
BR112014001439B1 (pt) * 2011-07-20 2021-05-25 Mediwound Ltd. uso de um extrato proteolítico obtido de bromelaína para a preparaçã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uma doença do tecido conjuntivo
KR101346779B1 (ko) * 2012-12-12 2014-01-03 (주) 씨유스킨 켈로이드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505294B1 (ko) * 2013-06-19 2015-03-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켈로이드 또는 흉터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KR101800788B1 (ko) * 2017-03-31 2017-11-27 박영오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32A1 (ko) * 2017-03-31 2018-10-04 박영오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 2018-05-29 2019-02-26 박영오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WO2019231244A1 (ko) * 2018-05-29 2019-12-05 Park Young Oh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20220001026A (ko) 2020-06-26 2022-01-05 안인숙 산세베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 및 흉터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9043A1 (en) 2020-01-09
WO2018182232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800788B1 (ko)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570A (ko) 한방 추출물 및 한방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천연 비누 조성물
CN105168106B (zh) 一种三花美白嫩肤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2020013997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08653129B (zh) 一种包含天然植物抗敏组合物的皮肤敷料
KR20190042883A (ko) 반려동물 피모 관리용 조성물
CN105232426A (zh) 一种快速嫩肤型美容组合物及其应用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68796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3003A (ko) 화장료 조성물용 아이스플랜트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CN107951806A (zh) 一种温和多功效芦荟护肤品及其制备工艺
CN108485851B (zh) 一种茶籽手工皂及制作该茶籽手工皂的工艺
WO2019231244A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342731B1 (ko) 눈꺼풀 또는 눈주위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KR102214282B1 (ko) 두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20190061277A (ko) 탈모 방지 및 모발을 굵게 할 수 있는 샴푸 조성물
CN107997985A (zh) 鹿皮多糖在制备保湿化妆品中的应用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140018443A (ko) 발효 유산균이 함유된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797143A (zh) 一种菠萝蛋白酶祛痘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039718B1 (ko)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6147A (ko) 삼채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