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70769A1 -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70769A1
WO2012070769A1 PCT/KR2011/007594 KR2011007594W WO2012070769A1 WO 2012070769 A1 WO2012070769 A1 WO 2012070769A1 KR 2011007594 W KR2011007594 W KR 2011007594W WO 2012070769 A1 WO2012070769 A1 WO 20120707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desorption
adsorbent
lithium ions
reaction vess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75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준수
이진영
정경우
이후인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EP11843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44720A4/en
Priority to CN201180015894.6A priority patent/CN102918170B/zh
Priority to US13/635,132 priority patent/US9771632B2/en
Publication of WO20120707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07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2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with moving ad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dsorption / desorption of lithium ions, and more particularly, lithium ions capable of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extracting lithium ions from saline by performing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lithium ions in a CCD (Counter Current Decantation) method. It relates to a adsorption / desorption method of.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s the energy source, the utiliz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s exploded.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dustry is developing in Korea, Japan, and China, and the consumption of lithium, which is a key raw material, is also rapidly increasing in response to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 lithium ion batteries needed for solar and wind power plants, but it is expected to be another growth engine for lithium ion batteries in addition to green cars. For this reason, lithium is at the center of the energy revolution that will be led by secondary batteries for several decades. Therefore, securing technology to extract lithium ions is an indispensable option in terms of long-term resource security.
  • Brine contains many components such as lithium, magnesium, sodium and chlorine in the form of ions.
  • Extracting lithium ions from the brine may be made of a magnesium removal process, lithium ion adsorption and desorption process.
  • the adsorbent is added to the brine from which magnesium ions have been removed to adsorb lithium 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lithium ion is adsorbed to a strong acid solution such as hydrochloric acid, and lithium ions are again added. It is going to the process of desorp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dsorption / desorption of lithium ions using a CCD process that can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lithium ions and reduce the extraction cost through the economic and efficient extraction of lithium ions extracted from the brine.
  • a lithium ion adsorption / desorption method using a CCD proces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rine supply step of supplying brine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 the brine and the adsorbent are rotated by a stirrer, so that the adsorb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adsorbent may be 1 ⁇ 50 ⁇ m.
  • the adsorbent may be manganese oxide or aluminum oxide.
  • the manganese oxide satisfies the formula H n Mn 2-x O 4 , wherein 1 ⁇ n ⁇ 1.33, 0 ⁇ x ⁇ 0.33, n ⁇ 1 + x.
  • the desorption solution may be selected from strong acids including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are composed of first to third adsorption reaction vessels.
  • the lithium ion adsorption step may include a first adsorption step of allowing lithium ions to be primarily adsorbed to the adsorbent by allowing the brine and the adsorbent filled in the first adsorption reaction vessel to flow back first; A second adsorption step in which lithium ions are secondarily adsorbed to the adsorbent by introducing the reacta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adsorption step into a second adsorption reaction vessel and causing the reactants to flow backwards secondly; And a third adsorption step of allowing lithium ions to be adsorbed to the adsorbent in a third manner by introducing the reacta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cond adsorption step into a third adsorption reaction vessel and causing the reactants to flow back in a third direction.
  •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include first to third desorption reaction vessels.
  • a lithium ion adsorption / desorption apparatus using a CCD proces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aline and the adsorbent introduced to adsorb the lithium ions to the adsorbent in turn in each of the inside Adsorption reaction vessel of; And an adsorbent disposed downstream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and adsorbed with lithium ions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through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to desorb lithium ions from the adsorbents.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adsorbent may be 1 ⁇ 50 ⁇ m.
  • the adsorbent may be manganese oxide or aluminum oxide.
  • the manganese oxide satisfies the formula H n Mn 2-x O 4 , wherein 1 ⁇ n ⁇ 1.33, 0 ⁇ x ⁇ 0.33, n ⁇ 1 + x.
  • the desorption solution filled in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may be selected from strong acids including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include first to third desorption reaction vessels.
  • the lithium ions are adsorbed by sequentially flowing back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and the lithium ions are continuously flowed back through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 an adsorption rate of 65 ⁇ 5% and a desorption rate of 95 ⁇ 3% can be achieved.
  • FIG. 1 is a process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adsorption / desorption of lithium ions using a CCD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rocess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ion adsorption step and a lithium ion desorp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reaction schematic for explaining an adsorption reaction in an adsorption reac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adsorption / desorption of lithium ions using a CCD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ithium ion adsorption step and lithium ion desorp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conceptual diagram shown by.
  • the lithium ion adsorption / desorption method using the CCD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ne supply step (S110), lithium ion adsorption step (S120) and lithium ion desorption step (S130). .
  • the brine is suppli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112, 114, and 116 in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receives a brine from a brine source (not shown) connected thereto.
  • a brine source not shown
  • the brine supplied from the brine source to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may be brine collected from the milky or Atacama salt lake of South America.
  •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moving magnesium before or after the brine supply step (S110).
  • magnesium ions are removed from the brine.
  • Magnesium ions (Mg 2+ ) are relatively smaller in ion size than lithium ions (Li + ). Therefore, since lithium ions may be adsorbed together with lithium 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gnesium ions may be adsorbed together. Therefore, magnesium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brine before the adsorption process of lithium ions.
  • the magnesium may be removed by depositing magnesium ions as precipitates in the form of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oxalate, magnesium carbonate, or the like.
  • the brine and the adsorbent are allowed to flow back through the respective adsorption reaction vessels 114 and 116, respectively, in a countercurrent process. To allow lithium ions to adsorb to the adsorbent.
  • FIG 3 is a reaction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adsorption reaction in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orbent 160 may include manganese oxide or aluminum oxid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manganese oxide having a relatively high efficiency of adsorbing lithium ions 155.
  • manganese oxides that may be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 lithium oxide is used.
  • the brine 150 and the adsorbent 160 supplied into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are filled in a counter current decantation (CCD) method.
  • the CCD method may be defined as a continuous multi-stage settling separation method in which the directions of the flow of solid and liquid to be settled or filled in the reaction vessel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 the brine 150 and the adsorbent 160 supplied in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are in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the adsorbent 160 is not completely settled or completely suspended from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that is,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 Lithium ions 155 are adsorbed to the adsorbent 160 by rotating the stirrer 140 to stir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adsorbent 160 is suspended to about 50% of the total volume, and the hydrogen of the adsorbent 160 is absorbed. Is decomposed and removed.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adsorbent 160 is preferably 1 ⁇ 50 ⁇ m.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adsorbent 160 is less than 1 ⁇ m, the particle size may be too fine to prevent the adsorbent 160 from settling even at a low stirring spe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On the contrary,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adsorbent 160 exceeds 50 ⁇ m, the adsorbent 160 may settle even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esired adsorption effect of lithium ions or more is not expected.
  •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may include, for example, first, second, and third adsorption reaction vessels 112, 114, and 116.
  • the lithium ion adsorption step may include a first adsorption step, a second adsorption step, and a third adsorption step.
  • the brine 150 and the adsorbent 160 filled in the first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2 are primarily flowed back so that lithium ions 155 are primarily adsorbed to the adsorbent 160.
  • the reactant 17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dsorption step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4, and then the reactant 170 is secondarily flowed back so that lithium ions (or lithium ions) are adsorbed to the adsorbent 160. 155 is secondarily adsorbed.
  • the reactant 170 that has undergone the second adsorption step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adsorption reaction vessel 116, and then the reactant 170 is thirdly flowed back so that lithium ions (or lithium ions) are adsorbed to the adsorbent 160. 155 is adsorbed tertiarily.
  • the brine 150 and the adsorbent 160 introduced into the first to third adsorption reaction vessels 112, 114, and 116 are refluxed by the CCD method in the adsorption reaction vessels.
  • the flows are revers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ions 155 adsorbed to the adsorbent 160 from the brine 150 can be increased step by step.
  • the adsorption rate of the lithium ions 155 adsorbed to the adsorbent 160 in the final step may have a 65 ⁇ 5%.
  • the adsorbent 160 to which the lithium ions 155 are adsorbed flows back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122, 124, and 126 in order, thereby allowing the lithium ions 155 to flow.
  • the desorption solution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 strong acid containing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may be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desorption reaction vessels (122, 124, 126).
  • the flow of solid and liquid is opposite to each other during the reverse flow of the adsorbent 160 adsorbed by the lithium ions 155 adsorbed into the first to third desorption reaction vessels 122, 124, and 126 by the CCD method.
  •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ions desorbed from the adsorbent 160 to which the lithium ions 155 are adsorbed may be increased step by step.
  • the desorption rate of the lithium ions 155 desorbed from the adsorbent 160 may have 95 ⁇ 3%.
  • the reactants 170 that have passed through all of the first to third desorption reaction vessels 122, 124, and 126 are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unit (not shown), or the first to third adsorption reaction vessels 112, 114, and 116. Can be returned for reuse.
  • Adsorption / desorption of lithium ions using the CC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of performing a series of repetitive processes.
  • each of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eaction vessels is reversed to adsorb lithium ions, and then each of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desorption reaction vessels is sequentially By desorbing lithium ions by refluxing, the adsorption rate of 65 ⁇ 5% and the desorption rate of 95 ⁇ 3% can be achiev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CCD 방식으로 흡착 및 탈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흡착율 65±5% 및 탈착율 95±3%를 달성할 수 있는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 단계;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리튬 이온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D(Counter Current Decantation) 방식으로 리튬 이온의 흡착 및 탈착을 수행함으로써 염수로부터 리튬 이온을 효과적 및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노트북 및 전기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동형 에너지원에 대한 국제적인 수요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원으로서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현재, 리튬 이차전지 산업은 한국, 일본, 중국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급증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에 따라 핵심원료인 리튬의 소모량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에 필요한 리튬 이온 배터리 규모를 정량화하기는 어려우나, 그린카(green car)와 더불어 리튬 이온 배터리의 또 다른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튬은 향후 수십년간 이차전지가 주도할 에너지혁명의 중심에 있는바, 리튬 이온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의 확보는 장기적 자원안보 차원에서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염수(brine)에 포함된 리튬 이온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염수에는 리튬, 마그네슘, 나트륨, 염소 등 많은 성분들이 이온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염수로부터 리튬 이온을 추출하는 과정은 마그네슘 제거 과정, 리튬이온 흡탈착 과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리튬이온 흡탈착 과정의 경우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염수에 흡착제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 동안 리튬 이온을 흡착시킨 후,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를 염산과 같은 강산 용액에 투입하여 리튬 이온을 다시 탈착하는 공정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튬 흡탈착 과정은 리튬 이온을 흡착 및 탈착시키는 데 장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의 흡착량 및 탈착량이 낮아 생산 수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수로부터 추출되는 리튬 이온을 경제적 및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통해 리튬 이온의 추출 효율성은 높이면서 추출 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 단계;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리튬 이온 탈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 및 흡착제를 교반자에 의하여 회전시켜, 상기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에서 침강되거나, 또는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일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한다.
상기 탈착 단계시,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는, 상기 제1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채워진 염수 및 흡착제가 1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1차적으로 흡착되는 제1 흡착 단계; 상기 제1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2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킨 후, 상기 반응물이 2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2차적으로 흡착되는 제2 흡착 단계; 및 상기 제2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3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킨 후, 상기 반응물이 3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3차적으로 흡착되는 제3 흡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는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염수와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및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로부터 빠져나온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 및 흡착제는 교반자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에서 침강되거나, 또는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일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한다.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에 채워지는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를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흡착한 후,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를 연속적으로 역류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시킴으로써, 흡착율 65±5% 및 탈착율 95±3%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염수로부터 효과적 및 경제적으로 리튬 이온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리튬 이온 탈착 단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반응 용기 내에서의 흡착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반응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리튬 이온 탈착 단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염수 공급 단계(S110), 리튬 이온 흡착 단계(S120) 및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를 포함한다.
염수 공급 단계
염수 공급 단계(S110)에서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염수를 공급한다.
상기 흡착 반응 용기(112)는 이와 연결되는 염수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의 염수를 공급받는다. 이때,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염수 공급원으로부터 흡착 반응 용기(112)에 공급되는 염수는 남미의 우유니 또는 아타카마 염호에서 채취한 염수 등이 될 수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염수 공급 단계(S110) 이전 또는 후에 마그네슘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슘 제거 단계에서는 염수(brine)에서 마그네슘 이온(Mg2+)을 제거한다. 마그네슘 이온(Mg2+)은 리튬 이온(Li+)에 비하여 이온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후술할 리튬 이온 흡착시, 리튬 이온과 함께 마그네슘 이온도 함께 흡착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리튬 이온의 흡착 과정 이전에 염수에서 미리 마그네슘이 제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마그네슘의 제거는 마그네슘 수산화물(Magnesium hydroxide), 마그네슘 수산염(Magnesium oxalate), 마그네슘 탄산염(Magnesium carbonate) 등의 형태로 마그네슘 이온을 석출물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리튬 이온 흡착 단계(S120)에서는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112)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114, 116)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역류 과정에서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흡착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반응 용기 내에서의 흡착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반응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착제(160)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리튬 이온(155)을 흡착하는 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망간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망간 산화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
의 망간 산화물을 들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H1.33Mn1.67O4
의 리튬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망간 산화물을 흡착제(160)로 이용할 경우, 망간 산화물 및 염수 간의 화학 반응식은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H1.33Mn1.67O4+0.59Li+ → H0.74Li0.59Mn1.67O4+0.59H+
를 충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공급되는 염수(150)와 흡착제(160)는 역류디캔테이션(counter current decantation: CCD) 방식으로 채워 넣게 된다. 상기 CCD 방식이란 반응 용기 내에 침강되거나 또는 채워질 고체와 액체의 흐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게 하는 연속식 다단 침강 분리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공급된 염수(150)와 흡착제(160)는 흡착 반응 용기(112)로부터 흡착제(160)가 완전 침강되거나 완전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 즉 흡착 반응 용기(112) 전체 부피의 50%정도로 흡착제(160)가 부유되도록 교반자(140)를 회전시켜 일정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흡착되고, 흡착제(160)의 수소는 분해되어 제거된다.
이때, 상기 흡착제(160)의 평균 입도는 1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흡착제(160)의 평균 입도가 1㎛ 미만일 경우에는 그 입도가 너무 미세하여 일정 속도 이하의 낮은 교반 속도에도 흡착제(160)가 침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흡착제(160)의 평균 입도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일정 속도 이상에서도 침강하게 되어 원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리튬 이온 흡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하나의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는, 제1 흡착 단계, 제2 흡착 단계 및 제3 흡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착 단계에서는 제1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채워진 염수(150) 및 흡착제(160)가 1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1차적으로 흡착된다.
제2 흡착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170)을 제2 흡착 반응 용기(114)에 투입한 후, 상기 반응물(170)이 2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2차적으로 흡착된다.
제3 흡착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170)을 제3 흡착 반응 용기(116)에 투입한 후, 상기 반응물(170)이 3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3차적으로 흡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 내에 투입되는 염수(150) 및 흡착제(160)가 각 흡착 반응 용기 내에서 CCD 방식에 의하여 역류하는 과정에서 고체와 액체의 흐름이 서로 반대가 되어 염수(150)로부터 흡착제(160)에 흡착되는 리튬 이온(155)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흡착/탈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최종 단계에서 흡착제(160)에 흡착되는 리튬 이온(155)의 흡착율은 65±5%를 가질 수 있다.
리튬 이온 탈착 단계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에서는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 즉 반응물(170)이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로부터 리튬 이온(155)을 탈착한다.
이러한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를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리튬 이온(155)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하나의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 내에 투입되는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가 CCD 방식에 의하여 역류하는 과정에서 고체와 액체의 흐름이 서로 반대가 되어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로부터 탈착되는 리튬 이온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160)로부터 탈착되는 리튬 이온(155)의 탈착율은 95±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를 모두 통과한 반응물(170)은 도시하지 않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거나,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로 반송시켜 재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방식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일련의 반복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서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흡착한 후,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시킴으로써, 흡착율 65±5% 및 탈착율 95±3%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염수로부터 효과적 및 경제적으로 리튬 이온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 단계;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리튬 이온 탈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 및 흡착제를 교반자에 의하여 회전시켜, 상기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에서 침강되거나, 또는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단계시,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는,
    상기 제1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채워진 염수 및 흡착제가 1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1차적으로 흡착되는 제1 흡착 단계;
    상기 제1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2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킨 후, 상기 반응물이 2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2차적으로 흡착되는 제2 흡착 단계; 및
    상기 제2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3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킨 후, 상기 반응물이 3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3차적으로 흡착되는 제3 흡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9.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염수와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및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로부터 빠져나온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 및 흡착제는 교반자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에서 침강되거나, 또는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에 채워지는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PCT/KR2011/007594 2010-11-26 2011-10-12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707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843525.4A EP2644720A4 (en) 2010-11-26 2011-10-12 DEVICE AND METHOD FOR ABSORPTION AND DESORPTION OF LITHIUMIONS USING A CCD PROCESS
CN201180015894.6A CN102918170B (zh) 2010-11-26 2011-10-12 利用逆流倾析工艺的锂离子吸附/解吸装置及其方法
US13/635,132 US9771632B2 (en) 2010-11-26 2011-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adsorbing and desorbing lithium ions using a CCD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59A KR101047986B1 (ko) 2010-11-26 2010-11-26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0-0119159 2010-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0769A1 true WO2012070769A1 (ko) 2012-05-31

Family

ID=4492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7594 WO2012070769A1 (ko) 2010-11-26 2011-10-12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71632B2 (ko)
EP (1) EP2644720A4 (ko)
KR (1) KR101047986B1 (ko)
CN (1) CN102918170B (ko)
WO (1) WO2012070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56B1 (ko) * 2012-10-16 2014-10-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1347081B1 (ko) 2013-10-16 2014-01-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에어레이션을 이용한 리튬 탈착 장치
JP6199170B2 (ja) * 2013-12-04 2017-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4353B1 (ko) * 2015-01-28 2015-08-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KR20190072667A (ko) 2016-11-14 2019-06-25 리락 솔루션즈, 인크. 코팅된 이온 교환 입자를 이용한 리튬 추출
US11365128B2 (en) 2017-06-15 2022-06-21 Energysource Minerals Llc Process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CN111182953A (zh) * 2017-08-02 2020-05-19 锂莱克解决方案公司 用于锂提取的离子交换系统
EP3661619A4 (en) 2017-08-02 2021-05-05 Lilac Solutions, Inc. LITHIUM EXTRACTION WITH POROUS ION EXCHANGE BEADS
US11534748B2 (en) * 2017-12-27 2022-12-27 Standard Lithium Ltd.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US11583830B2 (en) * 2017-12-27 2023-02-21 Standard Lithium Ltd.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JP7427598B2 (ja) 2018-02-28 2024-02-05 ライラック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ク. リチウム抽出用の粒子トラップを備えたイオン交換反応器
CA3100313A1 (en) * 2018-05-15 2019-11-21 Energysource Minerals Llc Process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CN109761249B (zh) * 2018-12-07 2021-07-27 开曼铝业(三门峡)有限公司 解析氧化铝工厂富锂吸附剂中锂的方法和系统
CA3123943A1 (en) * 2018-12-18 2020-06-25 Craig Johnstone Brown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with addition of alkali
CN110453070A (zh) * 2019-03-11 2019-11-15 西安蓝晓科技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直接从红土镍矿浸提液中提取回收镍的方法
KR20220119166A (ko) 2020-01-09 2022-08-26 리락 솔루션즈, 인크. 바람직하지 않은 금속의 분리 방법
CN115916701A (zh) * 2020-06-08 2023-04-04 标准锂业有限公司 用于从盐水中回收锂的方法
EP4162087A1 (en) 2020-06-09 2023-04-12 Lilac Solutions, Inc. Lithium extraction in the presence of scalants
CA3199218A1 (en) 2020-11-20 2022-05-27 David Henry SNYDACKER Lithium production with volatile acid
CN112695211A (zh) * 2020-12-01 2021-04-23 西安蓝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从盐湖卤水中分离锂的连续离交方法
JP7124917B1 (ja) * 2021-03-31 2022-08-2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リチウム含有溶液の製造方法
WO2022226219A1 (en) 2021-04-23 2022-10-27 Lilac Solutions, Inc. Ion exchange devices for lithium extraction
US11904297B1 (en) 2023-01-11 2024-02-20 Iliad Ip Company, Llc Process for manufacturing lithium selective adsorption/separation medi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420A (ja) * 2000-09-13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リチウム採取装置
JP2002167626A (ja) * 2000-11-28 2002-06-1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リチウム回収装置および方法
KR20050103512A (ko) * 2003-02-26 2005-10-31 오또꿈쁘 테크놀러지 오야 대향류 방식 침출에 의한 아연 회수 방법
KR20100057520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760A (en) * 1975-08-11 1977-08-23 Hiatt Martin H Counter current decantation apparatus
US4291001A (en) 1979-12-26 1981-09-22 The Dow Chemical Company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US4477396A (en) * 1980-08-13 1984-10-16 Battelle Development Corp. Countercurrent flow absorber and desorber
US4578163A (en) * 1984-12-03 1986-03-25 Homestake Mining Company Gold recovery process
US20030231996A1 (en) 2002-06-18 2003-12-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dsorbing lithium ions from a lithium-containing aqueous solution by a granular adsorbent
US6764584B2 (en) * 2002-10-22 2004-07-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concentrate from brine or seawater
CN1243112C (zh) * 2002-12-27 2006-02-22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吸附法从盐湖卤水中提取锂的方法
CN100343399C (zh) * 2002-12-27 2007-10-17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二氧化锰法从盐湖卤水中提锂的方法
JP4765009B2 (ja) * 2006-11-21 2011-09-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吸着剤を含有する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35956A2 (ko) 2008-09-29 2010-04-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분리막 레저버를 이용하는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KR101370986B1 (ko) * 2009-03-09 2014-03-07 아르빈드 마리나스 라리 연속 역류식 유동화 이동상(fmb)및/또는 팽창화 이동상(emb)
CN101654262B (zh) * 2009-09-18 2011-05-11 华东理工大学 一种用于由卤水中提取锂离子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420A (ja) * 2000-09-13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リチウム採取装置
JP2002167626A (ja) * 2000-11-28 2002-06-1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リチウム回収装置および方法
KR20050103512A (ko) * 2003-02-26 2005-10-31 오또꿈쁘 테크놀러지 오야 대향류 방식 침출에 의한 아연 회수 방법
KR20100057520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64472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18170A (zh) 2013-02-06
EP2644720A1 (en) 2013-10-02
US20130001168A1 (en) 2013-01-03
CN102918170B (zh) 2016-02-03
KR101047986B1 (ko) 2011-07-13
US9771632B2 (en) 2017-09-26
EP2644720A4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70769A1 (ko)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67348A2 (ko) 염수로부터 고순도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CN101104533B (zh) 一种h-酸生产废水的处理方法
CN105541043B (zh) 基于mbr和a2/o的废旧锂电池电解液及电解液废水的处理方法
WO2017113882A1 (zh) 污酸资源回收与深度处理方法及装置
WO2013015509A1 (ko) 금속이온 회수용 전극모듈의 제조방법, 금속이온 회수용 전극모듈 및 이를 구비한 금속이온 회수 장치
WO2013002486A2 (ko) 고상 반응에 의한 리튬 망간 산화물의 제조 방법
CN104876354A (zh) 一种利用高选择性吸附剂处理pta精制废水的工艺
WO2013172533A1 (ko)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 및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
WO2022007660A1 (zh) 利用粉状吸附剂进行卤水提锂的方法
WO2016129732A1 (ko) 볼밀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폐전구체 재생 방법
CN211261799U (zh) 一种用于三元锂正极材料制备的氧气循环系统
CN110373545B (zh) 一种废旧锂离子电池正极材料中铝元素的回收方法
WO2013162317A1 (ko)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공법
WO2020071640A1 (ko) 리튬 전구체 재생 방법 및 리튬 전구체 재생 시스템
CN220703811U (zh) 固体氧化物电解池电解制氧系统
WO2014065527A1 (ko) 폐수 속의 암모니아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회수하기 위한 방법
CN112777614A (zh) 一种盐湖卤水吸附提锂方法及装置
CN102992418A (zh) 一种多相流旋转泡沫分离装置及其用于处理废水、废气的工艺
CN107129081A (zh) 一种2b酸酸析废水的处理与资源回收工艺
CN110407236B (zh) 电动汽车级碳酸锂的制备方法
CN212403562U (zh) 一种具有回收金属的污水处理设备
CN214829053U (zh) 一种盐湖卤水吸附提锂装置
CN215439951U (zh) 一种线切冷却液回收系统
CN212315571U (zh) 降低可溶性锰盐溶液中杂质含量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15894.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35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635132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435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