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353B1 -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353B1
KR101544353B1 KR1020150013275A KR20150013275A KR101544353B1 KR 101544353 B1 KR101544353 B1 KR 101544353B1 KR 1020150013275 A KR1020150013275 A KR 1020150013275A KR 20150013275 A KR20150013275 A KR 20150013275A KR 101544353 B1 KR101544353 B1 KR 10154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underwater
adsorbent
lithium adsorbent
offsh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섭
김병규
류태공
류정호
박인수
홍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53B1/ko
Priority to US15/007,778 priority patent/US10087083B2/en
Priority to EP16152885.6A priority patent/EP3050981B1/en
Priority to CN201610056377.8A priority patent/CN10581953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2Compounds of Mn, 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2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using portable ion-exchang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1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using bat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2Column or bed processes
    • B01J47/022Column or be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or container
    • B01J47/024Column or be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or container where the ion-exchangers are in a removabl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0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fix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60Cleaning or rinsing ion-exchange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ion-exchange 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되는 수중거치대(100);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되며,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는 리튬 흡착제(200); 상기 수중거치대(100)에서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를 세척하는 세척조(320)와, 상기 세척조(320)에서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탈착조(330)가 설치되며,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연안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박(300); 및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되는 저장고로 이송하는 이송펌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방법은 수중거치대(100)를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하는 제1단계;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여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게 하는 제2단계; 이동선박(300)을 상기 수중거치대(100) 근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세척조(320)로 이송하여 세척하는 제4단계; 상기 세척조(320)에서 세척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탈착조(330)로 이송하여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이 탈착되게 하는 제5단계;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이동선박(300)을 연안으로 이동시키는 제6단계; 및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된 저장고로 이송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Underwater mounting lithium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해수에 함유된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노트북 및 전기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동형 에너지원에 대한 국제적인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원으로서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현재 리튬 이차전지 산업은 한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급증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에 따라 핵심원료인 리튬의 소모량도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리튬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핵융합(thermonuclear fusion)발전에서 삼중수소를 증식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리튬에 대한 수요는 더욱더 커지고 있다.
해수에는 약 2천 5백억 톤의 리튬 이온이 용해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요한 리튬 공급원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농도가 해수 1리터당 0.17 mg으로 매우 낮아 리튬 이온 회수에 대한 경제성을 고려할 때 리튬 이온을 선택적이며 저비용으로 회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해수에서 리튬 이온 회수를 위해서 이온교환 흡착법, 용매탈착법, 공침법과 같은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며, 이러한 시도 중에서 매우 높은 선택도를 가진 이온교환 특성을 지닌 망간 산화물계 무기물 흡착체를 이용한 리튬 이온 회수 방법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다양한 망간 산화물계 무기물 흡착체가 개발되고 있다 (Ind. Eng. Chem. Res., 40, 2054, 2001 참조). 망간 산화물계 무기 흡착제는 리튬 이온을 포함하는 액체에서 수소이온과 리튬 이온의 이온교환, 즉, 위상 용출(topotactic extraction)에 의해 상기 액체의 리튬 이온을 흡착하고, 이후 리튬 이온을 흡착한 무기 흡착제는 묽은 염산 수용액에서 수소이온과 리튬 이온의 이온교환을 통하여 리튬 이온의 회수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망간 산화물계 무기 흡착제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약 10 ㎛ 크기의 미립자 형태인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 수십 ㎏ 이상, 더 나아가 ton 단위 이상의 다량을 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망간 산화물로 형성시키는 종래의 과정은 대형의 내산성 수조 및 산 수용액이 상기 분말과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산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수득된 액체의 분리 및 건조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튬 이온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회수 방법은 매우 복잡하며 번거로우며, 처리 과정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종래기술 1 일본공개특허 제2002-088420호의 해수 중 리튬 채취 장치는 해수 가변 수단을 갖춘 선체와, 선체의 선창부의 기저면과 바다 속을 연통시켜 선체의 하측에 연통로를 마련한 해수 도입로와, 상기 선창부의 해수 입구 옆 및 해수 출구 측에 설치된 네트와, 상기 선창부 내의 상기 네트 간에 수납되어 상기 네트의 그물보다 큰 입상의 리튬 흡착제와 상기 선체의 외측에서 도입 한 해수를 상기 선창부 내에 압입해 상기 해수 도입로로부터 도입한 해수와 함께 리튬 흡착제를 통과시킨 다음 상기 선창부 외에 선회시켜 배수하는 해수 순환 수단과 상기 선창부 내의 잔류 해수를 배출 하는 배수 수단과 상기 선창부 내에 탈착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리튬이 용해 된 탈착액을 상기 선창부 내로부터 회수 하는 탈착액 주입 회수 수단과 상기 탈착액을 상기 선창부 내에서 순환 시켜 리튬 흡착제(10)로부터 리튬을 탈착 시키는 탈착액화순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해수를 선체의 내부로 도입하고 배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기술 2 한국등록특허 제1383299호의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며, 리튬 흡착제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리튬 흡착제가 상기 부유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부유체 상에서 상하면이 개구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리튬 흡착제가 통과하는 흡착조;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흡착조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조를 통과한 리튬 흡착제가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해수에 잠긴 상태에서 리튬 이온이 흡착되는 케이지;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지에서 끌어올려진 리튬 이온이 흡착된 리튬 흡착제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조; 및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세척조에서 이동된 리튬 이온이 흡착된 리튬 흡착제의 리튬 이온을 탈착하기 위한 탈착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회수 스테이션을 제시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2의 리튬 회수 스테이션은 리튬 흡착제를 해상에 부유시킨 스테이션 자체에 설치된 흡착조 케이지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리튬을 흡착시켰는데, 대형화 과정에서 적용하는 리튬 흡착제의 양이 방대해질 경우, 이를 수용하기 위한 엄청난 크기의 흡착조 및 케이지의 제작이 요구되며, 이는 결국 리튬 회수 스테이션의 초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 2는 해상에서의 리튬 회수 스테이션의 플랜트 건설비용과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088420호 (2002.03.27) 한국등록특허 제1383299호 (2014.04.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건설비용과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되는 수중거치대(100);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되며,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는 리튬 흡착제(200); 상기 수중거치대(100)에서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를 세척하는 세척조(320)와, 상기 세척조(320)에서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탈착조(330)가 설치되며,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연안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박(300); 및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되는 저장고(500)로 이송하는 이송펌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안착되는 수중추(110)와, 상기 수중추(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중케이스(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케이스(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 둘레에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하면 테두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단(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는 리튬 흡착제(200)를 둘러싸는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방법은 수중거치대(100)를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하는 제1단계;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여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게 하는 제2단계; 이동선박(300)을 상기 수중거치대(100) 근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세척조(320)로 이송하여 세척하는 제4단계; 상기 세척조(320)에서 세척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탈착조(330)로 이송하여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이 탈착되게 하는 제5단계;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이동선박(300)을 연안으로 이동시키는 제6단계; 및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된 저장고로 이송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안착되는 수중추(110)와, 상기 수중추(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중케이스(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케이스(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 둘레에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하면 테두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단(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리튬 흡착제(200)를 케이지로 둘러싸는 제2-1단계와,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는 다량의 리튬 흡착제를 사용하여 해수 중의 리튬을 회수할 때, 대용량의 리튬 흡착제 장치 구성을 해상의 특정 구조물 혹은 부유체에 설치하지 않고 해저면의 수중거치대를 이용하여 근해의 넓은 해수 중에 거치하는 방식으로써, 해상에서의 리튬 흡착설비와 이동선박의 대형화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 건설비용과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이동선박이 근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에서 끌어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이동선박의 세척조에서 탈착조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이동선박이 연안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탈착조에 채워진 리튬 이온이 이송펌프에 의해 저장고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이동선박이 근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에서 끌어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이동선박의 세척조에서 탈착조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이동선박이 연안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탈착조에 채워진 리튬 이온이 이송펌프에 의해 저장고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는 수중거치대(100), 리튬 흡착제(200), 이동선박(300), 이송펌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튬 흡착제(200)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되며,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된다.
여기에서 리튬 흡착제(200)는 이온 교환에 의하여 리튬을 흡착할 수 있는 고선택성 리튬 흡착제(200)가 이용될 수 있으며, 망간 산화물일 수 있다.
이 때, 망간 산화물은 스피넬형 망간 산화물, 특히 3차원(1X3) 터널 구조를 가지는 스피넬형 망간 산화물이 바람직하며, 화학식 HnMn2-xO4(식 중, 1≤n≤1.33, 0≤x≤0.33, n≤1+x임)로 나타나는 망간 산화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H1.33Mn1.67O4가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성능이 향상된 H1.6Mn1.6O4 등과 같은 변형된 망간 산화물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선박(300)은 크레인(310), 세척조(320), 탈착조(330)이 설치된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310)은 상기 리튬 흡착제(20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조(320)는 상기 이동선박(3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중거치대(100)에서 상기 크레인(310)에 의해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를 세척한다.
이 때, 상기 세척조(320)는 리튬 이온이 흡착된 리튬 흡착제(200)에 부착된 염분 및 불순물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조(330)는 상기 이동선박(300)의 상면에 상기 세척조(32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320)에서 상기 크레인(310)에 의해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을 탈착한다.
이 때, 상기 탈착조(330)에는 상기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이 좀 더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튬 흡착제(200)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 진동자(미도시)가 내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선박(300)의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상기 이동선박(300)이 연안으로 이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펌프(400)는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된 저장고로 이송한다.
종래의 리튬 회수 스테이션은 리튬 흡착제를 해상에 부유시킨 스테이션 자체에 설치된 흡착조 케이지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리튬을 흡착시켰는데, 대형화 과정에서 적용하는 리튬 흡착제의 양이 방대해질 경우, 이를 수용하기 위한 엄청난 크기의 흡착조 및 케이지의 제작이 요구되며, 이는 결국 리튬 회수 스테이션의 초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는 다량의 리튬 흡착제를 사용하여 해수 중의 리튬을 회수할 때, 대용량의 리튬 흡착제 장치 구성을 해상의 특정 구조물 혹은 부유체에 설치하지 않고 해저면의 수중거치대를 이용하여 근해의 넓은 해수 중에 거치하는 방식으로써, 해상에서의 리튬 흡착설비와 이동선박의 대형화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 건설비용과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안착되는 수중추(110)와, 상기 수중추(110)이 상측에 결합되는 수중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중케이스(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 둘레에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근해의 조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도 상기 절곡단(121)을 통해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내부로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튬 흡작제(200)는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내부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 테두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단(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310)의 장착고리(상기 크레인(310)의 단부)에는 상기 리튬 흡착제(20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수중거치대(100)의 내부에 삽입된 리튬 흡착제(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리튬 흡착제를 상기 크레인(310)의 장착고리에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는 상기 리튬 흡착제(200)가 근해의 조류에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리튬 흡착제(200)를 둘러싸는 케이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수에 부식이 방지되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및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수중거치대(100)를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한다.
상기 제2단계는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여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게 한다.
상기 제3단계는 이동선박(300)을 상기 수중거치대(100) 근처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세척조(320)로 이송하여 세척한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세척조(320)에서 세척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탈착조(330)로 이송하여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이 탈착되게 한다.
상기 제6단계는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이동선박(300)을 연안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7단계는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된 저장고로 이송한다.
한편,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안착되는 수중추(110)와, 상기 수중추(110)이 상측에 결합되는 수중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중케이스(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 둘레에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근해의 조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도 상기 절곡단(121)을 통해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내부로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튬 흡작제(200)는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내부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 테두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단(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리튬 흡착제(200)가 근해의 조류에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리튬 흡착제(200)를 케이지로 둘러싸는 제2-1단계와,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의 리튬 흡착제가 수중거치대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100 : 수중거치대
110 : 수중추
120 : 수중케이스
121 : 절곡단
200 : 리튬 흡착제
210 : 경사단
300 : 이동선박
310 : 크레인
320 : 세척조
330 : 탈착조
400 ; 이송펌프
500 : 저장고

Claims (12)

  1.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되는 수중거치대(100);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되며,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는 리튬 흡착제(200);
    상기 수중거치대(100)에서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를 세척하는 세척조(320)와, 상기 세척조(320)에서 이송된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탈착조(330)가 설치되며,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연안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박(300); 및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되는 저장고(500)로 이송하는 이송펌프(4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안착되는 수중추(110)와, 상기 수중추(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중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중케이스(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 둘레에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다수 설치되며,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하면 테두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단(210)이 형성되며,
    상기 탈착조(330)에는 상기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는
    리튬 흡착제(200)를 둘러싸는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1000).
  7. 수중거치대(100)를 근해의 해저면에 설치하는 제1단계;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여 해수에 포함된 리튬 이온이 흡착되게 하는 제2단계;
    이동선박(300)을 상기 수중거치대(100) 근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세척조(320)로 이송하여 세척하는 제4단계;
    상기 세척조(320)에서 세척된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이동선박(300)에 설치된 탈착조(330)로 이송하여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이 탈착되게 하는 제5단계;
    상기 탈착조(330)에 리튬 이온이 기준 수치 이상 채워지면 이동선박(300)을 연안으로 이동시키는 제6단계; 및
    상기 탈착조(330)에 채워진 리튬 이온을 연안에 설치된 저장고로 이송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안착되는 수중추(110)와, 상기 수중추(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중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중케이스(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 둘레에 상기 수중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중거치대(100)는 근해의 해저면에 다수 설치되며,
    상기 리튬 흡착제(200)는 하면 테두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단(210)이 형성되며,
    상기 탈착조(330)에는 상기 리튬 흡착제(200)에 흡착된 리튬 이온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리튬 흡착제(200)를 케이지로 둘러싸는 제2-1단계와,
    리튬 흡착제(200)를 상기 수중거치대(100)에 거치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방법.
KR1020150013275A 2015-01-28 2015-01-28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54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75A KR101544353B1 (ko) 2015-01-28 2015-01-28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US15/007,778 US10087083B2 (en) 2015-01-28 2016-01-27 Underwater holding-type lithium re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rof
EP16152885.6A EP3050981B1 (en) 2015-01-28 2016-01-27 Underwater holding-type lithium re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1610056377.8A CN105819536B (zh) 2015-01-28 2016-01-27 水下放置式锂回收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75A KR101544353B1 (ko) 2015-01-28 2015-01-28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353B1 true KR101544353B1 (ko) 2015-08-17

Family

ID=5406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275A KR101544353B1 (ko) 2015-01-28 2015-01-28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7083B2 (ko)
EP (1) EP3050981B1 (ko)
KR (1) KR101544353B1 (ko)
CN (1) CN105819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48B1 (ko) * 2017-03-31 2017-09-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이온 흡탈착 공정을 위한 육상형 리튬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회수방법
US11365128B2 (en) 2017-06-15 2022-06-21 Energysource Minerals Llc Process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CN108220593B (zh) * 2018-02-01 2024-01-30 陕西省膜分离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移动吸附采集锂铷设备平台
JP2021523003A (ja) * 2018-05-01 2021-09-02 アトキンス エナジー プロダクツ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Atkins Energy Products & Technology, Llc. 回転床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915684B1 (ko) * 2018-07-06 2018-11-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흡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420A (ja) 2000-09-13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リチウム採取装置
KR101383299B1 (ko) 2013-09-30 2014-04-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회수 스테이션
KR101403364B1 (ko) 2012-10-30 2014-06-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리튬 흡착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4679C2 (de) * 1978-12-18 1984-07-05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Verfahren zur Gewinnung von Schwermetallverbindungen, insbesondere von Uran aus natürlichen Wässern, insbesondere aus dem Meer
JPH01108324A (ja) * 1987-10-22 1989-04-25 Tokyu Constr Co Ltd 海水ウラン採取装置
US6333078B1 (en) * 1998-12-14 2001-12-25 Japan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Collector of dissolved metal from sea water having an amidoxime group and a hydrophilic group, a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612554B2 (ja) * 2000-06-07 2005-01-19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海水中の特定成分の回収装置
CN1810353A (zh) 2005-12-15 2006-08-02 北京矿冶研究总院 一种制备锂离子筛吸附剂的方法
JP4887541B2 (ja) * 2008-06-20 2012-02-29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海水中金属の回収船および回収方法
JP2012504190A (ja) * 2008-09-29 2012-02-16 韓国地質資源研究院 分離膜貯留層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装置、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吸脱着システム
KR101047986B1 (ko) * 2010-11-26 2011-07-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CN103045879B (zh) 2011-10-11 2014-06-25 浙江海洋学院 一种规模化提取海水中微量锂离子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420A (ja) 2000-09-13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リチウム採取装置
KR101403364B1 (ko) 2012-10-30 2014-06-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리튬 흡착 장치 및 방법
KR101383299B1 (ko) 2013-09-30 2014-04-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회수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0981B1 (en) 2018-03-14
US10087083B2 (en) 2018-10-02
CN105819536A (zh) 2016-08-03
US20160214869A1 (en) 2016-07-28
CN105819536B (zh) 2018-09-14
EP3050981A1 (en)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353B1 (ko)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US10385423B2 (en) Sea water lithium-recovery device and lithium-recovery station using coastal-water-based lithium-adsorption equipment and shore-based lithium-isolation equipment, and lithium desorption device using aeration
US10478751B2 (en) Onshore lithium-recovering apparatus for lithium ion adsorption and desorption process and lithium-recover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124859B2 (en) Lithium adsorption-desorption apparatus and lithium adsorption-desorp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2918170B (zh) 利用逆流倾析工艺的锂离子吸附/解吸装置及其方法
NO336915B1 (no) Autonomt apparat for renhold av overflaten til en dykket struktur
KR101383299B1 (ko) 리튬 회수 스테이션
CN203583447U (zh) 水面浮萍清理机
CN102381749B (zh) 一种低浓度含汞废水的处理方法
JP2002088420A (ja) 海中リチウム採取装置
KR101388548B1 (ko) 근해의 리튬 흡착설비와 연안의 리튬 분리설비를 사용한 해수의 리튬 회수장치
KR10140336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리튬 흡착 장치 및 방법
KR20190042404A (ko) 해수 용존 리튬 회수 저장 장치 및 방법
CN202168407U (zh) 多功能水质处理器
CN102293176B (zh) 多功能水质处理装置
CN204848370U (zh) 一种水压反渗透海水淡化装置
CN207694337U (zh) 一种用于氨基酸加工的分离提纯装置
KR20110098436A (ko) 용존 금속원소 추출 장치 및 방법
CN205821123U (zh) 一种氰化尾矿渗滤液悬浮处理反应器
CN204800896U (zh) 一种活动滤网分离泥沙和塑料模板碎粒装置
KR101410698B1 (ko) 조류발생방지용 인제거장치
CN202226942U (zh) 连续阳极氧化处理装置
CN104086000A (zh) 环保水质净化器
CN202903534U (zh) 一种湿法冶炼检测用取样装置
JPH02102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