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1284A1 - 조향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향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1284A1
WO2010071284A1 PCT/KR2009/003580 KR2009003580W WO2010071284A1 WO 2010071284 A1 WO2010071284 A1 WO 2010071284A1 KR 2009003580 W KR2009003580 W KR 2009003580W WO 2010071284 A1 WO2010071284 A1 WO 20100712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nsing device
housing
cover
sensor assembly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35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980150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56860B/zh
Priority to EP17151272.6A priority patent/EP3178726B1/en
Priority to US13/139,657 priority patent/US8590370B2/en
Priority to JP2011540590A priority patent/JP5542149B2/ja
Priority to EP09833562.3A priority patent/EP2360079B1/en
Publication of WO20100712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1284A1/ko
Priority to US14/063,157 priority patent/US9389148B2/en
Priority to US15/130,410 priority patent/US10093350B2/en
Priority to US16/125,083 priority patent/US1058385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ower steering sens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sensor assembly capable of realizing a firm coupling between a sensing device and a housing.
  •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through the steering wheel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driving.
  • Recent electric steering systems include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a torque sensing device for driving stability and user convenience.
  •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is a device for sensing a steering degree in order to control a driving vehicle
  • the torque sensing device is a device for sensing torque applied to the torsion bar to provide an auxiliary operation force for smoothl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the torque sensing device may be configured as individual devices and mounted in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respectively, o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and mounted in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 Such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a torque sensing device are assembled together with other constituent members such as a housing and then mounted in an electric steering system (hereinafter,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the torque sensing device are referred to as "sensing devices", and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The assembly of the other constituent members, the assembly of the torque sensing device and the other constituent members and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the torque sensing device and the other constituent members are referred to as "steering sensor assemblies" for convenience).
  • the steering sensor assembly includes the sens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first and second housings for receiving the sensing device.
  • the sensing device located in the housing should be fixed in the housing.
  • an auxiliary member such as an O-ring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and then the sensing device is placed inside the housing.
  • the o-ring may be displaced or released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ens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occur when mounting the sensing device in the housing, to provide a steering sensor assembly that can maintain a stabl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sensing device and the housing without using a separate auxiliary member
  • the purpose is.
  • the steering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includes a sens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ensing device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having an open upper en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ensing device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Inserted into the grooves respectively, the sensing device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without radial and axial flow.
  • the steering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housing engaged with the first housing to isolate the sensing device from the outside.
  •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ensing device consists of two bar shaped member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 the bar-shaped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each contact protrusion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wo coupling protrusions.
  • the steering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astening structure in the sensing device and the housing, which are constituent members,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n o-ring, so that the sens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without radial and axial movement of the sensing device. It has the effect of fastening firmly and stably.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lectric steering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and 2 are plan views of the electric steering sensor assembly with the second housing removed in FIGS. 1 and 2;
  • FIGS.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S.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4.
  • the "sensing device” refers to any one of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 torque sensing device, or a combination of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a torque sensing device which are members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 FIG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electric steering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electric steering sensor assembly with the second housing removed in FIGS. 1 and 2 and FIG. 4 is shown in FIGS.
  • Steering sensor assembly 100 is the first housing 110, the sensing device 130 and the first housing fixedly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second housing 120 engaged with the 110.
  • an input shaft 10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not shown) and an output shaft 20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10 through a torsion bar (not shown) and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not shown) ar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ensing device 130.
  • the sensing device 100 senses the steering angle and / or torque transmitted by the input shaft.
  • the input shaft 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ousing 120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member
  • the output shaft 40 is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110 (not shown) Extends outward and connects with another outer member.
  •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1, 112, and 11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housing 110 in which the sensing device 130 is accommodated.
  • the joining grooves 111, 112 and 113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joining groove having an open top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 a plurality of protruding coupl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circular sensing device shown in FIGS. 2 and 3) are provided. Is formed. Coupl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correspond to coupling grooves 111, 112, and 113 of first housing 110, respectively.
  • the coupl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ar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It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grooves 111, 112, and 113 of 110, respectively, so that the sensing device 130 is received without flow in the first housing 110.
  • each engaging projection (for example, 131) is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state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110 (that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lar sensing device shown in Figures 2 and 3). It is composed of two bar shaped members (131-1 and 131-2), in particular the bar-shaped members (131-1 and 131-2) are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each coupling protrusion (eg, 131) of the sensing device 130 is the depth of the coupling groove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Ie radial length).
  • the tip of each bar-shaped member 131-1 and 131-2 is terminated in the end wall of the coupling groove 111. (Radial end side) is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sensing device 130 does not flow radially in the first housing 10.
  • each coupling protrusion (eg, 131) of the sensing device 130 is the height of the coupling groove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I.e., axial length).
  • the coupling protrusion 13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by these conditions, the bottom surfaces of the bar members 131-1 and 131-2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the sensing device 130 does not axially flow in the first housing 10.
  • contact protrusions 141, 142, and 143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130.
  • the contact protrusions 141, 142, and 143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housing 110 to prevent the sensing device 130 from moving or twisting radially in the first housing 110.
  • the contact protrusions 141, 142, and 143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and are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130.
  • the contact protrusions 141, 142, and 143 may be selectively formed, and the sensing protrusions 130 may be more firmly received in the first housing 110 by the contact protrusions 141, 142, and 143. .
  • both housings 110 and 120 By fastening the fastening screw to the fastening portions 114 and 124 in the state corresponding to), both housings 110 and 120, which are accommodated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device 130 is fixed therein, are fastened to each other.
  • a fastening means for example, a fastening screw (not shown) pass
  • each coupling protrusion (eg, 131) of the sensing device 1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Because of the contact,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nsing device 130 is also suppressed.
  • the sensing device 130 illustrated in FIGS. 1 to 4 has a disc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 the sensing device 130 may have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triangle
  •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may have a polygonal column shape whose cross section is the same polygon as the shape of the sensing device 130.
  • the sensing device 1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 torque sensing device, or a combination of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a torque sensing device.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4, showing a combination of a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a torque sensing device.
  • the sensing device 130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and the torque sens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ver C1, a second cover C2, and a third cover C3.
  • a component of the torque sens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C1 and the second cover C2, and a component of the steering angle sens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ver C2 and the third cover C3.
  • the first cover C1, the second cover C2, and the third cover C3 are fastened and assemb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ensing device 130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the sensing device 130 is provided.
  • the steering sensor assembly is configured by receiving a within the first housing 110.
  • the coupl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and the contact protrusions 141, 142, and 143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ver C2 as shown in FIG. 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적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센싱 장치와 하우징 간의 안정적인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동식 조향 시스템에 장착되는 조향 센서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센서 조립체는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 센싱 장치; 센싱 장치가 내부에 수용되며, 내주면에 상단이 개방된 다수의 결합 그루브가 형성된 제 1 하우징을 포함하여, 센싱 장치가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될 때, 센싱 장치의 결합 돌기가 제 1 하우징의 결합 그루브 내에 각각 삽입되어 센싱 장치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유동 없이 제 1 하우징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조향 센서 조립체
본 발명은 조향 센서 조립체 (Electric Power Steering Sensor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싱 장치와 하우징 간의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조향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조향 시스템(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은 주행 중인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조향 핸들을 통해 조향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최근의 전동식 조향 시스템은 주행 안정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위하여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를 포함한다.
조향각 센싱 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향 정도를 센싱하기 위한 장치이며, 또한 토크 센싱 장치는 조향 핸들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 조작력을 제공하기 위해 토션 바에 걸리는 토크를 센싱하는 장치이다.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는 개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전동식 조향 시스템 내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단일의 장치로 구성되어 전동식 조향 시스템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는 하우징과 같은 다른 구성 부재들과 함께 조립된 후 전동식 조향 시스템에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조향각 센싱 장치 및 토크 센싱 장치를 "센싱 장치"로 칭하며, 조향각 센싱 장치와 다른 구성 부재의 조립체, 토크 센싱 장치와 다른 구성 부재의 조립체 그리고 조향각 센싱 장치, 토크 센싱 장치 및 다른 구성 부재의 조립체를 편의상 "조향 센서 조립체"라 칭한다).
이와 같은 센싱 장치는 외부의 환경에 민감하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밀폐된 상태로 장착된다. 즉, 조향 센서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한 센싱 장치와 센싱 장치를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 내에 위치한 센싱 장치는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센싱 장치의 외주면에 오-링 (O-ring)과 같은 보조 부재를 장착한 후, 센싱 장치를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링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센싱 장치가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하우징 내에 센싱 장치를 장착하는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오-링 이라는 부가적인 부재를 준비하여 센싱 장치에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력(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차량에 장착된 전동식 조향 시스템에서 오-링이 센싱 장치의 최초 위치에서 틀어지거나 센싱 장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싱 장치를 하우징에 장착할 때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보조적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센싱 장치와 하우징 간의 안정적인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향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전동식 조향 시스템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센서 조립체는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가 내부에 수용되며, 내주면에 상단이 개방된 다수의 결합 그루브가 형성된 제 1 하우징을 포함하여, 센싱 장치가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될 때, 센싱 장치의 결합 돌기가 제 1 하우징의 결합 그루브 내에 각각 삽입되어 센싱 장치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유동 없이 제 1 하우징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센서 조립체는 제 1 하우징과 체결되어 센싱 장치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센싱 장치의 결합 돌기는 센싱 장치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바형(bar shaped)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때, 바형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센싱 장치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 돌기를 포함하며, 각 접촉 돌기는 2개의 결합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센서 조립체는 오-링과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구성 부재인 센싱 장치 및 하우징에 체결 구조를 형성하여 센싱 장치의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이동 없이 센싱 장치를 하우징에 견고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 센서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제 2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전동식 조향 센서 조립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전동식 조향 센서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센싱 장치"는 전동식 조향 시스템의 구성 부재인 조향각 센싱 장치, 토크 센싱 장치 또는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 센서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2에서 제 2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전동식 조향 센서 조립체의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시 조향 센서 조립체(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110),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센싱 장치(130) 및 제 1 하우징(110)과 체결되는 제 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한편, 조향 핸들(미도시)과 연결된 입력축(10) 및 입력축(10)에 토션 바(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되고 조향륜(미도시)과 연결된 출력축(20)은 센싱 장치(1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부 내에 위치하며, 따라서, 센싱 장치(100)는 입력축에 의하여 전달된 조향각 및/또는 토크를 센싱한다.
여기서, 입력축(10)은 제 2 하우징(120)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121)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 부재와 연결되며, 출력축(40)은 제 1 하우징(110)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또 다른 외부 부재와 연결된다.
센싱 장치(130)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110)의 측벽 상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결합 그루브(111, 112 및 113)가 형성된다. 결합 그루브(111, 112 및 113)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며, 각 결합 그루브는 상단이 개방되고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갖는다.
센싱 장치(13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과 수직인 방향(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원형 센싱 장치에서는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된 다수의 결합 돌기(131, 132 및 133)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131, 132 및 133)는 제 1 하우징(110)의 결합 그루브(111, 112 및 113)와 각각 대응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센싱 장치(130)와 제 1 하우징(110)의 구조에서는, 센싱 장치(130)가 제 1 하우징(110) 내에 위치할 때, 결합 돌기(131, 132 및 133)는 제 1 하우징(110)의 대응 결합 그루브(111, 112 및 113) 내에 각각 삽입, 지지되며, 따라서 센싱 장치(130)는 제 1 하우징(110) 내에 유동 없이 수용된다.
한편, 각 결합 돌기(예를 들어, 131)는 센싱 장치(110)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주면과 평행인 방향(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원형 센싱 장치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바형 부재(131-1 및 131-2; bar shaped members)로 구성되며, 특히 바형 부재(131-1 및 131-2)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형 부재(131-1 및 131-2)가 서로를 향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결합 돌기(131)가 제 1 하우징(110)의 결합 그루브(111) 내에 삽입될 때, 각 바형 부재(131-1 및 131-2)의 외측면은 부재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 그루브(111)의 측벽면에 밀착하며, 따라서 센싱 장치(130)는 제1 하우징(10) 내에서 회전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장치(130)의 각 결합 돌기(예를 들어, 131)의 길이, 즉 바형 부재(131-1 및 131-2)의 길이는 제 1 하우징(110)의 결합 그루브(111)의 깊이(즉, 반경 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이러한 조건에 의하여 결합 돌기(131)가 제 1 하우징(110)의 결합 그루브(111) 내에 삽입될 때, 각 바형 부재(131-1 및 131-2)의 선단은 결합 그루브(111)의 종단벽면(반경 방향 종단측)에 밀착하며, 따라서 센싱 장치(130)는 제1 하우징(10)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센싱 장치(130)의 각 결합 돌기(예를 들어, 131)의 높이, 즉 바형 부재(131-1 및 131-2)의 높이는 제 1 하우징(110)의 결합 그루브(111)의 높이(즉, 축 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이러한 조건에 의하여 결합 돌기(131)가 제 1 하우징(110)의 결합 그루브(111) 내에 삽입될 때, 각 바형 부재(131-1 및 131-2)의 하단면은 결합 그루브(111)의 바닥면에 밀착하며, 따라서 센싱 장치(130)는 제1 하우징(10)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센싱 장치(130)의 외주면 상에는 접촉 돌기(141, 142 및 143)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 돌기(141, 142 및 143)는 제 1 하우징(110)의 측벽 내주면에 접촉하여 센싱 장치(130)가 제 1 하우징(110)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접촉 돌기(141, 142 및 143)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싱 장치(130)의 외주면 상에 결합 돌기(131, 132 및 133)와 교대로 배치된다. 이러한 접촉 돌기(141, 142 및 143)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접촉 돌기(141, 142 및 143)에 의해 센싱 장치(130)는 제 1 하우징(110) 내에 보다 견고하게 수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제 1 하우징(110) 내에 센싱 장치(130)를 위치시킨 후, 제 2 하우징(120)을 제 1 하우징(110)에 체결한다. 제 1 하우징(110)과 제 2하우징(120)의 외주면에는 체결 수단, 예를 들어 체결 스크류(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체결부(114 및 124)가 각각 형성되며, 양 하우징(110 및 120)이 대응한 상태에서 체결 스크류를 체결부(114 및 124)에 체결함로써 내부에 센싱 장치(130)가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양 하우징(110 및 120)은 서로 체결된다.
이때, 센싱 장치(130)의 각 결합 돌기(예를 들어, 131)를 구성하는 각 바형 부재(131-1 및 131-2)의 상단면은 제 2 하우징(120)의 외곽부의 하단 원주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센싱 장치(130)의 상향 이동 역시 억제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센싱 장치(130)은 그 형상이 원판 형상이고, 제 1 및 제 2 하우징(110 및 120)은 원통 형상을 갖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센싱 장치(130)을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하우징(110 및 120)은 그 단면이 센싱 장치(130)의 형상과 동일한 다각형인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싱 장치(130)는 조향각 센싱 장치, 토크 센싱 장치 또는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의 조합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의 조합체가 센싱 장치(130)로 사용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의 조합체를 도시한다.
조향각 센싱 장치와 토크 센싱 장치의 조합체인 센싱 장치(130)는 제 1 커버(C1), 제 2 커버(C2) 및 제 3 커버(C3)를 포함한다.
제1 커버(C1)와 제 2 커버(C2) 사이에는 토크 센싱 장치의 구성 요소가 배치되고, 제 2 커버(C2)와 제 3 커버(C3) 사이에는 조향각 센싱 장치의 구성 요소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1 커버(C1), 제 2 커버(C2) 및 제 3 커버(C3)를 서로 체결 조립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센싱 장치(130)가 구성되며, 이 센싱 장치(130)가 제 1 하우징(110) 내에 수용됨으로써 조향 센서 조립체가 구성된다.
여기서, 토크 센싱 장치와 조향각 센싱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 및 기능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사항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한되지는 않지만, 위에서 설명한 결합 돌기(131, 132 및 133)와 접촉 돌기(141, 142 및 1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C2)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구성만을 설명하였을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전동식 조향 시스템 내에 장착되는 조향 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입력축과 출력축이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 센싱 장치;
    센싱 장치가 내부에 수용되며, 내주면에 상단이 개방된 다수의 결합 그루브가 형성된 제 1 하우징을 포함하여,
    센싱 장치가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될 때, 센싱 장치의 결합 돌기가 제 1 하우징의 결합 그루브 내에 각각 삽입되어 센싱 장치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유동 없이 제 1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센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하우징과 체결되어 센싱 장치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며, 하단 외곽부 표면이 결합 돌기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조향 센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센싱 장치의 결합 돌기는 센싱 장치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주면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바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각 바형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향 센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센싱 장치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조향 센서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각 접촉 돌기는 2개의 결합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조향 센서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제 1 커버;
    제 1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 2 커버; 및
    제 2 커버의 일측에 결합된 제 3 커버를 포함하되,
    제 1 커버와 제 2 커버 사이에는 토크 센싱 장치의 구성 요소가 배치되고, 제 2 커버와 제 3 커버 사이에는 조향각 센싱 장치의 구성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조향 센서 조립체.
PCT/KR2009/003580 2008-12-16 2009-07-01 조향 센서 조립체 WO2010071284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50627.2A CN102256860B (zh) 2008-12-16 2009-07-01 转向传感器组件
EP17151272.6A EP3178726B1 (en) 2008-12-16 2009-07-01 Steering sensor assembly
US13/139,657 US8590370B2 (en) 2008-12-16 2009-07-01 Steering sensor assembly
JP2011540590A JP5542149B2 (ja) 2008-12-16 2009-07-01 パワーステアリングセンサ組立体
EP09833562.3A EP2360079B1 (en) 2008-12-16 2009-07-01 Steering sensor assembly
US14/063,157 US9389148B2 (en) 2008-12-16 2013-10-25 Steering sensor assembly
US15/130,410 US10093350B2 (en) 2008-12-16 2016-04-15 Steering sensor assembly
US16/125,083 US10583858B2 (en) 2008-12-16 2018-09-07 Steering sens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91U KR200470045Y1 (ko) 2008-12-16 2008-12-16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20-2008-0016691 2008-12-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139,657 A-371-Of-International US8590370B2 (en) 2008-12-16 2009-07-01 Steering sensor assembly
US14/063,157 Continuation US9389148B2 (en) 2008-12-16 2013-10-25 Steering sens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1284A1 true WO2010071284A1 (ko) 2010-06-24

Family

ID=4226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3580 WO2010071284A1 (ko) 2008-12-16 2009-07-01 조향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8590370B2 (ko)
EP (2) EP3178726B1 (ko)
JP (3) JP5542149B2 (ko)
KR (1) KR200470045Y1 (ko)
CN (2) CN102256860B (ko)
WO (1) WO2010071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45Y1 (ko) * 2008-12-16 2013-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1285518B1 (ko) * 2009-07-15 2013-07-17 주식회사 만도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KR101708942B1 (ko) * 2010-12-21 2017-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앵글센서와 컬럼하우징의 결합구조
KR101236580B1 (ko) * 2010-12-21 2013-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앵글센서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KR101894857B1 (ko) * 2012-03-28 2018-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앵글센서의 하우징 유닛
CN103424218B (zh) * 2012-05-17 2016-05-04 Lg伊诺特有限公司 转矩角传感器
KR102055800B1 (ko) * 2013-09-27 2019-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
KR102107155B1 (ko) * 2013-12-26 2020-05-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앵글 센서
WO2016032237A1 (ko) 2014-08-28 2016-03-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EP3196101A1 (en) 2014-08-28 2017-07-26 LS Automotive Corp Torque sensor device
FR3035504B1 (fr) * 2015-04-21 2017-04-2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Capteur de mesure du couple d'un arbre d'entrainement
KR102342112B1 (ko) * 2015-09-04 2021-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토크센서유닛
CN105835939A (zh) * 2016-04-27 2016-08-10 四川野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方向盘转角传感器的转向管柱
KR102485023B1 (ko) * 2016-05-17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2509870B1 (ko) * 2016-07-25 2023-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US10739215B2 (en) * 2016-05-17 2020-08-11 Lg Innotek Co., Ltd. Sensor apparatus
JP6683055B2 (ja) * 2016-07-27 2020-04-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444043B2 (en) * 2016-12-18 2019-10-15 Nanning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Lockable casing for vehicle detection device
CN110260187B (zh) * 2019-06-23 2020-08-28 安徽一诺青春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可移动照明的装置
DE102021208078A1 (de) * 2021-07-27 2023-02-02 MICRO-EPSILON-MESSTECHNIK GmbH & Co. K.G. Sensor und System mit einem Sensor und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CN113503929B (zh) * 2021-09-13 2021-11-30 常州瑞尔特测控系统有限公司 多功能复合型传感器及其工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279A (ja) * 1997-12-22 1999-07-09 Showa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トルクセンサー
US6510750B2 (en) * 2000-05-03 2003-01-28 Cts Corporation Steering wheel torque and position sensor
KR20040054889A (ko) * 2002-12-18 2004-06-26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센서
KR20050019146A (ko) * 2003-08-18 2005-03-0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토크 센서
US7095198B1 (en) * 2005-06-16 2006-08-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peed sensor for a power sensor module
KR20060118696A (ko) * 2005-05-17 2006-11-24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877A (ja) * 1981-12-21 1983-06-23 Nissan Motor Co Ltd 操舵力検出装置
US4899597A (en) * 1987-02-27 1990-02-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orque sensor
JPS63210740A (ja) * 1987-02-27 1988-09-01 Honda Motor Co Ltd トルクセンサ
JPH0418072U (ko) * 1990-06-04 1992-02-14
JP3674177B2 (ja) * 1996-09-03 2005-07-20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トルクセンサ用コイルボビンのコイル巻き付け構造、トルクセンサ用コイルボビン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5763793A (en) * 1997-01-16 1998-06-09 Methode Electronics, Inc. Error correcting torque sensor
JPH10221186A (ja) * 1997-02-07 1998-08-21 Yaskawa Electric Corp 磁歪式トルクセンサ
JPH10339679A (ja) * 1997-06-06 1998-1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トルクセンサ及びその固定子の回転規制部材
US6190264B1 (en) * 1999-04-21 2001-02-20 Bi Technologies Corporation Low-hysteresis coupling for angular-position and torque sensor
JP2002005760A (ja) * 2000-06-27 2002-01-09 Tokyo Shiyouketsu Kinzoku Kk 非接触式変位センサー用磁心
US6546816B2 (en) * 2001-08-31 2003-04-15 Cts Corporation Eccentricity compensator with low hysteresis for use between two non-coaxial rotating shafts
JP3869715B2 (ja) * 2001-12-17 2007-01-17 ユニシア ジェーケーシー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392757T5 (de) * 2002-06-06 2005-06-16 Nsk Ltd. Elektrische Servolenkvorrichtung
US7360457B2 (en) * 2002-07-24 2008-04-22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6926115B2 (en) * 2002-07-31 2005-08-09 Hitachi Cable, Ltd. Angle sensor, angle-torque sens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unit using same
JP2004340966A (ja) * 2003-05-13 2004-12-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センサおよび回転センサ用の連結部材
US7021160B2 (en) * 2003-06-10 2006-04-04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sensing position and/or torque
JP4345376B2 (ja) * 2003-06-27 2009-10-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操舵装置
JP2005014814A (ja) * 2003-06-27 2005-01-20 Koyo Seiko Co Ltd 操舵装置
JP2005156485A (ja) * 2003-11-28 2005-06-16 Hitachi Ltd トルクセンサのコイル組立体
WO2005068962A1 (de) * 2004-01-20 2005-07-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s lenkwinkels und eines an einer lenkwelle ausgeübten drehmoments
US7174795B2 (en) * 2004-02-06 2007-02-13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non-contacting torque and absolute position sensor for steering applications
FR2872896B1 (fr) * 2004-07-09 2008-01-11 Moving Magnet Tech Capteur de position, notamment destine a la mesure de la torsion d'une colonne de direction
JP3823114B2 (ja) * 2004-07-26 2006-09-2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センサ
US7293476B2 (en) * 2004-08-20 2007-11-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wer sensor module for engine transmission and driveline applications
US7363825B2 (en) * 2005-02-08 2008-04-29 Delphi Technologies, Inc. Non-contact position sensor housing using existing torque sensor probe
KR100655878B1 (ko) * 2006-02-22 2006-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US7562591B2 (en) * 2006-06-26 2009-07-21 KRS Technologies Co. Steering angle sensor
JP4414424B2 (ja) * 2006-12-01 2010-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789191B2 (en) * 2007-04-24 2010-09-07 Sona Koyo Steering Systems Ltd. Electric power assist module for steering system
KR20090002543U (ko) * 2007-09-10 2009-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EP2374691B1 (en) * 2007-11-06 2014-04-23 Honda Motor Co.,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0470045Y1 (ko) * 2008-12-16 2013-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1285518B1 (ko) * 2009-07-15 2013-07-17 주식회사 만도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JP2011185724A (ja) * 2010-03-08 2011-09-22 Honda Motor Co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トルク検出装置
US8448528B2 (en) * 2010-09-27 2013-05-28 Bourns Incorporated Three-piece torque sensor assembly
CN103424218B (zh) * 2012-05-17 2016-05-04 Lg伊诺特有限公司 转矩角传感器
KR102052562B1 (ko) * 2012-11-08 2019-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279A (ja) * 1997-12-22 1999-07-09 Showa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トルクセンサー
US6510750B2 (en) * 2000-05-03 2003-01-28 Cts Corporation Steering wheel torque and position sensor
KR20040054889A (ko) * 2002-12-18 2004-06-26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센서
KR20050019146A (ko) * 2003-08-18 2005-03-0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토크 센서
KR20060118696A (ko) * 2005-05-17 2006-11-24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US7095198B1 (en) * 2005-06-16 2006-08-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peed sensor for a power senso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42149B2 (ja) 2014-07-09
US10093350B2 (en) 2018-10-09
US20190002016A1 (en) 2019-01-03
KR200470045Y1 (ko) 2013-11-25
CN102256860B (zh) 2014-12-10
US20140047914A1 (en) 2014-02-20
US20160229448A1 (en) 2016-08-11
EP2360079B1 (en) 2019-01-30
JP2014032207A (ja) 2014-02-20
CN104494694A (zh) 2015-04-08
US8590370B2 (en) 2013-11-26
US10583858B2 (en) 2020-03-10
EP2360079A4 (en) 2017-05-03
JP6272803B2 (ja) 2018-01-31
EP3178726B1 (en) 2018-09-12
CN102256860A (zh) 2011-11-23
JP5796053B2 (ja) 2015-10-21
EP2360079A1 (en) 2011-08-24
KR20100006435U (ko) 2010-06-24
EP3178726A1 (en) 2017-06-14
JP2012510929A (ja) 2012-05-17
JP2016005954A (ja) 2016-01-14
US20110247408A1 (en) 2011-10-13
US9389148B2 (en) 2016-07-12
CN104494694B (zh)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1284A1 (ko) 조향 센서 조립체
US6988422B2 (en) Magnetic torque sensor including integral sub-units
WO2015046771A1 (ko) 토크센서
CN1522095B (zh) 插头连接机构
WO2018124441A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WO2008082532A3 (en) Connector assembly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WO2012138051A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20256426A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WO2015152591A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 유닛
EP0052531B1 (en) Mounting means of an insert in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O2017146520A1 (ko)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20180094275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전자제어장치
WO2015178722A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틸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18012817A1 (ko) 일방향 클러치
ITRM960766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a cuffia con ghiera con albero in particola re albero cardanico
SU7036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севого креплени деталей на валу
JP4230274B2 (ja) 等速固定ボール継ぎ手
KR102509870B1 (ko) 토크 센서,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2107697B1 (ko) 콜렉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JP2008185170A (ja) 一方向クラッチ
KR19980040166A (ko) 케이블 길이 조정 구조
KR19990032090U (ko) 부품 이탈방지 장치
AU2002219970A1 (en) Miniaturized photosensing instrumentation system
KR20150031600A (ko)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장치의 감지캡
KR20080016150A (ko)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50627.2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3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33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40590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39657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