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51226A2 -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51226A2
WO2009151226A2 PCT/KR2009/002910 KR2009002910W WO2009151226A2 WO 2009151226 A2 WO2009151226 A2 WO 2009151226A2 KR 2009002910 W KR2009002910 W KR 2009002910W WO 2009151226 A2 WO2009151226 A2 WO 200915122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osed
temperature
refrigerant
coo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9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51226A3 (ko
Inventor
박상길
김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텍코리아
Publication of WO200915122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51226A2/ko
Publication of WO200915122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5122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cket type personal air conditioner.
  • an air-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by lowering a room temperature.
  • the air conditioner absorbs hot air heat by evaporation and supplies it to a low temperature in order to keep the indoor air warmed in the heat of summer in a pleasant state. Therefore, the cooling device cools the outside hot air to keep the room cool.
  • the cooling principle of a conventional cooling device uses evaporative heat that takes heat away from the liquid when the liquid evaporates, such as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and a liquid that is easy to evaporate even at low temperature is used as the refrigerant.
  •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in a compressor connected to the motor,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liquefied through the condenser and the liquefied refrigerant is expanded again to evaporate.
  • the heat of the air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is absorbed and cooled, and moisture in the air is removed as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 the air supplied to the evaporator and cooled is forcedly supplied through the blower, and the air cooled in the evaporato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blower to discharge the air cooled by heat exchange into the room.
  • the conventional cooling device can supply the cooled air by blowing while the air supplied by the blower heat exchanges in the evaporator.
  • the heat-exchanged air is cooled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vaporator, and dew condensation occurs when water inside the air falls below the dew point and form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with water droplets. This was done.
  • the conventional cooling device may be cooled by the air cooled by cooling the air supplied by the blowing while discharging the condensation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decreases as the air is indirectly cooled by the coolant generated by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nergy is lost due to the loss of cold air during heat exchange.
  • the cooling device As a conventional cooling device is indirectly cooled by air exchange, the cooling device is less likely to be miniaturized, and the cooling effect is reduced when the outside air is hot. In other words, the cooling effect is reduced in a work sit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high or in a space where air is difficult to communicate. In addition, when the work site itself is to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d caused by cooling has a bad effect on the work site.
  •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60344 discloses "ice vest”, and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4128 (registered August 09, 2006). Discloses an "ice vest”.
  • Each of the devises in common to block the heat of the outside and cool the operator with the coolant from the ice pack cooler as well as forming a storage bag for storing the ice pack on the inner chest and back of the vest these pockets
  • a storage bag for storing the ice pack on the inner chest and back of the vest
  • the above-mentioned ice pack is installed in a frozen state through the refrigeration apparatus so that cold air may be generated from the refrigerant provided therein.
  • the coolant When the coolant is in an ice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emitted to the outside becomes about 0 ° C.
  • the body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orker When the cold air of about 0 ° C. of the ice pack is directly emitted to the worker, the body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orker may be severe and may cause discomfort during contact with the skin.
  • prolonged contact with the ice pack may increase the risk of skin frostbite.
  • the time that the cold air is generated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oling duration.
  • the ice pack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vest provided with a separate pocket to deliver cold air while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orker, the cold air is not transmitted directly reduces the risk of frostbite, temperature difference This prevents the ice pack from melting and reducing the cooling time.
  • the ice pack of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oling effect is reduced as only the cold air generated by itself can not be absorbed when the ice pack is stored in the bag.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ally radiate cold air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ir, easy to carry and wear in the form of a jacket that is easy to carry, direct cooling evaporative cooling method in which cold air is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evaporator tube to cool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cketed personal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power loss, air flow loss, and energy loss.
  • the jacket-type personal cool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hell which can cover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outer shell which can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ell,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and evaporate as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pressure to be a pressure a condens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pansion valve, the refrigerant condensed so as to be evaporated, and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and one side of the condenser, the refrigerant Compressed to be condensed and supplied to the condenser, the compressor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mpressor
  • a motor connected to the compressor to provide a compression pressure to compress the refrigerant, a batter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tor, and a battery connect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motor, and one side of the shell.
  •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rein one side of the compressor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emanating cold air is circulated, and the steam pipe includes the condensation prevention layer. I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o prevent condensation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am pip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ion pipe Can be.
  • the seno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shell,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air sensor and the outer shell and the endothelial sensor connected to send the measured valu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to the control device, the refrigerant supply side of the evaporator tube And a cooling detection sensor connected to send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of the emitted cold air to the control device.
  • the cooling detection sensor may be operated by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outside air detection sensor.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measured at, the temperature at which dew condensation is prevented can be maintained compared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air is cooled so that the dew condens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suppressed, so that the outside air temperature value and the cooling temperature value respectively measured by the outside air sensor and the air conditioning sensor are controlled.
  • the difference may be 2 ⁇ 20 °C.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hell and connected to send the measured value of the outside humidity to the control device.
  • the condensation preventing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endothelial and the outer shell, the endothelial side of the evaporation tube is exposed, the heat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kin side, and disposed between the endothelial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evaporation It may include a heat conductor surrounding the exposed endothelial side of the tube, the heat insulation layer may be blocked to prevent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ion tube is discharged to the outer side and lost, the heat conductor is evaporated Cold air generated in the tube may be delivered to the endothelial side.
  • the belt straps that can wrap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and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lt straps, and further provided with a belt strap device for fastening so that the belt ends are connected and dismantled
  • the belt strap may be fastened by the belt fasten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waist strap of the user is wrapped to firmly support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 the battery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tor, the battery is stored in the interior, and the battery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battery housing, and may include a coolan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The coolant may be stored in the battery housing together with the battery to cool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 a heat sink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or and having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cooling device using the refrigeran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jacket to be used by a user,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improves utilization.
  • the dew condensation is prevent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outside air is directly supplied by the cold air generated by evaporation, the cold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by the evaporation while preventing condensation
  • the jacket-type personal cooling device is prevented from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the cooling efficiency is controlled to be controlled to be a cooling temperature that can improve the cooling effect, condensation is prevented to prevent cold air Direct delivery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oling efficiency to be improved.
  •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battery and the compressor that can generate heat when the cooling device is operating, thereby prevent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operator from being transferred.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is increased.
  • the cold air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to the outer side of the cold air supply portion of the jacket provided with the cooling device,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cold air is improved inward, and condensation phenomenon is prevented by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t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acket-type personal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acket-type personal air conditioner of FIG.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ol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main parts of the jacket-type personal cooling device of FIG.
  •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o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jacketed personal air conditioner of FIG.
  •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which is a main part of the jacketed personal air conditioner of FIG.
  • cooling device 110 jacket portion
  • cooling unit 121 evaporation tube
  • condensation prevention layer 122a heat insulation layer
  • control unit 131 control device
  • cooling detection sensor 133 air detection senso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acket-type persona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jacket-type personal air conditioner of Figure 1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ol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main parts of the jacket-type personal air conditioner of FIG.
  • the jacket-type person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jacket 110, a cooling unit 120, and a controller 130.
  • the jacket 110 includes an endothelial 111 that can cover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an outer shell 112, a belt strap 113, and a belt fastening device 114.
  • Endothelial 111 has a jacket shape that can cover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it is located inside the worker contacts.
  • Endothelial 111 may have a conventional clothes lining form.
  • Endothelial 111 may use a thin cloth as compared to the outer shell 112 as it is located inside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cooling unit 120 is delivered.
  • the outer shell 11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thelial 111 and surrounds the endothelial 111. Outer shell 112 is located outside the endothelial 111, and wraps so that the endothelial 111 is protected. Sheath 112 may have a conventional outer garment form.
  • Belt strap 113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ap surrounding the waist portion of the worker. Belt strap 113 may be installed to support the outer shell 112 and the inner shell 111 surrounding the upper body to the waist portion of the worker.
  • Belt strap fastening device 114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lt strap 113, both ends of the belt strap 113 can be fastened to be interconnected and dismantled.
  • the belt fastening device 114 fastens the belt strap 113 with the belt fastening device 114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the outer shell 112 and the inner shell 111 to firmly secure the inner shell 111 and the outer shell 112. It can be fixed, by the dismantling of the belt fastening device 114 can easily detach the endothelial 111 and the outer shell 112.
  • the cooling unit 12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hell 111 and the outer shell 112 so that the cold air is supplied to the evaporation tube 121, the condensation preventing layer 122, the expansion valve 123, the condenser 124, and the compressor 125. , Motor 126, and battery 127.
  • the evaporation tube 121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112 and the inner shell 111, the cold air is released as the refrigerant supplied therein evaporates.
  • the evaporation tube 121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123, so that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expanded after condensation is absorbed by the evaporation to the outside.
  • the evaporation tube 121 may be wound and installed a plurality of times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cold air to the worker between the inner shell 111 and the outer shell 112.
  • the evaporation tube 121 may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tube. That is, the refrigerant may be supplied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121 while dissipating cold air by evaporation.
  • all the usual refrigerants used for cooling may be used as the refrigerant.
  • R-22 or R-134a may be used.
  • the evaporation tube 121 may have an inner diameter of 1 to 3 mm.
  • the inner diameter of the evaporation tube 121 is 1-3 mm.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inner diameter of the evaporation tube 121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its shape, function, and design.
  • the condensation preventing layer 122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112 and the inner shell 111 and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121.
  • the condensation prevention layer 122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121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outside and the evaporation tube 121.
  • the evaporation tube 121 may generate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ir due to the supply to the refrigerant, and when contacted with the outside ai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moisture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121 due to condensation. Therefore, the condensation prevention layer 12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121, so tha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as the evaporation tube 121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outside air.
  • the anti-condensation layer 122 includes a heat insulating layer 122a and a heat conductor 122b.
  •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112 and the inner shell 111, and the cold air emitted is block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Since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hell 111 and the outer shell 112 where the worker is located, the cold air flowing out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hell 112 is blocked, and the blocked cold air is supplied toward the inner shell 111, whereby cooling efficiency is improved. Is improved.
  • the heat insulating layer 122a may be used any conventional material that can block the leakage of cold air.
  • Polyurethane and polyamide may be used for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 the thermal conductor 122b is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and the endothelium 111, and transmits the emitted cold air toward the endothelium 111.
  • the heat conductor 122b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and the endothelial 111 in which cold air is blocked, and thus the blocked cool air is transferred to the endothelial 111 in contact with the worker, there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 the heat conductor 122b may be any conventional material through which heat is transferred.
  • the thermal conductor 122b an aluminum thin plate, a silver thin plate,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evaporation tube 121 is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and the heat conductor 122b.
  •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the inner skin 111 side of the evaporation tube 121 is exposed and surrounds the outer skin 112 side.
  •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ion tube 121 is wrapped in the heat insulation layer 122a, and thus, the cold air is blocked to flow out to the outer shell 112, and the cold air is supplied to the exposed endothelial 111 so that the cold air may be supplied to the worker without loss.
  • a heat conductor 122b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transfer efficiency is installed on the exposed endothelial 111 side of the evaporation tube 121.
  • the heat conductor 122b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ion tube 121 and the endothelial 111 may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oling air delivered to the endothelial 111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 Expansion valve 123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outer shell 112,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121,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124.
  • the expansion valve 123 expands the refrigerant to be a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ndenser 124 is evaporated.
  • the refrigerant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valve 123 is supplied to the evaporation tube 121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s lowered to improve the evaporation efficiency.
  • the condenser 12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xpansion valve 123,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123,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25.
  • the condenser 124 condense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125 to liquefy and supplies it to the expansion valve 123.
  • the refrigerant must be supplied in a condensed state in order for the cold air to be released by evaporation in the evaporation tube 121.
  • the condenser 124 condenses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123 so that the evaporation is possible.
  • Compressor 125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denser 124,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124,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121.
  • the compressor 125 is pressurized to reuse the refrigerant recovered in the evaporation pipe 121.
  • the compressor 125 pressurizes the refrigerant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ion tube 121 is supplied to allow the cold air to be released again through the condenser 124 and the expansion valve 123.
  • the coolant having the cold air dissipated is supplied to the evaporation tube 121 through the condenser 122 and the expansion valve 123 while being pressurized by the compressor 125, and the cold air is dissipated from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ion tube 121.
  • the refrigerant may be supplied while being circulated as it may be recovered and reused later by the compressor 125.
  • the compressor 125 may add a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nd thus may have a capacity that can be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thus the capacity may be used as 1 to 5 cc. If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125 is less than 1cc, the compression performance is difficult to be exhibited. If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125 is greater than 5cc, the compressor 125 may have a size that is difficult for an individual to carry.
  • a heat sink 124a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or 125.
  • the heat sink 124a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or 125, and may radiate heat generated by the compressor 125 to the outside.
  •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124b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sink 124a.
  • th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124b may increase the external discharge efficiency of heat radiated to the heat dissipation plate 124a. That is, the heat discharg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late 124a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124b disposed in at least one or more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motor 12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125 and is connected to provide power to the compressor 125.
  • the motor 126 is connected to pressuriz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mpressor 125.
  • the refrigerant supplied into the compressor 125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that is compress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126.
  • the battery 12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tor 126 and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of the motor 126.
  • the battery 127 is charged to supply power, and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operate the motor 126.
  • a battery housing 128 accommodated in the battery 127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battery accommodating body 128 has a battery 127 stored therein, and a coolant 129 may be injected together therein.
  • the battery 127 and the coolant 129 may be accommodated together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127 is cooled by the coolant 129, there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heat.
  • the coolant 129 may be a liquid material such as water or a cooling liquid, and may include all materials capable of cooling the battery 127.
  • the battery 127 may increase the risk of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 the battery 127 is stored in the battery housing 128 together with the coolant 129, the risk of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is reduced.
  • the impact caused by the explosion and the debris of the battery generated by the explosion is buffered by the battery housing 128,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the battery 127 explosion.
  • the expansion valve 123, the condenser 124, the compressor 125, the motor 126, and the cooling unit 120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127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lt strap 113.
  •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control device 131, an outside air sensor 133, a cooling sensor 132, and a humidity sensor 134 connected to the motor 126.
  • the control device 13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tor 126 and is connec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126.
  • the control device 13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126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25. That is, when the motor 126 is operated by the control device 131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 large amount of refrigerant may be circulated inside the evaporation tube 121, and thus the cooling temperature may decrease.
  • control device 131 may control the cooling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126.
  • control apparatus 131 is arrange
  • the cooling sensor 132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shell 112 and the inner shell 111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31.
  • the cooling sensor 132 is located on the supply side of the evaporator 12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emitted from the evaporator 121 is sensed.
  •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cooling sensor 132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131.
  • the outside air sensor 133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hell 112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31.
  • the outside air sensor 133 senses the outside temperature and sends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rol device 131.
  • control device 131 detects the cooling temperature supplied from the evaporator tube 121 to the cooling detection sensor 132 so that the operator may have a comfortabl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outside air detected by the outside air detection sensor 133. 126 is operated to allow the cooling temperature to be adjusted.
  •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cooling temperature may be adjusted step by step by the control device 131.
  • the worker may be cooled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the worker may be exposed to diseases such as a cooling bottle, but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 the cooling effect is lost.
  •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work comfort can be improved.
  • the humidity sensor 134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hell 112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31 to send a humidity measurement value of the outside air.
  • the humidity sensor 134 measures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ir and sends the measured humidity value to the control device 131.
  • the control device 131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126 to control the cooling temperature so that condensation may be prevented according to humidity, outdoor temperature, and cooling temperature.
  • the cooling temperature may be maintained by setting a temperature difference in which dew condensation does not occur in a normal humidity range in stages.
  • control device 131 divid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cool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humidity in steps of 3 ° C., 5 ° C., 7 ° C., 10 ° C., 13 ° C., 15 ° C., 17 ° C., 20 ° C., and the like.
  • the control device 131 divid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cool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humidity in steps of 3 ° C., 5 ° C., 7 ° C., 10 ° C., 13 ° C., 15 ° C., 17 ° C., 20 ° C., and the like.
  •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cooling temperature may be adjusted to 2 to 20 ° C.
  • the difference between an outside air temperature and a cooling temperature is 2-20 degree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면을 감쌀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생되는 증발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바깥을 감싸고 있는 결로 방지층,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의 공급되는 압력이 되도록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증발될 수 있도록 응축되어 상기 팽창 밸브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본 발명은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 장치(冷房裝置 ; air-conditioner)는 실내의 온도를 낮추어 시원하게 하는 장치다. 냉방 장치는 여름철의 혹서기에 더워진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증발에 의해 더운 공기 열이 흡수되어 낮은 온도로 공급시킨다. 따라서, 냉방 장치는 외부의 더운 공기를 냉방시켜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통상의 냉방 장치의 냉방 원리는 냉동기, 냉장고처럼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증발열을 이용한 것으로, 냉매로는 저온에서도 증발하기 쉬운 액체가 사용된다. 냉매는 모터와 연결된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를 통해 액화되고 액화된 냉매는 증발되도록 다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를 통해서 이동하면서 증발기의 표면에 접촉된 공기의 열이 흡수되어 냉방시키고, 공기 속의 수분은 증발기의 표면에 물방울이 되어 제거된다. 증발기에 공급되어 냉방되는 공기는 송풍기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공급되고, 증발기에서 냉방된 공기는 송풍기를 통해서 실내로 배출되어 열교환에 의해 냉방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냉방 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증발기에서 열교환되면서 냉방된 공기를 송풍에 의해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되는 공기는 증발기와 접촉되면서 냉방되고, 접촉 시에 공기 내부의 수분이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물방울로 증발기 표면에 맺히는 결로(結露, dew condensation)가 발생되며, 발생된 결로는 외부로 드레인 처리되면서 냉방이 실시되었다.
즉, 통상의 냉방 장치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결로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송풍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냉방시켜 냉방된 공기에 의해 냉방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증발에 의해 발생된 냉기로 공기를 간접 냉방함에 따라 냉방 효율이 떨어지고, 열교환 시에 냉기의 손실이 발생되어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의 냉방 장치는 공기 교환식으로 간접적으로 냉방이 실시됨에 따라 냉방 장치가 소형화 되기 어렵고, 외부 공기가 뜨거울 경우에는 냉방 효과가 축소된다. 즉, 외기의 온도가 높은 작업 현장이나 폐쇄되어 공기의 소통이 어려운 공간에서는 냉방 효과가 축소된다. 또한, 작업 현장 자체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유지되어야 할 경우에는 냉방에 의한 냉기가 작업 현장에 악영향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물공장과 같이 불을 가까이하는 작업현장이나 무더운 여름에 비닐하우스 등의 폐쇄된 공간에서의 육체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더운 열기가 전달되어 작업 환경이 좋지 않고,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였다. 그러나, 통상의 냉방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작업을 위해서 유지된 온도가 떨어져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외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작업자가 개인적으로 냉방되는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더운 작업 환경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얼음팩을 수납할 수 있는 자켓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0344호(1997년05월23일 공개)에는 "얼음조끼"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128호(2006년08월09일 등록)에는 "얼음 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고안들은 공통적으로 외부의 열을 차단하고 얼음팩의 냉매에서 나오는 냉기로 작업자를 시원하게 해 줄뿐만 아니라 조끼 내측 가슴부위와 등부위에 얼음팩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를 형성하여 이들 수납주머니 내에 얼음팩을 수납하여 착용함으로써 비닐하우스, 제철공장 등과 같이 무더운 작업환경에서나 여름철 등산, 낚시 등의 레저활동 시에 냉방을 목적으로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술된 얼음팩은 안쪽에 구비된 냉매에서 냉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냉동 장치를 통해서 얼린 상태로 설치된다. 냉매가 얼음 상태가 되면 외부에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는 0℃ 내외가 된다. 이런, 얼음팩의 0℃ 내외의 냉기가 작업자에게 직접 발산되면 작업자의 체온과 온도 차가 심하여 피부와의 접촉 시에 불쾌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얼음팩과 장시간 접촉되면 피부 동상에 걸릴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팩이 작업자의 높은 체온에 장기간 노출되면 냉기가 발생되는 시간이 축소되어 냉각 지속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얼음팩은 작업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냉기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주머니가 설치된 조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써, 냉기가 직접 전달되지 않아 동상의 위험이 줄어들고, 온도 차의 의해 얼음팩이 녹아 냉각 시간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얼음팩은 주머니에 수납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냉매가 녹을 때 발생되는 수분과 외기와 냉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작업자가 옷이 흠뻑 젖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얼음팩 등의 무게에 의해 작업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얼음팩은 주머니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신체 주위의 열을 흡수할 수 없이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냉기만이 공급됨에 따라 냉각 효과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얼음팩은 냉각 상태에서 녹으면서 냉기가 발산되는 것으로써, 온도 조절이 되지 않아 작업자의 체온과 외기의 온도차가 조절될 수 없음에 따라 온도차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시원함으로 느끼지 못하고 냉방병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냉방이 가능하면서도 냉각 온도가 조절되어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냉방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기와의 온도차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냉기가 발산되고, 휴대가 간편한 자켓 형태로 휴대와 착용이 간편하며, 증발관에서 냉기가 직접 전달되는 직접 증발 냉방 방식으로 냉방에 따른 전력 손실, 공기 유동 손실, 그리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면을 감쌀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생되는 증발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바깥을 감싸고 있는 결로 방지층,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의 공급되는 압력이 되도록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증발될 수 있도록 응축되어 상기 팽창 밸브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관과 연결되어 냉기가 발산된 상기 냉매가 순환되도록 재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증기관은 상기 결로 방지층이 바깥 면을 감싸고 있어 외부 공기와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 상기 증기관의 표면에 발생되는 결로를 방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냉매 공급 측에 위치하고,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냉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냉기의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외기 온도와 비교하여 결로가 방지되는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에서는 상기 모터의 작동 제어로 인해 온고 값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가 억제되도록 냉방되는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 감지 센서와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외기 온도 값과 냉방 온도값의 차이가 2~2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 습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습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로 방지층은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상기 내피 측이 노출되고, 상기 외피 측을 감싸고 있는 단열층, 및 상기 내피와 상기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노출된 상기 내피 측을 감싸고 있는 열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층은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외피 측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차단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내피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피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혁대 끈, 및 상기 혁대 끈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혁대 끝이 연결 및 해체 되도록 체결되는 혁대 체결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혁대 끈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싼 상태로 상기 혁대 체결 장치로 체결되어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 수납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바깥 면에 접촉되는 냉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방제는 상기 배터리와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냉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외측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돌기를 가지는 방열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사용되는 냉방 장치를 사용자 개인이 사용될 수 있도록 자켓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하여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차와 외기의 접촉으로 인해 결로의 발생이 방지되어 증발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직접 공급됨으로써, 결로가 방지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직접 공급될 수 있어 전력 손실, 공기유동 손실, 그리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형태의 개인 냉방 장치는 외기 온도에 따라 결로가 방지되고, 냉방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냉방 온도가 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냉방 효율을 높이고, 결로가 방지되어 냉기의 직접 전달이 가능하여 냉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 장치의 가동 시에 열이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와 압축기에 방열되는 구조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휴대 시에 발생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킴에 따라 냉방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 장치가 설치된 자켓의 냉기 공급 부분의 바깥 측으로 냉기가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고, 안쪽으로 냉기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며, 외기와의 접촉을 방지시켜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면서 냉방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부분인 냉방부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 부분인 압축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 부분인 배터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방 장치 110 : 자켓부
111 : 내피 112 : 외피
113 : 혁대 끈 114 : 혁대 체결 장치
120 : 냉각부 121 : 증발관
122 : 결로 방지층 122a : 단열층
122b : 열전도체 123 : 팽창 밸브
124 : 응축기 125 : 압축기
125a : 방열판 125b : 방열 돌기
126 : 모터 127 : 배터리
128 : 배터리 수납체 129 : 냉각제
130 : 제어부 131 : 제어 장치
132 : 냉각 감지 센서 133 : 외기 감지 센서
134 : 습도 감지 센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부분인 냉방부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100)는 자켓부(110), 냉방부(120), 그리고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자켓부(110)는 작업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111), 외피(112), 혁대 끈(113), 그리고 혁대 체결 장치(114)를 포함한다. 내피(111)는 작업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자켓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작업자가 접촉되는 안쪽에 위치한다. 내피(111)는 통상의 옷 안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피(111)는 냉방부(120)에서 공급된 냉기가 전달되는 안쪽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외피(112)와 비교하여 얇은 옷감을 사용할 수 있다.
외피(112)는 내피(111)의 바깥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피(111)를감싸고 있다. 외피(112)는 내피(111)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어, 내피(111)가 보호되도록 감싸고 있다. 외피(112)는 통상의 옷 겉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혁대 끈(113)은 외피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는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혁대 끈(113)은 상체를 감싸는 외피(112)와 내피(111)를 작업자의 허리 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혁대 체결 장치(114)는 혁대 끈(113)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혁대 끈(113)의 양 끝이 상호 연결 및 해체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혁대 체결 장치(114)는 외피(112)와 내피(111)를 작업자가 작용한 상태에서 혁대 끈(113)을 혁대 체결 장치(114)로 체결하여 내피(111)와 외피(11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혁대 체결 장치(114)의 해체에 의해 내피(111)와 외피(112)를 용이하게 탈착 할 수 있다.
냉방부(120)는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배치되어 냉기가 공급되는 증발관(121), 결로 방지층(122), 팽창 밸브(123), 응축기(124), 압축기(125), 모터(126), 그리고 배터리(127)가 포함된다. 증발관(121)은 외피(112)와 내피(111)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공급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냉기가 발산된다. 증발관(121)은 팽창 밸브(123)에 연결되어 있어 응축 후에 팽창된 냉매가 증발에 의해 열이 흡수되어 발생된 냉기가 외부로 발산된다.
여기서, 증발관(121)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서 작업자에게 냉기의 전달이 원활하도록 복수회 감겨져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121)은 냉매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플렉시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매는 증발관(121)을 통해서 이동되면서 증발에 의한 냉기를 발산시켜 작업자에게 공급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매는 냉방에 사용되는 통상의 모든 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냉매는 R-22 또는 R-134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121)은 내경이 1~3 mm로 형성될 수 있다. 내경이 1 mm 미만인 경우에는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이 높아 증발 전에 통과되어 냉방 효율이 떨어지고, 내경이 3 mm 를 초과하면 직경이 큰 증발관(121)이 통과되는 냉매가 넓은 직경에 공급됨에 따라 압력이 과도하게 요구됨으로써, 압축기(125)의 용량이 증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발관(121)의 내경은 1~3 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증발관(121)의 내경은 당업자가 그 형태와 기능 및 설계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결로 방지층(122)은 외피(112)와 내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증발관(12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다. 결로 방지층(122)은 증발관(12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어 외기와 증발관(121)의 접촉을 방지시킨다. 증발관(121)은 냉매에 공급으로 인해 외기와 온도 차가 발생되고, 온도 차에 의해 외기와 접촉하게 되면 증발관(121)의 표면에 결로 현상으로 인한 습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관(121)의 바깥 면에 결로 방지층(122)이 설치되어 있어 증발관(121)이 외기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결로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결로 방지층(122)은 단열층(122a) 및 열전도체(122b)를 포함한다. 단열층(122a)은 외피(112)와 내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산되는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단열층(122a)은 작업자가 위치한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외피(112) 방향으로 유출되는 냉기를 차단시키고, 차단된 냉기는 내피(111) 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단열층(122a)은 냉기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는 통상의 모든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단열층(122a)에는 폴리 우레탄, 및 폴리 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열전도체(122b)는 단열층(122a)과 내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산되는 냉기를 내피(111) 방향으로 전달시킨다. 열전도체(122b)는 냉기가 차단되는 단열층(122a)과 내피(111)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차단된 냉기가 작업자와 접촉되어 있는 내피(111) 측으로 전달되어 냉방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열전도체(122b)는 열이 전달되는 통상의 모든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열전도체(122b)에는 알루미늄 박판, 및 은박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관(121)은 단열층(122a)과 열전도체(12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단열층(122a)은 증발관(121)의 내피(111) 측은 노출되고, 외피(112) 측을 감싸고 있다. 증발관(121)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단열층(122a)으로 감싸여 있어 외피(11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노출된 내피(111) 측으로 공급되어 작업자에게 냉기를 손실 없이 공급될 수 있다. 증발관(121)의 노출된 내피(111) 측에는 열전달 효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열전도체(122b)가 설치된다. 증발관(121)과 내피(111) 사이에 위치한 열전도체(122b)는 내피(111) 방향으로 전달되는 냉기의 전달 효율을 증대시켜 냉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팽창 밸브(123)는 외피(1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측이 증발관(1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응축기(124)에 연결되어 있다. 팽창 밸브(123)는 응축기(124)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증발되는 압력이 되도록 냉매를 팽창시킨다. 팽창 밸브(123)를 통해서 팽창된 냉매는 압력이 저하된 상태로 증발관(121)으로 공급되어 증발 효율이 향상된다.
응축기(124)는 팽창 밸브(12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팽창 밸브(123)와 연결되고, 타측이 압축기(125)와 연결되어 있다. 응축기(124)는 압축기(125)에서 공급된 냉매를 액화되도록 응축시켜 팽창 밸브(123)로 공급시킨다. 냉매는 증발관(121)의 내부에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산되기 위해서는 응축된 상태로 공급되어야 한다. 응축기(124)는팽창 밸브(123)에서 팽창되는 냉매를 응축시켜 증발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압축기(125)는 응축기(12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응축기(124)와 연결되고, 타측이 증발관(121)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125)는증발관(121)에서 회수되는 냉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가압시킨다. 압축기(125)는 증발관(121)에서 증발을 마친 냉매가 공급된 상태로 냉매를 가압시켜 응축기(124)와 팽창 밸브(123)를 거쳐서 다시 증발에 의한 냉기가 발산되도록 한다. 냉기가 발산된 냉매는 압축기(125)에서 가압된 상태로 응축기(122) 및 팽창 밸브(123)를 통해서 증발관(121)으로 공급되고, 증발관(121)으로 공급된 냉매에서 냉기가 발산된 후에 다시 압축기(125)로 회수되어 재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냉매가 순환되면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25)는 냉매의 압력을 부가시키는 것으로써,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그 용량이 1~5cc 로 사용될 수 있다. 압축기(125)의 용량이 1cc 미만이면 압축되는 성능이 발휘되기 어렵고, 5cc를 초과하면 개인이 휴대하기 어려운 크기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압축기(125)의 바깥 면에는 방열판(124a)이 설치될 수 있다. 방열판(124a)은 압축기(125)에 바깥 면에 맞닿아 있으며, 압축기(125)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방열판(124a)의 바깥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방열 돌기(124b)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열 돌기(124b)는 방열판(124a)에 방열된 열의 외부 방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방열판(124a)으로 통해서 방출된 열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된 방열 돌기(124b)로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모터(126)는 압축기(12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기(125)에 동력이 제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모터(126)는 압축기(125)에 공급된 냉매를 가압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125)의 내부에 공급된 냉매는 모터(126)의 작동으로 인하여 압축되는 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127)는 모터(126)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터(126)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127)의 내부에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충전되어 있으며, 모터(126)가 작동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배터리(127)에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체(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체(128)는 배터리(127)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수납된 내부에 냉방제(129)가 함께 주입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체(128)에는 배터리(127)와 냉방제(129)가 함께 수납되어 배터리(127)에서 발생된 열이 냉방제(129)로 냉방되어 열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냉방제(129)는 물, 냉방액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에 배터리(127)를 냉방시킬 수 있는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7)는 과열되는 폭발될 위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배터리(127)가 냉각제(129)와 함께, 배터리 수납체(128)에 수납되어 있으면 과열에 의한 폭발 위험성이 줄어든다. 또한, 배터리(127)가 폭발되어도 폭발에 의해 발생된 충격과 폭발에 의해 발생된 배터리의 파편이 배터리 수납체(128)에 의해 완충됨으로써, 배터리(127) 폭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팽창 밸브(123), 응축기(124), 압축기(125), 모터(126), 그리고 배터리(127)의 냉방부(120) 구성이 혁대 끈(113)의 배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냉방부(120)의 구성은 작업자가 작업 간섭이 되지 않는 외피에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냉방부(120)의 일부 구성은 작업자의 등 위치에 매어 달아 설치될 수 있고, 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방부(120)의 일부 구성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가 필요에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모터(126)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 장치(131), 외기 감지 센서(133), 냉방 감지 센서(132), 그리고 습도 감지 센서(134)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의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터(126)의 작동을 제어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의 작동을 제어하여 압축기(125)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제어 장치(131)에 의해 모터(126)가 작동하여 냉매의 압력이 높아지면 많은 냉매가 증발관(121) 내부에 순환되면서 냉방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1)의 의해 모터(126)가 작동을 둔화시켜 냉매의 압력이 내려가면 냉매의 순환 속도가 저하되어 냉방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의 작동을 조절하여 냉방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제어 장치(131)가 모터(126)의 측면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입니다. 즉,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 냉방 감지 센서(132), 외기 감지 센서(133), 그리고 습도 감지 센서(134)가 연결될 수 있으면 자켓부(110)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131)는 작용자가 쉽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외피(11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1)는 원격으로도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31)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냉방 감지 센서(132)는 외피(112)와 내피(111)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31)에 연결되어 있다. 냉방 감지 센서(132)는 증발관(121)의 공급 측에 위치하고 있어 증발관(121)에서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가 감지된다. 냉방 감지 센서(132)에서 감지된 온도 값은 제어 장치(131)로 보내진다.
외기 감지 센서(133)는 외피(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31)와 연결되어 있다. 외기 감지 센서(133)는 외기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온도 값을 제어 장치(131)로 보내진다.
따라서, 제어 장치(131)는 외기 감지 센서(133)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 값에 따라 작업자가 쾌적한 온도가 되도록 냉방 감지 센서(132)로 증발관(121)에서 공급되는 냉방 온도를 감지하면서 모터(126)를 작동시켜 냉방 온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는 제어 장치(131)에 의해 단계별로 조정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외기 온도 보다 너무 낮은 온도로 냉방되면 냉방병과 같은 질병에 노출될 수 있으며, 오히려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작업자가 외기와의 온도 차가 적으면 냉방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를 제어 장치(131)에서 단계별로 조정하여 기 설정된 온도 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습도 감지 센서(134)는 외피(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기의 습도 측정값을 보내도록 제어 장치(131)에 연결되어 있다. 습도 감지 센서(134)는 외기의 습도가 측정되고, 측정된 습도 값을 제어 장치(131)로 보내진다. 제어 장치(131)는 습도와 외기 온도 및 냉방 온도에 따라 결로 현상이 방지되도록 모터(126)의 작동이 제어되어 냉방 온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즉,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가 크면 내피(111)와 외기가 접촉되는 위치에서 온도 차로 인해 외기의 수분이 맺히는 이슬 맺힘 현상이 결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되면서도 작업자가 쾌적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단계별로 온도 차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기의 온도가 40℃이고 상대 습도가 60%인 경우에는 냉방 온도가 30℃ 이하가 되면 이슬 맺힘이 일어나고, 외기 온도가 40℃이고 상대 습도가 80%인 경우에는 냉방 온도가 36℃가 되면 이슬 맺힘 현상이 일어난다. 이슬 맺힘 현상은 습도와 온도에 따라 온도 범위가 달라진다. 따라서, 통상적인 습도 범위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온도 차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냉방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131)는 습도에 따라 외기의 온도와 냉방 온도 차를 3℃, 5℃, 7℃, 10℃, 13℃, 15℃, 17℃, 20℃ 등의 단계별로 나누어 기 설정된 온도가 유지됨으로써,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면서 작업에 쾌적한 온도의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31)에서 냉방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결로 현상의 발생을 저하되는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는 2~20℃로 조정될 수 있다.
즉,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가 2℃ 미만인 경우에는 냉기의 공급이 너무 줄어 들어 작업자가 냉방에 대한 쾌적함을 느낄 수 없음으로써, 냉방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또한,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가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방 효과는 높일 수 있으나, 냉기가 발산되는 부분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는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냉방이 실시되도록 자켓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휴대성이 좋고, 각 개인별로 직접 냉방이 실시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면을 감쌀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생되는 증발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바깥을 감싸고 있는 결로 방지층,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의 공급되는 압력이 되도록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증발될 수 있도록 응축되어 상기 팽창 밸브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연결된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관과 연결되어 냉기가 발산된 상기 냉매가 순환되도록 재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증기관은 상기 결로 방지층이 바깥 면을 감싸고 있어 외부 공기와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 상기 증기관의 표면에 발생되는 결로를 방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냉매 공급 측에 위치하고,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냉방 감지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냉기의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외기 온도와 비교하여 결로가 방지되는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서는 상기 모터의 작동 제어로 인해 온고 값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가 억제되도록 냉방되는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 감지 센서와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외기 온도 값과 냉방 온도값의 차이가 2~20℃ 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 습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습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층은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상기 내피 측이 노출되고, 상기 외피 측을 감싸고 있는 단열층, 및
    상기 내피와 상기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노출된 상기 내피 측을 감싸고 있는 열전도체
    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은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외피 측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차단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내피 측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혁대 끈, 및
    상기 혁대 끈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혁대 끝이 연결 및 해체 되도록 체결되는 혁대 체결 장치
    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혁대 끈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싼 상태로 상기 혁대 체결 장치로 체결되어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 수납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바깥 면에 접촉되는 냉방제
    를 포함하며,
    상기 냉방제는 상기 배터리와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냉방시킬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외측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돌기를 가지는 방열판을 더 구비하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PCT/KR2009/002910 2008-06-11 2009-06-01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WO200915122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93 2008-06-11
KR20080054593 2008-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1226A2 true WO2009151226A2 (ko) 2009-12-17
WO2009151226A3 WO2009151226A3 (ko) 2010-03-11

Family

ID=4141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2910 WO2009151226A2 (ko) 2008-06-11 2009-06-01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300070A (ko)
KR (1) KR100930656B1 (ko)
WO (1) WO2009151226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230A (zh) * 2011-01-02 2012-07-11 王云 固定作业冷暖空调衣
CN103653365A (zh) * 2013-12-20 2014-03-26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婴儿显温衣服
CN107080308A (zh) * 2017-05-05 2017-08-22 广州市德善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携带微型空调的空调服
WO2020098260A1 (zh) * 2018-11-13 2020-05-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微型空调
CN111358068A (zh) * 2020-04-17 2020-07-03 绍兴艾思吉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高温作业液冷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9903A1 (de) * 2010-05-19 2011-12-15 Maier Werner Flexible klimavorrichtung zum erwärmen oder kühlen eines körperteils
CN106388070A (zh) * 2016-11-18 2017-02-15 余晓 结构简便易实现且具备制冷功能的空调服
KR20210068871A (ko) 2019-12-02 2021-06-10 한대희 웨어러블 체온조절용 장치
KR102429773B1 (ko) * 2020-08-14 2022-08-08 주식회사 한양그린기술 냉각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98U (ko) * 1998-04-06 1999-11-05 윤형완 냉매관 및 열선이 내장된 조끼
KR200178970Y1 (ko) * 1999-11-10 2000-04-15 권혁주 냉방조끼
KR100832889B1 (ko) * 2007-06-13 2008-05-28 설용석 멜빵 및 벨트형 열 조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032A (ja) * 1985-07-31 1987-02-07 Natl Inst For Res In Inorg Mater 高安定フイ−ルドエミツタ−の製造方法
JPH01153319A (ja) * 1987-12-07 1989-06-15 Taikisha Ltd 車輌の空調装置
JPH02145801A (ja) * 1988-11-25 1990-06-05 Kandenko Co Ltd 作業用冷却衣服体
JPH04209807A (ja) * 1990-11-30 1992-07-3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冷房服
JP3136622B2 (ja) * 1991-02-28 2001-0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房服
JPH0692295A (ja) * 1992-09-14 1994-04-05 Fujikura Ltd 冷却服
JPH06127488A (ja) * 1992-10-20 1994-05-10 Fujikura Ltd 冷却服
JPH07310208A (ja) * 1994-05-12 1995-11-28 Daikin Ind Ltd 温度調節衣服
JP2925115B2 (ja) * 1996-08-28 1999-07-28 株式会社エムエスシィテクノス 冷却着衣
JP2001115315A (ja) * 1999-10-12 2001-04-24 Techno:Kk 冷暖房装置を備えた衣服
JP2004362805A (ja) * 2003-06-02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衣類およびサポ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98U (ko) * 1998-04-06 1999-11-05 윤형완 냉매관 및 열선이 내장된 조끼
KR200178970Y1 (ko) * 1999-11-10 2000-04-15 권혁주 냉방조끼
KR100832889B1 (ko) * 2007-06-13 2008-05-28 설용석 멜빵 및 벨트형 열 조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230A (zh) * 2011-01-02 2012-07-11 王云 固定作业冷暖空调衣
CN103653365A (zh) * 2013-12-20 2014-03-26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婴儿显温衣服
CN107080308A (zh) * 2017-05-05 2017-08-22 广州市德善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携带微型空调的空调服
WO2020098260A1 (zh) * 2018-11-13 2020-05-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微型空调
CN111358068A (zh) * 2020-04-17 2020-07-03 绍兴艾思吉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高温作业液冷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1226A3 (ko) 2010-03-11
KR100930656B1 (ko) 2009-12-09
JP2009300070A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51226A2 (ko)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US6295648B2 (en) Persona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0067937A1 (en) Refrigerator having heat conduction sheet
AU2003255480B2 (en) Portable air-conditioning unit, particularly a personal air-conditioning unit
WO2011025157A2 (en) Refrigerator
KR101093495B1 (ko) 휴대용 냉각장치
JP2016204781A (ja) 温度調整システム
WO2022265140A1 (ko) 프리쿨링 냉동기를 구비한 데이터센터 국부 냉각시스템
US20090159238A1 (en) Cooling and warming device
KR200396191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온열냉풍 조끼
TW201723392A (zh) 冷卻具及使用該冷卻具之人體用送風裝置
CN213992506U (zh) 空调服
CN216346785U (zh) 空调衣
JP3171066U (ja) 熱中症対策用体温調節装置
KR200396190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냉풍 조끼
WO2022065790A1 (ko) 리퀴드 매개체의 서큘레이션을 이용한 냉매 열교환 시스템
CN213747118U (zh) 挂脖式调温装置
WO2017164532A1 (ko)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210869955U (zh) 一种降温背心
CN218515236U (zh) 一种防高温高湿防护服
CN219300914U (zh) 穿戴设备
CN220793527U (zh) 传热模块及便携式冰箱
CN219301065U (zh) 一种设散热风扇的降温服
JPH0659412U (ja) 防熱用作業着
CN220631143U (zh) 一种内穿散热的冷却液循环降温背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626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626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