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656B1 -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656B1
KR100930656B1 KR1020090041429A KR20090041429A KR100930656B1 KR 100930656 B1 KR100930656 B1 KR 100930656B1 KR 1020090041429 A KR1020090041429 A KR 1020090041429A KR 20090041429 A KR20090041429 A KR 20090041429A KR 100930656 B1 KR100930656 B1 KR 10093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isposed
cooling
evaporation tub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길
김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면을 감쌀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생되는 증발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바깥을 감싸고 있는 결로 방지층,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의 공급되는 압력이 되도록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증발될 수 있도록 응축되어 상기 팽창 밸브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자켓, 개인, 냉방, 증발관, 직접 냉방

Description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A personal air-conditioner of jacket type}
본 발명은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 장치(冷房裝置 ; air-conditioner)는 실내의 온도를 낮추어 시원하게 하는 장치다. 냉방 장치는 여름철의 혹서기에 더워진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증발에 의해 더운 공기 열이 흡수되어 낮은 온도로 공급시킨다. 따라서, 냉방 장치는 외부의 더운 공기를 냉방시켜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통상의 냉방 장치의 냉방 원리는 냉동기, 냉장고처럼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증발열을 이용한 것으로, 냉매로는 저온에서도 증발하기 쉬운 액체가 사용된다. 냉매는 모터와 연결된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를 통해 액화되고 액화된 냉매는 증발되도록 다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를 통해서 이동하면서 증발기의 표면에 접촉된 공기의 열이 흡수되어 냉방시키고, 공기 속의 수분은 증발기의 표면에 물방울이 되어 제거된다. 증발기에 공급되어 냉방되는 공기는 송풍기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공급되고, 증발기에서 냉방된 공기는 송풍기를 통해서 실내로 배출되어 열교환에 의해 냉방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냉방 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증발기에서 열교환되면서 냉방된 공기를 송풍에 의해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되는 공기는 증발기와 접촉되면서 냉방되고, 접촉 시에 공기 내부의 수분이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물방울로 증발기 표면에 맺히는 결로(結露, dew condensation)가 발생되며, 발생된 결로는 외부로 드레인 처리되면서 냉방이 실시되었다.
즉, 통상의 냉방 장치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결로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송풍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냉방시켜 냉방된 공기에 의해 냉방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증발에 의해 발생된 냉기로 공기를 간접 냉방함에 따라 냉방 효율이 떨어지고, 열교환 시에 냉기의 손실이 발생되어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의 냉방 장치는 공기 교환식으로 간접적으로 냉방이 실시됨에 따라 냉방 장치가 소형화 되기 어렵고, 외부 공기가 뜨거울 경우에는 냉방 효과가 축소된다. 즉, 외기의 온도가 높은 작업 현장이나 폐쇄되어 공기의 소통이 어려운 공간에서는 냉방 효과가 축소된다. 또한, 작업 현장 자체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유지되어야 할 경우에는 냉방에 의한 냉기가 작업 현장에 악영향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물공장과 같이 불을 가까이하는 작업현장이나 무더운 여름에 비닐하우스 등의 폐쇄된 공간에서의 육체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더운 열기가 전달되어 작업 환경이 좋지 않고,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였다. 그러나, 통상의 냉방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작업을 위해서 유지된 온도가 떨어져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외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작업자가 개인적으로 냉방되는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더운 작업 환경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얼음팩을 수납할 수 있는 자켓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0344호(1997년05월23일 공개)에는 "얼음조끼"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128호(2006년08월09일 등록)에는 "얼음 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고안들은 공통적으로 외부의 열을 차단하고 얼음팩의 냉매에서 나오는 냉기로 작업자를 시원하게 해 줄뿐만 아니라 조끼 내측 가슴부위와 등부위에 얼음팩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를 형성하여 이들 수납주머니 내에 얼음팩을 수납하여 착용함으로써 비닐하우스, 제철공장 등과 같이 무더운 작업환경에서나 여름철 등산, 낚시 등의 레저활동 시에 냉방을 목적으로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술된 얼음팩은 안쪽에 구비된 냉매에서 냉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냉동 장치를 통해서 얼린 상태로 설치된다. 냉매가 얼음 상태가 되면 외부에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는 0℃ 내외가 된다. 이런, 얼음팩의 0℃ 내외의 냉기가 작업자에게 직접 발산되면 작업자의 체온과 온도 차가 심하여 피부와의 접촉 시에 불쾌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얼음팩과 장시간 접촉되면 피부 동상에 걸릴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팩이 작업자의 높은 체온에 장기간 노출되면 냉기가 발생되는 시간이 축소되어 냉각 지속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얼음팩은 작업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냉기를 전 달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주머니가 설치된 조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써, 냉기가 직접 전달되지 않아 동상의 위험이 줄어들고, 온도 차의 의해 얼음팩이 녹아 냉각 시간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얼음팩은 주머니에 수납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냉매가 녹을 때 발생되는 수분과 외기와 냉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작업자가 옷이 흠뻑 젖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얼음팩 등의 무게에 의해 작업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얼음팩은 주머니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신체 주위의 열을 흡수할 수 없이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냉기만이 공급됨에 따라 냉각 효과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얼음팩은 냉각 상태에서 녹으면서 냉기가 발산되는 것으로써, 온도 조절이 되지 않아 작업자의 체온과 외기의 온도차가 조절될 수 없음에 따라 온도차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시원함으로 느끼지 못하고 냉방병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냉방이 가능하면서도 냉각 온도가 조절되어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냉방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기와의 온도차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냉기가 발산되고, 휴대가 간편한 자켓 형태로 휴대와 착용이 간편하며, 증발관 에서 냉기가 직접 전달되는 직접 증발 냉방 방식으로 냉방에 따른 전력 손실, 공기 유동 손실, 그리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면을 감쌀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생되는 증발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바깥을 감싸고 있는 결로 방지층,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의 공급되는 압력이 되도록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증발될 수 있도록 응축되어 상기 팽창 밸브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관과 연결되어 냉기가 발산된 상기 냉매가 순환되도록 재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증기관은 상기 결로 방지층에 바깥 면을 감싸고 있어 외부 공기와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 상기 증기관의 표면에 발생되는 결로를 방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냉매 공급 측에 위치하고,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냉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냉기의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외기 온도와 비교하여 결로가 방지되는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에서는 상기 모터의 작동 제어로 인해 온도 값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가 억제되도록 냉방되는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 감지 센서와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외기 온도 값과 냉방 온도값의 차이가 2~2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 습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습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로 방지층은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상기 내피 측이 노출되고, 상기 외피 측을 감싸고 있는 단열층, 및 상기 내피와 상기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노출된 상기 내피 측을 감싸고 있는 열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층은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외피 측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차단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내피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피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혁대 끈, 및 상기 혁대 끈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혁대 끝이 연결 및 해체 되도록 체결되는 혁대 체결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혁대 끈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싼 상태로 상기 혁대 체결 장치로 체결되어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 수납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바깥 면에 접촉되는 냉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방제는 상기 배터리와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냉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외측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돌기를 가지는 방열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사용되는 냉방 장치를 사용자 개인이 사용될 수 있도록 자켓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하여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차와 외기의 접촉으로 인해 결로의 발생이 방지되어 증발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직접 공급됨으로써, 결로가 방지되면 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직접 공급될 수 있어 전력 손실, 공기유동 손실, 그리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형태의 개인 냉방 장치는 외기 온도에 따라 결로가 방지되고, 냉방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냉방 온도가 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냉방 효율을 높이고, 결로가 방지되어 냉기의 직접 전달이 가능하여 냉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 장치의 가동 시에 열이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와 압축기에 방열되는 구조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휴대 시에 발생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킴에 따라 냉방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 장치가 설치된 자켓의 냉기 공급 부분의 바깥 측으로 냉기가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고, 안쪽으로 냉기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며, 외기와의 접촉을 방지시켜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면서 냉방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부분인 냉방부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100)는 자켓부(110), 냉방부(120), 그리고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자켓부(110)는 작업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111), 외피(112), 혁대 끈(113), 그리고 혁대 체결 장치(114)를 포함한다. 내피(111)는 작업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자켓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작업자가 접촉되는 안쪽에 위치한다. 내피(111)는 통상의 옷 안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피(111)는 냉방부(120)에서 공급된 냉기가 전달되는 안쪽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외피(112)와 비교하여 얇은 옷감을 사용할 수 있다.
외피(112)는 내피(111)의 바깥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피(111)를감싸고 있다. 외피(112)는 내피(111)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어, 내피(111)가 보호되도록 감싸고 있다. 외피(112)는 통상의 옷 겉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혁대 끈(113)은 외피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는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혁대 끈(113)은 상체를 감싸는 외피(112)와 내피(111)를 작업자의 허리 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혁대 체결 장치(114)는 혁대 끈(113)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혁대 끈(113)의 양 끝이 상호 연결 및 해체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혁대 체결 장치(114)는 외피(112)와 내피(111)를 작업자가 작용한 상태에서 혁대 끈(113)을 혁대 체결 장치(114)로 체결하여 내피(111)와 외피(11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혁대 체결 장치(114)의 해체에 의해 내피(111)와 외피(112)를 용이하게 탈착 할 수 있다.
냉방부(120)는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배치되어 냉기가 공급되는 증발관(121), 결로 방지층(122), 팽창 밸브(123), 응축기(124), 압축기(125), 모터(126), 그리고 배터리(127)가 포함된다. 증발관(121)은 외피(112)와 내피(111)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공급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냉기가 발산된다. 증발관(121)은 팽창 밸브(123)에 연결되어 있어 응축 후에 팽창된 냉매가 증발에 의해 열이 흡수되어 발생된 냉기가 외부로 발산된다.
여기서, 증발관(121)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서 작업자에게 냉기의 전달이 원활하도록 복수회 감겨져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121)은 냉매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플렉시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매는 증발관(121)을 통해서 이동되면서 증발에 의한 냉기를 발산시켜 작업자에게 공급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매는 냉방에 사용되는 통상의 모든 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냉매는 R-22 또는 R-134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121)은 내경이 1~5 mm로 형성될 수 있다. 내경이 1 mm 미만인 경우에는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이 높아 증발 전에 통과되어 냉방 효율이 떨어지고, 내경이 5 mm 를 초과하면 직경이 큰 증발관(121)이 통과되는 냉매가 넓은 직경에 공급됨에 따라 압력이 과도하게 요구됨으로써, 압축기(125)의 용량이 증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발관(121)의 내경은 1~5 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증발관(121)의 내경은 당업자가 그 형태와 기능 및 설계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결로 방지층(122)은 외피(112)와 내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증발관(12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다. 결로 방지층(122)은 증발관(12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어 외기와 증발관(121)의 접촉을 방지시킨다. 증발관(121)은 냉매에 공급으로 인해 외기와 온도 차가 발생되고, 온도 차에 의해 외기와 접촉하게 되면 증발관(121)의 표면에 결로 현상으로 인한 습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관(121)의 바깥 면에 결로 방지층(122)이 설치되어 있어 증발관(121)이 외기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결로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결로 방지층(122)은 단열층(122a) 및 열전도체(122b)를 포함한다. 단열층(122a)은 외피(112)와 내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산되는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단열층(122a)은 작업자가 위치한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외피(112) 방향으로 유출되는 냉기를 차단시키고, 차단된 냉기는 내피(111) 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단열층(122a)은 냉기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는 통상의 모든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단열층(122a)에는 폴리 우레탄, 및 폴리 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열전도체(122b)는 단열층(122a)과 내피(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산 되는 냉기를 내피(111) 방향으로 전달시킨다. 열전도체(122b)는 냉기가 차단되는 단열층(122a)과 내피(111)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차단된 냉기가 작업자와 접촉되어 있는 내피(111) 측으로 전달되어 냉방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열전도체(122b)는 열이 전달되는 통상의 모든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열전도체(122b)에는 알루미늄 박판, 및 은박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관(121)은 단열층(122a)과 열전도체(12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단열층(122a)은 증발관(121)의 내피(111) 측은 노출되고, 외피(112) 측을 감싸고 있다. 증발관(121)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단열층(122a)으로 감싸여 있어 외피(112) 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노출된 내피(111) 측으로 공급되어 작업자에게 냉기를 손실 없이 공급될 수 있다. 증발관(121)의 노출된 내피(111) 측에는 열전달 효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열전도체(122b)가 설치된다. 증발관(121)과 내피(111) 사이에 위치한 열전도체(122b)는 내피(111) 방향으로 전달되는 냉기의 전달 효율을 증대시켜 냉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팽창 밸브(123)는 외피(1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측이 증발관(1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응축기(124)에 연결되어 있다. 팽창 밸브(123)는 응축기(124)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증발되는 압력이 되도록 냉매를 팽창시킨다. 팽창 밸브(123)를 통해서 팽창된 냉매는 압력이 저하된 상태로 증발관(121)으로 공급되어 증발 효율이 향상된다.
응축기(124)는 팽창 밸브(12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팽창 밸브(123)와 연결되고, 타측이 압축기(125)와 연결되어 있다. 응축기(124)는 압축 기(125)에서 공급된 냉매를 액화되도록 응축시켜 팽창 밸브(123)로 공급시킨다. 냉매는 증발관(121)의 내부에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산되기 위해서는 응축된 상태로 공급되어야 한다. 응축기(124)는팽창 밸브(123)에서 팽창되는 냉매를 응축시켜 증발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압축기(125)는 응축기(12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응축기(124)와 연결되고, 타측이 증발관(121)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125)는증발관(121)에서 회수되는 냉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가압시킨다. 압축기(125)는 증발관(121)에서 증발을 마친 냉매가 공급된 상태로 냉매를 가압시켜 응축기(124)와 팽창 밸브(123)를 거쳐서 다시 증발에 의한 냉기가 발산되도록 한다. 냉기가 발산된 냉매는 압축기(125)에서 가압된 상태로 응축기(122) 및 팽창 밸브(123)를 통해서 증발관(121)으로 공급되고, 증발관(121)으로 공급된 냉매에서 냉기가 발산된 후에 다시 압축기(125)로 회수되어 재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냉매가 순환되면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25)는 냉매의 압력을 부가시키는 것으로써,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그 용량이 1~5cc 로 사용될 수 있다. 압축기(125)의 용량이 1cc 미만이면 압축되는 성능이 발휘되기 어렵고, 5cc를 초과하면 개인이 휴대하기 어려운 크기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압축기(125)의 바깥 면에는 방열판(124a)이 설치될 수 있다. 방열판(124a)은 압축기(125)에 바깥 면에 맞닿아 있으며, 압축기(125)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방열판(124a)의 바깥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 상으로 방열 돌기(124b)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열 돌기(124b)는 방열판(124a)에 방열된 열의 외부 방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방열판(124a)으로 통해서 방출된 열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된 방열 돌기(124b)로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모터(126)는 압축기(12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기(125)에 동력이 제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모터(126)는 압축기(125)에 공급된 냉매를 가압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125)의 내부에 공급된 냉매는 모터(126)의 작동으로 인하여 압축되는 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127)는 모터(126)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터(126)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127)의 내부에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충전되어 있으며, 모터(126)가 작동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배터리(127)에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체(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체(128)는 배터리(127)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수납된 내부에 냉방제(129)가 함께 주입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체(128)에는 배터리(127)와 냉방제(129)가 함께 수납되어 배터리(127)에서 발생된 열이 냉방제(129)로 냉방되어 열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냉방제(129)는 물, 냉방액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에 배터리(127)를 냉방시킬 수 있는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7)는 과열되는 폭발될 위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배터리(127)가 냉방제(129)와 함께, 배터리 수납체(128)에 수납되어 있으면 과열에 의한 폭발 위험성이 줄어든다. 또한, 배터리(127)가 폭발되어도 폭발에 의해 발생된 충격과 폭발에 의해 발생된 배터리의 파편이 배터리 수납체(128)에 의해 완충됨으로써, 배터리(127) 폭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팽창 밸브(123), 응축기(124), 압축기(125), 모터(126), 그리고 배터리(127)의 냉방부(120) 구성이 혁대 끈(113)의 배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냉방부(120)의 구성은 작업자가 작업 간섭이 되지 않는 외피에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냉방부(120)의 일부 구성은 작업자의 등 위치에 매어 달아 설치될 수 있고, 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방부(120)의 일부 구성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가 필요에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모터(126)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 장치(131), 외기 감지 센서(133), 냉방 감지 센서(132), 그리고 습도 감지 센서(134)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의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터(126)의 작동을 제어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의 작동을 제어하여 압축기(125)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제어 장치(131)에 의해 모터(126)가 작동하여 냉매의 압력이 높아지면 많은 냉매가 증발관(121) 내부에 순환되면서 냉방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1)의 의해 모터(126)가 작동을 둔화시켜 냉매의 압력이 내려가면 냉매의 순환 속도가 저하되어 냉방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의 작동을 조절하여 냉방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제어 장치(131)가 모터(126)의 측면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입니다. 즉, 제어 장치(131)는 모터(126), 냉방 감지 센서(132), 외기 감지 센서(133), 그리고 습도 감지 센서(134)가 연결될 수 있으면 자켓부(110)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131)는 작용자가 쉽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외피(11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1)는 원격으로도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31)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냉방 감지 센서(132)는 외피(112)와 내피(111)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31)에 연결되어 있다. 냉방 감지 센서(132)는 증발관(121)의 공급 측에 위치하고 있어 증발관(121)에서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가 감지된다. 냉방 감지 센서(132)에서 감지된 온도 값은 제어 장치(131)로 보내진다.
외기 감지 센서(133)는 외피(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31)와 연결되어 있다. 외기 감지 센서(133)는 외기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온도 값을 제어 장치(131)로 보내진다.
따라서, 제어 장치(131)는 외기 감지 센서(133)에서 감지된 외기의 온도 값에 따라 작업자가 쾌적한 온도가 되도록 냉방 감지 센서(132)로 증발관(121)에서 공급되는 냉방 온도를 감지하면서 모터(126)를 작동시켜 냉방 온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는 제어 장치(131)에 의해 단계별로 조정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외기 온도 보다 너무 낮은 온도로 냉방되면 냉방병과 같은 질 병에 노출될 수 있으며, 오히려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작업자가 외기와의 온도 차가 적으면 냉방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를 제어 장치(131)에서 단계별로 조정하여 기 설정된 온도 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습도 감지 센서(134)는 외피(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기의 습도 측정값을 보내도록 제어 장치(131)에 연결되어 있다. 습도 감지 센서(134)는 외기의 습도가 측정되고, 측정된 습도 값을 제어 장치(131)로 보내진다. 제어 장치(131)는 습도와 외기 온도 및 냉방 온도에 따라 결로 현상이 방지되도록 모터(126)의 작동이 제어되어 냉방 온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즉,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가 크면 내피(111)와 외기가 접촉되는 위치에서 온도 차로 인해 외기의 수분이 맺히는 이슬 맺힘 현상이 결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되면서도 작업자가 쾌적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단계별로 온도 차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기의 온도가 40℃이고 상대 습도가 60%인 경우에는 냉방 온도가 30℃ 이하가 되면 이슬 맺힘이 일어나고, 외기 온도가 40℃이고 상대 습도가 80%인 경우에는 냉방 온도가 36℃가 되면 이슬 맺힘 현상이 일어난다. 이슬 맺힘 현상은 습도와 온도에 따라 온도 범위가 달라진다. 따라서, 통상적인 습도 범위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온도 차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냉방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131)는 습도에 따라 외기의 온도와 냉방 온도 차를 3℃, 5℃, 7℃, 10℃, 13℃, 15℃, 17℃, 20℃ 등의 단계별로 나누어 기 설정된 온도가 유지됨으로써,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면서 작업에 쾌적한 온도의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31)에서 냉방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결로 현상의 발생을 저하되는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는 2~20℃로 조정될 수 있다.
즉,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가 2℃ 미만인 경우에는 냉기의 공급이 너무 줄어 들어 작업자가 냉방에 대한 쾌적함을 느낄 수 없음으로써, 냉방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또한,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가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방 효과는 높일 수 있으나, 냉기가 발산되는 부분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기 온도와 냉방 온도의 차이는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부분인 냉방부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 부분인 압축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의 주요 부분인 배터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방 장치 110 : 자켓부
111 : 내피 112 : 외피
113 : 혁대 끈 114 : 혁대 체결 장치
120 : 냉각부 121 : 증발관
122 : 결로 방지층 122a : 단열층
122b : 열전도체 123 : 팽창 밸브
124 : 응축기 125 : 압축기
125a : 방열판 125b : 방열 돌기
126 : 모터 127 : 배터리
128 : 배터리 수납체 129 : 냉방제
130 : 제어부 131 : 제어 장치
132 : 냉방 감지 센서 133 : 외기 감지 센서
134 : 습도 감지 센서

Claims (8)

  1. 사용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면을 감쌀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되면서 증발에 의해 냉기가 발생되는 증발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바깥을 감싸고 있는 결로 방지층,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의 공급되는 압력이 되도록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팽창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증발될 수 있도록 응축되어 상기 팽창 밸브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연결된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관과 연결되어 냉기가 발산된 상기 냉매가 순환되도록 재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증기관은 상기 결로 방지층으로 바깥을 감싸고 있어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를 방지 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냉매 공급 측에 위치하고, 발산되는 냉기의 온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냉방 감지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냉기의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외기 온도와 비교하여 결로가 방지되는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서는 상기 모터의 작동 제어로 인해 온도 값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가 억제되도록 냉방되는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 감지 센서와 상기 냉방 감지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외기 온도 값과 냉방 온도값의 차이가 2~20℃ 인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 습도의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로 보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습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방지층은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상기 내피 측이 노출되고, 상기 외피 측을 감싸고 있는 단열층, 및
    상기 내피와 상기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관의 노출된 상기 내피 측을 감싸고 있는 열전도체
    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은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외피 측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차단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증발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내피 측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혁대 끈, 및
    상기 혁대 끈의 양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혁대 끝이 연결 및 해체 되도록 체결되는 혁대 체결 장치
    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혁대 끈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싼 상태로 상기 혁대 체결 장치로 체결되어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 수납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바깥 면에 접촉되는 냉방제
    를 포함하며,
    상기 냉방제는 상기 배터리와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냉방시킬 수 있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외측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돌기를 가지는 방열판을 더 구비하는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KR1020090041429A 2008-06-11 2009-05-12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KR100930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93 2008-06-11
KR20080054593 2008-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656B1 true KR100930656B1 (ko) 2009-12-09

Family

ID=4141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429A KR100930656B1 (ko) 2008-06-11 2009-05-12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300070A (ko)
KR (1) KR100930656B1 (ko)
WO (1) WO200915122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8070A (zh) * 2016-11-18 2017-02-15 余晓 结构简便易实现且具备制冷功能的空调服
KR20210068871A (ko) 2019-12-02 2021-06-10 한대희 웨어러블 체온조절용 장치
KR20220021620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한양그린기술 냉각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9903A1 (de) * 2010-05-19 2011-12-15 Maier Werner Flexible klimavorrichtung zum erwärmen oder kühlen eines körperteils
CN102551230A (zh) * 2011-01-02 2012-07-11 王云 固定作业冷暖空调衣
CN103653365A (zh) * 2013-12-20 2014-03-26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婴儿显温衣服
CN107080308A (zh) * 2017-05-05 2017-08-22 广州市德善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携带微型空调的空调服
CN111174330A (zh) * 2018-11-13 2020-05-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微型空调
CN111358068A (zh) * 2020-04-17 2020-07-03 绍兴艾思吉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高温作业液冷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801A (ja) * 1988-11-25 1990-06-05 Kandenko Co Ltd 作業用冷却衣服体
KR19990039098U (ko) * 1998-04-06 1999-11-05 윤형완 냉매관 및 열선이 내장된 조끼
KR200178970Y1 (ko) 1999-11-10 2000-04-15 권혁주 냉방조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032A (ja) * 1985-07-31 1987-02-07 Natl Inst For Res In Inorg Mater 高安定フイ−ルドエミツタ−の製造方法
JPH01153319A (ja) * 1987-12-07 1989-06-15 Taikisha Ltd 車輌の空調装置
JPH04209807A (ja) * 1990-11-30 1992-07-3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冷房服
JP3136622B2 (ja) * 1991-02-28 2001-0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房服
JPH0692295A (ja) * 1992-09-14 1994-04-05 Fujikura Ltd 冷却服
JPH06127488A (ja) * 1992-10-20 1994-05-10 Fujikura Ltd 冷却服
JPH07310208A (ja) * 1994-05-12 1995-11-28 Daikin Ind Ltd 温度調節衣服
JP2925115B2 (ja) * 1996-08-28 1999-07-28 株式会社エムエスシィテクノス 冷却着衣
JP2001115315A (ja) * 1999-10-12 2001-04-24 Techno:Kk 冷暖房装置を備えた衣服
JP2004362805A (ja) * 2003-06-02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衣類およびサポータ
KR100832889B1 (ko) * 2007-06-13 2008-05-28 설용석 멜빵 및 벨트형 열 조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801A (ja) * 1988-11-25 1990-06-05 Kandenko Co Ltd 作業用冷却衣服体
KR19990039098U (ko) * 1998-04-06 1999-11-05 윤형완 냉매관 및 열선이 내장된 조끼
KR200178970Y1 (ko) 1999-11-10 2000-04-15 권혁주 냉방조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8070A (zh) * 2016-11-18 2017-02-15 余晓 结构简便易实现且具备制冷功能的空调服
KR20210068871A (ko) 2019-12-02 2021-06-10 한대희 웨어러블 체온조절용 장치
KR20220021620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한양그린기술 냉각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KR102429773B1 (ko) 2020-08-14 2022-08-08 주식회사 한양그린기술 냉각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1226A3 (ko) 2010-03-11
WO2009151226A2 (ko) 2009-12-17
JP2009300070A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56B1 (ko) 자켓형 개인 냉방장치
AU2003255480B2 (en) Portable air-conditioning unit, particularly a personal air-conditioning unit
JP2008510890A (ja) 物体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KR20110064738A (ko) 냉장고
JP2016204781A (ja) 温度調整システム
CN108379756A (zh) 一种冰蓄冷式空调消防服
CN213992506U (zh) 空调服
KR200396191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온열냉풍 조끼
JP3171066U (ja) 熱中症対策用体温調節装置
CN216346785U (zh) 空调衣
CN209807220U (zh) 用于帽子的调温装置
JP6700886B2 (ja) 冷風器、および冷風器と通気性シャツとの組み合わせ
CN110300681A (zh) 制冷或制热设备、以及车辆
KR200373004Y1 (ko) 소형 팬이 부착된 의류용 공조장치
CN115474792A (zh) 床垫及其舒适度控制方法
CN212806131U (zh) 一种调温装置
CN216019249U (zh) 具有温度调节功能的防护服
CN219301043U (zh) 穿戴设备
KR200195982Y1 (ko) 냉온팩을 이용한 작업용 보온, 보냉 겸용 조끼
CN220631143U (zh) 一种内穿散热的冷却液循环降温背心
CN219300914U (zh) 穿戴设备
CN219108777U (zh) 冰风制冷服
KR20080067782A (ko) 이동식 냉기 공급기
KR102261320B1 (ko) 개인 착용용 공조 냉방장치
JP2594179B2 (ja) 蓄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