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700A -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및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및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700A
KR980010700A KR1019970032457A KR19970032457A KR980010700A KR 980010700 A KR980010700 A KR 980010700A KR 1019970032457 A KR1019970032457 A KR 1019970032457A KR 19970032457 A KR19970032457 A KR 19970032457A KR 980010700 A KR980010700 A KR 98001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video signal
screen
display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201B1 (ko
Inventor
미쯔노부 에노모또
노부오 구찌끼
유지 하세
요시노리 하마
다까시게 와까마쯔
마사시 야기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835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0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06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517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36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845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505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986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8001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Abstract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과,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의 디지탈 데이타의 송수신 상태를 검출하고,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에 그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을 구비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의 디지탈의 송수신 상태, 다시 말하면 프로바이더에의 접속 상태가 화면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및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본 발명은 인터넷에 의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를 취입하고, 영상 신호 (picture signal)로 변환하여 CRT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및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기도 하고 수신하기도 하는 것이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다.
인터넷은 세계적인 규모로 다수의 컴퓨터가 접속된 네트워크이고, 각각의 컴퓨터에는 판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에는 전자 메일, 각종 프로그램 및 홈페이지 등이 있으며, 쌍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홈페이지는 하나의 정보의 표시 및 목차에 상당하고, 홈페이지상의 도형(아이콘) 또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정보의 관람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터넷을 정보 제공의 장으로 들 수 있는 유저가 증가해 가고 있다. 그리고, 이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WWW(World Wide Web)이다.
이 WWW 서버가 각광을 받는 요인으로서는 그래피컬한 메뉴를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소프트 웨어(브라우저)의 보급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브라우저에 의해 네트워크의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WWW 서버에의 트래픽이 급증하고, 이에 의해 각 유저가 광고 매체로서 주목하여, 많은 유저가 이용하는 데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이 WWW 서버로부터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우저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이 브라우저는 닛께이 BP사 발행의 닛께이 커뮤니케이션 별책, 기업 유저를 위한 인터넷 핸드북(1994년 11월 30일 발행)의 제164∼167쪽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인터넷에 의한 WWW 서버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퍼스널 컴퓨터에 브라우저를 인스톨해야만 했다.
제1도는 컴퓨터와 인터텟과의 종래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접속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7)는 모뎀(8) 또는 터미널 어댑터를 거쳐 통신 회선(2)에 접속되고, 이 통신 회선(2)에 의해 접속 서비스 회사인 프로바이더의 모뎀(3) 또는 터미날 어댑터에 접속된다. 모뎀(3)은 프로바이더의 컴퓨터인 서버(4)에 접속되어 있다.
서버(4)는 인터넷(6)에 24시간 접속되어 있고, 중계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루터(5)를 거쳐 인터넷(6)에 접속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7)로부터는 필요할 때에 전화를 걸어, 프로바이더의 서버(4) 경유로 인터넷(6)에 접속한다(다이얼 업 접속).
그러나, 퍼스널 컴퓨터(7)를 소유하고 있지 않는 사람중에는, 인터넷을 이용하고 싶지만 퍼스널 컴퓨터를 구입하기 전에는, 라고 하는 사람이 많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 퍼스널 컴퓨터를 스스로 조작하는 것을 주저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람중에서도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인터넷을 이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정으로 최근에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텔레비젼이 제안되고 있다. 즉, 일반 가정에 넓게 보급되고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대신에 이용하여 인터넷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인터넷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장치만을 텔레비젼 수상기에 내장 또는 외부 부착하는 것만으로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에 비하면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인터넷 정보를 보지 않을 때에는, 텔레비젼 수상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유저에게는 매우 편리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텔레비젼 수상기로 인터넷의 WWW 서버의 정보를 보는 경우, 일단, 통신 회선에 의해 프로바이더에 접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통신 회선을 프로바이더에 접속함으로써 비로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통신 회선에 의한 접속은 모뎀을 거쳐 행해지지만,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통신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 따라서는 접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는 다음과 같이 하여 판단하고 있다. 즉, 모뎀은 데이타를 음성으로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음성의해 데이타의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지, 전화가 접속하고 있는지의 판단을 하고 있다.
그러나,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인터넷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한 경우, 프로바이더에 접속하는 동안은 텔레비젼 방송을 보면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오히려 접속될 때 까지는 지루하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이 통상 바람직하다.
그러나, 텔레비젼 수상기로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 등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피커로 텔레비젼 방송의 음성이 흐르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통신 회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모뎀으로부터 나오는 음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텔레비젼 방송의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나오고 있기 때문에 모뎀으로부터의 음이 들리지 않아 판단할 수 없다.
또,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에서 텔레비젼 프로를 화면에 표시한 경우,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텔레비젼 방송을 보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송에 열중해 있어,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잊어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프로바이더측이 혼잡되어 있어 정보가 송신되고 있지 않는 경우 등에는 통신 회선이 접속된 채이므로 통신 회선의 사용료가 인식되지 않는 중에 고액이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잊어버리는 일이 있어, 전화 요금이 낭비가 될 문제가 있다.
또,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양면을 동시에 표시한 상태에서, 텔레비젼 프로가 종료할 때는 인터넷의 화면을 표시 화면 전체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 수상기로 인터넷의 WWW 서버의 정보를 보게 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은 브라우저로 보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브라우저에 의한 화면 표시는 퍼스널 컴퓨터용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 표시가 작다. 특히, 툴 바 (tool bar) 또는 버튼 등은 작게 표시된다. 이것은 퍼스널 컴퓨터는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유저가 화면 가까이에서 조작하기 때문에 작은 표시로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텔레비젼 수상기는 통상, 유저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보기 때문에, 이 브라우저를 텔레비젼 수상기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툴 바 등이 작게 표시되기 때문에 보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툴 바에 의한 조작이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일단 통신 회선이 접속되면, 프로바이더측으로부터 데이타가 송신되어 온다. 이 데이타가 송신되어 오는 상황 등이 사용자에 의해 판단되기 어렵기 때문에, 데이타가 모두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이 없다. 그리고, 퍼스털 컴퓨터 등의 브라우저에서는 데이가 송신되어 오는 상황 등을 수신 화면상에서 그래픽이나 수자(데이타양을 나타냄) 등으로 사용자가 시각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그래픽과 수자에 의한 표시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나 수자에 의한 표시도 가하여 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많은 표시를 행하면 사용자가 도리어 번거로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그래픽 표시로 데이타의 수신 상황을 나타내고 있지만, 전자 메일 등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래픽 표시로 데이타를 송신하고 있는지 수신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수단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퍼스널 컴퓨터 등의 경우는 개인 용도로 이용되지만,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개인 용도보다 가족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텔레비젼 수상기 가까이에서 보는 일이 적다. 이 때문에 멀리서 까지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터넷 수신 기능과, 비디오 신호, 예를 들면 텔레비젼 방송의 신호, 비디오 카세트,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등으로부터 재생되는 비디오 신호의 표시 기능의 양쪽을 구비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에서,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통신 회선에 의한 접속 상태를 수상기의 양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라는 것을 염두하지 않아 전화 요금을 낭비하게 되는 일이 없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한 상태에서 텔레비젼 프로가 종료했을 때는, 자동적으로 인터넷의 화면을 표시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로 인터넷의 정보를 보기 위한 브라우저 화면에서 조작하기 쉽고, 보기 쉬운 화면 표시를 행할 수 있는 화면 표시 방법 및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바이더로부터의 수신 데이타나 프로바이더에의 송신 데이타의 통신 상황을 동일한 표시 부분에서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또한 문자나 접속 시간 등을 표시하여, 데이타의 송신인지 수신인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수단;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수단; 음성 신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하는 스피커; 통신 회선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에 디지탈 데이타를 송신하고, 또한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디자탈 데이타를 수신하는 인터넷 접속 수단; 인터넷 접속 수단이 수신한 디지탈 데이타를 제2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 영상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1 영상 신호 및/또는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 및 디지탈 송수신 수단의 디지탈 데이타의 송수신 상태를 검출하고 그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도록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 형태는,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의 디지탈 데이타의 송수신 상태를 검출하고,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에 그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 송신 수단의 디지탈 데이타의 송수신의 상태, 다시 말하면 프로바이더에의 접속 상태가 화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에 의한 송수신 상태의 표시는 표시 수단이 제1 영상 신호, 예를 들면 텔레비젼 방송, 비디오 카세트 또는 디지탈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텔레비젼 방송, 비디오 카세트 또는 디지탈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바이더에의 접속 상태가 화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에 의한 송신 상태의 표시가 행해진 후,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 영상 신호가 자동적으로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텔레비젼 방송, 비디오 카세트 또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바이더에의 접속이 완료한 경우에는 인터넷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4 형태는, 전술한 기본 구성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 수단이 통신 회선과 접속될 때 부터의 시간을 계시하는 제1 계시 수단과; 제1 계시 수단에 의한 계시 결과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계시 결과 정보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잊어 버리는 일 없어 전화 요금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5 형태는, 상술한 제4 형태에 있어서, 제1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을 계시할 때 까지,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인터넷 접속 수단의 통신 회선과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가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잊어버려도 전화 요금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6 형태는, 상술한 제4 또는 제5 형태에서,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질 때 마다 계시를 개시하는 제 2 계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2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을 계시할 때 까지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인터넷 접속 수단의 통신 회선과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가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잊어도 전화 요금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7 형태는, 상술한 제5 또는 제6 형태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 수단의 통신 회선과의 접속을 절단하기 전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것을 화면에 소정 시간에 걸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통신 회선을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잊어버려도, 이를 알아낼 수 있어 전화 요금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8 형태는, 전술한 기본 구성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중 동기 신호에 동기시켜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를 각각 표시 수단의 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고, 횡렬로 합성하여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하는 합성 수단; 합성 수단이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를 횡렬로 합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표시 수단은 검출 수단이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 제2 영상 신호를 표시 수단의 화면 전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한 상태에서 텔레비젼 프로가 종료했을 때는, 자동적으로 인터넷의 화면을 표시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9 형태는, 상술된 제8 형태에 있어서 표시 수단이 제2 영상 신호를 화면 전체에 표시한 경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것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한 상태에서, 텔레비젼 프로가 종료했을 때는 자동적으로 인터넷의 화면을 표시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 있고, 이것을 조작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0 형태는, 전술한 기본 구성에 있어서 표시 수단의 화면에 각 제어 기능을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툴 바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툴 바의 임의의 버튼이 선택된 경우 이 화면 표시 수단이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수단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확대 표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1 형태는, 상술한 제10 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버튼의 확대 표시는 화면 중앙 방향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툴 바가 화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버튼은 화면 아래쪽에서 확대 표시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2 형태는, 상술한 제10 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버튼의 확대 표시시에 그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도 표시된다.
따라서, 확대 표시만의 경우에 비하여 그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3 형태는, 상술한 제10 형태에 있어서 선택되어 확대 표시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키는 것이 지정된 경우, 그 버튼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수단을 더 갖는다.
이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확대 표시되기 때문에, 기능을 작용시키는 것이 지정된 버튼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4 형태는, 상술한 제13 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킬 때의 표시 상태는 화면으로부터 압입된 상태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어느 버튼의 기능이 작용되는지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5 형태는, 전술한 기본 구성에 있어서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적어도 송수신 데이타양에 따라 증가하는 바에 의한 캐릭터와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발생하여 표시 수단의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데이타의 송수신량으로부터 나머지 송수신에 필요한 보통의 시간과,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으로부터 보통의 요금과, 통신 상태가 판명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6 형태는 상술한 제15 형태에 있어서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에 의한 캐릭터는 데이타의 종류에 따라 바의 색이 다르다.
따라서, 문자 데이타의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지, 텍스트 데이타의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지가 용이하게 판명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7 형태는 상술한 제15 형태에 있어서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에 의한 캐릭터는 통신 상태에 따라서 바의 색이 다르다.
따라서, 통신중인지, 수신중인지가 용이하게 판명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8 형태는 상술한 제16 형태 또는 제17 형태에 있어서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에 의한 캐릭터에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중첩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문자로도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가 표시되기 때문에, 이들의 인식이 보다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제19 형태는 상술한 제18 형태에 있어서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캐릭터 신호의 통신 신호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는 소정 시간 마다 교호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가 비교적 큰 문자로 표시되기 때문에, 인식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의 제1 형태는 인터넷의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 또한 화면상의 각 제어 기능을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툴 바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툴 바의 임의의 버튼을 선택하는 스텝과,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확대 표시됨과 동시에, 기능을 작용시키는 것이 지정된 버튼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어,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의 제2 형태는 상술한 제1 형태의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에서 버튼의 확대 표시는 화면 하부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툴 바가 화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버튼은 화면 하측으로 확대 표시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의 제3 형태는 상술한 제1 형태의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에서 그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도 표시한다.
따라서, 확대 표시만의 경우에 비하여 그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의 제4 형태는 상술한 제1 형태의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스텝에서 선택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킬 때, 그 확대 표시된 버튼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능을 작용시키는 것이 지정된 버튼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어,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의 제5 형태는, 상술한 제4 형태의 선택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킬 때, 그 확대 표시된 버튼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스텝에서의 표시 형태는 요부 형상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어느 버튼의 기능이 작용되는지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제1도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종래 접속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와 인터넷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인터넷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선국 CPU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의 음성 관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가 인터넷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가 인터넷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하위 계층의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 (tool bar)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2A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회선 상태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2B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회선 상태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시의 영상 신호의 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가 통상의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인 경우, 텔레비젼 방송이 종료했을 때의 CPU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26A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부터의 화면 표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6B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부터의 화면 표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7A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부터의 화면 표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7B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부터의 화면 표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부터의 화면 표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3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3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3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툴 바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35도는 문자 팔렛트의 설명도.
제36도는 문자 팔렛트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넷 텔레비젼 2 : 통신 회선
3 : 모뎀 4 : 서버
5 : 루터 6 : 인터넷
10a : 안테나 10 : 튜너
11 : 영상 중간 주파·검파 회로 12 : 비디오 크로마 처리부
13 : 비디오 신호 처리부 14 : 전환부
15 : RGB 매트릭스 16 : 동기 분리 편향 처리부
17 : CRT 18 : TV 영상 수평 압축부
19 : 영상 좌우 합성부 20 : 선국 CPU
20a : 리모트 콘트롤 장치 21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제어부
22 : 인터넷 처리부 23 : 전환부
24 : 통신 회선 25 : 동기 신호 작성부
26 : 클럭 발생기 27 : 기입 제어부
28 : 판독 제어부 29 : 비디오 FIFO
30 : 인터럽트 제어부 31 : I/O 포트(1)
32 : I/O 포트(2) 33 : EEPROM
35 : 카메라 비트 36 : 게이트 어레이
38 : CPU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인터넷 텔레비젼과 인터넷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접속예에서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인터넷 텔레비젼(1)이 통신 회선(2)에 접속된다. 인터넷 텔레비젼(1)에는 모뎀이 내장되어 있다. 통신 회선(2)은 접속 서비스 회사인 프로바이더의 모뎀(3) 또는 터미날 어댑터에 접속되고, 모뎀(3)은 프로바이더의 컴퓨터인 서버(4)에 접속되어 있다.
서버(4)는 인터넷(6)에 24시간 접속되어 있고, 중계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루터(5)를 거쳐 인터넷(6)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넷 텔레비젼(1)으로부터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면, 자동적으로 전화의 호출 동작이 행해지고, 프로바이더의 서버(4) 경유로 인터넷(6)에 접속된다(디이얼 업 접속).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인 인터넷 텔레비젼(1)의 실시 형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음성 관계는 도 6 참조). 이 인터넷 텔레비젼(1)은 안테나(10a)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젼 전파가 튜너(10)로 선국되고, 선국된 텔레비젼 전파는 영상 중간 주파·검파 회로(11)에 의해 비디오 신호가 검파된다. 검파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크로마 처리부(12)에 의해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B-Y, R-Y가 추출된다.
추출된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B-Y, R-Y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3)에 의해 적, 녹 및 청의 각 신호 R, G, B로 변환된다. 이 각 색신호 R, G, B는 전환부(14)를 거쳐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고, 각 색 마다 CRT(17)에 출력된다.
영상 중간 주파·검파 회로(11)에 의해 검파된 비디오 신호는 또한 동기 분리 편향 처리부(16)에도 공급되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가 추출된다. 추출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는 CRT(17)에 공급되어, 화면 주사의 동기 신호로서 사용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13)에 의해 변환된 각 색신호 R, G, B는 또한 전환부(14)를 거쳐 TV 영상 수평 압축부(18)에 공급된다. TV 영상 수평 압축부(18)는 주사선 마다의 영상 신호를 기억하는 라인 메모리를 갖고, 동기 분리 편향 처리부(16)로부터 공급된 수평 동기 신호의 체배 주파수인 4fsc (fsc=색 부반송파의 주파수)의 기입 블럭을 작성하고, 이에 의해 영상 신호를 기입한다. 영상 신호를 판독할 때애는, 기입 클럭의 2배의 주파수 8fsc의 판독 클럭을 작성하고, 이에 의해 판독하여 영상 좌우 합성부(19)에 공급한다.
한편, 통신 회선(24)에 접속된 인터넷 처리부(22)는, 통신 회선(24)를 경유하여 공급된 데이타로부터 영상 신호의 적, 녹 및 청의 각 색신호 R, G, B를 추출하고, 이 각 색신호 R, G, B는 전환부(23)를 거쳐,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고, 각 색 마다 CRT(17)에 출력된다. 인터넷 처리부(22)는 인터넷의 화면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독자적으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작성하고, 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는 CRT(17)에 공급되고, 화면 주사의 동기 신호로서 사용된다.
인터넷 처리부(22)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로부터의 지시가 있는 경우는, TV 영상 수평 압축부(18)로부터 공급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기본으로 작성하는 타이밍에서 디렉트 메모리 억세스 (DMA)를 행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기입하고, 수평 동기 신호에 라인 록(line lock)한 8fsc 주파수의 판독 클럭에 의해 판독하여, 전환부(23)를 거쳐 영상 좌우 합성부(19)에 공급한다.
인터넷 처리부(22)에 의해 출력된 각 색신호 R, G, B는 또한 전환부(23)를 거쳐 영상 좌우 합성부(19)에 공급된다.
영상 좌우 합성부(19)는 TV 영상 수평 압축부(18) 및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 각각 공급된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합성하고, 이 합성된 영상 신호는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며, 각 색 마다 CRT(17)에 출력된다.
선국 CPU(20)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로부터의 광 신호, 전파 신호 등에 의한 지시에 따라, 튜너(10)에 선국 지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인터넷 처리부(22)와의 신호 주고 받음을 행하여, 인터넷 텔레비젼(1)을 조작 제어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제어부(21)에도 지시 신호를 출력하여, OSD 제어부(21)로부터 영상 신호를 RGB 매트릭스(15)에 공급한다.
선국 CPU(20)는 또한 인터넷의 화면을 표시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모드와, 텔레비젼 프로 및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의 전환 신호를 전환부(14, 23)로 출력한다.
제4도는 인터넷 처리부(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인터넷 처리부(22)는 통신 회선(24)에 접속된 모뎀(41)이 CPU(38)에 접속되고, CPU(38)는 버스(40)를 거쳐 RAM(37), ROM(39) 및 게이트 어레이(36)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38)에는 DMA 콘트롤러(38a)가 구비되어 있다.
RAM(37)은 모뎀(41) 경유로 얻은 데이타의 화상 신호 외를 기억하고, ROM(39)는 인터넷 처리부(22)의 처리 프로그램 및 이 인터넷 텔레비젼(1) 독자의 화면(메뉴 화면 등)의 화상 신호 등을 기억하고 있다.
동기 신호 작성부(25)는 클럭 발생기(26)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을 기초로 인터넷 처리부(22) 독자의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작성하여, 게이트 어레이(36)에 공급한다. 클럭 발생기(26)는 8fsc의 클럭을 작성하여 게이트 어레이(36)에 공급한다.
게이트 어레이(36)는 라인 메모리인 비디오 FIFO(29)와, 기입 제어부(27)과, 판독 제어부(28)를 갖고 있다. 기입 제어부(27)는 TV 영상 수평 압축부(18) 또는 동기 신호 작성부(25)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공급하며, TV 영상 수평 압축부(18) 또는 클럭 발생기(26)로부터 기입 클럭을 공급하여, 비디오 FIFO(29)의 기입 제어를 행한다. 판독 제어부(28)는 TV 영상 수평 압축부(18) 또는 동기 신호 작성부(25)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공급하고, TV 영상 수평 압축부(18) 또는 클럭 발생기(26)로부터 판독 클럭을 공급하여, 비디오 FIFO(29)의 판독 제어를 행한다.
게이트 어레이(36)는 또한 선국 CPU(20)와의 신호 주고 받음을 행하는 I/O 포트(1)(31)과, 이 I/O 포트(1)(31)로부터의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CPU(38)의 인터럽트 신호로서 출력하는 인터럽트 제어부(30)와, 전화 번호, ID, 패스워드 및 통신 이력 등을 기억하는 EEPROM(33)과 신호 주고 받음을 행하는 I/O 포트(2)(32)를 갖고 있다.
1화면 표시 때에는, 동기 신호 작성부(25)는 다음에 표시해야 할 필드가 Odd 또는 Even중 어느 것인가를 출력한다. 2화면 표시 때에는, 판독 제어부(28)가 공급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의 관계로부터 다음에 표시해야 할 필드가 Odd 또는 Even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수직 동기 신호의 인터럽트 타이밍에 의해 인터럽트 제어부(30) 경유로 CPU(38)에 공급한다.
비디오 FIFO(29)로부터 판독된 각 색신호 R, G, B는 각각 카메라 비트(35)에 의해 세밀하게 착색되어 전환부(23)에 출력된다.
제5도는 선국 CPU(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선국 CPU(20)는 제1 계시 수단인 제1 타이머(52)와 제2 계시 수단인 제2 타이머(57)가 접속된 CPU(50)에 버스(51)를 거쳐 통신 제어부(56), I/O 포트(55), RAM(54) 및 ROM(53)이 접속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56)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와 통신을 행하고, I/O 포트(55)는 튜너(10), OSD 제어부(21) 및 인터넷 처리부(22) 등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인 인터넷 텔레비젼의 실시 형태의 음성 관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07은 음성 중간 주파수(SIF) 회로이고, 영상 중간 주파·검파 회로(11)의 출력으로부터 SIF 신호를 검출한다. 108은 음성 검파 회로이고, SIF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음성 앰프(109)에 공급한다. 110은 선국 CPU(20)의 지시에 의해 음성 앰프(109)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와 음성 출력 앰프(1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전환시키는 스위치 회로이다. 111은 혼합 회로로서, 음성 스위치 회로(110)의 출력과 캐리어 앰프(117)의 출력을 혼합하여 스피커(112)로 출력한다. 캐리어 앰프(117)은 모뎀(41)으로부터의 캐리어음을 증폭한다. 음성 출력 앰프(120)은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로서의 인터넷 텔레비젼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터넷 텔레비젼(1)은 텔레비젼 방송을 보고 있을 때는 선국 CPU(10)가 전환부(14)를 비디오 신호 처리부(13)에 접속하고, 비디오 신호를 CRT(17)에 출력한다. 또한, 선국 CPU(20)는 음성 스위치 회로(110)를 음성 앰프(109)에 접속하여, 음성 신호를 혼합 회로(111)를 거쳐 스피커(112)에 공급한다. 또, 음성 신호는 음성 앰프(109)를 제어하는 것으로 음량이 변화한다. 이것은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의 조작으로 선국 CPU(20)로부터 음성 앰프(109)를 제어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채널 선국하면 선국 CPU(20)는 그 채널의 번호를 나타내는 문자 신호를 발생하도록 OSD 제어부(21)를 제어하여, OSD 제어부(21)로부터 문자 신호를 RGB 매트릭스(15)에 공급한다. 이 OSD 제어부(21)는 채널 문자 만이 아니라, 음량 조정 표시나 각종 조정 모드의 표시 등 다양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인터넷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제7도, 제8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에서 인터넷 접속 모드(S101)를 선택하면, 선국 CPU(20)가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화면으로부터 인터넷 메뉴 화면이 되어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을 표시하도록 OSD 제어부(21)를 제어한다. 이 메뉴 화면에는 미리 결정된 정보의 분류(가게 정보, 여행·관광, 뉴스, 학습, 오락, 지역과 기업 정보, 오리지날, 검색, 전자 메일)로 크게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화면 아래에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의 외관을 나타내는 아이콘(42)이 표시되어 각 키의 기능을 표시한다. 즉, 우측단에 선택 버튼(43), 좌측단에 결정 버튼(44), 중앙부에 각종 조작 버튼(45)이 표시된다. 선택 버튼(43)은 「검지」의 버튼 또는 커서 등의 위치를 8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결정 버튼(44)이 조작됐을 때의 버튼 또는 커서 등과 중첩되는 그림(버튼형의 그림도 포함) 또는 문자예로 표시되는 항목이 선택 결정된다.
또, 이 메뉴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하위 계층의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제9도의 메뉴 화면으로 여행·관광을 선택하면, 제10도와 같은 각 지방의 선택 메뉴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이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그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프로바이더에 통신 회선(24)이 접속한다. 이 때, 사용자는 텔레비젼 방송 화면으로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 자동적으로 텔레비젼 방송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점에서, 이와 같은 메뉴 화면으로부터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S102), 선국 CPU(20)는 인터넷 처리부(22)에 그 데이타를 전송한다. 인터넷 처리부(22)는 모뎀(41)에 통신 회선(24)을 프로바이더에 접속하도록 동작시킨다(S103). 또, 인터넷 접속 모드가 아닐 때는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화면 그대로이다(S110).
그리고, 모뎀(41)이 통신 회선(24)를 접속하면(프로바이더에 전화를 걸면), 모뎀(41)으로부터 캐리어음이 출력된다(S104). 이것과 동시에 모뎀(41)으로부터의 통신 회선(24)을 접속 개시했는지의 정보를 인터넷 처리부(22)에 전송하여, 그 정보를 선국 CPU(20)에 공급한다. 선국 CPU(20)는 이것을 수신하여 텔레비젼 방송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 앰프(9)의 음량을 소정 레벨로 까지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그 음성 신호와 모뎀(41)으로부터의 캐리어음이 혼합 회로(111)에서 혼합되어, 스피커(112)에 출력된다(S105). 이에 의해 텔레비젼 방송을 보고 있어도 자동적으로 음량이 내려가고, 유저는 모뎀(41)의 캐리어음을 들을 수 있다.
이 때, 유저가 텔레비젼 방송을 보지 않고 그대로 인터넷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화면 그대로 하면, 도 11에서 나타내도록 상부에 코멘트(툴 바 TB등도 포함)(147)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 인터넷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넷 수신 화면(149)이 된다. 이 상태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커서(146)로 각종 툴을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저가 바라는 정보(프로바이더)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텔레비젼 수상기로 텔레비젼 방송과 인터넷 화면을 도 12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화면을 2분할하여 좌측에 텔레비젼 방송의 화면(148)을 표시하고, 우측을 인터넷 수신 화면(149)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통신 회선(24)을 접속한 후, 텔레비젼 방송의 화면으로 전환시킨 상태로 하면, 선국 CPU(20)는 통신 회선(24)를 접속중인지의 여부의 문자 신호를 OSD 제어부(21)에 발생시켜 텔레비젼 신호와 함께 CRT(17)에 표시한다(S106). 이 표시예로서는, 도 13과 같이 화면(30)의 하부에 「지금 접속중입니다. 잠깐 기다려주십시요」라고 메세지(132)를 표시한다. 또, 메시지(132) 외에 타이머(131) 등을 표시하여 접속 시간의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량 조정시에 OSD 제어부(21)로부터 출력되는 바 표시를 행함으로써, 캐리어음과 음성 신호가 부가된 신호의 변화가 보이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통신 회선(24)이 프로바이더에 접속되면, 모뎀(41)으로부터 데이타가 수신되기 때문에, 인터넷 처리부(22)를 거쳐 접속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선국 CPU(20)에 전송한다(S107).
그러면, 선국 CPU(20)는 텔레비젼 신호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원래대로 복귀하여, 캐리어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S108). 또한, OSD 제어부(21)에 의해 제14도와 같이 「접속 완료했음」이라고 하는 메시지(134)와 타이머(133)의 표시에 의해 접속 시간을 표시한다(S109).
접속한 경우는, 인터넷 처리부(22)에서 모뎀(41)으로부터의 데이타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 비디오 신호는 전환부(23)를 거쳐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고,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 앰프(120)을 거쳐 음성 스위치 회로(110)에 공급된다.
또한, 통신 회선(24)의 접속 완료 후에도, 그 프로바이더가 혼잡되어 있는 경우에는, 좀처럼 데이타가 송신되지 않는다. 이와 같을 때는,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있는 동안에 데이타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 것을 선국 CPU(20)가 판단하여, 제15도와 같이 「서버(또는 프로바이더)가 혼잡되어 있음」라고 하는 메시지(137)을 표시한다. 이것을 보고 사용자는 곧 인터넷 화면으로 되돌아가, 회선을 차단하든지, 다른 프로바이더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메시지(37)은 「비지 상태임」 등이어도 좋다.
또, 통신 회선(24)의 접속을 소정 시간 내에 할 수 없는(전화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S111), 선국 CPU(20)는 텔레비젼 신호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원래데로 복귀하여, 캐리어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S108). 또한, OSD 제어부(21)에 의해 도 16과 같이 「접속할 수 없음」이라고 하는 메시지(136)과 타이머(135)의 표시에 의해 접속 시간을 표시한다(S109). 이상에 의해 전화의 접속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4도, 제15도, 제16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을 인터넷 수신 화면으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제12도와 같이 2화면의 표시로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그 인터넷 수신 화면이나 2화면으로 자동적인 복귀 동작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에, 인터넷 수신 화면에서의 통신 회선(24)의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제17도 내지 제20도의 모식도 및 제21도의 플로우 챠트, 또한 제22도의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터넷 접속 모드인 경우의 통신 회선(24)을 접속하기 전의 메뉴 화면의 표시(S302)는, 제1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상부에 각종 코멘트 표시부(147)와 툴 바 TB가 표시되고, 하부에는 인터넷 수신 화면(149)이 표시된다. 그리고, 그 각종 코멘트 표시부(147)과 툴 바 TB의 표시는 제17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코멘트 표시부(147)의 우측에 전화 마크(151)와 박스(152)로 구성되는 회선 상태 표시부(150)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 각종 툴 바 TB가 표시된다. 이 시점에서는, 전화 마크(151)는 온훅 상태의 그림이 표시되고, 박스(152)는 백색의 표시 그대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뉴 선택이 행해져 통신 회선(24)이 접속되면(S303, S304), 제18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 마크(151)는 오프훅 상태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통신 회선(24)이 프로바이더에 접속되면, 프로바이더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타를 수신한다(S305). 이 수신된 데이타가 현재 어느 만큼 수신측에서 수취되어 있는지가 제22A도, 제22B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 상태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현재, 데이타의 수신량이 50%이면, 제22A도, 제22B도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 상태 표시부(150)의 박스(152)의 반분만큼 바에 의해 색을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쉽게 판별하게 한다.
또한, 현재의 회선 상태를 회선 상태 표시부(150) 내에 문자(예를 들면, 통신중)로서 표시한다. 또, 소정 시간 경과 마다(이것은 5초 정도의 근소한 시간 간격이면 됨), 문자를 통신 회선을 사용하고 있는 시간의 표시(예를 들면, 3분의 경우이면 도 2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00:03」)로 변화시켜, 문자와 수자를 교호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상태에서 바 표시 부분이 많아져 가, 100% 수신할 때에는, 예를 들면 문자로 「수신 완료」라고 표시하고 곧 문자의 표시를 소거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현재의 통신 상태와 통신 시간 및 데이타의 취입 상황이 1개소의 표시 부분을 보는 것만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박스(152)에서의 바 표시로는 수신하고 있는 데이타에 의해 색을 변화시켜 데이타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타가 텍스트 데이타인 경우는 적색으로 바를 표시하고 화상 데이타인 경우는 청색으로 바를 표시한다. 또, 이 경우는 수신 데이타의 경우의 설명이지만,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즉, 프로바이더측에 전자 메일 등을 송신하는 경우, 통신 회선을 거쳐 데이타를 송신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바 표시로 데이타가 송신되고 있는 상황을 표시한다(문자나 시간도 수신과 동일하게 함). 이 때, 송신 경우의 바 표시는 녹색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바의 색에 의해 송신인지 수신인지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메일의 송수신시에는, 데이타의 송신시만이 아니라 수신시에도 바 표시를 녹색인 채로 하여도 좋고, 이 경우 통신 동작 모드(전자 메일의 모드인지, 프로바이더로부터의 텍스트 데이타 또는 화상 데이타인지)가 어느 것인지도 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다음에, 프로바이더로부터 데이타를 전부 수신하면(S307), 회선 상태 표시부(150)는 통신 시간만을 표시한다(S308). 그리고, 다른 URL이 지정되면, 다시 통신 회선(24)이 접속되어 상술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S309). URL을 지정하지 않고 통신 회선(24)를 차단한 경우는, 표시도 정지된다.
또, 통신 시간의 시계는 이 시점에서 "0"으로 복귀된다. 또, 통신 회선(24)를 접속하여 데이타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S304, S305)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데이타가 보내져 오지 않는 경우에는(S311), 통신 회선(24)이 차단된다(S312).
다음에,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로서의 인터넷 텔레비젼(1)의 2화면 표시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터넷 텔레비젼(1)은 선국 CPU(20)에 의해 통상의 텔레비젼으로서 작동하는 모드가 지정된 경우, 안테나(10a)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젼 전파가 선국 CPU(2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튜너(10)에서 선국된다. 선국된 텔레비젼 전파는 영상 중간 주파·검파 회로(11)에 의해 비디오 신호가 검파되고, 검파된 비디오 신호로부터는 비디오 크로마 처리부(12)에 의해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B-Y, R-Y가 추출된다.
추출된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B-Y, R-Y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3)에 의해 적, 녹 및 청의 각 색신호 R, G, B로 변환된다. 이 각 색신호 R, G, B는 전환부(14)를 거쳐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고, 각 색 마다에 CRT(17)에 출력된다.
영상 중간 주파·검파 회로(11)에 의해 검파된 비디오 신호로부터는, 동기 분리 편향 처리부(16)에 의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가 추출된다. 추출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는 CRT(17)에 공급되고, 각 색신호 R, G, B를 주사할 때의 동기 신호로서 사용된다.
인터넷 텔레비젼(1)은 선국 CPU(20)에 의해 인터넷 텔레비젼으로서 작동하는 모드가 지정된 경우, CPU(38)가 인터럽트 제어부(30)에 의해 인터럽트를 건다. CPU(38)는 인터럽트를 걸면, ROM(39)으로부터 메뉴 화면의 1화면분의 영상 신호를 판독하여, RAM(37)에 세트한다. 또, 클럭 발생기(26)는 클럭을 출력하여, 기입 제어부(27) 및 판독 제어부(28)에 공급한다.
또, 선국 CPU(20)는 전환 신호를 출력하고, 전환부(14)로부터의 출력을 정지시키고, RGB 매트릭스(15)에의 입력을 전환부(23)와 OSD 제어부(21)로만 전환된다.
인터럽트 제어부(30)는 판독 제어부(28)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공급할 때 마다, CPU(38)가 내장하는 DMA 콘트롤러(38a)를 기동시키고, DMA에 의해 RAM(37)로부터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의 각 색신호 R, G, B를 판독하여, 비디오 FIFO(29)에 공급한다. 비디오 FIFO(29)에서는, 이 각 색신호 R, G, B를 기입 제어부(27)가 8fsc의 기입 클럭에 의해 각각 기입하고, 독출 제어부(28)가 만드는 타이밍에 의해 각각 판독하여, 판독된 각 색신호 R, G, B는 전환부(23)을 거쳐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어, 각 색마다 CRT(17)에 출력된다.
동기 신호 작성부(25)는 1화면 표시시에,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CRT(17)에 공급하고, 이들은 각 색신호 R, G, B를 화면 주사할 때의 동기 신호로서 사용된다.
이 때, DMA 콘트롤러(38a)는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RT(17)의 표시 화면에의 표시가 시작하는 1라인 이전(도 23의 오른쪽 위)으로부터 DMA에 의해 영상 신호의 각 색신호 R, G, B를 RAM(37)으로부터 판독하고, CRT(17)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무효 표시 영역 B의 기간(수평 귀선 기간) 중에 비디오 FIFO(29)에의 기입을 종료하고, CRT(17)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유효 표시 영역 A의 기간중은 판독 제어부(28)가 비디오 FIFO(29)로부터의 판독을 행한다.
또, 동기 신호 작성부(25)는 수직 동기 신호의 인터럽트 타이밍에서 다음에 표시해야 하는 필드가 Odd 또는 Even중 어느 것인가의 출력을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CPU(38)에 공급한다. CPU(38)는 이 결과에 따라서, 판독하는 영상 신호의 RAM(37)내의 어드레스를 DMA 콘트롤러(38a)에 세트한다.
상술한 동작 결과, CRT(17)의 표시 화면에는 전술한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조작자가 이 메뉴 화면의 「가게 정보」, 「여행·관광」「뉴스」「학습」「오락」「지역과 기업 정보」「오리지날」「검색」「전자 메일」의 각 그림(아이콘) 중에서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를 조작하여, 예를 들면 「여행·관광」의 그림을 선택하여 결정하면, 인터넷 처리부(22)는 전술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여행·관광」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선택 화면에서 선택 결정할 때 마다, 트리 형상의 선택 가지로 연결된 동일한 하위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선택 화면에서 선택 결정되어 검색이 진행되면, 검색된 항목에 관련된 그림이 ROM(39) 및 EEPROM(33)으로부터 판독되어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조작자가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를 조작하여, 이 그림중에서 선택 결정하면, CPU(38)가 EEPROM(33)으로부터 프로바이더의 서버(4)의 전화 번호를 판독하여, 전화의 호출 동작을 행하고, 프로바이더의 서버(4)와 인터넷 처리부(22)가 접속된다. 프로바이더의 서버(4)와 접속되면, 선택 결정된 그림에 대응하는 URL이 호출 접속된다.
접속된 URL의 홈 페이지의 데이타가 통신 회선(24) 및 모뎀(41) 경유로 보내져 오면, CPU(38)는 이 데이타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RAM(37)에 세트한다. RAM(37)에 세트된 영상 신호는 메뉴 화면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등록되어 있지 않는 URL를 호출하는 경우는, 후술하는 브라우저의 메뉴 화면의 「URL 입력」을 선택 결정하여 그 URL을 입력한다.
전화 및 URL의 호출 동작중에는, 전술한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브라우저의 메뉴 화면이 상단부에 표시된 기본도의 하단부에, 전술한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지금 접속중임」 및 도 14 「접속 완료했음」의 표시를 행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메뉴 화면(도 9)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선국 CPU(20)에 의해 통상의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가 지정됐을 때, CPU(38)가 인터럽트 제어부(30)에 의해 인터럽트를 걸 수 있다.
선국 CPU(20)는 이 때 전환 신호를 출력하고, 전환부(14)로부터의 출력 및 전환부(23)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TV 영상 수평 압축부(18)로 전환한다.
인터넷 텔레비젼(1)은 비디오 신호 처리부(13)에 의해 적, 녹 및 청의 각 색 신호 R, G, B로 변화된 각 색신호 R, G, B를 전환부(14)를 거쳐 TV 영상 수평 압축부(18)에 공급한다.
TV 영상 수평 압축부(18)는 동기 분리 편향 처리부(16)로부터 공급된 수평 동기 신호의 체배 주파수인 4fsc의 기입 클럭을 작성하고 이에 의해 영상 신호의 각 색신호 R, G, B를 각각 기입한다. 영상 신호의 각 색신호 R, G, B를 판독할 때는, 기입 클럭의 2배 주파수 8fsc의 판독 클럭을 작성하고 이에 의해 각 색신호 R, G, B를 주사선의 개시단으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영상 좌우 합성부(19)에 공급한다.
한편, 인터넷 처리부(22)는 통상의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가 지정되고, CPU(38)가 인터럽트를 걸면, ROM(39)으로부터 메뉴 화면의 1화면분의 화상 신호를 판독하여, RAM(37)에 세트하고, 또한 동기 신호 작성부(25) 및 클럭 발생기(26)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인터넷 처리부(22)는 TV 영상 수평 압축부(18)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8fsc의 클럭을 공급한다.
인터럽트 제어부(30)는 판독 제어부(28)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공급할 때 마다, CPU(38)가 내장하는 DMA 콘트롤러(38a)를 기동시키고, DMA에 의해 RAM(37)로부터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의 각 색신호 R, G, B를 판독시켜, 비디오 FIFO(29)에 공급한다. 비디오 FIFO(29)에서는 이 각 색신호 R, G, B를 기입 제어부(27)가 만드는 타이밍에 의해 각각 기입하고, 판독 제어부(28)가 8fsc의 판독 클럭에 의해 영상 신호를 주사선의 중간점의 타이밍에서부터 판독하여 각각 판독하고, 판독된 각 색신호 R, G, B는 전환부(23)을 거쳐 영상 좌우 합성부(19)에 공급된다.
영상 좌우 합성부(19)는 TV 영상 수평 압축부(18) 및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 각각 공급된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합성하고, 이 합성된 영상 신호는 RGB 매트릭스(15)에 공급되고, 각 색 마다 CRT(17)로 출력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의 좌측 반쪽에 통상의 텔레비젼 프로가 우측 반쪽에 인터넷의 화면이 각각 표시된다. 이것은 인터넷의 메뉴 화면에 한하지 않고, 인터넷의 어떤 화면일 때에도 가능하다.
제24도는 통상의 텔레비젼 프로와 인터넷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인 경우에, 텔레비젼 방송이 종료했을 때의 CPU(38)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인터럽트 제어부(30)는 판독 제어부(28)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텔레비젼 방송이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인터럽트에 의해 CPU(38)에 이것을 통지한다(S64). CPU(38)는 이 통지에 의해 클럭 발생기(26) 및 동기 신호 작성부(25)를 작동시키고(S66, 68),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클럭을 인터럽트 제어부(27) 및 판독 제어부(28)에 공급한다.
이어서, CPU(38)는 선국 CPU(20)에 이것을 통지하여, 선국 CPU(20)에 전환 신호를 출력하고, 전환부(14)로부터의 출력을 정지시키고, 전환부(23)로부터의 출력을 RGB 매트릭스(15)에 출력시켜, 표시 화면 전체에 인터넷의 화면을 표시시킨다(S70).
이어서, CPU(38)는 선국 CPU(20)에,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제2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의 하단에 예를 들면 「텔레비젼(TV) 방송은 종료했음」과 같은 경고(주의)를 표시시킨다(S72).
인터넷 텔레비젼(1)의 그 외 동작은 전술한 통상의 텔레비젼으로서 작동하는 모드 및 인터넷의 화면을 전체 표시 화면으로 표시하는 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6A도, 제26B도, 제27A도, 제27B도, 제28도는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 부터의 CPU(38) 및 선국 CPU(20)의 CPU(50)의 표시 화면에 관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 이 플로우 챠트에 기초하여, CPU(38, 50)의 표시 화면에 관한 동작을 설명한다.
CPU(50)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S10), 전환 회로(14, 23)에 전환 회로를 출력하여,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의 화면 표시를 개시시킨다(S12).
URL이 선택 결정 또는 입력되고, 통신 회선(24)의 접속 동작이 개시될 때(S14), 접속 동작중인 화면 전환 모드가 선국 CPU(20)에서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S16),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 표시를 개시시킨다(S18).
통신 회로(24)의 접속이 완료했을 때(S20), CPU(50)는 제1 타이머(52)를 리세트하여 기동하고, 제1 타이머(52)가 계시한 시간을,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분 단위로 화면에 표시한다(S21).
이어서, 호출한 URL의 홈 페이지의 데이타가 통신 회선(24) 및 모뎀(41) 경유로 송신되어 오면, CPU(38)는 그 데이타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RAM(37)에 세트한다. RAM(37)에 세트된 화상 신호는 메뉴 화면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S22).
접속 동작중인 화면 전환 모드가 선국 CPU(20)에서 수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S16), CPU(50)는 제18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브라우저의 메뉴 화면이 상단부에 표시된 기본도의 하단부에,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제1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지금 접속중임」 및 제1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접속 완료했음」의 표시를 행하다(S30). 이 상태에서 통신 회선(24)의 접속이 완료했을 때(S31), CPU(50)는 제1 타이머(52)를 리세트하여 기동하고, 제1 타이머(52)가 계시한 시간을 OSD 제어부(21)을 통하여 예를 들면 1분 단위로 화면에 표시한다(S33).
이 상태에서,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32), CPU(50)는 전환 회로(14, 32)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 표시를 개시시킨다(S34). 이 상태에서, 통신 회로(24)의 접속이 완료했을 때(S35)(이미 접속이 완료하고 있을 때는, 당연히 이 시점에서는 접속은 완료하지 않음), CPU(50)는 제1 타이머(52)를 리세트하여 기동하고, 제1 타이머(52)가 계시한 시간을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분 단위로 화면에 표시한다(S37).
이어서, CPU(50)는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의 하단부에 OSD 제어부(51)를 통하여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동일하게 「접속 완료 했음」을 표시시킨다(S37a).
또, CPU(50)는 이 때, 제2 타이머(57)를 리세트하여 기동시킨다(S39). 제2 타이머(57)를 기동시킨 후(S39), 소정 시간(예를 들면 6분간)이 경과했을 때(S41),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의 하단부에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분간 도 2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했음」의 경고를 표시한다(S43). 이 1분 동안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51),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22).
화면 전환이 지시되지 않았을 때(S51), CPU(38)는 통신 회선(25)를 절단하고(S42), 이어지는 텔레비젼 프로를 표시하는지, 또는 텔레비젼 프로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44).
제2 타이머(57)를 기동시킨 후(S39), 소정 시간(예를 들면 6분간)이 경과할 때 까지(S41),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36),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38).
CPU(50)는 화면 전환이 지시되지 않았을 때(S32), 이어지는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표시를 행하고, 다음의 지시를 대기한다.
통신 회로(24)의 접속이 완료하지 않고(S35),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36),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38). 이 때, 스크린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프로바이더 접속중임」 또는 「회선 접속」「어드레스 검색중」의 표시를 행한다(S38).
이 상태에서, 통신 회로(24)의 접속이 완료했을 때(S45)(이미 접속이 완료하고 있을 때는, 당연히 이 시점에서는 접속은 완료하지 않음), CPU(50)는 제1 타이머(52)를 리세트하여 기동하고 제1 타이머(52)가 계시한 시간을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분 단위로 화면에 표시한다(S47).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의 화면 표시의 상태에서(S22, 38),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24),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 표시를 개시시킨다(S26).
또, CPU(50)는 이 때, 제2 타이머(57)를 리세트하여 기동시킨다(S23). 제2 타이머(57)를 기동시킨 후(S23), 소정 시간(예를 들면 6분간)이 경과했을 때는(S25),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의 하단부에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분간 도 29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절단했음」의 경고를 표시시킨다(S27).
이 1분간에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29),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22).
화면 전환이 지시되지 않았을 때(S29), CPU(38)는 통신 회선(24)을 절단하고(S42), 이어지는 텔레비젼 프로를 표시하는지 또는 텔레비젼 프로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44).
제2 타이머(57)를 기동시킨 후(S23), 소정 시간(예를 들면 6분간)이 경과할 때 까지(S25),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28),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22).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의 화면 표시의 상태에서(S22, 38),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의 인터넷 버튼이 조작될 때(S40), CPU(38)는 통신 회선(24)를 절단하고(S42),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 표시를 개시시킨다(S44).
그런데, CPU(38, 50)는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상술한 동작 외에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CPU(50)는 인터넷 처리부(22)로부터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통신 회선(24)의 접속이 완료됐을 때(S50), 제2 타이머(57)를 리세트하여 기동하고(S52), 제2 타이머(57)가 예를 들면 6분간 계시할 때 까지(S54), 인터넷에 관련되는 버튼이 조작될 때는(S56), 다시 제2 타이머(57)를 리세트하여 기동하고(S52), 6분간의 계시를 개시한다(S54).
CPU(50)는 제2 타이머(57)가 6분간 계시할 때 까지(S54), 인터넷에 관련되는 버튼이 조작되지 않았을 때(S54), 인터넷에 관련된 화면의 하단부에 OSD 제어부(2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분간 도 29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절단했음」의 경고를 표시시킨다(S58). 이 1분간 리모트 콘트롤 장치(20a)가 조작되어, 화면 전환이 지시될 때(S59), CPU(50)는 다시 제2 타이머(57)를 리세트하여 기동하여(S52), 6분간의 계시를 개시한다(S54).
화면 전환이 지시되지 않았을 때(S59), CPU(38)는 통신 회선(24)를 절단하고(S60), CPU(50)는 전환 회로(14, 23)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프로의 화면 표시를 재시시킨다(S62).
이어서, 툴 바의 조작시의 동작에 대해서 제30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터넷의 화면이 표시될 때,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제18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의 상단부에 표시되는 브라우저의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S201). 이 메뉴 화면은 좌단으로부터 「되돌림」「진행」「재판독」「화상 재판독」「URL 입력」「URL 등록」「중지」「종료」「하측으로 이동」「상측으로 이동」「좌측으로 이동」「우측으로 이동」을 각각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진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선택 버튼(43)을 조작하여, 포인터(46)를 어느 버튼상으로 이동시키면(S202), 제3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버튼이 하측 방향으로 넓혀져(S202), 그 버튼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한다. 단, 「하측으로 이동」「상측으로 이동」「좌측으로 이동」「우측으로 이동」의 각 버튼은 하측 방향으로 넓혀지지 않는다.
또, 그 버튼이 선택 결정되면, 다른 화면으로 점프하는 경우는, 제13도에서 나타나 있는 버튼(46)이 제31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검지」형의 버튼(48)으로 변화한다.
버튼이 하측 방향으로 넓혀지고, 버튼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S204에서 NO), 결정 버튼(44)이 조작(클릭)되면(S205), 제3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버튼은 순간적으로 들어가, 그 버튼의 통상의 때 보다 어두운 색이 되어 그림자와 하이라이트가 역전된다(S206). 이에 의해 그 버튼이 선택 결정될 때가 표시된다.
버튼이 어느 동작에도 관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버튼(46)을 그 버튼 위로 이동시키면(S204에서 예스), 제3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46)은 변화하지 않고 그 버튼의 그림의 명암을 순간적으로 역전시켜 주의를 준다.
제34도는 브라우저의 메뉴 화면의 다른 설명도이다. 이 메뉴 화면은 버튼이 선택 결정될 때, 그 버튼에 관련되는 큰 버튼이 패널(47)과 함께 표시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키 커서는 선택 버튼(43)의 조작에 의해 큰 버튼 위만을 이동하고, 키 커서가 버튼 위에서 이동하면, 그 버튼이 밝아져 그 버튼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한다(패널47). 이 상태에서 결정 버튼(44)이 조작되면, 그 버튼은 순간적으로 들어가, 그 버튼이 선택 결정된 것을 표시한다(패널 47a).
제35도, 제36도는 문자 팔렛트의 설명도이다. 문자 팔렛트는 「URL 입력」 및 전자 메일 작성 등 문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 「문자 입력」 버튼이 선택 결정됨으로써 표시된다. 문자 팔렛트는 문자, 기호 및 조작 항목 마다 버튼이 할당되어 있다. 제35도는 「영수자·대문자」의 문자 팔렛트를 제36도는 「한자 변환」의 문자 팔렛트를 각각 나타내고, 그 외에 「영수자·소문자」「히라가나」등의 문자 팔렛트가 필요에 따라 또는 조작 항목 버튼이 선택 결정됨으로써 표시된다.
미리, 문자 입력이 필요한 위치에 버튼을 이동시키고, 결정 버튼(44)을 조작하여 문자 입력이 필요한 화면 프레임 내에서 커서 표시로 변환시킨다. 이 상태에서 「문자 입력 버튼」을 선택 결정하면, 문자 팔렛트가 표시되고, 「검지」형 버튼을 선택 버튼(43)의 조작에 의해 해당 버튼상으로 이동시키고, 결정 버튼(44)을 조작하면, 해당 버튼이 순간 들어가 색이 순간 어둡게 되어, 그 버튼이 선택 결정된 것을 표시한다. 선택 결정된 버튼에 해당하는 문자는 「입력 완료 표시」란(49)에 표시됨과 동시에, 문자 입력이 필요한 화면 프레임 내에 입력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를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에와는 반대로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통상의 퍼스털 컴퓨터에 텔레비젼 수상기로서의 기능을 조립함으로써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기본 특성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몇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영역은 이전의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 및 청구범위의 경계 내에 있는 모든 변형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그 경계의 균등물이 청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 데이타 송신 수단의 디지탈 데이타의 송수신의 상태, 예를 들면 텔레비젼 방송, 비디오 카세트 또는 디지탈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바이더에의 접속 상태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바이더에의 접속이 완료한 경우에는 인터넷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Claims (27)

  1.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영상 신호 (picture signal)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수단;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수단; 상기 음성 신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하는 스피커; 통신 회선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 상기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에 디지탈 데이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디자탈 데이타를 수신하는 인터넷 접속 수단;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이 수신한 디지탈 데이타를 제2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 상기 영상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1 영상 신호 및/또는 상기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디지탈 송수신 수단의 디지탈 데이타의 송수신 상태를 검출하고, 그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캐릭터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캐릭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에 의한 송수신 상태의 표시는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신호 발생 제어 수단에 의한 송수신 상태의 표시가 행해진 후, 상기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 영상 신호가 자동적으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은 적어도 송수신 데이타양에 따라 증가하는 바 (bar)와,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발생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는 데이타의 종류에 따라 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에,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을 나타내는 문자와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는 통신 상태에 따라서 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발생 제어 수단이 발생하는 바에,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을 나타내는 문자와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선의 접속 시간과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는 소정 시간 마다 교호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0.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수단; 통신 회선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 상기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에 디지탈 데이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수신하는 인터넷 접속 수단;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이 수신한 디지탈 데이타를 제2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 상기 영상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1 영상 신호 및/또는 상기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이 상기 통신 회선과 접속되어 있을 때부터의 시간을 계시하는 제1 계시 수단; 및 제1 계시 수단에 의한 계시 결과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계시 결과 정보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을 계시할 때 까지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질 때 마다 계시를 개시하는 제 2 계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을 계시할 때 까지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의 접속을 절단하기 전에 상기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것을 상기 화면에 소정 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질 때 마다 계시를 개시하는 제 2 계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을 계시할 때 까지 인터넷에 관련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의 접속을 절단하기 전에, 상기 통신 회선을 절단한 것을 상기 화면에 소정 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중 동기 신호에 동기시켜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각각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압축하고, 횡렬로 합성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에 표시하는 합성 수단; 상기 합성 수단이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횡렬로 합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화면 전체에 표시할 경우, 상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것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8.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수단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수단; 통신 회선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 상기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에 디지탈 데이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수신하는 인터넷 접속 수단; 상기 인터넷 접속 수단이 수신한 디지탈 데이타를 제2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 수단; 상기 영상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1 영상 신호 및/또는 상기 데이타 변환 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2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에 각 제어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툴 바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은 상기 툴 바의 임의의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의 확대 표시는 화면 중앙 방향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의 확대 표시시에는, 그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은 선택되어 확대 표시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키는 것이 지정된 경우에, 그 버튼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의 기능을 동작시킬 때의 표시 상태는, 화면으로부터 압입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23. 인터넷의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 또한 화면상의 각 제어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툴 바를 표시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툴 바의 임의의 버튼을 선택하는 스텝; 상기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스텝에서 버튼의 확대 표시는 화면 중앙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을 확대 표시하는 스텝에서 그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킬 때, 그 확대 표시된 버튼의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의 기능을 작용시킬 때, 그 확대 표시된 버튼의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는 스텝에서의 표시 형태는 화면으로부터 압입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 표시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2457A 1996-07-12 1997-07-12 인터넷정보표시장치및인터넷정보표시방법 KR100313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83569 1996-07-12
JP8183569A JPH1027087A (ja) 1996-07-12 1996-07-12 画面表示方法及びインターネット受信機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96-206223 1996-08-05
JP8206223A JPH1051704A (ja) 1996-08-05 1996-08-05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96-236795 1996-09-06
JP8236795A JPH1084511A (ja) 1996-09-06 1996-09-06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96-255050 1996-09-26
JP25505096A JP3369864B2 (ja) 1996-09-26 1996-09-26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700A true KR980010700A (ko) 1998-04-30
KR100313201B1 KR100313201B1 (ko) 2001-12-12

Family

ID=2747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457A KR100313201B1 (ko) 1996-07-12 1997-07-12 인터넷정보표시장치및인터넷정보표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026435A (ko)
EP (1) EP0818925B1 (ko)
KR (1) KR100313201B1 (ko)
DE (1) DE697343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353B2 (ja) * 1996-09-05 2002-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037928A (en) * 1997-11-13 2000-03-14 Imageworks Manufactur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trained, streamlined access to a computerized information source
JP4352471B2 (ja) * 1998-02-19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6842779B1 (en) * 1998-03-11 2005-01-11 Yasuo Nishizawa Agent accessory tool cooperating with integrated application on WEB server by HTTP protocol
US20080034113A1 (en) * 1998-05-04 2008-02-07 Frank Montero Method of contextually determining missing components of an incomplete uniform resource locator
US6590588B2 (en) * 1998-05-29 2003-07-08 Palm, Inc. Wireless, radio-frequency communications using a handheld computer
US6343318B1 (en) 1998-05-29 2002-01-29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over low bandwidth communications networks
US6928652B1 (en) * 1998-05-29 2005-08-09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TML and video simultaneously
US6400407B1 (en) 1998-06-17 2002-06-04 Webtv Networks, Inc. Communicating logical addresses of resources in a data service channel of a video signal
US6215483B1 (en) 1998-06-17 2001-04-10 Webtv Networks, Inc. Combining real-time and batch mode logical address links
US7181756B1 (en) 1998-06-17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Television/internet terminal user interface
US6665687B1 (en) * 1998-06-26 2003-12-16 Alexander James Burke Composite user interface and search system for internet and multimedia applications
WO2000025239A1 (en) * 1998-10-28 2000-05-04 Yahoo! Inc.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et browser interface and a controllable browser interface
JP3480688B2 (ja) * 1998-12-14 2003-12-22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DE20022700U1 (de) 1999-01-19 2002-01-24 Integra5 Communications Inc Vorrichtung zur Auswahl und Anzeige von Multimedianachrichten
US6348932B1 (en) * 1999-03-01 2002-02-19 Sony Corporation Provide two different types of service in a menu
US6938270B2 (en) * 1999-04-07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Communicating scripts in a data service channel of a video signal
DE19938125A1 (de) * 1999-08-12 2001-03-01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von Kommunikationsnetzen
EP1079619B1 (en) * 1999-08-26 2006-10-18 Sony Service Centre (Europe) N.V. Televis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television system
US20020186249A1 (en) 1999-10-28 2002-12-12 Qi Lu Method and system of facilitating automatic login to a web site using an internet browser
US7185333B1 (en) 1999-10-28 2007-02-2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resources of a toolbar application program
US20020186255A1 (en) * 1999-10-28 2002-12-12 Shafron Thomas Joshua Method and system of facilitating on-line shopping using an internet browser
US7174562B1 (en) * 1999-12-20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television triggers having connected content/disconnected content attribute
JP3639761B2 (ja) * 1999-12-27 2005-04-20 財団法人エヌエイチケイサービスセンター テレビジョン放送におけるデータ放送の放送方法
US7289244B2 (en) 2000-02-02 2007-10-30 Raja Singh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US20020030843A1 (en) * 2000-02-02 2002-03-14 Tuli Raja Singh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US7068381B1 (en) * 2000-02-02 2006-06-27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US7356570B1 (en) 2000-08-29 2008-04-08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communication device
US7023572B2 (en) * 2000-02-02 2006-04-04 Raja Singh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US6633314B1 (en) * 2000-02-02 2003-10-14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device integrating cellular telephone and palm top computer
US20020115477A1 (en) * 2001-02-13 2002-08-22 Raja Singh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with scrolling
US6941382B1 (en) 2000-02-07 2005-09-06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or desktop device
KR100322755B1 (ko) 2000-02-14 2002-02-07 윤종용 가변형 오에스디 그래픽 데이터를 가진 영상장치
US6874009B1 (en) 2000-02-16 2005-03-29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device with user fees
US6766524B1 (en) * 2000-05-08 2004-07-20 Webtv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uraging viewers to watch television programs
KR200200505Y1 (ko) * 2000-05-17 2000-10-16 송창빈 전자기기 사용 제한장치
US6842777B1 (en) 2000-10-03 2005-01-11 Raja Singh Tuli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multaneous access by multiple remote devices
US7191211B2 (en) * 2000-10-03 2007-03-13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priority protocol
US6915327B1 (en) 2000-10-30 2005-07-05 Raja Singh Tuli Portable high speed communication device peripheral connectivity
DE10056730A1 (de) * 2000-11-15 2002-05-23 Alcatel Sa Telekommunikationssystem, Ausgabegerät und Diensterechner dafür
KR100361490B1 (ko) * 2000-12-04 200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tv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방법
US6928461B2 (en) 2001-01-24 2005-08-09 Raja Singh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access device with encryption
US20030079220A1 (en) * 2001-10-18 2003-04-24 Bruner David Wayne Method for allocating negotiable discount coupons to consumers using a distributed processing network
GB2383733B (en) * 2001-12-28 2005-08-03 Nokia Corp A communication log for an electronic device
US6639574B2 (en) * 2002-01-09 2003-10-28 Landmark Screens Ll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100456010B1 (ko) * 2002-05-02 2004-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튜너를 갖는 텔레웹정보 수신장치 및 채널검색방법
US8176428B2 (en) * 2002-12-03 2012-05-08 Datawind Net Access Corporation Portable internet access device back page cache
US7721228B2 (en) * 2003-08-05 2010-05-18 Yahoo! Inc.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context menu
US7793227B2 (en) * 2003-08-12 2010-09-0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customizable buttons
JP2005109567A (ja) * 2003-09-26 2005-04-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7506260B2 (en) * 2003-10-31 2009-03-1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browser functionality through a browser button
US9021529B2 (en) * 2004-07-15 2015-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recordation techniques
US7412655B2 (en) 2004-11-02 2008-08-12 Yahoo! Inc.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dynamic dialogs
KR100667306B1 (ko) * 2005-02-07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전환시간 표시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화면전환시간 표시방법
TW200743385A (en) * 2006-05-05 2007-11-16 Amtran Technology Co Ltd Method of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television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US20070162524A1 (en) * 2006-01-11 2007-07-12 Yahoo! Inc. Network document management
US9003296B2 (en) * 2006-12-20 2015-04-07 Yahoo! Inc. Browser renderable toolbar
KR20090046159A (ko) * 2007-11-05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Epg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기기
US20100153884A1 (en) * 2008-12-12 2010-06-17 Yahoo! Inc. Enhanced web toolbar
US9519906B2 (en) * 2008-12-19 2016-12-13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for monitoring and ranking web visitors and soliciting higher ranked visitors to engage in live as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121A (en) * 1989-10-30 1994-10-04 Starsight Telecast, Inc. Television schedule system
JP2784825B2 (ja) * 1989-12-05 1998-08-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制御装置
US5339391A (en) * 1990-05-14 1994-08-16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Computer display unit with attribute enhanced scroll bar
US5119079A (en) * 1990-09-17 1992-06-02 Xerox Corporatio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with expanding touch locations for a reprographic machine
JP2531416B2 (ja) * 1991-05-09 1996-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US5363481A (en) * 1992-06-22 1994-11-08 Tektronix, Inc. Auto selecting scrolling device
JPH0646249A (ja) * 1992-07-24 1994-02-18 Konica Corp 画像処理装置
US5491781A (en) * 1993-03-12 1996-02-13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graphic image
US5624265A (en) * 1994-07-01 1997-04-29 Tv Interactive Data Corporation Printed publication remote contol for accessing interactive media
WO1996007131A1 (fr) * 1994-08-31 1996-03-07 Njk Corporation PROCEDE D'ELABORATION DE TOUCHES DE COMMANDE POUR PROCEDURES A EXECUTER SUR ORDINATEUR, PROCEDE DE RECHERCHE DE DONNEES A l'AIDE DE TOUCHES DE COMMANDE ET PROCEDE D'AFFICHAGE DES TOUCHES DE COMMANDE
US5675390A (en) * 1995-07-17 1997-10-07 Gateway 2000, Inc. Home entertainment system combining complex processor capability with a high quality display
US5822216A (en) * 1995-08-17 1998-10-13 Satchell, Jr.; James A. Vending machine and computer assembly
US5805272A (en) * 1995-11-24 1998-09-08 Minolta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for book-like document or the like
US5790548A (en) * 1996-04-18 1998-08-0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Universal access multimedia data network
US5838973A (en) * 1996-05-03 1998-11-17 Andersen Consulting Llp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transforming a system or process into a visual representation
US6034689A (en) * 1996-06-03 2000-03-07 Webtv Networks, Inc. Web browser allowing navigation between hypertext objects using remote control
US5898819A (en) * 1996-06-05 1999-04-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black and white printing of colored pages
US5920317A (en) * 1996-06-11 1999-07-06 Vmi Technolog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ultrasound images
US5832223A (en) * 1996-09-13 1998-11-03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capture of internet access information in a broadcast signal for use by an internet access device
US5724412A (en) * 1996-10-07 1998-03-03 U S West,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ternet identification on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5845074A (en) * 1996-11-22 1998-12-01 E-Parcel, Llc Smart internet information delivery system having a server automatically detects and schedules data transmission based on status of clients CPU
US6052239A (en) * 1996-12-06 2000-04-18 Sony Corporation Port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02473B1 (en) 2007-11-27
DE69734376D1 (de) 2006-03-02
EP0818925A2 (en) 1998-01-14
EP0818925B1 (en) 2005-10-19
KR100313201B1 (ko) 2001-12-12
US6026435A (en) 2000-02-15
DE69734376T2 (de) 2006-07-27
EP0818925A3 (en) 199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201B1 (ko) 인터넷정보표시장치및인터넷정보표시방법
KR100253520B1 (ko) 인터넷 정보 표시 장치
EP0656727B1 (en) Teletext receiver
KR100490916B1 (ko) 트랜스포트스트림에다중화된네비게이션정보를선택적으로사용하는방송수신장치및방송수신방법과그방법을기록한기록매체
KR100580245B1 (ko)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JPH11205711A (ja) 情報表示装置
JPH0729815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322616B2 (ja) 情報表示装置
JPH07107410A (ja) 子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027087A (ja) 画面表示方法及びインターネット受信機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0675650B1 (en) A television receiver with teletext function
JPH07135614A (ja) 画像表示装置
JPH1051704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3599920B2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H1051703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3311676B2 (ja) 情報端末装置
JP3599993B2 (ja) 情報表示装置
JPH1051701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H1124640A (ja) インターネット情報表示装置
JP3530313B2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H1051707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KR100215650B1 (ko) 정보텔레비젼의 pip화면전환방법
JP3495526B2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JPH10234001A (ja) テレビジョン
JPH10108082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