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661A - 토너카트리지 및 이에 적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 Google Patents

토너카트리지 및 이에 적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661A
KR980010661A KR1019970034460A KR19970034460A KR980010661A KR 980010661 A KR980010661 A KR 980010661A KR 1019970034460 A KR1019970034460 A KR 1019970034460A KR 19970034460 A KR19970034460 A KR 19970034460A KR 980010661 A KR980010661 A KR 980010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outer side
discharge port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조로쿠
Original Assignee
미타 요시히로
미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301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91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193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9596A/ja
Application filed by 미타 요시히로, 미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8001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6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5Generally cylindrical container shape having two e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토너카트리지는 토너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4)와, 토너배출구를 닫는 페쇄위치와 토너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용기에 조합되어 있는 외부측부재(6)를 구비한다.
용기(4)의 외부면에는 토너배출구(16)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시일(Seal)부재(32)가 배치되어 있으며 용기의 외부면과 외부측부재의 내면의 사이에서 시일부재가 압축된다.
상기 시일부재는 포제(布製)의 표면을 갖는다.
외부측부재의 내부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위에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가 고착되어 있다.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은 비점착성이며, 투명판 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가 3.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이다.

Description

토너카트리지 및 이에 적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토너카트리지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토너카트리지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토너카트리지에 사용되고 있는 압축성 시일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토너카트리지에 사용되고 있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토너카트리지 4 : 용기
6 : 외부측부재 8 : 본체
10 : 뚜껑체(Closure) 12 : 둘레벽(본체의)
16 : 토너배출구 18 : 보강립
20 : 아크부 24 : 현(弦)형부
25 : 아크형돌기 32 : 시일부재
34 : 아크형부 36 : 직선형부
38 : 압축성주층(main layer) 40 : 표면층(希製表面層)
42 : 양면 접착테이프 44 : 둘레벽(외부측부재의)
48 : 걸어멈추기 돌기부재 50 : 토너통과구
54 :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56 : 합성수지성 필름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및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적용되는 토너카트리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토너카트리지에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는 토너누출 방지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전식 화상형성기에 있어서는 정전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정전잠상이 현상장치에 의해서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현상장치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소비되는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서, 부착, 분리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토너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다.
토너카트리지의 전형적예로서는, 용기와 이에 조합되어 있는 외부측부재를 구비하는 형태의 것을 들 수 있다.
토너는 용기안에 수용되며, 용기에는 토너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측부재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용기에 장착되어 있다.
토너카트리지가 현상장치의 소요부위에 장착되기까지는, 외부측부재는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용기의 토너배출구는 외부측부재에 의해서 닫혀 있다.
외부측부재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토너배출구가 개방되어 용기안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가 현상장치의 소요부위로 배출된다.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있도록 하고 있을 때에는 용기의 토너배출구는 충분히 긴밀하게 닫혀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미세한 분말체인 토너가 토너카트리지에서 주위에 누출하고 만다.
그래서, 보통, 토너배출구를 덮는 시일시이트를 용기의 외면에 자유롭게 박리할 수 있게 점착시켜 토너배출구를 밀봉하고 있다.
상기 시일시이트의 일부는 외부측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측부재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외부측부재의 이와 같은 이동에 따라서 시일시이트가 용기의 외면에서 박리되어 토너배출구가 개봉되고, 개봉된 토너배출구가 개방된다.
그런데, 시일시이트를 사용한 토너카트리지는, 특히 용기와 외부측부재가 모두 원통형이고 외부측부재내에 용기가 동일중심상태로 삽입되는 형태인 경우, 용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토너배출구를 덮는 형태로 시일시이트를 용기의 외면에 점착하는 바, 이같은 시일시이트의 일부를 외부측부재에 연결하는데는 상당히 번잡한 조작을 수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으로 인해서 토너카트리지의 제조비용이 상당히 증대해버리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상술한 바, 시일시이트의 사용대신에, 용기의 외면상에 토너배출구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어 있는 압축성 시일부재를 배설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상기 압축성 시일부재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합성수지폼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있게 되었을 때에는 토너배출구를 닫는 외부측부재와 함께 용기의 외면과 외부측부재의 내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시일부재의 작용에 의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된다.
상기한 시일부재는 가령,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히 용기의 외면에 배설할 수 있고, 따라서 시일시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존재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해결된다.
그러나, 특히 용기의 외면상에 압축성 시일부재를 배설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는 본 발명자의 경험에 의하면,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토너배출구의 밀봉이 반드시 충분하지만은 않고, 가령, 운전시나 또는 상당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등에 토너카트리지에서 약간의 토너가 누출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 용기의 외면에 압축성 시일부재를 배설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용기의 외면과 외부측부재의 내면사이에 압축되어 있는 시일부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용기에 대하여 외부측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의 이동저항이 현저히 크게 되어 통상적으로는, 수동으로 수행되는 외부측부재의 상재적이동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곤란해진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과제는 상기한 형태의 토너카트리지를 개량하여 토너의 누출을 충분, 확실하게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과제는 상기한 형태의 토너카트리지에, 또는 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다른 장치 또는 기기에, 소요부위을 통한 토너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적용할 수 있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과제는, 용기의 외면상에는 토너배출구를 따라서 뻗어 있는 압축성 시일부재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같은 압축성 시일부재가 용기의 외면과 외부측부재의 내면사이에 압축되는 형태의 토너카트리지에 개량을 가하여, 용기에 대하여 외부측부재를 충분히 용이하게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자는 연구와 실험 끝에 놀랍게도 토너카트리지 혹은 그 밖의 장치 또는 기기에 있어서, 표면이 비점착성이고, 또한 투명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이 3.5 내지 4.5인 테이프를 소요부위에 점착시키면, 소요부위를 통과하려는 토너의 유동이 테이프표면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저지되어, 소요부위를 통과하는 토너의 누출을 충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비점착성」이라는 어구는, 표면에 밀접시킨 부재를 표면에 대하여 실질상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켰을 경우에, 이와 같은 이동에 저항하는 힘은 실질적으로 전무하거나 혹은 존재한다하더라도 극히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와, 그 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와, 상기 토너배출구를 닫는 폐쇄위치와, 그 토너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그 용기에 조합되어 있는 외부측부재를 구비하는 토너카트리지로서, 상기 외부측부재의 내부면의, 상기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용기의 토너배출구의 주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가 점착되어 있으며, 또한 투명판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이 3.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가 제공된다.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이 점착성을 갖는 경우에는 단시간안에, 표면에는 먼지와 오물이 부착해버릴 뿐만아니라, 용기의 외면이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어, 용기에 대한 외부측부재의 이동이 저해되어 버린다.
또,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의 정지마찰계수 μo이 너무 작으면 토너의 유동에 대한 억제 내지 저지작용이 과소하게 된다.
반대로,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 정지마찰계수 μo이 과대하게 되면 외면이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에 접촉 내지 밀접하게 되는 용기에 대하여 외부측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의 저항이 과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재의 소요부위를 통해서 토너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부재의 소요부위의 표면에 점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로서, 표면이 비점착성이며, 투명판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이 3.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가 제공된다.
또, 상기의 정지마찰계수 μo이 3.8 내지 4.2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호적한 예로서는 실리콘 고무가 피복된 합성수지성 필름을 들 수 있다.
토너카트리지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용기는 대략 원통형이며, 그 둘레면에 상기한 토너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측부재는 용기와 동일중심 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태이며, 그 둘레면에 토너가 통과하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외측부재를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외측부재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위치하도록 되어, 그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토너배출구와 토너통과구가 부분적으로도 겹치지 않고, 그 외부측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는 상기 토너배출구와 토너통과구가 겹쳐지며, 외부측부재의 내면에는, 그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토너배출구의 축선방향 양측에 대향하여 아크형으로 뻗는 두 개의 토너누출 방지테이프가 점착되어 있다.
상기 용기의 외부표면상에는 그 토너배출구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 시일부재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부재는 포제(布製)의 표면층을 갖는다.
본 발명자는 연구와 시험의 결과, 상기 포제표면층이 배설된 압축성 시일부재를 사용하면, 토너카트리지의 밀봉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면서 시일부재의 표면과 외부측부재의 내면사이의 마찰이 충분히 저감되어 용기에 대해서 외부측부재를 충분히 용이하게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와, 그 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와, 토너배출구를 닫는 폐쇄위치와, 그 토너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그 용기에 조합된 외부측부재를 구비하며, 그 용기의 외면상에는 토너배출구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 시일부재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용기의 외면과 외부측부재의 내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의 시일부재에는 포제의 표면층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의 시일부재는 폼(foam)제, 특히 폴리우레탄폼제인 주층(main layer)을 포함하여, 그 주층의 표면에, 그 표면층이 배설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의 표면층은 열가소성합성섬유로 형성된 포제, 특히 나이론섬류로 형성된 트리크트(tricot)포제로서 상기 주층의 표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알맞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용기는 대략 원통형이며, 그 둘레면에 토너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측부재는 상기의 용기와 동심형으로(Concentrically)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태이며, 그 둘레면에 토너가 통과하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측부재를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위치하게 하여 상기 외부측부재가 상기 폐쇄위치에 있게 될 때에는 토너배출구와 토너통과구가 부분적으로도 겹치지 않고, 외측부재가 개방위치에 있게 될 때에는 토너배출구와 토너통과구가 서로 겹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된 토너카트리지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를 2로 표시하는 토너카트리지는 용기(4)와 외부측부재(6)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4)는 본체(8)과 뚜껑체(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합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는 본체(8)은, 가늘과 길게 뻗어있는 대략 원통형인 둘레벽(12) 및 양끝벽(13)과 (14)를 갖는다
제2도를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둘레벽(12)의 양끝부는 끝벽(13)과 (14)를 넘어서 돌출하게 하고 있다.
끝벽(14)에는 토너충전구(15)가 형성되고, 또, 토너충전구(15)의 둘레테두리에서 뻗어나는 원통형돌출벽(17)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8)의 둘레벽(12)에는 토너배출구(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배출구(16)은 축선방향에 있어서 양끝벽(13)과 (14)사에 걸쳐서 (바꾸어 말하면, 끝벽(13)의 내면에 실질적으로 정합한 위치에서 끝벽(14)의 내면에 실질적으로 정합한 위치까지) 뻗어 있으며, 둘레방향에 있어서, 80 내지 100˚정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뻗어 있는 것이 알맞다.
토너배출구(16)에는 둘레벽(12)의 강성을 강화하시키기 위한 보강립이 배설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립(18)은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토너배출구(16)을 가로질러서 둘레방향으로 아크형으로 뻗는 4개의 아크부(20), 인접하는 2개의 아크부(20)의 각각의 사이를 각각 축선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직선형부(22), 한쌍의 직선형부(22)의 중간부 사이를 현(弦)형태로 뻗는 현형부(24)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보강립(18)은 용기(4)의 본체(8)과는 별개로 형성하여 기계적인 걸어멈춤이나 또는 접착과 같은 양식으로 소요의 부위에 고정할 수 있으며, 혹은 본체(8)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8)의 둘레부(12)의 외면에는 축선방향으로 적이한 간격을 두고 둘레방향으로 뻗는 복수개의 아크형융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크형융기(25)는 각각 다음에 설명하게 되는 시일부재가 배설되는 영역에는 뻗어 있게 하지 않고 있다.
뚜껑체(10)은 원형이 끝벽(26), 이 끝벽(26)의 둘레테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는 짧은 원통벽(28), 및 짧은 원통벽(28)에서 반지름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환상플렌지벽(29)를 갖는다.
끝벽(26)의 외면에는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재(30)이 형성되어 있다.
끝벽(26)의 바깥지름은 본체(8)의 끝벽(14)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돌출벽(17)의 반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은 뚜껑체(10)은 다음에 다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토너충전구(15)를 통해서 본체(8)내에 토너를 충전한 후에, 그 원형끝벽(26) 및 짧은 원통벽(28)을 본체(8)의 끝벽(14)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돌출벽(17)내로 삽입시켜 열융착 또는 접착과 같은 적이한 양식으로 고정되어 토너충전구(15)를 닫는다.
제1도 및 2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 둘레벽(12)의 표면에는, 둘레벽(12)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구(16)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 시일부재(32)가 배설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32)는 토너배출구(16)의 축선방향 양끝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는 아크형부(34)와 토너배출구(16)의 둘레방향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는 직선형부(36)을 갖는다.
시일부재(32)는 포제(布製)의 표면층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제3도를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일부재(32)는 압축성주층(main layer)(38)과, 이 주층(38)의 표면에 배설된 표면층(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층(38)은, 폼(form)제, 특히 폴리우레탄폼제로 하는 것이 알맞다.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폼으로서는 (주)브릿지스톤에서 상품명 「에버라이트 VA」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주층(38)은 두께 2.5 내지 3.5mm 정도가 좋다.
표면층(40)은 적당한 천(포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층(40)은 열가소성 합성섬유로 형성된 포제, 특히 나이론섬유로 형성된 트리코트포제이며 주층(38)의 표면에 열융착되어 있다.
주층(38)과 표면층(40)으로 구성되는 시일부재(32)는 양면 접착테이프(42)를 끼고 둘레벽(12)의 소요부위에 점착할 수 있다.
제1도와 2도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합한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 외부측부재(6)은 길고 가늘게 뻗는 원통형태의 둘레벽(44)와 그 한쪽 끝면을 닫는 끝벽(46)을 갖는다.
외부측부재(6)의 다른 한쪽 끝면은 개방구로 되어 있다.
둘레벽(44)의 내부지름은 상기한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외부지름보다 2 내지 3mm 정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둘레벽(44)의 표면에는 180˚의 각도 간격을 두고 배설된 한쌍의 걸어멈추는 돌기부재(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돌기부재(28)는 둘레벽(44)에서 반지름방향으로 돌출되게 한 판 상부재이며 외부측부재(6)의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축선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외부측부재(6)의 둘레벽(44)에는 토너통과구(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통과구(50)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길이는 상기한 용기(4)의 본체(8)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구(16)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 토너통과구(50)의 둘레방향으로 뻗는 각도도 상기한 용기(4)의 본체(8)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구(16)의 둘레방향으로 뻗는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토너통과구(50)에는 둘레벽(44)의 강성을 충분하게 하기 위한 보강립(52)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강립(52)는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둘레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아크부를 갖는다.
보강립(52)는 둘레벽(44)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혹은 둘레벽(44)과는 별개로 형성하여 기계적인 걸어멈춤이나 또는 접착 등과 같은 적이한 방식으로 소요부위에 고정할 수 있다.
외부측부재(6)의 내면의 소요부위, 즉 다음에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하여 용기(4)와 조합된 외부측부재(6)이 폐쇄위치에 있게 되어 있을 때에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의 둘레벽(12)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구(16)의 주위(즉,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축성 시일부재(32)가 배설되어 있는 부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가 점착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제1도 및 2도와 함께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측부재(6)의 둘레벽(44)의 각각의 양쪽끝부에 있어서의 상반부에,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가 점착되어 있다.
이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하여 용기(4)와 외부측부재(6)이 소요하는 바대로 조합되어 외부측부재(6)이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토너배출구(16)의 축선방향 양측(즉, 시일부재(32)의 아크부(34)에 대향하여 아크형으로 뻗는다.
이같은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는 비점착성이며, 투명판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이 3.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인 표면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같은 표면을 갖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의 호적한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필름과 같은 합성수지성 필름(56)의 표면에 실리콘고무를 피복한 테이프, 예를들면, 일본국 스미토모 3M(주)에서 상품명 「스캇치 롤커버링테이프 No, 5461」로 하여 판매되고 있는 테이프를 들 수 있다.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는 양면 접착테이프(60)을 끼워서 외부측부재(6)의 내부면의 소요부위에 점착할 수가 있다.
소망한다면 외부측부재(6)의 내면의 토너배출구(16)의 둘레방향 양측(즉, 시일부재(32)의 직성형부(36))에 대향하는 부위에도 토너누출 방지테이프를 점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4)와 외부측부재(6)이란, 외부측부재(6)의 개방된 끝면을 통해서 외부측부재(6)내에 용기(4)를 동일중심상태로 삽입한다.
이렇게 하여 용기(4)와 외부측부재(6)은 조합된다.
이 때에, 예를들면, 용기(4)는 둘레벽(12)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구(16)가 상방을 지향하는 각도위치로 설정되고, 한편, 외부측부재(6)은 둘레벽(44)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통과구(50)가 하방을 지향하는 각도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2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용기(4)의 토터배출구(16)와 외부측부재(6)의 토너통과구(50)와는 서로 부분적으로도 겹쳐지지 않고, 용기(4)의 토너배출구(16)은 외부측부재(6)에 의해서 닫혀지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용기(4)에 대하여 외부측부재(6)은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표면에 배설된 시일부재(32)는, 용기(4)의 외면, 구체적으로는 본체(8)의 둘레벽(12)의 외면과 외부측부재(6)의 내면,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측부재의 둘레벽(44)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서 토너배출구(16)은 밀봉되어 있다.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토너배출구(16) 및 시일부재(32)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아크형돌기(25)가 외부측부재(6)의 둘레벽(44)의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둘레벽(12)의 외면 전체를 둘레벽(44)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아니고, 아크형돌기(25)만을 둘레벽(44)의 내면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둘레벽(12)과 둘레벽(44)과의 상대적 이동에 대한 마찰저항을 충분히 작게 하는 값으로 제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하여 용기(4)와 외부측부재(6)을 결합시킨 후,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의 끝벽(14)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충전구(15)를 통해서 용기(4) 내로 토너(도면이 불명료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음)를 충전한다. 그런 다음,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4)의 본체(8)에 있어서의 끝벽(1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벽(17)에 뚜껑체(Closune)(10)을 고정하여 토너충전구(15)를 닫아서 토너카트리(2)의 결합이 완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측부재(6)이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을 때에는, 용기(4)의 토너배출구(16)가 외부측부재(6)에 의해서 닫혀있으며, 용기(4)의 토너배출구(16)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 시일부재(32)가 용기(4)의 외면과 외부측부재(6)의 내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배출구(16)으로부터 토너가 유출하여 토너카트리지(2)의 외부로 누출하는 것은 일단 방지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의 실험적 경험에 의하면, 상기의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가 배설되지 않을 경우에는 토너카트리지(2)에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는 외부측부재(6)의 내면과 시일부재(32)의 표면의 사이를 통해서 토너가 유동하여 토너카트리지(2)의 외부로 누출한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를 배설하면 외부측부재(6)의 내면과 시일부재(32)의 사이를 통과하는 토너의 유동이,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의 표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충분히 억제 내지 저지되어 토너카트리지의 외부로 토너가 누출하는 것을 충분, 확실히 방지한다.
토너의 유동을 충분, 효과적으로 억재 내지 저지하기 위해서,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의 정지마찰계수 μo은 충분히 클것이 중요하며 3.5 이상, 더 좋기로는 3.8 이상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토너카트리지(2)는, 정전잠생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그 자체는 주지하는 형태로 현상장치(도시하지않음)의 소정부위에 부착, 분리가 자유롭게 장착된다.
현상장치의 소정위치에 토터카트리지(2)가 장착되면 외부측부재(6)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부재(48)가 현상장치에 배설되어 있는 적이한 구속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석됨으로써 외부측부재(6)은 회전불능으로 구속된다. 이어서, 용기(4)의 뚜껑체(10)에 배설되어 있는 돌출부(30)을 잡고 용기(4)을 약 180˚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용기(4)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구(16)은 상방으로 지향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지향하는 상태로 되어 외부측부재(6)의 토너통과구(50)에 정합하도록 된다.
다시 말하면, 용기(4)에 대하여 외부측부재(6)이 상대적으로 약 180˚회전하게 되어 외부측부재(6)의 토너통과구(50)과 용기(4)의 토너배출구(16)이 서로 겹치게 되어 토너배출구(16)가 토너통과구(50)를 통해서 개방된다.
따라서, 용기(4)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가 토너배출구(16) 및 토너통과구(50)을 통해서 배출되어, 현상 장치의 소요위치에 공급된다.
용기(4)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가 실질적으로 전부 소비되었을 때에는 용기(4)를 약 180˚회전시켜서 토너배출구(16)를 상방으로 지향하는 상태로 되돌리고, 바꾸어 말하면, 외부측부재(6)을 용기(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도 180˚회전시켜서 폐쇄위치로 되돌려서, 외부측부재(6)와 시일부재(32)에 의해 토너배출구(16)을 다시 밀봉한다.
그런 다음, 현상장치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서 구성된 토너카트리지(2)에 있어서는 압축성 시일부재(32)는 포제(布製)의 표면층(40)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외부측부재(6)의 둘레벽(44)의 내면에 대한 시일부재(32)의 마찰저항이 큰 폭으로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의 표면은 비점착성이며, 그 정지마찰계수 μo는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4.2 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4)와 외부측부재(6)을 결합할 때에 시일부재(32)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외부측부재(6)내에 충분히 용이하게 용기(4)를 삽입할 수가 있다.
또, 용기(4)에 대하여 외부측부재(6)을 상대적으로 충분히 용이하게 회전시켜서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토너누출 방지 테이프(54)의 표면이 점착성이 있고, 혹은 그 정지마찰계수 μo이 자나치게 클 경우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와 이에 밀접되어 있는 시일부재(32)와의 상대적 이동이 상당히 저해되어, 이로 인해서 용기(4)에 대하여 외부측부재(6)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게 된다.
이상,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표면이 소정의 특성을 구비한 토너누출 방지테이프는 토너카트리지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화상형성기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다른 구성 또는 크리닝 장치 등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한 2개의 부재 사이를 통해서 토너가 유동하는 것을 억제 내지 저지하는데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따라서 구성한 토너카트리지의 적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용기에 대한 외부측부재의 상대적 이동 등에 문제가 없이 토너의 누출이 충분하고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에 의하면 여러 가지 기기의 장착에 있어서, 2개의 부재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2개의 부재사이를 통해서 토너가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저지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4)

  1. 토너의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4)와, 그 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와, 상기 토너배출구(16)를 닫는 폐쇄위치와 그 토너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그 용기(4)에 조합되어 있는 외부측부재(6)를 구비하는 토너카트리지로서, 상기의 외부측부재 내면의, 그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에 용기(4)의 토너배출구(16)의 주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가 점착되어 있으며, 상기 토너누출 방지테이프의 표면은 비점착성이며, 또 투명판 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이 3.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지마찰계수 μo이 3.8 내지 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는 표면에 실리콘고무가 피복된 합성수지성 필름(56)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용기(4)는 대략 원통형태이며, 그 둘레면에 토너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측부재(6)은 상기의 용기(4)와 동일 중심상태로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이며, 그 둘레면에 토너통과구(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측부재를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위치하게 하여,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의 토너배출구(16)와 토너통과구(50)이 부분적으로도 겹치지 않고, 상기 외부측부재가 개방위치로 위치하게 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의 토너배출구(16)와 토너통과구(50)이 겹치게 되며, 상기 외부측부재의 내면에는 외부측부재(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토너배출구(16)의 축선방향 양측에 대향하여 아크형으로 뻗는 2개의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가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용기(4)의 외면상에는 토너배출구(16)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 시일부재(32)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부재 포제(布製)의 표면층(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6. 부재의 소정부위를 통해서 토너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부재의 소정부위의 표면에 점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54)로서, 표면은 비점착성이며 투명판유리의 표면에 대한 정지마찰계수 μo이 3.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지마찰계수 μo이 3.8 내지 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8. 제6항에 있어서, 표면에 실리콘고무가 피복되어 있는 합서수지성 필름(56)으로 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9. 토너배출구(16)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4)와 그 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와, 상기 토너배출구를 닫는 폐쇄위치와, 상기 토너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상기의 용기(4)에 조합되어 있는 외부측부재(6)을 구비하고, 상기의 용기(4)의 외면상에는 상기 토너배출구(16)의 둘레테두리를 따라서 뻗는 압축성 시일부재(32)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부재 용기(4)의 외면과 외부측부재(6)의 내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의 시일부재(32)에는 포제의 표면층(40)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시일부재(32)는 폼(foam)제 주층(38)을 포함하여, 상기 주층의 표면에 상기의 표면층(40)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주층(38)은 폴리우레탄 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표면층(40)은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된 포제이며 상기 주층(38)의 표면에 열융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표면층(40)은 나이론섬유로 형성된 트리코트(tricot)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용기(4)는 대략 원통형이며, 그 둘레면에 상기 토너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측부재(6)은 상기의 용기와 동일중심상태로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이며, 그 둘레면에 토너통과구(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측부재를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외부측부재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위치하게 하여 외부측부재가 상기의 폐쇄위치로 위치하게 되어 있을 때는 상기 토너배출구(16)와 상기 토너통과구(50)이 부분적으로도 겹치지 않고, 상기 외부측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으면 상기 토너배출구(16)와, 토너 통과구(50)가 서로 겹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4460A 1996-07-23 1997-07-23 토너카트리지 및 이에 적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KR980010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01796A JP3289129B2 (ja) 1996-07-23 1996-07-23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8193016A JPH1039596A (ja) 1996-07-23 1996-07-23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トナー漏出防止テープ
JP96-193017 1996-07-23
JP96-193016 1996-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661A true KR980010661A (ko) 1998-04-30

Family

ID=2650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460A KR980010661A (ko) 1996-07-23 1997-07-23 토너카트리지 및 이에 적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42092A (ko)
EP (1) EP0821286B1 (ko)
KR (1) KR980010661A (ko)
CN (1) CN1171569A (ko)
AU (1) AU3014097A (ko)
DE (1) DE69715988T2 (ko)
ID (1) ID17520A (ko)
SG (1) SG77141A1 (ko)
TW (1) TW338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166B2 (ja) * 1997-09-30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4987B2 (ja) * 2002-12-11 2009-06-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出荷時の梱包方法
JP2005092091A (ja) * 2003-09-19 2005-04-0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収納容器
JP5033170B2 (ja) * 2009-12-02 2012-09-26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116468B2 (en) 2011-03-30 2015-08-25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gripping part includes a powder loading port and a sealing member
JP6179301B2 (ja) * 2013-09-17 2017-08-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68A (ja) * 1983-06-27 1985-01-14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のトナ−補給装置
JPH02111980A (ja) * 1988-10-21 1990-04-24 Canon Inc 現像剤供給容器
US4937628A (en) * 1989-04-07 1990-06-26 Xerox Corporatio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JP2991301B2 (ja) * 1990-04-06 1999-12-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印刷装置のトナー貯蔵容器
JP2989028B2 (ja) * 1991-03-20 1999-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H05313473A (ja) * 1992-05-01 1993-11-26 Oobell:Kk 摺動面用シール材
US5282003A (en) * 1993-01-14 1994-01-25 Michlin Steven B Copier and printer toner hopper sealing device
JPH06266227A (ja) * 1993-03-14 1994-09-22 Ricoh Co Ltd トナー収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US5506665A (en) * 1994-05-12 1996-04-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detachable toner box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5548384A (en) * 1995-04-06 1996-08-20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Materials, Inc. Toner supply cartridge
US5722020A (en) * 1995-12-12 1998-02-24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US5722019A (en) * 1996-01-29 1998-02-24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drum cartridge for receiving the toner cartridg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7141A1 (en) 2000-12-19
DE69715988T2 (de) 2003-08-07
CN1171569A (zh) 1998-01-28
TW338122B (en) 1998-08-11
EP0821286A3 (en) 1999-03-31
EP0821286A2 (en) 1998-01-28
ID17520A (id) 1998-01-08
US5842092A (en) 1998-11-24
EP0821286B1 (en) 2002-10-02
AU3014097A (en) 1998-01-29
DE69715988D1 (de)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0094B2 (ja) シール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US5528349A (en) Developer container for stably replenishing developer to developing device
US6766135B2 (en) Toner cartridge
US6421518B1 (en) Toner loading system
KR980010661A (ko) 토너카트리지 및 이에 적용되는 토너누출 방지테이프
US5809384A (en) 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applied to same
US5878307A (en) Toner container having rotary seal
JP3571906B2 (ja)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39596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トナー漏出防止テープ
JP3289129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527574A (ja) 現像装置
JPH0432687Y2 (ko)
JP3288219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3514400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H0439074B2 (ko)
JPH01310373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208521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S60254067A (ja) 現像剤容器
JPS60126669A (ja) 現像剤容器
JPS63210974A (ja) 現像装置
JPH026454Y2 (ko)
JPH0466975A (ja) 現像装置
JPS60147764A (ja) 粉粒体容器
JPH02115875A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S60147769A (ja) 粉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