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949A -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949A
KR980008949A KR1019960029250A KR19960029250A KR980008949A KR 980008949 A KR980008949 A KR 980008949A KR 1019960029250 A KR1019960029250 A KR 1019960029250A KR 19960029250 A KR19960029250 A KR 19960029250A KR 980008949 A KR980008949 A KR 98000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ail
replacement
lif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울렌 버나드
뵈스트펠트 하인리히
홀트그레페 쿠어트
벰머 라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filed Critical
Priority to KR101996002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949A/ko
Publication of KR98000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949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차륜(車輪)의 교체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륜교체작업장내에 레일이 형성된 다수개의 가교(架橋)로 구성된 복수개의 보수선로와 차륜을 이동하는 복수개의 운반선로를 나란히 부설하고, 보수선로와 운반선로의 하방지하에 얼차 길이 범위로 차량의 교체실을 형성하여 긴 열차를 분리함이 없이 보수선로에 진입하여 교체할 차륜만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차륜이 놓인 가교를, 지하의 교체실에 설치된 이동대와 리프트기구에 의하여 차륜과 함께 지하로 끌어내리어 운반선로측으로 옮긴 다음, 수리공장으로 보내어 수리하고 수리된 새 차륜을 운반선로에서 지하의 교체실로 운반하여 열차의 차륜에 가교와 함께 지상으로 들어 올리어 보다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많은 차륜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본 발명은 일반 철도 및 고속 철도의 열차의 차륜을 교체실에서 가교와 리프트에 의하여 교체작업하는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철도 열차의 마모된 차륜을 교체하려면 수리공장으로 입고한 열차중 수리할 차랑만을 각각 분리하여 두고 차체를 윈치등에 의하여 위로 들어 올린 다음 차륜을 해체하여 레일을 따라 일측으로 제거하고 다시 새 차륜을 선로 위에 올려 놓고 정위치로 이동한 후 들었던 차체를 하강시키어 차륜의 프레임을 차체에 체결하여 차륜의 교체작업을 하였다.
종래의 차륜 교체작업은 차량별로 각각 들어 올리어 차륜을 교체하는 것이므로 긴 열차가 차량 보수실로 진입하여 해당 차량만을 분리하는 작업수순이 복잡할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 긴 열차를 그대로 세워둔채 복합적으로 여러 차량의 차륜을 동시적으로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는 본 발명의 차륜 교체실 상부의 가교에 수리열차가 선 상태를 보인 측단면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차륜 교체실 상부의 가교로 된 보수선로와 운반선로 및 수리공장을 포함하여 나타낸 평면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단위 가교를 리프트기구가 받치고 있는 상태를 보인 교체실의 종단면 예시도.
* 도면의 중요한 부분의 부호 설명
1, 2 : 보수선로 3, 4 : 운반선로
5 : 열차 6 : 차륜
7 : 슬라브 8 : 가교
9, 10 : 회전판 11 : 레일
12 : 개폐문짝 13 : 헷치
14 ; 지하의 차륜 교체실 15 : 선로
16 ; 세로선로 18 ; 가로선로
19 : 이동기구 20 : 리프트
23 : 지주 25 : 모터
26 : 리프트테이블 27 : 괘정구
28 : 고정구 29 : 지주
30 : 유압기구 31 : 고정기구
32 : 회전판 33 : 레일
본 발명은 긴 열차를 보수 선로 위에 놓고 복합적으로 동시에 여러 개의 차륜을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륜교체 작업장에 복수개의 보선 선로와 또 복수개의 운반선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 보수선로는 다수의 가교로 구성되며 이 가교는 지하에 선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차륜 교체실의 상면 슬라브의 통구(通溝)에 1열 배열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가교는 좌우 양측에 설치된 괘정기구에 의하여 교체실의 슬라브에 괘정 및 해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륜을 교체할 열차가 보수 선로, 즉 가교 위로 진입하여 정지하면 각 차량의 차륜은 각각 가교 위에 놓이게 된다. 이 때 열차의 분리없이 교체할 차륜의 체결을 풀어 분리가능한 상채로 두고 차륜을 교체하는 것이다. 이 때 각 차륜의 분리작업은 다음에 설명하는 지하의 교체실의 각 위치에서 복합적으로 동시에 하게 된다.
이 운반선로와 보수선로의 지하에는 선로 방향으로 열차길이 범위를 두고 차륜의 교체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교체실의 바닥에는 가로 레일이 상부측 가교와 일치한 위치와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가로 레일의 소정의 간격마다 약간 낮은 홈을 두고 새로 레일이 운반레일과 보수레일의 지하에서 교차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로 레일에는 리프트가 설치되어 가로 레일을 따라 가교의 하방에서 이동하여 교체할 차륜이 놓인 가교 하방으로 들어가 리프트 테이블을 상승시키어 상기 가교를 떠받친 다음 차륜을 교체할 해당 차량의 동체를 지상의 고정지주에 고정하고 가교의 괘정구를 해정하여 리프트 테이블을 낮추어 차륜과 함께 가교를 지하의 교첼실 안으로 끌어 내린다.
리프트는 가로레일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세로 레일위에 놓인 이동대 위에 실리며, 리프트는 이동대에 의하여 보수선로측에서 운송선로측으로 교체실 내에서 이동하여 세로레일의 단부분측 상부 슬라브에 형성된 헷치를 통하여, 다시 리프트에 의하여 차륜은 지상의 운반선로 위에 들어 옮겨지게 된다. 이 때 가교는 리프트 위에 남아 있고 차륜만 운반선로 위로 옮겨진다.
복수개의 운반선로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좌우로 직교된 레일이 회전판에 의하여 절환접속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한쪽 운반 레일로 옮겨진 차륜은 회전판에 의하여 타측 운반 선로로 이동할 수도 있고 또 수리공장으로 연결된 선로로 진입하여 수리공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수리공장에서는 차륜을 수리하여 수리된 차륜, 또는 새로운 차륜은 지금까지의 차륜의 이동경로의 역순으로 이동하여 운반선로와 헷치를 통하여 교체실의 리프트 상부의 가교위에 놓인다. 리프트는 이동대에 의하여 교체실에서 보수선로측으로 이동하며 보수선로측에 이동된 리프트는 열차의 각 차륜의 위치로 이동하여 차륜이 놓인 가교를 들어 올리어 열차의 동체에 차량의 프레임을 체결하고 고정지주에서 열차의 고정을 풀어 차륜의 교체는 완료된다.
본 발명은 열차를 분리하지 않고 길게 세워둔 상태에서 여러 차량의 차륜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교체할 수 있고 하나의 차륜이 교체완료되기까지 다른 작업팀과 부딪치거나 엇갈리거나 장애받는 일이 없이 작업의 흐름이 합리적으로 하나의 차륜을 교체하는 것처럼 부드럽고 단순하며 간단하다.
따라서 일반 열차나 고속철도의 긴 차량의 훼손된 차륜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실시예
철도의 각종 차량(5)의 차륜(6)을 교체하는 교체작업장치로서 선로의 종단부측에 차량을 교체할 열차가 진입하여 정차하여 차륜을 교체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수선로(1)(2)와 교체할 차륜을 운반하는 복수개의 운반선로(3)(4)가 나란히 부설되어 있다.
이 보수선로(1)(2)와 운반서로(3)의 하부 지하에는 열차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의 선로방향으로 길게 차륜의 교체실(14)이 구성되어 있고 이 교체실(14)의 천정슬라브(7)에 형성된 긴 통구(通溝)에는, 레일이 상면에 부설된 다수개의 가교(8)가 그 양측에 설치된 괘정구(27)와 고정구(28)에 의하여 괘해정(掛解錠)되게 가설되어 보수선로(1)(2)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운반선로(3)(4) 사이를 서로 왕래하기 위한 직교된 레일(11)이 각각 회전판(9)(10)에 의하여 절환 접속할 수 있게 소정의 간격마다 세로로 부설되어 있고, 한쪽 운반선로(4)의 일측방 지상에는 차량의 수리공장(RW)이 배치되어 일측 운반 선로(4)에서 공장에 이르는 공장 선로(15)가 공장의 작업레일(33)과 직교방향으로 각 회전판(10)에 의하여 연결되며 작업레일(33)는 각 차량창고나 수리 공작소(RS)측으로 회전판(32)에 의하여 절환접속되어 있다.
또 차량의 교체실(14)의 바닥에는 각 보수선로(1)(2)와 일치한 위치와 방향으로 가로 레일(18)이 부설되어 이 레일(18)에는 리프트(20)가 열차 밑으로 왕래하게 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교체실(14) 바닥의 일정한 간격마다 가로방향으로 약간 낮은 홈(G)을 두고 세로 레일(16)이 부설되어 이 레일(16)에는 이동대(19)가 기체(19a)에 축 설치된 차륜(19b)과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보수선로와 운반선로 사이를 왕래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세로 선로(16)의 종단부측 상부는 상기 운반선로(3)와 통한 헷치(13)가 형성되고 헷치(12)에는 개폐문짝(12)이 설치되어 있어 이 헷치를 통하여 차륜(6)이 운반선로(3)와 지하의 교체실(14) 사이를 출입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대(19)의 상면에는 상기 가로 레일(18)과 같은 폭으로 레일(21)이 설치되어 리프트 테이블(26)에 설치된 기체(22)의 차륜(20a)에 의하여 교체실 바닥의 가로 레일(18)에서 이동대(19) 위로 리프트(20)가 실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차륜(20a)은 모터(25)와 회전축(24)에 의하여 구동되며 리프트 테이블(26)은 리프트의 지주(23)를 따라 유압기구에 의하여 가교(8)를 승가하게 되어 있다.
또, 차량 교체실(14)의 천정 슬라브(7)의 가교가 설치되는 통구의 양측 지상에는 차량을 고정하는 지주(29)가 설치되고 이 지주(29)에는 유압기구(30)에 의하여 조작되는 고정기구(31)가 설치되어 차량(5)의 양측을 고정기구(31)에 의하여 받쳐들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긴 열차(5)가 보수선로(1), 또는 (2)에 진입하여 도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열차(5)의 각 차륜(6)이 각각 가교(8)위에 놓도록 정차 한다. 그리고 각 차륜을 검사하여 마모가 심하거나 훼손되어 교차할 차륜을 체크한 다음 복수개의 리프트 기구(29)를 가로레일(18)을 따라 각 교체할 차륜 위치로 이동한다.
리프트의 이동은 모터(25)의 구동과 차륜(20a)에 의하여 자유롭게 전후진 된다. 이 때 차륜을 교체할 차량(5)의 동체는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주(29)에 설치된 고정기구(31)에 의하여 유압기구에 의하여 강력하게 받쳐들어 차륜을 분리하였을 때 아래 통구로 빠지지 않게 고정한다. 이어서 교체할 차륜이 놓인 가교(8) 아래로 이동된 리프트(20)는 리프트 테이블(26)를 유압기구에 의하여 상승시키어 가교(8)를 견고히 받친 다음 차륜의 체결장치를 해체하고 차량(5)의 동체에서 차륜(6)을 분리한다.
그리고 리프트 테이블(26)을 하강시키어 차륜(6)과 함께 가교(8)를 작업실(14) 안으로 끌어 내린다. 도4의 우측에 차륜이 분리된 차량이 지주의 고정기구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가교를 실은 리프트(20)는 가로 레일(18)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대(19) 위에 실리고 이동대(19)는 가로 레일(16)을 따라 운반선로(3)측에 설치된 헷치(13)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헷치의 개폐문짝(12)을 열고 리프트(20)의 리프트 테이블(26)을 상승시키어 가교(8)상의 레일이 운반선로(14)의 레일과 일치되게 하고 가교(8)사의 분리된 차륜(6)을 운반 선로(4) 위로 이동시킨다.
운반 선로(4) 상의 차륜은 수동으로 밀어 임의 위치로 이동하며, 회전판(9)(10)과 레일(11)을 통하여 타측 운반 선로(3)측으로 이동하여 대기할 수도 있고 다시 공장내의 안내레일(15)을 통하여 각 공작소(RS)에 보내져 수리한다.
또, 수리한 차륜 또는 예비된 새로운 차륜은 공장의 안내레일(15)을 통하여 운반선로(4)측으로 이동한 후 회전판(9)에 의하여 운반선로(4) 위에 놓이고 수동으로 차륜을 밀어 헷치(13)에 대기하고 있는 가교(8) 위로 이동하여 실린다. 이 때 리프트 테이블(26)은 하강하여 차륜(6)과 가교(8)를 함께 지하의 차륜의 교체실(14)의 공간으로 끌어 내린 다음 이동대(19)에 의하여 세로 선로(16)를 따라 가로선로(18)측으로 이동한다.
보수선로(1)(2)는 복수개이므로 열차가 진입된 해당 선로 위치의 가로 선로(18)에서 정지하고 이어서 리프트는 자체 모터(25)의 구동력에 의하여 레일(18)을 따라 앞서 차륜을 분리한 위치로 복귀한 다음 리프트 테이블(26)을 자기 유압기구에 의하여 상승시키어 차량의 동체 하부에 차륜의 프레임이 밀착되게 올리고 가교(8)에 설치된 괘정구(27)로 가교를 고정시키고 체결기구로 차륜을 차량의 동체에 체결하여 차륜교체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보수선로마다 열차가 진입하여 복수적으로 차륜의 교체작업을 동시적으로 할 수 있으며 한 열차의 전후 중간 어디서나 동시에 차륜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다.
가교로 구성된 복수개의 보수선로와 복수개의 운반선로를 나란히 설치하고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의 차량 교체실을 보수선로와 운반선로의 지하에 형성하여, 교체실 바닥에 선로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와 선로 사이를 왕래하는 이동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긴 열차를 세워둔 채 각 차량을 분리함이 없이 차량의 하방에서 리프트와 이동대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여러개의 차륜을 동시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운반선로에 의하여 교체할 차륜이나 예비차륜을 준비하여 둘 수 있어 작업성이 그만큼 향상되며 차량의 분리수순이 생략되어 그만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의 흐름이 순리적이고 합리적으로 되어 다른 차륜의 교체팀과 부딪치거나 엇갈리거나 자해받는 일이 없이 지하의 교체실에서 마치 한 개의 차륜을 교체하는 것처럼 긴 차량의 차륜을 간편용이하게 차륜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 차량 교체는 지하의 차륜 교체실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상에는 작업상의 복잡성이 없다. 또 각 보수선로에 진입한 열차를 복수적으로 차량 교체를 동시적으로 할 수 있어, 시간의 긴급을 요하는 수송열차의 차륜을 보다 경제적으로 저렴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긴 열차의 차량을 분리함이 없이 그대로 차륜 교체작업장으로 진입한 다음 제자리에서 열차의 마모, 또는 훼손된 각 차륜을 리프트에 의하여 가교(架橋)와 함께 지하의 교체실에서 분리 제거하여 예비된 새 차륜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서 차륜의 교체 작업의 합리적인 흐름에 의하여 복수적으로 여러 차량의 차륜을 동시적으로 보다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Claims (6)

  1. 철도의 각종 차량(5)의 차륜(6)의 교체작업장치로서, (A) 차량 교체실(14)의 천정 슬라브(7)에 형성된 통구(通溝)에 괘정하거나 해정하게 된 가교(8)의 배열로 이루어진 보수열차용 복수개의 보수선로(1)(2)가 구성되고, (B) 보수선로(1)(2)와 나란히 차륜의 운반선로(3)(4)가 설치되어 있으며, (C) 보수선로(3)(4)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판(9)(10)에 의하여 직교된 레일(11)이 절환 접속하여 차륜(6)을 이동 운반하게 되어 있고, (D) 운반선로(4)의 종단부에 개폐문짝(12)을 가진 차륜 출입용 헷치(13)가 형성되며, (E) 보수선로(1)(2)와 운반선로(3)(4)의 하방 지하에는 차량길이 범위로 차륜교체실(14)이 형성되고, (F) 운반선로(3)(4)에서 수리공장(RW)에 공장선로(15)가 회전판(9)(10)에 의하여 교차되게 부설되며, (G) 교차실(14) 바닥의 일정한 간격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대(19)가 이동하는 레일(16)이 설치되고, (H) 교차실(14) 바닥의 보수선로(1)(2)방향으로 차륜과 가교를 운반하는 리프트가 이동하는 가로레일(18)이 설치되며, (I) 이동대(19)는 모터로 구동되는 차륜(19b)에 의하여 왕래할 수 있게 세로레일(16)에 설치되고 리프트기구(20)는 모터(25)로 구동되는 차륜(20a)에 의하여 왕래할 수 있게 가로레일(18)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수선로(1)(2)의 하부, 지하의 차륜 교체실(14) 바닥에 설치된 세로 레일(16)의 종단부와 지상의 운반레일(4)이 교차되는 위치의 교체실(14)의 상부 슬라브(7)에 개폐문짝(12)을 가진 차륜의 출입용 헷치(13)가 형성되고 헷치(13)와 연결한 운반선로(3)에는 회전판(9)이 타측 운반 선로(4)와 직교된 레일(11)을 절환접속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로레일(18)보다 낮은 위치의 홈(g)에 설치된 세로레일(16)에서 왕래하게 설치된 이동대(19)의 기체(19a)상면에 레일(21)이 가로레일(18)과 일치한 높이로 설치되어 가로레일(18)에서 왕래하는 리프트(20)가 기체(22)의 차륜(20a)과 이동대(19)의 레일(21)에 의하여 이동대 위에 실릴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로레일(18)을 왕래하는 리프트(20)의 지주(23)에는 리프트 테이블(26)이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차륜과 함께 가교(8)를 들어 올리거나 끌어 내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운반선로(3)(4) 사이에 연결한 레일(11)과 각 회전판(9)(10)에 의하여 차륜(6)을 직각 방향으로 절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보수선로(1)(2)의 좌우 양측지상에 지주(29)를 설치하고 지주(29)에 유압기구(30)로 작동하는 지지기구(31)를 설치하여 차륜을 교체할 차량 동체를 고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차 차륜의 교체작업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250A 1996-07-19 1996-07-19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KR980008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250A KR980008949A (ko) 1996-07-19 1996-07-19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250A KR980008949A (ko) 1996-07-19 1996-07-19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949A true KR980008949A (ko) 1998-04-30

Family

ID=6624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250A KR980008949A (ko) 1996-07-19 1996-07-19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9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2010A (zh) * 2016-10-13 2018-04-20 中铁华铁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地铁列车转向架更换设备
CN110143219A (zh) * 2019-06-19 2019-08-20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悬挂式列车组装静调维修台架
CN114148374A (zh) * 2021-11-10 2022-03-08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换轮方法和换轮装置
CN114148372A (zh) * 2021-11-10 2022-03-08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检测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2010A (zh) * 2016-10-13 2018-04-20 中铁华铁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地铁列车转向架更换设备
CN110143219A (zh) * 2019-06-19 2019-08-20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悬挂式列车组装静调维修台架
CN110143219B (zh) * 2019-06-19 2024-03-01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悬挂式列车组装静调维修台架
CN114148374A (zh) * 2021-11-10 2022-03-08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换轮方法和换轮装置
CN114148372A (zh) * 2021-11-10 2022-03-08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检测装置
CN114148374B (zh) * 2021-11-10 2023-08-22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换轮方法和换轮装置
CN114148372B (zh) * 2021-11-10 2023-08-22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5835C1 (ru) Машин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утеукладочных работ
RU2062313C1 (ru) Машина для ремонта или уклад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JPH09105104A (ja) レール積卸車
CN206397228U (zh) 一种二层二车位立体车库
KR200445324Y1 (ko) 천차대
JPS63189501A (ja) 軌道盤を取上げ又は敷設しかつ運搬する機械
JPH03503268A (ja) 鉄道車両のボギー台車の交換装置
RU2117721C1 (ru) Машина для укладки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KR980008949A (ko) 열차대차의 교체작업장치
CN101160232B (zh) 借助可移动的装置更换有轨车辆上的轮对的方法和设备
US4757607A (en) Installation for assembling several car body models of the same type of motor veicle
DE19638578A1 (de) Transportsystem für spurgeführte Bahnen
RU20720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и замены элемент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элемент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KR100320781B1 (ko) 조립된철도레일을설치하기위한리프팅유니트
CN107780689B (zh) 一种智能立体停车设备
RU2411137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м ходу
CN100564676C (zh) 龙门吊车运送车
RU2745765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расклад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шпал на балластный слой
KR200446176Y1 (ko) 천차대
JP3854368B2 (ja) 鉄道用レール交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ールの交換方法
KR102665494B1 (ko) 포인트 스위치 및 상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철도 네트워크
JP3574927B2 (ja) 鉄道車両の整備装置
JP7173696B2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JP2544693B2 (ja) 鉄道車両の洗滌装置
KR0174720B1 (ko) 철도차량의 대차정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