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662A - 공기 조화장치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장치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662A
KR980008662A KR1019960030864A KR19960030864A KR980008662A KR 980008662 A KR980008662 A KR 980008662A KR 1019960030864 A KR1019960030864 A KR 1019960030864A KR 19960030864 A KR19960030864 A KR 19960030864A KR 980008662 A KR980008662 A KR 980008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door
heat exchanger
clos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482B1 (ko
Inventor
김재형
한성석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1996003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482B1/ko
Priority to US08/900,114 priority patent/US5862677A/en
Priority to JP20176997A priority patent/JP3341145B2/ja
Publication of KR98000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캐이스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개시한다. 이 케이스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주통로와, 상기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 사이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바이패스 통로와, 이 제1바이패스 통로와 연통되는 제1통로 및 제2통로와, 제2열교환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제1,2출구와, 상기 제1,2열교환기 사이와 상기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3통로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와 제1출구와 제1통로의 전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4통로 및 제5통로와, 제1통로의 전면과 연통되며 상기 제2출구와 연결하는 제5통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제1도어수단과, 상기 제1,2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수단과, 상기 제3통로와 제2열교환 입구측으로 통로를 개폐하는 제3도어수단과,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4통로와 제6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도어수단과, 상기 제5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제5통로를 개폐하는 제5도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자동차 실내의 리어측과 프론트 측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장치의 케이스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조화를 위해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각 덕트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는 자동차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와,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이터 코어(heater core)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자동차 실내의 각 부위와 연결된 덕트(duct)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공급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제1도는 이러한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요소들이 설치된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10)는 좌우측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분할 된 케이스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송풍기 유니트(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주통로(11)와, 이 주통로와 연결되는 디프로스트측 통로(12), 프론트측 통로(13)가 형성된다. 상기 디프로스트측 통로(12)와 프론트측 통로(13)는 주통로(11)의 출구측 케이스 상면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주통로(11)의 형성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케이스(10)의 측면에 플로어 통로(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에 의해 형성된 주통로(11) 상에는 냉매가 내부로 흐르는 증발기(200)와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이터 코어(100)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에 상기 히이터 코어(10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디프로스트측 통로(12)와 프론트측 통로(11) 경계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통로 즉, 프론트측 통로(11)와 디프로스트측 통로(12) 및 플로어측 통로(14)에는 각각 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11a)(12a)(14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주통로(11) 상단부와 히이터 코어(100)의 상단부 사이에는 바이패스 도어(15)가 설치된다. 상기 각 도어(11a,12a,14a,15)는 에어모터 또는 조작레버에 연결된 케이블 등에 의해 조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는 송풍기 유니트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히이터 코어(100)와 증발기(200)를 통과한 후 각 도어에 의해 열린 통로를 통하여 자동차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자동차의 내부를 난방 또는 냉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자동차의 실내를 냉난방함에 있어서, 자동차 실내 전체를 대상으로 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실내를 부분적으로 냉난방할 수는 없었다. 즉, 운전석과 조수석 또는 뒷좌석에 앉은 승객을 위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을 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를 개별난방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실내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냉난방하기 위한 열교환기 유니트와 송풍기 유니트를 각각 설치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난방하기 위해 열교환기 유니트와 송풍기 유니트를 각각 설치하는 것은 열교환기 유니트와 송풍기 유니트를 장착하기 위한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이들을 개별구동하기 위한 주변장치, 예컨데 압축기 응축기 개별제어장치 등의 주변장치가 복잡하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를 개별적으로 난방하여 각 좌석에 않은 승객의 몸상태에 따른 냉난방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적인 난방으로 자동차의 실내의 온도조절이 용이한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실내의 부분별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조화 장치 케이스를 이용한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또 다른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1:(케이스의)본체 31:주통로
50:제1도어수단 60:제2도어수단
70:제3도어수단 80:제4도어수단
100:제1열교환기 200:제2열교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주통로와, 상기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 사이의 상부에 형성되며 주통로와 연통되는 제1, 및 제2통로와, 제2열교환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제1,2출구와, 상기 제1,2열교환기 사이와 상기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3통로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와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4통로와, 제1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출구와 연결하는 제5통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통로와 제5통로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통로를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제1,2통로측으로 흐르는 것을 단속하는 제3,4도어와; 상기 제3통로의 입구와 제2열교환기 입구측의 통로 일부를 차단하는 제5도어와; 상기 제4통로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를 개폐하는 제6도어와; 상기 제1출구를 개폐하는 제7도어;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송풍기 유니트와, 상기 송풍기 유니트로부토 공급되는 공기를 자동차의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제1,2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각부위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스를 구비하여 된 자동차의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주통로와, 상기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 사이의 상부에 형성되며 주통로와 연통되는 제1, 및 제2통로와, 제2열교환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제1,2출구와, 상기 제1,2열교환기 사이와 상기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3통로와,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출구와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4통로와, 제1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출구와 연결하는 제5통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통로와 제5통로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통로를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제1,2통로측으로 흐르는 것을 단속하는 제3,4도어와; 상기 제3통로의 입구와 제2열교환기 입구측의 통로 일부를 차단하는 제5도어와; 상기 제4통로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를 개폐하는 제6도어와; 상기 제1출구를 개폐하는 제7도어;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자동차 실내의 앞뒤를 개별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되며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열교환 매체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며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각 부위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열교환기 및 엔진의 냉각수를 열교환 매체로 하는 제2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 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중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어 제1,2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각 부위로 공급하는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제2도에 나타내 보였다.
이 케이스는 송풍기의 출구와 연결되는 본체(30)의 내부에 주통로(31)가 형성되고, 이 주통로(31)에는 이 주통로를 가로지르는 제1열교환기(100)인 증발기가 설치되고, 이 제1열교환기(100)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위에 제2열교환기(200)인 히이터 코어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히이터 코어의 높이는 상기 주통로(3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2열교환기의 상하부에 후술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2열교환기(100)(200) 사이의 상부의 본체(30)에는 제2열교환기에 대한 제1바이패스 통로(32)가 형성되고, 이 바이패스 통로(32)의 상부측의 본체(30)에는 제1,2통로(33)(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기(200)의 하부측의 본체 측면에는 리어 밴트(rear vent)측의 덕트와 연결되는 제1출구(35)와 플로어( floor) 측의 덕트와 연결되는 제2출구(3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출구(35)는 제1,2열교환기 (100)(200)사이에 그 입구측이 위치하는 제3통로(36)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200)의 출구측와는 제4통로(37)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2출구(36)는 제1통로(32)와 연통되도록 제5통로(38)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히이터 코어의 출구측에는 상기 제1,2통로(33)(34)와의 연통되는 제6통로(39)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4통로(37)와 제6통로(39)는 연통된다. 여기에서 각 통로는 본체(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로와 출구가 형성된 본체에는 각 통로로의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바이패스 통로(32) 상에는 이 제1바이패스통로(32)와 제2열교환기(200) 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1도어수단(50)이 설치되고, 상기 제1,2통로(33)(34)의 입구측에는 이 제1,2통로로의 공기 흐르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도어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제1도어수단(50)은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32)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도어(51)와 제2도어(5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도어(52)는 제2열교환기(200)인 히이터 코어 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수단(60)은 상기 제1통로(33)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제3도어(61)와 상기 제2통로(34)의 공기 흐름을 단속하는 제4도어(6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통로의 입구측에는 제3도어수단(70)이 설치되는데, 이 제3도어수단(70)은 상기 제3통로(36)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통로(36)와 상기 히이터 코어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단속하는 제5도어(71)와,상기 제2열교환기(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3통로(36)과 히이터 코어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단속하는 제6도어(7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4통로(37)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측 제6통로에는 제4도어수단(80)이 설치되는데, 이 제4도어수단(80)은 제4도어(37)의 입구와 제2열교환기(200)의 출구측에 설치된 풍량분배도어(81)를 포함한다. 이 풍량 분배도어(80)는 제2열교환기(200)의 출구측이 열리면 제4통로(37)가 닫히고 제4통로가 닫히면 상기 출구측이 열리는데, 상기 그 힌지부(82)는 통로의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분배도어(81)가 중립의 위치에 있는 경우 분배도어(81)에 의해 도어의 뒷면에 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배도어는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사기 제6통로(39)를 차단하는 제1분배통로(85)와 상기 제4통로(37)를 차단하는 제2분배통로(86)로 분할하되 상기 각 분배통로(85)(86)는 상기 제2도어(52), 및 제5,6도어(71)(72)에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통로(38)의 입구측에는 제5도어수단(90)이 설치되는데, 제5도어수단(90)은 제5통로(38)의 입구측에 위치한 제7도어(9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2도에 도시된 케이스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였다.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3통로를 개폐하는 제4도어수단 (110)은 제3통로(36)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8도어(111)와 제1출구(35)에 설치된 제9도어(112)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에 있어서도 분배도어는 분할하여 제4통로(37)과 제6통로(39)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제2도어와 제8도어(111)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300은 통로를 제2열교환기를 지지하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가 장착된 공기조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 장치는 제1열교환기인 증발기와 제2열교환기인 히이터 코어에 열교환 매체와 냉각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송풍기로부터 케이스의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이지며,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는 상기 도어수단이 각각 작동됨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각 부위로 공급되어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게 되는데, 이 냉난방 과정을 모드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실내의 냉방시 밴드 모드인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기기로부터 공급되어 제1열교환기(100)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프론트 패널측의 밴트로공급하기 위해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제1도어수단의 제2도어(52)를 회동시켜 제2열교환기(200)인 히이터 코어로의 공기흐름을 차단하고 제1도어(51)를 회동시켜 제1바이패스 통로가 최대로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제2도어수단의 제4도어를 회동시켜 밴트와 연통되는 제1통로(33)가 열리도록 하고, 상기 제3도어수단의 제6도어(72)를 회동시켜 제3통로(36)를 차단하고, 상기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그 단부가 제2히이터 코어를 지지하는 격벽과 밀착되도록하여 제2열교환기의 출구인 제6통로(39)를 차단한다.
이상태에서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100)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1바이패스통로(32)와 제1통로(33)를 통하여 프론트 측의 밴트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측의 밴트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트모드 상태에서 제3도어수단의 제6도어(72)를 조작하여 제3통로(36)의 입구를 열고, 제5도어(71)를 조작하여 제2열교환기(200) 측의 통로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4도어(62)를 이용하여 제1통로(33)를 차단함과 아울러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제4통로(37)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1출구를 통하여 리어 밴트 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프론트 밴트와 리어 밴트 측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52)가 제2열교환기측으로의 입구를 차단하고 상기 제4도어(62)에 의해 제1통로가 열리도록 하며, 제4도어수단(90)의 제8도어(91)에 의해 제5통로(38)가 닫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6도어(72)가 회동되어 제3통로(36)가 열리도록 함과 아울러 제5도어(71)에 의해 제2열교환기(200) 측으로의 통로를 차단하고, 상기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제4통로(37)의 입구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조작이 완료되면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의 일부는 제1바이패스 통로(31)와 제1통로를 통하여 프론트 측의 밴트로 공급되고, 일부의 공기는 제3통로(36)를 통하여 리어 밴트로 공급된다.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면서 바이 레벨 모드일때에 도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론트의 밴트와 플러어 측으로 상호 온도차가 큰 공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어(52)를 제1바이패스 통로와 제2열교환기가 설치된 통로 입구측의 중립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도어 또한 중립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통로(33)를 차단하는 제4도어(62)가 제1통로(33)에 대해 중립위치 즉, 반 정도만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도어(81)가 회동되어 제4통로(37)가 차단되고 제2열교환기가 설치된 통로가 열리도록 하고, 제7도어(91)에 의해 제5통로(38)가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6도어(72)가 작동되어 열교환기 측으로의 통로가 열리며, 제5도어(71)가 작동되어 제3통로(36)가 열리고 제2열교환기 측으로의 통로가 닫히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제1열교환기(100)과 제2열교한기(200)에는 각각 열교환매체인 냉매와 냉각수가 공급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일부는 제1바이패스 통로(32)와 제1통로를 통하여 프론트 측의 밴트로 공급되고, 일부는 상기 제2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제6통로(39)와 제5통로를 통하여 플로어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2열교환기(100)(200)에는 선택적으로 열교환 매체가 공급되어 온도차이를 임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 레벨모드에서 프론트 측의 밴트와 리어측의 밴트, 플로어 측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도어가 작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도어(72)를 작동시켜 제3통로(36)의 입구가 열리도록하고, 상기 제5도어(71)가 제3통로(36)의 입구측에 대해 중립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기(200)의 출구측에 형성된 분배도어(81)가 제4통로(37)와 제6통로(39)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도어가 제1,2 분배도어(85)(86)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4통토(37)를 차단하는 제2분배도어(86)를 상기 제5도어(71)과 제6도어(72)에 비례하여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혼합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 (100)을 통과 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일부는 제1바이패스 통로와 제1통로(33)를 통하여 프론트측 밴트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32)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와 혼합된 후 제5통로(38)를 통하여 플로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일부의 공기는 제3통로(36)로 공급되어 상기 제4통로(37)를 통과한 공기와 가열된 공기와 혼합된 후 리어측 밴트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방시의 플로어 모드를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통로(31)로 공급되어 제1열교환기(100)인 증발기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를 프론트측의 플로어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2도어(52)와 제6도어(72)를 회동시켜 제2열교환기(200)로의 공기 유입과, 제3통로(36)으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제6통로(39)를 차단함과 아울러 제7도어(91)를 회동시켜 제5통로(38)의 입구를 연다. 그리고 상기 제4, 3도어에 의해 상기 제1, 2통로(33)(34)가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5통로를 차단하고 있는 제7도어를 회동시켜 제5통로(38)이 열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상기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제1바이패스통로(32)와 제5통로(38)를 통하여 프론트 측의 플로어로 공급되어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플로어 모드에서 리어측의 플로어측으로 냉기를 송풍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5통로(38)를 통과하는 공기를 덕트를 이용하여 리어측으로 분배하여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어측의 밴트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52)에 의해 제2열교환기(200) 의 입구가 차단되고 제5도어(71)와 제6도어(72)가 작동되어 제2열교환기(200)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제3통로(36)의 입구가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제4통로(36)를 차단하고 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배통로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분배통로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도어와 제5,6도어(71)(72)의 개폐상태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주통로(31)로 공급되어 냉각된 공기는 제3통로(36)를 통하여 리어측의 밴트로 공급되고, 제1바이패스 통로(32)와 제5통로(38)를 통하여 플로어 측으로 공급된다.
냉기와 온기를 혼합하는 믹식 모드의 상태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냉공기와 온공기 또는 온도가 낮은 외부공기와 가열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도어(52)를 제2열교환기의 입구측과 제1바이패스 통로(32)사이의 중립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5도어(71)를 제3통로(36)와 제2열교환기(200) 입구의 중립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6도어(72)에 의해 제3통로(36)가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수단의 제3,4도어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제1,2통로가 선택적으로 열리도록 하고, 상기 제7도어(91)를 조작하여 제5통로(38)가 열리도록하며, 상기 분배도어(81)를 조작하여 제4통로(37)와 제6통로(39)의 중립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일부는 제1바이패스 통로(32)를 통과하게 되고 일부는 제2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후 제6통로(39)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바이패스 통로(32)와 제6통로(39)를 통과한 공기는 이들 통로의 출구측에서 혼합된 후 선택적으로 열린 제2통로(34)를 통하여 배출됨과 아울러 제5통로(38)를 통하여 플로어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는 제3통로(36)으로 흐르게 되고, 이 공기는 상기 제4통로(37)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제1출구(35)의 전면에서 혼합된후 제1출구(35)를 통하여 리어측 밴트로 공급된다.
차창에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모드를 제12도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프로스트 모드인 경우에는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조작이 이루어져 제1통로 제3통로 및 제5통로(38)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통로(34)의 제3도어(61)가 조작되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디프로스 측과 연결된 제2통로(3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시 각 모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난방시 밴트 모드인 경우에는 송풍기기로부터 공급되어 제1열교환기(100)과 열교환이 이루어져 가열된 공기를 프론트측의 패널측의 밴트로공급하기 위해서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도어(51)(52)를 회동시켜 제1바이패스 통로(32)로의 공기흐름을 차단하고 제2열교환기(200) 측으로의 통로가 최대로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제4도어(62)를 회동시켜 밴트와 연통되는 제1통로(33)가 열리도록 하고, 상기 제6도어(72)를 회동시켜 제3통로(36)를 차단하며, 상기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제4통로(37)가 닫히고 제6통로(39)가 열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된 이외의 도어는 모두 닫힌 상태이며, 상기 제1열교환기에는 열교환 매체인 냉매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10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통과된 후 제2열교환기(200)인 히이터 코어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는 제6통로(39)를 통과한 후 제1통로(33)를 통하여 프론트측 밴트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측의 밴트로 온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측의 밴트와 플로어로 가열된 공기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트모드 상태에서 제6도어(72)를 조작하여 제3통로(36)의 입구를 열고, 제5도어를 조작하여 제2열교환기(200) 측의 통로가 열리도록 함과 아울러 제3통로(36)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중립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제4통로(37)와 제6통로(39)가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4도어(62)를 중립위치에 놓고 제7도어(71)를 작동시켜 제5통로(38)가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일부의 공기는 제4통로(37)와 제1출구(35)를 통하여 리어 밴트 측으로 공급되며, 제2열교환기(200)을 통과한 일부의 공기는 제5통로(38)를 통하여 플로어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플로어와 리어측 밴트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2도어(51)(52)를 회동시켜 제1바이패스 통로(32)로의 공기흐름을 차단하고 제2열교환기(200) 측으로의 통로가 최대로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제7도어(91)를 회동시켜 플로어측의 제5통로(38)가 열리도록 하고, 상기 제6도어(72)를 회동시켜 제3통로(36)를 차단하며, 상기 분배도어(81)를 회동시켜 제4통로(37)와 제6통로(38)가 열리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열교환기에는 열교환 매체인 냉매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통로(31)로 공급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200)를 통과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6통로(39)와 제5통로(38)를 통하여 플로어측으로 공급되고, 제4통로(37)를 통하여 리어 밴트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가열된 공기를 플로어측과 리어 밴트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어(61)를 조작하여 제2통로(34)를 차단하고 제7도어를 조작하여 제5통로(38)가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2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제5통로(38)와 제4통로(37)를 통하여 플로어측과 리어 밴트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차창에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열교환기(200)을 통과한 공기가 제3도어에 의해 제2통로(34)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제2통로(34)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공기조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는 제3통로를 개폐하는 제8도어(111)과 제9도어(112)를 각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리어측 밴트로 냉공기 또는 온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가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자동차의 실내의 프론트 측과 밴트측을 선택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몸상태에 따라 개별적인 냉난방이 가능하다.
둘째; 종래와 같이 자동차실내의 프론트 측과 리어측에 별도의 열교환기 유니트 및 송풍기 유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조화 장치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셋째; 각 도어를 조작함으로써 모드별 임의 상태의 모드 조작이 간단하다.
넷째; 공기조화 장치 케이스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일예로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원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데, 상기 케이스를 두 개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주통로와, 상기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 사이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바이패스 통로와, 이 제1바이패스 통로와 연통되는 제1통로 및 제2통로와, 제2열교환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제1,2출구와, 상기 제1,2열교환기 사이와 상기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3통로와,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출구와 제1출구와 제1통로의 전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4통로 및 제5통로와, 제1통로의 전면과 연통되며 상기 제2출구와 연결하는 제5통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제1도어수단과, 상기 제1,2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수단과,상기 제3통로와 제2열교환 입구측으로 통로를 개폐하는 제3도어수단과,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4통로와 제6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도어수단과, 상기 제5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제5통로를 개폐하는 제5도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수단이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어수단이 상기 제3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제3로를 개폐하는 제6도어와, 제2열교환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3통로와 제2열교환기 측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5도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도어수단이 제2열교환기의 출구측에 그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4통로와 제6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배도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도어가 상기 제6통로를 차단하는제1분배도어와 제4통로를 선태적으로 차단하는 제2분배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6. 송풍기 유니트와, 상기 송풍기 유니트로부토 공급되는 공기를 자동차의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제1,2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상기 열고환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각부위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스를 구비하여 된 자동차의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주통로와, 상기 증발기와 히이터 코어 사이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바이패스 통로와, 이 제1바이패스 통로와 연통되는 제1통로 및 제2통로와, 제2열교환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제1, 2출구와, 상기 제1, 2열교환기 사이와 상기 제1출구를 연결하는 제3통로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와 제1출구와 제1통로의 전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4통로 및 제5통로와, 제1통로의 전면과 연통되며 상기 제2출구와 연결하는 제5통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제1도어수단과, 상기 제1, 2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수단과, 상기 제3통로와 제2열교환 입구측으로 통로를 개폐하는 제3도어수단과,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4통로와 제6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도어수단과, 상기 제5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제5통로를 개폐하는 제5도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7.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수단이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어수단이 상기 제3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제3로를 개폐하는 제6도어와, 제2열교환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3통로와 제2열교환기 측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5도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9. 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도어수단이 제2열교환기의 출구측에 그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4통로와 제6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배도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도어가 상기 제6통로를 차단하는제1분배도어와 제4통로를 선태적으로 차단하는 제2분배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이스가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864A 1996-07-27 1996-07-27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KR10029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864A KR100294482B1 (ko) 1996-07-27 1996-07-27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US08/900,114 US5862677A (en) 1996-07-27 1997-07-25 Casing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s using the same
JP20176997A JP3341145B2 (ja) 1996-07-27 1997-07-28 空気調和装置のケース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864A KR100294482B1 (ko) 1996-07-27 1996-07-27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62A true KR980008662A (ko) 1998-04-30
KR100294482B1 KR100294482B1 (ko) 2001-10-24

Family

ID=1946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864A KR100294482B1 (ko) 1996-07-27 1996-07-27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62677A (ko)
JP (1) JP3341145B2 (ko)
KR (1) KR100294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27B1 (ko) * 2001-11-22 2005-04-2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공조장치
KR101166710B1 (ko) * 2005-06-07 2012-07-1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9578C2 (de) 1997-09-10 2000-03-02 Behr Gmbh & Co Heizungs- oder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9804287C5 (de) * 1998-02-04 2004-02-19 Daimlerchrysler Ag Klimaanlage für Fahrzeuge
JP4048587B2 (ja) * 1998-02-19 2008-0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FR2789629B1 (fr) * 1999-02-16 2001-07-06 Valeo Climatisation Installation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a mixage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US6484755B1 (en) * 1999-03-31 2002-11-26 Valeo Climate Control Inc. Blend door actuation for dual zone
DE19919975C1 (de) * 1999-04-30 2000-09-07 Daimler Chrysler Ag Klimaanlage für eine Fahrgastzelle eines Fahrzeugs
FR2795684B1 (fr) * 1999-06-30 2002-06-21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perfectionne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habitacl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a reglage de temperature par zones
FR2798324B1 (fr) * 1999-09-10 2002-04-12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a mixage ameliore
US6640890B1 (en) * 1999-12-22 2003-11-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ple zone automatic HVAC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601835B1 (ko) * 1999-12-30 2006-07-1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6536474B2 (en) * 2000-03-13 2003-03-25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ir conditioner unit for vehicle
DE10037384B4 (de) * 2000-08-01 2013-04-04 Behr Gmbh & Co. Kg Heizungs- und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KR100665050B1 (ko) * 2001-08-22 2007-01-04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DE10161753A1 (de) * 2001-12-15 2003-06-18 Behr Gmbh & Co Heiz-oder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0161752A1 (de) * 2001-12-15 2003-06-18 Behr Gmbh & Co Heiz-oder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53854B3 (de) * 2002-11-14 2004-04-0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Heiz- oder Kühlanlage zur Klimatisierung eines Kraftfahrzeuginnenraums
JP4193716B2 (ja) * 2003-12-15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DE102004033402B4 (de) * 2004-07-02 2007-06-1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Modulsystem zum Aufbau einer 1-Zonen-bis 4-Zonen-Klimaanlage für Fahrzeuge
KR101097612B1 (ko) * 2004-09-24 2011-12-22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 공조장치
US7726391B2 (en) * 2005-02-01 2010-06-01 Halla Climate Control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036392B1 (ko) * 2005-02-01 2011-05-2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7228689B2 (en) * 2005-05-20 2007-06-12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o-electric and HVAC seat cooling and heating mode door integration
JP2006347280A (ja) * 2005-06-14 2006-12-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の空気調和ユニット
JP4386874B2 (ja) * 2005-09-20 2009-12-16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JP5189732B2 (ja) * 2005-11-16 2013-04-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ATE468243T1 (de) 2005-12-02 2010-06-15 Behr France Rouffach Sas Klimaanlag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41689A1 (de) * 2007-09-03 2009-03-05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Fondraumklappe zum Mischen und Verteilen der Luft
US20090071178A1 (en) * 2007-09-14 2009-03-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HVAC and Battery Thermal Management
US8544528B2 (en) * 2009-07-10 2013-10-01 Keihin Corporation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partitioning members for use in a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10005271A1 (en) * 2009-07-10 2011-01-13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5568408B2 (ja) * 2010-08-23 2014-08-06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気調和装置
ITTO20130434A1 (it) * 2013-05-29 2014-11-30 Denso Thermal Systems Spa Dispositivo di riscaldamento e/o climatizzazione per un autoveicolo
CN104527368A (zh) * 2014-12-16 2015-04-22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hvac总成
FR3043150B1 (fr) * 2015-10-29 2019-10-11 Valeo Systemes Thermiques Groupe moto-ventilateur et installation de chauffage , ventilation et / ou climat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e
US10576804B2 (en) * 2016-04-23 2020-03-03 Valeo Climate Control Corp. HVAC module
US10766333B2 (en) * 2017-03-23 2020-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changeable operable duct with blocking component for a driver-only function
US11541716B2 (en) * 2018-08-30 2023-01-03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0809A (en) * 1981-02-04 1982-08-13 Hitachi Ltd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JPS60248421A (ja) * 1984-05-21 1985-12-09 Diesel Kiki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S62173311A (ja) * 1986-01-23 1987-07-30 Alps Electric Co Ltd 空調制御装置
US4940083A (en) * 1986-08-29 1990-07-10 Nissan Shatai Company, Limited Apparatus for conditioning air for a vehicle compartment
US4842047A (en) * 1988-06-03 1989-06-27 Diesel Kiki Co., Ltd.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US5199485A (en) * 1990-08-03 1993-04-06 Hitachi, Ltd. Air conditioner for motor vehicle having right, left and center temperature controlled vents
US5309731A (en) * 1991-12-27 1994-05-10 Nippondenso Co.,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27B1 (ko) * 2001-11-22 2005-04-2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공조장치
KR101166710B1 (ko) * 2005-06-07 2012-07-1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4482B1 (ko) 2001-10-24
JP3341145B2 (ja) 2002-11-05
JPH10244824A (ja) 1998-09-14
US5862677A (en) 199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8662A (ko) 공기 조화장치의 케이스
US705559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91957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678294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H10244823A (ja) 空気調和装置のケース
KR2012013892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2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8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853174B1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기 조화 장치
JP443316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70081274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4188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35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67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85434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10059264A (ko) 자동차용 보조 공기조화장치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101032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23734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29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