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381U -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381U
KR980008381U KR2019960022110U KR19960022110U KR980008381U KR 980008381 U KR980008381 U KR 980008381U KR 2019960022110 U KR2019960022110 U KR 2019960022110U KR 19960022110 U KR19960022110 U KR 19960022110U KR 980008381 U KR980008381 U KR 9800083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handle
handle
hous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수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22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381U/ko
Publication of KR980008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81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도아 핸들은 주입구가 도아 프레임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있어 자동차의 주행시 도아 프레임을 스쳐 지나가는 공기가 도아 핸들의 하우징의 주입구에서 와류 현상을 발생시켜 소음을 크게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출방지부재를 도아 핸들의 외측에 설치하여 주입구의 노출을 방지하고 노출방지부재의 외측면을 도아 프레임의 외측면과 매끈한 면을 이루게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시 도아 프레임의 주입구로 인한 공기의 와류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주행 소음을 줄여 보다 조용한 자동차 실내 분위기를 유지하고 나아가 운전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아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주행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도아 핸들의 주입구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아는 개방 방식에 따라 자동식과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자동식 도아는 사용자가 도아 핸들을 직접 손으로 당기지 않고 전적으로 자동차의 동력원에 의해 도아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고, 수동식 도아는 사용자가 도아 핸들을 직접 손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도아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식 도아의 도아 핸들은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도아 프레임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물론, 수동식 도아의 도아 내부 핸들도 사용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도아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제1A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의 외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아 프레임(10)의 외측면 우측 상단부에 도아 핸들(11)이 설치된다. 상기 도아 핸들(11)은 도아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하우징(13)과, 하우징(13)의 외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아의 개방을 위해 힌지회전하는 핸들(15)과, 핸들(15)의 후단에 설치되어 힌지회전하는 핸들(15)을 항상 닫혀지는 상태로 복원시켜 주기 위한 스프링(도시 안됨)을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13)의 주입구(14)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의 작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기 위해 도아 프레임(10)의 우측 상단부에 설치된 도아 핸들(11)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도아를 개방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손바닥을 위로 한 상태로 손가락을 도아 핸들(11)의 하우징(13)의 주입구(14)에 밀어 넣은 후 도아 핸들(11)의 핸들(15)의 하단부를 잡아당기면, 핸들(15)의 상측부가 힌지 회전하여 도아의 잠김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15)을 계속 당겨 도아를 충분히 개방하고 나서 핸들(15)을 잡았던 손가락을 주입구(14)로부터 뽑아낸다. 이때, 핸들(15)은 공지된 바와 같이, 복원용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원래의 닫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도아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전석에 착석하고 기 개방된 도아를 닫은 후 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아 핸들(11)에는 오목한 공간의 주입구(14)가 노출되어 있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자동차의 도아의 외측면을 스쳐 지나가는 공기가 주입구(14)에서 심한 와류 현상을 발생시키므로 이로 인한 공기 저항이 커져 자동차의 소음이 증대된다. 결국 자동차의 조용한 실내 분위기가 유지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시 도아 핸들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여 자동차의 조용한 실내 분위기를 유지할 수 하도록 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의 외형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 외형을 나타낸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도아 핸들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아 프레임 11 : 도아 핸들 13 : 하우징
14 : 주입구 15 : 핸들 20 : 도아 프레임
21 : 도아 프레임 23 : 하우징 24 : 주입구
25 : 핸들 27 : 노출방지부재 28 : 힌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아 핸들의 하우징 주입구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노출방지부재가 도아 핸들의 외측부에 힌지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아 핸들의 핸들이 상기 노출방지부재의 개방 상태에서 당겨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노출방지부재의 외측면이 도아 프레임의 외측면에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자동차의 주행시 도아 핸들을 지나가는 공기 저항을 줄여 주행 소음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 외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2B도는 제2A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도아 핸들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도아 핸들(21)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아 프레임(20)의 외측면 우측 상단부에 설치되고, 노출방지부재 (27)가 도아핸들(21)의 외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아핸들(21)은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아 프레임(20)에 고정되는 하우징(23)과, 하우징(23)의 상단부 내면에 힌지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도아를 개방하는 공지된 핸들(25)과, 하우징(23)의 외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하우징(23)의 주입구(24)의 노출을 방지하는 노출방지부재(27)를 갖고 있다.
상기 노출방지부재(27)는 힌지부(28)에 의해 주입구(2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회전하며, 힌지부(28)의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닫혀지는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노출방지부재(27)의 외측면은 도아 프레임(20)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도아 핸들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기 위해 도아 프레임(20)에 우측 상단부에 설치된 도아핸들(21)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도아를 개방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손바닥을 위로 한 상태로 손가락을 도아핸들(21)의 노출방지부재(27)로 밀어 노출방지부재(27)를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의 주입구(24)의 내측으로 힌지 회동시킴으로써 노출방지부재(27)를 개방 상태로 만든다.
이어서, 사용자가 도아핸들(21)의 핸들(25)의 하단부를 잡아당기면, 핸들(25)이 힌지 회전하여 도아의 잠김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25)을 계속 당겨 도아를 충분히 개방하고 나서 핸들(25)을 잡았던 손가락을 주입구(24)로부터 뽑아낸다. 이때, 핸들(25)은 공지된 바와 같이, 복원용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원래의 닫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노출방지부재(27)가 힌지부(28)의 복원용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닫힘 상태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어 주입구(24)가 노출방지부재(27)에 의해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노출방지부재(27)의 외측면은 개략적으로 도아 프레임(20)의 외측면과 동일 면을 이룬다.
이렇게 도아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전석에 착석하고 기 개방된 도아를 닫은 후 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따라서, 주입구(24)가 노출방지부재(27)에 의해 전혀 노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노출방지부재(27)의 외측면이 도아 프레임(20)의 외측면과 동일 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주행시 도아 프레임을 스쳐 지나가는 공기가 주입구(24)에서 와류 현상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아 자동차의 소음이 훨씬 감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에 의하면, 노출방지부재가 도아핸들의 외측에 힌지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하우징의 주입구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시 도아 프레임의 주입구로 인한 공기의 와류 현상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 소음을 줄여 보다 조용한 자동차 실내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어 운전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자동차의 도아 프레임에 설치된 도아 핸들에 있어서, 상기 도아 프레임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도아를 개방시키는 핸들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주입구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노출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지부재는 상기 도아 핸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그 외측면이 상기 도아 프레임의 외측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지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노출방지부재의 개폐수단으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지부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이탈방지용 걸림 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110U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KR9800083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110U KR980008381U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110U KR980008381U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81U true KR980008381U (ko) 1998-04-30

Family

ID=5397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110U KR980008381U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38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8381U (ko) 자동차의 도아 핸들 구조
KR100418507B1 (ko) 차량용 후드 래치의 구조.
KR100188593B1 (ko) 차량용 쿼터 윈도글라스의 개폐장치
KR100229154B1 (ko) 가스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200154466Y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100211313B1 (ko)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록킹장치
KR20010060117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잠금장치
KR0118477Y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변형 방지장치
KR200143132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의 엔진커버 개폐장치
KR100233603B1 (ko) 웨이트 밸런스가 구비된 도어
KR100191809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자동 잠금 장치
KR0152756B1 (ko) 차량의 본네트/트렁크 자동개폐장치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19980055519A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
KR19980020440U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JPH0344653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192814B1 (ko) 차량용 후드 잠금 장치
KR0128836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오픈용 레버와 손잡이의 체결구조
KR19980041847U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개폐구조
KR200159776Y1 (ko) 트렁크 리드 개방수단
JPS60259526A (ja) 車体前部構造
KR19980035848A (ko) 자동차의 도어손잡이 구조
KR20040065920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