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166A - 식기 세척기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바구니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166A
KR980008166A KR1019970034638A KR19970034638A KR980008166A KR 980008166 A KR980008166 A KR 980008166A KR 1019970034638 A KR1019970034638 A KR 1019970034638A KR 19970034638 A KR19970034638 A KR 19970034638A KR 980008166 A KR980008166 A KR 98000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chamber
dishwasher
wate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175B1 (ko
Inventor
요시후미 이노우에
야스히로 사꼬야
히로까즈 니시오
겐지 기무라
에이지로오 이꾸지
다께시 다나베
데쯔이찌 아리따
미쯔오 오오우찌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08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81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976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6397B2/ja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8000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발명은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식기류의 세척을 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특히 식기류를 얹어서 회전하는 식기 세척 바구니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류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것으로,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캐비넷과, 캐비넷의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와, 캐비넷 내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향한 세척실을 형성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세척실 부재와, 세척실 내로의 소정 방향을 향하여 실치된 세척노즐과, 세척 노즐, 세척실의 저부 및 외부로의 배수 구멍에 연결된 순환 펌프와, 세척실 외부에 설치된 구동원과, 캐비넷 내의 세척실 외측이면서 또 캐비넷 배면의 한 쪽 측면측의 구석부에 설치되고 구동원과 연결된 동력 전달 기구와, 순환 펌프와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세척실 내에 놓여진 식기 세척 바구니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바구니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식기류의 세척을 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식기류를 얹어서 회전하는 식기 세척 바구니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류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2-183393호 공보에 개시되어있다. 종래 기술의 식기 세척기는, 도41을 참조하여 세척조(101)와, 세척고(101)내에 철치된 턴테이블(100)과, 턴테이블(100)상에 식기를 적재하기 위한 수납 래크(102)와, 세척조(101)의 내면에 설치되고, 수납 래크(102)의 높이 방향에 거쳐서 형성된 노즐을 갖는 세척수를 분출하기 위한 물 분사 파이프(103)와, 세척고(1 01)의 하부에 설치되고,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04)를 포함한다.
이 식기 세척기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턴테이블(100)상에 식기를 적재한다. 턴테이블(100)을 구동장치(104)로 회전시키면서 물 분사 파이프(103)의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식기를 향해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한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가 턴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식기 세척기의 키가 커져 대형이 된다. 또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세척수를 분출하는 물 분출 파이프 및 급수구 등의 배치 등에도 그다지 고찰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그 때문에 하우징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지 않다.
시판되고 있는 식기 세척기의 대부분은 상기한 바와 같은 턴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회전하는 노즐을 이용하는 것이다. 회전하는 노즐을 이용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회로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 7-289492호 공보, 특허 공개 평 7-30359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들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제어 회로는 전원에 스위치를 거쳐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펌프, 히터, 팬 등의 전기 부품을 포함한다.
또, 세척 후의 세척조 내에 린스제를 적하하면 식기의 건조 마무리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1166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린스제를 이용하면, 헹굼 후의 물기 제거가 좋아지며, 건조시에 식기에 올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반 업무용의 식기 세척기로서 판매 활동할 때 시범 운전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4-1009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 중,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것은 분사 노즐이 회전하는 것과 비교하여 피세척물을 보다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는 턴테이블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에 대해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턴테이블식을 갖는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조작 패널부에는 설정되는 동작이나 실행 중인 공정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식기 세척 공정에 대해 충분히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조작성이 빈약했다. 또 종래는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동작에 이상이 생긴 때의 대책이 불충분하며, 특히 턴테이블을 이용함에 따른 고장에 대한 대칙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 예를 들면 턴테이블의 구동 시스템에 고장이 생기거나 한 때도 이것을 수리하기 위해 고장 부위에 억세스하는 것이 곤란하며 서비스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가정용 식기 세척기에서 시범 작동 기능을 구비한 것은 아니며, 그 때문에 판매점에 있어서의 판매 촉진 활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만약 가정용 식기 세척기에 시범 작동 기능을 구비한 경우, 잘못해서 시범 작동 기능을 기동시키면 통상과 다른 동작을 하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오해 받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이 개선된 피세척물을 회전시켜서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성 및 서비스성이 개선된 피세척물을 회전시켜서 체척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작성 및 서비스성이 개선되고, 또 고장시에도 안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조작성 및 서비스성이 개선되고, 또 고장시에도 안전한 시범 작동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조작성 및 서비스성이 개선되고, 또 고장시에도 안전하고, 잘못해서 시범 작동 기능이 기동될 우려가 없는 시범 작동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캐비넷과, 캐비넷의 개구부에 개페가능하게 부착된 도어와 캐비넷 내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향한 세척실을 형성하는 세척실 부재와, 세척실 내로의 소정방향을 향해 설치된 세척 노즐과,세척 노즐, 세척실의 저부 및 외부로의 배수 구멍에 연결된 순환 펌프와, 세척실 외부에 설치된 구동원과 연결된 동력 전달 기구와, 순환 펌프와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세척실 내에 놓여진 식기 세척 바구니가 회전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식기 세척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캐비넷 및 도어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
제7도는 세척실 내부의 요부 사시도.
제8도는 감열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감열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0도는 회전 기어 부분의 사시도.
제11도는 세척 노즐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12도는 세척 노즐과 급수 파이프의 접속부의 단면도.
제13도는 세척 노즐의 분사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 구동하는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15도는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 구동하는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16도는 식기 필터 상의 식기 세척 바구니의 하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7도는 식기 세척 바구니의 사시도.
제18도는 소품 바구니의 사시도.
제19도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힌지부 근방의 측면도.
제20도는 도어를 폐쇄한 상태의 힌지부 근방의 측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측면도.
제22도는 순환 펌프의 개략 단면도.
제23도는 절환 밸부의 사시도.
제24도는 순환 펌프의 개략 단면도.
제25도는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제26도는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제27도는 식기 세척기의 구동 시스템의 회로도.
제28도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형 회로도.
제29도는 조작 패널의 평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조작 패널 상의 에러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31도는 각 운전 코스의 시간을 도시한 도면.
제32도는 경보음 소거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
제33도는 다른 실시예의 세척 노즐 분사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34도는 다른 실시예의 소품 바구니의 사시도.
제35도는 다른 실시예의 식기 세척 바구니의 요부 사시도.
제36도는 다른 실시 형태의 수위 플로트 스위치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제37도는 저부판의 사시도.
제38도는 다른 실시예의 절환 밸브 부근의 단면도.
제39도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절환 밸브의 단면도.
제40도는 물 저장부를 갖는 저수조의 단면도.
제41도는 종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기 세척기 3 : 조작 패널
4 : 도어 6 : 로크 버튼
7 : 세척실 8 : 세척 바구니
12 : 저수조 13 : 히터
14 : 감열판 16 : 서미스터
17 : 서모커트 19 : 세척 필터
26 : 세척 노즐 27 : 송풍모터
28 : 송풍 팬 38 : 세척 파이프
40 : 세척실 부재 52 : 마이크로 스위치
54 : 수위 센서 56 : 롤러
60 : 지지바 61 : 소품 바구니
83 : 물 저장부 93 : 건조 조건 표시부
94 : 세척 조건 표시부 111 : 제어 박스
113 : 검출부 115 : 급수구
117 : 본체 캐비넷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기(1)는 본체 캐비넷(117) 및 본체 캐비넷(117)의 전면 개구부 하부 모서리에 힌지에 의해 부착된 종방향 개방 도어(4)와 본체 캐비넷(117)의 전면 하부의 도어(4)의 하부에 설치된 전원 온/오프 키(2)및 각종 스위치를 갖는 조작 패널(3)을 포함한다. 도어(4)의 상부에는 손잡이부(5)가 설치된다. 도어(4)의 상부 단부면의 중앙에는 도어(4)를 폐쇄한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버튼(6)이 설치되어있다. 도어(4)를 페쇄하여 로크 버튼을 도1의 화살표 95로 도시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도어(4)가 로크되고, 본체 캐비넷(117)내에 밀페된 세척실이 형성된다. 또 본체 캐비넷(117) 상부벽(42)의 전방 단부는 조작 패널(3)의 면보다도 후퇴되고 있다. 본체 캐비넷(117)의 측벽(43)은 위로 갈 수록 후퇴한 전방 모서리를 갖는다.
도2를 참조하여 도어(4)를 개방하면, 본체 캐비넷(117)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 내부 세척실(7)을 볼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또, 세척실(7)의 중앙 부분에 수납된 식기류 등의 피세척물이 적재되는 식기 세척바구니(8)를 포함한다.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하부는 원형의 외형을 갖고 있으며, 그 외부 전주에 걸쳐서 기어(9)가 형성되어 있다. 도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기 세척 바구니(8)의 소정의 축 주위에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을 두기 위한 롤러가 설치된다.
또, 도2를 참조하여 종방향 개방 도어(4)의 세척실(7)을 향한 내벽에는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형성된 곡면형 오목부(10)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실(7)의 전면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후퇴시키면, 개구부로부터 전방에 피세척물의 일부가 비어져 나오지만, 오목부(10)에 의해 그들 피세척물을 세척실(7)에 수용할 수 있고, 또 그 출입이 용이해진다. 도어(4)측에 세척실(7)의 일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소형인 본체에도 불구하고 큰 세척실을 확보할 수 있다. 도어(4)내면의 하방에는 세제를 넣기 위한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또 도3에 이 식기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4에 요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3 및 도4에는 도5이하를 참조하여 행하는 각부의 설명에 있어서 적절히 참조한다.
도3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1)는 또, 세척실(7)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피세척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세척실(7) 내로 풍하기 위한 송풍 모터(27)와, 송풍 모터(27)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 팬(28)과, 송풍 팬(28)에 연결되고 세척실에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포함한다. 송풍 모터(27) 및 송풍 팬 (28)은 세척실(7) 저면과 비교하여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은 제어 박스(111)에 수납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 (1)는 또, 본체 주위에 장착되는 방진 고무(112)와, 수위 센서(54)의 출력이 부여되는 검출부(113)와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구(115)를 포함하고 있다.
도4를 참조하여 본체 캐비넷(117)의 배면에는 후방판(116)이 결합된다. 도어(4)의 본체 캐비넷(117)측에는 도어 내부판(118)이 부착되고, 힌지(119)로 본체 캐비넷(11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넷 저부판(82)의 주변부에는 오목형 물 저장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실(4)의 적합부나 각 부픔과 세척실(4)의 결합부로부터 물의 누설이 생긴 경우에는 물 저장부(83)가 일시적으로 누설수를 유지한다.
도3 또는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1)는 세척실 부재(40)를 포함한다. 세척실 부재(40)의 세척실(7) 저부를 형성하는 부재는 그 도어(4)측 부위에 형성된 저수조(12)를 갖고 있다. 저수조(12)는 세척수나 헹굼수를 일정량 모아서 세척수나 헹굼수를 후술하는 세척 노즐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저수조 (12)상에는 물은 통과시키지만 잔재는 통과시키지 않는 다수의 펀칭 구멍을 갖는 금속제의 세척필터(19)가 얹어진다. 저수조(12)는 세척실(7)저면보다도 일단 낮은 저부를 갖고 있으며, 또 세척실(7) 저부의 바로 앞측의 약 절반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다. 저수조(12)에는 도6을 참조하여 세척수나 헹굼수를 가열하여 세척 성능을 올리기 위한 W형의 시즈 히터(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식기 세척기는 물을 취급하므로 방수에는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어용 프린트 기판에대해서는 충분한 방수 및 절연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종래는 제어용 프린트 기판에 대해서는 엄중한 방수 대책 및 절연 대책을 실시해 둘 필요가 있었다.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3)과 프린트 기판(91)을 분리하여 제어용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장된 프린트 기판(91)을 수납한 제어 박스(111)를 물이 적셔질 확률이 낮은 세척실(7)의 후방, 캐비넷 내부의 후방 천정 근방에 배치한다. 조작 패널(3)만을 식기 세척기의 전면 하부에 배치한다. 프린트 기판(91)에 물이 적셔질 우려가 사라지며,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낮게 할 수 있고, 또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있다. 또 조작 패널(3)상에 배치되는 각종 키는 그 동작 전압은 낮고, 가령 물이 그들에 부착해도 기기나 사용자에게 큰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조작 패널(3)만을 방수 처리하는 것은 용이하며, 가공이나 조립도 문제없이 행할수 있다.
도5를 참조하여, 세척실 부재(40)의 내부 천정면에는 실크 인쇄된 필름(41)을 접착하고 있다. 실크 인쇄 된 그물 모양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세척실 부재 (40)의 내부 천정면의 친수성이 높아진다. 세척실 부재(40)의 내부 천정면에 부착된 물은 큰 물방울을 형성하지 않고 세척실(7)의 측벽면을 하방으로 흘러 떨어진다. 세척실(7) 측벽면에도 실크 인쇄를 한 필름 (41)을 접착하므로써 물방울의 부착을 더욱더 감소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세척실(7)의 오른 쪽 안쪽 측면에는 세척실의 바로 앞 쪽 좌측 구석을 향한 상하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갖는 세척 노즐(26)이 설치된다. 세척수는 선분 4A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앞 쪽 도어(4)와 세척실(7)로 둘러싸여진 구석부를 향해, 세척 노즐(26)로부터 세척실(7)의 거의 대각선상에 분사된다. 식기 세척 바구니(8)에 피세척물을 얹지 않고 세척 노즐(26)로부터 세척수를 분사시키면, 분사된 세척수가 세척실(7)의 벽면에 충돌하여 충돌음이 발생한다. 세척수가 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맞닿는 각도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면, 상당히 큰 충격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수는 세척실(7)의 대각선상에 분사되므로 세척수는 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충돌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충격음 및 진동을 삭감할 수 있다.
이 분사 방향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위되고 실기 세척바구니(8)의 회전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다. 피세척물에 세척 노즐(26)로부터 분사된 물이 닿는 피세척물을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생긴다. 이 힘은 구동 모터(22)의 회전력을 보조하게 되므로 구동 모터(22)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수 있다. 그 결과 소형의 구동 모터(22)를 사용할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 또는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실(7)의 전면 개구부의 상부벽(42)의 전방 모서리를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 바로 위 근방까지 후퇴시키고 있다. 양 측벽(43)의 전방 모서리는 직선적으로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식기 세척 바구니(8)에 후술하는 소품 바구니를 이용하여 2단으로 피세척물을 탑재한 경우에도 2단째 내의 피세척물을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큰 접시 등을 세척실(7) 천정면의 전방 모서리에 닿거나 하여 떨어져 파손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3 또는 도6 또는 도7을 참조하여, 세척실(7) 안쪽 면인 좌측 대략 구석부에는 직사각형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1)로부터 식기 세척 바구니(8)를 구동하는 기구의 일부가 세척실(7)내를 향하고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바구니(8)를위한 구동기구는 본체 캐비넷의 좌측 후방부에 배치된구동모터(22)와, 구동 모터(22)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69)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 (69)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동력 전달부(69)는 회전 기어(23)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일부가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1)로부터 세척실(7)내에 돌출하여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하부기어(9)(도2 참조)와 맞물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킨다.
세척실(7) 안쪽면인 대략 구석부에 대해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에 세척실(7) 2개의 측면과 세척실(7) 후면과의 가상 연장선을 가상선으로 도시한다. 이들은 교점 A1 및 A2를 갖는다. 식기 세척기를 향해 좌측의 교점을 A1, 우측의 교점을 A2사이의 거리를 L이라고 한다. 교점 A1 또는 A2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반경L/2의 원을 본체 캐비넷 내에 그릴 수 있다. 이 원 내의 영역을 안쪽면이 대략 구석부라 부른다.
도3및 도7을 참조하여 저수조(12)의 측벽(12a)에는 송풍구(29)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 팬(28)으로부터의 송풍 덕트는 세척실(7)의 배면으로부터 세척실(7) 저면의 이면을 거쳐서 송풍구(29)와 연통하고 있다. 세척실(7)의 저부 및 안쪽 중앙에는 송풍 덕트와 세척실(7)을 구획하는 저부벽(30)및 측벽(31)이 설치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는 또 히터(13)의 직선부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감열판(14)과 히터(13)를 거정하기 위해 감열판(14)에 미리 용접된 누름판(14a)을 포함한다.
감열판(14)은 도8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록형상을 한, 예를 들면 스텐레스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이다. 감열판(14)은 저수조(12)의 저부에 그 블록부가 저수조(12) 내에 돌출하도록 패킹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특히 도9를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1)는 저수조(12)의 저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감열판(14)을 갖고, 그 꼭대기 면에 밀착하도록 히터(13)가 배치된다. 수위가 히터(13)보다 내려가면 소위 공가열 되지만, 감열판(14)이 히터 (13)의 온도를 신속히 검지할 수 있다.
도5및 도7을 참조하여 세척 필터(19)의 앞 쪽 우측 구석에는 세척 필터(19)의 상면보다 낮은 저면을 갖는 잔채 받침부(19a)가 설치 된다. 잔채 받침부(19a)에는 잔채를 받기 위한 바구니가 장착된다. 이 바구니를 떼어 내어 바구니에 저장된 잔채를 사용자가 버릴 수 있다. 세척 필터(19)의 안쪽 중앙 상면에는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20)(도5 참조)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턴테이블 지지부(19b)가 설치된다. 턴테이블 지지부(19b)는 세척 필터(19)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그 블록부의 상부 중심에 반구형의 오목부를 갖는다. 이 오목부에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20) 하단이 결합한다. 턴테이블 지지부(19)가 그 중앙에 오목부를 갖고 있으므로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 (20)을 턴테이블 지지부(19)에 용이하게 또 그 중심축을 정확한 위치로 하여 장착할 수있다.
회전 기어(23)의 다른 부분은 도10을 참조하여 세척실 부재(40)와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기어 수납부(24)에 수납되어 있다. 기어 수납부(24)의 상부에는 상수도로부터의 세척수가 공급되는 급수구(25)가 설치되어 있다.세척수는 기어 수납부(24)내를 통하고 개구부(21)로부터 세척실(7)내로 공급된다.
개구부(21)는 세척 노즐(26)이 갖는 분사구 중 가장 낮은 위치인 것 보다도 하방에 배치된다. 급수를 위한 개구부(21)가 세척실(7) 하부에 위치하므로 급수구로 부터 낙하하는 세척수가 세척실(7)의 저면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는 짧고, 급수음이 작아진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개구부(21)가 급수구를 겸하고있다. 개구부(21)와 별도로 급수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세척실(7)의 벽면 면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있다. 또 급수구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고, 식기 세척기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 기어(23)는 항상그 일부가 세척실(7)을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세척시에 회전 기어(23)에 식품 부스러기나 찌꺼기가 모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개구부(21)는 급수구도 겸하고 있으므로 급수시에는 항상 세척수가 회전 기어(23)의 주위를 흐르고, 모여진 식품 부스러기나 찌꺼기를 씻어 흘린다. 회전 기어(23)가 항상 청소되므로써 회전 기어(23)의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식품 세척 바구니(8)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7을 참조하여, 송풍구(29)는 세척실(7)의 거의 중심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히터 (13)에 대향하고 있다. 송풍구(29)는 그 중심이 히터(13)와 동일 평면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송풍 덕트로부터 송풍구(29)를 거쳐서 세척실(7)내에 도입된 바람은 히터(13)에 직접 닿고, 바람이 히터(13)의 열을 효율 좋게 흡수한다. 또, 배수후 히터(13)에 부착한 세척수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히터 (13)의 절연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그 수명을 길게 할 수있다.
송풍구(29)는 저수조(12)의 상부를 향해 송풍한다. 저수조(12)의 상부에는 회전기어(23)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식기 세척 바구니(8)가 위치하고 있다. 건조를 위한 바람은 식기 세척 바구니(8)의 반경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하부로부터 송풍된다. 식기 세척 바구니(8)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에 걸쳐서 놓여진 피세척물을 균일하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송풍구(29)는 저수조(12)에 연통되고 있다.저수조(12)에 세척수가 충족되어 있을 때는 송풍 덕트의 저부에도 세척수가 모인다. 그러나 저수조(12)의 수위는 세척실(7)의 저면과 같은 정도로 낮다. 그 때문에 세척실(7)의 저면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 팬(28)에 세척수가 이르는 일은 없다. 저수조(12)로부터 세척수가 배출되면, 송풍 덕트의 내부로부터도 세척수가 배출되고, 바람만이 송풍 덕트 내를 통과한다.
도9를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1)는 감열판(14)의 이면에 부착판(18)을 거쳐서 부착된 감열 소자로서의 서미스터(16) 및 서모커트(17)를 포함한다. 서미스터 (16)및 서모커트(17)의 감열부는 감열판(14)에 밀착되어 있다. 서미스터(1)의 수온 제어는 건조풍 온도 제어 등의 정규 동작 제어에 이용된다.
서미스터(16)는 히터(13)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온도를 감도 좋게 검지할수 있고, 정밀도 높은 온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서모커트(17)는 서미스터(16)와 비교하여 보다 히터(13)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서모커트(17)는 서미스터(16)의 그것보다도 온도 감지의 감도가 낮다. 이것은 서모커트(17)가 히터(13) 등의 공가열시 등, 이상시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히터(13)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불의의 사고에 의해 서미스터(16)등이 온도를 검지할 수 없게 되어 서모커트(17)는 온도를 검지할수 있다.
다시 도3 또는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1)는 본체 캐비넷 내의 세척실(7) 외부의 하방구석부에 배치된 저수조(12)내의 세척수나 헹굼수를 세척 노즐(26)에 대해 압력을 갖고 공급하고, 또는 세척후의 오염수를 하수도에 접속된 배수구로 보내기 위한 순환 펌프(32)를 또 포함한다. 도7을 참조하여,순환 펌프(32)의 흡수구(33)는 저수조(12)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흡수구(33)는 세척실 부재 (40)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흡수구(3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의 저부판에 가깝게 순환 펌프(32)의 편평 형상의 편평 호스(34)로 연결된다. 편평 호스(34)를 사용함으로써, 세척실과 저부판 사이의 좁은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되고, 식기 세척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흡수구(33)로부터의 에어의 권입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세척실(7)의 안쪽 면인 오른 쪽 대략 구석부의 오목부(35)에는 세척 파이프(38)가 설치된다. 세척 파이프(38)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분사구를 갖는 세척노즐(26)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세척 파이프(38)는 편평호스(34)를 거쳐서 순환 펌프(32)에 연결된다. 도5를 참조하여,분사구(36)중 회하부의 것은 회전 기어(23)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세척 노즐(26)의 상단부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착탈용 레버(37)가 설치된다. 레버(37)를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세척 노즐 (26)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노즐(26)을 세척파이프(3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세척 노즐(26)을 세척 파이프(38)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척실(7)의 안쪽 면인 오른쪽 대략 구석 부의 오목부(35) 부근 및 세척 노즐 (26)등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세척실(7) 내를 청소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청소키가 조작 패널(3)에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청소는 세척 노즐(6)을 분리했을때 세척 파이프(38)로 부터 분리하여 도어(4)를 폐쇄하고, 청소키를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응답하여 세척 파이프(38)측의 개구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고, 세척실(7)내를 세척할수 있다.
세척 노즐(26) 하부의 세척 파이프(38)의 접속부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단면을 갖는 패킹(39)을 개재하여 시일성을 높이고 있다. 세척 노즐(26)과 세척 파이프(28)의 접속부 간극으로부터의 누설수를 방지할수 있다.
세척 노즐(2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구(36)를 갖고 있다. 분사구(36)중 가장 높은 것의 하부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 개방된 1/4 구의 껍데기형 가이드(36a)를 설치하고 있으며, 세척실 부재(40)의 내부 천정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 그 분사구(36)의 중앙에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리브(36b)를 설치하고 있다. 종방향 리브(36b)는 세척수의 분사를 분산시켜서 세척수의 분사 범위를 넓히고, 세척실 부재(40)의 내면과 도어(4) 내면과의 세척 효과를 높인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회전 방향이 일정한 구동 샤프트를 갖는 구동 모터(22)와, 구동샤프트(44)의 선단부에 부착된 구동 기어(45)와, 구동 샤프트(44)의 구동기어(45)와 구동 모터(22) 사이에 구동 샤프트(44)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요동레버(46)와, 요동레버 (46)와 구동 모터(22)사이의 구동 샤프트(44)에 개재되고, 요동 레버(46)를 구동기어(45)에 대해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47)을 포함한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또, 요동 레버(46)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저어널된 구동 기어(45)와 맞물리는 제1 전달 기어(48)와 같은 요동 레버(46)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저어널된 제1전달 기어(48)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49)는 요동레버(46)상에 배치된 유성 기어이다. 출력 기어(50)는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어(23)와 동축이며, 회전기어(23)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식기 세척바구니(8)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또,회전 기어(23)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회전기어(23)와 동일 주기로 회전하는 캠(51)과, 캠(51)의 회전 궤적 상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52)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스위치(52)는 회전 기어(2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점이 개폐함으로써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52)는 이 식기 세척기의 제어 시스템의 일부이다. 제어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 모터(22)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45)도 회전하고, 요동 레버(46)는 구동 기어(4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 모터(22)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도14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그러면 제2전달 기어(49)가 출력 기어(50)와 맞물린다. 구동 모터(22)의 회전력은 구동 기어(45), 제1 전달기어(48) 및 제2전달 기어 (49)를 거쳐서 출력 기어(50)에 전달되어 회전 기어(23)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 기어(23)와 맞물리는 기어(9)를 갖는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회전한다.
구동 모터(22)가 정지하고 있을때눈 요동레버(46)에는 도14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은 가해지지 않는다. 요동 레버(46)에는 도14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은 가해지지 않는다. 요동 레버(46)에는 코일 스프링(27)의 압박력만이 작용한다.
구동모터(2)의 구동 퍄프트(44)는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기어(23)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요동 레버(46)에는 출력 기어(5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요동 레버(46)가 출력 기어 (5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출력 기어(50)와 제 2전달 기어(49)의 맞물림은 해소된다. 따라서 회전기어(23)는 수동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있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식기 세척기(1)에 장착 또는 식기 세척기(1)로 부터 분리할때는 식기세척기(1)의 구동 모터(22)를 정지시키고, 도어(4)를 개방한다. 구동모터(22)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식기 세척 바구니(8)의 기어(9)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23)가 용이하게 회전한다. 그 때문에 식기 세척 바구니를 장착할때는 회전 기어(23)와 기어(9)를 용이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같은 이유에 의해 식기 세척 바구니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식기 세척 바구니(8)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있다. 그때문에 식기 세척 바구니(8)상의 임의의 위치에 피세척물을 얹을 수 있다.
상술한 구동 기구는 세척실(7) 외부의 캐비넷(117)의 구석부에 배치되므로, 구석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식기 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세척 노즐(26)이 세척실(7) 안쪽의 구동 기구와는 반대측의 구석부에 배치되므로 식기 세척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도14및 도15를 참조하여 캠(51)회전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52)의 접접이 개폐한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52)는 온/오프한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52)의 온/오프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에 펄스 신호가 부여된다.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 펄수가 검출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식기 세척바구니(8)가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16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 바구니(8)는 그 이면에 설치된 식기 세척 바구니(8)를 안정되게 회전시키기 위한 4개의 롤러(56)를 포함한다. 4개의 롤러(56)에 의해 글라스제나 도기제 등의 무거운 피세척물이 식기 세척 바구니(8)에 얹어지거나 피세척물이 식기 세척 바구니(8) 상에 치우쳐 얹어지거나 해도 식기 세척바구니 (8)는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다. 롤러(56)는 강도, 미끄러지기 쉬움, 내수성, 및 내열성을 고려하여 그 재질을 선정하지만, 예를 들면 테프론 수지(상표)를 사용할 수 있다.
롤러(56)는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에 따라서, 세척 필터(19)의 펀칭 구멍군과 세척실(7) 저부의 상부를 통과한다. 롤러(56)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실(7)의 저부와 세척 필터(19)의 상면은 같은 면으로 되어있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세척실(7)로부터 꺼내어 테이블 등의 위에 놓는 경우, 식기 세척 바구니(8)가 안정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롤러(56)는 최저3개,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설치한다. 롤러(56)의 하단부가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20)보다 먼저 테이블 등의 표면에 붙도록 회전축(20)의 길이는 그하단부가 롤러(56)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선택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16에 도시된 세척 필터(19)의 턴테이블 지지부(19b)의 높이는 롤러(50)의 하단과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하단의 높이 차와 같다.
식기 세척 바구니(8)의 이면 중심부의 회전축(20)에는 식기 세척 바구니(8)에 얹어진 피세척물의 무게가 집중한다. 회전축(20)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래서, 회전축(20)은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사 못에 의해 식기 세척 바구니(8)의 이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도17을 참조하여, 수지제의 식기 세척바구니(8)는 대략 원형의 저부(170)와, 저부(170)의 중심부에 설치된 수직 원주형의 폴(57)과, 폴(57)의 높이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걸쳐서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설치된 작은 피세척물을 수납하기 위한 소품 바구니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바(60)를 포함한다. 저부(170)는 폴(57)의 하부에, 폴(57)의 하부 외주부의 절반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58 및 59)의 외주부는 연결되고 원환을 형성하고 있다. 리브(58 및 59)사이에 식기 등의 피세척물이 적재된다. 지지바(60)는 또, 큰 피세척물을 지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세척 노즐(26)은 세척실(7)의 거의 중심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식기 세척 바구니(8)에 피세척물이 방사형으로 놓여지면 척수는 피세척물 표면의 외주로부터 중심을 걸쳐서 닿는다. 그 때문에 피세척물의 오염을 효율 좋게, 또 불균일하지 않게 제거할 수 있다. 피세척물을 건조시킬 때도 바람이 피세척물의 간극을 균일하게 통하고, 빠르게 또 양호하게 건조할 수 있다.
도18을 참조하여, 소품 바구니(61)는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소품 바구니(61)는 인접하는 지지바(60)에 의해 그 양단이 지지되어 유지된다. 지지바(60)의높이는 다른 높이의 지지바(60)에 부착됨으로써 변경할수 있다. 식기 세척 바구니(8)에 적재되는 피세척물의 크기에 따라서 소품 바구니(61)의 부착 높이를 변경하고, 피세척물을 안정시킬수 있다.
지지바(60) 및 소품 바구니(61)는 수지 성형품이며, 그 강도는 높지 않다. 소품 바구니(61)를 지지바(60)에 장착하고, 소품 바구니(61)에 피세척물을 얹으면, 피세척물의 무게로 지지바(60)가 흰다. 금속기둥(62)은 지지바(60)에가 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금속 기둥(62)이 있으므로 소품 바구니(61)가 지지바 (60)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된다. 지지바(60)의 소품 바구니(61)를 유지하는 부분은 폴(57)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진다. 한편으로 소품 바구니(61)가 회전하면 소품 바구니(61)내의 피세척물에 대해 원심력이 작용하지만, 소품 바구니(61)의 저면 경사 때문에 피세척물이 외측을 향해 이동할 우려가 없고, 안정되게 식기 세척바구니(8)를 회전시킬수 있다.
도2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구동 시스템의 회로는 교류원에 접속되는 콘센트(63)와, 이 콘센트(63)와 직렬 접속된 서모커트(17), 릴레이 (L5), 및 도어 로크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114)를 포함한다. 또 이회로는 서모커트(17) 및 릴레이(L5)를 거쳐서 콘센트(63)에 대해 병렬로 접속된 급수 밸브(55), 구동모터(22), 순환펌프(32), 송풍모터(27), 시즈 히터(13)를 포함한다. 이 회로는 또, 순환 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L4)와, 급수 밸브(55)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L3)와, 송풍 모터(27)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L2)와 히터(8)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L1)를 포함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L5)를 콘센트(63)에 대해 직렬로 설치하고 있지만, 구동 모터(22)를 제어하기 위해 이 릴레이(L5)를 구동 모터(22)와 직렬로 콘센트(63)와는 병렬로 설치해도 좋다. 또 서모커트(17)의 위치는 도26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만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모커트(17)를 시즈 히터(13)와 직렬 또 콘센트(63)에 대해 병렬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도27에 도시한 각 회로 요소는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의해 제어된다. 구동 시스템의 회로는 저압 트랜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저압 트랜스로부터 스텝 다운한 전압을 정류 회로에 의해 정류하여 전압(V)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 (53) 등의 각 전자 부품에 공급한다.
도2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제어회로는 도27에 도시된 각 회로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53)와, 후술하는 각종 키를 구비하고 마이크로 컴퓨커(53)에 접속된 조작 패널(3)과,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의해 제어되는 3개의 LED를 포함하는 세척 조건 표시부(94)와, 같은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의해 제어되는 3개의 LED를 포함하는 건조 조건 표시부(93)와, 직류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식기세척 바구니(8)의 회전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3)에 검출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저항 및 마이크로 스위치(52)와, 직류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온수의 온도를 검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2)에 검지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저항 및 서미스터(16)와, 저수조(12)의 수위를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52)에 부여하기 위한 수위센서(54)와, 후술하는 물 저장부의 누설수를 검지하여 검출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53)에 부여하기 위한 플로트 스위치(84)와,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접속되고 경고음 등을 발생하기 위한 부저(9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조작 패널(3)에 대해 도29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9를 참조하여 이 조작 패널(3)은 식기 세척기(1)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키(2)와, 식기 세척 또는 건조 동작의 개시, 일시정지, 또는 일시 정지의 해제를 행하기 위한 스타트키(96)와 건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건조키(97)와, 오염 정도에 따른 세척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세척키(98)와,「세척만」및 「건조만」이라는 2가지 운전코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키(99)와 이미 서술한 세척을 지시하기 위한 청소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29를 다시 참조하여 조작 패널(3)은 또,건조키(97)의 좌측 근방에 배치되고, 위에서 순서대로「표준건조」 「확실히 건조」 「식기 데우기」의 각 건조 코스가 선택되어 있는것을 각각표시하기 위한 3개의 LED로 이루어지는 건조 조건표시부(93)와, 세척키(98)의 좌측 근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부터 차례로「표준」「가벼운 오물」「걸쭉한 오물」의 세척 코스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각각 표시하기 위한 3개의LED로 이루어진 세척 조건 표시부(94)를 포함한다.
건조 조건표시부(93)는 조작키(97)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3개의 LED중 점등하는 것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는 건조 조건 표시부(93)의 LED는 모두 점등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건조키(97)를 1회 누르면 「표준」의 LED가 점등한다. 조작키(97)를 2회 누르면 「확실한 건조」의 LED가 점등한다. 건조키 (97)를 3회 누르면「식기데우기」위치의 LED가 점등한다.
세척 조건표시부(94)는 세척키(98)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3개의 LED중 점등하는것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을 투입한 직후에는 세척 조건표시부(94)의 LED는 모두 점등하지 않는다. 세척키(98)를 1회누르면「표준」위치의 LED가 점등한다. 세척키(98)을 2회 누르면 「가벼운 오물」위치의 LED가 점등한다. 세척키(98)를 3회 누르면「걸쭉한 오물」위치의 LED가 점등한다
건조 조건 표시부(93)및 세척 조건 표시부(94)에 포함되는 LED의 각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코스를 설정할때는 점등하고, 운전시에는 운전 중의 코스를 표시하는 LED가 점멸하고, 운전 종료 또는 설정 해제때는 소등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53)에 의해 제어된다.
그런데, 종래 가정용 식기 세척기는 시범 작동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종래는 일반적이지 않았던 턴테이블식의 식기 세척기가 어떻게 조작하는지를 사용자에게 이해시켜 주기 위해서는 실제로 식기 세척기가 종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식기가 턴테이블과 함게 회전하고 그 오물이 떨어져 가는 모습은 흥미 깊으므로 턴테이블식의 식기 세척기에 시범 운전기능을 갖게 하면 아주 큰 효과를 올리는 것이 기대된다. 단 이 경우, 시기 세척기가 시범 운전을 행하고 있는것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시범 운전시에는 배수를 행하지 않으므로 만일 사용자가 자택에서 잘못해서 시범 운전을 기동하면, 식기 세척기가 고장난 게 아니냐고 오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28에 도시한 표시 패널(3)의 각종키 중 미리 정해진 키를 미리 정해진 시켄스로 누른 경우에만 시범 운전으로 이행하는 기능을 구비했다. 이 키의 시켄스는 식기 세척기의 제조 또는 판매에 종사하는 한정된 사람밖에는 잘 알지 못한다. 시범 운전시에는 전원 온/오프 키(2)를 누르면 부저(92)가 경보음을 발생한다. 이 경보음에 의해 식기 세척기가 시범 운전으로 이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보음은 시범 운전시에 전원 온/오프 키(2)가 눌려진 것에 응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3)가 부저(92)에 소정 신호를 보냄으로써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식기 세척기가 시범 운전 상태로 이행한 후, 스타트키(96)가 눌려지면 시범 운전에 있어서의 세척 동작을 식기 세척기가 개시한다. 시범 운전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53)는 통상 동작 시의 동작 속도 몇배의 동작 속도로식기 세척기를 동작시킨다. 왜냐하면, 통상 운전시의 식기 세척기의 동작 시간은 몇십분이 결쳐 이루어지며, 시범 운전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범 운전시에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운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잠재적인 사용자에게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효율 좋게 보여줄수 있다. 예를 들면 식기 세척기를 통상 10배속도로 동작시키면 운전 시간은 1/10이 되며, 수분 사이로 식기 세척기 동작 사이클 전부를 판매원이 설명할 수 있다.
시범 운전시에는 마이크로 컴퓨터(53)는 구동 모터(22), 순화 펌프(32)를 동작시킨다.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회전하고, 세척 노즐(26)로부터 물이 분사되어 세척이 시작된다. 이 때 , 시즈 히터(13), 급수 밸부(53)를 동작시켜도 지장은 없다. 그러나, 배수는 행하지 않는다. 판매활동을 행하는 판매점에서는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다액의 설비 투자를 투입하면 급배수 설비를 구비할 수 있지만, 데모 활동을 위해 그와 같이 다액의 비용을 사용하는 것은 판매점으로서는 부담이 된다. 또, 시범운전은 그 성질상, 수외 반복하여 행해진다. 시범 운전 마다 배수를 행하게 된다면 물이 낭비된다.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동작 중에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이 정지한 때는 이하와 같이 하여 경고가 표시된다. 이 경고 표시에는 도29에 도시한 건조 조건표시부(93)및 세척 조건 표시부(94)의 LED를 사용한다. 즉, 에러 상태에 따른 조합의 LED를 점멸시킨다. 점멸시키는 LED의 선택과, 점멸 제어는 마이크로 컴퓨터 (53)가 행한다.
예를 들면, 도30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이 정지한 때는 세척 조건표시부(94)의 「가벼운 오믈」 위치의 LED와 건조 조건 표시부(93)의 「확실히」 위치의 LED를 동시에 점멸시킨다. 배수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세척 조건표시부(94)의 「표준」 위치의 LED와, 건조 조건표시부(93)의 「식기 데우기」 위치의 LED를 동시에 점멸시킨다. 급수를 할수 없는 경우에는 세척 조건 표시부의 「표준」 위치의 LED와 건조 조건 표시부(93)의 「표준」 위치의 LED를 동시에 점멸시킨다. 다른 에러 발생시에는 세척 조건 표시부(94)의 「표준」 위치의 LED와 건조 조건 포시부의 확실히 위히의 LED를 동시에 점멸시킨다. LED가 점멸하고 있을때 어느 조합의 LED가 점멸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면 고장 발생 부위를 사용자 및 또는 서비스맨이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식기 세척기의 조작성 및 서비스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회전하지않는 사태가 발생한 때는 LED의 점멸에 더해 부저(92)(도28 참조)로부터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것은 구동 모터(22)가 정지한 채로 다른 부품이 동작하면, 세척 건조 성능이 악화되거나 물 및 전기가 불필요하게 사용되므로, 확실히 고장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서 동작 정지를 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식기 세척기 주위에 사용자가 없을 때는 이 부저 (92)의 경고음도 알아 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LED의 점멸 및 부저(92)에 의한 경고음 발생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는 도28을 참조하여 전원에 직렬도 삽입된 릴레이(L5)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마이크로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가 사라지면, 즉 식기 세척 바구니(8)가 정지하면 릴레이(L5)를 개방한다. 그러면 모든 전기 부품 구동모터(22), 순환 펌프(32), 시즈 히터(13) 및 급수 밸브(55)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구동 모터 (22)가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전기 부품이 동작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양호한 세척이 행해지지 않은 채로 세척 및 건조 동작까지 식기 세척기가 행해 버리는 일이 없다.세척 건조 성능이 악화되거나 물 및/또는 전기의 불필요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구동 모터(22)가 작용하지 않을 때에 구동 모터(22)로의 전원만을 차단하면 된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는 이하와 같은 위험성이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나무등으로 이루어지는 젓가락이나 식기가 시즈 히터(13)와 식기 세척 바구니(8)사이에 끼워서 구동 모터(22)가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을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 모터(22)의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시트 히터 (13)로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으면, 젓가락이나 식기가 시즈 히터에 접촉하여 연기를 낼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든 전기 부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다.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를 위해 준비된 운전 코스와, 각 운전 코스에 포함되는 공정의 소요 시간의 테이블을 도31에 도시한다. 또, 일반적인 운전 동작에 있어서는 급수, 세척, 배구, 급수, 헹굼, 배수, 건조 공정을 이 순서로 행한다.
건조키(97)(도29 참조)을 3회 누르면 「식기 데우기」 기능이 선택된다. 식기 데우기 운전에서는 세척 또는 헹굼 공정은 행하지 않고, 건조 공정만이 행해진다. 건조 동작시에는 약50도 이상의 열풍으로 식기류를 건조 시킨다. 건조 동작 중이라는것을 나타내기 위해 건조 조건 표시부(93)의 LED를 점멸시킨다. 규정 건조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 동작을 종료한다.
건조 동작의 종료 후, 그대로 세척실을 방치하면, 세척실의 온도는 저하할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는 건조 종료후의 일정 시간, 피세척물을 보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보온시의 온도는 건조동작시의 온도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보온 동작시에는 건조 동작과 구별하기 위해, 건조 조건표시부(93)의LED를, 건조 동작시의 간격보다도 큰 간격으로 점멸시킨다. 보온 동작과 건조 동작이 이와 같이 LED의 점멸 태양으로 구별되므로 사용자는 건조 동작이 종료하고 보온 동작으로 이행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보온 시간을 30분 정도로 설정하면, 사용자가 다소의 시간만큼 식기 세척기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식사시에 따뜻한 식품을 식히는 일이 없이 따뜻한 식기에 보기 좋게 담을 수있다. 또, 식기가 보온되므로 잡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이룬다.
통상 세척 운전시의 세척 공정으로부터 건조 공정에 있어서, 헹굼 후의 물기 제거를 좋게 하고, 건조 후의 식기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방지하기 위해 세척수에 린스제를 사용하면좋다. 린스제를 넣으면 물기 제거가 좋아지는것 자체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지만, 린스제를 넣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종래 사용자에게 맡겨져 있었다. 그런데, 린스제를 넣는 적절한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은 어렵고, 헹굼 공정 중 언제 린스제를 투입하는지에서 그 효과가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린스제를 투입해야 할 타이밍을 알려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실험에 의해, 가장 적절한 린스제 투입 타이밍을 검토해 두고 이타이밍을 마이크로 컴퓨터(53)에 기억시켜 둔다. 헹굼 공정에 있어서 이 타이밍을 도래하면 마이크로 컴퓨터(53)는 부저(92)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망설이는 일도 실패하는 일도 없이 린스 효과가 가장 잘 발휘되는 타이밍에서 린스제를 식기 세척기에 투입할 수 있다. 또 식기 세척기는 린스투입의 타이밍을 경보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헹굼 동작을 속행한다. 사용자는 타이밍이 경보되고 나서 스타트키(96)를 누름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고, 도어(4)를 열어서 세척조(7)에 린스제를 적량 넣는다. 그 후 도어(4)를 폐쇄하여 다시 스타트키(96)를 누름으로써 식기 건조기는 동작을 재개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린스 투입 시기 및 동작 종료시는 부저(92)가 발생하는 소리로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리를 불쾌하게 느끼는 사용자도 있을수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1)에서는 어떤 특수한 키 조작을 행하면 부저(2)에 의한 경보음 발생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3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키(2)를 눌러서 전원을 투입한 후, 조작키(97)를 4초이상 계속 누름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53)가 이 특수 조작을 인식하고, 이후 경고음을 내지 않도록 부저 (92)를 제어한다. 이리하여,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해왔다.
세척 동작이 개시되면, 마이크로 컴퓨터(53)는 마이크로 스위치(52)로부터 일정 주기로 펄스 신호가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일정 신호로 펄스 신호를 받고 있을때는 식기 세척기(1)는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다.
만약 고장에 의해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회전하지 않게 되면, 식기 세척 바구니(8)의 기어(9)와 맞물려 있는 기어(23)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캠(51)도 정지한다. 그러면, 기금까지 주기적으로 마이크로 스위치(52)로부터 발생되어 있던 펄스 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 켬퓨터(53)는 구동 모터(22)를 정지시키고, 부저(92)를 사용하여 경고음을 발생하고, 및/또는 건조 조건 표시부(93)및/또는 세척조건 표시부(94)를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식기 세척 바구니(8)는 예를 들면 세척 필터(19)의 부착을 망각하거나 피세척물이 세척실(7)내의 돌기에 걸리거나 회전기어(23)또는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파손되거나 한 경우에 정지할 것이다.
또, 식기 세척 바구니(8) 일부에 피세척물을 얹어서 세척을 행한 경우, 세척 동작이 종료한 때 피세척물이 세척실(7)안쪽이 되는 위치에서 식기 세척 바구니(8)가 정지하는 일이 있을 수있다. 이 경우, 피세척물을 식기 세척 바구니(8)로부터꺼내는 것이 번거롭다. 그래서, 동작 개시시의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 각도를 마이크로 컴퓨터(53)가 기억하고, 동작을 정지할 때는 반드시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각도가 기억된 수치와 일치한 때 구동 모터(22)를 정지시킨다. 식기 세척 바구니(8)는 항상 회전 개시시의 자세로 정지하므로 피세척물을 용이하게 꺼낼수 있다.
이 이외에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하수에 따라서 세척 시간을 제어하거나 식기 추척 바구니(8)의 회전 속도 자체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마이크로 스위치이외의 장치, 예를 들면 포도트라이악 등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면 회로가 간단해지며, 부품도 저렴하므로 바람직하다. 물론, 마이크로 스위치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보다 저렴한 장치가 있으면 그것을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 펌프(32)의 임펠러를 정전시키면, 저수조(12)의 세척수 또는 세척 후의 오명수가 흡수구(33)에 흡인되고, 세척실(7)의 세척 노즐(26)에 공급되어 세척수가 분사된다. 순화 펌프(32)의 임펠러를 역전시키면 세척 후의 오염수가 배출된다.
도22및 도24를 참조하여, 순환 펌프(32) 임펠러를 정전시킨면, 저수조(12)의 세척수 또는 세척 후의 오염수가 흡수구(33)에 흡인되고, 세척실(7)의 세척 노즐(26)에 공급되어 세척수가 분사된다. 순환 펌프(32)의 임펠러를 역전시키면 세척 후의 오염수가 배출된다.
도22및 도24를 참조하여, 순환 펌프(32)는 각도 θ를 갖고 교차하는 2개의 면에 있어서 각각 세척 토출구(65)와 배수 토출구(66)에 연통한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에 설치된 임펠러(63)와, 세척 토출구(65)및 배수 토출구(66)에 연통하는 2개의 교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지점(6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척 토출구(65)와 배수 토출구(66)중 어느 한 쪽에 세척수를 유도하기 위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절환 밸브(64)를 포함한다. 절환 밸브(64)는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θ/2를갖고 개방된 V자형을 갖고 있으며, 그 V자형의 꼭지점이 지점(67)에 위치한다. 절환 밸브(64)가 세척 토출구(65)측으로 회전하면 세척 토출구(65)가 절환 밸브(64)에 의해 수밀하게 덮여진다. 절환 밸브(64)가 역으로 회전하면, 배수 토출구 (66)가 절환 밸브(64)에 의해 수밀하게 덮여진다. 절환 밸브(64)가 역으로 회전하면, 배수토출구(66)가 절환 밸브(64)에 의해 수밀하게 덮여진다.
도24를 참조하여 세척시에는 임펠러(63)가 정전한다. 임펠러(63)가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절환 밸브(64)가 회전하여 배구 토출구(66)를 수밀하게 폐쇄한다. 저수조(12)로부터의 세척수는 세척 노즐(26)에 공급되어 세척실(7)내로 분사된다.
배수시에는 도22를 참조하여 임펠러(63)가 역전한다. 임펠러(63)가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절환 밸브(64)가 회전하여 세척 토출구(65)를 수밀하게 폐쇄한다. 저수조(12)로부터의 세척 후의 오염수가 배수 토출구 (66)를 거쳐서 배출된다.
세척 운전 개시 초기에 있어서, 우선 임펠러(63)의 정전 및 역전을 행하면,절환 밸브(64)가 회전하다. 그후 본래의 세척 운전에 들어가면, 절환 밸브(64)가 원활하게 절환된다.
임펠러(63)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동시에, 그 회전 속도를 변경할수도 있다.
특히 배수시에는 고수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임펠러(63)의 회전속도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음을 낮게 할 수 있다.
도4 또는 도19 또는 도20 및 도21을 참조하여, 도어(4)의 내측 좌우 및 하단부의 홈(73)(도21참조)내에는 연속된 제1패킹(70)이 장착된다. 패킹(70)의 양 하단부는 U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어(4)의 가변부에는 판형의 제2패킹(71)이 설치되어 있다. 패킹(70)은 패킹(71)의 양단부에서 패킹(71)과 함께 누름부재(72)로 고정되어 있다. 도어(4)의 개폐에 의해 회전 마찰이 생기지만 누름 부재(72)에 의해 이 마찰 때문에 패킹(70 및 71)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어(4)가 폐쇄되어 있을때는 도어(4)측이 제1패킹(70) 및 제2패킹 (71)이 도21에 도시된 세척실측의 전면개구부의 방수 리브(81)에 밀착되고, 효과적으로 물의 누설을 방지한다.
만일 물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이 하여 그것이 검출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저부판(82)의 물저장부(83)에는 도25에 도시된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84)가 설치된다. 수위검지 플로트 스위치(84)는 홀더(110)에 의해 물 저장부(83)에 부착된다.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84)는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돌출부를 갖는 플로트(87)와, 플로트(87)의 돌출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홀더(110)에 설치된 지점의 주위를 회전하는 레버(86)와, 레버(86)의 자유단 상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홀더(110)에 고정된 마이크로 수위치(85)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스위치(85)는 그 하면에 진퇴 가능한 스위치 부재를 갖고 있으며, 이 부재가 마이크로 스위치(85) 내에 눌려지면 오프 마이크로 스위치(85)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면 온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시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6)의 자유단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85)의 스위치 부재는 마이크로 스위치(8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마이크로 스위차(85)는 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마이크로 스위치(85)의 출력에 응답하여 세척실(7)내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 밸브(55)를 폐쇄하고, 급수를 멈춘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또 순환 펌프(32)를 동작시키는 세척실(7)의 저수조(12)내에 모인 세척수를 배출해도 좋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53)는 얼마간 경보음을 발생하고 또는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 저장부(83)내의 수위가 어느 위치를 초과하고 있는것을 경보해도 좋다.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식기 세척기(1)는 전원에 접속되어 피세척물의 세척 및 건조를 위한 전력 공급을 받는다. 식기세척기 (1)는 또 상수도에 접속되 세척수의 공급을 받고, 하수도에 접속된 배수구에 세척 후의 물을 배출한다.
하수도에 접속된 배수구에 이어지는 배수 덕트는 절환 밸브(64)를 거쳐서 상술한 순환 펌프(32)에 접속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가 운전을 개시하면, 순환 펌프(32)가 수류를 일으키고, 절환 밸브(64)를 동작시켜서 세척경로를 개방하고, 배수 덕트로의 경로를 차단한다. 또 급수 밸브(55)가 동작하여 상수도 보다 수돗물을 세척실(7) 저부의 저수조(12)에 저수된다. 그리고 이 물은 다시, 순환 펌프(32)에 의해 저수조(12)로부터 흡출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저수조(12)내의 히터(13)는 세척수에 잠긴다. 히터(13)에 전력을 공급하면, 세척수가 가열된다.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피세척물의 오물이 쉽게 떨어진다.
세척수의 온도는 세척 경로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히터(14)를 제어하여 세제 능력이 최대한으로 발휘되는 온도(일반적으로는 60도)에 세척수 온도를 유지한다. 피세척물은 식기 세척 바구니(8)와 함께 회전한다. 피세척물은 세척 노즐(26)의 전방 위치로 왔을 때만 세척수를 받는다. 식기 세척 바구니(8)는 등속도로 회전하므로 복수개의 피세척물에 세척수가 균일하게 불어 대어진다.
피세척물에 부착되어 있던 오물은 온수에 의해 피세척물로부터 분리되어 세척수에 용해된다. 또 이 오물은 세척실(7) 저부의 세척 경로에 설치된 세척 필터(19)에 저장된다. 세척을 반복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 하면 피세척물의 오물은 충분히 떨어진다. 그러면 마이크로 컴퓨터(53)는 히터(1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순환 펌프(32)를 역전시킨다. 순환 펌프(32)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위해 절환 밸브(64)가 동작하고 유수 경로가 배수시의 경로로 절환된다. 즉, 배수 덕트로의 수류를 위해 절환 밸브(64)가 동작하고 유수 경로가 배수시의 경로로 절환된다. 즉, 배수 덕트로의 경로가 개방되고, 세척 경로가 차단된다. 세척수는 배수 덕트를 통과하여 배수구로부터 배출된다.
충분히 배수가 종료하면, 공정은 헹굼 공정으로 이행한다. 헹굼 공정에서는 세척 공정과 마찬가지로 순환 펌프(32)를 정전시켜서 절환 밸브(64)를 동작시키고, 세척 경로를 개방하여 배수 경로를 차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급수 벨브 (55)를 동작시키고, 세척 경로를 개방하여 배수 경로를 차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53)는 급수 밸브(64)를 동작시켜서 상수도보다 일정량의 수돗물을 저수조(12) 내에 공급함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32)를 작동시켜서 피세척물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분사를 개시하고 나서 2,3분이 경과한 후, 절환 밸브(64)를 동작시키고 배수 경로를 개방한다. 저수조(12)내의 세척수는 배수 경로를 지나서 배수 덕트로부터 배출된다. 통상, 이 헹굼 공정을 수회 반복하여 세척수의 농도를 서서히 낮추어 간다.
헹굼 공정을 몇 차례 반복한 후, 다시 순환 펌프(32)를 정회전시키고 절환 밸브(64)를 동작시키고 세척 경로를 개방한다. 배수 경로는 차단된다. 급수 밸브(55)를 동작시키고 상수도로부터 일정량의 수돗물을 저수조(12) 내에 공급한다.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32)를 작동시키고 피세척물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 때, 히터(13)에 전력을 공급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것이 최종 헹굼 공정이다.
최종 헴굼 공정에서는 세척수의 온도는 약 70도 까지 상승시킨다. 고온의 물에서 피세척물에 부착되어 있는 잡균이 멸균된다. 또 세척 공정시에 피세척물에 재부착하고 세척수에 의해 냉각되어 응고한 일부의 유분이 용해되고, 피세탁물로부터 제거된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온도 센서의 출력을 감시하고, 세척수의 온도가 약 70도가 되면 히터(1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순환 펌프(32)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배수 경로가 개방되고, 세척 경로가 차단되다. 저수조(12) 내의 세척수가 배출된다. 세척수의 배출이 종료하는 만큼의 시간의 경과한 후, 마이크로 컴퓨터(53)는 순환 펌프(32)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최종 헹굼 공정이 종료한다.
최종 헹굼 공정 후, 마이크로 컴퓨터(53)는 송풍 모터(27)에 전력을 공급한다. 송풍 모터(27)는 송풍 팬(28)을 회전시켜서 바람을 일으키고, 저수조(12) 측벽의 송풍구(29)로부터 세척실(7) 내로 도입한다.
송풍구(29)로부터 세척실(7) 내로 유도된 송풍은 회전하는 식기 세척 바구니(8) 상에 얹어진 피세척물에 균등하게 불어 대어진다. 송풍은 피세척물에 부착된 수분으로부터 생긴 수증기를 배기구로부터 세척실(7)밖으로 배출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3)는 피세척물 표면의 수분이 충분히 증발하는 데 충분한 시간만큼 송풍 모터(27)를 작동시킨 후, 송풍 모터(27) 및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22)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모든 공정이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식기 세척 바구니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세척실 안쪽의 대략 구석부에 배치했다. 캐비넷 구석부의, 사용되지 않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식기 세척기를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가 세척실 내를 향한 개구부를 세척실에 설치했다. 이 개구부로부터 세척실 내에 세척수가 공급된다. 급수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만큼 세척실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급수에 관련된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도 있고, 식기 세척기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가 개구부로부터 세척실을 향하고 있으므로 세척시에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에 부착된 식품 부스러기나 찌꺼기가 급수에 의해 씻겨지게 된다. 동력 전달 기구가 항상 청소되고,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13 등에 표시되어 있는 세척 노즐의 분사구(36) 대신에,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사구(120)를 설치해도 좋다. 이 분사구(120)는 노즐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설치된 원환형 리브(121)를 갖는다. 원환형 리브(121)의 존재에 의해 세척수가 보다 한층 직선을 따라서 진행하게 된다. 피세척물을 보다 효율 좋게 세척할 수 있다.
또, 지지바(60)의 부착 각도 및 소품 바구니(61)의 형상은 도17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소품 바구니(61)를 지지바(60)에 부착하는 방법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서술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3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품 바구니(124)는 부채꼴을 갖고 그 부채꼴의 직선을 이루는 양단면 외측에 볼록부(126)를 갖고 있다. 도 35를 참조하여 한 쪽 지지바(130)는 양면 절입부(132)를 갖고 있으며, 이들 양면 절입부(132)에 볼록부(126)를 삽입하므로써 소품 바구니(124)를 식기 세척 바구니에 부착해도 좋다.
또,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는 식기 세척기의 구조에 따라서 적절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6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는 저수조(12) 내의 소정 수위 이상에 저장된 물을 출수구(89)로부터 저수조(12) 밖으로 오버플로우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장치(88)와, 오버플로우 장치(88)에 의해 저수조(12) 밖으로 유도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목형 물 저장부(142)를 갖는 저부판(140)을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수위 검지 플로트 스위치(84)를 물 저장부 (14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물 저장부(142)의 형상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도 36과 달리,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148)는 저부판(146)중, 주변부를 제거하여 형성해도 좋다.
세척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 도 22에 도시한 절환 밸브(64)가 어느 한 쪽의 배출구를 수밀하게 폐쇄하고, 다른쪽 토출구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세척을 개시하면, 절환 밸브(64)의 V자형의 양변에 수압이 가해지고, 절환 밸브(64)가 회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38을 참조하여, 스프링(152)을 순환 펌프(32) 내에 설치하고, 수류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 스프링(152)에 의해 중앙 위치에 강제되는 절환 밸브(150)를 도22에 도시한 절환 밸브(64) 대신에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임펠러(63)의 정전 및 역전에 따라서 절환 밸브(150)가 원활하게 회전하고, 세척수 또는 세척 후의 오염수를 소망의 토출구로 안내할 수 있다.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환 밸브(156)를 중앙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편(158)을 갖는 절환 밸브(156)를 도22에 도시한 절환 밸브(68) 대신에 이용해도 좋다. 또, 절환 밸브를 중앙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자석을 이용해도 좋다.
상술한 본 실시에서는 저수조(12)의 흡수구(33)는 저수조(12)의 측벽에 설치된다. 그러나 흡수구(33)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40을 참조하여 저수조(12) 대신에, 그 저부에 그 보다도 낮은 물 저장부(164)를 설치한 저수조(162)를 사용하고, 급수구(33) 대신에 세척실 부재(40)로부터 돌출하여 물 저장부(164)를 향한 개구를 갖는 급수구(166)를 설치해도 좋다. 도40에 도시되는 구성에서는 배수시에 저수조(162) 내에 세척수가 남지 않는다. 물 저장부(164)에는 약간의 물은 남지만 그 세척수의 악취등은 세척실(7) 내가 아니라 흡수구(166) 내의 공극에 저장된다. 세척실(7)내에 악취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식기 세척 바구니(8)는 그 하단에 기어(9)를 갖고 있으며, 회전 기어(23)와 기어(9)를 맞물리게 하여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턴테이블로서 직접 회전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식기 세척 바구니(8)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식기 세척 바구니와 턴테이블을 별도의 부재로 하고 식기 세척 바구니가 아니라 식기 세척 바구니를 얹은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동력 전달 기구를 캐비넷의 세척실 안쪽 구석부에 배치하였으므로, 구동원을 세척실 하부에 설치하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기 세척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세척실 부재는 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된 구석부에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가 그곳을 거쳐서 세척실을 향한 개구부를 가져도 좋다. 이 개구부를 급수구와 겸비함으로써 급수구를 만들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진다. 보다 식기 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세척 노즐은 세척실 내에 관하여 동력 전달 기구와 반대측의 측면 안쪽 구석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배치에 의해 캐비넷 구석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식기 세척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또, 세척실의 저수조 상에 적재되어 세척실의 저면을 형성하는 필터 부재를 또 포함해도 좋다. 필터 부재는 그 상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식기 세척 바구니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다. 필터 부재의 상면이 저면의 다른 부분과 같은 면이 되면 식기 세척 바구니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으며 보다 바람직하다.
식기 세척기는 또, 제어 회로에 접속된 조작 패널을 또 포함해도 좋다. 제어 회로는 조작 패널에 대한 소정 조작으로 응답하여 식기 세척기의 시범 운전을 실행한다. 가정용 식기 세척기임에도 관계없이 시범 운전이 가능하므로 판매 활동이 효율적이다. 제어 회로는 식기 세척기의 시범에 있어서, 통상 운전 사이클보다도 짧은 운전 사이클로 식기 세척기를 동작시켜도 좋다. 통상은 장시간을 요하는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짧은 시간으로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인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 시범 운전에서는 조작 패널상의 전원키가 눌려진 때에 부저를 울림으로써 시범 운전임을 표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이 식기 세척기와 함께 이용되고, 세척실 내에 놓여져서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식기 세척바구니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저부와 저부의 중앙으로부터 저부의 상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기둥형의 폴을 포함한다. 저부는 폴 하부의 외주로부터 저부의 외주를 향해 형성된 복수의 방사형 리브를 포함한다. 리브가 폴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이므로 식기 세척 바구니가 회전하고 있을 때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모든 식기에 대해 균일하게 닿는다. 세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캐비넷(117)과, 상기 캐비넷(117)의 상기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4)와, 상기 캐비넷(117)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한 세척실(7)을 형성하는 세척실 부재(40)와, 상기 세척실(7) 내로 소정 방향을 향하여 설치된 세척 노즐(26)과, 상기 세척 노즐(26), 상기 세척실(7)의 저부 및 외부로의 배수 구멍에 연결된 순환 펌프(32)와, 상기 세척실(7) 외부에 설치된 구동원(22)과, 상기 캐비넷(117) 내의 상기 세척실(7) 외측이면서 또 상기 캐비넷(117) 배면의 한 쪽 측면측의 구석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도원(22)과 연결된 동력 전달 기구(69)와, 상기 순환 펌프(32)와 상기 구동원(22)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53)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69)에 의해 상기 세척실(7) 내에 놓여진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부재(40)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69)가 배치된 구석부에, 상기 동력 전달 기구(69)의 일부가 그곳을 거쳐서 상기 세척실(7)을 향한 개구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부재(40)는 또 상기 세척실 부재(40)의 상기 개구부(21)에 연통하고 급수원에 접속되는 급수구(25)를 갖고, 또, 상기 급수원과 상기 급수구(2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53)에 의해 제어되는 급수 밸브(55)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25)를 거쳐서 상기 세척실(7) 내에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22)은 회전축(44)을 갖는 구동 모터(22)를 포함호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69)는, 상기 구동 모터(22)의 상기 회전축(44)에 부착된 구동 기어(45)와, 상기 구동 모터(22)의 상기 회전축(44)에 상기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요동 레버(46)와 상기 요동 레버(46)를 상기 구동 기어(45)를 향해 압박하는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47)과, 상기 요동 레버(46)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45)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어군(48,49)과, 상기 세척실 부재(40)의 상기 개구부(21)로부터의 그 일부가 상기 세척실(40) 내로 나오도록 상기 세척실 부재(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 기어(23)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기어군(48,49)은 상기 요동 레버(46)의 요동에 따라서 상기 회전 기어(23)와 걸림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 센서(5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53)는 상기 센서(52)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식기 세척기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53)에 의해 제어되는 송풍기(27,28)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실 부재(40)는 상기 세척실(7)의 저부에 저수조(12)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12)는, 저면과, 상기 송풍기(27,28)와 연통 연결된 송풍구(29) 및 상기 순환 펌프(32)와 연통 연결된 흡수구(33)를 갖는 측벽(12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수조(12) 내에 상기 송풍구(29)와 대향하여 배치된 상기 제어 회로(53)에 의해 제어되는 히터(13)를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53)는 상기 순환 펌프(32), 상기 구동원 (22), 상기 송풍기(27,28) 및 상기 히터(13)를 히용하여 복수 종류의 운전 모드의 임의의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식기 세척기를 제어 가능하며, 상기 식기 세척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표시기(93,94)를 갖는 상기 제어 회로(53)에 접속된 조작 패널(3)을 또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53)는 상기 순환 펌프(32), 상기 구동원(22), 상기 송풍기(27,28) 및 상기 히터(13)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표시기(93,94) 중 에러 부위에 따라서 선택된 조합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운전 모드는 세척 공정과, 건조 공정과, 보온 공정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공정에서는 상기 순환 펌프(32)가 동작하여 상기 세척 노즐(26)로부터 세척수를 상기 세척실(7) 내로 분사하고,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상기 순환 펌프(32)가 세척수를 상기 세척실(7)로부터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히터(13) 및 상기 상기 송풍기(27,28)가 동작하여 상기 세척실(7) 내로 온풍을 보내고, 상기 보온 공정에서는 상기 히터(13)가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도 낮고, 또 실온보다도 높은 소정 온도로 상기 세척실(7) 내로 보내지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53)는 상기 건조 공정과 상기 보온 공정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93)를 점멸시키고, 상기 보온 공정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점멸 간격보다도 느린 점멸 속도로 상기 표시기(93)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부재(40)는 상기 세척실(7)의 저부에 저수조 (12)를 형성하고, 상기 세척실(7)의 상기 저수조(12) 상에 적재되어 상기 세척실(7)의 저면을 형성하는 필터 부재(19)를 또 포함하고, 상기 필터 부재(19)는 그 상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기 식기 세척 바구니(8)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19b)를 갖고, 상기 세척실(7)의 저면은 상기 필터 부재(19)가 적재되는 제1 부분과 그 이외의 제2부분을 갖고, 상기 필터 부재(19) 및 상기 세척실 부재(40)는 상기 필터 부재(19)의 상기 상면이 상기 세척실(7)의 상기 제2 부분의 상면과 같은 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노즐(26)은 상기 세척실(7) 내에 관하여 상기 동력 전달 기구(69)와 반대측 안쪽 구석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노즐(26)은 상기 세척실(7) 높이 방향으로 분산하여 형성된 분사구(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부재(40)는 상기 세척 노즐(26)이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순환 펌프(32)와 연결된 세척 파이프(38)를 갖고, 상기 세척 노즐(26)은 상기 세척 파이프(38)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구(36) 중 적어도 최상위의 것에 부착된 상방을 향해 개방된 1/4구의 껍데기형 가이드 부재(36a)를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2)의 측면에는 흡수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 펌프(32)는 상기 흡수구(33)에 연통하고, 또 상기 세척 파이프(38)에 연통한 세척 토출구(65)를 갖는 제1 면과, 소정 배수구에 연통한 배수 토출구(66)를 갖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은 소정 각도θ를 갖고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식기 세척기는 또 상기 순환 펌프(32) 내의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교점(67)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순환 펌프(32)가 발생하는 수류에 따라서 상기 세척 토출구(65) 또는 상기 배수 토출구(66)를 선택적으로 수밀하게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대략 V자형의 절환 밸브(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17) 전면의 상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117) 상면의 소정 위치까지 후퇴하고 있으며, 상기 캐비넷(117) 양측벽 (43)의 상기 개구부의 측모서리를 형성하는 전방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117)의 후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상기 도어(4)의 상기 캐비넷(117)측의 면은 상기 세척실(7) 내에 놓여진 식기 세척 바구니(8)가 회전할때 형성되는 포락 형상에 따른 오목부(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17)은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물 저장부 (83,142,148)를 갖는 저부판(82,140,146)을 포함하고, 상기 식기 세척기는 또 상기물 저장부(83, 142, 48) 내에 설치된 누설수 검지 센서(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53)에 접속된 조작 패널(3) 및 부저(92)를 또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53)는 상기 조작 패널(3)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시범 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식기 세척기의 상기 시범 운전시에 상기 조작 패널(3)의 전원키에 대한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부저(92)를 울리게 하고, 상기 식기 세척기의 상기 시범에 있어서 통상 운전 사이클보다도 짧은 사이클로 상기 식기 세척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0.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캐비넷(117)과, 상기 캐비넷(117)의 상기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4)와, 상기 캐비넷(117)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한 세척실(7)을 형성하는 세척실 부재(40)와, 상기 세척실(7) 내로의 소정 방향을 향해 설치된 세척 노즐(26)과, 상기 세척 노즐(26), 상기 세척실(7)의 저부 및 외부로의 배수 구멍에 연결된 순환 펌프(32)와, 상기 세척실(7) 외부에 설치된 구동원(22)과, 상기 캐비넷 (117) 내의 상기 세척실(7) 외측이면서 상기 캐비넷(117) 배면의 한 쪽 측면측의 구석부에 설치되고상기 구동원(22)과 연결된 동력 전달 기구(69)와, 상기 순환 펌프(32)와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53)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와 함께 이용되고 상기 세척실(7) 내에 놓여져 상기 동력 전달 기구(69)에 의해 회전하는 식기 세척 바구니(8)로서, 판 형상을 이루는 저부(170)와, 상기 저부(17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저부(170)의 상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기등형의 폴(57)을 포함하고, 상기 저부(170)는, 상기 폴(57) 하부 외주로부터 상기 저부(170)의 외주를 향해 형성된 복수의 방사형 리브(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바구니.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4638A 1996-07-26 1997-07-24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 바구니 KR100227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8096A JP3348160B2 (ja) 1996-07-26 1996-07-26 食器洗浄機
JP96-198080 1996-07-26
JP27976796A JP3316397B2 (ja) 1996-10-23 1996-10-23 食器洗浄機
JP96-279767 1996-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66A true KR980008166A (ko) 1998-04-30
KR100227175B1 KR100227175B1 (ko) 1999-10-15

Family

ID=2651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638A KR100227175B1 (ko) 1996-07-26 1997-07-24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 바구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04163A (ko)
EP (1) EP0820718B1 (ko)
KR (1) KR100227175B1 (ko)
CN (1) CN1168417C (ko)
AU (1) AU718953B2 (ko)
CA (1) CA2210548C (ko)
DE (1) DE69722863T2 (ko)
TW (1) TW42208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74B1 (ko) * 2001-12-15 2003-12-01 (주)코어넷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KR20040021096A (ko) * 2002-09-02 2004-03-10 황윤용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100842370B1 (ko) * 2007-02-02 2008-06-30 주식회사 포세 다기능 식기세척함체
WO2016175456A1 (ko) * 2015-04-27 2016-11-03 최성필 폐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폐엘씨디유리와 폐병유리를 재활용한 수처리용 발포성 인공여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9677A4 (en) * 2000-10-23 2004-04-07 James Tyson IMPROVED SOUND BASE CLEANER CHECK
DE10065660A1 (de) * 2000-12-29 2002-07-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ieb
DE10065661A1 (de) * 2000-12-29 2002-07-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ieb
US7216944B2 (en) * 2001-08-15 2007-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door assembly
US6790290B2 (en) 2002-04-04 2004-09-14 Maytag Corporation Method for dishwasher variable fill control
ES2505666T3 (es) * 2002-06-28 2014-10-10 Candy S.P.A. Lavavajillas encastrado con capacidad de carga aumentada
KR101119090B1 (ko) * 2004-06-24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이물 고착 방지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96620A1 (en) * 2004-11-10 2006-05-11 American Trim, Llc Behind-sink dishwasher
KR100652263B1 (ko) 2005-03-29 2006-11-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식기세척기의 랙 지지장치
US7250087B1 (en) 2006-05-16 2007-07-31 James Tyson Clogged nozzle detection
DE102006026800A1 (de) * 2006-06-07 2007-12-13 Henkel Kgaa Dosiervorrichtung für fließfähige Zusammensetzungen
ES2624055T3 (es) * 2007-01-10 2017-07-12 Lg Electronics Inc. Máquina de lavar con pedestal
SE531890C2 (sv) 2007-01-26 2009-09-01 Gs Dev Ab Diskmaskin
KR101366262B1 (ko) * 2007-07-05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US20090120469A1 (en) * 2008-03-25 2009-05-14 American Trim, L.L.C. Behind Sink Dishwasher
EP2184000A1 (en) * 2008-11-10 2010-05-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PL2233058T3 (pl) * 2009-03-27 2013-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Zmywarka do naczyń
US9119515B2 (en) 2010-12-03 2015-09-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unitary wash module
US8667974B2 (en) 2009-12-21 2014-03-1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8746261B2 (en) * 2009-12-21 2014-06-10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687135B2 (en) 2009-12-21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dishwasher with pump assembly
US9918609B2 (en) 2009-12-21 2018-03-20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8627832B2 (en) 2010-12-13 2014-01-14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FR2967045B1 (fr) * 2010-11-10 2012-12-14 De Labarre Florent Mirieu Micro lave-vaisselle express
US9113766B2 (en) 2010-11-16 2015-08-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with common heating element for multiple treating chambers
US9668636B2 (en) 2010-11-16 2017-06-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with common heating element for multiple treating chambers
US9034112B2 (en) 2010-12-03 2015-05-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hared heater
US8733376B2 (en) 2011-05-16 2014-05-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US9107559B2 (en) 2011-05-16 2015-08-1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US9265401B2 (en) 2011-06-20 2016-02-23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005369B2 (en) 2011-06-20 2015-04-14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assembly for a dishwasher
US20120318296A1 (en) 2011-06-20 2012-12-20 Whirlpool Corporation Ultra micron filter for a dishwasher
US9861251B2 (en) 2011-06-20 2018-01-09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with artificial boundary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010344B2 (en) 2011-06-20 2015-04-2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301667B2 (en) 2012-02-27 2016-04-05 Whirlpool Corporation Soil chopping system for a dishwasher
US9237836B2 (en) 2012-05-30 2016-01-19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US9730570B2 (en) 2012-05-30 2017-08-15 Whirlpool Corporation Reduced sound with a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US9833120B2 (en) 2012-06-01 2017-12-05 Whirlpool Corporation Heating air for drying dishes in a dishwasher using an in-line wash liquid heater
US9532700B2 (en) 2012-06-01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overflow conduit
US9451862B2 (en) 2012-06-01 2016-09-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unitary wash module
US9554688B2 (en) 2012-10-23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and methods of cleaning a rotating filter
DE102012024308A1 (de) * 2012-12-12 2014-06-12 TERRAMARK Markencreation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pülmaschine zum Betrieb in unterschiedlichen Niederspannungsnetzen und Verfahren zum energiesparenden Betrieb einer Spülmaschine
KR101543090B1 (ko) * 2013-11-12 2015-08-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5011880A (zh) * 2014-04-30 2015-11-04 周伟强 滚桶(框)洗碗机
CN108289587B (zh) 2015-10-21 2021-04-30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器皿清洗机怠速系统和方法
CN106618416A (zh) * 2015-10-29 2017-05-10 王虎 一种餐具清洗装置
CN106562745A (zh) * 2016-07-31 2017-04-19 胡波楹 一种碗篮旋转式洗碗机
JP1585114S (ko) * 2016-11-01 2017-09-04
USD845564S1 (en) * 2017-07-03 2019-04-09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fg. Co., Ltd. Dishwasher
CN107411675A (zh) * 2017-09-13 2017-12-01 李信科 一种食品用具清洗机
CN108125645A (zh) * 2017-12-28 2018-06-08 李静怡 宾馆饭店变径夹持自动放取清残洗涤冲洗机器人洗盘机
CN108143375B (zh) * 2017-12-28 2020-04-17 李静怡 学生食堂变径夹持自动放取清残洗涤冲洗机器人洗碗机
CN108185941B (zh) * 2017-12-30 2024-05-2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外置水管的抽屉式洗碗机
CN108464805A (zh) * 2018-04-17 2018-08-31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增压型脉冲清洗设备
CN109222820A (zh) * 2018-10-18 2019-01-18 北斗星智能电器有限公司 洗碗水槽及洗碗机
CN110211470A (zh) * 2018-11-30 2019-09-06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吸油烟机的清洗演示装置及演示方法
CN109674429A (zh) * 2019-01-22 2019-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的余水烘干方法及洗碗机
CN111743486B (zh) * 2019-03-28 2024-02-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碗机
USD931558S1 (en) * 2020-02-18 2021-09-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US20230142502A1 (en) * 2021-11-10 2023-05-11 Thanh Binh PHAM Dishwasher with rotating rack and two separated washing chamber and rinse chamber operating at same tim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368A (en) * 1897-01-19 xolen
US1143217A (en) * 1914-06-19 1915-06-15 John Thomas Mcgrath Dish-washing machine.
US1332712A (en) * 1916-02-07 1920-03-02 Colt S Mfg Co Washing-machine
US1396466A (en) * 1916-08-23 1921-11-08 August E Roever Dish-washing machine
US1843126A (en) * 1929-05-17 1932-02-02 Geocares Harry Hat cleaning and drying mechanism
US2598074A (en) * 1946-08-31 1952-05-27 Ind Washing Machine Corp Washing machine for baking utensils
US2437968A (en) * 1947-03-17 1948-03-16 John J Palotsee Washer for articles or the like
US2643659A (en) * 1949-09-22 1953-06-30 Metal Specialties Inc Device for washing articles such as drinking glasses
DE1179339B (de) * 1961-11-14 1964-10-08 Bauknecht Gmbh G Antrieb des Geschirrtraegers bei Geschirrspuelmaschinen
GB1195045A (en) * 1966-09-03 1970-06-17 Zanussi A Spa Industrie Washing Machines.
US3517675A (en) * 1967-10-30 1970-06-30 Ind Washing Machine Corp Apparatus for washing industrial articles
US3465761A (en) * 1968-01-05 1969-09-09 Hobart Corp Apparatus for washing glasses,dishes and the like
US4143669A (en) * 1977-06-10 1979-03-13 The Mart Corporation Power parts washer
US4191592A (en) * 1978-01-20 1980-03-04 Conly William A Glasswasher
GB2079976B (en) * 1980-04-16 1984-12-05 Servis Domestic Appliances Ltd Operation of a programme controlled machine in the event of a fault
DE3314992A1 (de) * 1983-04-26 1984-10-31 Klaus 6832 Hockenheim Maurer Geraet mit einer wasserzuleitung, insbesondere waschmaschine, spuelmaschine oder dergleichen
JPS62183393A (ja) * 1986-02-07 1987-08-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帳自動捲頁方式
DE3640054A1 (de) * 1986-11-24 1988-06-01 Siltal Casa Spa Mini-geschirrspuelmaschine
DE3644053A1 (de) * 1986-12-22 1988-06-30 Miele & Cie Geschirrspuelmaschine, waschmaschine oder dgl., mit einer auffangwanne fuer leckwasser
JPH05115404A (ja) * 1991-10-30 1993-05-14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乾燥機
DE4215614A1 (de) * 1992-05-12 1993-11-18 Premark Feg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Wagen zum Transport von Speisetabletts oder dergleichen sowie Wagen hierfür
JP3238211B2 (ja) * 1992-10-02 2001-12-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焼付硬化性と非時効性とに優れた冷延鋼板あるいは溶融亜鉛メッキ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6133911A (ja) * 1992-10-28 1994-05-17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US5482066A (en) * 1994-01-11 1996-01-09 Kemac, Inc. Parts washing machine
JPH07289492A (ja) * 1994-04-25 1995-11-07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H07303592A (ja) * 1994-05-12 1995-11-21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H0884963A (ja) * 1994-07-21 1996-04-02 Hoshizaki Electric Co Ltd 洗浄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74B1 (ko) * 2001-12-15 2003-12-01 (주)코어넷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KR20040021096A (ko) * 2002-09-02 2004-03-10 황윤용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100842370B1 (ko) * 2007-02-02 2008-06-30 주식회사 포세 다기능 식기세척함체
WO2016175456A1 (ko) * 2015-04-27 2016-11-03 최성필 폐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폐엘씨디유리와 폐병유리를 재활용한 수처리용 발포성 인공여재의 제조방법
US10449475B2 (en) 2015-04-27 2019-10-22 Seong Pil CHOI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able artificial media for water treatment by recycling waste LCD glass and waste bottle glass generated from wast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0718A3 (en) 1999-04-21
CN1168417C (zh) 2004-09-29
CN1187981A (zh) 1998-07-22
AU2878297A (en) 1998-02-05
KR100227175B1 (ko) 1999-10-15
AU718953B2 (en) 2000-05-04
CA2210548C (en) 2001-09-18
EP0820718A2 (en) 1998-01-28
EP0820718B1 (en) 2003-06-18
DE69722863D1 (de) 2003-07-24
TW422082U (en) 2001-02-11
US5904163A (en) 1999-05-18
DE69722863T2 (de) 2004-05-06
CA2210548A1 (en) 199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175B1 (ko)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 바구니
CA2534126C (en) Multiple spray arm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EP2818091A1 (en) Dishwasher
JP5028331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2004337429A (ja) 食器洗い機
CN107260097B (zh) 清洗机
US20230277033A1 (en) Dishwasher providing notification for replacing filter and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replacing a filter
JP5174538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3565511B2 (ja) 食器洗浄機の給排水機構
US79982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and dishwasher
JP4940185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H07338A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19080603A (ja) 食器洗い機
JPH07227374A (ja) 乾燥機及び洗浄機
JP2949170B2 (ja) 食器洗浄装置
JP3348160B2 (ja) 食器洗浄機
JP3500092B2 (ja) 食器洗い機
JP3316397B2 (ja) 食器洗浄機
JPH0938602A (ja) 洗浄機
JP2743791B2 (ja) 洗浄装置
JP2904640B2 (ja) 食器洗い機
JP6655507B2 (ja) 洗濯機
JP2004275267A (ja) 食器洗浄乾燥機
JP2975835B2 (ja) 洗浄機
JP2006239274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