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174B1 -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 Google Patents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174B1
KR100408174B1 KR10-2001-0079641A KR20010079641A KR100408174B1 KR 100408174 B1 KR100408174 B1 KR 100408174B1 KR 20010079641 A KR20010079641 A KR 20010079641A KR 100408174 B1 KR100408174 B1 KR 10040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bridges
distributors
lin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438A (ko
Inventor
소흥섭
Original Assignee
(주)코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어넷 filed Critical (주)코어넷
Priority to KR10-2001-007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174B1/ko
Priority to PCT/KR2002/002221 priority patent/WO2003052881A1/en
Priority to JP2003553672A priority patent/JP2005513848A/ja
Priority to AU2002356460A priority patent/AU2002356460A1/en
Priority to US10/307,350 priority patent/US7016575B2/en
Priority to CNB021560730A priority patent/CN1185811C/zh
Publication of KR2003004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입력단, 출력단, AC/RF부, 차등분배기를 구비하는 HFC 전송망용 증설용 분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 분기된 제1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 로부터 분기되는 하위의 다수의 디스트리뷰터 그룹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 중 최하위 디스트리뷰터 각각으로부터 분기되는 선로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와, 상기 차등분배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별도의 중개 선로로 분배하는 중개 디스트리뷰터와, 그리고 상기 중개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개 브릿지를 포함하는 증설용 분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TAP-OFF ENABLING AN EASY EXTENSION WORK}
본 발명은 HFC(HyBRiD Fiber & Coaxial) 전송망에 사용되는 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망의 연장 혹은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하는 증설용 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는 케이블 모뎀 및 ADSL 등을 이용하여 급속도로각 가정에 보급되어 오고 있다. 케이블 모뎀과 ADSL의 사용은 과거 아날로그 방식의 전송 수단으로만 쓰이던 HFC(HyBRiD Fiber & Coaxial) 전송망을 데이터 전송의 중추매체로 떠오르게 하고 있다. 특히, HFC 전송망은 저렴한 비용, 넓은 대역폭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기타의 전송 매체와 비교하여 앞으로도 여전히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유선방송 시스템의 공급자와 각 가입자를 연결하는 전송망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HFC 전송망을 이용한 유선방송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신호 분배계통에 대하여 임피던스의 변화없이 신호의 일부를 나누어 쓰기 위하여 분기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분기기는 지선 또는 간선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그 입력/출력 단자간에는 일반적으로 전류가 통과하게 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기의 구조 및 연결형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분기기는 4가입자용, 8가입자용 혹은 16가입자용으로 고정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시된 분기기는 8가입자용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기는 서비스 공급자측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10),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20), AC/RF부(P1, P2), 차등분배기(DC), 7개의 디스트리뷰터(D1 내지 D7), 그리고 가입자 인입선이 연결되는 8개의 브릿지(BR1 내지 BR8)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상의 분기기를 사용하는 유선방송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업자들은 최근들어 폭주하는 가입자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예상 가입자의 2배 이상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적정 신호 레벨이 고려되지 않은 채 분기기가 임의로 증설되면서, 가입자측으로부터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불만이 크게 접수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호 품질의 악화는 지선 및 간선 상에만 접속 연결되도록 된 종래의 분기기의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입자 수용 용량을 늘리기 위해, 기존에 이미 설치된 분기기와 동일한 구조의 추가 분기기를 지선 혹은 간선의 연결선(5)에 대한 케이블 작업, 예를 들면, 절단 및 연결작업을 거쳐 직렬로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가입자 수용 용량 확대를 위해 분기기를 증설하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구조의 2개의 분기기 사이에 케이블 작업을 거쳐 새로운 분기기를 설치하거나 또는 최고 하위의 분기기에 추가로 분기기를 연결하여 증설하여 왔다.
이 경우, 가입자가 한 가구만 늘어나는 경우에 있어서도, 분기기 설치작업을 위해, 기존의 연결선(5)을 절단한 후 새로운 분기기를 2개의 분기기 사이에 설치해야만 하므로, 설치 작업동안은 일정 지역 이하는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절단한 연결선(5)을 다시 연결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또한, 간선 및 지선에 분기기를 증설함으로 인해 접속개소가 증가하여 신호 품질을 저해하는 잡음의 과다한 발생과 함께 공동주택등 동일건물에 다수의 가입자를 수용할 경우 가입자마다 인입선을 시설함으로 인해 환경미관을 저해하고 공사비 및 자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단방향서비스와 양방향서비스가입자를 함께 수용함으로 인해 가입자단에서 발생되는 신호 저해요인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등분배기와 제1 디스트리뷰터 사이에 설치되어 차등분배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중개 선로로 출력하는 중개 디스트리뷰터와, 중개 선로에 연결되며 통상의 가입자 인입선 브릿지와 동일한 규격을 갖는 중개 브릿지를 구비하는 증설용 분기기를 제공하여, 별도의 케이블 작업없이 추가로 하나 이상의 분기기를 더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단, 출력단, AC/RF부, 차등분배기를 구비하는 HFC 전송망용 증설용 분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 분기된 제1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 로부터 분기되는 하위의 다수의 디스트리뷰터 그룹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 중 최하위 디스트리뷰터 각각으로부터 분기되는 선로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와, 상기 차등분배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중개 선로로 분배하는 중개 디스트리뷰터와, 그리고 상기 중개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개 브릿지를 포함하는 증설용 분기기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는, 상기 중개 브릿지와 연결되는 입력단과, 상기입력단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와, 그리고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의 각각에서 분기되는 선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를 포함하는 증설용 말단 분기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분기기의 구성도 및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통상의 분기기의 제8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를 중개 브릿지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의 구성도.
도 3은 별도의 하나의 중개 브릿지를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의 구성도.
도 4는 두 개의 중개 브릿지를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설용 말단 분기기의 구성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 및 증설용 말단 분기기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 P2: AC/RF부
DC: 차등분배기
D1 내지 D7, 및 D9 내지 D15: 디스트리뷰터
D8: 중개 디스트리뷰터
BR1 내지 BR15: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
EX1, EX2: 중개 브릿지
L1, L2: 중개 선로
5, 50: 연결선
10: 입력단
20: 출력단
30: 입력단
40, 41, 42, 43: 증설용 분기기
44: 증설용 말단 분기기
51: 어댑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기와 동일한 부품에 있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8가입자형 증설용 분기기(40)가 도시되어 있다. 증설용 분기기(40)는 입력단(10), AC/RF부(P1, P2), 차등분배기(DC), 출력단(20), 제1 내지 제7 디스트리뷰터(D1 내지 D7), 중개 디스트리뷰터(D8), 그리고 제1 내지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와 중개 브릿지(EX1)로 구성된다.
입력단과 출력단(10, 20)은 HFC 전송망의 간선 혹은 지선 전송선로에 연결되며, AC/RF부(P1, P2)는 이러한 전송 선로로부터 입력단(10)을 통해 AC전원과 RF신호가 인가되면, RF신호를 디스트리뷰터(D1 내지 D8)를 거쳐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 및 중개 브릿지(EX1)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출력한다. 또한, AC/RF부(P1, P2)는 인가받은 AC전원과 RF신호를 또한 출력단(20)을 통해 전송선로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AC전원은 다음 단의 증폭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다.
차등분배기(DC)는 AC/RF부(P1)로부터의 RF신호를 차등 분배시킨다. 제1 내지 제7 디스트리뷰터(D1 내지 D7)는 상술한 RF신호를 신호의 변화없이 동일한 RF신호로 분리하여 균등 분배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신호는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를 통해 가입자 측으로 전송된다.
중개 디스트리뷰터(D8)는 차등분배기(DC)의 출력단(20)과 제1 디스트리뷰터(D1)의 입력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차등분배기(D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1 디스트리뷰터(D1)의 입력단과 단일의 독립된 중개 선로(L1)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1 디스트리뷰터(D1)의 입력단과 중개 선로(L1)로 출력되는 신호는 차등분배기(DC)로부터의 출력신호보다 소정의 크기, 약 -3.5㏈ 정도, 레벨이 작은 신호가 되고, 이 것은 후에 설명할 제1 내지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의 출력신호보다 소정의 크기, 약 11㏈ 정도, 높은 레벨의 신호가 된다. 중개 선로(L1)에는 중개 브릿지(EX1)가 연결되어 있다.
중개 브릿지(EX1)는 상술한 가입자 인입용 브릿지(BR1 내지 BR7)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며, 여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설용 말단 분기기(44)가 연결될 수 있다. 증설용 말단 분기기(44)는 증설용 분기기(40)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만으로 가입자를 다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 증설용 분기기(40)의 중개 브릿지(EX1)에 별도의 연결선(50)을 이용하여 연결됨으로써, 추가적인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 8 내지 BR15)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설용 말단 분기기(44)는 입력단(30)과, 여기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트리뷰터(D9 내지 D15)와, 각 최하위 디스트리뷰터(D12, D13, D14, D15)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8 내지 BR15)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선(50)의 일단을 증설용 분기기(40)의 중개 브릿지(EX1)에 연결하고, 그 타단을 증설용 말단 분기기(44)의 입력단(30)에 연결하면, 총 15명의 가입자를 동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15)에 수용할 수 있다. 증설용 분기기(40)와 증설용 말단 분기기(44)의 연결에 있어서는, 연결선(50)은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에 접속 가능한 규격의 컨넥터를 그 양단에 사용한다. 만약, 증설용 말단 분기기(44)의 하우징을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단(30)의 지선 혹은 간선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과 연결선(50) 단부의 컨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어댑터(51)가 필요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트리뷰터(D1)는 중개 디스트리뷰터(D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이를 제2 디스트리뷰터(D2)와 제3 디스트리뷰터(D3)로 분배하고, 제2 디스트리뷰터(D2)는 제4 디스트리뷰터(D4)와 제5 디스트리뷰터(D5)로 이를 분배시키고, 제3 디스트리뷰터(D3)는 제6 디스트리뷰터(D6)와 제7 디스트리뷰터(D7)로 이를 분배시킨다.
제4 디스트리뷰터(D4)는 입력된 신호를 제1 및 제2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BR2)로 분배하고, 제5 디스트리뷰터(D5)는 입력된 신호를 제3 및 제4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3, BR4)로 분배하고, 제6 디스트리뷰터(D6)는 입력된 신호를 제5 및 제6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5, BR6)로 분배한다. 제7 디스트리뷰터(D7)는 신호를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7)로만 전송한다. 제1 내지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에는 개별 가입자 혹은 사용자가 연결되어인터넷 혹은 방송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증설용 분기기(40)는 제1 내지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와 중개 브릿지(EX1)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브릿지를 포함하고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8가입자용 분기기와 동일한 하우징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40)를 제조하는 데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8가입자용 분기기의 하우징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가입자측으로의 하향신호의 경우, 입력단(10), AC/RF부(P1), 및 차등분배기(DC)를 거쳐 중개 디스트리뷰터(D8)로 입력된 RF신호는 신호변환 없이 분배되어 제1 출력은 제1 디스트리뷰터(D1)의 입력단으로 분배되어, 이후, 제2 내지 제7 디스트리뷰터(D2 내지 D7)와 여기에 연결된 제1 내지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출력되고, 제2 출력은 중개 브릿지(EX1)로 전송된다. 이때, 중개 디스트리뷰터(D8)로부터 중개 브릿지(EX1)로 직접 출력되는 신호는 제1 내지 제7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의 출력 신호보다 대략 11㏈ 정도 레벨이 높은 신호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설용 말단 분기기(44)를 증설용 분기기(40)에 연결하면, 증개 브릿지(EX1)에서 출력된 신호는 말단 분기기(44)의 입력단(30)으로 전송되어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의 디스트리뷰터(D9 내지 D15)와 가입자 인입선용브릿지(BR8 내지 BR15)를 통해 가입자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향신호의 경우, 증설용 말단 분기기(44)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8 내지 BR15)와 증설용 분기기(40)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RF신호는 중개 디스트리뷰터(D8) 및 제1 내지 제7 디스트리뷰터(D1 내지 D7), 차등분배기(DC) 및 AC/RF부(P1)를 거쳐 전송선로로 보내진다.
도 3,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41)를 설명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설용 분기기(41)는 제1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40)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증설용 분기기(41)의 제7 디스트리뷰터(D7)가 2 개의 선로로 분기되어 각각에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7, BR8)가 연결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즉, 제1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40)는 8개의 브릿지를 갖는 기존의 분기기에, 그 외관상 구조를 바꾸지 않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8개의 브릿지 중 하나를 중개 브릿지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41)에서는 기존의 분기기의 형태에 별도의 브릿지를 하나 더 추가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증설용 분기기(41)의 예가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증설용 분기기(41)에 연결선(50)을 이용하여 증설용 말단 분기기(44)가 접속되면, 총 16개의 가입자 인입선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43)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설용 분기기(43)는 제2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41, 42)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증설용 분기기(43)의 중개 디스트리뷰터(D8)가 중개 선로(L2)를 하나 더 포함하고, 이 중개 선로(L2)의 출력단에는 또 하나의 중개 브릿지(EX2) 추가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이 경우, 중개 선로(L2)에는 제1 디스트리뷰터(D1)를 거쳐 최종적으로 제1 내지 제8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8)가 출력하는 신호보다 대략 11㏈ 정도 레벨이 높은 신호가 인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증설용 분기기(43)의 예가 도 6d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증설용 분기기(43)의 중개 브릿지(EX1, EX2)에 연결선(50)을 이용하여 2개의 증설용 말단 분기기(44)가 접속되면, 총 24개의 가입자 인입선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40, 41, 43)에서는,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BR7)와 중개 브릿지(EX1)의 수의 합이 8개 인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총 4개 혹은 총 16개의 브릿지를 갖는 구조도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를 사용하면, 간단히 분기기의 내부 회로를 일부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8가입자용의 경우, 이를 초과하는 가입자의 수용을위해 종래와 같이 지선 및 간선 케이블을 절단하고 다시 연결하는 식의 케이블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중개 브릿지에 연결선을 사용하여 증설용 말단 분기기만을 간단히 연결시킴으로써, 또 다른 8명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선 및 지선의 접속개소가 감소하여 신호 품질을 저해하는 잡음의 과다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공동주택등 동일건물에 다수의 가입자를 수용할 경우 하나의 인입선만으로도 가능한 장점이 있어 환경미관 개선과 함께 자재비 및 공사비의 절감효과를 추가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단방향서비스와 양방향서비스 가입자를 구분하여 증설용 분기기와 증설용 말단 분기기에 분리 수용할 수 있어 가입자단에서 발생되는 신호 저해요인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입력단, 출력단, AC/RF부, 차등분배기를 구비하는 HFC(HyBRid Fiber Coaxial) 전송망용 증설용 분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 분기된 제1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 로부터 분기되는 하위의 다수의 디스트리뷰터 그룹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 각각으로부터 분기되는 선로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와,
    상기 차등분배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중개 선로로 분배하는 중개 디스트리뷰터와, 그리고
    상기 중개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개 브릿지를 포함하는 증설용 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디스트리뷰터는 3분배형으로서, 상기 차등분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과 독립된 2개의 중개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2개의 중개 선로에는 각각 중개용 브릿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설용 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는 2분배형이며, 각 최하위 디스트리뷰터는 2개의 브릿지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는 2분배형이며, 각 최하위 디스트리뷰터 중 하나에는 하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 중 하나가 상기 중개 브릿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브릿지와 연결되는 입력단과,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와, 그리고
    상기 다수의 디스트리뷰터의 각각에서 분기되는 선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를 포함하는 증설용 말단 분기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증설용분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의 개수와 상기 중개 브릿지의 개수의 합이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의 개수와 상기 중개 브릿지의 개수의 합이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의 개수와 상기 중개 브릿지의 개수의 합이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KR10-2001-0079641A 2001-12-15 2001-12-15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KR10040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41A KR100408174B1 (ko) 2001-12-15 2001-12-15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PCT/KR2002/002221 WO2003052881A1 (en) 2001-12-15 2002-11-27 Tap-off capable of easily extending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JP2003553672A JP2005513848A (ja) 2001-12-15 2002-11-27 光同軸網の増設を容易にする分岐機
AU2002356460A AU2002356460A1 (en) 2001-12-15 2002-11-27 Tap-off capable of easily extending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US10/307,350 US7016575B2 (en) 2001-12-15 2002-12-02 Tap-off capable of easily extending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CNB021560730A CN1185811C (zh) 2001-12-15 2002-12-13 易于延伸混合光纤同轴网络的分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41A KR100408174B1 (ko) 2001-12-15 2001-12-15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38A KR20030049438A (ko) 2003-06-25
KR100408174B1 true KR100408174B1 (ko) 2003-12-01

Family

ID=1971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641A KR100408174B1 (ko) 2001-12-15 2001-12-15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16575B2 (ko)
JP (1) JP2005513848A (ko)
KR (1) KR100408174B1 (ko)
CN (1) CN1185811C (ko)
AU (1) AU2002356460A1 (ko)
WO (1) WO2003052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9127B1 (en) 2007-09-28 2008-08-05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assemblies suitable for adding nod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639530B1 (ko) * 2015-08-18 2016-07-13 에스제이엠프리웰 주식회사 Rf 방사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통신용 무전원 하이브리드 ic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66A (ko) * 1996-07-26 1998-04-30 쯔지 하루오 식기 세척기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바구니
JPH10215222A (ja) * 1997-01-29 1998-08-11 Kokusai Electric Co Ltd 光伝送方法
JPH10233724A (ja) * 1997-02-20 1998-09-02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中継システム
KR20010065461A (ko) * 1999-12-29 2001-07-11 구관영 다중분기형 광 중계장치
KR20010105387A (ko) * 2000-01-17 2001-11-28 황준 계층적 전송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인터넷 방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16754T2 (de) * 1995-01-25 2002-08-01 Haworth Inc Kommunikationskabelanordnung
JPH099238A (ja) * 1995-06-19 1997-01-10 Miharu Tsushin Kk Catv用タップオフ
KR100249141B1 (ko) * 1997-08-25 2000-03-15 이시영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US5994976A (en) * 1998-07-31 1999-11-30 Tang; Danny Q. Dual compartment multi-tap
JP2001211434A (ja) * 1999-11-19 2001-08-03 Maspro Denkoh Corp 分配装置及びcatvシステム
US6950215B2 (en) * 2001-07-11 2005-09-27 Calient Net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ptical switch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66A (ko) * 1996-07-26 1998-04-30 쯔지 하루오 식기 세척기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바구니
JPH10215222A (ja) * 1997-01-29 1998-08-11 Kokusai Electric Co Ltd 光伝送方法
JPH10233724A (ja) * 1997-02-20 1998-09-02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中継システム
KR20010065461A (ko) * 1999-12-29 2001-07-11 구관영 다중분기형 광 중계장치
KR20010105387A (ko) * 2000-01-17 2001-11-28 황준 계층적 전송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인터넷 방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13068A1 (en) 2003-06-19
AU2002356460A1 (en) 2003-06-30
CN1427556A (zh) 2003-07-02
US7016575B2 (en) 2006-03-21
WO2003052881A1 (en) 2003-06-26
JP2005513848A (ja) 2005-05-12
CN1185811C (zh) 2005-01-19
KR20030049438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824A (en) Distributed digital loop carriers system using coaxial cable
US4578702A (en) CATV tap-off unit with detachable directional coupler
US6687374B2 (en) Multi-service network interface for FDM communications systems
EP0795948A1 (en) System for utility demand monitoring and control
CN1244263A (zh) 光电家庭区域网光纤/电力插接装置
KR100697488B1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10283331A1 (en) Distribution and Amplification Systems that Automatically Terminate to a Matched Termination in Response to Power Interruptions and Related Methods
KR100408174B1 (ko)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US5946389A (en) Cabling for buildings
WO2000039948A1 (en) Wiring architecture for providing combined voice and vdsl service to residential buildings
KR102061970B1 (ko) 증설용 분기기
US20020186835A1 (en) Multi-service network interface method for frequency-division multiplexed communications systems
EP1135923B3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the distribution and transfer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ignals
KR20000058320A (ko)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EP1190514A1 (en) Broadband architecture using existing twisted pair
JP3057193B2 (ja) Mdf装置
US7266841B2 (en) Security and communications module
JPH11187154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盤
US20010015967A1 (en) Wireless LAN system
DE19637070B4 (de) Zusatzschaltung für Multimediakommunikation
KR200276217Y1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전송 및 전원공급 커넥터
US5905316A (en) Structured cabling
WO2023215104A1 (en) Optical network unit comprising means to communicate with a hub via a coaxial cable or a twisted pair electrical conductor
KR200257733Y1 (ko) 디지털 터미널 억세스 멀티허브 다중화시스템
KR200241703Y1 (ko)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216

Effective date: 2005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034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216

Effective date: 20051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