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141B1 -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 Google Patents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141B1
KR100249141B1 KR1019970040762A KR19970040762A KR100249141B1 KR 100249141 B1 KR100249141 B1 KR 100249141B1 KR 1019970040762 A KR1019970040762 A KR 1019970040762A KR 19970040762 A KR19970040762 A KR 19970040762A KR 100249141 B1 KR100249141 B1 KR 10024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ignal
data communication
distributor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738A (ko
Inventor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이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영 filed Critical 이시영
Priority to KR101997004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1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14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유선방송 및 공시청시스템에 사용되는 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기의 외부 출력단에 각각 장착되는 상향대역차단필터를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여 데이터통신의 이용분야에 따라 분기기의 내부에 착/탈할 수 있는 분기기의 필터내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기기는 상향대역차단 필터를 분기기의 외부에 돌출된 각각의 사용자 인입단에 장착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연결부의 접축불량 및 방수효과가 저하되며, 양방향데이터통신을 위해 필터를 제거할 경우 작업이 번거럽고, 개개의 필터를 여러단자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환경조건에 따라 신호의 특성 변화율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향주파수대역을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를 모듈화하여 분기기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방향데이터통신을 사용할 경우 다수의 외장형 필터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양방향데이터통신을 위해 필터를 제거할 경우, 이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환경조건에 따른 신호의 특성 변화율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본 발명은 종합유선방송 및 공시청시스템에 사용되는 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기의 외부 출력단에 각각 장착되는 상향대역차단필터를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여 데이터통신의 이용분야에 따라 분기기의 내부에 착/탈할 수 있는 분기기의 필터내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합유선방송 및 공시청 시스템은 복수이상의 신호분배계통에 대하여 임피던스 변화 없이 신호의 일부를 나누어 쓰기 위하여 분기기를 사용하는데 지선또는 간선에 영향이 적게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입력/출력단간에 전류통과형으로 되어 있는 바, 분기기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입자 인입선 연결단자(1∼8)가 구비되며, 분기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송로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이 분기기 내측의 인쇄회로기판으로 삽입접속된다.
한편, 현재 종합유선방송에 설치운용중인 전송망에서 가입자 망감시 및 부가 서비스등의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동축전송로를 통해 양방향 데이터 통신시, 방송국측으로 부터 가입자측으로의 하향대역의 신호에 가입자측에서 방송국측으로의 상향대역신호잡음이 유입되어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향대역이 필요한 전송로를 제외한 모든 선로에 외장형 상향대역 차단필터(10)를 삽입하여 원활한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하향신호에 잡음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분기기는 상향대역차단 필터를 분기기의 외부에 돌출된 각각의 사용자 인입선 연결단자에 장착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연결부의 접축불량 및 방수효과가 저하되며, 양방향데이터통신을 위해 필터를 제거할 경우 작업이 번거럽고, 개개의 필터를 여러단자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환경조건에 따라 신호의 특성 변화율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향주파수대역을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를 모듈화하여 분기기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방향데이터통신을 사용할 경우 다수의 외장형 필터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양방향데이터통신을 위해 필터를 제거할 경우, 이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환경조건에 따른 신호의 특성 변화율을 감소시키는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측으로 인가되는 하향대역의 신호에 가입자측으로 부터 인가되는 상향대역의 잡음이 인입되지 못하도록 상향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를 모듈화 한 후, 상기 필터모듈을 상향대역의 신호를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제1디스트리뷰터의 출력단과 제2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1디스트리뷰터의 출력단과 상기 제2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데이터통신과 단방향 데이터통신의 상호전환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의 회로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모듈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특성도.
도 5a, 5b는 도 3에 도시된 필터모듈이 인쇄회로기판측으로의 착/탈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 : 가입자 인입선 연결단자 10 : 외장형 상향대역 차단필터
20 : 분기기 하우징 30 :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31,32 : AC/RF부 33 : 필터모듈
34 : 점퍼 100 : 분기기
B, BR1∼BR8 : 브릿지 D1∼D7 : 디스트리뷰터
IN,OUT : 삽입구 IN',OUT' : 리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가입자 인입선 연결단자(1∼8)가 구비되며, 분기기 하우징(20)의 내부 양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송로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이 분기기 내측의 인쇄회로기판(30)으로 삽입접속된다.
한편, 분기기의 회로구성 블록도는 첨부된 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RF부(31,32), 필터모듈(33), 점퍼(34), 다수의 디스트리뷰터(D1∼D7) 및 브릿지(BR1∼BR8)를 구비한다. AC/RF부(31,32)는 전송선로로 부터 입력단을 통해 인입되는 AC전원과 RF신호를 인가받아 RF신호는 브릿지(BR1∼BR8) 및 디스트리뷰터(D1∼D7)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출력하고, AC전원과 RF신호를 출력단을 통해 전송선로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AC전원은 다음단의 분기기를 동작시킥 위한 전원이다. 디스트리뷰터(D1∼D7)는 인가되는 RF신호를 신호의 변화없이 동일한 RF신호로 분리하여 다수의 브릿지(BR1∼BR8)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분배한다. 점퍼(34)는 장착되었을 경우, 8개의 브릿지(BR1∼BR8) 모두를 양방향 통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점퍼(34)가 제거된 후, 해당 위치에 필터모듈(33)이 장착되면, RF신호는 필터모듈(33)에 의해 필터링되어 하향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상향대역의 신호는 차단함으로써, 필터모듈(33)의 출력단과 연결된 제2디스트리뷰터(D2) 및 제4, 제5디스트리뷰터(D4,D5)에 의해 분리된 4개의 하향대역의 신호는 잡음이 유입되지 않고 4개의 제1브릿지(BR1), 제2브릿지(BR2), 제3브릿지(BR3) 및 제4브릿지(BR4)로 하향대역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다수의 브릿지(BR1∼BR8)는 각각 가입자 인입선 연결단자(1∼8)와 연결되며 단방향 데이터통신일 경우, 필터링된 하향대역의 신호가 제1브릿지(BR1)∼제4브릿지(BR4)로 출력되고, 양방향 데이터통신일 경우에는 제1브릿지(BR1)∼제8브릿지(BR8)측으로 상향대역 및 하향대역의 신호가 입/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기기(100)에 구비된 8개의 가입자 인입선 연결단자(1∼8)중, 8개 모두를 양방향데이터통신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34)를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삽입구(IN,OUT)에 삽입하면,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RF신호는 제1디스트리뷰터(D1)에서 2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 된 후, 해당 분리된 신호는 각각 제2디스트리뷰터(D2)와 제3디스트리뷰터(D3)에 인가된다. 이후에, 제2디스트리뷰터(D2)에 인가된 RF신호는 2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되어, 제4디스트리뷰터(D4)와 제5디스트리뷰터(D5)에 각각 인가되는 바, 제4디스트리뷰터(D4)에서 2개, 제5디스트리뷰터(D5)에서도 2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되어 브릿지(BR1∼BR4)에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제3디스트리뷰터(D3)로 인가된 RF신호도 제6디스트리뷰터(D6) 및 제7디스트리뷰터(D7)를 통과하면도 4개의 RF신호로 분리된다. 따라서, 입력단을 통해 인가된 RF신호는 총 8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브릿지(BR5∼BR8)에 인가되므로, 한개의 분기기는 8개의 가입자 인입선을 연결하여 상향대역신호와 하향대역신호를 입/출력가능하게 된다. 즉,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분기기의 구비된 8개의 가입자 인입선 연결단자(1∼8)중, 4개는 단방향 데이터통신을 위해 사용하고, 나머지 4개는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위해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점퍼(34)를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삽입구에서 제거한 후, 첨부된 도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모듈(33)을 점퍼(34)가 삽입되었던 해당 삽입구(IN,OUT)에 삽입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필터모듈(33)의 리드는 다수개가 돌출되어 있으나, 전자회로상으로 필요한 리드는 2개(IN',OUT')이며, 해당 리드(IN',OUT')는 점퍼(34)가 삽입되었던 삽입구(IN,OUT)에 삽입되고, 나머지 리드는 필터모듈(33)을 인쇄회로기판(3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RF신호는 제1디스트리뷰터(D1)에서 2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 된 후, 해당 분리된 신호는 각각 필터모듈(33)과 제3디스트리뷰터(D3)에 인가된다. 이 때, 제3디스트리뷰터(D3)로 인가된 RF신호는 제6디스트리뷰터(D6) 및 제7디스트리뷰터(D7)를 통과하면서 4개의 RF신호로 분리되므로, 입력단을 통해 인가된 RF신호는 총 4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되어 4개의 브릿지(BR5∼BR8)에 각각 인가되므로, 제5브릿지(BR5)∼제8브릿지(BR8)의 4개는 가입자 인입선을 연결하여 상향대역의 신호와 하향대역의 신호를 모두 입/출력가능하게 된다. 즉, 양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디스트리뷰터(D1)로 부터 분리된 다른 한개의 RF신호는 제2디스트리뷰터(D2)로 인가되기 전에 필터모듈(33)에 인가되는 바, 첨부된 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RF신호는 필터모듈(33)에 의해 필터링되어 하향대역의 신호, 즉, 54MHz∼750MHz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54MHz이하의 상향대역의 신호는 차단함으로써, 하향대역의 신호에 잡음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후, 필터링된 RF신호는 제2디스트리뷰터(D2)에 인가되고, 제2디스트리뷰터(D2)에 인가된 RF신호는 2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되어, 제4디스트리뷰터(D4)와 제5디스트리뷰터(D5)에 각각 인가되는 바, 제4디스트리뷰터(D4)에서 2개, 제5디스트리뷰터(D5)에서도 2개의 동일한 RF신호로 분리되어 브릿지(BR1∼BR4)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1브릿지(BR1)∼제4브릿지(BR4)에 인가되는 RF신호는 하향대역의 RF신호로서 가입자 인입선과 연결되어 단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양방향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제5브릿지(BR5)∼제8브릿지(BR8)로 부터 발생되는 상향대역의 잡음은 제거된다. 상기에서, 필터모듈(33)을 제1디스트리뷰터(D1)와 제2디스트리뷰터(D2)사이에 삽입하는 것은, 한개의 필터모듈(33)을 이용하여 4개의 브릿지(BR1∼BR4)로 인입되는 상향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향주파수대역을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를 모듈화하여 분기기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방향데이터통신을 사용할 경우 다수의 외장형 필터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양방향데이터통신을 위해 필터를 제거할 경우, 이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환경조건에 따른 신호의 특성 변화율을 감소시킨다.

Claims (2)

  1.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측으로 인가되는 하향대역의 신호에 가입자측으로 부터 인가되는 상향대역의 잡음이 인입되지 못하도록 상향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를 모듈화 한 후, 상기 필터모듈을 상향대역의 신호를 일괄차단할 수 있도록 제1디스트리뷰터의 출력단과 제2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1디스트리뷰터의 출력단과 상기 제2디스트리뷰터의 입력단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데이터통신과 단방향 데이터통신의 상호전환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KR1019970040762A 1997-08-25 1997-08-25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KR10024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62A KR100249141B1 (ko) 1997-08-25 1997-08-25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62A KR100249141B1 (ko) 1997-08-25 1997-08-25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38A KR19990017738A (ko) 1999-03-15
KR100249141B1 true KR100249141B1 (ko) 2000-03-15

Family

ID=1951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62A KR100249141B1 (ko) 1997-08-25 1997-08-25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74B1 (ko) 2001-12-15 2003-12-01 (주)코어넷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38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369B2 (en) Distribution connection module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systems technology
US8582585B2 (en) Distribution device in a subscriber connection area
US20080266049A1 (en) Active Distribution Device in a Subscriber Connection Area
KR100249141B1 (ko) 분기기의 필터내장 방법
US5594347A (en) Non-invasive testing of video signals with a jack module and amplification circuit
JP4184978B2 (ja) 測定装置および電気通信アセンブリ
CN101151910B (zh) 电信模块和包括至少一个电信模块的组件
JP3976122B2 (ja) 多重通信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20070183446A1 (en) Broadband and narrowband service processing apparatus i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EP1135923B3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the distribution and transfer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ignals
KR200156086Y1 (ko) 상향 잡음 저지 모듈 내장 분기기
WO1996037929A1 (en) Switching coax jack with amplified monitor
US6535602B1 (en) Telecommunications wiring device
KR100455660B1 (ko) xDSL용 삽입형 스플리터
US7177394B2 (en) Connection architecture for XDSL networks and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for said architecture
KR20000039811A (ko) 비대칭 디지탈 가입자선의 음성신호/데이터신호 분리장치
US20030007629A1 (en) Inlet splitting plane, high pass filter splitting plane, and main distribution frame
JP3623595B2 (ja) 通信機器用保安器
KR200241703Y1 (ko)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KR200223554Y1 (ko) 씨에이티비 분기기
KR100425587B1 (ko) 전주형 오앤유 시스템에서의 스플리터 내장형 단자반
EP15842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equipment into a telephone line
KR200355070Y1 (ko) 유선방송망용 분기기
GB2382473A (en) Cable tap unit
KR19990005184U (ko) 프린트배선회로용기판을 이용한 엠.디.에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