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703Y1 -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703Y1
KR200241703Y1 KR2020010014218U KR20010014218U KR200241703Y1 KR 200241703 Y1 KR200241703 Y1 KR 200241703Y1 KR 2020010014218 U KR2020010014218 U KR 2020010014218U KR 20010014218 U KR20010014218 U KR 20010014218U KR 200241703 Y1 KR200241703 Y1 KR 200241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voltage
terminal
c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연
Original Assignee
(주)모음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음정보 filed Critical (주)모음정보
Priority to KR2020010014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70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통신망의 통신영역별로 설치되는 상위교환기의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상위분배하우징과,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하위교환기의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하위교환기동작전압공급장치에 연결된 전압케이블을 인입하는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와,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상기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와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위교환기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을 인입하는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와,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는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된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를 갖는 상위분배반과; 상기 상위교환기의 통신영역내에 분산설치되는 하위교환기의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하위분배하우징과 상기 하위분배하우징에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위교환기에 연결된 전압분배케이블을 수용하는 하위전압케이블인출단자를 가지며,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에 결합되는 1조의 분배단자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상위분배반에 연결되는 하위분배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교환망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DISTRIBUTION DEVICE OF VOLTAGE AND COMMUNICATION SIGNAL}
본 고안은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통신망의 통신영역별로 설치되는 상위교환기와 상위교환기의 통신영역내에 분산설치되는 하위교환기사이의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을 구성하는 교환기는 소정의 동작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교환기 설치영역에 교환기동작전압공급용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교환기동작전압공급용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바, 설치공간이 부족한 영역에 설치되는 교환기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의 하나가 도4에 되시되어 있다.
도4는 종래의 근거리통신망에서 상위스위칭허브와 하위스위칭허브사이의 전압 및 통신신호의 분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근거리통신망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층건물(77)의 지하층에 설치된 상위스위칭허브(61)와 24층에 설치된 하위스위칭허브(41)를 갖고 있다. 상위스위칭허브(61)와 하위스위칭허브(41)는 통신신호분배케이블(17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위스위칭허브(61)는 중계케이블(70)을 통하여 라우터(Router,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라우터와 하위스위칭허브(41)사이의 통신신호를 처리하는 상위통신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하위스위칭허브(41)에는 다수의 가입자단말기(81a...81n)가 연결되어 있고, 가입자단말기(81a...81n)와 상위스위칭허브 (61)사이의 통신신호를 처리하는 하위통신신호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상위스위칭허브(61)의 인접영역에는 전원공급장치(51)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공급장치(51)는 상위전압케이블(71)을 통하여 상위스위칭허브(61)에 연결된 상위허브동작전압공급부(55)와 하위전압케이블(173)을 통하여 하위스위칭허브(41)에 연결된 하위허브동작전압공급부(5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위스위칭허브(61)와 하위스위칭허브(41)는 각각 상위전압케이블(71) 및 하위전압케이블(173)을 통하여 동작전압을 공급받아 통신신호분배케이블(176)을 통하여 통신신호를 교환한다. 이에 따라, 라우터와 가입자단말기(81a...81n)사이에 통신경로가 설정되어 근거리통신망 가입자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상위스위칭허브(61) 및 하위스위칭허브(41)에 동작전압을 공급하고 이들 사이에 통신신호를 교환하는 방법에 따르면, 2조의 전압케이블(71, 173)과 1조의 통신케이블(176)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입자단말기의 설치장소에 마련된 상용전원으로부터 하위스위칭허브의 동작전압을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근거리통신망외 다른 통신망에 대해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1조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하위교환기에 동작전압을 공급하고 상위 및 하위교환기사이에 통신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의 상위분배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상위분배반의 회로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를 근거리통신망(LAN)에 적용한 도면,
도4는 종래의 근거리통신망에서 상위스위칭허브와 하위스위칭허브사이의 전압 및 통신신호의 분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분배반 11 :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부
13 :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 21 : 상위케이블분배단자부
23 :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25 :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
31 :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부 41 : 하위스위칭허브
51 : 전원공급장치 61 : 상위스위칭허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소정 통신망의 통신영역별로 설치되는 상위교환기와 상기 상위교환기의 통신영역내에 분산설치되는 하위교환기사이의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위교환기의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상위분배하우징과,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하위교환기의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하위교환기동작전압공급장치에 연결된 전압케이블을 인입하는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와,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상기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와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위교환기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을 인입하는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와,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는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된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를 갖는 상위분배반과; 상기 하위교환기의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하위분배하우징과 상기 하위분배하우징에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위교환기에 연결된 전압분배케이블을 수용하는 하위전압케이블인출단자를 가지며,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에 결합되는 1조의 분배단자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상위분배반에 연결되는 하위분배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통신신호의 전송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분배단자연결케이블은 UTP케이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상위분배반과 하위분배반을 갖고 있으며, 이들 분배반중 상위분배반이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의 상위분배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상위분배반의 회로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의 상위분배반(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분배하우징(3)을 갖고 있으며, 이 상위분배하우징(3)의 전면에는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부(31),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부(11) 및 상위케이블분배단자부(21)가 소정 간격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부(31)는 상위분배하우징(3)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봉상의 내부도체와 원형의 외부도체로 구성된 한 쌍의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33, 35, 도2 참조)를,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부(11)는 상위분배하우징(3)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두 쌍의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13)를, 상위케이블분배단자부(21)는 상위분배하우징(3)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23)와 2쌍의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25)를 각각 갖고 있다. 여기서,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13),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21) 및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23)는 각각 스트립(Strip)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 (33, 35)는 한 쌍의 연결도선(37)을 통해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23)와 연결되어 있고,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13)는 2쌍의 연결도체(27)를 통해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25)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를 근거리통신망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전원공급장치(53), 상위스위칭허브(61), 하위스위칭허브(41)의 구성과 기능은 도4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와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를 근거리통신망에 적용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중 상위분배반(1)은 상위스위칭허브(61)의 인접영역에, 하위분배반(1')은 하위스위칭허브(41)의 인접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상위 및 하위 분배반(1,1')들은 상위전압케이블분배 단자(23) 및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25)와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도시되지 않음) 및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 1조의 분배단자연결케이블 (7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분배단자연결케이블(76)의 양단에는 분배단자(23, 25)들에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단자연결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분배단자연결케이블(76)은 통신신호의 전송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UTP(Unshielded Twisted -Pair)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위분배반(1)의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31)는 상위전압케이블(73)을 통하여 상위허브동작전압생성부(53)에,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13)는 상위통신케이블 (65)을 통하여 상위스위칭허브(61)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하위분배반(1')의 하위전압케이블인출단자(도시하지 않음) 및 하위통신케이블인출단자(도시하지 않음)는 각각 하위전압케이블(74) 및 하위통신케이블(75)을 통하여 하위스위칭허브(41)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따르면, 하위허브동작전압생성부 (53)에서 생성된 동작전압은 상위전압케이블(73), 분배단자연결케이블(76) 및 하위전압케이블(74)을 통하여 하위스위칭허브(41)에 분배되고, 라우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거나 라우터로 송신되는 통신신호는 상위통신케이블(65), 분배단자연결케이블(76) 및 하위통신케이블(75)을 통하여 상위스위칭허브(61)와 하위스위칭허브 (41)사이에서 교환된다. 이에 따라, 라우터와 가입자단말기 (81a...81n)사이에 통신경로가 설정되어 근거리통신망 가입자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1조의 케이블을 설치하여 하위스위칭허브에 동작전압을 공급하고 스위칭허브들사이에 통신신호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근거리통신망에 대하여 본 고안을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일반전화망등 다른 통신망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하위교환기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의 크기가 2이상이거나 상위교환기와 하위교환기사이의 거리가 멀어 전압강하가 큰 경우에는 동작전압의 수 또는 소요전류량에 따라 분배단자 및 분배단자연결케이블의 심선수를 증가시켜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하위교환기의 동작전압이 직류인 경우는 물론 교류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압 및 통신신호 분배단자들은 여러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1조의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통신케이블분배단자를 갖는 1쌍의 분배반을 사용하여 소정 통신망의 통신영역별로 설치되는 상위교환기와 상위교환기의 통신영역내에 분산설치되는 하위교환기사이에 통신신호를 교환하고 하위교환기에 동작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교환망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 통신망의 통신영역별로 설치되는 상위교환기와 상기 상위교환기의 통신영역내에 분산설치되는 하위교환기사이에 개재하는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위교환기의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상위분배하우징과,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하위교환기의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하위교환기동작전압공급장치에 연결된 전압케이블을 인입하는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와,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상기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와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위교환기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을 인입하는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와, 상기 상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상위전압케이블인입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는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위통신케이블인입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된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를 갖는 상위분배반과;
    상기 하위교환기의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하위분배하우징과 상기 하위분배하우징에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위분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위교환기에 연결된 전압분배케이블을 수용하는 하위전압케이블인출단자를 가지며, 상기 하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하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와 상기 상위전압케이블분배단자 및 상위통신케이블분배단자에 결합되는 1조의 분배단자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상위분배반에 연결되는 하위분배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단자연결케이블은 UTP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KR2020010014218U 2001-05-15 2001-05-15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KR200241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218U KR200241703Y1 (ko) 2001-05-15 2001-05-15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218U KR200241703Y1 (ko) 2001-05-15 2001-05-15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703Y1 true KR200241703Y1 (ko) 2001-10-29

Family

ID=7306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218U KR200241703Y1 (ko) 2001-05-15 2001-05-15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7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6416B2 (en) Electical connection system
GR3001245T3 (en) Divider device, particularly for the main divider of telecommunication installations
US7830669B2 (en) Contact bank
KR200241703Y1 (ko)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KR20040101288A (ko) 측정 장치 및 통신 조립체
US11888255B2 (en) Single pair ethernet connector
KR101634125B1 (ko) 통신장비연결용 판넬
CN206620145U (zh) 基于G.hn标准的同轴网桥主机
RU2235442C2 (ru)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и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связи 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игналов,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игналов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связи 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игналов
KR101108938B1 (ko)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CN211930795U (zh) 一种具有快速寻线功能的poe配线架
KR100440709B1 (ko) 초고속 정보 통신 건물의 단위 세대 내 통신망 시스템
KR200276712Y1 (ko) 음성 아날로그신호/ 데이터 디지탈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KR20060121358A (ko) 네트워크 구성에 프린터공법을 이용한 망 구축방법
KR20160089002A (ko)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KR200276217Y1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전송 및 전원공급 커넥터
JP3057193B2 (ja) Mdf装置
KR200262624Y1 (ko)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CA1159976A (en) Low cost user reprogrammable communication system
GB2286730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KR100997029B1 (ko) 홈 네트워크 구현 시스템
KR200247640Y1 (ko) 초고속 정보 통신 건물의 단위 세대 내 통신망 시스템
MY159016A (en) Imrpovements in broadband filter installations and connections
US5905316A (en) Structured cabling
US6702591B2 (en) Current mode data bus incorporating integrated coupler circui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