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624Y1 -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 Google Patents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624Y1
KR200262624Y1 KR2020010030315U KR20010030315U KR200262624Y1 KR 200262624 Y1 KR200262624 Y1 KR 200262624Y1 KR 2020010030315 U KR2020010030315 U KR 2020010030315U KR 20010030315 U KR20010030315 U KR 20010030315U KR 200262624 Y1 KR200262624 Y1 KR 200262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wiring
jack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섭
Original Assignee
정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섭 filed Critical 정용섭
Priority to KR2020010030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62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보통신기기들의 배선을 공용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각 통신시스템들을 통합한 통합통신시스템(10)과, 이 통합통신시스템(10)과 각 송수신기들과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인 공용배선(20)과, 이 공용배선(20)과 엔드 유저(End User)의 각 송수신기들과의 접속을 위한 통합단자함(30)이 마련된다.

Description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CONNECTION UNIT OF USE DISTRIBUTING WIRES IN COMMON}
본 고안은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정보통신기기의 배선을 공용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자동화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건물내에 각종 통신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시스템은 일례로 LAN(Local Area Network), 하나의 주장치에 일정수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키폰시스템, 인터넷망을 이용한 웹폰시스템(인터넷폰 또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al; VoIP), 한 개의 인터넷 IP Address로 여러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인터넷 공유시스템 등이 있다.
그런데, 기존 건축물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폰(1)을 사용하기 위한 배선(2)과 LAN을 위한 배선(3)이 각기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추가로 웹폰(미도시) 또는 인터넷 공유기(미도시) 등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별도의 배선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각 정보통신기기가 설치될 때마다 새로운 배선공사가 이루어짐으로서 공사 비용이 높아지고, 사용중 각 정보통신기기간의 배선이 상호 얽힘으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후에도 컴퓨터나 전화기가 새로이 추가되거나 위치가 이동될 경우에도 각각의 배선공사를 새로이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인건비의 추가 부담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보통신기기의 최적운용 및 오피스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각 통신시스템의 통합과 더불어 배선을 공용화함으로서 배선공사에 따른 작업공정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고,공사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통신기기들과 엔드 유저간의 배선상태를 보인 계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보통신기기들와 엔드 유저간의 배선상태를 보인 계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통신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통합통신시스템과 통합단자함과의 접속관계를 보인 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잭을 보인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통합통신시스템 20:공용배선
30:통합단자함 50:멀티 잭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통신기기들의 입출력부를 통합한 통합단자함과, 통합단자함에 접속되고 정보통신기기들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로를 포함하되 일체로 형성된 공용배선과, 공용배선내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로를 분기하여 각 엔드 유저의 송수신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속 잭이 마련된 멀티 잭으로 구성된다. 또, 통합단자함은 다수의 접속 잭이 구비되고 각각의 접속 잭은 인터넷 및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허브의 특정채널과, 내선 및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키폰 단말기의 특정채널 또는 타 정보통신기기의 특정채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공용배선은 그 내부의 1,2,3,6번은 인터넷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시그널 선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복수의 시그널 선은 전화기나 타 정보통신기기의 시그널 선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적어도 8선 이상의 시그널 선을 포함하는 UTP 케이블로 구성된다. 또, 멀티 잭은 일단이 통합단자함과 접속된 공용배선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입력측 삽입 잭과, 이 삽입 잭에 접속된 공용배선의 시그널 선을 분기하여 엔드 유저의 송수신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측 삽입 잭이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 유니트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각 통신시스템들을 통합한 통합통신시스템(10)과, 이 통합통신시스템(10)과 각 송수신기들과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인 공용배선(20)과, 이 공용배선(20)과 각 송수신기들과의 접속을 위한 통합단자함(30)이 마련된다.
여기서 통신시스템은 주장치로서 각각의 송수신기로 데이터(음성, 화상,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기로, LAN(Local Area Network), 하나의 주장치에 일정수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키폰시스템, 인터넷망을 이용한 웹폰시스템(인터넷폰 또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al; VoIP), 한 개의 인터넷 IP Address로 여러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인터넷 공유시스템 등을 말한다.
또, 송수신기들은 주장치로부터 데이터(음성, 화상, 아나로그,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기로 키폰(41), PC(42), 웹폰(인터넷폰, VoIP) 등을 말한다.
다음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통합통신시스템(10) 및 공용배선(20), 그리고 통합단자함(30)를 설명한다.
먼저, 통합통신시스템(10)은 전술한 통신시스템이 갖는 입출력단자를 통합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과 접속되고 다수의 키폰을 제어하며 사설 교환기능을 갖는 교환기(11)와, 인터넷 전용선과 접속되며 한 개의 인터넷 IP Address로 여러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IP 공유기(12)와, IP 공유기(12)와 교환기(11)에 접속되며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음성, 화상, 문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웹폰 콘트롤러(13)와, 인터넷 공유기와접속되며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허브(14) 등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통합통신시스템(10)은 인터넷 접속, 네트워크 구성, 키폰, 웹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 정보통신기기(11,12,13,14)가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설치되거나, 각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통신기기(11,12,13,14)가 하나의 케이스내에 슬롯방식의 기판으로 각기 제작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무실내에 분산 설치된 통신시스템을 통합하므로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통합단자함(30)은 엔드 유저(End User) 각각의 컴퓨터(42)와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엔드 유저 각각의 전화기(41)와 접속하여 내선 및 국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허브(14) 및 키폰 교환기(11)의 입출력단자를 통합한 것이다. 일례로 공용배선을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로 사용할 경우, UTP 케이블(21)의 시그널 선 중 4개는 LAN용으로 나머지 4개는 전화나 기타 정보통신기기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UTP 케이블(21)은 그 안에 8개의 시그널 선이 있고 LAN구축 과정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시그널 선은 1,2,3,6번 4개 뿐이다. 따라서, 4,5번 또는 7,8번을 전화선으로 사용하거나 기타 정보통신기기용의 시그널 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단자함(30)의 각 단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14)의 각 단자 1,2,3,6번과 교환기(11)의 각 단자 또는 기타 정보통신기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노드(a~h)와 UTP 케이블(21)의 RJ-45 플러그(Plug)(22)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 즉, RJ-45 잭(Jack)(31)을 갖게된다.
이에 따라, 통합통신시스템(10)에 내장된 각 정보통신기기들은 통합단자함(30)과 UPT 케이블(21)에 의해 하나의 배선으로서 엔드 유저(End User)가 사용하는 송수신장치, 일례로 PC(42), 전화기(41) 등과 접속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UTP 케이블(21)의 끝단에는 RJ-45 플러그(23)가 마련되고, 이 RJ-45 플러그(23)는 엔드 유저의 책상에 놓인 PC(42), 전화기(41) 등과 접속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멀티 잭(50)의 RJ-45 잭(51)에 삽입 결합된다.
멀티 잭(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단자함(30)으로부터 인출된 UTP 케이블(21)과 접속하기 위한 RJ-45 잭(51)과, UTP 케이블(21)의 시그널 선을 LAN용과 전화나 기타 통신용으로 분기하여 엔드 유저의 컴퓨터(42)나 전화기(41) 등과 용이하게 접속 가능하도록 RJ-45 잭(52)과 RJ-11 잭(53)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멀티 잭(50)을 양호하게 책상의 벽면 등에 설치하여, 통합단자함(30)으로부터 인출된 하나의 UTP 케이블(21)을 통해 엔드 유저의 컴퓨터(42)와 전화(41), 기타 정보통신기기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UTP 케이블, RJ-45 플러그, 잭, RJ-11 잭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UTP케이블은 적어도 6선 이상의 시그널 선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어느 케이블로 교체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RJ-45 플러그, 잭, RJ-11 잭은 케이블과 정보통신기기(컴퓨터, 전화기, 기타 통신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그 규격 및 접속구조 등에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UTP 케이블의 RJ-45 플러그를 생략한 채 UTP 케이블의 시그널 선을 멀티 잭에 직접 접속하더라도 본 고안은 양호하게 구현된다. 또, RJ-11 잭을 생략한 채 멀티 잭 내에 미리 단자를 만들어 두어 전화선을 직접 접속시키더라도 본 고안은 양호하게 구현된다. 즉,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요소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의 작용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통합통신시스템(10)내의 정보통신기기 중 엔드 유저의 송수신기(컴퓨터, 전화기, 기타 통신기기)와 접속이 필요한 경우 그 각각의 입출력단자는 통합단자함(30)의 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후, 공용 배선으로 UTP 케이블(21)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UTP 케이블(21)의 일측단 RJ-45 플러그(22)를 통합단자함(30)의 어느 한 잭에 삽입 결합하고, UTP 케이블(21)의 타측단 RJ-45 플러그(23)를 엔드 유저의 책상 벽면에 설치된 멀티 잭(50)의 입력측 RJ-45 잭(51)에 삽입 결합시킨다.
그리고 엔드 유저의 컴퓨터(LAN 카드)(42)로부터 인출된 통신선로를 멀티 잭(50)의 출력측 RJ-45 잭(52)에 삽입 결합하고, 전화기(41)나 기타 정보통신기기의 통신선로를 멀티 잭(50)의 출력측 RJ-11 잭(53)에 삽입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통합통신시스템(10)과 엔드 유저의 컴퓨터(42), 전화기(41), 기타 정보통신기기들이 하나의 배선으로 양호하게 접속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최적운용 및 오피스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각 정보통신기기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통신기기와 엔드 유저간의 통신선로를 하나의 배선으로 공용화하므로서 배선공사에 따른 작업공정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배선공사가 완료된 이후, 엔드 유저의 컴퓨터나 전화기가 새로이 추가되거나 위치가 이동되더라도 하나의 공용배선만으로 충분히 수용가능하므로 종래 각각의 배선공사에 따른 번거로움과 그로 인한 인건비의 추가 부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정보통신기기들과 각 엔드 유저(End User)의 송수신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기기들의 입출력부를 통합한 통합단자함과,
    상기 통합단자함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통신기기들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로를 포함하되 일체로 형성된 공용배선과,
    상기 공용배선내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로를 분기하여 각 엔드 유저의 송수신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속 잭이 마련된 멀티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단자함은
    다수의 접속 잭이 구비되고 각각의 접속 잭은 인터넷 및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허브의 특정채널과, 내선 및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키폰 단말기의 특정채널 또는 타 정보통신기기의 특정채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배선은
    그 내부의 1,2,3,6번은 인터넷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시그널 선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복수의 시그널 선은 전화기나 타 정보통신기기의 시그널 선으로할당할 수 있도록 적어도 8선 이상의 시그널 선을 포함하는 UTP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잭은
    일단이 상기 통합단자함과 접속된 상기 공용배선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입력측 삽입 잭과,
    상기 삽입 잭에 접속된 상기 공용배선의 시그널 선을 분기하여 엔드 유저의 송수신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측 삽입 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배선용 유니트.
KR2020010030315U 2001-10-05 2001-10-05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KR200262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15U KR200262624Y1 (ko) 2001-10-05 2001-10-05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15U KR200262624Y1 (ko) 2001-10-05 2001-10-05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624Y1 true KR200262624Y1 (ko) 2002-03-20

Family

ID=7310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15U KR200262624Y1 (ko) 2001-10-05 2001-10-05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6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941B2 (en) Modular jack with cooling slots
JP5539414B2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配線上での通信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960043646A (ko) 단일 채널을 이용한 다중접속방법
KR200262624Y1 (ko)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KR20080057614A (ko) 유티피 케이블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네트워크
KR20010090336A (ko) 가입자 단말기 통합 접속 시스템
KR100319900B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KR200271527Y1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KR20030048628A (ko) 홈피엔에이 모듈을 갖는 엑스디에스엘 모뎀 카드
KR100440709B1 (ko) 초고속 정보 통신 건물의 단위 세대 내 통신망 시스템
JP4113771B2 (ja) 分岐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20030026501A (ko) 랜 케이블을 이용한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신호 전송 시스템
KR100945106B1 (ko)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US20020161916A1 (en) Multichannel network, network connection, and switching apparatus
KR200247640Y1 (ko) 초고속 정보 통신 건물의 단위 세대 내 통신망 시스템
KR200256253Y1 (ko) 통신과 데이타용 멀티잭
KR20030032146A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US20060280170A1 (en) Voice multi-tap apparatus
KR20010111067A (ko) 다중화 허브
JP2004178864A (ja) ケーブル接続アダプタ
KR100419078B1 (ko) 홈멀티플렉서구조
KR200257733Y1 (ko) 디지털 터미널 억세스 멀티허브 다중화시스템
JP2000050474A (ja) 情報コンセントおよび配線システム
KR20040001245A (ko) 외부 판넬에 홈네트워크 장비 연결용 인입 및 인출단자를갖는 세대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