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106B1 -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106B1
KR100945106B1 KR1020090016484A KR20090016484A KR100945106B1 KR 100945106 B1 KR100945106 B1 KR 100945106B1 KR 1020090016484 A KR1020090016484 A KR 1020090016484A KR 20090016484 A KR20090016484 A KR 20090016484A KR 100945106 B1 KR100945106 B1 KR 10094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home network
data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filed Critical 이재희
Priority to KR102009001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106B1/ko
Priority to PCT/KR2010/001263 priority patent/WO2010098637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공유연결부 및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원, 데이터 통신연결 등에 대한 다수의 케이블 연결에 있어서,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도 연동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이용에 따르는 다양한 상황조건에 부합하여 이용자가 네트워크 설정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공유기, 전원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HOME NETWORK COMMON APPARATUS}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원, 데이터 통신연결 등에 대한 다수의 케이블 연결에 있어서,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도 연동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이용에 따르는 다양한 상황조건에 부합하여 이용자가 네트워크 설정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통신은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교류였지만, 최근 또는 미래의 통신은 컴퓨터 이외에 다른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고 활용한다. 지금의 전자장치 및 서비스는 점점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 정보이용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IP 폰 및 IP TV는 컴퓨터를 켜지 않고 이용하는 대표적인 그 예이다.
예전의 통신은 컴퓨터만 인터넷을 사용하는 관계로 컴퓨터 중심적이었는데, 지금은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가 많아지는 관계로 라우터 또는 스위치가 중심이 되고 있다.
현재 데이터 및 전원이 필요한 여러 가지 전자장치들이 출시되고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전자장치를 사용하면서 관리하여야 하는 전원선과 통신선이 많아지므로 보관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복잡한 통신환경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무수히 많은 전원선과 통신선을 간단하게 구현하고,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다양한 사용환경에 부합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원, 데이터 통신연결 등에 대한 다수의 케이블 연결에 있어서,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도 연동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이용에 따르는 다양한 상황조건에 부합하여 이용자가 네트워크 설정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상기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공유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전자장비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비에 제공되는 전류를 예정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전자장비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비에 제공되는 전류를 예정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또는 상기 제 2 공유연결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의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부는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또는 상기 제 2 공유연결부에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의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부는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에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자장비 간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연결케이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선로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여 전자장비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선로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는 통합형 스플리터부,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선로부와 잭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는 잭타입 스플리터부, 상기 잭타입 스플리터부와 잭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잭타입 스플리터부와 잭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제공받은 후,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자장비 간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연결케이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선로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여 전자장비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선로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는 통합형 스플리터부,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로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선로 및 상기 전원을 전달하는 선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와 차폐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제공받은 후,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및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둘 이상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규격과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둘 이상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규격과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10핀의 이더넷 포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0번 핀 및 9번 핀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동시 전달할 때에는 상기 10핀의 이더넷 포트와 상응하는 포트 연결을 이루고, 상기 데이터 신호만을 전달할 때에는 1번 핀 내지 8번 핀과 상응하는 8핀의 이더넷 포트를 통한 포트 연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는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또는 홈 영역의 전화선로, 방송선로 또는 전력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는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상기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통해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를 이루는 홈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를 이루는 홈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전원전달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을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기 위한 전자장비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전원을 제공받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기 위한 데이터 연결단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는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홈 영역의 전화선로, 방송선로 또는 전력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제 2 공유연결부,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기 위한 전자장비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상기 제 2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전원을 제공받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상기 제 2 공유연결부,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기 위한 데이터 연결단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원, 데이터 통신연결 등에 대한 다수의 케이블 연결에 있어서,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도 연동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이용에 따르는 다양한 상황조건에 부합하여 이용자가 네트워크 설정할 수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예컨대, LAN 스위치 또는 라우터, 100)는 홈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다수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장비(예컨대, VoIP, 컴퓨터 또는 IPTV)에 데이터 신호(예컨대, 이더넷 신호)를 전달하는 장비이며, 더 나아가 상기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전원공급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예정된 레벨(예컨대, 5V)의 전원도 함께 전달할 수 있는 장비이다.
여기서, 데이터 회선(예컨대, 이더넷 선)에 전원을 보내는 방법은 이미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 대비되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면, 기존의 데이터 회선에 전원을 보내는 방식은 한 쪽에서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보내면 다른 한 쪽은 받는 구조 즉 일방적인 구조인 것에 반해, 본 발명의 개념은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에서 전원을 공급해서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제공받아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양방향 전원공급이 가능한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필요로 하는 통신장비의 전원 연결단자와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 중 전원 포트 간에 연결되어야 가능하다.
아울러,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에 연결되는 통신전자 제품은 전기를 얼마만큼 소비하는지 알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예컨대, 아답터)가 5V 6A인 경우 30W이므로 전원공급장치에는 30이라는 숫자를 표기하고, 홈 네트워크 공유장 치는 10W, VoIP는 15W라고 하면 각각 10과 15로 각 장치에 표기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용량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는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예컨대, 이더넷 기반의 회선)을 공유하여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는 제 1 공유연결부(110), 전원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공급장치(200)와 연결하여 전원을 제공받아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제공받은 전원을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전자장비에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공유연결부(110)는 LAN 스위치 또는 라우터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지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과 연결되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홈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한다.
제 1 공유연결부(110)는 홈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하여 제공받은 데이터 신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 설정을 통해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다수의 포트를 통해 여러 전자장비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전자장비와 연결되는 포트를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달하기 위한 방식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핀을 사용하는 RJ45를 이용하여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구현하는 경우, 1,2, 3 및 6번 핀을 통하여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7,8번 핀을 통하여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전자장비 또는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전자장비 등으로 구현되어야 함에 따라, 데이터 신호만 공급하는 단자와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공급하는 단자로 구분하기 위해 색깔 또는 단자의 모양 등을 각각 다르게 하여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장비가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제공하는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 전류를 많이 사용하여 다른 전자장비와 제 1 공유연결부(110) 간의 구동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 것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전원이 공급되는 포트 선(예컨대, 상기에서의 7,8번 핀)에 전류를 예정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전류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전자장비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달하게 되면 전원으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차단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회로를 전원공급 선로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둘 이상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규격과 호환 가능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RJ45와 호환 가능한 10핀짜리 모듈러 잭을 통해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구현하는 경우, 1,2,3,6번 핀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0,9번 핀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10핀짜리 모듈러 잭과 상응하는 전자장비가 연결될 때에만 전원 및 데이터 신호가 함께 전달된다.
반대로, 호환 가능한 RJ45호환 10핀 모듈러 잭을 통해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와 연결 설정하는 전자장비는 상기의 10핀들 중 1번 내지 8번 핀과 연결되므로 데이터 신호만 전달받게 된다.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에는 USB 단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포트 규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로 전원만 공급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300)를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1 공유연결부(310) 및 전원공급부(320)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또 다른 형태로 공유하여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공유연결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공유연결부(310)는 USB 허브회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고, 기본적으로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USB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위치 또는 라우터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전자제품에 전원도 공급가능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US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스위치 또는 라우터를 구동 및 추가 전원 전송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공유연결부(310) 및 제 2 공유연결부(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홈 네트워크에서의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34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통신부(340)는 무선 USB, 무선 AP,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 규격으로 구현되는 것이며, 모듈화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및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제 1 공유연결부(310) 또는 제 2 공유연결부(330)에 통합되어 구현된다.
더 나아가, 홈 네트워크가 홈 영역의 전화선로, 방송선로 또는 전력선로를 기반으로 하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공유연결부(310) 또는 제 2 공유연결부(330)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연결하기 위한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350)와 연결된다.
또한, xDSL, 광통신, 케이블통신 등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과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350)는 모듈화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또는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통해 제 1 공유연결부(310) 또는 제 2 공유연결부(330)에 간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가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이더넷 기반의 데이터 신호를 홈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한 회선 공유를 설정하고, 회선 공유를 설정한 데이터 포트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홈 네트워크에 함께 전달한다.
또한, 이 경우는 홈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회선을 통하여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 회선이 전화선에 기반하는 경우에는 전화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경우에서의 전원 공급은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영역(예컨대, 안방, 거실, 작은방 등)마다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는 홈 네트워크가 전화선, 방송선 또는 전력선을 기반으로 하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부(예컨대, 모듈화된 홈 네트워크 모듈, 400)와 연결되어 이선식 기반의 홈 네트워크와 연동한다.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를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에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 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고, 또는 홈 네트워크 모듈에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모듈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부(400)를 이루는 구성인 홈 네트워크 모듈은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은 후, 1,2,3,6번의 4선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신호처리부를 거쳐 이선식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이선식 데이터 신호를 스플리터를 통해 전화신호와 결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는 전원단자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선식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자장비 내의 전원전달 회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단지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비는 제 1 공유연결부, 제 2 공유연결부 및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거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자장비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제 1 공유연결부, 제 2 공유연결부, 기간통신망의 통신모뎀 및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기 위한 데이터 연결단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를 이루는 홈 네트워크 모듈도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 및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여 제 1 공유연결부에 전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가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고 별도의 전원전송 모듈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전달하는 시스템은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 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전원 공급이 불가한 경우, 홈 영역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실질적으로 홈 영역의 어느 곳에서도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며, 공유한 회선을 홈 네트워크 모듈을 거쳐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 연동하게 된다.
한편, 홈 네트워크에 데이터 신호 뿐만 아니라 전원도 함께 공급하기 위한 전원전송 모듈이 추가되어 홈 네트워크 모듈 및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 등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고, 더 나아가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는 다른 전자장비들에도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함께 전달한다.
상기에서의 다른 전자장비들은 각각의 홈 영역에 위치하는 것들로서,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제공받기 위해 상응하는 홈 영역마다 구비되는 홈 네트워크 모듈 및 전원전송 모듈과 연결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원전송 모듈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송 모듈(500)은 홈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에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4선의 전화단자 포트들 중 2선을 통해 출력하고 잔여 2선을 통하여는 전화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전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전원전송 모듈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송 모듈(600)은 홈 네트워크 모듈과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에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와 전화선으로부터 전화신호를 4선의 전화단자 포트 중 2선을 통해 출력하고 잔여 2선을 통하여는 전원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가 세대단자함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710)는 홈 영역의 세대단자함(700)과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세대단자함(700) 내에는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10)가 구비되어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710)로부터 인터넷의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다수개로 분기되는 포트들과 연결되어 각 홈 영역의 전자장비들과 연결된다.
여기서, 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상의 제 2 네트워크 연결장치(800)가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20)와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에 추가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네트워크 연결도 가능하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세대단자함의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20)를 일실 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20)는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이 4선으로 배선되는 경우,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동일한 포트 선(예컨대, 1,2번 포트 선)을 통해 전달하는 제 1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장치(800)는 홈 네트워크에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 2 연결포트와 같이 전원을 차단하는 HPF(High Pass Filter) 필터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이 8선으로 배선되는 경우에 데이터 신호는 1,2,3,6번 포트 선으로 전달하고 전원은 7,8번 포트 선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제 3 연결포트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20)와 연결되는 제 2 네트워크 연결장치(800)에 대한 다양한 구성도이다. 도 1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네트워크 연결장치(800)는 홈 네트워크가 4선으로 배선되는 경우인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20)의 제 1 연결포트 또는 제 2 연결포트와 상응하여 도 11a 또는 도 11b와 같이 이루어지거나, 홈 네트워크가 8선으로 배선되는 경우인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720)의 제 3 연결포트와 상응하여 도 11c 또는 도 11d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700)와 전자장비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케이블부의 다양한 구성도이다. 홈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각 포트들은 상응하는 전자장비 등에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케이블부와 결합하게 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부(900)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의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또는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거나, 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입출력 포트와 결합하여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810),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선로(820)부, 및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분리하여 전자장비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 2 연결부(8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연결부(830)는 선로부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분리하는 통합형 스플리터부(831),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전자장비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832), 및 통합형 스플리터부(831)와 케이블 연결되어 전자장비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833)를 포함한다.
다른 방식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부(1100)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의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또는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거나, 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입출력 포트와 결합하여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1110),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선로부(1120), 및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분리하여 전자장비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 2 연결부(1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연결부(1130)는 선로부(1120)와 잭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분리하는 잭타입 스플리터부(1131), 잭타입 스플리터부와 잭 연결되어 전자장비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1132), 및 잭타입 스플리터부와 잭 연결되어 전자장비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1133)를 포함한다.
한편, 또 다른 방식으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부(1200)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100)의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또는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거나, 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입출력 포트와 결합하여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1210), 제 1 연결부(1210)와 케이블 연결되어 전자장비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1220), 및 제 1 연결부(1210)와 케이블 연결되어 전자장비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1230)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케이블부(12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장비와 병렬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로 이루어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장비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에서와 같은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들의 입출력 연결포트는 Jack 또는 Plug 등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선로부(920,1120)의 구조는 선로부에 데이터와 전원이 같이 전송될 때 전원에 의해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원에 해당되는 선 또는 데이터에 해당되는 선을 차폐시켜서 전송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원, 데이터 통신연결 등에 대한 다수의 케이블 연결에 있어서,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선식 홈 네트워크와도 연동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이용에 따르는 다양한 상황조건에 부합하여 이용자가 네트워크 설정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에 관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를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가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모듈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자장비 내의 전원전달 회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가 이선식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과 연결되고 별도의 전원전송 모듈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원전송 모듈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전원전송 모듈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가 세대단자함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세대단자함의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제 2 네트워크 연결장치에 대한 다양한 구성도, 및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와 전자장비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케이블부의 다양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700 :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10, 310 : 제 1 공유연결부
120, 320 : 전원공급부 200 : 전원공급장치
330 : 제 2 공유연결부 340 : 무선통신부
350 :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400 : 홈 네트워크부
500, 600 : 전원전송 모듈 700 : 세대단자함
710 : 제 1 네트워크 연결장치 800 : 제 2 네트워크 연결장치
900, 1100, 1200 : 연결케이블부 910, 1110, 1210 : 제 1 연결부
920, 920, 1120 : 선로부 930, 1130 : 제 2 연결부
931 : 통합형 스플리터부 932, 1132, 1220 : 데이터 케이블부
933, 1133, 1230 : 전원 케이블부 1131 : 잭타입 스플리터부

Claims (32)

  1.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는 포트 선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한 전자장비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제공받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장비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데이터 연결단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상기 데이터 회선을 공유하여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공유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출력되지 않는 포트 선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전자장비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비에 제공되는 전류를 예정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전자장비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비에 제공되는 전류를 예정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 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또는 상기 제 2 공유연결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의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또는 상기 제 2 공유연결부에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의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에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자장비 간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연결케이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선로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여 전자장비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선로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는 통합형 스플리터부;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선로부와 잭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는 잭타입 스플리터부;
    상기 잭타입 스플리터부와 잭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잭타입 스플리터부와 잭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제공받은 후,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자장비 간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연결케이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선로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여 전자장비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선로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는 통합형 스플리터부;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통합형 스플리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0. 제 13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선로 및 상기 전원을 전달하는 선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와 차폐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제공받은 후,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케이블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비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및 상기 제 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둘 이상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규격과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둘 이상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규격과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10핀의 이더넷 포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0번 핀 및 9번 핀을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을 동시 전달할 때에는 상기 10핀의 이더넷 포트와 상응하는 포트 연결을 이루고, 상기 데이터 신호만을 전달할 때에는 1번 핀 내지 8번 핀과 상응하는 8핀의 이더넷 포트를 통한 포트 연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는
    홈 영역의 전화선로, 방송선로 또는 전력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는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상기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을 통해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회선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를 이루는 홈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를 이루는 홈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전원전달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을 상기 제 1 공유연결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기 위한 전자장비는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전원을 제공받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공유연결부 및 상기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기 위한 데이터 연결단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3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유연결부는
    홈 영역의 전화선로, 방송선로 또는 전력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이선식 홈 네트워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32. 삭제
KR1020090016484A 2009-02-26 2009-02-26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KR10094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84A KR100945106B1 (ko) 2009-02-26 2009-02-26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PCT/KR2010/001263 WO2010098637A2 (ko) 2009-02-26 2010-02-26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84A KR100945106B1 (ko) 2009-02-26 2009-02-26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106B1 true KR100945106B1 (ko) 2010-03-02

Family

ID=4218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484A KR100945106B1 (ko) 2009-02-26 2009-02-26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5106B1 (ko)
WO (1) WO20100986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14B1 (ko) 2011-01-20 2013-04-15 이재희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원 전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718A (ko) * 1999-01-12 2002-01-09 파워드사인 리미티드 전력 및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제공하는 구조화 케이블링시스템
KR20020056767A (ko) * 2000-12-29 2002-07-10 윤종용 허브의 lan전원을 이용한 ip시스템의 전원공급방법및 회로
KR200280680Y1 (ko) 2002-02-18 2002-07-13 케이. 씨. 아이(주) 랜 단말기의 지능형 허브 장치
KR20030012911A (ko) * 2003-01-09 2003-02-12 류호성 아이피 공유 세대 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718A (ko) * 1999-01-12 2002-01-09 파워드사인 리미티드 전력 및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제공하는 구조화 케이블링시스템
KR20020056767A (ko) * 2000-12-29 2002-07-10 윤종용 허브의 lan전원을 이용한 ip시스템의 전원공급방법및 회로
KR200280680Y1 (ko) 2002-02-18 2002-07-13 케이. 씨. 아이(주) 랜 단말기의 지능형 허브 장치
KR20030012911A (ko) * 2003-01-09 2003-02-12 류호성 아이피 공유 세대 단자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14B1 (ko) 2011-01-20 2013-04-15 이재희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원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8637A3 (ko) 2010-12-09
WO2010098637A2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4353B2 (ja) モジュラーコンセント
US9686598B2 (en) Power over ethernet electrical to optical interface converter
US8829738B2 (en) Connecting apparatus with a combo port
US20060092962A1 (en) Local area network of serial intelligent cells
US2014017213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with led lights using modified power-over-ethernet
CN101512964A (zh) 用于允许以太网供电连接的组件
CN102545962A (zh) 网络信号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201102060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thernet Converter And/Or Adapter That Enables Conversion Between A Plurality Of Different Ethernet Interfaces
CN102082714B (zh) 一种含有电力载波模块的以太网无源光网络装置及其信号传输方法
KR100945106B1 (ko)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KR20080057614A (ko) 유티피 케이블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네트워크
KR20030066498A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 및 장치
CN101155037B (zh) 信号交换系统及其变压连接器
US20070116042A1 (en) Power extension apparatus having local area network switching function
KR20100025800A (ko) 전원 콘센트 및 전원 코드
KR100283896B1 (ko) 통신단말과 허브와의 파워모듈 공유장치
CN101399566A (zh) 可输出交流电源的电力线网路装置
KR19990078841A (ko) 전화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망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0857322B1 (ko) 전원공급 기반의 공유기
KR200189308Y1 (ko) 전화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망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
CN101098447B (zh) 带有模拟信号适配器的引出口、其使用方法及采用该引出口的网络
KR20100053988A (ko) 전화선 기반의 홈 네트워크 구현 시스템
KR100997029B1 (ko) 홈 네트워크 구현 시스템
KR200326673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TWI461918B (zh) 電器連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