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067A - 다중화 허브 - Google Patents

다중화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067A
KR20010111067A KR1020010067320A KR20010067320A KR20010111067A KR 20010111067 A KR20010111067 A KR 20010111067A KR 1020010067320 A KR1020010067320 A KR 1020010067320A KR 20010067320 A KR20010067320 A KR 20010067320A KR 20010111067 A KR20010111067 A KR 2001011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hub
data
roo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호성
Original Assignee
류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호성 filed Critical 류호성
Priority to KR102001006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067A/ko
Publication of KR2001011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단자함에 설치되는 허브에 관한 것으로 4pr로 구성된 하나의 UTP 케이블을 통해서 세대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전화선 2pr와 데이터선 2pr를 허브에서 인입 받아서 각각의 특성에 맞는 배선 구조를 가지고 분배되게 하고, 하나의 UTP 케이블로 연결되는 각 방 인출구의 RJ45모듈러 잭에서 전화선 부분을 RJ11 모듈러 잭 2개로 연결, 인출토록 하여 전화와 데이터를 동시에 접속 가능하게 하는 다중화 허브와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화 허브{Multy Hub}
본 발명은 4pr로 구성되는 하나의 UTP 케이블에 전화와 데이터가 함께 인입되는 건물에서 세대단자함에 설치되는 허브와 방의 인출구의 다중화에 관한 것이다.
급속히 팽창하는 데이터 통신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새로 지어지는 건물에는 고도의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UTP 케이블 사용을 의무화 하고, 배선규모에 따라 정보화 1등급 또는 2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정보화 1등급의 건물에서와 같이 세대당 두개의 UTP 케이블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인출구까지 두개의 UTP 케이블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나는 데이터 통신의 배선구조로 하고 다른 하나는 전화통신의 배선구조로 하면 매우 뛰어난 통신선로 구성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정보화 2등급의 건물에서와 같이 세대당 4pr로 구성된 하나의 UTP 케이블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지 내부를 LAN으로 구축할 경우 이러한 하나의 UTP 케이블의 4pr중 2pr는 전화용으로, 2pr는 데이터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세대 단자함으로 들어와서는 서로의 다른 배선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허브에 바로 인입하여 허브를 통해서 데이터분배 방식으로 분배할 수가 없고, 종래의 전화단자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데이터 접속을 공유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방의 인출구에는 RJ45 모듈러 하나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와 데이터를 동시 사용할 수 없어서 둘중 하나는 포기하거나 또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세대 단자함에서 데이터 라인 공유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거실의 인터넷 TV와 각 방의 컴퓨터를 동시 접속하기 위해서는 거실레서 방으로 UTP 케이블을 노출로 설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2001-0053988호와 등록실용신안20-0215417호는 데이터와 전화가 각각 1개씩 2개의 UTP 케이블을 통해 인입되는 전화와 데이터를 1개의 UTP 케이블에 통합하여 각 방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장비를 설치할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2개의 UTP 케이블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역시 2개의 UTP 케이블이 인출구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른 특성의 통신선로를 통합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특성에 맞게 분리 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20-0215652호와 공개 실용신안2000-0021352호는 병열접속으로 전화분배만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세대 단자함에서 하나의 UTP 케이블로 인입되는 전화와 데이터를 분리 배선 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각 방에서 전화와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브에서 데이터 배분에 사용되는 기존 선번 1, 2, 3, 6은 기존대로 사용하고, 내부 회로구성에 사용되지 않는 4, 5, 7, 8번 선을 버스방식으로 연결하여 전화 2회선을 공유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하나의 UTP 케이블로 전화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배선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각 방의 인출구에서는 RJ45 모듈러에서 4, 5, 7, 8번 선을 1pr씩 두개의 RJ11 모듈러에 병열 연결하면 각 방마다 1라인의 데이터와 2회선의 전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러잭의 핀 배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화 허브의 배선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 방에 부착되는 인출구의 연결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세대로 인입되는 하나의 4pr UTP 케이블(9) 중 2pr(1, 2, 3, 6)는 데이터 1라인을, 다른 2pr(4, 5, 7, 8)는 전화 2회선을 인입토록 되어 있을 때, 데이터 라인은 허브의 종래의 배분기능을 그대로 사용하고, 허브 내부회로에 구성되지 않는 2pr를 허브내부에서 병렬연결을 하면 각각의 모듈러(22), (28)가 데이터 라인 하나와 전화 2회선을 다중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각 방의 인출구(30)에서는 8포지션 모듈러 잭(31) 하나만 있어서 데이터 접속과 전화를 동시에 연결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는데 8포지션 중 4, 5번과 7, 8번을 RJ11잭(32), (33)에 연결하여 전화 전용 포트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접속과 전화접속을 동시에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허브에 설정되어 있는 모듈러 잭과 핀 배열은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다.
이 8개의 핀들중 4개의 핀(1), (2), (3), (6)은 통신에 관한 국제 규격에 의하여 각각 (1);Tx+ , (2);Tx- , (3);Rx+ , (6);Rx- 의 기능을 가지고 데이터의 접속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4개의 핀을 (4);AV1+ , (5);AV1- , (7);AV2+ , (8);AV2- 로 설정하여 전화 전용으로 사용코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다중화 허브의 배선구조도인데 각 모듈러의 (4), (5), (7), (8)번 선을 같은 선번끼리 버스방식으로 연결하여 2회선으로 인입되는 전화를 허브의 모듈러를 통해 각 방에 2회선의 공통선으로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의 모듈러 잭(22), (28)은 모두 같은 조건의 인출구여서 어느 방으로도 지정될 수 없으므로 방으로 연결된 UTP 케이블(19)에 태그(11), (12), (18)를 달아서 유지보수에 활용토록 하여야 한다. 케이블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점검포트로는 허브내부에서 직렬연결한 포트(21)를 사용토록 한다.
각 방의 인출구(30)에는 2회선의 전화선이 8핀 모듈러 잭(31)의 (4), (5), (7), (8)번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런 구조로는 데이터와 전화를 동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전화회선1은 (4), (5)번 선에서 전화인출구1(32)로 연결하고, 전화회선2는 (7), (8)번 선에서 전화인출구2(33)로 연결하면 매 인출구마다 한개의 데이터 전용포트(31)와 2개의 전화전용 포트(32), (33)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각종의 랜카드 중에는 사용하지 않는 핀이라 하여 (4), (5)번과 (7), (8)번을 쇼트시켜 놓은 경우가 있어서 전화라인에서 통화중 신호가 뜰 수 있으므로 인출구(30)의 RJ45 모듈러 잭(31)에서 (4), (5), (7), (8)번 핀은 제거해 버리는 방법이 전화에 영향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적절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중간단자함에서 세대 단자함으로, 세대 단자함에서 각 방의 인출구로 하나의 4pr UTP 케이블(9), (19)로 구성된 건물에서 LAN을 구축하고 데이터와 전화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때 별도의 케이블 추가없이 필요를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연결방법 또한 UTP 케이블의 끝단에 모듈러 플러그만 찍으면 완성되므로 작업을 매우 단순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허브 내에서는 활성화되지 않은 선만 병열 연결하면 되므로 허브의 개조비용이나 기능추가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대 단자함에서 허브의 기능으로 데이터 다중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공유를 위한 별도의 배선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Claims (2)

  1. 하나의 UTP 케이블(9)을 통해서 전화와 데이터 신호가 동시에 인입되는 세대 단자함의 허브에 있어서,
    인입되는 전화, 데이터 신호를 동시 분배하기 위하여 허브 내부에서 활성화 되지 않은 2pr의 선을 인입과 인출포트를 모두 병렬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UTP 케이블(19)로 연결된 각 방 인출구(30)에서 2회선의 전화(32),(33)와 1라인의 테이터(31)를 동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허브 또는 스위칭 허브
  2. 각 방의 인출구(30)에 있어서,
    하나의 RJ45 잭(31)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선 2pr(4, 5, 7, 8)를 두개의 RJ11 잭(32),(33)에 각각 1pr씩 연결하여 데이터 접속중에도 전화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인출구
KR1020010067320A 2001-10-31 2001-10-31 다중화 허브 KR20010111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320A KR20010111067A (ko) 2001-10-31 2001-10-31 다중화 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320A KR20010111067A (ko) 2001-10-31 2001-10-31 다중화 허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278U Division KR200287754Y1 (ko) 2001-10-31 2001-10-31 다중화 허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067A true KR20010111067A (ko) 2001-12-15

Family

ID=4592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320A KR20010111067A (ko) 2001-10-31 2001-10-31 다중화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776B1 (ko) * 2002-05-23 2004-05-17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탈착식 포트 유니트를 구비한 허브장치
KR100844588B1 (ko) * 2006-12-20 2008-07-09 대은전자 주식회사 사무실용 아웃렛 허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292Y1 (ko) * 1999-02-03 2000-05-01 주식회사오피콤 전화기 소켓 겸용 데이타 통신용 소켓
KR20000058320A (ko) * 2000-04-11 2000-10-05 정경희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JP2000324524A (ja) * 1999-05-11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nと電話のpbx接続装置
KR200215417Y1 (ko) * 2000-08-11 2001-03-15 주식회사디오넷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292Y1 (ko) * 1999-02-03 2000-05-01 주식회사오피콤 전화기 소켓 겸용 데이타 통신용 소켓
JP2000324524A (ja) * 1999-05-11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nと電話のpbx接続装置
KR20000058320A (ko) * 2000-04-11 2000-10-05 정경희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KR200215417Y1 (ko) * 2000-08-11 2001-03-15 주식회사디오넷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776B1 (ko) * 2002-05-23 2004-05-17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탈착식 포트 유니트를 구비한 허브장치
KR100844588B1 (ko) * 2006-12-20 2008-07-09 대은전자 주식회사 사무실용 아웃렛 허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4971A1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GB2276048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system
US5946389A (en) Cabling for buildings
US6454597B1 (en) Direct to closet wiring system
KR20010111067A (ko) 다중화 허브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US6535602B1 (en) Telecommunications wiring device
GB2402269A (en) Switched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KR200271527Y1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KR200264579Y1 (ko) 멀티 어댑터
KR100419078B1 (ko) 홈멀티플렉서구조
KR20020000754A (ko) 멀티 허브
GB2361590A (en) Adapter for connecting multiple telephones using a single eight-wire cable
KR100319900B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JP3081832B1 (ja) 情報分電盤の接続ユニット
JP4113771B2 (ja) 分岐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200262624Y1 (ko)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KR200264052Y1 (ko) 모듈러잭형 단자대의 회선조정용 멀티패치코드
KR200238754Y1 (ko) 텔레비젼용 케이블 및 통신선 분배 단자함
KR200261297Y1 (ko) 근거리통신망에서의 다중화 억세스 통신망 분산 시스템과복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71528Y1 (ko)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US8355498B2 (en) Communication line interface
KR20030032146A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KR200357721Y1 (ko) 경사모듈러방식단자대
KR20030033509A (ko)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어댑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601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44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6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