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528Y1 -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 Google Patents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528Y1
KR200271528Y1 KR2020010032025U KR20010032025U KR200271528Y1 KR 200271528 Y1 KR200271528 Y1 KR 200271528Y1 KR 2020010032025 U KR2020010032025 U KR 2020010032025U KR 20010032025 U KR20010032025 U KR 20010032025U KR 200271528 Y1 KR200271528 Y1 KR 200271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dapter
cross
utp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2020010032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52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랜(Local Area Network)로 주로 사용되는 유티피(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쓰임새가 구분되어 사용되는 크로스 케이블(Cross Cable), 직렬 케이블(Direct Cable)을 기능을 호환해서 편리성을 추구한다.
본 고안은 어댑터Ⅰ(Cable Converter), 어댑터Ⅱ(Cable Extender)로 구성되며, 어댑터Ⅰ,어댑터Ⅱ를 각각 또는 결합해서 사용하면 새로운 케이블 제작없이 필요한 케이블을 조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 Ⅰ,Ⅱ{UTP Cross/Direct Cable Convert AdaptorⅠ,Ⅱ}
본 고안은 랜으로 주로 사용되는 유피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유티피(UTP) 케이블은 그 안에 모두 8개의 실선이 들어있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것은 4개 뿐이다. 실선은 케이블 제조사에 따라 약간 색깔이 틀릴 수 있지만 색깔은 틀려도 무방하며, 순서만 맞추면 된다.
1) 직렬 케이블 (Direct Cable)- 1:1 연결
케이블의 순서는 색깔에 의해서 맞추는데 본 고안자는 두 개씩 짝지어서 이를 마음대로 순서 매겨서 사용하고 있다. 두 개씩 짝지우는 방법은 각각의 색깔 마다 흰색이 들어간 점선이 있으므로 쉽게 가능하다. 순서를 결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주황/흰색 --------------------- 1, 주황/흰색2, 주황 --------------------- 2, 주황3, 녹색/흰색 --------------------- 3, 녹색/흰색4. 녹색 --------------------- 4, 녹색5, 파랑/흰색 --------------------- 5, 파랑/흰색6, 파랑 --------------------- 6, 파랑7, 갈색/흰색 --------------------- 7, 갈색/흰색8, 갈색 --------------------- 8, 갈색
* 참고 UTP 케이블 상에서 실제 사용되는 시그널 선은 1,2,3,6 번 뿐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UTP 케이블은 컴퓨터와 허브간에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2) 크로스 케이블 (Cross Cable)- 크로스 연결
크로스 연결이란 1 : 1 연결과는 달리 TX-RX, RX-TX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로간의 시그널 선이 크로스 되어있다. 그러나 스위치나 허브에 업링크 (Uplink; Upstream이라고도 부른다.) 포트가 있을 경우 1:1 연결 케이블을 사용해서 연결 할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8개의 시그널선 중에서 의미있는 것은 1,2,3,6번 뿐이다. 따라서 1-3, 2-6을 연결해주면 크로스 케이블이 만들어지며 다음과 같다.
1, 주황/흰색 --------------------- 1, 녹색/흰색2, 주황 --------------------- 2, 파랑3 녹색/흰색 --------------------- 3, 주황/흰색4, 녹색 --------------------- 4, 녹색5, 파랑/흰색 --------------------- 5, 파랑/흰색6, 파랑 --------------------- 6, 주황7, 갈색/흰색 --------------------- 7, 갈색/흰색8, 갈색 --------------------- 8, 갈색
크로스 케이블은 가정이나 일반 사무 환경에서 네트워크 카드를 장착한 컴퓨터간에 연결시 허브나 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하지만 이 경우는 단지 두 시스템간의 연결뿐이다. 이보다는 주로 스위치나 허브를 여러대 설치하여 포트수를 늘리기 위해 크로스 케이블을 활용한다. 업링크 포트가 없는 제품들이 많기 때문이다.
유티피 케이블의 용도는 직렬 케이블은 컴퓨터와 허브/스위치 간의 연결시에 사용되고 크로스 케이블은 컴퓨터와 컴퓨터, 스위치 혹은 허브간의 연결시 사용된다.
위의 내용처럼 두 케이블은 서로 상이한 용도로 사용되며 사용자는 2가지 케이블을 함께 소유해야 한다. 해당하는 케이블 없을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지 못한다.하지만 어댑터Ⅰ를 통해서 상호 케이블간의 변환할 수 있다.
케이블의 커넥터인 'RJ-45 잭'은 영구적으로 1회만 사용되므로 사용하던 케이블이 짧을 경우나 종류가 틀릴 경우에 새로운 케이블을 구매하거나 제작하여야 한다.
참고: UTP 케이블의 커넥터인 '알제이-45 잭'은 영구적으로 1회만 사용하며 재사용이 불가하다. 즉 한가지 케이블을 가지고 있을때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므로 새롭게 제작하여야 한다. 제작할 경우에도 고가의 특수한 도구에 의해서만 케이블 제작이 가능하다. 제작이 불가능할 경우 새롭게 케이블을 구매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랜(LAN)에서 많이 사용하는 유티피 케이블의 두가지 형태의 케이블은 '알제이-45 잭'이 재사용이 불가함으로 인해 기존 용도와 다르게 사용될 경우 새로운 케이블이 필요하다.하지만 어댑터를 사용하여 기존 케이블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기다른 용도의 케이블로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다.
아답타 Ⅰ은UTP 케이블이 각각 다른 배선 배열을 가지고 있으나 어댑터를 사용하면직렬 케이블이 된다.아답타 Ⅱ는UTP 케이블이 짧을 경우 한개의 부족한 길이의 케이블을 추가해서 길이를 확장한다.추가적으로아답타Ⅰ+Ⅱ는제한된 케이블을 가지고 원하는 케이블을 선택해서 조합해 낸다.
도 1은 어댑터Ⅰ의 개요도
도 2는 어댑터Ⅰ의 측면도
도 3은 어댑터Ⅰ의 단자별 연결 방법
도 4는 어댑터Ⅱ의 개요도
도 5은 어댑터Ⅱ의 단자별 연결 방법
도 6은 어댑터Ⅰ와 어댑터Ⅱ를 결합해서 사용할 경우의 개요도
본 고안에 따르면 유티피 케이블을 통해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네트워크 장비에 따라 사용되는 케이블이 다르다.기존 케이블에 어댑터Ⅰ을 사용할 경우 성질이 바뀌게 된다.즉,크로스 케이블로 바뀌게 된다. 어댑터Ⅱ를 사용할 경우는 기존의 짧은 선을 확장시킬 뿐만아니라 기능도 바꿀수 있다.직렬 케이블,크로스 케이블,직렬 케이블이 된다.(여기서 + 라 표시함은 어댑터Ⅱ를 사용해 연결함을 나타낸다.)
도 1크로스 케이블로 바뀌게 됨을 도면의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어댑터Ⅰ의 측면도이다. '알제이-45 잭' 과 플러그를 PCB전자 기판에 부착하여 도 3에 의해 제작한 완제품의 도면이다.
도 3은 어댑터Ⅰ의 알제이-45 잭과 플러그의 각 단자를 도면과 같이 임의로 번호를 정하고 번호에 맞게 연결 한다.
도 4는 어댑터Ⅱ를 사용해서 케이블을 연결 했을 때 각 케이블의 기능에 따라 전체의 기능이 바뀌게 된다.직렬 케이블,크로스 케이블,직렬 케이블이 된다.(여기서 + 라 표시함은 어댑터Ⅱ를 사용해 연결함을 나타낸다.)
도 5는 어댑터Ⅱ를 제작할 경우 '알제이-45 잭'의 각 단자의 연결 순서를 도면화 한 것이다.
도 6은 어댑터Ⅰ과 어댑터Ⅱ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케이블의 기능이다.즉, 어댑터Ⅰ과 어댑터Ⅱ를 결합한 것을 아답터Ⅰ*Ⅱ 라고 할 경우 다음 과 같이 직렬 케이블+ 아답타Ⅰ*Ⅱ +크로스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 어답타Ⅰ*Ⅱ +직렬 메이블,
크로스 케이블 + 어답타Ⅰ*Ⅱ +크로스 케이블로 나타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티피 케이블에 사용되는 직렬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을 새로운 케이블의 제작 없이 다른 성질을 얻어낼수 있음으로써, 각기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2개씩 준비하거나 소지할 필요가 없고, 기존에 길이가 짧을 경우 새로운 케이블을 제작하고 기존의 케이블은 폐기하는 양을 줄여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기존의 케이블이 매설이나 지붕에 숨겨져 있을 경우 모든 케이블을 제거할 필요 없이 아답타를 사용하여 원하는 케이블을 조합할 수 있다.
노트북 사용시 한가지의 케이블과 아답타Ⅰ,Ⅱ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컴퓨터나 허브등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Claims (3)

  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10/100 BASE-T를 사용한 네트워크 장비간에 있어서,
    RJ-45 잭을 사용한 유티피 케이블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되,
    직렬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 간의 배열을 상호 교환할 수 있는 어댑터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피 케이블 변환용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Ⅰ의 배열자체가 크로스 케이블의 기능을 가지는 어댑터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피 케이블 변환용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티피 케이블 수 개를 1:1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어댑터Ⅱ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티피 케이블 변환용 어댑터.
KR2020010032025U 2001-10-19 2001-10-19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KR200271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25U KR200271528Y1 (ko) 2001-10-19 2001-10-19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25U KR200271528Y1 (ko) 2001-10-19 2001-10-19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528Y1 true KR200271528Y1 (ko) 2002-04-10

Family

ID=7311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025U KR200271528Y1 (ko) 2001-10-19 2001-10-19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5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095A (en) Enhancement of 10 base T networks
KR100348625B1 (ko) 네트워크 인프라 통합 시스템
KR200271528Y1 (ko)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US5548280A (en) Local area network hub unit
CN204967812U (zh) 中继器
GB2276048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system
EP0617560B1 (en) Video adapter
GB2402269A (en) Switched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CN219627071U (zh) 一种新型网线转接装置
KR100283896B1 (ko) 통신단말과 허브와의 파워모듈 공유장치
CN1747254B (zh) Rj45-rj11共网组合座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GB2361590A (en) Adapter for connecting multiple telephones using a single eight-wire cable
JPH10241811A (ja) 通信用分岐アダプター
US5905316A (en) Structured cabling
JP3081832B1 (ja) 情報分電盤の接続ユニット
KR20030033509A (ko)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어댑터 장치
KR101821710B1 (ko) 전력기기 통신 결선 시스템
KR200195069Y1 (ko)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분배기
KR200264579Y1 (ko) 멀티 어댑터
JP2854770B2 (ja) 状態表示機能付きアウトレット
KR200394067Y1 (ko) 옥내통신 단자함용 단자 블록
KR200295070Y1 (ko) 회선선택장치가 있는 전화기
KR200296600Y1 (ko) 디지탈통신용 세대통신단자반
CN2461211Y (zh) 增强型有线电视数据语音接线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