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754A - 멀티 허브 - Google Patents

멀티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754A
KR20020000754A KR1020010078874A KR20010078874A KR20020000754A KR 20020000754 A KR20020000754 A KR 20020000754A KR 1020010078874 A KR1020010078874 A KR 1020010078874A KR 20010078874 A KR20010078874 A KR 20010078874A KR 20020000754 A KR20020000754 A KR 2002000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telephone
line
modular ja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장순복
주식회사 미래공간
강현인
주식회사 퓨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복, 주식회사 미래공간, 강현인, 주식회사 퓨전시스템 filed Critical 장순복
Priority to KR102001007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754A/ko
Publication of KR2002000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12/2861Point-to-multipoint connection from the data network to the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랜을 구축하기 위하여 동 단자함 또는 중간 단자함에 설치되는 허브에 관한 것으로, Up Link 포트(RJ45)에 데이터 선로를 인입하고, 각각의 인출포트에서 비어 있는 4, 5, 7, 8번 선에 연결되는 2Pr를 RJ11잭과 연결하여 2회선의 전화를 인입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인출포트에서 분배되는 데이터회선 2Pr와 함께 2회선의 전화가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허브에 관한 것이다.
이로서 각각의 인출구로 분배되는 하나의 4Pr UTP 케이블 내에 데이터 신호와 전화 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선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허브{Multi Hub}
본 발명은 동 단자함 또는 중간 단자함에 설치되는 허브에 관한 것으로, Up Link RJ45포트에 데이터 선로를 인입하고, 각각의 인출포트에서 비어 있는 (4), (5), (7), (8)번 선에 연결되는 2Pr를 RJ11잭 또는 전화 단자대와 연결하여 2회선의 전화를 인입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인출포트에서 분배되는 데이터회선 2Pr와 함께 2회선의 전화가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허브에 관한 것이다.
이로서 각각의 세대 또는 인출구로 분배되는 하나의 4Pr UTP 케이블 내에 데이터 신호와 2회선의 전화 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선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급격히 늘어나는 통신수요를 수용하기 위하여 새로 지어지는 건물에는 고도의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UTP 케이블 사용을 의무화 하고 있고 이를 이용한 구내 랜 구축환경은 매우 용이하게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인출구당 하나의 UTP 케이블(4Pr)이 배선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물 내부를 LAN으로 구축할 경우 이러한 하나의 UTP 케이블의 4pr는 배선구조가 다른 데이터 신호와 전화신호를 동시에 분배, 수용 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데이터회선으로 사용하든지 아니면 4회선의 전화용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서 UTP케이블의 특성을 잘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 배선을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화선을, 전화선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데이터 선로를 새로이 포설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20-0215652호와 공개 실용신안2000-0021352호는 병열접속으로 버스방식 전화분배만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며, 국내 공개특허2001-0053988호와 등록실용신안20-0215417호는 세대 단자함에서 데이터와 전화가 각각 1개씩 2개의 UTP 케이블을 통해 인입되는 전화와 데이터를 각각의 UTP 케이블에 통합하여 각 방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장비를 설치할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전화를 공통으로 사용하는세대 내부가 아니라 각각 다른 전화 회선을 인입하는 중간단자함의 경우 문제의 해결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중간 단자함에서 각각 다른 특성으로 인입되는 전화신호와 데이터신호를 하나의 UTP 케이블로 동시에 송출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브에서 데이터 배분에 사용되는 기존 인출구의 선번 (1), (2), (3), (6)은 기존대로 사용하고, 분배 회로구성에 사용되지 않는 (4), (5), (7), (8)번 선을 2회선의 전화선 인입 RJ11잭(22)~(28) 또는 전화 단자대(51)에 연결하여 인출구별로 각각 전화 2회선을 인입토록 함으로써 각각의 인출구에서 하나의 UTP 케이블로 2회선의 전화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배선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허브와 110 Block의 점퍼코드 연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허브의 내부 배선도이다.
도 4는 인출구(RJ45)와 전화인입 잭(RJ11)의 선번 연결도이다.
도 5는 인출구(RJ45)와 전화인입 잭(RJ11)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인출구(RJ45)와 전화인입 잭(RJ11)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인출구(RJ45)와 전화인입 잭(RJ11)의 상하 연결 사시도이다.
도 8은 인출구와 기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단자대를 포함하는 멀티 허브의 내부 배선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중간단자함에 허브를 설치하여 랜을 구축하고 모든 인출구에서 데이터와 전화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함에 있어서, 데이터 라인은 허브의 종래의 배분기능을 그대로 사용하고, 회로에 구성되지 않는 2pr를 허브내부에서 전화 2회선을 인입하도록 매칭하면 각각의 모듈러 잭(12)~(18)마다 데이터 라인 하나와 전화 2회선을 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중간 단자함(20) 내에 설치되는 멀티 허브(30)의 배선구조도인데 RJ45 모듈러 잭(12)~(18)의 (4), (5), (7), (8)번 선을 이에 대응하는 RJ11 모듈러 잭(22)~(28)의 (2), (3), (4), (1)번에 연결하여 2회선으로 인입되는 전화를 허브의 모듈러 잭(12)~(18)을 통해 각각의 인출구 또는 세대 단자함에 2회선의 전화를 데이터와 함께 공통선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 때 RJ11 모듈러 잭과 RJ45 모듈러 잭의 연결방법은 RJ45와 RJ11을 상하로 삽입하게 하는 틀(80)을 만들고 RJ45 삽입모듈(60)의 핀홀(64), (65) ,(67) ,(68)에 RJ11 삽입모듈(70)의 핀홀(75), (76), (77), (78)을 통과한 핀(79)을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케이블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점검포트로는 UP Link 포트(10)에 대칭으로 연결한 포트(11)를 사용토록 한다.
중간 단자함(20)에 인입되는 선은 3종류가 있는데 법규정에 의하여 세대당 4Pr씩 할당되는 25Pr UTP케이블(21)과 상위 허브에 UP Link되는 데이터 전용 4Pr UTP 케이블(31), 그리고 허브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선(39)이 있다.
단자함에 인입되는 전원(39)은 상용 전압으로 받아서 단자함 내의 어댑터(40)를 거쳐 필요한 전압을 확보(49)한다음 전원플러그(19)에 꽂는다.
MDF로부터 직렬로 연결된 25Pr UTP케이블(21)은 단자함 내의 단자대(50)에 종단을 하고 점퍼코드(32)~(38)로 허브에 설치된 전화인입을 위한 RJ11 잭(22)~(28)으로 연결하면 허브의 각 인출구에서 (4), (5), (7), (8)번 선은 2회선의 전화를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멀티 허브의 전화인입에 있어 RJ11 모듈러 잭(22)~(28) 대신단자대(51)를 허브(30)에 직접 설치 운용하는 경우인데, (4) (5) (7) (8)번선을 모듈러잭(60) 상단의 기판(53)을 통해서 허브(30) 외벽에 부착되는 단자대(51)에 연결을 하면 전화회선은 이 단자대(51)에서 직접 성단을 하게 하므로 한 번이라도 점퍼코드 사용을 줄이게 함으로써 접속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남는 회선은 예비 단자대(52)에 성단하여 차후 내선 수요증가에 따른 확장에 대비토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동 단자함이나 중간단자함에서 인출구로 하나의 4pr UTP 케이블이 배선된 건물에서 LAN을 구축하고 데이터와 전화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때 UP Link용 4Pr UTP케이블 하나만 별도로 추가하면 필요를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연결방법을 단순화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허브 내에서는 활성화되지 않은 선만 대칭 연결하여 전화 2회선을 인입하는 구조만 갖추면 되므로 허브의 개조비용이나 기능추가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중간 단자함에 설치되는 허브에 있어서,
    각각의 인출구에서 회로에 구성되지 않는 2pr(4), (5), (7), (8)를 허브내부에 전화 2회선을 인입하도록 결합하여 각각의 모듈러 잭(12)~(18)마다 데이터 라인 하나와 전화 2회선을 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하는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RJ45와 RJ11을 상하로 설정하게 하는 틀(80)을 만들고 RJ45 삽입모듈(60)의 핀홀(64), (65) ,(67) ,(68)에 RJ11 삽입모듈(70)의 핀홀(75), (76), (77), (78)을 통과한 핀(79)을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하는 허브의 모듈러 잭 구조
  3. 멀티 허브에 전화선로를 인입함에 있어서,
    전화 단자대(51)를 허브(30)의 상단에 직접 결합방식으로 설치하고 RJ45 모듈러 잭(80) 상부에 연접된 기판과 연결함으로써 데이터와 전화를 동시 사용 자능토록 하는 허브
KR1020010078874A 2001-12-13 2001-12-13 멀티 허브 KR20020000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74A KR20020000754A (ko) 2001-12-13 2001-12-13 멀티 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74A KR20020000754A (ko) 2001-12-13 2001-12-13 멀티 허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754A true KR20020000754A (ko) 2002-01-05

Family

ID=1971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874A KR20020000754A (ko) 2001-12-13 2001-12-13 멀티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0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27B1 (ko) * 2006-12-20 2009-01-08 대은전자 주식회사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허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27B1 (ko) * 2006-12-20 2009-01-08 대은전자 주식회사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허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0754A (ko) 멀티 허브
KR100433063B1 (ko) 복합형 디지털통신용 세대통신단자반
KR20080057614A (ko) 유티피 케이블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네트워크
GB2402269A (en) Switched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KR100283896B1 (ko) 통신단말과 허브와의 파워모듈 공유장치
KR200171299Y1 (ko) 8핀과 4핀 겸용 간선망 정보통신선 단자접속기
KR20010111067A (ko) 다중화 허브
KR20000058320A (ko)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구분하는 구내통신선로 배선방법
KR200215652Y1 (ko) 피씨비회로 구조에 의한 모듈아답터형 통신 브릿지 단자대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KR200271527Y1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US7382774B2 (en) Bankover connection system
KR200264052Y1 (ko) 모듈러잭형 단자대의 회선조정용 멀티패치코드
KR200264579Y1 (ko) 멀티 어댑터
KR200261297Y1 (ko) 근거리통신망에서의 다중화 억세스 통신망 분산 시스템과복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57721Y1 (ko) 경사모듈러방식단자대
KR100319900B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KR200215417Y1 (ko)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JP3081832B1 (ja) 情報分電盤の接続ユニット
KR20030033509A (ko)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어댑터 장치
KR100419078B1 (ko) 홈멀티플렉서구조
KR100387095B1 (ko)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KR100282653B1 (ko) 통신선로 분배 접속용 커넥터
KR200238754Y1 (ko) 텔레비젼용 케이블 및 통신선 분배 단자함
KR20030032146A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