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095B1 -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095B1
KR100387095B1 KR10-2000-0046616A KR20000046616A KR100387095B1 KR 100387095 B1 KR100387095 B1 KR 100387095B1 KR 20000046616 A KR20000046616 A KR 20000046616A KR 100387095 B1 KR100387095 B1 KR 10038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lephone
lines
comm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617A (ko
Inventor
오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넷
Priority to KR10-2000-004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095B1/ko
Priority to JP2001242384A priority patent/JP2002165029A/ja
Priority to TW090119666A priority patent/TW526650B/zh
Priority to CN01123616A priority patent/CN1340953A/zh
Publication of KR2002001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lin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공동사용하기 위한 통신선공용화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선공용화장치는 각 세대별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라인과 하나의 전화선을 세대 내의 N개의 장소에 배선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전화선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N개의 공통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는 N개로 분배된 각각의 전화선과 N개로 분배된 데이터라인을 각각 결합시켜 N개의 공통선을 공급하는 결합기와 상기 공통선을 감시하여 통화중이라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랜카드 접속을 검출하고 이를 방지하는 랜카드접속검출 및 통화중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화선과 데이터라인은 동일한 규격의 UTP케이블을 사용하며,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화번호를 2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전화와 인터넷사용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화선의 UTP케이블 쌍과 상기 공통선의 UTP케이블 쌍간을 스위칭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 공용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한 세대내의 전화선과 데이터라인의 배선시공을 경제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APPARATUS FOR CO-USING A DATA LINE AND A TELEPHON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HE LINES IN A HOUSE}
본 발명은 통신선 공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등에 설치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공용하기 위한 통신선공용화장치 및 이 통신선공용화장치를 이용하여 각 세대 내에서 인터넷통신선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초고속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현재 건설되는 건물에는 시공 때부터 각 세대마다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이 함께 공급되고 있다.
현재 건물에 시공되어 각 세대마다 제공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사용하며 RJ-45 규격을 사용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RJ-45규격의 UTP 케이블은 8가닥으로 이루어지고 1번과 2번, 3번과 6번, 4번과 5번 그리고 7번과 8번이 각각 쌍을 이루어 총 네 쌍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중에서 통상 전화기는 4번과 5번을 사용하고, 컴퓨터와 연결되는 랜 카드는 1번과 2번, 3번과 6번을 사용하는 10MBPS용 랜카드와 네 쌍을 모두 사용하는 100MBPS용 랜카드가 있다. 10MBPS용 랜카드는 1번과 2번은 송신용이고, 3번과 6번은 수신용이다. 전화선으로 RJ-45규격의 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 전화 4회선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선(L2)과 데이터라인(L4)을 각각의 방(설치장소가 4곳인 경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화선(L2)과 데이터라인(L4)을 별도로 방마다 배선했다. 여기서, 데이터라인은 인터넷전용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전화선(L2)은 각각의 방으로 배선되어 각각의 소켓(S11 내지 S14)과 연결된다. 또한 데이터라인(L4)은 가정 내 허브(10)를 통해 각각의 방으로 배선되어 각각의 소켓(S21 내지 S24)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각 세대 내에서 전화선과 인터넷 전용선을 배선하는 경우 방마다 인터넷 전용선과 전화선을 별도로 배선해야 함으로써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전용선과 전화선을 공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통신선공용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통신선공용화장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방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배선시공의 용이함과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신선공용화장치를 이용하여 각 세대 내에서 인터넷통신선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물의 한 세대 내에 배선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 공용화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한 세대 내에 배선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통신선공용화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4는 도3의 스위칭부의 세부 블록도.
도5는 도3의 랜카드접속검출 및 통화중방지부의 세부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허브 32-38: 스위치
48-54: 랜카드검출 및 통화중방지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세대별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라인과 하나의 전화선을 세대 내의 N개의 장소에 배선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전화선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N개의 공통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N개로 분배된 전화선과 N개로 분배된 데이터라인을 각각 결합시켜 N개의 공통선을 공급하는 결합수단; 상기 공통선을 감시하여 통화중이라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랜카드의 접속을 검출하고 랜카드 접속시 랜카드 접속 신호를 발생하는 랜카드 접속 검출 수단; 및 상기 랜카드 접속 검출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랜카드 접속신호에 응답하여 랜카드 접속에 의한 통화중 오류를 방지하는 통화중 오류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선 공용화 장치는 상기 전화선과 데이터라인은 동일한 규격의 UTP케이블을 사용하며,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화번호를 2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전화와 인터넷사용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상기 전화선의 UTP케이블 쌍과 상기 공통선의 UTP케이블 쌍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선 공용화 장치는 상기 데이터라인을 N개로 분배하는 허브를 자체내에 포함하여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으로 사용되는 UTP케이블의 규격은 RJ-45이며, 상기 통화중이라는 오류를 일으키는 랜카드의 접속검출은 상기 공통선 UTP케이블의 7,8번 쌍을 통해 검출하며 통화중 오류의 방지는 상기 공통선 UTP케이블의 4,5번을 단락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각 세대별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라인과 하나의 전화선을 세대 내의 N개의 장소에 배선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라인을 허브를 통해 N개의 선으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분배된 데이터라인과 상기 전화선을 연결시켜 N개의 공통선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공통선을 상기 다수의 방으로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물내의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통 배선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통배선방법은 상기 공통선의 종단에 연결된 연결구에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랜카드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랜카드의 접속을 검출하고 상기 랜카드에 의해 발생되는 전화 통화중 현상을 제거하는 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배선 방법은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전화번호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공통선상에서 인터넷으로 이용할 때와 전화로 사용할 때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화선과 상기 공통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한 개략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대마다 전화선(L2)과 데이터라인(L4)이 제공된다. 여기서, 전화선(L2)과 데이터라인(L4)은 UTP케이블로서 그 규격은 RJ-45이다. 전화선(L2)은 통신선 공용화 장치(20)에 직접 연결되며, 데이터라인(L4)은 허브(10)를 통해 분선된 후 분선된 케이블선(L6-L12)은 각각 통신선공용화장치(20)에 연결된다.
통신선공용화장치(20)는 전화선(L2) 및 허브(1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라인(L6-L12)을 연결받아 공통선(L14-L20)을 만든다. 이 공통선(L14-L20)은 각각의 방에 설치된 공통소켓(S31-S34)과 연결된다. 사용자는 공통소켓에 전화기용 잭이나 랜카드용 잭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통신선 공용화 장치(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선 공용화 장치의 기능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화선(L2)과 허브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라인(L6-L12)을 결합하는 기능이다.
둘째, 전화선을 2회선 이상 사용하는 경우(전화번호를 두 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UTP 케이블의 4,5번 쌍이 제1전화번호로 사용되고 그 외의 한쌍(1번과 2번)이 제2전화번호로 사용되는 경우, UTP케이블의 1,2,3,6번으로 고정된 랜카드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전화번호의 UPT케이블의 1,2번 쌍을 4,5번쌍으로 스위칭하는 기능이다.
셋째, 현재 100MBPS용 랜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UTP케이블의 4,5번과 7,8번에 대응되는 100MBPS 랜카드는 쇼트되어 있어, 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전화선에 통화중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랜카드 접속 검출 및 통화중 방지 기능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선(L2)은 분선되어 각각의 스위치(SW1-SW4)로 입력된다. 각각의 스위치는 위에서 설명된 두 번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도4를 참조하면 스위치(SW1)는 제2전화번호가 전화선(L2)(UTP케이블)의 7,8번쌍으로 이용되는 경우 이를 4,5번쌍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를 조정하여 각각의 방에서 제1전화번호 또는 제2전화번호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3을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스위치(SW1-SW4)를 통해 공통선 UTP케이블의 4,5번 쌍만 사용되는 전화선(L32-L38)은 각각의 통신선 결합기(40-46)를 통해 허브(1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데이터라인(L6-L12)과 연결된다. 각각의 통신선결합기(40-46)로부터 결합되어 전화선이나 인터넷 전용선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통선(L14-L20)은 각각의 방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방으로 연결되기에 앞서 각각의 공통선(L14-L20) 상에는 랜카드 접속 검출 및 통화중 방지부(48-54)가 있다.
랜카드 접속 검출 및 통화중 방지부(48-54)는 100MBPS용으로 제조된 랜카드는 4,5번쌍과 7,8번 쌍이 쇼트되어 있어, 이러한 랜카드가 사용되는 경우 전화기에 통화중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5를 참조하면, 도2의 방1의 소켓(S31)에서 랜카드와 연결된 잭의 4,5번과 7,8번 쌍이 쇼트되어 있으면, 제1랜카드접속 검출 및 통화중 방지부(48)는 랜카드 접속 검출부(56)를 통해 UTP케이블의 7,8번쌍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이것의 쇼트를 검출하고, 이를 검출하면 검출된 신호를 라인(L50)을 통해 릴레이 회로(58)의 스위칭제어신호로 제공하여 4,5번 선을 단락하여 통화중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라인과 전화선 공용화 장치는 건물내에서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 공용화 장치를 이용하여 공통선과 공통소켓만을 각각의 방에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각 세대별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라인과 하나의 전화선을 세대 내의 N개의 장소에 배선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전화선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N개의 공통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N개로 분배된 전화선과 N개로 분배된 데이터라인을 각각 결합시켜 N개의 공통선을 공급하는 결합수단;
    상기 공통선을 감시하여 통화중이라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랜카드의 접속을 검출하고 랜카드 접속시 랜카드 접속 신호를 발생하는 랜카드 접속 검출 수단; 및
    상기 랜카드 접속 검출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랜카드 접속신호에 응답하여 랜카드 접속에 의한 통화중 오류를 방지하는 통화중 오류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과 데이터라인은 동일한 규격의 UTP케이블을 사용하며,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화번호를 2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전화와 인터넷사용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상기 전화선의 UTP케이블 쌍과 상기 공통선의 UTP케이블 쌍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을 N개로 분배하는 분배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으로 사용되는 UTP케이블의 규격이 RJ-45이며, 상기 통화중을 방생시키는 랜카드의 접속 검출은 상기 공통선 UTP케이블의 7, 8번 쌍을 통해 검출하며, 통화중이라는 오류의 방지는 상기 공통선 UTP케이블의 4, 5번을 단락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선 UTP케이블의 4, 5번의 단락은 릴레이 회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통신선 공용화 장치.
  6. 건물의 각 세대별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라인과 하나의 전화선을 세대 내의 N개의 장소에 배선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라인을 허브를 통해 N개의 선으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분배된 데이터라인과 상기 전화선을 연결시켜 N개의 공통선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공통선을 상기 다수의 방으로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물내의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통 배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선의 종단에 연결된 연결구에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랜카드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랜카드를 검출하고 상기 랜카드에 의해 발생되는 전화 통화중 현상을 제거하는 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내의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통 배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적어도 2번호 이상의 전화번호를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공통선상에서 인터넷으로 이용할 때와 전화로 사용할 때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화선과 상기 공통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내의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통 배선 방법.
KR10-2000-0046616A 2000-08-11 2000-08-11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KR10038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616A KR100387095B1 (ko) 2000-08-11 2000-08-11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JP2001242384A JP2002165029A (ja) 2000-08-11 2001-08-09 データラインと電話線の共用化装置及び配線方法
TW090119666A TW526650B (en) 2000-08-11 2001-08-10 Apparatus for sharing a data line and a telephone lin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s using the apparatus
CN01123616A CN1340953A (zh) 2000-08-11 2001-08-10 数据线和电话线的共用装置及配线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616A KR100387095B1 (ko) 2000-08-11 2000-08-11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923U Division KR200215417Y1 (ko) 2000-08-11 2000-08-11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617A KR20020013617A (ko) 2002-02-21
KR100387095B1 true KR100387095B1 (ko) 2003-06-18

Family

ID=1968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616A KR100387095B1 (ko) 2000-08-11 2000-08-11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165029A (ko)
KR (1) KR100387095B1 (ko)
CN (1) CN1340953A (ko)
TW (1) TW5266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3075A (zh) * 2010-11-10 2011-05-04 河北省电力公司职业技术培训中心 一种电能计量装置的打把配线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841A (en) * 1995-03-16 1998-11-24 Telecommunications Research Laboratories Networking computers via shared use of voice telephone lines
KR19990073164A (ko) * 1999-02-13 1999-10-05 유진식 전화선을이용한근거리통신망구축장치및인터넷서비스방법
KR200167794Y1 (ko) * 1999-04-21 2000-02-15 이원철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841A (en) * 1995-03-16 1998-11-24 Telecommunications Research Laboratories Networking computers via shared use of voice telephone lines
KR19990073164A (ko) * 1999-02-13 1999-10-05 유진식 전화선을이용한근거리통신망구축장치및인터넷서비스방법
KR200167794Y1 (ko) * 1999-04-21 2000-02-15 이원철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6650B (en) 2003-04-01
CN1340953A (zh) 2002-03-20
JP2002165029A (ja) 2002-06-07
KR20020013617A (ko)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4916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nection pattern of data ports
US20080124971A1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KR950007201A (ko) 8선 트위스트쌍 신호 케이블용 접속 블럭
US20040180573A1 (en) Connection-safe network hub
JPH0896900A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
KR200215417Y1 (ko)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KR100387095B1 (ko)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US5946389A (en) Cabling for buildings
KR20080057614A (ko) 유티피 케이블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네트워크
KR200271527Y1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KR100364175B1 (ko) 세대 통합형 스위치 허브
KR200238754Y1 (ko) 텔레비젼용 케이블 및 통신선 분배 단자함
GB2361590A (en) Adapter for connecting multiple telephones using a single eight-wire cable
KR200264052Y1 (ko) 모듈러잭형 단자대의 회선조정용 멀티패치코드
CN101175226A (zh) 用于将设备连接至网络的方法和系统
US7382774B2 (en) Bankover connection system
KR20080039318A (ko) 자동 카테고리 케이블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261297Y1 (ko) 근거리통신망에서의 다중화 억세스 통신망 분산 시스템과복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32146A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KR101005932B1 (ko) 네트워크 복원 장치 및 방법
KR200262624Y1 (ko)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KR200264579Y1 (ko) 멀티 어댑터
KR200360782Y1 (ko) 다기능 커플러
US5905316A (en) Structured cabling
JP3081832B1 (ja) 情報分電盤の接続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