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970B1 - 증설용 분기기 - Google Patents

증설용 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970B1
KR102061970B1 KR1020180053331A KR20180053331A KR102061970B1 KR 102061970 B1 KR102061970 B1 KR 102061970B1 KR 1020180053331 A KR1020180053331 A KR 1020180053331A KR 20180053331 A KR20180053331 A KR 20180053331A KR 102061970 B1 KR102061970 B1 KR 102061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ignal
bridges
extension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943A (ko
Inventor
유현식
Original Assignee
(주)라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라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5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56Balancing circuitry switched-on automatically in dependence on automatically-selecte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외부로 신호가 출력되는 다수의 브릿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증설용 브릿지로 이용하되, 증설용 브릿지는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추가 가입자를 수용하면서도 모든 가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신호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설용 분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증설용 분기기{Tap-off for extension}
본 발명은 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의 추가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증설용 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HFC(Hybrid Fiber Coaxial; HFC) 전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저렴한 비용, 넓은 대역폭 등의 장점으로 인해 여전히 각광받고 있다. HFC 전송망은 유선방송 공급자로부터 각 가정으로의 방송신호 전송 또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각 가정으로의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HFC 전송망을 이용한 방송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신호 분배계통에 대하여 임피던스 변화 없이 신호의 분배를 위한 분기기가 사용된다. 분기기는 지선 또는 간선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신호를 분배 처리할 수 있으며, 그 입력/출력 단자간에는 일반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분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1c는 종래의 분기기를 이용한 가입자 증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종래의 분기기(10)는 전송선로(1)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공급자의 신호, 예컨대 방송신호를 입력단(11)으로 제공받고, 이를 AC/RF부(13), 7개의 분배기(S1~S7) 및 8개의 브릿지(BR1~BR8)를 통해 각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분기기(10)는 입력된 방송신호를 AC/RF부(13) 및 출력단(12)을 통해 다시 전송선로(1)로 출력한다.
분기기(10)의 8개의 브릿지(BR1~BR8)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이 가입자와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됨으로써 방송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나의 분기기(10)에 8 가입자만이 대응되어 연결되었다.
최근, 가입자의 수가 증가되면서 분기기(10)를 통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의로 분기기 증설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 저하가 발생된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입자 수용 용량의 증가를 위해 기 설치된 분기기(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추가 분기기(10')를 케이블 작업을 통해 연결하여 증설한다. 이때, 추가 분기기(10')는 지선 등의 연결선(5)을 통해 기 설치된 분기기(10)에 직렬로 연결되어 증설됨으로써, 추가 분기기(10')의 브릿지(BR) 수만큼의 가입자를 추가로 수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증설 방식은 선로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의 적정 레벨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분기기(10) 및 추가 분기기(10')에 접속되는 가입자들은 서비스 품질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증설 방식은 기 설치된 분기기(10)의 가입자보다 하나의 가입자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추가 분기기(10')를 설치 및 연결해야 하므로, 추가 분기기(10')의 증설 작업 중에 서비스가 중단되어 기존 가입자에게 불편을 야기한다.
더욱이, 선로의 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동주택 밀집지역에서는 전신주의 선로를 따라 다수의 분기기(10)가 설치되고, 각 분기기(10)에서 다수의 가입자 인입선을 통해 해당 가입자, 즉 해당 가구로 인입되므로, 가입자 인입선 난립으로 인한 도시의 환경 미관을 저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입자의 추가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증설용 분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는, 각각에 하나 이상의 분배기가 구비되고, 전송선로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그룹, 상기 제1그룹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3그룹으로 구성된 다수의 분배 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인입선용 브릿지 및 상기 제3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추가 분기기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증설용 브릿지로 구성된 다수의 브릿지들을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브릿지들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증설용 브릿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입선용 브릿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는 외부로 신호가 출력되는 다수의 브릿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증설용 브릿지로 이용하되, 증설용 브릿지는 나머지 브릿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하여 많은 수의 추가 가입자를 수용하면서도 모든 가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신호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치된 증설용 분기기의 증설용 브릿지에 연결선로를 통해 추가 분기기를 장착하여 증설하는 것이므로, 분기기 증설에 따른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분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c는 종래의 분기기를 이용한 가입자 증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는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들(BR, EX) 중 적어도 하나를 가입자 추가 수용을 위한 신호 중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설용 분기기(100)는 입력단(110), AC/RF부(130), 출력단(120), 다수의 분배그룹(G1~G3) 및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은 각각 전송선로(2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단(110)은 전송선로를 통해 제공된 신호, 예컨대 AC전원과 RF신호를 AC/RF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단(120)은 AC/RF부(130)를 통해 제공된 AC전원과 RF신호를 전송선로(2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AC전원은 후단의 증폭기(미도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일 수 있다.
AC/RF부(130)는 입력단(110)을 통해 제공된 AC전원과 RF신호 중에서 RF신호를 다수의 분배 그룹(G1~G3)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C/RF부(130)는 AC전원과 RF신호를 출력단(1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수의 분배 그룹(G1~G3)은 각각에 하나 이상의 분배기가 구비된 제1그룹(G1), 제2그룹(G2) 및 제3그룹(G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룹의 분배기들은 피라미드 형태로 연결되며, AC/RF부(130)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후단 그룹의 분배기에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그룹(G1)의 하나 이상의 분배기(D)는 AC/RF부(130)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그룹(G2)의 하나 이상의 분배기(S1, S2)는 제1그룹(G1)의 분배기(D)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그룹(G3)의 하나 이상의 분배기(S3~S6)는 제2그룹(G2)의 분배기(S1, S2)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그룹의 분배기들은 후단으로 갈수록 2의 배수로 그 수가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그룹(G1)에 하나의 분배기(D)가 구비되고, 제2그룹(G2)에는 2개의 분배기들(S1, S2)이 구비되며, 제3그룹(G3)에는 4개의 분배기들(S3~S6)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그룹(G2)의 2개의 분배기들(S1, S2) 각각은 제1그룹(G1)의 분배기(D)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그룹(G3)의 4개의 분배기들(S3~S6) 각각은 제2그룹(G2)의 2개의 분배기들(S1, S2) 각각의 출력단에 2개씩 연결될 수 있다.
제1그룹(G1)의 분배기(D)는 차등 분배기일 수 있다. 또한, 제2그룹(G2) 및 제3그룹(G3) 각각의 분배기(S1~S6)는 균등 분배기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그룹(G1)의 분배기(D)를 차등 분배기로 명명하고, 제2그룹(G2) 및 제3그룹(G3) 각각의 분배기(S1~S6)를 균등 분배기로 명명하기로 한다.
제1그룹(G1)의 차등 분배기(D)는 AC/RF부(130)의 출력단을 통해 제공된 신호를 제2그룹(G2)의 분배기, 예컨대 제1균등 분배기(S1) 및 제2균등 분배기(S2) 각각에 비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차등 분배기(D)는 제1균등 분배기(S1)와 제2균등 분배기(S2)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 차이가 대략 10dB가 되도록 신호를 차등 분배할 수 있다.
제2그룹(G2)의 제1균등 분배기(S1) 및 제2균등 분배기(S2) 각각은 차등 분배기(D)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차등 분배기(D)로부터 비균등 분배되어 제공된 신호를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3그룹(G3)의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 각각은 제1균등 분배기(S1)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제1균등 분배기(S1)로부터 균등 분배되어 제공된 신호를 다시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그룹(G3)의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은 제2균등 분배기(S2)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제2균등 분배기(S2)로부터 균등 분배되어 제공된 신호를 다시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은 다수의 분배 그룹(G1~G3) 중에서 최후단 분배 그룹, 즉 제3그룹(G3)의 제3균등 분배기(S3) 내지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의 출력단에 2개씩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브릿지들(BR, EX)에는 다수의 분배 그룹(G1~G3)에 의해 분배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은 가입자들에게 신호를 제공하는 4개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 예컨대 제1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제4인입선용 브릿지(BR4)와, 가입자 추가 수용을 위해 외부의 분기기에 증설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4개의 증설용 브릿지, 예컨대 제1증설용 브릿지(EX1) 내지 제4증설용 브릿지(EX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제4인입선용 브릿지(BR4)는 제3그룹(G3)의 다수의 균등 분배기들(S3~S6)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분배기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증설용 브릿지(EX1) 내지 제4증설용 브릿지(EX4)는 제3그룹(G3)의 다수의 균등 분배기들(S3~S6)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분배기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된 제1그룹(G1)의 차등 분배기(D)는 AC/RF부(130)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2그룹(G2)의 제1균등 분배기(S1) 및 제2균등 분배기(S2) 각각에 비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차등 분배기(D)에서 제1균등 분배기(S1)로 제공된 신호는 차등 분배기(D)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2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일 수 있다. 차등 분배기(D)에서 제2균등 분배기(S2)로 제공된 신호는 차등 분배기(D)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5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그룹(G2)의 제1균등 분배기(S1) 및 제2균등 분배기(S2) 각각은 차등 분배기(D)에서 인가된 신호를 제3그룹(G3)의 제3균등 분배기(S3) 내지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에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균등 분배기(S1)에서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 각각에 제공된 신호는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일 수 있다.
제2균등 분배기(S2)에서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에 제공된 신호는 제2균등 분배기(S2)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3그룹(G3)의 제3균등 분배기(S3) 내지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은 제2그룹(G2)의 제1균등 분배기(S1) 및 제2균등 분배기(S2) 각각에서 인가된 신호를 다수의 브릿지들(BR, EX) 각각에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는 제2그룹(G2)의 제1균등 분배기(S1)의 출력단에 연결되므로,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균등 분배기(S1)는 차등 분배기(D)로부터 -12dB로 레벨 저하된 신호를 제공받고,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는 제1균등 분배기(S1)로부터 각각 -3.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 각각에서는 내부의 신호레벨 저하, 예컨대 대략 -3.5dB의 레벨 저하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차등 분배기(D)에 인가된 신호와 대비하여 대략 -19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반해, 제2균등 분배기(S2)는 차등 분배기(D)로부터 -1.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를 제공받고,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는 제2균등 분배기(S2)로부터 각각 -3.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에서는 내부에서의 대략 -3.5dB의 신호 레벨 저하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차등 분배기(D)에 인가된 신호와 대비하여 대략 -8.5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브릿지들(BR, EX) 중에서 제3그룹(G3)의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에 연결된 4개의 브릿지는 가입자들에게 신호를 제공하는 인입선용 브릿지, 즉 제1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제4인입선용 브릿지(BR4)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브릿지들(BR, EX) 중에서 제3그룹(G3)의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에 연결된 4개의 브릿지는 가입자 추가 수용을 위한 증설용 브릿지, 즉 제1증설용 브릿지(EX1) 내지 제4증설용 브릿지(EX4)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는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을 인입선용 브릿지(BR1~BR4)와 증설용 브릿지(EX1~EX4)로 구분하고, 증설용 브릿지(EX1~EX4)에는 인입선용 브릿지(BR1~BR4)보다 높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증설용 브릿지(EX1~EX4)를 이용하여 추가 가입자의 수용을 위한 분기기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100)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8개의 브릿지들(BR, EX)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 즉 4개의 브릿지들을 증설용 브릿지들(EX1~EX4)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증설용 분기기(100)를 이용한 가입자 수용이 불가한 경우, 즉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4)을 통해 가입자 연결이 완료된 경우에,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EX4) 중 적어도 하나는 별도의 연결선로(150)를 이용하여 추가 분기기(101)의 입력단(111)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 분기기(101)는 최후단, 즉 가입자에게만 신호를 출력하는 말단 분기기이므로,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분기기(101)는 제1균등 분배기(S1) 내지 제7균등 분배기(S7) 및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분기기(101)의 제1균등 분배기(S1)는 증설용 분기기(100)의 제1증설용 브릿지(EX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추가 분기기(101)의 제2균등 분배기(S2) 내지 제7균등 분배기(S7)는 각각 제1균등 분배기(S1)의 출력단에 피라미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분기기(101)의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은 추가 분기기(101)의 제4균등 분배기(S4) 내지 제7균등 분배기(S7) 각각의 출력단에 한 쌍씩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분기기(101)의 제1균등 분배기(S1) 내지 제7균등 분배기(S7) 각각은 입력된 신호를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각 분배기의 출력신호는 각 분배기의 입력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추가 분기기(101)의 제1균등 분배기(S1)는 증설용 분기기(100)의 제1증설용 브릿지(EX1)에서 제공된 신호를 제2균등 분배기(S2) 및 제3균등 분배기(S3) 각각에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분기기(101)의 제2균등 분배기(S2) 및 제3균등 분배기(S3)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 분기기(101)의 제2균등 분배기(S2) 및 제3균등 분배기(S3)에서도 각각 인가된 신호를 균등 분배하여 출력하되,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분기기(101)의 제4균등 분배기(S4) 내지 제7균등 분배기(S7)에서도 각각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를 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분기기(101)의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은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4)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추가 분기기(101)의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 각각에는 증설용 분기기(100)의 제1증설용 브릿지(EX1)로부터 추가 분기기(101)의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9dB로 레벨이 감소된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4)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증설용 분기기(100)의 AC/RF부(130)를 통해 제1그룹(G1)의 차등 분배기(D)로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레벨이 대략 90dB라면,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4) 각각에는 입력신호보다 대략 -19dB로 레벨 저하된 대략 71dB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EX4) 각각에는 입력신호보다 대략 -8.5dB로 레벨 저하된 대략 81.5dB 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분기기(101)의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 각각에는 증설용 분기기(100)의 제1증설용 브릿지(EX1)의 신호보다 대략 -10.5dB로 레벨 저하된 대략 71dB 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EX4)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 분기기(101)를 연결하여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가시키되,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EX4)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추가 분기기(101)의 다수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에서도 증설용 분기기(100)의 다수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4) 각각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100)를 이용하여 분기기 증설을 하는 경우에, 종래의 분기기 증설과 대비하여 많은 수의 추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각 가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신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2개의 분기기를 이용하여 추가 가입자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최대 16 가입자에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증설용 분기기(100)를 이용하여 추가 가입자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증설용 분기기(100)의 4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EX4) 각각에 추가 분기기(101)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최대 36 가입자에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분기기 증설에서는 추가 분기기에서 기 설치된 분기기에 입력되는 신호와 대비하여 대략 -22dB로 레벨 저하된 신호가 가입자에게 출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증설용 분기기(100) 및 추가 분기기(101)에서는 입력신호 대비하여 대략 -19dB로 레벨 저하된 신호가 가입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송선로(200)를 통해 증설용 분기기(100)의 차등 분배기(D)로 90dB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모든 가입자에게 70dB 레벨 이상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어 가입자 증가로 인한 신호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100')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은 앞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증설용 분기기(100)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과 대비하여, 증설용 분기기(100')의 차등 분배기(D)의 배치 위치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는 AC/RF부(130)의 출력단에 제1그룹의 분배기, 즉 제1균등 분배기(S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균등 분배기(S1)의 출력단에 제2그룹의 분배기, 즉 제2균등 분배기(S2) 및 차등 분배기(D)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균등 분배기(S2)의 출력단에는 제3그룹의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가 공통으로 연결되고, 차등 분배기(D)의 출력단에는 제3그룹의 제5균등 분배기(S5) 및 제6균등 분배기(S6)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균등 분배기(S3) 내지 제6균등 분배기(S6) 출력단에는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이 한 쌍씩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브릿지들(BR, EX)은 6개의 가입자 인입선용 브릿지, 예컨대 제1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제6인입선용 브릿지(BR6)와, 가입자 추가 수용을 위한 증설을 제공하는 2개의 증설용 브릿지, 예컨대 제1증설용 브릿지(EX1) 내지 제2증설용 브릿지(EX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증설용 브릿지(EX1) 내지 제2증설용 브릿지(EX2)에 인가된 신호는 제1인입선용 브릿지(BR1) 내지 제6인입선용 브릿지(BR6)에 인가되는 신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균등 분배기(S1) 내지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은 인가된 신호를 균등 분배하여 출력하고, 차등 분배기(D)는 인가된 신호를 비균등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균등 분배기(S1) 내지 제6균등 분배기(S6) 각각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이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보다 대략 -3.5dB로 레벨이 저하된 신호일 수 있다. 차등 분배기(D)를 통해 제5균등 분배기(S5)에 인가된 신호는 차등 분배기(D)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차등 분배기(D)를 통해 제6균등 분배기(S6)에 인가된 신호는 차등 분배기(D)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2.dB로 레벨 저하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3균등 분배기(S3) 및 제4균등 분배기(S4) 각각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0.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5균등 분배기(S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8.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6균등 분배기(S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신호보다 대략 -19dB로 레벨 저하된 신호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에서는 제5균등 분배기(S5)의 출력단에 연결된 한 쌍의 브릿지들이 제1증설용 브릿지(EX1) 및 제2증설용 브릿지(EX2)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에서는 차등 분배기(D)가 제1그룹 및 제2그룹 중 어느 곳에 배치되더라도, 최후단의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는 나머지 브릿지보다 높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중설용 분기기(100')의 6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6)을 통해 가입자 연결이 완료된 경우에, 연결선로(105)를 통해 증설용 분기기(100')의 2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 EX2) 중 적어도 하나와 추가 분기기(101)를 연결할 수 있다.
추가 분기기(101)는 제1균등 분배기(S1) 내지 제7균등 분배기(S7) 및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분기기(101)는 앞서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어, 추가 분기기(101)의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을 이용하여 추가 수용될 가입자에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는 2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 EX2)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 분기기(101)를 연결하여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가시키되, 증설용 분기기(100')의 2개의 증설용 브릿지들(EX1, EX2)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추가 분기기(101)의 다수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를 이용한 분기기 증설은 최대 22 가입자에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증설용 분기기(100')의 6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6) 중에서 4개는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입력신호와 대비하여 대비하여 대략 -10.5dB로 레벨 저하된 신호가 가입자에게 출력되고, 2개는 대략 -19dB로 레벨 저하된 신호가 가입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증설용 분기기(100')의 증설용 브릿지(EX1, EX2)에 연결된 추가 분기기(101)의 8개의 인입선용 브릿지들(BR1~BR8)에서는 증설용 분기기(100')의 제1균등 분배기(S1)에 인가된 입력신호와 대비하여 대략 -19dB로 레벨 저하된 신호가 가입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송선로(200)를 통해 증설용 분기기(100')의 제1균등 분배기(S1)로 90dB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모든 가입자에게 70dB 레벨 이상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어 가입자 증가로 인한 신호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설용 분기기(100, 100')는 외부로 신호가 출력되는 다수의 브릿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증설용 브릿지로 이용하되, 증설용 브릿지는 나머지 브릿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대비하여 많은 수의 추가 가입자를 수용하면서도 모든 가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신호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치된 증설용 분기기(100, 100')의 증설용 브릿지에 연결선로를 통해 추가 분기기를 장착하여 증설하는 것이므로, 분기기 증설에 따른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의 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동주택 밀집지역에서 전신주에 증설용 분기기(100, 100')를 설치하고 추가 분기기(101)를 공동주택에 설치함으로써, 전신주의 설치되는 분기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신주로부터 공동주택으로 인입되는 선로의 수를 감소시켜 도시의 환경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100, 100': 증설용 분기기 110: 입력단
120: 출력단 130: AC/RF부
200: 전송선로 101: 추가 분기기

Claims (10)

  1. 각각에 하나 이상의 분배기가 구비되고, 전송선로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그룹, 상기 제1그룹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3그룹으로 구성된 다수의 분배 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인입선용 브릿지 및 상기 제3그룹에서 인가된 신호를 추가 분기기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증설용 브릿지로 구성된 다수의 브릿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증설용 브릿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입선용 브릿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1그룹 또는 제2그룹 중 어느 하나는 비균등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에 비균등 분배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전송선로에서 인가된 신호를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된 상기 제2그룹의 2개의 균등 분배기에 비균등 분배하는 하나의 차등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그룹은 상기 제2그룹의 2개의 균등 분배기 각각의 출력단에 한 쌍씩 연결된 4개의 균등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그룹의 4개의 균등 분배기 중 2개에는 상기 증설용 브릿지가 한 쌍씩 연결되고,
    상기 제2그룹에 비균등 분배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그룹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된 2개의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룹의 2개의 분배기 중 하나는 상기 제1그룹의 출력단에서 인가된 신호를 균등 분배하는 균등 분배기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그룹의 출력단에서 인가된 신호를 비균등 분배하는 비균등 분배기이고,
    상기 제3그룹은 상기 제2그룹의 2개의 분배기 각각의 출력단에 한 쌍씩 연결된 4개의 균등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균등 분배기 중 상기 제2그룹의 비균등 분배기에 연결된 1개에는 상기 다수의 브릿지들 중에서 상기 증설용 브릿지가 한 쌍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 각각의 분배기와 상기 다수의 브릿지들은 2의 배수로 증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와 상기 제1그룹 사이에 배치된 AC/RF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용 브릿지에 인가되는 신호와 상기 인입선용 브릿지에 인가되는 신호는 10dB의 레벨 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분기기는 연결선로를 통해 상기 증설용 브릿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분기기는 상기 증설용 브릿지에서 인가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출력하는 다수의 인입선용 브릿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용 분기기.
KR1020180053331A 2018-05-09 2018-05-09 증설용 분기기 KR102061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31A KR102061970B1 (ko) 2018-05-09 2018-05-09 증설용 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31A KR102061970B1 (ko) 2018-05-09 2018-05-09 증설용 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43A KR20190128943A (ko) 2019-11-19
KR102061970B1 true KR102061970B1 (ko) 2020-01-02

Family

ID=6877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31A KR102061970B1 (ko) 2018-05-09 2018-05-09 증설용 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232Y1 (ko) * 2002-08-06 2003-01-03 이행전자개발 주식회사 증폭기가 내장된 종단형 신호 분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232Y1 (ko) * 2002-08-06 2003-01-03 이행전자개발 주식회사 증폭기가 내장된 종단형 신호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43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945B2 (en) Distributed passive optical networks
EP0421602B1 (en) Hybrid network
US6819842B1 (en) Aerial fiber optic system including a sub-distribu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10122928A1 (en) High frequency signal hub
EP0803996A1 (en) Optical network having protection configuration
KR100697488B1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US7486860B2 (en) Multi-dwelling unit optical fiber splitting unit
US11799771B2 (en) Circuitry for demarcation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KR102061970B1 (ko) 증설용 분기기
EP1193895B1 (en) Pasive optical network architecture
US20190342641A1 (en)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serving area bridging connections and associated methods
JP5400918B2 (ja) ノード装置、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の変更方法
KR100693998B1 (ko) 유선망에 대한 멀티 채널 형성방법
KR100408174B1 (ko) 증설을 용이하게 하는 광동축망 증설용 분기기
JP4283630B2 (ja) ハイブリッド伝送路を用いた高速ネットワーク
WO2023215123A1 (en) Power adaptation for pon networks
US77259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mmunication signals
KR100789758B1 (ko) 저밀도파장분할다중화방식 수동광네트워크 시스템
CN102480309B (zh) 一种EoC中继器、及中继EoC系统
WO2023215095A1 (en) Pon with legacy cpe
WO2023215104A1 (en) Optical network unit comprising means to communicate with a hub via a coaxial cable or a twisted pair electrical conductor
US7299040B1 (en) E-band wireless extensions to a remote service area
WO2023215101A1 (en) Dual pon and wireless system
KR101133588B1 (ko) 유선망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멀티 채널 형성방법
RU2395167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сет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