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330U -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 Google Patents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330U
KR980007330U KR2019960023256U KR19960023256U KR980007330U KR 980007330 U KR980007330 U KR 980007330U KR 2019960023256 U KR2019960023256 U KR 2019960023256U KR 19960023256 U KR19960023256 U KR 19960023256U KR 980007330 U KR980007330 U KR 9800073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edal
vehicle
hinge pi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2370Y1 (ko
Inventor
김법중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3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370Y1/ko
Publication of KR980007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non-pivoting, e.g.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내측 소정부위에 각각 장착되는 직선궤적식 페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각각의 페달(2,3,4)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의 페달(2,3,4)이 단일식 회동링크 (5)로 원운동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각각의 페달(2,3, 4)을 동작시키는데 다소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하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브라켓(6)에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페달(2,3,4)의 단일식 회동링크(5)를 대신하여 상측에 양측으로 각각 상부링크(9)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링트(9)에 상응하여 하측으로 일단의 힌지판(7)으로 희동되게 고정된후 상측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의 하단에 타단이 각각의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하부링크(1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링크(10)의 상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부재(12)의 타단이 상기 상부링크(9)의 하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끼워짐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클러치페달(2), 브레이크페달(3) 및 엑셀러레이터페달(4)을 직선궤적식으로 좀더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차량의 내측 소정부위에 각각 장착되는 직선궤적식 페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페달을 이루는 클러치페달, 브레이크페달 및 엑셀러레이터페달의 단일식 회동링크를 대신하여 각각의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다관절식 링크를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 직선방향으로 궤적이 이루어지게 하여 좀더 발의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하측 소정부위에는 대별하여 차량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클러치페달(2), 브레이크페달 (3) 및 엑셀러레이터페달(4)이 구비되는 바 상기 클러치페달(2)은 동력을 단속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3)은 차량을 제동시키는 기능을 담당하여 상기 엑셀러레이터페달(4)은 차량의 동력을 가속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각각의 페달(2,3,4)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의 페달(2,3,4)이 단일식 회동링크(5)로 원운동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각각의 페달(2,3,4)을 동작시키는 데 다소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클러치페달, 브레이크페달 및 엑셀러레이터페달을 직선궤적식으로 좀더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각종 운전조작용 페달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을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인스트루먼트판넬 5 : 단일식 회동링크
6 : 브라켓 7 : 힌지핀
8 : 페달 9 : 상부링크
10 : 하부링크 11 : 돌기
12 : 스프링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의 하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페달의 단일식 회동링크를 대신하여 상측에 양측으로 각각 상부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에 상응하여 하측으로 일단이 힌지핀으로 회동되게 고정된후 상측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의 하단에 타단이 각각의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하부링크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링크의 상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에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부재의 타단이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하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브라켓(6)에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페달(2,3,4)의 단일식 회동링크(56)를 대신하여 상측에 양측으로 각각 상부링크(9)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에 상응하여 하측으로 일단이 힌지핀(7)으로 회동되게 고정된후 상측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의 하단에 타단이 각각의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하부링크(1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링크(10)의 상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부재(12)의 타단이 상기 상부링크(9)의 하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하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브라켓(6)에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페달(2,3,4)의 단일식 회동링크(5)를 대신하여 상측에 양측으로 각각 상부링크(9)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에 상응하여 하측으로 일단이 힌지핀(7)으로 회동되게 고정된후 상측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의 하단(9)에 타단이 각각의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하부링크(1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링크(10)의 상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부재(12)의 타단이 상기 상부링크(9)의 하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끼워짐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각각의 페달(2,3,4)을 밟게 되면 상기 브라켓(6)의 힌지핀(7)을 중심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 및 각각의 하부링크(10)의 힌지핀(7)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스프링부재(12)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하부링크(10)의 일단에 동일체로 구비되는 발판(13)이 직선방향으로 궤적을 그리며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은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하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브라켓(6)에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페달(2,3,4)의 단일식 회동링크(5)를 대신하여 상측에 양측으로 각각 상부링크(9)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에 상응하여 하측으로 일단이 힌지핀(7)으로 회동되게 고정된후 상측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의 하단에 타단이 각각의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하부링크(1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링크(10)의 상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부재(12)의 타단이 상기 상부링크(9)의 하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끼워짐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클러치페달(2), 브레이크페달(3) 및 엑셀러레이터페달(4)을 직선궤적식으로 좀더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하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브라켓(6)에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페달(2,3,4)의 단일식 회동링크(5)에 있어서, 상기 단일식 회동링크(5)를 대신하여 상측에 양측으로 각각 상부링크(9)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에 상응하여 하측으로 일단이 힌지핀(7)으로 회동되게 고정된후 상측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링크(9)의 하단에 타단이 각각의 힌지핀(7)으로 연결되는 하부링크(1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링크(10)의 상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부재(12)의 타단이 상기 상부링크(9)의 하단 소정부위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기(1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3256U 1996-07-31 1996-07-31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KR200142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256U KR200142370Y1 (ko) 1996-07-31 1996-07-31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256U KR200142370Y1 (ko) 1996-07-31 1996-07-31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330U true KR980007330U (ko) 1998-04-30
KR200142370Y1 KR200142370Y1 (ko) 1999-06-01

Family

ID=1946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256U KR200142370Y1 (ko) 1996-07-31 1996-07-31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09B1 (ko) * 2012-10-26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시뮬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09B1 (ko) * 2012-10-26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시뮬레이터
US9003872B2 (en) 2012-10-26 2015-04-14 Hyundai Motor Company Brake pedal simulat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2370Y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5857B2 (ja) 自転車用モータ駆動式変速機の電気制御装置
JP4855376B2 (ja) ブレーキレバー調整装置
KR200142370Y1 (ko) 차량의 직선궤적식 페달
JPH10172389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US20010025774A1 (en) Brake lever conjunctive switch device
KR200148241Y1 (ko) 차량용 브레이크 및 액셀레이터 페달의 일체형 구조
JPH11115523A (ja) 変速レバーの配線構造
KR100192277B1 (ko) 클러치 조작장치
KR200154346Y1 (ko) 조작이 용이한 페달 시스팀
JP2000357435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0236541B1 (ko) 차량의 2축 독립 수동기어 변속장치
JPS5928889Y2 (ja) 車両用機器の操作装置
KR100207203B1 (ko) 클러치 페달 조작구조
JP2004106690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KR100199711B1 (ko) 클러치 조작 장치
JPH0389074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20080028152A (ko)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KR200154343Y1 (ko) 자동변속레버에 장착되는 오버드라이브스위치 구조
JP2000025477A (ja) ゲート式シフトレバー装置
KR0172214B1 (ko) 자동차의 도어유리 개폐용 스위치 취부구조
KR200294387Y1 (ko) 전동지게차의악셀레이터
JPS6135457Y2 (ko)
KR100219459B1 (ko) 자동차의 페달
JP200124695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及び移動体位置検出装置
JP3493072B2 (ja) 二輪車用ブレーキ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