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59838A -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59838A
KR970059838A KR1019960032697A KR19960032697A KR970059838A KR 970059838 A KR970059838 A KR 970059838A KR 1019960032697 A KR1019960032697 A KR 1019960032697A KR 19960032697 A KR19960032697 A KR 19960032697A KR 970059838 A KR970059838 A KR 970059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hole
holes
wafer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6543B1 (ko
Inventor
타까유끼 사까끼바라
사토루 사고오
야마자끼사토루
끼이찌 사까모토
히로시 야수다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0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899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06353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1548B2/ja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70059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8Masks having auxiliary features, e.g. special coatings or marks for alignment or testing; Prepa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17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 H01J37/3174Particle-beam lithography, e.g. electron beam lith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0Masks or mask blanks for imaging by charged particle beam [CPB] radiation, e.g. by electron beam;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0Electron or ion beam tubes for processing objects
    • H01J2237/317Processing objects on a microscale
    • H01J2237/3175Lithography
    • H01J2237/31761Patterning strategy
    • H01J2237/31764Dividing into sub-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0Electron or ion beam tubes for processing objects
    • H01J2237/317Processing objects on a microscale
    • H01J2237/3175Lithography
    • H01J2237/31777Lithography by projection
    • H01J2237/31788Lithography by projection through ma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I)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I)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는 전자빔을 차단할 수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상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미세사각형 영역(4)을 포함하고, 미세사각형영역(4)중 대응하는 하나의 면적 크기보다 작은 면적크기를 갖는 상기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를 거쳐서 형성된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미세시각형영역으로 되고, 상기 미세투과공(3)의 총 면적크기는 소정크기 이하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이다.

Description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원리의 제1실시예에 의한 미세투과공 패턴을 형성하는 처리와, 패턴을 사용하여 웨이퍼를 노광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원리의 제1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미세투과공을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원리의 제2실시예에 의한 미세투과공 패턴을 형성하는 처리와 미세투과공 패턴을 사용하여 웨이퍼를 노광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원리의 제3실시예에 의한 미세투과공을 형성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13A도 내지 제13C도는 빔삽입패턴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원리의 제2실시예에 의한 빔삽입과 노광량조정에 따른 데이타작성처리의 플로우챠트.

Claims (40)

  1.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1)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마스크(120)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전자빔을 차단할 수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상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미세사각형영역(4)과, 상기 플레이트를 거쳐서 형성된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미세사각형영역(4)과, 미세사각형영역(4)중 대응하는 하나의 면적크기 보다 작은 면적크기를 갖는 상기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갖고, 상기 미세투과공(3)의 총 면적크기는 소정크기 이하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x반향과 y방향으로 뻗어있는 변을 갖고 상기 패턴을 분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와, x방향과 y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미세사각형영역(4)으로 분할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의 면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서 서로 동일한 것이 특징인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은 사각형이고, x방향과 y방향의 변길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서 동일한 것이 특징인 마스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은 상기 x방향과 y방향으로 뻗어있는 변을 갖는 사각형이고, 상기 미세투과공 사이의 빔을 폭은 x방향과 y방향에 대해서 동일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서 동일한 것이 특징인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 사이의 빔폭은 소정폭보다 더 넓은 것이 특징인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의 폭은 2@m 이상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
  8.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1)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마스크(120)에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자빔을 차단할 수 있는 플레이트상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미세사각형영역(4)을 정하고, b) 각각의 상기 미세사각형영역(4)은 미세투과공(3)중 대응하는 하나와, 미세사각형영역(4)중 대응하는 하나의 면적크기 보다 작은 면적크기를 갖는 각각의 상기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갖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거쳐서미세투과공(3)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투과공(3)의 총 면적크기는 소정크기 이하로 하는 것이 특징인 마스크형성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a1) x방향과 y방향으로 뻗어있는 변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로 상기 패턴을 분할하고, a2) 상기 x방향과 y방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미제사각형영역(4)으로 분할함으로서 상기 미세사각형 영역을 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 면적크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 서로 동일한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은 사각형이고, x방향과 y방향의 변길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서 동일한 변길이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투과공(3)은 상기 x방향과 y방향으로 뻗어있는 변을 갖는 사각형이고, 상기 미세투과공(3) 사이의 빔의 폭은 x방향과 y방향에 대해서 동일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서 동일한 변길이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는 상기 미세투과공(3) 사이의 빔폭이 소정폭보다 더 넓도록 상기 미세투과공(3)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는 상기 미세투과공(3) 사이의 빔폭이 2@m 이상이 되도록 상기 미세투과공(3)을 형성한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가 소정길이보다 더 짧으면, 상기 공정 a)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에 대해 상기 한변과 동일한 변길이를 갖는 상기 미세사각형영역(4)을 정하고, 상기 공정 b)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각형부(L1, L2)중 하나에 대해 상기 한변과 동일한 변길이를 갖는 상기 미세투과공(3)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길이가 20㎛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7.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을 갖는 마스크(120)를 사용하여 상기 블럭(1)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마스크(12)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자빔을 차단할 수 있는 플레이트상에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미세사각영역(4)을 정하고, b) 각각의 상기 미세사각형영역(4)은 미세투과공(3)중 대응하는 하나와, 미세사각형영역(4)중 대응하는 하나의 면적크기 보다 작은 면적크기를 갖는 각각의 상기 미세투과공(3)을 갖도록 상기 플레이트(120)를 거쳐서 미세투과공(3)을 형성하고, c) 상기 미세투과공(3)을 통과하는 상기 전자빔으로 웨이퍼를 노광하고, 상기 미세투과공(3)을 통과한 수에 상기 전자빔의 총전류량을 소정전류량 이하로 하는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패턴크기와 형을 갖는 투과공을 통과하는 상기 전자빔을 사용할 경우, 기준시간의 A/B배의 시간길이 동안 상기 미세투과공(3)을 투과하는 상기 전자빔으로 노광하고, 여기서, A는 상기 패턴의 면적크기이고, B는 상기 투과공(3)의 총 면적크기이고, 기준시간은 노광할 상기 웨이퍼에 대한 적절한 시간주기인 것이 특징인 마스크 형성방법.
  19.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을 갖는 마스크(120)를 사용하여 상기 블럭(1)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빔발생부(114)와,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미세사각형영역(4)을 갖는 마스크(120)와, 상기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미세사각형영역(4)을 포함하고, 미세사각형영역(4)중 대응하는 하나의 면적크기 보다 작은 면적크기를 갖는 미세투과공(3)중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미세투과공(3)을 통과한 후의 상기 전자빔의 전류량이 소정전류량 이하 인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의 총 전류량이 상기 소정 전류량 이하인 경우, 쿨롱신호작용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21.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0, 20)을 갖는 마스크(120)를 사용하여 상기 블럭(10,20)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블록(10,20)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중에서 가장 노광부족이 되기 쉬운 제1투과공(11,12)을 기준으로 상기 블록(10,20)중 하나에 대한 노광량을 결정하고, b) 노광량이 다른 투과공(12,22)에 대해서 과잉노광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투과공(13,23)과 함께 상기 다른 투과공(12,22)을 통과하는 전자빔이 적절한 전류량을 갖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중 다른 투과공(12,22)에 제1빔을 삽입하고, c)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노광량으로 웨이퍼를 노광하는 노광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13,23)의 폭이 상기 웨이퍼상으로의 다른 투과공(12,22)의 투영패턴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의 폭이 0.02@m 내지 0.06@m 범위내인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d) 상기 제1빔(13,23)과 함께 제1투과공(11,21)과 다른 투과공(12,22)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전류량이 소정량 이상일 경우, 전자빔의 전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빔(13,23)과 함께 제1투과공(11,21)과 다른 투과공(12,22)에 상기 제2빔(13,14,23,24)을 삽입하고, e) 상기 전자빔의 전류량이 패턴에 대한 적절한 노광량이 되도록 노광시간을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량이 소정량 이하일 경우 쿨롱상호작용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공정 e)는 상기 제1투과공(11,21)과 상기 제2투과공(12,22)의 총면적크기에 준하여 노광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f) 상기 블록(10,20) 각각에 대한 노광정보데이타와, 상기 제1빔(13,23)과 상기 제2빔(13,14,23,24)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노광정보데이타를 생성하고, g)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노광량보정데이타와, 적절한 노광량으로 상기 웨이퍼상의 대응패턴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생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노광량정보데이타와 상기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사용하여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8.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0,20)을 갖는 마스크(120)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10,20)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상기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10,20) 대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중 적어도 하나에 빔(13,14,23,24)을 삽입하고, b) 상기 블록(10,20) 각각에 대한 노광정보 데이타와, 상기 빔(13,14,23,24)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노광정보데이타를 생성하고 c)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노광량보정데이타와, 적절한 노광량으로 상기 웨이퍼상의 대응패턴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생성하고, d) 상기 노광량정보데이타와 상기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사용하여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20)의 대응하는 하나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 총 면적크기에 준하여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적절한 노광량을 결정하는 공정 f)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적절한 노광량과의 관계와, 소정폭을 갖는 투과공(11,12,21,22)내에 삽입된 상기 빔(13,14,23,24)의 크기와 갯수를 미리 구하는 공정 f)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31.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을 갖는 복수의 블록(10,20)을 갖는 마스크(120)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10,20)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상기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10,20)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중에서 노광부족이 되기 쉬운 제1투과공(11,12)기준으로 상기 블록(10,20)중 하나에 대한 노광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노광량이 다른 투과공(12,22)에 대해서 과잉노광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빔(13,23)과 함께 상기 다른 투과공(12,22)을 통과하는 상기 전자빔이 적절한 전류량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중 다른 투과공(12,22)에 제1빔을 삽입하는 수단과,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노광량으로 웨이퍼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13,23)의 폭이 상기 웨이퍼상으로의 다른 투과공(12,22)의 투영패턴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13,23)의 폭이 0.02@m 내지 0.06@m 범위내인 것이 특징인 노광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13,23)과 함께 제1투과공(11,21)과 다른 투과공(12,22)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전류량이 소정량 이상일 경우, 전자빔의 전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빔(13,23)과 함께 제1투과공(11,21)과 다른 투과공(12,22)에 상기 제2빔(13,14,23,24)을 삽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자빔의 전류량이 패턴에 대한 적절한 노광량이 되도록 노광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노광시간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량이 소정량 이하일 경우 콜롱상호작용이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제1투과공(11,21)과 상기 다른 투과공(12,22)의 총면적크기에 준해서 상기 노광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노광정보데이타와, 상기 제1빔(13,23)과 상기 제2빔(14,24)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노광정보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노광량보정데이타와, 적절한 노광량으로 상기 웨이퍼상의 대응패턴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노광량정보데이타와 상기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사용하여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노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8. 각각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을 갖는 복수의 블록(10,20)을 갖는 마스크(120)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10,20)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웨이퍼상에 조사하여 상기 웨이퍼상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10,20)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중 적어도 하나에 빔(13,14,23,24)을 삽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각각의 블록(10,20)에 대한 노광보정데이타와, 상기 빔(13,14,23,24)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노광정보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노광량정보데이타와, 적절한 노광량으로 상기 웨이퍼상의 대응패턴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노광량정보데이타와 상기 노광량보정데이타를 사용하여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노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20)의 대응하는 하나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공(11,12,21,22) 총면적크기에 준하여 상기 블록(10,20)의 각각에 대한 적절한 노광량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적절한 노광량과의 관계와, 소정폭을 갖는 투과공(11,12,21,22)내에 삽입된 상기 빔(13,14,23,24)의 크기와 갯수를 미리 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노광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2697A 1996-01-09 1996-08-06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장치 KR100196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01608 1996-01-09
JP160896A JPH09189992A (ja) 1996-01-09 1996-01-09 透過孔マスク、その形成方法、及び電子ビーム露光方法
JP06353596A JP3511548B2 (ja) 1996-03-19 1996-03-19 電子ビーム露光方法及び装置
JP96-063535 1996-03-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518A Division KR100241975B1 (ko) 1996-03-19 1998-11-25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838A true KR970059838A (ko) 1997-08-12
KR100196543B1 KR100196543B1 (ko) 1999-06-15

Family

ID=2633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697A KR100196543B1 (ko) 1996-01-09 1996-08-06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824437A (ko)
KR (1) KR100196543B1 (ko)
DE (1) DE19631401C2 (ko)
TW (1) TW3240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8233B2 (ja) * 1998-02-25 2009-05-2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130173A (en) * 1998-03-19 2000-10-10 Lsi Logic Corporation Reticle based skew lots
JP2000058431A (ja) * 1998-08-04 2000-02-25 Nikon Corp 荷電粒子線転写用マスク
US6476400B1 (en) 1999-12-21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adjusting a lithography system to enhance image quality
US6420084B1 (en) 2000-06-23 2002-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sk-making using resist having SIO bond-containing polymer
JP4156186B2 (ja) * 2000-08-29 200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ビーム描画装置および描画方法
JP2003017388A (ja) * 2001-06-29 2003-01-17 Fujitsu Ltd ブロックマスク製造方法、ブロックマスク、および、露光装置
JP2003045780A (ja) * 2001-07-30 2003-02-14 Nec Corp マスク描画データの作成方法
JP2004088072A (ja) * 2002-06-28 2004-03-18 Sony Corp マスクおよびその検査方法
US6849858B2 (en) * 2003-07-01 2005-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lignment layers
NL2003304C2 (en) * 2008-08-07 2010-09-14 Ims Nanofabrication Ag Compensation of dose inhomogeneity and image distor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7743B2 (ja) * 1990-06-27 1998-12-16 富士通株式会社 荷電粒子ビーム露光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テンシルマスク
JP2746098B2 (ja) * 1994-01-19 1998-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ビーム描画用アパーチャおよび電子ビーム描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31401A1 (de) 1997-07-24
KR100196543B1 (ko) 1999-06-15
TW324070B (en) 1998-01-01
US5952155A (en) 1999-09-14
DE19631401C2 (de) 2001-03-01
US5824437A (en) 199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59838A (ko)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전자빔노광방법 및 그 장치
KR940015692A (ko) 패턴의 형성방법
KR880003414A (ko) 하이브리드 ic석판 인쇄 방법 및 장치
KR980010628A (ko)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노광방법
DE112004001942T5 (de) Kombinierte Musterung mit Gräben
KR980005342A (ko) 전자빔 노광장치용 마스크 데이터 작성방법 및 마스크
KR950033698A (ko) 근접 효과를 보정할 수 있는 전자빔 노광시스템
US6153340A (en) Charged-particle-beam microlithography methods and reticles for same exhibiting reduced space-charge and proximity effects
US5945238A (en) Method of making a reusable photolithography mask
US20040121246A1 (en) Lithography process to reduce seam lines in an array of microelements produced from a sub-mask and a sub-mask for use thereof
JPS61284921A (ja) 電子ビ−ム描画方法
JP2004264102A (ja) Semシュリンク量測定方法および測長sem装置
JPH0619115A (ja) 投影露光装置用マスク
JPH1187209A (ja) 荷電粒子線投影露光方法
KR970049060A (ko) 다중 노광에 의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Inanami et al. Lithography simulator for electon beam/deep UV intra-level mix & match
JP3253686B2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Sakakibara et al. Variable-shaped electron-beam direct writing technology for 1-µm VLSI fabrication
JPH01195450A (ja) フォトマスクのパターン作成法
KR100422956B1 (ko) 미세패턴형성방법
JPH10142769A (ja) フォトマスク及び半導体装置の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0047367A (ja) マイクロリソグラフィ製造におけるパタ―ン形成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845810A (ja)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KR970049066A (ko) 전자빔 노광장치에서의 최적 노광조건 결정방법
Stangl et al. Resist materials for sub-0.5-μm pattern transfer with demagnifying ion projection lithography (IP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