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970B1 - 카세트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장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970B1
KR970011970B1 KR1019920020765A KR920020765A KR970011970B1 KR 970011970 B1 KR970011970 B1 KR 970011970B1 KR 1019920020765 A KR1019920020765 A KR 1019920020765A KR 920020765 A KR920020765 A KR 920020765A KR 970011970 B1 KR970011970 B1 KR 970011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tape
accommodation
receiv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913A (ko
Inventor
나오키 에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1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11B15/67536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inside drawer
    • G11B15/6753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inside drawer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8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the cassettes being conveyed within a cassette storage location, e.g. within a storage bin or conveying by belt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장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장전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 제3A도및 제3B도는 제1도의 트레이 이송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카세트 승강기구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카세트 승강기구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카세트 승강기구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테이프카세트,10 : 카세트 수용수단,
11,12 : 수용부,16 : 테이프구동부
본 발명은 예를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로 기재한다) 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테이프카세트를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하는데 사용하는 카세트 장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장시간 방송이 많아지고, 특히 위성방송의 개시에 따라서 방송시간이 심야에 이르는 장시간 방송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장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VTR로서는 장시간의 방송프로그램을 집에 없을때도 확실히 녹화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VTR에 있어서는 1개의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자기테이프의 길이 관계로 녹화가능한 시간에 제약이 있었다. 이로인해 장시간에 걸치 방송프로 그램을 방송개시부터 종료까지를 녹화할 경우에는 방송도중에 테이프카세트의 교환이 필요하고 녹화한 방송이 도중에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테이프카세트의 교환수용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 녹화 및 재생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카세트장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테이프카세트가 대략 평면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고, 그 수용부에 테이프카세트를 수용하거나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의 위치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구동부로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의 위치의 사이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카세트수용 수단과, 이 카세트 수용수단이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테이프카세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테이프구동부에 착탈하는 카세트장전수단과,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을 상기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로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중 어느 한쪽에 수용되는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위치로 이송되어 다른 테이프카세트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 또는 착탈을 가능케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한 카세트 장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장전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카세트수용수단을 구성하는 트레이본체(10)에는 제1 및 제2의 카세트 수용부(11, 12)가 이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이들 제1 및 제2의 카세트 수용부에는 각각 테이프카세트(9)(제2도 및 제3도 참조)가 대략 평면상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의 카세트 수용부(11, 12)는 후술하는 카세트승강기구(20)를 통하여 트레이본체(10)에 대하여 제각기 독립되어 이탈되어 화살표(A, B)방향으로 승강안내 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0)는 제2도, 제3A도 및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트레이 이송기구(13)에 의하여 화살표(C, D) 방향으로 이송되고, 캐비넷(14)의 저면으로 부 돌출되는 카세트착탈(카세트 수용 또는 인출)이 가능한 제1의 위치(제2도)와, 캐비넷(14)내에 이송되어서 제1 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1, 12)에 수용되는 테이프카세트(9)의 어느 한쪽을 테이프구동부(16)에 장전할 수 있게 하는 제2의 위치(제3A 및 제3B도)로 이송 안내된다. 테이프 구동부(16)은 주지의 릴장치, 캡스턴, 핀치러 등으로 구성되고, 장전된 테이프카세트(9)의 테이프를 주행구동한다.
상기 제2의 위치로 이송된 트레이본체(10)는 제1 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1, 12)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카세트 승강기구(20)을 통하여 하강되고, 그 테이프카세트(9)가 테이프구동부(16)에 장전된다. 그리고 테이프구동부(16)에 장전된 테이프 세트(9)는 도시를 생략한 테이프 로딩기구에 의하여 테이프가 인출되어 회전드럼(161) 등에 접촉되어 녹화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제1의 카세트수용부(11) 또는 제2의 세트수용부(12)를 상기 트레이본체(10)로부터 이탈시켜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고, 상 테이프카세트(9)를 테이프구동부(16)에 착탁하는 카세트 승강기구(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트레이본체(10)는 2개의 사이드 샤시(21, 22) 사이에 장착되어 화살표(C)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이 사이드샤시(21, 22)에는 대략 동일하게 승강구동용의 1쌍의 캠기어(23A, 23B) 및 (24A, 24B)가 각각 자유로이 회전 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 캠기어(23A, 23B)는 연결기어(25A)를 통하여 연동이 가능도록 연결되고, 캠기어(24A, 24B)는 연결기어(25B)를 통하여 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이 연결기어(25A, 25B)는 연결봉(26)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것에 의하여 캠기어(23A, 23B) 및 (24A, 24B)는 도시를 생략한 승강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연하여 회전구동된다.
또, 카세트승강기구(20)를 구성하는 캠기어(23A, 23B) 및 (24A, 25B)는 그 중기어(23A, 23B)가 사이드샤시(21)에 배치구성되고, 캠기어(24A, 24B)가 사이드(22)에 대략 동일하게 배치구성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쪽의 사이드샤시(21)측의 캠기어(23A, 23B)의 배치구성에 대하여 대표로 설명하고, 캠기어(24A, 24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캠기어(23A, 23B)는 대략 동일하게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스러스트 방향의 구동용의 제1의 캠부(23A1, 23B1)와 원주방향 구동용의 제2의 캠부(23A2, 23B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캠부(23A1, 23B1)에는 해제봉(27A, 27B)의 일단의 계합이다. 해제봉(27A, 27B)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사이드샤시(21)에 각각 화살표(E, F)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스프링 부재(28A, 28B)를 통하여 화살표(E)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다.
해제봉(27A, 27B)의 타단에는 트레이 본체(10)에 설치된 카세트수용부 유지의 유지레버(29A, 29B)의 일단이 계합된다. 이 유지레버(29A, 29B)는 스프링(30A, 30B)에 의하여 제4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고 있고, 그 타단에 유지부(29A1, 29B1)가 설치된다. 이 유지레버(29A, 29B)의 유지부(29A1, 29B1) 제1 및 제2의 카세트 수용부(11, 12)의 각 코너부에 설치된 걸림부(111, 121)와 대향한다.
따라서 유지레버(29A, 29B)는 해제봉(27A, 27B)이 캠기어(23A, 23B)의 탄성력에 대하여 압압이동되면 스프링 부재(30A, 30B)가 탄성력에 반발하여 제4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지레버(29A, 29B)는 그 유지부(29A1, 29B1)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의 걸림부(111, 111)(또는 제2의 카세트 수용부(12)의 걸림부(121, 121))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 수용부(12))를 트레이 본체(10)로부터 이탈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유지레버(29A, 29B)는 해제봉(27A, 27B)이 캠기어(23A, 23B)의 제1캠부(23A1, 23B1)로 안내되어 스프링 부재(28A, 28B)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프링부재(30A, 30B)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4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지레버(29A, 29B)는 그 유지부(29A1, 29B1)가 제1의 카세트수용부(11)의 걸림부(111)(또는 제2의 카세트 수용부(12)의 걸림부(121))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를 트레이본체(10)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트레이본체(10)의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의 측부에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카세트 누름레버(31)가 스프링부재(32)를 통하여 제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도면에서는 한쪽측만을 도시한다).
이 카세트 누름레버(31)는 그 선단부에 걸림부(311)가 테이프 카세트(9)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그 기부에는 계합부(3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카세트 누름레버(31)의 계합부(312)에는 상기 트레이본체(10)에 설치되는 구동캠부(101)가 계합된다.
따라서, 카세트 누름레버(31)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가 하강되면 그 계합부(312)가 스프링부재(32)의 성력에 의하여 구동캠부(101)로 안내되어서 제4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걸림부(311)로 테이프카세트(9)를 유지하여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에 수용유지된다. 그리고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가 상승되면 카세트누름레버(31)는 계합부(312)가 구동캠부(101)에 의하여 스프링부재(32)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압압되어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걸림부(311)에 의한 테이프카세트(9)의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에 대한 유지를 해제한다.
또, 한쌍의 캠기어(23A, 23B)에 형성된 제2의 캠부(23A, 23B)에는 제6도에 도시하는 거소가 같이 승강구동레버(33A, 33B)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부(33A1, 33B1)에 계합된다. 이 구동레버(33A, 33B)의 구동부(33A1, 33B1)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중간부가 각각 사이드샤시(21)에 끼워지고, 그 사이드샤시(21)을 통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승강구동레버(33A)에는 안내부(33A2, 33B3)(제7도 및 제8도 참조)가 구동(33A1)을 중간에 끼고 형성된다. 승강구동레버(33B)에는 안내부(33A2, 33B3)(제7도 및 제8도 참조)가 구동부(33B1)을 중간에 끼고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안내(33A2, 33B3, 33B2, 33B3)는 사이드샤시(21)에 형성된 안내홈(211, 212)(제5도에 상안내부(33B2, 33B3)의 안내홈은 도시를 생략한다(에 각각 자유로이 안내되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승강구동레버(33A, 33B)는 그 구동부(33A1, 33B1)가 각각 되어(23A, 23B)의 제2의 캠부(23A2, 23B2)에 의해 구동되면, 동기해서 그 안(33A2, 33A3, 33B2, 33B3)가 사이드샤시(21)의 안내홈(211, 212)(안내부(33B2 안내홈은 도시를 생략한다)으로 안내되어 화살표(A, B)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또, 승강구동레버(33A, 33B)에는 걸림핀(33A4, 33B4)이 형성되고, 이 걸림핀(33A4, 33B4)은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에 자이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잠금부재(34A, 34B)에 대향된다. 잠금부재(34A)는 스프링부재(35A)를 통하여 제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고, 잠금부재(34B)는 스프링부재(35B)를 통하여 제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고 있다.
잠금부재(34A, 34B)의 일단부에는 잠금해제용의 계합부(34A1, 34B1)가 잠금해제(36A, 36B)에 대응하여 형성된다(제4도 참조).
잠금해제부재(36A, 36B)는 트레이본체(10)의 양측부에 1쌍씩 설치되고 승강 구동레버(33A, 33B)가 상기와 같이 동기해서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제1의 세트 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가 하강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잠금해제부재(36A, 36B)가 잠금부재(34A, 34B)로 부터 이탈되어 잠금부재(34A, 34B)의 계합부(34A1, 34B1)가 스프링부재(35A, 35B)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5도의 도시와 같이 동탄지되어 그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걸림핀(33A4, 33B4)를 고정한다. 그것에 하여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 수용부(12))는 트레이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승강구동레버(33A, 33B)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서 테이프 구동부(16)로 이송된다.
그리고, 승강구동레버(33A, 33B)가 화살표(A)방향에 동기하여 이동되고,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가 상승되면 잠금해제부(36A, 36B)가 잠금부재(34A, 34B)의 계합부(34A1, 34B1)를 스프링 부재(35A, 35B)성력에 반발하여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회동탄지하여 상기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걸림핀(32A4, 32B4)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와 승강구동레버(32A, 32B)의 계합을 해제하고, 동시에 유지레일(29A, 29B)의 유지부재(29A1, 29B1)에 의하여 카세트수용부(11)의 걸림부(111, 111)는 카세트수용부(12)의 걸림부(121, 121)를 유지하여 카세트수용부(11) 또는(12)트레이본체(10)에 결합시킨다.
또한, 사이드샤시(22)에는 제1도의 같이 승강구동레버(33C, 33D)가 상기한 승강구동레버(33A, 33B)와 대략 동일하게 배설된다. 그리고 이 승강구동레일(33C, 33D)는 캠기어(24A, 24B)에 의하여 상기 승강구동레버(33A, 33B)와 동기하 이동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트레이본체(10)는 트레이 이송기구(13)에 의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캐비넷(14)의 저면에서 돌축된 제1의 위치에서 제1 및 제2의 카세트 수용부(11, 12)로의 테이프카세트(9)의 착탈이 실시된다. 그리고 트레이 본체(10)는 트레이이송기구(13)를 통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이송 되고,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중 어느 한쪽을 티이프구동부(16)에 대항하는 제2의 위치로 이송한다. 이 경우, 제2의 위치에 있어서는 제3A도의 도시와 같이 제1의 카세트수용부(11)에 수용된 카세트(9)가 테이프구동부(16)에 대향된 상태와,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에 수용된 카세트(9) 테이프구동부(16)에 대응하는 상태를 취할 수 있고, 각각의 상태는 트레이본체(10)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도시를 생략한 트레이이송기구(13)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자동적으로 각각의 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구동용모터(도시생략)가 구동되고, 캠기어(23A, 23B, 24A, 24B)가 회전구동된다. 그 결과 캠기어(23A, 23B, 24A, 24B)는 제1의 캠부(23A1, 23B1)로 해제봉(27A, 27B)를 스프링부재(28A, 28B)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발하여 회동탄지하고, 그 유지부(29A1, 29B1)를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의 걸림부(111, 1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의 걸림부(121, 121)로 부터 이간된다.
또, 캠기어(23A, 23B, 24A, 24B)는 제2의 캠부(23A2, 23B2)로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구동부(33A1, 33B1)를 탄지하여, 승강구동레버(33A, 33B)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1의 카세트수용부(11)의 잠금부재(36A, 36B)(또는 제2카세트수용부(12)의 잠금부재(도시생략))가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걸림핀(33A4, 33B4)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는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화살표(B)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트레이본체(10)로부터 이탈되어 하강한다. 동시에 카세트누름레버(31)은 계합부(311)가 트레이본체(10)의 구동캠부(101)로 안내되어 스프링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탄성 되어서 걸림부(311)로 테이프카세트(9)를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에 유지하여 테이프구동부(16)에 장전한다.
상기 테이프카세트 장전상태에 있어서는 트레이 본체(10)의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 수용부(12))로의 새로운 테이프카세트(9)의 착탈이 실시된다.
즉, 새로운 테이프카세트(9)의 착탈을 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트레이이송기구(13)을 반전구동하여 트레이본체(10)을 제6도 또는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캐비넷(14)의 전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제1의 위치로 배출시킨다. 여기에서 새로운 테이프카세트(9)는 트레이본체(10)에 결합되는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세트수용부(12))의 테이프카세트(9)와 교환해서 수용하고 재차 트리이이송기구(13) 구동되어 캐비넷(14)내의 제2의 위치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테이프구동부(16)에 이전되어 있는 카세트를 교환할 경우에는 카세트승강구(20)에 의하여 트레이 본체(10)에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중 이미 테이프카세트(9)를 테이프 구동부(16)에 장전하여 이탈된 한쪽이 상승하여 결합되고, 트레이 이송기구(13)에 의하여 새로운 테이프카세트를 수용하고 있는 다른쪽의 카세트 수용부가 테이프구동부(16)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트레이 본체(10)가 이송되어 카세트 승강기구(20)에 의하여 해당카세트수용부가 이탈하강되고, 새로운 테이프카세트(9)를 테이프구동부(16)에 대하여 교환식으로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장시간에 걸친 녹화 및 재생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장전한 테이프카세트(9)를 꺼낼때는 트레이본체(10)를 캐비넷(14)의 제1의 위치로 이송한 상태로 우선 승강구동용 모터(도시생략)가 반전되어 캠기어(23A, 23B, 24A, 24B)가 반전구동된다. 그 결과 캠기어(23A, 23B)는 제2의 (23A2, 23B2)로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구동부(33A1, 33B1)를 화살표(A)방향 이동탄지하여 상승시키고, 승강구동레버(33A, 33B)의 걸림핀(33A4, 33B4)을 통해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 수용부(12))가 상승하여 잠금부재(34A, 34B)는 그 계합부(34A1, 34B1)가 잠금해제부재(36A, 36B)에 접하여 스프링부재(33A4, 33B4)으로 부터 이간된다. 여기에서 카세트 누름레버(31)는 그 계합(312)가 트레이 본체(10)로 구동캠부(101)에 안내되어서 스프링부재(32)의 탄성력이 반발하여 반전되고, 걸림부(311)가 테이프 카세트(9)로 부터 이간된다.
동시에 캠기어(23A, 23B)는 제1의 캠부(23A1, 23B1)에서 각각 해(27A, 27B)의 압압을 해제하여 그 스프링부재(28A, 28B)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 결과 유지레버(29A, 29B)가 반전되어서 그 유지(29A1, 29B1)에서 제1의 카세트수용부(11)의 걸림부(111, 1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의 걸림부(121, 121))를 고정하여 상기 제1의 카세트수용부(11)(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를 트레이 본체(10)와 일체적으로 결합한다. 다음에 상기 트레이 이송기구(13)가 반전구동되어 트레이 본체(10)는 캐비넷(14)의 전면으로 부터 출되는 제1의 위치로 이송되고, 제1 및 제2의 카세트 수용부(11, 12)로의 테이프 카세트(9)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상기 카세트 장전장치는 자유로이 이송할 수 있는 트레이 본체(10)에 대하여 테이프 카세트(9)가 대략 평면상으로 수용되는 제1 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1, 12)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 트레이본체(10)를 장전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하여 상기 제1의 카세트 수용부(11) 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 중 한쪽에 수용되는 테이프카세트(9)를 테이프구동부(16)에 장전하고, 이 장전상태로 트레이본체(10)를 카세트 착탈 가능한 위치로 반전이송하여 제1의 카세트수용부(11) 또는 제2의 카세트수용부(12) 중 어느 다른쪽에 수용되는 나머지 테이프카세트(9)의 인출 및 카세트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하면 2개 이상의 다수의 테이프카세트(9)를 연속적으로 사용한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하고, 녹화 및 재생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녹화 및 재생에 있어서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본체(10)의 제1 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1, 12)를 이송방향으로 병설하도록 구성했을 경우를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제1 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1, 12)를 이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하여 배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서는 카세트수용부로서 트레이본채(10)에 제1 및 제2의 카세트수용부(11, 12) 2개를 구비하여 구성한 경우로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 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카세트 수용부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캐비넷과; 적어도 2개의 테이프카세트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나란히 배치된 카세트 수용부를 가지며, 테이프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수용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넷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위치와 상기 하나의 수용부내의 하나의 테이프카세트를 상기 캐비넷의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하고 상기 테이프 구동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제2위치 사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카세트 수용수단과; 어느 하나의 수용부를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구동부로 이동시키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테이프카세트가 테이프 구동부와 계합하게 하며, 상기 수용부를 상기 테이프 구동부로부터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카세트 장전기구와;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수용부가 상기 카세트 장전기구를 통하여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되게 하고,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캐비넷내에 장착된 구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수용부에 수용된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유지되어 있을 때 나머지 테이프카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용수단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장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장전기구는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이 상기 제2위치로 이송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중 하나를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수단과 테이프카세트를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착탈시키기 위해 상기 이탈수단에 의해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수용부를 승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장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장전기구는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이 상기 제2위치로 이송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중 하나를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수단과, 테이프카세트를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착탈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를 승강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탈된 수용부와 상기 승강수단을 착탈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탈수단, 결합수단 및 승강수단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장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장전기구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에서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과, 테이프카세트를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 및 이탈 시키도록 상기 수용부를 승강시키는 수단과, 상기 수용부와 상기 승강수단을 결합시키는 수단과,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지지수단, 유지수단, 승강수단 및 결합수단을 구동시키도록 회동캠을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회동캠이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수용부가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으로부터 이탈되고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수용부내에 유지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승강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되게 하며, 상기 회동캠이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테이프 구동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결합수단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내에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장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단일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회동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장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카세트 수용수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장전장치.
KR1019920020765A 1991-11-07 1992-11-06 카세트 장전장치 KR970011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91286 1991-11-07
JP29128691A JP3206939B2 (ja) 1991-11-07 1991-11-07 カセット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913A KR930010913A (ko) 1993-06-23
KR970011970B1 true KR970011970B1 (ko) 1997-08-08

Family

ID=1776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765A KR970011970B1 (ko) 1991-11-07 1992-11-06 카세트 장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02282A (ko)
EP (1) EP0541062B1 (ko)
JP (1) JP3206939B2 (ko)
KR (1) KR970011970B1 (ko)
DE (1) DE6922403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5047B (en) * 1994-11-11 1998-05-27 M4 Data Ltd Autoloader apparatus
US9378769B2 (en) * 2011-01-31 2016-06-2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data with host configuration of storage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986A (en) * 1922-08-28 1924-10-09 Arthur S Levy Improvements in interchangeable tooth facings and methods of mounting the same
EP0060396A3 (de) * 1981-03-18 1983-02-16 Blaupunkt-Werke GmbH Kleinkassettengerät
DE3511161A1 (de) * 1984-03-30 1985-10-10 Mitsubishi Denki K.K., Tokio/Tokyo Automatischer magnetband-kassettenwechsler
US5031057A (en) * 1984-12-10 1991-07-09 Alps Electric Co., Ltd. Tape moving mechanism for automatic time cassette changer
JPH07122949B2 (ja) * 1987-03-30 1995-12-25 株式会社東芝 カセツト装填装置
JPH0652607B2 (ja) * 1987-11-10 1994-07-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16658A (ja) * 1988-07-05 1990-01-19 Nec Corp 記憶装置
US5115362A (en) * 1989-02-16 1992-05-1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assette changer for tape player
US5148332A (en) * 1989-03-20 1992-09-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pivotable magazine holder
US5115419A (en) * 1989-05-18 1992-05-19 Yamaha Corporation Disc playback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playing back a plurality of discs
NL8901699A (nl) * 1989-07-04 1991-02-01 Philips Nv Platenspeler.
US5089920A (en) * 1989-11-13 1992-02-18 Wangdat, Inc. Loader mechanism for tape cartridge systems
JPH0498304A (ja) * 1990-08-10 1992-03-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ロボットアームの計算トルク制御器
JPH04247361A (ja) * 1991-02-04 1992-09-03 Toshiba Corp カセット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4036T2 (de) 1998-06-10
KR930010913A (ko) 1993-06-23
EP0541062A3 (en) 1993-10-27
US5402282A (en) 1995-03-28
DE69224036D1 (de) 1998-02-19
JPH05128673A (ja) 1993-05-25
EP0541062A2 (en) 1993-05-12
JP3206939B2 (ja) 2001-09-10
EP0541062B1 (en) 199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178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940004013B1 (ko) 테이프 카세트 자동 장전 장치
EP0145052B1 (en) A disc-record player with a loading device for loading a disc into the record player
US5041929A (en) Autoloader for magnetic tape cartridges
EP0317370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KR970011970B1 (ko) 카세트 장전장치
JPS6023425B2 (ja) カセツトアダプタ−
EP0398317B1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loading tape cassette having different shapes and different dimensions to a tape driving position
KR100343043B1 (ko) 오토체인저를 가진 디스크 재생장치
KR100369968B1 (ko) 디스크기록및/또는재생장치및디스크로딩기구
US5754360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910005311B1 (ko) 자동연주형 기록매체 재생장치
JPH11162055A (ja) カセットチェンジャー
US6870703B2 (en) Dual feed through cassette transfer apparatus
US5029024A (en) Loader for magnetic tape cartridges
KR930008494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카세트 이송장치
EP0784318A1 (en) Device for reproduction for recording medium
JPH0426824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及び方法
JP2924290B2 (ja) 記録媒体が収納された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装置
EP0376270A2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worm cling protection
JPH0430694Y2 (ko)
KR100260939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JPH087549Y2 (ja) 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H0743795Y2 (ja) カセッ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JP2517917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