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939B1 -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939B1
KR100260939B1 KR1019970027913A KR19970027913A KR100260939B1 KR 100260939 B1 KR100260939 B1 KR 100260939B1 KR 1019970027913 A KR1019970027913 A KR 1019970027913A KR 19970027913 A KR19970027913 A KR 19970027913A KR 100260939 B1 KR100260939 B1 KR 10026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tray
tape cassette
standard tape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948A (ko
Inventor
김운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939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9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크 메커니즘의 상부에 카세트 하우징이 복개 고정되고, 그 카세트 하우징에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스탠다드 또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트레이가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 트레이에 카세트 홀더가 포함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를 전제로 하여, 상기 카세트 홀더는 카세트 트레이에 지지되는 하부 베이스와, 그 하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베이스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가 뒤집어서 수납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수납되는 경우, 수납을 불가능하게 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오삽입 동작에 따른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APPARATUS FOR MIS INSERTION PREVENTING OF STANDARD TAPE CASSETTE OF TRAY TYPE TAPE RECORDER}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Tape Cassette)를 사용하는 D-VCR(Digtal Video Cassette Recorder) 등의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크기가 큰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Standard Tape Cassette)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반적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VCR, D-VCR, HD D-VCR 및 캠코더 등의 자기기록재생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자기기록재생기는 테이프 카세트의 수납 방식에 따라 자기기록재생기 본체에 테이프 카세트를 가볍게 밀어 넣는 프톤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과, 자기기록재생기 본체에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트레이를 이용한 트레이 로딩(Tray Loading) 방식이 알려지고 있으며, 그 외에 자기기록재생기 본체의 상부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는 톱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휴대용 캠코더의 경우 본체의 측방향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는 사이드 로딩(Side Loading) 방식도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로딩 방식, 트레이 로딩 방식, 톱 로딩 방식 및 사이드 로딩 방식은 자기기록재생기의 설치 환경, 사용 환경, 구성, 기능, 생산 원가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적용하게 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의 종류도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고려하여 테이프의 재질, 기록 방식, 제조 방법 및 기록 방지 기술 등의 차이로 다변화되고 있으며, 그 외관상의 크기도 다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자기기록재생기의 기술 향상과 더불어 단일 자기기록재생기에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기기록재생기에 있어서는, 프론트 로딩 방식 등의 자기기록재생기에 크기가 다른 2가지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도록 한 기술이 알려지고 있으나, 트레이 로딩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는 크기가 다른 2가지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도록 한 기술이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2가지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도록 한 트레이 로딩 방식(이하, '트레이 방식'이라 약칭함) 자기기록재생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방송국에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크기가 다른 2가지 이상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도록 한 자기기록재생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나, 그 전체적인 시스템이 대형일 뿐만 아니라,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가격이 너무 고가인 관계로 민생용으로는 사용이 부적절한 것이었다.
또한, 현재까지 알려진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프론트 로딩 및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는,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이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를 오삽입하여 로딩시키는 경우, 무리한 로딩 동작으로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가 파손되거나, 오동작을 일으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평면도.
도 2는 도1의 좌측면도.
도 3은 우측면도.
도 4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사용되는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사용되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사용되는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사용되는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측면도.
도 9은 도 8의 A - A선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홀더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부 베이스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B - B선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4는 테이프 카세트의 정상 삽입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5 및 도 16은 테이프 카세트의 오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를 구성하는 카세트 홀더의 구성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카세트 홀더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0은 도 17에 도시한 카세트 홀더의 X자 레버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21은 카세트 홀더의 주변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32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크 메커니즘 20 ; 카세트 하우징
21,22 ; 사이드 브래키트 23 ; 톱 플레이트
24 ; 프론트 플레이트 30 ; 카세트 트레이
40 ; 카세트 홀더 41 ; 하부 베이스
42 ; 상부 베이스 43 ; 힌지핀
44,45 ; 측벽 50,51 ; 오삽입 방지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크 메커니즘의 상부에 카세트 하우징이 복개 고정되고, 그 카세트 하우징에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스탠다드 또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트레이가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 트레이에 카세트 홀더가 포함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홀더는 카세트 트레이에 지지되는 하부 베이스와, 그 하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베이스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가 뒤집어서 수납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수납되는 경우, 수납을 불가능하게 하는 걸림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수단은 하부 베이스의 양 측벽 선단 상부에 내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양측면에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로딩 그립과 형합되는 오삽입 방지편인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오삽입 동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오동작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 메커니즘(10)의 상부에 카세트 하우징(20)이 복개 고정되어 있고, 그 카세트 하우징(20)에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C10)(C20)를 수용하는 카세트 트레이(30)가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C10)(C20) 중, 크기가 큰 테이프 카세트(C10)는 '스탠다드(standard) 테이프 카세트'라 칭하고, 크기가 작은 테이프 카세트(C20)는 '스몰(small) 테이프 카세트'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20)은 데크 메커니즘(10)의 양측에 세워져 고정되는 사이드 브래키트(21)(22)와, 양측 연부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21)(22)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톱 플레이트(23)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21)(22)의 선단 하부에는 사이드 브래키트(21)(22)의 대략 1/2 높이로 고정되는 프론트 플레이트(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트레이(3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트레이 로딩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카세트 하우징(20)의 일측 사이드 브래키트(21)에 고정되는 트레이 로딩 모터(351)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21)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고 양측면에 제1 캠 홈(361)(371) 및 제2 캠 홈(362)(372)이 각각 형성된 캠 기어(360)(370)와, 상기 트레이 로딩 모터(351)의 동력을 캠 기어(360)(37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캠 기어(360)(370)의 회전에 의하여 카세트 트레이(30)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일측 사이드 브래키트(21)의 외측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 풀리(381) 및 종동 기어 풀리(382)와, 상기 구동 풀리(381) 및 종동 기어 풀리(382)를 연결하는 벨트(383)와, 상기 캠 기어(360)와 종동 기어 풀리(382)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종동 기어 풀리(382)의 소기어(384)와 캠 기어(360)와 맞물리는 중계 기어(38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직선 이동 안내수단은 카세트 트레이(30)의 하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캠 기어(360)(370)와 맞물리는 래크(503)(5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브래키트(24)의 내측에는 동기축(341)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 동기축(341)의 양측단부에는 캠 기어(360)(370)와 맞물리는 동기 기어(342)(34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트레이(30)는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S10) 또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S20)를 장착하는 카세트 홀더(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4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41)와, 상부 베이스(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베이스(41)의 후방측에 상부 베이스(42)가 힌지핀(43)으로 결합되어, 카세트 트레이(30)가 완전하게 이젝트된 상태에서 상부 베이스(42)가 상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베이스(4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몰 테이프 카세트(C20)의 3면을 지지하여 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면 지지부(61)와, 양측면 지지부(62)(6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 지지부(61) 및 양측면 지지부(62)(63)는 소정의 곡률로 라운딩(rounding)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40)와 그 주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홀더(40)의 양측부는 카세트 트레이(30)의 하면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 브래키트(510)(520)와 X자 레버 어셈블리(530)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X자 레버 어셈블리(530)의 상부와 상기 카세트 홀더(40)는 제1 탄성부재(551) 및 제2 탄성부재(552)로 각각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X자 레버 어셈블리(530) 및 제1,2 탄성부재(551)(552)는 카세트 홀더(40)의 좌,우 양측에서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편의상 일측만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 X자 레버 어셈블리(530)는 일측단부가 고정 브래키트(510)의 고정핀(5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부에는 하부 베이스(41)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장공(571)(도 19에 도시)으로 삽입되는 안내핀(532)이 구비된 제1 승하강 레버(533)와, 일측단부는 하부 베이스(41)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핀(57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부에는 고정 브래키트(510)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장공(512)으로 삽입되는 안내핀(534)이 구비되며 중간부가 제1 승하강 레버(533)와 연결핀(535)으로 연결되는 제2 승하강 레버(536)와, 상기 제1 승하강 레버(533)와 제2 승하강 레버(536)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3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551) 및 제2 탄성부재(552)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제1 탄성부재(551) 및 제2 탄성부재(552)의 상단부는 고정 브래키트(510)의 고정핀(511) 및 제2 승하강 레버(536)의 안내핀(534)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하부 베이스(41)의 하면 양측 중간부에 각각 고정된 작동핀(577)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551) 및 제2 탄성부재(552)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제1 승하강 레버(533)와 제2 승하강 레버(536)를 연결하는 탄성부재(537)의 인장력이 다소 클 경우에는 제1 탄성부재(551) 및 제2 탄성부재(552)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21)(22)의 내측면 소정 부위에는 압착 레버(560)가 축핀(31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역시 사이드 브래키트(21)(2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캠기어(360)(370)에 연동되면서 로딩이 완료된 카세트 홀더(40)를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압착 레버(560)의 외측면의 일측에는 캠 기어(360)(370)의 제1 캠 홈(361)으로 삽입되는 캠 핀(561)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내측단부에는 카세트 홀더(40)의 작동핀(577)이 걸리는 걸림홈(5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홀더(40)의 하부 베이스(41)의 양측에 세워지는 측벽(44)(45)의 선단 상부에 오삽입 방지편(50)(51)을 내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오삽입 방지편(50)(51)은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홈 형태의 로딩 그립(loading grip)(C11)(C11)과 형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오삽입 방지편(50)(51)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로딩 그립(C11)(C11)과 반드시 형합되어야만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딩 그립(C11)(C11)은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이며, 상부는 막힘부(K)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감지를 위한 감지 스위치, 70은 스몰 테이프 카세트(C20)의 감지를 위한 감지 스위치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에 의하면, 카세트 홀더(40)의 하부 베이스(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벽(44)(45)의 선단 상부에 오삽입 방지편(50)(51)이 내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트레이(30)의 카세트 홀더(40)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를 정상적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하부 베이스(41)의 양측 오삽입 방지편(50)(51)으로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로딩 그립(C11)(C11)이 각각 안내되므로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가 카세트 트레이(30)의 카세트 홀더(40)로 안정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만일, 사용자의 부주의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를 뒤집어 삽입하면, 상기 오삽입 방지편(50)(51)에 로딩 그립(C11)(C11)의 막힘부(K)가 각각 걸리게 되므로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안착이 불가능하게 되며,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리드(C12)가 전방을 향하도록 삽입하게 되면, 상기 오삽입 방지편(50)(51)에 대향되는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에는 로딩 그립(C11)(C11)이 없으므로, 상기 오삽입 방지편(50)(51)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양측벽이 걸려 카세트 홀더(40)로의 안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의 오삽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카세트 홀더(40)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가 정상적으로 안착되면, 상기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가 카세트 홀더(40)에 장착된 감지 스위치(60)를 눌러 접점을 온(ON)시키며, 이에 따라 감지 스위치(60)의 전기적 신호가 트레이 로딩 모터(351)로 전달되어, 상기 트레이 로딩 모터(35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트레이 로딩 모터(351)의 역방향 구동에 따라 그 동력이 구동 풀리(381) → 벨트(383) → 종동 기어 풀리(382) → 중계 기어(385) → 캠 기어(360)로 전달되어 양측의 캠 기어(360)(37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가 카세트 하우징(20)의 내부로 로딩되고, 상기 카세트 트레이(30)의 로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압착 레버(560)의 걸림홈(562)에 카세트 홀더(40)의 작동핀(207)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 후, 카세트 트레이(30)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고, 캠 기어(360)(370)가 소정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압착 레버(560)의 캠 핀(561)이 캠 기어(360)(370)의 캠 홈(361)(371)을 타게 되므로, 압착 레버(560)가 축핀(3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도 19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며, 따라서 고정 브래키트(510)와 카세트 홀더(40)를 연결하는 X자 레버 어셈블리(530)의 제1 승하강 레버(533) 및 제2 승하강 레버(536)가 펼쳐지게 되므로, 카세트 홀더(40)가 탄성부재(537),(551)(552)의 탄성을 이기며 하강하여, 데크 메커니즘(10)의 소정 부위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카세트 트레이(30)의 카세트 홀더(40)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C10)가 수납되거나, 또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C20)가 수납되면, 그 신호가 데크 메커니즘(10)으로 전달되어 도 1에 도시한 공급릴(S) 및 권취릴(T)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바, 그 일련의 기술은 본 출원인이 1997년 2월 14일자로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4502호에서 자세히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는, 데크 메커니즘의 상부에 카세트 하우징이 복개 고정되고, 그 카세트 하우징에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스탠다드 또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트레이가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 트레이에 카세트 홀더가 포함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를 전제로 하여, 상기 카세트 홀더는 카세트 트레이에 지지되는 하부 베이스와, 그 하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베이스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가 뒤집어서 수납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수납되는 경우, 수납을 불가능하게 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오삽입 동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오동작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데크 메커니즘의 상부에 카세트 하우징이 복개 고정되고, 그 카세트 하우징에 크기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스탠다드 또는 스몰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트레이가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 트레이에 카세트 홀더가 포함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홀더는 카세트 트레이에 지지되는 하부 베이스와, 그 하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베이스에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가 뒤집어서 수납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수납되는 경우, 수납을 불가능하게 하는 걸림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하부 베이스의 양 측벽 선단 상부에 내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의 양측면에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로딩 그립과 형합되는 오삽입 방지편인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스탠다드 테이프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
KR1019970027913A 1997-06-27 1997-06-27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KR10026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13A KR100260939B1 (ko) 1997-06-27 1997-06-27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13A KR100260939B1 (ko) 1997-06-27 1997-06-27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48A KR19990003948A (ko) 1999-01-15
KR100260939B1 true KR100260939B1 (ko) 2000-07-01

Family

ID=1951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913A KR100260939B1 (ko) 1997-06-27 1997-06-27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9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48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969B1 (ko)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US5572498A (en) Disc player that loads both compact disc and mini-disc
JP304944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7493635B2 (en) Recording medium drive device,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recording medium driv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artridge
GB2233142A (en) Disk playback device
US6459671B1 (en) Disk tray shift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player
KR100260939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스탠다드테이프카세트오삽입방지장치
US5754360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260940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테이프카세트안착장치
US6041032A (en) Disk changer with trays movable between retaining and drawn-out positions
KR100260927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테이프카세트수납장치
KR100260926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테이프카세트리드록킹해제장치
KR100260933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카세트홀더안착장치
KR100260925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테이프카세트리드록킹해제장치
KR19990002404U (ko)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홀더 안착 안내장치
KR100260938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카세트홀더동작검출장치
KR200171450Y1 (ko)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카세트 가압장치
KR200151970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입,출 스위칭장치
JPH0997461A (ja) メモリ付テープカセットのメモリ情報処理装置
KR10071745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하드 디스크 카트리지
KR200154184Y1 (ko)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중간 도어 개폐장치
JP2000306295A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H10302348A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1040618A (ja) 記録媒体カセット内のメモリの記録/再生装置
JPH03162762A (ja) 複数カセット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