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708B1 - 난용성 중합체용 용매계 - Google Patents

난용성 중합체용 용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708B1
KR970011708B1 KR1019880009381A KR880009381A KR970011708B1 KR 970011708 B1 KR970011708 B1 KR 970011708B1 KR 1019880009381 A KR1019880009381 A KR 1019880009381A KR 880009381 A KR880009381 A KR 880009381A KR 970011708 B1 KR970011708 B1 KR 97001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olymer
potassium
weigh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240A (ko
Inventor
스위니 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스 제이. 플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스 제이. 플라인 filed Critical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9000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7Sulfur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amide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난용성 중합체용 용매계
파라-아라미드 중합체는 대단히 난용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난용성으로 인하여 매우 유용한 중합체 물질의 용도 개발이 어느 정도 지연되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는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PPD-T)는 용액을 만드는 데 황산과 같은 용매력을 갖는 용매계가 필요로 했기 때문에 황산 용액내에서 방사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중합체[예 :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의 비교적 진한 용액을 제공할 수 있는, 용매력이 적당한 용매계가 밝혀졌다.
수소화나트륨은 무수 조건하에 디메틸설폭사이드와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면서 소위 "딤실(dimsyl)" 음이온을 제공하는 것으로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물과 알콜 등의 양성자 공여체를 첨가하면, 역반응이 일어나 원래의 디메틸설폭사이드가 재생성된다. 딤실 음이온은 각종 화합물[예 : 아민, 아미드, 아세틸렌 및 약산 탄화수소]로부터 양성자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반응은 코레이 및 차이코프스키(Corey and Chaykovsky)에 의해 문헌[참조 : J. Am. Chem. Soc., 87, 1345-1353, 1965]에 기술되어 있다. 다카야나기 및 가타요시(Takayanagi and Katayosi)는 딤실 음이온과 아미드의 반응을 비교적 저분자량인 폴리아미드까지 확장시키고 생성된 아미드 음이온을 사용하여 각종의 N-치환 생성물을 제조하였다[참조 : J. Poly Sci.(Polymer Chemistry Edition) 19, 1133(1981)].
본 발명은, (a) 칼륨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및 수소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여기서, 염기는, 중합체중의 -NH-그룹 1mol당 0.4 내지 1.6mol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b)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액체 설폭사이드 및 (c) 물 또는 탄소수 8 이하의 알콕[여기서, 알콜이 사용되는 경우, 알콜은 칼륨 염기 1mol당 1 내지 5mol의 범위 및 나트륨 염기 1mol당 1 내지 1.5mol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물이 사용되는 경우, 물은 칼륨 염기 1mol당 0.5 내지 2.5mol의 범위 및 나트륨 염기 1mol당 0.5 내지 0.75mol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방향족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NH-그룹을 함유 중합체가 용해되어 있는 투명한 용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매계는 용매, 염기 및 알콜을 포함한다. 이들 성분은 모두 -NH-작용기를 함유하는 특정한 유형의 중합체의 양호한 용액에 필수적이다. 적합한 염기는 용해도를 증진시킨다. 상기 그룹은 설폭사이드 용매에 분배되어 알콕사이드의 염기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 Steiner and Gilbert, J. Am, Chem. Soc., 3054, (1963) ; DMSO Review, Crown Zellerbach, Chemical Products Division, Vancouver, Washington 98662]. 알콜은 중합체의 용해도를 증진시키며, 용액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고농도의 용액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알콜의 기능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합체와 결합되는 이온들의 착평형(complex equilibrium)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양이온을 용매화한다.
액체 설폭사이드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용매로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하기 일반식의 설폭사이드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 및 R1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탄소수 3 이하의 알킬이며, 이는 설폭사이드 그룹과 결합하여 지환족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와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옥사이드(THTO)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중합체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메틸우레아, 디메틸피롤리디논, N-메틸피롤리돈은 본 발명의 용매계에서 용매로서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발혀졌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염기는 탄소수 5 미만의 칼륨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소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및 DMSO와 수소화나트륨 또는 수소화칼륨으로부터 유도된 딤실 생성물이다. 바람직한 염기는 칼륨으로부터 유도된 염기, 특히 칼륨 t-부톡사이드 및 수산화칼륨이다. 수소화물은, 용매계에 알콜을 첨가함으로써 수산화물 또는 알콕사이드로 전환될 정도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수소화물로서, 미반응 수소화물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용매계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알콜은 탄소수 9 미만의 1급 및 2급 지방족 알콜, 알킬렌 디올 및 알칸올아민이다. 이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벤질알콜, 에탄올아민, 글리콜 등이 있다. 바람직하지는 않으나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매계에 유효하게 용해되는 중합체는 중합체 단위의 일부분으로서 -NH- 작용기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방향족 폴리우레아이다. 분자량이 적어도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인 중합체를 본 발명에서 고려할 수 있다. 상기한 중합체는 다른 용매계에서는 나용성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방향족 폴리벤즈이미다졸은 미합중국 특허 제 3,551,389호에 기술되어 있고, 유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미합중국 특허 제3,869,429호 및 제 4,075,172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유용한 방향족 폴리우레아는 미합중국 특허 제 3,418,275호 등에 예시되어 있다. 중합체는 30℃에서 진한 황산(95 내지 98%)중의 0.5%농도에서 측정하는 경우 0.4보다 큰 고유 점도를 보유하여야 한다. 이러한 중합체 중에서 언급할 수 있는 것은,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폴리(파라벤즈아미드), 폴리(4, 4'-비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폴리(클로로파라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3, 4, 3', 4'-테트라아미노비페닐과 이소프탈산으로부터의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3,4-디아미노벤조산으로부터의 폴리벤즈이미다졸이다. 중합체의 구조단위에 - NH- 그룹을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폴리우레아는 본 발명의 용매계에 일반적으로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카프롤락탐과 헥사메틸렌 도데칸디아미드로부터 수득한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하이드로퀴논과 4, 4'-디플루오로-벤조페논으로부터 수득한 폴리케톤은 본 발명의 용매계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밝혀졌다.
본 발명의 용매계를 사용하여 중합체의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매계에 사용하는 성분들의 배합물에 중합체를 노출시키거나 함침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용매계를 완전히 제조한 다음 용해될 중합체를 함침시키기는 하지만, 첨가의 순서가 중요하지는 않다. 그러나, 예를 들면, 용해될 중합체를 용매 성분에 분산시킨 다음, 분산액에 염기와 알콜의 용액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허용될 수 있다.
고온에서 장기간 동안 노출시키면 분자량이 감소하므로 50℃ 미만의 온도에서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분해도는 중합체 구조에 의존하지만, 주위 온도에서 장기간 동안 저장할 경우,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는 거의 분해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용매계에 용해될 수 있는 중합체의 양은 정확하게 형성되는 용액의 점도의 처리능의 함수이다. 연장된 쇄 중합체[예 :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는 동일한 농도와 분자량에 가요성 쇄 중합체[예 :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보다 용액 점도가 상당히 높다. 용액 중에서 얻을 수 있는 중합체의 농도는 고유 점도로 측정한 분자량에 따라 변한다.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의 경우에는, 고유 점도가 1.4인 중합체로부터는 15% 용액이 제조되는 반면, 고유 점도가 5.7인 중합체로부터는 6% 용액이 제조된다.
용매계의 성분비는 개별 성분들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선택되지만 다음과 같은 성분비가 추천된다. 통상적으로 중합체 중의 -NH- 그룹 1mol당 0.4 내지 1.6mol의 염기를 사용하며, 최대 용해도를 위해서는 1 : 1의 비가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알콜의 비율은 염기 및/또는 중합체의 용액 농도에 좌우될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수준의 용해도를 성취하기 위하여, 칼륨 염기 1mol당 1 내지 5mol,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mol의 알콜을 사용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나트륨 염기를 사용하는 경우, 알콜은 1 내지 1.5mol만을 사용하여야 하며, 알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등량의 염기에 대해 물 0.5mol이 필요하다. 보다 고농도의 중합체는 보다 저분자량의 알콜에 용해된다. 마지막으로, 액체 설폭사이드는 용매를 만드는데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여야만 한다. 중합체의 용매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분자량이 클수록, 용해되는 시간이 더 길어질 것이다.
다음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고유 점도"라는 용어는 25℃에서의 유동 시간의 용액 대 용매비를 0.5로 나눈 자연 대수로 계산되며, 여기서 용매는 진한 황산(95 내지 98중량%)이며 용액은 용매 100dL당 0.5g의 중합체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PPD-T)의 저농도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고유 점도가 6.3인 PPD-T 5 중량부를 오일중의 50% 수소화나트륨 2 중량부를 함유하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65중량부(150용적부)의 계에 가한다. 계가 팽윤된 겔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오일중의 또다른 DMSO 55중량부(50용적부)와 50% NaH 2중량부를 가한다. 약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 중합체가 팽윤되어 겔과 같이 되지만 용해되지는 않는다. 메탄올을 15.8중량부(20용적부)의 양으로 계에 가하고, 약 20℃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 PPD-T는 투명한 심적색 용액으로 용해된다. 용액은 약 2.1중량%의 PPD-T 중합체가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저농도의 PPD-T 용액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고유 점도가 5.6인 PPD-T 5중량부를 칼륨 t-부톡사이드 10중량부를 함유하는 DMSO 165중량부(150용적부)의 계에 가한다. 약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 중합체가 팽윤되어 겔과 같이 되지만 용해되지는 않는다. 메탄올을 7.9중량부(10용적부)의 양으로 계에 가한다. 약 20℃에서 추가로 90분 동안 교반하면, PPD-T는 투명한 심적색 용액으로 용해된다. 용액은 약 2.7중량%의 PPD-T 중합체가 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용액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섬유 형태 내의 PPD-T 중합체 1mol당 염기의 영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메탄올/칼륨 t-부톡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가장 효과적인 알콜/염기 비는 대략 3.5/1, 즉 두 성분이 등중량인 것으로 이미 측정되었다. 따라서, 3g의 칼륨 t-부톡사이드(KOBu)를 3g의 메탄올에 용해시켜 다음 실험에 사용한다. 각각의 경우에 DMSO를 10g씩 사용한다.
Figure kpo00002
* 아미드 단위당
** 임의 척도 : 0=완전한 불용성, 50=고팽윤성/부분 가용성,
100=완전 가용성, 4시간 후에 결과를 판정한다.
상기한 결과는, 최적 용해도를 위해 아미드(또는 산성) 수소당 대략 1mol의 염기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본 실험에서는 본 용매계 중의 염기, 알콜 및 용매의 유용한 농도의 범위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련의 두 실험을 수행한다. 첫번째 실험에서, 칼륨 t-부톡사이드 0.5중량부(0.0045mol)를 여섯가지의 서로 다른 함량의 메탄올, 즉 0.25, 0.5, 1.0, 1.5, 2.0 및 2.5중량부(0.008 내지 0.08mol)와 함께 10중량부의 DMSO에 가하여 여섯가지 상이한 용매계를 형성한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칼륨 t-부톡사이드 1.0중량부(0.009mol)를 상기와 동일한 여섯가지의 서로 다른 함량의 메탄올과 함께 10중량부(0.128mol)의 DMSO에 가하여 여섯가지 추가용매계를 형성한다.
열두가지의 각각의 용매계에 고유 점도가 약 5.6인 PPD-T 0.5중량부(0.004mol -NH-)를 가한다. 각 용매계를 교반한 다음, 약 20℃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완전한 용액을 100으로 하고 용액을 형성하지 않거나 팽윤하는 것을 0으로 하는 임의 척도를 사용하여, 각 용매계 중의 PPD-T의 용해도를 육안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 평가 결과를 기재한다.
[표 1]
Figure kpo00003
실시예 5
공용매로서의 각종 알콜과 PPD-T 중합체의 비교
일련의 바이알에 DMSO 10g, 칼륨 t-부톡사이드 0.5g(0.0045mol)과, 사용되는 칼륨 t-부톡사이드 1mol당 3mol의 비율로 알콜을(하기에 제시된 바에 따라) 넣는다. 이어서 용액에 무수 PPD-T 섬유 0.5g을 가한다. 섬유의 고유 점도는 약 5.7이다. 가끔 교반하면서 주위 온도에서 바이알을 2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용액의 투명도(용해되지 않은 중합체가 없는 상태)와 균일한 유동 특성에 근거하여 중합체 용해도를 평가한다. 순조롭게 유동하는 투명액을 10으로 하고, 상당히 팽윤되고 걸죽한 상태로서 용액 특성이 불량한 것을 5로 하며, 전혀 팽윤되지 않은 것을 1로 하는 1 내지 10의 임의 척도를 사용한다. 하기 표에 결과를 기재한다.
Figure kpo00004
1급-및 2급 알콜이 상기 농도 범위에서 우수한 PPD-T 용액을 형성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칼륨 t-부톡사이드 대신에 동일한 mol 당량의 나트륨 메톡사이드(즉, 0.24g의 나트륨 메톡사이드)를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한 농도로 메탄올, 에탄올 및 벤질 알콜을 사용하여 상기한 실험을 반복한다. 하기 표에 수득된 결과를 기재한다.
Figure kpo00005
알콜 공용매와 함께 사용한 나트륨 알콕사이드는 대조용보다 약간 우수하지만 상응하는 칼륨 알콕사이드보다는 불량하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용매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염기를 보여 주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수개의 바이알 각각에 알콜로서 메탄올 0.75중량부와 용매로서 DMSO 10중량부를 넣는다. 이어서 각 바이알에 나트륨 메톡사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N-메틸 피롤리딘 및 리튬 t-부톡사이드 중의 하나를 0.5중량부의 양으로 바이알에 가하여 용매계를 완성한다.
각 용매계에 고유 점도가 약 5.6인 PPD-T 0.5중량부를 가한다. 각 용매계를 교반한 다음, 약 20℃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나트륨 메톡사이드,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이 본 실시예에서 시험할 용액을 형성하는 유일한 염기들이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에서는 선행 실시예의 DMSO와 다른 용매를 사용한다. 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옥사이드(THTO)를 2mmHg의 압력에서 비점인 75℃로 증류하여 정제한다. 3개의 개별적인 바이알에 다음 물질들을 넣는다 :
(1) THTO 10중량부와 고유 점도가 6.3인 PPD-T 0.3중량부 ;
(2) THTO 10중량부, PPD-T 0.3중량부 및 메탄올 0.8 중량부 ; 및
(3) THTO 10중량부, PPD-T 0.3중량부, 메탄올 0.8중량부 및 칼륨 t-부톡사이드 0.5중량부.
바이알을 진탕시킨 다음, 약 20℃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바이알 번호 3의 계가 용액을 형성한다. 나머지 2개의 바이알에서는 어느 것도 용액을 형성하지 못한다.
0.003in 닥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바이알 번호 3의 용액으로 필름을 형성한다. 주조액을 급냉시키고, 5중량%의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메탄올에 1시간 동안 함침시킨 다음, 약 80℃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필름은 투명하고 단단하다.
상기에서 설정한 조건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다른 물질을 시험한 결과, 본 용매계의 용매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물질로는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메틸렌 우레아,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에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테트라메틸렌 설폰이 포함된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PPD-T 이외의 중합체를 용매계에 용해시킨다. 3개의 개별적인 바이알에 다음 물질을 넣는다 :
(1) DMSO 10중량부 및 고유 점도가 0.8인 폴리벤즈이미다졸 0.1중량부 ;
(2) DMSO 10중량부, 칼륨 t-부톡사이드 0.5중량부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0.1중량부 ;
(3) DMSO 10중량부, 칼륨 t-부톡사이드 0.5중량부, 메탄올 1중량부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0.1중량부.
바이알을 진탕시킨 다음, 약 20℃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바이알 번호 3의 계가 용액을 형성한다. 바이알 번호 2에서 중합체는 약간 팽윤되지만, 용해되지 못하였다. 다른 바이알에서 중합체는 팽윤되지도 용해되지도 못하였다.
표준 용액은 칼륨 t-부톡사이드 1.12g, 메탄올 0.96g 및 DMSO 20g으로 구성된다. 이것을 하기 실험에서 사용한다. 메탄올을 제외한 유사한 용액을 대조용으로 사용한다. 1mol의 -NH-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 1mol당 염기 1mol의 비율로 용액을 사용하여 하기에 기술한 중합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시험한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족 폴리우레아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첫번째 바이알(A)에 DMSO 10g, 칼륨 t-부톡사이드 1.12g 및 메탄올 0.74g을 가한다. 두번째 바이알(B)에는 메탄올만 제외하고 동일한 성분을 가하고, 세번째 바이알(C)에는 DMSO만 가한다. 고유 점도가 0.45인 하기 구조식의 폴리우레아/디케토 피페라진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케토 피레라진으로부터 제조된다.
Figure kpo00007
각각의 바이알에 1.22g의 중합체를 가한다. 바이알을 실온에서 1주일 동안 방치하여 관찰한다. 첫번째 바이알(A)에서는 모두 용해되었다(적색 용액). 두번째 바이알(B)에는 중합체가 약간 팽윤되었고 용액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세번째 바이알(C)에서는 중합체의 팽윤 조차도 일어나지 않았다. 바이알(A)에서의 중합체만이 몇시간 후에 사실상 용액으로 되었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용액으로부터 섬유를 방사한다. 방사 도프(dope)는 DMSO 60중량부, 칼륨 t-부톡사이드 2중량부, 메탄올 2중량부 및 고유점도가 5.7인 PPD-T 2중량부의 용액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심적색 용액을 직경이 0.25mm인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아세트산을 5중량% 함유하는 메탄올 응고욕으로 방사한다. 응고욕은 길이가 50cm이고, 도프의 처리량은 1 내지 3ml/분이며, 섬유 권취 속도는 8 내지 9.5m/분이다. 권취된 섬유를, 아세트산을 5중량% 함유하는 메탄올에 밤새 동안 함침시킨 다음, 아세톤에 1시간 동안 함침시킨다. 섬유를 270℃에서 장력부재하에 20초 동안 가열하면 다음 특성을 나타낸다 : 장력(gpd)/신도(%)/탄성률(gpd)는 3.5/3/144이다. 500℃에서 어닐링(annealing)한후 방사시킨 섬유의 경우의 장력/신도/탄성률은 5.6/2/340이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용액으로부터 섬유를 방사한다. 방사 도프는 DMSO 120중량부, 칼륨 t-부톡사이드 40중량부, 메탄올 40중량부 및 고유 점도가 1.6인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40중량부의 용액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연황색 용액을 에어 갭(air gap) 방사하여 유용한 섬유를 형성하고, 120℃와 295℃에서 총 3.5 내지 5배로 연속적으로 연신한 결과, 장력/신도/탄성률이 4.4gpd/14%/103gpd로 된다.

Claims (7)

  1. (a) 칼륨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및 수소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여기서, 염기는 중합체 중의 -NH- 그룹 1mol당 0.4 내지 1.6mol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b)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액체 설폭사이드 및 (c) 물 또는 탄소수 8 이하의 알콜[여기서, 알콜이 사용되는 경우, 알콜은 칼륨 염기 1mol당 1 내지 5mol의 범위 및 나트륨 염기 1mol당 1 내지 1.5mol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물이 사용되는 경우, 물은 칼륨 염기 1mol당 0.5 내지 2.5mol의 범위 및 나트륨 염기 1mol당 0.5 내지 0.75mol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방향족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NH-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가 용해되어 있는 투명한 용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인 용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방향족 폴리벤즈이미다졸인 용액.
  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방향족 폴리우레아인 용액.
  5.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 설폭사이드가 디메틸설폭사이드인 용액.
  6. 제 5 항에 있어서, 염기가 칼륨 t-부톡사이드인 용액.
  7. 제 1 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인 용액.
KR1019880009381A 1987-07-27 1988-07-26 난용성 중합체용 용매계 KR970011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193 1987-07-27
US07/078,193 US4785038A (en) 1987-07-27 1987-07-27 Solvent system for difficultly soluble 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240A KR890002240A (ko) 1989-04-10
KR970011708B1 true KR970011708B1 (ko) 1997-07-14

Family

ID=2214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381A KR970011708B1 (ko) 1987-07-27 1988-07-26 난용성 중합체용 용매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85038A (ko)
EP (1) EP0302377B1 (ko)
JP (1) JP2605117B2 (ko)
KR (1) KR970011708B1 (ko)
CN (1) CN1020909C (ko)
CA (1) CA1329438C (ko)
DE (1) DE3867169D1 (ko)
IN (1) IN170015B (ko)
RU (1) RU201521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497A (en) * 1987-09-22 1992-01-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articles of manufacture from isotropic and anisotropic polyamide anion solutions
US5399425A (en) * 1988-07-07 1995-03-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allized polymers
US4921900A (en) * 1988-12-14 1990-05-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le solutions of poly(paraphenylene terephthalamide) acid crumb
US5242991A (en) * 1989-11-28 1993-09-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Quaternary ammonium polyarylamide
DE4138872B4 (de) * 1990-03-30 2005-12-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Verstreckbare Aramide hoher Zugfestigkeit
US5459231A (en) * 1990-03-30 1995-10-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rawable high tensile strength aramids
US5093436A (en) * 1990-06-28 1992-03-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alogenated aromatic polyamide anion
US5202389A (en) * 1990-06-28 1993-04-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polybenzoxazoles from halogenated polyamide anions
JPH08213881A (ja) * 1995-02-02 1996-08-20 Fujitsu Ltd 周波数制御回路
MY145156A (en) * 2003-12-09 2011-12-30 Teijin Aramid Bv Para-aramid fibrid film
US20080070820A1 (en) * 2006-09-19 2008-03-20 Wescor, Inc. Stain removing cleaning solutions
US20110189484A1 (en) 2010-02-04 2011-08-04 Hopkins Jr John B Porous polybenzimidazole resin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6308977A (zh) * 2016-08-31 2017-01-11 厦门大学附属厦门眼科中心 带囊袋的人工虹膜
RU2738836C1 (ru) * 2020-01-31 2020-12-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нефтехимического синтеза им. А.В. Топчие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ХС РАН) Растворитель и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поликетона и/или полиамида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ариант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51650A (en) * 1962-11-06 F. Beste Lawrence Polymer solution
US3322824A (en) * 1964-07-02 1967-05-30 Celanese Corp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tereph-thalamide and a hydrocarbon-substituted sulfonicacid, and process utilizing the same in making shaped articles
US3843321A (en) * 1972-08-30 1974-10-22 Johnson & Johnson Methods of recovering waste fibers
US4179423A (en) * 1976-06-09 1979-12-18 Schenectady Chemicals, Inc. Water-soluble polyester imide resins
JPS55116727A (en) * 1979-03-05 1980-09-08 Motoo Takayanagi Novel n-substituted wholly aromatic polyamide and its preparation
US4321182A (en) * 1981-05-04 1982-03-23 Celanese Corporation Stable non-corrosive solution of polybenzimidazole suitable for use in the formation of shaped articles
JPS57195136A (en) * 1981-05-26 1982-11-30 Motoo Takayanagi Ionomer resin composition reinforced with aromatic polyamide fiber
JPS587426A (ja) * 1981-07-07 1983-01-17 Motoo Takayanagi 補強された高分子組成物の製造方法
JPS59223752A (ja) * 1983-06-03 1984-12-15 Motoo Takayanagi 補強された重合体組成物の製法
US4525507A (en) * 1983-12-30 1985-06-25 Mouhanad Chaker High flash point/low surface energy solvent systems for polyimide conformal coatings
DD244753A1 (de) * 1985-12-23 1987-04-15 Adw Dd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atcopolymeren mit endstaendigen doppel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240A (ko) 1989-04-10
US4785038A (en) 1988-11-15
EP0302377B1 (en) 1991-12-27
RU2015215C1 (ru) 1994-06-30
JPS6440559A (en) 1989-02-10
CN1030920A (zh) 1989-02-08
IN170015B (ko) 1992-01-25
CA1329438C (en) 1994-05-10
JP2605117B2 (ja) 1997-04-30
DE3867169D1 (de) 1992-02-06
EP0302377A1 (en) 1989-02-08
CN1020909C (zh)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708B1 (ko) 난용성 중합체용 용매계
van Treslong et al. Poly (ethylenimine) II. Potentiometric titration behaviour in comparison with other weak polyelectrolytes
US20090165645A1 (en) Crosslinked polyimide membrane,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ing organic titanate catalysts to facilitate crosslinking and method of using the membrane for fluid separation
DE10200702954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ulfonierten Poly (1,3,4-oxadiazol)-Polymers
CN108559077A (zh) 杂环芳纶溶液及其制备方法以及杂环芳纶成品丝的制备方法和杂环芳纶制品
Nawata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Isocyanurate and Isocyanurate-Urethane Foams
RU2076158C1 (ru) Слабоокрашенный раствор для получения волоко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Weisskopf et al. Molecular weight determinations of polyamides by N-trifluoroacetylation
EP2736948B1 (en) Aramid copolymer
WO1994011549A1 (en) Fibers and films of improved flame resistance
Winters et al. γ-Valerolactone-based organic electrolyte solutions: a benign approach to polyaramid dissolution and processing
US8426528B2 (en) Preparation of crosslinked polymers containing biomass derived materials
US3944522A (en) Aromatic polyhydrazide fiber of high modulus and high tenacity
EP0568828A2 (en) Hollow fiber membrane for blood purification
RU201165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вора ар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иамида
KR101938436B1 (ko) 아라미드 공중합체
US5003036A (en) Yarn with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from aromatic polyamide comprising chloroterephthalamide units
GB1602917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amides derived from paraphenylenediamine
US9115244B2 (en) Process for forming an aramid copolymer
JPS54106564A (en) Aromatic polyamide dope
Unal et al. Influence of DGEBA crosslinking on Li+ ion conduction in poly (ethyleneimine) gels
JPS5834807A (ja) アリ−ルアセチレンポリマ−・沃素錯体の製造法
Huang et al. Investigations on nylon 4 membranes: Synthesis and transport properties. II. Transport properties of nylon 4 polymer membranes
Rogers et al. Consequences of chemical modification on optical and solution properties of rodlike polyamides
JP2000502408A (ja) 電導性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