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205B1 -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205B1
KR970010205B1 KR1019890006288A KR890006288A KR970010205B1 KR 970010205 B1 KR970010205 B1 KR 970010205B1 KR 1019890006288 A KR1019890006288 A KR 1019890006288A KR 890006288 A KR890006288 A KR 890006288A KR 970010205 B1 KR970010205 B1 KR 97001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sampling
evaluation value
area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473A (ko
Inventor
겐이찌 기꾸찌
마사오 다꾸마
도시노부 하루끼
Original Assignee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138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10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440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11772A/ja
Application filed by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9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오토포커스/오토아이리스 장치를 도시한 개략블럭도.
제2도는 촬상화면상의 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오토포커스/오토아이리스 동작의 메인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4도는 오토포커스 동작의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5도는 초점 평가값 및 상대비를 산출하는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6도는 초점평가값 및 상태비를 산출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평가값 안정확인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8도는 방향판별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9도는 포커스렌즈위치아 초점평가값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10도는 등산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1도는 정점 복귀시의 초점평가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12도는 포커스렌즈 위치와 초점평가값과 포커스모터의 회전속도와 초점평가값의 상대비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13도는 포커스렌즈 위치와 각 고역통과 필터 출력의 적산값과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14도는 초점평가값의 상대비와 핀트가 흐려진 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15도는 정점복귀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6도는 평가값 변동감시투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7도는 정점확인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8도 및 제19도는 포커스렌즈 위치의 변화에 수반되는 초점평가값의 변동을 도시한 그래프.
제20도는 피사체가 이동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제21도 내지 제24도는 피사체의 변화에 수반하는 초점평가값의 변동을 도시한 그래프.
제25도 및 제26도는 오토아이리스 동작의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카메라부 2 : 포커스 렌즈
3 : 포커스 링 4 : 포커스 모터
5 : 단점 스위치 6 : 조리개 기구
7 : 아이리스 모터 8 : 촬상 회로
9,10 : 고역 통과 필터(HPF) 11 : 저역 통과 필터(LPF)
12 : 동기 분리 회로 13 : 절환 제어 회로
14 : 절환 회로 15 : 선택 회로
16,17,18,19,20,21 : 적산 회로 22 : A/D 변환기
23 : 가산기 24,25 :메모리 회로
26 : 마이크로컴퓨터 27 : 포커스모터 제어 회로
28 : 아이리스 모터 제어 회로 101 : 주움 모터
102 : 주움 링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 촬상소자로부터 얻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의 자동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들면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사용되는 오토포커스 장치에서는, 촬상장치에서 얻어지는 영상신호 자체를 초점제어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CCD와 같은 촬상소자로부터 얻어진 영상신호를 고역통과필터(HPF), 또는 대역통과필터(BPF)를 통하여, 그 고주파 성분을 일정시간, 예를 들면 1필드 마다 초점평가 값으로 하여 검출하고, 그 값이 피크가 되도록 렌즈와 촬상 소자와의 상대위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영상화면 중에서의 초점평가값의 검출범위, 즉 포커스영역은 일반적으로 화면 중앙의 일정한 크기의 영역에 고정된다.
그런데, 이 포커스영역을 크게 설정하면, 하나의 화면 내에 포함되는 거리가 상이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나, 피사체의 배경이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갖는 경우, 즉 큰 고역성분을 갖는 경우에는 어느쪽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이 맞춰지는지 정해지지 않고, 따라서 촬영자가 목적하는 피사체에 항상 맞춰진다고는 볼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포커스영역을 작게 설정하여 화면중앙의 피사체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나, 촬영자의 손이 떨린다거나 피사체의 미동으로, 피사체가 포커스영역 밖으로 나가 버리는 빈도가 높은 오토포커스의 오동작을 초래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크고 작은 포커스영역은 어느 것이나 일장일단이 있고,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는 크고 작은 2개의 포커스영역을 병설하여 각각의 영역에 초점평가값의 규정 레빌을 설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즉 그러한 방식에 따르면, 피사체가 작은 포커스영역에서 벗어나 이 영역의 초점평가값이 규정레벨 이하가 되더라도, 큰 포커스영역의 초점평가값이 규정레벨 이상이면, 큰 포커스영역 내의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초점을 맞추는 동작이 실행된다. 이렇게 포커스영역을 변환시키는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소) 63-17418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소) 62-182704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 공개(소) 60-18387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즉, 일본국 특허 공개(소) 63-17418호 공보에 개시된 합초점(合焦点) 검출 장치에 의하면, 작은 포커스영역에서 초점을 검출할 수 없게 되었음이 검출된 후, 큰 포커스영역으로 변환되고, 그후는 포커스영역에서 초점검출이 되풀이된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소) 62-182704호 공보에서 개시된 오토포커스 장치에서는, 저콘트라스트시에 초점평가값을 커지게 하여 오토포커스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 포커스영역이 확대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소) 60-183877호에 개시된 초점검출장치에 의하면, 촬상광학계의 초점거리에 대응하여 포커스영역이 변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크고 작은 포커스영역의 초점평가값의 규정레벨은 미리 실정된 고정값이다. 그래서, 초점평가값인 피크값(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의 값)과, 고정 값인 규정레벨과의 상대적 비율은 피사체에 따라 다양하다. 이 결과, 고콘트라스트의 피사체의 경우는, 작은 포커스영역에서 어느 정도 떨어지지 않으면 초점평가값이 규정레벨 이하로 되지 않고 큰 포커스영역으로 변환되지 않는데 반하여 저콘트라스트의 피사체의 경우는, 작은 포커스영역에서 약간 떨어지기만 해도 즉시 큰 포커스영역으로 변환되어 버려 피사체의 움직임과 포커스영역의 변환타이밍과의 사이에 피사체에 의해 차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피사체의 배경의 큰트라스트가 높은 경우는, 어느 정도로 핀트가 흐릿해진 상태에서도 평가값은 크고, 만일 그 값이 작은 포커스영역의 규정레벨을 상회하고 있으면, 작은 포커스영역에서 피사차게 완전히 벗어나더라도 큰 포커스영역으로의 변환은 행해지지 않으며, 그리고 피사체가 큰 포커스영역에서 벗어난 경우라도 새로운 피크검출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는 오동작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오토포커스 장치에서는 초점이 맞춰지는 상태 중에, 초점에 명확한 피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런 경우는 고정된 포커스영역에서의 초점평가값이 약간이라도 돌출해 있던 위치를 합초점위치로 간주하고, 거기에 렌즈를 고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오토포커스 장치에서는 노이즈 등에 의한 초점평가값의 피트를 초점맞춤위치로 잘못 판단하여, 오토포커스의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한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촬상장치에 있어서, 조리개의 조절이나 증폭이득이 조정 등에 의한 촬상 신호 레벨의 제어, 즉 노출제어는 상술한 초점제어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종래의 비디오카메라에서는 촬상 영상신호인 휘도레벨의 평균이나 피크값 레벨 등에 기초하여 광학조리개나 촬상영상 신호레벨을 증폭하는 앰프의 증폭률을 조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노출을 조정하는 기능, 즉 오토아이리스(iris) 기능을 구비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오토아이리스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화면내에 광원등이 고휘도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는, 조림량이 증대하여 화면 전체의 이득이 저하하여 주요 피사체의 밝기가 불충분하게 되고, 반대로 배경이 매우 어두울 경우는 조림량이 감소되어 화면전체의 이득이 올라가 주요 피사체가 지나치게 밝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개(소) 62-1103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촬상화면 전체의 휘도레벨이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광학조리개기구를 구동하여 촬상소자로 들어가는 입사광량을 제어하는 동시에, 화면의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에 대하여 중앙영역의 휘도레벨에 무게를 둠으로써 중앙영역을 우선 영역으로 하여 영상신호의 증폭이득을 제어하고, 이로써 주변영역에 존재하는 광원 등의 이상휘도부의 노출제어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오토포커스 장치와 노출제어 장치를 1개의 비디오카메라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피사체가 있는 포커스영역 및 피사체가 있는 우선 영역으로 하여 동일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크고 작은 2개의 포커스영역을 병설하여 변환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작은 쪽 포커스영역에 우선 영역을 고정하면, 피사체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은 포커스영역에서 벗어나면 포커스영역은 큰쪽으로 변환되어 초점맞춤동작은 가장 적절하게 행해지나 노출제어에 관해서 보면,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은 작은 쪽 포커스영역에 있어서의 노출만이 가장 적당하게 되어, 이 결과를 작은 쪽 포커스영역에서 벗어난 피사체는 노출과다나 노출부족이 될 염려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들의 목적은 피사체에 대응하여 포커스영역을 변환함으로써 오토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이즈 등에 의한 초점평가값의 피크를 초점맞춤 상태와 잘못 판단하여 오토포커스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경감된 촬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이동선(先)의 영역을 노출제어용인 우선 영역이 되게 함으로써, 항시 피사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노출을 얻을 수 있는 촬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의 자동정합을 행하는 촬상장치로서, 포커스렌즈와 촬상소자들을 갖고, 피사체에서 들어오는 입사 광선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촬상회로와 촬상소자에 대한 포커스렌즈의 광축방향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시키는 상태 위치변경장치와 영상신호의 시분할에 의해 영상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샘플링 영역과, 제1샘플링 영역이 포함되고 또 제1샘플링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2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샘플링 영역 설정회로와,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중의 고역 레벨을 일정 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으로 하여 공급되는 초점평가값 검출회로와,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초점평가값인 최신값과, 대응하는 샘플링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변기준값과 사이의 상대적 관계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어느쪽을 포커스영역으로 하여 선택된 회로와, 포커스 영역으로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값에 기초하여, 그 초점평가값이 최대값이 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를 구동하도록 상태위치 변경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들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국면을 따르면,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의 자동정합을 행하는 촬상장치는 포커스렌즈와 촬상소자들을 갖고 피사체에서 들어오는 입사광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로를 발생하는 촬상회로와, 촬상소자에 대한 포커스렌즈의 광축방향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시키는 상대적위치 변경위치와, 영상 신호의 시분할에 의해 촬상화면 중앙에 위치하는 제1샘플링 영역과, 제1샘플링 영역이 포함되고 또한 제1샘플링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가진 제2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샘플링 영역 설정회로와,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중의 고역레벨을 일정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으로 하여 공급하는 초점평가값 검출회로와,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으로 하여 선택하는 회로와, 포커스영역으로 하여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이 초점평가값이 앞뒤의 포커스렌즈 상대 위치의 초점평가값에 대하여 소정의 돌출량을 갖는 최대값을 갖는 최대값을 취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를 구동하도록 상대 위치변경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회로와,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가값이 극대값을 취하지 않았을 때,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의 각각의 최대값을 단위 면적당으로 비교하여, 큰쪽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대위치 변경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회로들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르면,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의 자동정합 및 노출이 자동조정을 행하는 촬상장치는, 포커스렌즈와 촬상소자를갖고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입사광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회로와, 촬상소자에 대한 포커스렌즈의 광축방향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시키는 상대 위치변경장치와,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변경시키는 장치와, 영상신호의 시분할에 의해, 촬상화면상에 분할된 복수의 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회로와, 복수의 샘플링 영역의 각각에서의 영상신호중의 고역레벨을 일정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초점 평가값으로 하여 공급하는 초점평가값 검출 회로와, 복수의 샘플링 영역의 각각에서의 영상신호중의 휘도 신호레벨을 일정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노출평가값으로 하여 공급하는 노출평가값 검출회로와, 복수의 샘플링 영역의 어느쪽을 포커스영역으로 하여 선택하는 제1선택회로와, 포커스영역으로 하여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이 초점평가값이 최대값이 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가 구동되도록 상대위치 변경 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회로와, 복수의 샘플링 영역의 각각에서의 노출평가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간에 이상휘도부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회로와, 판정회로에 의해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제1선택회로에 의해 선택된 샘플링 영역을 노출제어하기 위한 우선 영역으로 하여 선택하는 제2선택회로와, 우선영역으로 하여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노출평가값이 미리 정해진 목표레벨에 일치하도록 노출변경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회로들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잇점은, 포커스영역을 절환하기 위한 규정레벨로 하여, 고정값에서는 아니고, 각 영역의 초점평가값에 기초해서 그 때마다 설정되는 가변값을 사용하므로, 피사체에 대응한 포커스영역을 변환할 수 있고, 오토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초점평가값에 명확한 피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최대초점평가값이 큰쪽의 샘플링 영역을 포커스영역으로 하여 초점 맞춤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등으로 기인하는 초점맞춤위치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또다른 잇점은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 한, 포커스영역의 변환에 추종하여 노출제어의 우선영역을 변환하므로,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피사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노출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한 실시예인 오토포커스/오토아이리스 장치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비디오카메라부(1)은 포커스렌즈(2)과, 이 포커스펜즈(2)를 지지하여 이것을 광축방향으로 전진후퇴 시키는 포커스링(3)와, 이 포커스링(3)을 구동시키는 포커스모터(4)와, 포커스링(3)이 구동될 수 있는 범위의 한계를 검출하는 단점(端点)스위치(5)와, 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개기구(6)과, 이 조리개기구(6)을 구동시키는 아이리스모터(7)과, 피사체에서 들어오는 입사광을 촬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소자를 갖고 있는 촬상회로(8)을 구비하고 있다.
촬상회로(8)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 신호중의 휘도 신호는, 컷오프 주파수가 서로 상이한 제1고역통과 필터(HPF)(9)와 제2HPF(10)과, 저역통과필터(LPF)(11)과, 동기 분리 회로(12)들에 부여된다.
동기 분리 회로(12)에 의해 휘도 신호에서 분리된 수직 동기 신호 VD 및 수평 동기 신호 HD는 샘플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절환 제어 회로(13)으로 공급된다. 이 절환 제어회로(13)은 수직 및 수평의 각각의 동기 신호 VD, HD와 CCD를 구동시키는 클럭으로 되는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정 출력들에 기초하여,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앙의 직사각형인 제1샘플링 영역(A1)과, 이 영역(A1)이 포함되고 또한 면적이 영역(A1)의 4배인 제2샘플링 영역(A2)와, 이 영역(A2)의 주위의 제3 내지 제6샘플링 영역(A3,A4,A5 및 A6)을 설정하도록, 선택 신호(S2)를 출력하여 후단의 선택 회로(15)에 부여한다. 그리고, 절환 제어 회로(13)은 제1HPF(9)의 출력과 제2HPF(10)의 출력을 1필드마다 선택하고, 또한, 32필드에 1번의 비율로 LPF(11)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절환신호(S1)을 출력하여 절환회로(14)에 부여한다.
이 결과로, 절환회로(14)는 절환 신호(S1)을 받아, 필드마다에 제1HPF(9)의 출력과 제2HPF(10)의 출력을 선택하여 후단의 선택 회로(15)에 출력하고, 또한 32필드에 1번정도 LPE(11)의 출력을 선택하여 선택회로(15)에 부여한다.
한편, 선택회로(15)은 절환회로(14)에서 선택된 출력을 절환제어회로(13)으로 부터의 선택신호(S2)에 응답하여, 각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적산회로(16,17,…,21)에 선택적으로 부여한다. 즉, 제1샘플링 영역(A1)에 관한 각 필터의 출력은 적산회로(16)에, 제2샘플링 영역(A2)에 관한 각 필터의 출력은 적산 회로(17)에, 이하 마찬가지로 제3 내지 제6샘플링 영역(A3,A4,A5 및 A6)에 관한 각 필터의 출력은, 각각 적산회로(18,19,20 및 21)에 부여된다.
적산회로(16)은 A/D변환기(22)와, 가산기(23)과, 메모리 회로(24)들에 의해 구성되고, A/D변환기(22)는, 선택 회로(15)를 통과하여 오는 필터의 출력을 차례로 A/D변환하여, 가산기(23)에 부여한다. 가산기(23)은 전단의 A/D변환기(22)와 후단의 메모리 회로(24)와 더불어 디지탈 적분기를 구성하고 있고, 메모리 회로(24)의 출력과 A/D(22)의 출력들을 가산하여, 그 가산 결과를 메모리 회로(24)에 공급한다. 메모리 회로(24)는 필드마다 셋트되고, 따라서, 가산기(23)의 출력, 즉 필터를 경과한 제1샘플링 영역(A1)에 대한 휘도 신호 레벨의 디지탈 변환값의 1필드분을 유지한다.
적산회로(17,18,…,21)에 대해서도 적산 회로(16)과 완전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적산회로의 각각에 내장되는 메모리 회로에는, 각각의 샘플링 영역에 관하여 현재(現在)필드에서 선택되고 있는 필터를 통과한 휘도 신호 레벨의 1필드분에 대한 적분값이 유지되게 된다. 이들 각 메모리 회로의 적분값은 또다시 후단의 메모리 회로(25)에 부여되어 거기에 일괄하여 기억된다.
제 1HPF(9), 제2HPF(10) 및 LPF(11)에 의한 통과 허용영역은, 각각 600KHz이상, 200KHz이상 및 2.4MHz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실제로는 각각, 600KHz-2.4MHz, 200KHz-2.4MHz, 및 0-2.4MHz의 통과대역을 갖고 있는 BPF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2.4MHz는 휘도 신호와는 그다지 관계가 없는 매우 높은 주파수이며, 따라서 LPF(11)에 대해서는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HPF(9), 제2HPF(10) 및 LPF(11)의 어느것인가를 통과한 휘도 신호의 고역 또는 저역 성분이, 1필드분에 대하여 디지탈적으로 적분되어, 각 샘플링 영역마다에 현재 필드의 평가값으로써 메모리회로(25)에 기록되게 된다. 여기에서 메모리회로(25)에 기억되어 있는 적분값, LPF(11)이 선택된 각 필드에서의 저역 성분의 적분값은 노출 제어용의 노출 평가값으로서, 제1HPF(9) 또는 제2HPF(10)이 선택된 각 필드에서의 고역성분의 적분 값은 포커스제어용의 초점 평가값으로서, 후단의 마이크로컴퓨터(26)에 의하여 연산 처리된다.
이들의 평가값은, 마이크로컴퓨터(26)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고, 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은 포커스 모터 제어회로(17)에 지령을 발하고, 포커스모터(4)를 구동시켜 포커스렌즈(2)를 전진 후퇴시켜, 초점 평가값이 최대로 되도록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26)은 아이리스모터 제어회로(28)에도 지령을 발하여, 아이리스모터(7)을 구동시켜 조리개기구(6)을 작동시켜, 노출 평가값이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자동노출조정을 실행한다.
다음에, 제3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 및 오토아이리스(자동 노출조정) 동작의 메인루틴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디오카메라 동작상태에 들어가면, 마이크로컴퓨터(26)은 제3도의 메인루틴을 실행한다.
먼저, 스텝(30)에서, 각 샘플링 영역에 대한 현재의 1필드분의 적분값이 메모리회로(25)에서 마이크로컴퓨터(26)내에 독입되고, 이어서 스텝(31)에서 주움모터(101)(제1)의 회전방향이 검출된다. 여기에서 주움모터(101)은, 비디오카메라본체(1)의 앞쪽으로 돌출한 렌즈 경동부(鏡胴部)로, 방사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배치된 주움링(102)를 회전구동하는 것으로서, 이 주움링(102)는 변배(變倍)렌즈인 주움렌즈(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하고, 이 주움렌즈는 주움링(102)의 회전에 따라서 광축 방향으로 전진후퇴하고, 망원(tele)영역에서 중간(middle) 영역을 거쳐 광각(wide) 영역까지 이동할 수 있다. 통상, 촬영자는 카메라본체에 배치된 주움구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망원 방향 또는 광각방향으로 조작하여, 주움모터(101)을 어느쪽인가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망하는 주움포지션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오토포커스 동작과 오토아이리스 동작을 시분할로 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카운터 AECNT의 카운트값을 감소시키어, 즉 1만큼 감산하고(스텝 32), 카운트값이 0인지 여부를 판정하기(스텝 33). 그리하여 카운트값이 0이 아니면, 오토포커스동작을 실행하고, 카운트값이 0일 대에만 오토아이리스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스템(31)에서의 주움모터(101)의 회전방향, 즉 주움방향의 검출결과가 광각방향일 경우는 스텝(34)에서 확인되며, 또한 스텝(100)에서 후술하는 오토포커스용의 동작모드코드가 4이어야 한다는 것, 즉 이미 오토포커스 동작이 대충 완료되어 있어서 포커스렌즈의 위치가 초점 평가값의 정점에 일단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오토포커스 기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오토포커스루틴(스텝 35)은 실행되지 않고 뛰어넘어 버린다. 이것은 주움기구가 광각측으로 향해질 때는 피사계의 심도가 차츰 깊어져 가는 탓으로 주움동작 전에 일단 초점이 맞춰지는 상태에 도달하고 있으면, 광각방향으로의 주움동작중에는 오토포커스 동작을 새로이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 이런 경우에 오토포커스동작을 실행하면, 화면각도의 변화에 수반하는 초점평가값의 변동으로 불필요한 오토포커스 동작이 되풀이되어, 보기 흉한 화면이 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주움방향이 광각 방향이 아닌 경우, 혹은 광각방향일지라도 주움동작 직전에 초점이 맞춰지는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토포커스루틴(스텝 35)가 실행된다.
오토포커스루틴이 종료되면, 카운터 AECNT의 내용에서 1만큼 감산된 것이 0으로 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36). 그리고, 카운터값이 0으로 된다면, 마이크로컴퓨터(26)으로 부터 절환제어회로(13)에 제어신호가 발해져, 이를 받아 절환제어회로(13)은, LPF(11)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절환신호(S1)을 절환회로(14)에 주어, 이에 의해 LPF(11)의 출력이 선택된다(스텝 37). 이렇게 하여 LPF(11)의 출력이 선택되면, 마이크로컴퓨터(26)은, 이 선택된 LPF필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얻어지는 평가값이 메모리회로(25)에 독입되기를 기다린다.
한편, 스텝(33)에서 오토아이리스동작이 선택되면, 오토아이리스 동작의 기본인 오토아이리스루틴(스텝 380이 실행된다. 그리고 그 후, 카운터 AECNT를 초기상태로 되돌리고(스텝 39), 또한 제1HPF(9)의 출력을 선택하여(스텝 40), 다음 필드의 평가값의 적산을 기다린다.
여기에서 카운터 AECNT의 초기상태라 함은 32필드마다에 1필드만큼 LPF(11)을 통과한 휘도신호에 기초하여 노출평가값을 산출하기 위하여, 초기값 32가 설정된 상태를 말한다.
다음에, 제4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설명한다.
제3도의 메인루틴 스텝(33)에서 오토포커스동작이 선택되고, 또한 주움기구가 광각측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는다면(스텝 34), 오토포커스루틴(스텝 35)가 실행된다.
먼저 제4도의 스텝(41)에서는, 메모리회로(25)에 기억되어 있는 각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적분값에 기초하여, 초점평가값 및 그 상대비가 산출된다. 다음에, 스텝(42)에서 포커스링의 단점스위치가 확인처리되고, 이어서 스텝(43)에서 주움기구의 주움영역인 주움포지션을 확인한 후에, 이른바 등산제어로 들어간다.
등산제어는 평가값안정확인루틴(스텝 45), 방향 판별 루틴(스텝 46), 등산루틴(스텝 47), 정점복귀루틴(스텝 48) 및 평가값 변동감시루틴(스텝 49)의 합계 5개의 루틴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모드의 선택은, 이전필드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스텝(44)에서 동작모드코드 0-4중의 어느것인가를 지정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통상은 평가값 안정확인루틴(스텝 45)→방향 판별루틴(스텝 46)→등산루틴(스텝 47)→정점복귀루틴(스텝 48)→평가값 변동 감시루틴(스텝 49)의 순서로 실행된다.
각 루틴이 끝난 후, 스텝(50)에서 고역 통과필터 출력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즉, 절환회로(14)에 의해 현재 필드의 오토포커스루틴의 실행이 제1HPF(9)의 출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음 필드로 들어가기 전에 제2HPF(10)의 출력으로 절환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2HPF(10)의 출력에서 제1HPF(9)의 출력으로 절환을 실행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26)은, 절환제어회로(13)에 제어신호를 부여한다.
따라서, 메인루틴 스텝(33) 및 (34)에 의해, 오토포커스루틴(35)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은, 1필드마다에 제1HPF(9)의 출력과 제2HPF(10)의 출력들이 교대로 선택되게 된다.
다음에, 제4도에 나타낸 오토포커스루틴에서 실행되는 각 동작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스텝(41)에서의 초점평가값 및 그 상대비의 산출 동작에 관하여, 제5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현재 필드에서 메모리 회로(25)에 유지되어 있는 적분값 중에서, 적산 회로(16) 및 (17)에 의하여 적분된 적분값, 즉,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A1), (A2)에서의 적분값 DATA(1), DATA(2), 제1HPF(9) 및 제2HPF(10)의 어느 쪽의 출력을 사용하여 추출되었는가에 대한 판별이 스텝(51)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HPF(9)의 출력에 의한 것임이 판정되면, DATA(1) 및 DATA(2)는, 각각 메모리 A(1) 및 A(2)에 대입되고(스텝 52), 제2HPF(10)의 출력에 의한 것임이 판정되면, 메모리 B(1) 및 B(2)에 각각 대입된다(스텝 53).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샘플링 영역(A2)는 제1샘플링(A1)의 4배의 면적을 갖고, 제1샘플링 영역(A1)까지도 포함된 영역이다.
다음에, 스텝(54)에서, 이전필드의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A1), (A2)의 초점 평가값을 각각 메모리 Y(1), Y(2)에 이관하여 둔다.
스텝(55)에 있어서는, 메모리 A(1), A(2), B(1) 및 B(2) 중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현재 필드의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A1), (A2)의 초점 평가값 X(1), X(2)가 산출된다. 여기에서, 제1샘플링 영역(A1)의 초점 평가값 X(1)의 메모리 A(1)의 값과 B(1)의 값과의 합, 즉 제1샘플링 영역(A1)내에서 제1HPF(9)의 출력을 사용하였을 때의 최신의 적산값과, 제2HPF(10)의 출력을 사용했을 때의 최신의 적산값들을 가산한 이동합으로 되고, 마찬가지로 초점평가값 X(2)는, 메모리 A(2)의 값과 B(2)의 값과의 이동합으로 된다.
예를 들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DATA(1)로서는, (a1), (b1), (a2), (b2) …가 필드마다에 메모리에 취입되고, DATA(2)로서는 (c1), (d1), (c2), (d2)…가 취입되는 것으로 한다. 다만, (a1), (a2), (a3) …는 제1HPF(9)의 출력에 의한 제1샘플링 영역(A1)이 적분값, (b1), (b2), (b3) …는 제2HPF(10)의 출력에 의한 제1샘플링 영역(A1)의 적분값, (c1), (c2), (c3) …는 제1HPF(9)의 출력에 의한 제2샘플링 영역(A2)의 적분값, 그리고 (d1), (d2), (d3) …는 제2HPF(10)의 출력에 의한 제2샘플링 영역(A2)의 적분값이다. 이 결과, 초점 평가값 X(1)은, 1필드마다에 (a1+b1), (b1+a2), (a2+b2), (b2+a3), …으로 차례로 변화하고, 초점평가값 X(2)는 1필드마다에 (c1+d1), (d1+c2), (c2+d2), (d2+c3), …으로 차례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각 샘플링 영역에 대한 초점평가값은, 현재 필드에서의 어느것인가 한쪽의 HPF출력에 의한 적분값과, 이전필드에서의 다른 쪽의 HPF출력에 의한 적분값과의 합으로 되고, 홀수 필드 짝수 필드의 적분값이 1개의 초점평가값에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인터레이스 등에 의한 필드맏의 평가값의 불균형이나 노이즈에 의한 평가값에 대한 영향은 완화할 수 있고, 오토포커스 동작은 안정된 것으로 된다.
스텝(56)에서는, 각 샘플링 영역에서의 상대비 R(1) 및 R(2)가 산출된다. 상대비 R(1)은, 메모리 A(1)의 값과 B(1)의 값과의 비인 A(1)/B(1), 즉 제1샘플링 영역(A1)내에서 제1HPF(9)의 출력을 사용했을 때의 최신의 적분 값고, 제2HPF(10)의 출력을 사용했을 때의 최신의 적분값과의 비로 되고, 마찬가지로 상대비 R(2)는, 메모리 A(2)의 값과 B(2)의 값과의 비인 A(2)/B(2)로 된다.
단점 스위치 처리 루틴(스텝 42)에서는, 포커스링(3)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으 한계인 근점 또는
Figure kpo00001
점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근점 또는
Figure kpo00002
점에 도달했을 때에, 근점측 반사판 및
Figure kpo00003
점측 반사판이 비디오 카메라의 캐비넷에 고정된 단점 스위치(5)와 대향하도록, 근점측 반사판 및
Figure kpo00004
점측 반사판을 포커스링(3)에 각각 고착하고, 단점 스위치(5)내의 발광 소자로부터 오는 빛을 각 반사판에서 반사시켜, 이것을 단점 스위치(5)내의 수광 소자에서 수광하여, 각 반사판이 단점 스위치(5)와 대향하는 위치, 즉 근점 또는
Figure kpo00005
점에 도달했음을 검출하는 것이며, 또한 근점과
Figure kpo00006
점과의 구별은, 포커스모터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리하여 근점 또는
Figure kpo00007
점에 도달하면 즉시로 포커스 모터(4)는 역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오토포커스 동작의 중심을 이루는 5개의 루틴, 즉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 방향 판별 루틴, 등산 루틴, 정점 복귀 루틴 및 평가값 변동 감시 루틴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평가값 안정 루틴은 제7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이 평가값 안정 확인 동작은, 동작 모드 코드가 0으로 되는 전원 투입시 또는 피사체가 변화하여 재차 오토포커스 동작을 다시 할때에 실행된다.
최초에, 스텝(61)에서, 제1임계값 THR1이 정의된다. 이어서, 제1샘플링 영역(A1)에서의 현재 필드 및 이전필드에서의 초점 평가값 X(1), Y(1)이 비교되고(스텝 62), 그 차이가 최초로 정의된 제1임계값 THR1보다도 클때는, 평가값이 안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스텝(63)에서 후술하는 카운터 INN을 리셋트한다. 그리고, 다음 필드에서 또다시 오토포커스 루티이 실행될 경우에 재차 이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동작 모드코드를 0으로 되게 한 채로 이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초점 평가값 X(1), Y(1)의 차가 제1임계값 THR1이하로 되면, 스텝(64)에서 카운터 INN이 증가되고, 즉 그 카운트값에 1이 가산되고, 스텝(65)에서, 카운터 INN이 카운트값이 5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즉 이 상태가 5필드에 걸쳐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카운터 INN의 카운트값이 5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 일단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을 종료하게 되는데, 동작 모드코드는 0 그대로 이므로, 다음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 루틴에서는 재차 이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이 실행된다.
한편, 스텝(65)에서, 초점 평가값 X(1)과 Y(1)과의 재차 제1임계값 THR1보다도 작은 상태가 5필드에 걸쳐서 계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66)에서 카운터 INN을 리셋트하여, 스텝(67)에서 오토포커스 동작의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다. 즉, 스텝(67)에서는 다음 필드의 오토포커스 루틴에서 방향 판별 루틴을 실행하기 위하여 동작 모드 코드를 1로 변경하고, 포커스모터(4)의 회전 방향을
Figure kpo00008
점 방향으로 초기 설정하고, 현재 필드의 제1샘플링 영역(A1)에서의 초점 평가값 X(1)을 기준 평가값 XB(1) 및 제1최대평가값 XM(2)로 하여 기억하고, 현재 필드의 제2샘플링 영역(A2)의 초점 평가값 X(2)를 제2최대평가값 XM(2)로 하여 기억하고,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을 종료한다.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여, 방향 판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서브 루틴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향 판별 루틴의 목적은, 초점 평가값의 정점이 현재의 렌즈위치에 대하여 근점 또는
Figure kpo00009
점의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스텝(71)에서 제2임계값 THR2를 정의한다. 그리고, 현재 필드의 초점 평가값 X(1)이, 초점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의 최종 필드의 초점평가값에 의해 정의된 기준 평가값 XB(1)보다도 크면, 포커스모터(4)의 회전 방향측에 초점 평가값의 최대값인 피크가 있고, 반대로 작으면 반대 방향측에 피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스텝 72). 실제로는, 노이즈 등에 의한 초점 평가값의 불균형을 고려하여, 현재 필드의 초점 평가값 X(1)과 기준 평가값 XB(1)과의 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임계값 THR2를 초과하면 확인되었을 때 비로소 상기의 판단이 내려진다(스텝 73).
그런데,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커스렌즈의 위치가 초점 맞춤 위치에서 크게 떨어져, 핀트가 크게 흐려진 상태에 있는, G점에서의 초점평가값으르 기준 평가값 XB(1)로 하여 방향 판별 루틴을 실행한 경우를 고려한다. 즉, 이와 같은 초점평가값이 작고 경사가 명료하지 않은 경우에, 초점평가값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2), 즉 포커스링(4)를 동작시키면, 제9도의 화살 표시와 같이 제2임계값 THR2를 초월하지 않고 단점(
Figure kpo00010
)까지 포커스 렌즈(2)가 이동을 해버려 흉한 인상을 주게 된다. 그래서, 제2임계값 THR2의 적용은, 현재 필드의 초점평가값 X(1)이 기준 평가값 XB(1)보다도 클 경우만으로 하고, 작을 경우에는, 스텝(73)을 뛰어넘어 스텝(74)에 도달하고, 카운터 CHK를 1필드마다에 증가한다. 그리고, 카운터 CHK의 카운터값이 3이 되면, 즉 초점평가값 X(1)이 기준 평가값 XB(1)보다도 하회하든가 또는 기준 평가값 X(1)보다 크고 또한 그 차가 제2임계값 THR2를 넘는 상황이 3필드에 걸쳐 연속되었다고 판단되면(스텝 75), 스텝(76)에서, 3필드간의 초점평가값이 함께 기준 평가값 XB(1)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76). 그리고 크다면 판단되었을 때는, 평가값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고 판단되고, 3필드간의 초점 평가값이 더불어 기준 평가값 XB(1)보다 작을 때는, 평가값이 감소 경향이 있다고 판단된다.
초점평가값이 증가 경향에 있을 때는 포커스 모터(4)가 현상태의 회전 방향을 유지하고, 감소 경향에 있을 때는 스텝(77)에서 포커스 모터(4)의 회전 방향이 역 회전한다. 그리고 스텝(78) 내지 스텝(80)에서, 현재 필드에서의 초점평가값 X(1)을 초점평가값 XM(1)로 하여 유지하고, 카운터 CHK를 리셋트하고, 동작모드 코드를 2로 설정하여, 이에 의하여 다음의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 루틴에서 등산 루틴을 실행한다.
또, 스텝(75)에서 상술한 상태가 3필드 계속되었다고는 아직 판단되지 않을 때에는, 포커스모터(4)의 회전 방향 및 동작 모드 코드를 현상태로 두고, 방향 판별 루틴을 일단 종료하고, 다음 필드에서 오터포커스 루틴에서 재차 방향 판별 루틴을 실행한다.
한편, 스텝(73)에서 초점평가값 X(1)과 기준 평가값 XB(1)과의 차가 제2임계값 THR2를 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81)에서 카운터 CHK를 리셋트하여, 스텝(82)에서 편재 필드의 제1샘플링 영역(A1)이 초점평가값 X(1)이 그 때까지의 최대평가값 XM(1)보다도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크다고 판단된다며, 스텝(83)에서 이 초점평가값 X(1)에 의하여 초점 평가값 XM(1)을 갱신하고, 이 때의 포커스링(3)의 기계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링위치 카우터 P(1)을 리셋트한다. 스텝(84)에서는, 현재필드의 제2샘플링 영역(A2)에서의 초점 평가값 X(2)가 동일 영역에서의 그 때까지의 최대 평가값 XM(2)보다도 큰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클 경우는 스텝(85)에서 이 초점평가값 X(2)에의하여 초점평가값 XM(2)를 갱신하고, 이 때의 포커스링(3) 기계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2링 위치 카우터 P(2)를 리셋트한다. 여기에서, 양 링위치카운터 P(1), P(2)는 포커스모터(4)의 소정회전 방향으로의 일정한 회전량을 1스텝으로 하고, 포커스모터(4)가 이 1스텝만큼 구동될 때 마다 카운트 업되고, 회전방향이 반전된 경우에는 1스텝만큼 구동될 때마다 카운트다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A1), (A2) 내에 피사체가 있는지의 유무가 선명하지 않은 경우 등에, 초점 평가값 X(1)과 기준 평가값 XB(1)과의 차가 제2임계값 THR(2)를 넘지 않은 채로 포커스링(3)이 양단점 사이를 동작한 것이 판단되었을 때, 즉 방향 판별루틴을 되풀이하는 동안에 근점에 접합으로써 단점 스위치(5)에 의해 셋트되는 플랙과,
Figure kpo00011
점에 도달함으로써 단점 스위치(5)에 의해 셋트되는 플랙이, 양쪽 모두 셋트되었다고 판단될 때는 스텝(87)에서 양영역에서의 최대평가값 XM(1)과 XM(2)들이 비교된다. 단, 이것을 비교할 때는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A1), (A2)의 면적비 1 : 4를 고려하여, 최대평가값 XM(1)을 4배로 하여, 최대평가값 XM(2)에 관하여 정규화한 연후에, 비교하고 있다. 상술한 비교결과에서, 최대평가값 XM(2)쪽이 크다고 판단되면, 스텝(88)에서, 나중의 루틴에 사용되는 플랙 MAX(2)를 셋트하고, 제1링 위치 카운터 P(1)의 카운트값을 제2링 위치 카운터 P(2)의 카운트값에 의해 갱신하고, 이하의 오토포커스의 동작은 제2샘플링 영역(A2)에 대하여 행해진다. 또, 최대평가값 XM(1)의 4배의 값 쪽이 클 경우에는, 오토포커스 동작은 제1샘플링 영역(A1)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89)에서 동작 모드 코드가 3으로 변경되고, 다음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루틴에서는, 복귀루틴이 실행된다. 또, 스텝(86)에서 포커스링(3)이 양단점 사이를 모두 이동했다고 판단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루틴은, 재차 이 방향판별 루틴이 실행된다.
다음에, 제10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등산 루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등산 루틴의 목적은 초점평가값이 최대로 장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먼저, 스텝(91)에서, 미리 제3임계값 THR3으로 하여 고정값을 정의하고, 상술한 방향 판별루틴에 의해 결정된 방향으로, 포커스모터(4), 즉 포커스링(3)을 제1속도 S1으로서 회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92)에서 현재 필드의 초점평가값 X(1)이 그때까지의 최대평가값 XM(1)을 넘는 것이 판별될 때마다, 스텝(93)에서 최대평가값 XM(1)이 초점평가값 X(1)에 의해 갱신되고, 나아가서는 제1링 위치 카운터(1)이 리셋트된다.
한편, 스텝(92)에서, 현재 필드의 초점평가값 X(1)이 그때까지의 최대평가값 XM(1)보다 크지 않다는 것이 판단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94) 내지 (98)을 거쳐, 그리고 스텝(99)에서 초점평가값 X(1)이 최대평가값 XM(1)보다도 제3임계값 THR3이상을 하회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110)에서 즉시 포커스모터(4)를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111)에서 이 상태가 연속하는 3필드의 초점평가값에 관하여 지속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112)에서 상대비 OK플랙을 셋트하여, 스텝(113)에서 포커스모터(4)를 역회전하고, 동작모드코드를 3이 되게 한다. 이로써 다음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루틴에서는 정점복귀 루틴이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111)에서의 CHK는 |X(1)-XM(1)THR3의 상태가 3필드에 걸쳐 계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카운터이다.
또, 제11도는 정점복귀시의 초점평가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제12도는 포커스렌즈의 위치와, 초점평가값과, 포커스모터의 회전속도와, 초점평가값의 상대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1도에서 정점으로부터의 지나치게 나아간 양 △P(1)이 지나치게 크면, 핀트의 벗어난 양이 커져서, 화면상의 인상이 나빠진다. 그러므로, △P(1)을 되도록 작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포커스모터(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먼저, 등산 동작의 도중에, 1필드 마다에 상대비 R(1)을 감시하고(스텝 114),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기준 상대비 r1을 초과했을 때는, 정점에 접근해 있다고 고려하고 스텝(115)에서 포커스모터(4)의 회전 속도를 지금까지의 표준속도 S1에서 보다 저속인 중간속도 S2로 감속 시킨다. 다음에, 초점평가값 X(1)이 최대평가값 XM(1) 이하가 되면 스텝(95)에서 중간속도 S2보다도 더욱 저속인 속도 S3까지 감속된다. 이어서 스텝(99)에서 초점평가값 X(1)과 최대평가값 XM(1)과의 차가 제3임계값 THR 3을 넣는다는 것이 파단되면, 포커스모터(4)를 정지시키고 (스텝(10), 초점평가값 X(1)과 최대평가값 XM(1)과의 차가 3필드 계속하여 제3임계값 THR3이하로 되는 것을 확인한다(스텝 111).
다만, 포커스모터(4)의 회전속도를 슬로우 속도 S3까지 떨어뜨린 후에, 20필드를 경과하더라도 상기의 등산 동작이 완결되지 않는다고 스텝(96) 및 (97)에서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98)에서 포커스모터(4)의 회전 속도를 최고속도인 표준 속도 S1로 되돌리고, 등산 동작을 계속시킨다. 이로서, 포커스모터(4)가 감속한채로 장시간 동작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96) 및 (97)에서, INN은 상술한 상태가 20필드에 걸쳐 계속했음을 검출하기 위한 카운터로서, 1피드마다 카운트업 된다.
또, 스텝(94)에서는, 초점평가값 X(1)이 정점을 통과한 시점에서, 상대비 R(1)을 첵크하고, 이것이 정점의 상대비로서는 너무 작고 제2기준 상대비 r2이하일 때는, 스텝(114)로 이행시켜, 다음 필드에서도 등산루틴을 강제로 실행시킨다. 그리고, 정점에서의 상대비 R(1)이 제2기준 상대비 r2 이상인 경우에만, 스텝(95) 내지 (113)을 거쳐 다음 정점 복귀 루틴으로 옮긴다. 이로써 노이즈 등에 의해 정점을 잘못 인식하고, 핀트가 흐린 상태에서 포커스렌즈(2)가 정지해 버린다는 오동작의 빈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기준 상대비 r2는, 후술하는 제14도에서, 핀트가 흐려진 상태로 충분히 인식될 때의 상대비(예를 들면 0.1)로 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비 R(1)과 포커스링 위치와의 관계가 직선형상으로 변화하는 이유에 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 상대비 R(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샘플링 영역(A1)에서의 제1HPF(9)의 출력을 사용했을 때의 1필드분의 적분값과, 제2HPF(10)의 출력을 사용했을 때의 1필드분의 적분값과의 비이며, 피사체가 동일했을 때의 양 적분값과 포커스링 위치의관계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컷오프 주파수가 높은 제1HPF(9)의 출력에 의한 적분값은, 가파른 산의 형상을 갖고, 컷오프 주파수가 낮은 제2HPF(10)의 출력에 의한 적분값은, 완만한 산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하여, 이 상대비와 피사체의 핀트가 흐려진 정도(즉, 초점맞춤 위치의 렌즈 위치로부터의 이동량 또는어긋난량)과의 관게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제14도와 같은 단조로운 감소 특성 곡선으로 된다.
즉, 이 상대비로 된 상태량은, 초점평가값 자체와 마찬가지로 피사체의 초점 맞춤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함수값이며, 비율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일종의 정규화된 상태량이다. 따라서, 피사체가 놓인 환경의 영향을 그다지 받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의 조도가 변화한 경우에, 초점평가값의 절대값은 변화하지만, 상대비로서는 큰 변화는 없다. 통상 상기의 성질은 피사체의 종류를 불문에 붙이는 것이므로, 이 상대비를 핀트가 흐려지는 파라메타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 제14도의 단조로운 감소 특성 곡선을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시켜 표현하면, 제12도의 1점 쇄선과 같이 초점 맞춤 위치를 정점으로 하여 근점측 및
Figure kpo00012
점 측에 대략 직선 형상으로 변화하는 특성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등산루틴에서도, 상기 방향판별루틴과 마찬가지로, 초점평가값 X(1)과 최대평가값 XM(1)과의 차가 제3임계값 THR3을 넘지 않고, 포커스링이 근점과
Figure kpo00013
점과의 양단점간을 동작했다고 스텝(116)에서 판단된 경우는, 샘플링 영역(A1), (A2)의 최대평가값 XM(1), XM(2)의 단위 면적당의 크기, 즉 XM(1)×4와 XM(2)들을 스텝(117)에서 비교한다. 그리고, XM(1)×4쪽이 클 경우는 현상태대로 스텝(113)으로 이행하고, 반대로 XM(2)쪽이 클 경우에는, 플랙 MAX(2)를 셋트하고(스텝 118), 제1링위치 카운터 P(1)의 값을 제2링 위치 카운터 P(2)의 카운트값으로 갱신하여(스텝 119), 스텝(11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정점 복귀루틴에서의 포커스영역으로서 제2샘플링 영역(A2)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2샘플링 영역(A2)에서의 현재 필드의 초점평가값 X(2)가 그 때까지의 최대평가값 XM(2)보다도 크면(스텝 120), 이 때의 초점평가값 X(2)에 의해 최대평가값 XM(2)는 갱신되고, 제2링 위치 카운터 P(2)는 리셋트된다(스텝 121).
다음에, 상술한 등산 동작으로 정점을 인식한 후, 재차 정점 위치에 포커스링(3), 즉, 포커스렌즈(2)를 되돌리기 위한 정점 복귀 루틴의 동작에 관하여,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등산루틴에서 정점으로부터의 과도의 진행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카운트업된 제1링 위치 카운터 P(1), 또는 방향 판별 루틴 또는등산루틴에서 포커스링(3)이 양단점간을 동작 했을 때에 카운트업된 제1 및 제2링 위치 카운터 P(1), P(2)는, 이 루틴에서 포커스링(3)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소되고, 즉 포커스 모터(4)의 1스텝마다의 회전에 따라서 1씩 카운트다운 되고, 그 카운트값이 0으로 된 곳에서 정점 위치로 복귀된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스텝(131)에서, 상술한 등산 루틴 또는 방향 판별 루틴에서 플랙 MAX2가 셋트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플랙 MAX2가 셋트 상태이면, 스텝(132)에서 이후의 포커스영역으로서 제2샘플링 영역(A2)를 지정하고, 플랙 MAX2가 셋트 상태가 아닐 경우는, 스텝(133)에서 이후의 포커스영역으로서 제2샘플링 영역(A1)을 지정한다.
그리고, 스텝(134)에서, 포커스 영역으로서 지정된 측의 링위치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0으로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135)에서 포커스 영역측의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 X(J)와 최대평가값 XM(J)와의 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4임계값 THR4(J)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포커스영역으로서 제1샘플링 영역(A1)이 지정되어 있으면 J=1, 제2샘플링 영역(A2)가 지정되어 있으면 J=2로 한다. 스텝(135)에서 상기의 차가 제4임계값 THR4이하임이 확인되면, 스텝(136)에서 포커스모터(4)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다음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 루틴에서 초점 평가값 변동 감시루틴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텝(137)에서 동작 모드 코드를 4로 한다. 그리고, 스텝(138)에서 정점 확인 허가 플랙 TL을 셋트하고, 또, 스텝(139)에서 정점 확인용 카운터 MC를 리셋트하여, 일련의 초점 맞춤 동작을 종료한다.
또, 초점 평가값 X(J)와 최대평가값 XM(J)와의 차가 제4임계값 THR4(J)보다도 커져 버리는 경우에는, 정점 복귀 동작중에 피사체가 크게 변위한다거나 피사체 자체가 변화했다고 하여, 스텝(140)에서도 동작 모드 코드를 0으로 설정하고, 다음 필드에서의 오토포커스루틴에서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으로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리고, 제4임계값 THR4(J)는 각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여 각각의 가장 적합한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초점 맞춤 동작이 종료된 후는, 피사체의 변화에 대한 감시와,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재차 상술한 초점 맞춤 동작을 재개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위한 초점평가값 변동 감시루틴을 실행한다. 이 루틴의 동작을 제16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루탄에 들어간 직후의 필드에서는, 상술한 일련의 초점 맞춤 동작에서 검출한 정점에 잘못이 있는지의 여부를 첵크하기 위하여, 스텝(151)에서 정점 복귀루틴이 끝가기 직전에 셋트된 정찰 정점 확인허가 플랙 TL의 셋트상태가 판별되고, 정점 복귀루틴에서 이행한 후의최초의 필드일 경우는, 플랙 TL은 셋트 상태이므로, 정점 확인 루틴이 실행된다.
이 정점 확인루틴은, 제17도의 플로우챠트에서 표시된다. 이 플로우챠트에 관하여 설명하면, 우선 스탭(182)에서, 포커스 모터(4)를 어느쪽 인가의 방향, 예를 들면, 근점방향으로 화면각도의 변동을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미소량, 예를들면 스탭핑모터인 포커스모터(4)의 1스텝분만큼 구동시킨다(제18도의 ①). 그리고, 스텝(181)에서 미동이 끝났다고 판단되면, 스텝(183)에서 즉시 포커스 모터(4)를 정지하고, 그 때의 필드 에서의 포커스 영역의 초점평가값 X(J)와, 정점으로 판단되어 있는 최대평가값 XM(J)와의 비교가 스텝(184)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포커스영역이라 함은, 제8도의 스텝(88)이나 제10도의 스텝(118)에서 사용된 플랙 MAX 2의 셋트 상태에 따라서, 제15도의 스텝(131) 내지 (133)에서 지정되어 있는 쪽의 샘플링 영역이며, J=1일 경우는 제1샘플링 영역(A1)이, J=2일 경우는 제2샘플링 영역(A2)가 해당된다. 스텝(184)에서 비교한 결과, 초점 평가값 X(J)가 최대평가값 XM(J)보다도 작다고 인식되고, 또 스텝(185)에서 렌즈의 미동 방향이 근점측이라고 인식 되면, 스텝(186)에서 플랙 F1이 셋트된다. 그리고 스텝(188)에서 포커스모터(4)를 반전하고, 반대방향, 즉 ∞점 방향으로 렌즈(2)를 2스텝분만큼 미소하게 변동시켜, 정점으로 되돌아간 후에도 미소한 변동을 계속한다(제18도의 ② 및 ③). 그리고, 재차 스텝(184)에서 초점평가값 X(J)가 최대평가값 XM(J)보다 작다고 확인된 경우에, 스텝(185)를 거쳐 스텝(187)에서 플랙 F2가 셋트된다. 그리고, 스텝(188)에서 포커스모터(4)를 재차 역회전시키고, 반대방향, 즉 근점 방향으로 미소한 변동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189)에서, 플랙 F1및 F2가 함께 셋트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제18도의 화살표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를 양쪽 방향으로 미동시켜 얻어진 초점 평가값이 최대평가값보다도 작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정점검출 위치에 잘못이 없었음이 확인된다. 그리고 스텝(195)에서는, 정점을 넘어서 ∞점 방향으로 여분으로 작동시킨 분량만큼 포커스모터(4)를 근점 방향으로 구동하고, 재차 정점으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스텝(196)에서 포커스 모터(4)를 정지시켜, 스텝(190)에서 정점 확인 플랙 TL을 리셋트하고, 정점 확인 루틴을 끝낸다.
또,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의 초점 맞춤 동작에서 잘못으로 정점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렌즈를 어느쪽인가의 방향으로 미동시켰을 때, 초점평가값 X(1)이 최대평가값 XM(1)보다 커지므로, 포커스모터(4)를 역회전함이 없이, 렌즈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미동시켜, 스텝(191)에서 이동 회수 카운터 MC의 내용인 이동회소를 증가시킨다.
그런데, 이 정점 확인 루틴은, 정점복귀 루틴이 끝난 직후에, 정점이 확실히 복귀했음을 확인하는 경우와, 정점 복귀를 확인한 후에, 피사체가 변화했음을 확인하는 경우 두 가지 방법의 경우에 실행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자의 경우에만 정점 확인 플랙 TN이 셋트됨으로써 양자가 구별된다. 스텝(192)에서는, 이 정점 확인 플랙 TN이 셋트 상태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술한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하여 정점 복귀 루틴이 끝난 직후에 정점에 렌즈의 위치가 확실히 복귀했는지의 여부만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후술한 스텝(193)을 뛰어넘고, 포커스모터(4)의 미소 변동량을 1스텝인 채로 유지하고, 스텝(194)에서 플랙 F1 및 F2를 클리어하고, 새로운 초점평가값 X(J)에 의해 최대평가값 XM(J)가 갱신된다.
따라서, 정점 확인 루틴이 되풀이됨으로써, 정점 복귀 루틴이 끝난 직후에,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실히 정점으로 복귀되어 있을 때는 초점평가값이 화살표시같이 변화하여 정점에 확실히 복귀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점에 확실히 복귀되어 있지 않을 때는 초점 평가값이 화살표시같이 변화하여, 그 때마다 최대평가값 XM(J)가 갱신되는 동시에 렌즈의 위치는 서서히 초점 맞춤 위치로 접근한다. 그리고, 제18도 및 제19도에서, ①-⑥은 변동하는 차례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값 변동 감시 루틴에서는, 정점 확인 루틴(스텝 152)가 끝날 때마다, 스텝(153)에서 이동 회수 카운터 MC의 카운트 값을 첵크하고, 이것이 소정의 허용회수를 넘으면, 정점을 잘못 검출하였던가 아니면 피사체의 변화에 의해 정점이 이동했다고 인식한다. 즉, 제19도에서는 허용회수를 3으로 설정함으로써, ⑤의 동작후, 정점을 잘못 알고 있었다고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인식되면, 스텝(154)에서 정점 확인 허가 플랙 TL를 리셋트하고, 스텝(155)에서 포커스 모터(4)의 회전 속도를 표준 속도 S1으로 절환하고, 동 작 모드 코드를 2로 설정한다.
이로써 다음의 오토포커스 루틴에서, 바른 정점을 고쳐 검출하기 위하여, 상술한 등산 루틴에서 초점맞춤 동작을 재개한다. 그리고, 정점확인 루틴이 정점 복귀 루틴이 종료 직후에 실행된 경우에는, 일단 정점이 확인되면 초점 평가값에 변동이 없는 한 이 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피사체의 변화에 수반되는 초점평가값 변동의 감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또는 제2샘플링 영역(A1),(A2)중 상술한, 정점 복귀 루틴에서 포커스영역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쪽의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 X(J)와, 그 샘플링 영역에서 지금까지 검출한 최대평가값 XM(J)와의 차이에 따라, 현재 필드에서의 초점평가값의 변동량이 정의된다. 그리고 스텝(156)에서, 포커스영역에서의 제5임계값 THR 5(J)로서 해당 포커스 영역에서의 최대평가값 XM(J)이 1/8이 정의되고, 상술한 초점 평가값의 변동량과 제5임계값 THR 5(J)와의 대소가 스텝(157)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변동량이 제5임계값 THR 5(J)를 초과했을 때, 피사체가 변화했다고 인식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제5임계값 THR 5(J)가 각 샘플링 영역 A(1),(A2)에서의 최대평가값 XM(J)의 1/8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미리 실험적으로 결정된 것이며, 예를 들면 최대평가값 XM(J) 1/4같이 크게 설정되면, 피사체가 다소 변화하더라도, 그것을 검출하기 어렵고, 또 최대평가값 XM(J)의 1/16같이 작게 설정하면, 피사체에 변화가 없더라도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 피사체의 변화를 잘못 검출하게 된다.
피사체의변화가 인식되면, 그 시점에서 포커스 영역으로서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어느 것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스텝(158)에서 인식되고, 포커스영역으로서 제2샘플링 영역(A1)이 지정되어 상술한 피사체 변화의 확인이 실행되고 있었던 경우, 즉 제1샘플링 영역(A1)에 대해 감시할 때에 피사체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스텝(159)에서, 제2샘플링 영역(A2)의 초점 평가값에 변화가 있는지, 즉 초점평가값 X(2)와 최대평가값 XM(2)의 차이와, 제5임계값 THR 5(2)와의 대소 관계를 판별한다. 그 결과, 제5임계값 THR 5(2)보다도 작으면, 피사체는 제20도 (b)와 같이 제2샘플링 영역(A1)에서는 탈출하나, 제2샘플링 영역(A2)에는 머물러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스텝(160)에서, J=2로 하고, 이후의 초점 평가값 변동 감시 영역으로서 포커스 영역을 제2샘플링 영역(A)로 절환하고, 감시 동작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대소 2개의 샘플링 영역에서 피사체의 동작을 감시함으로써, 화면의 중앙부에서 초점이 맞춰진 후에, 피사체가 화면의 중앙부에 벗어난 경우라도 보다 넓은 화면 부분에 대해서도 초점이 맞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0도의 (a)-(d)에서, 접선은 이동직선의 피사체, 실선은 이동 직후의 피사체를 나타내고, 또 제20도(a)는 피사체가 제1샘플링 영역(A1) 내를 이동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스텝(159)에서 초점평가값 X(2)와 최대평가값 XM(2)와의 차가 제5임계값 THR 5(2) 이상으로 된 것이 판단되면, 피사체는 제20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샘플링 영역(A2)에서도 완전히 벗어났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새로운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 맞춤 동작을 재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초점 평가값의 변동이, 피사체에 대한 거리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단순히 카메라가 옆쪽으로 흔들리거나 위 아래로 흔들리는데 따른 경우, 또는 화면 전체의 밝기의 변화에 따라 초래된 경우는, 초점평가값은 제21도와 같이 변화되어 있다고 고려되고, 이런 경우에 새로운 초점 맞춤 동작을 개시하면 화면은 보기 흉하게 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1도와 같은 경우의 제22도와 같이 실제로 피사체의 거리가 변화한 경우를 구별하기 위하여, 제2샘플링 영역(A2)에서의 초점평가값 변동이 검지된 경우에는 스텝(162) 및 (163)에서, 현재 필드에서의 초점 평가값 X(1),X(2)에 의해 최대평가값 XM(1), XM(2)를 갱신하고, 나아가서는 다음 필드에서 정점확인 루틴을 실행하기 위한 정점 확인 허가 플랙 TL 및 정점확인 플랙 TN을 스텝(164)에서 셋트한다. 이로써 다음 필드에서 스텝(152)에서 정점 확인 루틴이 재개되고, 초점평가값의 변동이 피사체 패턴의 향상 변화에 따른 것인지 거리의 변화에 따른 것인지를 판별한다.
그런데, 실제로 피사체의 거리가 변화한 경우에는, 신속히 초점 맞춤 동작을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정점 확인 루틴의 스텝(184)에서 현재 필드에서의 초점평가값 X(J)가 최대평가값 XM(J)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같은 방향으로 포커스 모터(4)를 미소 이동량만큼 회전시킬 경우에는, 또 스텝(192)에서 평가값 변동시의 정점확인 플랙 TN이 셋트되어 있음이 판별된다. 그리고, 정점 확인 플랙 TN이 셋트되어 있음이 판별되었을 때는, 정점 확인 플랙 TN이 셋트되어 있지 않을 때, 즉 정점 복귀 루틴이 끝난 직후에 정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점 확인 루틴을 실행했을 때보다도, 포커스모터(4)의 미소회전량, 즉, 포커스 렌즈(2)의 미소이동량은, 스텝(193)을 통과할 때마다, 1스텝→3스텝→5스텝→…식으로 단계적으로 크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리 변화전의 구(舊)피사체에서 정점으로 되어 있는 렌즈 위치 L로부터, 변화후의 새로운 피사체의 정점에 ①→②→③→④→⑤→⑥으로 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①, ②, ③에서는 1스텝씩 변위하고, ④에서는 단번에 3스텝, ⑤에서는 단번에 5스텝을 변위하여, 초점 맞춤 위치로의 접근을 신속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허용 이동 회소는, 정점확인 플랙 TN이 리셋트 상태로 있는 경우보다 적게 설정된다. 또 하나 제21도의 경우에는, 구피사체로부터 신피사체에 초점평값의 특성이 바뀌어지더라도, 제17도의 스텝(184)의 판별에 기초해서, 스텝(185)이하의 동작이 실행되기 때문에, 즉시 렌즈의 본래의 초점 맞춤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정점 확인 동작은,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점평가값의 산의 경사가 명료하고, 렌즈의 미동에 따르는 초점 평가값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함이 필요조건으로 된다. 따라서,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피사체의 초점평가값 특성의 산의 평야에 명료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오동작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여기서, 제16도의 스텝(61)에서, 현재 포커스영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측의 샘플링 영역에서의 상대비 R(J)(J=1 또는 2)가, 미리 실험적으로 핀트가 흐려졌다고 인식하지 않아도 되는 한계값으로서 설정된 제4기준 상대비 r4보다도 작다고 판단된 때에는, 제23도와 같이 경사가 불명료한 부분이라고 판단하고, 정점 확인은 행해지기 않고 즉시 스텝(165)에서 동작모터 코드를 0으로 설정한다. 이로써 다음필드의 오토포커스 루틴에서 평가값 안정 확인 루틴으로부터 다시 시작한다.
다음으로, 스텝(157)에서 판별한 결과, 초점 맞춤 평가값 X(J)와, 최대평가값 XM(J)와의 차이가 제5임계값 THR 5(J)이하인 경우, 즉 피사체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의 감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점평가값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피사체가 변화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그래서, 초점평가값의 변동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도, 스텝(166)에서, 현재 필드에서의 상대비 R(J)가, 정점으로서는 현저하게 낮다고 고려되는 임계값인 제3기준상대비 r3보다 작아졌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161)로 이행하여 초점 평가값의 변화가 인식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만, 이 상대비의 판단은 스텝(167)에서, 현지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피사체의 정점에서의 상대비가, 상기 등산 루틴에서의 제2기준 상대비 r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즉 상대비 OK플랙이 셋트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다음으로, 스텝(168)에서, 현재의 포커스 영역으로서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A1),(A2)중의 어느 것이 지정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스텝(169)에서 플랙 MAX2가 셋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플랙 MAX2가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단위면적당의 초점 평가값에서 제1샘플링 영역(A1)에서의 초점 평가값 쪽이 클 경우에는, 스텝(170)에서, 초점평가값 X(1)과 최대평가값 XM(1)과의 차이가 제5임계값 THR 5(1) 이하인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그리고, 이 차이가 제5임계값 THR 5이하이면 피사체는 제20도(b)의 상태로부터 제20도(d)의 상태로, 즉 제1샘플링 영역(A1)내로 되돌아왔다고 판단되고, 초점 평가값 변동감시 영역인 포커스영역을, 스텝(171)에서 제1샘플링 영역(A1)로 절환하여 감시동작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피사체가 제1샘플링 영역(A1)내로 되돌아오면, 즉시 포커스영역으로서 작은 쪽의 제1샘플링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큰 제2샘플링 영역의 배경에 핀트가 의존해 버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각 도면에서, 횡축의 포커스렌즈의 위치는, 포커스렌즈의 광축방향의 이동가능한 스트로크중에서, 촬상소자로부터 최대로 떨어진 전단위치를 기준으로 하여,이 위치로부터의 광축방향에 있는 포커스렌즈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오토포커스루틴에 의한 초점 맞춤 동작과, 초점 맞춤후의 피사체 변화의 확인 및 어긋남을 보정하는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메인루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2필드 마다, 오토포커스루틴은 멈춰지게 되고, 오토아이리스 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오토아이리스 동작을, 제25도 및 제26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메인루틴의 스텝(33)에서, 카운터 AECNT의 카운트값이 0으로 되었음이 판단되었을 때, 즉 초점맞춤동작을 개시한 때부터 32필드를 경과했을 때에, 제25도에 도시한 오토아이리스루틴이 실행된다. 우선, 메인루틴의 스텝(30)에서 독입되고, LPF(11)을 통과한 휘도 신호의 제1 내지 제6도의 각 샘플링 영역(A1,A2,…,A6)에서의 1필드분의 적분값 DATA(1), DATA(2), …, DATA(6)을 대응하는 각 영역의 면적에 따라 정규화한 값, 즉 제1 내지 제6샘플링 영역(A1, A2. …. A6)의 면적 SM1, SM2, …, SM으로 나눗셈하여 얻어지는 단위 면적당의 적분값을, 각 영역에서의 노출 평가값 Z(1), Z(2), …, Z(6)으로서, 스텝(200)에서 산출한다. 단, 제2샘플링 영역(A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샘플링 영역(A1)을 포함한 영역이기 때문에, 상술한 산출방법으로는, 노출 평가값 Z(2)가 제1샘플링 영역(A1)의 영향도 받게 된다. 그래서, Z(2)=[DATA(2)-DATA(1)]/(SM2-SM1)로서 제2샘플링 영역(A2)에서 제1샘플링 영역(A1)을 제외한 영역에서의 노출 평가값 Z(2)을 산출한다.
그리고, 화면 전체에서의 평균값, [Z(1)+Z(2)+Z(3)+Z(4)+Z(5)+Z(6)]/6을 평균 노출 평가값 ZA로 하여, 스텝(201)에서 산출된다.
다음으로, 이 화면의 휘도 레벨을 대표하여 또한 노출 제어의 기초로 되는 대상평가값 ZT를 결정한다. 먼저, 이전 필드의 오토포커스 동작에 있어서 포커스 영역으로서 제1샘플링 영역(A1)이 사용되었지만, 즉 제1샘플링 영역 내에 주요 피사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판별이 스텝(291)에서 이루어지고, 포커스영역으로서 제1샘플링 영역(A1)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제1샘플링 영역(A1)의 노출 평가값 Z(1)이 평균 노출 평가값 ZA에 대하여, 혹인 소정의 허용범위내에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이 이루어진다. 즉, 스텝(202)에서, 양 노출 평가값의 대수비의 절대값인 |LOG[Z(1)/ZA]|가 소정값 a이하라고 판단된다면, 스텝(203)에서 이 노출 평가값 Z(1)을 대상평가값 ZT로 하여, 제1샘플링 영역(A1)을 우선 영역으로 결정한다.
또한, 주요피사체가 제1샘플링 영역(A1)로 부터 벗어났기 때문에 제1샘플링 영역(A1)이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나, 예를 들면 선택되어 있더라도 제1샘플링 영역(A1)내에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여 평균 평가값 ZA와 노출평가값 Z(1)과의 비가 대수압축값이 소정값 이하가 아님이 스텝(202)에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205)에서, 제2샘플링 영역(A2)에서 제1샘플링 영역(A1)을 제외한 영역의 노출 평가값 Z(2)가 평균노출평가값 ZA에 대하여, 혹은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LOG[Z(2)/ZA]|가 소정값 a이하라는 것이 스텝(205)에서 판별되었는 때에는, 스텝(206)에서 이 노출평가값 Z(2)를 대상평균값 ZT로 한다.
또한, 스텝(205)에서, |LOG[Z(2)/ZA]|a가 만족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각 영역의 노출평가값 Z(i)(i=1-6)중, 평균노출 평각밧 ZA에 대한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것, 즉 |LOG[Z(i)/ZA]|가 소정값 a이하인 것의 평균을, 대상평가값 ZT로 하여 스텝(207)에서 산출한다. 또한 전체 영역에서의 노출평가값이 어느 것이나 평균값 a이하가 아니라고 스텝(290)에서 판단되었을 때에는, 제1샘플링 영역(A1)의 노출평가값 Z(1)을 대상평가값 ZT로 한다. 또한 스텝(208)에서는 노출평가값 Z(i)(i=1-6)중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노출 결정에 필요한 값 Zmax, Zmin으로서 설정한다.
스텝(202), (205) 및 (207)에서, 각 노출 평가값이 평균 노출평가값 ZA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내에 있는지 아니면 범위외의 크게 상이한 값인지를 판단할 때는, 단순히 양자의 비를 사용하더라도 문제는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 양자의 비의 동적 범위가 극히 넓다는 것을 고려하여, 대수압축한 다음에 소정값 a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샘플링 영역의 노출 평가값 중에서, 오토아이리스 동작을 실행 할 때에 사용되는 영역의 노출평가값인 대상평가값을 결정할 때는, 그 때의 포커스 영역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샘플링 영역의 노출 평가값이 우선한다. 예를 들면, 제1샘플링 영역(A1)이 포커스 영역으로서 지정되어 있다면, 이 제1샘플링 영역에서의 노출 평가값이, 또한 제2샘플링 영역(A2)가 포커스영역으로서 지정되어 있다면, 이 제2샘플링여영역으로부터 제1샘플링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의 노출평가값이 우선된다. 다만, 광원등의 극단적인 고휘도부나 짙은 초록등의 극단적인 지휘도부, 즉 이상 휘도부가 해당 영역내의 존재하지 않고, 평균평가값 ZA와 노출평가값과의 비의 대수 압축값이 소정값 a이하에 있는 경우에 국한한다. 그리고, 제1, 제2샘플링 영역(A1 및 A2)에 함께 이상 휘도부가 존재할 경우에는,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노출평가값의 평균값을 대상평가값으로 결정하고, 이것에 해당하는 영역을 오토아이리스 동작의 기초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값에 기초한 조리개의 결정은 제26도의 플로우챠트와 같이 실행된다. 우선 스텝(210)에서, 대상평가값 ZT와 최대평가값 Zmax의 비인 대수 LOG(Zmax/ZT)와, 대상평가값 ZT와 최소값 Zmin과의 비인 대수 LOG(ZT/Zmin)을 산출하고, 또한 양자의 차인 LOG(ZT/Zmin)-LOG(Zmax/ZT)를 명암판별값 D로서 도출한다. 이 명암 판별값 D는, 대상 평가값 ZT를 결정하는 주요 피사체가 화면내에서 상대적으로 밝은지 어두운지를 판별하는 파라메타로 되고, 주요 피사체가 밝고 대상평가값 ZT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는, 제1항인 LOG(ZT/Zmin)이 커지고, 제2항인 LOG(Zmax/ZT)는 작아지고 명암판별값 D는 커진다. 반대로, 대상평가값 ZT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는, 제1항은 작아지고, 제2항은 커지고, 명암판별값 D는 작아진다.
그리고, 이 명암판별값 D를 산출할 때에 평가값의 비의 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인간의 시각에서 밝다는 인시은 통상, 실제의 파사체의 휘도 레벨이 지수함수적, 예를 들면, 휘도 레빌이 2개→4배→8배로 커지면, 시각상의 밝기는 선형으로 변화한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텝(211)에서 판별값 D가 소정값 b(b0)에 대해서 |D|b가 성립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화면내의 피사체의 휘도는 중간 밝기라고 판단되고, 대상평가값 ZT를 제어하기 위한 목표값이 상한 ZU및 하한 ZL을, 스텝(213)에서, 각각, V, v로 정한다. 또한 |D|b로 성립되지 않고 (스텝 211) 판별값 D가 +b이상으로 판단되었을 때는(스텝 214), 화면내의 피사체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밝다고 판단하여, 상한 ZU및 하한 ZL을 스텝(214)에서, 각각 U, u로 정한다. 또한, 판별값 D가 -b이하로 판별될 때에는 (스텝 212), 화면내의 피사체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어둡다고 판단하여 상한 ZU및 하한 ZL을, 스텝(215)에서, 각각 W, w로 정한다. 여기서 이들 상한 및 하한에는, 각각 U≥V≥W, u≥v≥w의 관계를 미리 갖게 해둔다. 이로써 대상 평가값 ZT의 화면내의 상대적인 밝기에 대응한 목표범위가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소정값 b는, 주요피사체의 휘도레벨이 화면 전체의 휘도 레벨에 대하여, 현저하게 밝거나 혹은 현저하게 어두우면 시각상으로 인식될 수 있을 때의 한계값이며, 미리 실험적으로 구해진다.
다음으로, 스텝(216) 및 (217)에서 대상평가값 ZT와, 목표값의 상한 및 하한 ZU, ZL을 비교하여 , ZUZTZL이 성립한다면, 적정노출을 얻었다고 판단하고, 광학 조리개 기구(6)을 구동시키는 아이리스모터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의 조림을 유지한다. 한편, 대상평가값 ZT가 상한 ZU보다 크다면, 노출과다로 판단하고,스텝(219)에서 조리개 기구가 조림량을, 1스텝만큼 닫는 방향으로 아이리스모터(7)을 구동하고, 반대로 대상평가값 ZT가 하한 ZL보다도 작다면, 노출 부족으로 판단하여, 스텝(218)에서 조림량을, 1스텝만큼 개방하는 방향으로 아이리스모터(7)을 구동시킨다. 또한, 아이리스모터(7)은, 스텝핑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아이리스 루틴을 몇 필드 정도 실행하는 동안에, 포커스아이리스 내에 있는 주요 피사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노출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초점맞춤 후에 화면중앙부의 제1샘플링 영역으로부터 피사체가 벗어난 경우라도, 보다 넓은 제2샘플링 영역에 대하여 초점맞춤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각 샘플링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서, 택일적으로 절환할 때에, 그 판단기준값을, 각 영역마다에 피사체의 초점맞춤 평균값에 기초하여 그 때마다 설정하기 때문에, 오토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점맞춤평가값에 명확한 피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도, 최대평가값이 큰 쪽의 샘플링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서 선택함으로써, 노이즈 등에 초점맞춤 위치의 오검출의 가능성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역내에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 한, 노출제어에 사용되는 우선영역이 포커스영역을 추종하여 변화하므로, 주요피사체가 화면내를 이동하더라도, 항상 주요 피사체에 대한 노출은 최적값으로 유지된다.
도면 및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거나, 그 범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 본 발명의 의의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이라면 누구나 여러 종류의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6)

  1.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의 자동정합을 행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포커스렌즈와 촬상소자를 갖고, 상기 피사체에서 들어오는 입상 광선에 따라서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 수단, 상기 촬상소자에 대한 상기 포커스렌즈의 광축방향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는 상대위치 변경수단, 상기 영상신호의 시분할에 의해, 촬상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샘플링 영역과, 상기 제1샘플링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샘플링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가진 제2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샘플링 영역 설정수단,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중의 고역레벨을 일정 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으로 하여 공급하는 초점평가값 검출수단(여기에서, 상기 초점평가값의 각각 초점맞춤 위치에서 최대값을 취함).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초점평가값의 최신값과,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변기준값과의 사이의 상대적관계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중의 어느 쪽으로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해당 초점평가값이 최대값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포커스렌즈의 상대위치를 구동하도록 상기 상대 위치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영역 선택 수단이, 상기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기준값을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영역 선택수단이, 상기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최신의 초점평가값과 이전의 최대값과의 차이와, 상기 가변 기준 값과의 대소관계에 기초하여 포커스영역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준값이, 상기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의 최대값의 l/n(n은 양의 정수)배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준값이, 상기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의 최대값의 1/8배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영역 선택 수단, 상기 최신의 초점평가값과 이전의 최대값과 차이가 상기 가변 기준값을 넘었을 때에, 포커스영역의 선택을 절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평가값 검출수단이, 상기 영상신호중의 제1고역 성분 레벨을 추출하는 제1필터 수단과, 상기 영상중의 상기 제1고역 성분 레벨보다도 저역 성분을 포함한 제2고역성분 레벨을 추출하는 제2필터 수단과, 상기 제1 또는 제2필터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영상 신호의 제1 및 제1필터 수단 출력을 상기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또는 제2고역 성분레벨을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보다에 적산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영역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상기 초점평가값이 최대값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가 일단 구동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의 자동정합을 행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와 촬상소자를 갖고 상기 피사체에서 들어오는 입사광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수단,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한 상기 포커스렌즈의 광측 방향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상대위치 변경 수단, 상기 영상신호의 시분할에 의해, 촬상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샘플링 영역과, 상기 제1샘플링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샘플링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2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샘플링 영역 설정 수단,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중의 고역레벨을 일정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으로서 공급하는 초점평가값 검출수단(여기에서, 상기 초점평가값은 각각 초점맞춤 위치에서 최대값을 취함),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중 어느 한쪽을 포커스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수단, 상기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해당 초점평가값이, 앞뒤의 포커스렌즈의 상대위치의 초점평가값에 대하여 소정의 돌출량을 가진 최대값을 취하는 위치에 상기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를 구동하도록 상기 상대 위치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 및 상기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가값이 극대값을 취하지 않았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의 각각의 최대값을 단위 면적당으로 비교하여, 큰 쪽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이 최대로 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의 상대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상대위치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영역 선택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초점평가값의 최신값과,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변 기준값과의 사이의 상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중의 어느쪽을 포커스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평가값 검출 수단이, 상기 영상 신호중의 제1고역 성분 레벨을 추출하는 제1필터 수단과, 상기 영상 신호중의 상기 제1고역 성분 레벨보다도 저역 성분을 포함한 제2고역 성분레벨을 추출하는 제2필터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필터 수단의 출력을 상기 일정 기간마다 교대로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또는 제2필터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영상신호의 제1 또는 제2고역 성분 레벨을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 마다에 적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의 자동정합 및 노출의 자동조정을 행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포커스렌즈와 촬상소자를 갖고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입사광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수단, 상기 촬상소자에 대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광축방향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상대 위치변경 수단, 상기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변경시키는 수단, 상기 영상신호의 시분할에 의해, 촬상화면상에 분할된 복수의 샘플링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샘플링 영역 각각에서의 영상신호중의 고역레벨을 일정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초점평가값으로서 공급하는 초점평가값 검출 수단(여기에서, 상기 초점평가값은 각각 초점맞춤점 위치에서 최대값을 취함), 상기 복수의 샘플링 영역에서의 영상신호중의 휘도 신호레벨을 일정기간마다 검출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의 노출평가값으로서 공급하는 노출평가값 검출 수단, 상기 복수의 샘플링 영역 중의 어느한쪽을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제1선택 수단, 상기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된 샘플링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해당 초점평가값이 최대값으로 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의 상대 위치가 구동되도록 상대 위치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 상기 제1선택회로에 의해 선택된 샘플링 영역을 노출 제어하기 위한 우선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제2선택수단, 및 상기 우선 영역으로서 선택된 샘플링영역에 대응하는 노출평가값이 미리 정해진 레벨에 일치하도록, 상기 노출변경수단을 제어하는 제2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샘플링 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노출 평가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내에 이상휘동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2선택 수단이,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때만, 상기 제1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샘플링 영역을 상기 우선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샘플링 영역이, 적어도 촬상화면 중앙에 위치하는 제1샘플링 영역과, 상기 제1샘플링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샘플링 영역보다는 큰 면적을 가진 제2샘플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선택 수단이, 상기 포커스영역으로서 상기 제1샘플링 영역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샘플링 영역에 이상 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1샘플링 영역을 우선 영역으로서 선택하고, 또 이상휘도부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샘플링 영역을 우선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포커스영역으로서 상기 제2샘플링 영역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샘플링 영역에 이상 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2샘플링 영역을 우선 영역으로서 선택하고, 또, 이상휘도부가 존재한다면, 이상휘도부가 존재하지 않는 다른 샘플링 영역의 노출평가값의 평균값을 우선 영역의 노출 평가값으로서 상기 제2제어수단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영역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초점평가값의 최신값과,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에서의 이전의 초점평가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변 기준값과의 사이의 상대적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샘플링 영역 중의 어느쪽을 포커스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19890006288A 1988-05-11 1989-05-10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KR970010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13825A JPH07121083B2 (ja) 1988-05-11 1988-05-11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63-113825 1988-05-11
JP63144031A JPH01311772A (ja) 1988-06-10 1988-06-10 撮像装置
JP63-144031 1988-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473A KR900019473A (ko) 1990-12-24
KR970010205B1 true KR970010205B1 (ko) 1997-06-23

Family

ID=2645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288A KR970010205B1 (ko) 1988-05-11 1989-05-10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03339A (ko)
EP (1) EP0341692B1 (ko)
KR (1) KR970010205B1 (ko)
AU (1) AU609982B2 (ko)
CA (1) CA1317493C (ko)
DE (1) DE6891471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49B1 (ko) * 2007-07-04 2013-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초점선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9058A (en) * 1989-08-08 1993-09-28 Sanyo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cusing a camera lens
JP2974339B2 (ja) * 1989-09-20 1999-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JP2517415B2 (ja) * 1989-11-22 1996-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トフォ―カス方法
US5235428A (en) * 1990-02-21 1993-08-10 Sony Corporation Auto-focus system for video camera
JPH03243071A (ja) * 1990-02-21 1991-10-30 Sony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EP0444600B1 (en) * 1990-02-28 1997-08-06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JP2932575B2 (ja) * 1990-03-06 1999-08-09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950003569B1 (ko) * 1990-04-19 1995-04-14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맞춤 장치
US5245381A (en) * 1990-08-20 1993-09-14 Nikon Corporation Apparatus for ordering to phototake with eye-detection
KR950007867B1 (ko) * 1990-08-31 1995-07-20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촛점 촬상 장치
US5515130A (en) * 1990-12-10 1996-05-07 Nikon Corporation Camera control device
US5455650A (en) * 1991-03-11 1995-10-03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c converter
US6130716A (en) * 1991-08-09 2000-10-10 Canon Kabushiki Kaisha Autofocusing camera device
JP2725933B2 (ja) * 1992-01-31 1998-03-11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2725937B2 (ja) * 1992-02-19 1998-03-11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5345264A (en) * 1992-02-27 1994-09-06 Sanyo Electric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video camera using a luminance signal
US5953062A (en) * 1992-06-05 1999-09-14 Canon Kabushiki Kaisha Exposure control device for optical apparatus
JPH0662298A (ja) * 1992-08-07 1994-03-04 Canon Inc カメラ
US5432552A (en) * 1992-11-04 1995-07-11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including improved digital high-pass filter
US5614951A (en) * 1992-11-30 1997-03-25 Goldsta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a slope for automatically focusing an object in a video camera
DE69331874T2 (de) * 1992-12-28 2002-11-14 Canon Kk One-chip integrated circuit for use in a controlling focusing means
US6822563B2 (en) 1997-09-22 2004-1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imaging system with accessory control
US5877897A (en) 1993-02-26 1999-03-02 Donnelly Corporation Automatic rearview mirror, vehicle lighting control and vehicle interior monitoring system using a photosensor array
KR0143972B1 (ko) * 1993-03-31 1998-07-15 김광호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방법 및 장치
CN1039274C (zh) * 1993-05-20 1998-07-22 株式会社金星社 电视摄象机中的变焦跟踪装置和跟踪方法
US5757429A (en) * 1993-06-17 1998-05-26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which adjusts the speed of focusing based on a change in the rate of the focus evaluating value
EP0644687B1 (en) * 1993-09-17 2003-12-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DE69430288T2 (de) * 1993-10-04 2002-10-02 Canon Kk Bildaufnahmegerät
US6891563B2 (en) 1996-05-22 2005-05-10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vision system
WO1997000574A1 (en) * 1995-06-14 1997-01-03 Sony Corporation Focus controlling method and video camera device
JP3585291B2 (ja) * 1995-06-29 2004-11-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JP3697745B2 (ja) * 1995-06-30 2005-09-21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方法
EP0774865A3 (en) * 1995-11-17 2000-06-07 SANYO ELECTRIC Co., Ltd. Video camera with high speed mode
JPH09211308A (ja) * 1996-02-06 1997-08-15 Eastman Kodak Japan Kk 自動焦点撮像装置の被写体検出機構
US7655894B2 (en) 1996-03-25 2010-02-02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image sensing system
EP0987884B1 (en) * 1997-05-16 2006-09-27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focusing device
JP3726440B2 (ja) * 1997-08-28 2005-12-1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制御方法
JP3679693B2 (ja) * 2000-07-31 2005-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US7319487B2 (en) * 2002-04-10 2008-01-15 Olympus Optical Co., Ltd. Focusing apparatus, camera and focus position detecting method
ES2391556T3 (es) 2002-05-03 2012-11-27 Donnelly Corporation Sistema de detección de objetos para vehículo
US7844076B2 (en) * 2003-06-26 2010-11-30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and skin tone information
US7574016B2 (en) * 2003-06-26 2009-08-11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CN1849540A (zh) * 2003-09-10 2006-10-18 夏普株式会社 摄影透镜位置控制装置
US7511759B2 (en) * 2004-02-18 2009-03-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program thereof and storage medium, with movement of focus lens on basis of evaluation values extracted by long period scan upon failure of detection of peak position by short period scan
US7526103B2 (en) 2004-04-15 2009-04-28 Donnelly Corporation Imaging system for vehicle
JP4574220B2 (ja) * 2004-04-30 2010-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881496B2 (en) 2004-09-30 2011-02-01 Donnelly Corporation Vision system for vehicle
JP4516035B2 (ja) * 2006-02-09 2010-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合焦位置決定方法および装置
US7702232B2 (en) * 2006-07-25 2010-04-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focus zones for cameras
US7962026B2 (en) * 2006-08-08 2011-06-14 Lg Electronics Inc. Discrete automatic focusing and error correcting method
US7972045B2 (en) 2006-08-11 2011-07-05 Donnelly Corporation Automatic headlamp control system
JP4218720B2 (ja) * 2006-09-22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773274B2 (en) * 2007-03-05 2010-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store information in a holographic data storage medium
WO2008107002A1 (en) 2007-03-05 2008-09-12 Fotonation Vision Limited Face searching and detection in a digital image acquisition device
JP5553472B2 (ja) * 2007-07-10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995443B2 (en) * 2007-07-30 2011-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store information in a holographic data storage medium
US8237850B2 (en) * 2007-08-27 2012-08-07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camera that adjusts the distance from an optical lens to an imaging surface
JP2010134309A (ja) * 2008-12-08 2010-06-17 Renesas Electronics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及び撮像装置
JP5455361B2 (ja) * 2008-12-22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US20100259647A1 (en) * 2009-04-09 2010-10-14 Robert Gregory Gann Photographic effect for digital photographs
JP2011141374A (ja) * 2010-01-06 2011-07-21 Renesas Electronics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US8830378B2 (en) * 2011-03-29 2014-09-09 Olympus Corporation Image capturing system and image capturing method, involving image restoration processing
DE202011110422U1 (de) 2011-10-11 2014-01-10 Peter Denz Vorrichtung für ein pumpfreies Autofokus-System
EP2581788A1 (de) 2011-10-11 2013-04-17 Peter Denz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 pumpfreies Autofokus-System
JP2014016965A (ja) * 2012-07-11 2014-01-30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JP6253245B2 (ja) * 2013-04-17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366374B2 (ja) * 2013-08-30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118634A (ja) * 2014-12-19 2016-06-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16197215A (ja) * 2015-04-06 2016-11-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装置の制御方法
CN106713718A (zh) * 2017-02-27 2017-05-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双摄像头的对焦方法及移动终端
US11570351B2 (en) * 2021-06-30 2023-01-31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focus drift of variable focus lens for fixed focus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1079A (en) * 1980-08-26 1982-03-06 Asahi Optical Co Ltd Automatic television camera exposure device by division of picture
JPS5961807A (ja) * 1982-09-30 1984-04-09 Canon Inc 自動焦点制御装置
JP2575607B2 (ja) * 1984-03-02 1997-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
JPH028456Y2 (ko) * 1984-10-26 1990-02-28
JP2542361B2 (ja) * 1985-09-10 1996-10-09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動合焦信号検出装置
US4804831A (en) * 1985-10-30 1989-02-14 Canon Kabushiki Kaisha Focus detecting apparatus independent of object image contrast
JPH07118786B2 (ja) * 1985-11-08 1995-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S62182704A (ja) * 1986-02-05 1987-08-11 Olympus Optical Co Ltd オ−トフオ−カス装置
US4762986A (en) * 1986-03-10 1988-08-09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sing system including in-focus position prediction means
JPS6317418A (ja) * 1986-06-25 1988-01-25 Minolta Camera Co Ltd 合焦検出装置
JPS6359274A (ja) * 1986-08-29 1988-03-15 Victor Co Of Japan Ltd オ−トフオ−カス装置
JPH0644806B2 (ja) * 1987-02-18 1994-06-08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トフオ−カス回路
US4922346A (en) * 1987-06-30 1990-05-01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having a variable focusing speed and particularly suited for use with interlaced scan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49B1 (ko) * 2007-07-04 2013-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초점선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1692A2 (en) 1989-11-15
AU3462089A (en) 1989-11-23
US5003339A (en) 1991-03-26
CA1317493C (en) 1993-05-11
EP0341692A3 (en) 1990-09-19
KR900019473A (ko) 1990-12-24
AU609982B2 (en) 1991-05-09
DE68914712D1 (de) 1994-05-26
EP0341692B1 (en) 1994-04-20
DE68914712T2 (de) 199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205B1 (ko)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US4967280A (en)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focus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JPH0630322A (ja) 自動合焦装置
JPH0545577A (ja) 撮影装置
JPH07118785B2 (ja) コントラスト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H08129129A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自動焦点調節装置を備えたカメ ラ
JPH07112254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H0712108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2708924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2517359B2 (ja) オ―トフォ―カスビデオカメラ
JPH0771211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KR0145306B1 (ko) 영상 신호에 기초를 두고 자동노출조정을 행하는 오토아이리스 기능을 갖춘 촬상 장치
JPH01309573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JP2517432B2 (ja) オ―トフォ―カス装置
JP2576727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H05236328A (ja) 撮像装置
JP2680715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2877379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H01311772A (ja) 撮像装置
JPH057323A (ja) フオーカス制御装置
JPH0886953A (ja) 自動焦点整合装置
CA1330369C (en) Automatic focusing circuit for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JPH049911A (ja) レンズ位置制御装置
JPH0777433B2 (ja) 撮像装置
JPH0130957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