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028B1 -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 Google Patents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028B1
KR970010028B1 KR1019940010286A KR19940010286A KR970010028B1 KR 970010028 B1 KR970010028 B1 KR 970010028B1 KR 1019940010286 A KR1019940010286 A KR 1019940010286A KR 19940010286 A KR19940010286 A KR 19940010286A KR 970010028 B1 KR970010028 B1 KR 97001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ransaction
medium
trading
pseu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야마자끼
마사루 가이자끼
마꼬또 오오야마
마꼬또 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028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현금 자동 예금 지급기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도의 제어 회로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CRT의 지폐를 내보낼때의 제1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CRT의 지폐를 내보낼때의 제2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CRT의 지폐를 내보낼때의 제3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CRT의 지폐 방출시의 제1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CRT의 지폐 방출시의 제2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CRT의 지폐 방출시의 제3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CRT의 금액 입력시의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CRT의 잔고 조회시의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표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도의 출금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플루챠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제의 거래 동작과 표시 안내 동작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플루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장치 본체 12 : CRT
12a : 창구업무측 12b : 카운터측
12c : 고객측 21 : CPU
43 : 잔고 조회키 45 : 명세표
47 : 카드 48 : 지폐
50 : 구좌 잔고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자면 은행업무에서 사용되는 것과 자동 거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래상황을 실제로 거래하고 있는 것과 같이 표시 안내해서 입력 조작성을 높인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이같은 종류의 자동 거래기는 입금, 출금, 불입, 통장 기입, 잔고 조회 등의 거래 항목을 갖는 자동 거래 전용기로서 이용되고, 자동 거래 등에 고객이 표시기에 표시 안내된 거래 조작 순서에 따라서 입력 조작하므로써 소정의 거래를 실행하고 있다(예를 들자면 선행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에 헤이세이 1-311426호 참조).
이 경우, 자동 거래에 있어서, 익숙치못한 고객의 현재의 거래 처리 상태가 불명료하기 때문에 틀린 방향에서 처리되고 있는 등의 불안감을 안거나, 카드, 통장, 지폐 등의 거래 매체의 취급시에 당황하거나, 오입력 조작을하여 고객의 입력 조작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현금계수증, 주컴퓨터와의 교신중, 거래 매체 체크중 등의 거래 대기시에 고객은 대기 해제시의 예측이 명확하게 판단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 조작이 늦어져 버려 일인당의 자동 거래기의 점유 시간이 길어졌다.
발명이 해결하료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의사 매체를 실제의 거래 매체의 거래 동작에 대응시켜서 표시기에 표시 안내하므로써 입력 조작시의 고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입력 조작성 및 신뢰성을 높인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거래 순서를 표시 안내하는 표시기의 표시 안내 데이터에 의거해서 자동 거래하는 자동 거래가로서 자동 거래시에 실제로 거래 동작하는 거래 매체와 대응해서 표시되는 의사 매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고 상기 의사 매체를 거래 순서에 의해 표시 화면 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하는 유동적 표시 수단을 구비한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래 안내하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을 창구업무측과 고객측으로 구분해서 설치하고 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의사 매체를 거래 순서에 따라 구분하여 대응시키므로써 표시하는 의사 매체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 거래시에 실제로 거래 동작하는 거래 매체와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의사 매체와의 움직임을 동기시켜서 의사 매체를 표시 안내하는 동기 표시 안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기에 고객의 구좌 잔고를 조회 허용하는 잔고 조회 입력부를 표시하고 이 잔고 조회 입력부의 입력 조작에 의거해서 고객의 구좌 잔고를 표시해서 조회를 허용하는 잔고 조회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 거래시에 조회되는 조회 데이터를 확인하는데 따라서 의사 매체를 표시해서 거래 안내를 하는 거래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거래시에 표시기에 표시 안내되는 의사 매체를 실제로 거래 동작하는 거래 매체의 움직임에 대응시켜서 표시 안내하고, 더욱이 유동적인 표시 수단은 거래 순서에 따라 표시화면 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한다.
또한,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의사 매체를 의사 매체 표시 수단이 거래 순서에 의해 표시기를 구분 표시하여 창구업무측인가 고객측인가를 대응시켜서 표시한다.
또한, 자동 거래시에 동시 표시 안내 수단이 실제로 거래 동작하는 거래 매체와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의사 매체와의 움직임을 동시시켜서 의사 매체를 표시 안내한다.
또한, 표시기에 표시된 잔고 조회 입력부를 입력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잔고 조회 입력 수단이 고객의 구좌 잔고를 표시기에 조회를 허용한다.
또한, 자동 거래시에 고객의 거래하는 조회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 거래 안내 수단이 의사 매체를 표시기에 표시 안내해서 거래한다.
이 결과 자동 거래시에 의가 매체를 거래 순서에 따라서 표시 화면 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해서 고객은 실제의 거래 동작을 모구 명료하게 인식하면서 자동 거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마치 실제의 창구 거래와 같이 이용할 수 있고, 익숙하지 못한 고객이라도 입력 조작 순서나 그 입력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입력 조작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거래 조작에 번거로움없이 처리 시간의 단축이 실현되고 또한, 신뢰성 및 서비스의 향상이 실현된다.
또한, 표시 화면을 창구업무측과 고객측으로 구분해서 표시 안내하면 창구업무인 것같이 거래 내용이 더욱 명확해진다.
또한, 실제의 거래 매체의 움직임과 의사 매체의 움직임을 동기시켜서 표시 안내하면 거래 조작 상황이나 입력 조작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거래 동작중의 대기 해제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해서 원활하게 다음 조작이 가능하고 일인당 자동 거래기의 점유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에 잔고 조회 입력부를 입력 허용 상태로 표시해 두면 잔고 조회시에 입력 조작해서 곧 바로 표시 화면위에 고객의 구좌 잔고를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자동 거래시에 조회 데이터를 확인한 시점에서 의사 매체를 표시 안내하면 고객은 거래를 신뢰할 수 있고 또 거래 상태가 시간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래 동작이 원활해진다. 특히 의사 매체를 색별 변화 혹은 점별시키는 등 명료하게 강조 표시하면 훨신 명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매체의 유동적인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현금 자동 예금 지급기를 도시하고 제1도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유동적인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현금 자동 예금 지급기는 장치 본체(11)의 상부 앞면에 고객에게 거래 조작을 표시 안내하는 터치 패널 겸용의 CRT(12)와 통상 삽입구(13)와 지폐 출입구(14)와 동전 출입구(15)와 카드 삽입구(16)와 취급 표시기(17)와 고객이 계원을 부르기 위한 호출 버튼(18)을 구비하여 입금, 출금, 불입, 통장 기입, 잔고 조회 등의 거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제2도는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현금 자동 예금 지급기의 제어 회로 블록도를 도시하고 CPU(21)는 ROM(2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회로 장치를 제어하고 그것이 필요한 데이터를 RAM(23)으로 판독이 가능하게 기억한다.
상술한 CPU(21)는 인테페이스(24)를 거쳐서 CRT(12), 터치 패널 스위치 제어부(25), 카드 판독기(26), 통장 처리부(27), 지폐 처리부(28), 동전 처리부(29), 전표 처리부(30), 통신 처리부(31)와 접속한다.
상기 CRT(12)는 입출금 거래 등의 거래 안내 및 불입 안내 등의 표시 안내와 그 조작 순서를 표시하고 터치 패널 스위치 제어부(25)는 CRT(12)의 화면 위에 표시된 표시 부분과 대응해서 터치 입력된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한다.
카드 판독기(26)는 카드 삽입구(16)로부터 삽입된 카드의 거래 데이타를 판독하고 또한 갱신 데이터를 기입 처리하여 거래 종료 및 입출금 취소시에 있어서 카드를 카드 삽입구(16)로부터 방출한다.
통장 처리부(27)는 통장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통장의 거래 데이터를 판독하고 또 갱신 데이터를 기입 처리하여 통장 의뢰자란에는 거래 데이터나 미기장 데이터의 기장 처리를 하고, 다시 거래 종료 및 입출금 취소시에 통장을 통장 삽입구(13)로부터 반송 처리한다.
지폐 처리부(28)는 지폐 출입구(14)에서 입금된 지폐를 장치 본체(11)의 내부에 내장해서 접수 처리하고 출금시 및 입출급 취소시에 있어서 지폐를 지폐 출입구(14)로부터 방출 처리한다.
동전 처리부(29)는 동전 출입구(15)에서 입금된 동전을 장치 본체(11)의 내부애 내장 접수 처리하고 출금시 및 입출금 취소시에 동전을 동전 출입구(15)로부터 방출 처리한다.
전표 처리부(30)는 입출금 거래 등의 각종의 거래 내용의 거래 데이터를 기재한 명세표를 거래마다 발송한다.
통신 처리부(31)는 편집한 입출금 요구 전문, 불입 데이터 요구 전문 및 기장 요구 전문 등을 주컴퓨터(32)로 송신하고 주컴퓨터(32)에서 전달된 입출금 회답, 불입 데이터 및 미기장 데이터와 금번의 거래액 및 잔고 등의 기장 데이터를 수신 처리한다.
CPU(21)는 자동 거래시에 실제로 거래 동작이 지폐나 카드 등의 거래 매체와 대응시켜서 의사 매체의 도형을 CRT(12)에 표시 안내하고 이들 의사 매체의 도형을 거래 순서에 의해 CRT(12) 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하는 안내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12)의 화면 전체는 은행 등의 계원 창구와 유사해 상부측에서 하부측에 걸쳐 창구업무측(12a)과 중간부의 카운터측(12b)과 앞의 고객측(12c)과의 3단계로 할당해서 표시하고 예를 들면 가이드 이용에 의한 출금 거래의 경우 CRT(12)의 창구업무측(12a)에는 잡시 기다려 주십시오. 지금 처리중 입니다로 문자 표시 안내부(41)와 지폐의 출입을 표시하는 금속(42)의 도형과 잔고 조회키(43)를 표시하고 카운터측(12)에는 받침대(44)와 명세표(45)를 도형 표시하고 고객측(12c)에는 취소키(46)와 가이드(47)의 도형을 표시하고 이들 도형 표시된 의사 매체를 거래 순서에 따라서 제4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12) 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한다.
예를 들면 출금 거래시에 지폐(48)를 금고(42)에서 반복해서 받침대(44)까지 이동시키는 경우, 창구업무측(12a)의 금고(42)를 열고 상기 금고(42)에서 설정 입력한 소정 매수의 지폐(48)를 끄집어 내어 서서히 카운터측(12b)의 받침대(44)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또한 원근감을 갖도록 지폐(48)를 차츰 크게 표시하면서 받침대(44)위에 이동시켜서 반복해서 동작됨을 유동적으로 도형을 통한 안내를 하고 또한 이때 받침대(44)위의 금액란(49)에는 소정의 출금된 금액을 표시한다. 따라서 고객은 실제로 창구에서 거래를 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의사 표시되기 때문에 거래 내용을 모두 명료하게 인식하면서 출금 거래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장치 본체(11)에 출입 처리되는 실제의 지폐나 카드 등의 움직임과 CRT(12)에서 도형 표시되는 의사 지폐나 의사 카드와의 움직임은 동기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고객은 거래 조작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 결과 다음 조작의 입력 조작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해서 보다 빠른 속도로 입력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잔고 조회키(43)는 제9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42)에 근접한 열림 또는 닫힘중 하나의 키(43)를 표시하고 통상은 열림을 표시해서 고객이 상기 키(43)의 열림을 터치 입력하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42)를 연 도형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것의 근처 위치에 고객의 구좌 잔고(50)를 표시해서 잔고를 조회할 수가 있다. 또한 닫힘을 터치 입력하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42)를 닫힌 도형을 표시함과 동시에 원래의 표시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출금액 등의 수치를 다시 입력 설정하는 경우는 10개의 키(51)나 정정키(52)를 이용하여 수치를 입력 조작시키며 또 상기 입력 조작된 수치는 도형 표시된 인출용지(53)의 가입란(54)에 명료하게 표시된다. 또한, 비밀번호나 거래 금액이 유효함을 확인한 시점애서 도형 안내 표시로 전환하므로써 고객은 자동 거래시에 적정하게 거래가 진행되고 있음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키조작시마다 도형 표시를 색별로 변환 혹은 점멸시키는 등 명료하게 강조 표시하면 거래 상태를 한층 더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어 거래 동작이 원활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한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현금 자동 예금 지급기의 처리 동작을 제11도의 플루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거래 대기상태에 있는 장치 본체(11)는 CRT(12)에 입금, 출금, 불입, 통장 기입, 잔고 조회 등의 거래 항목을 표시하고 거래 대기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거래 대기상태에서 고객이 출금 거래를 선택해서 터치 입력한 경우에 CPU(21)는 본인임을 확인하기 위해 카드의 삽입 조작 및 비밀번호를 입력 조작하도록 CRT(12)에 표시 출력하고 고객이 이것을 보고 적정한 카드의 삽입 조작 및 적정한 비밀 번호의 입력 조작을 실시하면(스텝 n1 내지 n2). CPU(21)는 카드 데이터및 입력 비밀 번호를 주컴퓨터(32)에 문의해서 적정 데이터로 확인되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12)에 10개의 키(51)를 표시해서 출금액을 입력 허용한다(스텝 n3 내지 n5).
고객은 10개의 키(51)를 통해 소정의 출금액을 입력 설정한다. 상기 입력 설정 단계에 CRT(12)의 화면에는 잔고 조회키(43)도 병행해서 표시하고 있고 고객이 잔고 확인을 위해 잔고 조회키(43)를 터치 입력하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12)에 금고(42)의 열림 도형과 고객의 구좌 잔고(50)를 표시 안내해서 잔고를 조회할 수가 있다. 또 이 경우 잔고 조회키(43)를 터치 입력한 시점에서 상기 키(43)를 명료하게 색별 변화시키거나 점멸시켜서 터치 입력 조작한 것을 고객에서 명확하게 인식시킨다(스텝 n6 내지 n9).
고객이 출금액을 입력 설정한 후 잔고 조회나 취소 조작이 없으면 CPU(21)는 출금액을 체크하여 정확하게 판정해서 거래가 성립되면 현금을 방출해서 출금거래가 끝난다(스텝 n10 내지 n11).
이 경우 카드 데이터나 비밀 번호가 부적함으로 판정된 경우는 접수를 거부하고 또한 취소 조작시에도 접수를 거부해서 카드를 퇴거 처리한다(스텝 n12).
다음으로 실제의 출금 거래 동작과 표시 안내 동작과의 관계를 제12도의 플루챠트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 고객이 출금 거래를 위해 출금액 등의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설정하면 이 값은 주컴퓨터(32)로 조회 확인되고 적정 데이터로 인정되면 CPU(21)는 지폐의 송출을 개시시킴과 함께 카드의 고쳐쓰기를 실시하고 또한 명세표의 인쇄를 실시한다(스텝 n21 내지 n26).
한편 데이터 부적합으로 판정된 경우는 접수 거부하고 상기 거부 사유를 출력 안내한 후 초기 화면에 복귀시킨다(스텝 n27).
그런데 데이터 확인후에 실제로 지폐의 송출 동작, 카드의 고쳐쓰기 동작 및 명세표로의 인쇄 동작을 실행하였을 때 이것과 병행해서 CRT(12)에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고(42)로부터 소정의 장수의 지폐(48)를 반복해서 받침대(44) 측으로 향해서 매끄럽게 이동시켜 실제로 창구에서 거래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의사 지폐를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하고 최종적으로 받침대(44) 위에 이동시킨다. 또 이때 받침재(44) 위의 금액란(49)에는 출금된 금액을 표시해서 소정의 금액의 지폐(48)가 송출된 것을 명료하게 표시 안내한다(스텝 n28).
그후 실질적으로 지폐의 송출 동작, 카드의 고쳐쓰는 동작 및 명세표로의 인쇄 동작이 완료되면 CRT(12)에서는 계속해서 제6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 표시시킨 받침대(44)를 카운터측(12b)애서 고객측(12c)으로 유동적으로 이동시켜 업무창구의 계원이 흡사 받침대를 고객측으로 내미듯이 방출 안내 표시한다(스텝 n29 내지 n30).
이것과 동기해서 실제로 지폐를 방출하고 또한 실제로 카드 및 명세표의 방출 동작을 개시시킨다. 이때 CRT(12)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 표시된 명세표(45) 및 카드(47)가 카운터측(12b)으로부터 고객측(12c)으로 유동적으로 이동하여 모두 고객측으로 되돌려지도록 방출 안내 표시한다(스텝 n31 내지 n33).
이와 같이 실제의 거래 매체의 동작과 CRT(12)상의 의사 매체의 동작을 동기 대응시킨 출금 거래가 완료되면 명세표와 카드를 반출시켜 출금 거래가 끝난다(스텝 n33 내지 n34).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거래시 지폐나 카드 등의 의사 매체를 거래 순서에 따라서 CRT(12) 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하기 때문에 고객은 실제의 거래 동작을 을 모두 명료하게 인식하면서 자동 거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마치 실제의 창구 거래와 같이 이용할 수 있고 익숙치 못한 고객이라도 입력 조작순서나 그 입력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입력 조작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거래 조작에 번거로움이 없이 처리 시간 단축이 실현됨과 동시에 신뢰성 및 서비스서의 향상이 실현된다.
또한 CRT의 표시 화면을 창구업무측과 고객측과 그 중간의 카운터측으로 구분해서 표시 안내하면 창구업무인 것 같이 거래 내용이 더욱 명확해진다. 다시 실제의 거래 매체의 움직임과 의사 매체와의 움직임을 동기시켜서 표시 안내하면 거래 조작 상황이나 입력 조작 시기는 정확하게 파악이 되고 거래 동작중의 대기 해제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해서 원활하게 다음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일인당의 자동 거래기의 점유 시간을 많이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CRT의 표시 화면에 잔고 조회키를 입력 허용 상태로 표시해두면 잔고 조회시에 입력 조작해서 바로 CRT 위에 고객이 구좌 잔고를 표시시켜서 확인할 수가 있다.
다시 작동 거래시에 조회 데이터를 확인한 시점에서 의사 매체를 표시 안내하면 고객은 적정한 거래임을 확신할 수 있고 또 거래 상태를 시간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 동작이 원활해진다. 특히 의사 매체를 색별 변화 혹은 점멸시키는 등 명료하게 강조 표시하면, 한층 더 명확하게 입력 조작을 확인할 수 가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대응하여, 본 발명의 매채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는 실시예의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현금 자동 예금 지급기의 장치 본체(11)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기는 CRT(12)에 대응한다.
실제의 거래 매체는 명세표, 카드, 지폐에 대응하고, 의사 매체는 CRT(12)에 표시되는 명세표(45), 카드(47), 지폐(48)의 각 표시 도형에 대응하고, 잔고 조회 입력부는 잔고 조회키(43)에 대응하여 유체적 표시 수단, 의사 매체 표시 수단, 동기 표시 안내 수단, 잔고 조회 입력 수단 및 거래 안내 수단은 CPU(21)에 대응하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특정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거래 순서를 표시 안내하는 표시기의 표시 안내 데이터에 의거해서 자동 거래하는 자동 거래기에 있어서, 자동 거래시에 실제로 거래 동작하는 거래 매체와 대응해서 표시되는 의사 매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고 상기 의사 매체를 거래 순서에 따라 표시 화면위에 유동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 안내하는 유동적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2. 제1항에 있어서, 거래 안내하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을 창구업무측과 고객측으로 구분해서 설치하고,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의사 매체를 거래 순서에 의해 구분하여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의사 매체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 거래시에 실제로 거래 동작을 하는 거래 매체와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의사 매체와의 움직임을 동기시켜서 의사 매체를 표시 안내하는 동기 표시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4.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에 고객의 구좌 잔고를 조회 허용하는 잔고 조회 입력부를 표시하고 상기 잔고 조회 입력부의 입력 조작에 의해서 고객의 구좌 잔고를 표시해서 조회를 허용하는 잔고 조회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5. 제1항에 있어서, 자동 거래시에 조회되는 대조 데이터를 확인함에 따라서 의사 매체를 표시해서 거래 안내하는 거래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KR1019940010286A 1993-05-12 1994-05-11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KR970010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35367 1993-05-12
JP13536793A JPH06325242A (ja) 1993-05-12 1993-05-12 媒体の流動的表示案内機能付き自動取引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028B1 true KR970010028B1 (ko) 1997-06-20

Family

ID=1515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286A KR970010028B1 (ko) 1993-05-12 1994-05-11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325242A (ko)
KR (1) KR970010028B1 (ko)
TW (1) TW38502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657A (ja) * 2004-03-29 2005-10-13 Denso It Laboratory Inc 携帯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325242A (ja) 1994-11-25
TW385027U (en) 200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969B1 (ko) 자동거래장치 및 자동거래실행방법
KR970010028B1 (ko) 매체의 유동적 표시 안내 기능이 부착된 자동 거래기
JP3203830B2 (ja) 紛失カード処理機能付き自動取引機
JP3842328B2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JPH08255205A (ja) 入力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H07234903A (ja) 取引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H06139431A (ja) 一括照会機能付き自動取引機
JPH0962477A (ja) 表示入力装置、取引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3159265B2 (ja) 両替表示案内機能付き現金自動両替機
JPH06314365A (ja) 常時残高照会機能付き自動取引機
JPH06274520A (ja) 債務額案内機能付き自動取引機
JPH05181890A (ja) 自動取引装置
JPH02311989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S6116361A (ja) 取引処理システム
JPH06318284A (ja) 書面入力形自動取引機
EP3379499A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and settlement apparatus with the same
JPS62164162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S63172365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H0850681A (ja) 自動取引装置
JPH1091844A (ja) 取引処理装置
JPH08202925A (ja) 取引処理装置
JPS6116360A (ja) 取引処理システム
JPS61278994A (ja) 自動取引装置
JPH063494Y2 (ja) 取引操作装置
JPS5926430Y2 (ja) 取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